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3277A - 면역 진단을 위한 진단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리더기와 진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면역 진단을 위한 진단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리더기와 진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3277A
KR20220073277A KR1020200161193A KR20200161193A KR20220073277A KR 20220073277 A KR20220073277 A KR 20220073277A KR 1020200161193 A KR1020200161193 A KR 1020200161193A KR 20200161193 A KR20200161193 A KR 20200161193A KR 20220073277 A KR20220073277 A KR 20220073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barcode
light
diagnostic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0556B1 (ko
Inventor
박대균
차민석
송하용
Original Assignee
바디텍메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디텍메드(주) filed Critical 바디텍메드(주)
Priority to KR1020200161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556B1/ko
Priority to PCT/KR2021/014684 priority patent/WO2022114530A1/ko
Publication of KR20220073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277A/ko
Priority to KR1020230057797A priority patent/KR20230067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556B1/ko
Priority to US18/323,723 priority patent/US2024008541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mmunological test proced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01N33/54388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based on lateral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with a sample being transported to, and subsequently stored in an absorbent for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5Specially adapted constructive features of fluorimeters
    • G01N21/6452Individual samples arranged in a regular 2D-array, e.g. multiwell plates
    • G01N21/6454Individual samples arranged in a regular 2D-array, e.g. multiwell plates using an integrated detector arr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86Measuring fluorescence of biological material, e.g. DNA, RNA,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483Investigating reagent ba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4Exchange or ejection of cartridges, container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2Identification, exchange or storage of information
    • B01L2300/021Identification, e.g. bar c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2Identification, exchange or storage of information
    • B01L2300/025Displaying results or values with integrated means
    • B01L2300/027Digital display, e.g. LCD, 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9Absorbents; Gels to retain a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5Specially adapted constructive features of fluorimeters
    • G01N2021/6463Op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021/7769Measurement method of reaction-produced change in sensor
    • G01N2021/7786Fluor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2Mechanical
    • G01N2201/022Casings
    • G01N2201/0221Portable; cableless; compact; hand-he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2Mechanical
    • G01N2201/025Mechanical control of operations
    • G01N2201/0256Sensor for insertion of sample, cuvette, test str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 진단을 위한 진단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리더기와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진단 패드와 발색 패드를 구비하고 있는 진단 카트리지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진단 카트리지를 통해 샘플에 대한 발색 반응 및 형광 반응을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면역 진단을 위한 진단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리더기와 진단 시스템 {Diagnostic cartridge for immunodiagnosis and diagnostic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면역 진단을 위한 진단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리더기와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리더기를 이용하여 샘플의 형광 반응과 발색 반응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혈액샘플과 같은 액체샘플에서 특정 표적 물질을 검출하는 다양한 진단 키트가 개발되어 간편하고 빠른 질병 진단이 가능해지고 있다. 특히, 면역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기반의 진단 키트는 질병의 검출 또는 동태를 파악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며, 생물, 환경 분야 외에 다양한 분야에서도 미량의 생물학적 물질을 간편하게 검사하는 방법으로도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진단 키트에 있어서, 표적 물질의 검출을 위한 표지물질로 형광물질을 사용하고 형광 신호를 판독하는 형광 리더기와 발색 반응을 검출하여 판독하는 발색 리더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세하게는, 임상화학 시약은 효소/기질을 이용한 발색반응으로 반응 전후의 흡광신호를 검출하고 반응의 정도를 정량화하며, 정량면역분석 시약은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항원/항체 복합물 형성시 나타나는 형광, 발광 신호를 검출하고 항원/항체를 정량화한다.
