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423A - Ceiling device and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Google Patents

Ceiling device and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423A
KR20220069423A KR1020200156514A KR20200156514A KR20220069423A KR 20220069423 A KR20220069423 A KR 20220069423A KR 1020200156514 A KR1020200156514 A KR 1020200156514A KR 20200156514 A KR20200156514 A KR 20200156514A KR 20220069423 A KR20220069423 A KR 20220069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eiling
long hole
panel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5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중남
Original Assignee
신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중남 filed Critical 신중남
Priority to KR1020200156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9423A/en
Publication of KR20220069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42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6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nap action of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78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of the tray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ceiling device and a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The cei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long holes are formed, and which is fixed to a ceiling to form a frame and a plurality of openings; a panel part which is provided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s; and a fixing part which connects the panel part and the frame part and supports the panel part to guide the panel part toward the openings. The fixing part includes: a support unit having a central portion thereof protruding toward the ceiling to support the panel part; wing units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support unit at both ends of the support unit; a clasp unit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wing units to be inserted into and caught by the long hole formed in the frame part; and a protrusion unit formed by having a portion of the wing units protruding toward a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long hole to be caught o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long hole so as to prevent the panel part from escaping from the frame part. The ceiling device and the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 the panel part from falling off by the fixing part which connects the panel part and the frame part so that the openings of the frame part can be closed.

Description

천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방법{CEILING DEVICE AND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Ceiling device and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의 뼈대를 구성하는 골조부가 형성하는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패널부 및 골조부를 연결하는 고정부를 통해 패널부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천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device and a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the panel part from falling off through a fixing part connecting the panel part and the frame part so as to close the opening formed by the frame part constituting the skeleton of the ceiling. It relates to a ceiling device and a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최근에는 다양한 곳에 미관상 또는 다양한 효과를 얻기 위해 마감재를 이용하여 마감처리를 하는 시공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in order to obtain aesthetics or various effects in various places, a construction method of finishing using a finishing material is used.

대표적으로는 벽체에 마감처리를 하여 미관상의 깔끔함이나 심리적 효과를 극대화하기도 하며, 천장에 마감재를 이용하여 마감처리 하면서 단열성, 방균성, 차음성, 내화성, 내진성 등의 다양한 효과를 얻는 방법을 수 있다.Typically, the wall is finished to maximize aesthetical neatness or psychological effect, and by finishing the ceiling using a finishing material, various effects such as insulation, antibacterial, sound insulation, fire resistance, and earthquake resistance can be obtained. .

여기서 천장에 마감재를 이용하여 마감처리를 하는 시공방법은 천장에 뼈대를 구성하는 골조부를 고정하고, 패널부를 통해서 골조부가 형성하는 개구부를 폐쇄하여 천장 마감을 진행할 수 있다.Here,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finishing the ceiling using a finishing material, the ceiling can be finished by fixing the frame part constituting the skeleton to the ceiling, and closing the opening formed by the frame part through the panel part.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라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은 패널부가 골조부에 고정되기 위하여 별도의 연결부재를 통해서 연결되거나 골조부의 돌출부위에 걸려 고정되는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소 번거로운 점이 있을 수 있었다.However,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ceil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may be somewhat cumbersome because the panel part is connected through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to be fixed to the frame part or is fixed by being caught on the protruding part of the frame part.

아울러 천장에 전선의 작업이 필요하거나 부품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연결부재를 분리하거나 돌출부위에서 패널부를 분리하기 위해서 힘을 가하다가 골조부 또는 패널부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work of the electric wire on the ceiling is necessary or the replacement of parts is necessary, the frame part or the panel part may be damaged while applying force to separate the connecting member or to separate the panel part from the protruding part.

또한, 패널부와 골조부가 연결부재로 연결되는 경우에 연결부재의 결합력이 약해져서 패널부가 낙하하거나 돌출부위가 패널부의 하중에 의해 휘면서 패널부가 돌출부위에서 탈락되어 낙하하는 위험도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nel part and the frame part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member, the coupling force of the connecting member is weakened, and the panel part falls or the protruding part is bent by the load of the panel part, and the panel part is dropped from the protruding part and there is a risk of falling.

아울러, 연결부재 또는 골조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위에 걸어 패널부를 고정하는 경우, 연결부재가 패널부와 골조부를 관통하는 힘 또는 골조부의 돌출부위에 걸기 위해 가해주는 힘에 의해서 패널부가 비틀려지면서 결합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panel part is fixed by hanging on the protruding part formed on the connecting member or the frame part, the panel part is twisted by the force applied by the connecting member to penetrate the panel part and the frame part or the force applied to the protruding part of the frame part. There was a downside.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천장을 시공 또는 분리하는 방법의 편의성과 패널부가 탈락되어 바닥으로 낙하하는 위험을 방지하고, 패널부가 골조부와 비틀려 결합되는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이 활발하게 고안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In order to overcome such shortcomings, the convenience of the method of constructing or separating the ceiling, preventing the risk of the panel part falling off and falling to the floor, and means for alleviating the phenomenon in which the panel part is twisted and coupled with the frame part are actively devised and And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capable of solving such methods.

