KR20220074513A -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simplification method - Google Patents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simplifica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513A
KR20220074513A KR1020200163101A KR20200163101A KR20220074513A KR 20220074513 A KR20220074513 A KR 20220074513A KR 1020200163101 A KR1020200163101 A KR 1020200163101A KR 20200163101 A KR20200163101 A KR 20200163101A KR 20220074513 A KR20220074513 A KR 20220074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information
point
points
simpl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1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77665B1 (en
Inventor
김영일
김예리
서호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163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665B1/en
Publication of KR20220074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5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6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8Network design, e.g. design based on topological or interconnect aspects of utility systems, piping,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HVAC] or cab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는, 외부 서버로부터 배전 설비에 대한 지도 정보 및 설비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배전 설비에 대한 지도 정보 및 설비 정보로부터 선로정보 테이블과 선로 가중치 테이블을 생성하는 선로정보 생성부; 최소길이를 기준으로 단일선로화하는 방식으로 상기 선로정보 테이블의 선로들을 간략화하는 단일선로 처리부; 상기 선로정보 테이블의 점들을 병합하여 선로들간의 연결관계를 간략화하는 선로 통합 처리부; 및 간략화 처리된 정보들에 따른 간략 도면을 출력하는 간략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A distribution line simplifie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map information and facility information on distribution facilities from an external server; a lin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line information table and a line weight table from the map information and facility information on the power distribution facility; a single line processing unit that simplifies the lines of the line information table in a manner of converting the lines to a single line based on the minimum length; a line integration processing unit that simplifie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lines by merging the points of the line information table; and a simplified informa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implified drawing according to the simplified information.

Description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및 배전 선로 간략화 방법{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SIMPLIFICATION METHOD}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SIMPLIF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배전 선로에 대한 지리적 배치를 나타내는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및 배전 선로 간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비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간략화하여 개략적인 전력망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간략화 처리를 수행하는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및 배전 선로 간략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a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method indicating a geographical arrangement of a distribution line, and in particular, to simplify location information on facilities to confirm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wer gri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a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method.

전력 설비들은 광범위한 지역에 배치되어 있어, 이에 대한 현황 파악 등을 위해서는 지리적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로서 표현하는 것이 유리하다. 배전 선로는 지도 정보를 함께 이용해서 배전 경로나 발전소 위치 선정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전력회사에서는 전력설비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설비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있으며, 각 설비의 위치 및 연결 정보는 GPS 좌표 측정을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Electric power facilities are deployed in a wide area, so it is advantageous to express them as map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The distribution line can easily perform distribution route or power plant location selection by using map information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these circumstances, power companies manage facility information for stable operation of power facilities, and the location and connection information of each facility is systematically managed through GPS coordinate measurement.

특히, 스마트시티 환경에서 도시운영 담당자가 도시의 에너지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도시에 설치된 배전설비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전력설비의 경우 국가 보안 시설로 정확한 설비정보를 외부시스템에 유출할 수 없으므로 정보를 간략화하여 개략적인 전력망의 구성을 확인 할 수 있는 정도로만 표현하여 제공할 필요성이 존재한다.In particular, in order to manage the city's energy information in a smart city environment, the person in charge of city operation must be able to know information about the power distribution facilities installed in the city. However, in the case of power facilities, as it is a national security facility, accurate facility information cannot be leaked to an external system, so there is a need to simplify the information and express it only to the extent that it can confirm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power grid.

종래의 배전선로 표현 방법은 변전소를 기반으로 배전설비의 실제 좌표와는 상관없이 전력계통의 네트워크 구조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계통도 방식이나,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한 배전운영을 위해 필요한 단선도, 배전 선로 공사나 고객 응대를 위해 실제 좌표 기반으로 지도 위에 표현한 설비도를 사용하고 있다.The conventional distribution line expression method is a schematic method that allows you to easily understand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power system regardless of the actual coordinates of the distribution facility based on the substation, or a single-line diagram and distribution line required for distribution operation for stable power supply. For construction and customer service, the facility diagram expressed on the map is used based on the actual coordinates.

GIS 기반의 설비도의 경우 지도 위에 설비를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어 개별 고객에 대한 응대 및 선로 공사 등을 수행할 경우 매우 유용하나 외부에 유출될 경우 보안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GIS-based facility diagram, the facilities are accurately expressed on the map, so it is very useful when responding to individual customers and performing line construction.

도시운영 담당자의 경우 개별 고객에 대한 응대 및 선로 공사 등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주로 도시 전체 지도 상에 전력설비가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가를 개략적으로 파악하는 목적이 클 것이므로 스마트시티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대쉬보드 형태로 간소화된 배전선로를 보여주는 방식 정도가 적합하다.In the case of city operation manager, there is no need to respond to individual customers and perform line construction, etc., and the main purpose of the smart city energy monitoring system is to understand roughly how power facilities are distributed on the entire city map. It is appropriate to show the simplified distribution line in the form of a method.

종래기술에 따른 전력 설비 도면 제공 방안으로서, 배전계통의 연결 정보 및 설비 정보를 포함하는 배전계통 단선도를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다. 이 시스템은 지리 정보 시스템(GIS)의 계통 정보를 이용하여 배전선로를 추적하고 배전선로에 포함되는 설비를 노드로 하는 트리를 구성하는 노드 추적부; 상기 트리를 이용하여 노드들의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레벨에 따라 상기 노드들이 배열된 단선도를 생성하는 노드 배열부; 지리 정보 시스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선도상의 노드들을 재배열하는 재배열부를 구비하며, 수직, 수평 성분으로 전력설비를 표현하는 단선도 생성 방식에 GIS의 위치정보를 반영하여 설비를 배치한다.As a method for providing power facility drawing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a single line diagram of a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connection information and facility information of the distribution system has been proposed. The system includes: a node tracking unit that tracks a distribution line using system information of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d configures a tree with facilities included in the distribution line as nodes; a node arranging unit that determines the level of nodes using the tree and generates a single-line diagram in which the node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level; A rearrangement unit for rearranging the nodes on the single-line diagram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s provided, and the facility is arranged by refl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IS in a single-line diagram generation method that expresses power facilities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components .

다른 방안으로서, 개폐기 상태 및 정전구간의 모니터링이 용이하도록 단선도를 구성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토폴로지 해석부와 트리 구성부 및 트리 재배열부를 통해 원격지의 중앙제어실에서 배전선로의 연결관계를 노드와 아크로 이루어진 단선도로 표현하는 단선도 기반의 배전계통 시각화 장치을 제안하고 있으며, 개폐기의 투입(close) 또는 개방(open) 상태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배전계통 운영자가 식별이 용이하도록 동적으로 시각화하여 단선도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배전선로의 개폐기의 운영 상태를 동적으로 표시하여 배전계통 운영자의 식별력을 높이고, 고장발생시 복구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As another method, a method of configuring a single-line diagram to facilitate monitoring of the switchgear state and the blackout section has been proposed. We propose a single-line diagram-based distribution system visualization device that expresse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distribution lines in a single-line diagram consisting of nodes and arcs in a central control room at a remote location through the topology analysis section, tree composition section, and tree rearrangement section. Alternatively, by collecting the open state in real time, it includes a display unit that dynamically visualizes the distribution system operator for easy identification and displays it on a single line diagram. This is to increase the identification of the distribution system operator by dynamically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us of the switchgear of the distribution line, and to induce prompt recovery in the event of a failure.

또 다른 방안으로서, 배전 계통 정보를 IEC 61970 표준인 CIM(Common Information Model)에 맞추어 표현하고, 배전 계통을 용이하게 그릴 수 있는 CIM 계통도 처리 방법이 제시되었다. 여기서는 배전계통 정보를 Terminal과 ConnectivityNode를 이용하여 표현하고, 계통 설비 연결구조 생성기가 시작점부터 모든 끝점까지의 모든 경로의 mRID 집합을 구성하고, HashMap을 생성하여 Hash 경로 저장소에 저장하고, mRID 삭제기가 Hash 경로 저장소에서 mRID를 삭제하면서 배전 계통을 그리는 방식을 제안한다. 축약 ID에 의해 빠른 연산이 가능하며 빠른 연산 속도와 더불어, 기존 CIM 계통도 처리 방법과 동등한 정확도로 배전 계통도가 저장 및 그려질 수 있다.As another method, a CIM system diagram processing method that can express distribution syste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EC 61970 standard CIM (Common Information Model) and easily draw a distribution system has been proposed. Here, distribution system information is expressed using Terminal and ConnectivityNode, the grid facility connection structure generator constructs an mRID set of all routes from the start point to all endpoints, creates a HashMap and stores it in the Hash route storage, and the mRID deleter We propose a method of drawing the distribution system while deleting the mRID from the path storage. Abbreviated ID enables fast operation, and in addition to the fast operation speed, the distribution diagram can be stored and drawn with the same accuracy as the existing CIM diagram processing method.

