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2806A -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의 확정 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의 확정 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2806A
KR20220072806A KR1020217043148A KR20217043148A KR20220072806A KR 20220072806 A KR20220072806 A KR 20220072806A KR 1020217043148 A KR1020217043148 A KR 1020217043148A KR 20217043148 A KR20217043148 A KR 20217043148A KR 20220072806 A KR20220072806 A KR 20220072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time domain
transmission resource
pscch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산 자오
첸시 루
훼이-밍 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53375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2007280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72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04W72/04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828Arrangements for spectral shap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signals with specified spectral properties
    • H04L25/03866Arrangements for spectral shap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signals with specified spectral properties using scramb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04W72/10
    • H04W72/127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 확정 방법을 공개하며, 이는 PSSCH를 전송하기 위한 제3 전송 리소스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3 전송 리소스 내에서 제2 전송 리소스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상기 PSSCH의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동일하거나 및/또는 인접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제2 PSCCH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전송 리소스는 제1 PSCCH를 전송하기 위한 제1 전송 리소스를 더 포함한다. 신호 전송 과정 중 감쇠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DMRS의 타임 도메인 위치와 비교적 가까운 타임 도메인 리소스의 경우, 채널 추정 결과가 더욱 정확하다. 제2 전송 리소스는 PSSCH의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동일하거나 및/또는 인접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를 포함하며, 따라서, 제2 전송 리소스에서 전달되는 제2 PSCCH는 더욱 정확한 채널 추정 결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의 확정 방법과 장치
본 출원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의 확정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5세대(5th generation, 5G) 통신 시스템은 차량-사물(vehicle to everything, V2X) 통신을 지원한다. V2X 통신은 사이드링크(sidelink) 전송기술로서, 단말장치가 네트워크 장치의 전달 없이 다른 단말장치와 직접 통신할 수 있으며, 따라서 더욱 높은 스펙트럼 효율과 더욱 낮은 전송 지연을 갖는다.
V2X 통신에서, 사이드링크의 송신단은 데이터 채널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의 송신단은 물리적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PSSCH)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물리적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CCH)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PSCCH는 2차 PSCCH일 수 있으며, 즉 상기 PSCCH는 제1 PSCCH와 제2 PSCCH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PSCCH는 사이드링크의 수신단이 감청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제2 PSCCH는 PSSCH를 복조하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PSCCH는 사이드링크의 수신단이 제2 PSCCH를 검출하는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 제2 PSCCH의 전송 리소스를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의 수신단은 블라인드 검출을 통해 제1 PSCCH를 수신할 수는 있으나, 제2 PSCCH의 전송 리소스가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관련 결론이 없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 PSCCH의 전송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 확인 방법과 장치를 제공한다.
첫 번째 측면으로,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 확정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PSSCH를 전송하기 위한 제3 전송 리소스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3 전송 리소스 내에서 제2 전송 리소스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상기 PSSCH의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동일하거나 및/또는 인접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제2 PSCCH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전송 리소스는 제1 PSCCH를 전송하기 위한 제1 전송 리소스를 더 포함한다.
두 번째 측면으로,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 확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첫 번째 측면 중의 방법에 대응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를 통해 상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킴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하나 또는 다수의 상기 기능과 대응되는 유닛 또는 모듈을 포함한다.
일종의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장치는 단말장치 또는 네트워크장치 또는 칩이다. 상기 장치는 처리 유닛과 송수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가 단말장치 또는 네트워크 장치인 경우, 상기 처리 유닛은 프로세서일 수 있고, 상기 송수신 유닛은 송수신기일 수 있으며; 상기 단말장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 유닛은 메모리일 수 있으며; 상기 저장 유닛은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단말장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첫 번째 측면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한다. 상기 상기 장치가 칩인 경우, 상기 처리 유닛은 프로세서일 수 있고, 상기 송수신 유닛은 입/출력 인터페이스, 핀 또는 회로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칩을 포함하는 단말장치 또는 네트워크 장치가 첫 번째 측면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저장 유닛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며, 상기 저장 유닛은 상기 칩 내의 저장 유닛(예를 들어, 레지스터, 캐시 등)일 수도 있고, 상기 칩 외부에 위치하는 저장 유닛(예를 들어 리드 온리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등)일 수도 있다.
세 번째 측면으로, 컴퓨터 가독 저장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가독 저장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첫 번째 측면의 상기 방법을 실행한다.
네 번째 측면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첫 번째 측면의 상기 방법을 실행한다.
다섯 번째 측면으로,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어, 컴퓨터가 첫 번째 측면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도1 은 본 출원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데이터 채널과 제어 채널의 매핑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 확정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또 다른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또 다른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또 다른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또 다른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또 다른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또 다른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또 다른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또 다른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 확정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 확정 디바이스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기술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이지, 실시예의 전부가 아님은 자명하다. 본 출원 중의 실시예를 바탕으로, 당업계의 보통 기술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은 전제하에 획득된 모든 기타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출원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00)의 설명도이다.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 단말 디바이스(121)와 단말 디바이스(122)를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121)와 단말 디바이스(122)는 통신 기능을 갖춘 차량일 수도 있고, 차량 내부 전자시스템일 수도 있으며, 핸드폰일 수도 있다. 또한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기타 V2X 프로토콜을 실행하는 통신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LTE 시스템 중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일 수도 있고, 5G 통신 시스템 중의 기지국(gNB)일 수도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지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일 뿐,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 내부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기타 유형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사이드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 단말 디바이스(121)와 단말 디바이스(122)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의 지시를 통해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를 확정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21)와 단말 디바이스(122)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의 지시를 통하지 않고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를 확정할 수도 있다.
상기 두 예시는 사이드링크 통신의 두 가지 전송 모드로서, 즉 중앙집중형 스케쥴링 전송 모드(모드 1이라 칭할 수도 있다)와 분산형 전송 모드(모드 2라고 칭할 수도 있다)이다. 이하, 두 가지 전송 모드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
중앙집중형 스케쥴링 전송 모드: 상기 모드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할당하는 리소스에 따라 V2X 데이터를 전송한다. 단말 디바이스의 리소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일괄적으로 할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접한 단말 디바이스가 동일한 리소스를 할당하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으며, 중앙집중형 스케쥴링 전송 모드는 보다 높은 전송 신뢰성을 지닌다. 다만,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간에 시그널링을 교환해야 하므로, 분산형 전송 모드에 비해, 중앙집중형 스케쥴링 전송 모드의 데이터 전송 지연 시간이 더 길다.
