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640A -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 - Google Patents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640A
KR20220067640A KR1020200153851A KR20200153851A KR20220067640A KR 20220067640 A KR20220067640 A KR 20220067640A KR 1020200153851 A KR1020200153851 A KR 1020200153851A KR 20200153851 A KR20200153851 A KR 20200153851A KR 20220067640 A KR20220067640 A KR 20220067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shing machine
washing water
container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6928B1 (ko
Inventor
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벡트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벡트로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벡트로우
Priority to KR1020200153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928B1/ko
Priority to PCT/KR2020/016297 priority patent/WO2022107908A1/ko
Publication of KR20220067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9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small size, e.g. portable mini dishwashers for small kitchens, office kitchens, boats, recreational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63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using remote monitoring or controlling of the dishwasher operation, e.g. network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3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using sonic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3Devices for water discharge, e.g. devices to prevent siphoning,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6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 A47L15/4242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by using ultraviolet gen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47Detergents in the form of bars or tablets
    • C11D17/0065Solid detergents containing builders
    • C11D17/0073Tab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8Liquid soap, e.g. for dispensers; capsul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02Inorganic compounds
    • C11D7/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7/10Salts
    • C11D7/12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06Inorganic compounds
    • C11D9/08Water-soluble compounds
    • C11D9/10Salts
    • C11D9/12Carbonat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2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thing itsel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7Sonic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8Liquid and granu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21State of charge of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는, 상부에 개구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착탈 가능하며, 상기 본체부의 개구를 덮도록 구성된 덮개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며, 세척대상물 및 세척수가 수용될 수 있고, 진동에 내구성이 있는 투명 재질 또는 금속 재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개구에 안착되어 세척수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세척수 투입부, 상기 용기부의 측면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초음파 진동소자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의 바닥부를 향해 자외선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자외선 광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PORTABLE WASHING APPARATUS USING ULTRASONIC WAVES}
본 개시는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용품, 생활용품 등과 같은 소형세척물을 초음파 진동소자를 이용하여 세척하며, 자외선 광원을 이용하여 살균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초음파 세척은 주로 초음파에 의한 캐비테이션(Cavitation) 현상이나 분무 미립화, 물입자 가속도를 이용한다. 캐비테이션 현상은 초음파의 에너지가 용액 중에 전파될 때 초음파의 압력에 의해 미세 기포가 발생되고,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다가 소멸되는 현상을 지칭한다. 캐비테이션은 매우 큰 압력과 순간적인 고온을 동반하는 충격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캐비테이션에 의한 충격 에너지, 초음파 자체의 방사압에 의한 교반효과, 열작동 등이 세제와 상승작용을 일으켜 높은 세척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물에 초음파 에너지를 조사하면 캐필러리파에 의해 물의 입자 가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물 입자의 가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피세척물에 부착된 불순물 등의 미세한 입자의 세척이 가능해진다. 또한, 초음파 세척방식은 세척 후 재오염의 소지가 없고, 피세척물에 대한 손상이 적기 때문에 반도체 등의 정밀 세정에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초음파 세척의 장치는, 통상적으로 가정 또는 레스토랑의 주방 등과 같은 장소에서 다수의 식기 등과 같은 세척물을 세척하기 위해 비교적 큰 규모로 제작되어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대규모 세척기에 젖병과 같은 유아 용품, 장난감, 생활 용품 등을 포함하는 소형 세척물을 세척 시 분실의 우려가 있으며, 세척물이 고정되지 않아 정밀한 세척이 어렵다. 특히, 유아 용품의 경우 표면 세척 뿐만 아니라 살균 처리, 건조 등과 같은 후처리가 필요할 수 있으나, 기존의 초음파 기반의 세척기들은 세척, 살균, 건조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47357호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방법(dish washer and method for washing dishes)'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소형 세척물의 세척이 용이하고, 휴대성이 증대되는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 및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에 있어서, 상부에 개구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착탈 가능하며, 상기 본체부의 개구를 덮도록 구성된 덮개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며, 세척대상물 및 세척수가 수용될 수 있고, 진동에 내구성이 있는 투명 재질 또는 금속 재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개구에 안착되어 세척수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세척수 투입부, 상기 용기부의 측면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초음파 진동소자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의 