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167A - Non-pneumatic tire - Google Patents

Non-pneumatic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167A
KR20220069167A KR1020200155697A KR20200155697A KR20220069167A KR 20220069167 A KR20220069167 A KR 20220069167A KR 1020200155697 A KR1020200155697 A KR 1020200155697A KR 20200155697 A KR20200155697 A KR 20200155697A KR 20220069167 A KR20220069167 A KR 20220069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gear
disk
pneumatic tire
inn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6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12865B1 (en
Inventor
손창영
허정무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5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865B1/en
Publication of KR20220069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1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8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02Tyres built-up with separate rubbe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2Replaceable t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22Non-inflatable or solid tyres having inlays other than for increasing resiliency, e.g. for armo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2030/086Building the tyre carcass by combining two or more sub-assemblies, e.g. two half-carca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neumatic tir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neumatic tire which is easily replace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pneumatic tire may comprise: an outer ring part; an inner ring part plac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outer ring part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indented parts formed by being inden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wheel disk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hollow parts including parts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rotating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an axle; a gear disk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hollow parts crossing the first hollow parts, and having a first gear part on an edge; a rotating part rotating the gear disk part; a guide rod part penetrating the first hollow parts and the second hollow parts to connect the wheel disk part and the gear disk part, and moving along the first hollow parts and the second hollow part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gear disk part; and a clamping part having the guide rod part fixed thereto and including, on one side end thereof, a part corresponding to the indented parts of the inner ring part.

Description

비공기입 타이어{NON-PNEUMATIC TIRE}Non-Pneumatic Tire {NON-PNEUMATIC TIRE}

본 발명은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tire.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교체가 용이한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neumatic tire that is easy to replace.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소형 차량부터 중장비 차량까지 다양한 차량의 휠에 장착될 수 있다.In general, tires may be mounted on wheels of various vehicles, from small vehicles to heavy-duty vehicles.

이러한 타이어는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 차량의 동력을 지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 기능 및 차량 주행 시 발생되는 진동, 충격 등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uch a tire may perform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load of the vehicle,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vehicle to the ground, and a function of buffering vibrations and shocks generated during vehicle driving.

종래에는 대부분의 차량에 공기입 타이어를 사용하였다.Conventionally, most vehicles have used pneumatic tires.

공기입 타이어의 경우 내부에 공기압이 구비되어 충돌, 굴신에 대한 완충 작용이 우수한 효과가 있으나, 외부 물질에 의한 찔림이나 충격 등으로 타이어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a pneumatic tire, a pneumatic pressure is provided inside, which has an excellent effect of buffering against collision and flexing,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ire is easily damaged due to puncture or impact by an external material.

타이어가 파손되는 경우에는 내부 공기압이 유지되기 어려워서 차량의 핸들링, 제동능력을 저하시켜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f the tire is damaged, it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the internal air pressure, which may reduce the handling and braking ability of the vehicle and cause safety problem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부의 공기 충진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개발되었다.To solve this problem, a non-pneumatic tire that does not require air filling inside has been developed.

종래의 비공기입 타이어는 대부분 휠과 타이어가 일체화된 일체형이다.Most of the conventional non-pneumatic tires are one-piece, in which the wheel and the tire are integrated.

이러한 일체형 비공기입 타이어의 휠 부분은 종래의 공기입 타이어에서 사용하는 휠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체형 비공기입 타이어의 경우에는 휠을 차량으로 부터 떼어내거나 차량에 장착할 경우, 다수의 휠 너트를 풀거나 조립하여야만 하므로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wheel portion of such an integral pneumatic tire may have a shape similar to a wheel used in a conventional pneumatic tire.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integrated non-pneumatic tire, when the wheel is removed from the vehicle or mounted on the vehicle, a plurality of wheel nuts must be loosened or assembled, which requires manpower and time.

아울러, 일체형 비공기입 타이어의 경우에는 교체 시 휠 부분까지도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가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integrated non-pneumatic ti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resources are wasted severely because even a wheel part must be replaced when replacing.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9140호[문헌 1]에서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트레드부, 트레드부와 결합하는 완충부 및 완충부와 결합하는 림을 포함하고, 여기서 트레드부는 2~8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완충부에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129140 [Document 1], a non-pneumatic tire includes a tread part, a buffer part coupled with the tread part, and a rim coupled with the buffer part, wherein the tread part It is divided into 2 to 8 parts and posted a technical configuration with a detachable structure in the buffer part.

이러한 문헌 1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는 2~8개의 분할된 부분을 완충부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해야 하는 등 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하며 시간이 상당히 소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Document 1,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is cumbersome, complicated, and takes a lot of time, such as the need to use a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in the process of coupling 2 to 8 divided parts to the buffer unit.

비공기입 타이어에 대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2258호[문헌 2]에서는 다수의 트레드고무블럭을 타이어바디부에 수직방향으로 끼워넣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As another prior art for a non-pneumatic tir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92258 [Document 2] disclose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read rubber blocks are vertically inserted into a tire body part.

그러나 문헌 2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는 다수의 트레드고무블럭을 별도로 작업해야 함으로써 작업이 복잡하고 시간이 상당히 소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Document 2,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is complicated and time consuming because a plurality of tread rubber blocks must be separately worked.

아울러, 문헌 2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는 트레드부가 독립적인 다수의 트레드고무블럭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트레드부의 구조적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Document 2,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read por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dependent tread rubber blocks, so that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tread portion is relatively weak.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9140호[문헌 1][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29140 [Document 1]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2258호[문헌 2][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92258 [Document 2]

본 발명은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교체가 용이한 비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pneumatic tire having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and easy replacement.

본 발명은 타이어 부분은 교체가능 하면서도 휠 부분은 재사용이 가능한 비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pneumatic tire in which a tire part is replaceable and a wheel part is reusabl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지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외륜부(Outer Ring Part), 상기 외륜부의 내측면(Inner Side Surface)에 배치되고, 차축과 교차하는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복수의 함몰부를 포함하는 내륜부(Inner Ring Part), 차축과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판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 1 홈부(First Hollow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차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휠 디스크부(Wheel Disk part), 판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부에 대응되며 상기 제 1 홈부와 교차하는 복수의 제 2 홈부(Second Hollow Part)를 포함하고, 테두리에 제 1 기어부(First Gear Part)가 형성되고, 상기 휠 디스크부의 전면(Front Surface)에 대응되는 기어 디스크부(Gear Disk Part), 상기 기어 디스크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Rotating Part), 상기 제 1 홈부와 상기 제 2 홈부를 관통하여 상기 휠 디스크부와 상기 기어 디스크부를 연결하고, 상기 기어 디스크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홈부 및 상기 제 2 홈부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로드부(Guide Rod Part) 및 상기 가이드 로드부가 고정되고, 상기 기어 디스크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일측 끝단이 상기 내륜부의 상기 함몰부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클램핑부(Clamp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The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n outer ring part including a part corresponding to the groun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outer ring part, and is depres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axle A plurality of first grooves (Inner Ring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depressions formed by First Hollow Part), including a wheel disk part rota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axle, a plate-shaped part, and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part and intersecting the first groove part It includes a second groove part (Second Hollow Part), a first gear part (First Gear Part) is formed on the edge, a gear disk part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wheel disk part (Gear Disk Part), the gear A rotating part for rotating the disk part, the first groove part and the second groove part pass through to connect the wheel disk part and the gear disk part, and the first groove part and the second groove par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ear disk part A guide rod part moving along the part and the guide rod part are fixed, and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ear disk part, one end including a part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art of the inner ring part It may include a clamping part.

또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다리부(Leg Part) 및 상기 다리부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내륜부의 함몰부에 대응되는 머리부(Head Part)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로드부는 상기 다리부에 고정되고, 상기 머리부의 외측면은 외부를 향해 볼록한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amping part includes a leg part including a part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head part connected to an end of the leg part and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art of the inner ring part, and the guide rod The part may be fixed to the leg par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part may include a part having a convex shape toward the outside.

또한, 상기 휠 디스크부의 후면(Rear Surface)에 배치하고, 상기 다리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홈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개방된 부분을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부(Guide Rail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heel disk portion, including a portion located at the edge of the first groove portion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leg portion, including a portion open to the out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ail part (Guide Rail Part).