또 다른 방안으로서, 최소 축적의 수치지도로부터 원하는 축적의 수치지도를 만들기 위한 형상 데이터 합성시 데이터를 자동으로 간소화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구체적으로, 하위 레벨의 수치지도를 가공하여 상위 레벨의 수치지도를 만들기 위한 형상 데이터 합성시 데이터를 간소화하는 방법임. 임의의 형상 데이터에 대하여, 형상좌표 총 수가 세개 이상인 경우 처음과 끝점을 잇는 직선과 직교하는 선들 중에서 중간점과 교차점 사이의 거리가 허용 오차를 넘는 경우 중간점을 삭제하는 방식으로 형상좌표 총 수가 두개 이하일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방식이다. 이 방안은 특정 레벨의 수치지도를 가공하여 다중 레벨의 수치지도를 만들어내는 데 사용되며 소축적의 수치지도를 대축적의 수치지도를 만들어낼 때 오차를 최소로 하기 위함이다.As another method, a method of automatically simplifying data when synthesizing shape data for making a numerical map of a desired scale from a numerical map of the minimum scale was proposed. Specifically, it is a method of simplifying data when synthesizing shape data to create a higher-level numerical map by processing a lower-level numerical map. For arbitrary shape data, when the total number of shape coordinates is three or more, the total number of shape coordinates is two by deleting the midpoin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idpoint and the intersection point among the lines orthogonal to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beginning and the end point exceeds the tolerance. This method is repeated until the following. This method is used to create a multi-level numerical map by processing a numerical map of a specific level, and is intended to minimize the error when creating a large-scale numerical map from a small-scale numerical map.

또 다른 방안으로서, 수치지도 제작 방안은, 작업자로부터 수치지도 제작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제작된 수치지도를 수신받는 데이터입력모듈부; 폴리선 객체를 선택하여 MPolygon 객체를 생성하는 생성모듈부; 속성정보의 값을 설정하는 속성정보설정모듈부 및 속성정보부착모듈부; 수치도면에 존재하는 MPolygon을 검색하는 검색추출모듈부; MPolygon을 일반 폴리선으로 전환하는 변경모듈부; MPolygon 객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부; 및 다중폴리곤 생성하는 제어모듈부로 구성된다. 이 방안은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 속성정보만을 객체에 부여함으로써, 작업절차를 단순화하여 폴리곤 및 다중폴리곤을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작업절차의 간소화를 위한 것이다. As another method, the digital map production method includes: a data input module unit for receiving a numerical map produced using numerical map production software from an operator; a generation module unit for selecting a polyline object to generate an MPolygon object; an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module unit and an attribute information attachment module unit configured to set values of attribute information; a search extraction module unit that searches for MPolygon existing in a numerical drawing; a change module unit that converts MPolygon into a general polyline; a database module unit for managing MPolygon objects; and a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multi-polygons. This method simplifies the operation procedure by giving only attribute information to the object without creating a new object, so that polygons and multi-polygons can be created and managed, and the operation procedure is simplified.

또 다른 방안으로서, 대축척으로 제작된 수치지도를 소축척의 수치지도로 자동 편집하는 방법으로 작업자 간의 오차를 제거하고, 동시에, 빠르고 정확한 소축척의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시스템이 제시되었다. 대상작업 지역의 원본 수치지도 데이터를 입수하는 모듈, 축소 수치지도에서 사용하지 않는 지형지물 레이어를 삭제하는 모듈, 대분류 항목별로 분류하여 분류파일을 생성하는 모듈, 원본 수치지도의 N개 도엽을 축소 수치지도의 1개의 도엽으로 재생성하는 연결 모듈, 지형지물을 정리하는 모듈, 지형지물 사이의 편차를 제거하고, 단순화하는 모듈, 분류별로 정리된 결과물을 결합하여 축소 수치지도를 출력하는 모듈로 구성되며, 대축척 수치지도를 빠르고 정확하게 소축척 수치지도로 변환할 수 있다.As another method, a system for automatically editing a large-scale numerical map into a small-scale numerical map was proposed, which eliminates errors between workers and simultaneously produces a fast and accurate small-scale numerical map. A module to obtain the original numerical map data of the target work area, a module to delete an unused feature layer from the reduced numerical map, a module to create a classification file by categorizing by major categories, and a reduced number of N maps of the original numerical map It consists of a connection module that regenerates the map into one map leaf, a module that organizes features, a module that removes and simplifies deviations between features, and a module that outputs a reduced numerical map by combining the results organized by classification, A large-scale numerical map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converted into a small-scale numerical map.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전력 설비 도면 제공 방안은, 지도 변환시 데이터 가공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들 및 지도(GIS) 상에 설비 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기술들로서, 보안성을 유지하기 위해 위치정보를 간소화하는 방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viding drawings of power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technology for minimizing data processing errors during map conversion and technologies for accurately indicating the location of equipment on a map (GIS), which simplifies location information to maintain security. No workaround is suggested.

대한민국 등록공보 10-2110339호Republic of Korea Registration No. 10-2110339

본 발명은 자동화 방식으로 설비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간략화하여 개략적인 전력망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간략화 처리를 수행하는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및 배전 선로 간략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a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method that perform simplification processing so that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wer grid can be checked by simplifying location information on facilities in an automated manner.

본 발명은 변경된 간략화 처리 기준을 반영하여 간략화 도면을 생성할 수 있는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및 배전 선로 간략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a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method capable of generating a simplified drawing by reflecting a changed simplification process standar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는, 외부 서버로부터 배전 설비에 대한 지도 정보 및 설비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배전 설비에 대한 지도 정보 및 설비 정보로부터 선로정보 테이블과 선로 가중치 테이블을 생성하는 선로정보 생성부; 최소길이를 기준으로 단일선로화하는 방식으로 상기 선로정보 테이블의 선로들을 간략화하는 단일선로 처리부; 상기 선로정보 테이블의 점들을 병합하여 선로들간의 연결관계를 간략화하는 선로 통합 처리부; 및 간략화 처리된 정보들에 따른 간략 도면을 출력하는 간략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oviding simplified distribution line information, comprising: a data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map information and facility information on distribution facilities from an external server; a lin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line information table and a line weight table from the map information and facility information on the power distribution facility; a single line processing unit that simplifies the lines of the line information table in a manner of converting the lines to a single line based on the minimum length; a line integration processing unit that simplifie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lines by merging the points of the line information table; and a simplified informa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implified drawing according to the simplified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선로들에 대한 PolyLine 정보와, 전력 설비의 가중치 계산을 위한 고압/저압 여부, 지중/가공 여부, 3상 정보, 설비제원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속성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Here, the data collection unit, PolyLine information about the lines, high-pressure / low-pressure for weight calculation of power equipment, whether underground / processing, three-phase information, at least two or more attribute information of equipment specifications from the external server can be collected

여기서, 상기 선로정보 생성부는, 선로에 대한 PolyLine 정보와, 선로의 설비 정보, 설비 속성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계산하는 가중치 계산부; 및 상기 선로에 대한 PolyLine 정보와, 선로의 설비 정보, 설비 속성별 가중치가 기재된 선로정보 테이블과, 계산된 가중치가 기재된 선로 가중치 테이블을 생성 하는 테이블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in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includes: a weight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weight using PolyLine information on the lin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line, and a weight for each facility attribute; and a table generator generating a line information table in which PolyLine information on the lin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line, and a weight for each facility attribute are recorded, and a line weight table in which the calculated weight is recorded.

여기서, 상기 단일선로 처리부는, 선로의 시작점과 끝점을 연결하는 선로 중심선과 선로표시 최소거리를 이용하여 선로 단순화 영역을 선정하는 단순화영역 계산부; 및 상기 선로 단순화 영역을 벗어난 점을 삭제하는 방식으로 간소화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단순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ingle line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simplified area calculation unit for selecting a line simplified area using the line center line connecting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line and the minimum line display distance; and a simplification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a simplification operation by deleting points outside the line simplification area.

여기서, 상기 선로 통합 처리부는, 상기 선로정보 테이블에 존재하는 점들에 대해 점과 점의 거리를 계산하는 점거리 계산부; 및 거리가 기준값(d/2) 이하인 점들을 찾아서 하나의 점으로 병합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점병합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ine integration processing unit includes: a point distanc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point-to-point distance with respect to points existing in the line information table; and a point merging unit that searches for points having a distance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d/2) and merges them into one point.

여기서, 간략 도면의 사용 목적에 따라 설정이 필요한 값들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it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put unit that receives values that need to be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f the simplified drawing from the user.

여기서, 상기 간략화 정보 출력부는, 상기 단일선로 처리부와 상기 선로 통합 처리부의 작업에 의해 완성된 상기 간략 도면에, 선로에 대한 속성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Here, the simplified information output unit may output a screen in which attribute information about a line is displayed on the simplified drawing completed by the work of the single line processing unit and the line integrated processing unit.

여기서, 상기 단일선로 처리부는, 선로에서 선로 단순화 영역에 속한 점들을 삭제하는 방식의 선로 간략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single-line processing unit may perform the line simplification process of deleting points belonging to the line simplification area in the line.

