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553A - 무선 충전을 위한 저감 코일 및 저감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을 위한 저감 코일 및 저감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553A
KR20220065553A KR1020200152198A KR20200152198A KR20220065553A KR 20220065553 A KR20220065553 A KR 20220065553A KR 1020200152198 A KR1020200152198 A KR 1020200152198A KR 20200152198 A KR20200152198 A KR 20200152198A KR 20220065553 A KR20220065553 A KR 20220065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reduction
loop
electromagnetic wave
electro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익
김상원
김성민
조인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52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5553A/ko
Priority to US17/496,963 priority patent/US20220158501A1/en
Publication of KR20220065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8Auxiliary core members; Auxiliary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감 코일 및 저감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파 저감 장치를 구성하는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사이에 저감 코일을 배치시킴으로써, 저감 코일에 의해 송신 코일에서 출력된 전자파가 수신 코일로 전송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요 전자파를 저감 시킨다.

Description

무선 충전을 위한 저감 코일 및 저감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REDUCTION COIL FOR WIRELESS CHARGING AND, ELECTROMAGNETIC WAVE REDUCTION APPARATUS INCLUDING REDUCTION COIL}
본 발명은 저감 코일 및 저감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공간 상으로 노출되는 전자파를 억제하기 위한 저감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충전 기술은 전자파를 코일 간에 발생시켜 공간 상으로 표출되는 에너지를 전송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기존의 무선 충전 기술은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간에 형성된 전자파가 공간의 대기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함에 따라, 의도하지 않은 공간으로 전자파가 전달되어 전자파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송수신 회로는 스위칭 동작으로 인한 불요전자파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나, 송신 회로의 출력이 높은 경우는 의도하지 않은 공간으로 방사되는 전자파의 세기가 전자파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전자파 또는 송수신 회로에서 발생하는 불요전자파를 저감시키는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자파 저감을 위해 금속성 시트나 페라이트와 같은 차폐 장치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인덕턴스와 저항을 변화시켜 전자파 뿐 아니라 전송효율까지 저감 시키는 부작용이 흔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별도의 차폐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전송 효율의 저감없이 전송되는 전자파를 저감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전송 효율을 높이면서, 전자파를 저감하기 위해 저감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전자파 저감 장치를 구성하는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에 형성되는 임피던스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저감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저감 장치는 무선 충전을 위한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송신 코일; 상기 송신 코일에서 발생된 전자기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 및 상기 송신 코일의 일정 반경으로 방사되는 전자기장을 저감하기 위해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사이에 배치되는 저감 코일;를 포함하고, 상기 저감 코일은, 서로 다른 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복수의 루프(Loop)가 병렬로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저감 코일은, 제1 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제1 루프; 및 상기 제1 방향과 서로 반대되는 제2 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제2 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1 루프는, 상기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간 거리에 따라 제2 루프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저감 코일은, 상기 복수의 루프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대응하여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전류에 의한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저감 코일은, 상기 전자기장의 차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개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루프는, 상기 전자기장의 차폐 정도에 따라 턴 수가 반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저감 코일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루프로 구현되며, 동일한 형상의 루프 또는, 서로 다른 형상의 루프가 병렬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저감 장치는 무선 충전을 위한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송신 코일; 상기 송신 코일에서 발생된 전자기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 상기 송신 코일의 일정 반경으로 방사되는 전자기장을 저감하기 위해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사이에 배치되는 저감 코일; 및 상기 전자기장의 차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저감 코일의 개구면에 배치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저감 코일은, 제1 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제1 루프 및 상기 제1 루프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제1 방향과 서로 반대되는 제2 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제2 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저감 코일은, 상기 전자기장의 차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개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터는, 상기 제1 루프에 형성된 개구면 및 제2 루프에 형성된 개구면 중 적어도 하나의 개구면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터는, 상기 저감 코일의 공진 주파수가 송신 코일의 전송 주파수 보다 낮도록 커패시터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터의 크기는, 상기 저감 코일의 위치, 저감 코일에 형성된 개구면의 간격 및 저감 코일이 가지고 있는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저감 코일은 무선 충전 시스템의 송신 코일에서 발생된 전자기장을 저감하기 위한 전류가 제1 방향으로 흐르는 제1 루프;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와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제2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루프 및 제2 루프는, 상기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간 거리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병렬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1 루프 및 제2 루프는, 상기 전자기장의 차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개구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자기장의 차폐 정도에 따라 턴 수가 반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1 루프 및 제2 루프는, 상기 저감 코일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커패시터와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1 루프 및 제2 루프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루프로 구현되며, 동일한 형상의 루프 또는, 서로 다른 형상의 루프가 병렬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저감 장치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전송 효율을 높이면서, 전자파를 저감하기 위해 저감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저감 