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628A - 위생 마스크 제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위생 마스크 제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628A
KR20220067628A KR1020200153598A KR20200153598A KR20220067628A KR 20220067628 A KR20220067628 A KR 20220067628A KR 1020200153598 A KR1020200153598 A KR 1020200153598A KR 20200153598 A KR20200153598 A KR 20200153598A KR 20220067628 A KR20220067628 A KR 20220067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roll
unit
shap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8026B1 (ko
Inventor
방지철
Original Assignee
방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지철 filed Critical 방지철
Priority to KR1020200153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026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05Cloth spreading or piling apparatus in view of its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35Feeding or advanc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5Folding, unfolding or turning over
    • A41H43/0257Fold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65B25/145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packaging fo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12Folding articles or webs with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30Folding in combination with creasing, smoothing or application of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6Securing handled material to another material
    • B65H2301/5161Binding processes
    • B65H2301/51614Binding processes involving hea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가 안면의 돌출된 코와 입술 부분에 직접 접촉하는 부위를 다단 수평접철에 의하여 세로방향으로 쉽게 확장되면서 다단 루프단턱에 의하여 가로방향으로 쉽게 확장되어 안면의 돌출된 부위가 마스크에 눌리지 않으므로 착용감이 없고 접촉부위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며 충분한 공간 형성에 의하여 호흡을 편하게 하면서 마스크에 안면 화장품이 묻어나지 않아 위생적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위생 마스크 제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의 외측면부재 롤원단과 필터부재 롤원단과 내측면부재 롤원단을 해당 롤로부터 권출시켜 순차 배열된 상태로 투입받고 길이방향 양쪽 가장자리를 열압착하여 합지원단으로 가공하는 열합지롤부와 열합지롤부에서 배출된 합지원단의 마스크 형상을 하는 가운데 위치에 하나 이상 다단의 루프 형상이 각각의 단차로 연결 형성되되 압착접철금형에 의하여 단차에 신축성이 형성되는 세로단차성형롤부와 세로단차성형롤부에서 배출된 합지원단의 마스크 형상 길이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주름지게 접고 주름진 가로방향 양쪽 가장자리를 열압착으로 고정시키는 가로주름접철부와 가로주름접철부에서 배출된 합지원단을 마스크 단위로 분절하여 배출하는 분절배출부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위생 마스크 제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Hygienic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위생 마스크 제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가 안면의 돌출된 코와 입술 부분에 직접 접촉하는 부위를 다단 수평접철에 의하여 세로방향으로 쉽게 확장되면서 다단 루프단턱에 의하여 가로방향으로 쉽게 확장되어 안면의 돌출된 부위가 마스크에 눌리지 않으므로 착용감이 없고 접촉부위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며 충분한 공간 형성에 의하여 호흡을 편하게 하면서 마스크에 안면 화장품이 묻어나지 않아 위생적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위생 마스크 제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건용 또는 위생용 마스크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물질, 오염물질, 바이러스, 타인의 비말 등이 포함되는 이물질이 호흡기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착용자의 건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스크를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1919년 스페인에서 감기(인플루엔자)가 유행하던 시절, 안면에 착용하여 입과 코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보호하기 시작하면서 사용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세균이나 미세먼지 등은 보통 0.1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의 크기이고 마스크는 이러한 크기의 세균, 미세먼지 등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어야 하며, 장소에 따라서는 바이러스 등의 세균과 분진, 녹스(NOX), 삭스(SOX) 등의 유해물질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어야 되고, 나노섬유의 생산에 힘입어 이러한 필요성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나노섬유는 실 한 올의 직경이 10 내지 1000 나노미터(nm)의 굵기를 갖으며 방사 방식으로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건용 또는 위생용 마스크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의약외품으로 허가를 받아 생산 판매하는 제품이고 KF 80, KF 94, KF 99의 세 등급(종류)으로 나누어져 있다. KF 80 등급 마스크는 황사 방지용이며 평균 0.6 마이크로미터 직경의 미세입자(오염줄질)를 80% 이상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KF 94 마스크는 평균 직경 0.4 마이크로미터의 미세입자를 94% 이상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그러므로 KF 94, KF 99 등급의 마스크는 바이러스의 유입까지 차단할 수 있는 방역용 마스크이다.
