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2651A - Led를 이용한 차량의 소독시스템 - Google Patents

Led를 이용한 차량의 소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2651A
KR20220072651A KR1020200160493A KR20200160493A KR20220072651A KR 20220072651 A KR20220072651 A KR 20220072651A KR 1020200160493 A KR1020200160493 A KR 1020200160493A KR 20200160493 A KR20200160493 A KR 20200160493A KR 20220072651 A KR20220072651 A KR 20220072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d
vehicle
doo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우 filed Critical 박진우
Priority to KR1020200160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2651A/ko
Publication of KR20220072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8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ultraviole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 및 화물의 소독을 위하여 LED를 이용하여 화물 반출시에는 전등을 켜도록 하고, 문을 닫고 이동시에는 LED를 켜서 소독을 할 수 있도록 된 LED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소독시스템에 있어서, 엘이디를 이용한 소독 및 건조 장치를 구비한 화물운송차량(500)은 차체(510)가 외곽으로 둘러쌓여 있고, 그 후면이나 측면에 개폐문(350a)이 형성됨과 동시에 개폐감지장치(350b)가 형성되어 닫을 경우에는 LED 띠(341)의 LED(343)가 설정시간 동안 켜지고, 열 경우에는 실내등(345)이 켜져 화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후면 바깥부분에는 잠금장치(350c)가 형성되어 있되, 화물운송차량(500)의 내부를 콘트롤하는 제어부(390)는 전원부(310), 타이머 설정부(320), 온도 감지부(330),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 도어상태 감지부(350), 히팅부(360) 및 작동표시부(370)를 포함는 LED를 이용한 차량의 소독시스템이다.

Description

LED를 이용한 차량의 소독시스템{The disinfection device using the LED in the vehicle}
본 발명은 LED를 이용한 차량의 소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화물차량의 내부 및 화물의 소독을 위하여 LED를 이용하여 화물 반출시에는 전등을 켜도록 하고, 문을 닫고 이동시에는 LED를 켜서 소독을 할 수 있도록 된 LED를 이용한 차량의 소독시스템이다.
일반적인 화물배송차량은 트럭의 화물칸을 개조한 지붕이나 뚜껑이 있는 화물 자동차이며, 이를 탑차(塔車)라고도 한다.
화물배송차량의 화물칸은 미닫이 또는 여닫이 도어로 개폐되는데, 주행 중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화물칸과 탈착되는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매일 많은 화물를 배송하는 화물기사는 배송이 완료되기까지의 시간을 가늠할 수 없기 때문에 저녁 늦게까지 배송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있었고, 수취인은 배송 예정 시간을 SMS로 안내받더라도 해당 시간 안에 화물기사가 방문하지 않아 기다리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 등록특허 10-1742701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물배송차량(10)을 위한 스마트 도어록 시스템은 화물배송차량(10)의 화물칸(11) 도어(12)에 설치되어 도어(12)의 닫힘상태를 고정하는 록킹부(110)와, 록킹부(11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록킹부(1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와, 제어부(100)와 결합되어 무선통신으로 록킹부(110)의 고정 해제를 위한 개방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120)와, 개방신호를 송출하는 컨트롤러(200)를 포함한다.
록킹부(110)는 화물배송차량(10)의 화물칸(11)을 개폐하는 도어(12)가 폐쇄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잠금상태가 되고, 화물기사가 접근하면 자동으로 잠금이 해제된다.
제어부(100)는 록킹부(110)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구성으로, 화물기사가 도어(12)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록킹부(11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개방되었던 도어(12)가 폐쇄되면 록킹부(110)를 고정상태로 구동시킨다.
또한, 화물기사의 신속한 배송과 업무 효율 향상을 위해 화물기사 대신 수취인에게 배송 예정 시각을 SMS(short message service)로 전송하거나, 수신된 메시지를 빠르게 파악하기 위해 관련된 화물의 정보를 매칭시키는 작업도 수행한다.