여기서, 상기 단일선로 처리부는, 선로표시 최소길이보다 짧은 선로를 삭제하는 방식의 선로 간략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single line processing unit may perform a line simplification process of deleting a line shorter than the minimum length of the line display.

여기서, 상기 단일선로 처리부는, 선로 단순화 영역 외의 점들을 기준으로 다시 선로 단순화 영역을 설정하는 방식의 선로 간략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single-line processing unit may perform the line simplification process of setting the line simplified area again based on points other than the line simplified area.

여기서, 상기 선로 통합 처리부는, 상기 선로정보 테이블에서 모든 점을 추출하여, 모든 점에 대해 두 점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거리목록을 생성하고, 거리목록에 있는 거리 값에 대해 두 점 간의 거리 값이 선로 통합을 위한 최대 거리인 d/2 보다 작은 경우 두 점을 하나로 통합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track integration processing unit extracts all points from the line information table,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wo points for all points, generates a distance list, and for a distance value in the distance list,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two points is If it is smaller than d/2, which is the maximum distance for line integration, the process of integrating two points into one may be repeated.

여기서, 최초 선로정보 테이블, 간략화 처리 수행된 선로정보 테이블, 거리 목록, 선로 가중치 테이블, 선로의 속성정보, 선로표시 최소거리(d), 설비 속성별 가중치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atabase unit for stor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initial line information table, the simplified line information table, the distance list, the line weight table, the property information of the line, the minimum line display distance (d), and the weight for each facility property is further may include

여기서, 상기 선로 가중치 테이블의 선로 가중치는 각 선로의 선로연결정보에 대한 부분구간의 속성정보에 속성별 가중치를 곱한 후 합산하여 계산하되, 부분구간의 선로가 고압인 경우, 지중인 경우, 3상인 경우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용량에 비례하는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Here, the line weight of the line weight table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artial section for the line connection information of each line by the weight for each attribute, and then summing them. In this case, a high weight may be given, and a weight proportional to the capacity may be assign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전 선로 간략화 방법은, 선로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대상선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대상선로 리스트에 간략화 처리되지 않은 선로가 있으면, 이를 작업선로로 지정하여, 선로 중심선을 생성하고 선로 단순화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작업선로의 선로연결정보에 간략화 처리되지 않은 점이 있으면, 이를 선택하고 선택된 점이 시작점, 끝점, 교차점인지 확인하는 단계; 선택된 점이 시작점, 끝점, 교차점이면 처리된 것으로 작업연결정보에 저장하는 단계; 선택된 점이 시작점, 끝점, 교차점이 아니면, 선택된 점이 선로 단순화 영역에 있는지 확인하여, 단순화 영역에 있으면 선택된 점을 삭제하는 단계; 선택된 점이 선로 단순화 영역을 벗어나면 선택된 점과 선로상 이전 점을 작업연결정보에 저장하는 단계; 선택된 점을 시작점으로 변경하고, 선로 중심선 생성 및 단순화 영역을 계산하는 단계; 작업연결정보에 시작점과 끝점만 존재하고, 선로 중심선 길이가 선로표시 최소거리보다 작으면, 상기 선로정보 테이블에서 작업선로를 삭제하는 단계; 및 작업연결정보에 시작점과 끝점과 다른 점이 존재하면, 작업선로의 선로연결정보를 작업연결정보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enerating a target line list using a line information table; if there is a non-simplified line in the target line list, designating it as a working line, generating a line center line, and setting a line simplification area; If there is a point that has not been simplified in the lin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work line, selecting it and checking whether the selected point is a starting point, an ending point, or an intersection point; If the selected point is a start point, an end point, or an intersection point, storing it in the work connection information as processed; If the selected point is not a starting point, an end point, or an intersection point, checking whether the selected point is in the line simplification area, and deleting the selected point if it is in the simplified area; storing the selected point and the previous point on the line in work connection information when the selected point is out of the line simplification area; changing the selected point to a starting point, and calculating a line centerline generation and simplification area; deleting the work line from the line information table when only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exist in the work connection information and the line center line length is less than the line display minimum distance; and changing the lin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work line to the work connection information when a point different from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exists in the work connec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배전 선로 간략화 방법은, 선로정보 테이블에서 처리대상 모든 점들을 추출하는 단계; 모든 점에 대해 2 점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거리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거리목록에 간략화 처리되지 않은 거리값을 선택하고, 2 점간의 거리값이 기준값(2/d) 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2 점의 거리값이 0의 범위이면, 상기 2 점을 하나의 점으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2 점간의 거리값이 기준값보다 작고 0의 범위가 아니면, 2점의 선로 가중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2 점의 선로 가중치가 다르면, 선로 가중치가 낮은 점을 높은 점으로 상기 선로정보 테이블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2 점의 선로 가중치가 같으면, 2 점의 중심점을 계산하여, 상기 선로정보 테이블에서 2점을 중심점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extracting all points to be processed from a line information table; generating a list of distances by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wo points for every point; selecting a distance value that is not simplified in the distance list, and checking whether the distance value between two points is smaller than a reference value (2/d); changing the two points to a single point when the distance value of the two points is in the range of 0; comparing the line weights of the two points when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two points is small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does not have a range of 0; if the line weights of the two points are different, changing the line information table from a low line weight point to a high line weight point; and if the line weights of the two points are the same, calculating the center points of the two points and changing the two points to the center points in the line information table.

..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및/또는 배전 선로 간략화 방법을 실시하면, 전력 설비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간략화하여 개략적인 전력망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간략화 처리를 자동화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When the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or the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re implemented, the simplification process is automated so that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power grid can be checked by simplif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power equipment. There are advantages to being able to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및/또는 배전 선로 간략화 방법은, 도시에서 운영하는 전력설비의 도면 정보를 외부로 유출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보안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설비 도면을 간략도면 형태로 변환하여 전력설비의 밀집형태나 전력이 공급되는 방향성 정도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pecifically, the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or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plified drawing of a facility drawing in order to prevent a security problem that may occur when drawing information of a power facility operated in a city is leaked to the outsid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nformation about the density of power facilities or the degree of direction in which power is supplied can be checked by converting to a form.

본 발명의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및/또는 배전 선로 간략화 방법은, 사정에 따라 사후 변경된 간략화 처리 기준을 반영하여 간략화 도면을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or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simplified drawing by reflecting the post-changed simplified processing standard according to circumstances.

본 발명의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및/또는 배전 선로 간략화 방법은, 스마트시티 에너지 플랫폼 구축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The distribution line simplifie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or distribution line simplifie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facilitating the construction of a smart city energy platform.

본 발명의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및/또는 배전 선로 간략화 방법은, 에너지 공통정보모델에 포함되는 주요 기술로 국가표준 및 국제표준의 형태로 국내외 관련 전력 산업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or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jor technology included in the energy common information model, and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utilized in domestic and foreign related power industries in the form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andards.

도 1은 배전 설비에 대한 일반적인 설비도를 표시한 화면.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간략화된 배전 선로 간략 도면을 표시한 화면.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GIS 설비도 데이터의 선로정보테이블 변환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도 4의 L1 선로에 대한 선로 단순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도 4의 L2 선로에 대한 선로 단순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도 4의 L3 선로에 대한 선로 단순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L4 선로에 대한 선로 단순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도 3의 단일선로 처리부의 선로 단순화 처리 과정으로서 배전 선로 간략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L4, L5 선로에 대하여 점 병합 처리의 선로 단순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11은 도 3의 선로 통합 처리부의 점 병합 처리에 의한 단순화 처리 과정으로서 배전 선로 간략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1 is a screen showing a general facility diagram for a power distribution facility.
2 is a screen showing a simplified diagram of a distribution line simplified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simplified distribution lin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verting GIS facility diagram data into a line information table.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line simplification process for the L1 line of FIG. 4 .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line simplification process for the L2 line of FIG. 4 .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line simplification process for the L3 line of FIG. 4 .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line simplification process for an L4 line.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method as a line simplification processing process of the single line processing unit of FIG. 3 .
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line simplification process of point merging processing for L4 and L5 lines.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method as a simplified processing process by point merging processing of the line integration processing unit of FIG. 3;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can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include or includ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description.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GIS 기반의 설비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비의 위치좌표 정보를 간소화하여 지도에 표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제시하는 방안은 지도 상의 도로나 건물을 따라 세밀하게 표현된 전력설비 정보를 직선 형태로 표현하여 설비가 배치되는 방향이나 거리 정도의 데이터만 표현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도시운영 담당자가 전력설비의 밀집형태나 전력이 공급되는 방향성 정도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배전선로를 간소화하여 표현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using GIS-based facility map data, information on location coordinates of facilities is simplified and presented on a map. The proposed method is to express the power facility information expressed in detail along the road or building on the map in a straight line form so that only the data about the direction or distance in which the facilities are arranged can be expressed. I would like to simplify and express the distribution line so that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directionality in which power is supplied can be grasped.