분산형 전송 모드: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있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시스템 정보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디바이스에 리소스 풀을 구성할 수 있으며, 단말 디바이스가 V2X 데이터를 전송 시, 감청 예약 메커니즘 또는 부분 감청 예약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무작위 선택을 통해 리소스 풀로부터 일부 리소스를 자주적으로 획득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없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사전 구성 정보에 의해 구성된 리소스 풀로부터 일부 리소스를 자주적으로 획득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사전 구성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출고 시 단말 디바이스 내부에 구성된 정보일 수도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사전 구성되어, 단말 디바이스 내부에 저장된 정보일 수도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리소스를 자주적으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각기 다른 단말 디바이스가 동일한 리소스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따라서, 중앙집중형 스케쥴링 전송 모드에 비해, 분산형 전송 모드의 데이터 전송 신뢰도가 더 낮다.
분산형 전송 모드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리소스 풀로부터 일부 전송 리소스를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 시, 주기적 전송 트래픽에 대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다른 사용자가 상기 전송 리소스를 선점하는 것을 막기 위해, 다음 번에 전송할 전송 리소스를 예약하고; 비주기적인 전송 트래픽에 대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전송 리소스를 예약하지 않는다.
통신 시스템(100)은 단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출원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V2X 통신에서, 지연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이 도 2에 도시된 매핑 방식으로 전송 리소스에 매핑된다. 여기서, 제어 채널은 몇 개의 타임 도메인 부호만 점용하므로, 수신단은 제어 채널이 타임 도메인 부호에 매핑된 후 바로 제어 채널을 디코딩할 수 있어, 완전한 타임 슬롯의 데이터를 수신할 때까지 기다린 후 채널을 디코딩할 필요가 없어 지연시간을 감소시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2에서, 제어 채널은 2차 PSCCH이며, 즉 제어 채널은 제1 PSCCH와 제2 PSCCH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PSCCH는 리소스 감청을 위한 정보 및 제2 전송 리소스(즉, 제2 PSCCH가 점용하는 전송 리소스)를 확정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하며, 예를 들어, 리소스 감청을 위한 정보는 제1 PSCCH가 전달하는 제1 SCI의 제1 정보 필드를 통해 지시되고, 제2 전송 리소스를 확정하기 위한 정보는 제1 PSCCH가 전달하는 제1 SCI의 제2 정보 필드를 통해 지시되며; 제2 PSCCH는 PSSCH를 복조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한다. 도 2에서, 제1 PSCCH와 제2 PSCCH의 시간 주파수 위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1 PSCCH와 제2 PSCCH의 시간 주파수 위치를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리소스 감청을 위한 정보는, PSSCH의 전송 리소스 정보, PSSCH에서 전달되는 트래픽의 우선 순위 정보, 및 예약 전송 리소스의 지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SSCH를 복조하기 위한 정보는, 변조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전송 계층수,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프로세스 번호, 신규 데이터 지시자(New Data Indicator, NDI), PSSCH를 전송하는 단말 디바이스의 식별자 정보, 및 목표 식별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목표 식별자 정보는, 수신단(PSCCH를 수신하는 단말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 수신단의 그룹 식별자, 및 PSSCH가 전달하는 트래픽에 대응되는 트래픽 식별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유니캐스트에 대하여, 목표 식별자 정보는 수신단의 디바이스 식별자일 수 있고; 멀티캐스트에 대하여, 목표 식별자 정보는 수신단의 그룹 식별자, 즉 수신단이 속한 디바이스 그룹의 식별자일 수 있으며; 브로드캐스트에 대하여, 목표 식별자 정보는 트래픽 식별자일 수 있으며, 상기 트래픽 식별자에 대응되는 트래픽에 관심이 있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상기 트래픽을 수신해야 하는 단말 디바이스만 상기 PSSCH를 수신할 필요가 있다.
수신단의 단말은 제1 PSCCH를 검출해야 하며, 제1 PSCCH 중의 정보에 따라 제2 PSCCH의 전송 리소스 전송 리소스를 확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단은 제2 PSCCH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할 필요가 없다. 수신단이 제1 PSCCH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하는 복잡도를 낮추기 위하여, 통상적으로는 제1 PSCCH를 위한 전송 리소스를 사전 구성한다. 예를 들어, 사전 구성 또는 네트워크 구성 방식을 통해 제1 PSCCH의 리소스 풀을 구성하며, 상기 리소스 풀에서는 각 후보의 전송 리소스의 위치와 크기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수신단은 각 후보의 전송 리소스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검출 결과에 따라 제1 PSCCH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2 PSCCH의 전송 리소스 확정 방법을 소개한다. 도 3에 도시된 방법은 사이드링크의 송신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고, 사이드링크의 수신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300)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S310: 제3 전송 리소스를 확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3 전송 리소스는 PSSCH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제3 전송 리소스는 PSSCH의 전송 리소스를 포함하며, 도 2에서 PSSCH, 제1 PSCCH와 제2 PSCCH를 포함하는 직사각형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방법(300)이 단말 디바이스(송신단)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제3 전송 리소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구성 정보에 따라 확정된 전송 리소스일 수도 있고, 단말 디바이스가 자주적으로 선택한 전송 리소스일 수도 있다. 방법(300)이 단말 디바이스(수신단)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제3 전송 리소스는 제1 PSCCH로 전달되는 정보에 따라 확정된 전송 리소스이다.
