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1188A - 난수 발생기 관련 개선이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난수 발생기 관련 개선이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1188A
KR20220071188A KR1020227008437A KR20227008437A KR20220071188A KR 20220071188 A KR20220071188 A KR 20220071188A KR 1020227008437 A KR1020227008437 A KR 1020227008437A KR 20227008437 A KR20227008437 A KR 20227008437A KR 20220071188 A KR20220071188 A KR 20220071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evice
base station
backoff
seed
pseud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8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페렌바흐
바리스 고크테프
코넬리우스 헬지
토마스 위스
토마스 슈엘
니틴 스리니바산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안게반텐 포르슝에.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안게반텐 포르슝에.파우.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안게반텐 포르슝에.파우.
Publication of KR20220071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1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UE)가 제공된다. 백오프 규칙은 기지국의 스토리지 내 및 사용자 디바이스의 스토리지 내에 저장된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는 기지국에 백오프 규칙을 송신한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는 기지국으로부터 백오프 규칙을 수신한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백오프 규칙에 따라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결정한다. 또한, 송신 채널이 특정 기간에 점유되지 않으면, 사용자 디바이스는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감소시킨다. 또한, 랜덤 백오프 카운터가 사전 정의된 값에 도달하면, 사용자 디바이스는 송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용 사용자 디바이스
본 출원은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엔티티 사이에서 통신의 향상 또는 개선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는, 제공된 새롭고 독창적인 개념에 따라 관련된 난수 발생기인, NR-U(비면허 스펙트럼(unlicensed spectrum)에서의 뉴라디오)에 대한 향상 및 개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도 1(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102) 및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1, RAN2, … RANn을 포함하는 지상 무선 네트워크(100)의 일례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b)는, 각각이 각 셀(1061 내지 1065)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현된 기지국 주위의 특정 영역에 서비스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 gNB1 내지 gNB5를 포함할 수 있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n의 일례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기지국은 하나의 셀 내의 사용자에게 서비스하도록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기지국은 면허 및/또는 비면허 대역에서 사용자에게 서비스할 수 있다. 용어 기지국(BS)은 5G 네트워크에서의 gNB, UMTS/LTE/LTE-A/LTE-A Pro 또는 단순히 다른 이동 통신 표준에서의 BS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고정식 디바이스 또는 이동식 디바이스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또한 기지국에 또는 사용자에게 접속하는 이동식 또는 고정식 IoT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이동식 디바이스 또는 고정식 IoT 디바이스는 물리적 디바이스, 로봇 또는 자동차 등의 지상 차량, 유인 또는 무인 항공기(UAV) 등의 항공기를 포함할 수 있고, 후자는 또한 전자장치, 소프트웨어, 센서, 액추에이터 또는 디바이스가 기존의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를 거쳐 데이터를 수집하고 교환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접속 등을 내장하는 드론, 건물 및 다른 항목 또는 디바이스로 불릴 수도 있다. 그 예는 지상 무선 네트워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엔티티는 비 지상 네트워크(NTN)를 포함할 수 있고, BS의 일부 및/또는 BS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는 위성(LEO, GEO, MEO) 또는 HAP(high altitude platform), 예컨대, 열기구 또는 특수 비행기의 페이로드일 수 있다.
도 1(b)는 5개의 셀의 예시적 도면을 나타내지만, RANn은 더 많거나 더 적은 그러한 셀을 포함할 수 있고, RANn은 하나의 기지국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b)는, 셀(1062) 내에 있고, 기지국 gNB2에 의해 서비스되는, 사용자 장비(UE)라고도 불리는 두 사용자 UE1 및 UE2를 도시한다. 또 다른 사용자 UE3은 기지국 gNB4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1064) 내에 도시된다. 화살표(1081, 1082, 1083)는 사용자 UE1, UE2, UE3으로부터 기지국 gNB2, gNB4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기지국 gNB2, gNB4로부터 사용자 UE1, UE2, UE3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업링크/다운링크 접속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것은 면허 대역 또는 비면허 대역에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b)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 디바이스일 수 있는, 셀(1064) 내의 두 개의 IoT 디바이스(1101 및 1102)를 도시한다. IoT 디바이스(1101)는, 화살표(1121)에 의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해 기지국 gNB4를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액세스한다. IoT 디바이스(1102)는 화살표(1122)에 의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UE3를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액세스한다. 각각의 기지국 gNB1 내지 gNB5는, 도 1(b)에 "코어"를 가리키는 화살표에 의해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각각의 백홀 링크(1141 내지 1145)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102)에, 예컨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02)는 하나 이상의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지국 gNB1 내지 gNB5의 일부 또는 전부는, 도 1(b)에 "gNB"를 가리키는 화살표에 의해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각각의 백홀 링크(1161 내지 1165)를 통해, 예컨대, S1 인터페이스 또는 NR의 X2 인터페이스 또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또한,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device-to-device, D2D) 통신으로도 불리는, 다이렉트 모드로 통신하는 UE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인터페이스는 종종 PC5 인터페이스로 불린다.
