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941A - 연속 필라멘트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 필라멘트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941A
KR20220068941A KR1020210159418A KR20210159418A KR20220068941A KR 20220068941 A KR20220068941 A KR 20220068941A KR 1020210159418 A KR1020210159418 A KR 1020210159418A KR 20210159418 A KR20210159418 A KR 20210159418A KR 20220068941 A KR20220068941 A KR 20220068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mesh belt
lift
deposition
nonwoven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비아스 바그너
디르크 뷔트너
알렉산더 클라인
Original Assignee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20130593.1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20130593A1/de
Priority claimed from EP20208671.6A external-priority patent/EP4001488B1/d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filed Critical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Publication of KR20220068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04H3/03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at random
    • D04H3/033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at random reorientation immediately after yarn or filament form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7/00Felting apparatus
    • D04H17/10Felting apparatus for felting between rollers, e.g. heated rollers
    • D04H17/12Multi-roller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01D5/0985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by means of a flowing gas (e.g. melt-blow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7/00Collecting the newly-spun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0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having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e.g. natural fibres, prestretched or fibrillated artificial fibres
    • D04H1/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having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e.g. natural fibres, prestretched or fibrillated artificial fibres and hardened by felting; Felts or felted products
    • D04H1/10Felts made from mixtures of fibres
    • D04H1/14Felts made from mixtures of fibres and incorporating inorganic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3/011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필라멘트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부직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필라멘트를 방사하기 위한 방사기 및 필라멘트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가 있다. 침착 메시 벨트는 부직포 웨브를 형성하기 위해 필라멘트가 침착될 수 있는 침착 영역을 갖는다. 침착 메시 벨트는 그 진행 방향으로부터 노우즈 롤러에 의해 편향된다. 부직포 웨브의 진행 방향에서 침착 메시 벨트의 하류에 부직포 웨브를 위한 처리 디바이스가 있다. 부직포 웨브는 편향 구역의 상류에서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분리된 후에, 하류 처리 디바이스로 이송된다. 침착 메시 벨트 위의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롤러는 노우즈 롤러로부터 간격 A에 있는 분리 위치에서 부직포 웨브를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분리한다.

Description

연속 필라멘트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METHOD OF MAKING NONWOVEN FROM CONTINUOUS FILAMENT}
본 발명은 연속 필라멘트(filament)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필라멘트를 방사하기 위한 방사기(spinner) 및 필라멘트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cooler)를 포함하며, 또한 부직포 웨브(nonwoven web)를 형성하기 위해 침착 영역 상에 필라멘트가 침착될 수 있는 침착 메시 벨트(deposition mesh belt)가 제공되고, 노우즈 롤러(nose roller)는 하나의 편향 구역에서 침착 메시 벨트를 그 진행 방향으로부터 편향시키고, 부직포 웨브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하류 처리 디바이스는 진행 방향으로 부직포 웨브의 침착 메시 벨트의 하류에서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연속 필라멘트로 제조된 부직포 웨브를 반송(transporting) 및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속 필라멘트는 실제적으로 무한한 길이로 인해, 길이가 상당히 짧은, 예를 들어 10 ㎜ 내지 60 ㎜인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와는 상이하다.
상기에 언급된 유형의 장치 및 방법은 실제와는 상이한 설계로 알려져 있다. 그러한 장치에서, 필라멘트는 방사기에 의해 방사된 후에, 냉각기에서 냉각되고, 최종적으로 스크린형 컨베이어 벨트(screen-type conveyor belt) 상에 침착되어 부직포 웨브를 형성한다. 종래 기술의 침착 메시 벨트는 통상적으로 노우즈 롤러에 의해 편향 구역에서 진행 방향으로부터 편향되는 무한 회전하는 유공성 벨트이다. 부직포 웨브는 이러한 노우즈 롤러에 있는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침착 메시 벨트의 단부에 있는 편향 구역에서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하류 처리 디바이스로 전달되고, 따라서 편향 구역에서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알려진 장치 및 방법은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부직포 웨브의 분리에 비교적 큰 힘이 요구되고, 이와 관련하여 항상 간단하고 기능적으로 신뢰성이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어도 침착 영역에서는 침착 메시 벨트에 대한 부직포 웨브의 통상적으로 충분히 양호한 접착력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말하자면, 벨트로부터의 용이한 분리와 벨트에 대한 양호한 접착력 사이에는 트레이드오프(tradeoff)가 존재한다. 또한, 편향 구역에서의 침착 메시 벨트의 강한 편향은 침착 메시 벨트에서의 무한 필라멘트의 재밍(jamming) 또는 핀칭(pinching)을 초래한다. 그 결과,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부직포 웨브를 분리하는 데 큰 힘이 사용되며, 이는 필라멘트를 찢어서 부직포 웨브를 손상시킬 수 있다. 부직포 웨브로부터의 분리 단계 동안에 필라멘트 스크랩(filament scrap)이 찢어진 상태로 침착 메시 벨트 상에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남아있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분리 프로세스 동안 부직포 웨브에 대한 손상을 회피하기 위해,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부직포 웨브를 용이하고 기능적으로 신뢰성있게 분리하고, 부직포 웨브를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분리하는 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는 전술한 유형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부직포 웨브를 반송 및 처리하기 위한 대응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속 필라멘트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교시하며, 이 장치는, 필라멘트를 방사하기 위한 방사기 및 필라멘트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와, 부직포 웨브를 형성하기 위해 필라멘트가 침착되는 침착 영역을 갖는 침착 메시 벨트와, 편향 구역에서 침착 메시 벨트를 그 진행 방향으로부터 편향시키는 노우즈 롤러와, 부직포 웨브의 진행 방향에서 침착 메시 벨트의 하류에 있는 부직포 웨브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하류 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부직포 웨브는 편향 구역의 상류에서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분리된 후에, 하류 처리 디바이스로 이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부직포 웨브를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롤러를 가지며, 리프트 롤러는 침착 메시 벨트 위에 설정되거나 위치 가능하고, 부직포 웨브는 노우즈 롤러로부터 간격 A에 있는 분리 위치에서 리프트 롤러에 의해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기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특히 방사구이다. 