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580A - 차량 방역관리시스템 및 방역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방역관리시스템 및 방역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580A
KR20220065580A KR1020200152262A KR20200152262A KR20220065580A KR 20220065580 A KR20220065580 A KR 20220065580A KR 1020200152262 A KR1020200152262 A KR 1020200152262A KR 20200152262 A KR20200152262 A KR 20200152262A KR 20220065580 A KR20220065580 A KR 20220065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ion
driver
information
quarantin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1673B1 (ko
Inventor
김호진
박성우
Original Assignee
메타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타로보틱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타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2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673B1/ko
Publication of KR20220065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2Image or content composition onto a page
    • G06F3/1243Variable data printing, e.g. document forms, templates, labels, coupons, advertisements, logos, watermarks, transactional printing, fixed content vers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7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livestock or poul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차량 방역관리시스템 및 방역관리방법을 제시하며, 방역관리시스템은 방역 스테이션에 설치되는 방역관리장치를 포함하고, 방역관리장치는 상기 방역 스테이션에 차량이 진입하면, 진입하는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촬영장치; 상기 차량에 소독제를 분사하여 상기 차량을 소독하는 소독기; 상기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운전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운전자에게 발급된 소독필증을 인쇄하는 키오스크; 그리고 상기 촬영장치에서 차량번호 인식이 완료되면 인식된 차량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소독기를 구동시키며, 상기 차량에 대한 소독이 완료되면 상기 키오스크에 상기 발급정보확인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하며, 인식된 차량번호와 상기 운전자 정보에 대응하여 소독필증이 발급되도록 하는 제어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방역관리시스템 및 방역관리방법{SYSTEM AND METHOD MANAGING DISINFECTION OF VEHICLES}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방역 거점에 설치되어,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소독을 수행하고 방역 완료된 차량에 대해 자동으로 소독필증을 발급하며, 각 차량과 운전자에 대해 소독필증이 발급된 내역을 관리하는 차량 방역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역관리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구제역이나 조류 인플루엔자, 아프리카돼지열병 등과 같이 가축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감염병이 유행하고 있다. 그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 등의 당국과 축산업체들은 감염병의 예방을 위해 축산농가의 방문이나 출입을 자제하도록 하고, 부득이하게 방문해야 하는 경우 소독 등의 방역을 철저히 하도록 관리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방역 당국은 반드시 거점에 설치된 소독시설에서 차량 소독을 완료한 후 소독필증을 발급받은 차량에 한하여, 농장 또는 도축장 등을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거점 소독시설에서는 초소 내의 소독장치를 시설 작업자가 직접 작동시켜 차량에 소독제를 분사하고, 시설에 상주하는 작업자가 각 차량과 운전자의 정보를 확인하여 정해진 템플릿에 기입함으로써 소독필증을 발급하는 등 소독부터 필증 발급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초소 내에 다수의 상주 인력이 요구되는 등, 방역에 과도한 노동력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각 소독시설에서의 소독 이력과 필증 발급 이력이 원활히 수집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에 공개된 한국공개특허 10-2011-0091086호에는, 차량 전체에 대한 살균 소독이 이루어지게 한 방역 설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문헌에는 단지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을 향해 약액을 고르게 분사할 수 있는 방역하우스 타입의 방역 설비가 기재되어 있을 뿐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소독 및 소독필증 발급에 소요되는 시간이나 노동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수단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차량 방역 작업을 위해 거점에 구비되는 방역 스테이션에서, 차량에 대해 소독작업을 수행하고, 차량과 운전자의 소독이력을 수집하며 소독필증을 발급하는 일련의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방역관리시스템 및 방역관리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소독필증 발급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함으로써, 방역 스테이션에 필요한 작업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역관리시스템 및 방역관리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각각의 방역 스테이션에서 수집되는 소독이력을 서버에 축적하여 각 방역 스테이션 별 소독 작업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역관리시스템 및 