위생용(보건용) 마스크의 유형은 매우 다양하며, 마스크를 구성하는 재질 측면에서는 면과 같은 천연 소재 또는 부직포와 같은 합성 소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거나 복수층의 부직포와 필터층이 포함되거나 정화통이 별도로 구비된 것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부직포와 필터층이 포함되는 마스크는 경제성과 성능면에서 모두 우수하고 휴대와 착용의 편리성에 의하여 많이 이용된다.
마스크의 외형으로 볼때 일반적인 평면 형태, 컵 형태, 사용 전 평면 형태로부터 착용시 안면의 코와 입 부분을 입체적으로 감사는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하며 입체적으로 감싸는 형태의 마스크가 착용시 쾌적함과 휴대시 편리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장점이 있다.
마스크를 안면에 고정시켜 착용하는 경우 탄성 있는 유연한 밴드 부재로 양쪽 귀에 각각 걸어 고정하는 귀걸이고정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유연성 또는 탄성이 없는 끈을 이용하여 머리 뒤쪽으로 묶는 방식도 있고, 위생상 이유로 마스크는 밀봉 포장되어 유통된다.
마스크는 위생용과 공업용과 방독용과 방한용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재료에는 면, 부직포, 종이 등을 소재로 하며, 반복 사용횟수에 의하여 일회용 마스크와 필터 교체에 의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독마스크 등이 있다.
일회용 마스크는 사용자가 한번 사용한 후 미련 없이 버리도록 비교적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되므로 제조 단가의 최소화를 위해 이물질의 통과를 차단하되 구조적 형태는 매우 단순하여 생산성이 높도록 제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과 문제점을 일부 해소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67588호(2015. 11. 03.)에 의한 ‘위생 패션마스크 제조방법’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에 의한 위생 마스크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외부마스크 부재와 내부마스크 부재를 재단하고 제1면(120)과 제2면(130)이 나누어지도록 상부접이줄(160)에 재봉선(150)을 형성하고 제2면(130)과 제3면(140)이 나누어지도록 하부접이줄(170)에 재봉선(150)을 형성하며, 코 재봉선(200)을 형성하고 좌측과 우측 측면주름부를 형성한다. 마감천을 이용한 테두리마감재로 좌측 귀걸리부(280)와 우측 귀걸이부(290) 및 하부테두리 마감재(310)와 상부테두리마감재(300)를 재봉하되 코누름쇠(330)를 삽입시켜 재봉한다.
종래기술은 코 재봉선(200)에 의하여 안면의 돌출된 코를 배려한 장점이 있으나 사용에 의하여 코와 입술 부분이 마스크와 접촉에 의하여 어느 정도 눌리게 되어 착용감을 느끼는 사용상 불편한 문제가 있고, 각 부분을 재봉으로 형성하므로 많은 공정에 의하여 생산 가격과 제조 시간이 늘어나게 되어 낮은 가격으로 대량생산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마스크를 적은 공정으로 신속하며 빠르게 대량생산하면서 안면의 코와 입술이 마스크와 접촉하거나 눌려지지 않고 착용감이 없도록 하는 마스크 제조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67588호(2015. 11. 03.) ‘위생 패션마스크 제조방법’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마스크를 간단한 공정으로 빠르게 대량생산하면서 안면의 코와 입술같이 돌출된 부분과 접촉하는 부위에서 가로 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동시 확장되어 마스크 안쪽에서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고 호흡이 편하며 안면의 코와 입술이 마스크와 접촉하거나 강하게 눌려지지 않으므로 착용감을 느끼지 않으면서 오랜 시간동안 위생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위생 마스크 제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위생마스크 제조 시스템은 마스크의 외측면부재 롤원단과 필터부재 롤원단과 내측면부재 롤원단을 해당 롤로부터 권출시켜 순차 배열된 상태로 투입받고 길이방향 양쪽 가장자리를 열압착하여 합지원단으로 가공하는 열합지롤부(1000); 상기 열합지롤부(1000)에서 배출된 합지원단의 마스크 형상을 하는 가운데 위치에 하나 이상 다단의 루프 형상이 각각의 단차로 연결 형성되되 압착접철금형에 의하여 단차에 신축성이 형성되는 세로단차성형롤부(2000); 상기 세로단차성형롤부(2000)에서 배출된 합지원단의 마스크 형상 길이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주름지게 접고 주름진 가로방향 양쪽 가장자리를 열압착으로 고정시키는 가로주름접철부(3000); 상기 가로주름접철부(3000)에서 배출된 합지원단을 마스크 단위로 분절하여 배출하는 분절배출부(4000); 를 포함할수 있다.
