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6456A -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 Google Patents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6456A
KR20220066456A KR1020200152491A KR20200152491A KR20220066456A KR 20220066456 A KR20220066456 A KR 20220066456A KR 1020200152491 A KR1020200152491 A KR 1020200152491A KR 20200152491 A KR20200152491 A KR 20200152491A KR 20220066456 A KR20220066456 A KR 20220066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terminal
wire
core wir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환
Original Assignee
㈜알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오 filed Critical ㈜알파오
Priority to KR1020200152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6456A/ko
Priority to PCT/KR2021/012755 priority patent/WO2022102942A1/ko
Publication of KR20220066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6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6Connection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parts has projections which bite into or engage the other connecting part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서,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연결부(11); 상기 단자연결부의 일측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타측으로 연장되는 브리지(12); 상기 브리지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전선의 피복을 커팅 및 상기 전선 내부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터(13); 및 상기 커터와 별도의 겹침연결부(14)를 개재하여 대칭되는 동일한 형상의 보조커터(15);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자연결부를 갖는 터미널의 일측에 대칭구조를 갖고 서로 면 밀착되는 커터 및 보조커터를 마련하여 전선 연결시 커터 및 보조커터를 통해 전선 피복이 절개되는 동시에 전선 내부의 피복이 커터 및 보조커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함으로써, 터미널과 전선 간의 연결작업이 수월하고 신속하게 되도록 함은 물론 커터 및 보조커터의 2중겹침구조를 통한 심선과의 접선면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그 결과 심선 접속 상태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또한, 단자연결부와 브리지와 커터 및 보조커터가 각각 동일 평판상에서 연속되는 일체형 평판 구조로 하여 브리지에 대해 커터 및 보조커터를 직립시키는 동작만으로 터미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터미널 형성이 간편하고 신속하여 작업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평판 구조상에 따른 보관 및 이송작업 등도 수월하게 이루어져서 결과적으로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TERMINAL FOR ELECTRIC WIRE JOINT CONNECTOR}
본 발명은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자연결부를 갖는 터미널의 일측에 대칭구조를 갖고 서로 면 밀착되는 커터 및 보조커터를 마련하여 전선 연결시 커터 및 보조커터를 통해 전선 피복이 절개되는 동시에 전선 내부의 피복이 커터 및 보조커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리된 2개의 전선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선의 피복의 일부를 벗겨 심선을 노출시키고, 노출된 심선을 상호 겹치거나 꼬아 전기적으로 연결 및 노출된 심선을 절연 테이프 등으로 감아 연결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즉, 2개의 전선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피복을 벗겨 심선을 노출하는 과정과, 심선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과정 및 심선을 절연 테이프로 감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렇게 2개의 전선들을 단순히 꼬아 전기적으로 연결할 경우, 시간의 경과 및 외력에 의하여 2개의 전선들의 심선이 상호 분리되거나 점성을 갖는 물질이 절연 테이프로부터 흘러나와 심선의 접촉 불량 및 주변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전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서 다른 전기장치 등의 단자와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단자연결부와, 이 단자연결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브리지와, 이 브리지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전선의 피복을 절개시키고 심선과 접속이 되도록 하는 커터가 마련된 터미널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터미널은 커터가 단순히 전선의 피복만 절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심선과의 접속면적이 최소화되면서 그 접속상태가 불안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단자연결부와 브리지 및 커터를 각각 별도의 제작하여 서로 간을 연결하는 작업을 통해 터미널을 완성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터미널 형성작업이 번거롭고 