방역관리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방역 작업자로 하여금 방역 스테이션에 설치되는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소독이력의 검색을 용이하게 하여 소독 작업과 소독필증 발급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역관리시스템 및 방역관리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역 스테이션에 설치되는 방역관리장치를 포함하는 방역관리시스템에서, 방역관리장치는, 상기 방역 스테이션에 차량이 진입하면, 진입하는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촬영장치; 상기 차량에 소독제를 분사하여 상기 차량을 소독하는 소독기; 상기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운전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운전자에게 발급된 소독필증을 인쇄하는 키오스크; 그리고 상기 촬영장치에서 차량번호 인식이 완료되면 인식된 차량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소독기를 구동시키며, 상기 차량에 대한 소독이 완료되면 상기 키오스크에 상기 발급정보확인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하며, 인식된 차량번호와 상기 운전자 정보에 대응하여 소독필증이 발급되도록 하는 제어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역 스테이션에 설치되는 방역관리장치를 포함하는 방역관리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역관리방법은, 상기 방역 스테이션에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방역관리장치가 진입하는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방역관리장치가 촬영된 차량의 영상에서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차량번호 인식이 완료되면, 상기 방역관리장치가 상기 차량에 소독제를 분사하여 상기 차량을 소독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소독이 완료되면, 상기 방역관리장치가 상기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운전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식하는 단계에서 인식된 차량번호와 상기 운전자 정보에 대응하는 소독필증을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역관리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서, 방역관리방법은 상기 방역 스테이션에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방역관리장치가 진입하는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방역관리장치가 촬영된 차량의 영상에서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차량번호 인식이 완료되면, 상기 방역관리장치가 상기 차량에 소독제를 분사하여 상기 차량을 소독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소독이 완료되면, 상기 방역관리장치가 상기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운전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식하는 단계에서 인식된 차량번호와 상기 운전자 정보에 대응하는 소독필증을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역 스테이션에 설치되는 방역관리장치를 포함하는 방역관리시스템에 의해 수행되고, 방역관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방역관리방법은 상기 방역 스테이션에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방역관리장치가 진입하는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방역관리장치가 촬영된 차량의 영상에서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차량번호 인식이 완료되면, 상기 방역관리장치가 상기 차량에 소독제를 분사하여 상기 차량을 소독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소독이 완료되면, 상기 방역관리장치가 상기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운전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식하는 단계에서 인식된 차량번호와 상기 운전자 정보에 대응하는 소독필증을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차량 방역 작업을 위해 거점에 구비되는 방역 스테이션에서, 차량에 대해 소독작업을 수행하고, 차량과 운전자의 소독이력을 수집하며 소독필증을 발급하는 일련의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방역관리시스템 및 방역관리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소독필증 발급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함으로써, 방역 스테이션에 필요한 작업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역관리시스템 및 방역관리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각각의 방역 스테이션에서 수집되는 소독이력을 서버에 축적하여 각 방역 스테이션 별 소독 작업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역관리시스템 및 방역관리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방역 작업자로 하여금 방역 스테이션에 설치되는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소독이력의 검색을 용이하게 하여 소독 작업과 소독필증 발급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역관리시스템 및 방역관리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관리장치에 포함된 제어단말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관리장치에 포함된 키오스크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관리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관리장치에서 제어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관리장치에서 키오스크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관리장치에 포함된 제어단말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관리장치에 포함된 키오스크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관리시스템에는 방역관리장치(100)와, 방역관리서버(200), 데이터베이스(300), 그리고 관제장치(400)가 구성된다.