도 1은 배전 설비에 대한 일반적인 설비도를 표시한 화면이다.1 is a screen showing a general facility diagram of a power distribution facility.

도 1은 기존의 수치지도를 이용한 배전설비의 설비도로서, 배전설비 관리를 위해 전력사는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기반으로 전력설비를 PolyLine과 Point, 속성으로 데이터를 표현하여 사용하고 있다.1 is a facility diagram of a distribution facility using an existing numerical map. For distribution facility management, electric power companies use the power facility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o express data with PolyLine, Point, and attributes. are doing

도시한 기존의 설비도는 GPS 좌표를 이용하여 1미터 미만의 오차로 전력설비를 표시하고 있어 전력사 직원이 고객 방문이나 고장 출동시 네비게이션과 연동하거나, 설비의 증설 계획 등을 수립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한 설비도는 국가 보안 시설의 정보를 정밀하게 제공하고 있어, 전력사가 아닌 외부기관에 제공할 수 없다. 최근 들어 스마트시티와 같은 그린 뉴딜 기술 개발이 증가하면서 외부에 제공할 수 있는 수준의 설비 간략도면 제공 필요성이 증가해도 도시한 설비도의 대중 이용 제공은 곤란하다.The existing facility diagram shown uses GPS coordinates to display power facilities with an error of less than 1 meter, so it is effectively used for power company employees to link with navigation when a customer visits or troubles, or to establish a facility expansion plan. . However, the illustrated facility diagram precisely provides information on national security facilities, and cannot be provided to external organizations other than power companies. In recent years, as the development of green new deal technologies such as smart cities increases, it is difficult to provide public use of the illustrated facility drawings even if the need to provide a level of simplified facility drawings that can be provided to the outside increases.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간략화된 배전 선로 간략 도면을 표시한 화면이다.2 is a screen showing a simplified diagram of a distribution line simplified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한 정도의 정밀도를 가지는 배전선로 간략 도면을 일반 이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eneral user with a simplified diagram of a distribution line having the precision shown in FIG. 2 .

도시한, 배전선로 간략도면은, 선로를 중요도에 따라 상/중/하로 구분하고, 중요도 별로 선로를 간략도면으로 표현하기 위한 최소거리를 정의하여, 선로의 길이가 최소거리 이하인 선로는 삭제하고, 도로나 건물, 지형에 따라 굴곡지게 표현된 선로를 직선으로 간소화하여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 방식을 통해 외부 유출시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설비 도면 정보를 간소화하여 전력설비의 밀집형태나 전력이 공급되는 방향성 정도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illustrated, simplified distribution line drawing divides the line into upper/middle/lower according to importance, and defines the minimum distance for expressing the line in a simplified drawing by importance, and deletes the line whose length is less than the minimum distance, Tracks that are curved according to roads, buildings, and terrain are simplified and displayed with straight lines. Through this display method, information on the density of power facilities or the direction in which power is supplied can be provided by simplifying facility drawing information that may cause a security problem when leaked to the outside.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simplified distribution lin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는, 전력 회사 등 외부 서버로부터 배전 설비에 대한 지도 정보 및 설비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100); 상기 배전 설비에 대한 지도 정보 및 설비 정보로부터 선로정보 테이블과 선로 가중치 테이블을 생성하는 선로정보 생성부(220);The illustrated distribution line simplifie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cludes: a data collection unit 100 for collecting map information and facility information on distribution facilities from an external server such as a power company; a lin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20 for generating a line information table and a line weight table from the map information and facility information on the power distribution facility;

최소길이를 기준으로 단일선로화하는 방식으로 선로들을 간략화하는 단일선로 처리부(240);a single line processing unit 240 that simplifies the lines in a manner of converting the lines to a single line based on the minimum length;

포인트들을 병합하여, 선로들간의 연결관계를 간략화하는 선로 통합 처리부(260); 및a line integration processing unit 260 for merging points to simplify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lines; and

간략화 처리된 정보들에 따른 배전 선로 도면을 출력하는 간략화 정보 출력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simplified information output unit 400 for outputting a distribution line drawing according to the simplified information.

배전선로 간략화 처리 수행을 위한 전체 시스템은, 전력사에서 관리하는 설비 도면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수집부(100)와, 입력받은 데이터로 선로정보 테이블과 선로 가중치 테이블을을 생성하는 선로정보 생성부(220)와, 선로정보 테이블의 선로별로 최소길이에 따라 삭제하거나 간략화를 처리하는 단일선로 처리부(240)와, 선로들 간의 연결정보를 통합 처리하는 선로 통합 처리부(260)와, 최종적으로 완성된 간략도면을 출력하는 간략화 정보 출력부(400)로 구성된다고 볼 수 있다.The entire system for performing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processing includes a data collection unit 100 that receives facility drawing data managed by a power company, and a lin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line information table and a line weight table with the received data ( 220), a single line processing unit 240 that deletes or simplifies according to the minimum length for each line in the line information table, a line integrated processing unit 260 that integrates and processes connection information between the lines, and finally completed simplified It can be seen that the simplified information output unit 400 for outputting a drawing is configured.

구현에 따라,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로정보 생성부(220), 단일선로 처리부(240) 및 선로 통합 처리부(260)는 별도의 독립된 장치로서, 간략화 처리 도면 생성기(200)를 구성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as shown, the lin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20, the single line processing unit 240, and the line integrated processing unit 260 are separate and independent devices, and the simplified processing drawing generator 200 may be configured. .

상기 데이터 수집부(100)는, 전력설비의 간략화 도면을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선로에 대한 PolyLine정보와 전력설비의 가중치 계산을 위한 고압/저압 여부, 지중/가공 여부, 3상 정보, 설비제원 등의 속성정보를 전력시스템에서 수집한다. 수집된 정보들은 최초 선로정보 테이블을 구성하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최초 선로정보 테이블에는 외부에서 입력받은 설비 도면 데이터에 따른 선로 연결 정보들로 구성되며, 추후 가중치 설정이 변경될 경우 등에 다시 계산하기 위해, 상기 최초 선로정보 테이블도 장기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The data collection unit 100 includes PolyLine information for lines necessary to produce a simplified drawing of power facilities and whether high/low pressure, underground/processing, three-phase information, facility specifications, etc. for weight calculation of power facilities. Attribute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the power system. The collected information may be stored by configuring an initial line information table. The initial line information table is composed of line conn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equipment drawing data input from the outside, and the initial line information table may also be stored for a long time in order to recalculate when the weight setting is changed later.

구현에 따라, 상기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는, 간략도면의 사용 목적에 따라 설정이 필요한 값들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pparatus for providing simplified distribution line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put unit 500 that receives, from a user, values that need to be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f the simplified drawing.

상기 사용자 입력부(500)는 간략도면의 사용 목적에 따라 설정이 필요한 값들로서, 예컨대, 선로표시 최소거리(d)와 설비 속성별 가중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500 may receive input from the user as values that need to be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f the simplified drawing, for example, the minimum line display distance d and the weight for each equipment attribute.

상기 선로표시 최소거리(d)는 간략화 도면에 표시하고자 하는 선로의 최소 길이 값이다. 이에 따라, 단일 선로의 길이가 최소 길이 이하인 경우에는 도면에 표시하지 않게 된다. 선로의 용도에 따라 지도에 표현 방식이 다를 수 있으므로 입력받은 최소거리는 선로별 가중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됨이 유리하다. 예컨대, 선로의 가중치가 상급이나 중급인 경우에는 최소길이 d가 적용되며, 하급인 경우에는 2×d가 적용될 수 있다.The minimum line display distance d is a minimum length value of a line to be displayed in a simplified drawing. Accordingly, when the length of a single lin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length, it is not indicated in the drawing. Since the expression method on the map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use of the track, it is advantageous that the input minimum distance is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weight for each track. For example, if the weight of the line is upper or intermediate, the minimum length d may be applied, and in the case of lower weight, 2×d may be applied.

상기 설비 속성별 가중치는, 선로의 가중치를 선로의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하기 위한 것이다. 간략도면의 사용 목적에 따라 선로의 가중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각 선로의 속성별로 가중치 값을 사용자에게 입력 받을 수 있다.The weight for each facility attribute is for calculating the weight of the line using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line. A weight value for each property of each line may be input from the user so that the weight of the lin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ing the simplified drawing.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로정보 생성부(220)는, 선로에 대한 실 구성 정보(PolyLine 정보)와, 선로의 설비 정보, 설비 속성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계산하는 가중치 계산부(224); 및 상기 선로에 대한 실 구성 정보(PolyLine 정보)와, 선로의 설비 정보, 설비 속성별 가중치가 기재된 선로정보 테이블과, 계산된 가중치가 기재된 선로가중치테이블을 생성 및 저장하는 테이블 생성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lin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20 includes: a weight calculation unit 224 for calculating a weight using the actual configuration information (PolyLine information) for the lin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line, and a weight for each facility attribute; and a table generating unit 222 for generating and storing the line configuration information (PolyLine information) for the line, the line facility information, the line information table in which the weight for each facility property is recorded, and the line weight table in which the calculated weight is recorded. may include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0)에는 최초 선로정보 테이블, 간략화 처리 수행된 선로정보 테이블, 거리 목록, 선로 가중치 테이블, 선로의 속성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50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설정)한 선로표시 최소거리(d)와 설비 속성별 가중치 등이 저장될 수 있다.The database unit 300 may store an initial line information table, a line information table on which simplified processing has been performed, a distance list, a line weight table,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a line, and may be input by a user through the user input unit 500 ( Set) the minimum distance (d) for the line display and the weight for each property of the facility may be stored.