자세한 기술적 사항은 상기 등록특허 10-1742701호의 특허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갖는 살균장치는, 살균장치에 의해 노출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는 자외선(UV)을 통해 살균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살균장치에 있어서, 살균동작이 이루어지는 온 동작 상태와 살균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오프 동작상태에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외부에 의한 충격에 의해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의 노출부분이 손상될 수 있으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의 노출면에 쌓이는 먼지 등에 의해 살균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물배송차량을 위한 스마트 도어록 시스템은 화물배송차량의 화물칸에 적재된 화물상자의 도난을 방지하고, 화물들이 배송될 예상 배송 시간을 산출하여 화물기사 및 수취자가 스케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서는 유용하나, 화물물건이 들어 있는 차량 내부에 코로나 등의 병균 및 포장용기에 대하여 간단하면서 효율적으로 살균 등의 소독 처리를 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 내에 살균용 LED를 설치하여 화물 또는 화물차량 내부, 승객이나 어린이 운송 및 택시승객용 차량 등을 살균 및 소독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엘이디를 이용한 소독 및 건조 장치를 구비한 화물운송차량(500)은 차체(510)가 외곽으로 둘러쌓여 있고, 그 후면이나 측면에 개폐문(350a)이 형성됨과 동시에 개폐감지장치(350b)가 형성되어 닫을 경우에는 LED 띠(341)의 LED(343)가 설정시간 동안 켜지고, 열 경우에는 실내등(345)이 켜져 화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후면 바깥부분에는 잠금장치(350c)가 형성되어 있되, 화물운송차량(500)의 내부를 콘트롤하는 소독시스템(300)은 전원부(310), 타이머 설정부(320), 온도 감지부(330),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 도어상태 감지부(350), 히팅부(360), 작동표시부(370), 차내인체감지부(380)및 제어부(390)를 포함는 LED를 이용한 차량의 소독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원부(310)는 직류전원 또는 펄스(pulse)를 통해 각각의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타이머 설정부(320)는 엘이디(LED)들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며, 상기 온도 감지부(330)는 피소독건조물이 수납되는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는 피소독건조물의 상태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을 갖고 빛을 방출하는 복수개의 엘이디(LED)와 실내에 설치된 실내등을 선택적으로 선택 구동하며, 상기 도어상태 감지부(350)는 피소독건조물이 수납되는 차량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상태를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에 의하여 감지하고, 상기 히팅부(360)는 화물차량의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며, 상기 작동표시부(370)는 전원의 상태, 온도감지부의 작동상태, 엘이디/실내등의 선택 구동상태, 도어의 여닫이 상태, 히터의 작동 상태를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차내인체감지부(380)는 차량 내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신하며, 상기 제어부(390)는 전원부(310), 타이머 설정부(320), 온도 감지부(330), 자외선 엘이디 선택구동부(340), 도어상태 감지부(350), 히팅부(360), 작동표시부(370) 및 차내인체감지부(380)를 제어하되, 도어를 닫을 경우 상기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는 상기 자외선 엘이디 선택구동부를 15분간 가동하고, 도어를 열거나 차내인체감지부(380)에 의하여 인체를 감지할 경우 상기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는 상기 실내등 선택구동부를 지속적으로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차량의 소독시스템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엘이디를 이용한 소독 및 건조 장치를 구비한 승객탑승차량(600)(700)(800)은 차체(510)가 외곽으로 둘러쌓여 있고, 그 후면이나 측면에 개폐문(350a)이 형성됨과 동시에 개폐감지장치(350b)가 형성되어 닫을 경우에는 LED 띠(341)의 LED(343)가 설정시간 동안 켜지고, 열 경우에는 실내등(345)이 켜져 화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후면 바깥부분에는 잠금장치(350c)가 형성되어 있되, 승객탑승차량(600)(700)(800)의 내부를 콘트롤하는 소독시스템(300)은 전원부(310), 타이머 설정부(320), 온도 감지부(330),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 도어상태 감지부(350), 히팅부(360), 작동표시부(370), 차내인체감지부(380) 및 제어부(390)를 포함는 LED를 이용한 차량의 소독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원부(310)는 직류전원 또는 펄스(pulse)를 통해 각각의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타이머 설정부(320)는 엘이디(LED)들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며, 상기 온도 감지부(330)는 피소독건조물이 수납되는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는 피소독건조물의 상태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을 갖고 빛을 방출하는 복수개의 엘이디(LED)와 실내에 설치된 실내등을 선택적으로 선택 구동하며, 상기 도어상태 감지부(350)는 피소독건조물이 수납되는 차량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상태를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에 의하여 감지하고, 상기 히팅부(360)는 화물차량의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며, 상기 작동표시부(370)는 전원의 상태, 온도감지부의 작동상태, 엘이디/실내등의 선택 구동상태, 도어의 여닫이 상태, 히터의 작동 상태를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차내인체감지부(380)는 차량 내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신하며, 상기 제어부(390)는 전원부(310), 타이머 설정부(320), 온도 감지부(330),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 