본 출원의 모든 실시예에서, 채널 전송은 상기 채널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나타내고, 채널 수신은 상기 채널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3 전송 리소스는 PSSCH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라 함은, 제3 리소스가 PSSCH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S320: 상기 제3 전송 리소스 내에서 제2 전송 리소스를 확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상기 PSSCH의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동일하거나 및/또는 인접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제2 PSCCH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전송 리소스는 제1 PSCCH를 전송하기 위한 제1 전송 리소스를 더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3 전송 리소스 내에서 제2 전송 리소스를 확정하는 단계는 제2 전송 리소스의 크기와 시간 주파수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하기 방법을 통해 제2 전송 리소스의 크기를 확정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1 PSCCH에서 전달되는 제2 전송 리소스를 확정하기 위한 정보에 따라 제2 전송 리소스의 크기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를 확정하기 위한 정보는, 제2 PSCCH의 포맷, 제2 PSCCH에서 전달되는 제2 SCI의 정보 비트수, 제2 PSCCH에서 전달되는 제2 SCI의 코딩 후의 비트수, 제2 PSCCH에서 전달되는 제2 SCI의 포맷, 제2 PSCCH의 집계 수준, 제2 PSCCH에서 전달되는 제2 SCI의 변조 방식, 제2 PSCCH에서 전달되는 제2 SCI의 코딩율, 제2 PSCCH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의 크기, 및 제2 PSCCH에 의해 점용된 타임 도메인 부호의 수량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서, 제1 PSCCH에서 전달되는 제1 SCI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며, 제2 정보 필드는 제2 SCI의 포맷을 가리킨다. 제2 SCI의 포맷에 따라 이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확정할 수 있다:
제2 SCI의 정보 비트수: 즉 제2 SCI에 포함된 각 정보 필드의 총 비트수로서, 선택적으로, 제2 SCI의 정보 비트수는 순환 중복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 비트를 포함한다.
제2 SCI의 코딩 후 비트수: 즉 제2 SCI의 정보 비트가 채널 코딩을 거친 후의 비트수로서; 여기서, 채널 코딩은 예를 들어 저밀도 패리티 체크(Low Density Parity Check, LDPC) 코드, 또는 폴라(Polar) 코드이다.
제2 SCI의 포맷에 따라 제2 전송 리소스의 크기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SCI의 포맷에 따라 제2 SCI 코딩 후의 비트수를 확정한 다음, 제2 PSCCH의 변조 방식을 결합하면 제2 SCI 변조 후의 부호 개수를 확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전송 리소스의 크기를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SCI의 포맷에 따라 제2 SCI의 정보 비트수를 확정한 다음, 제2 PSCCH의 변조 방식과 코드율을 결합하면, 제2 SCI 변조 후의 부호 개수를 확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전송 리소스의 크기를 확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방식에서, 제2 정보 필드란 제2 PSCCH의 집계 수준을 가리키며, 집계 수준은 제어 채널 유닛(Control Channel Element, CCE)의 개수를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 제2 PSCCH의 집계 수준에 따라 제2 PSCCH의 전송 리소스의 크기를 확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방식에서, 제2 정보 필드는 제2 전송 리소스의 리소스 집합 중에서의 인덱스 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리소스 집합은 사전 설정되거나 또는 사전 구성된 것이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인덱스 정보에 따라 테이블로부터 상기 인덱스 정보에 대응되는 리소스 크기를 확정할 수 있다. 즉 인덱스 정보와 테이블에 따라 제2 전송 리소스의 크기를 확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방식에서, 제2 정보 필드란 제2 PSCCH가 점용하는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의 크기 및/또는 타임 도메인 부호의 수량을 가리키며,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정보 필드에 따라 제2 전송 리소스의 크기를 확정할 수 있다.
제2 PSCCH는 PSSCH와 동일한 MCS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제2 PSCCH는 모종의 변조 방식을 고정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직교 위상 천이 변조(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를 사용하여 변조한다. 제2 PSCCH와 PSSCH의 MCS가 다르다면, 제1 PSCCH 에서 제2 PSCCH가 사용한 변조 방식 및/또는 코드율을 지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PSCCH는 PSSCH와 동일한 코드율을 사용할 수도 있고, PSSCH와 다른 코드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PSCCH는 PSSCH에 비해 낮은 코드율을 사용함으로써 제2 PSCCH의 검출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제2 PSCCH의 전송 리소스를 증가시킴으로써 코드율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제1 파라미터를 기초로 초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최종적인 제2 전송 리소스의 크기를 확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PSCCH에서 전달되는 제2 전송 리소스를 확정하기 위한 정보를 통해 확정된 제2 전송 리소스의 크기가 상기 초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크기이다.
제1 파라미터는 초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크기와 최종적인 제2 전송 리소스의 크기의 비율로 해석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송신단 또는 수신단)는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여, 제1 파라미터와 초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크기에 따라 최종적인 제2 전송 리소스의 크기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라미터는 높은 계층에 구성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성될 수도 있으며, 사전 구성될 수도 있다. 수신단의 경우, 제1 PSCCH를 통해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PSCCH에서 전달되는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CI)의 정보 비트수는 80비트이고, PSSCH의 MCS는 16 직교 진폭 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와 0.5 코드율에 대응되는 경우, 제2 PSCCH의 변조 코딩 방식과 PSSCH의 변조 코딩 방식이 동일하다면, 제2 PSCCH는 40개의 리소스 유닛(resource element, RE)을 점용해야 한다. 즉, 80/(0.5*4) = 40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1 파라미터에 따라 제2 PSCCH가 점용한 전송 리소스를 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드 1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리소스를 할당 시,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로 제1 파라미터를 전달하며, 제1 파라미터가 2일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2 PSCCH가 점용한 전송 리소스의 크기가 80개의 RE라고 확정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PSCCH에서 전달되는 제2 SCI의 정보 비트수는 80비트이고, PSSCH의 MCS가 16QAM 변조와 0.5 코드율에 대응되는 경우, 제2 PSCCH의 코드율과 PSSCH의 코드율이 같고, 제2 PSCCH의 변조 방식이 QPSK 변조라면, 즉 제2 PSCCH는 80개의 RE를 점용해야 한다. 즉, 80/(0.5*2) = 80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1 파라미터에 따라 제2 PSCCH가 점용한 전송 리소스를 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드 2에서, 리소스 풀 구성 정보는 제1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제1 파라미터가 1.5일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2 PSCCH가 점용한 전송 리소스의 크기가 120개의 RE라고 확정한다.