침착 메시 벨트의 진행 방향은 본 발명의 맥락에서 특히 침착 메시 벨트 또는 무한 순환 침착 메시 벨트가 부직포 웨브를 운반하기 위해 이동하는 방향이다. 부직포 웨브의 진행 방향은 특히 침착 메시 벨트의 진행 방향이다. 편향 구역은 본 발명의 맥락에서 특히 침착 메시 벨트가 노우즈 롤러 위로 통과하고 그 진행 방향으로부터 편향되는 침착 메시 벨트의 단부에 있는 영역이다. 분리 영역 또는 위치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부직포 웨브가 그로부터 분리되는 침착 메시 벨트 상의 영역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 위치는 침착 메시 벨트의 진행 방향에 대해, 특히 횡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분리 라인이다. 분리 위치 또는 분리 라인은 바람직하게는 침착 메시 벨트의 진행 방향에서 편향 구역의 상류 및/또는 노우즈 롤러의 상류에 있다. 간격 A는 특히 침착 메시 벨트 상의 노우즈 롤러의 회전축의 투영부와 편향 구역 또는 분리 라인 사이의 간격이며, 회전축의 투영부는 간격 A의 영역에서 침착 메시 벨트의 종방향 연장선에 수직이다. 침착 메시 벨트의 종방향 연장선은 본 발명의 맥락에서 진행 방향과 평행하다. 적절하게는, 침착 영역은 부직포 웨브를 형성하기 위해 방사된 필라멘트가 침착되는 침착 메시 벨트의 해당 영역이다. 여기에서 그리고 하기에서, 특히, 사용 위치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작동 중일 때 장치의 작동 상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스펀본드 장치이고, 필라멘트를 신장시키기 위한 신장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멜트-블로운 장치(melt-blown apparatu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제조된 부직포 웨브를 제조하는 스펀본드 장치이다. 무한 필라멘트는 단일성분 필라멘트 및/또는 다성분 필라멘트 또는 이성분 필라멘트이다. 다성분 필라멘트 또는 이성분 필라멘트는 예를 들어 코어-시스 구성(core-sheath configuration) 또는 나란한 구성(side-by-side configuration)을 갖는 무한 필라멘트일 수 있다. 다성분 필라멘트 또는 이성분 필라멘트는 말리는 경향(tendency to curl)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제조된 다성분 연속 필라멘트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재료, 특히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스터 또는 코폴리에스터,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라멘트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가 있다. 냉각기는 바람직하게는 연속 필라멘트가 냉각을 위해 통과하는 냉각 챔버를 갖는다. 냉각 챔버의 2 개의 대향 양측에는 냉각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 구획실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공급 구획실은 냉각 챔버의 2 개의 대향 측면에 상하로 제공되며, 특히 상이한 온도의 공기를 바람직하게는 냉각 챔버 내로 도입하는 2 개의 적층된 공기 공급 구획실이다. 또한, 방사 프로세스 동안에 장치 또는 스펀본드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유해 가스를 추출하기 위해 방사기와 냉각기 사이에 단량체 흡인기(monomer aspirator) 또는 흡입 디바이스(suction device)가 제공된다. 유해 가스는 예를 들어 단량체, 소중합체 등일 수 있다.
필라멘트 진행 방향에서 냉각기의 하류에는 필라멘트를 신장시키기 위한 신장기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특히 권장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기와 신장기로 구성된 서브조립체는 폐쇄된 서브조립체이며, 냉각기에 냉각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폐쇄된 서브조립체에는 더 이상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다.
신장기와 침착 메시 벨트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디퓨저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기에서 나오는 무한 필라멘트는 디퓨저를 통해 하향으로 통과한 후에, 특히 침착 메시 벨트의 침착 영역에서, 침착 메시 벨트 상에 침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 개의 하류 디퓨저가 있다. 침착 메시 벨트 또는 무한 회전하는 침착 메시 벨트는 공기 투과성이며, 그에 따라 프로세스 공기가 침착 메시 벨트를 통해 아래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흡인기는 침착 메시 벨트의 침착 영역에서 아래로부터 침착 메시 벨트를 통해 아래로 프로세스 공기를 흡인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분리 위치가 침착 메시 벨트의 진행 방향에서 편향 구역의 상류에 놓이도록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롤러가 노우즈 롤러에 대해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프트 롤러는 침착 메시 벨트의 진행 방향에서 노우즈 롤러의 하류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 권장된다. 부직포 웨브가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롤러 위로 통과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롤러가 비흡입 리프트 롤러인 것이 최상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간격 A는 노우즈 롤러와 편향 롤러 사이의 간격 C보다 작다. 이러한 맥락에서, 편향 롤러는 특히 침착 메시 벨트를 반송하기 위한 노우즈 롤러 이외의 롤러이고, 침착 메시 벨트의 진행 방향에서 노우즈 롤러의 상류에 있다. 편향 롤러는 특히 침착 영역과 편향 영역 사이에 있다. 이것은 그 진행 방향으로부터의 편향 없이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침착 메시 벨트는 편향 롤러에 의해 그 진행 방향으로부터 편향되며, 이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침착 메시 벨트의 진행 방향 또는 부직포 웨브의 진행 방향에서 적층 영역의 하류에, 그리고 방사기 및 냉각기로부터 서브조립체의 하류에 적어도 하나의 노우즈 롤러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 롤러는 침착 메시 벨트의 진행 방향 또는 부직포 웨브의 진행 방향에서 침착 영역의 하류에 또는 유닛 방사기 및 냉각기의 하류에 있지만 노우즈 롤러의 상류에 있다. 노우즈 롤러와 편향 롤러 사이의 간격 C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특히 노우즈 롤러와 편향 롤러의 회전축 사이의 간격이며, 유리하게는 침착 메시 벨트 상에서 측정되는 회전축의 투영부들 사이의 간격이고, 회전축의 투영부는 간격 C의 영역에서 침착 메시 벨트의 종방향 연장선에 수직이다.
유리하게는, 편향 롤러와 노우즈 롤러 사이의 영역은 길이가 간격 C에 의해 한정되는 이송 테이블(transfer table)을 나타낸다. 이송 테이블은 유리하게는 부직포 웨브를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하류 처리 디바이스로 이송하는 본질적인 기능을 갖는다.
간격 A는 간격 C의 최대 50%, 바람직하게는 최대 25%,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5%,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2.5%, 예를 들어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간격 A는 노우즈 롤러의 직경 n의 적어도 25%이고, 바람직하게는 노우즈 롤러의 직경 n의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5%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간격 A는 노우즈 롤러의 직경 n의 10% 내지 5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0%,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50%이다.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롤러가 침착 메시 벨트에 대한 높이에 대해 조정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이를 위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리프트 롤러는, 높이 조정성 또는 수직 이동성의 결과로서, 시작 위치와 복수의 상이한 리프팅 위치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리프트 롤러의 시작 위치에서, 예를 들어 장치가 세정되거나 새로운 부직포 웨브 워크피스(workpiece)가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장치는 작동할 수 없다. 리프팅 위치에서, 리프트 롤러는 장치가 작동 중일 때 노우즈 롤러와 부직포 웨브의 분리 위치 또는 분리 라인 사이에 간격 A가 한정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노우즈 롤러에 대해 위치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롤러가 회전식 리프트 롤러, 특히 구동식 리프트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본적으로, 리프트 롤러가 회전하지 않고 구동되도록 설계되지 않은 단순한 원형 프로파일인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그러한 원형 프로파일은 회전축 대신에 종축을 갖는다. 리프트 롤러는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롤러가 유리하게는 리프트 롤러의 직경 d의 50%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리프트 롤러의 직경 d의 적어도 55%,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인,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의 간격 D에 있거나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간격 D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특히 침착 메시 벨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롤러의 회전축의 간격이며, 이러한 간격 D는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롤러의 영역에서 침착 메시 벨트의 종방향 연장선 또는 이러한 종방향 연장선의 가상 연장선에 수직으로 측정된다.