도 4는 GIS 설비도 데이터의 선로정보 테이블 변환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verting GIS facility diagram data into a line information table.

하기 표 1은 선로정보 테이블과 선로가중치 테이블을 나타낸다.Table 1 below shows a line information table and a line weight table.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예컨대, 도 4의 좌측과 같은 GIS 기반의 설비도 데이터가 있을 경우, 데이터 수집부(100)는 도면에 나타난 PolyLine L1, L2, L3 정보를 추출하여 도시한 데이터베이스부(300)에 저장하며, 선로정보 생성부(220)는 간략도면 생성을 위해 필요한 선로정보 테이블과 선로가중치 테이블을 아래와 같은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선로의 가중치는 각 선로의 선로연결정보에 속한 부분구간 항목들의 속성정보에 속성별 가중치를 곱한 후 합산하여 계산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re is GIS-based facility diagram data as shown on the left of FIG. 4 , the data collection unit 100 extracts PolyLine L1, L2, and L3 information shown in the drawing and stores it in the illustrated database unit 300,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20 may generate a line information table and a line weight table necessary for generating a simplified drawing in the form below. The weight of the line can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subsection items included in the line connection information of each line by the weight for each attribute and then adding them.

도 4에서 각 점(포인트)들(P1_1, P1_2,...)은 전력회사 설비 도면에서의 배전선로 개별 구간의 기준점이며, 예컨대, 전주 위치점일 수 있다.Each of the points (points) P1_1, P1_2, ... in FIG. 4 is a reference point of an individual section of a distribution line in the power company facility drawing, and may be, for example, a location point of a pole.

선로연결정보는 2개의 점들을 연결하는 부분구간들로 구성되며, 각 부분구간의 가중치는, 각 부분구간의 전력설비(즉, 선로)의 고압/저압 여부, 지중/가공 여부, 3상 정보, 설비제원(용량) 등의 속성정보에 따라 부여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선로가 고압인 경우, 지중인 경우, 3상인 경우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용량에 비례하는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The line connection information consists of subsections connecting two points, and the weight of each subsection is high/low voltage of the power facility (ie, line) of each subsection, whether underground/processed, three-phase information, It may be assigned according to attribute information such as equipment specifications (capacity). For example, when the corresponding line is high voltage, in the case of underground, in the case of three phases, a high weight may be given, and a weight proportional to the capacity may be give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일선로 처리부(240)는, 분기를 기준으로 대상 선로의 시작점과 끝점을 연결하는 선로 중심선과 선로표시 최소거리를 이용하여 선로 단순화 영역을 선정하는 단순화영역 계산부(242); 및 선로 단순화 영역을 벗어난 점을 삭제하는 방식으로 간소화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단순화 처리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일선로 처리부(240)는 선로정보 테이블에 존재하는 개별 선로에 대해 선로 간소화 작업을 수행한다. As shown in FIG. 3 , the single line processing unit 240 selects a simplified area for the line by using the line center line connecting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target line based on the branch and the minimum line mark distance to select the line simplified area calculation unit. (242); and a simplification processing unit 244 that performs a simplification operation by deleting points outside the line simplification area. That is, the single line processing unit 240 performs line simplification for individual lines existing in the line information table.

도 5는 도 4의 L1 선로에 대한 선로 단순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line simplification process for the L1 line of FIG. 4 .

예컨대, 도시한 L1 선로의 경우 P1_1(시작점)과 P1_11(끝점)을 연결하는 선로 중심선을 생성하고, 선로 중심선으로부터 선로 단순화 거리(d/2) 만큼 떨어진 영역을 선로 단순화 영역으로 선정한다. 이때, 기본적으로 선로의 시작점(P1_1)과 끝점(P1_11), 타 선로와의 교차점(P1_4, P1_10)은 선로 간소화 작업을 수행해도 삭제하지 않으며, P1_2, P1_3 등과 같은 점들은 선로 단순화 영역 내에 존재하므로 삭제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illustrated L1 line, a center line connecting P1_1 (start point) and P1_11 (end point) is generated, and an area separated by a line simplification distance (d/2) from the line center line is selected as the line simplification area. At this time, basically, the starting point (P1_1) and the ending point (P1_11) of the line and the intersection points (P1_4, P1_10) with other lines are not deleted even if the line simplification work is performed, and points such as P1_2 and P1_3 exist within the line simplification area. will be deleted

도 6은 도 4의 L2 선로에 대한 선로 단순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line simplification process for the L2 line of FIG. 4 .

예컨대, 도시한 L2 선로의 경우에는 선로 가중치가 하인 경우로 선로표시 최소거리는 2×d를 사용하게 됨. L2의 모든 점은 선로 단순화 영역 내에 있으므로 시작점(P1_4(P2_7)))과 끝점(P2_1)만 남기고 모든 점을 삭제하게 된다. 시작점과 끝점만 존재하는 경우 선로 중심선 길이가 선로표시 최소거리보다 작을 경우에는 해당선로를 간략도면에 표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해당 선로 자체를 삭제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illustrated L2 line, when the line weight is lower, the minimum line display distance is 2×d. Since all points of L2 are within the line simplification area, all points are deleted leaving only the start point (P1_4(P2_7))) and the end point (P2_1). If only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 point exist, if the length of the center line of the line is smaller than the minimum distance for the line mark, the line itself is deleted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mark the line in the simplified drawing.

도 7은 도 4의 L3 선로에 대한 선로 단순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line simplification process for the L3 line of FIG. 4 .

예컨대, 도시한 L3 선로의 경우에는 선로 가중치가 중인 경우로 선로표시 최소거리는 d를 사용하게 된다. L3의 모든 점은 선로 단순화 영역 내에 있으므로 시작점과 끝점만 존재하며, 선로 중심선 길이가 선로표시 최소거리보다 길어 해당선로를 간략도면에 표시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illustrated L3 line, when the line weight is in progress, the minimum line display distance d is used. Since all the points of L3 are within the line simplified area, only the start and end points exist, and the length of the center line of the line is longer than the minimum distance to display the line, so the corresponding line is displayed on the simplified drawing.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선로 단순화를 통해 L2는 삭제되며, 최종적으로 남는 선로연결정보는 아래 표 2와 같게 된다.Through the line simplification shown in FIGS. 5 and 7 , L2 is deleted, and finally remaining line connection information is as shown in Table 2 below.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도 8은 L4 선로에 대한 선로 단순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line simplification process for an L4 line.

예컨대, 도시한 L4 선로(P4_1, P4_2, P4_3, P4_4, P4_5)의 경우에는 선로가 선로 단순화 영역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로, 선로의 시작점(P4_1)과 끝점(P4_5)을 저장하고, 선로 단순화 영역 내에 있는 P4_2와 P4_3은 저장하지 않으나, P4_4가 선로 단순화 영역을 벗어난 경우로 P4_4를 저장한다. 이때 벗어난 점의 이전 점인 P4_3도 함께 저장하고, P4_4를 새로운 시작점으로 설정하여 선로 단순화 영역을 계속 수행한다. P4_5는 새로운 선로 단순화 영역에 있으므로 삭제하여 최종적으로 L4 선로의 선로연결정보는(P4_1, P4_3, P4_4, P4_6)이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illustrated L4 lines P4_1, P4_2, P4_3, P4_4, and P4_5, the line is out of the line simplified area. P4_2 and P4_3 present are not saved, but P4_4 is saved when P4_4 is out of the line simplification area. At this time, P4_3, which is the previous point of the deviated point, is also saved, and the line simplification area is continued by setting P4_4 as a new starting point. Since P4_5 is in the new line simplification area, it is deleted and finally the lin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L4 line becomes (P4_1, P4_3, P4_4, P4_6).

도 9는 도 3의 단일선로 처리부(240)의 선로 단순화 처리 과정으로서 배전 선로 간략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method as a line simplification process of the single line processing unit 240 of FIG. 3 .

