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6159A - 부분 테이퍼 사운드보드 리커브를 갖는 음향 현악기 본체 - Google Patents

부분 테이퍼 사운드보드 리커브를 갖는 음향 현악기 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6159A
KR20220066159A KR1020227013643A KR20227013643A KR20220066159A KR 20220066159 A KR20220066159 A KR 20220066159A KR 1020227013643 A KR1020227013643 A KR 1020227013643A KR 20227013643 A KR20227013643 A KR 20227013643A KR 20220066159 A KR20220066159 A KR 20220066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urve
soundboard
thickness
instrument
gui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3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레데릭 이. 그린
티모시 에이. 틸
Original Assignee
드레드너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레드너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드레드너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66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6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2Resonating means, horns or diaphrag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6Necks; Fingerboards, e.g. fret boards

Abstract

본체, 후방 플레이트 및 측방 플레이트를 갖는 악기를 위한 사운드보드가 개시되며, 이 사운드보드, 후방 플레이트 및 측방 플레이트는 악기를 위한 소리 챔버를 형성한다. 사운드보드는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두께를 갖는다. 사운드보드는 또한 길이 방향 축선 주위에 비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부분 테이퍼 리커브를 포함한다. 리커브는, 사운드보드의 두께와 평평하게 시작하는 하향 경사부(ramp)를 형성하는 제1 리커브 부분, 부분 테이퍼 리커브의 전체 깊이를 규정하는 제2 리커브 부분, 및 사운드보드의 두께와 평평하게 끝나는 상향 경사부를 형성하는 제3 리커브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사운드보드를 포함하는 악기가 개시된다. 이 악기는 기타일 수 있다.

Description

부분 테이퍼 사운드보드 리커브를 갖는 음향 현악기 본체
본 출원은 2019년 9월 23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62/904,196 및 2020년 9월 10일에 출원된 미국 비가특허 출원 17/016,986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고, 이것들의 내용은 본 출원에 참조로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기타와 같은 현악기의 사운드보드(soundboard), 특히, 비대칭 경로를 따르는 부분 테이퍼 리커브(recurve)를 포함하는 사운드보드에 관한 것이다.
음악은 우리의 일상 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사회의 조직으로 짜여져 있다. 많은 사람이 오락, 취미 또는 직업으로서 음악을 한다. 많은 종류의 악기 중의 하나인 현명(chordophone) 악기는, 2개의 지점 사이에서 신장되어 있는 진동 줄 또는 줄들을 통해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현명 악기, 특히, 현악기는 다용도적이고 상이한 장르의 음악에 적합하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인기가 매우 많다. 가장 인기 있는 현악기는, 음향적으로 소리를 내는 보통 기타 및 전기적 증폭을 통해 소리는 내는 전기 기타를 포함하여, 아마도 현대의 기타이다.
통상적인 보통 기타와 전기 기타는 본체 및 조인트를 통해 그 본체에 부착되는 목부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기다란 가요적인 줄이 프렛보드(fretboard)를 따라 본체와 목부의 원위 단부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원위" 또는 "원위 단부" 라는 용어는 사용자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되어 있는 표면의 일부분 또는 요소를 규정하기 위해 사용됨). 본체는 전형적으로 목재로 만들어지는 사운드보드라고 하는 정상 표면을 가지며, 이 표면은 악기가 연주될 때 진동한다. 심미적으로 가장 만족스러운 음조(tone)를 갖는 악기를 제공하기 위해, 사운드보드는 통상적으로 테이퍼져 있거나 페터링되어(feathered) 있어, 그 사운드보드는 그의 주변부 가장자리 근처에서 얇게 되어 있어, 사운드보드는 약기의 측벽에 대해 더 많이(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운드보드는 그의 중심부로부터 주변부까지 테이퍼져 있다. 사운드보드를 테이퍼지게 하는 공정은 어렵고 시간 소비적인데, 하지만, 시각적으로 분명하지 않은(즉, 사운드보드의 표면은 바람직하게 평평한 외양을 가짐) 사운드보드의 가장자리에 테이퍼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기능공(현악기 제작자)이 수 시간 동안에 빈번히 손으로 사포 작업을 할 필요가 있다. 테이퍼 형성 공정에서의 오류는 고르지 않은 테이퍼 또는 바람직하지 않게 얇은 부분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균열과 부러짐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사운드보드와 관련된 한 단점은 사운드보드를 테이퍼지게 하는 것은 어렵고 또한 시간 소비적이다라는 것이다. 종래의 사운드보드와 관련된 다른 단점은, 고품질 악기의 사운드보드를 테이퍼지게 하는 데에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이다. 통상적인 사운드보드와 관련된 또 다른 단점은, 사운드보드의 재료로서 목재를 사용하는 것에 관련되어 있다. 목재 사운드보드는 습한 조건에서 팽창하는 경향이 있어, 시각적 외양과 음조 질의 변화를 야기하게 된다. 추가로, 건조한 조건 하에서는 목재 사운드보드에 균열이 생길 수 있다.