데이터 송신을 위해 물리 리소스 그리드가 사용될 수 있다. 물리 리소스 그리드는 여러가지 물리 채널 및 물리 신호가 매핑되는 리소스 요소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물리 채널은, 다운링크, 업링크 및 사이드링크 페이로드 데이터라고도 불리는 사용자 특정 데이터를 전달하는 물리 다운링크, 업링크 및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DSCH, PUSCH, PSSCH), 예컨대, 마스터 정보 블럭(MIB) 및 시스템 정보 블럭(SIB)을 전달하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예컨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업링크 제어 정보(UCI) 및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를 전달하는 물리 다운링크, 업링크 및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DCCH, PUCCH, PSCCH)을 포함할 수 있다. 업링크를 위해, UE가 동기화하고 MIB 및 SIB를 취득하면, 물리 채널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된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또는 RACH)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링크는 물리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PSFCH)를 포함할 수 있다. 물리 신호는 참조 신호 또는 심볼(RS), 동기화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리소스 그리드는, 시간 도메인에서 특정 기간을 갖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정해진 대역폭을 갖는 하나의 프레임 또는 무선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사전 정의된 길이, 예컨대, 1ms의 특정 수의 서브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각 서브프레임은 순환 전치(CP) 길이에 따라 12 또는 14 OFDM 심볼의 하나 이상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은, 예컨대, 짧은 송신 시간 간격(sTTI) 또는 몇 개의 OFDM 심볼만을 포함하는 미니슬롯/비슬롯 기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에, 더 작은 수의 OFDM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임의의 단일 톤 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시스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 또는 CP를 갖거나 갖지 않는 임의의 다른 IFFT 기반 신호, 예컨대, DFT-s-OFDM 등의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는 멀티캐리어 시스템일 수 있다. 다중 액세스를 위해 비 직교 파형, 예컨대, 필터뱅크 멀티캐리어(FBMC), 일반화된 주파수 분할 다중화(GFDM) 또는 범용 필터링 멀티캐리어(UFMC)와 같은 다른 파형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예컨대, LTE 어드밴스 프로 표준 또는 5G 또는 NR(New Radio) 표준 또는 NR-U(New Radio Unlicensed) 표준 또는 802.11ax 또는 802.11be 룰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도 1에 묘사된 무선 네트워크 또는 통신 시스템은 별개의 중첩 네트워크, 예컨대, 각각의 매크로 셀이 기지국 gNB1 내지 gNB5 등의 매크로 기지국을 포함하는 매크로 셀의 네트워크, 및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 등의 소형 셀 기지국(도 1에 도시되지 않음)의 네트워크를 갖는 이종 네트워크일 수 있다.
상술한 지상 무선 네트워크에 부가하여, 인공위성 등의 위성 송수신기 및/또는 무인 항공 시스템 등의 공중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비 지상 무선 통신 네트워크도 존재한다. 비 지상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은, 예컨대, LTE 어드밴스 프로 표준 또는 5G 또는 NR(new radio) 표준에 따른,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지상 시스템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동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예컨대, LTE 또는 5G/NR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엔티티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은 시작 주파수, 종료 주파수 및 시작 주파수와 종료 주파수 사이의 모든 중간 주파수를 포함한다. 즉, 시작, 종료, 중간 주파수는 특정 대역폭, 예컨대, 20MHz를 정의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은 또한 캐리어, 대역폭 부분(BWP), 부대역(subband)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단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통신은 단일 대역 동작으로 불릴 수 있다, 예컨대, UE는 20MHz 대역 내에 있는 주파수에서 무선 신호를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로 송신하거나 그로부터 수신한다.
두 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통신은 다중 대역 동작 또는 광대역 동작 또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동작으로 불릴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은 상이한 대역폭 또는 20MHz 등의 동일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주파수 대역이 동일한 대역폭을 갖는 경우에, UE는 두 개 이상의 20MHz 대역 내에 있는 주파수에서 무선 신호를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로 송신하거나 그로부터 수신할 수 있어, 무선 통신용 주파수 범위는 20MHz의 배수일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은 연속한/인접한 주파수 대역일 수 있고, 또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 또는 전부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분리될 수 있다.
다중 대역 동작은 면허 스펙트럼의 주파수 대역 또는 비면허 스펙트럼의 주파수 대역, 또는 면허 스펙트럼 및 비면허 스펙트럼의 주파수 대역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은 면허 스펙트럼 및/또는 비면허 스펙트럼의 2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일례이다.
5G 뉴라디오(NR)는 비면허 스펙트럼의 작동을 지원할 수 있어, 다중 대역 작동은 비면허 스펙트럼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비면허 스펙트럼에 대한 NR 기반 액세스(NR-U)일 수 있고, 그 주파수 대역은 부대역으로서 불릴 수 있다. 비면허 스펙트럼은 5GHz 및 6GHz 등의 잠재적 IEEE 802.11 공존을 갖는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NR-U는, 예컨대, 규제 요건으로 인해 20MHz의 정수배인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다. 20MHz 등의 동일한 공칭 대역폭 채널을 갖는 하나 이상의 동일한 대역에서 작동할 수 있는 IEEE 802.11 시스템 등의 공존 시스템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부대역으로의 분할이 수행된다. 공존 시스템의 다른 예는 상술한 IEEE 802.11 시스템과 상이한 부대역 크기 및 공칭 주파수를 갖는 부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비면허 스펙트럼은 5GHz 대역, 6GHz 대역, 24GHz 대역 또는 60GHz 대역 또는 심지어 그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비면허 대역의 예는, 통신이 아니라 산업, 과학, 의료 목적으로 무선 주파수 에너지의 사용을 위해 국제적으로 예약된 산업, 과학, 의료(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ISM) 무선 대역을 포함한다.
비면허 부대역을 이용하는 작동 중에, 규제는 LBT(Listen-before-talk)가 부대역마다 개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을 정의할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IEEE 802.11 사양에 따라 작동하는 다른 공중육상 이동망(PLNM) 또는 시스템 등의, 동일한 대역에 공존하는 다른 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간섭으로 인해 하나 이상의 부대역이 사용중이거나 또는 점유되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gNB에 송신하거나 UE에 송신하는 송신기는, LBT 알고리즘의 판단에 따라, 프리(free)이거나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으로도 불리는, 사용중이지 않은 것으로 검출되는 부대역에서 송신되는 것만이 허용된다. 예컨대, 5GHz의 작동 가능한 비면허 대역에서 20MHz 이상의 송신 확장을 위해, gNB 또는 UE 등의 송신기는 각 부대역에서 개별적으로 LBT를 수행한다. LBT가 각 부대역에 대해 이용 가능하게 되면, 예컨대, 다운링크(DL)의 gNB 또는 업링크(UL)의 UE는 프리이거나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는 이들 부대역에서 송신하도록, 즉, "획득한" 부대역(들)에서 송신하도록 허용된다. 점유된, 사용중 또는 "비 획득" 부대역에서 송신은 허용되지 않는다.
