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672A -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672A
KR20220068672A KR1020200155687A KR20200155687A KR20220068672A KR 20220068672 A KR20220068672 A KR 20220068672A KR 1020200155687 A KR1020200155687 A KR 1020200155687A KR 20200155687 A KR20200155687 A KR 20200155687A KR 20220068672 A KR20220068672 A KR 20220068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urrent
root canal
generated
alternating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호
Original Assignee
송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종호 filed Critical 송종호
Priority to KR1020200155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8672A/ko
Publication of KR20220068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관 치료에 있어 최대 관건이 되는 박테리아(세균)와 괴사 조직
기질 등 근관 파편(debris)의 멸균과 제거를 완벽하게 할 수 있고, 근관 치료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정상적인 조직(세포)의 사멸(훼멸)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개시되는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는 치아의 근관(root canal) 치료
를 위해 상기 근관에 인가하는 고주파 교류 전류를 생성시키는 고주파 교류 전류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전류 생성부는 상기 고주파 전류 발생부는 소정의
설정된 주파수와 크기를 갖는 연속적인 정현파 신호의 교류 전류로부터 소정의 지
속 시간을 갖는 단위 교류 전류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단속적으로
(intermittently) 생성하는 제1 교류 전류 생성부; 및 상기 제1 교류 전류 생성부
에 의해 단속적으로 생성된 단위 전류의 각각의(respective) 단위 전류로부터 소정
지속 시간을 갖는 또 다른 단위 교류 전류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단속적으로 생
성하는 제2 교류 전류 생성부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treatment of root canal of tooth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관 치료에 있어 최대 관건이 되는 감염된 펄프 조직과 괴사 조직 기질 등을 멸균시키고, 완벽한 근관 파편(debris)의 제거를 기할 수 있으며, 근관 치료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정상적인 조직(세포)의 사멸(훼멸)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치아의 근관(root canal)은 치아 중앙의 속이 빈 부분으로 신경 조직(nerve tissue), 혈관(blood vessels) 및 결합 조직(connective tissue)으로 구성된 치수(dental pulp, 간략히 pulp로도 언급됨)로 가득 차 있다. 치수는 치아 활력의 유지, 수복 또는 3차 상아질 형성, 수분 및 영양 공급, 통증 자극 전달 등 여러 기능을 갖는다. 치수는 치아의 상아질(dentin)이 충치(dental caries) 또는 외상(trauma)에 의해 노출되면 세균(microbe)이나 박테리아가 근관계(root canal system, 근관 시스템)으로 침입하여 발생하는 감염(infection)에 취약하며, 이러한감염이 심해지면 치수에 순환 장애(circulatory disturbance)가 발생하여 결국 치수 괴사(pulp necrosis) 내지는 치아 손실(tooth loss)이 유발될 수 있다. 도 1에치아 근관 조직에 대한 간략한 모습이 제시되어 있다.
근관 치료(root canal treatment, 'endodontic treatment' 라고도 언급된다)는 정점 치주염(apical periodontitis)의 진행을 예방하거나 감염된 치근 주위 조직의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시행된다. 본 치료의 절차를 간단히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치아의 법랑질(enamel)과 상아질을 통해 접근 구멍(access cavity)을 개방(open)한 후 감염된 치수 조직, 박테리아 및 괴사 조직 기질(necrotic tissue substrate) 등 근관 파편(debris)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근관을 형성(canal shaping, 근관을 확장)시킨 후 관개(irrigation)를 통해 근관을 세정하고(debriding), 향후 재감염을 차단시키기 위해 세정된 근관에 비활성 물질(inert material)과 수반되는 밀봉 시멘트(sealing cement)를 충진(filling)한다. 마지막 으로 치아 골절(tooth fracture) 및 교합 재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접근 구멍과 크라운 부분(crown portion)을 복원한다.
한편 근관 치료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최대의 관건(crucial point)은 향후에 발생할지 모르는 여러 원인에 의한 재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근관계(root canal system, 근관 시스템)에서 감염된 조직의 완전한 멸균과 괴사 조직 기질 등 근관 파편을 제거하여 밀봉하는 즉, 근관 치료에서 근관계의 세정(debridement)에 완벽을 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여러 방식이 제안되거나 실시 중에 있는데, 기존의 여러 방식은 주로 생체 역학적 기기(biochemical instrumentation)를 이용한 근관 확장(근관 형성)과 화학적 관개(chemical irrigation)를 이용하여 근관 시스템의 세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기존의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세정의 수행 후에도 박테리아(세균)와 괴사 조직 기질 등 근관 파편이 치아 조직의 부 근관(accessory canal), 협부(isthmus), 분맥(ramification), 삼각주(deltas), 상아 세관(dentinal tubule) 등과 같은 접근할 수 없는 영역(inaccessible area)에 잔존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재감염의 위험성이 상존한다. 게다가 짧거나 과도하게 확장된 obturation, 부정확한 근관 형성, 천공(perforation) 등은 근관 치료의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근관계의 세정을 위해 관개제(irrigant)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sodium hypochlorite(NaOCl)과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EDTA)은 관상 및 중간 수준(coronal and middle thirds)에서는 효과적인 항균 효과와 도말층(smear layer)의 제거 효과를 보이지만 근관의 정점 수준(apical third of the root canal) 영역에서는 그러하지 못해 재감염의 위험성이 상존하며, 아울러 산화 및 가수 분해 특성을 지니고 있어 정상적인 세포(조직)의 심각한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는 위험성도 내포한다. 그리고 다량의 관개제와 정점 조직(apical tissue)의 접촉시에는 acute pain, swelling, redness, massive bleeding, facial nerve paralysis, secondary infection, sinusitis, cellulitis 등의 여러 부정적인 문제들도 수반한다.