Taylor-Listug, Inc.의 미국 특허 6,759,581("Acoustic Stringed Instrument Body with Relief Cut")는, 위에서 부각된 단점을 해결하려고 시도한다. 발명의 명칭이 암시하듯이, 주변부 주위에 대칭적인 릴리프 절단부가 있는 사운드보드를 포함하는 음향 현악기가 제공된다. 그 릴리프 절단부는 사운드보드의 외부 또는 내부 표면의 주변부 가까이에서 사운드보드의 그 외부 또는 내부 표면 상에 위치된다. 그러나, 릴리프 절단부는 소리 구멍에 더 가까운 위치를 포함하여 다른 위치에도 있을 수 있다. 릴리프 절단부는 악기의 사운드보드와 측벽 사이의 더 가요적인 연결부를 표면적으로 형성하며, 이러한 연결부는 사운드보드가 더 자유롭게 진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악기의 음조를 개선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사운드보드에 있는 릴리프 절단부는 또한 대기 조건의 변화로 인한 목재 사운드보드의 신장과 수축을 허용하기 위해 또한 나타난다.
그 특허의 개시에 따르면, 사운드보드 표면을 데이퍼지게 하는 시간 소비적인 공정은 국부적인 릴리프 절단부로 대체된다. 그 특허의 도 1을 참조하면, 사운드보드(30)의 윤곽을 따르는 점선(45)이 사운드보드(30)의 주변부 내측에 존재한다. 이 점선(45)은 릴리프 절단부(100, 110, 120, 130, 140, 150)의 대략적인 위치를 나타내며, 그 릴리프 절단부들은 사운드보드(30)에 위치된다. 릴리프 절단부(100)의 단면적은 사운드보드(30)를 따라 변할 수 있고, 릴리프 절단부(100)는 또한 다른 형상과 치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581 특허에 개시된 릴리프 절단부를 갖는 사운드보드는 사운드보드의 접착 표면과 측부에서 그의 전체 두께로 복귀할 필요가 있다.
위에서 개괄적으로 설명한 단점을 감안하여, 양호한 음조 질을 얻기 위해 자체의 테이퍼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음향 악기 사운드보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또한, 습도 및 온도 레벨과 같은 대기 조건의 변화에 견디도록 튼튼하게 설계되는 목재 음향 악기 사운드보드에 대한 필요성도 존재한다. 특히 악기의 다른 구성품과 조합될 때 음조 최적화를 달성하는 사운드보드에 대한 다른 필요성도 존재한다.
이들 및 다른 필요성을 만족하고 기존 설계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부분 테이퍼 리커브를 포함하는 사운드보드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운드보드의 전략적인 영역에서 더 큰 가요성을 달성하는 것이다. 관련된 목적은, 사운드보드를 갖는 악기를 위한 원하는 음조 효과를 얻는 것이다. 다른 관련된 목적은, 사운드보드를 갖는 악기의 본체 형상에 근거하여 음조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원하는 음조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사운드보드의 특정 영역을 목표로 삼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운드보드에서 릴리빙된 영역의 폭과 위치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들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그리고 그의 목적을 감안하여, 본 개시는, 본체, 후방 플레이트 및 측방 플레이트를 갖는 악기를 위한 사운드보드를 제공하며, 이 사운드보드, 후방 플레이트 및 측방 플레이트는 악기를 위한 소리 챔버를 형성한다. 사운드보드는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두께를 갖는다. 사운드보드는 또한 길이 방향 축선 주위에 비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부분 테이퍼 리커브를 포함한다. 리커브는, 사운드보드의 두께와 평평하게 시작하는 하향 경사부(ramp)를 형성하는 제1 리커브 부분, 부분 테이퍼 리커브의 전체 깊이를 규정하는 제2 리커브 부분, 및 사운드보드의 두께와 평평하게 끝나는 상향 경사부를 형성하는 제3 리커브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사운드보드를 포함하는 악기가 개시된다. 이 악기는 기타일 수 있다.
앞의 전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지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읽을 때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통상적인 관례에 따라, 도면의 다양한 부분은 축척에 따르지 않음을 강조한다. 반대로, 다양한 부분의 치수는 명료성을 위해 임의로 확대 또는 축소되어 있다. 도면에는 이하의 도가 포함된다:
도 1은 통상적인 기타의 도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기타의 도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커핑된 라이닝(kerfed lining)을 부각시키는 기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부분 테이퍼 사운드보드 리커브를 부각시키는 사운드보드의 바닥 또는 내측 표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사운드보드의 저면도이다.