리프트 롤러의 직경 d는 10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 ㎜인 것이 권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롤러의 직경 d는 유리하게는 노우즈 롤러의 직경 n의 8배보다 작다.
본 발명의 범위에 매우 특별한 실시예는, 침착 메시 벨트의 진행 방향에서 노우즈 롤러의 상류에 설정되거나 위치 가능한 것이 바람직한 제2 리프트 롤러, 및 바람직하게는 침착 메시 벨트의 진행 방향에서 제2 리프트 롤러와 노우즈 롤러 사이 또는 노우즈 롤러의 하류에 설정되거나 위치 가능한 것이 바람직한 제1 리프트 롤러를 포함하는 적어도 2 개, 특히 단 2 개의 리프트 롤러가 제공되는 것이다.
적어도 2 개, 특히 정확히 2 개의 리프트 롤러가 회전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2 개, 특히 단 2 개의 리프트 롤러는 회전 가능하게 구동되는 리프트 롤러이다. 제1 리프트 롤러 및 제2 리프트 롤러가 동일한 직경 d 또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직경 d를 갖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 리프트 롤러가 서로 다른 직경(d1, d2)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적절하게는, 직경 d1 및 d2는 각각 10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 ㎜이다. 바람직하게는, 2 개의 리프트 롤러의 회전축들 사이의 간격 m은 리프트 롤러의 직경 d의 적어도 10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0%,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5%이다. 2 개의 리프트 롤러가 상이한 직경 d1 또는 d2를 갖는 경우, 이러한 정보는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리프트 롤러의 직경과 관련된다. 회전축의 간격은 유리하게는 침착 메시 벨트 상에의 리프트 롤러의 회전축의 투영부들 사이에서 측정되며, 회전축의 투영부는 리프트 롤러의 영역에서 침착 메시 벨트의 종방향 연장선에 수직이다. 2 개의 리프트 롤러의 회전축의 간격 m은 리프트 롤러의 직경 d의 300% 미만, 바람직하게는 25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리프트 롤러가 상이한 직경을 갖는 경우, 이러한 정보는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리프트 롤러의 직경과 관련된다.
2 개의 리프트 롤러가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각각의 간격 D 또는 D1 및 D2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간격 D1 및/또는 D2는 바람직하게는 리프트 롤러의 각각의 직경 d1 또는 d2의 50%보다 크고, 특히 리프트 롤러의 각각의 직경 d1 또는 d2의 적어도 55%,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침착 메시 벨트에 대해 동일한 간격 D를 갖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 D에 위치된 적어도 2 개, 특히 단 2 개의 리프트 롤러가 있다. 리프트 롤러의 회전축과 침착 메시 벨트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거나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리프트 롤러가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상이한 간격 D1 및 D2에 있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으며, 이 경우에 침착 메시 벨트에 대한 제1 리프트 롤러의 간격 D1은 침착 메시 벨트에 대한 제1 리프트 롤러의 간격 D2보다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2 개의 리프트 롤러의 직경 d1 및 d2와, 이러한 리프트 롤러의 간격 D1 및 D2는 하기의 방정식을 충족해야 한다:
D1 + d1 > D2 - d2.
따라서, D1과 d1의 합은 D2와 d2의 차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 웨브가 리프트 롤러 위를 통과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2 개의 리프트 롤러, 특히 정확히 2 개의 리프트 롤러가 있는 경우, 부직포 웨브는 유리하게는 제2 리프트 롤러 아래로, 그리고 제1 리프트 롤러 위로 통과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2 리프트 롤러는 침착 메시 벨트의 진행 방향에서 제1 리프트 롤러의 상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직포 웨브가 제2 리프트 롤러 아래로, 그리고 제1 리프트 롤러 위로 통과하는 경우, 이러한 제1 리프트 롤러는 특히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부직포 웨브를 분리하는 역할을 하고, 제2 리프트 롤러는 침착 메시 벨트 근처에 부직포 웨브를 눌러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부직포 웨브를 눌러 유지하는 제2 리프트 롤러가 분리 위치를 제2 리프트 롤러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는 발견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한 방식으로, 노우즈 롤러로부터의 간격 A는, 특히 간격 C의 최대 25%,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바람직하게는 최대 5%,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2.5%이고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간격 C의 최대 1%, 예를 들어 0.1%이도록 추가로 제한될 수 있다. 제거 프로세스를 위한 제1 리프트 롤러 및 눌러 유지를 위한 제2 리프트 롤러를 갖는 2 개의 리프트 롤러를 사용하는 것도 분리 위치 또는 분리 라인의 위치가 제2 리프트 롤러에 의해 신뢰성있게 설정된다는 지식을 기초하고 있다. 여기에서, 특히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제2 리프트 롤러의 간격 D2는 노우즈 롤러로부터의 분리 위치 또는 분리 라인의 간격 A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침착 메시 벨트에 대한 제2 리프트 롤러의 간격 D2에 대한 침착 메시 벨트에 대한 제1 리프트 롤러의 간격 D1의 비율(D1/D2)은 바람직하게는, 제2 리프트 롤러 주위로의 부직포 웨브의 래핑 각도(wrap angle)가 보다 큰 경우, 분리 위치 또는 분리 라인이 제2 리프트 롤러의 중심을 통과하는 침착 메시 벨트에 수직인 직선의 교차점에 보다 근접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분리 위치 또는 분리 라인의 위치에 영향을 받는다. 분리 위치 또는 분리 라인이 제2 리프트 롤러에 근접하고, 특히 제2 리프트 롤러 아래에 있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2 개의 리프트 롤러, 특히 2 개의 리프트 롤러가 제공되는 경우, 리프트 롤러 둘 모두가 침착 메시 벨트에 대한 높이에 대해 조정 가능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리프트 롤러 둘 모두는 시작 위치와 리프팅 위치 사이에서 또는 상이한 리프팅 위치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리프트 롤러의 시작 위치에서, 기계가 수리되거나 장치를 통해 새로운 워크피스 웨브가 끼워질 수 있다. 장치의 작동 상태에서, 2 개의 리프트 롤러는 바람직하게는 리프팅 위치에 있다. 원칙적으로, 장치는 리프트 롤러에 의한 부직포 웨브의 분리가 필요하지 않은 한, 리프트 롤러가 시작 위치에 있는 상태로 작동될 수 있다. 제1 리프트 롤러는 침착 메시 벨트 아래의 시작 위치에 있고, 그리고/또는 제2 리프트 롤러는 침착 메시 벨트 위의 시작 위치에 있는 것이 권장된다. 원칙적으로, 리프트 롤러 둘 모두는 시작 위치에서 침착 메시 벨트 아래 또는 위에 있을 수 있다.