도어상태 감지부(350), 히팅부(360), 작동표시부(370) 및 차내인체감지부(380)를 제어하되, 상기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는 차내인체감지부(380)에 의하여 인체를 감지할 경우 상기 실내등 선택구동부를 일정시간 타이머에 의하여 가동하고, 도어를 닫고 인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자외선 엘이디 선택구동부를 15분간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차량의 소독시스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 내에 살균용 LED를 설치하여 화물 물건 등을 살균 및 소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춤으로써, 화물 물건응 운송하는 기사나 운송받는 가정 주부 등에게도 살균 및 소독된 화물 물품을 운송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화물 또는 화물차량 내부, 승객이나 어린이 운송 및 택시승객용 차량 등을 살균 및 소독할 수 있는 효고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도어록 시스템이 설치된 화물배송차량의 화물칸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물배송차량을 위한 스마트 도어록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소독 및 건조 장치의 차량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소독 및 건조 장치의 차량 개폐문을 닫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소독 및 건조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소독 및 건조 장치의 전원을 나타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승객 탑승용 버스차량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어린이 탑승용 봉고차량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승객 탑승용 택시차량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소독 및 건조 장치의 차량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소독 및 건조 장치의 차량 개폐문을 닫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소독 및 건조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소독 및 건조 장치의 전원을 나타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소독 및 건조 장치를 구비한 화물운송차량(500)은 차체(510)가 외곽으로 둘러쌓여 있고, 그 후면이나 측면에 개폐문(350a)이 형성됨과 동시에 개폐감지장치(350b)가 형성되어 닫을 경우에는 LED 띠(341)의 LED(343)가 설정시간 동안 켜지고, 열 경우에는 실내등(345)이 켜져 화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후면 바깥부분에는 잠금장치(350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LED(343)는 차체(510)의 내부 상단 또는 하단부 테두리에 설치하고, 상기 LED(343)의 상부에는 실내등(345)가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보는 바와 같이, 화물차량의 내부를 콘트롤하는 소독시스템(300)은 전원부(310), 타이머 설정부(320), 온도 감지부(330),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 도어상태 감지부(350), 히팅부(360), 작동표시부(370), 차내인체감지부(380)및 제어부(39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310)는 직류전원 또는 펄스(pulse)를 통해 각각의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이를테면 전원부(310)는 태양광을 수집하는 태양광 수집부와, 수집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변환부와, 변환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력저장부를 구비하여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 설정부(320)는 엘이디(LED)들의 작동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소독 및 건조를 실행하기 위한 작동시간은 피소독건조물(이를 테면, 화물 박스 등)의 종류, 크기, 형태, 개수, 오염정도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다.
상기 온도 감지부(330)는 피소독건조물이 수납되는 공간(이를테면, 화물 박스 등)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에 따라 피소독건조물의 건조를 실행하기 위한 히터(heater)로 투입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피소독건조물이 수납되는 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는 피소독건조물의 상태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을 갖고 빛을 방출하는 복수개의 엘이디(LED)와 실내에 설치된 실내등을 선택적으로 선택 구동한다.
상기 도어상태 감지부(350)는 피소독건조물이 수납되는 차량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경우 이를 테면, 도어 접촉센서로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 등을 사용하여 접촉 시 특정치 이상의 전압이 발생되어 그 접촉 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되며, 피소독건조물이 수납되는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엘이디(LED)가 점등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의 시력 및 피부 등을 유해한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즉, 도어를 닫을 경우 상기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는 상기 자외선 엘이디 선택구동부를 15분간 가동하고, 도어를 열거나 차내인체감지부(380)에 의하여 인체를 감지할 경우 상기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는 상기 실내등 선택구동부를 지속적으로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소독시스템이다.
상기 히팅부(360)는 화물차량의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히팅장치이다.
상기 작동표시부(370)는 전원의 상태, 온도감지부의 작동상태, 엘이디/실내등의 선택 구동상태, 도어의 여닫이 상태, 히터의 작동 상태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또한, 소독 및 건조 장치 내부에서의 자외선 광량의 세기를 디지털 숫자 또는 아날로그 그래프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차내인체감지부(380)는 차량 내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신한다.