위와 같이, 2개의 검출 방법은 서로 다른 시약에 대한 반응을 검출할 수 있지만,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한 검출 방식의 차이로 인하여 2개의 검출 방식을 모두 가진 소형 검사기의 구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발색 반응, 형광 반응을 모두 검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진단 카트리지, 리더기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현재로서는 이러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02773호, (2020.04.14)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진단 패드와 발색 패드를 구비하여, 발색 반응 및 형광 반응을 검출할 수 있는 진단 카트리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코드 광원을 이용하여 진단 카트리지의 바코드를 검출하고 발색 패드의 발색 반응을 검출하며, 또 다른 광원을 이용하여 진단 패드의 형광 반응을 검출하는 면역 진단 리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코드 광원이 바코드를 검출할 때와 발색 패드의 발색 반응을 검출할 때의 광량을 조절함으로써, 하나의 바코드 광원을 다목적으로 이용하는 면역 진단 리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역 진단을 위한 진단 카트리지는, 상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 샘플 투입구, 및 형광측정을 위한 제1 윈도우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 지지대 상에 위치되는 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는 상기 샘플 투입구로 투입된 샘플이 이동되도록 하는 샘플 패드, 상기 샘플 패드 상에서 상기 샘플 투입구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된 발색 패드, 및 상기 샘플 패드의 단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제1 윈도우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된 진단 패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역 진단 리더기는, 내삽 공간으로 삽입된 진단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면역 진단을 수행하는 리더기로, 상기 진단 카트리지의 삽입이 감지되면,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바코드 광원을 상기 진단 카트리지의 바코드 위치로 이동시키며, 바코드 광원이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조도 센서를 통해 상기 바코드로부터 검출되는 광을 기반으로 샘플의 종류를 인식한 후,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바코드 광원이 상기 샘플 투입구의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바코드 광원이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상기 발색 패드의 발색 반응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코드 광원이 상기 바코드로 제1 광량의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바코드 광원이 상기 샘플 투입구로 제1 광량보다 적은 제2 광량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색 패드의 발색 반응을 검출한 후,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광원을 제1 윈도우의 위치로 이동시키며, 광원이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진단 패드에서 방출되는 형광 방출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역 진단을 위한 진단 카트리지는, 상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광 측정을 위한 제1 윈도우, 발색 측정을 위한 제2 윈도우 및 샘플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 지지대 상에 위치되는 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는 제1 윈도우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된 진단 패드, 제2 윈도우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된 발색 패드, 및 상기 샘플 투입구로 투입된 샘플이 상기 발색 패드 및 상기 진단 패드로 이동되도록 하는 샘플 패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역 진단 리더기는, 내삽 공간으로 삽입된 제5항의 진단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면역 진단을 수행하는 리더기로, 상기 진단 카트리지의 삽입이 감지되면,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바코드 광원이 상기 진단 카트리지의 바코드의 위치로 이동시키며, 바코드 광원이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조도 센서를 통해 바코드로부터 검출되는 광을 기반으로 샘플의 종류를 인식한 후,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바코드 광원이 제2 윈도우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바코드 광원이 광을 조사하도록 하여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상기 발색 패드의 발색 반응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바코드 광원을 제어하여 바코드 광원이 기 설정된 광량의 광을 조사하도록 하되, 상기 바코드로 제1 광량의 광을 조사하고 상기 샘플 투입구로 제1 광량보다 적은 제2 광량으로 광을 조사하로독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색 패드의 발색 반응을 검출한 후,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광원이 제1 윈도우의 위치로 이동시키며, 광원이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진단 패드에서 방출되는 형광 방출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역 진단 시스템은, 리더기로 삽입된 진단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면역 진단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상기 진단 카트리지는, 상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 샘플 투입구, 및 형광측정을 위한 제1 윈도우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 지지대 상에 위치되는 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는 상기 샘플 투입구로 투입된 샘플이 이동되도록 하는 샘플 패드, 상기 샘플 패드 상에서 상기 샘플 투입구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된 발색 패드, 및 상기 샘플 패드의 단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제1 윈도우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된 진단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리더기는, 상기 진단 카트리지의 삽입이 감지되면,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바코드 광원이 상기 진단 카트리지의 바코드 위치로 이동시키며, 광원이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조도 센서를 통해 상기 바코드로부터 검출되는 광을 기반으로 샘플의 종류를 인식한 후,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바코드 광원이 상기 샘플 투입구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바코드 광원이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상기 발색 패드의 발색 반응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역 진단 시스템은, 리더기로 삽입된 진단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면역 진단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상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광 측정을 위한 제1 윈도우, 발색 측정을 위한 제2 윈도우 및 샘플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 지지대 상에 위치되는 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는 제1 윈도우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된 진단 패드, 제2 윈도우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된 발색 패드, 및 상기 샘플 투입구로 투입된 샘플이 상기 발색 패드 및 상기 진단 패드로 이동되도록 하는 샘플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리더기는, 상기 진단 카트리지의 삽입이 감지되면,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바코드 광원이 상기 진단 카트리지의 바코드의 위치로 이동시키며, 바코드 광원이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조도 센서를 통해 바코드로부터 검출되는 광을 기반으로 샘플의 종류를 인식한 후,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바코드 광원이 제2 윈도우의 위치로 이동시키며, 바코드 광원이 광을 조사하도록 하고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상기 발색 패드의 발색 반응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진단 패드와 발색 패드를 구비하고 있는 진단 카트리지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진단 카트리지를 통해 샘플에 대한 발색 반응 및 형광 반응을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바코드 광원을 이용하여 진단 카트리지의 바코드를 검출하고, 발색 패드의 발색 반응을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코드 광원이 바코드를 검출할 때와 발색 패드의 발색 반응을 검출할 때의 광량을 조절함으로써, 하나의 바코드 광원을 다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 진단 리더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 진단 리더기의 광학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단 카트리지의 상면과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단 카트리지가 삽입되었을 때 리더기의 작동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단 카트리지의 상면과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단 카트리지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단 카트리지가 삽입되었을 때 리더기의 작동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 진단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 진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 진단 리더기(200)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 진단 리더기(200)의 광학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 진단 리더기(200)는 상부 프레임(205) 및 하부 프레임(203)이 결합되며, 상부 프레임(205)에는 표시부(220)가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면역 진단 리더기(200)의 작동 상태 및 작동에 따른 결과, 검출 결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220)는 도 1과 같이 상부 프레임(205)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외부 디바이스의 표시창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하부 프레임(203)에는 진단 카트리지(100)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리더기(200)는 진단 카트리지(100)가 삽입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내삽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더기(200)의 내부에는 광학 모듈(240)이 마련되어 있다.