이에 따른 공수 및 작업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3203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단자연결부를 갖는 터미널의 일측에 대칭구조를 갖고 서로 면 밀착되는 커터 및 보조커터를 마련하여 전선 연결시 커터 및 보조커터를 통해 전선 피복이 절개되는 동시에 전선 내부의 피복이 커터 및 보조커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함으로써, 터미널과 전선 간의 연결작업이 수월하고 신속하게 되도록 함은 물론 커터 및 보조커터의 2중겹침구조를 통한 심선과의 접선면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단자연결부와 브리지와 커터 및 보조커터가 각각 동일 평판상에서 연속되는 일체형 평판 구조로 하여 브리지에 대해 커터 및 보조커터를 직립시키는 동작만으로 터미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터미널 형성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되는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심선의 저면과 곡면 밀착된 상태로 심선의 저면 일측을 떠받치는 심선안착부를 마련함으로써, 심선과 터미널간의 접속 상태가 양호하게 되도록 하는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터미널의 브리지 양측부에 별도의 유동방지돌기를 마련함으로써, 터미널이 커넥터에 장착시 정위치로 정확하게 장착되도록 함은 물론 장착된 터미널이 유동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은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연결부; 상기 단자연결부의 일측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타측으로 연장되는 브리지; 및 상기 브리지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전선의 피복을 커팅 및 상기 전선 내부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별도의 겹침연결부를 개재하여 대칭되는 동일한 형상의 보조커터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단자연결부와 브리지 및 커터는 각각 동일 평판상에서 연속되는 일체형 평판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동일평판 상에 놓여있는 상기 브리지를 기준으로 하여 상향 직립 절곡되고, 상기 보조커터는 상기 직립된 커터의 배면을 향해 상기 겹침연결부를 기준으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커터의 배면에 면 밀착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겹침연결부는 상기 평면상에 놓인 커터 및 보조커터의 커팅블레이드의 최상단부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막대 형상으로 되어 상기 커터와 보조커터가 면 밀착되면서 접히게 되면 상기 막대 형상의 겹침연결부 역시 그 중앙부가 접히면서 이 접힌 중앙부는 상기 커터 및 보조커터의 커팅블레이드의 최상단부보다 소정거리 높이 돌출된 형상이 되어, 상기 커팅블레이드로 진입되는 전선의 외주면 양단부를 감싸 전선이 진입 과정에서 커터 및 보조커터의 양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터는 일단부에 상기 커터의 배면에 면 밀착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바닥면에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바닥면 밀착부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밀착부는 상기 브리지의 평판 두께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단자연결부는 상기 브리지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유우자(U) 형상으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는 장방형 막대 형상으로 폭 방향 양측면에 전선 이음용 커넥터에 장착시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 내측의 유동방지홈에 삽입 장착되어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유동방지돌부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돌부는 상기 유동방지홈 내로 삽입시 서로 간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선단부로 갈수록 뽀족한 삼각형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폭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커팅블레이드가 마련되며 상기 브리지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한 쌍의 커팅직립편; 및 상기 한 쌍의 커팅직립편의 하단을 연결하고 상기 브리지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하단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커팅블레이드는 상기 커팅직립편의 상단 전면부를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절삭하여 상단부가 칼날 구조가 되도록 하고, 이 칼날 구조인 상단부를 상기 커팅직립편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일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절삭하여 된 소정의 경사칼날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한 쌍의 커팅직립편의 커팅블레이드가 서로 마주보는 사이 공간인 동시에 전선이 하방으로 진입되는 통로인 전선진입부; 상기 전선진입부와 연통된 하부에 위치되어 피복이 절개된 상기 전선 내부의 심선이 상기 한 쌍의 커팅직립편의 내측부와 접속된 상태로 하향 진행되는 심선하강부; 및 상기 하강이 완료된 심선이 상기 한 쌍의 커팅직립편과 접속된 상태로 안착되는 심선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심선안착부는 상기 심선의 하단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오목하게 라운드진 오목경사면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심선안착부는 상기 심선의 