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695A -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695A
KR20220067695A KR1020200154200A KR20200154200A KR20220067695A KR 20220067695 A KR20220067695 A KR 20220067695A KR 1020200154200 A KR1020200154200 A KR 1020200154200A KR 20200154200 A KR20200154200 A KR 20200154200A KR 20220067695 A KR20220067695 A KR 20220067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parts
modeling
data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한영
서동원
문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200154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7695A/ko
Publication of KR20220067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6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05B19/4187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by tool manag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3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data acquisition, e.g. workpiece identif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8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modeling, simulation of the manufacturing syste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설비와 각각 연동되는 다수개의 설비 제어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되는 다수개의 설비 데이터를 수집하는 설비 데이터 수집부, 수집된 다수개의 설비 데이터로부터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각각 추출하여 저장하는 설비 데이터 저장부 및 저장된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변환하여 점검이 요구되는 설비의 부품에 대한 정보를 3D 화면으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3D 설비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ARTS OF VACUUM EQUIPMENT}
본 발명은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다수개의 설비 제어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되는 다수개의 설비 데이터로부터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각각 추출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변환하여 점검이 요구되는 설비의 부품에 대한 정보를 3D 화면으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설비는 장기적인 사용에 의해 열화가 진행되고 성능 저하가 계속 이루어지면 잦은 고장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설비를 점검하여 고장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설비를 점검하는 방법 중 신뢰도 기반 기술은 설비 신뢰성 중심의 유지 및 보수하는 방법으로서, 각 설비의 특성 파악과 운용 환경에 따른 설비의 고장 모드 분석 및 임계해석 평가를 통해 목표한 신뢰도를 유지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유지 보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신뢰도 기반 기술은 입력받은 설비에 대한 데이터를 신뢰도를 계산하여 고장 주기를 예측해서 설비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다.
설비를 점검하는 방법 중 위험도 기반 기술은 설비에 대한 점검 및 검사 기록을 바탕으로 설비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위험도 평가를 통해 산정된 정비 주기에 따라 정비 작업을 지시하고, 해당하는 정비 작업에 반영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설비를 점검하는 방법은 설비별, 부품별 및 계통별 각각의 정비 자료를 분석하고 현 상태의 평가가 불가능하여 효율적인 정비 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내부에 부품이 존재하는 진공 설비는 알람 발생하여 부품들의 점검이 필요한 경우, 또는 정기적으로 점검을 하여야 하는 부품들의 경우,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가 점검시 해당 부품이 어디에 위하는지 찾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2-0054723호는 "설비 고장 정비 시스템 및 설비 고장 정비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NO-SQL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수집된 다수개의 설비 데이터로부터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각각 추출하여 저장하는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된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 쿼리(Database Query) 변환을 적용하여 전체 설비에 대한 3D 모델링을 수행하여 전체 설비에 대한 구조, 구성, 부품 그룹화, 부품들간의 연관 관계 및 부품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3D 모델링 화면을 구현하는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는 다수개의 설비와 각각 연동되는 다수개의 설비 제어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되는 다수개의 설비 데이터를 수집하는 설비 데이터 수집부; 수집된 다수개의 설비 데이터로부터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각각 추출하여 저장하는 설비 데이터 저장부; 및 저장된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변환하여 점검이 요구되는 설비의 부품에 대한 정보를 3D 화면으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3D 설비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비 데이터 저장부는 NO-SQL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되, 설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설비별 상태 데이터를 추출하는 설비 상태 데이터 추출부; 및 점검이 요구되는 설비의 부품을 파악하기 위한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추출하는 설비 모델링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3D 설비 정보 제공부는 저장된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 쿼리(Database Query) 변환을 적용하여 전체 설비에 대한 3D 모델링을 수행하는 3D 설비 모델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3D 설비 모델링부는 3D 모델링을 수행하여 전체 설비에 대한 구조, 구성, 부품 그룹화, 부품들간의 연관 관계 및 부품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3D 모델링 화면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3D 설비 정보 제공부는 검색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설비 검색 데이터에 따라 해당 설비의 부품들을 그룹별로 단계적으로 표시하되, 선택된 그룹 이외의 다른 그룹은 생성된 전체 설비에 대한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모델링 화면에 색상을 구분하여 가시화하는 검색 설비 가시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3D 설비 정보 제공부는 알람 모드에서 점검이 요구되어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 위치를 생성된 전체 설비에 대한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모델링 화면에 색상을 구분하여 가시화하는 알람 설비 가시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람 설비 가시화부는 구현된 3D 모델링 화면에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의 위치,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과 