장치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전자파 저감 장치를 구성하는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에 형성되는 임피던스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저감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에 저감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감 코일을 구성하는 루프의 이격 거리 및 루프의 개구면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저감 코일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감 코일을 구성하는 루프의 개구면에 커패시터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한 저감 코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구현되는 형태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실시예들로 설명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에 저감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전자파 저감 장치(100)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전자파를 저감하기 위한 코일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전자파 저감 장치(100)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송신 코일(101)과 수신 코일(102) 간에 이루어지는 전송 효율을 저감하지 않으면서, 전자파를 저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파 저감 장치(100)는 송신 코일(101)과 수신 코일(102) 사이에 저감 코일(103)을 배치시킬 수 있다. 저감 코일(103)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루프가 배치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파 저감 장치(100)의 배치 구조는 송신 코일(101)과 수신 코일(102) 간 전자파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므로, 임피던스에 의한 무선 충전 시스템의 부담이 적을 수 있다. 자세하게, 송신 코일(101)과 수신 코일(102) 간에는 전자파의 전송에 따른 임피던스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임피던스가 높을수록 전자파의 전송 효율이 낮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시스템 상의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송신 코일(101)과 수신 코일(102)의 경로 상에 저감 코일(103)을 배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배치 구조는 저감 코일(103)에 의한 임피던스의 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로, 무선 충전 시스템에 가해지는 부담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송신 코일(101)과 수신 코일(102) 간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파 저감 장치(100)는 송신 코일(101), 수신 코일(102) 및 저감 코일(103)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송신 코일(101)은 무선 충전을 위한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하, 전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송신 코일(101)에서 형성된 전자기장은 전자파 저감 장치(100)를 구성하는 송신 코일(101)과 수신 코일(102)의 경로에 따라 수신 코일(102)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전자기장은 무선 충전 공간 상에 의도하지 않은 공간으로 방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도하지 않은 공간으로 방사되는 전자기장을 최소화하기 위해, 송신 코일(101), 수신 코일(102) 사이에 저감 코일(103)을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저감 코일(103)은 송신 코일(101)의 일정 반경으로 방사되는 전자기장을 저감하기 위해 송신 코일(101)과 수신 코일(1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저감 코일(103)은 전자기장의 차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개구면(a), (b)을 포함할 수 있다.
저감 코일(103)은 제1 루프(104), 제2 루프(105)가 병렬로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루프에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루프(104)는 송신 코일(101)에서 형성된 전자기장에 의한 제1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제2 루프(105)는 제1 루프(104)에서 흐르는 제1 방향의 전류와 반대되는 제2 방향의 전류가 흐를 수 있다. 그리고, 각 루프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방향은 반대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루프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은 각 루프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대응하여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국, 전자파 저감 장치(100)는 전자파 저감 장치를 구성하는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사이에 저감 코일을 배치시킴으로써, 저감 코일에 의해 송신 코일에서 출력된 전자파가 수신 코일로 전송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요 전자파를 저감 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감 코일을 구성하는 루프의 이격 거리 및 루프의 개구면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고하면, 저감 코일(201)은 제1 루프(202), 제2 루프(203)가 병렬로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루프(202)는, 제2 루프(203)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루프(202)와 제2 루프(203) 간의 이격 거리(d1)는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간 거리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고하면, 저감 코일(201)은 전자기장의 차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개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면은 제1 루프(202), 제2 루프(203)의 외적인 형상에 따라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저감 코일(201)은 전자기장의 주파수 또는, 파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감 코일(201)은 목적에 따라 같거나 또는,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의 루프로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일례로, 저감 코일(201)을 구성하는 루프(loop)의 형태는 원, 사각, 삼각 등 기하학적 형태의 모양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저감 코일(201)은 전송 효율을 증가하기 위해 형성된 루프의 모양에 따라 개구면의 크기 즉, 각 루프의 간격(d2)이 다양하게 조절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저감 코일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저감 코일은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사이에 배치되는 저감 코일의 위치는 전자기장의 저감 효과에 따라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저감 코일의 위치는 주파수 또는 파장의 주기적 형상으로 진동 단위 동안에 반복되는 횟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자세하게, 저감 코일의 위치는 도 3의 (a)와 같이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저감 코일의 위치는 도 3의 (b)와 같이 송신 코일보다는 수신 코일에 인접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저감 코일의 위치는 도 3의 (c)와 같이 수신 코일보다 송신 코일에 인접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감 코일을 구성하는 루프의 개구면에 커패시터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저감 코일의 회로도를 형상화한 도면으로, 전자파 저감 장치는 송신 코일, 수신 코일, 저감 코일(401) 및 커패시터(404), (40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감 코일은 제1 루프(402) 및 제2 루프(403)를 포함할 수 있다. 커패시터(404), (405)는 전자기장의 차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저감 코일의 개구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패시터(404), (405)는 제1 루프(402)에 형성된 개구면 및 제2 루프(403)에 형성된 개구면 중 적어도 하나의 개구면에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 커패시터(404), (405)는 도 4에 표시된 a와 b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커패시터(404), (405)는 무선 충전 시스템의 전자파 저감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 저감 코일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커패시터(404), (405)는 도 4에 표시된 a와 b에서 한 군데 이상 또는 두 군데 모두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커패시터(404), (405)가 부착되지 않는 곳은 단락(short) 시킴으로써, 임피던스의 변화를 줄일 수 있다.