이하 제2 전송 리소스의 위치를 확정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선택적으로, 제2 전송 리소스의 위치는 제1 PSCCH의 전송 리소스를 통해 확정할 수 있거나, 또는 제2 전송 리소스의 위치는 PSSCH의 전송 리소스를 통해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위치를 제1 PSCCH가 점유한 마지막 타임 도메인 부호의 다음 부호로부터 시작되도록 구성하고, 주파수도메인의 시작 위치와 PSSCH의 주파수도메인의 시작 위치는 동일하며, 주파수도메인이 먼저, 타임 도메인이 나중인 방식으로 리소스 매핑을 수행함으로써 제2 전송 리소스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SCI는 제1 정보 필드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정보 필드는 제2 전송 리소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전송 리소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가 인접한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거나; 및/또는 제1 정보 필드는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가 인접한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정보 필드가 2개의 비트이고, 제1 정보 필드가 "00"인 경우, 제2 전송 리소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전송 리소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는 인접하지 않고, 또한,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인접하지 않음을 나타내며; 제1 정보 필드가 "01"인 경우, 제2 전송 리소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전송 리소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는 인접하지 않고, 또한,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인접함을 나타내며; 제1 정보 필드가 "10"인 경우, 제2 전송 리소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전송 리소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는 인접하고, 또한,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인접하지 않음을 나타내며; 제1 정보 필드가 "11"인 경우, 제2 전송 리소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전송 리소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는 인접하고, 또한,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제1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인접함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타임 도메인 리소스 A와 타임 도메인 리소스 B가 인접하는 경우는, 타임 도메인 리소스 A가 타임 도메인 리소스 B의 앞에 위치하는 경우; 타임 도메인 리소스 A가 타임 도메인 리소스 B의 뒤에 위치하는 경우; 타임 도메인 리소스 A가 타임 도메인 리소스 B의 앞과 뒤에 위치하는 경우인 세 가지 상황을 포함한다. 이밖에,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 도메인 부호, 예를 들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부호일 수도 있고, 기타 타임 도메인 리소스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1 전송 리소스와 제2 전송 리소스의 설명도이다. 간결함을 위해, 도 4는 PSSCH DMRS를 도시하지 않았다.
도 4에서, 면적이 가장 작은 직사각형으로 RE를 표시하였으며, 도 4는 시간축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착적으로 부호 0에서 부호 13까지, 14개의 타임 도메인 부호의 전송 리소스를 도시하였다. 이하 본문 중의 기타 유사한 도형 역시 이러한 의미를 갖는다.
제1 PSCCH와 제2 PSCCH는 모두 부호 1 내지 부호 3에 매핑되며, 이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서로 인접해 있다. 제2 PSCCH는 제1 PSCCH가 점용한 첫 번째 타임 도메인 부호로부터, 또한 제1 PSCCH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와 인접한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로부터 매핑을 시작하며, 먼저 주파수 도메인을 매핑한 다음, 타임 도메인을 매핑한다. 주파수 도메인 매핑 시, 부반송파에 따라 오름차순 순서로 매핑하고, 타임 도메인 매핑 시, 타임 도메인 부호에 따라 오름차순 순서로 매핑한다. 제2 PSCCH는 PSSCH DMRS가 점용한 RE에 매핑될 수 없다. 제1 PSCCH가 점용한 타임 도메인 부호가 모든 제2 PSCCH를 매핑하기에 부족하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PSCCH가 점용한 타임 도메인 부호와 인접한 타임 도메인 부호로부터 제2 PSCCH를 계속 매핑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하여, 도 5에는 PSSCH DMRS를 도시하지 않았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제1 전송 리소스와 제2 전송 리소스의 설명도이다. 간결함을 위하여, 도 6에는 PSSCH DMRS를 도시하지 않았다.
제2 PSCCH는 제1 PSCCH가 점용한 마지막 타임 도메인 부호와 인접한 타임 도메인 부호로부터 매핑을 시작하며, 먼저 주파수 도메인을 매핑한 다음, 타임 도메인을 매핑한다. 일부 코딩 방식의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모든 부호 상의 제2 PSCCH를 수신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디코딩을 할 필요 없이, 일부 부호 상의 제2 PSCCH를 수신한 후 바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선 주파수 도메인 후 타임 도메인의 매핑 방식이 디코딩 지연 시간을 낮추기에 유리하다.
도 4에서, 제1 전송 리소스와 제2 전송 리소스는 주파수 도메인이 서로 인접하고; 도 5에서, 제1 전송 리소스와 제2 전송 리소스는 주파수 도메인이 서로 인접하고 타임 도메인이 서로 인접하며며; 도 6에서, 제1 전송 리소스와 제2 전송 리소스는 타임 도메인이 서로 인접하다.
단말 디바이스(수신단)는 제1 SCI 중의 제1 정보 필드, 제2 정보 필드, 제1 파라미터 등의 정보에 따라 제2 전송 리소스의 위치와 크기를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정보 필드, 제2 정보 필드와 제1 파라미터는 상이한 SCI에 위치할 수도 있다.
신호 전송 과정에서 감쇠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단은 DMRS에 따라 채널 성능을 추정해야 한다. DMRS의 타임 도메인에 비교적 가까운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그 채널 추정 결과가 더욱 정확하다. 제2 PSCCH를 PSSCH의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동일하거나 및/또는 인접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에 매핑하면 제2 PSCCH의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몇 개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2 PSCCH의 몇 가지 매핑 방법을 설명한다.
방법 1.
PSSCH DMRS를 포함하는 타임 도메인 부호 상의 리소스가 모든 제2 PSCCH를 전달할 수 있는 경우,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PSSCH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동일하다. 즉, 제2 PSCCH가 PSSCH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에 전부 매핑될 수 있는 경우, 우선적으로 제2 PSCCH를 PSSCH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에 매핑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PSCCH는 부호 1 내지 부호 3에 매핑되고, PSSCH DMRS가 점용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부호 4, 부호 5, 부호 9와 부호 10이다. 상기 4개의 부호에 대응되는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가 모든 제2 PSCCH를 매핑할 수 있다면, 제2 PSCCH를 상기 4개의 부호에 매핑시킨다. 선택적으로 수신단이 제2 PSCCH를 최대한 빨리 검출하여 데이터의 전송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제2 PSCCH를 타임 도메인 위치 전방의 부호에 우선적으로 매핑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PSCCH는 부호 1 내지 부호 3에 매핑되고, PSSCH DMRS가 점용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부호 1, 부호 6과 부호 11이다. 상기 3개의 부호에 대응되는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가 모든 제2 PSCCH를 매핑할 수 있다면, 제2 PSCCH를 상기 3개의 부호에 매핑시킨다. 선택적으로 수신단이 제2 PSCCH를 최대한 빨리 검출하여 데이터의 전송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제2 PSCCH를 타임 도메인 위치 전방의 부호에 우선적으로 매핑한다. 여기서, 부호 1에는 제1 PSCCH가 더 매핑되고, 제2 PSCCH가 매핑된 전송 리소스(즉, 제2 전송 리소스)와 제1 PSCCH가 매핑된 전송 리소스(즉, 제1 전송 리소스)는 중첩되지 않는다. 따라서 동일한 타임 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서로 다른 신호를 전송하여 발생하는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중첩되지 않는다 함은 제2 전송 리소스에 포함된 모든 RE가 제1 전송 리소스에 포함된 모든 RE와 완전히 다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방법 2.
