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792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792A
KR20220069792A KR1020210076906A KR20210076906A KR20220069792A KR 20220069792 A KR20220069792 A KR 20220069792A KR 1020210076906 A KR1020210076906 A KR 1020210076906A KR 20210076906 A KR20210076906 A KR 20210076906A KR 20220069792 A KR20220069792 A KR 20220069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s
base
holder
magnet
bal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7321B1 (ko
Inventor
서보성
안병기
강환준
윤영복
신준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7/508,11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163814A1/en
Priority to CN202122920471.2U priority patent/CN216356936U/zh
Priority to CN202111384767.5A priority patent/CN114518678A/zh
Publication of KR20220069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792A/ko
Priority to KR1020230054238A priority patent/KR102641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04N5/2328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4
    • H04N5/225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OIS 베이스; 상기 OIS 베이스에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지 센서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OIS 홀더; 및 상기 이미지 센서를 광축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도록 구비된 제1 OIS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OIS 액추에이터는 상기 OIS 홀더에 구비되는 제1 마그네트 및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기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에 관한 기술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토포커스 기능 또는 광학 이미지 안정화 기능을 제공하는 카메라에 관한 기술이다.
모바일 장치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은 종래의 전통적인 카메라에 비견되는 성능을 가지도록 제조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높은 줌 배율을 제공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줌 배율이 커지기 위해서는 카메라에 입사된 광이 이미지센서까지 이동하는 거리, 즉, 전장길이 또는 총 트랙길이(TTL, Total Track Length)가 길어져야 하고, 비교적 긴 길이의 총 트랙길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길이가 커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장치에 구비되는 카메라는 전자장치의 전면이나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렌즈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그런데 총 트랙길이가 길어지려면 물체측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가 길어져야 하고 이는 결국 전자장치의 전면과 후면 사이 즉, 전자장치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전자장치의 두께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높은 줌 배율을 제공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은 광의 경로를 전환할 수 있는 프리즘과 같은 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의 후면에서 들어온 광은 반사부재에 의해 90도 가량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폴디드 카메라에서 오토포커스(AF) 기능 또는 광학 이미지 안정화(OIS)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이미지 센서가 시프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서 우수한 성능의 AF 또는 OIS를 통해 고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센서 시프트 방식의 OIS에서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AF 구동부 및 OIS 구동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OIS 베이스; 상기 OIS 베이스에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지 센서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OIS 홀더; 및 상기 이미지 센서를 광축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도록 구비된 제1 OIS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OIS 액추에이터는 상기 OIS 홀더에 구비되는 제1 마그네트 및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기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우수한 성능의 AF 또는 OIS를 통해 고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센서 시프트 방식의 OIS 구동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카메라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카메라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Z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구성요소들의 형태 또는 구성요소들 사이의 관계는 X, Y, Z 좌표계를 이용하여 설명된다. 본 개시에서 X 방향은 X축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하며, 다른 표시가 없는 한 +X 방향 및 -X 방향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Y 방향이나 Z 방향도 마찬가지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모듈(102), 및 이미지 센서(106)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102)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102)은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102)이 여러 렌즈들을 포함하는 경우 렌즈들은 일 방향으로 배열되며, 이때 렌즈들이 배열되는 방향은 렌즈모듈(102)의 광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들은 X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은 반사부재(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재(104)는 일 방향으로 입사된 광을 다른 방향으로 반사할 수 있다. 반사부재(104)는, 예를 들어, 프리즘이나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재(104)에 의해 광은 렌즈모듈(102)을 향할 수 있다. 반사부재(104)는 렌즈모듈(102)의 광축과 나란하거나 대체로 나란하게 광을 반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부재(104)에 Z 방향과 나란하게 입사한 광은 렌즈모듈(102)의 광축과 나란한 X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광은 렌즈모듈(102)을 통과한 후 이미지 센서(106)의 결상면에 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00)은 오토포커스(auto focus)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렌즈모듈(102)은 이미지 센서(106)에 대해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초점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모듈(102)을 이동시키기 위한 AF 구동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AF 구동부(108)는, 예를 들어, 렌즈모듈(10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조들, 및 렌즈모듈(102)을 움직이게 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AF 구동부(108)를 구성하는 자세한 컴포넌트들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에서 설명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AF 기능은 이미지 센서(106)의 움직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106)가 렌즈모듈(102)에 대해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초점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00)은 광학 이미지 안정화(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렌즈모듈(102) 또는 이미지 센서(106)가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시프트됨으로써 광학 이미지 안정화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106)가 Y-Z 평면상에서 시프트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은 광학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OIS 구동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OIS 구동부(110)는 이미지 센서(106)를 Y축 및/또는 Z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OIS 구동부(11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도 2 내지 도 5에서 설명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200)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카메라 모듈(200)에서 반사부재(204), 렌즈모듈(202), 및 이미지 센서(206)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10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배열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카메라 모듈(200)의 분해도이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구동부(210)는 OIS 베이스(212), OIS 홀더(214), 및 OIS 액추에이터(2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06)는 OIS 홀더(214)에 고정적으로 구비되며, OIS 홀더(214)가 OIS 베이스(212)에 대해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OIS가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홀더(214)는 볼부재(218, 220)에 의해 이미지 센서(206)의 결상면(206a)이 항하는 방향(즉, X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OIS 홀더(214)는 OIS 홀더(214)와 OIS 베이스(212) 사이에 구비된 볼부재(218, 22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X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홀더(214)는 OIS 베이스(212)에 대해 X축에 수직인 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및 Z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홀더(214)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OIS 홀더(214)와 OIS 베이스(212) 사이에 OIS 가이드(222)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가이드(222)는, OIS 베이스(212)에 대해 X축에 수직인 제1 방향(예를 들어, Z 방향)으로만 움직이고, OIS 홀더(214)에 대해 X축 및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예를 들어, Y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가이드(222)와 OIS 베이스(212) 사이에 제1 볼부재(218)가 구비되고, OIS 가이드(222) 및/또는 OIS 베이스(212)는 제1 볼부재(218)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제1 가이드홈(224)을 포함할 수 있다. OIS 가이드(222) 또는 OIS 베이스(212)에 구비된 제1 가이드홈(224)은 Z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볼부재(218)는 제1 가이드홈(224)을 따라 움직이므로 OIS 가이드(222)의 OIS 베이스(212)에 대한 이동 방향은 제1 가이드홈(224)이 연장하는 방향(즉, Z 방향)에 구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홀더(214)와 OIS 가이드(222) 사이에 제2 볼부재(220)가 구비되고, OIS 홀더(214) 및/또는 OIS 가이드(222)는 제2 볼부재(220)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제2 가이드홈(226)을 포함할 수 있다. OIS 홀더(214) 또는 OIS 가이드(222)에 구비된 제2 가이드홈(226)은 Y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볼부재(220)는 제2 가이드홈(226)을 따라 움직이므로 OIS 홀더(214)의 OIS 가이드(222)에 대한 이동 방향은 제2 가이드홈(226)이 연장하는 방향(즉, Y 방향)에 구속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홈(224)은 Z 방향으로, 제2 가이드홈(226)은 Y 방향으로 연장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홈(224)과 제2 가이드홈(226)이 연장하는 방향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제1 가이드홈(224)이 Y 방향으로, 제2 가이드홈(226)이 Z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액추에이터(215)는 보이스 코일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액추에이터(215)는 OIS 베이스(212)에 구비된 OIS 코일(228), 및 OIS 홀더(214)에 구비되고 OIS 코일(228)과 대향하는 OIS 마그네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코일(228)과 OIS 마그네트(230)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호 대향할 수 있다. OIS 코일(228)에 전류가 흐를 때, OIS 코일(228)과 OIS 마그네트(23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OIS 홀더(214)가 OIS 베이스(212)에 대해 Z축 및/또는 Y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예를 들어, OIS 액추에이터(215)는 OIS 베이스(212)에 구비된 OIS 마그네트, 및 OIS 홀더(214)에 구비되고 OIS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OIS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액추에이터(215)는 Y 방향 구동과 Z 방향 움직임을 담당하는 제1 액추에이터(215a)와 제2 액추에이터(2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215a)와 제2 액추에이터(215b)는 서로 대향하는 마그네트(예: OIS 마그네트(230))와 코일(예: OIS 코일(228))로 구성된다. 마그네트는 OIS 홀더(214)에 구비되고, 코일은 OIS 베이스(212)에 구비되며,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OIS 홀더(214)가 OIS 베이스(212)에 대해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구동한다. 일 실시 예에서 OIS 액추에이터(215)를 구성하는 마그네트와 코일은 광축에 수직인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 또는 Z축 방향)으로 대향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215a)와 제2 액추에이터(215b)는 OIS 홀더(214)의 일측면에 함께 구비되거나 서로 다른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액추에이터(215a)는 OIS 홀더(214)의 -Y 방향 또는 +Y 방향에, 제2 액추에이터(215b)는 OIS 홀더(214)의 +Z 방향 또는 -Z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액추에이터(215a)와 제2 액추에이터(215b)는 OIS 홀더(214)의 같은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OIS 액추에이터(215a)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OIS 마그네트(238)와 OIS 코일(228)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OIS 마그네트(238)과 OIS 코일(228)은 Y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나, 이는 예시에 지나지 않고, 다른 실시 예에서 Z축 방향으로 대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OIS 액추에이터(215b)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OIS 마그네트(미도시)와 OIS 코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구동부(210)는 위치센서(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센서(232)는 OIS 코일(228)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며, 이미지 센서(206)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센서(232)는 OIS 마그네트(230)의 자기장을 측정하는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위치센서(232)는 OIS 마그네트(230)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별도의 코일을 포함하고, OIS 마그네트(230)에 의한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를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206)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코일(228) 및/또는 위치센서(232)는 OIS 베이스(212)에 결합된 OIS 기판(234)에 부착될 수 있다. OIS 기판(234)은 커넥터 기판(2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 기판(236)과 OIS 구동에 필요한 신호나 전력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베이스(212)에 요크(238)가 구비될 수 있다. 요크(238)는 OIS 홀더(214)에 구비된 OIS 마그네트(230)와 X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요크(238)와 OIS 마그네트(230) 사이에 생기는 자기적 인력은 OIS 홀더(214)를 OIS 베이스(212) 측(즉, +X 방향)으로 당겨준다.