장치가 작동 중일 때, 침착 메시 벨트 또는 이송 테이블이 장치의 베이스 또는 지면에 평행하거나 본질적으로 평행한 것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노우즈 롤러가 수직으로 이동되거나 하강될 수 있는 것이다. 편향 롤러와 노우즈 롤러 사이에서 진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침착 메시 벨트가 장치의 베이스 또는 지면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 초과 내지 20°, 특히 3°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8°,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6°의 하향 경사로 배향되도록, 노우즈 롤러가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하강 가능할 수 있다. 침착 메시 벨트가 장치의 베이스를 향해 이러한 하향 경사를 갖기 위해서는, 침착 메시 벨트는 유리하게는 베이스 표면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진행 방향을 갖는 이전 위치로부터 편향 롤러에서 편향되어야 한다. 노우즈 롤러의 수직 이동성은 특히 노우즈 롤러의 상향 및 하향 이동이다.
본 발명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노우즈 롤러가 수평으로 이동되거나 신축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장치의 베이스는 수평이다. 노우즈 롤러의 그러한 수평 이동성 또는 신축성은 노우즈 롤러를, 예를 들어 하류 처리 디바이스에 보다 근접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노우즈 롤러와 편향 롤러 사이의 간격 C는 유리하게는 이동하거나 신축할 때 확대되고 노우즈 롤러가 후퇴될 때 감소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노우즈 롤러는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신축 가능하고,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하강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노우즈 롤러의 다양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는 발견에 기초하고 있다. 예를 들어, 침착 메시 벨트는 하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동시에, 노우즈 롤러는 하류 처리 디바이스에 보다 근접하게 이동될 수 있다. 노우즈 롤러가 이미 수직으로 이동되거나 하강된 경우, 수평 이동성 또는 신축성은 바람직하게는 침착 메시 벨트의 진행 방향으로 신축식으로, 즉 편향 롤러와 노우즈 롤러 사이의 이송 테이블 또는 침착 메시 벨트의 설정 경사에 따라, 노우즈 롤러가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노우즈 롤러가 수평으로 이동되거나 신축될 수 있고, 수직으로 하강되거나 이동될 수 있으며, 또한 리프트 롤러 또는 리프트 롤러들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은 경우, 노우즈 롤러의 상이한 위치가 설정될 수 있고, 리프트 롤러는 상하로 배치되고 노우즈 롤러로부터 분리된 롤러들 사이의 전술한 간격이 실현되도록 리프팅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간격 및 위치는 장치의 작동 상태와 관련된다.
노우즈 롤러로부터 분리 위치의 간격이 또한 노우즈 롤러의 수직 및/또는 수평 이동성 또는 신축성에 의해 조정 가능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우즈 롤러는 수평으로만 이동되거나 신축될 수 있고, 수직으로는 이동될 수 없다. 여기에서, 침착 메시 벨트는 장치 베이스 또는 지면에 평행하거나 본질적으로 평행하고, 노우즈 롤러는 수평으로 이동되거나 신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노우즈 롤러는 수직으로도 수평으로도 이동될 수 없으며, 마치 장치 베이스 또는 지면에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한 강성 침착 메시 벨트가 존재하는 것과 같다. 장치가 편향 롤러를 갖지 않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은 이들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 위치 또는 라인과 노우즈 롤러 사이의 간격 A는 노우즈 롤러와 침착 메시 벨트의 침착 영역 사이의 간격 E보다 작다. 간격 E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특히 침착 메시 벨트 상에의 노우즈 롤러의 회전축의 투영부와 침착 영역, 특히 침착 영역의 중간 사이에서 측정되며, 노우즈 롤러의 회전축의 투영부는 간격 E의 영역에서 침착 메시 벨트의 종방향 연장선에 수직이다. 간격 A는 간격 E의 최대 50%, 바람직하게는 최대 25%,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5%,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2.5%, 예를 들어 1%인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 E는 적절하게는 침착 메시 벨트가 장치 베이스 또는 지면에 평행하거나 본질적으로 평행한 장치의 상태를 지칭하고, 특히 장치가 편향 롤러를 갖지 않고, 그리고/또는 노우즈 롤러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신축 가능하지 않은 실시예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매우 특별한 실시예는 하류 처리 디바이스가 압밀기, 특히 열풍 본딩기(hot-air bonder), 예를 들어 오븐 및/또는 캘린더이며, 그리고/또는 하류 처리 디바이스가 와인더라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장치는 적어도 2 개의 하류 처리 디바이스, 예를 들어 압밀기, 특히 캘린더 및 와인더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압밀기 또는 캘린더는 부직포 웨브의 진행 방향에서 와인더의 상류에 있다. 압밀기 또는 캘린더는 특히 부직포 웨브의 압밀 또는 최종 압밀에 사용된다. 분리 위치에서의 분리 후에, 부직포 웨브는 유리하게는 압밀기 또는 캘린더로 이송된다.
압밀기 또는 캘린더가 적어도 하나의 캘린더 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한 쌍의 캘린더 롤이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캘린더 롤이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부직포 웨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하로 배열된 적어도 2 개의 캘린더 롤 사이의 갭 또는 닙을 통해 공급된다. 부직포 웨브는, 캘린더 또는 적어도 하나의 캘린더 롤 쌍이 개방되기 때문에 캘린더 롤 중 어느 것과도 접촉하지 않거나 캘린더 롤 중 하나가 접촉되어 부직포 웨브의 대응하는 측면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안내될 수 있거나, 또는 이후에 캘린더 또는 적어도 하나의 캘린더 롤 쌍이 폐쇄되기 때문에 접촉되는 캘린더 롤과 면들이 접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안내될 수 있다. 양 캘린더 롤들 사이를 통과할 때 부직포 웨브가 특히 열 본딩에 의해 압밀되는 것도 여전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압밀기 또는 캘린더에 대해 적어도 3 개의 캘린더 롤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캘린더 롤은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고, 적어도 3 개의 캘린더 롤은 상하로 배향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은 2 개의 캘린더 롤 쌍을 생성하며, 하나의 쌍은 상단 캘린더 롤과 중간 캘린더 롤에 의해 형성되고, 다른 쌍은 하단 캘린더 롤과 중간 캘린더 롤에 의해 형성된다. 부직포 웨브는 닙들 중 하나를 통과함으로써 압밀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노우즈 롤러 및/또는 리프트 롤러의 위치는 캘린더의 작동 모드의 함수로서 조정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압밀기 또는 캘린더는 부직포 웨브가 압밀되거나 최종 압밀되는 하나 이상의 압밀 구역을 형성하는 권장 치수를 갖는다. 압밀 구역은 이러한 맥락에서 부직포 웨브가 적어도 하나의 캘린더 롤과 상호 작용하거나 접촉하고, 이에 의해 압밀되거나 최종 압밀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처리되는 구역이다. 압밀기 또는 캘린더의 압밀 구역은 노우즈 롤러 및/또는 침착 메시 벨트 위에 있는 것이 권장된다. 이러한 압밀 영역의 위치는 장치의 사용 위치 또는 작동 상태를 지칭한다.
