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0037A -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 - Google Patents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0037A
KR20220070037A KR1020227014980A KR20227014980A KR20220070037A KR 20220070037 A KR20220070037 A KR 20220070037A KR 1020227014980 A KR1020227014980 A KR 1020227014980A KR 20227014980 A KR20227014980 A KR 20227014980A KR 20220070037 A KR20220070037 A KR 20220070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view
path
redirec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3797B1 (ko
Inventor
마크 드라지말라
에드워드 바르칸
대런 마이클 핸드쇼
Original Assignee
제브라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브라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브라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070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31Arrangement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pr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712Fixed beam scanning
    • G06K7/10722Photodetector array or CCD sc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9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the scanner having more than one scanning window, e.g. two substantially orthogonally placed scanning windows for integration into a check-out counter of a super-mark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doscop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Input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Prosthese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하우징은 5인치 이상 7인치 이하의 폭을 갖고, 하부 하우징 부분은 3인치 이상의 높이를 갖고, 상부 하우징 부분은 4인치 이상 6인치 이하의 높이를 갖고, 상면은 6인치 이상 8인치 이하의 길이를 갖는다.

Description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bioptic barcode readers)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콤팩트한 바코드 판독기들에 관한 것이다.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은 전통적으로 그 크기 및 스케일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으로 인해 비교적 고가였다. 따라서, 셀프 계산대 키오스크들 또는 다른 고처리 소매형 영역들과 같은 다양한 소매 위치들에서 이용될 수 있는 콤팩트한 저가의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이 필요하다.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제품 스캐닝 영역, 제품 스캐닝 영역에 대면하는 상면을 갖는 하부 하우징 부분, 하부 하우징 부분 위로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을 갖는 하우징, 및 주 시야(primary field-of-view)를 갖는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이다. 대체로 수평인 창(generally horizontal window)은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1 광이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generally upright window)은 상부 하우징 부분에 배치되고, 제2 광이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는 하우징의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의 주 시야를 분할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은 5인치 이상 7인치 이하의 폭을 갖고, 하부 하우징 부분은 3인치 이상의 높이를 갖고, 상부 하우징 부분은 4인치 이상 6인치 이하의 높이를 갖고,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은 6인치 이상 8인치 이하의, 상부 하우징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proximal edge)와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distal edge) 사이의 길이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제품 스캐닝 영역, 제품 스캐닝 영역에 대면하는 상면을 갖는 하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 위로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을 갖는 하우징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이며,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는다. 이미징 어셈블리는 주 시야를 갖고,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한다. 인쇄 회로 보드는 상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 및 이미지 센서는 주 시야를 상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그리고 상면의 원위 에지를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된다. 디코딩 모듈은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대체로 수평인 창은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1 광이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은 상부 하우징 부분에 배치되고, 제2 광이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미러 배열체(mirror arrangement)는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되고,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및 제2 미러를 포함한다. 스플리터 미러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경로로부터 제2 경로로 제2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제1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제품 스캐닝 영역, 제품 스캐닝 영역에 대면하는 상면을 갖는 하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 위로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을 갖는 하우징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이며,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와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는다. 이미징 어셈블리는 주 시야를 갖고,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한다. 인쇄 회로 보드는 상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와 이미지 센서는 주 시야를 상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그리고 상면의 원위 에지를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된다. 디코딩 모듈은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대체로 수평인 창은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1 광이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은 상부 하우징 부분에 배치되고 제2 광이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미러 배열체는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되고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제2 미러, 및 제3 미러를 포함한다. 스플리터 미러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서브필드와 제2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제1 서브필드를 제2 경로를 따라 제2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고, 제2 서브필드를 제3 경로를 따라 제3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4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제1 서브필드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3 미러는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제2 서브필드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제품 스캐닝 영역, 제품 스캐닝 영역에 대면하는 상면을 갖는 하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 위로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을 갖는 하우징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이며,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는다. 이미징 어셈블리는 주 시야를 갖고,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한다. 인쇄 회로 보드는 상면에 대체로 수평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 및 이미지 센서는 주 시야를 상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그리고 상부 하우징 부분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된다. 디코딩 모듈은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대체로 수평인 창은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1 광이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은 상부 하우징 부분에 배치되고, 제2 광이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미러 배열체는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되고,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및 제2 미러를 포함한다. 스플리터 미러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경로로부터 제2 경로로 제1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제1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제품 스캐닝 영역, 제품 스캐닝 영역에 대면하는 상면을 갖는 하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 위로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을 갖는 하우징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이며,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는다. 이미징 어셈블리는 주 시야를 갖고,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한다. 인쇄 회로 보드는 상면에 대체로 수평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 및 이미지 센서는 주 시야를 상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그리고 상부 하우징 부분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된다. 디코딩 모듈은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대체로 수평인 창은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1 광이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은 상부 하우징 부분에 배치되고, 제2 광이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미러 배열체는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되고,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제2 미러, 및 제3 미러를 포함한다. 스플리터 미러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제1 서브필드를 제2 경로를 따라 제2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고, 제2 서브필드를 제3 경로를 따라 제3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4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제1 서브필드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3 미러는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제2 서브필드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제품 스캐닝 영역, 제품 스캐닝 영역에 대면하는 상면을 갖는 하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 위로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을 갖는 하우징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이며,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는다. 이미징 어셈블리는 주 시야를 갖고,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한다. 인쇄 회로 보드는 상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 및 이미지 센서는 주 시야를 상면의 근위 에지에 대체로 평행하게 지향시키도록 배열된다. 디코딩 모듈은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대체로 수평인 창은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1 광이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은 상부 하우징 부분에 배치되고, 제2 광이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미러 배열체는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되고,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제2 미러, 및 제3 미러를 포함한다. 스플리터 미러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직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경로로부터 제2 경로로 제3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2 부분을 제3 경로로부터 제4 경로로 제2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미러는 제4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2 부분을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3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1 부분을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제품 스캐닝 영역, 제품 스캐닝 영역에 대면하는 상면을 갖는 하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 위로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을 갖는 하우징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이며,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는다. 이미징 어셈블리는 주 시야를 갖고,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한다. 인쇄 회로 보드는 상면에 대해 예각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 및 이미지 센서는 주 시야를 상면에 대해 예각으로 그리고 상부 하우징 부분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된다. 디코딩 모듈은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대체로 수평인 창은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1 광이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은 상부 하우징 부분에 배치되고, 제2 광이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미러 배열체는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되고,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및 제2 미러를 포함한다. 스플리터 미러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경로로부터 제2 경로로 제1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제1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제품 스캐닝 영역, 제품 스캐닝 영역에 대면하는 상면을 갖는 하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 위로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을 갖는 하우징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이며,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는다. 이미징 어셈블리는 주 시야를 갖고,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한다. 인쇄 회로 보드는 상면에 대해 예각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 및 이미지 센서는 주 시야를 상면에 대해 예각으로 그리고 상부 하우징 부분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된다. 디코딩 모듈은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대체로 수평인 창은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1 광이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은 상부 하우징 부분에 배치되고, 제2 광이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미러 배열체는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되고,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제2 미러, 및 제3 미러를 포함한다. 스플리터 미러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제1 서브필드를 제2 경로를 따라 제2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고, 제2 서브필드를 제3 경로를 따라 제3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4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제1 서브필드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3 미러는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제2 서브필드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제품 스캐닝 영역, 제품 스캐닝 영역에 대면하는 상면을 갖는 하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 위로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을 갖는 하우징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이며,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는다. 이미징 어셈블리는 주 시야를 갖고,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한다. 디코딩 모듈은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제1 창은 제1 광이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제2 창은 제2 광이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미러 배열체는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되고,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제2 미러, 및 제3 미러를 포함한다. 스플리터 미러는 2개의 평면형 반사면을 갖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제1 서브필드를 제2 경로를 따라 제2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고, 제2 경로와 제3 경로가 교차하도록 제2 서브필드를 제3 경로를 따라 제3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4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1 서브필드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3 미러는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2 서브필드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제품 스캐닝 영역, 제품 스캐닝 영역에 대면하는 상면을 갖는 하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 위로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을 갖는 하우징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이며,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는다. 대체로 수평인 창은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1 광이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은 상부 하우징 부분에 배치되고, 제2 광이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대체로 수평인 창은 상면의 근위 에지에 평행하게 측정된 폭 및 근위 에지에 수직으로 측정된 길이를 갖고, 대체로 수평인 창의 폭은 그 길이보다 크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유사한 참조 번호들이 별개의 도면들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들을 지칭하는 첨부 도면들은 명세서 내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형성하고, 청구된 예들을 포함하는 개념들의 실시예들을 추가로 도시하고, 그들 실시예들의 다양한 원리들 및 이점들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제1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 및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를 갖는 도 1의 예시적인 바코드 판독기의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제1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 및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를 도시하는 도 2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3b는 이미징 어셈블리의 주 시야의 다양한 경로들을 도시하는 도 3a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도 4a는 제2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 및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를 갖는 도 1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도 4b는 이미징 어셈블리의 주 시야의 다양한 경로들을 도시하는 도 4a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도 5a는 제3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 및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를 갖는 도 1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도 5b는 이미징 어셈블리의 주 시야의 다양한 경로들을 도시하는 도 5a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도 6a는 제4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 및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를 갖는 도 1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도 6b는 이미징 어셈블리의 주 시야의 다양한 경로들을 도시하는 도 6a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도 7a는 제5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 및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를 갖는 도 1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도 7b는 이미징 어셈블리의 주 시야의 다양한 경로들을 도시하는 도 7a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도 8a는 제6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 및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를 갖는 도 1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도 8b는 이미징 어셈블리의 주 시야의 다양한 경로들을 도시하는 도 8a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도 9a는 제7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 및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를 갖는 도 1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도 9b는 이미징 어셈블리의 주 시야의 다양한 경로들을 도시하는 도 9a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도 10a는 제8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 및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를 갖는 도 1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도 10b는 이미징 어셈블리의 주 시야의 다양한 경로들을 도시하는 도 10a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도 11a는 제9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 및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를 갖는 도 1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도 11b는 이미징 어셈블리의 주 시야의 다양한 경로들을 도시하는 도 11a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도 12a는 제10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 및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를 갖는 도 1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도 12b는 이미징 어셈블리의 주 시야의 다양한 경로들을 도시하는 도 12a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도 13a는 제11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 및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를 갖는 도 1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도 13b는 이미징 어셈블리의 주 시야의 다양한 경로들을 도시하는 도 13a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도 14a는 제12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 및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를 갖는 도 1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도 14b는 이미징 어셈블리의 주 시야의 다양한 경로들을 도시하는 도 14a의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를 도시한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도면들 내의 요소들이 반드시 축척에 맞게 그려진 것은 아니고 간략하고 명확하게 도시된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요소들 중 일부의 치수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이해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다른 요소들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장치 및 방법 구성요소들은, 도면들에서 적절한 경우 종래의 심볼들로 표현되어 있고,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설명의 이익을 갖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쉽게 명백할 상세들로 본 개시내용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개시된 예들의 이해와 관련된 특정 상세들만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들은 콤팩트하고,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제조 비용이 덜 드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은 스케일을 갖지 않는데, 이는 이들이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아지게 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요인이며, 여전히 우수한 성능을 갖는다. 예들은 또한 단일 이미지 센서, 예를 들어, 최소의 미러들을 이용하여 바이옵틱 바코드 스캐너의 수평인 창 및 직립인 창을 통해 주 시야가 분할되고 지향되는 2.3 메가픽셀 이미지 센서(단색 또는 컬러)를 이용하며, 이는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이 더 작게 제조되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소매점의 POS에서의 계산대와 같은 워크스테이션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품 스캐닝 영역(15)을 갖는 예시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도시되어 있다. 바코드 판독기(10)는 제품 스캐닝 영역(15)에 대면하는 상면(35)을 갖는 하부 하우징 부분(30) 및 하부 하우징 부분(30) 위로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45)을 포함하는 하우징(20)을 갖는다. 상면(35)은 상부 하우징 부분(45)에 인접한 근위 에지(55) 및 근위 에지(55)에 대체로 평행하고 이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60)를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 하우징(20)은 바람직하게는 5인치 이상 7인치 이하의 폭(W1)을 갖고, 하부 하우징 부분(30)은 바람직하게는 3인치 이상의 높이(H1)를 갖고, 상부 하우징 부분(45)은 바람직하게는 4인치 이상 6인치 이하의 높이(H2)를 갖고, 상면(35)은 6인치 이상 8인치 이하의, 근위 에지(55)와 원위 에지(60) 사이의 길이(L1)를 갖는다.