상기 가로주름접철부(3000)에서 배출된 합지원단을 투입받고 마스크의 상측단 테두리 부분에 코누름쇠를 투입하며 상측단 가장자리 부분을 접어 코누름쇠 주변을 열압착으로 고정시키는 누룸쇠투입롤부(5000); 상기 누룸쇠투입롤부(5000)에서 배출된 합지원단을 투입받고 마스크 형상의 상측단과 하측단과 좌측단과 우측단의 각 테두리 형상 그리고 설계된 특정 형상을 각각 열압착으로 형성하고 상기 분절배출부(4000)에 투입시키는 테두리성형롤부(6000); 상기 분절배출부(4000)로부터 분절되어 배출되는 마스크를 자동 위생포장과 단위 수량으로 적재하는 자동포장적재부(700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절배출부(4000)로부터 분절되어 배출된 마스크(8000)는 상기 마스크(80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마스크몸체부(8100); 상기 마스크몸체부(8100)가 가로 방향으로 접힌 가로주름부(8200); 상기 마스크몸체부(8100)의 가운데 위치에 다단의 폐쇄된 루프 형상이 압착 형성된 루프단차부(8300); 상기 마스크몸체부(8100)의 각 모서리에 하나씩 관통 형성된 고정홀(8400);을 포함할 수 았다.
상기 마스크(8000)의 가로방향 양측단이면서 상하 방향에 위치한 고정홀(8400)에는 귀걸이걸림쇠(8500)가 연결되어 귓바퀴에 걸리어 마스크로 사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위생마스크 제조 시스템 운용방법은 열합지롤부와 세로단차성형롤부와 가로주름접철부와 누룸쇠투입롤부와 테두리성형롤부와 분절배출부를 포함하는 위생마스크 제조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마스크를 제조하는 해당 명령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롤로 이루어진 외측면 부재와 필터부재와 내측면 부재를 각각 순차 투입하고 가장자리 부분을 열압착으로 합지하여 합지원단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합지원단에 하나 이상 다단의 루프 형상을 각각 단차로 연결하되 단차는 주름 형상으로 이루어져 신축성이 형성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합지원단에 마스크 형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주름지게 접고 주름진 가로방향 양쪽 가장자리를 열압착으로 고정시키고 분절하는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합지원단을 분절하는 해당 명령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합지원단을 단위 마스크로 분절하고 포장 적재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단계의 합지원단을 분절하는 해당 명령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투입받은 합지원단의 마스크 상측단 테두리 부분에 코누름쇠를 투입하며 상측단 가장자리 부분을 접어 코누름쇠 주변을 열압착으로 고정시키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합지원단을 투입받고 마스크 형상의 상측단과 하측단과 좌측단과 우측단의 각 테두리 형상 그리고 설계된 특정 형상을 각각 열압착으로 형성하며 분절하는 해당 명령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4 단계로 진행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안면의 돌출부위와 접촉하는 마스크의 중앙부분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동시 확장되어 코와 입술과 같이 돌출된 부분이 눌리지 않으면서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고 돌출된 안면 부위의 피부와 강하게 접촉하지 않으므로 착용감을 느끼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가 안면의 돌출 부위에서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므로 안면 돌출 부위의 피부에 이물감이 발생하지 않아 피부트러블이 발생하지 않고 눌리지 않아 답답하지 않은 상태로 편하게 호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간단한 공정과 빠른 제조시간에 의하여 낮은 가격으로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안면의 돌출 부위가 마스크에 눌리지 않으므로 화장품 등이 마스크 표면에 묻지 않게 되어 장시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용상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에 의한 위생 마스크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위생마스크 제조 시스템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위생마스크 제조 시스템이 제조한 마스크와 부가장치 도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위생마스크 제조 시스템이 제조한 마스크의 착용상태 도시도,