일 실시예로, 리더기(200)의 프레임 내에는 소정의 전기 장치, 전원 장치 등이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등이 마련될 수도 있고,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단 카트리지(100)의 상면과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단 카트리지(100)가 삽입되었을 때 리더기(200)의 작동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단 카트리지(100)의 상면과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단 카트리지(100)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단 카트리지(100)가 삽입되었을 때 리더기(200)의 작동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 진단 시스템(10)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단 카트리지(100)는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로 2가지 타입이 예시되어 있으나, 리더기(200)의 경우 한종류의 리더기(200)에서 제어 프로세스를 다르게 하기 때문에, 리더기(200)는 도 8에 도시된 리더기(200)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단 카트리지(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단 카트리지(100)는 케이스(110), 지지대(130) 및 패드부(140)를 포함한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진단 카트리지(100)는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케이스(110)는 내부 구성들을 덮는 구성으로, 상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 샘플 투입구(112), 형광 측정을 위한 제1 윈도우(114) 및 바코드(118)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구성들은 기 설정된 거리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몇몇 실시예에서는 진단 카트리지(100)의 종류, 진단 대상 샘플의 종류에 따라서 각 구성들의 거리가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바코드(118)는 진단 카트리지(100)를 식별할 수 있는 수단으로, 진단 카트리지(100)의 종류, 제조년월일, 투입되는 샘플의 종류 등과 같은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상부 케이스(110), 하부 케이스(1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 케이스(110)에 지지대(130)가 위치되고, 지지대(130) 위에 패드부(140)가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패드부(140)는 샘플 패드(150), 발색 패드(160), 진단 패드(170) 및 흡수 패드(180)를 포함한다.
샘플 패드(150)는 샘플 투입구(112)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단부가 진단 패드(170)와 맞닿도록 배치되어 샘플 투입구(112)로 투입된 샘플이 진단 패드(170)로 이동되도록 한다.
발색 패드(160)는 샘플 패드(150) 상에 배치되며, 샘플 투입구(112)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샘플 투입구(112)로 투입된 샘플로 인하여 발색 반응이 일어나도록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구성, 구조로 인하여, 제어부(210)가 조도 센서(250)를 제어하여 개구되어 있는 샘플 투입구(112)로 발색 패드(160)의 발색 반응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진단 패드(170)는 정량 면역 분석 시약에 대한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항원/항체 복합물 형성시 형광, 발광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형광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샘플 패드(150)를 통해서 이동된 샘플에 의해 형광 반응이 발생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진단 패드(170)는 면역 반응 후 형광 시그널을 발생시키기 위한 테스트 존 및 컨트롤 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컨트롤 존은 시약 내 Antigen of interest와 독립적인 항원/항체 컨쥬게이트를 이용하여 적정 샘플 반응시에 컨트롤 존의 형광으로 시약 반응의 Validity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테스트 존은 검체 내에 존재하는 Antigen of interest와 항체 컨쥬게이트가 반응하고, 이 부위에 고정되어 있는 또 다른 항체와의 반응과 항원항체 복합물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210)가 검출 모듈(260)을 제1 윈도우(114) 상에 위치되도록 구동 모듈(230)을 제어하여 광학 모듈(240)을 이동시키고, 검출 모듈(260)을 통해 진단 패드(170)에서 방출되는 형광 방출광을 검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샘플 투입구(112)로 투입된 샘플은 진단 패드(170)로 이동되고, 샘플은 패드부(140) 끝단에 배치된 흡수 패드(180)로 이동되어 이동이 종료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 진단 리더기(200)는 제어부(210), 표시부(220), 구동 모듈(230), 조도 센서(250), 광학 모듈(240), 검출 모듈(260)을 포함한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리더기(200)는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210)는 구동 모듈(230)을 제어하여 광학 모듈(240)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삽입부로 진단 카트리지(100)가 삽입된 것이 감지되면, 진단 모드를 시작한다.