도시한 흐름도에 따른 배전 선로 간략화 방법은, 선로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대상선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S110); 상기 대상선로 리스트에 간략화 처리되지 않은 선로가 있으면(S120), 이를 작업선로로 지정하여, 선로 중심선을 생성하고 선로 단순화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125); 상기 작업선로의 선로연결정보에 간략화 처리되지 않은 점이 있으면(S130), 이를 선택하고 선택된 점이 시작점, 끝점, 교차점인지 확인하는 단계(S160); 선택된 점이 시작점, 끝점, 교차점이면 처리된 것으로 작업연결정보에 저장하는 단계(S165); 선택된 점이 시작점, 끝점, 교차점이 아니면, 선택된 점이 선로 단순화 영역에 있는지 확인하여(S170), 단순화 영역에 있으면 선택된 점을 삭제하는 단계(S175); 선택된 점이 선로 단순화 영역을 벗어나면 선택된 점과 선로상 이전 점을 작업연결정보에 저장하는 단계(S180); 선택된 점을 시작점으로 변경하고, 선로 중심선 생성 및 단순화 영역을 계산하는 단계(S185); 작업연결정보(간략화 처리 작업중인 선로연결정보)에 시작점과 끝점만 존재하고(S192), 선로 중심선 길이가 선로표시 최소거리보다 작으면(S194), 선로정보 테이블에서 작업선로를 삭제하는 단계(S196); 작업연결정보에 시작점과 끝점과 다른 점이 존재하면, 작업선로의 선로연결정보를 작업연결정보로 변경하는 단계(S198)를 포함할 수 있다.A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flowchart includes generating a target line list using a line information table (S110); If there is a line that has not been simplified in the target line list (S120), designating it as a work line, generating a center line of the line and setting a line simplification area (S125); If there is a point that has not been simplified in the lin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work line (S130), selecting it and checking whether the selected point is a starting point, an end point, or an intersection point (S160); If the selected point is a start point, an end point, or an intersection point, storing it in the work connection information as processed (S165); If the selected point is not a starting point, an end point, or an intersection point, checking whether the selected point is in the line simplification area (S170), and deleting the selected point if it is in the simplified area (S175); If the selected point is out of the line simplification area, storing the selected point and the previous point on the line in the work connection information (S180); changing the selected point to a starting point, and calculating a line centerline generation and simplification area (S185); If only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exist in the work connection information (line connection information under simplified processing) (S192), and the length of the center line of the line is less than the minimum distance for the line display (S194), the step of deleting the work line from the line information table (S196) ); If there is a point different from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in the work connection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step (S198) of changing the lin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work line to the work connection information.

도 3의 단일선로 처리부(24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선로 단순화 처리 과정으로서, 선로에서 선로 단순화 영역에 속한 점들을 삭제하는 방식의 선로 간략화 처리를 상기 S120, S125, S130, S160, S165, S170 및 S175 단계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As the line simplification processing process shown in FIGS. 5 and 7 , the single line processing unit 240 of FIG. 3 performs the line simplification process of deleting points belonging to the line simplification area in the line S120, S125, S130, S160, It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steps S165, S170 and S175.

상기 단일선로 처리부(240)는 도 6에 도시한 선로 단순화 처리 과정으로서, 선로표시 최소길이보다 짧은 선로를 삭제하는 방식의 선로 간략화 처리를 상기 S192, S194 및 S196 단계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As the line simplification process shown in FIG. 6 , the single-line processing unit 240 may perform the line simplification process of deleting a line shorter than the minimum length of the line display according to steps S192, S194, and S196.

상기 단일선로 처리부(240)는 도 8에 도시한 선로 단순화 처리 과정으로서, 선로 단순화 영역 외의 점들을 기준으로 다시 선로 단순화 영역을 설정하는 방식의 선로 간략화 처리를 상기 S185 단계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As the line simplification process shown in FIG. 8, the single-line processing unit 240 may perform the line simplification process of setting the line simplification area again based on points other than the line simplification area according to step S185.

도시한 배전 선로 간략화 방법은 도 3의 단일선로 처리부(240)에서 수행하는 도 5 내지 도 8의 선로 단순화 과정들을 순차적 흐름에 따라 정리한 것으로서, 선로 단순화 처리 과정상 중요 수행 작업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illustrated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method is an arrangement of the line simplification processes of FIGS. 5 to 8 performed by the single line processing unit 240 of FIG. 3 according to a sequential flow, and the important tasks performed in the line simplification process are as follows. .

도시한 S110 단계에서는, 선로정보 테이블에서 모든 선로정보를 추출하여 작업을 위한 선로 목록을 생성한다.In the illustrated step S110, all line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line information table to generate a line list for work.

도시한 S125 단계에서는, 선로목록에 있는 선로를 선택하여 작업선로로 지정하고 작업영역정보를 초기화 및 선로 중심선 생성, 선로 단순화 영역 계산을 수행한다.In the illustrated step S125, a line in the line list is selected and designated as a work line, the work area information is initialized, the line center line is generated, and the line simplification area is calculated.

도시한 S160, S165, S170, S175 및 S180 단계에서는, 작업선로의 선로연결정보에 나타나는 모든 점에 대해 시작점, 끝점, 교차점은 작업연결정보에 저장하고, 선로 단순화 영역 내의 점들은 작업연결정보에서 제외하며, 선로 단순화 영역을 벋어난 점들은 직전 점과 함께 작업연결정보에 저장한다.In the illustrated steps S160, S165, S170, S175 and S180, for all points appearing in the lin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work line, the starting point, the end point, and the intersection point are stored in the work connection information, and the points in the line simplification area are excluded from the work connection information. and the points beyond the line simplification area are stored together with the previous point in the work connection information.

도시한 S198 단계에서는, 작업선로의 모든 점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면 작업연결정보에 남은 점들을 선로정보 테이블의 해당선로에 대한 선로연결정보로 내용을 변경(갱신)한다. 이때 작업연결정보에 시작점과 끝점만 남아있고, 선로 중심선 길이가 선로표시 최소거리보다 작은 경우에는 해당선로를 선로정보 테이블에서 삭제된다(S196).In the illustrated step S198, when the processing of all points of the work line is completed, the contents of the remaining points in the work connection information are changed (updated) to the line connection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line in the line information table. At this time, when only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remain in the work connection information, and the length of the center line of the line is smaller than the minimum distance displayed on the line, the corresponding line is deleted from the line information table (S196).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로 통합 처리부(260)는, 선로정보 테이블에 존재하는 점들에 대해 점과 점의 거리를 계산하는 점거리 계산부(262); 및 거리가 d/2 이하인 점들을 찾아서 하나의 점으로 병합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점병합 처리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선로 통합 처리부(260)는 선로에 속한 점들에 대한 점 병합 처리로서 선로 간소화 작업을 수행한다. As shown in FIG. 3 , the line integration processing unit 260 includes a point-to-point distance calculation unit 262 for calculating a point-to-point distance with respect to points existing in the line information table; and a point merging processing unit 264 that searches for points having a distance of d/2 or less and merges them into one point. That is, the line integration processing unit 260 performs a line simplification operation as a point merging process for points belonging to the line.

도 10은 L4, L5 선로에 대하여 점 병합 처리의 선로 단순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line simplification process of a point merging process for L4 and L5 lines.

두 개의 점을 병합하는 경우, 두 점의 선로 가중치가 다를 경우 높은 가중치를 갖는 선로의 점으로 변경되며, 두 점의 선로 가중치가 같은 경우에는 두 점의 중심점으로 점을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각 점의 선로 가중치는 각 점이 속한 선로들의 가중치들 중 가장 높은 것을 적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merging two points, if the track weights of the two points are different, it is changed to a point of the line having a higher weight. Here, as the line weight of each point, the highest weight among the weights of the lines to which each point belongs may be applied.

도시한 L4 선로의 경우, P4_1과 P4_3은 d/2 거리 이내에 존재하므로 P4_1로 병합한다. 반면, L5 선로의 경우, P5_2와 P4_4는 동일한 점이고 P4_4가 높은 선로 가중치를 가지므로 P4_4로 변경되며, P5_3과 P5_4는 P4_4와 d/2 거리 이내에 존재하므로 P4_4로 병합된다. L6 선로의 경우, P6_2는 P4_4와 d/2 거리 이내에 존재하므로 P4_4로 병합된다. In the case of the illustrated L4 line, since P4_1 and P4_3 exist within a distance of d/2, they are merged into P4_1.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L5 line, P5_2 and P4_4 are the same point, and since P4_4 has a high line weight, it is changed to P4_4, and P5_3 and P5_4 are merged into P4_4 because they exist within a distance of d/2 from P4_4. In the case of the L6 line, since P6_2 exists within a distance of d/2 from P4_4, it is merged into P4_4.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도 11은 도 3의 선로 통합 처리부(260)의 점 병합 처리에 의한 단순화 처리 과정으로서 배전 선로 간략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method as a simplification process by the point merging process of the line integration processing unit 260 of FIG. 3 .