그리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위생마스크 제조 시스템 운용방법의 순서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위생마스크 제조 시스템의 구성도 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위생마스크 제조 시스템이 제조한 마스크와 부가장치 도시도 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위생마스크 제조 시스템이 제조한 마스크의 착용상태 도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위생마스크 제조 시스템(900)은 열합지롤부(1000)와 세로단차성형롤부(2000)와 가로주름접철부(3000)와 분절배출부(4000)와 누룸쇠투입롤부(5000)와 테두리성형롤부(6000)와 자동포장적재부(70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마스크를 장시간 오래 착용하는 경우 마스크와 접촉하는 피부에 자극을 주어 피부발진이 일어날 수 있고, 안면 화장품이 마스크에 묻어나게 되어 한번만 착용하여도 비위생적일 수 있으므로 마스크의 사용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열합지롤부(1000)는 마스크의 외측면부재 롤원단(910)과 필터부재 롤원단(920)과 내측면부재 롤원단(930)을 해당 롤로부터 권출시켜 순차 배열된 상태로 투입받고 길이방향 양쪽 가장자리를 열압착하여 합지원단(940)으로 가공한다.
내측면부재 롤원단(930)은 피부에 직접 접촉하므로 부드러운 질감이 바람직하며, 외측면부재 롤원단(910)은 외부에 노출되므로 부드럽지 않아도 되지만, 외측면부재 롤원단(910)과 내측면부재 롤원단(930)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동일하게 부직포 재질이며 평균 1 마이크로미터 직경의 미세입자(오염줄질)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부재 롤원단(920)은 0.4 내지 0.6 마이크로미터 직경의 미세입자가 94 % 이상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시키는 부직포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필터부재 롤원단(920)은 10 내지 50 나노미터 직경의 산화티탄(이산화티탄, TiO2) 5,000 피피엠(PPM) 용액에 침지된 후 건조된 상태가 비교적 매우 바람직하다. 이산화티탄은 광촉매 기능에 의하여 항균, 멸균, 자정, 방취 등의 작용을 하며 잘 알려져 있고, 화이트 쵸코랫의 원료로 사용되는 식용원료이며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측면부재 롤원단(910)과 필터부재 롤원단(920)과 내측면부재 롤원단(930)은 각각 평균 두께 10 마이크로미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로단차성형롤부(2000)는 열합지롤부(1000)에서 배출된 합지원단(940)의 마스크 형상을 하는 가운데 위치에 하나 이상 다단의 루프 형상이 각각의 단차로 연결 형성되되 압착접철금형에 의하여 단차에 신축성이 형성된다. 루프 형상은 크기가 각각 다른 3 내지 6 개의 루프로 이루어지고 5 개의 루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루프는 균일한 간격을 유지한다. 각각의 단차는 1 내지 2 밀리미터로 이루어지되 1.5 밀리미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의하여 루프의 숫자와 단차의 치수 값은 가감될 수 있다. 단차와 루프단차(8300)는 같은 의미이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루프는 폐쇄된 원형상, 삼각 형상을 포함하는 다각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 별 형상, 초생달 형상, 주변 사물의 형상, 기하학적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 또는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이 될 수 있다.
단차는 롤금형이 회전하면서 합지원판(940)에 크기가 다르되 동일한 형상이고 다수의 반복되는 루프 형상이 일정한 간격으로 접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하기로 한다. 즉, 단차된 루프 형상은 크기가 다른 다수의 루프 형상이 접혀진 상태로 연결된 상태이고, 외력이 인가되면 단차가 펴지면서 루프 형상이 돌출되게 된다.
다수 루프 형상이 돌출되는 깊이(높이)를 크게 하고자 하는 경우 루프 형상을 숫자를 늘리거나 단차의 치수 값을 크게 하면 된다.
가로주름접철부(3000)는 세로단차성형롤부(2000)에서 배출된 합지원단(940)의 마스크 형상 길이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주름지게 접고 주름진 가로방향 양쪽 가장자리를 열압착으로 고정시킨다. 가로주름접철부(3000)는 일반적인 평면 마스크에서 주름진 형상을 형성하며 안면의 돌출된 부분을 감싸게 된다.