연관된 다른 부품 정보 및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들에 대하여 시간 순서 또는 우선 순위에 따라 나열한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방법은 설비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다수개의 설비와 각각 연동되는 다수개의 설비 제어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되는 다수개의 설비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설비 데이터 저장부에 의해, 수집된 다수개의 설비 데이터로부터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각각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3D 설비 정보 제공부에 의해, 저장된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변환하여 점검이 요구되는 설비의 부품에 대한 정보를 3D 화면으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수집된 다수개의 설비 데이터로부터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각각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NO-SQL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되, 설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설비별 상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점검이 요구되는 설비의 부품을 파악하기 위한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저장된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변환하여 점검이 요구되는 설비의 부품에 대한 정보를 3D 화면으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저장된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 쿼리(Database Query) 변환을 적용하여 전체 설비에 대한 3D 모델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전체 설비에 대한 구조, 구성, 부품 그룹화, 부품들간의 연관 관계 및 부품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3D 모델링 화면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저장된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변환하여 점검이 요구되는 설비의 부품에 대한 정보를 3D 화면으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검색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설비 검색 데이터에 따라 해당 설비의 부품들을 그룹별로 단계적으로 표시하되, 선택된 그룹 이외의 다른 그룹은 생성된 전체 설비에 대한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모델링 화면에 색상을 구분하여 가시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저장된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변환하여 점검이 요구되는 설비의 부품에 대한 정보를 3D 화면으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알람 모드에서 점검이 요구되어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 위치를 생성된 전체 설비에 대한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모델링 화면에 색상을 구분하여 가시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알람 모드에서 점검이 요구되어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 위치를 생성된 전체 설비에 대한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모델링 화면에 색상을 구분하여 가시화하는 단계는, 구현된 3D 모델링 화면에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의 위치,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과 연관된 다른 부품 정보 및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들에 대하여 시간 순서 또는 우선 순위에 따라 나열한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은 NO-SQL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수집된 다수개의 설비 데이터로부터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각각 추출하여 저장함으로써, 진공 설비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된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 쿼리(Database Query) 변환을 적용하여 전체 설비에 대한 3D 모델링을 수행하여 전체 설비에 대한 구조, 구성, 부품 그룹화, 부품들간의 연관 관계 및 부품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3D 모델링 화면을 구현함으로써, 설비를 점검하는 위치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고, 점검 시간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3D 설비 정보 제공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3D 설비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100)는 크게 설비 데이터 수집부(110), 설비 데이터 저장부(120) 및 3D 설비 정보 제공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100)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뿐 아니라 휴대용 모바일 기기(휴대폰, PDA, 태블릿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설비 데이터 수집부(110)는 다수개의 설비와 각각 연동되는 다수개의 설비 제어 프로그램(121a, 121b)으로부터 전송되는 다수개의 설비 데이터를 수집한다.
설비 데이터 수집부(110)는 다수개의 설비 제어 프로그램(121a, 121b)과 TCP/IP로 통신으로 데이터를 수집한다.
설비 데이터 저장부(120)는 수집된 다수개의 설비 데이터로부터 NO-SQL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각각 추출하여 저장한다.
이를 위해, 설비 데이터 저장부(120)는 설비 상태 데이터 추출부(121) 및 설비 모델링 데이터 추출부(122)를 포함한다.
설비 상태 데이터 추출부(121)는 설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설비별 상태 데이터를 추출한다. 설비 상태 데이터 추출부(121)는 설비별로 다수개 구비(121a, 121b)된다.
설비 모델링 데이터 추출부(122)는 점검이 요구되는 설비의 부품을 파악하기 위한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추출한다. 설비 모델링 데이터 추출부(122)는 설비별로 다수개 구비(122a, 122b)된다.
3D 설비 정보 제공부(130)는 저장된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변환하여 점검이 요구되는 설비의 부품에 대한 정보를 3D 화면으로 출력하여 제공한다.
3D 설비 정보 제공부(130)는 주기적인 데이터베이스 쿼리(Database Query) 변환을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설비의 상태를 3D 모델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3D 설비 정보 제공부(130)의 구성 및 기능에 관해서는 이후 설명되는 도 2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3D 설비 정보 제공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3D 설비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3D 설비 정보 제공부(130)는 저장된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변환하여 점검이 요구되는 설비의 부품에 대한 정보를 3D 화면으로 출력하여 제공한다.
이를 위해, 3D 설비 정보 제공부(130)는 3D 설비 모델링부(131), 검색 설비 가시화부(132) 및 알람 설비 가시화부(133)를 포함한다.
3D 설비 모델링부(131)는 저장된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 쿼리(Database Query) 변환을 적용하여 전체 설비에 대한 3D 모델링을 수행한다.
3D 설비 모델링부(131)는 3D 모델링을 수행하여 전체 설비에 대한 구조, 구성, 부품 그룹화, 부품들간의 연관 관계 및 부품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3D 모델링 화면을 구현한다.