도시한 흐름도에 따른 배전 선로 간략화 방법은, 선로정보 테이블에서 처리대상 모든 점들을 추출하는 단계(S210); 모든 점에 대해 2 점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거리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S220); 거리목록에 간략화 처리되지 않은(S225) 거리값을 선택하고, 2점간의 거리값이 기준값(2/d)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단계(S230); 2점의 거리값이 0의 범위이면, 2 점을 하나의 점으로 변경하는 단계(S270); 2점간의 거리값이 기준값보다 작고 0의 범위가 아니면, 2점의 선로 가중치를 비교하는 단계(S245); 2점의 선로 가중치가 다르면, 선로 가중치가 낮은 점을 높은 점으로 선로정보 테이블을 변경하는 단계(S260); 및 2점의 선로 가중치가 같으면, 2 점의 중심점을 계산하여, 선로정보 테이블에서 2점을 중심점으로 변경하는 단계(S255)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lowchart shown includes the steps of extracting all the processing target points from the line information table (S210); generating a list of distances by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wo points for all points (S220); selecting a distance value that has not been simplified (S225) in the distance list, and checking whether the distance value between two points is smaller than a reference value (2/d) (S230); If the distance value of the two points is in the range of 0, changing the two points to one point (S270); comparing the line weights of the two points when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two points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does not have a range of 0 (S245); If the line weights of the two points are different, changing the line information table from a low line weight point to a high line weight point (S260); and if the weights of the two points are the same, calculating the center points of the two points and changing the two points to the center points in the line information table ( S255 ).

도시한 배전 선로 간략화 방법은 도 3의 선로 통합 처리부(260)에서 수행하는 도 10의 점 병합 처리 단순화 과정들을 순차적 흐름에 따라 정리한 것으로서, 선로 통합 처리 과정상 중요 수행 작업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illustrated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method is a sequential flow of the point merging processing simplification processes of FIG. 10 performed by the line integration processing unit 260 of FIG.

도시한 S210 단계에서는, 선로정보 테이블에서 모든 점을 추출한 후, 모든 점에 대해 두 점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거리목록을 생성한다.In the illustrated step S210, after extracting all points from the line information table, a distance list is generated by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wo points for all points.

도시한 S225, S230, S240 및 S270 단계에서는, 거리목록에 있는 거리 값에 대해 두 점 간의 거리 값이 선로 통합을 위한 최대 거리인 d/2 보다 작은 경우 두 점을 하나로 통합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In the illustrated steps S225, S230, S240 and S270, if the distance value between two points for the distance value in the distance list is less than d/2, the maximum distance for line integration,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two points into one is repeated. .

도시한 S270 단계에서는, 두 점 간의 거리 값이 2/d보다 작고 두 점이 같은 위치(두 점의 거리 값이 0임)인 경우에는 하나의 점으로 변경하여 선로정보 테이블에 저장한다.In the illustrated step S270, when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two points is less than 2/d and the two points have the same position (the distance value of the two points is 0), it is changed to a single point and stored in the line information table.

도시한 S245, S250, S255 및 S260 단계에서는, 두 점 간의 거리 값이 2/d보다 작고 두 점의 선로 가중치가 같은 경우에는 두 점의 중심점을 계산하여 선로정보 테이블의 두 점을 모두 중심점으로 변경하여 저장하며, 선로 가중치가 다른 경우에는 선로 가중치가 낮은 점을 높은 점으로 선로정보 테이블을 변경한다.In the illustrated steps S245, S250, S255 and S260, if the distance value between two points is less than 2/d and the line weights of the two points are the same, the center points of the two points are calculated and both points of the line information table are changed to the center points. and stored, and if the line weights are different, the line information table is changed from a point with a low weight to a point with a high weight.

도 12는 일반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간략화된 배전 선로 간략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12 shows a simplified diagram of a simplified distribution line provided to a general user.

도 3에 도시한 간략화 정보 출력부(400)는 선로 통합 처리부(260)를 통해 완성된 간략 도면을 화면에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선로정보 테이블에 저장된 선로연결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점들을 선으로 연결하여 도 12와 같이 화면에 출력하고 선로에 대한 속성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implified information output unit 400 shown in FIG. 3 serves to output a simplified drawing completed through the line integrated processing unit 260 on the screen, and uses the line connec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line information table to calculate each point. It can perform a role of outputting to the screen as shown in FIG. 12 by connecting the line and displaying attribute information about the line on the screen.

구현에 따라, 상기 간략화 정보 출력부(400)는, 전력설비에 대한 설비도면을 간략 도면으로 변환하여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도, 가스, 난방 등과 같이 지리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설비를 관리하면서 보안상의 문제로 정밀한 도면을 외부에 제공할 수 없을 때 설비의 대략적인 배치와 분포를 지도상에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he simplified information output unit 400 converts the facility drawing for the power facility into a simplified drawing and provides it as well as manages the facility based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such as water, gas, heating, etc. When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a precise drawing to the outside with this method, the approximate arrangement and distribution of facilities can be provided on the map.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hould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s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only d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 데이터 수집부
200 : 간략화 처리 도면 생성기
220 : 선로정보 생성부
240 : 단일선로 처리부
260 : 선로 통합 처리부
300 : 데이터베이스부
400 : 간략화 정보 출력부
500 : 사용자 입력부
100: data collection unit
200: Simplified Process Drawing Generator
220: lin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40: single line processing unit
260: line integrated processing unit
300: database unit
400: simplified information output unit
500: user input unit

Claims (15)