바닥부를 향해 자외선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자외선 광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세척기는, 상기 세척대상물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용기부에 수용되는 상기 복수 개의 세척대상물 사이의 공간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세척기는, 상기 용기부 바닥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외한 상기 용기부의 내부 측면이 미러 코팅되어, 상기 자외선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광이 상기 용기부의 내부 측면에서 반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세척기는, 상기 세척수 투입부의 상단에는 상기 세척수가 투입되도록 구성된 세척수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 투입구의 단면은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일 측면에 대향하는 타 측면의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세척기는, 상기 세척수 투입구의 하단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용기부로부터 상기 세척수의 적어도 일부가 도입되어 상기 덮개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세척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 투입구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상기 세척부 투입구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연장된 표면은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초음파 진동소자는, 상기 용기부의 측면부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오목부에 삽입된 후 에폭시수지에 의해 도포되어, 상기 복수의 오목부에 매립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휴대용 세척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상기 초음파 진동소자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자외선 광원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 표시부 및 상기 충전 가능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상기 초음파 진동소자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자외선 광원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 가능한 통신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세척기는, 상기 세척수 투입부와 반대되는 위치로 설치되어, 방수 기능이 있으며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기포펌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척수에는, 과탄산소다 1내지 95%의 비율로 만들어진 알약 또는 캡슐 등의 형태의 세척캡슐이 투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세척기의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원부의 동작 신호, 상기 초음파 진동소자의 동작 신호, 및 상기 자외선 광원의 동작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세척기의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 상기 초음파 진동소자, 상기 자외선 광원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충전 가능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상기 초음파 진동소자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자외선 광원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세척기는 젖병, 장난감 등과 같은 유아용품 뿐만 아니라 작은 크기의 생활용품에 대한 세척, 살균, 건조 등의 처리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세척기의 세척수 투입구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용기로 세척수를 투입 또는 용기로부터 세척수를 배수하는 역할을 할 뿐만아니라, 세척대상물이 용기 내 세척수에 완전히 잠기도록 눌러주는 역할을 하여, 세척대상물의 정밀하고 효과적인 세척이 가능하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세척기에서 초음파 진동소자가 용기의 측면에 위치하고, 용기의 바닥면에 자외선 광원이 위치함으로써, 효율적인 세척 및 살균이 동시에 가능하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세척기의 세척수 투입구에 있어서, 일 측면으로부터 일 측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의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특이한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세척 후 용기 및 세척대상물에 잔류한 세척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건조가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세척기는 용기 내부에 유아용품, 안경, 소형식기 등과 같은 복수의 세척대상물을 구분할 수 있는 스페이서를 배치함으로써, 세척대상물들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세척이 진행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세척기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세척, 살균, 건조 등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초음파 세척기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해준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 투입구의 하부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 투입구의 상부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부의 상세 구성 사시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 하단부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와 사용자 단말기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또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 또는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 또는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또는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은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 또는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또는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세척기(100)는 덮개부(110), 세척수 투입부(120), 스페이서부(130) 및 본체부(14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40)는, 세척수 및 세척대상물(예를 들어, 젖병과 같은 유아용품)이 투입될 수 있는 개구(141)를 포함하며, 내부에는 세척수 및 세척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110)는, 본체부(140)의 개구를 덮도록 본체부(140)의 상부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덮개부(110)는, 세척수 투입부(12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휴대용 세척기(100)에 의한 세척대상물의 세척이 완료된 후 용기부 또는 세척대상물에 잔류한 세척수를 세척수 투입부(120)를 통해 배수할 때, 잔여 세척수를 받는 물통 역할을 할 수 있다.
세척수 투입부(120)는, 본체부(140)의 개구부(141)를 덮은 상태로 개구부(141)와 결합되어, 세척수가 본체부(140) 내부의 용기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덮개부(110)가 본체부(140)에 결합될 때, 세척부 투입부(120)는 덮개부(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세척기(100)에 의한 세척대상물의 세척이 완료된 후, 휴대용 세척기(100)는 그 하부가 위로 배치되고 그 상부가 아래로 배치되도록 뒤집어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용 세척기(100)가 뒤집어진 상태에서, 용기부 또는 세척대상물에 잔류한 세척수가 세척수 투입부(120)를 통해 덮개부(110)로 배출될 수 있다.