대체로 수평인 창(40)은 하부 하우징 부분(30)의 상면(35)에 배치되고, 제1 광이 제품 스캐닝 영역(15)과 하우징(20)의 내부 영역(25) 사이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50)은 상부 하우징 부분(45)에 배치되고, 제2 광이 제품 스캐닝 영역(15)과 하우징(20)의 내부 영역(25) 사이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광들은 교차하여 바코드 판독기(10)의 제품 스캐닝 영역(15)을 정의하고, 여기서 제품이 POS에서 판매를 위해 스캐닝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대체로 직립인 창(50)은 바람직하게는 3 ½인치 이상 6인치 이하의 높이(H3) 및 4인치 이상 7인치 이하의 폭(W2)을 갖고, 대체로 수평인 창(40)은 3 ½인치 이상 6인치 이하의 폭(W3)을 갖고, 상면(35)은 5인치 이상 7인치 이하의, 하우징(20)과 동일한 폭(W1), 및 3 ½인치 이상 6인치 이하의 길이(L2)를 갖는다. 하나의 특정 예에서, 대체로 수평인 창(40)은 4인치의 폭(W3) 및 (표준 6인치 길이보다는) 4 내지 4 ½인치의 길이(L2)를 가질 수 있고, 이는 표준 사파이어 유리로 제조되면 수평인 창(40)을 더 작고 훨씬 더 저렴하게 만들 수 있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도 1의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제1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100) 및 하우징(20)의 내부 영역(25) 내에 배치된 제1 예시적인 광학 구성요소 세트(200) 및 이미징 어셈블리(10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100)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300)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미징 어셈블리(100)는 단일 이미지 센서(110)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105)를 포함하고, 주 시야(115)를 갖는다. 인쇄 회로 보드(105)는 상면(35)에 대체로 수직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105) 및 이미지 센서(110)는 주 시야(115)를 상면(35)에 대체로 평행하게 그리고 상면(35)의 원위 에지(60)를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된다. 이 예에서,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이미징 어셈블리(100) 이외의, 디코딩 모듈(30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임의의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으며, 이는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광학 구성요소들(200)은 주 시야(115)를 분할하도록 구성되고, 스플리터 미러(210), 제1 미러(215) 및 제2 미러(220)를 갖는 미러 배열체(205)를 포함한다. 스플리터 미러(210)는 주 시야(115)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P1)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115)를 분할하고, 주 시야(115)의 제1 부분을 제1 경로(P1)로부터 제2 경로(P2)로 제2 미러(220)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스플리터 미러(210)는 주 시야(115)를 원하는 임의의 비율로 분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시야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의 구성 및 원하는 이용에 따라, 주 시야(115)의 제1 및 제2 부분들이 동일하거나, 제1 부분이 제2 부분보다 0-25% 더 크거나, 제2 부분이 제1 부분보다 0-25% 더 크도록 분할될 수 있다. 제2 미러(220)는 제2 경로(P2)에 직접 배치되고, 스플리터 미러(210)로부터 재지향된 제1 부분을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미러(220)로부터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재지향되는 주 시야(115)의 제1 부분은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50-100%를 채울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평면을 따라 취해진,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재지향된 주 시야(115)의 제1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면적보다 커서, 대체로 직립인 창(50)은 주 시야(115)의 제1 부분을 잘라 내거나(crop) 감소시키고, 제1 부분의 일부만이 통과되게 한다. 제1 미러(215)는 주 시야(115)의 제2 부분의 제3 경로(P3)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미러(215)로부터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재지향되는 주 시야(115)의 제2 부분은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50-100%를 채울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평면을 따라 취해진,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재지향된 주 시야(115)의 제2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면적보다 커서, 대체로 수평인 창(40)은 주 시야(115)의 제2 부분을 잘라 내거나 감소시키고, 제2 부분의 일부만이 통과되게 한다. 예를 들어,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폭(W3)은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길이(L2)보다 클 수 있어서,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과하도록 허용된 주 시야(115)의 제2 부분의 폭이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과하도록 허용된 주 시야(115)의 제2 부분의 길이보다 크다. 이 예에서, 미러 배열체(205)는 스플리터 미러(210), 제1 미러(215) 및 제2 미러(220) 이외의 임의의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으며, 이는 또한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도 1의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전술한 제1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100), 하우징(20)의 내부 영역(25) 내에 배치된 제2 예시적인 광학 구성요소 세트(400) 및 이미징 어셈블리(10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100)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300)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다시 이미징 어셈블리(100) 이외의, 디코딩 모듈(30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임의의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으며, 이는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광학 구성요소들(400)은 주 시야(115)를 분할하도록 구성되고, 스플리터 미러(410), 제1 미러(415), 제2 미러(420), 및 제3 미러(425)를 갖는 미러 배열체(405)를 포함한다. 스플리터 미러(410)는 주 시야(115)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P4)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115)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서브필드(430) 및 제2 서브필드(435)로 분할하고, 제1 서브필드(430)를 제1 경로(P4)로부터 제2 경로(P5)로 제2 미러(420)를 향해 재지향시키고, 제2 서브필드(435)를 제1 경로(P4)로부터 제3 경로(P6)로 제3 미러(425)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스플리터 미러(410)는, 제1 평면 미러(412A)로부터의 제2 경로(P5)와 제2 평면 미러(412B)로부터의 제3 경로(P6)가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제1 및 제2 평면 미러들(412A, 412B)을 갖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다. 스플리터 미러(410)를 오목 구성으로 갖는 것은 이미지 센서(110)와 대체로 직립인 창(50) 사이의 내부 경로 길이를 증가시켜, 더 양호한 바코드 판독 범위를 허용하고 시야 트위스트를 최소화하며, 이는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한 더 많은 이용가능한 시야를 가능하게 한다. 스플리터 미러(410)는 주 시야(115)를 원하는 임의의 비율로 분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시야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의 구성 및 원하는 이용에 따라, 주 시야(115)의 제1 및 제2 부분들이 동일하거나, 제1 부분이 제2 부분보다 0-25% 더 크거나, 제2 부분이 제1 부분보다 0-25% 더 크도록 분할될 수 있다.
제2 미러(420)는 제2 경로(P5)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스플리터 미러(410)로부터 재지향된 제1 서브필드(430)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3 미러(425)는 제3 경로(P6)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스플리터 미러(410)로부터 재지향된 제2 서브필드(435)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제2 미러(420)로부터 재지향된 제1 서브필드(430) 및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제3 미러(425)로부터 재지향된 제2 서브필드(435)는 함께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50-100%를 채울 수 있다. 제1 미러(415)는 주 시야(115)의 제2 부분의 제4 경로(P7)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제1 미러(415)로부터 재지향되는 주 시야(115)의 제2 부분은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50-100%를 채울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평면을 따라 취해진,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재지향된 주 시야(115)의 제2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면적보다 커서, 대체로 수평인 창(40)은 주 시야(115)의 제2 부분을 잘라 내거나 감소시키고, 제2 부분의 일부만이 통과되게 한다. 예를 들어,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폭(W3)은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길이(L2)보다 클 수 있어서,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과하도록 허용된 주 시야(115)의 제2 부분의 폭이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과하도록 허용된 주 시야(115)의 제2 부분의 길이보다 크다. 이 예에서, 미러 배열체(405)는 스플리터 미러(410), 제1 미러(415), 제2 미러(420) 및 제3 미러(425) 이외의 임의의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으며, 이는 또한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도 1의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전술한 제1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100), 하우징(20)의 내부 영역(25) 내에 배치된 제3 예시적인 광학 구성요소 세트(500) 및 이미징 어셈블리(10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100)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300)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다시 이미징 어셈블리(100) 이외의, 디코딩 모듈(30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임의의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으며, 이는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광학 구성요소들(500)은 주 시야(115)를 분할하도록 구성되고 스플리터 미러(510), 제1 미러(515), 제2 미러(520), 및 제3 미러(525)를 갖는 미러 배열체(505)를 포함한다. 스플리터 미러(510)는 주 시야(115)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P8)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115)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서브필드(530) 및 제2 서브필드(535)로 분할하고, 제1 서브필드(530)를 제1 경로(P8)로부터 제2 경로(P9)로 제2 미러(520)를 향해 재지향시키고, 제2 서브필드(535)를 제1 경로(P8)로부터 제3 경로(P10)로 제3 미러(525)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스플리터 미러(510)는 제1 평면 미러(512A)로부터의 제2 경로(P9)와 제2 평면 미러(512B)로부터의 제3 경로(P10)가 분기하도록 배열되는 제1 및 제2 평면 미러들(512A, 512B)을 갖는 볼록 스플리터 미러이다. 스플리터 미러(510)는 주 시야(115)를 원하는 임의의 비율로 분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시야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의 구성 및 원하는 이용에 따라, 주 시야(115)의 제1 및 제2 부분들이 동일하거나, 제1 부분이 제2 부분보다 0-25% 더 크거나, 제2 부분이 제1 부분보다 0-25% 더 크도록 분할될 수 있다.