US Pat No. 6,482,008: PROCESS FOR DEVITALIZING TEETH USING HIGH-FREQUENCY ELECTRIC CURRENT US Pat No. 8,932,055: METHOD EMPLOYING ELECTRIC FIELDS TO SELECTIVELY KILL MICROBES IN A ROOT CANAL PREPAR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근관 치료의 여러 문제점 및 치료 방안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 내지는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를 갖는 근관계에서 치료기구(file)의 접근이 불가능한 곳(lateral canal, accessory canal, dentinal tubule 등)의 감염된 펄프 조직을 멸균시키고, 괴사조직 기질 등 근관 파편의 완벽한 제거를 기할 수 있으며, 근관 치료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정상적인 조직(세포)의 사멸(훼멸)도 방지할 수 있는 근관 치료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위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되는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는 치아의 근관(root canal) 치료를 위해 상기 근관에 인가하는 고주파 교류 전류를 생성시키는 고주파 교류 전류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전류 생성부는 상기 고주파 전류 생성부는 소정의 설정된 주파수와 크기를 갖는 연속적인 정현파 신호의 교류 전류로부터 소정의 지속 시간을 갖는 단위 교류 전류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단속적으로(intermittently) 생성하는 제1 교류 전류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 교류 전류 생성부에 의해 단속적으로 생성된 단위 전류의 각각의(respective) 단위 전류로부터 소정 지속 시간을 갖는 또 다른 단위 교류 전류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단속적으로 생성하는 제2 교류 전류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주파 전류 생성부는 상기 제2 교류 전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단위 전류를 그 1주기 단위로 크기를 감쇠시켜 변형 생성하는 변형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상기 과제를 해결함에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변형 생성부는 상기 제2 교류 전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단위 전류의 피크(peak)를 검출하는 피크 검출부; 상기 피크의 개수를 카운팅(counting)하는 카운팅부; 및 상기 카운팅된 피크의 개수의 두 번째 수에 해당하는 전류부터 그 크기를 순차적으로 감쇠시켜 생성하는 감쇠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상기 과제를 해결함에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변형 생성부는 상기 제2 교류 전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단위 전류가 생성되지 않는 시간 간격의 종점에 근접하면 상기 제2 교류 전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단위 전류의 기준 레벨(상기 생성되지 않는 시간 간격 동안의 레벨)의 이하에서 다음 단위 전류를 생성하도록 함이 상기 과제를 해결함에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 교류 전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단위 전류와 상기 제2 교류 전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단위 전류가 생성되지 않는 시간 간격을 체크하기 위한 시간 간격 체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상기 과제를 해결함에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모든 전류의 각 지속 시간(duration time)을 제한하는 지속 시간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상기 과제를 해결함에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모든 전류의 각 크기(amplitude)를 소정 범위로 제한하는 크기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상기 과제를 해결함에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연속적인 정현파 교류 전류 신호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주파수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상기 과제를 해결함에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모든 전류 중 어느 하나의 전류라도 상기 각 소정의 시간 간격, 상기 각 지속 시간, 상기 각 크기 및 상기 설정된 주파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치료 장치를 초기화(리셋)시키는 초기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상기 과제를 해결함에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근관계에 상기 고주파 교류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극 또는 근관 치료용 파일(file)은 상기 전극과 파일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근관계에 삽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전극이 상기 파일에 접촉되어 상기 파일 부분만상기 근관계에 삽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파일을 대체할 수 있는 어떤 금속 또는 전도체에 상기 전극이 접촉되어 상기 어떤 금속 또는 전도체 부분만 상기 근관계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상기 과제를 해결함에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전극 또는 파일의 직경은 일단에서 상기 근관계의 정점 부근에 접촉하는 부분(종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도록 하는 것이 상기 과제를 해결함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도성 조직인 근관계에 고주파 교류 전류를 인가하면 줄의 법칙에 따라 열이 생성되며, 이러한 발열에 의해 전극에 인접한 조직의 세포 내 이온의 온도를 높여 궁극적으로 폭발적인 기화와 조직 건조를 일으켜 근관 파편의 건조 및 응고가 발생한다. 특히 정점 수준 영역에서 높은 전류 밀도와 집중적인 발열 효과로 인해 협골, 부 근관, 상아 세관과 같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서 발열에 의한 보다 더욱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전류를 단속적으로 인가하는 점, 전류의 인가 시간 간격, 지속 시간(인가 시간) 및 크기 등의 제어를 통해 근관 치료 효과의 가일층적 제고, 근관 치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상적인 조직(세포)의 훼멸 방지 및 근관 치료 과정의 안전성 확보 등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적 관개나 근관의 형성(근관의 확장) 없이도 HFAC 만을 이용하여 근관 치료를 수행함으로써 근관의 잘못된 형성, 천공 및 기구 골절과 같은 물리적인 결함으로 인한 사고의 우려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치아의 근관계에 대한 간략한 모습을 제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장치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을 제시한 도면이다.
도 2b와 도 2c는 본 방법 발명의 흐름을 제시한 도면이다.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해 생성된 고주파 교류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극(근관 치료용 파일)이 근관계에 삽입된 일례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발생되는 교류 전류의 파형(waveform)의 일례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발생된 inter-burst의 또 다른 일례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근관 치료의 효과를 제시하기 위한 일례를제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에 앞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의 개요를 우선 제시한다.
