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0774A - Parking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s - Google Patents

Parking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0774A
KR20220070774A KR1020200157685A KR20200157685A KR20220070774A KR 20220070774 A KR20220070774 A KR 20220070774A KR 1020200157685 A KR1020200157685 A KR 1020200157685A KR 20200157685 A KR20200157685 A KR 20200157685A KR 20220070774 A KR20220070774 A KR 20220070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area
available
parking area
autonomou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6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95198B1 (en
Inventor
이창건
조영은
박재승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7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198B1/en
Publication of KR20220070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7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1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6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 G05D1/027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using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an autonomous vehicle. The device includes: a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which spatially arranges at least one parking space used in a parking process of an autonomous vehicle, and manages space arrangement information of parking lots managed as available or unavailable parking areas; a parking space determination unit which determines an available parking area having a parking complexity that satisfies a specific criterion by analyzing the space arrangement information at the time the autonomous vehicle enters; and a parking control unit which controls park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available parking area to the autonomous vehicle.

Description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 장치 및 방법{PARKING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S}Apparatus and method for parking management of autonomous vehicles

본 발명은 완전 자율 주차 시설을 설계하고 관제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 공간의 전체 상황을 고려하여 자율주행차량이 최적의 장소에 주차할 수 있도록 관제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designing and controlling a fully autonomous parking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a parking management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that controls so that the autonomous vehicle can be parked in an optimal place in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situation of the parking space and methods.

현재, 기술의 발달로 인해서 사람의 힘으로 운영되던 많은 것들이 자동화시스템으로 교체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을 이용한 수많은 관리 시스템의 도입이 활발해지고, 인터넷을 이용한 관리 시스템 개발업체의 수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Curr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many things that were operated by human power are being replaced with automated systems. In addi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e introduction of numerous management systems using the Internet is active, and the number of management system developers using the Internet is rapidly increasing.

자동차산업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이며 성장했지만, 그 성장이 사람들의 예상치를 넘는 결과를 초래하여, 도로 확충 및 주차공간 확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주차공간의 관리에 투입되는 인력도 많은 인건비를 초래하고 있으며, 주차장 유지에 고비용을 초래하고 있으나 주차시설 운영은 아직 미흡하다.The automobile industry has grown with remarkable growth, but the growth has exceeded people's expectations, making it difficult to expand roads and expand parking spaces. The manpower invested in the management of the parking space also causes a lot of labor costs, and it causes high costs to maintain the parking lot, but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facility is still insufficient.

또한, 혼잡한 소매 사업, 대형 공공이벤트, 공항 또는 바쁜 시내영역에서 주차장을 찾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운전자가 빈 주차장을 찾기 위해 더욱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In addition, efforts to find parking spaces in crowded retail businesses, large public events, airports or busy downtown areas are required, and drivers are spending more time searching for vacant parking lots.

자동차 문화가 보편화되면서 자동차를 업무용으로 이용하는 경우, 주차장에 주차(Parking)시켜야 하며, 주차장이 다층으로 되어 있거나 또는 여러 구역으로 나누어져 있는 경우, 주차 안내원이 상주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차할 수 있는 여유가 남아 있는지를 즉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using a car for business purposes as the automobile culture becomes universal, it must be parked in a parking lo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mmediately check whether there is room remaining.

종래에 빌딩이나 백화점 등의 주차장이나 공영주차장에서는 주차한 차량들이 많은 경우, 주차장 내로 진입한 신규차량이 마땅한 주차공간을 찾기 위해 주차장 내를 배회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로 인해, 운전자는 이에 적지 않은 시간을 허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when there are many vehicles parked in parking lots such as buildings or department stores or public parking lots, new vehicles entering the parking lot often wander around the parking lot to find a suitable parking space. There is a problem with wasting time.

한국등록특허 제10-0911772호 (2009.08.04)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11772 (2009.08.0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차 공간의 전체 상황을 고려하여 자율주행차량이 최적의 장소에 주차할 수 있도록 관제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utonomous vehicle that controls the autonomous vehicle to be parked in an optimal place in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situation of a parking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최적 설계와 운영으로 공간 활용도를 높여 더 많은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자율주차 시설을 운영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utonomous vehicle capable of operating an autonomous parking facility capable of accommodating more users by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through optimal design and ope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차장 내의 혼잡도와 체증을 최소화하고 주차 차량의 효율적인 분산을 통해 주차 시설의 처리량 향상과 높은 사용자 만족도를 기대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utonomous vehicle that can minimize congestion and congestion in a parking lot and can expect improved throughput of parking facilities and high user satisfaction through efficient distribution of parked vehicles.

실시예들 중에서,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장치는 자율주행차량의 주차 과정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을 공간적으로 배치하고 각각은 가용 또는 비가용 주차영역으로 관리되는 주차장의 공간배열정보를 관리하는 공간배열정보 관리부;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입차 시점에 상기 공간배열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기준을 만족시키는 주차 복잡도를 가지는 가용 주차영역을 결정하는 주차공간 결정부; 및 상기 가용 주차영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자율주행차량에 제공하여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주차를 제어하는 주차 제어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of the autonomous vehicle spatially arranges at least one parking space used in the parking process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manages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parking lot, each of which is managed as an available or non-available parking area. a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 parking spac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n available parking area having a parking complexity satisfying a specific criterion by analyzing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at the time of entry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a parking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park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available parking area to the autonomous vehicle.

상기 공간배열정보 관리부는 상기 공간배열정보를 이동경로 기반의 공간배열로 구성하고 상기 공간배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을 맵핑할 수 있다.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may configure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in a spatial arrangement based on a movement path and map the at least one parking space to the spatial arrangement.