상기의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의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당업자에게 이미 공지인 종래 기술을 형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3GPP 뉴라디오 비면허(NR-U) 및 레거시 표준에서, gNB 뿐 아니라 UE로부터의 송신은 또한 LBT(listen before talk) 프로시저의 결과에 의존한다.
이 프로시저는 채널 액세스 중의 충돌을 제한하기 위해 랜덤 백오프를 사용한다. 백오프 시간은 네트워크의 다른 송신기에서 알 수 없으므로 이 무작위성은 스케줄러 효율성을 제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시작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및 방법을 위한 개선에 대한 요구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UE)가 제공된다. 백오프 규칙은 기지국의 스토리지 내 및 사용자 디바이스의 스토리지 내에 저장된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는 기지국에 백오프 규칙을 송신한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는 기지국으로부터 백오프 규칙을 수신한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백오프 규칙에 따라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결정한다. 또한, 송신 채널이 특정 기간에 점유되지 않으면, 사용자 디바이스는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감소시킨다. 또한, 랜덤 백오프 카운터가 사전 정의된 값에 도달하면, 사용자 디바이스는 송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기지국(gNB)이 제공된다. 백오프 규칙은 기지국의 스토리지 내 및 사용자 디바이스의 스토리지 내에 저장된다. 또는, 기지국은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백오프 규칙을 수신한다. 또는, 기지국은 사용자 디바이스로 백오프 규칙을 송신한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백오프 규칙에 따라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결정하고, 백오프 카운터에 따라, 그리고 송신 채널이 점유되는지 여부에 따라, 송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시작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기지국의 스토리지 내 및 사용자 디바이스의 스토리지 내에 백오프 규칙을 저장하거나,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기지국으로 백오프 규칙을 송신하거나,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백오프 규칙을 수신하는 단계와,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백오프 규칙에 따라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결정하는 단계와,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특정 기간에 송신 채널이 점유되지 않으면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감소시키는 단계와,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랜덤 백오프 카운터가 사전 정의된 값에 도달하면 송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기지국의 스토리지 내에 백오프 규칙을 저장하고 사용자 디바이스의 스토리지 내에 백오프 규칙을 저장하거나,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기지국에서 백오프 규칙을 수신하거나,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에 백오프 규칙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백오프 규칙에 따라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결정하고, 백오프 카운터에 따라, 그리고 송신 채널이 점유되는지 여부에 따라, 송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시작한다.
또한,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면, 컴퓨터로 하여금 상술한 방법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기술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기지국 등의 송수신기 및 사용자 디바이스(UE) 등의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독창적 방식에 따라 기술된 방법의 단계뿐만 아니라 유닛 또는 모듈이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백오프 타이머를 갖는 사용자 디바이스(UE) 및 기지국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붙여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더 상세히 기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 및 이동 단말 또는 IoT 디바이스 등의 사용자를 포함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기지국 등의 송수신기(300) 및 사용자 디바이스(UE) 등의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3021 내지 302n)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기지국(300) 및 사용자 디바이스(302)는 무선 링크 등의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링크 또는 채널(304a, 304b, 304c)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300)은, 서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 ANTT 또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갖는 안테나 어레이, 신호 프로세서(300a) 및 송수신기 유닛(300b)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302)는, 서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 ANTR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안테나 어레이, 신호 프로세서(302a1, 302an) 및 송수신기 유닛(302b1, 302bn)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300) 및 UE(302)는 Uu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무선 링크와 같은 각각의 제 1 무선 통신 링크(304a, 304b)를 통해 통신할 수 있고, 한편, UE(302)는 PC5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무선 링크와 같은 제 2 무선 통신 링크(304c)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UE(302)가 기지국(300)에 의해 서비스되지 않고, 기지국에 접속되지 않는 경우, 예컨대, 그들은 네트워크에 대해 RRC 접속 상태에 있지 않고, 또는 더 일반적으로, 리소스 할당 구성 또는 지원이 기지국(300)에 의해 제공되지 않으면, UE(302)는 사이드링크에 걸쳐 직접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시스템, 하나 이상의 UE(302) 및 기지국(300)은 여기서 기술된 발명의 교시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UE)가 제공된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예컨대, 도 2의 사용자 디바이스(3021, … 302n) 중 하나, 예컨대, 사용자 디바이스(3021)일 수 있다.
백오프 규칙은 기지국(300)의 스토리지 내 및 사용자 디바이스의 스토리지 내에 저장된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는 백오프 규칙을 기지국(300)으로 송신한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는 백오프 규칙을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한다.