본 발명은 근관 치료의 성공에 관건이 되는 근관계의 멸균(세정)을 근관의 정점 수준(apical third of the root canal) 영역에 까지 가능하도록 고주파 교류 전류(high frequency alternating current, HFAC)를 이용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존에 근관계의 멸균(세정)에 주로 활용되는 생체 역학적 기기 및 화학적 관개를 통한 근관계의 세정은 소위 근관 파편이라고 통칭되는 것이 근관 치료 후에도 잔존하기 때문에 재감염(reinfection)의 위험성이 매우 높다. 특히 근관의 정점 수준(apical third of the root canal) 영역에서는 이러한 세정 방식은 효과가 없음이 다수 증명이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생체 역학적 기기 및 화학적 관개를 통해서가 아닌 또는 이들 방식의 사용을 최소화시킨 다른 세정 방안이 이미 제안되거나 실시 중에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몇 가지 방안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동 초음파 관개(passive ultrasonic irrigation), 연속 관개 기법(continuous irrigating techniques), 정점 양압 및 음압 관개 방법(apical positive and negative pressure methods)을 포함하는 관개 방법[Dioguardi M, Gioia GD, Illuzzi G, et al. Endodontic irrigants: Different methods to improve efficacy and related problems. Eur J Dent. 2018; 12: 459-66.], 오존이세포를 산화시킬 수 있는 산소의 반응성 형태를 방출함으로써 오존이 항균 효과가있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관개 대체물로 오존 가스를 이용한 방안[Huth KC, Quirling M, Maier S, et al. Effectiveness of ozone against endodontopathogenic microorganisms in a root canal biofilm model. Int Endod J. 2009; 42: 3-13. Hubbezoglu I, Zan R, Tunc T, Sumer Z. Antibacterial Efficacy of Aqueous Ozone in Root Canals Infected by Enterococcus faecalis.
Jundishapur J Microbiol. 2014; 7: e1141], Nd : YAG, Er : YAG, Er, Cr : YSGG 레이저, LED, 할로겐 램프 등 다양한 광 역학 치료법을 이용한 항균 효과를 이용하는 방안[Gergova RT, Gueorgieva T, Dencheva-Garova MS,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different disinfection methods against biofilms in root canals. J Investig Clin Dent. 2016; 7: 254-62. Granevik Lindstrom M, Wolf E, Fransson H. The Antibacterial Effect of Nd:YAG Laser Treatment of Teeth with Apical Periodontit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Endod. 2017; 43: 857-63. Guidotti R, Merigo E, Fornaini C, et al. Er:YAG 2,940-nm laser fiber in endodontic treatment: a help in removing smear layer. Lasers Med Sci. 2014; 29: 69-75. Olivi G, DiVito E, Peters O, et al. Disinfection efficacy of photon-induced photoacoustic streaming on root canals infected with Enterococcus faecalis: an ex vivo study. J Am Dent Assoc. 2014; 145: 843-8. Martins MR, Carvalho MF, Pina-Vaz I, et al. Outcome of Er,Cr:YSGG laserassisted treatment of teeth with apical periodontitis: a blind randomized clinical trial. Photomed Laser Surg. 2014; 32: 3-9. Asnaashari M, Ashraf H, Rahmati A, Amini N. A comparison between effect of photodynamic therapy by LED and calcium hydroxide therapy for root canal disinfection against Enterococcus faecal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hotodiagnosis Photodyn Ther. 2017; 17: 226-32. Pinheiro SL, Silva JN, Goncalves RO, Villalpando KT. Manual and rotary instrumentation ability to reduce Enterococcus faecalis associated with photodynamic therapy in deciduous molars. Braz Dent J. 2014; 25: 502-7. Marinic K, Manoil D, Filieri A, et al. Repeated exposures to blue light-activated eosin Y enhance inactivation of E. faecalis biofilms, in vitro. Photodiagnosis Photodyn Ther. 2015; 12: 393-40] 등이 있는데, 이들 모두 기존의 생체 역학적 기기 및 화학적 관개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근관계의 세정에 완벽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방안 모두 기존의 여러 방안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항균 효과(세정 효과)를 거두지 못 하는데, 그 이유는 이들 방안들에 의해서도 결국에는 근관계의 정점 수준 영역에 존재하는 매우 좁고 복잡한 가지 형의 부 근관(accessory canal)을 포함하는 정점 수준 영역에 치료 기구나 화학 세정액이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근관계의 미세하고 복잡한 영역을 멸균하지 못하면 근관 치료의 실패를 유발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다.
정점 수준 영역까지의 근관계의 멸균(세정) 완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고주파 전기 신호를 사용하는 기존의 방안들도 있다. 그 주된 요점은 고주파 전기 신호를 매우 얇은 직경을 가진 전극을 통해 근관에 인가하면 근관의 높은 전기 저항으로 인해 줄의 법칙(Joule's law)에 따른 열이 발생되며, 발생된 열에 의해 근관 파편으로 통칭되는 여러 잔존물을 구성하는 세포의 조직에 열진동이 발생하면서 조직이 가열되며 이로 인해 이러한 세포가 사멸된다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간단히 언급하면 열에 의한 멸균 효과를 근관계의 멸균(세정)에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고주파 전기 신호를 사용하는 기존의 방안들에 의해서도 인가되는 전기 신호의 형태, 크기, 지속 시간 등 근관 치료에 맞는 적절한 기준을 제공하지 않아(단지 고주파 전기 신호를 사용한다는 사실만 개시하고 있으며 그 신호의 구체적인 파형(waveform)을 포함한 신호에 관한 세부 사항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임상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여러 불확실성 및 위험을 수반하고 있으며, 아울러 근관 치료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정상적인 세포의 사멸을 초래할 수 있기에 의도하지 않는 부작용도 수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주파 교류 전류를 이용하여 근관계의 멸균을 도모하는데, 이는 이미 제시되거나 실시 중인 고주파 전기 신호를 이용하는 방안과 착상의 출발점은 동일하나, 상기한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에 개시된 구성 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 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 설명 내지는 그 이외의 제반 사항이 본 발명의 요지와 크게 상관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2a는 본 장치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을 제시한 도면이며, 도 2b와 도 2c는 본 방법 발명의 흐름을 제시한 도면이다.