광학 모듈(240)은 카트리지로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243), 광원(243)에서 조사된 광을 가이드할 수 있는 광 안내부(미도시), 조도 센서(250), 검출 모듈(260)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진단 카트리지(100)의 삽입을 감지하는 것은 삽입부, 내삽 공간에 진단 카트리지(100)가 끝까지 삽입된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버튼이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입출력 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진단 시작 요청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진단을 시작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 중에서 하나가 선택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210)는 구동 모듈(230)을 제어하여 바코드 광원(247)이 진단 카트리지(100)의 바코드(118)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바코드 광원(247)이 제1 광량으로 바코드(118)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10)는 조도 센서(250)를 통해 바코드(118)로부터 검출되는 광을 기반으로 샘플의 종류를 인식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구동 모듈(230)을 제어하여 바코드 광원(247)이 진단 카트리지(100)의 샘플 투입구(112)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바코드 광원(247)이 제2 광량으로 샘플 투입구(112)의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10)는 샘플 투입구(112)로 광을 조사할 때, 제1 광량보다 적은 제2 광량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바코드 광원(247)을 제어한다.
조도 센서(250)는 기존 리더기(200)에서 이용되던 바코드(118) 센서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도 센서(250)는 광원(243)과 센서를 이용하여 흑, 백의 신호 차이를 비트화하게 된다.
이때, LED 또는 Laser 광원(243)에서 나온 빛은 표면의 흑/백 바코드(118, 구분자)에 모아져 반사되고, 조도 센서(250)는 바코드(118)로부터 반사된 산란 빛을 검출하여 산란 빛의 세기를 구분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바코드(118) 센서는 발색 패드(160)의 산란 빛의 차이를 감지함으로써 발색 반응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리더기(200)는 조도 센서(250)의 광량 조절을 통해 바코드를 리딩하고, 발색 반응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구동 모듈(230)을 제어하여 광원(243)이 제1 윈도우(114)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광원(243)이 제1 윈도우(114)의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검출 모듈(260)을 통해 진단 패드(170)에서 방출되는 형광 방출광을 검출한다.
일 실시예로, 구동 모듈(230)은 광학 모듈(240)을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축 등을 구성으로 포함하고 있으며,제어부(210)는 구동 모듈(230)을 제어하여 광학 모듈(240)을 이동시키게 되는데, 바코드(118)로부터 검출되는 광을 기반으로 샘플의 종류, 진단 카트리지(100)의 종류를 인식하고, 인식된 카트리지의 종류에 따라서 샘플 투입구(112), 제1 윈도우(114)의 위치 정보를 로딩하고, 로딩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구동 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들을 통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 진단 시스템(10)은 종래의 리더기(200)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형광 반응과 발색 반응을 모두 검출할 수 있게 되고, 이를 기반으로 진단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단 카트리지(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단 카트리지(100)는 케이스(110), 지지대(130) 및 패드부(140)를 포함한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진단 카트리지(100)는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케이스(110)는 내부 구성들을 덮는 구성으로, 상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 샘플 투입구(112), 형광 측정을 위한 제1 윈도우(114) 및 발색 측정을 위한 제2 윈도우(116)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에는 바코드(118)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단 카트리지(100)는 제1 실시예와 다르게, 바코드(118)가 진단 카트리지(100)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는 진단 카트리지(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샘플 투입구(112), 제1 윈도우(114) 및 제2 윈도우(116)는 기 설정된 거리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몇몇 실시예에서는 진단 카트리지(100)의 종류, 진단 대상 샘플의 종류에 따라서 각 구성들의 거리가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바코드(118)는 진단 카트리지(100)를 식별할 수 있는 수단으로, 진단 카트리지(100)의 종류, 제조년월일, 투입되는 샘플의 종류 등과 같은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상부 케이스(110), 하부 케이스(1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 케이스(110)에 지지대(130)가 위치되고, 지지대(130) 위에 패드부(140)가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패드부(140)는 샘플 패드(150), 발색 패드(160), 진단 패드(170) 및 흡수 패드(180)를 포함한다.
샘플 패드(150)는 샘플 투입구(112)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일단이 발색 패드(160)와 맞닿도록 배치되고, 타단이 진단 패드(170)와 맞닿도록 배치되어, 샘플 투입구(112)로 투입된 샘플이 발색 패드(160)와 진단 패드(170)로 이동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샘플 패드(150)는 샘플 투입구(112)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투입된 샘플이 일단에 배치된 발색 패드(160)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 샘플 패드(153), 그리고 제1 샘플 패드(153)의 타단에 배치되고 진단 패드(170)의 단부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제2 샘플 패드(157)를 포함한다.