도 5a는 도 5의 5A-5A 선을 따른 단면도로, 리커브의 제1 리커브 부분의 가장자리를 도시한다.
도 5b는 도 5의 5B-5B 선을 따른 단면도로, 리커브의 제2 리커브 부분의 가장자리를 도시한다.
도 5c는 도 5의 5C-5C 선을 따른 단면도로, 리커브의 제3 리커브 부분의 가장자리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나 있는 사운드보드의 저면도로, 리커브의 특정한 치수를 부각시킨다.
도 7은 기타의 사운드보드에 적합한 버팀부의 단지 한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는 보통 기타, 중실체 전기 기타, 및 음향 전기 기타와 같은 기타를 포함할 수 있지만, 예컨대, 밴조, 만돌린, 바이올린, 류트(lute) 및/또는 다른 유사한 악기와 같은 다른 현악기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원리는 기타와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개시된 원리는 악기 본체 및 줄이 신장되어 따르는 기다란 목부를 갖는 다른 현악기에도 적용 가능함을 이해해야 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이 도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도면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 전체에 걸쳐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제, 먼저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과 본 발명 둘 모두에 따른 현악기의 다양한 구성품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간략히 하도록 한다. 이들 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타(1)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목부(4)에 연결되는 기타 본체(2)를 갖는다. 이 본체(2)는 원형 소리 구멍(28)을 갖는 전방 플레이트(18a), 이 전방 플레이트(18a)와 대면하는 후방 플레이트(18b), 및 서로 이격되도록 전방 플레이트(18a) 및 후방 플레이트(18b)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측방 플레이트(18c)로 구성된다. 전방 플레이트(18a), 후방 플레이트(18b) 및 측방 플레이트(18c)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서 소리 공명이 발생된다. 더욱이, 본체(2)의 한 측에는, 목부(4)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목부(4)는 상당한 두께를 갖는 비임(3)의 형태로 되어 있고, 이 비임은 정상 표면(5a)과 바닥 표면(5b)을 갖는다. 목부(4)는 전형적으로 목재 또는 일부 다른 유사한 또는 통상적인 재료를 포함하고, 이러한 재료는 뒤틀림 또는 비틀림 없이 지속적인 줄의 당김을 견디기에 적합하다. 목부(4)는 일체형 헤드스톡(6)을 가지며, 이 헤드스톡은 다수의 개별적인 튜닝 페그(peg)(8)(전형적으로 6개 또는 아마도 12개의 튜닝 페그)를 유지하며, 각 페그는 요구되는 줄(10)의 자유 단부를 통상적인 방식으로 각각 구속시킨다. 줄(10)은 실질적인 장력(예컨대, 줄당 약 30 파운드의 장력)으로 매여 있고, 제1 고정점 또는 축(12)(기타 본체(2)의 전방 플레이트(18a)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브리지(16)로 지지되는 새들(14)로 형성됨)으로부터 제2 고정 축(20)(헤드스톡(6)에 인접해 위치되어 목부(4)의 정상 표면(5a)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너트(22)로 형성됨)까지 연장되어 있다. 더욱이, 목부(4)의 비임(3)의 내부에는, 목부(4)가 기타 줄(10)의 장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절 로드(나타나 있지 않음)가 설치된다.
지판(프렛(fret) 악기에서 프렛보드(24)로도 알려져 있음)은 대부분의 현악기에서 중요한 구성품이다. 프렛보드(24)는 단단한 재료(통상적으로, 자단(rosewood) 또는 흑단(ebony)과 같은 보강 폴리머 또는 목재)의 얇고 긴 스트립이며, 이는 목부(4)의 나머지와 줄(10) 사이에 위치되고 그 나머지를 줄로부터 이격시키도록 목부(4)의 정상 표면(5a)과 짝을 이루 그 정상 표면 상에 형성된다. 프렛보드(24)가 제조되는 재료는 금속 프렛(9)(프렛보드(24) 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됨)을 지지하고 유지시키고 또한 수년의 사용 기간 동안 연주를 견디기에 충분하게 강하고, 내구적이고 또한 안정적이어야 한다. 줄(10)은 프렛보드(24) 위에서 너트(22)와 브리지(16) 사이에 걸쳐 있다. 통상적인 기타의 경우에, 힐(26)이 목부(2)의 나머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목부(4)의 바닥 표면(5b)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일체적"은, 추가적인 요소 없이 그 자체로 완전한 단일 요소 또는 단일체 부품을 의미하는데, 즉 그 부품은 다른 부품과 하나의 개체로 형성되는 하나의 단일체 요소로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측 바우트(30)는 기타 본체(2)에 있어서 목부(4)에 가장 가까운 부분이며, 상측 바우트(30)는 대략적으로 본체(2)의 정상부로부터 소리 구멍(28)의 중간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하측 바우트(32)는 기타 본체(2)에 있어서 브리지(16)에 있는 줄 말단부에 가장 가까운 최대 부분이며, 하측 바우트(32)는 대략적으로 소리 구멍(28)의 중간부로부터 본체(2)의 바닥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타(1)는 전방 플레이트(18a)와 측방 플레이트(18c) 사이의 접합부 및 후방 플레이트(18b)(도 3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와 측방 플레이트(18c) 사이의 접합부에서, 커핑된 라이닝(34)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1)를 "커핑"하는 공정에 의해, 기타(1)의 전방 플레이트(18a), 후방 플레이트(18b) 및 측방 플레이트(18c)를 접착시키고 보강하기 위한 표면이 형성된다. 각 라이닝(34)은 이 기타(1)의 만곡된 구성품에 맞도록 쉽게 구부려질 수 있게 하기 위해 커핑된다(슬롯 형성됨).