또한, 상기 차축과 나란한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상기 머리부의 폭은 상기 가이드 로드부로부터 상기 가이드 레일부까지의 폭보다 더 크고, 상기 내륜부의 폭보다는 더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a width of the head in a vertical direction parallel to the axle may be greater than a width from the guide rod portion to the guide rail portion, and may be smaller than a width of the inner ring portion.

또한, 상기 제 2 홈부의 길이는 상기 제 1 홈부의 길이보다 더 길고, 상기 제 1 홈부의 일측 끝단은 상기 제 2 홈부의 일측 끝단에 대응되고, 상기 제 1 홈부의 타측 끝단은 상기 제 2 홈부의 타측 끝단에 대응되고, 상기 제 2 홈부의 일측 끝단은 상기 제 2 홈부의 타측 끝단보다 상기 기어 디스크부의 중심보다 더 인접하고, 상기 제 2 홈부는 휘어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groove portion, one end of the first groove portion corresponds to one end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groove portion is the second groove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portion, one end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is closer to the center of the gear disk portion tha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the second groove portion may include a curved portion.

또한, 상기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 2 홈부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 사이의 중간지점과 상기 기어 디스크부의 중심을 함께 지나는 직선을 제 1 직선이라 할 때, 상기 제 2 홈부의 일측 끝단에 인접한 부분에서의 진행방향과 상기 제 1 직선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 2 홈부의 타측 끝단에 인접한 부분에서의 진행방향과 상기 제 1 직선 사이의 각도보다 더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gear disk and the midpoint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ro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 first straight line, in the portion adjacent to one end of the second groove An angle between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first straight line may be smaller than an angle between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first straight line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또한, 상기 가이드 로드부가 상기 제 2 홈부의 타측 끝단 및/또는 상기 제 1 홈부의 타측 끝단에 인접하거나 대응되는 경우, 상기 클램핑부의 일측 끝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부가 상기 제 2 홈부의 일측 끝단 및/또는 상기 제 1 홈부의 일측 끝단에 인접하거나 대응되는 경우, 상기 클램핑부의 일측 끝단이 상기 함몰부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guide rod part is adjacent to or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roove part and/or the other end of the first groove part, at least a part of one end of the clamp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art, and the guide rod part When adjacent to or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and/or one end of the first groove portion, one end of the clamping portion may be separated from the recessed portion.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기어 디스크부의 상기 제 1 기어부와 맞물리는 제 2 기어부(Second Gear Part) 및 상기 제 2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서브 회전부(Sub Rotat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어부는 웜 기어(Worm Gear) 타입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part includes a second gear part meshing with the first gear part of the gear disk part and a sub rotating part rotating the second gear part, and the second gear part It may be a worm gear type.

또한, 상기 휠 디스크부의 직경은 상기 기어 디스크부의 직경보다 더 크고, 상기 내륜부의 직경은 상기 휠 디스크부의 직경보다 더 크고, 상기 서브 회전부는 상기 휠 디스크부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diameter of the wheel disk part may be greater than a diameter of the gear disk part, a diameter of the inner ring part may be greater than a diameter of the wheel disk part, and the sub-rotation part may be fixed to a front surface of the wheel disk part.

또한, 상기 내륜부의 내측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상기 함몰부의 폭은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함몰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클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depress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ring portion may be great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two adjacent depressions.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working time because it is easy to replace the tire.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휠 부분은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원의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nsumption of resources and lowering the unit price because the wheel part is reusable.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 부분이 휠 부분과는 별도로 교체가능 하면서도 일체형 구조를 갖기 때문에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됨으로써 수명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egrated structure while the tire part is replaceable separately from the wheel part, structural stability is improved, thereby increasing the lifespan.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는 외륜부와 내륜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휠 디스크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기어 디스크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가이드 로드부 및 클램핑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가이드 레일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회전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5는 클램핑부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휠 커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to 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uter ring portion and the inner ring portion.
3 to 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wheel disk unit.
5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gear disk unit.
8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guide rod part and the clamping part.
12 to 1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guide rail unit.
16 to 1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rotating part.
20 to 2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clamping unit.
26 is a view for explaining a wheel cov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can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 and/or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can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is document,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may not be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and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docu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 대해 설명하기 이전에 방향(Direction)에 대해 먼저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Before describing the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is first summarized as follows.

먼저, 도시하지 않은 차축과 나란한 방향(혹은 평행한 방향)을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 DRV)이라고 할 수 있다.First, a direction parallel to (or parallel to) an axle (not shown) may be referred to as a vertical direction (DRV).

아울러, 차축과 교차하는 방향(혹은 수직한 방향)을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 DRH)이라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rection (or vertical direction) crossing the axle may be referred to as a horizontal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DRH).

이러한 수평방향(DRH)을 비공기입 타이어의 중심으로부터 차축과 교차(수직)하여 방사되는 방향, 즉 방사 방향(Radiation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Such a horizontal direction (DRH) may be referred to as a direction in which the non-pneumatic tire intersects (vertically) and radiates from the center of the tire, that is, the radial direction.

아울러, 비공기입 타이어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둘레를 따르는 방향을 원주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원둘레를 따르는 방향은 외륜부의 둘레를 따르는 방향, 내륜부의 둘레를 따르는 방향, 휠 디스크부의 둘레를 따르는 방향 및/또는 기어 디스크부의 둘레를 따르는 방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non-pneumatic tire may be referred to as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Here, the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may include, for example, a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ring portion, a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ring portion, a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 disk portion, and/or a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gear disk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외륜부(Outer Ring Part), 내륜부(Inner Ring Part), 휠 디스크부(Wheel Disk part), 기어 디스크부(Gear Disk Part), 회전부(Rotating Part), 가이드 로드부(Guide Rod Part) 및 클램핑부(Clamp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The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ring part, an inner ring part, a wheel disk part, a gear disk part, a rotating part (Rotating Part), and a guide rod. It may include a part (Guide Rod Part) and a clamping part (Clamping Part).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가이드 레일부(Guide Rail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ail part.

이러한 구성의 비공기입 타이어의 각각의 부품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Each component of the non-pneumatic tir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1 내지 도 2는 외륜부와 내륜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to 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uter ring portion and the inner ring portion.

도 1의 (A)를 살펴보면, 외륜부(10)는 지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외륜부(10)는 지면에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A , the outer ring portion 10 may include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ground. In other words, the outer ring portion 10 may include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이러한 외륜부(10)는 지면과의 마찰에 대응하기 위해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무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ring portion 10 may include a rubber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wear resistance in order to respond to friction with the ground.

아울러, 외륜부(10)의 외측면(Outer Side Surface), 즉 접지면에는 웨트(Wet) 성능을 부여하기 위한, 트레드 홈(도시하지 않음)이 하나 이상의 패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outer ring part 10 , that is, the ground surface, a tread groove (not shown) for imparting wet performance may be formed in one or more pattern shapes.

외륜부(10)에서 지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트레드부(Tread Part)라고 할 수 있다.A portion of the outer ring portion 10 corresponding to the ground may be referred to as a tread part.

외륜부(10)는 식별부호를 지정하지는 않았지만 비공기입 타이어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 및 흡수함으로써 완충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the identification code is not designated, the outer ring part 10 may serve as a cushioning material by dispersing and absorb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non-pneumatic tire, and may include a structure that serves to support the load of the vehicle.

이러한 구조물을 스포크부(Spoke Part)라고 할 수 있다.Such a structure may be referred to as a spoke part.

외륜부(10)는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수지 재질,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및/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성의 관점에서 외륜부(10)는 열경화성 수지, 예컨대 에폭시계 수지, 페놀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또는 멜라민계 수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ring part 10 may include a resin material, for example, a thermoplastic resin and/or a thermosetting resin, in order to effectively absorb an impact and support the load of the vehicle. From the viewpoint of safety, the outer ring part 10 may include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a thermosetting resin, such as an epoxy resin, a phenolic resin, a polyurethane resin, a silicone resin, a polyimide resin, and/or a melamine resin.