스페이서부(130)는, 본체부(140) 내부의 용기부에 복수 개의 세척대상물이 투입되는 경우, 세척대상물들의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공간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는 설명의 편의 상 스페이서부(130)가 1개만 도시되었지만, 3개 이상의 세척대상물 사이를 분리하기 위해 복수 개의 스페이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세척기(110)의 본체부(140)의 하단에는, 세척기(110)의 전원 공급을 시작할 수 있는 전원 버튼, 세척기(110)의 동작 상태가 표시되는 상태 표시부, 세척기(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공급 단자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휴대용 세척기(100)의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인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휴대용 세척기(1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직사각형 등 다른 형태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휴대용 세척기(100)의 본체부(140) 내부의 용기에는 세척수가 수용될 수 있으며, 세척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세척수에 세척제가 투여될 수 있다. 세척제는, 세척수에 용해될 수 있는 알약 또는 캡슐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제는, 과탄산소다 약 1% 내지 95%의 비율로 만들어진 알약 또는 캡슐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세척기(100)는, 덮개부(110), 세척수 투입부(120), 스페이서(130), 본체부(140), 용기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용기부(150)의 측면에는 복수의 초음파 진동소자(144)가 일정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용기부(150)의 바닥면에는, 용기부(150) 내부에 대한 살균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자외선 광원(15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50)와 본체부(140)의 하부 일측면에는, 기포발생기(149)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덮개부(110)는 본체부(140)의 개구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부(140)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휴대용 세척기의 세척이 완료되었을 때, 용기부(150) 내부의 세척수를 배출한 후 용기부(150) 내부 또는 세척대상물(101, 102)에 잔류한 잔여 세척수를 제거할 때 물통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덮개부(110)와 본체부(140)가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는 한 쌍의 개페감지센서(111)가 설치된다. 개폐감지센서(111)는 덮개부(110)과 본체부(140)의 결합 또는 이탈을 감지할 수 있다. 세척기(100)의 사용 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개폐감지센서(111)가 결합을 감지한 후, 자외선 광원(152) 또는 초음파 진동소자(144), 기포발생기(14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작동하도록 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개폐감지센서(111)가 세척기(100)의 동작 중에 덮개부(110)과 본체부(140)의 이탈을 감지한 경우, 자외선 광원(152) 또는 초음파 진동소자(144), 기포발생기(149)의 동작을 중단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세척수 투입부(120)는 세척대상물(101, 102)의 세척 시 세척수를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세척수 투입부(120)의 상단에 배치된 투입구를 통해 세척수를 주입하면, 세척수 투입부(120)의 하단에 배치된 배수구를 통해 용기부(150)로 세척수가 주입된다. 또한, 세척수 투입부(120)는 세척대상물(101, 102)의 세척이 완료 시 세척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세척기(100)가 뒤집어진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 세척수 투입부(120) 하단에 배치된 배수구를 통해 용기부(150) 내의 잔류 세척수가 흘러 들어가고, 세척수 투입부(120)의 상단에 배치된 투입구의 경사진 면을 통해 세척수가 모아져서 덮개부(110)로 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척수 투입부(120)를 구성함으로써, 세척 완료 후 건조 단계에서 잔류 세척수가 덮개부(110) 내에서 무분별하게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세척수 투입부(120)의 돌출부(128)은 부력으로 세척수 위로 떠오르는 세척대상물(102)을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돌출부(128)가 상위의 세척대상물(101)을 세척수 내에 잠기도록 눌러줌으로써, 모든 세척대상물(101, 102)이 세척수에 완전히 잠긴 상태에서 세척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스페이서부(130)는 복수 개의 세척대상물(101, 102)을 용기부(150)에 투입되어 세척될 때, 세척대상물(101, 102) 사이 공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스페이서부(130)에 의해 복수의 세척대상물(101, 102)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됨으로써, 세척대상물(101, 102)들이 서로 접촉된 부분에 초음파가 미치지 못하여 세척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스페이서부(130)는 대략 용기부(150)의 평면과 같은 형상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대략 매쉬망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부(130)의 매쉬망의 간격은 세척대상물(예를 들어, 유아용품, 가정용품, 소형용품 등)의 단부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설명의 편의상, 스페이스부(130)는 2개의 세척대상물(101, 102)를 구분하기 위해 1개만 도시하였지만, 스페이스부(13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상의 세척대상물을 구분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스페이스부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체부(140)는, 용기부(150)의 상단의 외측면에 배치된 패킹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체부(140)의 개구(141)에 덮개부(110)가 결합될 때 밀착될 수 있도록, 본체부(140)의 상단과 이에 대응하는 덮개부(110)의 하단 사이에 패킹부(14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부(15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세척대상물(101, 102)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투명 재질의 플라스틱 재료 또는 금속 재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재료의 결합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용기부(150)의 재료는 초음파 진동소자(144)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에 대해 내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부(150)까 금속 재료로 제작되는 경우, 해당 재료는 스테인리스 스틸이 바람직하다.