상기 공간배열정보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에서 양단의 가장자리 주차영역들 중 하나를 우선 배정 주차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may set one of the edge parking areas at both ends in the at least one parking space as a priority allocated parking area.

상기 공간배열정보 관리부는 비자율주행차량의 주차 여부를 검출하는 주차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기 공간배열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may periodically monitor the at least one parking space through a parking sensor that detects whether the non-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parked, and update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상기 주차공간 결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 각각마다의 평균 도달거리를 결정하고 특정 도달거리 이내의 주차공간에 관해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parking space determiner may determine an average arrival distanc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parking space and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with respect to a parking space within a specific reach.

상기 주차공간 결정부는 상기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주차공간에 있는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을 상기 가용 주차영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priority available parking area exists,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may select a priority available parking area in a parking space closes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as the available parking area.

상기 주차공간 결정부는 상기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한쪽 바로 옆 영역이 비가용 주차영역이고 다른쪽 바로 옆 영역이 가용 주차영역인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을 상기 가용 주차영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does not exist, the parking space determining unit may select the nex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in which one immediately adjacent area is an unavailable parking area and the other immediately adjacent area is an available parking area, as the available parking area. have.

상기 주차공간 결정부는 상기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특정 도달거리 바깥의 주차공간에 관해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 또는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next available parking area does not exist, the parking space determining unit may determine whether a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or a nex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exists for a parking space outside the specific reach.

상기 주차공간 결정부는 상기 특정 도달거리 바깥의 주차공간에 관해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 또는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양쪽 바로 옆 영역들이 비가용 주차영역인 최종 배정 가용 주차영역을 상기 가용 주차영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The parking space determining unit uses a final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in which the immediately adjacent areas are unavailable parking areas when there is no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or nex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with respect to the parking space outside the specific reach. A parking area can be selected.

상기 주차 제어부는 상기 가용 주차영역이 비자율주행차량에 의해 점유되는 경우에는 상기 주차 복잡도를 가지는 가용 주차영역을 재결정할 수 있다.The parking control unit may re-determine the available parking area having the parking complexity when the available parking area is occupied by a non-autonomous vehicle.

상기 주차 제어부는 상기 재결정 과정에서,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진행 방향에서 가장 가까운 주차공간에서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 또는 최종 배정 가용 주차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In the re-determination process, the parking control unit may determine a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a nex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or a final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in a parking space closes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실시예들 중에서,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방법은 자율주행차량의 주차 과정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을 공간적으로 배치하고 각각은 가용 또는 비가용 주차영역으로 관리되는 주차장의 공간배열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입차 시점에 상기 공간배열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기준을 만족시키는 주차 복잡도를 가지는 가용 주차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용 주차영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자율주행차량에 제공하여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주차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parking management method of the autonomous vehicle spatially arranges at least one parking space used in the parking process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manages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parking lot, each of which is managed as an available or non-available parking area to do; determining an available parking area having a parking complexity that satisfies a specific criterion by analyzing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at the time of entry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controlling park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available parking area to the autonomous vehicle.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특정 도달거리 이내의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주차공간에 있는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을 상기 가용 주차영역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includes selecting a priority available parking area in a parking space closes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as the available parking area when there is a priority available parking area within a specific reach can do.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한쪽 바로 옆 영역이 비가용 주차영역이고 다른쪽 바로 옆 영역이 가용 주차영역인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을 상기 가용 주차영역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termining step, when the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does not exist, the nex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in which one immediately adjacent area is an unavailable parking area and the other immediately adjacent area is an available parking area is selected as the available parking area may include steps.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특정 도달거리 바깥의 주차공간에 관해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 또는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may include, if the nex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does not exist, determining whether a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or a nex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exists for a parking space outside the specific reach. have.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 장치 및 방법은 최적 설계와 운영으로 공간 활용도를 높여 더 많은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자율주차 시설을 운영할 수 있다.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arking management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an autonomous parking facility capable of accommodating more users by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through optimal design and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 장치 및 방법은 주차장 내의 혼잡도와 체증을 최소화하고 주차 차량의 효율적인 분산을 통해 주차 시설의 처리량 향상과 높은 사용자 만족도를 기대할 수 있다.Th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the parking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congestion and congestion in the parking lot and improve the throughput of parking facilities and high user satisfaction through efficient distribution of parked vehicl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주차관리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주차관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차 및 관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배치 알고리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ystem configuration of the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of FIG. 1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of FIG. 1 .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rking management process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utonomous parking and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arrangement algorith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identification numbers (eg, a, b, c, etc.)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dentification numbers do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general us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주차관리 시스템(100)은 차량(110), 주차관리 장치(130), 데이터베이스(150) 및 외부 시스템(17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include a vehicle 110 , a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 a database 150 , and an external system 170 .

차량(110)은 엔진에 의해 생산된 동력을 이용하여 승객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교통수단으로서 대표적인 예로서 자동차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차량(110)은 자동차에 한정되지 않고, 선박 및 비행기 등 동력을 이용하여 움직일 수 있는 다양한 운송 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110)은 주차관리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차량(110)들은 주차관리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The vehicle 110 is a transportation mean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or cargo using power produced by an engine, and may correspond to a vehicle as a representative example. Also, the vehicle 110 is not limited to a vehicle, and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various transportation means that can move using power, such as a ship and an airplane. In an embodiment, the vehicle 110 may be connected to the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130 through a network, and a plurality of vehicles 110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130 .