상기 제어부(390)는 전원부(310), 타이머 설정부(320), 온도 감지부(330), 자외선 엘이디 선택구동부(340), 도어상태 감지부(350), 히팅부(360), 작동표시부(370), 차내인체감지부(380) 및 차내인체감지부(38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90)는 도어를 닫을 경우 상기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는 상기 자외선 엘이디 선택구동부를 15분간 가동하고, 도어를 열거나 차내인체감지부(380)에 의하여 인체를 감지할 경우 상기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는 상기 실내등 선택구동부를 지속적으로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소독시스템이다.
상기와 같은 성능의 엘이디는 15분 정도면 주위의 바이러스와 세균을 없앨 수 있는 실험결과 보고서에 의한다.
다음은 LED의 효능과 사용되는 설치 갯수에 대하여 설명한다.
UV-C 램프를 환기구 등에 설치하면 공기 살균이 이루어져서,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사무실이나 다중 이용시설에 적용하면 바이러스에 대한 사람들의 막연한 공포심도 함께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자외선 중 가장 파장이 짧은 자외선-C(UV-C)가 주목받고 있다. 곰팡이균은 물론이고 박테리아와 바이러스까지 살균시킬 수 있다는 UV-C는 과연 무엇일까요? 현실에서 UV-C를 구현할 수 있는 필립스 살균 램프의 놀라운 기능도 함께 설명한다.
우선, 살균효과에 탁월한 UV-C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빛은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자외선보다도 파장이 짧은 X선과 Y선도 포함시킬 때도 있다.
빛을 파장에 따라 나눌 때 가시광선 바로 옆에 있는 것이 바로 UV 영역이다.
UV는 파장에 따라서 UV-A(자외선 A), UV-B(자외선 B), UV-C(자외선 C)로 나뉘며 각기 침투 정도가 달라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도 다르다. 보통 바닷가에서 햇볕을 오래 쬐면 피부가 벌겋게 그을리는 건 주로 UV-A의 영향이다.
이 중에서 자연 상태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UV-C가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바이러스와 세균을 없애는 데 효과적인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가 상상하는 것과 달리 SF영화에 나오는 레이저 광선처럼 순식간에 세균을 박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단지, UV-C를 쪼이면 세균의 유전자(DNA)가 변형되거나 바이러스의 DNA 구조가 망가진다.
세균은 바로 죽지 않고 계속 살아 있어도 DNA에 변형이 일어나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고, 결국은 세포 증식이 불가능해져 서서히 사멸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성능의 엘이디는 15분 정도면 주위의 바이러스와 세균을 없앨 수 있는 실험결과 보고서가 있다.
이러한 효과 때문에 병원이나 연구소 등에서는 이미 75년 이상 UV-C를 활용해 바이러스와 세균을 없애고 있다.
최근 유럽에서는 위험한 바이러스와 세균을 보유한 환자가 사용한 병실의 경우 로봇이 들어가서 UV-C를 쬐고 나오기도 한다. 그만큼 UV-C의 살균효과는 증명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UV-C 광선 효과는 아래와 같다.
인체무해하다는 점으로 알려져 있다.
예로서,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생물포자 등의 DNA 분열 등을 말할 수 있다.
또한, 물과 공기정화에 탁월하다는 점이다.
즉, 화학작용 없이 미생물을 분열시켜 소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제는 램프로 현실에서 UV-C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탁월한 살균효과가 있지만 UV-C는 현실에서 발견하기 어렵다.
오존층에 완전히 흡수되는 200~280㎚의 파장이기 때문이다. 태양광 이외에 UV를 방출할 수 있는 인공광원으로 수은램프가 있었지만, 친환경성은 물론 내구성과 수명, 사용 편의성 등에서 UV-C LED를 따라올 수 있는 것은 없다.
LED는 화합물 종류와 설계 방법에 따라 각기 다른 파장의 빛을 낼 수 있는 반도체로, 태양이 내뿜는 것처럼 200~280㎚의 UV-C의 단파장을 재현할 수 있다.
그래서 살균 기능을 작동하는 즉시 최대 성능으로 UV-C를 방출하여 칫솔소독기, 젖병살균기, 정수기 등 곳곳에서 LED 살균 램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 코로나19의 여파로 UV-C의 공기 소독 효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균이 진행되는 통로는 3가지다.
손과 같은 표면을 통해, 비말과 같은 호흡기를 통해, 그리고 공기로 유입되는 에어로졸이 있다.