용기부(150)의 바닥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자외선 광원(152)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자외선 광이 통과하는 바닥부의 일부분을 제외한 용기부(150)의 내부 측면은 자외선 광이 반사될 수 있는 미러 코팅 처리될 수 있다. 용기부(150) 내부 측면이 미러 코팅됨으로써, 자외선 광원(152)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 광이 용기부(150)의 내부 측면에서 반사되어 세척대상물(101, 102) 전체에 대해 효과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50)의 외부 측면에는 복수의 초음파 진동소자(144)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부(150)의 외부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초음파 진동소자 홀더(146)에는 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초음파 진동소자(144)가 삽입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소자 홀더(146)에 삽입된 초음파 진동소자(144)의 노출된 표면은 에폭시수지(148)에 의해 도포됨으로써, 초음파 진동소자(144)가 용기부(150) 또는 초음파 진동소자 홀더(146)에 매립되도록 구성된다.
초음파 진동소자(144)는 세척대상물(101, 102)이 위치한 용기부(150) 내부의 세척수에 초음파를 발생시켜, 세척대상물(101, 102)이 세척수 내부에서 효과적으로 세척될 수 있게 한다. 초음파 진동소자(144)는 본체부(140) 또는 용기부(150)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 수개 설치되는 경우, 용기부(150) 내부의 세척대상물의 효율적인 세척이 가능하다. 초음파 진동소자(144)의 개수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2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 또는 3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초음파 진동소자(144)가 발생하는 초음파의 주파수는 약 40 내지 50 Khz가 바람직하다. 또한, 초음파 진동소자(144)의 일측면에 도포된 에폭시수지(148)은 세척 동작 중에 초음파 진동소자(144)를 고정하며, 초음파 진동소자(144)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감소해주며, 침수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자외선 광원(152)은, 미러 코팅되지 않은 용기부(150)의 바닥면으로 조사되도록 설치된다. 자외선 광원(152)에서 바닥면으로 조사되는 자외선 광은 상기 기술된 용기부(150)의 내부 미러 코팅에 의해 반사되어 세척대상물(101, 102)의 전체 표면에 대한 효율적인 살균이 가능하다.
용기부(150)의 하부에 설치된 기포발생기(149)는, 휴대용 세척기(100)가 초음파 세척 동작 동안에 세척수 내에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포발생기(149)는 본체부(140)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용기부(150) 내부로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공기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포발생기(149)는 이를 통해 용기부(150) 내의 세척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160)는 본체부(140)의 하단 내부에 위치하며, 회로기판(156)과 연결되어 있으며, 충전부(158)을 통해 외부전력으로 충전될 수 있다.