일 실시예에서, 차량(110)은 자율주행 기능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자율주행을 위한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10)은 가속 페달 센서, 브레이크 페달 센서, 휠 가속도 센서, 차체 가속도 센서, 차체 진동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및 조향각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vehicle 110 may include an autonomous driving function and, in this case, may include various sensors for autonomous driving. For example, the vehicle 110 may include an accelerator pedal sensor, a brake pedal sensor, a wheel acceleration sensor, a vehicle body acceleration sensor, a vehicle body vibration sensor,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ensor, and a steering angle sensor.

주차관리 장치(130)는 주차장 내의 주차 공간의 전체 상황을 고려하여 자율주행차량이 최적의 장소에 주차할 수 있도록 관제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주차관리 장치(130)는 차량(110)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1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주차관리 장치(130)는 필요에 따라 추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외부 시스템(170)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corresponding to a computer or program that controls so that the autonomous vehicle can be parked in an optimal place in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situation of the parking space in the parking lot.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110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may transmit/receive data to and from the vehicle 110 through the network. In addition,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external system 170 to provide additional functions as necessary.

데이터베이스(150)는 주차관리 장치(130)의 동작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주차장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주차 위치 결정을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차관리 장치(130)가 주차장 내부의 혼잡도를 관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150 may correspond to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in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 The database 150 may store data necessary for parking lot management and may stor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a parking loca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various forms in the process of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managing congestion inside the parking lot to store the collected or processed information.

외부 시스템(170)은 주차관리 장치(130)와 주차장 내부의 주차공간 관리와 자율주행차량의 주차 관리를 제공하는 과정에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또는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시스템(170)은 결제 시스템, 인증 시스템 및 인공지능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system 17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or server for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s to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and the process of managing a parking space inside a parking lot and providing parking management of an autonomous vehicle. For example, the external system 170 may include a payment system, an authentication system,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도 2는 도 1의 주차관리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ystem configuration of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of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주차관리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processor 210 , a memory 230 , a user input/output unit 250 ,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

프로세서(210)는 주차관리 장치(13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주차관리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주차관리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a procedure for processing each step in the process of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operating, and manage the memory 230 read or written throughout the process, and the memory 230 ) can schedule the synchronization time between volatile and non-volatile memory in The processor 21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230,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to control the data flow between them. can The processor 210 may be implemented a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주차관리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230 is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solid state drive (SSD) or a hard disk drive (HDD), and may include an auxiliary storage device used to store overall data required for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It may include a main memory implemented as a volatile memory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RAM).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주차관리 장치(130)는 독립적인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environment for receiving a user input and an environment for outputt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in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 on-screen keyboard, or a pointing device, and an out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monitor or a touch screen. In one embodiment,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remote connection, and in such a case,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performed as an independent server.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connecting with an external device or system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 VAN (Wide Area Network) (VAN). It may include an adapter for communication such as Value Added Network).

도 3은 도 1의 주차관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of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주차관리 장치(130)는 공간배열정보 관리부(310), 주차공간 결정부(330), 주차 제어부(35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include a space arran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0 , a parking space determination unit 330 , a parking control unit 350 , and a control unit 370 .

공간배열정보 관리부(310)는 자율주행차량의 주차 과정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을 공간적으로 배치하고 각각은 가용 또는 비가용 주차영역으로 관리되는 주차장의 공간배열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즉, 주차장의 공간배열정보는 주차장의 내부 구조가 반영된 가상의 공간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해당 공간영역은 주차장의 주차공간에 각각 대응되어 정의되는 주차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배열정보는 해당 주차장의 내부 구조와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 및 각 주차공간에 대응되는 주차영역의 위치와 배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주차영역은 가용 주차영역과 비가용 주차영역으로 구분되어 분류될 수 있다. 즉, 가용 주차영역은 현재 차량(110)이 주차되지 않아 주차 가능한 주차영역에 해당할 수 있고, 비가용 주차영역은 현재 차량(110)이 주차되어 주차 불가능한 주차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0 spatially arranges at least one parking space used in the parking process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manages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parking lot, each of which is managed as an available or unavailable parking area. That is,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parking lot may be defined as a virtual spatial area in which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arking lot is reflected, and the corresponding spatial area may include a parking area defined by corresponding to the parking space of the parking lot,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internal structure and parking space of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and location and arrangement information of a parking area corresponding to each parking space. In this case, each parking area may be classified into an available parking area and an unavailable parking area. That is, the available parking area may correspond to a parking area in which the vehicle 110 is not currently parked, and the unavailable parking area may correspond to a parking area in which the vehicle 110 is currently parked and thus cannot be parked.

일 실시예에서, 공간배열정보 관리부(310)는 공간배열정보를 이동경로 기반의 공간배열로 구성하고 공간배열에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을 맵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동경로 기반의 공간배열은 해당 공간영역에서 주차 후 이동할 목적지의 위치가 설정된 공간배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공간배열정보 관리부(310)는 공간배열에 주차장의 주창공간을 맵핑함으로써 공간배열을 기초로 특정 차량(110)이 주차장에 진입하여 특정 주차공간에 주차한 후 목적지까지 이동하기 위한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0 may configure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as a spatial arrangement based on a movement path and map at least one parking space to the spatial arrangement. Here, the spatial arrangement based on the movement path may correspond to a space arrangement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to be moved after parking in the corresponding space area is set. That is,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0 maps the space arrangement of the parking lot to the space arrangement so that a specific vehicle 110 enters the parking lot based on the space arrangement, parks in a specific parking space, and then moves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can be calculated.