여기서 세로단차성형롤부(2000)를 거친 합지원단(940)의 다단 루프형상은 평면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가로주름접철부(3000)에 투입되어 다시 수평방향으로 다단 접철된다. 즉, 다단 루프 형상으로 접철되고 다시 다단 주름으로 접철된다.
분절배출부(4000)는 가로주름접철부(3000)에서 배출된 합지원단(940)을 마스크(8000) 단위로 분절하여 배출한다. 여기서 합지원단(940)에는 단위 마스크(8000)의 시작과 끝 부분이 표시되고 분절배출부(4000)에서 이러한 시작과 끝 부분의 표시를 인식하여 마스크 단위로 분절(절단) 한다.
분절과 절단은 같은 의미이고 문잭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누룸쇠투입롤부(5000)는 가로주름접철부(3000)에서 배출된 합지원단을 투입받고 마스크의 상측단 테두리 부분에 코누름쇠(950)를 투입하며, 코누름쇠(950)가 투입된 상측단 가장자리 부분을 접어 코누름쇠(950)가 덮이도록 접철하고 코누름쇠(950)가 위치한 주변을 열압착으로 융착시켜 코누름쇠(950)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테두리성형롤부(6000)는 누룸쇠투입롤부(5000)에서 배출된 합지원단(940)을 투입받고 마스크 형상의 상측단과 하측단과 좌측단과 우측단의 각 테두리 형상 그리고 설계된 특정 형상을 각각 열압착으로 형성한 후에 분절배출부(4000)에 투입시킨다.
자동포장적재부(7000)는 분절배출부(4000)로부터 분절되어 배출되는 마스크(8000)를 자동 위생포장과 단위 수량으로 적재한다.
마스크(8000)는 마스크몸체부(8100)와 가로주름부(8200)와 루프단차부(8300)와 고정홀(8400)을 포함한다.
마스크몸체부(8100)는 마스크(8000)의 외형을 형성하며, 일반적으로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을 한다.
가로주름부(8200)는 마스크몸체부(8100)가 가로 방향을 따라 상하로 접힌 부분이고, 마스크(8000)가 안면의 돌출된 부분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므로 돌출되도록 한다.
루프단차부(8300)는 마스크몸체부(8100)의 가운데 위치에 다단의 폐쇄된 루프 형상이 압착 형성된다. 루프단차부(8300)는 마스크(8000가 가로 방향으로 신장되므로 돌출되도록 한다.
가로주름부(8200)와 루프단차부(8300)에 의하여 부분적이지만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을 따라 동시에 신장되므로 돌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고정홀(8400)은 마스크몸체부(8100)의 각 모서리에 하나씩 관통 형성된다.
마스크(8000)를 착용하기 위하여는 귀걸이걸림쇠(8500)가 필요하다.
귀걸이걸림쇠(8500)는 영어의 Y 자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고 일측 끝단의 갈라진 부분에는 걸고리가 구비되어 상하 방향에 위치하는 2 개의 고정홀(8400)에 삽입 체결되고 타측 끝단은 실리콘이 도포되거나 체결되어 귓바퀴에 얹혀진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위생마스크 제조 시스템 운용방법의 순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위생마스크 제조 시스템 운용방법은 열합지롤부와 세로단차성형롤부와 가로주름접철부와 누룸쇠투입롤부와 테두리성형롤부와 분절배출부를 포함하는 위생마스크 제조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마스크를 제조하는 해당 명령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110), 롤로 이루어진 외측면 부재와 필터부재와 내측면 부재를 각각 순차 동시 투입하고 가장자리 부분을 열압착으로 합지하여 합지원단을 제조한다(S120).
제 1 단계의 합지원단에 하나 이상 다단의 루프 형상을 각각 단차로 연결하되 단차는 주름 형상으로 이루어져 신축성이 형성된다(S130).
제 2 단계의 합지원단에 마스크 형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주름지게 접고 주름진 가로방향 양쪽 가장자리를 열압착으로 고정시키고(S140), 분절하는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150).