도 2a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치아의 근관계에 인가하는 고주파 교류 전류를 발생시키는(S21) 고주파 교류 전류 생성부(21)를 포함한다. 발생된 고주파 교류 전류는 금속의 전극 또는 근관 치료용 파일(파일(file)의 종류는 k-file, h-file, pro-file 등 다수가 존재한다)을 통해 근관계에 인가된다. 이때 전극(파일)의 직경은 전극(파일)의 종단으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근관의 정점 영역에서 가장 많은 열에너지를 집중시켜 이렇게 집중된 열에너지에 의해 박테리아(세균)와 괴사 조직 기질 등 근관 파편이 소작 및 멸균되도록 근관의 정점 수준 영역에까지 전류가 공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극이 연결된 파일 또는 전극으로 작용하는 파일이 가급적 정점 수준 영역 부근에 근접해야하기 때문이다. 전극(파일)의 직경은 전극(파일)의 전류 수용 가능 한계, 근관계에 전극(파일)을 삽입하는 정도, 환부의 상태, 치료의 정도 등 여러 사항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전극(파일)의 경직도(rigidity)도 고려함이 바람직한데, 경직도가 매우 높으면 근관 내지는 다른 조직에 물리적 충격을 주어 의도치 않은 조직 손상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직도 측면에서 다소 유연한(flexible) 전극(파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근관의 정점 수준까지 멸균을 도모하기 때문에 전극(파일)의 경직도 측면에서의 유연성 확보는 근관의 정점에 보다 더 용이하게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어서도 필요하다.
도 2d에 생성된 고주파 교류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극(파일)이 근관계에 삽입된 일례가 제시되어 있다. 첫 번째는 전극과 파일(그 파일의 일례로 kfile이 제시되어 있다)이 일체형인 경우이며, 두 번째는 파일에 전극이 접촉된 경우이며, 세 번째는 근관 치료용 파일을 대체할 수 있는 어떤 금속 또는 전도체가 근관계에 삽입된 경우이다. 어느 경우를 통해 전류를 인가할지도 상기한 여러 사항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발생되는 하기에서의 여러 고주파 교류 전류는 연속적인 정현파(continuous sinusoidal wave) 신호의 형태를 갖는 교류 전류(CSC)로부터 획득된다. 여기서 정현파를 사용하는 이유는 전류 크기의 갑작스러운 변화에 따른 위험을 방지하기 위함인데, 그 위험이란 정현파 형태가 아닌 다른 파형을 갖는 교류(예를 들어 톱니파, 펄스파 등)는 순시(instantaneous time)에서의 크기의 변화가 완전 불연속 내지는 거의 불연속에 가까운 순간이 있기 때문에(톱니파를 예를 들면 파의 마루 또는 골에서) 전류의 크기가 갑작스러운 변화를 갖게 되며 이는 변화의 순간에 서지 전류(surge current)가 야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수학적으로 알기 쉽게 설명하면 정현파 아닌 다른 파형을 갖는 교류는 순시에서의 미분(derivative)이 불가능한 순간(시점)이 존재하나 정현파는 모든 시간 영역에서 미분이 가능하며 이는 크기의 변화가 갑작스럽지 않음을 의미하므로 서지 전류의 발생 가능성이 없다는 의미이다.
정현파 교류 전류 발생부(211, 일반적인 교류 전류 발생기)로부터 하기에서 자세히 언급될 크기 제한부(24)와 주파수 설정부(25)에 의해 각각 설정된(제한된) 크기와 주파수를 갖는 연속적인 정현파 신호 형태의 전류(CSC)가 발생되면, 제1 교류 전류 생성부(212)는 하기에서 자세히 언급될 시간 간격 체크부(22), 지속 시간 제한부(23), 크기 제한부(24)에 의해 설정된(제한된) 값에 따라 연속적인 정현파 신호 형태의 전류로부터 소정의 지속 시간을 갖는 단위 교류 전류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단속적으로(intermittently) 생성(출력)한다(S211). 이때 소정의 지속 시간은 지속 시간 제한부(23), 소정의 시간 간격은 시간 간격 체크부(22)에 의해 설정된다.
제2 교류 전류 생성부(213)는 제1 교류 전류 생성부(212)에 의해 단속적으로 생성된 단위 전류의 각각의(respective) 전류로부터 역시 시간 간격 체크부(22), 지속 시간 제한부(23), 크기 제한부(24)에 의해 설정된(제한된) 값에 따라 소정 지속 시간을 갖는 또 다른 단위 교류 전류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단속적으로 생성(출력)한다(S212).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한 여러 교류 전류의 파형(waveform)의 일례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3에 의하면 제1 교류 전류 생성부(212)에 의해 생성되는 단위 전류의 생성의 소정 시간 간격(ex-burst interval)의 일례로 1[msec], 본 단위 전류의 지속 시간(ex-burst duration)의 일례로 1[msec]가 제시되어 있으며, ex-burst interval과 ex-burst duration은 제반 상황(전극의 전류 수용 가능 한계, 근관에 전극을 삽입하는 정도, 환부의 상태, 치료의 정도 등 여러 사항)에 따라 달리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교류 전류 생성부(212)에 의해 단속적으로 생성되는 각각의 단위 교류 전류로부터 제2 교류 전류 생성부(213)에 의해 소정 지속 시간(inter-burst duration)을 갖는 또 다른 단위 교류 전류가 소정의 시간 간격(inter-burst interval)으로 단속적으로 생성되는데, 도 3에는 inter-burst interval의 일례로 0.33[msec], 지속 시간(inter-burst duration)의 일례로 0.33[msec], 제2 교류 전류 생성부(213)에 의해 단속적으로 생성되는 각각의 단위 교류 전류는 3개의 골과 마루를 갖는 파형(waveform)으로 일례로 제시되어 있다.