아울러, 외륜부(10)의 재질은 위에서 설명한 수지 재질, 고무(Rubber),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 강철(Steel) 및 스프링강(Spring Steel)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 혹은 선택된 2개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outer ring part 10 is the above-described resin material, rubber,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 steel (Steel) And it may include any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spring steel (Spring Steel) or two or more selected materials.

이상의 내용을 고려하면, 외륜부(10)는 트레드부와 스포크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the outer ring portion 10 may be viewed as including a tread portion and a spoke portion.

내륜부(11)는 외륜부(10)의 내측면(Inner Side Surface)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륜부(11)의 외측면(OSS)은 외륜부(10)의 내측면에 접착제 등을 통해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inner ring portion 11 may be dispos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outer ring portion 10 . For example, the outer surface OSS of the inner ring portion 11 may be strong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ing portion 10 through an adhesive or the like.

내륜부(11)는 도시하지 않은 차축과 교차하는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 DRH)으로의 단면이 대략 원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ring portion 11 may include a portion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sec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DRH) intersecting an axle (not shown).

외륜부(10)와 내륜부(11)는 동심원 형태를 이루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The outer ring portion 10 and the inner ring portion 11 may also be viewed as including a portion forming a concentric circle shape.

도 1의 (A) 및 (B)를 살펴보면, 내륜부(11)의 내측면(ISS)에는 도시하지 않은 차축과 교차하는 수평방향(DRH)으로 함몰된 복수의 함몰부(11a)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A and 1B , a plurality of depressions 11a reces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intersecting the axle (not shown)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ISS of the inner ring part 11 . can

이러한 함몰부(11a)는 이하에서 설명할 클램핑부(미도시)의 일부, 예컨대 머리부(미도시)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될 수 있다.This depression 11a may correspond to a part of a clamping part (not shown) to be described below, for example, a head part (not shown). Such a configuration may be more clarifie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에서 설명하지 않은 식별부호 R1은 내륜부(11)의 직경(내직경)을 나타내고, T3은 내륜부(11)의 수직방향(DRV)으로의 폭을 나타낼 수 있다.An identification symbol R1 not described in FIG. 1 may indicate a diameter (inner diameter) of the inner ring portion 11 , and T3 may indicate a width of the inner ring portion 11 in the vertical direction DRV.

도 2를 살펴보면, 내륜부(11)의 내측면(ISS)에서 원주 방향으로 함몰부(11a)의 폭(W1)은 인접하는 두 개의 함몰부(11a) 사이의 간격(W2)보다 더 클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width W1 of the depression 11a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inner surface ISS of the inner ring 11 may be greater than the interval W2 between the two adjacent depressions 11a. have.

다르게 표현하면, 내륜부(11)의 내측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함몰부(11a)가 차지하는 부분의 총 폭은 다른 부분의 총 폭보다 더 크다고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total width of the portion occupied by the plurality of recessed portions 11a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ring portion 11 is greater than the total width of the other portions.

이러한 경우, 응력을 충분히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disperse the stress.

도 2는 내륜부(11)를 수평방향(DRH)으로 펼쳐놓은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2 shows the form in which the inner ring part 11 is spread o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이상에서 설명한 외륜부(10)와 내륜부(11)를 '타이어 부분'이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call the outer ring portion 10 and the inner ring portion 11 described above as a 'tire part'.

이하에서는 휠 디스크부, 기어 디스크부, 회전부, 클램핑부, 가이드 로드부 및 가이드 레일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wheel disk part, the gear disk part, the rotating part, the clamping part, the guide rod part, and the guide rail part will be described.

휠 디스크부, 기어 디스크부, 회전부, 클램핑부, 가이드 로드부 및 가이드 레일부를 통칭하여 '휠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The wheel disc part, the gear disc part, the rotating part, the clamping part, the guide rod part, and the guide rail part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wheel part'.

타이어 부분과 휠 부분에 대한 정리는 설명과 이해를 돕기 위해 설정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닐 수 있다.The arrangement of the tire part and the wheel part is set to help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thereto.

도 3 내지 도 4는 휠 디스크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3 to 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wheel disk unit.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part described in detail above may be omitted.

도 3 및 도 4를 살펴보면, 휠 디스크부(20)는 차축(AX)과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휠 디스크부(20)는 차량의 엔진(미도시) 혹은 모터가 제공하는 회전력을 비공기입 타이어에 전달하기 위한 차축(AX)과 연결될 수 있다.3 and 4 , the wheel disk unit 20 may include a portion connected to the axle AX. In other words, the wheel disk unit 20 may be connected to the axle AX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by the engine (not shown) or the motor of the vehicle to the non-pneumatic tire.

이에 따라, 휠 디스크부(20)는 차축(AX)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heel disk unit 20 may rotate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axle shaft AX.

휠 디스크부(20)는 차축연결부(25)에 의해 차축(AX)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정의 체결수단(24)이 중심홀(22)을 통해 차축연결부(25)와 휠 디스크부(20)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wheel disk part 20 may be connected to the axle shaft AX by the axle connection part 25 . In this case, it is possible for a predetermined fastening means 24 to connect the axle connection part 25 and the wheel disk part 20 through the center hole 22 .

차축연결부(25)는 휠 디스크부(20)의 후면(Rear Surface, RS) 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axle connection part 25 may b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RS) side of the wheel disk part 20 .

차축(AX)의 회전에 대응하여 휠 디스크부(20)가 회전한다는 조건 하에서는 차축(AX)과 휠 디스크부(20)의 연결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차축(AX)의 회전에 따라 휠 디스크부(20)가 회전한다는 조건 하에 차축연결부(25)의 형태 또는 구조가 변경되거나 차축연결부(25)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Under the condition that the wheel disk part 20 rotates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axle shaft AX, the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axle shaft AX and the wheel disk part 20 may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it may be possible to change the shape or structure of the axle connection part 25 or to omit the axle connection part 25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wheel disk part 20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axle shaft AX.

휠 디스크부(20)는 판(Plate)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휠 디스크부(20)는 원판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wheel disk unit 20 may include a portion having a plate shape. For example, the wheel disk unit 20 may include a portion having a disk shape.

휠 디스크부(20)는 스틸,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의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heel disk unit 20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an aluminum alloy, or a magnesium alloy.

휠 디스크부(20)는 수평방향(DRH)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 1 홈부(First Hollow Part, 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wheel disk part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hollow parts 21 including parts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복수의 제 1 홈부(21)는 휠 디스크부(20)의 일부가 수직방향(DRV)으로 개방(Open)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제 1 홈부(21)를 제 1 홀이라고 칭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lurality of first grooves 21 may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a portion of the wheel disk unit 20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DRV.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first groove portion 21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hole.

아울러, 복수의 제 1 홈부(21)는 휠 디스크부(20) 상에서 중심(중심홀(22))으로부터 테두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방사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rst grooves 21 may be formed in a shape radiating from the center (center hole 22) toward the rim on the wheel disk unit 20 .

휠 디스크부(20)에 형성되는 제 1 홈부(21)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이후에서 설명할 제 2 홈부(미도시)의 개수는 제 1 홈부(21)의 개수에 매칭될 수 있다.The number of the first groove portions 21 formed in the wheel disk portion 20 may be variously changed. The number of second grooves (not show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match the number of first grooves 21 .

도 3 내지 도 4에서 설명하지 않은 식별부호 23은 이후에 설명할 회전부를 설치하기 위한 홀, 즉 회전홀을 나타내고, L1은 수평방향(DRH)으로의 제 1 홈부(21)의 길이를 나타내고, R2는 휠 디스크부(20)의 직경을 나타낼 수 있다.Identification number 23, not described in FIGS. 3 to 4, denotes a hole for installing a rotation part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a rotation hole, and L1 denotes the length of the first groove part 2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R2 may represent the diameter of the wheel disk unit 20 .

내륜부(11)는 휠 디스크부(2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휠 디스크부(20)의 직경(R2)은 내륜부(11)의 직경(내직경)(R1)보다 더 작을 수 있다.The inner ring part 11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 disk part 20 .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diameter R2 of the wheel disk part 20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inner diameter) R1 of the inner ring part 11 .