제 3 단계에서 합지원단을 분절하는 해당 명령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150) 합지원단을 단위 마스크로 분절하고 포장 적재한다(S160).
제 3 단계의 합지원단을 분절하는 해당 명령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150) 투입받은 합지원단의 마스크 상측단 테두리 부분에 코누름쇠를 투입하며 상측단 가장자리 부분을 접어 코누름쇠 주변을 열압착으로 고정시킨다(S170).
제 5 단계의 합지원단을 투입받고 마스크 형상의 상측단과 하측단과 좌측단과 우측단의 각 테두리 형상 그리고 설계된 특정 형상을 각각 열압착으로 형성하며(S180) 분절하는 해당 명령신호가 입력되면(S190) 제 4 단계(S160)로 진행하고, 분절하는 해당 명령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S190)종료로 진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900 : 위생마스크 제조 시스템
1000 : 열합지롤부 2000 : 세로단차성형롤부
3000 : 가로주름접철부 4000 : 분절배출부
5000 : 누룸쇠투입롤부 6000 : 테두리성형롤부
7000 : 자동포장적재부

Claims (6)

  1. 마스크의 외측면부재 롤원단과 필터부재 롤원단과 내측면부재 롤원단을 해당 롤로부터 권출시켜 순차 배열된 상태로 투입받고 길이방향 양쪽 가장자리를 열압착하여 합지원단으로 가공하는 열합지롤부(1000);
    상기 열합지롤부(1000)에서 배출된 합지원단의 마스크 형상을 하는 가운데 위치에 하나 이상 다단의 루프 형상이 각각의 단차로 연결 형성되되 압착접철금형에 의하여 단차에 신축성이 형성되는 세로단차성형롤부(2000);
    상기 세로단차성형롤부(2000)에서 배출된 합지원단의 마스크 형상 길이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주름지게 접고 주름진 가로방향 양쪽 가장자리를 열압착으로 고정시키는 가로주름접철부(3000);
    상기 가로주름접철부(3000)에서 배출된 합지원단을 마스크 단위로 분절하여 배출하는 분절배출부(4000); 를 포함하는 위생마스크 제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주름접철부(3000)에서 배출된 합지원단을 투입받고 마스크의 상측단 테두리 부분에 코누름쇠를 투입하며 상측단 가장자리 부분을 접어 코누름쇠 주변을 열압착으로 고정시키는 누룸쇠투입롤부(5000);
    상기 누룸쇠투입롤부(5000)에서 배출된 합지원단을 투입받고 마스크 형상의 상측단과 하측단과 좌측단과 우측단의 각 테두리 형상 그리고 설계된 특정 형상을 각각 열압착으로 형성하고 상기 분절배출부(4000)에 투입시키는 테두리성형롤부(6000);
    상기 분절배출부(4000)로부터 분절되어 배출되는 마스크를 자동 위생포장과 단위 수량으로 적재하는 자동포장적재부(7000); 를 더 포함하는 위생마스크 제조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절배출부(4000)로부터 분절되어 배출된 마스크(8000)는
    상기 마스크(80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마스크몸체부(8100);
    상기 마스크몸체부(8100)가 가로 방향으로 접힌 가로주름부(8200);
    상기 마스크몸체부(8100)의 가운데 위치에 다단의 폐쇄된 루프 형상이 압착 형성된 루프단차부(8300);
    상기 마스크몸체부(8100)의 각 모서리에 하나씩 관통 형성된 고정홀(8400);을 포함하는 위생마스크 제조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8000)의 가로방향 양측단이면서 상하 방향에 위치한 고정홀(8400)에는 귀걸이걸림쇠(8500)가 연결되어 귓바퀴에 걸리어 마스크로 사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위생마스크 제조 시스템.