전원버튼부(162)는 본체부(140)의 바닥면에 위치하며, 배터리부(160)에 의한 회로기판(156)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세척기(100)의 작동 및 정지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원버튼부(162)는 자외선 광원(152) 또는 초음파 진동소자(14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원버튼부(162)를 일정 기간 동안 누르고 있으면, 휴대용 세척기(100)의 전원을 작동 또는 중지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으며, 전원버튼부(162)의 누름 횟수에 따라 상이한 기능이 실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버튼부(162)를 약 3초 내지 5초를 누르고 있으면 전원 작동 또는 중지를 실행하고, 전원버튼부(162)를 1회 누를 시 초음파 세척, 전원부를 2회 누를 시 UV 살균이 작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LED 표시등(154)는 본체부(140)의 외부 측면에 위치하며, 휴대용 세척기(100)의 배터리 상태, 초음파 구동 상태, 자외선 광원 구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5)는 회로기판(156)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원버튼부(162)를 통한 휴대용 세척기의 작동 여부, 세척 또는 UV 살균 기능의 동작 여부, 통신부(미도시)를 통한 사용자의 원격 사용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덮개부(110)와 세척수 투입부(120), 용기부(150)가 결합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실행될 수 있다. 먼저, 덮개부(110)와 세척수 투입부(120)는, 세척수 투입부(120)와 덮개부(110)의 마찰면 중 덮개부(110) 측면에 위치하는 제1 스크류부(114)와 세척수 투입부(120) 측면에 위치하는 제2 스크류부(124)가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세척수 투입부(120)와 용기부(150)는, 세척수 투입부(120)와 용기부(150)의 마찰면 중 세척수 투입부(120) 측면에 위치하는 제4 스크류부(122)와 용기부(150) 측면에 위치하는 제3 스크류부(142)의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덮개부(110)와 세척수 투입부(120), 용기부(150)가 결합되는 구성을 스크류 결합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그 결합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끼움 결합 등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체부(140) 또는 덮개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 또는 온풍기(미도시)와 통풍구(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통풍구는 용기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휴대용 세척기(100)의 세척 구동이 완료되면 팬 또는 온풍기가 작동하며, 연결된 통풍구로 건조풍이 이동하여 용기부(150) 내에 위치한 세척대상물(101, 102) 또는 용기부(150)를 건조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 투입부(12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을 참조하면, 세척수 투입구(120)는, 투입구(126), 배수구(125), 경사면(127) 및 돌출부(128)를 포함한다.
세척수 투입부(120)는, 통상적으로 세척대상물(101, 102)의 세척 시 세척수를 투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한편, 세척 종료 시 또는 세척대상물(101, 102)을 제거한 상태의 휴대용 세척기(100)의 잔여 세척수를 제거할 수 있는 배수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3b를 참조하면, 세척수 투입부(120)의 상단에는 투입구(126)가 위치하며, 투입구(126)의 단면은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일 측면에 대향하는 타 측면의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세척수 투입부(120)가 용기부(150)에 장착된 상태에서, 투입구(126)를 통해 투입된 세척수는 하단의 복수 개의 배출구(125)를 통해 전체적으로 고르게 용기부(150) 내로 주입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세척이 완료된 후, 용기부(150) 내부의 잔여 세척수를 효과적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용기부(150) 내부에 위치한 제 3스크류부(143), 세척수 투입부(120)의 제 4스크류부(122)가 서로 맞닿는다. 경사면(127)은 용기부(150) 내부와 맞닿아 밀착되고, 경사면(127)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구(125)가 위치한 곳까지 경사가 있는 구조로 되어 잔여 세척수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 때, 덮개부(110)는 세척 시에는 안정적인 세척을 하도록 세척수 또는 이물질이 튀지 않도록 방지하며, 배수 시에는 본체부(140)가 쓰러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덮개부(110)는 휴대용 세척기(100)에서 배출구(125)와 투입구(126)를 통해 배출되는 잔여 세척수를 받아주는 물통이 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50) 내부의 잔여 세척수를 배출 시 초음파 진동소자(144)를 구동하여 효율적으로 세척수를 배출할 수 있다.
돌출부(128)는 휴대용 세척기의 구동 시 부력으로 인해 세척수에 잘 잠기지 않는 세척대상물 또는 복수 개의 세척대상물을 세척 시 세척대상물을 세척수 내부로 눌러준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스페이스부(130)는 매쉬 형태로 유아용품 등과 같은 소형용품의 단부가 빠져나가지 않는 크기가 바람직하다. 휴대용 세척기(100)에 복수 개의 세척대상물를 투입 시 세척대상물이 복수 개의 세척대상물 사이의 공간을 유지하도록 하는 스페이서부(130)를 포함한다. 스페이서부(130)는 도면에 1개만 도시했지만, 복수 개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의 하단부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의 본체부(140)의 하단은, 제어부(155), 자외선 광원(152), 초음파 진동소자(144), LED 표시등(154), 제어부(155), 충전부(158), 용기부(150), 통신부(미도시), 배터리부(160), 전원버튼부(162)를 포함한다.