제2 미러(520)는 제2 경로(P9)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스플리터 미러(510)로부터 재지향된 제1 서브필드(530)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3 미러(525)는 제3 경로(P10)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스플리터 미러(510)로부터 재지향된 제2 서브필드(535)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제2 미러(520)로부터 재지향된 제1 서브필드(530) 및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제3 미러(525)로부터 재지향된 제2 서브필드(535)는 함께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50-100%를 채울 수 있다. 제1 미러(515)는 주 시야(115)의 제2 부분의 제4 경로(P11)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제1 미러(515)로부터 재지향되는 주 시야(115)의 제2 부분은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50-100%를 채울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평면을 따라 취해진,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재지향된 주 시야(115)의 제2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면적보다 커서, 대체로 수평인 창(40)은 주 시야(115)의 제2 부분을 잘라 내거나 감소시키고, 제2 부분의 일부만이 통과되게 한다. 예를 들어,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폭(W3)은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길이(L2)보다 클 수 있어서,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과하도록 허용된 주 시야(115)의 제2 부분의 폭이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과하도록 허용된 주 시야(115)의 제2 부분의 길이보다 크다. 이 예에서, 미러 배열체(505)는 스플리터 미러(510), 제1 미러(515), 제2 미러(520) 및 제3 미러(525) 이외의 임의의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으며, 이는 또한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도 1의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전술한 제1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100), 하우징(20)의 내부 영역(25) 내에 배치된 제4 예시적인 광학 구성요소 세트(600) 및 이미징 어셈블리(10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100)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300)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다시 이미징 어셈블리(100) 이외의, 디코딩 모듈(30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임의의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으며, 이는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광학 구성요소들(600)은 주 시야(115)를 분할하도록 구성되고, 스플리터 미러(610), 제1 미러(615), 제2 미러(620), 및 제3 미러(625)를 갖는 미러 배열체(605)를 포함한다. 스플리터 미러(610)는 주 시야(115)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P12)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115)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서브필드(630) 및 제2 서브필드(635)로 분할하고, 제1 서브필드(630)를 제1 경로(P12)로부터 제2 경로(P13)로 제2 미러(620)를 향해 재지향시키고, 제2 서브필드(635)를 제1 경로(P12)로부터 제3 경로(P14)로 제3 미러(625)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스플리터 미러(610)는, 제1 평면 미러(612A)로부터의 제2 경로(P13)와 제2 평면 미러(612B)로부터의 제3 경로(P14)가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제1 및 제2 평면 미러들(612A, 612B)을 갖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다. 스플리터 미러(610)를 오목 구성으로 갖는 것은 이미지 센서(110)와 대체로 직립인 창(50) 사이의 내부 경로 길이를 증가시켜, 더 양호한 바코드 판독 범위를 허용하고 시야 트위스트를 최소화하며, 이는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한 더 많은 이용가능한 시야를 가능하게 한다. 스플리터 미러(610)는 주 시야(115)를 원하는 임의의 비율로 분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시야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의 구성 및 원하는 이용에 따라, 주 시야(115)의 제1 및 제2 부분들이 동일하거나, 제1 부분이 제2 부분보다 0-25% 더 크거나, 제2 부분이 제1 부분보다 0-25% 더 크도록 분할될 수 있다.
제2 미러(620)는 제2 경로(P13)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스플리터 미러(610)로부터 재지향된 제1 서브필드(630)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3 미러(625)는 제3 경로(P14)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스플리터 미러(610)로부터 재지향된 제2 서브필드(635)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제2 미러(620)로부터 재지향된 제1 서브필드(630) 및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제3 미러(625)로부터 재지향된 제2 서브필드(635)는 함께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50-100%를 채울 수 있다. 제1 미러(615)는 주 시야(115)의 제2 부분의 제4 경로(P15)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제1 미러(615)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주 시야(115)의 제2 부분을 제3 서브필드(640) 및 제4 서브필드(645)로 분할하고,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제3 서브필드(640)를 재지향시키고,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제4 서브필드(645)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3 서브필드(640) 및 제4 서브필드(645)는 함께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50-100%를 채울 수 있다. 이 예에서, 미러 배열체(605)는 스플리터 미러(610), 제1 미러(615), 제2 미러(620) 및 제3 미러(625) 이외의 임의의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으며, 이는 또한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도 1의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전술한 제1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100), 하우징(20)의 내부 영역(25) 내에 배치된 제5 예시적인 광학 구성요소 세트(700) 및 이미징 어셈블리(10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100)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300)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다시 이미징 어셈블리(100) 이외의, 디코딩 모듈(30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임의의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으며, 이는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광학 구성요소들(700)은 주 시야(115)를 분할하도록 구성되고 스플리터 미러(710), 제1 미러(715), 제2 미러(720), 및 제3 미러(725)를 갖는 미러 배열체(705)를 포함한다. 스플리터 미러(710)는 주 시야(115)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P16)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115)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서브필드(730) 및 제2 서브필드(735)로 분할하고, 제1 서브필드(730)를 제1 경로(P16)로부터 제2 경로(P17)로 제2 미러(720)를 향해 재지향시키고, 제2 서브필드(735)를 제1 경로(P16)로부터 제3 경로(P18)로 제3 미러(725)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스플리터 미러(710)는 제1 평면 미러(712A)로부터의 제2 경로(P17)와 제2 평면 미러(712B)로부터의 제3 경로(P18)가 분기하도록 배열되는 제1 및 제2 평면 미러들(712A, 712B)을 갖는 볼록 스플리터 미러이다. 스플리터 미러(710)는 주 시야(115)를 원하는 임의의 비율로 분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시야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의 구성 및 원하는 이용에 따라, 주 시야(115)의 제1 및 제2 부분들이 동일하거나, 제1 부분이 제2 부분보다 0-25% 더 크거나, 제2 부분이 제1 부분보다 0-25% 더 크도록 분할될 수 있다.
제2 미러(720)는 제2 경로(P17)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스플리터 미러(710)로부터 재지향된 제1 서브필드(730)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3 미러(725)는 제3 경로(P18)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스플리터 미러(710)로부터 재지향된 제2 서브필드(735)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제2 미러(720)로부터 재지향된 제1 서브필드(730) 및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제3 미러(725)로부터 재지향된 제2 서브필드(735)는 함께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50-100%를 채울 수 있다. 제1 미러(715)는 주 시야(115)의 제2 부분의 제4 경로(P19)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제1 미러(715)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주 시야(115)의 제2 부분을 제3 서브필드(740) 및 제4 서브필드(745)로 분할하고,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제3 서브필드(740)를 재지향시키고,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제4 서브필드(745)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3 서브필드(740) 및 제4 서브필드(745)는 함께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50-100%를 채울 수 있다. 이 예에서, 미러 배열체(705)는 스플리터 미러(710), 제1 미러(715), 제2 미러(720) 및 제3 미러(725) 이외의 임의의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으며, 이는 또한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도 1의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제2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100A), 하우징(20)의 내부 영역(25) 내에 배치된 제6 예시적인 광학 구성요소 세트(800), 및 이미징 어셈블리(100A)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100A)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300)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미징 어셈블리(100A)는 단일 이미지 센서(110A)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105A)를 포함하고, 주 시야(115A)를 갖는다. 인쇄 회로 보드(105A)는 상면(35)에 대체로 수평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105A) 및 이미지 센서(110A)는 주 시야(115A)를 상면(35)에 대체로 수직으로 그리고 상부 하우징 부분(45)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된다. 이 예에서,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이미징 어셈블리(100A) 이외의, 디코딩 모듈(30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임의의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으며, 이는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광학 구성요소들(800)은 주 시야(115A)를 분할하도록 구성되고 스플리터 미러(810), 제1 미러(815), 및 제2 미러(820)를 갖는 미러 배열체(805)를 포함한다. 스플리터 미러(810)는 주 시야(115A)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P20)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115A)를 분할하고 주 시야(115A)의 제1 부분을 제1 경로(P20)로부터 제2 경로(P21)로 제1 미러(815)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스플리터 미러(810)는 주 시야(115A)를 원하는 임의의 비율로 분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시야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의 구성 및 원하는 이용에 따라, 주 시야(115A)의 제1 및 제2 부분들이 동일하거나, 제1 부분이 제2 부분보다 0-25% 더 크거나, 제2 부분이 제1 부분보다 0-25% 더 크도록 분할될 수 있다. 제2 미러(820)는 주 시야(115A)의 제2 부분의 제3 경로(P22)에 직접 배치되고 제2 부분을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미러(820)로부터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재지향되는 주 시야(115A)의 제2 부분은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50-100%를 채울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평면을 따라 취해진,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재지향된 주 시야(115A)의 제2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면적보다 커서, 대체로 직립인 창(50)은 주 시야(115A)의 제2 부분을 잘라 내거나 감소시키고, 제2 부분의 일부만이 통과되게 한다. 제1 미러(815)는 주 시야(115A)의 제1 부분의 제2 경로(P21)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제1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미러(815)로부터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재지향되는 주 시야(115A)의 제1 부분은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50-100%를 채울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평면을 따라 취해진,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재지향된 주 시야(115A)의 제1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면적보다 커서, 대체로 수평인 창(40)은 주 시야(115A)의 제1 부분을 잘라 내거나 감소시키고, 제1 부분의 일부만이 통과되게 한다. 예를 들어,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폭(W3)은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길이(L2)보다 클 수 있어서,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과하도록 허용된 주 시야(115A)의 제1 부분의 폭이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과하도록 허용된 주 시야(115A)의 제1 부분의 길이보다 크다. 이 예에서, 미러 배열체(805)는 스플리터 미러(810), 제1 미러(815), 및 제2 미러(820) 이외의 임의의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으며, 이는 또한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도 1의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전술한 제2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100A), 하우징(20)의 내부 영역(25) 내에 배치된 제7 예시적인 광학 구성요소 세트(900) 및 이미징 어셈블리(100A)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100A)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300)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다시 이미징 어셈블리(100A) 이외의, 디코딩 모듈(30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임의의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으며, 이는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광학 구성요소들(900)은 주 시야(115A)를 분할하도록 구성되고 스플리터 미러(910), 제1 미러(915), 제2 미러(920), 및 제3 미러(925)를 갖는 미러 배열체(905)를 포함한다. 스플리터 미러(910)는 주 시야(115A)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P23)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115A)를 분할하고, 주 시야(115A)의 제1 부분을 제1 서브필드(930) 및 제2 서브필드(935)로 분할하고, 제1 서브필드(930)를 제1 경로(P23)로부터 제2 경로(P24)로 제2 미러(920)를 향해 재지향시키고, 제2 서브필드(935)를 제1 경로(P23)로부터 제3 경로(P25)로 제3 미러(925)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스플리터 미러(910)는, 제1 평면 미러(912A)로부터의 제2 경로(P24)와 제2 평면 미러(912B)로부터의 제3 경로(P25)가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제1 및 제2 평면 미러들(912A, 912B)을 갖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다. 스플리터 미러(910)를 오목 구성으로 갖는 것은 이미지 센서(110A)와 대체로 수평인 창(40) 사이의 내부 경로 길이를 증가시켜, 더 양호한 바코드 판독 범위를 허용하고 시야 트위스트를 최소화하여,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한 더 많은 이용가능한 시야를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스플리터 미러(910)는, 제1 평면 미러(912A)로부터의 제2 경로(P24)와 제2 평면 미러(912B)로부터의 제3 경로(P25)가 분기하도록 배열되는 볼록 스플리터 미러일 수 있다. 스플리터 미러(910)는 주 시야(115A)를 원하는 임의의 비율로 분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시야(115A)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의 구성 및 원하는 이용에 따라, 주 시야(115A)의 제1 및 제2 부분들이 동일하거나, 제1 부분이 제2 부분보다 0-25% 더 크거나, 제2 부분이 제1 부분보다 0-25% 더 크도록 분할될 수 있다.