사용자 디바이스(3021)는 백오프 규칙에 따라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결정한다(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3021)의 신호 프로세서(302a1)는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 디바이스(3021)는, 송신 채널이 특정 기간동안 점유되지 않으면,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감소시킨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3021)는, 랜덤 백오프 카운터가 사전 정의된 값에 도달하면, 통신 채널을 통해(예컨대, 송수신기 유닛(302b1)을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실시예는, 기지국이, 사용자 디바이스가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결정하는 백오프 규칙을 소유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발견에 근거한다. 사용자 디바이스의 백오프 규칙을 소유하는 것은 기지국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점유된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가 송신을 지연하는 시기의 기간을 (적어도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예컨대, 사용자 디바이스 등에서 계획된 송신의 평균 지연을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디바이스에 관해, 기지국이 백오프 시간의 적절한 추정/결정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 디바이스가 기지국에 의해 공지인 백오프 규칙을 준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채널이 점유되는 동안 사용자 디바이스(3021)는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변경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사전 정의된 값은 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기간은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우선도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우선도는, 예컨대, 우선도값, 예컨대, 1과 4 사이의 정수값(1, 2, 3, 4)일 수 있다. 우선도값 1은 최상위 우선도를 나타낼 수 있고, 우선도값 4는, 예컨대, 최하위 우선도를 나타낼 수 있다. 송신이 예컨대, 우선도값 4를 갖는다면, 사용자 디바이스는, 예컨대, 송신 채널의 4개의 LBT 슬롯이 점유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후에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송신이, 예컨대, 우선도값 3을 갖는다면, 사용자 디바이스는, 예컨대, 송신 채널의 3개의 LBT 슬롯이 점유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후에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송신이, 예컨대, 우선도값 2를 갖는다면, 사용자 디바이스는, 예컨대, 송신 채널의 2개의 LBT 슬롯이 점유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후에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송신이, 예컨대, 우선도값 1을 갖는다면, 사용자 디바이스는, 예컨대, 송신 채널의 1개의 LBT 슬롯이 점유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후에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랜덤 백오프 카운터는, 예컨대, 사전 백오프(pre-backoff)로 결정될 수 있다. 그것은, 사용자 디바이스(302)가 송신하려고 할 때, 랜덤 백오프 카운터가 결정되고, 그 후 백오프 및 감지가 발생하고, 여기서 기간은 랜덤 백오프 카운터 및 송신의 우선도에 의존하고, 그 후 송신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처리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랜덤 백오프 카운터는, 예컨대, 사후 백오프(post-backoff)로 결정될 수 있다. 그것은, 백오프 이후에, 사용자 디바이스가 추가 데이터 패킷을 즉시 송신하려고 하지 않아도, 채널 감지 및 송신이 이루어지고, 랜덤 백오프 카운터가 즉시 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 후, 채널이 특정 기간동안 프리인 것으로 판정되면, 백오프 카운터는, 사용자 디바이스가 송신을 시작할 수 있는 사전 정의된 값보다 큰 또 다른 사전 정의된 값에 도달할 때까지 감소된다. 이후에, 사용자 디바이스(302)가 추가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려고 할 때, 감지가 발생하고, 그 기간은 이미 결정된 랜덤 백오프 카운터의 나머지 값에 의존하고, 그 후, 추가 패킷의 송신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처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랜덤 백오프 카운터가 사전 정의된 값에 도달하면, 사용자 디바이스(3021)는 송신 채널을 통해 기지국(300)으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백오프 규칙은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pseudo random number generator algorithm)을 포함할 수 있다.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은 기지국(300)의 스토리지 내에 저장되고, 사용자 디바이스(3021)의 스토리지 내에 저장된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3021)는 기지국(300)에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 또는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알고리즘 표시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3021)는 기지국(300)으로부터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 또는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알고리즘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은, 예컨대, 특정될 수 있고, 또는 예컨대, 사전에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은, 예컨대, 골드 시퀀스 발생기 알고리즘(Gold sequence generator algorithm)일 수 있다. 또는,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은, 예컨대, 메르센 트위스터 알고리즘(Mersenne-Twister algorithm)일 수 있다. 또는,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은, 예컨대, xorshift 발생기 알고리즘(xorshift generator algorithm)일 수 있다. 또는,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은, 예컨대, 웰 발생기 알고리즘(WELL generator algorith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백오프 규칙은 시드(seed)를 포함한다. 시드는, 예컨대, 기지국(300)의 스토리지 내에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 디바이스(3021)의 스토리지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는 시드를 기지국(3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3021)는 시드를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시드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동적일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3021)는, 예컨대,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 및/또는 시드 정보를 갖고 사전 구성될 수 있고, 시드는 시드 정보에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내의 상이한 사용자 디바이스는, 예컨대, 상이한 시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드는 사용자 디바이스(3021) 및 기지국(300)에서 이용 가능한 정보에,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3021)가 기지국(300)으로 송신할 수 있는 정보에,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3021)가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정보에 의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드는,
ㅇ 사용자 식별자(사용자 ID) 및/또는 사용자 디바이스 특정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ㅇ 셀 식별자(셀 ID)
ㅇ 예컨대, OFDM 심볼 수 및/또는 슬롯 수 및/또는 서브프레임 수 및/또는 프레임 수에 의존하는 타이밍 정보
ㅇ 시드, 여기서, 사용자 디바이스(3021)는 기지국(300)으로부터 그 시드를 수신함
ㅇ 시드, 여기서, 시드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생성되고, 사용자 디바이스(3021)는 기지국(300)으로 그 시드를 송신함.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3021)는 사이드링크 또는 D2D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 있고, 예컨대, 기지국(300)은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이다.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는, 예컨대, RSU 로드측 유닛 또는 그룹 리더 UE(V2X) 또는 마스터 UE 또는 워치에 의한 iPhone® 통신 또는 IoT 마스터(접속이 양호한 IoT 노드)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기지국(300) gNB가 제공된다.