특히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 예를 들어, 지하철, 교회, 공연장 등에서는 바이러스의 공기 전파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의료기관 역시 다양한 바이러스를 지닌 다양한 사람이 사용하는 공간으로 공기를 통한 전염 가능성이 매우 높은 공간이다.
이런 공간에서는 무엇보다 공기부터 깨끗하게 살균할 필요가 있다. 플루 혹은 변종형 바이러스는 공기 중으로 많은 전파가 이루어지는데, UV-C 램프를 통해 공기를 제균시키면 보다 안전한 환경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코로나 19가 처음 발생했을 때 중국에서 필립스의 살균 램프에 큰 관심을 가졌던 이유도 공기 제균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현재 중국 우환의 임시 병원 시설에는 필립스의 공기 제균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다.
이를 통해 공기 중으로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것을 철저히 차단하고 있다. 이처럼 공공장소에서의 대량 전파를 막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UV-C 램프를 통해 ‘자외선 공간살균’체제를 도입하는 것이다.
그리고, 빛으로 건강을 지킬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살균용 모듈, 가정용 뷰티기기와 의류 청정기에도 UV-C LED가 적용되고 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효과적인 살균 시스템에 대한 수요도 점점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필립스 역시 UV-C 램프 시장을 선도하고 있고, 1891년부터 조명을 생산한 기업답게 UV 관련 제품과 관련해서 세계에서 가장 많은 램프를 보유하고 있다. UV 형광램프부터 UV 발광다이오드(LED)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솔루션을 시장에 공급하고 있으며, 물과 공기를 정화하고 안전하게 만드는 혁신적인 UV 램프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다. 이는 모두 인류에게 좀 더 건강하고 깨끗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인류의 건강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엘이디 띠(341)에 형성된 엘이디(343)들은 전원장치(310a)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작동되며,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장치(340a)에 의하여 실내등(345)이 켜지며, 외부에 설치된 표시장치(360a)에 각 장치들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다음은 차량에 승객이 탑승할 경우의 차량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기술에 대하여는 중복 또는 생략 기재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부만을 기재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승객 탑승용 버스차량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어린이 탑승용 봉고차량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승객 탑승용 택시차량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엘이디를 이용한 소독 및 건조 장치를 구비한 승객탑승차량(600)(700)(800)은 차체(510)가 외곽으로 둘러쌓여 있고, 그 후면이나 측면에 개폐문(350a)이 형성됨과 동시에 개폐감지장치(350b)가 형성되어 닫을 경우에는 LED 띠(341)의 LED(343)가 설정시간 동안 켜지고, 열 경우에는 실내등(345)이 켜져 화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후면 바깥부분에는 잠금장치(350c)가 형성되어 있되, 승객탑승차량(600)(700)(800)의 내부를 콘트롤하는 소독시스템(300)은 전원부(310), 타이머 설정부(320), 온도 감지부(330),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 도어상태 감지부(350), 히팅부(360), 작동표시부(370), 차내인체감지부(380) 및 제어부(390)를 포함는 LED를 이용한 승객탑승차량의 소독시스템이다.
그리고, 도 5에 보는 바와 같이, 화물차량의 내부를 콘트롤하는 소독시스템(300)은 전원부(310), 타이머 설정부(320), 온도 감지부(330),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 도어상태 감지부(350), 히팅부(360), 작동표시부(370), 차내인체감지부(380)및 제어부(39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310)는 직류전원 또는 펄스(pulse)를 통해 각각의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이를테면 전원부(310)는 태양광을 수집하는 태양광 수집부와, 수집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변환부와, 변환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력저장부를 구비하여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 설정부(320)는 엘이디(LED)들의 작동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소독 및 건조를 실행하기 위한 작동시간은 피소독건조물(이를 테면, 화물 박스 등)의 종류, 크기, 형태, 개수, 오염정도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다.
상기 온도 감지부(330)는 피소독건조물이 수납되는 공간(이를테면, 화물 박스 등)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에 따라 피소독건조물의 건조를 실행하기 위한 히터(heater)로 투입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피소독건조물이 수납되는 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는 피소독건조물의 상태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을 갖고 빛을 방출하는 복수개의 엘이디(LED)와 실내에 설치된 실내등을 선택적으로 선택 구동한다.