제2 미러(920)는 제2 경로(P24)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스플리터 미러(910)로부터 재지향된 제1 서브필드(930)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3 미러(925)는 제3 경로(P25)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스플리터 미러(910)로부터 재지향된 제2 서브필드(935)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제2 미러(920)로부터 재지향된 제1 서브필드(930) 및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제3 미러(925)로부터 재지향된 제2 서브필드(935)는 함께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50-100%를 채울 수 있다. 제1 미러(915)는 주 시야(115A)의 제2 부분의 제4 경로(P26)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제1 미러(915)로부터 재지향되는 주 시야(115A)의 제2 부분은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50-100%를 채울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평면을 따라 취해진,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재지향된 주 시야(115A)의 제2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면적보다 더 커서, 대체로 직립인 창(50)은 주 시야(115A)의 제2 부분을 잘라 내거나 감소시키고, 제2 부분의 일부만이 통과되게 한다. 예를 들어,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폭(W2)은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길이/높이(H3)보다 더 클 수 있어서,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과하도록 허용된 주 시야(115A)의 제2 부분의 폭이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과하도록 허용된 주 시야(115A)의 제2 부분의 길이보다 더 크다. 이 예에서, 미러 배열체(905)는 스플리터 미러(910), 제1 미러(915), 제2 미러(920), 및 제3 미러(925) 이외의 임의의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으며, 이는 또한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도 1의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전술한 제2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100A), 하우징(20)의 내부 영역(25) 내에 배치된 제8 예시적인 광학 구성요소 세트(1000) 및 이미징 어셈블리(100A)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100A)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300)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다시 이미징 어셈블리(100A) 이외의, 디코딩 모듈(30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임의의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으며, 이는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광학 구성요소들(1000)은 주 시야(115A)를 분할하도록 구성되고 스플리터 미러(1010), 제1 미러(1015), 제2 미러(1020), 및 제3 미러(1025)를 갖는 미러 배열체(1005)를 포함한다. 스플리터 미러(1010)는 주 시야(115A)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P27)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115A)를 분할하고, 주 시야(115A)의 제1 부분을 제1 서브필드(1030) 및 제2 서브필드(1035)로 분할하고, 제1 서브필드(1030)를 제1 경로(P27)로부터 제2 경로(P28)로 제2 미러(1020)를 향해 재지향시키고, 제2 서브필드(1035)를 제1 경로(P27)로부터 제3 경로(P29)로 제3 미러(1025)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스플리터 미러(1010)는, 제1 평면 미러(1012A)로부터의 제2 경로(P28)와 제2 평면 미러(1012B)로부터의 제3 경로(P29)가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제1 및 제2 평면 미러들(1012A, 1012B)을 갖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다. 스플리터 미러(1010)를 오목 구성으로 갖는 것은 이미지 센서(110A)와 대체로 수평인 창(40) 사이의 내부 경로 길이를 증가시켜, 더 양호한 바코드 판독 범위를 허용하고 시야 트위스트를 최소화하여,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한 더 많은 이용가능한 시야를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스플리터 미러(1010)는, 제1 평면 미러(1012A)로부터의 제2 경로(P28)와 제2 평면 미러(1012B)로부터의 제3 경로(P29)가 분기하도록 배열되는 볼록 스플리터 미러일 수 있다. 스플리터 미러(1010)는 주 시야(115A)를 원하는 임의의 비율로 분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시야(115A)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의 구성 및 원하는 이용에 따라, 주 시야(115A)의 제1 및 제2 부분들이 동일하거나, 제1 부분이 제2 부분보다 0-25% 더 크거나, 제2 부분이 제1 부분보다 0-25% 더 크도록 분할될 수 있다.
제2 미러(1020)는 제2 경로(P28)에 직접 배치되고, 스플리터 미러(1010)로부터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재지향된 제1 서브필드(1030)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3 미러(1025)는 제3 경로(P29)에 직접 배치되고, 스플리터 미러(1010)로부터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재지향된 제2 서브필드(1035)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미러(1020)로부터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재지향된 제1 서브필드(1030) 및 제3 미러(1025)로부터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재지향된 제2 서브필드(1035)는 함께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50-100%를 채울 수 있다. 제1 미러(1015)는 주 시야(115A)의 제2 부분의 제4 경로(P30)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제1 미러(1015)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주 시야(115A)의 제2 부분을 제3 서브필드(1040) 및 제4 서브필드(1045)로 분할하고, 제3 서브필드(1040)를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재지향시키고, 제4 서브필드(1045)를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3 서브필드(1040) 및 제4 서브필드(1045)는 함께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50-100%를 채울 수 있다. 이 예에서, 미러 배열체(1005)는 스플리터 미러(1010), 제1 미러(1015), 제2 미러(1020) 및 제3 미러(1025) 이외의 임의의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으며, 이는 또한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도 1의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제3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100B), 하우징(20)의 내부 영역(25) 내에 배치된 제9 예시적인 광학 구성요소 세트(1100) 및 이미징 어셈블리(100B)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100B)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300)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미징 어셈블리(100B)는 단일 이미지 센서(110B)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105B)를 포함하고, 주 시야(115B)를 갖는다. 인쇄 회로 보드(105)는 상면(35)에 대체로 수직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105B) 및 이미지 센서(110B)는 상면(35)의 근위 에지(55)에 대체로 평행하게 주 시야(115B)를 지향시키도록 배열된다. 이런 방식으로의 인쇄 회로 보드(105B) 및 이미징 센서(110B)의 배향은 양쪽 부분들의 장축을 그들 각각의 창들의 장축으로 배향하는 방식으로 주 시야(115B)를 분할한다. 이 예에서,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이미징 어셈블리(100B) 이외의, 디코딩 모듈(30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임의의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으며, 이는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광학 구성요소들(1100)은 주 시야(115B)를 분할하도록 구성되고 스플리터 미러(1110), 제1 미러(1115), 제2 미러(1120), 및 제3 미러(1125)를 갖는 미러 배열체(1105)를 포함한다. 스플리터 미러(1110)는 주 시야(115B)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P31)에 직접 배치되고, 수직축을 따라 주 시야(115B)를 분할하고 주 시야(115B)의 제1 부분을 제1 경로(P31)로부터 제2 경로(P32)로 제3 미러(1125)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스플리터 미러(1110)는 주 시야(115B)를 원하는 임의의 비율로 분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시야(115B)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의 구성 및 원하는 이용에 따라, 주 시야(115B)의 제1 및 제2 부분들이 동일하거나, 제1 부분이 제2 부분보다 0-25% 더 크거나, 제2 부분이 제1 부분보다 0-25% 더 크도록 분할될 수 있다. 제3 미러(1125)는 제2 경로(P32)에 직접 배치되고 스플리터 미러(1110)로부터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재지향된 제1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3 미러(1125)로부터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재지향되는 주 시야(115B)의 제1 부분은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50-100%를 채울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평면을 따라 취해진,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재지향된 주 시야(115B)의 제1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면적보다 더 커서, 대체로 수평인 창(40)은 주 시야(115B)의 제1 부분을 잘라 내거나 감소시키고, 제1 부분의 일부만이 통과되게 한다. 예를 들어,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길이(L2)는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폭(W3)보다 더 클 수 있어서,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과하도록 허용된 주 시야(115B)의 제1 부분의 길이가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과하도록 허용된 주 시야(115B)의 제1 부분의 폭보다 더 크다. 제1 미러(1115)는 주 시야(115B)의 제2 부분의 제3 경로(P33)에 직접 배치되고 주 시야(115B)의 제2 부분을 제3 경로(P33)로부터 제4 경로(P34)로 제2 미러(1120)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미러(1120)는 제4 경로(P34)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미러(1120)로부터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재지향되는 주 시야(115B)의 제2 부분은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50-100%를 채울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평면을 따라 취해진,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재지향된 주 시야(115B)의 제2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면적보다 더 커서, 대체로 직립인 창(50)은 주 시야(115B)의 제2 부분을 잘라 내거나 감소시키고, 제2 부분의 일부만이 통과되게 한다. 이 예에서, 미러 배열체(1105)는 스플리터 미러(1110), 제1 미러(1115), 제2 미러(1120), 및 제3 미러(1125) 이외의 임의의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으며, 이는 또한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도 1의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제4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100C), 하우징(20)의 내부 영역(25) 내에 배치된 제10 예시적인 광학 구성요소 세트(1200), 및 이미징 어셈블리(100C)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100C)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300)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미징 어셈블리(100C)는 단일 이미지 센서(110C)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105C)를 포함하고, 주 시야(115C)를 갖는다. 인쇄 회로 보드(105C)는 상면(35)에 대해 예각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105C) 및 이미지 센서(110C)는 주 시야(115C)를 상면(35)에 대해 예각으로 그리고 상부 하우징 부분(45)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된다. 이 예에서,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이미징 어셈블리(100C) 이외의, 디코딩 모듈(30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임의의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으며, 이는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광학 구성요소들(1200)은 주 시야(115C)를 분할하도록 구성되고, 스플리터 미러(1210), 제1 미러(1215), 및 제2 미러(1220)를 갖는 미러 배열체(1205)를 포함한다. 스플리터 미러(1210)는 주 시야(115C)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P35)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115C)를 분할하고, 주 시야(115C)의 제1 부분을 제1 경로(P35)로부터 제2 경로(P36)로 제1 미러(1215)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스플리터 미러(1210)는 주 시야(115C)를 원하는 임의의 비율로 분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시야(115C)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의 구성 및 원하는 이용에 따라, 주 시야(115C)의 제1 및 제2 부분들이 동일하거나, 제1 부분이 제2 부분보다 0-25% 더 크거나, 제2 부분이 제1 부분보다 0-25% 더 크도록 분할될 수 있다. 제2 미러(1220)는 주 시야(115C)의 제2 부분의 제3 경로(P37)에 직접 배치되고, 제2 부분을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미러(1220)로부터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재지향되는 주 시야(115C)의 제2 부분은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50-100%를 채울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평면을 따라 취해진,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재지향된 주 시야(115C)의 제2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면적보다 더 커서, 대체로 직립인 창(50)은 주 시야(115C)의 제2 부분을 잘라 내거나 감소시키고, 제2 부분의 일부만이 통과되게 한다. 제1 미러(1215)는 주 시야(115C)의 제1 부분의 제2 경로(P36)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제1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미러(1215)로부터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재지향되는 주 시야(115C)의 제1 부분은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50-100%를 채울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평면을 따라 취해진,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재지향된 주 시야(115C)의 제1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면적보다 더 커서, 대체로 수평인 창(40)은 주 시야(115C)의 제1 부분을 잘라 내거나 감소시키고, 제1 부분의 일부만이 통과되게 한다. 예를 들어,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폭(W3)은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길이(L2)보다 더 클 수 있어서,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과하도록 허용된 주 시야(115C)의 제1 부분의 폭이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과하도록 허용된 주 시야(115C)의 제1 부분의 길이보다 더 크다. 이 예에서, 미러 배열체(1205)는 스플리터 미러(1210), 제1 미러(1215), 및 제2 미러(1220) 이외의 임의의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으며, 이는 또한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도 1의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전술한 제4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100C), 하우징(20)의 내부 영역(25) 내에 배치된 제11 예시적인 광학 구성요소 세트(1300), 및 이미징 어셈블리(100C)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100C)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300)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다시 이미징 어셈블리(100C) 이외의, 디코딩 모듈(30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임의의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으며, 이는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광학 구성요소들(1300)은 주 시야(115C)를 분할하도록 구성되고, 스플리터 미러(1310), 제1 미러(1315), 제2 미러(1320), 및 제3 미러(1325)를 갖는 미러 배열체(1305)를 포함한다. 스플리터 미러(1310)는 주 시야(115C)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P38)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115C)를 분할하고, 주 시야(115C)의 제1 부분을 제1 서브필드(1330) 및 제2 서브필드(1335)로 분할하고, 제1 서브필드(1330)를 제1 경로(P38)로부터 제2 경로(P39)로 제2 미러(1320)를 향해 재지향시키고, 제2 서브필드(1335)를 제1 경로(P38)로부터 제3 경로(P40)로 제3 미러(1325)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스플리터 미러(1310)는, 제1 평면 미러(1312A)로부터의 제2 경로(P39)와 제2 평면 미러(1312B)로부터의 제3 경로(P40)가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제1 및 제2 평면 미러들(1312A, 1312B)을 갖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다. 스플리터 미러(1310)를 오목 구성으로 갖는 것은 이미지 센서(110C)와 대체로 수평인 창(40) 사이의 내부 경로 길이를 증가시켜, 더 양호한 바코드 판독 범위를 허용하고 시야 트위스트를 최소화하며, 이는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한 더 많은 이용가능한 시야를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스플리터 미러(1310)는 제1 평면 미러(1312A)로부터의 제2 경로(P39)와 제2 평면 미러(1312B)로부터의 제3 경로(P40)가 분기하도록 배열되는 볼록 스플리터 미러일 수 있다. 스플리터 미러(1310)는 주 시야(115C)를 원하는 임의의 비율로 분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시야(115C)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의 구성 및 원하는 이용에 따라, 주 시야(115C)의 제1 및 제2 부분들이 동일하거나, 제1 부분이 제2 부분보다 0-25% 더 크거나, 제2 부분이 제1 부분보다 0-25% 더 크도록 분할될 수 있다.