기타(1)를 사용할 때, 음악가는 줄(10)이 퉁겨지거나 튀겨지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여기됨에 따라 그 줄(10)을 짧게 하고 다양한 피치를 생성하도록 줄을 누르면서 손가락을 목부(4)를 따라 위아래로 이동시킨다. 전형적으로, 프렛보드(24) 상의 프렛(9)은 짧아진 줄(10)의 단부를 명확한 또는 요구되는 위치에 연결하는 장소를 제공하도록 목부(4)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줄(10)은, 튜닝 페그(8)가 각 줄(10)의 장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목부(4) 또는 헤드스톡(6)의 정상부에서 피칭하기 위해 튜닝된다. 사용자는 목부(4) 위에서 이 목부(4)의 정상 표면(5a)에 부착되어 있는 프렛보드(24) 상으로 연장되는 줄(10)을 누르면서 기타 본체(2)의 중간 부분 근처에서 줄(10)을 퉁겨 요구되는 음표(note)를 표현한다. 발현되는 음표의 음조는 줄(10)의 장력, 및 줄(10)이 목부(4) 상으로 눌리는 프렛(9)과 하측 앵커점 사이의 거리에 달려 있다. 눌려지는 줄(10)과 브리지(16) 사이의 거리가 작을 수록, 결과적인 음색은 더 높게 피칭할 것이다. 줄(10)의 장력을 증가시키면, 더 높은 피치를 갖는 음표가 나타날 것이다.
보통 기타(1)와 같은 음향 악기의 경우에, 본체(2)는 공명 소리 챔버를 에워싼다. 줄(10)을 퉁기거나 튀기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여기시키면 그 줄(10)이 진동하게 된다. 이 진동에 의해, 줄(10)이 위에 연장되어 있는 브리지(16)가 또한 진동하게 된다. 사실, 브리지(16)는 연주되는 모든 음표에 대해 줄(10)의 진동하는 끝점을 형성한다. 브리지(16)의 진동에 의해, 음향 악기의 전방 플레이트(18a)(사운드보드라고도 함)도 진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 소리 챔버 안에 갖혀 있는 공기가 움직여 악기의 연주시에 소리 구멍(28)을 통해 들리는 소리를 발생시킨다. 사운드보드(18a)의 진동은 기타(1)의 음조에 크게 영향을 준다. 일반적으로, 사운드보드(18a)가 더 자유롭게 진동할 수록, 기타(1)의 음조는 더 크고 또한 더 좋게 된다.
기타(1)의 구조로 되돌아 가면, 도 4 및 5에 사운드보드(18a)가 부각되어 있다. 도 4는 사운드보드(18a)의 바닥 또는 내측 표면의 사시도이고, 이는 사운드 챔버를 형성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사운드보드(18a)의 표면이다. 사운드보드(18a)는 그 내측 표면에 위치되는 부분 테이퍼 사운드보드 리커브(50)를 갖는다. 도 5는 사운드보드(18a)의 저면도이다. 리커브(50)는 많은 다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연마 휠을 사용하는 기계적 절삭 및 연마 제거가 2개의 예시적인 제조 공정이다.
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사운드보드(18a)의 리커브(50)는 지점(60)에 있는 고음측 X-버팀부의 종점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즉, 가까이에서) 시작하고, 저음측 허리부 바로 아래에 있는 지점(62)까지 또는 그 근처까지(즉, 가까이까지) 연장되어 있다. 리커브(50)는 본체(2), 및 리커브가 그 본체(2)의 일부분을 형성하기 때문에, 사운드보드(18a)의 길이 방향 축선(A)에 대해 비대칭적이다. 리커브(50)는 3개의 주요 구성 요소, 즉 제1 리커브 부분(52), 중간 또는 제2 리커브 부분(54) 및 제3 리커브 부분(56)을 포함한다.