도 5 내지 도 7은 기어 디스크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5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gear disk unit.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part described in detail above may be omitted.

도 5를 살펴보면, 기어 디스크부(30)는 판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어 디스크부(30)는 원판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gear disk unit 30 may include a portion having a plate shape. For example, the gear disk unit 30 may include a portion having a disk shape.

이러한 기어 디스크부(30)는 스틸,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의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gear disk unit 30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an aluminum alloy, or a magnesium alloy.

기어 디스크부(30)는 휠 디스크부(20)의 전면(Front Surface, FS)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기어 디스크부(30)는 휠 디스크부(20)의 전면(FS) 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gear disk unit 30 may correspond to a front surface (FS) of the wheel disk unit 20 . In other words, the gear disk part 3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FS side of the wheel disk part 20 .

기어 디스크부(30)의 테두리에는 기어 형태를 갖는 제 1 기어부(First Gear Part, G1)가 형성될 수 있다.A first gear part (First Gear Part, G1) having a gear shape may be formed on the edge of the gear disk part 30 .

아울러, 기어 디스크부(30)는 제 1 홈부(21)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 2 홈부(Second Hollow Part, 3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ear disk portion 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groove portions (Second Hollow Part, 31)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portion (21).

이러한 제 2 홈부(31)는 제 1 홈부(21)와 일부 중첩(Partially Overlap)되고, 제 1 홈부(21)와 서로 교차할 수 있다.The second groove portion 31 may partially overlap the first groove portion 21 , and may intersect the first groove portion 21 .

복수의 제 2 홈부(31)는 기어 디스크부(30)의 일부가 수직방향(DRV)으로 개방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제 2 홈부(31)를 제 2 홀이라고 칭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lurality of second grooves 31 may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a portion of the gear disk unit 30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DRV.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second groove portion 31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hole.

여기서, 제 2 홈부(31)의 길이(L2)는 앞서 설명한 휠 디스크부(20)의 제 1 홈부(21)의 길이(L1)와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홈부(31)의 길이(L2)는 제 1 홈부(21)의 길이(L1)보다 더 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후에 설명할 클램핑부의 끝단(머리부)을 내륜부(11)의 함몰부(11a)까지 충분히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Here, the length L2 of the second groove part 31 may be different from the length L1 of the first groove part 21 of the wheel disk part 20 described above. Preferably, the length L2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31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L1 of the first groove portion 21 . In this case, it may be possible to sufficiently move the end (head) of the clamping par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the recessed part 11a of the inner ring part 11 .

기어 디스크부(30)의 직경(R3)은 휠 디스크부(20)의 직경(R2)보다 더 작을 수 있다.The diameter R3 of the gear disk part 30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R2 of the wheel disk part 20 .

이러한 경우, 이후에서 설명할 회전부(미도시)를 휠 디스크부(20)의 전면(FS)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a rotating part (not show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FS of the wheel disk part 20 .

도 6을 살펴보면, 기어 디스크부(30)에 형성되는 제 2 홈부(31)는 휘어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어 디스크부(30)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 로드부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second groove part 31 formed in the gear disk part 30 may include a curved part. In this case, the guide rod part may move smoothl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ear disk part 30 .

휘어진 제 2 홈부(31)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2 홈부(31)는 기어 디스크부(30)의 중심과 인접한 일측 끝단(제 1 끝단, E1)과 일측 끝단에 대항되는 타측 끝단(제 2 끝단, E2)을 포함할 수 있다.Looking at the curved second groove part 31 in more detail, the second groove part 31 has one end (first end, E1)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gear disk part 30 and the other end (first end) opposite to the one end. 2 ends, E2).

수평방향(DRH)으로 제 2 홈부(31)의 일측 끝단(E1)과 타측 끝단(E2) 사이의 중간지점과 기어 디스크부(30)의 중심을 함께 지나는 직선을 제 1 직선(SL1)이라 가정하자.Assume that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gear disk part 30 and the midpoint between the one end E1 and the other end E2 of the second groove part 3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is the first straight line SL1. lets do it.

여기서, 제 2 홈부(31)의 일측 끝단(E1)에 인접한 부분에서의 진행방향과 제 1 직선(SL1) 사이의 각도(θ1)는 제 2 홈부(31)의 타측 끝단(E2)에 인접한 부분에서의 진행방향과 제 1 직선(SL1) 사이의 각도(θ2)보다 더 작을 수 있다.Here, the angle θ1 between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first straight line SL1 in the portion adjacent to the one end E1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31 is the portion adjacent to the other end E2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31 . It may be smaller than the angle θ2 between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first straight line SL1.

다른 관점에서 보면, 기어 디스크부(30)의 중심에서 테두리로 갈수록 제 2 홈부(31)는 그 진행방향이 제 1 직선(SL1)과의 각도가 증가하도록 휘어지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From another point of view,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second groove part 31 is bent so tha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groove part 31 increases the angle with the first straight line SL1 from the center to the edge of the gear disk part 30 .

이처럼, 제 2 홈부(31)가 휘어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제 2 홈부(31)의 총 길이(L3)는 제 1 홈부(21)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As such, even when the second groove portion 31 includes a bent portion, the total length L3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31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groove portion 21 .

한편, 기어 디스크부(30)는 이하에서 설명될 회전부(미도시)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고, 기어 디스크부(30)의 회전에 따라 제 1 홈부(21)와 제 2 홈부(31)가 중첩되는 부분, 즉 겹치는 부분이 달라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ear disk part 30 can be rotated by a rotating part (not shown) to be described below, and the first groove part 21 and the second groove part 31 overlap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ear disk part 30 . The overlapping part, that is, the overlapping part may be different.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상태(First State)에서는 제 2 홈부(31)의 일측 끝단(E1)에 인접한 부분이 제 1 홈부(21)와 중첩할 수 있다. 도 7의 (A) 및 (B)에서는 휠 디스크부(20)를 점선으로 표시하였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A , in the first state, a portion adjacent to one end E1 of the second groove 31 may overlap the first groove 21 . have. 7 (A) and (B), the wheel disk unit 20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반면에, 도 7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상태(Second State)에서는 제 2 홈부(31)의 타측 끝단(E2)에 인접한 부분이 제 1 홈부(21)와 중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B , in the second state, a portion adjacent to the other end E2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31 may overlap the first groove portion 21 . .

제 2 상태는 제 1 상태에서 기어 디스크부(3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기어 디스크부(30)의 회전방향을 도 7의 (B)에 화살표로 표시하였다.The second state may correspond to a case in which the gear disk unit 30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first stat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gear disk part 30 is indicated by an arrow in FIG. 7B.

여기서, 제 1 홈부(21)의 양쪽 끝단 중 휠 디스크부(20)의 중심에 인접한 한쪽 끝단을 일측 끝단이라 하고, 다른 쪽 끝단을 타측 끝단이라고 가정하자.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 1 홈부(21)의 일측 끝단은 제 2 홈부(31)의 일측 끝단에 대응되고, 제 1 홈부(21)의 타측 끝단은 제 2 홈부(31)의 타측 끝단에 대응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Here, it is assumed that one end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wheel disk unit 20 among both ends of the first groove portion 21 is referred to as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referred to as the other end. From another perspective, one end of the first groove portion 21 corresponds to one end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31 ,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groove portion 21 corresponds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31 . can be seen as

이러한 경우에는, 도 7의 (A)의 제 1 상태에서는 제 1 홈부(21)의 일측 끝단에 인접한 부분이 제 2 홈부(31)의 일측 끝단(E1)에 인접한 부분과 중첩하고, 도 7의 (B)의 제 2 상태에서는 제 1 홈부(21)의 타측 끝단에 인접한 부분이 제 2 홈부(31)의 타측 끝단(E2)에 인접한 부분과 중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first state of FIG. 7A , a portion adjacent to one end of the first groove portion 21 overlaps a portion adjacent to one end E1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31, and in FIG. In the second state of (B), it can be seen that the portion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groove portion 21 overlaps the portion adjacent to the other end E2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31 .