제2 미러(1320)는 제2 경로(P39)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스플리터 미러(1310)로부터 재지향된 제1 서브필드(1330)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3 미러(1325)는 제3 경로(P40)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스플리터 미러(1310)로부터 재지향된 제2 서브필드(1335)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제2 미러(1320)로부터 재지향된 제1 서브필드(1330) 및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제3 미러(1325)로부터 재지향된 제2 서브필드(1335)는 함께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50-100%를 채울 수 있다. 제1 미러(1315)는 주 시야(115C)의 제2 부분의 제4 경로(P41)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미러(1315)로부터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재지향된 주 시야(115C)의 제2 부분은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50-100%를 채울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평면을 따라 취해진,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재지향된 주 시야(115C)의 제2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면적보다 더 커서, 대체로 직립인 창(50)은 주 시야(115C)의 제2 부분을 잘라 내거나 감소시키고, 제2 부분의 일부만이 통과되게 한다. 예를 들어,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폭(W2)은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길이/높이(H3)보다 더 클 수 있어서,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과하도록 허용된 주 시야(115C)의 제2 부분의 폭이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과하도록 허용된 주 시야(115C)의 제2 부분의 길이보다 더 크다. 이 예에서, 미러 배열체(1305)는 스플리터 미러(1310), 제1 미러(1315), 제2 미러(1320), 및 제3 미러(1325) 이외의 임의의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으며, 이는 또한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도 1의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전술한 제4 예시적인 이미징 어셈블리(100C), 하우징(20)의 내부 영역(25) 내에 배치된 제12 예시적인 광학 구성요소 세트(1400) 및 이미징 어셈블리(100C)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100C)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300)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는 다시 이미징 어셈블리(100C) 이외의, 디코딩 모듈(30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임의의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으며, 이는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광학 구성요소들(1400)은 주 시야(115C)를 분할하도록 구성되고, 스플리터 미러(1410), 제1 미러(1415), 제2 미러(1420), 및 제3 미러(1425)를 갖는 미러 배열체(1405)를 포함한다. 스플리터 미러(1410)는 주 시야(115C)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P42)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115C)를 분할하고, 주 시야(115C)의 제1 부분을 제1 서브필드(1430) 및 제2 서브필드(1435)로 분할하고, 제1 서브필드(1430)를 제1 경로(P42)로부터 제2 경로(P43)로 제2 미러(1420)를 향해 재지향시키고, 제2 서브필드(1435)를 제1 경로(P42)로부터 제3 경로(P44)로 제3 미러(1425)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스플리터 미러(1410)는, 제1 평면 미러(1412A)로부터의 제2 경로(P43)와 제2 평면 미러(1412B)로부터의 제3 경로(P44)가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제1 및 제2 평면 미러들(1412A, 1412B)을 갖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다. 스플리터 미러(1410)를 오목 구성으로 갖는 것은 이미지 센서(110C)와 대체로 수평인 창(40) 사이의 내부 경로 길이를 증가시켜, 더 양호한 바코드 판독 범위를 허용하고 시야 트위스트를 최소화하며, 이는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한 더 많은 이용가능한 시야를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스플리터 미러(1410)는 제1 평면 미러(1412A)로부터의 제2 경로(P43)와 제2 평면 미러(1412B)로부터의 제3 경로(P44)가 분기하도록 배열되는 볼록 스플리터 미러일 수 있다. 스플리터 미러(1410)는 주 시야(115C)를 원하는 임의의 비율로 분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시야(115C)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의 구성 및 원하는 이용에 따라, 주 시야(115C)의 제1 및 제2 부분들이 동일하거나, 제1 부분이 제2 부분보다 0-25% 더 크거나, 제2 부분이 제1 부분보다 0-25% 더 크도록 분할될 수 있다.
제2 미러(1420)는 제2 경로(P43)에 직접 배치되고, 스플리터 미러(1410)로부터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재지향된 제1 서브필드(1430)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3 미러(1425)는 제3 경로(P44)에 직접 배치되고, 스플리터 미러(1410)로부터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재지향된 제2 서브필드(1435)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미러(1420)로부터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재지향된 제1 서브필드(1430) 및 제3 미러(1425)로부터 대체로 수평인 창(40)을 통해 재지향된 제2 서브필드(1435)는 함께 대체로 수평인 창(40)의 50-100%를 채울 수 있다. 제1 미러(1415)는 주 시야(115C)의 제2 부분의 제4 경로(P45)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제1 미러(1415)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주 시야(115C)의 제2 부분을 제3 서브필드(1440) 및 제4 서브필드(1445)로 분할하고, 제3 서브필드(1440)를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재지향시키고, 제4 서브필드(1445)를 대체로 직립인 창(50)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제3 서브필드(1440) 및 제4 서브필드(1445)는 함께 대체로 직립인 창(50)의 50-100%를 채울 수 있다. 이 예에서, 미러 배열체(1405)는 스플리터 미러(1410), 제1 미러(1415), 제2 미러(1420) 및 제3 미러(1425) 이외의 임의의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으며, 이는 또한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10)가 전통적인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보다 더 작고 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명세서에서, 특정 실시예들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아래의 청구항들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 없이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이해한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들은 제한적 의미라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모든 이러한 수정들은 본 교시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추가적으로, 설명된 실시예들/예들/구현들은 상호 배타적인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대신에 이러한 조합들이 임의의 방식으로 허용된다면 잠재적으로 조합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실시예들/예들/구현들 중 임의의 것에 개시된 임의의 특징은 다른 전술한 실시예들/예들/구현들 중 임의의 것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의 어떠한 단계들도, 다른 순서가 각각의 방법의 나머지 단계들에 의해 가능하지 않거나 요구되지 않는다고 명백히 언급되지 않는 한, 임의의 특정 순서를 갖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도면들 중 적어도 일부는 축척에 맞게 그려질 수 있거나 그려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이익들, 이점들,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들 및 발생할 또는 더욱 표명될 임의의 이익, 이점 또는 해결책을 초래할 수 있는 임의의 요소(들)가 임의의 또는 모든 청구항들의 중대한, 요구되는 또는 본질적인 특징들 또는 요소들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재산권의 법적 범위는 오로지 이 출원의 계류 중에 이루어진 임의의 보정들을 포함하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허여된 이러한 청구항들의 모든 등가물들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더욱이 본 문헌에서, 제1 및 제2, 상부 및 하부 등과 같은 관계 용어들은 이러한 엔티티들 또는 액션들 사이에 임의의 실제 이러한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 또는 암시하지는 않고 하나의 엔티티 또는 액션을 또 다른 엔티티 또는 액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용어들 "포함한다", "포함하는", "갖는다", "갖는" 또는 그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되어, 요소들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갖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단지 그러한 요소들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명확히 열거되지 않거나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내재적인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을 포함한다", "~을 갖는다" 앞에 언급된 요소는, 더 이상의 제한 없이도, 그 요소를 포함하고 갖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동일한 추가 요소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수형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으로 정의된다. 용어들 "실질적으로", "본질적으로", "대략", "약" 또는 이들의 임의의 다른 버전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가깝게 정의되고, 하나의 비제한적 실시예에서, 이 용어는 10% 범위 내에 있는 것, 다른 실시예에서 5% 범위 내에 있는 것, 또 다른 실시예에서 1% 범위 내에 있는 것, 또 다른 실시예에서 0.5%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결합된"은 반드시 직접적이고 반드시 기계적일 필요는 없지만 연결되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특정 방식으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또는 구조는 적어도 그 방식으로 구성되지만, 열거되지 않은 방식들로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맞춤형 프로세서들 및 FPGA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과 같은 하나 이상의 일반 또는 특수 프로세서(또는 "처리 디바이스") 및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및/또는 장치의 기능들 중 일부, 대부분, 또는 전부를 특정 비-프로세서 회로들과 함께 구현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둘 다를 포함하는) 고유한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일부 또는 모든 기능들은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갖지 않는 상태 머신에 의해 또는 각각의 기능 또는 특정 기능들의 일부 조합들이 맞춤형 논리로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두 가지 접근법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청구된 바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예를 들어, 프로세서를 포함함)를 프로그래밍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의 예들로는 하드 디스크, CD-ROM,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ROM,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로, 예를 들어, 이용가능한 시간, 현재 기술, 및 경제적 고려사항들에 의해 유발된 아마도 상당한 노력 및 많은 설계 선택사항들에도 불구하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념들 및 원리들에 의해 안내받을 때,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소프트웨어 명령어들 및 프로그램들 및 IC들을 최소한의 실험으로 쉽게 발생시킬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본 특허 출원의 끝에 있는 특허 청구항들은, 청구항(들)에서 명시적으로 인용되는 "~하기 위한 수단" 또는 "~하기 위한 단계"와 같은 전통적인 기능식(means-plus-function) 언어가 명백히 인용되지 않는 한, 35 U.S.C. § 112(f) 하에서 해석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요약서는 독자가 기술적 개시내용의 본질을 신속하게 알아내도록 허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요약서는 청구항들의 범위 또는 의미를 해석하거나 제한하는데 이용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이해 하에 제출된다. 게다가, 상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들은 개시내용을 간소화할 목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함께 그룹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개시내용의 방법은 청구되는 실시예들이 각각의 청구항에 명확히 기재된 것보다 더 많은 특징들을 필요로 한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이하의 청구항들이 반영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제는 단일의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특징들보다 더 적게 있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이로써 포함되며, 각각의 청구항은 별개로 청구된 주제로서 독립적이다.