최하단부를 제외한 상기 최하단부의 인접 하단부를 떠받치도록 형성되고, 상기 심선안착부와 연통되는 하측은 상기 심선과의 제조공차에 의한 심선의 들뜸을 방지하기 위해 심선의 최하단부가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심선의 최하단부와는 접속이 되지 않도록 하는 하단공간부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심선하강부의 폭넓이는 상기 커팅직립편들 사이로 진입된 심선이 진입 순간부터 상기 심선안착부에 안착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양측 커팅직립편과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심선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은, 단자연결부를 갖는 터미널의 일측에 대칭구조를 갖고 서로 면 밀착되는 커터 및 보조커터를 마련하여 전선 연결시 커터 및 보조커터를 통해 전선 피복이 절개되는 동시에 전선 내부의 피복이 커터 및 보조커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함으로써, 터미널과 전선 간의 연결작업이 수월하고 신속하게 되도록 함은 물론 커터 및 보조커터의 2중겹침구조를 통한 심선과의 접선면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그 결과 심선 접속 상태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단자연결부와 브리지와 커터 및 보조커터가 각각 동일 평판상에서 연속되는 일체형 평판 구조로 하여 브리지에 대해 커터 및 보조커터를 직립시키는 동작만으로 터미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터미널 형성이 간편하고 신속하여 작업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평판 구조상에 따른 보관 및 이송작업 등도 수월하게 이루어져서 결과적으로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심선의 저면과 곡면 밀착된 상태로 심선의 저면 일측을 떠받치는 심선안착부를 마련함으로써, 심선과 터미널간의 접속 상태가 양호하게 되도록 하여 그 결과 심선 접속 상태에 대한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터미널의 브리지 양측부에 별도의 유동방지돌기를 마련함으로써, 터미널이 커넥터에 장착시 정위치로 정확하게 장착되도록 함은 물론 장착된 터미널이 유동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그 결과 터미널로의 전선 연결 작업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서 이 역시 작업능률 향상으로 이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이 겹쳐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이 전선과 함께 하우징에 장착되어 전선과 접속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이 전선과 함께 하우징에 장착되어 전선과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10)은 단자연결부(11)와, 브리지(12)와, 커터(13)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연결부(11)는 전기적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전기 장치나 커넥터용 터미널 등의 단자와 연결하기 위해 상기 브리지(12)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유우자(U) 형상으로 된 것일 수 있다.
즉, 일례로 서로 연결시키고자 하는 전선이 연결된 각 커넥터용 터미널(미도시)들의 연결단자에 본 발명의 단자연결부(11)를 서로 겹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서로 일치된 연결홈(11a)에 별도의 고정용 도전성 체결구 등을 체결하여 각 커넥터용 터미널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브리지(12)는 상기 단자연결부(11)의 일측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타측으로 연장되는 장방형 막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리지(12)는 폭 방향 양측면에 전선 이음용 커넥터(20)로의 장착시 상기 커넥터(20)의 하우징(특히, 하기의 제2하우징)(22) 내측의 유동방지홈(22a)에 삽입 장착되어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유동방지돌부(12a)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동방지돌부(12a)는 상기 유동방지홈(22a) 내로 삽입시 서로 간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선단부로 갈수록 뽀족한 삼각형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커터(13)는 상기 브리지(12)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전선의 피복(9)을 커팅 및 상기 전선 내부의 심선(7)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커터(13)는, 폭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커팅블레이드(13a1,13b1)가 마련되며 상기 브리지(12)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한 쌍의 커팅직립편(13a,13b) 및 상기 한 쌍의 커팅직립편(13a,13b)의 하단을 연결하고 상기 브리지(12)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하단연결편(13c)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팅블레이드(13a1,13b1)는 상기 커팅직립편(13a,13b)의 상단 전면부를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절삭하여 상단부가 칼날 구조가 되도록 하고, 이 칼날 구조인 상단부를 상기 커팅직립편(13a,13b)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일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절삭하여 된 소정의 경사칼날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터(13)는, 상기 한 쌍의 커팅직립편(13a,13b)의 커팅블레이드(13a1,13b1)가 서로 마주보는 사이 