제1 리커브 부분(52)(리커브(50)의 시작부를 규정함)은 사운드보드(18a)의 원래 두께와 평평하게 시작하는 하향 경사부(ramp)를 형성한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제1 리커브 부분(52)은, 후방측의 하측 바우트 주변부로부터 사운드보드(18a)의 레벨까지 절단된 6-인치(15.25 cm) 경사부를 규정하는 제1 치수(64)를 형성한다. 도 5a는 도 5의 5A-5A 선을 따른 단면도로, 제1 리커브 부분(52)의 가장자리를 도시한다.
제2 리커브 부분(54)에서, 리커브(50)는 그의 전체 깊이에 도달한다. 제1 리커브 부분(52)과 제2 리커브 부분(54) 사이의 천이부는, 도시된 예에서, 언더컷을 따라 절단된 제1 1.5-인치(3.8 cm) 반경 코너 블렌드(blend)(70)로 형성된다. 도 5b는 도 5의 5B-5B 선을 따른 단면도로, 제2 리커브 부분(54)의 가장자리를 도시한다. 도 5b는 또한 예시적인 가장자리 두께(72)를 도시하며, 이 두께는 약 0.070 인치(0.18 cm)일 수 있다. 제2 리커브 부분(54)과 제3 리커브 부분(56) 사이의 천이부는, 도시된 예에서, 언더컷을 따라 절단된 제2 1.5-인치(3.8 cm) 반경 코너 블렌드(74)로 형성된다.
제3 리커브 부분(56)(리커브(50)의 단부를 규정함)은 사운드보드(18a)의 원래 두께와 평평하게 끝나는 상향 경사부를 형성한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제3 리커브 부분(56)은, 사운드보드(18a)의 하측 바우트 후방측 안으로 약 0.050 인치(0.125 cm)의 깊이까지 절단된 6-인치(15.25 cm) 경사부를 규정하는 제2 치수(66)를 형성한다. 도 5c는 도 5의 5C-5C 선을 따른 단면도로, 제3 리커브 부분(56)의 가장자리를 도시한다. 도 5b는 제2 반경 코너 블렌드(74) 및 제3 리커브 부분(56)에 대한 예시적인 가장자리 두께(76)(사운드보드(18a)의 전체 두께에 근사함)를 도시한다.
원하는 음조 질을 얻기 위해 리커브(50)의 정밀한 기하학적 구조는, (기타(1)의 다른 구조적 특성 중에서도) 사운드보드(18a)의 바닥에 또한 위치되는 버팀부와 조합되어 조절될 수 있다. 기타 버팀부는, 보통 기타의 사운드보드(18a) 및 후방 플레이트(18b)를 내부에서 지지하고 보강하는 지주(strut)(전형적으로 목재임)의 시스템을 말한다. 사운드보드(18a)의 버팀부(또는 정상 버팀부)는 줄(10)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브리지(16)로부터 테두리 또는 측방 플레이트(18c)에 전달한다. 현악기 제작자는, 사운드보드(18a)가 줄(10)에 의해 발생된 음조에 가능한 한 완전히 반응할 수 있게 하면서, 줄(10)에 의해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의 비틀림으로 견디기 위해 기타(1)를 보강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한다. 버팀부 설계는 기타(1)가 내게 될 소리의 종류에 크게 기여한다. 기타(1)의 후방 플레이트(18b)는, 목부(4)에 의해 본체(2)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는 데에 도움을 주고 또한 소리 박스의 음조 응답성 및 구조적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보강된다. 버팀부는 정상 목재(가문비 나무 또는 삼나무), 발사(balsa) 나무, 또는 어떤 악기에서는 탄소 섬유 복합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7은 기타(1)의 사운드보드(18a)에 적합한 버팀부의 단지 한 예를 도시한다. 나타나 있는 예에서, 사운드보드(18a)는 거트(gut) 현악 기타에 사용되는, 1840년과 1845년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크리스티앙 프레데릭 마틴(Christian Frederick Martin)의 것으로 생각되는 X-버팀부 시스템 또는 X-버팀부 시스템의 변형예를 사용하여 보강된다. 그 시스템은 소리 구멍(28)의 정상부 아래에서 사운드보드(18a)를 가로질러 "X" 형상을 형성하는 2개의 버팀부(80, 82)로 이루어진다. "X"의 하측 아암은 브리지(16)의 단부에 걸쳐 있고 그 단부를 지지한다. 브리지(16) 아래에는 브리지 패치(84)(전형적으로 견목재(hardwood))가 있는데, 이 브리지 패치는 줄(10)의 볼 단부가 사운드보드(18a)의 저면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브리지 패치(84) 아래에는, 사운드보드(18a)의 바닥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음조 바아(86)가 있다. 음조 바아(86)는 X 버팀부 중의 하나, 예컨대 X-버팀부(80)와 맞닿고, 일반적으로, 사운드보드(18a)의 바닥 가장자리 쪽으로 아래로 경사져 있다. 정상 음조 바아(86)는 대부분의 악기에서 브리지 패치(84)의 일부분에 맞닿는다. 소리 구멍(28)의 양측에는 각진 버팀부(88)가 있는데, 이 버팀부는 사운드보드(18a)의 상측 바우트(30)와 하측 바우트(32) 사이의 수평 천이부를 수직으로 가로지른다. 하측 바우트(32) 주위에서, 작은 핑거 버팀부(90)가 X-버팀부(80, 82)와 사운드보드(18a)의 가장자리 사이의 영역을 지지한다.