제2 샘플 패드(157)는 제1 샘플 패드(153)를 통해 이동된 샘플이 진단 패드(170)로 이동되도록 하는 샘플 분배 패드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발색 패드(160)는 제2 윈도우(116)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샘플 패드(150)를 통해 이동된 샘플로 인하여 발색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 구조로 인하여, 제어부(210)가 조도 센서(250)를 제어하여 개구되어 있는 제2 윈도우(116)를 통해 발색 패드(160)의 발색 반응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진단 패드(170)는 정량 면역 분석 시약에 대한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항원/항체 복합물 형성시 형광, 발광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형광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샘플 패드(150)를 통해서 이동된 샘플에 의해 형광 반응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210)가 검출 모듈(260)을 제1 윈도우(114) 상에 위치되도록 구동 모듈(230)을 제어하여 광학 모듈(240)을 이동시키고, 검출 모듈(260)을 통해 진단 패드(170)에서 방출되는 형광 방출광을 검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샘플 투입구(112)로 투입된 샘플은 진단 패드(170)로 이동되고, 샘플은 패드부(140) 끝단에 배치된 흡수 패드(180)로 이동되어 이동이 종료된다.
제어부(210)는 삽입부로 진단 카트리지(100)가 삽입된 것이 감지되면, 진단 모드를 시작한다.
이때, 진단 카트리지(100)의 삽입을 감지하는 것은 삽입부, 내삽 공간에 진단 카트리지(100)가 끝까지 삽입된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버튼이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입출력 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진단 시작 요청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진단을 시작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 중에서 하나가 선택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210)는 구동 모듈(230)을 제어하여 바코드 광원(247)이 진단 카트리지(100)의 바코드(118)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바코드 광원(247)이 제1 광량으로 바코드(118)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리더기(200)는 핀홀이 형성되어 바코드 광원(247)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진단 카트리지(100)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바코드(118)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조도 센서(250)를 통해 바코드(118)로부터 검출되는 광을 기반으로 샘플의 종류를 인식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구동 모듈(230)을 제어하여 바코드 광원(247)이 진단 카트리지(100)의 제2 윈도우(116)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바코드 광원(247)이 제2 광량으로 제2 윈도우(116)의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10)는 제2 윈도우(116)로 광을 조사할 때, 제1 광량보다 적은 제2 광량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바코드 광원(247)을 제어한다.
조도 센서(250)는 기존 리더기(200)에서 이용되던 바코드(118) 센서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도 센서(250)는 광원(243)과 센서를 이용하여 흑, 백의 차이를 비트화하게 된다.
이때, LED 또는 Laser 광원(243)에서 나온 빛은 흑/백 바코드(118, 구분자)에 모아져 반사되고, 조도 센서(250)는 바코드(118)로부터 반사된 산란 빛을 검출하여 산란 빛의 세기를 구분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바코드(118) 센서는 발색 패드(160)의 산란 빛의 차이를 감지함으로써 발색 반응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바코드(118)의 경우에는, 흑, 백으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광량이 높아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지만, 발색 패드(160)의 경우에는 광량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은 경우에는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바코드(118)에 조사하던 제1 광량보다 낮은 제2 광량으로 광을 조사함으로써, 정확하게 발색 반응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210)는 구동 모듈(230)을 제어하여 광원(243)이 제1 윈도우(114)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광원(243)이 제1 윈도우(114)의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검출 모듈(260)을 통해 진단 패드(170)에서 방출되는 형광 방출광을 검출한다.