이처럼, 제 1 홈부(21)와 제 2 홈부(31)가 중첩하는 부분이 달라지는 것은 이하에서 설명하겠지만 제 1 홈부(21)와 제 2 홈부(31)를 관통하는 가이드 로드부(미도시)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As such, the difference in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first groove portion 21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31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guide rod portion (not shown) passing through the first groove portion 21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31 is It may mean that the location is changed.

이러한 가이드 로드부에 대해 첨부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FIGS. 8 to 11 with respect to the guide rod portion as follows.

도 8 내지 도 11은 가이드 로드부와 클램핑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8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guide rod part and the clamping part.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part described in detail above may be omitted.

클램핑부(40)는 휠 디스크부(20)의 후면(RS)에 위치할 수 있다.The clamping part 40 may b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RS of the wheel disk part 20 .

클램핑부(40)는 기어 디스크부(30)의 회전에 따라 수평방향(DRH)으로 이동하고, 일측 끝단이 내륜부(11)의 함몰부(11a)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clamping part 40 may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ear disk part 30 , and one end may include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art 11a of the inner ring part 11 .

이러한 클램핑부(40)는,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리부(Leg Part, 41) 및 머리부(Head Part, 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amping part 40 may include, as shown in FIG. 8 , a leg part 41 and a head part 42 .

다리부(41)는 수평방향(DRH)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leg part 41 may include a por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다리부(410에는 가이드 로드부(50)가 연결되기 위한 가이드 홀(43)이 형성될 수 있다.A guide hole 43 through which the guide rod part 50 is connected may be formed in the leg part 410 .

머리부(42)는 다리부(41)의 끝단에 연결되고, 내륜부(11)의 함몰부(11a)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머리부(420는 내륜부(11)의 함몰부(11a)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The head part 42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leg part 41 , and may correspond to the depression part 11a of the inner ring part 11 . From another point of view,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d 420 may be inserted into the depression 11a of the inner ring 11 .

이러한 경우, 휠 부분과 타이어 부분이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heel portion and the tire portion may be strongly coupled.

도 9를 살펴보면, 가이드 로드부(50)는 중간부분(52), 연결부분(53) 및 걸림부분(51)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guide rod part 50 may include an intermediate part 52 , a connection part 53 , and a locking part 51 .

여기서, 연결부분(53)은 클램핑부(40)의 다리부(41)에 형성된 가이드 홀(43)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로드부(50)가 클램핑부(40)에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connection part 53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43 formed in the leg part 41 of the clamping part 40 . Accordingly, the guide rod part 50 may be fixed to the clamping part 40 .

걸림부분(51)은 기어 디스크부(30)에 걸리는 부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걸림부분(51)의 직경은 기어 디스크부(30)에 형성되는 제 2 홈부(31)의 폭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51 may be a portion caught in the gear disk unit 30 . To this end,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engaging portion 51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31 formed in the gear disk portion 30 .

중간부분(52)은 기어 디스크부(30)의 제 2 홈부(31) 및 휠 디스크부(20)의 제 1 홈부(21)를 지나는 부분(관통하는 부분)일 수 있다.The intermediate portion 52 may be a portion passing (through) the second groove portion 31 of the gear disk portion 30 and the first groove portion 21 of the wheel disk portion 20 .

가이드 로드부(50)가 클램핑부(40)에 연결된 상태가 도 10에 나타나 있다.A state in which the guide rod part 50 is connected to the clamping part 40 is shown in FIG. 10 .

도 10을 살펴보면, 클램핑부(40), 휠 디스크부(20), 기어 디스크부(30)가 차례로 위치하고, 가이드 로드부(50)가 제 1 홈부(21)와 제 2 홈부(31)를 관통하여 클램핑부(40)에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clamping part 40 , the wheel disc part 20 , and the gear disc part 30 are sequentially positioned, and the guide rod part 50 passes through the first groove part 21 and the second groove part 31 . to be connected to the clamping unit 40 .

이러한 상태에서 가이드 로드부(50)는 제 1 홈부(21) 및/또는 제 2 홈부(3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guide rod part 50 may move along the first groove part 21 and/or the second groove part 31 .

이처럼, 가이드 로드부(50)는 제 1 홈부(21)와 제 2 홈부(31)를 관통하여 휠 디스크부(20)와 기어 디스크부(30)를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 로드부(50)는 기어 디스크부(20)의 회전에 따라 제 1 홈부(21) 및/또는 제 2 홈부(3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As such, the guide rod part 50 may connect the wheel disk part 20 and the gear disk part 30 through the first groove part 21 and the second groove part 31 . In addition, the guide rod part 50 may move along the first groove part 21 and/or the second groove part 31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ear disk part 20 .

이와 같이, 가이드 로드부(50)가 제 1 홈부(21) 및/또는 제 2 홈부(31)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가이드 로드부(50)에 연결된 클램핑부(40)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guide rod part 50 moves along the first groove part 21 and/or the second groove part 31 , the clamping part 40 connected to the guide rod part 50 may also move.

도 11을 살펴보면, 클램핑부(40)의 머리부(42)의 외측면, 즉 수평방향(DRH)으로 외부를 향하는 면은 외부를 향해 볼록한 형태를 갖는 부분(CVP)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머리부(42)의 볼록한 형태를 갖는 부분을 볼록 부분(CVP)이라고 칭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42 of the clamping part 40 , that is, the surface facing out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may include a portion CVP having a convex shape toward the outside. A portion having a convex shape of the head portion 42 may be referred to as a convex portion CVP.

머리부(42)의 볼록 부분(CVP)의 곡률은 내륜부(11)의 함몰부(11a)의 곡률과 대략 유사 혹은 동일할 수 있다.The curvature of the convex portion CVP of the head 42 may be substantially similar to or the same as the curvature of the concave portion 11a of the inner ring portion 11 .

도 12 내지 도 15는 가이드 레일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12 to 1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guide rail unit.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part described in detail above may be omitted.

도 12를 살펴보면, 가이드 레일부(60)는 한글 자음 'ㄷ' 혹은 알파벳 대문자 'U'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가이드 레일부(60)는 일측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guide rail unit 60 may have a shape of a Korean consonant 'c' or an uppercase letter 'U'. As such, the guide rail unit 60 may have an open shape at one side.

가이드 레일부(60)는 클램핑부(4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가이드 레일부(60)는 클램핑부(40)의 다리부(4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guide rail unit 60 may guide the clamping unit 40 . In detail, the guide rail part 60 may prevent the leg part 41 of the clamping part 40 from being separated.

이를 위해, 도 13의 (A) 및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제 1 홈부(21)에 하나의 가이드 레일부(60)가 대응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S. 13A and 13B , one guide rail part 60 may correspond to one first groove part 21 .

다른 관점에서 보면, 가이드 레일부(60)는 휠 디스크부(20)의 후면(RS)에서 제 1 홈부(21)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From another point of view, the guide rail unit 6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first groove unit 21 on the rear surface RS of the wheel disk unit 20 .

또 다른 관점에서 보면, 가이드 레일부(60)는 다리부(4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휠 디스크부(20)의 후면(RS)에서 제 1 홈부(21)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From another point of view, the guide rail part 60 includes a portion positioned at the edge of the first groove part 21 on the rear surface RS of the wheel disk part 20 in order to prevent the leg part 41 from being separated. can do.

아울러, 가이드 레일부(60)의 개방된 부분은 수평방향(DRH)으로 외부를 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 portion of the guide rail unit 60 may face out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가이드 레일부(60)와 클램핑부(40)가 휠 디스크부(20)의 후면(RS)에 배치된 상태가 도 14 내지 도 15에 나타나 있다.A state in which the guide rail part 60 and the clamping part 40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RS of the wheel disk part 20 are shown in FIGS. 14 to 15 .

도 14는 휠 디스크부(20), 기어 디스크부(30), 가이드 레일부(60) 및 클램핑부(40)가 결합된 상태를 휠 디스크부(20)의 후면(RS)에 바라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휠 디스크부(20), 기어 디스크부(30), 가이드 레일부(60) 및 클램핑부(40)가 결합된 상태를 휠 디스크부(20)의 전면(FS), 즉 기어 디스크부(30)의 전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 disc part 20, the gear disc part 30, the guide rail part 60, and the clamping part 40 are combined as viewed from the rear surface RS of the wheel disc part 20; and FIG. 15 shows a state in which the wheel disk part 20, the gear disk part 30, the guide rail part 60 and the clamping part 40 ar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FS of the wheel disk part 20, that is, the gear It is a view showing the view from the front of the disk unit (30).