초음파 진동소자(144)는 용기부(150)의 측면에 위치하여 용기부(150) 측으로 초음파를 조사하여 세척대상물을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자외선 광원(152)는 용기부(150)의 하부에 위치하여 용기부(150) 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며, 조사된 자외선은 용기부(150) 내부의 미러 코팅에 의해 더욱 효율적으로 살균을 할 수 있다.
배터리부(160)는 휴대용 세척기(100)가 전원버튼부(162)를 통해 작동되면 휴대용 세척기(100)에 배터리부(160)에 충전된 전력을 휴대용 세척기(100)로 공급한다.
배터리부(160)의 잔여 전력이 없는 상태에서 충전부(158)를 통해 외부전력을 배터리부(160)에 공급하며, 충전부(158)는 배터리부(160)에 외부전력을 공급하는 중에도 휴대용 세척기(100)을 사용할 수 있다.
LED 표시등(15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를 설치하고 있으며, 세척기의 배터리 상태, 배터리 충전 상태, 초음파 진동소자(144)의 동작 상태 및 자외선 광원(152)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충전부(158)는 단자부(165)가 포함되어 외부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양극(163)과 음극(16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양극(163)과 음극(164)을 통해 충전부(158)에 충전기를 자석처럼 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포발생기(149)는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기포를 발생하여 세척 시 세척의 효과를 증가시키며, 외부 공기를 유입 시 세척수가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포발생기(149)는 방수 기능을 포함한다.
전원버튼부(162)는 휴대용 세척기(100)의 하단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원버튼부(162)를 누를 때 배터리부(160)에서 전력을 공급하여 휴대용 세척기(100)를 작동 또는 중지 중 하나를 할 수 있다.
또한, 전원버튼부(162)를 통해 자외선 광원(152) 또는 초음파 진동소자(14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버튼부(162)의 사용방법은, 전원버튼부(162)를 2초 내지 10초를 누르고 있으면 전원을 구동 또는 정지를 실행할 수 있으며, 전원버튼부(162)를 1회 누를 시의 기능과 전원버튼부(162)를 복수 회 누를 시의 기능을 설정 또는 사용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원버튼부(162)를 3초 내지 5초를 누르고 있으면 전원 구동 또는 정지를 실행하고, 전원버튼부(162)를 1회 누를 시 세척, 전원버튼부(162)를 2회 누를 시 UV살균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와 사용자 단말기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기(640)는 네트워크(620)을 통해 원격으로 휴대용 세척기(1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640)는 휴대용 세척기(100)의 배터리 상태 또는 배터리의 충전상태, 휴대용 세척기(100)의 작동 상태, 자외선 광원의 사용 여부, 초음파 세척의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 또는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세척기(100)는, 제어부(710), 통신부(730), 전원부(750), 초음파 발생부(770), UV 살균부(790)을 포함한다.
통신부(730)는 사용자 단말기와 휴대용 세척기(100)의 연결을 하며, 사용자 단말기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초음파 진동소자의 동작 상태 및 자외선 광원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730)에 의해 전송된다.
통신부는 멀티 페어링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BLE 통신 방식이 바람직하다.
제어부(71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제어부(155)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및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버튼부(162)에서 휴대용 세척기(100)를 작동 시 배터리부(160)의 전력을 초음파 진동소자(144) 또는 자외선 광원(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10, 155)는 사용자 단말기가 통신부(730)를 통해 배터리부(160)의 전력을 초음파 진동소자(144) 또는 자외선 광원(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5)는 배터리부(160)의 상태와 자외선 광원(152) 및 초음파 진동소자(144)의 작동 여부를 LED 표시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710, 155)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으며, 타이머는 3분 내지 5분이 바람직하다. 타이머의 시간은 3분 내지 5분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 또는 사용할 수 있다.
전원부(750)는 전원버튼부(162)를 통해 휴대용 세척기(100)의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750)를 통해 휴대용 세척기(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휴대용 세척기(100)의 세척 또는 살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할 수 있다.
이 때, 전원(750)부를 2초 내지 10초를 누르고 있으면 전원을 구동 또는 정지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으며, 전원부(750)를 1회 누를 시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고, 전원부(750)를 복수 회 누를 시의 기능을 설정 및 사용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원부(750)를 3초 내지 5초를 누르고 있으면 전원 구동 또는 정지를 실행하고, 전원부(750)를 1회 누를 시 초음파 발생부(770)가 작동되며, 전원부(750)를 2회 누를 시 UV살균부(790)가 작동된다.