외부 서버로부터 배전 설비에 대한 지도 정보 및 설비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배전 설비에 대한 지도 정보 및 설비 정보로부터 선로정보 테이블과 선로 가중치 테이블을 생성하는 선로정보 생성부;
최소길이를 기준으로 단일선로화하는 방식으로 상기 선로정보 테이블의 선로들을 간략화하는 단일선로 처리부;
상기 선로정보 테이블의 점들을 병합하여 선로들간의 연결관계를 간략화하는 선로 통합 처리부; 및
간략화 처리된 정보들에 따른 간략 도면을 출력하는 간략화 정보 출력부
를 포함하는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a dat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map information and facility information on distribution facilities from an external server;
a lin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line information table and a line weight table from the map information and facility information on the power distribution facility;
a single line processing unit that simplifies the lines of the line information table in a manner of converting the lines to a single line based on the minimum length;
a line integration processing unit that simplifie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lines by merging the points of the line information table; and
A simplified information output unit that outputs a simplified drawing according to the simplified information
Distribution line simplifi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선로들에 대한 PolyLine 정보와, 전력 설비의 가중치 계산을 위한 고압/저압 여부, 지중/가공 여부, 3상 정보, 설비제원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속성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collection unit,
Distribution line simplified information that collects polyLine information on lines, high/low voltage, underground/processing, three-phase information, and at least two attribute information of equipment specifications for calculating the weight of power equipment from the external serv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정보 생성부는,
선로에 대한 PolyLine 정보와, 선로의 설비 정보, 설비 속성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계산하는 가중치 계산부; 및
상기 선로에 대한 PolyLine 정보와, 선로의 설비 정보, 설비 속성별 가중치가 기재된 선로정보 테이블과, 계산된 가중치가 기재된 선로 가중치 테이블을 생성 하는 테이블 생성부
를 포함하는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n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 weight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weight by using PolyLine information about the lin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line, and a weight for each facility property; and
A table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 line information table in which PolyLine information for the lin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line, and a weight for each facility property are recorded, and a line weight table in which the calculated weight is recorded
Distribution line simplifi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선로 처리부는,
선로의 시작점과 끝점을 연결하는 선로 중심선과 선로표시 최소거리를 이용하여 선로 단순화 영역을 선정하는 단순화영역 계산부; 및
상기 선로 단순화 영역을 벗어난 점을 삭제하는 방식으로 간소화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단순화 처리부
를 포함하는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ingle line processing unit,
a simplified area calculation unit for selecting a line simplified area using the line center line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line and the minimum line mark distance; and
A simplification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simplification in a way that deletes points outside the line simplification area
Distribution line simplifi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 통합 처리부는,
상기 선로정보 테이블에 존재하는 점들에 대해 점과 점의 거리를 계산하는 점거리 계산부; 및
거리가 기준값(d/2) 이하인 점들을 찾아서 하나의 점으로 병합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점병합 처리부
를 포함하는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ne integration processing unit,
a point distanc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point-to-point distance for points existing in the line information table; and
A point merge processing unit that finds points whose d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d/2) and merges them into one point
Distribution line simplifi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간략 도면의 사용 목적에 따라 설정이 필요한 값들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user input unit that receives input from the user for values that need to be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f the simplified drawing
Distribution line simplifi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략화 정보 출력부는,
상기 단일선로 처리부와 상기 선로 통합 처리부의 작업에 의해 완성된 상기 간략 도면에, 선로에 대한 속성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출력하는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implified information output unit,
A distribution line simplifie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outputting a screen in which attribute information about a line is displayed on the simplified drawing completed by the work of the single line processing unit and the line integrated process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선로 처리부는,
선로에서 선로 단순화 영역에 속한 점들을 삭제하는 방식의 선로 간략화 처리를 수행하는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ingle line processing unit,
A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performing a line simplification process in a manner of deleting points belonging to a line simplification area in a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선로 처리부는,
선로표시 최소길이보다 짧은 선로를 삭제하는 방식의 선로 간략화 처리를 수행하는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ingle line processing unit,
A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that performs a line simplification process in a way that deletes a line shorter than the minimum length of the line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선로 처리부는,
선로 단순화 영역 외의 점들을 기준으로 다시 선로 단순화 영역을 설정하는 방식의 선로 간략화 처리를 수행하는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ingle line processing unit,
A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performing a line simplification process in a manner of setting a line simplification area again based on points other than the line simplification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 통합 처리부는,
상기 선로정보 테이블에서 모든 점을 추출하여, 모든 점에 대해 두 점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거리목록을 생성하고, 거리목록에 있는 거리 값에 대해 두 점 간의 거리 값이 선로 통합을 위한 최대 거리인 d/2 보다 작은 경우 두 점을 하나로 통합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ne integration processing unit,
All points are extracted from the line information table, the distance between two points is calculated for all points, a distance list is generated, and for a distance value in the distance list, the distance value between two points is the maximum distance d If it is less than /2, a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that repeats the process of integrating two points into one.
제1항에 있어서,
최초 선로정보 테이블, 간략화 처리 수행된 선로정보 테이블, 거리 목록, 선로 가중치 테이블, 선로의 속성정보, 선로표시 최소거리(d), 설비 속성별 가중치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를 더 포함하는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atabase unit that stores at least two or more of the initial line information table, the simplified line information table, the distance list, the line weight table,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line, the minimum distance for the line display (d), and the weight for each facility attribute
Distribution line simplifi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 가중치 테이블의 선로 가중치는, 각 선로의 선로연결정보에 대한 부분구간의 속성정보에 속성별 가중치를 곱한 후 합산하여 계산하되, 부분구간의 선로가 고압인 경우, 지중인 경우, 3상인 경우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용량에 비례하는 가중치를 부여하는 배전 선로 간략화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ne weight of the line weight table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artial section for the line connection information of each line by the weight for each attribute and then summing them. A distribution line simplifi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that gives a high weight and gives a weight proportional to the capacity.
선로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대상선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대상선로 리스트에 간략화 처리되지 않은 선로가 있으면, 이를 작업선로로 지정하여, 선로 중심선을 생성하고 선로 단순화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작업선로의 선로연결정보에 간략화 처리되지 않은 점이 있으면, 이를 선택하고 선택된 점이 시작점, 끝점, 교차점인지 확인하는 단계;
선택된 점이 시작점, 끝점, 교차점이면 처리된 것으로 작업연결정보에 저장하는 단계;
선택된 점이 시작점, 끝점, 교차점이 아니면, 선택된 점이 선로 단순화 영역에 있는지 확인하여, 단순화 영역에 있으면 선택된 점을 삭제하는 단계;
선택된 점이 선로 단순화 영역을 벗어나면 선택된 점과 선로상 이전 점을 작업연결정보에 저장하는 단계;
선택된 점을 시작점으로 변경하고, 선로 중심선 생성 및 단순화 영역을 계산하는 단계;
작업연결정보에 시작점과 끝점만 존재하고, 선로 중심선 길이가 선로표시 최소거리보다 작으면, 상기 선로정보 테이블에서 작업선로를 삭제하는 단계; 및
작업연결정보에 시작점과 끝점과 다른 점이 존재하면, 작업선로의 선로연결정보를 작업연결정보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전 선로 간략화 방법.
generating a target line list by using the line information table;
if there is a non-simplified line in the target line list, designating it as a work line, generating a line center line, and setting a line simplification area;
If there is a point that is not simplified in the lin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work line, selecting it and checking whether the selected point is a start point, an end point, or an intersection point;
If the selected point is a start point, an end point, or an intersection point, storing it in the work connection information as processed;
If the selected point is not a start point, an end point, or an intersection point, checking whether the selected point is in the line simplification area, and deleting the selected point if it is in the simplified area;
storing the selected point and the previous point on the line in work connection information when the selected point is out of the line simplification area;
changing the selected point to a starting point, and calculating a line centerline generation and simplification area;
deleting the work line from the line information table when only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exist in the work connection information and the line center line length is less than the line display minimum distance; and
Changing the lin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work line to the work connection information if there is a point different from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in the work connection information
A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method comprising a.
선로정보 테이블에서 처리대상 모든 점들을 추출하는 단계;
모든 점에 대해 2 점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거리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거리목록에 간략화 처리되지 않은 거리값을 선택하고, 2 점간의 거리값이 기준값(2/d) 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2 점의 거리값이 0의 범위이면, 상기 2 점을 하나의 점으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2 점간의 거리값이 기준값보다 작고 0의 범위가 아니면, 2점의 선로 가중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2 점의 선로 가중치가 다르면, 선로 가중치가 낮은 점을 높은 점으로 상기 선로정보 테이블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2 점의 선로 가중치가 같으면, 2 점의 중심점을 계산하여, 상기 선로정보 테이블에서 2점을 중심점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전 선로 간략화 방법.


extracting all points to be processed from the line information table;
generating a list of distances by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wo points for every point;
selecting a distance value that is not simplified in the distance list, and checking whether the distance value between two points is smaller than a reference value (2/d);
changing the two points to a single point when the distance value of the two points is in the range of 0;
comparing the line weights of the two points when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two points is small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does not have a range of 0;
if the line weights of the two points are different, changing the line information table from a low line weight point to a high line weight point; and
If the line weights of the two points are the same, calculating the center points of the two points and changing the two points to the center points in the line information table
A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method comprising a.


KR1020200163101A 2020-11-27 2020-11-27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simplification method KR1025776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101A KR102577665B1 (en) 2020-11-27 2020-11-27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simplific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101A KR102577665B1 (en) 2020-11-27 2020-11-27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simplifica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513A true KR20220074513A (en) 2022-06-03
KR102577665B1 KR102577665B1 (en) 2023-09-13

Family

ID=8198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101A KR102577665B1 (en) 2020-11-27 2020-11-27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simplifica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66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81351A1 (en) * 2021-11-15 2023-05-17 Hitachi, Ltd. Distribution system visualization method and computing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523A (en) * 1999-12-30 2001-08-21 이종훈 Management System for Distribution System of Power
KR101215595B1 (en) * 2011-06-28 2012-12-26 한국전력공사 Management system for planed outage and method thereof
KR20130033806A (en) * 2011-09-27 2013-04-04 한국전력공사 System for operating smart power grid
KR20150084199A (en) * 2014-01-13 2015-07-2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erging power distribution line
KR102110339B1 (en) 2020-01-31 2020-05-14 (주)선운이앤지 Three-dimensional line spacing review method using overhead transmission l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523A (en) * 1999-12-30 2001-08-21 이종훈 Management System for Distribution System of Power
KR101215595B1 (en) * 2011-06-28 2012-12-26 한국전력공사 Management system for planed outage and method thereof
KR20130033806A (en) * 2011-09-27 2013-04-04 한국전력공사 System for operating smart power grid
KR20150084199A (en) * 2014-01-13 2015-07-2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erging power distribution line
KR102110339B1 (en) 2020-01-31 2020-05-14 (주)선운이앤지 Three-dimensional line spacing review method using overhead transmission l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81351A1 (en) * 2021-11-15 2023-05-17 Hitachi, Ltd. Distribution system visualization method and compu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665B1 (en) 202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16161A (en) A kind of power distribution network operation computer-aided decision support System and its application method
CN102411764B (en) The data management system of grid equipment and management method
CN103093008A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project three-dimensional-aided preliminary design
CN105320811A (en) Method for establishing topological connected model of urban underground electricity pipe network
CN110134752B (en) Three-dimensional large-scene modeling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05976124A (en) GIS-based power grid planning project full-process closed-loop control method and system
CN110929363B (en) Communication line investigation design method and system
CN111027834A (en) Power cable informatiz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ree-dimensional detection technology
CN108764812A (en) A kind of digitalized design method of UHV transmission line
CN104331562A (en) Geographical wiring diagram dispatching method and device in power grid information system
CN108491649A (en) A kind of design method and processing equipment of wind power plant digital Platform
CN110188150A (en) The model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of distribution network line figure
CN103714124B (en) Ultra-large-scale low-voltage data processing method
CN104299056A (en) Distribution network planning basic technology supporting platform
CN109741209A (en) Power distribution network multi-source data fusion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under typhoon disaster
CN108460834A (en) A kind of method and relevant device of the design of wind power plant digital Platform
KR102577665B1 (en) Distribution line simpl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simplification method
CN112308736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complex environment of transformer area
Lichtinghagen et al. Medium voltage network planning considering the current network and geographical restrictions
CN111091235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incoming and outgoing line paths of substation area of transformer substation
KR102359512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integrated information on energy facilities of smart city and method thereof
CN113486487A (en) Automatic acquisition method for geographic wiring logical structure diagram based on digital power grid
CN111966768A (en) Address descrip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9684695A (en) A kind of electrical design method and apparatus
CN103489135A (en) Method for assessing risk of power distribution network feeder line damaged by typhoon based on quadtree retriev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