도 14를 살펴보면, 클램핑부(40)의 다리부(41)가 가이드 레일부(60)의 개방된 부분으로부터 끼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it can be seen that the leg part 41 of the clamping part 40 is fitted from the open part of the guide rail part 60 .

이에 따라, 도 14 내지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핑부(40)의 머리부(42)는 가이드 레일부(60)의 개방된 부분으로부터 돌출(혹은 노출)될 수 있다. 아울러, 클램핑부(40)의 머리부(42)는 원주방향으로 휠 디스크부(20)의 측면보다 더 돌출(혹은 노출)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S. 14 to 15 , the head part 42 of the clamping part 40 may protrude (or be exposed) from the open part of the guide rail part 60 . In addition, the head portion 42 of the clamping portion 40 may protrude (or exposed) more than the side surface of the wheel disk portion 2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16 내지 도 19는 회전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16 to 1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rotating part.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part described in detail above may be omitted.

회전부(70)는 기어 디스크부(30)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rotating unit 70 may rotate the gear disk unit 30 .

이러한 회전부(70)는, 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기어부(Second Gear Part, G2, 71) 및 서브 회전부(Sub Rotating Part, 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ng part 70 may include, as shown in FIG. 16 , a second gear part (G2, 71) and a sub rotating part (Sub Rotating Part, 72).

제 2 기어부(71, G2)는 기어 디스크부(30)의 제 1 기어부(G1)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기어부(71, G2)는 제 1 기어부(G1)와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작업 위치, 작업 방향, 제 1 기어부(G1)의 구조 등을 고려하면, 제 2 기어부(71, G2)는 웜 기어(Worm Gear) 타입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second gear parts 71 and G2 may be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gear part G1 of the gear disk part 30 . Any of these second gear parts 71 and G2 may be applied as long as they can rotate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gear part G1. For example,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working position, working direc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first gear unit G1 ,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second gear units 71 and G2 be a worm gear type.

서브 회전부(72)는 제 2 기어부(71, G2)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sub-rotation unit 72 may rotate the second gear units 71 and G2.

이러한 서브 회전부(72)는,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벨 기어(Bevel Gear) 타입의 제 1 베벨기어(First Bevel Gear, 73)와 제 2 베벨기어(Second Bevel Gear, 74)를 포함할 수 있다.This sub-rotation unit 72,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 a first bevel gear (First Bevel Gear, 73) of a bevel gear type and a second bevel gear (Second Bevel Gear, 74) may include

제 1 베벨기어(73)의 회전축에는 제 2 기어부(71, G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베벨기어(73)의 회전축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기어부(71, G2)로 사용될 수 있다.Second gear parts 71 and G2 may be forme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bevel gear 73 . That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bevel gear 73 may be used as the second gear unit 71 , G2 .

여기서, 소정의 기구를 이용하여 제 2 베벨기어(74)의 회전축(75)을 회전시키면, 제 1 베벨기어(73) 및 그 회전축에 형성된 제 2 기어부(71, G2)가 회전할 수 있다.Here, when the rotation shaft 75 of the second bevel gear 74 is rotated using a predetermined mechanism, the first bevel gear 73 and the second gear parts 71 and G2 formed on the rotation shaft may rotate. .

그러면, 제 2 기어부(71, G2)에 맞물린 제 1 기어부(G1)를 포함하는 기어 디스크부(30)가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Then, the gear disk part 30 including the first gear part G1 meshed with the second gear parts 71 and G2 may rotate.

회전부(70)는,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휠 디스크부(20)의 전면(FS)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8 , the rotating part 70 may be disposed on the edge of the front surface FS of the wheel disk part 20 .

예를 들면, 회전부(70)의 서브 회전부(72)가 휠 디스크부(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회전홀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 sub-rotation unit 72 of the rotating unit 70 may be fixed to the rotating hole formed at the edge of the wheel disk unit 20 by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이를 위해, 휠 디스크부(20)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도록 휠 디스크부(20)의 직경(R2)은 기어 디스크부(30)의 직경(R3)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o this end,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R2 of the wheel disk portion 2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R3 of the gear disk portion 30 so that the edge of the wheel disk portion 20 is exposed.

회전홀은 앞선 도 3에서 설명한 바 있다.The rotation hole has been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기어 디스크부(30)의 제 1 기어부(G1)는 회전부(70)의 제 2 기어부(71, G2)와 맞물리고, 회전부(70)에 의해 기어 디스크부(30)가 회전하는 것을 고려하면, 기어 디스크부(30)의 테두리의 일부 영역에만 제 1 기어부(G1)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Considering that the first gear part G1 of the gear disc part 30 is meshed with the second gear parts 71 and G2 of the rotating part 70 , the gear disc part 30 is rotated by the rotating part 70 . If it is, it is possible to form the first gear part G1 only in a partial area of the edge of the gear disk part 30 .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어 디스크부(30)의 테두리의 제 1 영역(AR1)에 제 1 기어부(G1)가 형성되고, 기어 디스크부(30)의 테두리의 나머지 영역에는 제 1 기어부(G1)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9 , the first gear part G1 is formed in the first area AR1 of the edge of the gear disk part 30 , and the remaining area of the edge of the gear disk part 30 . The first gear part G1 may not be formed.

도 20 내지 도 25는 클램핑부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20 to 2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clamping unit.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part described in detail above may be omitted.

클램핑부(40)의 머리부(42)의 적어도 일부가 내륜부(11)의 함몰부(11a)에 삽입되는 것을 고려하면, 클램핑부(40)의 머리부(42)의 수직방향(DRV)으로의 폭(T2)은 내륜부(11)의 수직방향(DRV)으로의 폭(T1)보다는 작을 수 있다.Considering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d portion 42 of the clamping portion 40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11a of the inner ring portion 11, the vertical direction DRV of the head portion 42 of the clamping portion 40 is The width T2 of the furnace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T1 of the inner ring part 11 in the vertical direction DRV.

반면에, 클램핑부(40)의 머리부(42)가 내륜부(11)와 맞닿는 부분의 면적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기 위해서는, 도 20 내지 도 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핑부(40)의 머리부(42)의 수직방향(DRV)으로의 폭(T2)은 충분히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latively increase the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head portion 42 of the clamping portion 40 abuts against the inner ring portion 11, as shown in FIGS. 20 to 21 , the head of the clamping portion 40 is It may be desirable that the width T2 of the portion 42 in the vertical direction DRV is sufficiently large.

자세하게는, 도 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DVR)으로 머리부(42)의 폭(T2)은 가이드 로드부(50)로부터 가이드 레일부(60)까지의 폭(T3)보다 더 클 수 있다.In detail, as shown in FIG. 21 , the width T2 of the head 42 in the vertical direction DVR is larger than the width T3 from the guide rod 50 to the guide rail 60 . can

아울러, 클램핑부(40)의 머리부(42)는 수직방향(DRV)으로 전방을 향해 가이드 로드부(50)보다 더 돌출되고, 후방을 향해 가이드 레일부(60)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part 42 of the clamping part 40 may protrude more than the guide rod part 50 toward the front in the vertical direction DRV, and may protrude more than the guide rail part 60 toward the rear.

여기서, 전방은 휠 디스크부(20)의 전면(FS)이 향하는 방향이고, 후방은 휠 디스크부(20)의 후면(RS)이 향하는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Here, the front may be a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surface FS of the wheel disk unit 20 faces, and the rear may be referred to as a direction in which the rear surface RS of the wheel disk unit 20 faces.

클램핑부(40)의 머리부(42)는 기어 디스크부(30)의 회전에 대응하여 수평방향(DRH)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아울러, 이해를 돕기 위해 필요에 따라 앞선 도 7과 그에 따른 내용을 더 참고하기로 한다.The head part 42 of the clamping part 40 is capable of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gear disk part 30 . In this regard, referring to FIGS. 22 and 23 , it is as follows. In addition, in order to help understanding, further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preceding FIG. 7 and related contents as necessary.