일 실시예에서, 공간배열정보 관리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에서 양단의 가장자리 주차영역들 중 하나를 우선 배정 주차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공간배열이 이차원 배열 형태인 경우, 각 행의 양쪽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주차영역은 반대편 공간에 충분한 공간이 있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양단의 가장자리 주차영역들이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공간배열정보 관리부(310)는 해당 주차영역을 우선 배정 주차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0 may set one of the edge parking areas at both ends in at least one parking space as a priority allocated parking area. When the spatial arrangement is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arrangement, it can be assumed that the parking area corresponding to both edges of each row has sufficient space in the opposite space. In this case, the edge parking areas at both ends may be considered preferentially, and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0 may set the corresponding parking area as a priority allocated parking area.

일 실시예에서, 공간배열정보 관리부(310)는 비자율주행차량의 주차 여부를 검출하는 주차감지센서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공간배열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즉, 공간배열정보 관리부(310)는 주차장의 주차 상태에 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공간배열정보를 최신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0 may update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by periodically monitoring at least one parking space through a parking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whether the non-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parked. That is,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0 may periodically monitor the information on the parking state of the parking lot to keep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up to date.

주차공간 결정부(330)는 자율주행차량의 입차 시점에 공간배열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기준을 만족시키는 주차 복잡도를 가지는 가용 주차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주차 복잡도는 주차에 소요되는 주차 시간과 주차 후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를 주요 변수로 하여 산출될 수 있다. 주차공간 결정부(330)는 공간배열정보를 기초로 각 가용 주차영역에 대해 주차 복잡도를 산출할 수 있고, 주차 복잡도가 가장 작은 주차영역을 가용 주차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may determine an available parking area having a parking complexity that satisfies a specific criterion by analyzing the space arrangement information at the time of entry of the autonomous vehicle. That is, the parking complexity may be calculated using the parking time required for parking and the moving distance to the destination after parking as main variables. The parking space determining unit 330 may calculate a parking complexity for each available parking area based on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and may determine a parking area having the smallest parking complexity as the available parking area.

다른 실시예에서, 주차공간 결정부(330)는 공간배열정보가 이차원 배열 형태인 경우 각 행 별로 주차 복잡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차 복잡도는 각 행의 주차 상태를 기초로 예상되는 주차 시간을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주차공간 결정부(330)는 행 별로 최적의 주차영역이 결정되면 목적지와의 거리가 최소인 주차영역을 가용 주차영역으로 최종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각 주차영역에 대한 주차 복잡도는 각 행 별 산출된 주차 시간과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통합한 결과로서 산출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arking space determining unit 330 may calculate the parking complexity for each row when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is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arrangement. In this case, the parking complexity may be calculated based on an expected parking time based on the parking state of each row. In addition, when the optimal parking area for each row is determined,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may finally determine a parking area having the smallest distance to the destination as an available parking area. In this case, if necessary, the parking complexity for each parking area may be calculated as a result of integrating the calculated parking time for each row and the distance to the destination.

일 실시예에서, 주차공간 결정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 각각마다의 평균 도달거리를 결정하고 특정 도달거리 이내의 주차공간에 관해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차공간 결정부(330)는 주차장 내의 각 주차공간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입구로부터 도달거리를 산출할 수 있으며, 도달거리의 평균에 해당하는 평균 도달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평균 도달거리가 기준값(즉, 특정 도달거리)보다 작은 경우라면 주차공간 결정부(330)는 해당 주차공간들을 대상으로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may determine an average arrival distance for each of at least one parking space and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with respect to a parking space within a specific reach. More specifically,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may calculate the reach distance from at least one entrance for each parking space in the parking lot, and may determine the average reach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average of the reach distances. If the average arrival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ie, a specific arrival distance),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for the corresponding parking spaces.

일 실시예에서, 주차공간 결정부(330)는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주차공간에 있는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을 가용 주차영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주차공간 결정부(330)는 목적지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주차공간에 있는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을 가용 주차영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주차공간 결정부(330)는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위치에서의 거리와 목적지까지의 거리의 합이 최소인 주차공간에 있는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을 가용 주차영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may select, as the available parking area, a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in a parking space closes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when there is a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In addition,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may select a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in the closest parking space to the destination location as the available parking area. In addition,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may select a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in a parking space in which the sum of the dista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the distance to the destination is the minimum as the available parking area.

일 실시예에서, 주차공간 결정부(330)는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한쪽 바로 옆 영역이 비가용 주차영역이고 다른쪽 바로 옆 영역이 가용 주차영역인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을 가용 주차영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즉,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은 양쪽 주차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만 차량(110)이 주차되어 있는 주차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주차공간 결정부(330)는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에서 먼저 가용 주차영역을 결정할 수 있고, 만약 조건을 충족하는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에서 가용 주차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is the nex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the area immediately adjacent to one side is the unavailable parking area and the area immediately next to the other is the available parking area when there is no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Available parking areas can be selected. That is, the next available parking area may correspond to a parking area in which the vehicle 110 is parked in only one of both parking areas. The parking space determining unit 330 may first determine an available parking area from the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and if there is no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that meets the condition, determine an available parking area from the nex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can

일 실시예에서, 주차공간 결정부(330)는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특정 도달거리 바깥의 주차공간에 관해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 또는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주차공간 결정부(330)는 1차적으로 특정 도달거리 내부의 주차공간을 대상으로 가용 주차영역을 결정할 수 있고, 해당 특정 도달거리 내부에서 가용 주차영역을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2차적으로 특정 도달거리 바깥의 주차공간을 대상으로 가용 주차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주차공간 결정부(330)는 특정 도달거리 바깥의 주차공간에 대해서도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과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을 결정한 후 순차적으로 가용 주차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arking space determining unit 33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or a nex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with respect to a parking space outside a specific reach when there is no nex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can That is, the parking space determining unit 330 may primarily determine an available parking area for a parking space within a specific reach, and if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an available parking area within the specific reach, secondarily An available parking area can be determined for a parking space outside the reach. In addition,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may determine the available parking area sequentially after determining the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and the nex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even for a parking space outside a specific reach distance.