PSSCH DMRS를 포함하는 타임 도메인 부호 상의 리소스가 일부 제2 PSCCH를 전달할 수 있는 경우, 제2 전송 리소스는 PSSCH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동일하거나 인접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PSSCH DMRS를 포함하는 타임 도메인 부호 상의 리소스가 일부 제2 PSCCH만 매핑할 수 있는 경우, 우선적으로 일부 제2 PSCCH를 PSSCH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에 매핑하고, 나머지 부분은 다시 PSSCH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인접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에 매핑한다. 이렇게 하면 최대한 많은 제2 PSCCH를 PSSCH DMRS가 소재하는 타임 도메인 리소스에 매핑시킬 수 있어, 제2 PSCCH의 채널 추정 결과의 정확성이 향상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PSCCH는 부호 1 내지 부호 3에 매핑되고, PSSCH DMRS가 점용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부호 4와 부호 9이다. 상기 2개의 부호에 대응되는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가 일부 제2 PSCCH만 매핑할 수 있다면, 즉 일부 제2 PSCCH를 상기 2개의 부호에 매핑한 다음, 나머지 제2 PSCCH를 부호 4와 인접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에 매핑한다.
선택적으로, 나머지 제2 PSCCH를 PSSCH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인접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에 매핑 시, 나머지 제2 PSCCH를 첫 번째 PSSCH DMRS의 타임 도메인 부호와 인접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에 매핑한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나머지 제2 PSCCH를 2개의 타임 도메인 부호에 매핑해야 한다면, 즉 우선적으로 나머지 제2 PSCCH를 첫 번째 PSSCH DMRS의 타임 도메인 부호(즉 부호 4)와 인접한 타임 도메인 부호에 매핑한다. 예를 들어, 타임 도메인 부호 5와 타임 도메인 부호 6에 매핑하거나; 또는 타임 도메인 부호 3과 타임 도메인 부호 5에 매핑한다.
방법 3.
PSSCH DMRS를 포함하는 타임 도메인 부호 상의 리소스가 제2 PSCCH를 전달할 수 없는 경우,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PSSCH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인접하다. 예를 들어, PSSCH DMRS를 포함하는 타임 도메인 부호 상의 리소스가 이미 전부 PSSCH DMRS에 의해 점용된 경우, 제2 PSCCH를 PSSCH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인접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에 매핑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PSCCH는 부호 1 내지 부호 3에 매핑되고, PSSCH DMRS가 점용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부호 4와 부호 9이며, 여기서, 각각의 PSSCH DMRS 부호는 2개의 안테나 포트의 DMRS를 지원하고, 상기 2개의 안테나 포트의 DMRS는 주파수 분할 다중이다. 즉 동일한 PSSCH DRMS 부호에서, 서로 다른 안테나 포트의 DMRS는 각각 다른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를 점용한다. 도 10 중의 PSSCH DMRS의 타임 도메인 부호에 제2 PSCCH 매핑을 위한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가 없다면, 즉 제2 PSCCH는 첫 번째 PSSCH DMRS의 타임 도메인 부호(즉 부호 4)와 인접한 부호로부터 매핑을 시작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PSCCH는 첫 번째 PSSCH DMRS의 타임 도메인 부호 다음의 인접한 타임 도메인 부호로부터 매핑을 시작하며, 예를 들어, 부호 5부터 매핑을 시작한다. 제2 PSCCH의 리소스를 매핑 시, 선 주파수 도메인 후 타임 도메인의 순서로 매핑을 수행한다. 즉 부호 5에서, 부반송파에 따라 오름차순의 순서로 제2 PSSCH를 매핑한 다음, 부호 6에서 제2 PSSCH를 매핑하며, 모든 제2 PSCCH의 매핑이 완료될 때까지 이와 같이 유추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PSCCH는 부호 1 내지 부호 3에 매핑되고, PSSCH DMRS가 점용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부호 4와 부호 9이며, 여기서, 각각의 PSSCH DMRS 부호는 2개의 안테나 포트의 DMRS를 지원하고, 상기 2개의 안테나 포트의 DMRS는 주파수 분할 다중이다. 즉 동일한 PSSCH DRMS 부호에서, 서로 다른 안테나 포트의 DMRS는 각각 다른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를 점용한다. 도 11 중의 PSSCH DMRS의 타임 도메인 부호에 제2 PSCCH 매핑을 위한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가 없다면, 즉 제2 PSCCH는 첫 번째 PSSCH DMRS의 타임 도메인 부호(즉 부호 4)와 인접한 부호로부터 매핑을 시작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PSCCH를 첫 번째 PSSCH DMRS의 타임 도메인 부호와 인접한 타임 도메인 부호에 먼저 매핑한 다음, 그 다음 인접한 타임 도메인 부호에 매핑하며, 이와 같이 유추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PSSCH DMRS 타임 도메인 부호가 부호 4라면, 즉 제2 PSCCH를 부호 3과 부호 5에 대응되는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에 먼저 매핑하고, 나머지 제2 PSCCH가 더 있다면, 다시 제2 PSCCH를 부호 2와 부호 6에 매핑하여, 제2 PSCCH의 매핑이 완료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유추한다.