초음파 발생부(770)는 제어부(710)를 통해 도 2 및 도 5의 휴대용 세척기(100)에 설치된 초음파 진동소자(144)를 작동 또는 중지할 수 있으며, UV 살균부(790)는 제어부(710)를 통해 도 2 및 도 5의 휴대용 세척기(100)에 설치된 자외선 광원(152)을 작동 또는 중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휴대용 세척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휴대용 세척기의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810),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원부의 동작 신호, 초음파 진동소자의 동작 신호 및 자외선 광원의 동작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820), 휴대용 세척기의 제어부(155, 710)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전원부, 초음파 진동소자, 자외선 광원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 시키는 단계(830), 통신부를 통해 충전 가능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초음파 진동소자의 동작 상태 및 자외선 광원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840)를 통해 휴대용 세척기의 제어 또는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 동작 또는 기법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의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대체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인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 지의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요구사항들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구현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기법들을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ASIC들, 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들),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들(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컴퓨터,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FPGA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나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기법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비휘발성 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rically erasable PROM), 플래시 메모리,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할 수도 있고,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법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여 컴퓨터 저장 매체들 및 통신 매체들 양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또는 소망의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이송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칭해진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디스크(disk)와 디스크(disc)는, 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들(disks)은 보통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고, 반면 디스크들(discs)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위의 조합들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ASIC은 유저 단말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유저 단말에서 개별 구성요소들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의 독립형 컴퓨터 시스템에서 현재 개시된 주제의 양태들을 활용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나 분산 컴퓨팅 환경과 같은 임의의 컴퓨팅 환경과 연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나아가, 본 개시에서 주제의 양상들은 복수의 프로세싱 칩들이나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스토리지는 복수의 장치들에 걸쳐 유사하게 영향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PC들, 네트워크 서버들, 및 휴대용 장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 휴대용 세척기
110 : 덮개부
120 : 세척수 투입부
130 : 스페이서부
140 : 본체부
150 : 용기부
160 : 배터리부
111 : 개폐감지센서
141 : 개구
114 : 제 1스크류부
124 : 제 2스크류부
142 : 제 3스크류부
122 : 제 4스크류부
125 : 배출구
126 : 투입구
127 : 경사부
128 : 돌출부
143 : 패킹부
144 : 초음파 진동소자
146 : 초음파 진동소자 홀더
148 : 에폭시수지
149 : 기포발생기
152 : 자외선 광원
154 : LED 표시등
155 : 제어부
156 : 회로기판
158 : 충전부
160 : 배터리부
162 : 전원버튼부
163 : 양극
164 : 음극
165 : 단자
166, 167, 168 : LED
620 : 네트워크
640 : 사용자 단말기
710 : 제어부
730 : 통신부
750 : 전원부
770 : 초음파 발생부
790 : UV 살균부
101 : 세척대상물
102 : 세척대상물

Claims (10)

  1.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에 있어서,
    상부에 개구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착탈 가능하며, 상기 본체부의 개구를 덮도록 구성된 덮개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며, 세척대상물 및 세척수가 수용될 수 있고, 진동에 내구성이 있는 투명 재질 또는 금속 재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개구에 안착되어 세척수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세척수 투입부;
    상기 용기부의 측면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초음파 진동소자;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의 바닥부를 향해 자외선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자외선 광원을 포함하는,
    휴대용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대상물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용기부에 수용되는 상기 복수 개의 세척대상물사이의 공간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 바닥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외한 상기 용기부의 내부 측면이 미러 코팅되어, 상기 자외선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광이 상기 용기부의 내부 측면에서 반사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용 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투입부의 상단에는 상기 세척수가 투입되도록 구성된 세척수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 투입구의 단면은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일 측면에 대향하는 타 측면의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된,
    휴대용 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투입구의 하단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용기부로부터 상기 세척수의 적어도 일부가 도입되어 상기 덮개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세척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 투입구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세척부 투입구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연장된 표면은 경사지도록 구성된,
    휴대용 세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초음파 진동소자는, 상기 용기부의 측면부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오목부에 삽입된 후 에폭시수지에 의해 도포되어, 상기 복수의 오목부에 매립되도록 구성된,
    휴대용 세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휴대용 세척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상기 초음파 진동소자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자외선 광원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 표시부; 및
    상기 충전 가능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상기 초음파 진동소자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자외선 광원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 가능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투입부와 반대되는 위치로 설치되어, 방수 기능이 있으며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기포펌프를 포함하는,
    휴대용 세척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에는, 과탄산소다 1내지 95%의 비율로 만들어진 알약 또는 캡슐 등의 형태의 세척캡슐이 투여될 수 있는,
    휴대용 세척기.