일 실시예에서, 주차공간 결정부(330)는 특정 도달거리 바깥의 주차공간에 관해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 또는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양쪽 바로 옆 영역들이 비가용 주차영역인 최종 배정 가용 주차영역을 가용 주차영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주차공간 결정부(330)는 양쪽이 모두 비어 있는 주차영역, 양쪽 중 어느 하나만 비어 있는 주차영역들 및 양쪽이 모두 주차된 주차영역 순으로 가용 주차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arking space determining unit 330 determines that if there is no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or nex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with respect to a parking space outside a specific reach, both adjacent areas are unavailable parking areas. The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can be selected as the available parking area. That is,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may determine the available parking areas in the order of a parking area in which both sides are empty, parking areas in which only one of both sides is empty, and a parking area in which both sides are parked.

주차 제어부(350)는 가용 주차영역에 관한 정보를 자율주행차량에 제공하여 자율주행차량의 주차를 제어할 수 있다. 주차 제어부(350)는 자율주행차량에 가용 주차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데이터베이스(150)를 갱신할 수 있으며, 자율주행차량으로부터 주차 결과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50)를 최종 갱신할 수 있다.The parking control unit 350 may control park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available parking area to the autonomous vehicle. The parking control unit 350 may update the database 150 while providing information on an available parking area to the autonomous vehicle, and may finally update the database 150 by receiving a parking result from the autonomous vehicle.

일 실시예에서, 주차 제어부(350)는 가용 주차영역이 비자율주행차량에 의해 점유되는 경우에는 주차 복잡도를 가지는 가용 주차영역을 재결정할 수 있다. 즉, 주차 제어부(350)는 가용 주차영역을 기초로 자율주행차량의 주차를 제어할 수 있으나,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비자율주행차량에 의해 해당 가용 주차영역이 사용된 경우 주차 복잡도 산출 과정을 재수행하여 가용 주차영역을 재결정할 수 있다. 이때, 비자율주행차량에 의해 점유된 가용 주차영역은 비가용 주차영역으로 갱신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the available parking area is occupied by a non-autonomous driving vehicle, the parking control unit 350 may re-determine an available parking area having a parking complexity. That is, the parking control unit 350 may control the park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based on the available parking area, but when the available parking area is used by the non-autonomous vehicle in a state where the park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is not completed The available parking area may be re-determined by re-performing the parking complexity calculation process. In this case, the available parking area occupied by the non-autonomous driving vehicle may be updated as an unavailable parking area.

일 실시예에서, 주차 제어부(350)는 재결정 과정에서, 자율주행차량의 진행 방향에서 가장 가까운 주차공간에서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 또는 최종 배정 가용 주차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주차 제어부(350)는 자율주행차량의 주차 동작이 일정 시간 동안 진행된 결과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위치를 반영하여 가용 주차영역을 재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 또는 최종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각각 결정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arking control unit 350 may determine a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a nex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or a final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in the parking space closes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during the re-determination process. That is, the parking control unit 350 may re-determine the available parking area by reflec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as a result of the autonomous vehicle's park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is case, a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a nex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or a final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제어부(370)는 주차관리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공간배열정보 관리부(310), 주차공간 결정부(330) 및 주차 제어부(3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7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 and may manage the control flow or data flow between the space arran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0 , the parking space determining unit 330 , and the parking control unit 350 .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rking management process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주차관리 장치(130)는 공간배열정보 관리부(310)를 통해 자율주행차량의 주차 과정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을 공간적으로 배치하고 각각은 가용 또는 비가용 주차영역으로 관리되는 주차장의 공간배열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단계 S410). 또한, 주차관리 장치(130)는 주차공간 결정부(330)를 통해 자율주행차량의 입차 시점에 공간배열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기준을 만족시키는 주차 복잡도를 가지는 가용 주차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30). 또한, 주차관리 장치(130)는 주차 제어부(350)를 통해 가용 주차영역에 관한 정보를 자율주행차량에 제공하여 자율주행차량의 주차를 제어할 수 있다(단계 S450).Referring to FIG. 4 ,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spatially arranges at least one parking space used in the parking process of the autonomous vehicle through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0 , and each is an available or non-available parking area.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managed parking lot (step S410). In addition,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may determine an available parking area having a parking complexity that satisfies a specific criterion by analyzing the space arrangement information at the time of entry of the autonomous vehicle through the parking space determiner 330 (step S430 ). ). In addition,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may control the park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le parking area to the autonomous vehicle through the parking control unit 350 (step S45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차 및 관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utonomous parking and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주차관리 장치(130)는 주차장 내 차량수와 무관하게 항상 최적의 주차 위치를 제공하고 주차 위치를 자율주행차에 제공해 줌으로써 주차장 내 동선을 최소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주차관리 장치(130)는 특정 구간의 혼잡도가 높으면 주변 주차 공간을 고려 대상에서 배제함으로써 주차장 전체 혼잡도를 최소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can support to minimize the movement in the parking lot by always providing the optimal parking location regardless of the number of vehicles in the parking lot and providing the parking location to the autonomous vehicle. In addition,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may support to minimize the overall congestion of the parking lot by excluding the surrounding parking space from consideration when the congestion degree of a specific section is high.