검색 설비 가시화부(132)는 검색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설비 검색 데이터에 따라 해당 설비의 부품들을 그룹별로 단계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선택된 그룹 이외의 다른 그룹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전체 설비에 대한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모델링 화면에 색상을 구분하여 가시화할 수 있다.
즉, 검색 설비 가시화부(132)는 설비의 부품을 그룹별로 단계적(트리 구조)으로 표시할 수 있고, 그룹별로 단계적으로 표시할 때 마다, 이외의 그룹은 반투명 처리하여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부품의 썸네일 이미지를 활용하여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알람 설비 가시화부(133)는 알람 모드에서 점검이 요구되어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 위치를 생성된 전체 설비에 대한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모델링 화면에 색상을 구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시화한다.
알람 설비 가시화부(134)는 구현된 3D 모델링 화면에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의 위치,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과 연관된 다른 부품 정보 및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들에 대하여 시간 순서 또는 우선 순위에 따라 나열한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시화할 수 있다.
즉, 알람 설비 가시화부(134)는 알람이 발생중인 부품들은 3D 모델링 화면 내에 색상 변화로 시인성을 높이고, 알람이 발생중인 부품들은 리스트화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각 부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알람이 발생한 부품과 연관된 부품이 있을 경우 연관 선택이 가능 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다수개의 설비와 각각 연동되는 다수개의 설비 제어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되는 다수개의 설비 데이터를 수집한다(S100).
S100 단계는 다수개의 설비 제어 프로그램과 TCP/IP로 통신으로 데이터를 수집한다.
다음, 수집된 다수개의 설비 데이터로부터 NO-SQL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각각 추출하여 저장한다(S200).
S200 단계는 설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설비별 상태 데이터를 추출하고, 점검이 요구되는 설비의 부품을 파악하기 위한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추출한다.
다음, 저장된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 쿼리(Database Query) 변환을 적용하여 전체 설비에 대한 3D 모델링을 수행한다(S300).
S300 단계는 3D 모델링을 수행하여 전체 설비에 대한 구조, 구성, 부품 그룹화, 부품들간의 연관 관계 및 부품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3D 모델링 화면을 구현한다.
다음, 검색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설비 검색 데이터에 따라 해당 설비의 부품들을 그룹별로 단계적으로 표시한다(S400). S400 단계에서 선택된 그룹 이외의 다른 그룹은 생성된 전체 설비에 대한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모델링 화면에 색상을 구분하여 가시화할 수 있다.
다음, 알람 모드에서 점검이 요구되어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 위치를 생성된 전체 설비에 대한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모델링 화면에 색상을 구분하여 가시화한다(S500). S500 단계에서 구현된 3D 모델링 화면에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의 위치,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과 연관된 다른 부품 정보 및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들에 대하여 시간 순서 또는 우선 순위에 따라 나열한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시화할 수 있다. 그리고 알람이 발생중인 부품들은 3D 모델링 화면 내에 색상 변화로 시인성을 높이고, 알람이 발생중인 부품들은 리스트화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각 부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알람이 발생한 부품과 연관된 부품이 있을 경우 연관 선택이 가능 하도록 한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이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또는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또는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장치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또는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이 모듈, 하위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이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특허문헌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설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수신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이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이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 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110 : 설비 데이터 수집부
120 : 설비 데이터 저장부
130 : 3D 설비 정보 제공부

Claims (13)

  1. 다수개의 설비와 각각 연동되는 다수개의 설비 제어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되는 다수개의 설비 데이터를 수집하는 설비 데이터 수집부;
    수집된 다수개의 설비 데이터로부터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각각 추출하여 저장하는 설비 데이터 저장부; 및
    저장된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변환하여 점검이 요구되는 설비의 부품에 대한 정보를 3D 화면으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3D 설비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데이터 저장부는 NO-SQL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되,
    설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설비별 상태 데이터를 추출하는 설비 상태 데이터 추출부; 및
    점검이 요구되는 설비의 부품을 파악하기 위한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추출하는 설비 모델링 데이터 추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설비 정보 제공부는 저장된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 쿼리(Database Query) 변환을 적용하여 전체 설비에 대한 3D 모델링을 수행하는 3D 설비 모델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D 설비 모델링부는 3D 모델링을 수행하여 전체 설비에 대한 구조, 구성, 부품 그룹화, 부품들간의 연관 관계 및 부품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3D 모델링 화면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D 설비 정보 제공부는 검색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설비 검색 데이터에 따라 해당 설비의 부품들을 그룹별로 단계적으로 표시하되, 선택된 그룹 이외의 다른 그룹은 생성된 전체 설비에 대한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모델링 화면에 색상을 구분하여 가시화하는 검색 설비 가시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D 설비 정보 제공부는 알람 모드에서 점검이 요구되어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 위치를 생성된 전체 설비에 대한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모델링 화면에 색상을 구분하여 가시화하는 알람 설비 가시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설비 가시화부는 구현된 3D 모델링 화면에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의 위치,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과 연관된 다른 부품 정보 및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들에 대하여 시간 순서 또는 우선 순위에 따라 나열한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8. 설비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다수개의 설비와 각각 연동되는 다수개의 설비 제어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되는 다수개의 설비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설비 데이터 저장부에 의해, 수집된 다수개의 설비 데이터로부터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각각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3D 설비 정보 제공부에 의해, 저장된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변환하여 점검이 요구되는 설비의 부품에 대한 정보를 3D 화면으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수집된 다수개의 설비 데이터로부터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각각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NO-SQL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되,
