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3326A - 매장 방문고객의 음성정보와 구매이력을 연계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인공지능 상품추천 시스템 - Google Patents

매장 방문고객의 음성정보와 구매이력을 연계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인공지능 상품추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3326A
KR20220073326A KR1020200161297A KR20200161297A KR20220073326A KR 20220073326 A KR20220073326 A KR 20220073326A KR 1020200161297 A KR1020200161297 A KR 1020200161297A KR 20200161297 A KR20200161297 A KR 20200161297A KR 20220073326 A KR20220073326 A KR 20220073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product
information
purchase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6133B1 (ko
Inventor
이은준
김형근
Original Assignee
(주)엑스엠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엑스엠디 filed Critical (주)엑스엠디
Priority to KR1020200161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13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3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02Preprocessing operations, e.g. segment selection; Pattern representation or modelling, e.g. based on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LDA] or principal components; Feature selection or extra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장 방문고객의 음성정보와 구매이력을 연계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인공지능 상품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객의 음성을 인지하여 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음성감지부 및 서버로부터 고객의 구매이력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직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매장 방문고객의 음성정보와 구매이력을 연계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인공지능 상품추천 시스템{AN ARTIFICIAL INTELLIGE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THAT RECOMMENDS PRODUCTS BY LINKING THE VOICE INFORMATION OF CUSTOMERS VISITING THE STORE AND THE PURCHASE HISTORY}
본 발명은 인공지능 상품추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장 내 직원은 상품을 팔기 위해 고객에게 원하는 상품과 취향 등을 물어보는 마케팅 활동을 한다. 이에 더하여, 직원은 상품을 구매하기로 결정한 고객의 주문을 응대하여 고객의 카드 결제 또는 현금을 수령한다.
직원은 고객이 상품을 구매결정하는 과정에서 많은 대화를 통해 고객의 취향을 알게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성격이 급한 고객은 직원은 많은 대화에 실증을 느끼고 답답해하는 경우가 적이 않게 발생된다.
또한, 직원은 상품을 결제하는 과정에서 한정된 정보에 의하여 고객에게 반드시 많은 대화를 시도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신발 매장을 가정할 수 있다. 신발을 결정하여 구매하기 위해 고객은 해당 신발에 대한 정보를 직원에게 알린다. 직원은 고객의 신발사이즈나 발볼크기 등을 알기 위해 여러 차례 질문을 계속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직원은 고객정보를 얻기 위해 많은 시간을 소모하고, 이는 매장의 매출향상속도를 저해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그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의 구매이력을 직원이 쉽게 알 수 있어 고객에게 문의하지 않고 직원 스스로 고객의 성향 등을 반영한 다양한 이벤트를 추천할 수 있는 인공지능 상품추천 시스템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국면은, 고객의 음성을 인지하여 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음성감지부 및 서버로부터 고객의 구매이력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직원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서버는,
고객 단말의 식별코드를 수집하는 고객단말 감지부;
고객단말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고객 단말로부터 설정된 주기로 위치신호를 수신받아 매장 내 고객의 동선정보와 체류시간정보를 생성하는 고객이동정보 생성부; 및
고객이동정보 생성부로부터 고객의 동선정보와 체류시간정보를 수신받아 설정된 시간이상 체류시간을 보낸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위치에 인접한 진열상품을 고객의 관심상품으로 설정하는 관심상품 판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서버는,
음성감지부로부터 고객의 음성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음성정보에 연계하여 고객의 구매상품리스트를 저장하는 구매이력 DB를 포함하고,
음성감지부는,
상품을 결제하는 장소에 설치되어 결제장소를 기준으로 설정된 반경범위 내 음성을 감지하는 구매자음성 감지부를 포함하고,
직원 단말은,
구매자음성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음성정보와 연계되는 구매상품리스트를 구매이력 DB로부터 수신받아 표시한다.
또한, 구매이력 DB로부터 수신받은 구매상품 카테고리와 구매상품수량 그리고 구매상품에 대한 구매주기를 분석하여 고객성향정보를 생성하는 고객성향 분석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고객성향 분석부로부터 고객성향정보를 수신받아 설정된 주기이하의 구매주기 또는 설정된 수량이하의 구매상품수량을 갖는 구매상품에 대하여 선호상품정보를 생성하고, 선호상품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들 중 설정된 기간 내 출시된 상품을 직원 단말에 표시하는 맞춤형신제품 알림부를 포함한다.