선택적으로, 제2 PSCCH에 다수의 가용 PSSCH DMRS 타임 도메인 리소스가 있는 경우, 제2 PSCCH는 첫 번째(즉, 최전방에 위치한 타임 도메인) PSSCH DMRS 타임 도메인 리소스에 우선적으로 매핑될 수 있다. 첫 번째 PSSCH DMRS 타임 도메인 리소스가 제2 PSCCH를 전달하기에 불충분하다면, 제2 PSCCH를 첫 번째 PSSCH DMRS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인접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에 매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수신단은 최대한 빨리 제2 PSCCH를 검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최대한 빠르게 PSSCH를 디코딩하여 데이터의 전송 지연을 줄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PSCCH는 부호 1 내지 부호 3에 매핑되고, PSSCH DMRS가 점용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부호 5와 부호 10이며, 수신단이 최대한 빨리 제2 PSCCH를 검출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2 PSCCH를 부호 5 및 부호 5와 인접한 부호 6과 부호 7에 매핑할 수 있으며, 부호 10에는 제2 PSCCH를 매핑하지 않는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PSCCH는 부호 1 내지 부호 3에 매핑되고, PSSCH DMRS가 점용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부호 4와 부호 9이며, 수신단이 최대한 빨리 제2 PSCCH를 검출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2 PSCCH를 부호 4 및 부호 4와 인접한 부호 5과 부호 6에 매핑할 수 있으며, 부호 9에는 제2 PSCCH를 매핑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하나의 타임 슬롯 내에 위치하며, 또한,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 슬롯의 첫 번째 타임 도메인 부호와 마지막 타임 도메인 부호를 포함하지 않는다.
하나의 타임 슬롯 중, 첫 번째 부호는 통상적으로 자동 이득 제어(Automatic Gain Control, AGC)를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복조와 다르며, 마지막 부호는 통상적으로 보호 구간(guard period, GP)으로 사용되고, 통상적으로 데이터가 매핑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PSCCH를 첫 번째 부호와 마지막 부호를 제외한 부호에 매핑하면 정보의 검출 누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본문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 확정 방법의 예시를 상세히 소개하였다.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 확정 장치는 상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각 기능에 상응하는 하드웨어 구조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라면 본문에서 공개한 실시예에 기술된 각 예시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와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결합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어느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실행되는지 아니면 컴퓨터 소프트웨어 구동 하드웨어 방식으로 실행되는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설계 제약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라면 각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각기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본문에 기술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단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서는 안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기 방법의 예시에 따라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 확정 장치에 대해 기능 유닛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기능을 각각의 기능 유닛으로 구분할 수도 있고, 2개 또는 2개 이상의 기능을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유닛에 대한 구분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단지 논리 기능의 구분일 뿐이며, 실제 구현 시에는 별도의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 확정 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상기 장치(1400)는 처리 유닛(1410)을 포함하며, 처리 유닛(1410)은 이하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PSSCH를 전송하기 위한 제3 전송 리소스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3 전송 리소스 내에서 제2 전송 리소스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상기 PSSCH의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동일하거나 및/또는 인접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제2 물리 PSCCH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전송 리소스는 제1 PSCCH를 전송하기 위한 제1 전송 리소스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가 모든 상기 제2 PSCCH를 전달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동일하고; 또는,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가 일부 상기 제2 PSCCH를 전달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동일하거나 인접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이니 리소스가 상기 제2 PSCCH를 전달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인접하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1410)은 또한,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가 전부 또는 일부 상기 제2 PSCCH를 전달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2 PSCCH를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에 우선적으로 매핑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1410)은 또한, 상기 제2 PSCCH를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에서 선 주파수도메인 후 타임 도메인의 방식에 따라 매핑한다.
선택적으로, 복조 기준 신호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동일하거나 및/또는 인접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상기 DMRS의 첫 번째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동일하거나 및/또는 인접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PSCCH에서 전달되는 제1 SCI는 제1 정보 필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정보 필드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가 인접한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거나, 및/또는 상기 제1 정보 필드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가 인접한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PSCCH에서 전달되는 제1 SCI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크기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제2 PSCCH의 집계 수준; 상기 제2 PSCCH에서 전달되는 제2 SCI의 포맷, 상기 제2 PSCCH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의 크기; 상기 제2 PSCCH에 의해 점용된 타임 도메인 부호의 수량;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리소스 집합 중에서의 인덱스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리소스 집합은 사전 설정되거나 또는 사전 구성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1410)은 또한,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처리 유닛(14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정보 필드에 따라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크기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1410)은 구체적으로, 사전 구성 정보 또는 사전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방식; 수신 유닛을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방식; 리소스 풀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방식; 수신 유닛을 통해 상기 제1 PSCCH를 수신하고, 상기 제1 PSCCH에 따라 상기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방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상기 제1 전송 리소스와 중첩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하나의 타임 슬롯 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상기 타임 슬롯의 첫 번째 타임 도메인 부호와 마지막 타임 도메인 부호를 포함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PSCCH에서 전달되는 제1 SCI는 제3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 필드는 리소스 감청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PSCCH에서 전달되는 제2 SCI는 상기 PSSCH를 복조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리소스 감청을 위한 정보는, 상기 제3 전송 리소스의 정보, 상기 PSSCH에서 전달되는 트래픽의 우선 순위 정보, 예약 전송 리소스의 지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PSSCH를 복조하기 위한 정보는, MCS, 전송 계층수, HARQ 프로세스 번호, NDI, 상기 PSSCH를 전송하는 단말 디바이스의 식별자 정보 및 목표 식별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장치(1400)가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 확정 방법을 실행하는 구체적인 방식 및 발생되는 유익한 효과는 방법 실시예 중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단말 디바이스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5 중의 점선은 상기 유닛 또는 상기 모듈이 선택적인 것임을 나타낸다. 디바이스(1500)는 상기 방법 실시예에 기술된 방법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500)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칩일 수 있다.
디바이스(1500)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1501)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1501)는 디바이스(1500)가 도 3 내지 도 13에 대응되는 방법 실시예 중의 방법을 지원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1)는 범용 프로세서 또는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1)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다. CPU는 디바이스(1500)에 대해 제어를 수행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500)는 신호의 입력(수신)과 출력(송신)을 구현하기 위한 통신 유닛(15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500)는 칩일 수 있으며, 통신 유닛(1505)은 상기 칩의 입력 및/또는 출력 회로일 수 있고, 또는, 통신 유닛(1505)은 상기 칩의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상기 칩은 단말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기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 부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500)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통신 유닛(1505)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송수신기일 수 있거나, 또는 통신 유닛(1505)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송수신 회로일 수 있다.