이 소정 시간 간격(inter-burst interval), 또 다른 단위 교류 전류를 몇 개 발생 시킬지 및 inter-burst duration을 어느 정도 갖게 할지도 상기한 제반 상황에 따라 달리 정해질 수 있다. 여기까지의 언급에서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제1 교류 전류 생성부(212)에 의해 생성된 단위 교류 전류에 해당하는 신호의 각각의 단위 교류 전류에 해당하는 신호를 ex-burst, 제2 교류 전류 생성부(213)에 의해 생성된 단위 교류 전류에 해당하는 신호의 각각의 단위 교류 전류에 해당하는 신호를 inter-burst로 칭했으며, 이는 이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연속적인 정현파 교류 전류로부터 단속적으로 각각의 단위 교류 전류(제1 또는 제2 교류 전류 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단위 교류 전류)를 생성시키는 것은 통상적인 스위칭 회로(별도로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언급한 모든 전류를 단속적으로 생성시키는 이유는 전류를 연속적(continuous)인 신호의 형태로 근관계에 인가시키는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한 열이 지속적으로 근관계를 가열하여 근관계에 과열(overheating)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정상적인 조직(세포)의 사멸을 초래하여 결국 근관계 자체를 훼멸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단속적인 발생이 두 단계로 이루어지게 하는 이유는 이러한 이유에 더해 상기한 스위칭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한 스위칭은 연속적인 정현파 교류 전류로부터 제1 교류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스위칭 과정과 제1 교류 전류의 각 단위 전류로부터 제2 교류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스위칭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스위칭 간격은 수 msec 이내에 고속으로 이루어져야 멸균(세정)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그런데 스위칭을 단일 과정으로 구현하면(하나의 스위치만을 이용하면) 고속 스위칭으로 인해 스위치 회로가 과열될 수 있어 스위칭의 오동작을 야기시키고, 스위칭의 오동작은 후술할 시간 간격 체크부(22), 지속 시간 제한부(23), 크기 제한부(24)에 의해 설정된(제한된)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만족시키지 않게 되어 초기화부(26)에 의해 지속적인 초기화(리셋)가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에 의한 근관 치료의 비효율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재2 스위칭 과정을 보조적으로 구비시켜 스위칭 동작(특히 제1 스위칭 과정)의 안정성 내지는 정확성을 담보한다. 즉, 제1 스위칭 과정이 'on'인 상태의 시간이 제2 스위칭 과정이 'on'인 상태의 시간보다 더 길므로 제1 스위칭 과정이 'on'인 상태이더라도 제2 스위칭 과정이 'off'인 상태가 존재한다. 이 경우에는 제1 스위칭 과정이 실질적으로 'off'인 상태가 되므로(왜냐하면 제2 스위칭 회로가 open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1 교류 전류 생성부(212)에 의해 발생된 교류 전류가 제2 교류 전류 생성부(213)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제1스위칭 과정을 위한 스위치가 마치 비활성 모드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기에 고속 스위칭에 따른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발생된 inter-burst의 또 다른 일례를 제시한 도면이다.
한편 inter-burst는 그 1주기 단위로 서로 다른 크기(진폭)를 갖도록 할 수도 있는데, inter-burst의 1주기 단위로 그 크기를 감쇠(attenuation)시킴이 바람직하다. 변형 생성부(214)는 제2 교류 전류 생성부(213)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단위 전류를 그 1주기 단위로 크기를 감쇠시켜 변형 생성한다(S213). 구체적으로는 우선 피크 검출부(2141)에 의해 제2 교류 전류 생성부(213)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단위 전류의 피크(peak)가 검출(구체적으로는 피크치(peak value)가 검출)되고(S2131), 카운팅부(2142)는 그 피크의 수를 카운팅(counting)한다(S2132). 감쇠 생성부(2143)는 카운팅된 피크의 개수의 두 번째 수에 해당하는 전류부터 그 크기를 순차적으로 감쇠시켜 최종적으로 제2 교류 전류 생성부(213)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단위 전류를 그 1주기 단위로 크기를 감쇠시킨 전류를 생성(출력)하게 된다(S2133).
이때 피크 검출부(2141)는 통상적인 신호 피크 검출 회로로 구현 가능하며 피크는 크기 제한부(24)에 의해 설정(제한)된 값이다. 카운팅부(2142)는 통상적인 카운터 회로로 구현할 수 있다. 당연하게도 카운팅부(2142)는 카운팅의 최대 수를 지정할 수 있으며, 피크의 개수가 지정된 최대 수에 도달하거나 최대 수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피크가 검출되지 않으면 다시 0으로 리셋된다.
도 4에 제시된 일례에 의하면 inter-burst는 3개의 골과 마루를 갖는 파형으로 발생되며(따라서 3개의 피크를 갖는다), inter-burst의 각 주기에는 제1 파형, 제2 파형, 제3 파형의 진폭(크기)이 서로 상이하게 그리고 그 1주기 단위로 감쇠하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이렇게 진폭을 달리 그리고 감쇠시켜 발생시키는 이유는 근관계의 멸균 효과를 제고시킴과 아울러 정상 조직(세포)의 열손상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 파형이 inter-burst에서 최대 진폭(크기)을 가지며, 본 파형에 해당되는 교류 전류에 의해 근관계의 멸균이 거의 대부분 이루어진다(이는 가장 큰 크기(amplitude)의 전류에 의해 가장 높은 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제2 파형, 제3 파형으로 갈수록 각 단일 버스트 신호의 진폭은 감소하는데, 이는 동일 진폭을 갖는 전류의 지속적인 인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열에 의한 정상적인 조직(세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제1 파형에 따른 전류에 의해 대부분의 멸균(소작)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제2 또는 제3 파형의 진폭을 제1 파형의 그것과 동일하게 할 필요는 없다.