상기 도어상태 감지부(350)는 피소독건조물이 수납되는 차량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경우 이를 테면, 도어 접촉센서로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 등을 사용하여 접촉 시 특정치 이상의 전압이 발생되어 그 접촉 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되며, 피소독건조물이 수납되는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엘이디(LED)가 점등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의 시력 및 피부 등을 유해한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히팅부(360)는 화물차량의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히팅장치이다.
상기 작동표시부(370)는 전원의 상태, 온도감지부의 작동상태, 엘이디/실내등의 선택 구동상태, 도어의 여닫이 상태, 히터의 작동 상태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또한, 소독 및 건조 장치 내부에서의 자외선 광량의 세기를 디지털 숫자 또는 아날로그 그래프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차내인체감지부(380)는 차량 내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신한다.
상기 제어부(390)는 전원부(310), 타이머 설정부(320), 온도 감지부(330),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 도어상태 감지부(350), 히팅부(360), 작동표시부(370) 및 차내인체감지부(380)를 제어하되, 상기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는 차내인체감지부(380)에 의하여 인체를 감지할 경우 상기 실내등 선택구동부를 일정시간 타이머에 의하여 가동하고, 도어를 닫고 인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자외선 엘이디 선택구동부를 15분간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승객탑승차량의 소독시스템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의 소독차량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생산성 향상 및 쉬운 부품교체로 인해 줄어드는 부품교체비용으로 인한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형태 및 결합, 구성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통해 만들 수 있다.
310 : 전원부
320 : 타이머 설정부
330 : 온도 감지부
340 :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
341 : LED 띠
343 : LED
345 : 실내등
350 : 도어상태 감지부
360 : 히터
370 : 작동표시부
380 : 제어부
500 : 화물운송차량
510 : 차체

Claims (2)

  1. 엘이디를 이용한 소독 및 건조 장치를 구비한 화물운송차량(500)은 차체(510)가 외곽으로 둘러쌓여 있고, 그 후면이나 측면에 개폐문(350a)이 형성됨과 동시에 개폐감지장치(350b)가 형성되어 닫을 경우에는 LED 띠(341)의 LED(343)가 설정시간 동안 켜지고, 열 경우에는 실내등(345)이 켜져 화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후면 바깥부분에는 잠금장치(350c)가 형성되어 있되, 화물운송차량(500)의 내부를 콘트롤하는 소독시스템(300)은 전원부(310), 타이머 설정부(320), 온도 감지부(330),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 도어상태 감지부(350), 히팅부(360), 작동표시부(370), 차내인체감지부(380) 및 제어부(390)를 포함는 LED를 이용한 차량의 소독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원부(310)는 직류전원 또는 펄스(pulse)를 통해 각각의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타이머 설정부(320)는 엘이디(LED)들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며,
    상기 온도 감지부(330)는 피소독건조물이 수납되는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는 피소독건조물의 상태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을 갖고 빛을 방출하는 복수개의 엘이디(LED)와 실내에 설치된 실내등을 선택적으로 선택 구동하며,
    상기 도어상태 감지부(350)는 피소독건조물이 수납되는 차량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상태를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에 의하여 감지하고,
    상기 히팅부(360)는 화물차량의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며,
    상기 작동표시부(370)는 전원의 상태, 온도감지부의 작동상태, 엘이디/실내등의 선택 구동상태, 도어의 여닫이 상태, 히터의 작동 상태를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차내인체감지부(380)는 차량 내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신하며,
    상기 제어부(390)는 전원부(310), 타이머 설정부(320), 온도 감지부(330), 자외선 엘이디 선택구동부(340), 도어상태 감지부(350), 히팅부(360), 작동표시부(370)를 제어하되, 도어를 닫을 경우 상기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는 상기 자외선 엘이디 선택구동부를 15분간 가동하고, 도어를 열거나 차내인체감지부(380)에 의하여 인체를 감지할 경우 상기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는 상기 실내등 선택구동부를 지속적으로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차량의 소독시스템.