백오프 규칙은 기지국(300)의 스토리지 내 및 사용자 디바이스(3021)의 스토리지 내에 저장된다. 또는, 기지국(300)은 사용자 디바이스(3021)로부터 백오프 규칙을 수신한다. 또는, 기지국(300)은 사용자 디바이스(3021)로 (예컨대, 그것의 송수신기 유닛(300b)을 이용하여) 백오프 규칙을 송신한다. 사용자 디바이스(3021)는 백오프 규칙에 따라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결정하고, 백오프 카운터에 따라, 그리고 송신 채널이 점유되는지 여부에 따라, 송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시작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백오프 규칙은, 예컨대,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은 기지국(300)의 스토리지 내에 저장되고, 사용자 디바이스(3021)의 스토리지 내에 저장된다. 또는 기지국(300)은 사용자 디바이스(3021)로부터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 또는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알고리즘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300)은 사용자 디바이스(3021)로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 또는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알고리즘 표시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은, 예컨대, 골드 시퀀스 발생기 알고리즘일 수 있다. 또는,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은, 예컨대, 메르센 트위스터 알고리즘일 수 있다. 또는,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은, 예컨대, xorshift 발생기 알고리즘일 수 있다. 또는,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은, 예컨대, 웰 발생기 알고리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백오프 규칙은 시드를 포함한다. 시드는, 예컨대, 기지국(300)의 스토리지 내에 저장될 수 있고, 예컨대, 사용자 디바이스(3021)의 스토리지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기지국(300)은 시드를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300)은 시드를 사용자 디바이스(3021)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300)은, 예컨대,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 및/또는 시드 정보를 갖고 사전 구성될 수 있고, 시드는 시드 정보에 의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드는 사용자 디바이스(3021) 및 기지국(300)에서 이용 가능한 정보에, 또는 기지국(300)이 사용자 디바이스(3021)로 송신할 수 있는 정보에, 또는 기지국(300)이 사용자 디바이스(3021)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정보에 의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드는, 예컨대,
ㅇ 사용자 식별자(사용자 ID) 및/또는 사용자 디바이스 특정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ㅇ 셀 식별자(셀 ID),
ㅇ 예컨대, OFDM 심볼 수 및/또는 슬롯 수 및/또는 서브프레임 수 및/또는 프레임 수에 의존하는 타이밍 정보,
ㅇ 시드 - 사용자 디바이스(3021)는 기지국(300)으로부터 그 시드를 수신함 -,
ㅇ 시드 - 시드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생성되고, 사용자 디바이스(3021)는 기지국(300)으로 그 시드를 송신함 - 중 하나 이상에 의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3021)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3021, … 302n) 중 하나이며, 백오프 규칙은 복수의 백오프 규칙 중 하나이다.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3021, … 302n)의 각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해, 복수의 백오프 규칙 중 하나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할당된다. 복수의 백오프 규칙은, 예컨대, 기지국(300)의 스토리지 내에 저장될 수 있고, 복수의 백오프 규칙의 각각의 백오프 규칙은, 예컨대, 상기 백오프 규칙이 할당되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3021, … 302n) 중 하나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기지국(300)은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3021, … 302n)로부터 복수의 백오프 규칙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백오프 규칙의 각각에 대해, 기지국(300)은, 상기 백오프 규칙이 할당되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3021, … 302n) 중 하나에 상기 백오프 규칙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300)은 복수의 백오프 규칙에 따라 스케줄링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은, 예컨대, 기지국(300)의 신호 프로세서(300a)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3021, … 302n)의 사용자 디바이스(3021)에 대해, 기지국(300)은, 사용자 디바이스(3021)에 할당되는 백오프 규칙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3021)가 송신 채널을 통해 송신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기간을 추정할 수 있고, 기지국은, 사용자 디바이스(3021)가 그 기간동안 송신 채널을 통해 송신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지국(300)은, 예컨대, 백오프 규칙에 따라 백오프 카운터 값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백오프 카운터 값으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3021)가 송신 채널을 통해 송신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기간을 추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난수 발생기로부터 도출된 백오프 카운터 값에 대응하는 시간 전에)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300)은 복수의 백오프 규칙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에서의 채널 거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300)은,
CBR = (N_tx - N_bo) / N_tx
에 따른 채널 거래율(CBR)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 채널 거래를 결정할 수 있다. N_tx는 승인의 시작부터 실제 송신까지의 LBT 슬롯의 수이다. N_bo는 백오프로서 의사 난수 발생기에 의해 도출된 LBT 슬롯의 수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3021, … 302n) 및 상술한 바와 같은 기지국(300)을 포함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요구되는 랜덤 백오프를 여전히 충족하면서 백오프 시간을 알지 못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양쪽 모두에 대해 공지/추론 가능한 시드를 갖는 의사 난수 발생기(PRNG)가 제안된다. 이 방식으로 네트워크의 임의의 송수신기는, 시드가 사용 중인 것을 안다면, 임의의 다른 UE의 현재 백오프 타이머를 계산할 수 있다.
시드는 전반적인 특성 및 공지의 사용자 특정 특성으로부터 시그널링 또는 유도될 수 있다.
실시예 1 : 시드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 정보 및 PRNG 알고리즘은 UE에 대해 사전 구성 또는 구성된다.
예컨대, PRNG 알고리즘은, 36.211 또는 38.211 등의 골드 시퀀스 발생기, 메르센 트위스터, xorshift 발생기, 웰 발생기, 또는 랜덤 백오프 값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의사 난수 발생기일 수 있다.
시드는, 또한,
· 사용자 ID, UE 특정 RNRI
· 셀 ID
· 타이밍 정보, 예컨대, 슬롯, 서브프레임, 프레임 수
등의, 양쪽 모두에서 이용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전 구성된 또는 구성된 공식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이런 식으로, gNB는, UE가 시작할 시간의 가장 빠른 지점을 알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모든 UE의 현재 최소 랜덤 백오프 값을 계산할 수 있어 더 나은 스케줄링 판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gNB는 gNB측에서 절전하는 특정 UE의 송신을 위한 채널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
다른 실시예에서, UE측에서의 채널 점유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계산된 랜덤 백오프와 실제 송신 시간 사이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계산된 랜덤 백오프와 비교한 지연은 UE측에서 사용중인 채널에 의해 초래되기 때문에, gNB는 다음의 관계에 의해 채널 사용율(CBR)을 암묵적으로 알고 있다.