캘린더가 압밀 캘린더 및/또는 코팅 캘린더 및/또는 교정 캘린더 및/또는 라미네이션 캘린더(lamination calender) 및/또는 활성화 캘린더인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부직포 웨브는 부직포 웨브의 사전 압밀 후에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권장된다. 따라서, 부직포 웨브는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사전 압밀된다. 이를 위해, 장치는 유리하게는 침착 메시 벨트의 진행 방향에서 분리 위치의 상류에 있는 사전 압밀기를 갖는다. 부직포 웨브의 최종 압밀 전에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부직포 웨브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부직포 웨브가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부직포 웨브의 최종 압밀이 수행되도록 장치가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부직포 웨브가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부직포 웨브의 최종 압밀이 실행되는 그러한 실시예는 부직포 웨브가 코팅 캘린더 및/또는 교정 캘린더 및/또는 라미네이션 캘린더 및/또는 활성화 캘린더 및/또는 열풍 본딩기, 예를 들어 오븐으로 직접 이송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리프트 롤러 및/또는 제2 리프트 롤러가 각각의 리프트 롤러 직경의 적어도 50%인 간격 U만큼 노우즈 롤러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간격 U는 유리하게는 침착 메시 벨트 상에의 노우즈 롤러와 리프트 롤러의 회전축의 투영부들 사이에서 측정되며, 회전축의 투영부는 간격 U의 영역에서 침착 메시 벨트의 종방향 연장선 또는 이러한 종방향 연장선의 가상 연장선에 수직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2 개, 특히 단 2 개의 리프트 롤러가 제공되는 경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리프트 롤러의 직경의 적어도 50%인 노우즈 롤러로부터의 각각의 간격 U1 및 U2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연속 필라멘트로 제조된 부직포 웨브를, 특히 전술한 장치로 반송 및 처리하는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제안하며, 부직포 웨브는 편향 구역에서 노우즈 롤러에 의해 그 진행 방향으로부터 편향 가능한 침착 메시 벨트 위로 안내되고, 부직포 웨브는 다음에 하류 디바이스로 이송되고, 부직포 웨브는 편향 구역의 상류에서 메시 벨트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부직포 웨브가 침착 메시 벨트 위의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롤러를 통해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분리되도록 안내되고, 부직포 웨브가 노우즈 롤러로부터 간격 A에 설정된 분리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롤러에 의해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분리되고 이어서 부직포 웨브가 하류 처리 디바이스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하류 처리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에서, 부직포 웨브는 권취 및/또는 코팅 및/또는 교정 및/또는 활성화 및/또는 압밀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 부직포 웨브의 기능적으로 신뢰성있고 간단한 분리가 가능하고, 특히 부직포 웨브를 분리하는 데 필요한 힘이 알려진 수단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는 발견에 기초하고 있다. 부직포 웨브의 이러한 분리는 침착 메시 벨트의 진행 방향에서 편향 구역의 상류로 오프셋된 분리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롤러에 의해 수행된다. 부직포 웨브는, 원치않는 필라멘트 잔류물이 침착 메시 벨트 상에 남지 않도록, 특히, 예를 들어 필라멘트를 찢어서, 부직포 웨브를 손상시키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수단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단은 비교적 간단하고 상당한 노력 또는 비용 없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2 개, 특히 정확히 2 개의 리프트 롤러가 제공되는 경우, 분리 위치 또는 라인, 및 따라서 노우즈 롤러로부터의 간격 A가 매우 정확하게 설정된다. 리프트 롤러 또는 롤러들의 바람직한 수직 이동성 및/또는 노우즈 롤러의 수평 이동성 또는 신축성 및/또는 노우즈 롤러의 수직 이동성은 장치의 상이한 작동 파라미터, 특히 노우즈 롤러와 하류 처리 디바이스, 예를 들어 캘린더 사이의 간격을 설정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침착 메시 벨트의 기울기가 설정될 수 있고, 리프트 롤러 또는 롤러들은 분리 위치 또는 라인에서의 부직포 웨브의 분리가 편향 구역의 상류에서 일어나거나 일어날 수 있도록 침착 메시 벨트에 대해 배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비교적 적은 노력으로, 그리고 특히 부직포 웨브를 손상시키지 않고 실행될 수 있는 침착 메시 벨트로부터의 부직포 웨브의 간단하고 기능적으로 신뢰성있는 분리를 각각 보장하는 다양한 사용 위치를 갖고서, 매우 유연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서 단 하나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충분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시작 위치에서 2 개의 리프트 롤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
도 2는 제1 작동 또는 사용 위치에서 도 1의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2 작동 또는 사용 위치에서 도 1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사용 위치에서 장치의 노우즈 롤러 및 리프트 롤러의 확대도.
도면은 연속 필라멘트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하며, 이 장치는 필라멘트를 방사하는 역할을 하는 방사구(spinneret)(1)에 의해 형성된 방사기, 및 필라멘트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2)를 갖는다. 또한, 부직포 웨브(5)의 침착 영역(4)에서 필라멘트가 침착될 수 있는 침착 메시 벨트(3)가 제공된다. 적절하게는 그리고 여기에서 도면에 따르면, 장치가 스펀본드(spunbond) 장치인 경우, 이 장치는 필라멘트를 신장시키기 위한 신장기(stretcher)(17)를 갖는다. 연속 필라멘트는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단일성분 필라멘트일 수 있다. 냉각기(2)는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여기서는 연속 필라멘트가 통과하는 냉각 챔버(18)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여기에서, 상부 및 하부 냉각 구획실(19 및 20)은 서로 상하로 냉각 챔버(18)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이한 온도의 공기를 냉각 챔버(18) 내로 공급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여기에서, 방사기(1)와 냉각기(2) 사이에는, 방사 프로세스에 의해 생성된 유해 가스를 장치로부터 배출하는 단량체 흡입 디바이스(monomer suction device)(21)가 있다. 유해 가스는 예를 들어 단량체(monomer) 또는 소중합체(oligomer) 등일 수 있다.
적절하게는 그리고 여기에서, 필라멘트 진행 방향(FS) 하류의 냉각기(2)는 필라멘트를 신장시키기 위한 하류 신장기(17)이다. 적극 권장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그리고 여기에서, 냉각기(2) 및 신장기(17)에 의해 형성된 서브조립체는 폐쇄된 서브조립체이며, 냉각기(2)의 냉각 공기 공급을 제외하고는, 폐쇄된 서브조립체 내로의 더 이상의 공기 공급은 없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그리고 여기에서, 신장기(17)와 침착 메시 벨트(3) 사이에는 연속 필라멘트가 통과하는 디퓨저(diffuser)(23)가 있다. 권장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그리고 여기에서, 신장기(17)와 디퓨저(23) 사이에는 디퓨저(23) 내로 2차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2차 공기 입구 갭(24)이 있다. 디퓨저(23)를 통과한 후에, 연속 필라멘트는 부직포 웨브(5)의 영역(4)에서 침착 메시 벨트(3) 상에 침착되고, 다음에, 침착 메시 벨트(3)의 진행 방향(T)으로 침착 메시 벨트(3)에 의해 멀리 이동된다. 침착 메시 벨트(3) 아래에는, 침착 메시 벨트(3)를 통해 공기 또는 프로세스 공기를 추출하기 위한 흡인기(aspirator)(22)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침착 메시 벨트(3)는 적어도 하나의 노우즈 롤러(7) 주위의 하나의 편향 구역(6)을 통과하고, 이에 의해 그 진행 방향(T)으로부터 편향된다. 장치가 작동 중일 때(도 2 내지 도 4), 부직포 웨브(5)는 침착 메시 벨트(3)로부터 편향 구역(6)의 상류에서 분리된 후에, 적어도 하나의 하류 처리 디바이스(8)로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는, 2 개의 하류 처리 디바이스(8), 즉 캘린더(calender)(16) 및 와인더(winder)(26)가 있다.