또한, 구매이력 DB로부터 고객의 음성정보와 연계된 구매상품리스트 정보들을 수신받아, 설정된 수치이상으로 함께 구매되는 구매상품그룹정보를 생성하는 빅데이터 분석부;
고객성향 분석부로부터 고객성향정보를 수신받아 설정된 수치이하의 구매상품수량 또는 구매주기를 갖는 상품에 대하여 선호상품정보를 생성하고, 빅데이터 분석부로부터 구매상품그룹정보를 수신받아 선호상품과 함께 구매되는 연계상품을 직원 단말에 표시하는 연계상품 추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객에게 상풍과 관련된 선호성향 등을 물어보지 않고 빠르고 쉽게 고객성향을 파악하여 고객에게 알맞은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빠르고 정확하게 고객에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의 매장 재방문율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매장의 매출실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인공지능 상품추천 시스템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인공지능 상품추천 시스템에 따른 실시예에서 음성감지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인공지능 상품추천 시스템에 따른 실시예에서 서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매장에 방문한 고객의 구매이력을 활용하여 매장 내 직원의 고객성향에 대한 빠른 판단을 유도하여 고객에게 알맞은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이하, 본원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인공지능 상품추천 시스템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고객의 음성을 인지하여 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음성감지부(100)를 포함한다. 음성감지부(100)는 매장을 방문한 고객의 음성을 인지하여, 고객의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정보를 생성한다. 음성감지부(100)는 매장의 입구근처에 설치되어 매장에 들어온 고객의 음성을 인지하는 방문자음성 감지부(110)를 포함한다. 방문자음성 감지부(110)는 매장 입구에 설치되어 매장으로 들어오는 고객들의 음성을 빠짐없이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성감지부(100)는 매장 내 모든 고객들의 음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200)로부터 고객의 구매이력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직원 단말(400)을 포함한다. 직원 단말(400)은 직원이 보유하고 있는 단말로서, 스마트폰이나 POS단말 등이 될 수 있다. 직원은 직원 단말(400)을 활용하여 상품을 결제하려는 고객의 구매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직원은 직원 단말(400)을 활용하여 상품 구매 결정을 망설이는 고객의 구매이력을 활용하여 고객에게 알맞은 상품을 추천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인 인공지능 상품추천 시스템에 따른 실시예에서 음성감지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인공지능 상품추천 시스템에 따른 실시예에서 서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서버는 고객 단말의 식별코드를 수집하는 고객단말 감지부(210)를 포함한다. 고객단말 감지부(210)는 고객이 소지한 고객 단말(300)로부터 식별코드를 수집한다. 고객단말 감지부(210)는 블루투스 서칭 또는 와이파이 서칭 기능을 이용하여 고객 단말(300)의 식별코드를 수집하는 사물인터넷장비이다. 고객단말 감지부(210)가 수집하는 식별코드는 고객 단말(300)의 맥 어드레스를 포함하며 그 밖에도 고객 단말(300)을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고유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단말 감지부(210)는 고객 단말(300)로부터 수집한 식별코드와 음성감지부(100)로부터 수신받은 고객의 음성정보를 매칭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음성을 통해 파악한 고객과 후술할 관심상품 판단부(214)로부터 수신한 관심상품정보를 매칭시키켜, 고객의 관심상품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객단말 감지부(210)에 의해 감지된 고객 단말(300)를 이용하여 고객의 동선을 파악하는 고객이동정보 생성부(212)를 포함한다. 고객이동정보 생성부(212)는 고객단말 감지부(210)에 의해 감지된 고객 단말(300)로부터 설정된 주기로 위치신호를 수신받는다. 고객이동정보 생성부(212)는 수신한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매장 내 고객의 동선정보와 체류시간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고객단말 감지부(210)는 고객의 동선정보와 체류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이동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은 고객이동정보 생성부(212)의 고객이동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의 관심상품을 파악하는 관심상품 판단부(214)를 포함한다. 관심상품 판단부(214)는 고객이동정보 생성부(212)로부터 고객이동정보를 수신받아, 설정된 시간이상 체류시간을 보낸 위치를 파악한다. 고객이 상품을 보며 이동하는 중 설정된 시간이상 체류시간을 보낸 것은 해당 상품에 관심을 가졌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관심상품 판단부(214)는 설정된 시간이상 체류시간을 보낸 위치에 인접한 진열상품을 고객의 관심상품으로 설정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고객의 구매이력을 직원에게 알리기 위해 구매이력 DB(220)를 포함한다. 구매이력 DB(220)는 음성감지부(100)로부터 고객의 음성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음성정보에 연계하여 고객의 구매상품리스트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고객의 구매상품리스트를 구매이력 DB(220)를 통해 직원 단말(400)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성감지부(100)는, 도 2에서 나타나듯이, 매장 내에서 직원과 고객이 대화 없이 판매와 구매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상품 구매를 희망하는 고객(이하, '구매자'라 한다.)을 인지할 수 있는 구매자음성 감지부(120)를 포함한다. 구매자음성 감지부(120)는 상품을 결제하는 장소에 설치되어 결제장소를 기준으로 설정된 반경범위 내 음성을 감지한다. 설정된 반경범위는 한 사람이 차지하는 범위 로서, 이에 따라 구매자음성 감지부(120)는 웨이팅하는 여러 고객들 중 특정 고객을 구매자로 오류없이 판단할 수 있다.