일 실시예로, 구동 모듈(230)은 광학 모듈(240)을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축 등을 구성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제어부(210)는 구동 모듈(230)을 제어하여 광학 모듈(240)을 이동시키게 되는데, 바코드(118)로부터 검출되는 광을 기반으로 샘플의 종류, 진단 카트리지(100)의 종류를 인식하고, 인식된 카트리지의 종류에 따라서 제1 윈도우(114), 제2 윈도우(116)의 위치 정보를 로딩하고, 로딩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구동 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들을 통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 진단 시스템(10)은 종래의 리더기(200)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형광 반응과 발색 반응을 모두 검출할 수 있게 되고, 이를 기반으로 진단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학 모듈(240)은 광원(243)에서 조사된 광을 가이드할 수 있는 광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광 안내부는 광원(243)에서 조사된 광을 집광할 수 있는 광원(243)용 렌즈, 집광된 광을 반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거울, 하방 렌즈, 검출 모듈(260)을 위한 검출용 렌즈, 핀홀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학 모듈(240)은 바코드 광원(247)에서 조사된 광을 가이드할 수 있는 바코드(118) 광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코드(118) 광 안내부는 바코드 광원(247)에서 생성된 광을 진단 카트리지(100)의 바코드(118)로 안내하고, 바코드(118)에서 나온 주변광을 조도 센서(250)로 입사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리더기(200)는 제2 실시예의 진단 카트리지(100)가 삽입되었을 때 진단 카트리지(10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바코드(118)로 광을 조사하기 위해서 하방 핀홀과 하방 반사부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리더기(200)는 샘플 투입구(112), 제1 윈도우(114), 제2 윈도우(116)와 같은 진단 카트리지(100) 구성들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기준위치 검출 모듈(26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210)는 기준위치 검출 모듈(260)을 통해서 검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구동 모듈(23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에로, 제어부(210)는 바코드(118)로부터 검출되는 광을 기반으로 샘플의 종류, 진단 카트리지(100)의 종류가 식별되면 진단 알고리즘을 로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진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조도 센서(250)를 통해 검출된 발색 패드(160)의 발색 반응, 검출 모듈(260)을 통해 검출된 형광 방출광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고, 표시부(220)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 진단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 진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리더기(200)로 제1 실시예의 진단 카트리지(100)가 삽입되었을 때 면역 진단 방법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리더기(200)로 제2 실시예의 진단 카트리지(100)가 삽입되었을 때 면역 진단 방법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리더기(200)의 제어부(210)가 진단 카트리지(100)의 삽입을 감지한다. (S110)
다음으로, 제어부(210)가 구동 모듈(230)을 제어하여 바코드 광원(247)이 진단 카트리지(100)의 바코드(118)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바코드 광원(247)이 광을 바코드(118)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한 후, 조도 센서(250)를 통해 바코드(118)로부터 검출되는 광을 검출한다. (S130)
그리고, 제어부(210)는 바코드(118)로부터 검출된 광을 기반으로 샘플의 종류, 진단 카트리지(100)의 종류를 인식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10)가 구동 모듈(230)을 제어하여 바코드 광원(247)이 샘플 투입구(112)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바코드 광원(247)이 샘플 투입구(112)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한 후, 조도 센서(250)를 통해 발색 패드(160)의 발색 반응을 검출한다. (S150)
다음으로, 제어부(210)가 구동 모듈(230)을 제어하여 광원(243)이 제1 윈도우(114)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광원(243)이 제1 윈도우(114)로 광을 조사하도록 한 후, 검출 모듈(260)을 통해 진단 패드(170)에서 방출되는 형광 방출광을 검출한다. (S170)
도 10을 참조하면, 리더기(200)의 제어부(210)가 진단 카트리지(100)의 삽입을 감지한다. (S210)
다음으로, 제어부(210)가 구동 모듈(230)을 제어하여 바코드 광원(247)이 진단 카트리지(100)의 바코드(118)로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바코드 광원(247)이 바코드(118)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한 후, 조도 센서(250)를 통해 바코드(118)로부터 검출되는 광을 검출한다. (S230)
그리고, 제어부(210)는 바코드(118)로부터 검출된 광을 기반으로 샘플의 종류, 진단 카트리지(100)의 종류를 인식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10)가 구동 모듈(230)을 제어하여 바코드 광원(247)이 제2 윈도우(116)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바코드 광원(247)이 제2 윈도우(116)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한 후, 조도 센서(250)를 통해 발색 패드(160)의 발색 반응을 검출한다. (S250)
다음으로, 제어부(210)가 구동 모듈(230)을 제어하여 광원(243)이 제1 윈도우(114)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광원(243)이 제1 윈도우(114)로 광을 조사하로독 한 후, 검출 모듈(260)을 통해 진단 패드(170)에서 방출되는 형광 방출광을 검출한다. (S270)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 진단 방법은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한 면역 진단 시스템(10)과 발명의 카테고리만 다를 뿐, 동일한 내용이므로 중복되는 설명, 예시는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면역 진단을 위한 진단 시스템
100: 진단 카트리지 110: 케이스
112: 샘플 투입구 114: 제1 윈도우
116: 제2 윈도우 118: 바코드
130: 지지대 140: 패드부
150: 샘플 패드 153: 제1 샘플 패드
157: 제2 샘플 패드 160: 발색 패드
170: 진단 패드 173: 테스트 존
177: 컨트롤 존 180: 흡수 패드
200: 리더기 203: 하부 프레임
205: 상부 프레임 207: 출입부
210: 제어부 220: 표시부
230: 구동 모듈 240: 광학 모듈
243: 광원 247: 바코드 광원
250: 조도 센서 260: 검출 모듈

Claims (10)

  1. 상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 샘플 투입구, 및 형광측정을 위한 제1 윈도우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 지지대 상에 위치되는 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는 상기 샘플 투입구로 투입된 샘플이 이동되도록 하는 샘플 패드, 상기 샘플 패드 상에서 상기 샘플 투입구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된 발색 패드, 및 상기 샘플 패드의 단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제1 윈도우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된 형광 방출광 검출을 위한 진단 패드를 포함하는,
    면역 진단을 위한 진단 카트리지.