부직포 웨브(5)를 침착 메시 벨트(3)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여기에서 도면에 따르면, 2 개의 리프트 롤러(lift roller)(9 및 14)가 있다. 권장하면, 그리고 여기에서, 리프트 롤러(9 및 14)는 침착 메시 벨트(3)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도 1에서 볼 수 있다. 리프트 롤러(9 및 14)는 유리하게는 각각의 시작 위치와 각각의 리프팅 위치 사이에서 높이 조절 가능하거나 수직으로 변위 가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프트 롤러(9 및 14)의 시작 위치는 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세정 및/또는 부직포 웨브의 삽입을 허용한다. 장치가 작동 중인 경우, 롤러(9 및 14)의 상이한 리프팅 위치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 또는 리프팅 위치에서, 리프트 롤러(9 및 14)는 침착 메시 벨트(3) 위에 있고, 부직포 웨브(5)는 노우즈 롤러(7)의 상류에 간격 A로 설정된 분리 위치 또는 라인(10)에서 침착 메시 벨트(3)로부터 리프트 롤러(9 및 14)에 의해 분리된다. 노우즈 롤러(7)와 분리 위치 또는 라인(10) 사이의 간격 A는 특히 노우즈 롤러(7)의 회전축과 분리 위치 또는 라인(10) 사이의 간격이다. 간격 A는 침착 메시 벨트(3) 상에의 노우즈 롤러(7)의 회전축의 투영부와 분리 위치 또는 라인(10) 사이의 간격이며, 회전축의 투영부는 간격 A의 영역에서 침착 메시 벨트(3)의 종방향 연장선에 수직이다(도 2 내지 도 4).
권장하면, 그리고 여기에서 도면에 따르면, 장치가 작동 중일 때, 리프트 롤러(9)는 침착 메시 벨트(3)의 진행 방향(T)에서 노우즈 롤러(7)의 상류에 있다(도 2 또는 도 3). 다른 리프트 롤러(14)는 바람직하게는 침착 메시 벨트(3)의 진행 방향(T)에서 리프트 롤러(9)의 상류에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간격 A는 여기서는 하류 노우즈 롤러(7)와 상류 편향 롤러(15) 사이의 간격 C보다 작다. 이러한 상류 편향 롤러(15)는 하류 노우즈 롤러(7)와 함께, 노우즈 롤러(7)의 상류에서 침착 메시 벨트(3)의 진행 방향(T)으로 침착 메시 벨트(3)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편향 롤러(15)는 본 실시예에서 침착 영역(4)과 편향 구역(6) 사이에 있다. 침착 메시 벨트(3)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롤러(15)에서 그 진행 방향으로부터 편향되거나(도 2 및 도 3) 롤러를 지나 직선으로 그 진행 방향으로 통과한다(도 1).
노우즈 롤러(7)와 편향 롤러(15) 사이의 간격 C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특히 노우즈 롤러(7)와 편향 롤러(15)의 회전축들 사이, 또는 간격 C의 영역에서 침착 메시 벨트(3)의 종방향 연장선에 수직인, 침착 메시 벨트(3) 상에의 회전축의 투영부들 사이의 간격이다. 간격 A는 간격 C의 최대 30%, 바람직하게는 최대 20%인 것이 권장된다. 여기에서 도 2에 따르면, 간격 A는 간격 C의 약 5%일 수 있다. 여기에서 도 3에 따르면, 간격 A는 간격 C의 약 15%일 수 있다.
리프트 롤러(9 및 14)는 여기서는 회전한다. 리프트 롤러(9 및 14)의 직경 d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 ㎜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그리고 여기에서, 제1 리프트 롤러(9) 및 제2 리프트 롤러(14)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 d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본 실시예(특히 도 4)에서, 장치가 작동 중일 때 2 개의 리프트 롤러(9 및 14)의 회전축들 사이의 간격 m은 리프트 롤러(9 및 14) 각각의 직경의 적어도 115%이다. 여기에서 도면에 따르면, 2 개의 리프트 롤러(9 및 14)의 회전축들 사이의 간격 m은 리프트 롤러(9 및 14) 각각의 직경 d의 약 130%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회전축의 간격 m은 특히 2 개의 리프트 롤러(9 및 14)의 회전축들 사이의 간격이고, 이러한 회전축 간격 m은 유리하게는 침착 메시 벨트(3)의 종방향 연장선 또는 이러한 종방향 연장선의 가상 연장선에 수직인, 침착 메시 벨트(3) 상에의 리프트 롤러(9 및 14)의 회전축의 투영부들 사이의 간격이다.