직원 단말(400)은 구매자음성 감지부(120)로부터 감지된 음성정보와 연계되는 구매상품리스트를 구매이력 DB(220)로부터 수신받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직원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고객의 구매상품리스트를 확인하여, 고객이 추가로 요구할 수 있는 사항들에 대하여도 고객의 음성요청 없이 대처할 수 있다. 이러한 모습은 본 고객은 매장의 서비스에 좋은 감정을 느껴 재방문을 기분좋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고객성향을 파악하여 고객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본 데이터를 생성하는 고객성향 분석부(230)를 포함한다. 고객성향 분석부(230)는 구매이력 DB(220)로부터 수신받은 구매상품리스트를 수신받는다. 구매상품리스트는 구매상품에 대한 카테고리와 구매상품수량 그리고 구매상품에 대한 구매주기를 포함한다. 구매상품에 대한 구매주기는 고객이 동일한 상품에 대하여 재구매할 때까지 걸린 시간을 의미한다. 고객성향 분석부(230)는 위에서 상술한 구매상품과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고객성향정보를 생성한다. 고객성향정보는 고객이 구매한 상품들을 토대로 분석된 고객의 선호상품정보를 나타낸다. 직원은 고객성향정보를 확인하여 많이 구매한 상품과 특정상품을 얼마나 자주 구매하는지 그리고 고객이 가장 많이 구매하는 상품이 속하는 카테고리가 무엇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객성향 분석부(230)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새로 나온 신제품을 제안하는 맞춤형신제품 알림부(232)를 포함한다. 맞춤형신제품 알림부(232)는 고객성향 분석부(230)로부터 고객성향정보를 수신받아, 설정된 주기이하의 구매주기 또는 설정된 수량이하의 구매상품수량을 갖는 구매상품을 선호상품으로 판단한다. 즉, 선호상품정보를 생성한다. 맞춤형신제품 알림부(232)는 선호상품에 대한 카테고리를 파악하여, 선호상품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들 중 설정된 기간 내 출시된 상품을 직원 단말(400)에 표시한다. 설정된 기간 내 출시된 상품은 신상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맞춤형신제품 알림부(232)는 고객의 선호상품과 연계되는 상품들 중 신상품을 고객에게 추천하여, 신상품에 대한 홍보 역할을 수행하게된다.
본 발명은 신상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계상품을 추천하기 위해 빅데이터 분석부와 연계상품 추천부를 포함한다.
빅데이터 분석부(250)는 구매이력 DB(220)로부터 고객의 음성정보와 연계된 구매상품리스트 정보들을 수신받는다. 빅데이터 분석부(250)는 설정된 수치이상으로 함께 구매되는 구매상품그룹정보를 생성한다. 즉, 빅데이터 분석부(250)는 고객들이 어느 상품을 구매할 때 주로 함께 구매하는 상품들을 그룹핑한다.