한편, 주차관리 장치(130)는 노약자, 장애인 등의 특별처리 요청을 수신한 경우 목적지와의 거리가 최소인 주차공간을 우선적으로 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차량의 주차가 완료된 경우 차량(110)으로부터 확정된 주차 위치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50)를 갱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may operate to preferentially allocate a parking space with a minimum distance to the destination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special treatment of the elderly, the disabled, etc., and when the parking of the vehicle is completed, the vehicle 110 It is possible to update the database 150 by receiving the parking location confirmed from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주차관리 시스템(100)은 차량(110)과 주차관리 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 차량(110)은 사용자 차량에 해당할 수 있고, 자율주행차량에 해당할 수도 있다. 주차관리 장치(130)는 관제 서버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150)는 주차장 DB로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주차장 DB는 관제 서버와 독립적인 장치로 구현되어 연동할 수도 있으며,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 서버에 포함되어 하나의 물리적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include a vehicle 110 , a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 and a database 150 . In FIG. 6 , the vehicle 110 may correspond to a user vehicle or may correspond to an autonomous vehicle.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may operate as a control server, and the database 150 may operate as a parking lot DB. On the other hand, the parking lot DB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independent of the control server and may be interlocked, or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server to constitute one physical device as shown in FIG. 6 .

사용자 차량은 주차장 입차시 특별처리 요청을 관제 서버에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관제 서버는 사용자 차량의 진입을 자동 검출하여 가용 주차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는 사용자 차량에 주차 위치를 전달함과 동시에 주차장 DB에 임시 주차 위치를 전달하여 DB 갱신을 대기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차량이 해당 주차 위치에 주차한 경우 확정 주차 위치가 주차장 DB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주차관리 시스템(100)은 주차장 내에 설치된 주차감지센서를 통해 차량(110)의 주차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주차장 DB는 관제 서버에서 동작하는 주차 배치 과정을 위해 주차장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주차장 DB는 주차 가능 공간, 목적지 위치, 주차 및 출차 중인 차량을 고려한 내부 혼잡도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user's vehicle may selectively transmit a special processing request to the control server when entering the parking lot, and the control server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available parking area by automatically detecting the user's vehicle entry. In addition, the control server may transmit the parking location to the user's vehicle and at the same time deliver the temporary parking location to the parking lot DB to wait for DB update. If the user's vehicle is parked at the corresponding parking location, the confirmed parking loc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parking lot DB. In this case,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detect whether the vehicle 110 is parked through a parking sensor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The parking lot DB may deliver parking lot information for the parking arrangement process operated by the control server. On the other hand, the parking lot DB may store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le parking space, the destination location, the degree of internal conges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arking and taking-out vehicle.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배치 알고리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7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arrangement algorith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주차관리 장치(130)는 차량(110)의 주차를 통제할 수 있는 자율 관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고, 주차 배치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 배치 알고리즘은 주차 가능한 공간의 크기가 제한적일 때 임의의 순서로 주차를 함으로써 주차장 내부의 차량 밀도가 높아지고 차량(110)들의 배치 순서가 비효율적일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may implement an autonomous control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the parking of the vehicle 110 , and may include a parking arrangement algorithm. The parking arrangement algorithm can contribute to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density of vehicles inside the parking lot increases by parking in an arbitrary order when the size of the available parking space is limited, and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vehicles 110 may be inefficient.

특히, 자율주행차량의 경우, 양 옆 공간에 주차가 되어있는 경우에 있어서, 주차 및 출차 시 필요한 연산량이나 소요 시간이 비효율적이므로 최적의 주차 배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해당 비효율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autonomous vehicle, when it is parked in the space on either side,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inefficiency by applying the optimal parking arrangement algorithm because the amount of computation or time required for parking and exiting is inefficient.

보다 구체적으로, 주차 배치 알고리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두가지의 가정이 적용될 수 있다. 즉, 1) 차량들의 출차 패턴은 예측할 수 없으므로 주차에 드는 연산비용만 고려하고 2) 최소한 한 쪽의 공간이 비어 있을 경우, 자율주행차의 주차에 드는 연산량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주차 배치 알고리즘은 주차장이 2차원 직사각형 모양의 배열을 예시로 들어 설명한다. 물론 각 행별 크기가 상이한 경우에도 본 알고리즘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주차 후 목적지의 위치가 배열의 첫번째 칸으로 가정할 수 있으며, 만약 목적지가 행의 중간위치에 있다면 목적지를 기준으로 두개의 행로 나누어 두개의 독립적인 배열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arrangement algorithm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wo assumptions can be applied. In other words, it can be assumed that 1) only the calculation cost for parking is taken into account because the vehicle's exit pattern is unpredictable, and 2) when at least one of the spaces is empty, the amount of calculation required for park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is significantly reduced. . The parking arrangement algorithm is explained by taking the parking lot as an example of a two-dimensional rectangular arrangement. Of course, even when the size of each row is different, the present algorithm may be equally applicable. 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after parking can be assumed as the first column of the array, and if the destination is in the middle of the row, it can be applied to two independent arrays by dividing it into two rows based on the destination.