  10. 제1항 내지 제9항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세척기의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원부의 동작 신호, 상기 초음파 진동소자의 동작 신호, 및 상기 자외선 광원의 동작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세척기의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 상기 초음파 진동소자, 상기 자외선 광원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충전 가능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상기 초음파 진동소자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자외선 광원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세척기의 제어 방법.
KR1020200153851A 2020-11-17 2020-11-17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 KR102406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851A KR102406928B1 (ko) 2020-11-17 2020-11-17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
PCT/KR2020/016297 WO2022107908A1 (ko) 2020-11-17 2020-11-18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851A KR102406928B1 (ko) 2020-11-17 2020-11-17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640A true KR20220067640A (ko) 2022-05-25
KR102406928B1 KR102406928B1 (ko) 2022-06-13

Family

ID=8170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851A KR102406928B1 (ko) 2020-11-17 2020-11-17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6928B1 (ko)
WO (1) WO20221079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828B1 (ko) * 2022-07-18 2022-11-03 박문호 스마트 텀블러 세척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0351A (ko) * 1996-11-29 1998-08-17 배순훈 초음파 방식 식기 세척기
JP2017008266A (ja) * 2015-06-25 2017-01-12 株式会社ニイタカ カートリッジ洗浄剤
KR20170106845A (ko) * 2016-03-14 2017-09-22 김희범 휴대용 살균세척기
KR20190047357A (ko) * 2017-10-27 2019-05-08 주식회사프라임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방법
KR20190087924A (ko) * 2018-01-17 2019-07-25 김동민 자외선 살균 소독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0351A (ko) * 1996-11-29 1998-08-17 배순훈 초음파 방식 식기 세척기
JP2017008266A (ja) * 2015-06-25 2017-01-12 株式会社ニイタカ カートリッジ洗浄剤
KR20170106845A (ko) * 2016-03-14 2017-09-22 김희범 휴대용 살균세척기
KR20190047357A (ko) * 2017-10-27 2019-05-08 주식회사프라임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방법
KR20190087924A (ko) * 2018-01-17 2019-07-25 김동민 자외선 살균 소독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47357호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방법(dish washer and method for washing dish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828B1 (ko) * 2022-07-18 2022-11-03 박문호 스마트 텀블러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7908A1 (ko) 2022-05-27
KR102406928B1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45740B (zh) 洗碗机
KR101970517B1 (ko) 식기세척기
CN109898269B (zh) 用于洗衣机的杀菌模块
KR101902100B1 (ko) 메이크업 브러쉬 세척 및 건조 장치
KR102406928B1 (ko) 초음파를 이용한 휴대용 세척기
KR20090006933A (ko) 컵 세척기
EP1943932A2 (en) Household appliance for sanitizing foods
KR20180085105A (ko) 스마트폰 자동 세척 시스템
KR101420141B1 (ko) 수저 및 행주 소독기
KR20120022222A (ko) 컵 세척 기능이 구비된 냉온수기
KR20190047357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방법
KR20190119958A (ko) 올인원 타입의 젖병 관리장치
KR20060128651A (ko) 주방 장치
RU14076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стерилизационной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очистки медицинск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US2018020769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Ultrasonic Cleaning
ES2753233A1 (es) Lavazapatillas
US5176159A (en) Lens case for contact lens cleaning device
KR102318680B1 (ko) 음료 용기 클리너
KR20190119367A (ko) 무세제 세척이 가능한 젖병 세척기
KR102638858B1 (ko) 피부 관리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04518B1 (ko) 휴대용 렌즈세척장치
JP4444012B2 (ja) 食器洗い機
KR200427509Y1 (ko) 다기능 멀티채널 입수형 초음파 세척 장치
KR102355076B1 (ko) 자동화 초음파 살균 세척기
JP5467911B2 (ja) 洗浄消毒装置及び洗浄消毒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