먼지가 매우 많은 어떤 장소를 짧은 시간에 여러 번 청소해야 하는 경우를 가정해서 비유해 보면 최초 청소 작업에는 많은 양의 물, 세제 등이 필요하며 대부분의 청소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두 번째 청소 작업에는 최초 청소 작업에 소요된 물, 세제 등의 양이 필요 없으며 최초 청소 작업과 동일한 양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청소 효과의 역효과 발생 가능성을 경험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라 할 수 있다. 세 번째 청소 작업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리라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 수 있는 이치와 동일하다.
한편 변형 생성부(214)는 제2 교류 전류 생성부(213)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단위 전류(inter-burst)가 생성되지 않는 시간 간격(inter-burst interva l)의 종점에 근접하면 제2 교류 전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단위 전류의 기준 레벨(inter-burst interval 동안의 레벨)의 이하에서 다음 단위 전류(다음 inter-burst)의 제1 파형이 생성되도록 발생된다. 이는 inter-burst의 제1 파형이 가장 큰 진폭을 가지므로 기준 레밸에서 갑작스럽게 다음의 inter-burst의 제1 파형에 해당되는 레벨의 전류를 인가하면, 이는 전류의 갑작스러운 그리고 급격한 상승을 초래하며 서지(surge)의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제1 파형이 peak에 도달하는 시간은 거의 0에 수렴하며, 이는 마치 Dirac-delta 레벨의 신호가 기준 레벨서 인가되는 효과와 거의 동일하다). 이러면 과전류가 발생되어 의도치 않은 부작용(환자에게 지나친 전기적인 충격을 주거나 치료기의 오동작 내지는 고장 등)을 수반하게 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다음의 inter-burst를 발생(인가)시키기 위한 예비 상태(stand-by state)을 설정하여 근관 치료의 안전성 확보를 담보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언급된 모든 전류는 상기한 제반 상황에 따라 각기 독자적으로 근관 치료에 활용될 수 있다. 즉, 제1 교류 전류 생성부(212)에 의해 생성된 교류 전류를 치료에 직접 활용할 수도 있고, 이는 제2 교류 전류 생성부(213) 및 변형 생성부(214)에 의해 각각 생성된 교류 전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를 도 2a에 어떤 전류를 치료에 활용할지 스위칭을 통해 선택이 가능하도록 도시해 놓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모든 시간 간격을 체크하기 위한 시간 간격 체크부(22), 상기 모든 전류의 각 지속 시간(duration time)을 제한하는 지속 시간제한부(23), 상기 모든 전류 신호의 각 크기(amplitude)를 소정 범위로 제한하는 크기 제한부(24) 및 상기 연속적인 정현파 교류 전류 신호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주파수 설정부(25)를 더 포함한다. 이들 구성 요소는 근관 치료 효과의 가일층적 제고, 근관 치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요인의 제거 및 근관 치료 과정상의 안전성 확보 등에 만전을 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모든 전류의 인가 시간 간격, 지속 시간(인가 시간),크기 및 정현파 교류 전류의 주파수는 위에서 언급한 여러 제반 상황에 따라 달리 정해질 수 있는데, 이는 일례로 근관 치료기(근관 치료기에 대해서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다)를 통해 동작 모드(operation mode)를 선택함으로써 정해질 수 있다. 이렇게 동작 모드를 선택하여 근관 치료를 수행하는 과정에 치료기 자체의 불완전 동작, 오동작 및 다른 외적 요인들로 인해 근관에 과전류가 인가되거나 전류가 정해진 지속 시간 이상으로 흐르거나 전류의 크기가 정해진 크기 이상으로 흐르거나 정현파 교류 전류의 주파수가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에는 다른 정상적인 조직(세포)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감전의 위험도 내포하고 있어 치료 과정 중에 오히려 치료와는 무관한 더욱 큰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더구나 치아를 구성하는 신경과 조직은 매우 예민하므로 근관 치료를 포함한 치아 관련 치료에는 매우 섬세한(delicate) 시술 행위가 수반되어야 하는데, 치아 관련 치료는 전기를 이용한 치료가 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안전성 확보는 더욱 중요하며, 치료기의 의도치 않는 오동작 내지는 고장(malfunction)도 아울러 방지할 수 있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S22 내지 S25).
한편 초기화부(26)는 상기 모든 전류 중 어느 하나의 전류라도 상기 각 소정의 시간 간격, 상기 각 지속 시간, 상기 각 크기 및 주파수를 만족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치료기(치료 시스템)를 초기화(리셋)시킨다(S26). 만족하지 아니한 경우는 거의 압도적으로 상기한 각 물리량이 설정된(제한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일 것이다. 초기화부(26)에 의한 시간 간격(ex-burst interval, inter-burst interval), 지속 시간(duration time), 크기(amplitude) 및 주파수에 관한 다중적인 체크를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근관 치료 효과를 더욱 제고시킬 수 있다. 초기화에는 기본 동작 모드로 세팅되게 하거나 전원 자체를 차단시키는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 결과]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근관의 정점 수준 영역(상기한 접근할 수 없는 영역)까지의 근관계의 멸균 완벽성을 도모하기 때문에 특히 부근관(accessory canal)을 포함한 접근할 수 없는 영역에 잔존하는 오염된 치수 조직의 멸균과 제거 정도가 본 발명에 의한 근관 치료 성공의 관건이다. 부 근관의 조직은 좁고 긴 형태로 인해 그 전기 저항이 상대적으로 높아 전류를 가하면 줄의 법칙(Joule's law)에 의해 열이 발생한다. 일례로 100 ~ 500kHz 범위의 HFAC가 어떤 조직에 가해지면 조직의 이온이 진동하여 조직이 가열된다. 가열에 의해 세포 내 온도가 60 ℃에 도달하면 순간적인 세포 사멸이 발생하며, 60 ~ 69 ℃에 도달하면 조직 건조(탈수)와 조직 응고가 발생한다. 세포 내 온도가 급격히 100 ℃에 도달하면 폭발성 기화가 발생하여 세포의 내용물이 액체에서 기체로 전환되고 세포가 폭발한다[Brill AI, Munro MG. Energy-based surgical devices. In: Munro MG, Gomel V, eds. Reconstructive and Reproductive Surgery in Gynecology: Two Volume Set. 2nd ed: CRC Press; 2018. pp. 27-46].