여기서 방역관리장치(100)는 각각의 거점에 운영되는 방역 스테이션에 구비되는 장치로서, 방역 스테이션에서 차량에 대한 소독을 수행하고, 소독이 완료된 차량에 대하여 소독필증을 발급하는 장치이며, 구체적으로는 제어단말(110), 촬영장치(130), 소독기(150), 키오스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단말(110)은, 방역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로서, 방역 스테이션에서 근무하는 작업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제어장치(11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방역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실행될 수 있고, 제어장치(110)는 프로그램이 실행됨에 따라 차량에 대한 소독을 진행하고, 소독필증이 발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장치(110)는 촬영장치(130), 소독기(150), 그리고 키오스크(170)와 각각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장치(130)는 방역 스테이션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는 방역 스테이션을 향해 진입하는 차량을 촬영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촬영장치(130)는 촬영되는 영상에서 번호판을 감지하고,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 번호 인식 프로그램이 설치된 하드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차량 번호 인식을 위한 모듈은 촬영장치(130)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상술한 제어단말(110)에 탑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소독기(150)는 소독제를 수용하고 차량을 향해 분사함으로써 차량을 소독하는 장치로,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분사 노즐이 배열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하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소독기(150)는 도 2에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물리적으로 분리된 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소독기(150)의 일부는 자동으로 구동하고 일부는 수동으로 구동할 수 있고, 일부는 차량 외부뿐 아니라, 차량 내부나 운전자의 소독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키오스크(170)는 방역 스테이션에 방문한 차량의 운전자가 방역관리장치(100)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스탠드형의 터치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키오스크(170)는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운전자 정보, 예를 들어 운전자의 성명, 주소, 전화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운전자 정보를 제어단말(1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170)는 운전자로 하여금, 소독필증에 기재될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소독필증에 포함되는 소독필증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키오스크(170)는 소독필증을 용지에 인쇄하여 운전자에게 발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어단말(110)은 각각 촬영장치(130), 소독기(150), 그리고 키오스크(170)와 통신하면서, 진입 차량의 확인부터 소독필증의 발급까지의 과정을 전반적으로 지휘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방역관리시스템에는 방역관리서버(200)가 포함될 수 있다. 방역관리서버(200)는 방역관리장치(100)에 포함된 제어단말(110)과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정보처리장치로서, 제어단말(110)에 설치되는 방역관리 프로그램과 통신하면서 하나 이상의 방역 스테이션의 소독 현황과 필증 발급 현황 등을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역관리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300)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필요한 경우 데이터베이스(300)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어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300)에는 각 방역 스테이션의 제어단말(110)의 사용자들, 예를 들어 방역 스테이션의 작업자들에 발급된 사용자 계정정보, 각 사용자 계정정보에 연관되는 각종 로그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300)에는 각 방역 스테이션에서 수집된 차량정보나, 각 차량에 대응하는 운전자 정보, 소독일시, 소독필증 발급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이 축적될 수 있다.
특히 방역관리서버(200)는 방역관리장치(100)에서 소독필증이 발급되면, 소독필증에 대응하는 차량번호와 운전자 정보, 소독일시에 대한 소독이력정보를 방역관리장치(1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소독이력정보를 방역관리장치(100)에 대응하는 방역 스테이션 식별정보에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방역관리서버(200)는 방역관리장치(100)에서 차량번호, 운전자 성명, 소독일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조건에 대한 소독이력 검색 요청이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300)에서 검색조건에 대응하는 소독이력정보를 독출하여 방역관리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관제 장치(400)는 통상의 정보처리장치로 구성되되, 방역관리서버(200)와 통신하는 관제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관제 프로그램은 방역관리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300)에 기록된 각종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요청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서, 각 방역 스테이션의 현황이나, 소독필증 발급 현황 등의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관제 장치(400)의 사용자는, 복수의 방역 스테이션을 운영하는 운영자, 예를 들어 방역 당국의 공무원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방역관리장치(10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단말(110)은 방역 스테이션으로 차량이 진입하면, 촬영장치(130)가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도록 하고, 촬영장치(130)로부터 인식된 차량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번호가 확인되면 제어단말(110)은 소독기(150)를 구동시켜 차량에 대한 소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단말(110)은 키오스크(170)에 운전자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하여, 키오스크(170)로 하여금 운전자 정보를 수집하도록 하고, 키오스크(170)로부터 수집된 운전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소독기(150)에서 소독이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단말(110)은 키오스크(170)에 확인된 차량번호와 수집된 운전자 정보를 포함하는 발급정보확인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하고, 키오스크(170)는 최종 확인된 발급정보에 기초하여 소독필증을 인쇄한다.
이때 제어단말(110)은 최종 발급되는 소독필증에 필증 식별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필증 식별번호에 차량번호와 운전자 정보, 소독일시, 방역 스테이션 식별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소독이력이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단말(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11), 입출력부(113), 통신부(115), 그리고 제어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1)에는 파일,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후술할 제어부(117)는 저장부(111)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부(111)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7)는 저장부(111)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11)에는 방역관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방역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11)에는 방역 스테이션에 진입한 차량의 차량번호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기록될 수 있고, 키오스크(170)에 의해 수집된 운전자 정보도 적어도 일시적으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1)에는 소독필증이 발급되면 필증 식별번호와, 차량번호, 운전자 정보, 소독일시 등을 포함하는 소독필증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나아가 저장부(111)에는 차량번호 인식의 기초가 된 번호판 이미지, 운전자 이미지 등이 기록될 수도 있다.