[관련 선행특허문헌][Related Prior Patent Literatur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4423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144234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천장의 뼈대를 구성하는 골조부가 형성하는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패널부 및 골조부를 연결하는 고정부를 통해 패널부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events the panel part from falling off through the fixing part connecting the panel part and the frame part so as to close the opening formed by the frame part constituting the skeleton of the ceiling. make it a task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천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방법은, 다수의 장공이 형성되고, 천장에 고정되어 뼈대를 이루며 다수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골조부,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패널부 및 상기 패널부와 상기 골조부를 연결하며, 상기 패널부를 지지하여 상기 개구부를 향해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중앙부가 상기 천장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패널부를 지지하는 지지유닛, 상기 지지유닛의 양단에서 상기 지지유닛을 중심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유닛, 상기 날개유닛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골조부에 형성되는 장공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쇠유닛 및 상기 패널부가 상기 골조부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장공의 둘레부에 걸리도록 상기 날개유닛의 일부가 상기 장공의 둘레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eiling device and a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re provided with a frame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long holes are formed, fixed to the ceiling to form a skeleton and forming a plurality of openings, and the openings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a fixing part connecting the panel part and the frame part to be connected to the frame part, and supporting the panel part and guiding it to move toward the opening, wherein the fixing part has a central part protruding toward the ceiling to support the panel part A support unit, a wing unit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unit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support unit, a clasp unit formed at one end of the wing unit and caught by being inserted into a long hole formed in the frame portion, and the panel portion of the frame A part of the w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otruding unit protruding toward the periphery of the long hole so as to be caught on the periphery of the long hole in order to prevent falling off from the part.

여기서 상기 날개유닛은, 상기 날개유닛 사이의 간격을 좁혀 상기 장공에 삽입되고, 상기 장공을 향해 이동되면서 상기 날개유닛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wing unit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by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wing unit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wing units is increased while moving toward the long hole.

아울러 상기 날개유닛은, 상기 날개유닛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기 위한 힘에 의해 상기 패널부와 상기 골조부의 결합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panel part and the frame part is maintained by the force for the distance between the wing units to be apart.

한편, 상기 걸쇠유닛은, 상기 장공에 걸리도록 상기 날개유닛의 일단에서 상기 천장과 반대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패널부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lasp unit is bent from one end of the wing uni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eiling so as to be caught in the long hole to prevent the panel part from falling.

또한, 상기 돌출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이 위치된 방향을 제1 방향,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을 제2 방향으로 하는 경우, 상기 제2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방향을 향해 폭이 좁아지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unit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unit is positioned is a first direction and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s a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narrows and protrudes toward the direction.

한편, 상기 장공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단이 상기 날개유닛을 고정시키도록 중앙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long hole is formed to be long in one direction, and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to fix the wing unit.

여기서 상기 날개유닛은, 상기 장공의 양단에 삽입되도록 상기 장공의 양단과 대응되는 위치의 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w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long hole is formed narrowly so as to be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long hole.

한편, 천장장치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으로서, 골조부를 상기 천장에 설치하는 준비단계, 패널부에 고정부를 삽입하는 삽입단계, 상기 골조부에 형성되는 장공에 상기 고정부가 걸리도록 시공하는 시공단계 및 상기 패널부에 외력을 가해 상기 골조부가 형성하는 개구부를 폐쇄하는 마감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s a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eiling device, a preparation step of installing a frame part on the ceiling, an insertion step of inserting a fixing part into a panel part, a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the fixing part to be caught in a long hole formed in the frame part, and and a closing step of closing the opening formed by the frame part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panel part.

여기서 상기 시공단계는, 상기 고정부의 일단과 타단에서 절곡되는 걸쇠유닛이 상기 장공에 걸려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in the construction ste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ch unit bent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art is prevented from falling by being caught in the long hole.

또한, 상기 마감단계는,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는 날개유닛이 상기 장공에 삽입되면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되며 상기 패널부와 상기 골조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closing step, the wing unit formed in the fixing part is restore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s it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and the panel part and the frame part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천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방법은, 천장의 뼈대를 구성하는 골조부가 형성하는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패널부 및 골조부를 연결하는 고정부를 통해 패널부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The ceiling device and the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prevent the panel part from falling off through the fixing part connecting the panel part and the frame part so as to close the opening formed by the frame part constituting the frame part of the ceiling may have an effec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골조 유닛을 Z축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패널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고정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천장 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준비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삽입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고정 유닛이 슬릿에 삽입된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시공단계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시공단계가 적용된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마감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골조 유닛에 형성되는 장공의 또 다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골조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고정 유닛을 도시한 도면;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고정 유닛 및 장공을 도시한 도면이다.
The summary set forth above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t forth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there are shown in the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instrumentalities shown.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ceiling device and a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frame unit of the ceiling apparatus and the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Z-axis;
3 is a view showing a panel unit of a ceiling device and a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fixing unit of the ceiling device and the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sequence of the ceiling construction method of the ceiling apparatus and the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eparation step of the ceiling device and the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sertion step of the ceiling device and the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the fixing unit of the ceiling device and the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is inserted into the sl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illustrating a construction step of a ceiling device and a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the construction step of the ceiling device and the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1 is a view showing the finishing step of the ceiling device and the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nother view of a long hole formed in the frame unit of the ceiling device and the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frame unit of a ceiling device and a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fixing unit of a ceiling device and a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5 is a view illustrating a fixing unit and a long hole of a ceiling device and a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n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할 수 있다.Firs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ei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골조 유닛을 Z축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패널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고정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ceiling device and a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eiling device and a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the frame unit viewed from the Z-axis, FIG. 3 is a view showing a panel unit of a ceiling device and a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fixing unit of a ceiling device and a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장장치는 골조부(100), 패널부(200) 및 고정부(300)로 구성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 the ceiling device may include a frame part 100 , a panel part 200 , and a fixing part 300 .