OIS 가이드(222)는 제1 볼부재(218)에 의해 X 방향으로 지지되며, OIS 홀더(214)는 제2 볼부재(220)에 의해 X 방향으로 지지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볼부재(218)는 OIS 베이스(212)와 OIS 가이드(222) 사이의 3개 이상의 지점들에 각각 구비되어 OIS가 수행되는 동안 OIS 가이드(222)를 X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볼부재(220)는 OIS 가이드(222)와 OIS 홀더(214) 사이의 3개 이상의 지점들에 각각 구비되어 OIS가 수행되는 동안 OIS 홀더(214)를 X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요크(238)와 OIS 마그네트(230) 사이의 자기적 인력은 제1 볼부재(218)가 OIS 베이스(212) 및 OIS 가이드(222)에, 제2 볼부재(220)가 OIS 홀더(214) 및 OIS 가이드(22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준다. 즉, OIS 홀더(214)와 OIS 베이스(212) 사이에 구비된 제1 볼부재(218) 및 제2 볼부재(220)는 각각 제1 가이드홈(224)과 제2 가이드홈(226)과 접촉을 유지할 수 있고, 이는 OIS 구동시 OIS 홀더(214)가 Y 방향이나 Z 방향이 아닌 방향(즉, X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준다. 이는 카메라 모듈(200)이 우수한 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기여한다.
일 실시 예에서 AF 구동부(208)는 AF 베이스(240), AF 캐리어(242), 및 AF 액추에이터(244)를 포함할 수 있다. AF 캐리어(242)는 렌즈모듈(202)에 고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AF 캐리어(242)는 렌즈모듈(20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AF 캐리어(242)는 AF 베이스(240)에 대해 광축 방향(즉, X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캐리어(242)와 AF 베이스(240) 사이에 제3 볼부재(246)가 구비될 수 있다. AF 캐리어(242) 및/또는 AF 베이스(240)는 제3 볼부재(246)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제3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AF 캐리어(242) 또는 AF 베이스(240)에 구비된 제3 가이드홈은 X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3 볼부재(246)는 제3 가이드홈을 따라 움직이므로 AF 캐리어(242)의 AF 베이스(240)에 대한 이동 방향은 제3 가이드홈이 연장하는 방향(즉, X 방향)에 구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캐리어(242)의 전방 및 후방에 댐퍼(250)가 구비될 수 있다. 댐퍼(250)는 AF 캐리어(242)가 광축 방향으로 움직일 때 다른 구조에 부딪치면서 생기는 소음이나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250)는 우레탄, 고무, 또는 실리콘 등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액추에이터(244)는 보이스 코일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AF 액추에이터(244)는 AF 베이스(240)에 구비된 AF 코일(252), 및 AF 코일(252)에 대향하게 AF 캐리어(242)에 구비된 AF 마그네트(254)를 포함할 수 있다. AF 코일(252)과 AF 마그네트(254)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대향할 수 있다. AF 코일(252)에 전류가 흐를 때 생기는 AF 코일(252)과 AF 마그네트(254)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AF 캐리어(242)가 AF 베이스(240)에 대해 광축(즉, X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액추에이터(244)는 AF 캐리어(242) 양측에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제1 AF 액추에이터(244a)가 AF 캐리어(242)의 -Y 방향에, 제2 AF 액추에이터(244b)가 AF 캐리어(242)의 +Y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구동부(208)는 위치센서(2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센서(256)는 AF 코일(252)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며, 렌즈모듈(202)의 광축 상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센서(256)는 AF 마그네트(254)의 자기장을 측정하는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위치센서(256)는 AF 마그네트(254)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별도의 코일을 포함하고, AF 마그네트(254)에 의한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를 이용하여 렌즈모듈(202)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코일(252) 및/또는 위치센서(256)는 AF 베이스(240)에 결합된 AF 기판(258)에 부착될 수 있다. AF 기판(258)은 커넥터 기판(2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 기판(236)과 AF 구동에 필요한 신호나 전력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캐리어(242)와 AF 베이스(240)는 각각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 자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AF 캐리어(242)의 Z 방향을 향하는 면에 제1 자성부재(260)가 구비되고, AF 베이스(240)에 제1 자성부재(260)를 Z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자성부재(26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자성부재(260)와 제2 자성부재(262) 사이에는 자기적 인력이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성부재(260)는 마그네트이고 제2 자성부재(262)는 요크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자성부재(260)는 요크이고 제2 자성부재(262)는 마그네트일 수 있다. 제1 자성부재(260)와 제2 자성부재(262) 사이에 생기는 자기적 인력은 AF 캐리어(242)를 AF 베이스(240) 측(예를 들어, Z 방향)으로 당겨준다.
일 실시 예에서 AF 마그네트(254)가 제1 자성부재(260)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자성부재(262)는 AF 마그네트(254)와 Z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AF 베이스(240)에 구비될 수 있다.
AF 캐리어(242)와 AF 베이스(240) 사이의 제3 볼부재(246)는 AF 캐리어(242)는 Z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볼부재(246)는 AF 캐리어(242)와 AF 베이스(240) 사이의 3개 이상의 지점들에 각각 구비되어 AF가 수행되는 동안 AF 캐리어(242)를 Z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자성부재(260)와 제2 자성부재(262) 사이의 자기적 인력은 제3 볼부재(246)가 AF 베이스(240) 및 AF 캐리어(24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준다. 즉, AF 캐리어(242)와 AF 베이스(240) 사이에 구비된 제3 볼부재(246)는 제3 가이드홈과 접촉을 유지할 수 있고, 이는 AF 구동시 AF 캐리어(242)가 X축과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준다. 이는 카메라 모듈(200)이 우수한 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기여한다.
일 실시 예에서 AF 베이스(240)는 OIS 베이스(212)에 대해 이미지 센서(206)의 상면(206a)이 향하는 제3 방향(즉, -X 방향)에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OIS 베이스(212), 볼부재(218, 220), 및 OIS 홀더(214)는 제3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OIS 홀더(또는 OIS 홀더에 제공된 제1 가이드홈(224))의 제3 방향에 제1 볼부재(218)가 안착되고, 제1 볼부재(218)의 제3 방향에 OIS 가이드(222)가 안착된다. OIS 가이드(222)(또는 OIS 가이드(222)에 제공된 제2 가이드홈(226))의 제3 방향에 제2 볼부재(220)가 안착되고, 제2 볼부재(220)의 제3 방향에 OIS 홀더(214)가 안착된다.
OIS 홀더(214)에 구비된 OIS 마그네트(230)와 OIS 베이스(212)에 구비된 요크(238) 사이의 자기적 인력에 의해 OIS 홀더(214)는 OIS 베이스(212)를 향해 당겨진다. 즉, OIS 홀더(214)는 제3 방향과 반대방향(즉, +X 방향)으로 당겨진다.