본 발명도 이러한 원리에 바탕을 두고 착상되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도성을 갖는 금속관을 근관 내 치수 조직에 삽입하고 전극을 통해 고주파 교류 교류가 근관(펄프 조직)에 인가될 때 부 근관 또는 상아 세관 등 접근할 수 없는 영역의 조직이 먼저 가열되어 접근할 수 없는 영역에 잔존하는 오염된 치수 조직(pulp)이 증발되어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근관계 전체에 대한 완전한 소독(complete disinfection)이 초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도성을 갖는 근관 조직에 HFAC를 인가하면 줄의 법칙에 따라 열이 생성되며, 이러한 발열에 의해 전극에 인접한 조직의 세포 내 이온의 온도를 높여 궁극적으로 폭발적인 기화와 조직 건조를 일으켜 오염된 치수 조직의 멸균 및 증발이 발생한다. 특히 정점 수준 영역에서 높은 전류 밀도와 집중적인 발열 효과로 인해 협골, 부 근관, 상아 세관과 같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서 발열에 의한 효과적인 멸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근관의 형성(근관의 확장)과 화학적 관개 없이도 HFAC만을 이용하여 근관 치료를 수행함으로써 근관의 잘못된 형성, 천공 및 기구 골절과 같은 물리적인 결함으로 인한 사고의 우려도 없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근관 파편 제거(근관 치료)의 효과를 제시하기 위한 일례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근관에 전류를 인가함에 따라 열이 발생되어 조직이 수축 내지는 응고하는 현상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a)는 발열 전, (b)는 발열 후의 모습을 제시한 것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원형의 점선 부분에 해당하는 근관 부분이 발열 후 수축 내지는 응고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5b는 근관의 형성(근관의 확장)과 화학적 관개를 통해 근관 시스템을 세정한 이후의 모습과 본 발명에 따른 (증발에 의한) 멸균 이후의 모습을 제시한 것으로, 왼편[(a)와 (c)]은 전자를 우편[(b)와 (d)]은 후자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왼편과 우편에서의 각 상단 사진은 현미경 등을 통해 촬영한 사진을 5K 배율로 확대한 것이고 각 하단의 사진은 10K 배율로 확대한 사진이다. 이들 사진은 냉장 방출 주사 전자 현미경(CFE-SEM:SU8230)으로 관찰하여 촬영된 것이다.
도 5b에 제시된 바와 같이 왼편의 경우에는 세정 후에도 많은 근관 파편이 잔존해 있음을 볼 수 있고, 우편의 경우에는 근관 파편이, 왼편과 비교해 보면, 전혀 잔존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방법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code)로 구현함이 가능하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 (예를 들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그 사상의 구체성을 담보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시를 통해 개진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는 청구범위에 개시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도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치아의 근관(root canal) 치료를 위해 상기 근관에 인가하는 고주파 교류 전
    류를 생성시키는 고주파 교류 전류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전류 생성부는 소정의 설정된 주파수와 크기를 갖는 연속적인 정현파 신호의 교류 전류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단속적으로(intermittently) 소정의 지속 시간을 갖는 또 다른 단위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제1 교류 전류 생성부를 포함하는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류 전류 생성부에 의해 단속적으로 생성된 단위 전류의 각각의 (respective) 단위 전류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단속적으로 소정의 지속 시간을 갖는 또 다른 단위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제2 교류 전류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전류 발생부는,
    상기 제2 교류 전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단위 전류를 그 1주기 단
    위로 크기를 감쇠시켜 변형 생성하는 변형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생성부는
    상기 제2 교류 전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단위 전류의 피크(peak)를검출하는 피크 검출부;
    상기 피크의 개수를 카운팅(counting)하는 카운팅부; 및
    상기 카운팅된 피크의 개수의 두 번째 수에 해당하는 전류부터 그 크기를 순
    차적으로 감쇠시켜 생성하는 감쇠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
  5.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생성부는,
    상기 제2 교류 전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단위 전류가 생성되지 않는 시간 간격의 종점에 근접하면 상기 제2 교류 전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단위 전류의 기준 레벨(상기 생성되지 않는 시간 간격 동안의 레벨)의 이하에서 다음 단위 전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류 전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단위 전류와 상기 제2 교류 전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단위 전류가 생성되지 않는 시간 간격을 체크하기 위한 시간 간격 체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전류의 각각의 지속 시간(duration time)을 제한하는 지속 시간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전류의 각각의 크기(amplitude)를 소정 범위로 제한하는 크기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정현파 교류 전류 신호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주파수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전류 중 어느 하나의 전류라도 상기 각 소정의 시간 간격, 상기
    각 지속 시간, 상기 각 크기 및 상기 설정된 주파수를 만족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 치료 장치를 초기화(리셋)시키는 초기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관계에 상기 고주파 교류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극 또는 근관 치료용 파일(file)은 상기 전극과 파일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근관계에 삽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전극이 상기 파일에 접촉되어 상기 파일 부분만 상기 근관계에 삽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파일을 대체할 수 있는 어떤 금속 또는 전도체에 상기 전극이 접촉되어 상기 어떤 금속 또는 전도체 부분만 상기 근관계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또는 파일의 직경은 일단에서 상기 근관계의 정점 부근에 접촉하는 부분(종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
  13. 고주파 교류 전류를 생성시켜 치아의 근관계(root canal system)에 인가하여치아의 근관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교류 전류의 생성은
    (a)소정의 설정된 주파수와 크기를 갖는 연속적인 정현파 신호 형태를 갖는 교류 전류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단속적으로(intermittently) 소정의 지속 시간을 갖는 단위 교류 전류가 생성되는 단계; 및
    (b)상기 (a)단계에 의해 단속적으로 생성된 단위 전류의 각각의(respective)
    단위 전류로부터 소정의 지속 시간을 갖는 또 다른 단위 교류 전류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단속적으로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의 근관 치료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c)상기 (b)단계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단위 전류는 그 1주기 단위로 크기가감쇠되어 변형 생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근관 치료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상기 (c)단계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단위 전류의 피크(peak)가 검출되는
    단계;
    (c2)상기 피크의 개수가 카운팅(counting)되는 단계; 및
    (c3)상기 카운팅된 피크의 개수의 두 번째 수에 해당하는 전류부터 그 크기
    가 순차적으로 감쇠되어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근관 치료 방법.