CBR = (N_tx - N_bo) / N_tx
여기서, N_tx는 승인의 시작부터 실제 송신까지 LBT 슬롯의 수이고, N_bo는 백오프로서 PRNG에 의해 도출된 LBT 슬롯의 수이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케줄링에 의해 6 및 7의 랜덤 백오프 타이머를 갖는 2개의 UE는 업링크 송신 사이에 최소의 일시정지를 야기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랜덤 백오프 타이머를 갖는 사용자 디바이스(UE) 및 기지국을 도시한다.
이와 달리, RNG(random number generator)는 접속 설정 중에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정해진 시드에 의해 RNG를 초기화하기 위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고, 각각의 실시예 및 국면은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2 이상의 실시예 및 국면은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 국면의 상술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실시예는 gNB 또는 UE 등의 송신기와 UE 및 gNB 등의 수신기 사이에 통신하는 환경에서 기술된 것을 유의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통신에 한정되지 않고, 오히려 상술한 원리는 D2D, V2V, V2X 통신 등의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한 시나리오에서, 통신은 각각의 디바이스 사이에서 사이드링크를 통한다. 송신기는 제 1 UE이고, 수신기는 사이드링크 리소스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제 2 UE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지상 네트워크 또는 비 지상 네트워크 또는 수신기로서 항공기 또는 우주 비행기 또는 그 조합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하나 이상의 이동식 또는 고정식 단말, IoT 디바이스, 지상 차량, 항공기, 드론, 건물 또는, 센서 또는 액추에이터 또는 WiFi 비 AP STA(AP = Access Point, STA = Station, IEEE 802.11의 사용자 디바이스), 예컨대, 802.11ax 또는 802.11be 등의, 아이템/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접속이 제공된 임의의 다른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매크로셀 기지국 또는 소형 셀 기지국 또는 위성 또는 우주공간 등의 우주선, 또는, 예컨대, 테더링된 UAS, LTA(lighter than air UAS), HTA(heavier than air UAS), HAP(high altitude UAS platform) 또는, 네트워크 접속이 제공된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Wifi AP STA, 예컨대, 802.11ax 또는 802.11be를 이용하여 통신하게 하는 임의의 송신/수신 지점(TRP)의 무인 항공 시스템(UAS) 등의 항공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개념의 일부 국면이 장치의 맥락에서 기술되었지만, 이들 국면은 또한 대응하는 방법의 기술을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럭 또는 디바이스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대응한다. 유사하게, 방법 단계의 맥락에서 기술된 국면은 또한 대응하는 장치의 대응하는 블럭 또는 항목 또는 특징의 기술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 요소 및 특징은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를 이용하는 하드웨어로, 하나 이상의 범용 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에 의한 명령의 실행을 통한 소프트웨어로,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다른 처리 시스템의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컴퓨터 시스템(500)의 일례를 도시한다. 유닛 또는 모듈 및 이들 유닛에 의해 수행된 방법의 단계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500)을 실행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500)은 특수 목적 또는 범용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등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0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502)는 버스 또는 네트워크 등의 통신 인프라구조(504)에 접속된다. 컴퓨터 시스템(500)은 메인 메모리(506), 예컨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보조 메모리(508), 예컨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및/또는 제거 가능한 스토리지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보조 메모리(508)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다른 명령이 컴퓨터 시스템(500)에 로드되게 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500)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가 컴퓨터 시스템(500)과 외부 디바이스 사이에 전송될 수 있게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은 전자, 전자기, 광학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다른 신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은 전선 또는 케이블, 광섬유, 전화선, 셀룰러폰 링크, RF 링크 및 다른 통신 채널(512)을 사용할 수 있다.
용어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일반적으로 제거 가능한 스토리지 유닛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설치된 하드디스크 등의 유형의 스토리지 매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500)에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컴퓨터 제어 로직이라고도 불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인 메모리(506) 및/또는 보조 메모리(508)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51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컴퓨터 시스템(500)이 본 발명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프로세서(502)가, 여기에 기술된 임의의 방법 등의, 본 발명의 프로세스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500)의 컨트롤러를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저장되고, 제거 가능한 스토리지 드라이브, 통신 인터페이스(510) 등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500)에 로드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것은, 각각의 방법이 수행되도록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과 협업하는(또는 협업할 수 있는) 디지털 스토리지 매체, 예컨대, 전기적으로 판독 가능한 제어 신호가 저장된, 클라우드 스토리지, 플로피 디스크, DVD, 블루레이, CD, ROM, PROM,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스토리지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예는, 여기에 기술된 방법 중 하나가 수행되도록,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과 협업할 수 있는, 전기적으로 판독 가능한 제어 신호를 갖는 데이터 캐리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작동할 때,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작동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예컨대 머신 판독 가능한 캐리어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기계 판독 가능한 캐리어에 저장된, 여기서 기술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따라서, 컴퓨터 프로그램에 컴퓨터 상에서 작동할 때, 여기서 기술된 벙법 중 하나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본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는, 따라서, 여기서 기술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데이터 캐리어(또는 디지털 스토리지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본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는, 따라서, 여기서 기술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의 시퀀스이다.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의 시퀀스는, 예컨대, 데이터 통신 접속을 통해, 예컨대,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여기서 기술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또는 적용된 처리 수단, 예컨대,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여기서 기술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예컨대,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에 기술된 방법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에 기술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협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상술한 실시예는 단순히 본 발명의 원리에 대한 예시이다. 여기에 기술된 배치 및 세부사항의 수정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의 실시예의 기술 및 설명에 의해 나타난 특정 세부사항에 의해서가 아니라, 임박한 특허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이 의도된다.