요컨대, 부분 테이퍼 사운드보드 리커브(50)를 갖는 사운드보드(18a)를 갖는 음향 현악기 본체(2)는, 사운드보드(18a)의 원래 두께와 평평하게 시작하고 끝나는 비대칭적인 리커브(50)를 갖는다. 추가로, 부분적인 사운드보드 테이퍼 리커브(50)는 본체 주변부의 내측으로부터 커핑된 라이닝(34)을 지나 현악기 측부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있다(그러나,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리커브(50)는, 사운드보드(18a)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지 않을 사운드보드(18a)의 내부 또는 바닥의 영역에 적용될 수 있음). 리커브(50)는 본체(2)의 바로 그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있고, 기타(1)의 측방 플레이트(18c)에 의해 규정되는 테두리에 부착된다. 부분 테이퍼 사운드보드 리커브(50)의 가변적인 폭에 의해, 본체의 스타일에 근거한 음조 최적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부분 테이퍼 사운드보드 리커브(50)는 가변적인 거리에 걸쳐 그의 전체 깊이까지 경사지고, 가변적인 거리에 걸쳐 다시 위로 경사지며, 그의 길이는 특정한 현악기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
기타 본체(2)는 전형적으로 목재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타 본체(2)는 플라스틱, 흑연,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부분 테이퍼 사운드보드 리커브(50)는 목재 재료, 및 복합 재료, 탄소 섬유 및 라미네이트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대안적인 재료에 적용 가능하며, 어떤 종류의 절단도 필요 없이 그러한 재료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포질된 현악기 테두리에 접착될 때 부분 테이퍼 사운드보드 리커브(50)를 갖는 사운드보드(18a)는, (현악기 브리지(16)의 비틀림에 대해) 강하고 안정적인 약간 아래쪽으로 경사진 아치를 나타낼 것이다. 부분 테이퍼 리커브(50)는 비대칭적인 경로를 따르며, 그 결과, 얇아진 테이퍼형 가장자리가 접착 표면 쪽에 있게 되며, 이 가장자리는 다시 사운드보드(18a)의 중간부 쪽으로 전체 깊이까지 만곡되어 있다. 부분 테이퍼 리커브(50)로 인해, 원하는 음조 효과가 생기도록 사운드보드(18a)의 전략적인 영역에서 더 큰 가요성이 얻어진다.
리커브(50)는 통상적으로 만들어진 음향 현악기와 비교하여 음조 응답의 개선을 이룬다. 리커브(50)는 상이한 음향 현악기 본체 형상 및 버팀부 스타일에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릴리프 절단부를 갖는 사운드보드(악기의 사운드보드는 사운드보드의 접착 표면 및 측부에서 그의 전체 두께로 복귀하는 것이 필요함)와는 달리, 리커브(50)에 의해, 사운드보드(18a)는 최적의 음조 응답을 위해 필요한 영역에서 그의 변경된 깊이를 전체 가장자리까지 유지할 수 있다. 추가로, 릴리프 절단부를 갖는 공지된 사운드보드는 음향 현악기의 내부 기하학적 구조의 변화에만 영향을 주며, 부분 테이퍼 사운드보드 리커브(50)는, 줄의 장력이 가해질 때 사운드보드의 변형을 완화하기 위해 중요 영역에서 약간의 아치 형상이 유도되도록 음향 현악기의 전체 외부 치수를 변화시킨다. 그러므로, 부분 테이퍼 사운드보드 리커브(50)를 갖는 사운드보드(18a)를 갖는 음향 현악기 본체(2)는 음향 현악기 사운드보드 정상부 및/또는 후방부의 내부와 외부 모두에 영향을 준다. 시각적 이점으로서, 비대칭적인 리커브(50)가 사운드보드(18a)의 바닥 또는 내측 표면에 있기 때문에 사운드보드(18a)는 여전히 전통적인 플랫탑 기타 처림 보인다.