여기서 상기 골조부(100)에는 장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패널부(200)는 슬릿(220)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300)에는 지지유닛(320), 날개유닛(340), 걸쇠유닛(360) 및 돌출유닛(380)이 형성될 수 있다.Here, a long hole 120 is formed in the frame portion 100, a slit 220 is formed in the panel portion 200, and a support unit 320, a wing unit 340, and a wing unit 340 are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300. A latch unit 360 and a protrusion unit 380 may be formed.

한편, 상기 골조부(100)는 천장에 고정되어 상기 천장장치의 뼈대를 형성하며 다수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rame part 100 may be fixed to the ceiling to form a skeleton of the ceiling device and to form a plurality of openings.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조부(100)는 상기 천장에 설치되어 다수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다수의 상기 장공(12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 the frame part 100 may be installed on the ceiling to form a plurality of openings, and a plurality of the long holes 120 may be formed.

여기서 상기 장공(120)은 상기 고정부(300)를 통해 상기 패널부(200)와 상기 골조부(100)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다.Here, the long hole 120 may close the opening by connecting the panel part 200 and the frame part 100 to each other through the fixing part 300 .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부(200)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3 , the panel unit 200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아울러 상기 패널부(200)에는 상기 슬릿(2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슬릿(220)은 상기 패널부(200)의 둘레에서 상기 패널부(200)의 내측을 향해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t 220 may be formed in the panel unit 200 , and the slit 220 may be formed to open toward the inside of the panel unit 200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panel unit 200 . .

구체적으로 상기 슬릿(220)은 상기 패널부(20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300)에 형성되는 상기 날개유닛(340)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슬릿(220)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패널부(200)의 내측 방향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Specifically, a plurality of the slits 220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anel unit 200 , and the wing units 340 formed in the fixing unit 300 are pressed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to obtain the slits 220 . The slit 220 may be formed to be opene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panel unit 200 to move inward.

이를 통해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슬릿(220)에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기 슬릿(22)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패널부(200)를 지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fixing part 300 may be moved to the inside of the slit 22 through the part open to the slit 220 to support the panel part 200 .

아울러 상기 슬릿(220)은 상기 날개유닛(340)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슬릿(22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다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슬릿(220) 내측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슬릿(220)의 일단부가 상기 패널부(200)의 둘레방향을 향해 길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t 220 may be fixed inside the slit 220 while the wing unit 340 is pressed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and restore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lit 220 . One end of the slit 220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anel portion 200 so that the slit 220 is formed.

즉, 상기 슬릿(220)의 타단부는 상기 패널부(200)의 내측을 향해 개방되어 있으며, 일단부는 상기 날개유닛(34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상기 패널부(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other end of the slit 220 is opened toward the inside of the panel unit 200, and one end of the wing unit 340 is a perimeter of the panel unit 200 so that it can be restore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It may be formed elongated along the direction.

아울러 상기 슬릿(220)은 인접한 위치에서 일단부가 길게 형성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일단부가 길게 형성되는 또 다른 상기 슬릿(220)이 형성되어 서로가 한 쌍을 이루고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t 220 may be formed with another slit 220 having one end elong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one end is elongated at an adjacent position, thereby forming a pair with each other.

예를 들어, 상기 슬릿(220)은 상기 패널부(200)의 내측을 향해 개방되는 타단부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슬릿(220)의 일단부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other end of the slit 220 that is opened toward the inside of the panel unit 200 may be disposed adjacently, and one end of the slit 220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이에 따라 상기 슬릿(220)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중앙부에 상기 지지유닛(320)이 상기 패널부(200)를 지지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패널부(200)를 상기 골조부(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slit 220 is form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so that the support unit 320 can secure a space in the center to support the panel part 200, and accordingly, the fixing part 300 is the The panel part 200 may be fixed to the frame part 100 .

한편, 상기 고정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유닛(320), 상기 날개유닛(340) 및 상기 걸쇠유닛(360) 및 상기 돌출유닛(380)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 the fixing unit 300 may include the support unit 320 , the wing unit 340 , the clasp unit 360 , and the protrusion unit 380 .

여기서 상기 지지부(320)는 한 쌍의 상기 슬릿(220)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슬릿(220)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공간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지지공간과 맞닿아 상기 패널부(200)를 지지할 수 있다.Here, the support part 320 may be positioned in a support space formed between the pair of slits 220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pair of slits 220, and the panel par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space. (200) can be supported.

또한, 상기 지지유닛(220)은 한 쌍의 상기 슬릿(220)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공간과 맞닿도록 폭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중앙부가 상기 지지공간과 맞닿도록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unit 220 may have a width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space formed between the pair of slits 220 , and a central portion may protrude in a round manner so as to abut against the support space.