도 22의 (A) 및 (B)에는 제 1 상태에서 가이드 로드부(50)가 제 2 홈부(31)의 일측 끝단(E1)에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경우는, 가이드 로드부(50)가 제 1 홈부(21)의 일측 끝단에 인접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라고도 볼 수 있다.22(A) and (B) show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the guide rod part 50 is positioned adjacent to one end E1 of the second groove part 31 in the first state. In this case, the guide rod part 50 can also be viewed as a case where it is position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first groove part 21 .

이러한 제 1 상태에 대해 앞선 도 7의 (A)에서 설명한 바 있다.This first state has been previously described in (A) of FIG. 7 .

앞선 도 7의 (A)와 도 22의 (A) 및 (B)를 함께 고려하면, 제 1 상태에서 제 2 홈부(31)의 일측 끝단(E1)에 인접한 부분과 제 1 홈부(21)의 일측 끝단에 인접한 부분이 서로 중첩하고, 제 2 홈부(31)와 제 1 홈부(21)가 중첩한 부분에 가이드 로드부(50)가 위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7 (A) and 22 (A) and (B) are considered together, the portion adjacent to one end E1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31 and the first groove portion 21 in the first state It can be seen that parts adjacent to one end overlap each other, and the guide rod part 50 is positioned at a part where the second groove part 31 and the first groove part 21 overlap.

이러한 제 1 상태에서는 클램핑부(40)의 머리부(42)가 휠 디스크부(20)의 테두리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In this first state, the head 42 of the clamping part 40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edge of the wheel disk part 20 .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부(70)가 기어 디스크부(30)를 회전시키면 가이드 로드부(50)가 제 2 홈부(31) 및 제 1 홈부(21)를 따라 외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를 제 2 상태라고 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rotating part 70 rotates the gear disk part 30 , the guide rod part 50 may move outwardly along the second groove part 31 and the first groove part 21 . This state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state.

도 23의 (A) 및 (B)에는 제 2 상태에서 가이드 로드부(50)가 제 2 홈부(31)의 타측 끝단(E2)에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경우는, 가이드 로드부(50)가 제 1 홈부(21)의 타측 끝단에 인접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라고도 볼 수 있다.23 (A) and (B) show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the guide rod part 5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other end E2 of the second groove part 31 in the second state. In this case, the guide rod part 50 may also be viewed as a case in which the guide rod part 5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groove part 21 .

이러한 제 2 상태에 대해 앞선 도 7의 (B)에서 설명한 바 있다.This second state has been previously described in (B) of FIG. 7 .

앞선 도 7의 (B)와 도 23의 (A) 및 (B)를 함께 고려하면, 제 2 상태에서 제 2 홈부(31)의 타측 끝단(E2)에 인접한 부분과 제 1 홈부(21)의 타측 끝단에 인접한 부분이 서로 중첩하고, 제 2 홈부(31)와 제 1 홈부(21)가 중첩한 부분에 가이드 로드부(50)가 위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7(B) and 23(A) and (B) of the preceding FIGS. It can be seen that parts adjacent to the other end overlap each other, and the guide rod part 50 is positioned at a part where the second groove part 31 and the first groove part 21 overlap.

이러한 제 2 상태에서는 클램핑부(40)의 머리부(42)가 수평방향(DRH)으로 휠 디스크부(20)의 테두리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In this second state, the head 42 of the clamping unit 40 may move away from the rim of the wheel disk unit 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이처럼, 제 2 상태에서 클램핑부(40)의 머리부(42)가 수평방향(DRH)으로 휠 디스크부(20)의 테두리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게 되면, 도 24 내지 도 2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머리부(42)의 적어도 일부가 내륜부(11)의 함몰부(11a)에 삽입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head 42 of the clamping part 40 moves away from the rim of the wheel disk part 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in the second state, as shown in FIGS. 24 to 25 ,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d portion 42 may be inserted into the depression portion 11a of the inner ring portion 11 .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가이드 로드부(50)가 제 2 홈부(31)의 타측 끝단(E2) 및/또는 제 1 홈부(21)의 타측 끝단에 인접하거나 대응되는 경우, 클램핑부(40)의 일측 끝단, 즉 머리부(42)의 적어도 일부가 내륜부(11)의 함몰부(11a)에 삽입될 수 있다.Summarizing the above, when the guide rod part 50 is adjacent to or corresponds to the other end E2 of the second groove part 31 and/or the other end of the first groove part 21, the clamping part 40 is One end,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head portion 42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11a of the inner ring portion 11 .

이처럼, 클램핑부(40)의 머리부(42)의 적어도 일부가 내륜부(11)의 함몰부(11a)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타이어 부분과 휠 부분이 결합됨으로써 차축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타이어 부분, 즉 내륜부(11)와 외륜부(10)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차량의 정상적인 주행이 가능할 수 있다.As such, when at least a part of the head 42 of the clamping part 40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art 11a of the inner ring part 11, the tire part and the wheel part are coupled to thereby convert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axle to the tire part; That is, it is possible to transmit to the inner ring portion 11 and the outer ring portion 10 . In this case, normal driving of the vehicle may be possible.

반면에, 가이드 로드부(50)가 제 2 홈부(31)의 일측 끝단(E1) 및/또는 제 1 홈부(21)의 일측 끝단에 인접하거나 대응되는 경우, 클램핑부(40)의 일측 끝단, 즉 머리부(42)가 내륜부(11)의 함몰부(11a)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guide rod part 50 is adjacent to or corresponding to one end E1 of the second groove part 31 and/or one end of the first groove part 21, one end of the clamping part 40, That is, the head portion 42 may be separated from the depression portion 11a of the inner ring portion 11 .

이처럼, 클램핑부(40)의 머리부(42)가 내륜부(11)의 함몰부(11a)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는 타이어 부분, 즉 외륜부(10)와 내륜부(11)를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uch, in a state in which the head portion 42 of the clamping portion 40 is separated from the depression portion 11a of the inner ring portion 11,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tire portion, that is, the outer ring portion 10 and the inner ring portion 11. do.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는 회전부(70)를 이용하여 기어 디스크부(30)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타이어 부분과 휠 부분을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n the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uple or separate the tire part and the wheel part only by rotating the gear disk part 30 using the rotating part 70 .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는 타이어 부분만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휠 부분의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the tire part can be replaced, the wheel part can be reused.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는 타이어 부분의 장착 및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타이어 부분의 장착 및 교체 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mounting and replacing the tire part, and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of the tire part.

도 26은 휠 커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26 is a view for explaining a wheel cover.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part described in detail above may be omitted.

도 2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휠 커버(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6 , the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heel cover 80 .

휠 커버(80)는 비공기입 타이어의 전방에서 기어 디스크부(30) 및 휠 디스크부(20)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wheel cover 80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gear disc part 30 and the wheel disc part 20 from the front of the non-pneumatic tire.