일 실시 예에서 AF 구동부(208)와 OIS 구동부(210) 일부를 쉴드캔(264)이 감쌀 수 있다. 쉴드캔(264)은 바깥의 전자기장이 AF 구동부(208)나 OIS 구동부(210)에 영향을 주거나, AF 구동부(208)나 OIS 구동부(210)에 의해 생긴 전자기장이 쉴드캔(264) 바깥의 전자부품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구동부(210)와 AF 구동부(208) 사이에 OIS 커버(266)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OIS 커버(266)는 OIS 베이스(212)에 장착되고, OIS 홀더(214)의 -X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OIS 커버(266)는 OIS 홀더(214)가 -X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미지 센서(206) 상에 광학필터(268)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광학필터(268)는 자외선 차단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202)을 통과한 광은 자외선 차단 필터를 통과한 후에 이미지 센서(206)에 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베이스(212)는 커넥터 기판(236)상에 구비될 수 있다. OIS 구동에 따라 이미지 센서(206)는 OIS 베이스(212)에 대해 움직이므로 이미지 센서(206)는 가요성 기판(270)을 통해 커넥터 기판(2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기판(236)은 다른 구조물(272) 상에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홀더(214)는 렌즈모듈(202)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용부(214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OIS 홀더(214)는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용부(214a)를 포함하고, 렌즈모듈(202)은 OIS 홀더(214)의 수용부(214a)에 일부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홀더(214)의 가장자리 부분(214b)이 OIS 가이드(222)(또는 제2 볼부재(220)) 상에 배치된다. OIS 홀더(214)는 내측에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214c)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14c)의 일부는 수용부(214a)를 정의한다. 연장부(214c)의 단부에 이미지 센서(206)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장부(214c)는 OIS 베이스(212)의 수용부(212a)에 일부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커버(266)는 렌즈모듈(202)을 통과시키는 수용부(266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300)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카메라 모듈(300)에서 반사부재(304), 렌즈모듈(302), 및 이미지 센서(306)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10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배열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카메라 모듈(300)의 분해도이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구동부(310)는 OIS 베이스(312), OIS 홀더(314), 및 OIS 액추에이터(3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06)는 OIS 홀더(314)에 고정적으로 구비되며, OIS 홀더(314)가 Z-Y 평면상에서 움직임으로써 OIS가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홀더(314)는 볼부재에 의해 이미지 센서(306)의 결상면(306a)이 항하는 방향(즉, X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OIS 홀더(314)는 OIS 홀더(314)와 OIS 베이스(312) 사이에 구비된 볼부재들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X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홀더(314)는 OIS 베이스(312)에 대해 X축에 수직인 방향(예를 들어, Z 방향 및 Y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OIS 홀더(314)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OIS 홀더(314)와 OIS 베이스(312) 사이에 OIS 가이드(32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 예에서는 OIS 홀더(314)는 상(image)측 방향으로 OIS 홀더(314)에 당겨진 상태로 움직인다. 반면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OIS 홀더(314)는 상측과 반대 방향으로 OIS 홀더(314)에 당겨진 상태로 움직인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가이드(322)는, OIS 베이스(312)에 대해 X축에 수직인 제1 방향(예를 들어, Z 방향)으로만 움직이고, OIS 홀더(314)에 대해 X축 및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예를 들어, Y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가이드(322)와 OIS 베이스(312) 사이에 제1 볼부재(318)가 구비되고, OIS 가이드(322) 및/또는 OIS 베이스(312)는 제1 볼부재(318)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제1 가이드홈(324)을 포함할 수 있다. OIS 가이드(322) 또는 OIS 베이스(312)에 구비된 제1 가이드홈(324)은 Z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볼부재(318)는 제1 가이드홈(324)을 따라 움직이므로 OIS 가이드(322)의 OIS 베이스(312)에 대한 이동 방향은 제1 가이드홈(324)이 연장하는 방향(즉, Z 방향)에 구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홀더(314)와 OIS 가이드(322) 사이에 제2 볼부재(320)가 구비되고, OIS 홀더(314) 및/또는 OIS 가이드(322)는 제2 볼부재(320)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제2 가이드홈(326)을 포함할 수 있다. OIS 홀더(314) 또는 OIS 가이드(322)에 구비된 제2 가이드홈(326)은 Y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볼부재(320)는 제2 가이드홈(326)을 따라 움직이므로 OIS 홀더(314)의 OIS 가이드(322)에 대한 이동 방향은 제2 가이드홈(326)이 연장하는 방향(즉, Y 방향)에 구속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홈(324)은 Z 방향으로, 제2 가이드홈(326)은 Y 방향으로 연장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홈(324)과 제2 가이드홈(326)이 연장하는 방향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제1 가이드홈(324)이 Y 방향으로, 제2 가이드홈(326)이 Z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액추에이터(315)는 보이스 코일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액추에이터(315)는 OIS 베이스(312)에 구비된 OIS 코일(328), 및 OIS 홀더(314)에 구비되고 OIS 코일(328)과 대향하는 OIS 마그네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코일(328)과 OIS 마그네트(330)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호 대향할 수 있다. OIS 코일(328)에 전류가 흐를 때, OIS 코일(328)과 OIS 마그네트(33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OIS 홀더(314)가 OIS 베이스(312)에 대해 Z축 및/또는 Y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예를 들어, OIS 액추에이터(315)는 OIS 베이스(312)에 구비된 OIS 마그네트, 및 OIS 홀더(314)에 구비되고 OIS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OIS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액추에이터(315)는 Z 방향 구동과 Y 방향 움직임을 각각 담당하는 제1 OIS 액추에이터(315a)와 제2 OIS 액추에이터(3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OIS 액추에이터(315a)와 제2 OIS 액추에이터(315b)는 OIS 홀더(314)의 일측면에 함께 구비되거나 서로 다른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OIS 액추에이터(315a)는 OIS 홀더(314)의 -Y 방향 또는 +Y 방향에, 제2 OIS 액추에이터(315b)는 OIS 홀더(314)의 +Z 방향 또는 -Z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OIS 액추에이터(315a)와 제2 OIS 액추에이터(315b)는 OIS 홀더(314)의 같은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OIS 액추에이터(315a)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OIS 마그네트(338)와 OIS 코일(328)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OIS 마그네트(338)과 OIS 코일(328)은 Y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나, 이는 예시에 지나지 않고, 다른 실시 예에서 Z축 방향으로 대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OIS 액추에이터(315b)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OIS 마그네트(미도시)와 OIS 코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구동부(310)는 위치센서(3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센서(356)는 OIS 코일(328)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며, 이미지 센서(306)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센서(356)는 OIS 마그네트(330)의 자기장을 측정하는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위치센서(356)는 OIS 마그네트(330)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별도의 코일을 포함하고, OIS 마그네트(330)에 의한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를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306)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코일(328) 및/또는 위치센서(356)는 OIS 베이스(312)에 결합된 OIS 기판(334)에 부착될 수 있다. OIS 기판(334)은 커넥터 기판(3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 기판(336)과 OIS 구동에 필요한 신호나 전력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베이스(312)에 요크(338)가 구비될 수 있다. 요크(338)는 OIS 홀더(314)에 구비된 OIS 마그네트(330)와 X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요크(338)와 OIS 마그네트(330) 사이에 생기는 자기적 인력은 OIS 홀더(314)를 OIS 베이스(312) 측(즉, -X 방향)으로 당겨준다.
OIS 가이드(322)는 제1 볼부재(318)에 의해 X 방향으로 지지되며, OIS 홀더(314)는 제2 볼부재(320)에 의해 X 방향으로 지지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볼부재(318)는 OIS 베이스(312)와 OIS 가이드(322) 사이의 3개 이상의 지점들에 각각 구비되어 OIS가 수행되는 동안 OIS 가이드(322)를 X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볼부재(320)는 OIS 가이드(322)와 OIS 홀더(314) 사이의 3개 이상의 지점들에 각각 구비되어 OIS가 수행되는 동안 OIS 홀더(314)를 X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요크(338)와 OIS 마그네트(330) 사이의 자기적 인력은 제1 볼부재(318)가 OIS 베이스(312) 및 OIS 가이드(322)에, 제2 볼부재(320)가 OIS 홀더(314) 및 OIS 가이드(32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준다. 즉, OIS 홀더(314)와 OIS 베이스(312) 사이에 구비된 제1 볼부재(318) 및 제2 볼부재(320)는 각각 제1 가이드홈(324)과 제2 가이드홈(326)과 접촉을 유지할 수 있고, 이는 OIS 구동시 OIS 홀더(314)가 Z 방향이나 Y 방향이 아닌 방향(즉, X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준다. 이는 카메라 모듈(300)이 우수한 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기여한다.
일 실시 예에서 AF 구동부(308)는 AF 베이스(340), AF 캐리어(342), 및 AF 액추에이터(344)를 포함할 수 있다. AF 캐리어(342)는 렌즈모듈(302)에 고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AF 캐리어(342)는 렌즈모듈(30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AF 캐리어(342)는 AF 베이스(340)에 대해 광축 방향(즉, X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캐리어(342)와 AF 베이스(340) 사이에 제3 볼부재(346)가 구비될 수 있다. AF 캐리어(342) 및/또는 AF 베이스(340)는 제3 볼부재(346)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제3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AF 캐리어(342) 또는 AF 베이스(340)에 구비된 제3 가이드홈은 X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3 볼부재(346)는 제3 가이드홈을 따라 움직이므로 AF 캐리어(342)의 AF 베이스(340)에 대한 이동 방향은 제3 가이드홈이 연장하는 방향(즉, X 방향)에 구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캐리어(342)의 전방 및 후방에 댐퍼(350)가 구비될 수 있다. 댐퍼(350)는 AF 캐리어(342)가 광축 방향으로 움직일 때 다른 구조에 부딪치면서 생기는 소음이나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350)는 고무나 실리콘 등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액추에이터(344)는 보이스 코일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AF 액추에이터(344)는 AF 베이스(340)에 구비된 AF 코일(352), 및 AF 코일(352)에 대향하게 AF 캐리어(342)에 구비된 AF 캐리어(342)를 포함할 수 있다. AF 코일(352)과 AF 마그네트(354)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대향할 수 있다. AF 코일(352)에 전류가 흐를 때 생기는 AF 코일(352)과 AF 마그네트(354)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AF 캐리어(342)가 AF 베이스(340)에 대해 광축(즉, X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구동부(308)는 AF 캐리어(342) 일측에만 구비될 수 있다. AF 캐리어(342)는 다른부분보다 +X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하는 연장부(342a)를 포함하고, AF 마그네트(354)는 연장부(342a)까지 연장할 수 있다. AF 베이스(340) 역시 AF 마그네트(354)와 대향하는 부분에서 다른 부분보다 광축 방향으로 더 연장된 부분(340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F 베이스(340)는 커넥터 기판(336)까지 연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구동부(308)는 위치센서(3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센서(356)는 AF 코일(352)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며, 렌즈모듈(302)의 광축 상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센서(356)는 AF 마그네트(354)의 자기장을 측정하는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위치센서(356)는 AF 마그네트(354)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별도의 코일을 포함하고, AF 마그네트(354)에 의한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를 이용하여 렌즈모듈(302)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코일(352) 및/또는 위치센서(356)는 AF 베이스(340)에 결합된 AF 기판(358)에 부착될 수 있다. AF 기판(358)은 커넥터 기판(3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 기판(336)과 AF 구동에 필요한 신호나 전력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베이스(340)의 AF 마그네트(354)를 마주보는 부분에 요크(362)가 장착될 수 있다. AF 마그네트(354)와 요크(362) 사이에 생기는 자기적 인력은 AF 캐리어(342)를 AF 베이스(340) 측(예를 들어, +Y 방향)으로 당겨준다.