    설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설비별 상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점검이 요구되는 설비의 부품을 파악하기 위한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저장된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변환하여 점검이 요구되는 설비의 부품에 대한 정보를 3D 화면으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저장된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 쿼리(Database Query) 변환을 적용하여 전체 설비에 대한 3D 모델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전체 설비에 대한 구조, 구성, 부품 그룹화, 부품들간의 연관 관계 및 부품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3D 모델링 화면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저장된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변환하여 점검이 요구되는 설비의 부품에 대한 정보를 3D 화면으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검색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설비 검색 데이터에 따라 해당 설비의 부품들을 그룹별로 단계적으로 표시하되, 선택된 그룹 이외의 다른 그룹은 생성된 전체 설비에 대한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모델링 화면에 색상을 구분하여 가시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저장된 설비별 상태 데이터 및 설비별 모델링 데이터를 변환하여 점검이 요구되는 설비의 부품에 대한 정보를 3D 화면으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알람 모드에서 점검이 요구되어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 위치를 생성된 전체 설비에 대한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모델링 화면에 색상을 구분하여 가시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알람 모드에서 점검이 요구되어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 위치를 생성된 전체 설비에 대한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모델링 화면에 색상을 구분하여 가시화하는 단계는,
    구현된 3D 모델링 화면에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의 위치,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과 연관된 다른 부품 정보 및 알람이 발생한 설비의 부품들에 대하여 시간 순서 또는 우선 순위에 따라 나열한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방법.
KR1020200154200A 2020-11-18 2020-11-18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676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200A KR20220067695A (ko) 2020-11-18 2020-11-18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200A KR20220067695A (ko) 2020-11-18 2020-11-18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695A true KR20220067695A (ko) 2022-05-25

Family

ID=81800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200A KR20220067695A (ko) 2020-11-18 2020-11-18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76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305B1 (ko) * 2022-11-17 2023-04-25 주식회사 파란 선박 유지 보수를 위한 통합 정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305B1 (ko) * 2022-11-17 2023-04-25 주식회사 파란 선박 유지 보수를 위한 통합 정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40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software application metadata associated with a software application
CN102326142B (zh) 警报趋势汇总显示系统和方法
US11948052B2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onitoring field device
AU2018219019A1 (en) System for analyzing machine data
US10027555B2 (en) Visual diagramming tool for hardware configurations
CN112749813A (zh) 一种数据处理系统、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003473A (zh) 一种页面操作行为的回溯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140136139A1 (en) Optical fiber analysis device, system, and method
CN115810298A (zh) 基于船舶机电装备故障信息的故障趋势预测方法及系统
CN116955434A (zh) 一种工业装备全生命周期管理及多维度能效分析系统
CN117041029A (zh) 网络设备故障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Ochuba et al. Predictive analytics in the maintenance and reliability of satellite tele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a conceptual review of strategies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s
KR20220067695A (ko) 진공 설비의 부품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6667664B2 (ja) プラント管理装置、プラント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2621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assessment of equipment in an equipment fleet
KR20230056006A (ko) 3차원 모델을 통한 인공지능 기반 안전진단 장치 및 그 방법
EP39453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manufacturing plant topology and fault propagation information
WO20200463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mean time between service visits in an industrial system
CN113709421A (zh) 一种基于视频图像识别的安全管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0347423A (zh) 文件修改上线的管理方法和装置
CN117313189B (zh) 光纤二次回路可视化分析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Rodrigues et al. Digital Twin of Subsea Assets as a Tool for Integrity Management and Risk-Based Inspection: Challenges and Perspectives
CN116523471B (zh) 信息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KR102536112B1 (ko) 학습 및 진화하는 아바타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운영유지보수 장치 및 그 방법
Althobaiti et al. AR Gauge Scanner Mobile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