이후, 주차 배치 알고리즘은 주차장의 각 행 별로 최적의 주차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도 7의 경우, 그림 (a)처럼 임의로 주차하게 되면 남은 주차 공간에서 1번 옵션은 주차에 드는 비용이 높을 수 있고 2번 옵션은 목적지로부터 거리가 멀기 때문에 이상적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그림 (b)처럼 주차 순서가 결정되는 경우 이상적일 수 있다. (여기에서, 행의 가장 왼쪽/오른쪽에 있는 차량들은 각각의 왼쪽/오른쪽에 충분한 공간이 있다고 가정함)Thereafter, the parking arrangement algorithm may calculate an optimal parking location for each row of the parking lot. In the case of FIG. 7 , if parking is arbitrarily as shown in figure (a), the cost of parking in the remaining parking space may be high for option 1, and option 2 may not be ideal because it is far from the destination. Therefore, it may be ideal if the parking order is determined as shown in Figure (b). (Here, the left/right most vehicles in a row are assumed to have sufficient space on their respective left/right sides)

즉, 이상적인 경우 4개의 주차 공간에 3대의 차량이 주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차량의 주차 비용이 작으면서 trade off인 목적지까지의 거리 또한 최소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 및 9의 경우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크기의 행에 대해서도 step size가 3인 귀납적 방법을 적용하여 차량을 배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8 및 9의 경우에 있어서 1 및 2번 차량, 그리고 3 및 4번 차량이 배치되는 원리와 동일할 수 있다.That is, in the ideal case, even though three vehicles are parked in four parking space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arking cost of all vehicles is small and the distance to the trade-off destination is also minimized. The same description may be applied to the cases of FIGS. 8 and 9 as well. In addition, the vehicle can be arranged by applying an inductive method with a step size of 3 to a row of an arbitrary size. As a result, in the case of FIGS. 8 and 9 , it may be the same as the principle in which vehicles 1 and 2 and vehicles 3 and 4 are arranged.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 장치(130)는 주차 배치 알고리즘에 따라 주차장의 각 행 별로 최적의 주차 위치를 계산한 후 그 중 목적지와 가장 가까운 위치로 주차 위치를 배정할 수 있다. 즉, 주차관리 장치(130)는 최적의 주차 위치를 자율주행차량이 주차장에 입차할 경우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차량이 주차 위치를 찾기 위해 주차장 내부를 돌아다닐 필요 없이 바로 주차를 할 수 있다.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alculate an optimal parking location for each row of the parking lot according to a parking arrangement algorithm, and then allocate a parking location to a location closest to the destination among them. That is,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may transmit the optimal parking position when the autonomous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This allows autonomous vehicles to park directly without having to walk around the parking lot to find a parking location.

또한, 주차관리 장치(130)는 차량 내부 승객이 노약자, 장애인일 경우, 혹은 주차장 내부 특정 위치에 많은 차량이 몰려 있어 혼잡할 경우, 차선의 위치를 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주차관리 장치(130)는 하나의 차량(110)이 주차에 소요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주차 위치를 지정함으로써 주차장 내부에서 소요하는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주차관리 장치(130)는 주차장 내부 특정 위치에 차량이 지나치게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주차장의 전체적인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may allocate the location of the lane when the passenger inside the vehicle is the elderly or disabled, or when a lot of vehicles are crowded in a specific location inside the parking lot and it is congested. Accordingly,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minimizes the time required for one vehicle 110 to park, and by designating a parking loca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movement required inside the parking lot. In addition,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130 can prevent vehicles from being excessively driven to a specific location inside the parking lot, and can improve the overall efficiency of the parking lo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주차관리 시스템
110: 차량 130: 주차관리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170: 외부 시스템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공간배열정보 관리부 330: 주차공간 결정부
350: 주차 제어부 370: 제어부
100: parking management system
110: vehicle 130: parking management device
150: database 170: external system
210: processor 230: memory
250: user input/output unit 270: network input/output unit
310: space arran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30: parking space determining unit
350: parking control 370: control

Claims (15)