또한 입출력부(113)는 키보드, 마우스와 같이 작업자로부터 명령이나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수단과, 스피커나 디스플레이와 같이 작업자에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출력부(113)는 작업자로부터 소독필증 발급에 필요한 데이터, 예를 들어 차량번호나 운전자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받거나, 제어단말(110)과 연결된 다른 장치들에 대한 설정 정보나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113)는 발급된 소독필증에 대한 소독필증데이터를 출력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5)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5)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15)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
통신부(115)는 상술한 촬영장치(!30), 소독기(150), 키오스크(170) 등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고, 방역관리서버(200)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5)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규격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방역관리장치(100)는 제어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7)는 구체적으로 방역관리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7)는 통신부(115)를 통해 서로 다른 장치들과 데이터를 교환하면서, 차량의 인식부터 소독필증 발급까지의 과정 전반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7)는 저장부(11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저장부(111)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저장부(111)에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17)는 입출력부(113)를 통해 방역 스테이션의 현황에 대한 데이터를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7)는 스테이션 현황 관리 인터페이스를 작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현재 작업 스테이션에 차량 진입 여부나, 소독 진행 상태, 소독필증 발급 여부 등의 상황을 화면 상에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17)는 촬영장치(130)나 소독기(150), 키오스크(170) 등의 현재 상태를 통신부(115)를 통해 수신하여, 입출력부(113)를 통해 각 장치의 상태를 출력함으로써 작업자가 장비들의 현재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7)는 작업자의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소독이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부(117)가 방역관리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며 수행하는 방역관리방법은 추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키오스크(170)의 구성을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키오스크(170)는 콘트롤러(171), 메모리(173), 터치디스플레이(175), 카메라(177), 그리고 프린터(17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콘트롤러(171)는 키오스크(17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콘트롤러(171)는 키오스크(170)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로부터 운전자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장치(110)로 전달하고, 제어장치(110)의 명령에 따라 운전자에게 소독필증을 인쇄하여 발급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73)는 콘트롤러(171)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이나 파일을 저장하고, 운전자로부터 획득되는 운전자 정보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카메라(177)가 운전자의 영상을 촬영하면, 촬영된 영상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터치디스플레이(175)는 운전자와 인터페이스하는 수단으로서, 화면을 출력하고, 출력된 화면에 대한 운전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운전자로부터 명령이나 데이터를 입력 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터치디스플레이(175)에는 소독필증 발급에 필요한 차량번호과 운전자 정보 등이 출력되는 발급정보확인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운전자는 발급정보확인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운전자 정보, 예를 들어 운전자의 성명, 전화번호, 주소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급정보확인 유저 인터페이스에는 운전자 정보 입력 필드와 가상 키패드가 포함되어, 운전자가 각 입력 필드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발급정보확인 유저 인터페이스에는 후술할 카메라(177)에 의해 촬영되는 범위의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콘트롤러(171)는 운전자로 하여금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보유하는 서드파티서버(미도시)에 의해 발급된 이미지코드를 운전자의 개인용 휴대단말에 출력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발급정보확인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운전자에게 이미지코드가 표시된 휴대단말의 화면을 카메라(177)의 촬영 범위 내에 위치시키도록 함으로써, 이미지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코드는 서드파티서버가 운전자에게 고유한 고유정보를 포함하도록 발급한 QR코드나 바코드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서드파티서버는, 개인정보를 수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의 