다음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또는 방법들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다:
예 1. 제품 스캐닝 영역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로서,
제품 스캐닝 영역에 대면하는 상면을 갖는 하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 위로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을 갖는 하우징;
주 시야를 갖는 이미징 어셈블리;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에 배치된 대체로 수평인 창 - 대체로 수평인 창은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제1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됨 -;
상부 하우징 부분에 배치된 대체로 직립인 창 - 대체로 직립인 창은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제2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됨 -; 및
하우징의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의 주 시야를 분할하도록 구성된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
를 포함하며,
하우징은 5인치 이상 7인치 이하의 폭을 갖고;
하부 하우징 부분은 3인치 이상의 높이를 갖고;
상부 하우징 부분은 4인치 이상 6인치 이하의 높이를 갖고;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은 6인치 이상 8인치 이하의, 상부 하우징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와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 사이의 길이를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2. 예 1에 있어서, 대체로 직립인 창은 3 ½인치 이상 6인치 이하의 높이, 및 4인치 이상 7인치 이하의 폭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3. 예 1에 있어서, 대체로 수평인 창은 3 ½인치 이상 6인치 이하의 폭을 갖고,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은 5인치 이상 7인치 이하의 폭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4. 예 3에 있어서, 대체로 수평인 창은 3 ½인치 이상 6인치 이하의 길이를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5. 예 1에 있어서,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고;
이미징 어셈블리는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인쇄 회로 보드는 상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 및 이미지 센서는 주 시야를 상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그리고 상면의 원위 에지를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되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을 포함하고;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는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를 포함하고, 미러 배열체는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및 제2 미러를 포함하고;
스플리터 미러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경로로부터 제2 경로로 제2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제1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6. 예 5에 있어서, 미러 배열체는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7. 예 1에 있어서,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고;
이미징 어셈블리는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인쇄 회로 보드는 상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 및 이미지 센서는 주 시야를 상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그리고 상면의 원위 에지를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되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을 포함하고;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는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를 포함하고, 미러 배열체는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제2 미러 및 제3 미러를 포함하고;
스플리터 미러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제1 서브필드를 제2 경로를 따라 제2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고, 제2 서브필드를 제3 경로를 따라 제3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4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제1 서브필드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3 미러는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제2 서브필드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8. 예 7에 있어서, 스플리터 미러는 2개의 평면 미러를 갖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제2 경로와 제3 경로는 교차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9. 예 8에 있어서, 제1 미러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주 시야의 제2 부분을 제3 서브필드 및 제4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제3 서브필드를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고, 제4 서브필드를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10. 예 7에 있어서, 스플리터 미러는 2개의 평면 미러를 갖는 볼록 스플리터 미러이고, 제2 경로와 제3 경로는 분기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11. 예 10에 있어서, 제1 미러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주 시야의 제2 부분을 제3 서브필드 및 제4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제3 서브필드를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고, 제4 서브필드를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12. 예 7에 있어서, 미러 배열체는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13. 예 1에 있어서,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고;
이미징 어셈블리는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인쇄 회로 보드는 상면에 대체로 수평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 및 이미지 센서는 주 시야를 상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그리고 상부 하우징 부분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되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을 포함하고;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는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를 포함하고, 미러 배열체는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및 제2 미러를 포함하고;
스플리터 미러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경로로부터 제2 경로로 제1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2 부분을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1 부분을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14. 예 13에 있어서, 미러 배열체는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15. 예 1에 있어서,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고;
이미징 어셈블리는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인쇄 회로 보드는 상면에 대체로 수평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 및 이미지 센서는 주 시야를 상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그리고 상부 하우징 부분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되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을 포함하고;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는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를 포함하고, 미러 배열체는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제2 미러 및 제3 미러를 포함하고;
스플리터 미러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제1 서브필드를 제2 경로를 따라 제2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고, 제2 서브필드를 제3 경로를 따라 제3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4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2 부분을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1 서브필드를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3 미러는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2 서브필드를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16. 예 15에 있어서, 미러 배열체는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17. 예 1에 있어서,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고;
이미징 어셈블리는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인쇄 회로 보드는 상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 및 이미지 센서는 주 시야를 상면의 근위 에지에 대체로 평행하게 지향시키도록 배열되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을 포함하고;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는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를 포함하고, 미러 배열체는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제2 미러 및 제3 미러를 포함하고;
스플리터 미러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직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경로로부터 제2 경로로 제3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2 부분을 제3 경로로부터 제4 경로로 제2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미러는 제4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2 부분을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3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1 부분을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18. 예 17에 있어서, 미러 배열체는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19. 예 1에 있어서,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고;
이미징 어셈블리는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인쇄 회로 보드는 상면에 대해 예각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 및 이미지 센서는 주 시야를 상면에 대해 예각으로 그리고 상부 하우징 부분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되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을 포함하고;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는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를 포함하고, 미러 배열체는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및 제2 미러를 포함하고;
스플리터 미러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경로로부터 제2 경로로 제1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2 부분을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1 부분을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20. 예 19에 있어서, 미러 배열체는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21. 예 1에 있어서,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고;
이미징 어셈블리는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인쇄 회로 보드는 상면에 대해 예각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 및 이미지 센서는 주 시야를 상면에 대해 예각으로 그리고 상부 하우징 부분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되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을 포함하고;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는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를 포함하고, 미러 배열체는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제2 미러 및 제3 미러를 포함하고;
스플리터 미러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제1 서브필드를 제2 경로를 따라 제2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고, 제2 서브필드를 제3 경로를 따라 제3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4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2 부분을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1 서브필드를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3 미러는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2 서브필드를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22. 예 21에 있어서, 스플리터 미러는 2개의 평면 미러를 갖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제2 경로와 제3 경로는 교차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23. 제품 스캐닝 영역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로서,
제품 스캐닝 영역에 대면하는 상면을 갖는 하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 위로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을 갖는 하우징 - 상면은 상부 하우징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가짐 -;
주 시야를 갖는 이미징 어셈블리 - 이미징 어셈블리는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인쇄 회로 보드는 상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 및 이미지 센서는 주 시야를 상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그리고 상면의 원위 에지를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됨 -;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에 배치된 대체로 수평인 창 - 대체로 수평인 창은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제1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됨 -;
상부 하우징 부분에 배치된 대체로 직립인 창 - 대체로 직립인 창은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제2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됨 -; 및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 - 미러 배열체는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및 제2 미러를 포함함 -
를 포함하며,
스플리터 미러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경로로부터 제2 경로로 제2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제1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24. 예 23에 있어서, 미러 배열체는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25. 예 23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1 부분은 주 시야의 제2 부분보다 0-25% 더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26. 예 23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2 부분은 주 시야의 제1 부분보다 0-25% 더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27. 예 23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2 부분은 대체로 수평인 창의 50-100%를 채우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28. 예 23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1 부분은 대체로 직립인 창의 50-100%를 채우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29. 예 23에 있어서, 대체로 수평인 창의 폭은 대체로 수평인 창의 길이보다 커서,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과하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폭이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과하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길이보다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30. 예 23에 있어서, 대체로 수평인 창의 평면을 따른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수평인 창의 면적보다 커서, 대체로 수평인 창은 제2 부분의 일부만이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과하게 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31. 예 23에 있어서, 대체로 직립인 창의 평면을 따른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직립인 창의 면적보다 커서, 대체로 직립인 창은 제1 부분의 일부만이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과하게 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32. 제품 스캐닝 영역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로서,
제품 스캐닝 영역에 대면하는 상면을 갖는 하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 위로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을 갖는 하우징 -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가짐 -;
주 시야를 갖는 이미징 어셈블리 - 이미징 어셈블리는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인쇄 회로 보드는 상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 및 이미지 센서는 주 시야를 상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그리고 상면의 원위 에지를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됨 -;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에 배치된 대체로 수평인 창 - 대체로 수평인 창은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제1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됨 -;
상부 하우징 부분에 배치된 대체로 직립인 창 - 대체로 직립인 창은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제2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됨 -; 및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 - 미러 배열체는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제2 미러 및 제3 미러를 포함함 -
를 포함하며,
스플리터 미러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제1 서브필드를 제2 경로를 따라 제2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고, 제2 서브필드를 제3 경로를 따라 제3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4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제1 서브필드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3 미러는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제2 서브필드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33. 예 32에 있어서, 스플리터 미러는 2개의 평면 미러를 갖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제2 경로와 제3 경로는 교차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34. 예 33에 있어서, 제1 미러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주 시야의 제2 부분을 제3 서브필드 및 제4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제3 서브필드를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고, 제4 서브필드를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35. 예 32에 있어서, 스플리터 미러는 2개의 평면 미러를 갖는 볼록 스플리터 미러이고, 제2 경로와 제3 경로는 분기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36. 예 35에 있어서, 제1 미러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주 시야의 제2 부분을 제3 서브필드 및 제4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제3 서브필드를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고, 제4 서브필드를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37. 예 32에 있어서, 미러 배열체는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38. 예 32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1 부분은 주 시야의 제2 부분보다 0-25% 더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39. 예 32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2 부분은 주 시야의 제1 부분보다 0-25% 더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40. 예 32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2 부분은 대체로 수평인 창의 50-100%를 채우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41. 예 32에 있어서,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는 함께 대체로 직립인 창의 50-100%를 채우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42. 예 32에 있어서, 대체로 수평인 창의 폭은 대체로 수평인 창의 길이보다 커서,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과하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폭이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과하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길이보다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43. 예 32에 있어서, 대체로 수평인 창의 평면을 따른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수평인 창의 면적보다 커서, 대체로 수평인 창은 제2 부분의 일부만이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과하게 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44. 제품 스캐닝 영역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로서,
제품 스캐닝 영역에 대면하는 상면을 갖는 하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 위로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을 갖는 하우징 -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가짐 -;
주 시야를 갖는 이미징 어셈블리 - 이미징 어셈블리는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인쇄 회로 보드는 상면에 대체로 수평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 및 이미지 센서는 주 시야를 상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그리고 상부 하우징 부분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됨 -;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에 배치된 대체로 수평인 창 - 대체로 수평인 창은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제1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됨 -;
상부 하우징 부분에 배치된 대체로 직립인 창 - 대체로 직립인 창은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제2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됨 -; 및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 - 미러 배열체는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및 제2 미러를 포함함 -
를 포함하며,