커패시터(404), (405)의 크기는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에 배치되는 저감 코일의 위치, 저감 코일을 구성하는 제1 루프와 제2 루프 간의 이격 거리(a 또는 b의 길이) 및 코일이 가지고 있는 인덕턴스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패시터(404), (405)의 크기를 설정함에 있어, 저감 코일의 공진 주파수가 전송 주파수 보다 낮도록 커패시터(404), (405)를 범위를 설정하고, 전자파 저감 효과를 관찰하면서 최적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한 저감 코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저감 코인은 전자파 코일 장치에 포함된 송신 코일에서 생성되는 전자파의 주파수 또는, 파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루프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저감 코일은 주파수 또는 파장의 주기적 형상으로 진동 단위 동안에 반복되는 횟수를 고려하여 루프의 형상 및/또는, 루프의 턴 수가 결정될 수 있다.
자세하게, 저감 코일은 목적에 따라 같거나 또는,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의 루프로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저감 코일을 구성하는 루프(loop)의 형태는 원, 사각, 삼각 등 기하학적 형태의 모양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저감 코일은 도 5의 (a)와 같이 사각의 동일 형태를 갖는 루프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병렬로 배치되거나, 도 5의 (c)와 같이 사각 형태의 루프와 원 형태의 루프로 서로 다른 형태의 루프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저감 코일은 루프의 턴 수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저감 코일은 주파수 또는, 파장의 진동 단위에 따라 루프의 턴 수가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즉, 저감 코일은 도 5의 (b)와 같이 동일한 형태를 갖는 루프의 턴 수가 증가하도록 연속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저감 코일은 루프의 턴 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은 송신 코일에서 생성되는 자기장 또는, 파장의 주기가 긴 경우, 저감 코일의 루프의 턴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송신 코일에서 생성되는 자기장 또는, 파장의 주기가 짧은 경우, 저감 코일의 루프의 턴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주기에 따른 루프의 턴 수를 조절함으로써, 무선 충전 공간 상으로 출력된 전자파의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며, 전자파를 저감시킬 수 있다.
100: 전자파 저감 장치
101: 송신 코일
102: 수신 코일
103: 저감 코일
104: 저감 코일의 제1 루프
105: 저감 코일의 제2 루프

Claims (17)

  1. 무선 충전을 위한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송신 코일;
    상기 송신 코일에서 발생된 전자기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 및
    상기 송신 코일의 일정 반경으로 방사되는 전자기장을 저감하기 위해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사이에 배치되는 저감 코일;
    를 포함하고,
    상기 저감 코일은,
    서로 다른 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복수의 루프(Loop)가 병렬로 결합된 형태를 갖는 전자파 저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 코일은,
    제1 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제1 루프; 및
    상기 제1 방향과 서로 반대되는 제2 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제2 루프;
    를 포함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 .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는,
    상기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간 거리에 따라 제2 루프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전자파 저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 코일은,
    상기 복수의 루프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대응하여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전류에 의한 자기장이 형성되는 전자파 저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 코일은,
    상기 전자기장의 차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개구면을 포함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는,
    상기 전자기장의 차폐 정도에 따라 턴 수가 반복되는 전자파 저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 코일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루프로 구현되며, 동일한 형상의 루프 또는, 서로 다른 형상의 루프가 병렬로 결합되는 전자파 저감 장치.