주체에 의해 운영되는 서비스 서버로서, 이미 회원 가입된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개인정보 수집 및 관리에 대한 동의를 받아 해당 사용자의 개인정보에 대응하는 고유정보를 이미지코드 형태로 발급하고, 다른 장치에서 이미지코드로부터 고유정보를 독출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요청하면,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콘트롤러(171)는 카메라(177)에 의해 촬영된 영상 내에서 이미지코드를 식별하고, 그로부터 고유정보를 독출하여 서드파티서버로 직접 또는 제어단말(110)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서드파티서버에 해당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서드파티서버에서 운전자의 개인정보가 수신되면, 콘트롤러(171)는 수신된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운전자 정보로서 발급정보확인 유저 인터페이스에 출력하여 운전자의 확인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카메라(177)는 터치디스플레이(175)가 구비되는 키오스크(170)의 전면에서 전방을 향해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 수단으로서, 운전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콘트롤러(171)는 카메라(177)가 촬영한 영상에서 사람의 안면을 식별하여, 안면이 있는 것으로 식별된 영상의 프레임을 스틸컷으로 메모리(173)에 저장하거나 제어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콘트롤러(17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177)가 촬영한 영상에서 이미지코드를 식별하여 고유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그리고 키오스크(170)에 포함되는 프린터(179)는 소독필증데이터를 포함하는 소독필증을 용지에 인쇄하여, 소독필증을 운전자에게 발급할 수 있다. 이때 소독필증데이터는, 차량번호, 운전자 정보, 소독일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방역관리장치(100)를 이용한 방역관리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관리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관리장치에서 제어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관리장치에서 키오스크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역관리방법은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방역관리시스템 및 방역관리시스템에 포함된 장치들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방역관리시스템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역관리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역관리시스템에 포함되고, 각 방역 스테이션에 설치되는 방역관리장치(100)는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S510), 진입하는 차량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S520). 여기서 S520단계는 촬영장치(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촬영장치(130) 또는 제어단말(110)은 촬영된 영상에서 번호판을 식별하고, 이미지를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S530).
한편 차량번호가 인식되면 제어단말(110)은 소독기(150)로 구동명령을 전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소독기(150)가 구동할 수 있다(S540). 다만 프로그램 오류나 통신 불량 등으로 소독기(150)가 자동으로 구동되지 않는 경우 제어단말(110)은 작업자에게 소독기(150)가 응답이 없는 상태를 통지하고, 작업자는 소독기(150)를 수동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한편 소독이 완료되면(S550), 소독기(150)는 구동을 중단하고(S560), 제어단말(110)로 소독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단말(110)은 소독필증의 발급을 준비할 수 있다.
제어단말(110)은 키오스크(170)를 통해 운전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70). 구체적으로 제어단말(110)은 키오스크(170)가 차량의 운전자에게 운전자 정보 입력 필드를 포함하는 발급정보확인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단말(110)은 운전자가 운전자 정보 입력 필드에 정보를 기입하면, 입력된 정보를 운전자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S570단계에서 키오스크(170)는 운전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보유하는 서드파티서버에 의해 발급된 이미지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이미지코드를 인식하여 고유정보를 독출하며, 제어단말(110)이 독출된 식별정보를 서드파티서버로 전송하여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요청함으로써, 운전자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이때 서드파티서버로부터 운전자의 개인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단말(110)이나 키오스크(170)는 수신된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운전자 정보로서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운전자 정보의 수집이 완료되면 제어단말(110)은 차량번호와 운전자에 대응하는 소독필증이 발급되도록 키오스크(170)를 제어할 수 있다. 소독필증 발급 대상인 차량번호와 운전자에 대하여 필증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필증 식별번호에 차량번호와 운전자 정보, 소독일시, 소독을 완료한 방역 스테이션의 식별정보 등을 연관하여 저장하고, 소독필증에 인쇄되어야 할 소독필증데이터를 키오스크(170)로 전송하여, 소독필증을 인쇄하도록 할 수 있다(S580).
그리고 제어단말(110)은 이러한 필증 식별번호와 그에 매칭된 정보를 소독이력정보로서 방역관리서버(200)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300)에 소독이력정보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S590).