이와 같은 형상은 상기 날개유닛(340)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받는 경우, 상기 날개유닛(34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되는 힘이 상기 지지유닛(320)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경우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such a shape, when the wing unit 340 receives an external force in a direction toward each other, the force restor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g unit 340 moves away from each other is more effective than when the support unit 320 is formed fla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ake it work.

또한, 상기 지지유닛(320)은 중앙부가 라운드지도록 상기 천장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날개유닛(360)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받는 경우, 상기 지지유닛(320)이 각지게 형성되어 상기 날개유닛(360)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고정부(3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pport unit 320 protrudes toward the ceiling so that the central portion is rounded so that the wing unit 360 receives an external force in a direction to approach each other, the support unit 320 is formed at an angle to form the wing unit As the 360 approaches each other, there may be an effect of preventing the fixing part 300 from being damaged.

한편, 상기 날개유닛(340)은 상기 지지유닛(320)을 중심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천장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wing unit 340 may be formed to extend toward the ceiling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with the support unit 320 as the center.

아울러 상기 날개유닛(340)은 탄성을 가진 소재로 제작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슬릿(220)에 삽입되도록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한 쌍의 상기 슬릿(22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날개유닛(340)이 상기 슬릿(220)의 일단부를 통해 상기 슬릿(220)의 타단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ng unit 34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accordingly, it is pressed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lit 220 and inserted into the pair of slits 220 inside. , Accordingly, the wing unit 340 may move toward the other end of the slit 220 through one end of the slit 220 .

한편, 상기 걸쇠유닛(360)은 상기 골조부(100)에서 상기 패널부(200)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필요에 따라 상기 패널부(200)를 분리 또는 교체하면서 상기 패널부(200)가 상기 천장에서 멀어지는 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날개유닛(340)의 일단에서 상기 천장이 위치한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lasp unit 360 prevents the panel part 200 from falling off from the frame part 100 and separates or replaces the panel part 200 as needed, while the panel part 200 prevents the panel part 200 from falling off. In order to limit the distance away from the ceiling, one end of the wing unit 340 may be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eiling is located.

즉, 상기 걸쇠유닛(360)는 상기 날개유닛(340)이 상기 지지유닛(320)에서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있을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clasp unit 360 may be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g unit 340 extends from the support unit 320 .

한편, 상기 돌출유닛(380)은 상기 골조부(100)와 상기 패널부(200)를 상기 고정부(300)를 통해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패널부(200)가 외력 또는 예상하지 못한 어떤 요인에 의해서 상기 날개유닛(340)이 복원되는 힘이 약해지면서 상기 패널부(200)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지 못하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날개유닛(340)의 일부가 상기 장공(120)의 둘레부를 향해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trusion unit 380 is in a state in which the frame part 100 and the panel part 200 are connected through the fixing part 300, and the panel part 200 is affected by an external force or some unexpected factor. A portion of the wing unit 340 toward the periphery of the long hole 120 so as to prevent the panel part 200 from being separated without closing the opening as the force to restore the wing unit 340 is weakened.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즉, 상기 돌출유닛(380)은 상기 장공(120)의 길이방향 양단과 맞닿는 상기 날개유닛(340)의 위치에서 상기 장공(120) 둘레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protruding unit 380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periphery of the long hole 120 at the position of the wing unit 340 in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long hole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아울러 상기 돌출유닛(380)은 상기 날개유닛(340)에서 상기 장공(120)의 둘레부를 향해 돌출되면서 직경이 좁아지도록 돌출될 수 있고, 상기 날개유닛(340) 사이의 상기 고정부(300)의 내측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상기 장공(120)의 양단을 향해서 직경이 가변되며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unit 380 may protrude from the wing unit 340 toward the periphery of the long hole 120 and protrude so that the diameter becomes narrower, and the fixing part 300 between the wing units 340 is When viewed from the inside, the diameter may be variable toward both ends of the long hole 120 and may be formed to be depressed.

이에 따라, 상기 돌출유닛(380)이 상기 장공(120)의 길이방향 양단에 걸려 상기 고정부(300)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골조부(100)와 상기 패널부(200)를 보다 밀착시켜 결합력을 향상시킴을 통해 상기 패널부(200)가 상기 골조부(100)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trusion unit 380 is caught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hole 120 to fix the position of the fixing part 300, and to bring the frame part 100 and the panel part 200 into closer contact. By improving the bonding force, there may be an effect of preventing the panel unit 200 from falling off from the frame unit 100 .