AF 캐리어(342)와 AF 베이스(340) 사이의 제3 볼부재(346)는 AF 캐리어(342)는 Y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볼부재(346)는 AF 캐리어(342)와 AF 베이스(340) 사이의 3개 이상의 지점들에 각각 구비되어 AF가 수행되는 동안 AF 캐리어(342)를 Y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AF 마그네트(354)와 요크(362) 사이의 자기적 인력은 제3 볼부재(346)가 AF 베이스(340) 및 AF 캐리어(34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준다. 즉, AF 캐리어(342)와 AF 베이스(340) 사이에 구비된 제3 볼부재(346)는 제3 가이드홈과 접촉을 유지할 수 있고, 이는 AF 구동시 AF 캐리어(342)가 X축과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준다. 이는 카메라 모듈(300)이 우수한 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기여한다.
일 실시 예에서 AF 베이스(340)는 OIS 베이스(312)에 대해 이미지 센서(306)의 상면(306a)이 향하는 제3 방향(즉, -X 방향)에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OIS 베이스(312), 볼부재(318, 220), 및 OIS 홀더(314)는 제3 방향과 반대인 제4 방향(즉, +X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OIS 홀더(또는 OIS 홀더에 제공된 제1 가이드홈(324))의 제4 방향에 제1 볼부재(318)가 안착되고, 제1 볼부재(318)의 제4 방향에 OIS 가이드(322)가 안착된다. OIS 가이드(322)(또는 OIS 가이드(322)에 제공된 제2 가이드홈(326))의 제4 방향에 제2 볼부재(320)가 안착되고, 제2 볼부재(320)의 제4 방향에 OIS 홀더(314)가 안착된다.
OIS 홀더(314)에 구비된 OIS 마그네트(330)와 OIS 베이스(312)에 구비된 요크(338) 사이의 자기적 인력에 의해 OIS 홀더(314)는 OIS 베이스(312)를 향해 당겨진다. 즉, OIS 홀더(314)는 제3 방향(즉, -X 방향)으로 당겨진다.
일 실시 예에서 AF 구동부(308)와 OIS 구동부(310) 일부를 쉴드캔(364)이 감쌀 수 있다. 쉴드캔(364)은 바깥의 전자기장이 AF 구동부(308)나 OIS 구동부(310)에 영향을 주거나, AF 구동부(308)나 OIS 구동부(310)에 의해 생긴 전자기장이 쉴드캔(364) 바깥의 전자부품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구동부(310)와 AF 구동부(308) 사이에 OIS 커버(366)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OIS 커버(366)는 OIS 베이스(312)에 장착되고, OIS 홀더(314)의 +X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OIS 커버(366)는 OIS 홀더(314)가 +X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미지 센서(306) 상에 광학필터(368)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광학필터(368)는 자외선 차단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302)을 통과한 광은 자외선 차단 필터를 통과한 후에 이미지 센서(306)에 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베이스(312)는 커넥터 기판(336)상에 구비될 수 있다. OIS 구동에 따라 이미지 센서(306)는 OIS 베이스(312)에 대해 움직이므로 이미지 센서(306)는 가요성 기판(370)을 통해 커넥터 기판(3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기판(336)은 다른 구조물(372) 상에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베이스(312)는 렌즈모듈(302)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용부(314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OIS 베이스(312)는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용부(312a)를 포함하고, 렌즈모듈(302)은 OIS 베이스(312)의 수용부(312a)에 일부 삽입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400)을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400)은 렌즈모듈(402), 이미지 센서(406), 제1 반사부재(404), 제2 반사부재(405)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402)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402)은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402)이 여러 렌즈들을 포함하는 경우 렌즈들은 일 방향으로 배열되며, 이때 렌즈들이 배열되는 방향은 렌즈모듈(402)의 광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들은 X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반사부재(404)는 일 방향으로 입사된 광을 다른 방향으로 반사할 수 있다. 반사부재(404)는, 예를 들어, 프리즘이나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부재(404)는 일면으로 입사한 광을 렌즈모듈(402)로 반사시키고, 제2 반사부재(405)는 렌즈모듈(402)을 통과한 광을 다시 이미지 센서(406)를 향해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사부재(404)는 -Z 방향으로 입사한 광을 +X 방향으로 전환하고, 제2 반사부재(405)는 상기 광을 -Z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400)은 오토포커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렌즈모듈(402)은 이미지 센서(406)에 대해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초점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400)은 렌즈모듈(402)을 이동시키기 위한 AF 구동부(408)를 포함할 수 있다. AF 구동부(408)는, 예를 들어, 렌즈모듈(40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조들, 및 렌즈모듈(402)을 움직이게 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AF 구동부(408)를 구성하는 자세한 컴포넌트들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에서 설명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AF 기능은 이미지 센서(406)의 움직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06)가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400)은 광학 이미지 안정화(OIS)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렌즈모듈(402) 또는 이미지 센서(406)가 광의 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시프트됨으로써 광학 이미지 안정화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406)가 X-Y 평면상에서 시프트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400)은 광학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OIS 구동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OIS 구동부(410)는 이미지 센서(406)를 X 방향 및/또는 Y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OIS 구동부(41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도 7 및 도 8에서 설명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500)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카메라 모듈(500)에서 제1 반사부재(504), 제2 반사부재(505), 렌즈모듈(502), 및 이미지 센서(506)는 도 6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40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구동부(510)는 OIS 베이스(512), OIS 홀더(514), 및 OIS 액추에이터(5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06)는 OIS 홀더(514)에 고정적으로 구비되며, OIS 홀더(514)가 X-Y 평면상에서 움직임으로써 OIS가 구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OIS 구동부(510)는 도 2의 실시 예와 유사하나, 대안적으로 카메라 모듈(500)은 도 4의 실시 예와 유사한 OIS 구동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홀더(514)는 볼부재에 의해 이미지 센서(506)의 결상면(506a)이 항하는 방향(즉, Z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OIS 홀더(514)는 OIS 홀더(514)와 OIS 베이스(512) 사이에 구비된 볼부재들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Z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홀더(514)는 OIS 베이스(512)에 대해 Z축에 수직인 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및 X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OIS 홀더(514)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OIS 홀더(514)와 OIS 베이스(512) 사이에 OIS 가이드(522)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가이드(522)는, OIS 베이스(512)에 대해 Z축에 수직인 제1 방향(예를 들어, Y 방향)으로만 움직이고, OIS 홀더(514)에 대해 Z축 및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예를 들어, X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가이드(522)와 OIS 베이스(512) 사이에 제1 볼부재(518)가 구비되고, OIS 가이드(522) 및/또는 OIS 베이스(512)는 제1 볼부재(518)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제1 가이드홈(524)을 포함할 수 있다. OIS 가이드(522) 또는 OIS 베이스(512)에 구비된 제1 가이드홈(524)은 Y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볼부재(518)는 제1 가이드홈(524)을 따라 움직이므로 OIS 가이드(522)의 OIS 베이스(512)에 대한 이동 방향은 제1 가이드홈(524)이 연장하는 방향(즉, Y 방향)에 구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홀더(514)와 OIS 가이드(522) 사이에 제2 볼부재(520)가 구비되고, OIS 홀더(514) 및/또는 OIS 가이드(522)는 제2 볼부재(520)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제2 가이드홈(526)을 포함할 수 있다. OIS 홀더(514) 또는 OIS 가이드(522)에 구비된 제2 가이드홈(526)은 X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볼부재(520)는 제2 가이드홈(526)을 따라 움직이므로 OIS 홀더(514)의 OIS 가이드(522)에 대한 이동 방향은 제2 가이드홈(526)이 연장하는 방향(즉, X 방향)에 구속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홈(524)은 Y 방향으로, 제2 가이드홈(526)은 X 방향으로 연장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홈(524)과 제2 가이드홈(526)이 연장하는 방향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제1 가이드홈(524)이 X 방향으로, 제2 가이드홈(526)이 Y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액추에이터(515)는 보이스 코일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OIS 베이스(512)에 OIS 코일(528)이 구비되고, OIS 홀더(514)에 OIS 코일(528)과 대향하는 OIS 마그네트(530)가 구비될 수 있다. OIS 코일(528)에 전류가 흐를 때, OIS 코일(528)과 OIS 마그네트(53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OIS 홀더(514)가 OIS 베이스(512)에 대해 X축 및/또는 Y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OIS 액추에이터(515)는 OIS 베이스(512)에 구비된 OIS 마그네트, 및 OIS 홀더(514)에 구비되고 OIS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OIS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액추에이터(515)는 X 방향 구동과 Y 방향 움직임을 각각 담당하는 제1 OIS 액추에이터(515a)와 제2 OIS 액추에이터(5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OIS 액추에이터(515a)와 제2 OIS 액추에이터(515b)는 OIS 홀더(514)의 일측면에 함께 구비되거나 서로 다른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OIS 액추에이터(515a)는 OIS 홀더(514)의 -X 방향 또는 +X 방향에, 제2 OIS 액추에이터(515b)는 OIS 홀더(514)의 +Y 방향 또는 -Y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OIS 액추에이터(515a)와 제2 OIS 액추에이터(515b) 모두 OIS 홀더(514)의 -X 방향 또는 +X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구동부(510)는 위치센서(5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센서(556)는 OIS 코일(528)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며, 이미지 센서(506)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센서(556)는 OIS 마그네트(530)의 자기장을 측정하는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위치센서(556)는 OIS 마그네트(530)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별도의 코일을 포함하고, OIS 마그네트(530)에 의한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를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506)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코일(528) 및/또는 위치센서(556)는 OIS 베이스(512)에 결합된 OIS 기판(534)에 부착될 수 있다. OIS 기판(534)은 커넥터 기판(5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 기판(536)과 OIS 구동에 필요한 신호나 전력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베이스(512)에 요크(538)가 구비될 수 있다. 요크(538)는 OIS 홀더(514)에 구비된 OIS 마그네트(530)와 Z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요크(538)와 OIS 마그네트(530) 사이에 생기는 자기적 인력은 OIS 홀더(514)를 OIS 베이스(512) 측(즉, -Z 방향)으로 당겨준다.