연계상품 추천부(252)는 고객성향 분석부(230)로부터 고객성향정보를 수신받고, 설정된 수치이하의 구매상품수량 또는 구매주기를 갖는 상품에 대하여 선호상품정보를 생성한다. 연계상품 추천부(252)는 빅데이터 분석부(250)로부터 구매상품그룹정보를 수신받아 선호상품과 함께 구매되는 연계상품을 파악하여 이를 직원 단말(400)에 표시한다. 즉, 연계상품 추천부(252)는 고객의 선호상품을 파악하고, 선호상품과 함께 고객들이 많이 구매하는 연계상품을 추천하여 상품 판매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의 재방문을 유도하기 위해고객성향 분석부(230)로부터 고객성향정보를 수신받아, 고객의 선호상품가 속하는 카테고리 내 상품들 중 할인행사가 예정된 상품을 추천하는 할인행사상품 추천부(234) 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고객은 본인이 선호하는 상품을 싼 값에 구매하기 위해 빠른 시일 내에 재방문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매이력 DB(220)로부터 구매상품리스트를 수신받아, 구매상품리스트에 포함된 매장방문횟수와 매장방문주기 그리고 지불비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설정된 수치 이상을 갖는 고객을 단골로 설정하는 단골리스트 생성부(240)를 포함 한다. 매장을 많이 방문하거나 자주 방문하거나 또는 상품을 구매하는데 쓰인 지불비용 모두 매장의 매출향상과 관계되므로, 위 요소들에 대하여 설정된 수치 이상을 갖는 고객은 단골로 지정된다.
본 발명은 단골리스트 생성부를 이용하여 단골에게 서비스 제품을 제공하도록 덤증정 알림부(242)를 포함 한다. 덤증정 알림부는 고객의 상품 구매과정에서 단골리스트 생성부에 의해 해당 고객이 단골로 파악되면, 덤증정 알림부는 직원 단말(400)에 해당 고객을 단골로 표시함과 동시에 매장에서 서비스로 주는 덤증정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단골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단골의 지속적인 재방문을 유지함으로써 매장의 매출향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음성감지부:100
방문자음성 감지부:110
구매자음성 감지부:120
서버:200
고객단말 감지부:210
고객이동정보 생성부:212
관심상품 판단부:214
구매이력 DB:220
고객성향 분석부:230
맞춤형신제품 알림부:232
할인행사상품 추천부:234
단골리스트 생성부:240
덤증정 알림부:242
빅데이터 분석부:250
연계상품 추천부:252
고객 단말:300
직원 단말:400

Claims (6)

  1. 고객의 음성을 인지하여 음성정보를 생성하는 음성감지부; 및
    서버로부터 고객의 구매이력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직원 단말을 포함하는,
    매장 방문고객의 음성정보와 구매이력을 연계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인공지능 상품추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서버는,
    고객 단말의 식별코드를 수집하는 고객단말 감지부;
    고객단말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고객 단말로부터 설정된 주기로 위치신호를 수신받아 매장 내 고객의 동선정보와 체류시간정보를 생성하는 고객이동정보 생성부; 및
    고객이동정보 생성부로부터 고객의 동선정보와 체류시간정보를 수신받아 설정된 시간이상 체류시간을 보낸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위치에 인접한 진열상품을 고객의 관심상품으로 설정하는 관심상품 판단부를 포함하는,
    매장 방문고객의 음성정보와 구매이력을 연계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인공지능 상품추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서버는,
    음성감지부로부터 고객의 음성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음성정보에 연계하여 고객의 구매상품리스트를 저장하는 구매이력 DB를 포함하는,
    음성감지부는,
    상품을 결제하는 장소에 설치되어 결제장소를 기준으로 설정된 반경범위 내 음성을 감지하는 구매자음성 감지부를 포함하고,
    직원 단말은,
    구매자음성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음성정보와 연계되는 구매상품리스트를 구매이력 DB로부터 수신받아 표시하는,
    매장 방문고객의 음성정보와 구매이력을 연계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인공지능 상품추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구매이력 DB로부터 수신받은 구매상품 카테고리와 구매상품수량 그리고 구매상품에 대한 구매주기를 분석하여 고객성향정보를 생성하는 고객성향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매장 방문고객의 음성정보와 구매이력을 연계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인공지능 상품추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고객성향 분석부로부터 고객성향정보를 수신받아 설정된 주기이하의 구매주기 또는 설정된 수량이하의 구매상품수량을 갖는 구매상품에 대하여 선호상품정보를 생성하고, 선호상품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들 중 설정된 기간 내 출시된 상품을 직원 단말에 표시하는 맞춤형신제품 알림부를 포함하는,
    매장 방문고객의 음성정보와 구매이력을 연계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인공지능 상품추천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구매이력 DB로부터 고객의 음성정보와 연계된 구매상품리스트 정보들을 수신받아, 설정된 수치이상으로 함께 구매되는 구매상품그룹정보를 생성하는 빅데이터 분석부;
    고객성향 분석부로부터 고객성향정보를 수신받아 설정된 수치이하의 구매상품수량 또는 구매주기를 갖는 상품에 대하여 선호상품정보를 생성하고, 빅데이터 분석부로부터 구매상품그룹정보를 수신받아 선호상품과 함께 구매되는 연계상품을 직원 단말에 표시하는 연계상품 추천부를 포함하는,
    매장 방문고객의 음성정보와 구매이력을 연계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인공지능 상품추천 시스템.