이러한 과정에서 각각 방역 스테이션의 작업자와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을 살펴보면, 우선 제어단말(11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테이션 현황 관리 인터페이스(60)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스테이션 현황 관리 인터페이스(60)는 방역관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으로서, 화면의 상단에 제공되는 메뉴탭(61)에서 ‘현황’탭을 선택한 경우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스테이션 현황 관리 인터페이스(60)에는 촬영장치(13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진입 차량 촬영 영상(62)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진입 차량 촬영 영상(62) 내에서 번호판이 식별될 때, 식별되는 번호판의 이미지만을 추출한 차량 번호판 이미지(63)가, 차량 번호판 이미지(63)에서 인식된 차량번호와 함께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션 현황 관리 인터페이스(60)에는 키오스크(170)의 카메라(177)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고 있는 운전자 촬영 영상(64)과 운전자 촬영 영상(64)에서 안면이 인식된 때의 이미지 프레임을 추출한 운전자 이미지(65)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키오스크(170)에서 운전자 정보가 수집되면, 운전자 이미지(65)와 함께 운전자 정보도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스테이션 현황 관리 인터페이스(60)의 일측에는, 비상 정지 버튼(66), 수동 조작 버튼(67), 필증 수동 발급 버튼(68)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비상 정지 버튼(66)은 제어단말(110)과 연결된 촬영장치(130), 소독기(150), 키오스크(170) 중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입력수단으로서, 작업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수동 조작 버튼(67)은 방역관리장치(100)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각 구성요소를 작업자가 직접 수동 조작하고자 할 때, 방역관리 프로그램의 다른 장치에 대해 자동적으로 발생시키는 명령의 전달을 중단시키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서 작업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필증 수동 발급 버튼(68)은 키오스크(170)를 통해 자동으로 소독필증을 발급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작업자가 직접 소독필증을 발급하기 위해 소독필증의 발급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들, 소독필증데이터를 수동 입력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요청하는 입력수단이다. 그에 따라 필증 수동 발급 버튼(68)이 입력되면, 방역관리 프로그램은, 차량번호, 운전자 정보, 소독일시 등을 수동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필드를 작업자에게 제공하고, 그에 따라 소독필증 템플릿의 공란을 채워 소독필증을 수동 발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화면 상단의 메뉴탭(61)에서, ‘차량검색’ 탭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단말(110)은 차량 검색조건으로서, 소독일시나 차량번호, 운전자 성명 등을 기입하는 입력 필드를 제공하여, 검색조건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단말(110)은 검색조건에 대응하는 소독이력정보를 방역관리서버(200)로 요청하고, 응답으로서 검색결과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소독필증검색’ 탭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제어단말(110)은 소독필증 검색조건으로서 소독일시나 차량번호, 운전자 성명 등을 기입하는 입력 필드를 제공하여, 검색조건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단말(110)은 검색조건에 대응하는 소독이력정보를 방역관리서버(200)로 요청하고, 응답으로서 검색결과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때 소독필증을 검색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차량을 검색한 경우와 비교하여, 소독필증의 발급 주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검색 결과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역 스테이션의 명칭이나 식별정보, 소독필증의 식별번호, 소독을 담당했던 작업자의 소속과 작업자 성명 등이 검색 결과에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설정’ 탭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단말(110)은 방역 스테이션의 기본정보, 예를 들어, 거점의 명칭, 주소, 작업자 정보 등을 입력받는 입력 필드를 제공하고, 입력 필드에 입력된 정보는 방역관리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설정’ 탭에서 제어단말(110)은 촬영장치(130), 소독기(150), 키오스크(170) 등과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수집되는 정보나 데이터들이 제어단말(110) 내에 저장되는 기간을 설정받을 수도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키오스크(170)에서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발급정보확인 유저 인터페이스(70)를 살펴보면, 발급정보확인 유저 인터페이스(70)에는 우선 차량번호 입력 필드(7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어단말(110)은 촬영장치(130)에서 인식된 차량번호를 키오스크(170)로 전송하여 차량번호 입력 필드(71)가 자동 기입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인식의 오류를 정정할 수 있도록 운전자가 수동으로, 자동 기입된 차량번호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발급정보확인 유저 인터페이스(70)에는 운전자 정보 입력 필드(72)가 포함될 수 있다. 