OIS 가이드(522)는 제1 볼부재(518)에 의해 Z 방향으로 지지되며, OIS 홀더(514)는 제2 볼부재(520)에 의해 Z 방향으로 지지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볼부재(518)는 OIS 베이스(512)와 OIS 가이드(522) 사이의 3개 이상의 지점들에 각각 구비되어 OIS가 수행되는 동안 OIS 가이드(522)를 Z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볼부재(520)는 OIS 가이드(522)와 OIS 홀더(514) 사이의 3개 이상의 지점들에 각각 구비되어 OIS가 수행되는 동안 OIS 홀더(514)를 Z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요크(538)와 OIS 마그네트(530) 사이의 자기적 인력은 제1 볼부재(518)가 OIS 베이스(512) 및 OIS 가이드(522)에, 제2 볼부재(520)가 OIS 홀더(514) 및 OIS 가이드(52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준다. 즉, OIS 홀더(514)와 OIS 베이스(512) 사이에 구비된 제1 볼부재(518) 및 제2 볼부재(520)는 각각 제1 가이드홈(524)과 제2 가이드홈(526)과 접촉을 유지할 수 있고, 이는 OIS 구동시 OIS 홀더(514)가 X 방향이나 Y 방향이 아닌 방향(즉, Z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준다. 이는 카메라 모듈(500)이 우수한 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기여한다.
일 실시 예에서 AF 구동부(508)는 AF 베이스(540), AF 캐리어(542), 및 AF 액추에이터(544)를 포함할 수 있다. AF 캐리어(542)는 렌즈모듈(502)에 고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AF 캐리어(542)는 렌즈모듈(50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AF 캐리어(542)는 AF 베이스(540)에 대해 광축 방향(즉, X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캐리어(542)와 AF 베이스(540) 사이에 제3 볼부재(546)가 구비될 수 있다. AF 캐리어(542) 및/또는 AF 베이스(540)는 제3 볼부재(546)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제3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AF 캐리어(542) 또는 AF 베이스(540)에 구비된 제3 가이드홈은 X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3 볼부재(546)는 제3 가이드홈을 따라 움직이므로 AF 캐리어(542)의 AF 베이스(540)에 대한 이동 방향은 제3 가이드홈이 연장하는 방향(즉, X 방향)에 구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캐리어(542)의 전방 및 후방에 댐퍼(550)가 구비될 수 있다. 댐퍼(550)는 AF 캐리어(542)가 광축 방향으로 움직일 때 다른 구조에 부딪치면서 생기는 소음이나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550)는 고무나 실리콘 등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액추에이터(544)는 보이스 코일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AF 액추에이터(544)는 AF 베이스(540)에 구비된 AF 코일(552), 및 AF 코일(552)에 대향하게 AF 캐리어(542)에 구비된 AF 캐리어(542)를 포함할 수 있다. AF 코일(552)과 AF 마그네트(554)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대향할 수 있다. AF 코일(552)에 전류가 흐를 때 생기는 AF 코일(552)과 AF 마그네트(554)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AF 캐리어(542)가 AF 베이스(540)에 대해 광축(즉, X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구동부(508)는 위치센서(5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센서(556)는 AF 코일(552)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며, 렌즈모듈(502)의 광축 상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센서(556)는 AF 마그네트(554)의 자기장을 측정하는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위치센서(556)는 AF 마그네트(554)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별도의 코일을 포함하고, AF 마그네트(554)에 의한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를 이용하여 렌즈모듈(502)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코일(552) 및/또는 위치센서(556)는 AF 베이스(540)에 결합된 AF 기판(558)에 부착될 수 있다. AF 기판(558)은 커넥터 기판(5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 기판(536)과 AF 구동에 필요한 신호나 전력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베이스(540)의 AF 마그네트(554)를 마주보는 부분에 요크(562)가 장착될 수 있다. AF 마그네트(554)와 요크(562) 사이에 생기는 자기적 인력은 AF 캐리어(542)를 AF 베이스(540) 측(예를 들어, -Z 방향)으로 당겨준다.
AF 캐리어(542)와 AF 베이스(540) 사이의 제3 볼부재(546)는 AF 캐리어(542)는 Z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볼부재(546)는 AF 캐리어(542)와 AF 베이스(540) 사이의 3개 이상의 지점들에 각각 구비되어 AF가 수행되는 동안 AF 캐리어(542)를 Z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AF 마그네트(554)와 요크(562) 사이의 자기적 인력은 제3 볼부재(546)가 AF 베이스(540) 및 AF 캐리어(54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준다. 즉, AF 캐리어(542)와 AF 베이스(540) 사이에 구비된 제3 볼부재(546)는 제3 가이드홈과 접촉을 유지할 수 있고, 이는 AF 구동시 AF 캐리어(542)가 X축과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준다. 이는 카메라 모듈(500)이 우수한 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기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반사부재(505)는 OIS 베이스(512)에 대해 이미지 센서(506)의 상면(506a)이 향하는 제3 방향(즉, +Z 방향)에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OIS 베이스(512), 볼부재(518, 220), 및 OIS 홀더(514)는 제3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OIS 홀더(또는 OIS 홀더에 제공된 제1 가이드홈(524))의 제3 방향에 제1 볼부재(518)가 안착되고, 제1 볼부재(518)의 제3 방향에 OIS 가이드(522)가 안착된다. OIS 가이드(522)(또는 OIS 가이드(522)에 제공된 제2 가이드홈(526))의 제3 방향에 제2 볼부재(520)가 안착되고, 제2 볼부재(520)의 제3 방향에 OIS 홀더(514)가 안착된다.