공간인 동시에 전선이 하방으로 진입되는 통로인 전선진입부(13d)와, 상기 전선진입부(13d)와 연통된 하부에 위치되어 피복이 절개된 상기 전선 내부의 심선(7)이 상기 한 쌍의 커팅직립편(13a,13b)의 내측부와 접속된 상태로 하향 진행되는 심선하강부(13e) 및 상기 하강이 완료된 심선(7)이 상기 한 쌍의 커팅직립편(13a,13b)과 접속된 상태로 안착되는 심선안착부(13f)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심선안착부(13f)는 상기 심선(7)의 하단 양측 외주면과 밀착되어 감싸는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커팅직립편(13b)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라운드진 오목경사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심선안착부(13f)는 상기 심선(7)의 최하단부를 제외한 상기 최하단부의 인접 양측 하단부를 밀착되어 떠받치도록 형성되고, 상기 심선안착부(13f)와 연통되는 하측은 상기 심선(7)과의 제조공차에 의한 심선(7)의 들뜸을 방지하기 위해 심선(7)의 최하단부가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심선(7)의 최하단부와는 접속이 되지 않도록 하는 하단공간부(13g)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단공간부(13g)는 상기 전선의 피복(9) 중 상기 심선(7)의 최하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커터(13)에 의해 커팅되지 않은 피복(9) 부분이 위치되도록 하는 기능 역시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공간부(13g)을 향해 전선의 피복(9)이 진입되는 경우 비록 상기 피복(9)이 커팅블레이드(13a1,13b1)에 의해 절단이 되지 않을 경우에도, 이렇게 절단이 이루어지지 않은 피복(9)의 폭 넓이는 미세한 정도이기 때문에 상기 하단공간부(13g)로 전선을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절단되지 않은 피복(9) 부분이 잘려나가거나 또는 하단공간부(13g) 방향으로 피복(9)이 눌려 진입하게 됨은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심선하강부(13e)의 폭 넓이는 상기 커팅직립편(13b)들 사이로 진입된 심선(7)이 진입 순간부터 상기 심선안착부(13f)에 안착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양측 커팅직립편(13b)과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심선(7)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터미널(10)의 겹침연결부(14)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마주보고 대칭되게 펼쳐진 상태의 커터(13) 및 이에 대응되는 보조커터(15)를 추가로 마련하여 상기 겹침연결부(14)를 기준으로 해서 서로 맞닿도록 겹쳐 전체적인 두께가 2배로 커지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단자연결부(11)와 브리지(12)와 커터(13)와 겹침연결부(14) 및 보조커터(15)는 각각 동일 평판상에서 연속되는 일체형 평판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커터(13)의 커팅직립편(13a,13b), 커팅블레이드(13a1,13b1), 하단연결편(13c), 전선진입부(13d), 심선하강부(13e), 심선안착부(13f) 및 하단공간부(13g)의 구조와 동일한 형상의 커팅직립편, 커팅블레이드, 하단연결편, 전선진입부, 심선하강부, 심선안착부 및 하단공간부가 상기 대응되는 보조커터(15)에 형성되어 있다.
특히, 서로 겹쳐진 커터(13)와 보조커터(15)의 커팅블레이드(13a1,13b1)의 상단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이들 상단부는 날이 서 있는 칼날 형상이 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전후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단면 삼각형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터(13)는 동일평판 상에 놓여있는 상기 브리지(12)를 기준으로 하여 상향 직립 절곡되고, 상기 보조커터(15)는 상기 직립된 커터(13)의 배면을 향해 상기 겹침연결부(14)를 기준으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커터(13)의 배면에 면 밀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겹침연결부(14)는 평면상에 놓인 상기 커터(13) 및 보조커터(15)의 커팅블레이드(13a1,13b1)의 최상단부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막대 형상으로 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커터(13)와 보조커터(15)가 면 밀착되면서 접히게 되면 상기 막대 형상의 겹침연결부(14) 역시 그 중앙부가 접히면서 이 접힌 중앙부는 상기 커터(13) 및 보조커터(15)의 커팅블레이드(13a1,13b1)의 최상단부보다 소정거리 높이 돌출된 형상이 되어, 이는 결과적으로 커팅블레이드(13a1,13b1)로 진입되는 전선의 외주면 양단부를 감싸 전선이 진입 과정에서 커터(13) 및 보조커터(15)의 양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 및 가이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커터(15)는 일단부에 상기 커터(13)의 배면에 면 밀착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터미널이 놓이는 바닥면에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길다란 사각돌기 형상의 바닥면 밀착부(16)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면 밀착부(16)는 상기 브리지(12)의 평판 두께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함으로써, 직립된 보조커터(15)가 바닥면 상에서 들뜨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터미널(10)에 전선의 심선(7) 및 타 터미널의 연결단자가 접속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심선 접속 작업 이전에 터미널(10)의 겹침연결부(14)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마주보고 