  2. 내삽 공간으로 삽입된 제1항의 진단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면역 진단을 수행하는 리더기로,
    상기 진단 카트리지의 삽입이 감지되면,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바코드 광원을 상기 진단 카트리지의 바코드 위치로 이동시키며, 바코드 광원이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조도 센서를 통해 상기 바코드로부터 검출되는 광을 기반으로 샘플의 종류를 인식한 후,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바코드 광원이 상기 샘플 투입구의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바코드 광원이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상기 발색 패드의 발색 반응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면역 진단 리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코드 광원이 상기 바코드로 제1 광량의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바코드 광원이 상기 샘플 투입구로 제1 광량보다 적은 제2 광량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진단 리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색 패드의 발색 반응을 검출한 후,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광원을 제1 윈도우의 위치로 이동시키며, 광원이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진단 패드에서 방출되는 형광 방출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진단 리더기.
  5. 상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광 측정을 위한 제1 윈도우, 발색 측정을 위한 제2 윈도우 및 샘플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 지지대 상에 위치되는 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는 제1 윈도우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된 진단 패드, 제2 윈도우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된 발색 패드, 및 상기 샘플 투입구로 투입된 샘플이 상기 발색 패드 및 상기 진단 패드로 이동되도록 하는 샘플 패드를 포함하는,
    면역 진단을 위한 진단 카트리지.
  6. 내삽 공간으로 삽입된 제5항의 진단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면역 진단을 수행하는 리더기로,
    상기 진단 카트리지의 삽입이 감지되면,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바코드 광원이 상기 진단 카트리지의 바코드의 위치로 이동시키며, 바코드 광원이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조도 센서를 통해 바코드로부터 검출되는 광을 기반으로 샘플의 종류를 인식한 후,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바코드 광원이 제2 윈도우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바코드 광원이 광을 조사하도록 하여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상기 발색 패드의 발색 반응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면역 진단 리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바코드 광원을 제어하여 바코드 광원이 기 설정된 광량의 광을 조사하도록 하되, 상기 바코드로 제1 광량의 광을 조사하고 상기 샘플 투입구로 제1 광량보다 적은 제2 광량으로 광을 조사하로독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진단 리더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색 패드의 발색 반응을 검출한 후,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광원이 제1 윈도우의 위치로 이동시키며, 광원이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진단 패드에서 방출되는 형광 방출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진단 리더기.
  9. 리더기로 삽입된 진단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면역 진단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상기 진단 카트리지는,
    상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 샘플 투입구, 및 형광측정을 위한 제1 윈도우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 지지대 상에 위치되는 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는 상기 샘플 투입구로 투입된 샘플이 이동되도록 하는 샘플 패드, 상기 샘플 패드 상에서 상기 샘플 투입구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된 발색 패드, 및 상기 샘플 패드의 단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제1 윈도우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된 진단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리더기는,
    상기 진단 카트리지의 삽입이 감지되면,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바코드 광원이 상기 진단 카트리지의 바코드 위치로 이동시키며, 광원이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조도 센서를 통해 상기 바코드로부터 검출되는 광을 기반으로 샘플의 종류를 인식한 후,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바코드 광원이 상기 샘플 투입구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바코드 광원이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상기 발색 패드의 발색 반응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면역 진단 시스템.
  10. 리더기로 삽입된 진단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면역 진단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상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광 측정을 위한 제1 윈도우, 발색 측정을 위한 제2 윈도우 및 샘플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 지지대 상에 위치되는 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는 제1 윈도우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된 진단 패드, 제2 윈도우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된 발색 패드, 및 상기 샘플 투입구로 투입된 샘플이 상기 발색 패드 및 상기 진단 패드로 이동되도록 하는 샘플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리더기는,
    상기 진단 카트리지의 삽입이 감지되면,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바코드 광원이 상기 진단 카트리지의 바코드의 위치로 이동시키며, 바코드 광원이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조도 센서를 통해 바코드로부터 검출되는 광을 기반으로 샘플의 종류를 인식한 후,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여 바코드 광원이 제2 윈도우의 위치로 이동시키며, 바코드 광원이 광을 조사하도록 하고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상기 발색 패드의 발색 반응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면역 진단 시스템.