운전자 정보 입력 필드(72)에는 운전자 성명, 전화번호, 주소 등을 각각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필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화면 하단에는 가상 키패드(74)가 함께 구비되어 운전자가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발급정보확인 유저 인터페이스(70)에는 이동 경로 입력 필드가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운전자는 소독필증의 발급을 위해 목적지나 출발지에 대한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발급정보확인 유저 인터페이스(70)에는 키오스크(170)의 카메라(177)에 의해 실시간 촬영되고 있는 운전자의 촬영 영상이 일측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방역관리장치(100)에 제어단말(110)과 촬영장치(130), 소독기(150), 그리고 키오스크(170)가 협력하여 소독과 소독필증 발급 절차를 자동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방역관리장치(100)에 제어단말(110)에 설치되는 방역관리 프로그램이 방역관리서버(200)와 통신하며, 소독이력정보를 축적하여 관리하므로 각 방역 스테이션의 현황을 파악하기 용이하고, 차량을 검색하거나 필증발급내역을 검색하기에 용이하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방역관리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도 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방역관리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방역관리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방역관리장치 110: 제어단말
130: 촬영장치 150: 소독기
170: 키오스크 200: 방역관리서버
300: 데이터베이스
111: 저장부 113: 입출력부
115: 통신부 117: 제어부
171: 콘트롤러 173: 메모리
175: 터치디스플레이 177: 카메라
179: 프린터
60: 스테이션 현황 관리 인터페이스
61: 메뉴탭 62: 진입 차량 촬영 영상
63: 차량 번호판 이미지 64: 운전자 촬영 영상
65: 운전자 이미지 66: 비상 정지 버튼
67: 수동 조작 버튼 68: 필증 수동 발급 버튼
70: 발급정보확인 유저 인터페이스
71: 차량번호 입력 필드 72: 운전자 정보 입력 필드
73: 이동 경로 입력 필드 74: 가상 키패드

Claims (15)

  1. 방역 스테이션에 설치되는 방역관리장치를 포함하는 방역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역관리장치는,
    상기 방역 스테이션에 차량이 진입하면, 진입하는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촬영장치;
    상기 차량에 소독제를 분사하여 상기 차량을 소독하는 소독기;
    상기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운전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운전자에게 발급된 소독필증을 인쇄하는 키오스크; 그리고
    상기 촬영장치에서 차량번호 인식이 완료되면 인식된 차량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소독기를 구동시키며, 상기 차량에 대한 소독이 완료되면 상기 키오스크에 상기 발급정보확인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하며, 인식된 차량번호와 상기 운전자 정보에 대응하여 소독필증이 발급되도록 하는 제어단말을 포함하는, 방역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은,
    필증 식별번호를, 차량번호와 운전자정보, 소독일시와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소독필증이 발급되도록 하고, 상기 키오스크로 상기 소독필증의 인쇄를 명령하는, 방역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역관리시스템은,
    상기 방역관리장치와 통신하는 방역관리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역관리장치는,
    상기 소독필증이 발급되면, 상기 소독필증에 대응하는 차량번호와 운전자 정보, 소독일시에 대한 소독이력정보를 상기 방역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방역관리서버는,
    상기 소독이력정보를 상기 방역관리장치에 대응하는 방역 스테이션 정보에 연관하여 저장하는, 방역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급정보확인 유저 인터페이스는,
    차량번호 입력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단말은,
    인식된 차량번호를 상기 키오스크로 송신하여, 상기 차량번호 입력 필드에 인식된 차량번호가 자동 기입되도록 하는, 방역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운전자 정보 입력 필드를 포함하는 발급정보확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운전자 정보 입력 필드에 입력된 정보를 상기 운전자 정보로서 상기 제어단말에 전송하는, 방역관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보유하는 서드파티서버에 의해 발급된 이미지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이미지코드를 인식하여 독출된 고유정보를 상기 제어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고유정보를 상기 서드파티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드파티서버로부터 상기 운전자의 개인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상기 운전자 정보로 저장하는, 방역관리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은,
    차량번호, 운전자 성명, 소독일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조건에 대한 소독이력 검색 요청을 상기 방역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방역관리서버는,
    상기 검색조건에 대응하는 소독이력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방역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방역관리시스템.