디바이스(1500)는 프로그램(1504)이 저장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메모리(15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1504)은 프로세서(1501)에 의해 실행되어 명령어(1503)를 생성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501)는 명령어(1503)에 따라 상기 방법 실시예에 기술된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메모리(1502)에는 데이터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501)는 메모리(1502)에 저장된 데이터를 더 읽을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는 프로그램(1504)과 동일한 저장 주소에 저장될 수도 있고, 상기 데이터는 프로그램(1504)과 다른 저장 주소에 저장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501)와 메모리(1502)는 단독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함께 집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에 집적될 수 있다.
디바이스(1500)는 안테나(15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1505)은 안테나(1506)를 통해 디바이스(1500)의 송수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1501)가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의 확정 방법을 실행하는 구체적인 방식 및 발생되는 유익한 효과는 방법 실시예 중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1501) 중의 하드웨어 형식의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어를 통해 완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프로세서(1501)는 CPU,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전용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예를 들어 디스크리트 게이트(discrete gate),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또는 디스크리트 하드웨어 어셈블리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프로세서(1501)에 의해 실행 시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어느 한 방법 실시예의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메모리(1502)에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로그램(1504)은, 전처리, 컴파일링, 어셈블리와 링크 등 처리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프로세서(150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실행 가능 목표 파일로 전환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컴퓨터 가독 저장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시 본 출원 중의 어느 하나의 방법 실시예의 상기 방법을 실행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고급 언어 프로그램일 수도 있고, 실행 가능 목표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 가독 저장매체는 예를 들어 메모리(1502)이다. 메모리(15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메모리(1502)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리드 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리드 온리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삭제가능 프로그래머블 리드 온리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삭제 가능 프로그래머블 리드 온리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고속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예시적이나 비제한적인 설명을 통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2배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증강형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싱크링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와 직접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와 같은 다양한 형식의 RAM이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기술의 편의와 간결함을 위해, 상기 기술된 장치와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 및 발생되는 기술 효과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과정과 기술 효과를 참조할 수 있음을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몇 가지 실시예에서, 공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기타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술된 방법 실시예의 일부 특징은 생략되거나 실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일 것일 뿐이고,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 기능의 구분일 뿐이며, 실제 구현 시에는 별도의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다수 유닛 또는 어셈블리는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시스템에 집적될 수 있다. 또한, 각 유닛 간의 결합 또는 각 어셈블리 간의 결합은 직접 결합일 수도 있고, 간접 결합일 수도 있으며, 상기 결합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의 연결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각종 실시예에서, 각 과정의 번호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재적 논리로 확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해 어떠한 제약도 구성해서는 안 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문 중의 용어인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본문에서 종종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문 중의 용어인 "및/또는"은 단지 일종의 연관 객체의 연관 관계를 기술하는 것에 불과하여, 3종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인 3가지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문 중의 문자 부호"/"는 일반적으로 전후 연관 객체가 "OR"의 관계인 것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이상의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기술방안에 대하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본 출원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출원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실시되는 모든 수정, 등가의 교체, 개선 등은 전부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36)

  1. 사이드링크의 전송 리소스 확정 방법에 있어서,
    물리적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SSCH)을 전송하기 위한 제3 전송 리소스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3 전송 리소스 내에서 제2 전송 리소스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상기 PSSCH의 복조 기준 신호(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동일하거나 및/또는 인접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제2 PSCCH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전송 리소스는 제1 PSCCH를 전송하기 위한 제1 전송 리소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링크의 전송 리소스 확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가 모든 상기 제2 PSCCH를 전달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가 일부 상기 제2 PSCCH를 전달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동일 및 이웃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를 포함하나; 또는,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가 상기 제2 PSCCH를 전달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가 모든 또는 일부 상기 제2 PSCCH를 전달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2 PSCCH를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에 우선적으로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PSCCH를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상에서 선 주파수 도메인 후 타임 도메인의 방식으로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복조 기준 신호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동일하거나 및/또는 인접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를 포함하며, 이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상기 DMRS의 첫 번째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동일하거나 및/또는 인접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SCCH에서 전달되는 제1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는 제1 정보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 필드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가 인접한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거나; 및/또는
    상기 제1 정보 필드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가 인접한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SCCH에서 전달되는 제1 SCI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크기를 확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제2 PSCCH의 집계 수준;
    상기 제2 PSCCH에서 전달되는 제2 SCI의 포맷;
    상기 제2 PSCCH가 점용하는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의 크기;
    상기 제2 PSCCH가 점용하는 타임 도메인 부호의 수량;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리소스 집합 중에서의 인덱스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리소스 집합은 사전 설정되거나 또는 사전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전송 리소스 내에서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정보 필드에 따라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크기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사전 구성 정보 또는 사전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방식;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방식;
    리소스 풀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방식;
    상기 제1 PSCCH를 수신하고; 상기 제1 PSCCH에 따라 상기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방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상기 제1 전송 리소스와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하나의 타임 슬롯 내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상기 타임 슬롯의 첫 번째 타임 도메인 부호와 마지막 타임 도메인 부호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SCCH에서 전달되는 제1 SCI는 제3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 필드는 리소스 감청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PSCCH에서 전달되는 제2 SCI는 상기 PSSCH를 복조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감청을 위한 정보는,
    상기 제3 전송 리소스의 정보, 상기 PSSCH에서 전달되는 트래픽의 우선 순위 정보, 예약 전송 리소스의 지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PSSCH를 복조하기 위한 정보는,
    변조 코딩 방식(MCS), 전송 계층수,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프로세스 번호, 신규 데이터 지시자(NDI), 상기 PSSCH를 전송하는 단말 디바이스의 식별자 정보 및 목표 식별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사이드링크의 전송 리소스 확정 장치에 있어서,
    물리적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SSCH)을 전송하기 위한 제3 전송 리소스를 확정하고;