대칭되게 펼쳐진 상태의 커터(13) 및 보조커터(15)를 상기 겹침연결부(14)를 기준으로 해서 서로 맞닿도록 겹쳐 접으면, 기본적으로 심선(7)과 맞닿게 되는 상기 심선하강부(13e)와 상기 심선안착부(13f)의 폭 넓이가 2배로 커지면서 이에 따른 심선(7)과의 접속면적이 결과적으로 커지게 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심선 접속 과정에서 접속하고자 하는 전선을 터미널(10)의 커터(13)의 양 커팅블레이드(13a1)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그러면, 전선은 양 커팅블레이드(13a1)에 의해 피복이 절단되는 동시에 전선 내부의 심선(7)은 동일 직경 크기의 한 쌍의 커팅직립편(13b)의 내벽부와 맞닿은 상태로 심선하강부(13e)를 타고 하강하여 심선(7)의 하단 양측 외주면 부위가 심선안착부(13f)에 안착되면서 최종적으로 심선(7)과 터미널(10)간의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연결시키고자 하는 전선이 연결된 타 커넥터용 터미널(미도시)의 연결단자에 상기 단자연결부(11)를 서로 겹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서로 일치된 연결홈(11a)에 별도의 고정용 도전성 체결구 등을 소정 부위에 체결하여 각 커넥터용 터미널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동시에 양 전선 간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터미널을 전선이음용 커넥터에 적용되는 사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터미널을 전선이음용 커넥터의 하우징(20)에 적용한 경우의 예시로써, 상기 하우징(20)의 제1하우징(21)에 전선을 배치하고 제2하우징(22)에는 본 발명의 터미널(10)을 장착한다.
이때, 터미널(10)의 브리지(12)의 유동방지돌부(12a)가 제2하우징(22)의 유동방지홈(22a)으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동시에 커터(13)는 커터장착홈(22b)에 삽입 장착되어 터미널(10)이 제2하우징(22) 내에 유동없이 견고히 장착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제1하우징(21)을 폭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하우징(22)을 덮어씌우게 되면 전선의 피복(9)이 커터(13)의 커팅블레이드(13a1,13b1)에 의해 절개되면서 전선 내부의 심선(7)이 커터(13)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되어 터미널(10)로의 전선 접속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은, 단자연결부를 갖는 터미널의 일측에 대칭구조를 갖고 서로 면 밀착되는 커터 및 보조커터를 마련하여 전선 연결시 커터 및 보조커터를 통해 전선 피복이 절개되는 동시에 전선 내부의 피복이 커터 및 보조커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함으로써, 터미널과 전선 간의 연결작업이 수월하고 신속하게 되도록 함은 물론 커터 및 보조커터의 2중겹침구조를 통한 심선과의 접선면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그 결과 심선 접속 상태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자연결부와 브리지와 커터 및 보조커터가 각각 동일 평판상에서 연속되는 일체형 평판 구조로 하여 브리지에 대해 커터 및 보조커터를 직립시키는 동작만으로 터미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터미널 형성이 간편하고 신속하여 작업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평판 구조상에 따른 보관 및 이송작업 등도 수월하게 이루어져서 결과적으로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심선의 저면과 곡면 밀착된 상태로 심선의 저면 일측을 떠받치는 심선안착부를 마련함으로써, 심선과 터미널간의 접속 상태가 양호하게 되도록 하여 그 결과 심선 접속 상태에 대한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터미널의 브리지 양측부에 별도의 유동방지돌기를 마련함으로써, 터미널이 커넥터에 장착시 정위치로 정확하게 장착되도록 함은 물론 장착된 터미널이 유동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그 결과 터미널로의 전선 연결 작업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서 이 역시 작업능률 향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심선 9 : 피복
10 : 터미널 11 : 단자연결부
11a : 연결홈 12 : 브리지
12a : 유동방지돌부 13 : 커터
13a : 커팅직립편 13a1 : 커팅블레이드
13b : 커팅직립편 13b1 : 커팅블레이드
13c : 하단연결편 13d : 전선진입부
13e : 심선하강부 13f : 심선안착부
13g : 하단공간부 14 : 겹침연결부
15 : 보조커터 16 : 바닥면 밀착부
20 : 하우징 21 : 제1하우징
22 : 제2하우징 22a : 유동방지홈
22b : 커터장착홈

Claims (5)

  1.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연결부;
    상기 단자연결부의 일측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타측으로 연장되는 브리지;
    상기 브리지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전선의 피복을 커팅 및 상기 전선 내부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터; 및
    상기 커터와 별도의 겹침연결부를 개재하여 대칭되는 동일한 형상의 보조커터;
    를 포함하는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연결부와 브리지 및 커터는 각각 동일 평판상에서 연속되는 일체형 평판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폭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커팅블레이드가 마련되며 상기 브리지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한 쌍의 커팅직립편; 및