여기서 상기 골조 유닛(100), 상기 패널 유닛(200), 상기 고정 유닛(300)의 기능은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후술할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Here, the functions of the frame unit 100 , the panel unit 200 , and the fixing unit 300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o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앞서 상술한 상기 천장장치를 시공하는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단계(S01), 삽입단계(S02), 시공단계(S03), 마감단계(S04)를 포함하여 상기 천장장치를 이용한 천장 시공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above-mentioned ceiling device includes a preparation step (S01), an insertion step (S02), a construction step (S03), and a finishing step (S04) as shown in FIG. 5, and the ceiling using the ceiling device The construction method can be explain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시공방법은 상기 골조부(100)를 상기 천장에 설치하는 상기 준비단계(S01), 상기 패널부(200)에 상기 고정부(300)를 삽입하는 상기 삽입단계(S02), 상기 골조부(100)에 형성되는 상기 장공(120)에 상기 고정부(300)가 걸리도록 시공하는 상기 시공단계(S03) 및 상기 개구부를 향해서 상기 패널부(100)에 외력을 가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상기 마감단계(S04)를 통해 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ceil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paration step (S01) of installing the frame part 100 to the ceiling, and the insertion of the fixing part 300 into the panel part 200. The insertion step (S02), the construction step (S03) of constructing the fixing part 300 to be caught in the long hole 120 formed in the frame part 100, and the panel part 100 toward the opening It can be constructed through the closing step (S04) of closing the opening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앞서 상술한 상기 천장 시공방법은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ceiling construction method may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1 .

구체적으로,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준비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삽입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고정 유닛이 슬릿에 삽입된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시공단계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시공단계가 적용된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의 마감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preparation step of a ceiling device and a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eiling device and a ceiling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a cei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xing unit of a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re inserted into a sl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awing showing the construction steps of a ceiling device and a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ei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struction step of a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is applied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and FIG. 11 is a view showing a finishing step of a ceiling device and a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조부(100)를 상기 천장에 설치하여 고정하는 상기 준비단계(S01)가 선행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6, the preparation step (S01) of installing and fixing the frame part 100 to the ceiling may be preceded.

이 때, 상기 골조부(100)을 상기 천장에 고정하는 방법은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천장에 고정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접착부재를 통해서 상기 천장에 고정할 수도 있고, 상기 골조부(100)를 상기 천장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method of fixing the frame part 100 to the ceiling, it may be fixed to the ceiling using bolts and nuts, or it may be fixed to the ceiling through a separate adhesive member, and the frame part ( 100) can be fixed by inserting it into the ceiling and fixing it.

하지만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상기 준비단계(S01)에서 상기 골조부(100)를 상기 천장에 고정하는 방법은 앞서 제시한 예시들을 제외하고도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제시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the method of fixing the frame part 100 to the ceiling in the preparation step (S01)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except for the examples presented above, and must be presented is not limited to

또한, 상기 골조부(100)가 상기 천장에 연결되기 위한 상기 골조부(100)의 중앙에서 상기 천장을 향해 연장되는 연결부는 당업자에 의해 간단한 설계변경을 통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서는 도면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ceiling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portion 100 for the frame portion 100 to be connected to the ceiling can be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a simple design chang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 it is shown that the drawing is formed to be long so that it can be easily understood.

한편, 상기 삽입단계(S0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00)의 상기 날개유닛(340)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해 한 쌍의 상기 슬릿(220)의 일단부를 향해 삽입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sertion step (S02), as shown in FIG. 7 ,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ing units 340 of the fixing part 300 approach each other toward one end of the pair of slits 220 . can be inserted.

여기서 상기 날개유닛(340)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날개유닛(340)이 외력에 의해서 가압되기 이전의 상기 초기 위치로 복원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Here, the wing unit 34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s described above, and may have a property of restoring to the initial position before the wing unit 340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슬릿(220)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날개유닛(340)은 외력이 사라지면서 탄성에 의해 상기 슬릿(220)의 타단부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슬릿(220)의 타단부와 맞닿아 상기 패널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8, the wing unit 340 inserted into the pair of the slits 220 is restore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from the other end of the slit 220 by elasticity while the external force disappears. , thus contacting the other end of the slit 220 may be coupled to the panel unit 200 .

또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슬릿(220)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공간과 상기 지지유닛(320)이 면접촉되면서 상기 패널부(200)를 지지함과 동시에 면접족에 의한 마찰력 증가로 인해 외부의 요인에 의해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space formed between the pair of slits 220 and the support unit 320 are in surface contact to support the panel unit 200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due to the surface foot.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o prevent shaking by external factors.

한편, 상기 장공(120)에 상기 고정부(300)를 삽입하여 상기 패널부(200)가 상기 골조부(100)에 걸리도록 시공하는 상기 시공단계(S03)은 도 9 및 도 10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step (S03) of inserting the fixing part 300 into the long hole 120 so that the panel part 200 is caught on the frame part 100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 can do.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공단계(S03)에서는 상기 날개유닛(340)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재차 외력을 가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쇠유닛(360)이 상기 장공(120)에 삽입되어 상기 장공(120)의 둘레부에 걸리도록 삽입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in the construction step (S03), the wing unit 340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gain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and as shown in FIG. 10, the clasp unit 360. It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120 and can be inserted so as to be caught on the periphery of the long hole 120 .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300)에 형성되는 상기 걸쇠유닛(360)이 상기 날개유닛(340)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꺾인 형태를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장공(120)의 양단에 걸려 상기 패널부(100)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clasp unit 360 formed in the fixing part 300 is bent at one end of the wing unit 340 and has a bent shape, it is caught on both ends of the long hole 120 and the panel part 100. can be prevented from dropping out.