적절하게는 그리고 여기에서, 리프트 롤러(9 및 14)는 침착 메시 벨트(3)에 대해 상호 간격 D로 설정된다. 이러한 간격 D는 이러한 맥락에서 특히 침착 메시 벨트(3)에 평행한 각각의 리프트 롤러(9 및 14)의 회전축들 사이의 간격이다. 침착 메시 벨트(3)에 대한 간격 D는 유리하게는 리프트 롤러(9 및 14)의 영역에서의 침착 메시 벨트(3)의 종방향 연장선 또는 이러한 종방향 연장선의 가상 연장선에 수직이다. 도면(특히 도 3)에 따른 예에서, 침착 메시 벨트(3)로부터 제1 리프트 롤러(9)의 간격은 D1로 도시되어 있고, 침착 메시 벨트(3)로부터 제2 리프트 롤러(14)의 간격은 D2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그리고 여기에서, 간격 D 또는 간격 D1 및 D2는 리프트 롤러(9 및 14) 각각의 직경 d의 50%보다 크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여기에서(특히 도 3), 침착 메시 벨트(3)로부터 제1 리프트 롤러(9)의 간격 D1은 침착 메시 벨트(3)로부터 제2 리프트 롤러(14)의 간격 D2보다 크다. 부직포 웨브(5)는 유리하게는 그리고 여기서는 장치가 작동 중일 때 제2 리프트 롤러(14) 아래로 그리고 이어서 제1 리프트 롤러(9) 위로 진행한다. 이것은 특히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제1 리프트 롤러(9)는 바람직하게는 담당하는 침착 메시 벨트(3)의 부직포 웨브(5)를 분리하는 데 사용된다. 제2 리프트 롤러(14)는 침착 메시 벨트(3) 상에 부직포 웨브(5)를 눌러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분리 위치(10) 또는 라인은 유리하게는 그리고 여기서는 제2 리프트 롤러(14) 근처에, 특히 제2 리프트 롤러(14) 아래에 있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리고 여기에서, 노우즈 롤러(7)는 편향 롤러(15)와 노우즈 롤러(7) 사이에서 진행 방향(T)으로 침착 메시 벨트(3)를 이동시키기 위해 장치의 수평 베이스(11)에 대해 수직으로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적절하게는 그리고 여기에서, 이러한 영역에서의 침착 메시 벨트는 3° 내지 20°의 하향 경사를 갖는다. 여기에서, 도 2에 따르면 하향 경사는 약 7°이고, 도 3에 따르면 약 15°이다. 따라서, 편향 롤러(15)는 장치 베이스(11)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진행 방향(T)(도 2 및 도 3)을 갖는 이전 위치로부터 침착 메시 벨트(3)를 편향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노우즈 롤러(7)의 수직 이동성은 장치 베이스(11)에 대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여기에서, 노우즈 롤러(7)는 수평으로 이동되거나 신축될 수 있다. 이러한 문맥에서 "수평"은 장치 베이스(11)에 평행하다. 노우즈 롤러(7)의 수평 이동성 또는 신축성은 이러한 노우즈 롤러(7)의, 예를 들어 하류 처리 디바이스(8) 또는 캘린더(16)에 보다 근접한 이동을 수반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여기에서, 노우즈 롤러(7)는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신축 가능하고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며, 그에 따라 노우즈 롤러의 다양한 위치가 취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리고 여기에서, 노우즈 롤러(7)가 수평으로 이동되거나 신축될 수 있고 수직으로 시프팅될 수 있으며, 또한 리프트 롤러(9 및 14)가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면, 노우즈 롤러(7)의 상이한 위치가 설정될 수 있고, 리프트 롤러(9 및 14)는 특히 장치가 작동 중일 때 노우즈 롤러(7)로부터 분리 위치(10)의 간격 A가 설정될 수 있도록 리프팅된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그리고 여기에서, 하류 처리 디바이스(8)는 캘린더(16)이다. 도 1에 따른 실시예는 캘린더(16)로부터 진행 방향으로 하류에 와인더(26) 형태의 처리 디바이스(8)를 갖는다. 여기에서 도면에 따르면, 캘린더(16)는 3 개의 수직으로 시프트 가능한 캘린더 롤(12.1, 12.2 및 12.3)을 갖는다. 부직포 웨브(5)는 2 개의 캘린더 롤(12.1, 12.2, 12.3) 사이의 갭 또는 닙(nip)을 통과한다. 유리하게는, 3 개의 캘린더 롤(12.1, 12.2, 12.3)은 여기서는 상하로 있다. 이것은 2 쌍의 캘린더 롤, 즉 상단 캘린더 롤(12.1)과 중간 캘린더 롤(12.2) 사이의 한 쌍과 최하부 캘린더 롤(12.3)과 중간 캘린더 롤(12.2) 사이의 다른 한 쌍을 생성한다. 부직포 웨브(5)는 여기서는 캘린더 롤(12.1, 12.2, 12.3) 사이의 압밀 구역(consolidation zone)(13)에서 압밀되거나 최종 압밀된다. 캘린더(16)의 그러한 압밀 구역(13)은 부직포 웨브(5)를 압밀하거나 최종 압밀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의 압밀 구역(13)은 적어도 하나의 캘린더 롤(12.1, 12.2, 12.3)이 캘린더(16)의 작용에 의해 부직포 웨브(5)를 압밀하거나 최종 압밀할 수 있는 영역이다. 본 발명의 일부로서, 그리고 여기에서 도 2 내지 도 4에 따르면, 장치가 작동 중일 때 캘린더(16)의 압밀 구역(13)은 노우즈 롤러(7) 위에 있고, 침착 메시 벨트(3) 위에 배열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여기에서 도면에 따르면, 침착 메시 벨트(3)로부터 부직포 웨브(5)의 분리는 부직포 웨브(5)의 사전 압밀 후에 일어난다. 따라서, 부직포 웨브는, 권장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사전 압밀되는 예에서, 침착 메시 벨트(3)의 편향부 상류에서 사전 압밀기(preconsolidator)(25)에 의해 사전 압밀된다. 이것은 특히 도 1에서 볼 수 있다.
제1 리프트 롤러(9) 및/또는 제2 리프트 롤러(14)가 각각의 리프트 롤러(9 및 14)의 직경의 적어도 50%인 간격 U만큼 노우즈 롤러(7)로부터 오프셋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의 간격 U는 특히 노우즈 롤러(7)의 회전축으로부터 리프트 롤러(9 및 14)의 회전축 사이의 간격이고, 간격 U는 유리하게는 침착 메시 벨트(3)에 평행한 노우즈 롤러(7)와 리프트 롤러(9 및 14)의 회전축의 투영부들 사이의 간격이며, 회전축의 투영부는 간격 U의 영역에서 침착 메시 벨트(3)의 종방향 연장선 또는 이러한 종방향 연장선의 가상 연장선에 수직이다. 도면에 따른 이러한 실시예에서, 리프트 롤러(9 및 14)는 각각의 리프트 롤러(9 및 14)의 직경 d의 적어도 50%인 노우즈 롤러(7)로부터의 각각의 중심간 간격 U1 및 U2를 갖는다(도 4).