스플리터 미러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경로로부터 제2 경로로 제1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제1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45. 예 44에 있어서, 미러 배열체는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46. 예 44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1 부분은 주 시야의 제2 부분보다 0-25% 더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47. 예 44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2 부분은 주 시야의 제1 부분보다 0-25% 더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48. 예 44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2 부분은 대체로 직립인 창의 50-100%를 채우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49. 예 44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1 부분은 대체로 수평인 창의 50-100%를 채우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50. 예 44에 있어서, 대체로 수평인 창의 폭은 대체로 수평인 창의 길이보다 커서,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과하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폭이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과하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길이보다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51. 예 44에 있어서, 대체로 수평인 창의 평면을 따른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수평인 창의 면적보다 커서, 대체로 수평인 창은 제1 부분의 일부만이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과하게 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52. 예 44에 있어서, 대체로 직립인 창의 평면을 따른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직립인 창의 면적보다 커서, 대체로 직립인 창은 제2 부분의 일부만이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과하게 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53. 제품 스캐닝 영역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로서,
제품 스캐닝 영역에 대면하는 상면을 갖는 하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 위로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을 갖는 하우징 -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가짐 -;
주 시야를 갖는 이미징 어셈블리 - 이미징 어셈블리는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인쇄 회로 보드는 상면에 대체로 수평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 및 이미지 센서는 주 시야를 상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그리고 상부 하우징 부분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됨 -;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에 배치된 대체로 수평인 창 - 대체로 수평인 창은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제1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됨 -;
상부 하우징 부분에 배치된 대체로 직립인 창 - 대체로 직립인 창은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제2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됨 -; 및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 - 미러 배열체는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제2 미러 및 제3 미러를 포함함 -
를 포함하며,
스플리터 미러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제1 서브필드를 제2 경로를 따라 제2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고, 제2 서브필드를 제3 경로를 따라 제3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4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1 서브필드를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3 미러는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제2 서브필드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54. 예 53에 있어서, 스플리터 미러는 2개의 평면 미러를 갖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제2 경로와 제3 경로는 교차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55. 예 54에 있어서, 제1 미러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주 시야의 제2 부분을 제3 서브필드 및 제4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제3 서브필드를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고, 제4 서브필드를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56. 예 53에 있어서, 스플리터 미러는 2개의 평면 미러를 갖는 볼록 스플리터 미러이고, 제2 경로와 제3 경로는 분기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57. 예 56에 있어서, 제1 미러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주 시야의 제2 부분을 제3 서브필드 및 제4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제3 서브필드를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고, 제4 서브필드를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58. 예 53에 있어서, 미러 배열체는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59. 예 53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1 부분은 주 시야의 제2 부분보다 0-25% 더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60. 예 53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2 부분은 주 시야의 제1 부분보다 0-25% 더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61. 예 53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2 부분은 대체로 직립인 창의 50-100%를 채우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62. 예 53에 있어서,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는 함께 대체로 수평인 창의 50-100%를 채우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63. 예 53에 있어서, 대체로 직립인 창의 폭은 대체로 직립인 창의 길이보다 커서,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과하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폭이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과하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길이보다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64. 예 53에 있어서, 대체로 직립인 창의 평면을 따른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직립인 창의 면적보다 커서, 대체로 직립인 창은 제2 부분의 일부만이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과하게 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65. 제품 스캐닝 영역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로서,
제품 스캐닝 영역에 대면하는 상면을 갖는 하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 위로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을 갖는 하우징 -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가짐 -;
주 시야를 갖는 이미징 어셈블리 - 이미징 어셈블리는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인쇄 회로 보드는 상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 및 이미지 센서는 주 시야를 상면의 근위 에지에 대체로 평행하게 지향시키도록 배열됨 -;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에 배치된 대체로 수평인 창 - 대체로 수평인 창은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제1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됨 -;
상부 하우징 부분에 배치된 대체로 직립인 창 - 대체로 직립인 창은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제2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됨 -; 및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 - 미러 배열체는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제2 미러 및 제3 미러를 포함함 -
를 포함하며,
스플리터 미러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직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경로로부터 제2 경로로 제3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2 부분을 제3 경로로부터 제4 경로로 제2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미러는 제4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3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제1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66. 예 65에 있어서, 미러 배열체는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67. 예 65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1 부분은 주 시야의 제2 부분보다 0-25% 더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68. 예 65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2 부분은 주 시야의 제1 부분보다 0-25% 더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69. 예 65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1 부분은 대체로 수평인 창의 50-100%를 채우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70. 예 65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2 부분은 대체로 직립인 창의 50-100%를 채우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71. 예 65에 있어서, 대체로 수평인 창의 길이는 대체로 수평인 창의 폭보다 커서,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과하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길이가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과하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폭보다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72. 예 65에 있어서, 대체로 수평인 창의 평면을 따른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수평인 창의 면적보다 커서, 대체로 수평인 창은 제1 부분의 일부만이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과하게 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73. 예 65에 있어서, 대체로 직립인 창의 평면을 따른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직립인 창의 면적보다 커서, 대체로 직립인 창은 제2 부분의 일부만이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과하게 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74. 제품 스캐닝 영역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로서,
제품 스캐닝 영역에 대면하는 상면을 갖는 하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 위로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을 갖는 하우징 -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가짐 -;
주 시야를 갖는 이미징 어셈블리 - 이미징 어셈블리는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인쇄 회로 보드는 상면에 대해 예각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 및 이미지 센서는 주 시야를 상면에 대해 예각으로 그리고 상부 하우징 부분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됨 -;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에 배치된 대체로 수평인 창 - 대체로 수평인 창은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제1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됨 -;
상부 하우징 부분에 배치된 대체로 직립인 창 - 대체로 직립인 창은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제2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됨 -; 및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 - 미러 배열체는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및 제2 미러를 포함함 -
를 포함하며,
스플리터 미러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경로로부터 제2 경로로 제1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제1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75. 예 74에 있어서, 미러 배열체는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76. 예 74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1 부분은 주 시야의 제2 부분보다 0-25% 더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77. 예 74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2 부분은 주 시야의 제1 부분보다 0-25% 더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78. 예 74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2 부분은 대체로 직립인 창의 50-100%를 채우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79. 예 74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1 부분은 대체로 수평인 창의 50-100%를 채우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80. 예 74에 있어서, 대체로 수평인 창의 폭은 대체로 수평인 창의 길이보다 커서,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과하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폭이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과하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길이보다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81. 예 74에 있어서, 대체로 수평인 창의 평면을 따른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수평인 창의 면적보다 커서, 대체로 수평인 창은 제1 부분의 일부만이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과하게 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82. 예 74에 있어서, 대체로 직립인 창의 평면을 따른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직립인 창의 면적보다 커서, 대체로 직립인 창은 제2 부분의 일부만이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과하게 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83. 제품 스캐닝 영역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로서,
제품 스캐닝 영역에 대면하는 상면을 갖는 하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 위로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을 갖는 하우징 -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가짐 -;
주 시야를 갖는 이미징 어셈블리 - 이미징 어셈블리는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인쇄 회로 보드는 상면에 대해 예각으로 정렬되고, 인쇄 회로 보드 및 이미지 센서는 주 시야를 상면에 대해 예각으로 그리고 상부 하우징 부분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됨 -;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에 배치된 대체로 수평인 창 - 대체로 수평인 창은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제1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됨 -;
상부 하우징 부분에 배치된 대체로 직립인 창 - 대체로 직립인 창은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제2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됨 -; 및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 - 미러 배열체는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제2 미러 및 제3 미러를 포함함 -
를 포함하며,
스플리터 미러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제1 서브필드를 제2 경로를 따라 제2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고, 제2 서브필드를 제3 경로를 따라 제3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4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제1 서브필드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3 미러는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제2 서브필드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84. 예 83에 있어서, 스플리터 미러는 2개의 평면 미러를 갖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제2 경로와 제3 경로는 교차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85. 예 84에 있어서, 제1 미러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주 시야의 제2 부분을 제3 서브필드 및 제4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제3 서브필드를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고, 제4 서브필드를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86. 예 83에 있어서, 스플리터 미러는 2개의 평면 미러를 갖는 볼록 스플리터 미러이고, 제2 경로와 제3 경로는 분기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87. 예 86에 있어서, 제1 미러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주 시야의 제2 부분을 제3 서브필드 및 제4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제3 서브필드를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고, 제4 서브필드를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88. 예 83에 있어서, 미러 배열체는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89. 예 83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1 부분은 주 시야의 제2 부분보다 0-25% 더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90. 예 83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2 부분은 주 시야의 제1 부분보다 0-25% 더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91. 예 83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2 부분은 대체로 직립인 창의 50-100%를 채우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92. 예 83에 있어서,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는 함께 대체로 수평인 창의 50-100%를 채우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93. 예 83에 있어서, 대체로 직립인 창의 폭은 대체로 직립인 창의 길이보다 커서,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과하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폭이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과하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길이보다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94. 예 83에 있어서, 대체로 직립인 창의 평면을 따른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직립인 창의 면적보다 커서, 대체로 직립인 창은 제2 부분의 일부만이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과하게 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95. 제품 스캐닝 영역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로서,
제품 스캐닝 영역에 대면하는 상면을 갖는 하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 위로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을 갖는 하우징 -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가짐 -;
주 시야를 갖고,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는 이미징 어셈블리;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제1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1 창;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제2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2 창; 및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 - 미러 배열체는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제2 미러 및 제3 미러를 포함함 -
를 포함하며,
스플리터 미러는 2개의 평면형 반사면을 갖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주 시야를 분할하고,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제1 서브필드를 제2 경로를 따라 제2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고, 제2 경로와 제3 경로가 교차하도록 제2 서브필드를 제3 경로를 따라 제3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미러는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4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미러는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1 서브필드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3 미러는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제2 서브필드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96. 예 95에 있어서,
제1 미러는 제1 창 및 제2 창 중 하나를 통해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미러는 제1 창 및 제2 창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제1 서브필드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3 미러는 제1 창 및 제2 창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제2 서브필드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97. 제품 스캐닝 영역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로서,
제품 스캐닝 영역에 대면하는 상면을 갖는 하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 위로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을 갖는 하우징 -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가짐 -;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에 배치된 대체로 수평인 창 - 대체로 수평인 창은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제1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됨 -; 및
상부 하우징 부분에 배치된 대체로 직립인 창 - 대체로 직립인 창은 제품 스캐닝 영역과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제2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됨 -
을 포함하며,
대체로 수평인 창은 상면의 근위 에지에 평행하게 측정된 폭 및 근위 에지에 수직으로 측정된 길이를 가지며, 대체로 수평인 창의 폭은 그 길이보다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98. 예 97에 있어서,