  8. 무선 충전을 위한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송신 코일;
    상기 송신 코일에서 발생된 전자기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
    상기 송신 코일의 일정 반경으로 방사되는 전자기장을 저감하기 위해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사이에 배치되는 저감 코일; 및
    상기 전자기장의 차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저감 코일의 개구면에 배치되는 커패시터;
    를 포함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 코일은,
    제1 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제1 루프 및
    상기 제1 루프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제1 방향과 서로 반대되는 제2 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제2 루프;
    를 포함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 코일은,
    상기 전자기장의 차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개구면을 포함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제1 루프에 형성된 개구면 및 제2 루프에 형성된 개구면 중 적어도 하나의 개구면에 결합되는 전자파 저감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저감 코일의 공진 주파수가 송신 코일의 전송 주파수 보다 낮도록 커패시터의 크기가 변경되는 전자파 저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의 크기는,
    상기 저감 코일의 위치, 저감 코일에 형성된 개구면의 간격 및 저감 코일이 가지고 있는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전자파 저감 장치.
  14. 저감 코일에 있어서,
    무선 충전 시스템의 송신 코일에서 발생된 전자기장을 저감하기 위한 전류가 제1 방향으로 흐르는 제1 루프;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와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제2 루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루프 및 제2 루프는,
    상기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간 거리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병렬 배치되는 저감 코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 및 제2 루프는,
    상기 전자기장의 차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개구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자기장의 차폐 정도에 따라 턴 수가 반복되는 저감 코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 및 제2 루프는,
    상기 저감 코일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커패시터와 결합 가능한 저감 코일.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 및 제2 루프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루프로 구현되며, 동일한 형상의 루프 또는, 서로 다른 형상의 루프가 병렬로 결합되는 저감 코일.
KR1020200152198A 2020-11-13 2020-11-13 무선 충전을 위한 저감 코일 및 저감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 KR20220065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198A KR20220065553A (ko) 2020-11-13 2020-11-13 무선 충전을 위한 저감 코일 및 저감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
US17/496,963 US20220158501A1 (en) 2020-11-13 2021-10-08 Reduction coil for wireless charging and electromagnetic wave reduction apparatus including reduction co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198A KR20220065553A (ko) 2020-11-13 2020-11-13 무선 충전을 위한 저감 코일 및 저감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553A true KR20220065553A (ko) 2022-05-20

Family

ID=81587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198A KR20220065553A (ko) 2020-11-13 2020-11-13 무선 충전을 위한 저감 코일 및 저감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158501A1 (ko)
KR (1) KR202200655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6452A1 (ko) * 2022-10-31 2024-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와전류 효과를 저감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6452A1 (ko) * 2022-10-31 2024-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와전류 효과를 저감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58501A1 (en)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8663B2 (ja) 非接触のエネルギー伝送装置及び方法
US10685780B2 (en) Electric power feed apparatus, electric power feed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Lyu et al. A method of using nonidentical resonant coils for frequency splitting elimination in wireless power transfer
KR102458770B1 (ko) 전자파 저감 장치 및 방법
KR102552493B1 (ko)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지는 무선충전기
US8598744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energy using meta-material structures having negative refractive index
US11177680B2 (en) Field shaper for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JP5764032B2 (ja) ワイヤレス給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給電システム
US20160056638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 supplied-power control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 and wireless-power-transfer-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2023517037A (ja) ワイヤレス電力伝送用送信器、ワイヤレス電力伝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Gao Traveling magnetic field for homogeneou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9948147B2 (en) Magnetic resonance type wireless charging circuit
KR20220065553A (ko) 무선 충전을 위한 저감 코일 및 저감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파 저감 장치
US20170085130A1 (en) Multifilament transmitter coupler with current sharing
EP3319207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power using magnetic field and electric field,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O2021074589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fer
WO2013108325A1 (ja) 電力供給システム
KR101470815B1 (ko) 저전압용 자기공명 무선 전력 전송장치
JP2014150698A (ja) 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JP6703854B2 (ja) 可変バンドパスフィルタ
WO2013108324A1 (ja) 電力供給システム
KR20130091003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RU2728736C1 (ru) Емкостная приемопередающая антенна средневолнового диапазона
KR101965367B1 (ko) 이중 동위상 직렬 급전 방식을 갖는 개방형 이중 공진 코일
CN107666182B (zh) 基于反馈谐振式电源的串联-串联型无线电能传输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