약어 및 부호 목록:
RNG : 난수 발생기(Random Number Generator)
PRNG : 의사 난수 발생기(Pseudo Random Number Generator)
eNB :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 (3G 기지국)
LTE : 롱텀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
UE :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ser Terminal))
RSU : 로드측 유닛(Road Side Unit)
Uu : eNB-UE 링크(eNB-UE link)
PC5 : D2D 통신을 위한 사이드링크 채널을 사용하는 UE-UE 링크/인터페이스
D2D :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evice-to-device) 통신
IE :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V2V : 차량 대 차량(Vehicular-to-vehicular communications) 통신
V2X : 차량 대 만물(Vehicular-to-everything communications) 통신
HARQ :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NR-U : 비면허 스펙트럼의 뉴라디오(New Radio in unlicensed spectrum)
BS : 기지국(Base Station)
gNB : 세대 노드 B(Generation Node B (기지국)
RAN :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FDM :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RA : 리소스 할당(Resource Allocation)
SCI :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L : 사이드링크 (Sidelink)
sTTI : 단 송신 시간 간격(Short(end) Transmission Time Interval)
PUCCH :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DCCH :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DMRS :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CBR : 채널 사용률(Channel Busy Ratio)
COT : 채널 점유 시간(Channel occupancy time)
CWS : 컨텐션 윈도우 크기(Contention Window Size)
RtoTx : 송신 준비 완료(Ready to Transmit)
RtoRx : 수신 준비 완료(Ready to Receive)
LBT : 리슨비포톡(Listen-before-Talk)
LBR : 리슨비포리시브(Listen-before-Receive)

Claims (28)

  1.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UE)로서,
    백오프 규칙은 기지국의 스토리지 내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스토리지 내에 저장되고, 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백오프 규칙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백오프 규칙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백오프 규칙에 따라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특정 기간에 송신 채널이 점유되지 않으면 상기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감소시키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랜덤 백오프 카운터가 사전 정의된 값에 도달하면, 상기 송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채널이 점유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변경하지 않는
    사용자 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정의된 값은 0인
    사용자 디바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간은 상기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우선도에 의존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백오프 카운터가 상기 사전 정의된 값에 도달하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송신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규칙은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pseudo random number generator algorithm)을 포함하고,
    상기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은 상기 기지국의 상기 스토리지 내에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기 스토리지 내에 저장되고, 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 또는 상기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알고리즘 표시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 또는 상기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상기 알고리즘 표시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은 골드 시퀀스 발생기 알고리즘(Gold sequence generator algorithm)이고, 또는,
    상기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은 메르센 트위스터 알고리즘(Mersenne-Twister algorithm)이고, 또는,
    상기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은 xorshift 발생기 알고리즘(xorshift generator algorithm)이고, 또는,
    상기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은 웰 발생기 알고리즘(WELL generator algorithm)인
    사용자 디바이스.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규칙은 시드(seed)를 포함하고,
    상기 시드는 상기 기지국의 상기 스토리지 내에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기 스토리지 내에 저장되고, 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시드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시드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 및/또는 시드 정보로 사전 구성되고, 상기 시드는 상기 시드 정보에 의존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드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및 상기 기지국에서 이용 가능한 정보에, 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정보에, 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에 의존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드는,
    ㅇ 사용자 식별자(사용자 ID) 및/또는 사용자 디바이스 특정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ㅇ 셀 식별자(셀 ID),
    ㅇ 예컨대, OFDM 심볼 수 및/또는 슬롯 수 및/또는 서브프레임 수 및/또는 프레임 수에 의존하는 타이밍 정보,
    ㅇ 시드 -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시드를 수신함 -,
    ㅇ 시드 - 상기 시드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생성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시드를 송신함 - 중 하나 이상에 의존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또는 D2D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고, 예컨대, 상기 기지국은 또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인
    사용자 디바이스.
  13.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기지국(gNB)으로서,
    백오프 규칙은 상기 기지국의 스토리지 내 및 사용자 디바이스의 스토리지 내에 저장되고,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백오프 규칙을 수신하고,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백오프 규칙을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백오프 규칙에 따라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결정하고, 상기 백오프 카운터에 따라, 그리고 송신 채널이 점유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송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시작하는
    기지국.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규칙은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상기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은 상기 기지국의 상기 스토리지 내에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기 스토리지 내에 저장되고,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 또는 상기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알고리즘 표시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 또는 상기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상기 알고리즘 표시를 송신하는
    기지국.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은 골드 시퀀스 발생기 알고리즘(Gold sequence generator algorithm)이고, 또는,
    상기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은 메르센 트위스터 알고리즘(Mersenne-Twister algorithm)이고, 또는,
    상기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은 xorshift 발생기 알고리즘(xorshift generator algorithm)이고, 또는,
    상기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은 웰 발생기 알고리즘(WELL generator algorithm)인
    기지국.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규칙은 시드를 포함하고,
    상기 시드는 상기 기지국의 상기 스토리지 내에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기 스토리지 내에 저장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시드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시드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기지국.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의사 난수 발생기 알고리즘 및/또는 시드 정보로 사전 구성되고, 상기 시드는 상기 시드 정보에 의존하는
    기지국.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시드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및 상기 기지국에서 이용 가능한 정보에, 또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정보에, 또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에 의존하는
    기지국.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드는,
    ㅇ 사용자 식별자(사용자 ID) 및/또는 사용자 디바이스 특정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ㅇ 셀 식별자(셀 ID),
    ㅇ 예컨대, OFDM 심볼 수 및/또는 슬롯 수 및/또는 서브프레임 수 및/또는 프레임 수에 의존하는 타이밍 정보,
    ㅇ 시드 -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시드를 수신함 -,
    ㅇ 시드 - 상기 시드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생성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시드를 송신함 - 중 하나 이상에 의존하는
    기지국.