주 시야를 갖고,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는 이미징 어셈블리;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 및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 - 미러 배열체는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그리고 주 시야의 제2 부분을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지향시키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99. 예 98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1 부분은 주 시야의 제2 부분보다 0-25% 더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100. 예 98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2 부분은 주 시야의 제1 부분보다 0-25% 더 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101. 예 98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2 부분은 대체로 수평인 창의 50-100%를 채우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102. 예 98에 있어서, 주 시야의 제1 부분은 대체로 직립인 창의 50-100%를 채우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103. 예 98에 있어서, 대체로 수평인 창의 평면을 따른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수평인 창의 면적보다 커서, 대체로 수평인 창은 제2 부분의 일부만이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과하게 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예 104. 예 98에 있어서, 대체로 직립인 창의 평면을 따른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면적은 대체로 직립인 창의 면적보다 커서, 대체로 직립인 창은 제1 부분의 일부만이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과하게 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Claims (22)

  1. 제품 스캐닝 영역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bioptic barcode reader)로서,
    상기 제품 스캐닝 영역에 대면하는 상면을 갖는 하부 하우징 부분 및 상기 하부 하우징 부분 위로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을 갖는 하우징;
    주 시야(primary field-of-view)를 갖는 이미징 어셈블리;
    상기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기 상면에 배치된 대체로 수평인 창(generally horizontal window) - 상기 대체로 수평인 창은 상기 제품 스캐닝 영역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영역 사이를 제1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됨 -;
    상기 상부 하우징 부분에 배치된 대체로 직립인 창(generally upright window) - 상기 대체로 직립인 창은 상기 제품 스캐닝 영역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영역 사이를 제2 광이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이미징 어셈블리의 상기 주 시야를 분할하도록 구성된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5인치 이상 7인치 이하의 폭을 갖고;
    상기 하부 하우징 부분은 3인치 이상의 높이를 갖고;
    상기 상부 하우징 부분은 4인치 이상 6인치 이하의 높이를 갖고;
    상기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은 6인치 이상 8인치 이하의, 상기 상부 하우징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와 상기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 사이의 길이를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로 직립인 창은 3 ½인치 이상 6인치 이하의 높이, 및 4인치 이상 7인치 이하의 폭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로 수평인 창은 3 ½인치 이상 6인치 이하의 폭을 갖고, 상기 하부 하우징 부분의 상면은 5인치 이상 7인치 이하의 폭을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로 수평인 창은 3 ½인치 이상 6인치 이하의 길이를 갖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상기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고;
    상기 이미징 어셈블리는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보드는 상기 상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정렬되고, 상기 인쇄 회로 보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주 시야를 상기 상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상면의 상기 원위 에지를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되고;
    상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상기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는 상기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mirror arrangement)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 배열체는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및 제2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플리터 미러는 상기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상기 주 시야를 분할하고 상기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상기 제1 경로로부터 제2 경로로 상기 제2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미러는 상기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상기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미러는 상기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상기 제1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상기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배열체는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상기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고;
    상기 이미징 어셈블리는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보드는 상기 상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정렬되고, 상기 인쇄 회로 보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주 시야를 상기 상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상면의 상기 원위 에지를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되고;
    상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상기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는 상기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 배열체는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제2 미러 및 제3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플리터 미러는 상기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상기 주 시야를 분할하고, 상기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서브필드를 제2 경로를 따라 상기 제2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고, 상기 제2 서브필드를 제3 경로를 따라 상기 제3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미러는 상기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4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상기 제2 부분을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미러는 상기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상기 제1 서브필드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미러는 상기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상기 제2 서브필드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상기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 미러는 2개의 평면 미러를 갖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상기 제2 경로와 상기 제3 경로는 교차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러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상기 주 시야의 제2 부분을 제3 서브필드 및 제4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상기 제3 서브필드를 상기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고, 상기 제4 서브필드를 상기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 미러는 2개의 평면 미러를 갖는 볼록 스플리터 미러이고, 상기 제2 경로와 상기 제3 경로는 분기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러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상기 주 시야의 제2 부분을 제3 서브필드 및 제4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상기 제3 서브필드를 상기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고, 상기 제4 서브필드를 상기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배열체는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상기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고;
    상기 이미징 어셈블리는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보드는 상기 상면에 대체로 수평으로 정렬되고, 상기 인쇄 회로 보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주 시야를 상기 상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 부분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되고;
    상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상기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는 상기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 배열체는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및 제2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플리터 미러는 상기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상기 주 시야를 분할하고 상기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상기 제1 경로로부터 제2 경로로 상기 제1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미러는 상기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미러는 상기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상기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배열체는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상기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고;
    상기 이미징 어셈블리는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보드는 상기 상면에 대체로 수평으로 정렬되고, 상기 인쇄 회로 보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주 시야를 상기 상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 부분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되고;
    상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상기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는 상기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 배열체는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제2 미러 및 제3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플리터 미러는 상기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상기 주 시야를 분할하고, 상기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서브필드를 제2 경로를 따라 상기 제2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고, 상기 제2 서브필드를 제3 경로를 따라 상기 제3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미러는 상기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4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미러는 상기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제1 서브필드를 상기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미러는 상기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제2 서브필드를 상기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상기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배열체는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상기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고;
    상기 이미징 어셈블리는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보드는 상기 상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정렬되고, 상기 인쇄 회로 보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주 시야를 상기 상면의 상기 근위 에지에 대체로 평행하게 지향시키도록 배열되고;
    상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상기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는 상기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 배열체는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제2 미러 및 제3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플리터 미러는 상기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직축을 따라 상기 주 시야를 분할하고 상기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상기 제1 경로로부터 제2 경로로 상기 제3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미러는 상기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제3 경로로부터 제4 경로로 상기 제2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미러는 상기 제4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미러는 상기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상기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배열체는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상기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고;
    상기 이미징 어셈블리는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보드는 상기 상면에 대해 예각으로 정렬되고, 상기 인쇄 회로 보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주 시야를 상기 상면에 대해 예각으로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 부분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되고;
    상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상기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는 상기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 배열체는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및 제2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플리터 미러는 상기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상기 주 시야를 분할하고 상기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상기 제1 경로로부터 제2 경로로 상기 제1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미러는 상기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미러는 상기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상기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배열체는 다른 미러들을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은 상부 부분에 인접한 근위 에지 및 상기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를 갖고;
    상기 이미징 어셈블리는 단일 이미지 센서를 갖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보드는 상기 상면에 대해 예각으로 정렬되고, 상기 인쇄 회로 보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주 시야를 상기 상면에 대해 예각으로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 부분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되고;
    상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상기 이미징 어셈블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미징 어셈블리에 의해 이미지에서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구성요소들의 세트는 상기 내부 영역 내에 배치된 미러 배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 배열체는 스플리터 미러, 제1 미러, 제2 미러 및 제3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플리터 미러는 상기 주 시야의 제1 부분의 제1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수평축을 따라 상기 주 시야를 분할하고, 상기 주 시야의 제1 부분을 제1 서브필드 및 제2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서브필드를 제2 경로를 따라 상기 제2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고, 상기 제2 서브필드를 제3 경로를 따라 상기 제3 미러를 향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미러는 상기 주 시야의 제2 부분의 제4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대체로 직립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미러는 상기 제2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제1 서브필드를 상기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미러는 상기 제3 경로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제2 서브필드를 상기 대체로 수평인 창을 통해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는 상기 디코딩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표시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미지들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이미징 어셈블리를 갖지 않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 미러는 2개의 평면 미러를 갖는 오목 스플리터 미러이고, 상기 제2 경로와 상기 제3 경로는 교차하는,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
KR1020227014980A 2019-11-08 2020-09-22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 KR1026537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78,773 US11126809B2 (en) 2019-11-08 2019-11-08 Bioptic barcode readers
US16/678,773 2019-11-08
PCT/US2020/051996 WO2021091625A1 (en) 2019-11-08 2020-09-22 Bioptic barcode read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037A true KR20220070037A (ko) 2022-05-27
KR102653797B1 KR102653797B1 (ko) 2024-04-03

Family

ID=7584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980A KR102653797B1 (ko) 2019-11-08 2020-09-22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11126809B2 (ko)
KR (1) KR102653797B1 (ko)
AU (1) AU2020380134B2 (ko)
DE (1) DE112020005486T5 (ko)
GB (1) GB2604778A (ko)
WO (1) WO20210916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7020B2 (en) * 2020-04-07 2022-08-16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Detection of calibration errors
US11216793B2 (en) 2020-05-29 2022-01-04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Self-checkout kiosk
US11462082B2 (en) * 2020-05-29 2022-10-04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Compact self-checkout kiosks
US20220383009A1 (en) * 2021-05-28 2022-12-01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Bioptic barcode reader and carrier assembly for a bioptic barcode reader
US20230206015A1 (en) * 2021-12-23 2023-06-29 Datalogic Usa, Inc. Fixed retail scanners with illumination assemblies having different sub-groups of leds and related method
US11941479B1 (en) * 2022-11-30 2024-03-26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Bi-optic indicia reader having two imaging assemblies with respective field of view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88434A1 (en) * 2017-12-18 2019-06-20 Symbol Technologies, Llc Bi-optic barcode read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4289A (en) * 1995-10-30 1997-11-04 Ncr Corporation Optical scanner having enhanced item side coverage
US7204420B2 (en) * 2004-08-31 2007-04-17 Symbol Technologies, Inc. Scanner and method for eliminating specular reflection
MX2007005493A (es) 2005-09-08 2007-09-11 Teva Pharma Procesos para la preparacion de (3r,4s)-4-((4-benciloxi)fenil)-1- (4-fluorofenil)-3-((s)-3-(4-fluorofenil)-3-hidroxipropil-2- azetidinona, un intermedio para la sintesis de ezetimibe.
US20100102129A1 (en) * 2008-10-29 2010-04-29 Symbol Technologies, Inc. Bar code reader with split field of view
US8430318B2 (en) 2010-01-08 2013-04-30 Datalogic ADC, Inc. System and method for data reading with low profile arrangement
US20130181051A1 (en) 2012-01-13 2013-07-18 Bryan L. Olmstead Two-plane optical code reader for acquisition of multiple views of an object
US9064395B2 (en) * 2012-06-08 2015-06-23 Datalogic ADC, Inc. Bezel with non-metallic materials for cover or platter for a data reader in a checkout station
US11308294B2 (en) 2016-10-27 2022-04-19 Datalogic Usa, Inc. Data reader with view separation optic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88434A1 (en) * 2017-12-18 2019-06-20 Symbol Technologies, Llc Bi-optic barcode rea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380134A1 (en) 2022-04-14
US20210142015A1 (en) 2021-05-13
US11126809B2 (en) 2021-09-21
US20240119243A1 (en) 2024-04-11
US11847522B2 (en) 2023-12-19
US20210383086A1 (en) 2021-12-09
GB2604778A (en) 2022-09-14
KR102653797B1 (ko) 2024-04-03
US20230161983A1 (en) 2023-05-25
US11562160B2 (en) 2023-01-24
DE112020005486T5 (de) 2022-09-15
WO2021091625A1 (en) 2021-05-14
AU2020380134B2 (en)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3797B1 (ko) 바이옵틱 바코드 판독기들
US7204420B2 (en) Scanner and method for eliminating specular reflection
CN102334129B (zh) 获得物体多个视图的基于图像的代码阅读器及其使用方法
US95425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view imaging of optical codes using chromatic path splitting
AU2020277149B2 (en) Bi-optic barcode reader
US11960964B2 (en) Bioptic scanner optical arrangement with single sensor split four ways
US8733651B2 (en) Low profile tri-aperture optical code scanner
US11934912B2 (en) Bioptic barcode reader
US20150347798A1 (en) Point-of-transaction workstation for, and method of, imaging sheet-like targets
US10025962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imaging targets
JPH05298472A (ja) バーコード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