공지된 기술에 대한 다른 이점은, 부분 테이퍼 사운드보드 리커브(50)는 릴리빙된(relieved) 영역의 폭 및 위치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점은, 리커브(50)는 원하는 음조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사운드보드(18a)의 특정 영역을 목표로 삼는다는 것이다. 부분 테이퍼 사운드보드 리커브(50)의 가변적인 폭으로 인해, 본체 형상에 근거한 음조 최적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어떤 특정한 실시 형태와 예를 참조하여 도시되고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타나 있는 상세점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청구 범위 및 등가물의 범위 내에서 그리고 본 발명의 정신에서 벗어남이 없이 상세점에 있어서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본 문서에 넓게 언급된 모든 범위는 그의 범위 내에서 그 넓은 범위에 속하는 모든 더 좁은 범위를 포함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20)

  1. 본체, 후방 플레이트 및 측방 플레이트를 갖는 악기를 위한 사운드보드(soundboard)로서, 사운드보드, 후방 플레이트 및 측방 플레이트는 악기를 위한 소리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사운드보드는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또한 두께, 및 상기 길이 방향 축선 주위에 비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부분 테이퍼 리커브(recurve)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 데이퍼 리커브는, 사운드보드의 상기 두께와 평평하게 시작하는 하향 경사부(ramp)를 형성하는 제1 리커브 부분, 부분 테이퍼 리커브의 전체 깊이를 규정하는 제2 리커브 부분, 및 사운드보드의 상기 두께와 평평하게 끝나는 상향 경사부를 형성하는 제3 리커브 부분을 포함하는, 악기를 위한 사운드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테이퍼 리커브는 가변적인 폭을 갖는, 사운드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커브 부분은 제1 거리에 걸쳐 사운드보드의 두께로부터 그의 전체 깊이까지 경사져 있고, 상기 제3 리커브 부분은 제2 거리에 걸쳐 그의 전체 깊이로부터 사운드보드의 두께까지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거리는 악기의 음조(tone)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변하는, 사운드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커브 부분과 제2 리커브 부분 사이의 천이부가 제1 반경 코너 블렌드(blend)로 형성되어 있는, 사운드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경 코너 블렌드는 약 3.8 cm인, 사운드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커브 부분과 제3 리커브 부분 사이의 천이부가 제2 반경 코너 블렌드로 형성되어 있는, 사운드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경 코너 블렌드는 약 3.8 cm인, 사운드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보드를 보강하도록 구성된 X-버팀부(brace)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사운드보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커브 부분으로 형성되는 하향 경사부와 상기 제3 리커브 부분으로 형성되는 상향 경사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약 15.25 cm로 연장되어 있는, 사운드보드.
  10. 제1항에 따른 사운드보드를 포함하는 악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는 기타인, 악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는 저음측 허리부 및 종점을 갖는 고음측 X-버팀부를 가지며, 상기 부분 테이퍼 리커브는 상기 고음측 X-버팀부의 종점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시작하고 상기 저음측 허리부의 바로 아래의 지점 또는 그 근처까지 연장되어 있는, 악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커브 부분과 제2 리커브 부분 사이의 천이부가 제1 반경 코너 블렌드로 형성되는, 악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커브 부분과 제3 리커브 부분 사이의 천이부가 제2 반경 코너 블렌드로 형성되는, 악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보드를 보강하도록 구성된 X-버팀부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악기.
  16. 제11항에 있어서,
    기타의 본체는 가장자리를 가지며, 그 기타의 측방 플레이트는 테두리를 규정하고, 상기 부분 테이퍼 리커브는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측방 플레이트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테두리에 부착되는, 악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보드와 측방 플레이트 사이의 접합부, 상기 후방 플레이트와 측방 플레이트 사이의 접합부, 및 상기 접합부들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있는 커핑된 라이닝(kerfed lining)을 더 포함하는 악기.
  18. 악기로서,
    본체;
    후방 플레이트;
    측방 플레이트; 및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또한 두께, 및 상기 길이 방향 축선 주위에 비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부분 테이퍼 리커브를 갖는 사운드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 테이퍼 리커브는, 상기 사운드보드의 두께와 평평하게 시작하는 하향 경사부를 형성하는 제1 리커브 부분, 부분 테이퍼 리커브의 전체 깊이를 규정하는 제2 리커브 부분, 및 사운드보드의 상기 두께와 평평하게 끝나는 상향 경사부를 형성하는 제3 리커브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부분 테이퍼 리커브는 가변적인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리커브 부분은 제1 거리에 걸쳐 사운드보드의 두께로부터 그의 전체 깊이까지 경사져 있고, 상기 제3 리커브 부분은 제2 거리에 걸쳐 그의 전체 깊이로부터 사운드보드의 두께까지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거리는 악기의 음조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변하며, 상기 제1 리커브 부분과 제2 리커브 부분 사이의 천이부가 제1 반경 코너 블렌드로 형성되고, 제2 리커브 부분과 제3 리커브 부분 사이의 천이부가 제2 반경 코너 블렌드로 형성되며,
    상기 사운드보드, 후방 플레이트 및 측방 플레이트는 악기를 위한 소리 챔버를 형성하는, 악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보드를 보강하도록 구성된 X-버팀부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악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는 기타인, 악기.