이와 같은 상기 걸쇠유닛(360)의 역할은 시공자가 상기 패널부(200)를 지지하는 힘을 유지하며 상기 골조부(100)와 상기 패널부(200)를 결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role of the clasp unit 360 as described above is an effect that the constructor maintains the power to support the panel part 200 and reduces the hassle of having to combine the frame part 100 and the panel part 200 there is

이 때, 상기 마감단계(S04)는 상기 개구부를 향해 상기 패널부(200)에 외력을 가해주면, 상기 날개유닛(340)이 상기 초기 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패널부(10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고,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유닛(360)아 상기 초기 위치로 복원되는 힘에 의해서 상기 패널부(100)가 상기 골조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closing step (S04),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anel unit 200 toward the opening, the wing unit 340 is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panel unit 100. and,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1 , the panel part 100 may be fixed to the frame part 100 by the force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wing unit 360 .

아울러 상기 돌출유닛(380)은 상기 날개유닛(340)이 상기 장공(120)의 길이방향 양단과 맞닿는 지점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장공(120)의 둘레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직경이 좁아지도록 연장되어 굴곡으로 인해 상기 날개유닛(340)이 상기 골조부(100)에 삽입되는 것에 방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unit 380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periphery of the long hole 1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int where the wing unit 340 comes into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long hole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diameter is narrowed. Due to the extended bending, the wing unit 340 may not interfere with being inserted into the frame part 100 .

또한, 상기 장공(120)은 상기 날개유닛(340)이 지속적으로 복원하는 힘이 지속되도록 상기 날개유닛(340)의 상기 초기 위치보다 소정거리 좁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날개유닛(340)은 지속적으로 상기 초기 위치로 복원되려는 힘에 의해 상기 골조부(100)와 상기 패널부(200)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ng hole 120 may be formed to be narrow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a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wing unit 340 so that the force to continuously restore the wing unit 340 is continued, and accordingly, the wing unit 340 is continuously able to maintain the coupling of the frame part 100 and the panel part 200 by the force to be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앞서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이 포함되는 천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은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유닛(340)이 상기 초기 위치로 복원되는 힘에 의해 상기 골조부(100)와 상기 패널부(200)가 결합되며, 복원되는 힘에 의해 결합이 유지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며, 상기 패널부(200)를 분리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패널부(200)를 당겨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ceiling device including a fixe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contents and a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s shown in FIGS. 10 to 11, the wing unit 340 is the initial The frame part 100 and the panel part 200 are coupled by the force restored to the position, and construction is simple because the coupling is maintained by the restored force, and the panel part 200 needs to be separated. Since the panel unit 200 can be separated by pulling it,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hassle.

이 때, 상기 패널부(200)을 당기게 되면, 상기 걸쇠유닛(360)이 상기 장공(120)의 길이방향 양단에 걸려 상기 패널부(200)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분리 과정에서 상기 패널부(200)가 낙하하여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패널부(200)를 당기는 것을 제외하고도 지진이 발생하여 상기 천장의 일부가 무너져 상기 패널부(200) 내측에 돌덩어리가 낙하하는 경우에도 상기 걸쇠유닛(360)이 상기 장공(120)의 길이방향 양단에 걸려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when the panel unit 200 is pulled, the clasp unit 360 is caught at both ends of the long hole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vent the panel unit 200 from falling, so that in the separation process, the panel uni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fall of the panel 200, and an earthquake occurs except for pulling the panel unit 200, and a part of the ceiling collapses, and a stone block falls inside the panel unit 200. Even 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lasp unit 360 is caught on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hole 120 to improve stability.

아울러 상기 걸쇠유닛(360)이 상기 패널부(200)의 낙하를 방지하기 이전에 상기 돌출유닛(380)이 상기 장공(120)의 둘레부를 향해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천장과 상기 장공(120)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강도가 높은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기 돌출유닛(380)이 상기 장공(120)의 둘레부에 걸려 상기 패널부(200)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ceiling and the long hole 120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unit 380 protrudes toward the periphery of the long hole 120 before the latch unit 360 prevents the panel part 200 from falling. Since it is located in the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nel unit 200 from falling by the protrusion unit 380 caught on the periphery of the long hole 120 , except when an external force with high strength acts.

즉, 적은 외력에는 상기 돌출유닛(380)에 의해 간단하게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강한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돌출유닛(380)으로는 상기 패널부(20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없을 때, 상기 걸쇠부(360)가 상기 패널부(200)의 낙하를 재차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일 수 있다.That is, when a small external force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simply by the protruding unit 380, and the falling of the panel 200 cannot be prevented with the protruding unit 380 due to a strong external force, Since the clasp 360 can prevent the panel unit 200 from falling again, it can be more stable.

또한, 상기 마감단계(S04)에서 상기 개구부를 향해서 상기 패널부(200)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날개유닛(340)이 상기 패널부(200)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때문에 상기 패널부(200)가 상기 골조부(100)에 비틀려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anel unit 200 toward the opening in the closing step (S04), the wing unit 340 guides the movement of the panel unit 200, so that the panel unit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wisted and coupled to the frame part 100 .