OIS 홀더(514)에 구비된 OIS 마그네트(530)와 OIS 베이스(512)에 구비된 요크(538) 사이의 자기적 인력에 의해 OIS 홀더(514)는 OIS 베이스(512)를 향해 당겨진다. 즉, OIS 홀더(514)는 제3 방향과 반대방향(즉, -Z 방향)으로 당겨진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구동부(510) 상에 OIS 커버(566)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OIS 커버(566)는 OIS 베이스(512)에 장착되고, OIS 홀더(514)의 +Z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OIS 커버(566)는 OIS 홀더(514)가 +Z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미지 센서(506) 상에 광학필터(568)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광학필터(568)는 자외선 차단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502)을 통과한 광은 자외선 차단 필터를 통과한 후에 이미지 센서(506)에 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베이스(512)는 커넥터 기판(536)상에 구비될 수 있다. OIS 구동에 따라 이미지 센서(506)는 OIS 베이스(512)에 대해 움직이므로 이미지 센서(506)는 가요성 기판(570)을 통해 커넥터 기판(5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기판(536)은 다른 구조물(572) 상에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600)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카메라 모듈(600)에서 제1 반사부재(604), 제2 반사부재(605), 렌즈모듈(602), 및 이미지 센서(606)는 도 6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40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구동부(610)는 OIS 베이스(612), OIS 홀더(614), 및 OIS 액추에이터(6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606)는 OIS 홀더(614)에 고정적으로 구비되며, OIS 홀더(614)가 X Y 평면상에서 움직임으로써 OIS가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구동부(610)는 도 7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대안적으로 카메라 모듈(600)은 도 4의 실시 예와 유사한 OIS 구동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구동부(608)는 AF 베이스(640), AF 캐리어(642), 및 AF 액추에이터(644)를 포함할 수 있다. AF 캐리어(642)는 렌즈모듈(602)에 고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AF 캐리어(642)는 렌즈모듈(60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AF 캐리어(642)는 AF 베이스(640)에 대해 광축 방향(즉, X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캐리어(642)와 AF 베이스(640) 사이에 제3 볼부재(646)가 구비될 수 있다. AF 캐리어(642) 및/또는 AF 베이스(640)는 제3 볼부재(646)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제3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AF 캐리어(642) 또는 AF 베이스(640)에 구비된 제3 가이드홈은 X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3 볼부재(646)는 제3 가이드홈을 따라 움직이므로 AF 캐리어(642)의 AF 베이스(640)에 대한 이동 방향은 제3 가이드홈이 연장하는 방향(즉, X 방향)에 구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캐리어(642)의 전방 및 후방에 댐퍼(650)가 구비될 수 있다. 댐퍼(650)는 AF 캐리어(642)가 광축 방향으로 움직일 때 다른 구조에 부딪치면서 생기는 소음이나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650)는 고무나 실리콘 등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액추에이터(644)는 보이스 코일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AF 액추에이터(644)는 AF 베이스(640)에 구비된 AF 코일(652), 및 AF 코일(652)에 대향하게 AF 캐리어(642)에 구비된 AF 캐리어(642)를 포함할 수 있다. AF 코일(652)과 AF 마그네트(654)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대향할 수 있다. AF 코일(652)에 전류가 흐를 때 생기는 AF 코일(652)과 AF 마그네트(654)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AF 캐리어(642)가 AF 베이스(640)에 대해 광축(즉, X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AF 마그네트(654)는 AF 캐리어(642)의 -Y 방향 및/또는 +Y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또 AF 코일(652)은 AF 마그네트(654)와 Y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AF 베이스(64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 예는 AF 구동부(608)가 AF 캐리어(642)의 -Z 방향이 아니라 -Y 방향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도 7의 실시 예와 구별된다.
일 실시 예에서 AF 구동부(608)는 위치센서(6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센서(656)는 AF 코일(652)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며, 렌즈모듈(602)의 광축 상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센서(656)는 AF 마그네트(654)의 자기장을 측정하는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위치센서(656)는 AF 마그네트(654)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별도의 코일을 포함하고, AF 마그네트(654)에 의한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를 이용하여 렌즈모듈(602)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구동부(608)는 위치센서(656)를 위한 별도의 마그네트(6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F 마그네트(654)와 분리된 센서용 마그네트(655)가 AF 캐리어(642)에 구비되고, 위치센서(656)는 센서용 마그네트(655)에 대향하도록 AF 베이스(640)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코일(652) 및/또는 위치센서(656)는 AF 베이스(640)에 결합된 AF 기판(658)에 부착될 수 있다. AF 기판(658)은 커넥터 기판(6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 기판(636)과 AF 구동에 필요한 신호나 전력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베이스(640)의 AF 마그네트(654)를 마주보는 부분에 요크가 장착될 수 있다. AF 마그네트(654)와 요크 사이에 생기는 자기적 인력은 AF 캐리어(642)를 AF 베이스(640) 측(예를 들어, -Z 방향)으로 당겨준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AF 마그네트(654)와 별개의 제1 자성부재가 AF 캐리어(642)에 구비되고, 제2 자성부재가 제1 자성부재와 Z방향으로 대향하도록 AF 베이스(640)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자성부재와 제2 자성부재는 상호간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성부재는 마그네트, 제2 자성부재는 요크일 수 있다.
AF 캐리어(642)와 AF 베이스(640) 사이의 제3 볼부재(646)는 AF 캐리어(642)는 Z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볼부재(646)는 AF 캐리어(642)와 AF 베이스(640) 사이의 3개 이상의 지점들에 각각 구비되어 AF가 수행되는 동안 AF 캐리어(642)를 Z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AF 마그네트(654)와 요크 사이의 자기적 인력은 제3 볼부재(646)가 AF 베이스(640) 및 AF 캐리어(64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준다. 즉, AF 캐리어(642)와 AF 베이스(640) 사이에 구비된 제3 볼부재(646)는 제3 가이드홈과 접촉을 유지할 수 있고, 이는 AF 구동시 AF 캐리어(642)가 X축과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준다. 이는 카메라 모듈(600)이 우수한 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기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반사부재(605)는 OIS 베이스(612)에 대해 이미지 센서(606)의 상면(606a)이 향하는 제3 방향(즉, +Z 방향)에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OIS 베이스(612), 볼부재(618, 220), 및 OIS 홀더(614)는 제3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OIS 홀더(또는 OIS 홀더에 제공된 제1 가이드홈(624))의 제3 방향에 제1 볼부재(618)가 안착되고, 제1 볼부재(618)의 제3 방향에 OIS 가이드(622)가 안착된다. OIS 가이드(622)(또는 OIS 가이드(622)에 제공된 제2 가이드홈(626))의 제3 방향에 제2 볼부재(620)가 안착되고, 제2 볼부재(620)의 제3 방향에 OIS 홀더(614)가 안착된다.
OIS 홀더(614)에 구비된 OIS 마그네트(630)와 OIS 베이스(612)에 구비된 요크(638) 사이의 자기적 인력에 의해 OIS 홀더(614)는 OIS 베이스(612)를 향해 당겨진다. 즉, OIS 홀더(614)는 제3 방향과 반대방향(즉, -Z 방향)으로 당겨진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구동부(610) 상에 OIS 커버(666)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OIS 커버(666)는 OIS 베이스(612)에 장착되고, OIS 홀더(614)의 +Z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OIS 커버(666)는 OIS 홀더(614)가 +Z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미지 센서(606) 상에 광학필터(668)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광학필터(668)는 자외선 차단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602)을 통과한 광은 자외선 차단 필터를 통과한 후에 이미지 센서(606)에 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베이스(612)는 커넥터 기판(636)상에 구비될 수 있다. OIS 구동에 따라 이미지 센서(606)는 OIS 베이스(612)에 대해 움직이므로 이미지 센서(606)는 가요성 기판(670)을 통해 커넥터 기판(6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기판(636)은 다른 구조물(672) 상에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700)을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700)은 렌즈모듈(702), 이미지 센서(706), 제1 반사부재(704), 제2 반사부재(705)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702)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702)은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702)이 여러 렌즈들을 포함하는 경우 렌즈들은 일 방향으로 배열되며, 이때 렌즈들이 배열되는 방향은 렌즈모듈(702)의 광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들은 X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반사부재(704)는 일 방향으로 입사된 광을 다른 방향으로 반사할 수 있다. 반사부재(704)는, 예를 들어, 프리즘이나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부재(704)는 일면으로 입사한 광을 렌즈모듈(702)로 반사시키고, 제2 반사부재(705)는 렌즈모듈(702)을 통과한 광을 다시 이미지 센서(706)를 향해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사부재(704)는 -Z 방향으로 입사한 광을 +X 방향으로 전환하고, 제2 반사부재(705)는 상기 광을 -Y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700)은 오토포커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렌즈모듈(702)은 이미지 센서(706)에 대해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초점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700)은 렌즈모듈(702)을 이동시키기 위한 AF 구동부(708)를 포함할 수 있다. AF 구동부(708)는, 예를 들어, 렌즈모듈(70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조들, 및 렌즈모듈(702)을 움직이게 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AF 구동부(708)를 구성하는 자세한 컴포넌트들에 대해서는 도 10에서 설명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AF 기능은 이미지 센서(706)의 움직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706)가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700)은 광학 이미지 안정화(OIS)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렌즈모듈(702) 또는 이미지 센서(706)가 광의 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시프트됨으로써 광학 이미지 안정화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706)가 X-Y 평면상에서 시프트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700)은 광학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OIS 구동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OIS 구동부(710)는 이미지 센서(706)를 X 방향 및/또는 