예를 들면, 휠 커버(80)는 휠 디스크부(20)에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wheel cover 80 may be fastened to the wheel disk unit 20 .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지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외륜부(Outer Ring Part);
상기 외륜부의 내측면(Inner Side Surface)에 배치되고, 차축과 교차하는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복수의 함몰부를 포함하는 내륜부(Inner Ring Part);
차축과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판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 1 홈부(First Hollow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차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휠 디스크부(Wheel Disk part);
판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부에 대응되며 상기 제 1 홈부와 교차하는 복수의 제 2 홈부(Second Hollow Part)를 포함하고, 테두리에 제 1 기어부(First Gear Part)가 형성되고, 상기 휠 디스크부의 전면(Front Surface)에 대응되는 기어 디스크부(Gear Disk Part);
상기 기어 디스크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Rotating Part);
상기 제 1 홈부와 상기 제 2 홈부를 관통하여 상기 휠 디스크부와 상기 기어 디스크부를 연결하고, 상기 기어 디스크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홈부 및 상기 제 2 홈부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로드부(Guide Rod Part); 및
상기 가이드 로드부가 고정되고, 상기 기어 디스크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일측 끝단이 상기 내륜부의 상기 함몰부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클램핑부(Clamping Part);
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Outer ring part includ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ground (Outer Ring Part);
It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ing portion (Inner Side Surface), the inner ring portion (Inner Ring Part) comprising a plurality of depressions formed by depres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le;
It includes a part connected to the axle, includes a part having a plate shap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groove parts (First Hollow Part) including a part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axle Wheel disk part (Wheel Disk part);
It includes a portion having a plate shap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groov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portion and intersecting the first groove portion, and a first gear portion is formed on the edge. and a gear disk part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wheel disk part (Gear Disk Part);
a rotating part (Rotating Part) for rotating the gear disk part;
A guide rod that passes through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to connect the wheel disk and the gear disk, and moves along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ear disk. Part); and
a clamping part in which the guide rod part is fixed, and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ear disk part, and one end includes a part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part of the inner ring part;
A non-pneumatic tir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다리부(Leg Part); 및
상기 다리부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내륜부의 함몰부에 대응되는 머리부(Head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로드부는 상기 다리부에 고정되고,
상기 머리부의 외측면은 외부를 향해 볼록한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clamping part
a leg portion including a por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head part connected to the end of the leg part and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art of the inner ring part;
including,
The guide rod part is fixed to the leg part,
The non-pneumatic tire includes a portion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is convex toward the outsi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휠 디스크부의 후면(Rear Surface)에 배치하고, 상기 다리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홈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개방된 부분을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부(Guide Rail Part)를 더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3. The method of claim 2,
A guide lever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heel disk portion, including a portion positioned at the edge of the first groove portion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leg portion, and including a portion open to the out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non-pneumatic tire further comprising a part (Guide Rail Pa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과 나란한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상기 머리부의 폭은 상기 가이드 로드부로부터 상기 가이드 레일부까지의 폭보다 더 크고, 상기 내륜부의 폭보다는 더 작은 비공기입 타이어.
4. The method of claim 3,
A width of the head in a vertical direction parallel to the axle is greater than a width from the guide rod portion to the guide rail portion and is smaller than a width of the inner r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홈부의 길이는 상기 제 1 홈부의 길이보다 더 길고,
상기 제 1 홈부의 일측 끝단은 상기 제 2 홈부의 일측 끝단에 대응되고, 상기 제 1 홈부의 타측 끝단은 상기 제 2 홈부의 타측 끝단에 대응되고,
상기 제 2 홈부의 일측 끝단은 상기 제 2 홈부의 타측 끝단보다 상기 기어 디스크부의 중심보다 더 인접하고,
상기 제 2 홈부는 휘어진 부분을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length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groove portion,
One end of the first groove corresponds to one end of the second groove, the other end of the first groove corresponds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roove,
One end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is closer than the center of the gear disk portion tha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The second groove portion includes a curved portion of the non-pneumatic tir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 2 홈부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 사이의 중간지점과 상기 기어 디스크부의 중심을 함께 지나는 직선을 제 1 직선이라 할 때,
상기 제 2 홈부의 일측 끝단에 인접한 부분에서의 진행방향과 상기 제 1 직선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 2 홈부의 타측 끝단에 인접한 부분에서의 진행방향과 상기 제 1 직선 사이의 각도보다 더 작은 비공기입 타이어.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gear disk portion and the midpoint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gether is a first straight line,
The angle between the moving direction in the portion adjacent to one end of the second groove and the first straight line is smaller than the angle between the moving direction in the portion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roove and the first straight line. tir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로드부가 상기 제 2 홈부의 타측 끝단 및/또는 상기 제 1 홈부의 타측 끝단에 인접하거나 대응되는 경우, 상기 클램핑부의 일측 끝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부가 상기 제 2 홈부의 일측 끝단 및/또는 상기 제 1 홈부의 일측 끝단에 인접하거나 대응되는 경우, 상기 클램핑부의 일측 끝단이 상기 함몰부로부터 이탈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guide rod part is adjacent to or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roove part and/or the other end of the first groove part, at least a part of one end of the clamp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art,
When the guide rod portion is adjacent to or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and/or one end of the first groove portion, the one end of the clamp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recessed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기어 디스크부의 상기 제 1 기어부와 맞물리는 제 2 기어부(Second Gear Part); 및
상기 제 2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서브 회전부(Sub Rotating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어부는 웜 기어(Worm Gear) 타입인 비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ng part
a second gear part engaged with the first gear part of the gear disk part (Second Gear Part); and
a sub-rotating part rotating the second gear part;
including,
The second gear unit is a non-pneumatic tire of a worm gear typ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휠 디스크부의 직경은 상기 기어 디스크부의 직경보다 더 크고,
상기 내륜부의 직경은 상기 휠 디스크부의 직경보다 더 크고,
상기 서브 회전부는 상기 휠 디스크부의 전면에 고정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iameter of the wheel disk portion i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gear disk portion,
The diameter of the inner ring portion i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wheel disk portion,
The sub-rotating part is a non-pneumatic tire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wheel disk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륜부의 내측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상기 함몰부의 폭은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함몰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큰 비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A width of the depression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ring portion is greater than a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depressions.
KR1020200155697A 2020-11-19 2020-11-19 Non-pneumatic tire KR1024128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697A KR102412865B1 (en) 2020-11-19 2020-11-19 Non-pneumatic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697A KR102412865B1 (en) 2020-11-19 2020-11-19 Non-pneumatic t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167A true KR20220069167A (en) 2022-05-27
KR102412865B1 KR102412865B1 (en) 2022-06-27

Family

ID=8179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697A KR102412865B1 (en) 2020-11-19 2020-11-19 Non-pneumatic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86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470A (en) * 2002-03-19 2003-09-26 송화석 Nonskid device for car
US20100170603A1 (en) * 2008-04-29 2010-07-08 Polyakovics Frank L Easily mountable and removable universally adjustable traction apparatus for vehicle tires
KR20150129140A (en) 2014-05-08 2015-11-1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Non-pneumatic tire having replaceable tread
KR101692258B1 (en) 2015-12-04 2017-01-0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Airless tyre tread-changeable
CN209776030U (en) * 2019-03-18 2019-12-13 宜兴高等职业技术学校 anti-prick non-pneumatic ty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470A (en) * 2002-03-19 2003-09-26 송화석 Nonskid device for car
US20100170603A1 (en) * 2008-04-29 2010-07-08 Polyakovics Frank L Easily mountable and removable universally adjustable traction apparatus for vehicle tires
KR20150129140A (en) 2014-05-08 2015-11-1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Non-pneumatic tire having replaceable tread
KR101692258B1 (en) 2015-12-04 2017-01-0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Airless tyre tread-changeable
CN209776030U (en) * 2019-03-18 2019-12-13 宜兴高等职业技术学校 anti-prick non-pneumatic ty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865B1 (en) 202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843B1 (en) Non pneumatic tire
KR102005417B1 (en) Rim for non pneumatic tire and wheel including the same
KR101053915B1 (en) Pneumatic Tires
CN110799351A (en) Rolling assembly with rim whose flanges form a support of increased axial width
KR102412865B1 (en) Non-pneumatic tire
US10696094B2 (en) Damper assembly
KR102154615B1 (en) Non-pneumatic cylinder tire
KR102546832B1 (en) Non-pneumatic tire
JP4343636B2 (en) Tire rim assembly
JP2018079886A (en) Non-pneumatic tire and two-wheeled vehicle
KR102495867B1 (en) Spoke structure of non-pneumatic tire
KR102495966B1 (en) Non-pneumatic tire including the blade
US10889148B1 (en) Airless tire
KR102613840B1 (en) Wheel reinforcement for vehicle
KR102451805B1 (en) Easy installation dirtproof low noise airless tire
CN219172100U (en) Shock-absorbing tire
KR102412858B1 (en) Non-pneumatic tire
KR101450475B1 (en) Non pneumatic tire
KR102547341B1 (en) Heat sink and tire with the heat sink
US10220652B2 (en) Damper assembly
CN210941162U (en) Lightweight spoke with reinforcing ribs and wheel
JP4248823B2 (en) Tire / wheel assembly and run-flat support
CN205292125U (en) Five -pointed star axletree tire
CN205292130U (en) Triangle -shaped axletree tire
JP2020097251A (en) Rotational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