한편, 상기 장공(120)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설계 변경을 통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공(120)이 상기 날개유닛(340)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ng hole 120 may be formed to be long as shown in FIGS. 1 to 11 , but through a design change, the long hole 120 is inserted into the wing unit 340 as shown in FIG. 12 , respectively. It can be configured as a pair so that it can be

아울러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골조부(100) 및 상기 고정부(30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frame part 100 and the fixing part 300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

도 1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조부(100)는 상기 골조부(100)가 상기 천장에 고정되기 위한 별도의 커넥터(C)가 구비되어 상기 골조부(100)를 상기 천장에 연결시킬 수 있다. 13 (a), the frame part 10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onnector (C) for fixing the frame part 100 to the ceiling to connect the frame part 100 to the ceiling. can do it

이와 같이 상기 골조부(100)가 상기 커넥터(C)에 의해 상기 천장에 고정되기 위해서 상기 골조부(100)는 상기 커넥터(C)에 걸리면서 상기 천장에 고정되도록 결합할 수 있는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way, in order for the frame unit 100 to be fixed to the ceiling by the connector C, the frame unit 100 may be formed with a partition wall that can be coupled to be fixed to the ceiling while being caught in the connector C. have.

즉, 상기 골조부(100)는 상기 패널부(100)와 결합되는 하부와 상기 하부에서 상기 천장을 향해 연장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에서 상기 커넥터(C)를 향해 소정거리 돌출되는 결합부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at is, the frame portion 100 has a lower portion coupled to the panel portion 100, a side wall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toward the ceiling, and a coupling portion protru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ide wall portion toward the connector (C) separately. may be formed.

반면, 도 1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골조부(100)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조부(100)는 측벽을 이루지 않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300)가 상기 골조부(100)에 삽입된 상태를 확인하거나, 상기 패널부(200)를 분리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300)에 접근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 13 (b) is a view showing the frame par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ame part 100 does not form a side wall as shown, the fixing part 300 ) may have an effect that it is easier to access the fixing part 300 when confirming the state inserted into the frame part 100 or separating the panel part 200 .

또한, 이에 따라 상기 골조부(100)의 측벽을 이루기 위한 재료가 절감되고, 상기 골조부(100)의 측벽을 이루기 위한 제조과정이 생략되어 경제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side wall of the frame part 100 is reduced accordingly,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forming the side wall of the frame part 100 is omitted, thereby increasing economic efficiency and efficiency.

한편, 도 14(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300)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공간과 상기 지지부(340)가 접촉될 수 있고, 도 14(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300)와 같이 상기 지지공간과 상기 지지부(340)의 접촉면적을 향상시켜 상기 패널부(200)의 흔들림을 저감할 수 있다.Meanwhile, FIG. 14(a) shows that the support space and the support part 340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using the fixing par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4(b) is shown in FIG. Like the fixing part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haking of the panel part 200 by improv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upport space and the support part 340 .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유닛(340)에는 상기 돌출유닛(380)을 제외하고도 상기 날개유닛(34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향해 상기 날개유닛(340)의 일부가 인입되는 걸림부재(342)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342)가 상기 장공(120)에 걸려 상기 패널부(200)가 상기 골조부(100)에서 탈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5, the wing unit 340 has a part of the wing unit 340 toward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wing unit 340 except for the protruding unit 380. A member 342 may be formed so that the locking member 342 is caught in the long hole 120 to prevent the panel part 20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frame part 100 .

아울러 상기 장공(120)의 길이방향 양단은 상기 걸림부재(34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날개부(340)의 일부가 상기 장공(120)의 양단에 삽입되도록 상기 장공(120)의 양단에 대응되게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hole 120 may be formed to be narrower in width than the central portion so that the engaging member 342 can be inserted, and accordingly, a part of the wing portion 340 is part of the long hole 120 . The width may be formed to be narrow to correspond to both ends of the long hole 120 so as to be inserted at both ends.

예를 들어, 실외에서 바람이 심하게 불거나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342)가 상기 장공(120)의 양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상기 패널부(200)가 상기 골조부(100)에서 탈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a strong wind blows outdoors or an earthquake occurs, the holding member 342 is fixed in a state inserted at both ends of the long hole 120 so that the panel part 200 becomes the frame part 100 . ) can be prevented from dropping ou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review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recogniz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 커넥터
100: 골조부
120: 장공
200: 패널부
220: 슬릿
300: 고정부
320: 지지유닛
340: 날개유닛
342: 걸림부재
360: 걸쇠유닛
380: 돌출유닛
SO1: 준비단계
SO2: 삽입단계
S03: 시공단계
S04: 마감단계
C: connector
100: frame part
120: long hole
200: panel unit
220: slit
300: fixed part
320: support unit
340: wing unit
342: engaging member
360: latch unit
380: projecting unit
SO1: Preparation
SO2: Insertion step
S03: Construction stage
S04: Closing stage

Claims (10)