  16. 제14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b)단계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단위 전류가 생성되지 않는 시간 간격의 종점에 근접하면 상기 (b)단계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단위 전류의 기준 레벨(상기 생성되지 않는 시간 간격 동안의 레벨)의 이하에서 다음 단위 전류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근관 치료 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상기 (a)단계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단위 전류와 상기 (b)단계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단위 전류가 생성되지 않는 시간 간격이 체크되는 단계;
    (e)상기 모든 전류의 각각의 지속 시간(duration time)이 설정(제한)되며,
    상기 각각의 단위 전류가 상기 설정된 지속 시간의 만족(초과)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f)상기 모든 전류의 각각의 크기(amplitude)는 소정 범위로 설정(제한)되며, 상기 모든 전류가 상기 설정된 크기의 만족(초과)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및
    (g)상기 연속적인 정현파 교류 전류 신호의 주파수가 설정되며, 상기 연속적인 정현파 교류 전류 신호가 상기 설정된 주파수를 갖는 지의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 근관 치료 방법.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h)상기 모든 전류 중 어느 하나의 전류라도 상기 각 소정의 시간 간격, 상기 각 지속 시간, 상기 각 크기 및 상기 설정된 주파수를 만족하지 아니한 경우에 는 근관 치료가 초기화(리셋)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의근관 치료 방법.
KR1020200155687A 2020-11-19 2020-11-19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68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687A KR20220068672A (ko) 2020-11-19 2020-11-19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687A KR20220068672A (ko) 2020-11-19 2020-11-19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672A true KR20220068672A (ko) 2022-05-26

Family

ID=8180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687A KR20220068672A (ko) 2020-11-19 2020-11-19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867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2008B2 (en) 1996-06-07 2002-11-19 Enrico Perdomini Process for devitalizing teeth using high-frequency electric current
US8932005B2 (en) 2012-04-11 2015-01-13 Charles Martin Sieger Archimedean modular / multi-axis rotor (AM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2008B2 (en) 1996-06-07 2002-11-19 Enrico Perdomini Process for devitalizing teeth using high-frequency electric current
US8932005B2 (en) 2012-04-11 2015-01-13 Charles Martin Sieger Archimedean modular / multi-axis rotor (AM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msköld et al. Thermal effects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energy levels required to sterilize stained root canals with an Nd: YAG laser
US8932055B2 (en) Method employing electric fields to selectively kill microbes in a root canal preparation
Yalamanchili et al. Electrosurgical applications in Dentistry
KR102487760B1 (ko)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Asnaashari et al. Clinical application of 810nm diode laser and low level laser therapy for treating an endodontic problem a case presentation
Gutknecht Lasers in endodontics
KR20220068672A (ko) 치아의 근관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JP4469015B1 (ja) 歯槽骨再生装置
Bahrololoomi et al. Thermal changes of root surface of anterior primary teeth in Pulpectomy with Er: YAG laser
Ali et al.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irrigant activation techniques in removing the smear layer and opening the dentinal canal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Dimri et al. Minimally invasive endodontics: a review
Nair et al. Current concept of caries removal: a brief review
CA3156561A1 (en) Biostimulation laser assisted sterilization of dental implant
Simon et al. Role of lasers in endodontics-A review.
Aksoy et al. Smear layer removal efficiency of Er, Cr; YSGG and Er: YAG lasers in root canals prepared with different NiTi File systems
Chuang et al. Laser-Assisted Minimally Invasive Nonsurgical Therapy in Treating Severely Periodontally Compromised Teeth: A Case Series.
KR20220040738A (ko) 치아의 근관 소독 장치
Gujjari A Case Report Of Gingival And Alveolar Bone Necrosis Following Gingivectomy By Electrosurgery.
Yadav et al. Relevance of ozone therapy in the field of conserv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Liana et al. Laser diode applications in prosthetic dentistry
Devi et al. Application of lasers in periodontal therapy
Olivi et al. Different Lasers Used in Endodontics
Zalba Minimal intervention in Cariology-new devices for MI restorations
Mathew et al. LASERS IN DENTISTRY.
Poli Laser-Assisted Restorative Dentistry (Hard Tissue: Carious Lesion Removal and Tooth Prepa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