  5. 열합지롤부와 세로단차성형롤부와 가로주름접철부와 누룸쇠투입롤부와 테두리성형롤부와 분절배출부를 포함하는 위생마스크 제조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마스크를 제조하는 해당 명령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롤로 이루어진 외측면 부재와 필터부재와 내측면 부재를 각각 순차 투입하고 가장자리 부분을 열압착으로 합지하여 합지원단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합지원단에 하나 이상 다단의 루프 형상을 각각 단차로 연결하되 단차는 주름 형상으로 이루어져 신축성이 형성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합지원단에 마스크 형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주름지게 접고 주름진 가로방향 양쪽 가장자리를 열압착으로 고정시키고 분절하는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합지원단을 분절하는 해당 명령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합지원단을 단위 마스크로 분절하고 포장 적재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위생마스크 제조 시스템 운용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합지원단을 분절하는 해당 명령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투입받은 합지원단의 마스크 상측단 테두리 부분에 코누름쇠를 투입하며 상측단 가장자리 부분을 접어 코누름쇠 주변을 열압착으로 고정시키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합지원단을 투입받고 마스크 형상의 상측단과 하측단과 좌측단과 우측단의 각 테두리 형상 그리고 설계된 특정 형상을 각각 열압착으로 형성하며 분절하는 해당 명령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4 단계로 진행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생마스크 제조 시스템 운용방법.




KR1020200153598A 2020-11-17 2020-11-17 위생 마스크 제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538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598A KR102538026B1 (ko) 2020-11-17 2020-11-17 위생 마스크 제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598A KR102538026B1 (ko) 2020-11-17 2020-11-17 위생 마스크 제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628A true KR20220067628A (ko) 2022-05-25
KR102538026B1 KR102538026B1 (ko) 2023-05-31

Family

ID=8179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598A KR102538026B1 (ko) 2020-11-17 2020-11-17 위생 마스크 제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02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3769B2 (ja) * 1990-03-02 1995-09-13 株式会社岸製作所 使い捨てマスクの製造装置
JP2007260110A (ja) * 2006-03-28 2007-10-11 Hakujuji Co Ltd マスク
JP2009531087A (ja) * 2006-03-24 2009-09-03 邱俊亮 取り外し可能な使い捨て式マスク及びその使い捨て式マスク本体
KR20130040211A (ko) * 2013-01-25 2013-04-23 김영호 입체 마스크
KR101567588B1 (ko) 2015-07-31 2015-11-20 김재본 위생 패션마스크 제조방법
KR20180117338A (ko) * 2017-04-19 2018-10-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3769B2 (ja) * 1990-03-02 1995-09-13 株式会社岸製作所 使い捨てマスクの製造装置
JP2009531087A (ja) * 2006-03-24 2009-09-03 邱俊亮 取り外し可能な使い捨て式マスク及びその使い捨て式マスク本体
JP2007260110A (ja) * 2006-03-28 2007-10-11 Hakujuji Co Ltd マスク
KR20130040211A (ko) * 2013-01-25 2013-04-23 김영호 입체 마스크
KR101567588B1 (ko) 2015-07-31 2015-11-20 김재본 위생 패션마스크 제조방법
KR20180117338A (ko) * 2017-04-19 2018-10-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026B1 (ko)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1618B2 (en) Medical face mask with clear portion
AU2009219430B2 (en) Universal fit face mask
KR101782477B1 (ko) 안면 마스크
US20060266364A1 (en) Fluid barrier face mask
CN101227954B (zh) 立体口罩
KR102159200B1 (ko) 길이조절 가능한 귀걸이 끈을 갖는 마스크
RU2631624C1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CN104519966B (zh) 口罩
KR20190097388A (ko) 두 개의 와이어가 삽입된 일회용 마스크
TW201710082A (zh) 口罩
WO2017208260A1 (en) A flat fold filtering face piece ma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080041196A (ko) 마스크
KR20200067779A (ko) 마스크
KR20170093560A (ko) 마스크
KR20220067628A (ko) 위생 마스크 제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336188B1 (ko) 마스크
CN107847371A (zh) 吸收性物品
KR20210109811A (ko) 부직포와 스탬플러를 이용한 간편 일회용 마스크 제조 방법
JP6293340B1 (ja) マスク
KR20170112712A (ko) 위생 마스크의 쿠션필터 및 그 성형방법
KR20220058144A (ko) 다회용 이너 마스크
KR20220046270A (ko) 입체 구조로 된 4각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50611A (ko) 입체형 마스크
CN117835861A (zh) 口罩
IT202000008728A1 (it) Mascherina facciale in tessuto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