다수의 장공이 형성되고, 천장에 고정되어 뼈대를 이루며 다수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골조부;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패널부; 및
상기 패널부와 상기 골조부를 연결하며, 상기 패널부를 지지하여 상기 개구부를 향해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중앙부가 상기 천장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패널부를 지지하는 지지유닛, 상기 지지유닛의 양단에서 상기 지지유닛을 중심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유닛, 상기 날개유닛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골조부에 형성되는 장공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쇠유닛 및 상기 패널부가 상기 골조부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장공의 둘레부에 걸리도록 상기 날개유닛의 일부가 상기 장공의 둘레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장치.
A plurality of long holes are formed, the frame portion is fixed to the ceiling to form a skeleton and form a plurality of openings;
a panel unit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A fixing part connecting the panel part and the frame part, supporting the panel part and guiding it to move toward the opening,
The fixing part,
A support unit with a central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ceiling to support the panel portion, a wing unit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unit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support unit, formed at one end of the wing unit and formed in the frame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atch unit inserted into the long hole and a protrusion unit in which a part of the wing unit protrudes toward the circumference of the long hole so as to be caught on the circumference of the long hole in order to prevent the panel part from falling off from the frame part. to do,
ceil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유닛은,
상기 날개유닛 사이의 간격을 좁혀 상기 장공에 삽입되고, 상기 장공을 향해 이동되면서 상기 날개유닛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ng unit is
It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by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wing unit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wing units is increased while moving toward the long hole,
ceil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유닛은,
상기 날개유닛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기 위한 힘에 의해 상기 패널부와 상기 골조부의 결합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panel part and the frame part is maintained by a force for separ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wing units,
ceil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유닛은,
상기 장공에 걸리도록 상기 날개유닛의 일단에서 상기 천장과 반대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패널부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atch unit is
It is bent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eiling at one end of the wing unit so as to be caught in the long hole, characterized in that it prevents the panel portion from falling,
ceil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이 위치된 방향을 제1 방향,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을 제2 방향으로 하는 경우, 상기 제2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방향을 향해 폭이 좁아지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ruding unit,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unit is located is a first direction and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s a second direction, it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width is narrowed and protrudes toward the second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fixed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단이 상기 날개유닛을 고정시키도록 중앙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long hole,
It is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to fix the wing unit,
fixed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유닛은,
상기 장공의 양단에 삽입되도록 상기 장공의 양단과 대응되는 위치의 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유닛.
7. The method of claim 6,
The w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long hole is formed narrowly so as to be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long hole,
fixed unit.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천장장치를 이용한 천장 시공 방법으로서,
골조부를 상기 천장에 설치하는 준비단계;
패널부에 고정부를 삽입하는 삽입단계;
상기 골조부에 형성되는 장공에 상기 고정부가 걸리도록 시공하는 시공단계; 및
상기 패널부에 외력을 가해 상기 골조부가 형성하는 개구부를 폐쇄하는 마감단계를 포함하는,
천장 시공방법.
As a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eiling device of any one of claims 1 to 7,
A preparation step of installing a frame part on the ceiling;
an insertion step of inserting a fixing part into the panel part;
a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the fixing part to be caught in the long hole formed in the frame part; and
Comprising a closing step of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panel part to close the opening formed by the frame part,
How to build a ceil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단계는,
상기 고정부의 일단과 타단에서 절곡되는 걸쇠유닛이 상기 장공에 걸려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시공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struction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events the latch unit bent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art from falling by being caught in the long hole,
How to build a ceil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단계는,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는 날개유닛이 상기 장공에 삽입되면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되며 상기 패널부와 상기 골조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시공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nal step is
The wing unit formed in the fixing part is restore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long h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nel part and the frame part are coupled,
How to build a ceiling.
KR1020200156514A 2020-11-20 2020-11-20 Ceiling device and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202200694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514A KR20220069423A (en) 2020-11-20 2020-11-20 Ceiling device and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514A KR20220069423A (en) 2020-11-20 2020-11-20 Ceiling device and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423A true KR20220069423A (en) 2022-05-27

Family

ID=81796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514A KR20220069423A (en) 2020-11-20 2020-11-20 Ceiling device and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942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4043A (en) Shuttered connector receptacle
US4948317A (en) Method and device for electrical fitting stabilization
KR20010101349A (en) Supporting means for a screening device
JPS587542B2 (en) Cable spring tool with foldable 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using it
KR20080004379A (en) Clip
KR20070044395A (en) Suspension plate for fixing to ceiling
JP2021144930A (en)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DE102008063920A1 (en) Fixing structure of clamp for fixing wire harness to air-conditioner, has elastic support pieces that are elastically deformed along mutually approaching direction to contact side wall surfaces of flat ribs protruding from unit case
KR102104832B1 (en) holding apparatus of cable tray
US20190161034A1 (en) Guide end of cable guide, cable guide, and wire harness
KR101233699B1 (en) coupling structure of T-bar and ceiling panel
KR102373271B1 (en) Ceiling device including fixing unit and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US20060000631A1 (en) Connector for flexible electrical conduit
KR20220069423A (en) Ceiling device and cei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CN115699486A (en) Holding assembly
JP4478988B2 (en) Cable support for suspension bolts
KR20230032551A (en) Hook assembly for door curtain of vehicle
KR101842508B1 (en) Electric pole having distribution insulator for fixing overhead wire
EP3540748B1 (en) Noise current absorber
JP2001186630A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200385438Y1 (en) Apparatus of link support for fittings
KR200446512Y1 (en) Coupling box for wiring box
CN105824086A (en) Optical cable clamp and method for fixing optical cable on optical cable clamp
JPS583987Y2 (en) Support for cables, etc. to hanging rod members
KR20220069424A (en) Ceiling device and ceiling system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