  2. 엘이디를 이용한 소독 및 건조 장치를 구비한 승객탑승차량(600)(700)(800)은 차체(510)가 외곽으로 둘러쌓여 있고, 그 후면이나 측면에 개폐문(350a)이 형성됨과 동시에 개폐감지장치(350b)가 형성되어 닫을 경우에는 LED 띠(341)의 LED(343)가 설정시간 동안 켜지고, 열 경우에는 실내등(345)이 켜져 화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후면 바깥부분에는 잠금장치(350c)가 형성되어 있되, 승객탑승차량(600)(700)(800)의 내부를 콘트롤하는 소독시스템(300)은 전원부(310), 타이머 설정부(320), 온도 감지부(330),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 도어상태 감지부(350), 히팅부(360), 작동표시부(370), 차내인체감지부(380) 및 제어부(390)를 포함는 LED를 이용한 차량의 소독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원부(310)는 직류전원 또는 펄스(pulse)를 통해 각각의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타이머 설정부(320)는 엘이디(LED)들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며,
    상기 온도 감지부(330)는 피소독건조물이 수납되는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는 피소독건조물의 상태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을 갖고 빛을 방출하는 복수개의 엘이디(LED)와 실내에 설치된 실내등을 선택적으로 선택 구동하며,
    상기 도어상태 감지부(350)는 피소독건조물이 수납되는 차량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상태를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에 의하여 감지하고,
    상기 히팅부(360)는 화물차량의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며,
    상기 작동표시부(370)는 전원의 상태, 온도감지부의 작동상태, 엘이디/실내등의 선택 구동상태, 도어의 여닫이 상태, 히터의 작동 상태를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차내인체감지부(380)는 차량 내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신하며,
    상기 제어부(390)는 전원부(310), 타이머 설정부(320), 온도 감지부(330),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 도어상태 감지부(350), 히팅부(360), 작동표시부(370) 및 차내인체감지부(380)를 제어하되, 상기 자외선 엘이디/실내등 선택구동부(340)는 차내인체감지부(380)에 의하여 인체를 감지할 경우 상기 실내등 선택구동부를 일정시간 타이머에 의하여 가동하고, 도어를 닫고 인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자외선 엘이디 선택구동부를 15분간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차량의 소독시스템.
KR1020200160493A 2020-11-25 2020-11-25 Led를 이용한 차량의 소독시스템 KR20220072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493A KR20220072651A (ko) 2020-11-25 2020-11-25 Led를 이용한 차량의 소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493A KR20220072651A (ko) 2020-11-25 2020-11-25 Led를 이용한 차량의 소독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651A true KR20220072651A (ko) 2022-06-02

Family

ID=81985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493A KR20220072651A (ko) 2020-11-25 2020-11-25 Led를 이용한 차량의 소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26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68211A1 (en) * 2022-11-09 2024-05-15 Hyundai Mobis Co., Ltd. In-vehicle steriliz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68211A1 (en) * 2022-11-09 2024-05-15 Hyundai Mobis Co., Ltd. In-vehicle steriliz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9596B1 (ko) 자외선과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기살균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EP3117138B1 (en) An air purification device, a lighting device and a luminaire.
JP6607623B1 (ja) 紫外線照射装置
WO2019108432A1 (en) Cover with disinfecting illuminated surface
CN201580871U (zh) 紫外线消毒杀菌轿厢系统
JP2022047454A (ja) 表面及び空間led殺菌照明装置
KR100945599B1 (ko) 하이브리드 광반도체 살균 촉매 램프 및 이를 이용한 광촉매 정화 장치
KR100625771B1 (ko) 공기순환식 유인 오존 살균시스템 및 방법
HUT74543A (en) Cleaning arrangement including filters and ultraviolet radiation
KR102514375B1 (ko) 지능형 안티 바이러스 엘리베이터
CN113908306A (zh) 灭活装置以及灭活方法
KR20220072651A (ko) Led를 이용한 차량의 소독시스템
US20200338297A1 (en) Ventilator
RU2737276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удаленной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дезинфекции мобильных средств
KR20220072948A (ko) 패스스루형 살균소독장치
KR102076612B1 (ko) 센서등
CN115461092A (zh) 用于房间的消毒和应急照明的集成系统
KR20110077421A (ko) 감지센서와 연계된 살균 정화장치
US20220378972A1 (en) Uvc disinfection and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2422985B1 (ko) 자외선 반도체 광원과 광촉매를 이용한 자동차 실내 통합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120133286A (ko) 벽걸이형 공기 살균기
US20220062478A1 (en) Antimicrobial light systems for high-touch surfaces, apparatuses, and equipment
CN214276058U (zh) 一种封闭空间的空气净化杀菌系统
KR20220000764U (ko) 차량용 자외선 살균 시스템
CN211166664U (zh) 一种汽车室内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