    상기 제3 전송 리소스 내에서 제2 전송 리소스를 확정하기 위한 처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상기 PSSCH의 복조 기준 신호(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동일하거나 및/또는 인접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제2 PSCCH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전송 리소스는 제1 PSCCH를 전송하기 위한 제1 전송 리소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링크의 전송 리소스 확정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가 모든 상기 제2 PSCCH를 전달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가 일부 상기 제2 PSCCH를 전달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동일 및 이웃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를 포함하나; 또는,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가 상기 제2 PSCCH를 전달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가 모든 또는 일부 상기 제2 PSCCH를 전달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2 PSCCH를 상기 DMRS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에 우선적으로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2 PSCCH를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상에서 선 주파수 도메인 후 타임 도메인의 방식으로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복조 기준 신호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동일하거나 및/또는 인접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를 포함하며, 이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상기 DMRS의 첫 번째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동일하거나 및/또는 인접한 타임 도메인 리소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SCCH에서 전달되는 제1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는 제1 정보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 필드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가 인접한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거나; 및/또는
    상기 제1 정보 필드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가 인접한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SCCH에서 전달되는 제1 SCI는 제2 정보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크기를 확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필드는
    상기 제2 PSCCH의 집계 수준;
    상기 제2 PSCCH에서 전달되는 제2 SCI의 포맷;
    상기 제2 PSCCH가 점용하는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의 크기;
    상기 제2 PSCCH가 점용하는 타임 도메인 부호의 수량;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리소스 집합 중에서의 인덱스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리소스 집합은 사전 설정되거나 또는 사전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장치.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정보 필드에 따라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크기를 확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사전 구성 정보 또는 사전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방식;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방식;
    리소스 풀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방식;
    상기 제1 PSCCH를 수신하고; 상기 제1 PSCCH에 따라 상기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방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16항 내지 제2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리소스는 상기 제1 전송 리소스와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16항 내지 제2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하나의 타임 슬롯 내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제2 전송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상기 타임 슬롯의 첫 번째 타임 도메인 부호와 마지막 타임 도메인 부호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16항 내지 제2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SCCH에서 전달되는 제1 SCI는 제3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 필드는 리소스 감청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PSCCH에서 전달되는 제2 SCI는 상기 PSSCH를 복조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감청을 위한 정보는,
    상기 제3 전송 리소스의 정보, 상기 PSSCH에서 전달되는 트래픽의 우선 순위 정보, 예약 전송 리소스의 지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PSSCH를 복조하기 위한 정보는,
    변조 코딩 방식(MCS), 전송 계층수,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프로세스 번호, 신규 데이터 지시자(NDI), 상기 PSSCH를 전송하는 단말 디바이스의 식별자 정보 및 목표 식별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단말 디바이스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운용하여,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3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운용하여, 제1, 2, 5, 11항 및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3. 칩에 있어서,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운용하여 상기 칩이 장착된 디바이스가 제1항 내지 제15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34. 컴퓨터 가독 저장매체에 있어서,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가독 저장매체.
  35.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6.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7043148A 2019-09-30 2019-09-30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의 확정 방법과 장치 KR202200728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109284 WO2021062580A1 (zh) 2019-09-30 2019-09-30 确定侧行链路传输资源的方法和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806A true KR20220072806A (ko) 2022-06-02

Family

ID=75337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3148A KR20220072806A (ko) 2019-09-30 2019-09-30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의 확정 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124683A1 (ko)
EP (1) EP3975642A4 (ko)
JP (2) JP7387771B2 (ko)
KR (1) KR20220072806A (ko)
CN (2) CN114430538B (ko)
AU (1) AU2019468770A1 (ko)
BR (1) BR112021026719A2 (ko)
IL (1) IL289429A (ko)
WO (1) WO20210625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6513A (zh) * 2019-03-26 2020-10-0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控制信息的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937231B2 (en) * 2020-06-23 2024-03-19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communication reliability
CN115066031B (zh) * 2022-08-18 2022-11-22 合肥移瑞通信技术有限公司 侧行通信的方法及装置
EP4351259A1 (en) 2022-08-18 2024-04-10 Quectel Wireless Solutions Co., Ltd Sidelink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3204B (zh) * 2014-12-31 2020-05-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资源池配置方法及设备
US10123285B2 (en) * 2016-10-12 2018-11-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ducing transmission power and vehicle-to-everything (V2X)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CN108632780B (zh) * 2017-03-23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传输方法及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430538A (zh) 2022-05-03
JP2024020391A (ja) 2024-02-14
WO2021062580A1 (zh) 2021-04-08
AU2019468770A1 (en) 2022-02-03
EP3975642A1 (en) 2022-03-30
CN113812194A (zh) 2021-12-17
IL289429A (en) 2022-02-01
JP7387771B2 (ja) 2023-11-28
CN114430538B (zh) 2023-07-21
US20220124683A1 (en) 2022-04-21
EP3975642A4 (en) 2022-06-15
JP2023501032A (ja) 2023-01-18
BR112021026719A2 (pt)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5780B2 (en)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transmiss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network side device and terminal
US10820338B2 (en)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for RNTI-based PDSCH downlink slot aggregation
RU2725159C1 (ru) Способы и узлы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размера блока данных передачи
US202002595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U2018328285B2 (en)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for RNTI-based PDSCH downlink slot aggregation
EP3665843A1 (en)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KR20220072806A (ko) 사이드링크 전송 리소스의 확정 방법과 장치
CN109257820B (zh) 通信方法和设备
WO2017079560A1 (en)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RU2738395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управления
WO2022028584A1 (zh) 配置方法、通信节点及存储介质
US101786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 for control channel in multi-beam environm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channel in multi-beam environment
CN108282275B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WO2019184565A1 (zh) 物理下行共享信道接收及其时域资源指示方法、装置、存储介质、基站、终端
WO2018130054A1 (zh) 一种数据接收、发送方法和接收、发送设备
US109866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ti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89278A1 (en)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for priority rules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s
RU2790657C1 (ru)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ресурса передачи прямого соединения
WO2021081852A1 (zh) 一种资源指示方法及相关设备
RU2814209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WO2022183765A1 (zh) 信息传输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120041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downlink control signal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20230345495A1 (en) Uplink control information sending method and receiving method, apparatuses, device, and medium
WO2014124667A1 (en) Control channel distrib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