KR1020227013643A 2019-09-23 2020-09-21 부분 테이퍼 사운드보드 리커브를 갖는 음향 현악기 본체 KR202200661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04196P 2019-09-23 2019-09-23
US62/904,196 2019-09-23
US17/016,986 US11217213B2 (en) 2019-09-23 2020-09-10 Acoustic stringed instrument body with partial taper soundboard recurve
US17/016,986 2020-09-10
PCT/US2020/051760 WO2021061557A1 (en) 2019-09-23 2020-09-21 Acoustic stringed instrument body with partial taper soundboard recur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159A true KR20220066159A (ko) 2022-05-23

Family

ID=7488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3643A KR20220066159A (ko) 2019-09-23 2020-09-21 부분 테이퍼 사운드보드 리커브를 갖는 음향 현악기 본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17213B2 (ko)
KR (1) KR20220066159A (ko)
CN (1) CN114375473A (ko)
DE (1) DE112020004490T5 (ko)
GB (1) GB2602580B (ko)
MX (1) MX2022003505A (ko)
WO (1) WO202106155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61182A (en) * 1917-04-28 1920-12-07 Gibson Mandolin Guitar Co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2070391A (en) * 1936-03-07 1937-02-09 Steinway & Sons Soundboard for pianos
GB1161122A (en) 1965-11-16 1969-08-13 Raymond Brakewell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ound Boxes for Musical Instruments.
US3561314A (en) 1968-08-19 1971-02-09 Lendrum A Maceachron Dulcimer
US3656395A (en) * 1970-06-08 1972-04-18 Kaman Corp Guitar construction
US5320018A (en) 1993-01-12 1994-06-14 Fandrich Delwin D Sound board assembly comprising a cut-off bar having an acoustically free end
US6177622B1 (en) 1998-10-27 2001-01-23 Matthew Daniel Green Bowed stringed instrument protector and method for using same
DE19940486C2 (de) * 1999-08-26 2001-09-27 Andre Burguete Laute
US6759581B2 (en) 2002-09-30 2004-07-06 Taylor-Listug, Inc. Acoustic stringed instrument body with relief cut
GB0509684D0 (en) * 2005-05-12 2005-06-15 Hearn Gary A brace for a musical instrument
WO2010148431A1 (en) * 2009-06-24 2010-12-29 Australian Native Musical Instruments Pty Ltd Soundboard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10909954B2 (en) * 2018-09-17 2021-02-02 Klos Innov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composite sound board
US10546562B1 (en) * 2019-02-13 2020-01-28 Joel Baldevarona Adjustable feedback control device for acoustic guitar
US10777172B1 (en) * 2019-06-04 2020-09-15 Joseph J. Katzenberger Folded horn acoustic guit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2003505A (es) 2022-04-25
WO2021061557A1 (en) 2021-04-01
US20210090529A1 (en) 2021-03-25
CN114375473A (zh) 2022-04-19
GB202203688D0 (en) 2022-05-04
GB2602580A (en) 2022-07-06
DE112020004490T5 (de) 2022-06-23
GB2602580B (en) 2023-08-30
US11217213B2 (en)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4945B2 (en) String instrument
US5567896A (en) String instrument with sound amplification
US5469770A (en) Distributed load soundboard system
US8378191B2 (en) Soundboard bracing structure system for musical stringed instruments
US20100083806A1 (en) Acoustic Guitar With Resonators Augmenters Disposed Therein
US20030145712A1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7211719B2 (en) Stringed instrument
US4320685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5025695A (en) Stringed instrument with inwardly extending neck
US6284957B1 (en) Carbon fiber cello
US6693233B1 (en) Neckless lap guitar
US8207432B2 (en) Acoustic and semi-acoustic stringed instruments having a neck-to-body junction
US10923085B2 (en) String instrument having unitary neck support and fingerboard brace
KR20220066159A (ko) 부분 테이퍼 사운드보드 리커브를 갖는 음향 현악기 본체
US8648237B1 (en) Mandolin with integrated armrest
KR102456718B1 (ko) 공명구획 날개판이 내장된 악기
US7465861B2 (en) Rim for a banjo
US20220284871A1 (en) Bowed instrument
US6759581B2 (en) Acoustic stringed instrument body with relief cut
US6667431B1 (en) Stringed instrument
RU2794060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узыкальн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и музыка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изготовленный указанным способом
US9905212B1 (en) Bridge with pickup for hybrid arched top guitar or the like
US598245A (en) Mandolin
KR20220091036A (ko) 비올족 현악기
WO2012126060A1 (en)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