KR1020200161193A 2020-11-26 2020-11-26 면역 진단을 위한 진단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리더기와 진단 시스템 KR102530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193A KR102530556B1 (ko) 2020-11-26 2020-11-26 면역 진단을 위한 진단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리더기와 진단 시스템
PCT/KR2021/014684 WO2022114530A1 (ko) 2020-11-26 2021-10-20 면역 진단을 위한 진단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리더기와 진단 시스템
KR1020230057797A KR20230067592A (ko) 2020-11-26 2023-05-03 면역 진단을 위한 진단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리더기와 진단 시스템
US18/323,723 US20240085410A1 (en) 2020-11-26 2023-05-25 Diagnostic cartridge for immunodiagnosis and diagnostic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193A KR102530556B1 (ko) 2020-11-26 2020-11-26 면역 진단을 위한 진단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리더기와 진단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7797A Division KR20230067592A (ko) 2020-11-26 2023-05-03 면역 진단을 위한 진단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리더기와 진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277A true KR20220073277A (ko) 2022-06-03
KR102530556B1 KR102530556B1 (ko) 2023-05-09

Family

ID=817551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193A KR102530556B1 (ko) 2020-11-26 2020-11-26 면역 진단을 위한 진단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리더기와 진단 시스템
KR1020230057797A KR20230067592A (ko) 2020-11-26 2023-05-03 면역 진단을 위한 진단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리더기와 진단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7797A KR20230067592A (ko) 2020-11-26 2023-05-03 면역 진단을 위한 진단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리더기와 진단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85410A1 (ko)
KR (2) KR102530556B1 (ko)
WO (1) WO202211453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048A (ko) * 2003-04-25 2004-11-04 주식회사 바이오디지트 현장진단용 멤브레인 스트립 바이오센서 시스템
KR100616426B1 (ko) * 2005-05-06 2006-08-28 주식회사 인포피아 스트립 바이오센서
KR20180058646A (ko) * 2016-11-24 2018-06-01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생화학-면역 하이브리드 바이오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시스템
KR102102773B1 (ko) 2018-01-12 2020-04-21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초소형 광학요소를 적용한 현장진단용 형광검출장치
KR20200055913A (ko) * 2018-11-14 2020-05-22 바디텍메드(주) 다중진단 기능을 갖는 일체형 면역진단 형광 리더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982B1 (ko) * 2007-07-13 2009-08-05 바디텍메드 주식회사 당화헤모글로빈의 정량분석을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당화헤모글로빈 측정 방법
GB2523135A (en) * 2014-02-13 2015-08-19 Molecular Vision Ltd Assay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048A (ko) * 2003-04-25 2004-11-04 주식회사 바이오디지트 현장진단용 멤브레인 스트립 바이오센서 시스템
KR100616426B1 (ko) * 2005-05-06 2006-08-28 주식회사 인포피아 스트립 바이오센서
KR20180058646A (ko) * 2016-11-24 2018-06-01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생화학-면역 하이브리드 바이오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시스템
KR102102773B1 (ko) 2018-01-12 2020-04-21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초소형 광학요소를 적용한 현장진단용 형광검출장치
KR20200055913A (ko) * 2018-11-14 2020-05-22 바디텍메드(주) 다중진단 기능을 갖는 일체형 면역진단 형광 리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85410A1 (en) 2024-03-14
KR20230067592A (ko) 2023-05-16
WO2022114530A1 (ko) 2022-06-02
KR102530556B1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2299B2 (en) Optical assay device with pneumatic sample actuation
US20210293793A1 (en) Interactive test device and apparatus with timing mechanism
US9488585B2 (en) Reader devices for optical and electrochemical test devices
EP2795328B1 (en) Integrated test device for optical and electrochemical assays
US11035869B2 (en) Automated liquid-phase immunoassay apparatus
US20180128715A1 (en) Station, used for test apparatus, having integrated reaction and detection means
JP5089705B2 (ja) 光学的測定装置
JP4581898B2 (ja) 試験片測定装置
WO2010058473A1 (ja) 光学的測定装置
KR102530556B1 (ko) 면역 진단을 위한 진단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리더기와 진단 시스템
KR102321031B1 (ko) 자성 비드를 이용한 액상 면역반응 분석장치
EP4099002A1 (en) Chromatographic inspe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40183846A1 (en) Method for analyzing liquid immune response using magnetic beads
JP5367896B2 (ja) 光学的測定装置
KR20230059663A (ko) 자성비드를 이용한 액상 면역반응 분석방법
JP2009109385A (ja)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