자율주행차량의 주차 과정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을 공간적으로 배치하고 각각은 가용 또는 비가용 주차영역으로 관리되는 주차장의 공간배열정보를 관리하는 공간배열정보 관리부;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입차 시점에 상기 공간배열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기준을 만족시키는 주차 복잡도를 가지는 가용 주차영역을 결정하는 주차공간 결정부; 및
상기 가용 주차영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자율주행차량에 제공하여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주차를 제어하는 주차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장치.
a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which spatially arranges at least one parking space used in the parking process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manages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parking lot, each of which is managed as an available or unavailable parking area;
a parking space determining unit that analyzes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at the time of entry of the autonomous vehicle to determine an available parking area having a parking complexity that satisfies a specific criterion; and
and a parking control unit controlling park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available parking area to the autonomous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배열정보 관리부는
상기 공간배열정보를 이동경로 기반의 공간배열로 구성하고 상기 공간배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을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e apparatus for managing parking of an autonomous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is configured as a spatial arrangement based on a movement path and the at least one parking space is mapped to the spatial arrange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배열정보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에서 양단의 가장자리 주차영역들 중 하나를 우선 배정 주차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for an autonomous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edge parking areas at both ends in the at least one parking space is set as a priority allocated parking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배열정보 관리부는
비자율주행차량의 주차 여부를 검출하는 주차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기 공간배열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e apparatus for managing parking of an autonomous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arrangement information is updated by periodically monitoring the at least one parking space through a parking sensor detecting whether the non-autonomous vehicle is park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 결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 각각마다의 평균 도달거리를 결정하고 특정 도달거리 이내의 주차공간에 관해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rking space determining unit
and determining an average arrival distance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parking spa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preferentiall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for a parking space within a specific reach distan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 결정부는
상기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주차공간에 있는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을 상기 가용 주차영역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arking space determining unit
When the priority available parking area exists, the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in a parking space closes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is selected as the available parking are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 결정부는
상기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한쪽 바로 옆 영역이 비가용 주차영역이고 다른쪽 바로 옆 영역이 가용 주차영역인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을 상기 가용 주차영역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arking space determining unit
Autonomy,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does not exist, the nex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in which one immediately adjacent area is an unavailable parking area and the other immediately adjacent area is an available parking area is selected as the available parking area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driving vehicl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 결정부는
상기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특정 도달거리 바깥의 주차공간에 관해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 또는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arking space determining unit
Parking management of an autonomous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or a nex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with respect to a parking space outside the specific reach when the nex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does not exist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 결정부는
상기 특정 도달거리 바깥의 주차공간에 관해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 또는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양쪽 바로 옆 영역들이 비가용 주차영역인 최종 배정 가용 주차영역을 상기 가용 주차영역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arking space determining unit
If there is no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or nex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with respect to the parking space outside the specific reach, the las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in which the adjacent areas are unavailable parking areas is selected as the available parking area A parking management device for an autonomous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제어부는
상기 가용 주차영역이 비자율주행차량에 의해 점유되는 경우에는 상기 주차 복잡도를 가지는 가용 주차영역을 재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rking control
and re-determining the available parking area having the parking complexity when the available parking area is occupied by the non-autonomous vehic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제어부는
상기 재결정 과정에서,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진행 방향에서 가장 가까운 주차공간에서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 또는 최종 배정 가용 주차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arking control
In the re-determination process, a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a nex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or a final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is determined in a parking space closes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자율주행차량의 주차 과정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을 공간적으로 배치하고 각각은 가용 또는 비가용 주차영역으로 관리되는 주차장의 공간배열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입차 시점에 상기 공간배열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기준을 만족시키는 주차 복잡도를 가지는 가용 주차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용 주차영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자율주행차량에 제공하여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주차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방법.
Spatially arranging at least one parking space used in the parking process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managing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parking lot, each of which is managed as an available or unavailable parking area;
determining an available parking area having a parking complexity that satisfies a specific criterion by analyzing the spatial arrangement information at the time of entry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and controlling park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available parking area to the autonomous vehicl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특정 도달거리 이내의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주차공간에 있는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을 상기 가용 주차영역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etermining comprises:
If there is a priority available parking area within a specific reach, selecting a priority available parking area in a parking space closes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as the available parking area A parking management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한쪽 바로 옆 영역이 비가용 주차영역이고 다른쪽 바로 옆 영역이 가용 주차영역인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을 상기 가용 주차영역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When the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does not exist, selecting the nex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in which one immediately adjacent area is an unavailable parking area and the other immediately adjacent area is an available parking area, as the available parking area A parking management method for an autonomous vehicle characterized by its characteristic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특정 도달거리 바깥의 주차공간에 관해 우선 배정 가용 주차영역 또는 다음 배정 가용 주차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주차관리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If the next available parking area does not exist,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priority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or a next allocated available parking area with respect to a parking space outside the specific reach; Vehicle parking management method.
KR1020200157685A 2020-11-23 2020-11-23 Parking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s KR1024951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685A KR102495198B1 (en) 2020-11-23 2020-11-23 Parking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685A KR102495198B1 (en) 2020-11-23 2020-11-23 Parking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774A true KR20220070774A (en) 2022-05-31
KR102495198B1 KR102495198B1 (en) 2023-02-06

Family

ID=81785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685A KR102495198B1 (en) 2020-11-23 2020-11-23 Parking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19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772B1 (en) 2008-06-30 2009-08-13 정광(주) Paking management system
KR20170070480A (en) * 2015-12-14 2017-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optimized parking path
KR20190080257A (en) * 2017-12-28 2019-07-08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System for guiding parking and method there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JP2019166856A (en) * 2018-03-22 2019-10-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Parking control method and parking control device of automatic operation vehicle
KR20200044196A (en) * 2018-10-10 2020-04-29 주식회사 만도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arking of vehicle
KR20200057819A (en) * 2018-11-13 2020-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arking control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772B1 (en) 2008-06-30 2009-08-13 정광(주) Paking management system
KR20170070480A (en) * 2015-12-14 2017-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optimized parking path
KR20190080257A (en) * 2017-12-28 2019-07-08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System for guiding parking and method there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JP2019166856A (en) * 2018-03-22 2019-10-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Parking control method and parking control device of automatic operation vehicle
KR20200044196A (en) * 2018-10-10 2020-04-29 주식회사 만도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arking of vehicle
KR20200057819A (en) * 2018-11-13 2020-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arking control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198B1 (en)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1723B2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2300992B1 (en) Fleet Management for Autonomous Vehicles
US11067983B2 (en) Coordination of dispatching and maintaining fleet of autonomous vehicles
US10388155B2 (en) Lane assignments for autonomous vehicles
Le-Anh et al. A review of design and control of automated guided vehicle systems
CN104742881A (en) Automatic parking system and method
US11269327B2 (en) Picking up and dropping off passengers at an airport using an autonomous vehicle
JP2024020457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puter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220155082A1 (en) Route comparison for vehicle routing
KR20220097695A (en) Route search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parking based on cognitive sensor
US20210074157A1 (en) System for optimising transient kerbside access
US20220262177A1 (en) Responding to autonomous vehicle error states
KR20210086400A (e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intelligent drainage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5547023A (en) Vehicle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2495198B1 (en) Parking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s
WO2020264007A1 (en) Techniques for contacting a teleoperator
US20230339509A1 (en) Pull-over site selection
US20220065647A1 (en) Autonomous vehicle planned route prediction
CN116940911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ovement of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Wodtko et al. Adaptive patched grid mapping
Wong et al. Improving Parking Lot Efficiency through Autonomous Control and Assignment Strategies: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Analysis
Kala et al. Dynamic distributed lanes: motion planning for multiple autonomous vehicles
Morgenroth et al. Scheduling taxi services for a team of car relocators
US202401441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allocation of vehicles to fleets
WO2023274264A1 (en) Vehicl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