KR1020200161297A 2020-11-26 2020-11-26 매장 방문고객의 음성정보와 구매이력을 연계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인공지능 상품추천 시스템 KR102446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297A KR102446133B1 (ko) 2020-11-26 2020-11-26 매장 방문고객의 음성정보와 구매이력을 연계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인공지능 상품추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297A KR102446133B1 (ko) 2020-11-26 2020-11-26 매장 방문고객의 음성정보와 구매이력을 연계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인공지능 상품추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326A true KR20220073326A (ko) 2022-06-03
KR102446133B1 KR102446133B1 (ko) 2022-09-22

Family

ID=81982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297A KR102446133B1 (ko) 2020-11-26 2020-11-26 매장 방문고객의 음성정보와 구매이력을 연계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인공지능 상품추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1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2623A (ko) * 2012-08-14 2014-02-25 주식회사 디리아 고객인식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06347A (ko) * 2018-03-08 2019-09-18 (주)엑스엠디 다양한 사물인터넷장치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고객을 식별하고 고객맞춤형 접객정보를 제공하는 오프라인 매장접객 시스템
KR20200054353A (ko) * 2018-11-02 2020-05-20 포에스비 주식회사 고객 세분화를 이용한 고객 맞춤형 캠페인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2623A (ko) * 2012-08-14 2014-02-25 주식회사 디리아 고객인식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06347A (ko) * 2018-03-08 2019-09-18 (주)엑스엠디 다양한 사물인터넷장치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고객을 식별하고 고객맞춤형 접객정보를 제공하는 오프라인 매장접객 시스템
KR20200054353A (ko) * 2018-11-02 2020-05-20 포에스비 주식회사 고객 세분화를 이용한 고객 맞춤형 캠페인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133B1 (ko)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6747B2 (ja) 販売促進システムおよび販売促進方法
JP4073397B2 (ja) 完全に総合された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システムおよび方法
AU2007358751B2 (en) Offeree requested offer based on point-of-service to offeree distance
US201502788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ore tracking
US201502788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information
JP2019503019A (ja) 統合された自動小売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20253905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moting a sale of retail goods
US10748190B2 (en) Apparatus for managing customer information, method for managing customer information, system for managing customer information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a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20040078260A1 (en) System for sales optimization utilizing biometric customer recognition technique
US20020143623A1 (en) Method for personalized drive-thru service
JP7357244B2 (ja) 店舗利用情報配信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店舗利用情報配信システム並びに店舗利用情報配信方法
US94245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 time targeted advertising in a retail environment
BRPI0722009A2 (pt) Método, e, mídia legível por computador
US20140200956A1 (en) Systems and methods of gathering consumer information
US2020022663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contextualized, personalized pricing, offers, and recommendations
US11195197B2 (en) Online and offline marketing management server using NFC tag
WO2018193466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online and offline shopping platform
US201802327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US201300910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oss selling of goods and services among non-affiliated retail merchants
JP2019149098A (ja) 広告管理装置、広告提供システム、広告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56075A (ko)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평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446133B1 (ko) 매장 방문고객의 음성정보와 구매이력을 연계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인공지능 상품추천 시스템
KR102619370B1 (ko) 매장 방문고객의 음성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방문고객의 음성정보에 연계된 구매이력정보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고객정보 제공시스템
US1091591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financial transaction opportunities for individualized offers
KR102568972B1 (ko)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