    상기 한 쌍의 커팅직립편의 하단을 연결하고 상기 브리지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하단연결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블레이드는 상기 커팅직립편의 상단 전면부를 일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절삭하고 상단부를 상기 커팅직립편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일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절삭하여 된 소정의 칼날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한 쌍의 커팅직립편의 커팅블레이드가 서로 마주보는 사이 공간인 동시에 전선이 하방으로 진입되는 통로인 전선진입부;
    상기 전선진입부와 연통된 하부에 위치되어 피복이 절개된 상기 전선 내부의 심선이 상기 한 쌍의 커팅직립편의 내측부와 접속된 상태로 하향 진행되는 심선하강부; 및
    상기 하강이 완료된 심선이 상기 한 쌍의 커팅직립편과 접속된 상태로 안착되는 심선안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KR1020200152491A 2020-11-16 2020-11-16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KR20220066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491A KR20220066456A (ko) 2020-11-16 2020-11-16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PCT/KR2021/012755 WO2022102942A1 (ko) 2020-11-16 2021-09-17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491A KR20220066456A (ko) 2020-11-16 2020-11-16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456A true KR20220066456A (ko) 2022-05-24

Family

ID=8160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491A KR20220066456A (ko) 2020-11-16 2020-11-16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66456A (ko)
WO (1) WO202210294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203B1 (ko) 2008-03-21 2010-02-25 이영환 전선 이음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3776A (ja) * 2008-07-25 2010-02-12 Sumitomo Wiring Syst Ltd 圧接端子、スプライス用端子及び電線の圧接構造
KR101643218B1 (ko) * 2014-10-10 2016-07-28 주식회사 조우스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커넥터
KR101694274B1 (ko) * 2015-09-24 2017-01-23 이영환 무탈피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이음 커넥터
KR101981067B1 (ko) * 2018-03-13 2019-05-22 ㈜알파오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KR102003287B1 (ko) * 2018-03-26 2019-07-25 ㈜알파오 무탈피 전선이음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203B1 (ko) 2008-03-21 2010-02-25 이영환 전선 이음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2942A1 (ko)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86223B (zh) 端子零件
EP0675567A2 (en) Wire harn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290955B2 (en) Terminal for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 wires without peeling
JPS6323626B2 (ko)
EP2996201A1 (en) Terminal for electric wire joining connector and electric wire joining connector having same
JP2000277190A (ja)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その結線方法
KR101981067B1 (ko)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KR20220066456A (ko)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JP2017204355A (ja) 端子付き電線及び端子
JPH0451426Y2 (ko)
US6402548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connecting connecting terminals
JPH087968A (ja) 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KR102003287B1 (ko) 무탈피 전선이음 커넥터
JPH11224702A (ja) 圧接端子
JP3638840B2 (ja) コネクタの接続方法
US4927379A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039651B1 (ko)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
JP3638843B2 (ja) 圧接コネクタ
EP0369767A2 (en) A contact for connection of a shielded wire
KR101540602B1 (ko)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커넥터
KR20220080323A (ko)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제조방법
US20190252841A1 (en) Tip structure of flat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ip structure
US20230016613A1 (en) Terminal for connecting electric wires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EP3863120A1 (en) Electric wire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JP2885257B2 (ja) 電線圧接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