Y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OIS 구동부(71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도 10에서 설명된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800)을 Z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의 카메라 모듈(800)에서 반사부재(804), 렌즈모듈(802), 및 이미지 센서(806)는 도 9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70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구동부(810)는 OIS 베이스(812), OIS 홀더(814), 및 OIS 액추에이터(8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806)는 OIS 홀더(814)에 고정적으로 구비되며, OIS 홀더(814)가 X-Z 평면상에서 움직임으로써 OIS가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홀더(814)는 볼부재에 의해 이미지 센서(806)의 결상면(806a)이 항하는 방향(즉, Y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OIS 홀더(814)는 OIS 홀더(814)와 OIS 베이스(812) 사이에 구비된 볼부재들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Y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홀더(814)는 OIS 베이스(812)에 대해 Y축에 수직인 방향(예를 들어, Z 방향 및 X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OIS 홀더(814)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OIS 홀더(814)와 OIS 베이스(812) 사이에 OIS 가이드(822)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가이드(822)는, OIS 베이스(812)에 대해 Y축에 수직인 제1 방향(예를 들어, Z 방향)으로만 움직이고, OIS 홀더(814)에 대해 Y축 및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예를 들어, X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가이드(822)와 OIS 베이스(812) 사이에 제1 볼부재(818)가 구비되고, OIS 가이드(822) 및/또는 OIS 베이스(812)는 제1 볼부재(818)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제1 가이드홈(824)을 포함할 수 있다. OIS 가이드(822) 또는 OIS 베이스(812)에 구비된 제1 가이드홈(824)은 Z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볼부재(818)는 제1 가이드홈(824)을 따라 움직이므로 OIS 가이드(822)의 OIS 베이스(812)에 대한 이동 방향은 제1 가이드홈(824)이 연장하는 방향(즉, Z 방향)에 구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홀더(814)와 OIS 가이드(822) 사이에 제2 볼부재(820)가 구비되고, OIS 홀더(814) 및/또는 OIS 가이드(822)는 제2 볼부재(820)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제2 가이드홈(826)을 포함할 수 있다. OIS 홀더(814) 또는 OIS 가이드(822)에 구비된 제2 가이드홈(826)은 X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볼부재(820)는 제2 가이드홈(826)을 따라 움직이므로 OIS 홀더(814)의 OIS 가이드(822)에 대한 이동 방향은 제2 가이드홈(826)이 연장하는 방향(즉, X 방향)에 구속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홈(824)은 Z 방향으로, 제2 가이드홈(826)은 X 방향으로 연장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홈(824)과 제2 가이드홈(826)이 연장하는 방향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제1 가이드홈(824)이 X 방향으로, 제2 가이드홈(826)이 Z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액추에이터(815)는 보이스 코일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OIS 베이스(812)에 OIS 코일(828)이 구비되고, OIS 홀더(814)에 OIS 코일(828)과 대향하는 OIS 마그네트(830)가 구비될 수 있다. OIS 코일(828)에 전류가 흐를 때, OIS 코일(828)과 OIS 마그네트(83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OIS 홀더(814)가 OIS 베이스(812)에 대해 Z 방향 및/또는 X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OIS 액추에이터(815)는 OIS 베이스(812)에 구비된 OIS 마그네트, 및 OIS 홀더(814)에 구비되고 OIS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OIS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액추에이터(815)는 Z 방향 구동과 X 방향 움직임을 각각 담당하는 제1 OIS 액추에이터(815a)와 제2 OIS 액추에이터(8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OIS 액추에이터(815a)와 제2 OIS 액추에이터(815b)는 OIS 홀더(814)의 일측면에 함께 구비되거나 서로 다른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OIS 액추에이터(815a)는 OIS 홀더(814)의 -X 방향 또는 +X 방향에, 제2 OIS 액추에이터(815b)는 OIS 홀더(814)의 +Z 방향 또는 -Z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OIS 액추에이터(815a)와 제2 OIS 액추에이터(815b) 모두 OIS 홀더(814)의 -X 방향 또는 +X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구동부(810)는 위치센서(8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센서(856)는 OIS 코일(828)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며, 이미지 센서(806)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센서(856)는 OIS 마그네트(830)의 자기장을 측정하는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위치센서(856)는 OIS 마그네트(830)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별도의 코일을 포함하고, OIS 마그네트(830)에 의한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를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806)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코일(828) 및/또는 위치센서(856)는 OIS 베이스(812)에 결합된 OIS 기판(834)에 부착될 수 있다. OIS 기판(834)은 커넥터 기판(8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 기판(836)과 OIS 구동에 필요한 신호나 전력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베이스(812)에 요크(838)가 구비될 수 있다. 요크(838)는 OIS 홀더(814)에 구비된 OIS 마그네트(830)와 Y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요크(838)와 OIS 마그네트(830) 사이에 생기는 자기적 인력은 OIS 홀더(814)를 OIS 베이스(812) 측(즉, -Y 방향)으로 당겨준다.
OIS 가이드(822)는 제1 볼부재(818)에 의해 Y 방향으로 지지되며, OIS 홀더(814)는 제2 볼부재(820)에 의해 Y 방향으로 지지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볼부재(818)는 OIS 베이스(812)와 OIS 가이드(822) 사이의 3개 이상의 지점들에 각각 구비되어 OIS가 수행되는 동안 OIS 가이드(822)를 Y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볼부재(820)는 OIS 가이드(822)와 OIS 홀더(814) 사이의 3개 이상의 지점들에 각각 구비되어 OIS가 수행되는 동안 OIS 홀더(814)를 Y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요크(838)와 OIS 마그네트(830) 사이의 자기적 인력은 제1 볼부재(818)가 OIS 베이스(812) 및 OIS 가이드(822)에, 제2 볼부재(820)가 OIS 홀더(814) 및 OIS 가이드(82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준다. 즉, OIS 홀더(814)와 OIS 베이스(812) 사이에 구비된 제1 볼부재(818) 및 제2 볼부재(820)는 각각 제1 가이드홈(824)과 제2 가이드홈(826)과 접촉을 유지할 수 있고, 이는 OIS 구동시 OIS 홀더(814)가 Z 방향이나 X 방향이 아닌 방향(즉, Y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준다. 이는 카메라 모듈(800)이 우수한 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기여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800)은 도 4 및 도 5의 실시 예와 유사한 OIS 구동부(810)를 포함하나, 대안적으로 도 2 및 도 3의 실시 예와 유사한 OIS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구동부(808)는 AF 베이스(840), AF 캐리어(842), 및 AF 액추에이터(844)를 포함할 수 있다. AF 캐리어(842)는 렌즈모듈(802)에 고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AF 캐리어(842)는 렌즈모듈(80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AF 캐리어(842)는 AF 베이스(840)에 대해 광축 방향(즉, X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캐리어(842)와 AF 베이스(840) 사이에 제3 볼부재(846)가 구비될 수 있다. AF 캐리어(842) 및/또는 AF 베이스(840)는 제3 볼부재(846)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제3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AF 캐리어(842) 또는 AF 베이스(840)에 구비된 제3 가이드홈은 X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3 볼부재(846)는 제3 가이드홈을 따라 움직이므로 AF 캐리어(842)의 AF 베이스(840)에 대한 이동 방향은 제3 가이드홈이 연장하는 방향(즉, X 방향)에 구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캐리어(842)의 전방 및 후방에 댐퍼(850)가 구비될 수 있다. 댐퍼(850)는 AF 캐리어(842)가 광축 방향으로 움직일 때 다른 구조에 부딪치면서 생기는 소음이나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850)는 고무나 실리콘 등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액추에이터(844)는 보이스 코일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AF 액추에이터(844)는 AF 베이스(840)에 구비된 AF 코일(852), 및 AF 코일(852)에 대향하게 AF 캐리어(842)에 구비된 AF 캐리어(842)를 포함할 수 있다. AF 코일(852)과 AF 마그네트(854)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대향할 수 있다. AF 코일(852)에 전류가 흐를 때 생기는 AF 코일(852)과 AF 마그네트(854)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AF 캐리어(842)가 AF 베이스(840)에 대해 광축(즉, X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액추에이터(844)는 AF 캐리어(842) 양측에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제1 AF 액추에이터(844a)가 AF 캐리어(842)의 -Y 방향에, 제2 AF 액추에이터(844b)가 AF 캐리어(842)의 +Y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구동부(808)는 위치센서(8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센서(856)는 AF 코일(852)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며, 렌즈모듈(802)의 광축 상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센서(856)는 AF 마그네트(854)의 자기장을 측정하는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위치센서(856)는 AF 마그네트(854)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별도의 코일을 포함하고, AF 마그네트(854)에 의한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를 이용하여 렌즈모듈(802)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코일(852) 및/또는 위치센서(856)는 AF 베이스(840)에 결합된 AF 기판(858)에 부착될 수 있다. AF 기판(858)은 커넥터 기판(8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 기판(836)과 AF 구동에 필요한 신호나 전력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AF 캐리어(842)와 AF 베이스(840)는 각각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 자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AF 캐리어(842)의 Z 방향을 향하는 면에 제1 자성부재(860)가 구비되고, AF 베이스(840)에 제1 자성부재(860)를 Z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자성부재(86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자성부재(860)와 제2 자성부재(862) 사이에는 자기적 인력이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성부재(860)는 마그네트이고 제2 자성부재(862)는 요크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자성부재(860)는 요크이고 제2 자성부재(862)는 마그네트일 수 있다. 제1 자성부재(860)와 제2 자성부재(862) 사이에 생기는 자기적 인력은 AF 캐리어(842)를 AF 베이스(840) 측(예를 들어,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당겨준다.
일 실시 예에서 AF 마그네트(854)가 제1 자성부재(860)로 기능할 수 있다. 이경우 제2 자성부재(862)는 AF 마그네트(854)와 Z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AF 베이스(840)에 구비될 수 있다.