  20. 제 13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 중 하나이고,
    상기 백오프 규칙은 복수의 백오프 규칙 중 하나이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의 각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복수의 백오프 규칙 중 하나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할당되고,
    상기 복수의 백오프 규칙은 기지국의 스토리지 내에 저장되고, 상기 복수의 백오프 규칙의 각각의 백오프 규칙은, 상기 백오프 규칙이 할당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 중 하나 내에 저장되고,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백오프 규칙을 수신하고, 또는,
    상기 복수의 백오프 규칙의 각각에 대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백오프 규칙이 할당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 중 하나에 상기 백오프 규칙을 송신하는
    기지국.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복수의 백오프 규칙에 따라 스케줄링을 처리하는
    기지국.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 중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할당되는 상기 백오프 규칙에 따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송신 채널을 통해 송신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기간을 추정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기간동안 상기 송신 채널을 통해 송신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기지국.
  23.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복수의 백오프 규칙에 따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의 채널 거래를 결정하는
    기지국.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CBR = (N_tx - N_bo) / N_tx
    에 따른 채널 거래율(CBR)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채널 거래를 결정하고,
    여기서, N_tx는 승인의 시작부터 실제 송신까지의 LBT(Listen-before-talk) 슬롯의 수이고,
    N_bo는 백오프로서 의사 난수 발생기에 의해 도출된 상기 LBT 슬롯의 수인
    기지국.
  25.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 -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의 각각은,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사용자 디바이스임 - 와,
    제 13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6. 무선 통신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기지국의 스토리지 내 및 사용자 디바이스의 스토리지 내에 백오프 규칙을 저장하고, 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백오프 규칙을 송신하고, 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백오프 규칙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백오프 규칙에 따라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특정 기간에 송신 채널이 점유되지 않으면 상기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랜덤 백오프 카운터가 사전 정의된 값에 도달하면, 상기 송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7. 무선 통신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기지국의 스토리지 내에 백오프 규칙을 저장하고, 사용자 디바이스의 스토리지 내에 상기 백오프 규칙을 저장하고, 또는,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백오프 규칙을 수신하고, 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백오프 규칙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백오프 규칙에 따라 랜덤 백오프 카운터를 결정하고, 상기 백오프 카운터에 따라, 그리고 송신 채널이 점유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송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시작하는
    방법.
  28.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27008437A 2019-08-14 2020-08-13 난수 발생기 관련 개선이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 방법 KR202200711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91858 2019-08-14
EP19191858.0 2019-08-14
PCT/EP2020/072799 WO2021028548A1 (en) 2019-08-14 2020-08-13 User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188A true KR20220071188A (ko) 2022-05-31

Family

ID=67658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8437A KR20220071188A (ko) 2019-08-14 2020-08-13 난수 발생기 관련 개선이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32634A1 (ko)
KR (1) KR20220071188A (ko)
CN (1) CN114342544A (ko)
WO (1) WO202102854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7619B2 (en) * 2014-11-03 2020-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access for LTE on unlicensed spectrum
KR20170084111A (ko) * 2014-11-06 2017-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백오프 수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2521355B1 (ko) * 2015-04-09 2023-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주파수 재사용을 위한 lbt 기법
WO2016186268A1 (ko) * 2015-05-15 2016-11-24 엘지전자(주)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80235010A1 (en) * 2015-08-13 2018-08-16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17026937A1 (en) * 2015-08-13 2017-02-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ention window adaptation in multi-carrier listen-before-talk protocols
CN114900404B (zh) * 2015-12-24 2024-02-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用于非授权带中的信道访问的方法、装置、和系统
US10952239B2 (en) * 2016-01-29 2021-03-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uplink signal and device supporting s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US10485027B2 (en) * 2016-02-02 2019-11-19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short transmission techniques using contention-based radio frequency spectrum
CN107295695A (zh) * 2016-04-01 2017-10-24 索尼公司 电子装置、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EP3361812A1 (en) * 2017-02-08 2018-08-15 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of unlicensed spectr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42544A (zh) 2022-04-12
US20220232634A1 (en) 2022-07-21
WO2021028548A1 (en)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7600B2 (en) Communication system
CN108702779B (zh) 确定用于上行链路控制信道上的发送的参数的方法
US20220061090A1 (en) Nr-u wideband enhancements
CN108029112B (zh) 共享通信介质中的控制信令
US11844109B2 (en) Controlling AUL transmissions when coexisting with scheduled UEs
CN111279650B (zh) 对于补充上行链路上的随机接入支持的随机接入响应的消歧
US20220150968A1 (en) Configured grants within a transmitter cot
EP3157273B1 (en) Base-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EP3157298A1 (en) Base-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1194576A (zh) 特定于波束的回退指示符
CN111328467B (zh) 上行链路特定退避指示符
EP3443801B1 (en)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granting transmissions in a multi-carrier dynamic time division duplexing (tdd)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WO2015166792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20220232580A1 (en) User Device and Method with Beam Management Enhancements
WO2023071843A1 (zh) 资源映射方法与装置、终端和网络设备
CN116567850A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US20220232634A1 (en) User device and method with random number generator related enhancements
US11683805B2 (en) Resource selection for communica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US20240163777A1 (en) Network slicing-based random access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220400514A1 (en) Controlling transmission medium access in an open spectrum
CN116634592A (zh) 通信方法与装置、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4068823A1 (en) Time gap adjustment for channel access procedure by user devices for a sidelink communication in an unlicensed spectr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