Claims (18)

  1. 연속 필라멘트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부직포 제조 장치로서,
    연속 필라멘트를 방사하기 위한 방사기(1),
    상기 필라멘트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2),
    부직포 웨브(5)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필라멘트가 침착될 수 있는 침착 영역(4)을 갖는 침착 메시 벨트(3),
    편향 구역(6)에서 상기 침착 메시 벨트(3)를 그 진행 방향으로부터 편향시키는 노우즈(nose) 롤러(7), 및
    상기 부직포 웨브(5)의 진행 방향에서 상기 침착 메시 벨트(3)의 하류에 있는 상기 부직포 웨브(5)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하류 처리 디바이스(8)
    를 포함하며, 상기 부직포 웨브(5)는 상기 편향 구역(6)의 상류에서 상기 침착 메시 벨트(3)로부터 분리된 후에, 상기 하류 처리 디바이스(8)로 이송되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우즈 롤러(7)로부터 간격 A에 있는 분리 위치(10)에서 상기 부직포 웨브(5)를 상기 침착 메시 벨트(3)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롤러(9)가 상기 침착 메시 벨트(3) 위에 설정되거나 위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롤러(9)는 상기 분리 위치(10)가 상기 침착 메시 벨트(3)의 진행 방향에서 상기 편향 구역(6)의 상류로 이격되거나 배향 가능하도록 상기 노우즈 롤러(7)에 대해 설정되거나 위치 가능하며, 상기 리프트 롤러(9)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착 메시 벨트(3)의 진행 방향에서 상기 노우즈 롤러(7)의 상류 또는 하류에 있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A는 상기 노우즈 롤러(7)와 편향 롤러(15) 사이의 간격 C보다 작으며, 특히 상기 간격 C의 최대 50%, 바람직하게는 최대 25%,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5%,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2.5%, 예를 들어 1%인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롤러(9)는 상기 침착 메시 벨트(3)에 대한 높이에 대해 조정 가능하고,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롤러(9)는 회전 가능하고, 특히 구동되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롤러(9)는 상기 침착 메시 벨트(3)로부터 간격 D에 설정되거나 위치 가능하고, 상기 간격 D는 상기 리프트 롤러(9)의 직경 d의 50%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 롤러(9)의 직경 d의 적어도 55%,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인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롤러(9)의 직경 d는 10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 ㎜인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 개, 특히 단 2 개의 리프트 롤러(9, 14)가 제공되며, 상기 리프트 롤러 중 제2 리프트 롤러(14)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착 메시 벨트(3)의 진행 방향에서 상기 노우즈 롤러(7)의 상류에 설정되거나 위치 가능하고, 제1 리프트 롤러(9)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착 메시 벨트(3)의 진행 방향에서 상기 제2 리프트 롤러(14)와 상기 노우즈 롤러(7) 사이에, 또는 상기 노우즈 롤러(7)의 하류에 설정되거나 위치 가능한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프트 롤러(9) 및 상기 제2 리프트 롤러(14)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 d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2 개의 리프트 롤러(9, 14)의 회전축들 사이의 간격 m은 상기 리프트 롤러(9, 14)의 직경 d의 적어도 10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0%,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5%인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웨브(5)는 상기 제2 리프트 롤러(14) 아래로, 그리고 상기 제1 리프트 롤러(9) 위로 통과하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우즈 롤러(7)는 적어도 상기 편향 롤러(15)와 상기 노우즈 롤러(7) 사이에서 상기 진행 방향으로 장치 베이스(11)를 향해,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8°,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6°의 하향 경사로 상기 침착 메시 벨트(3)를 경사지게 하도록 수직으로 이동되거나 위치될 수 있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우즈 롤러(7)는 수평으로 이동되거나 신축 이동될 수 있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우즈 롤러(7)로부터 상기 분리 위치(10)의 간격 A는 상기 노우즈 롤러(7)의 수직 이동성 및/또는 수평 이동성 또는 신축성에 의해 조정되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 처리 디바이스(8)는 압밀기, 특히 열풍 본딩기, 예를 들어 오븐, 및/또는 캘린더(16)이고, 그리고/또는 상기 하류 처리 디바이스(8)는 와인더인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압밀기 또는 상기 캘린더(16)는 적어도 하나의 캘린더 롤(12), 특히 적어도 한 쌍의 캘린더 롤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캘린더 롤(12)은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착 메시 벨트(3)로부터 상기 부직포 웨브(5)의 분리는 상기 부직포 웨브(5)의 사전 압밀 후에 일어나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롤러(9) 및/또는 상기 제2 리프트 롤러(14)는 각각의 리프트 롤러(9, 14)의 직경 d의 적어도 50%인, 상기 노우즈 롤러(7)로부터의 간격 U를 갖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18. 연속 필라멘트로 제조된 부직포 웨브를, 특히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로 반송 및 처리하는 부직포 웨브의 반송 및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부직포 웨브(5)는 편향 구역(6)에서 노우즈 롤러(7)에 의해 그 진행 방향으로부터 편향 가능한 침착 메시 벨트(3) 위로 안내되고, 상기 부직포 웨브(5)는 하류 디바이스(8)로 전달되며, 상기 부직포 웨브(5)는 상기 편향 구역(6)의 상류에서 상기 침착 메시 벨트(3)로부터 분리되는 것인 부직포 웨브의 반송 및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롤러(9)가 상기 침착 메시 벨트 위에 있으며, 상기 침착 메시 벨트(3)로부터 상기 부직포 웨브의 분리를 위해 상기 부직포 웨브(5)가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롤러(9) 위로 통과되고, 상기 리프트 롤러(9)는 분리 위치(10)에서 상기 침착 메시 벨트(3)로부터 상기 부직포 웨브(5)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 위치(10)는 상기 노우즈 롤러(7)로부터 간격 A에 있고, 추가 하류 처리 디바이스(8)가 상기 부직포 웨브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웨브의 반송 및 처리 방법.
KR1020210159418A 2020-11-19 2021-11-18 연속 필라멘트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 KR202200689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30593.1 2020-11-19
DE102020130593.1A DE102020130593A1 (de) 2020-11-19 2020-11-19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Vliesstoffen aus Endlosfilamenten
EP20208671.6A EP4001488B1 (de) 2020-11-19 2020-11-19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vliesstoffen aus endlosfilamenten
EP20208671.6 2020-1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941A true KR20220068941A (ko) 2022-05-26

Family

ID=81588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418A KR20220068941A (ko) 2020-11-19 2021-11-18 연속 필라멘트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98035B2 (ko)
JP (1) JP2022081417A (ko)
KR (1) KR20220068941A (ko)
CN (1) CN1145410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70004A (ja) 2022-05-18 2023-12-0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7749A (en) 1995-08-02 1997-09-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fibers and materials having enhanced characteristics
AU3354700A (en) 1999-02-02 2000-08-25 Hills, Inc. Spunbond web 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541044A (zh) 2022-05-27
US11598035B2 (en) 2023-03-07
JP2022081417A (ja) 2022-05-31
US20220154375A1 (en)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50558A1 (en) Methods of making a nonwoven from continuous filaments
US700836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olding a nonbonded nonwoven web
US7255759B2 (en) Patterning on SMS product
US7981357B2 (en) Method of making a spunbond
US7500293B2 (en) Drum for a production unit for a non-woven material, method for production of a non-woven material and non-woven material obtained thus
US82313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positing synthetic fibers to form a non-woven web
CZ2003581A3 (cs) Zařízení pro plynulou výrobu netkaného rouna
EP1348051A2 (en) In-line heat treatment of homofilament crimp fibers
WO2000046434A1 (en) Spunbond web formation
JP7280855B2 (ja) 捲縮繊維から不織布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220068941A (ko) 연속 필라멘트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
US7025914B2 (en) Multilayer approach to producing homofilament crimp spunbond
US20100015875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a one-layered or multilayered nonwoven fabric
KR100572161B1 (ko) 합성 수지 스트랜드로부터 부직포 웹 또는 플리스를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3336157A (ja) 長繊維不織布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EP4001488B1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vliesstoffen aus endlosfilamenten
JPH02300366A (ja) 不織布の製造方法
CN117500966A (zh) 用于生产单层或多层无纺织物的设备和方法
JPH01192859A (ja) 不織布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H01246455A (ja) 不織布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H01183566A (ja) 不織布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