  8. 방역 스테이션에 설치되는 방역관리장치를 포함하는 방역관리시스템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방역 스테이션에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방역관리장치가 진입하는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방역관리장치가 촬영된 차량의 영상에서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차량번호 인식이 완료되면, 상기 방역관리장치가 상기 차량에 소독제를 분사하여 상기 차량을 소독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소독이 완료되면, 상기 방역관리장치가 상기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운전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식하는 단계에서 인식된 차량번호와 상기 운전자 정보에 대응하는 소독필증을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역관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역관리시스템은,
    상기 방역관리장치와 통신하는 방역관리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역관리방법은,
    상기 소독필증이 발급되면, 상기 방역관리장치가 상기 방역관리서버로 발급된 소독필증에 대응하는 차량번호와 운전자 정보, 소독일시에 대한 소독이력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방역관리서버가, 상기 소독이력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역관리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방역관리장치가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운전자 정보 입력 필드를 포함하는 발급정보확인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운전자 정보 입력 필드에 입력된 정보를 상기 운전자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역관리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방역관리장치가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보유하는 서드파티서버에 의해 발급된 이미지코드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방역관리장치가 촬영된 영상에서 이미지코드를 인식하여 고유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방역관리장치가 독출된 고유정보를 상기 서드파티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서드파티서버로부터 상기 방역관리장치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운전자의 개인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상기 운전자 정보로서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역관리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필증을 발급하는 단계는,
    차량번호와 운전자 정보, 소독일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소독필증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인쇄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역관리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역관리방법은,
    상기 방역관리장치에서, 차량번호 또는 운전자 성명, 소독일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조건에 대한 소독이력 검색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방역관리서버는 상기 검색조건에 대응하는 소독이력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방역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역관리방법.
  14. 제8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5. 방역 스테이션에 설치되는 방역관리장치를 포함하는 방역관리시스템에 의해 수행되고, 제 8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152262A 2020-11-13 2020-11-13 차량 방역관리시스템 및 방역관리방법 KR102461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262A KR102461673B1 (ko) 2020-11-13 2020-11-13 차량 방역관리시스템 및 방역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262A KR102461673B1 (ko) 2020-11-13 2020-11-13 차량 방역관리시스템 및 방역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580A true KR20220065580A (ko) 2022-05-20
KR102461673B1 KR102461673B1 (ko) 2022-11-01

Family

ID=81801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262A KR102461673B1 (ko) 2020-11-13 2020-11-13 차량 방역관리시스템 및 방역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6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7771A (zh) * 2022-07-18 2022-10-14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车辆消毒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989B1 (ko) * 2011-06-08 2012-08-24 호남식 소독증명서 발급시스템
KR101736388B1 (ko) * 2016-11-18 2017-05-16 (주)엔퓨텍 차량 거점 소독기 제어 시스템
KR102134903B1 (ko) * 2020-06-08 2020-07-17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감염예방 인증 키오스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989B1 (ko) * 2011-06-08 2012-08-24 호남식 소독증명서 발급시스템
KR101736388B1 (ko) * 2016-11-18 2017-05-16 (주)엔퓨텍 차량 거점 소독기 제어 시스템
KR102134903B1 (ko) * 2020-06-08 2020-07-17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감염예방 인증 키오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7771A (zh) * 2022-07-18 2022-10-14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车辆消毒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673B1 (ko)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0159B2 (en) Mobile device-based system for automated, real time health record exchange
US11106818B2 (en) Patient iden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40067426A1 (en) Dynamic Pairing of Devices with a Medical Application
US201502230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protected health information
JP6351737B2 (ja) フォーム添付ファイルのアップロード
RU2656690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м оборудованием
US11900198B2 (en) Multi-tier identities in an RFID chip
CN108399516A (zh) 一种医院检验科实验室试剂用量监控系统及使用方法
KR101137588B1 (ko) 지역기반의 유행성 질병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0704426B (zh) 数据校验方法、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6019792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US20220414674A1 (en) Transaction authentication using multiple biometric inputs
KR102461673B1 (ko) 차량 방역관리시스템 및 방역관리방법
JP6795667B1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不審者検知装置、および不審者検知方法
US117066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counter identity verification
KR102486218B1 (ko) 클라우드 기반의 축산 방역초소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90059148A (ko) 신원 확인 기관에서의 비문 인식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신원 확인 방법
KR102521694B1 (ko) 카메라단에서의 기계학습을 활용하여 동물의 행동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
KR102388874B1 (ko) 감염병 환자 추적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175348B1 (ko) 피부 진단 방법 및 장치
KR101429650B1 (ko) 병원내 자동 진료접수 방법 및 시스템
EP3013019A1 (en) M2m-based ticket application method and system, and terminal device
US11361181B2 (en) Controlling access to barcode-reading functionality
US20230274713A1 (en) E-paper identification card system and e-paper identification card
WO2022149437A1 (ja) センシングデータ管理システム、センシングデータ送信方法、センシング装置、情報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