AF 캐리어(842)와 AF 베이스(840) 사이의 제3 볼부재(846)는 AF 캐리어(842)는 Y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볼부재(846)는 AF 캐리어(842)와 AF 베이스(840) 사이의 3개 이상의 지점들에 각각 구비되어 AF가 수행되는 동안 AF 캐리어(842)를 Z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자성부재(860)와 제2 자성부재(862) 사이의 자기적 인력은 제3 볼부재(846)가 AF 베이스(840) 및 AF 캐리어(84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준다. 즉, AF 캐리어(842)와 AF 베이스(840) 사이에 구비된 제3 볼부재(846)는 제3 가이드홈과 접촉을 유지할 수 있고, 이는 AF 구동시 AF 캐리어(842)가 X축과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준다. 이는 카메라 모듈(800)이 우수한 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기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800)은, 도시된 AF 구동부(808)에 대안적으로, 도 7 또는 도 8의 AF 구동부(508, 608)와 유사한 AF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반사부재(805)는 OIS 베이스(812)에 대해 이미지 센서(806)의 상면(806a)이 향하는 제3 방향(즉, +Y 방향)에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OIS 베이스(812), 볼부재(818, 220), 및 OIS 홀더(814)는 제3 방향과 반대인 제4 방향(즉, -Y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OIS 홀더(또는 OIS 홀더에 제공된 제1 가이드홈(824))의 제4 방향에 제1 볼부재(818)가 안착되고, 제1 볼부재(818)의 제4 방향에 OIS 가이드(822)가 안착된다. OIS 가이드(822)(또는 OIS 가이드(822)에 제공된 제2 가이드홈(826))의 제4 방향에 제2 볼부재(820)가 안착되고, 제2 볼부재(820)의 제4 방향에 OIS 홀더(814)가 안착된다.
OIS 홀더(814)에 구비된 OIS 마그네트(830)와 OIS 베이스(812)에 구비된 요크(838) 사이의 자기적 인력에 의해 OIS 홀더(814)는 OIS 베이스(812)를 향해 당겨진다. 즉, OIS 홀더(814)는 제3 방향(즉, +Y 방향)으로 당겨진다.
일 실시 예에서 OIS 구동부(810) 상에 OIS 커버(866)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OIS 커버(866)는 OIS 베이스(812)에 장착되고, OIS 홀더(814)의 -Y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OIS 커버(866)는 OIS 홀더(814)가 -Y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미지 센서(806) 상에 광학필터(868)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광학필터(868)는 자외선 차단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802)을 통과한 광은 자외선 차단 필터를 통과한 후에 이미지 센서(806)에 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IS 베이스(812)는 커넥터 기판(836)상에 구비될 수 있다. OIS 구동에 따라 이미지 센서(806)는 OIS 베이스(812)에 대해 움직이므로 이미지 센서(806)는 가요성 기판(870)을 통해 커넥터 기판(8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기판(836)은 다른 구조물(872) 상에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카메라 모듈
102: 렌즈모듈
104: 반사부재
106: 이미지 센서
108: AF 구동부
110: OIS 구동부

Claims (16)

  1. OIS 베이스;
    상기 OIS 베이스에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지 센서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OIS 홀더; 및
    상기 이미지 센서를 상기 광축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도록 구비된 제1 OIS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OIS 액추에이터는 상기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제1 코일 및 제1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OIS 홀더 또는 상기 OIS 베이스 중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상기 OIS 홀더 또는 상기 OIS 베이스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서,
    AF 베이스;
    상기 AF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렌즈모듈이 구비된 AF 캐리어; 및
    상기 렌즈모듈을 상기 광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운동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AF 베이스에 구비된 AF 코일, 및 상기 AF 캐리어에 구비된 AF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AF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서,
    상기 OIS 홀더와 상기 OIS 베이스 사이에 배치된 볼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AF 베이스는 상기 OIS 베이스에 대해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이 향하는 제3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OIS 베이스, 상기 볼부재, 및 상기 OIS 홀더는 상기 제3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서,
    상기 OIS 베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제3 방향으로 대향하는 요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크와 상기 제1 마그네트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OIS 홀더는 상기 제3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당겨지는, 카메라 모듈.
  5. 제3항에서,
    상기 OIS 베이스와 상기 AF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OIS 홀더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OIS 커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2항에서,
    상기 OIS 홀더와 상기 OIS 베이스 사이에 배치된 볼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AF 베이스는 상기 OIS 베이스에 대해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imaging plane)이 향하는 제3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OIS 베이스, 상기 볼부재, 및 상기 OIS 홀더는 상기 제3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서,
    상기 OIS 베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제3 방향으로 대향하는 요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크와 상기 제1 마그네트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OIS 홀더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당겨지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를 상기 광축과 수직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도록 구비된 제2 OIS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OIS 액추에이터는 상기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제2 마그네트 및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OIS 홀더 또는 상기 OIS 베이스 중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OIS 홀더 또는 상기 OIS 베이스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서,
    상기 OIS 베이스와 상기 OIS 홀더 사이에 개재되는 OIS 가이드;
    상기 OIS 베이스와 상기 OIS 가이드 사이에 배치된 제1 볼부재; 및
    상기 OIS 가이드와 상기 OIS 홀더 사이에 배치된 제2 볼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볼부재는 상기 OIS 베이스 또는 상기 OIS 가이드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가이드홈을 따라 구르고,
    상기 제2 볼부재는 상기 OIS 홀더 또는 상기 OIS 가이드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가이드홈을 따라 구르는, 카메라 모듈.
  11. 제1항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로 입사하고 있는 광의 경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11항에서,
    상기 반사부재의 일측에 배치된 렌즈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렌즈모듈을 통과한 광을 상기 이미지 센서로 전환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13. 제12항에서,
    상기 OIS 홀더와 상기 OIS 베이스 사이에 배치된 볼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OIS 베이스에 대해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이 향하는 제3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OIS 베이스, 상기 볼부재, 및 상기 OIS 홀더는 상기 제3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13항에서,
    상기 OIS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OIS 홀더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OIS 커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2항에서,
    상기 OIS 홀더와 상기 OIS 베이스 사이에 배치된 볼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AF 베이스는 상기 OIS 베이스에 대해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이 향하는 제3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OIS 베이스, 상기 볼부재, 및 상기 OIS 홀더는 상기 제3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카메라 모듈.
  16.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렌즈모듈;
    OIS 베이스;
    상기 OIS 베이스에 상기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지 센서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OIS 홀더; 및
    상기 이미지 센서를 광축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도록 구비된 제1 OIS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OIS 베이스 또는 상기 OIS 홀더는 상기 렌즈모듈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10076906A 2020-11-20 2021-06-14 카메라 모듈 KR102527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508,118 US20220163814A1 (en) 2020-11-20 2021-10-22 Camera module
CN202122920471.2U CN216356936U (zh) 2020-11-20 2021-11-19 相机模块
CN202111384767.5A CN114518678A (zh) 2020-11-20 2021-11-19 相机模块
KR1020230054238A KR102641342B1 (ko) 2020-11-20 2023-04-25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028 2020-11-20
KR20200157028 2020-11-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238A Division KR102641342B1 (ko) 2020-11-20 2023-04-25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792A true KR20220069792A (ko) 2022-05-27
KR102527321B1 KR102527321B1 (ko) 2023-05-03

Family

ID=8179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906A KR102527321B1 (ko) 2020-11-20 2021-06-14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3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3376A (ja) * 2010-11-09 2012-05-31 Tdk Taiwan Corp オートフォーカスモジュールの手ブレ防止傾斜補正構造
KR20180099513A (ko) * 2017-02-27 2018-09-05 (주) 엠디펄스 Ois 카메라 모듈
JP2019512734A (ja) * 2016-03-11 2019-05-16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画像センサを移動させるボイスコイルモータを有する光学画像安定化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3376A (ja) * 2010-11-09 2012-05-31 Tdk Taiwan Corp オートフォーカスモジュールの手ブレ防止傾斜補正構造
JP2019512734A (ja) * 2016-03-11 2019-05-16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画像センサを移動させるボイスコイルモータを有する光学画像安定化
KR20180099513A (ko) * 2017-02-27 2018-09-05 (주) 엠디펄스 Ois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321B1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7929B2 (en) Imaging apparatus
KR102641342B1 (ko) 카메라 모듈
JP5997992B2 (ja) 撮像装置
KR102338257B1 (ko) 카메라 모듈
WO2021253520A1 (zh) 镜头模组
JP5997993B2 (ja) 撮像装置
US20220103725A1 (en) Camera module
US20220390707A1 (en) Actuator for reflec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10080294A (ko) 카메라 모듈
KR102527321B1 (ko) 카메라 모듈
CN215813690U (zh) 相机模块及包括相机模块的电子设备
US11940716B2 (en) Camera module
US11543675B2 (en) Actuator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with reflector
KR102312300B1 (ko)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88750B1 (ko) 카메라 모듈
JP7485961B2 (ja) 光学アクチュエータ、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US20220187617A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2313980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CN118011592A (zh) 相机模块
CN115524895A (zh) 光学装置、抖动补偿装置、照相装置以及电子设备
KR20220166130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
KR20230028832A (ko) 카메라 모듈
KR20220074675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
JP2015227941A (ja) ブレ補正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