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492A -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 - Google Patents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492A
KR20220065492A KR1020200152079A KR20200152079A KR20220065492A KR 20220065492 A KR20220065492 A KR 20220065492A KR 1020200152079 A KR1020200152079 A KR 1020200152079A KR 20200152079 A KR20200152079 A KR 20200152079A KR 20220065492 A KR20220065492 A KR 20220065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infrared rays
far
emitting
eff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5957B1 (ko
Inventor
오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비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비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비스트
Priority to KR1020200152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957B1/ko
Publication of KR20220065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부에 광을 조사하여 이미용 효과를 발생시키는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로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배치되고, 피부 미용을 위한 광을 방출하는 광원모듈을 포함하는 피부 접촉부, 상기 광원모듈에 전력을 인가하는 배터리 및 상기 조작부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가 상기 광원모듈에 전력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광원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 접촉부는, 중량%로 ABS 90 내지 95%, 분말 형태의 세라믹 원료 5 내지 10%를 혼합하여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Portable Skin Beauty Device}
본 발명은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모듈을 제어하여 피부 미용 효과를 발생시키고, ABS와 분말 형태의 세라믹 원료를 혼합한 재질로 이루어져 항균효과 및 원적외선 방출효과를 가지면서도 라돈 방출량은 극히 미미하여 피부 미용에 효과적인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미용을 위한 광선요법은 태양광, 레이저, 형광등, 자외선 램프 등의 다양한 광원을 이용하여 광을 피부에 조사함으로써 피부 내에서 생화학적 반응을 촉진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피부 조직의 선택적 재생 또는 파괴를 통해 손상된 피부를 복원하는 광 의료 기술이다.
광원을 이용한 광선 요법은 LED 광원의 광자(photon)가 세포조직 내의 색소포(chromospheres)나 광수용기(photoacceptor)에 흡수되고 세포의 대사 활동을 촉진시키는 것에 기초를 둔다. 세포에의 LED 광 조사는 세포의 전반적인 대사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세포의 재생과 재활에 큰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광 조사는 피부에서의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생성을 촉진시키고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며 피부를 촉촉하고 탄력있게 할 수 있다.
종래기술로서, 이온 도입 기능을 갖는 LED 마스크 시스템에 관한 등록특허 제10-1863698호(발명의 명칭: 이온도입 기능을 갖는 LED 마스크 시스템)는 이온 도입 방식으로 피부를 관리할 수 있는 LED 마스크를 개시하고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LED 마스크에 대한 기술들이 선행기술로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LED 마스크 기술들의 경우 LED 광원을 이용한 피부 관리에 대한 기능만 가지고 있으며 합성 플라스틱 중합체를 소재로 제작되어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오염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LED 광원에 의한 피부 관리 효과 이외에 다른 기능은 없어 시중의 많은 LED 마스크의 기능상 차이가 없으며 LED 마스크가 오염되는 경우 안면에 지속적으로 맞닿게 되어 오히려 피부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면뿐만 아니라 피부 전체에 사용할 수 있는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로서, 피부와 접촉하는 피부 접촉부의 소재를 항균효과 및 원적외선 방출효과를 가질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며 기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등록 특허 제10-186369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광원모듈이 제어되어 피부 미용 효과를 발생시키는 광이 방출되고,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의 재질을 ABS와 분말 형태의 세라믹 원료를 혼합하여 사출함으로써 항균효과를 가져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관리가 용이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원적외선 방출효과를 가져 광 조사 외에도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피부 조직을 재생 시키거나 또는 손상된 피부를 복원하는 기능을 가지는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부에 광을 조사하여 이미용 효과를 발생시키는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배치되고, 피부 미용을 위한 광을 방출하는 광원모듈을 포함하는 피부 접촉부, 상기 광원모듈에 전력을 인가하는 배터리 및 상기 조작부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가 상기 광원모듈에 전력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광원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 접촉부는, 중량%로 ABS 90 내지 95%, 분말 형태의 세라믹 원료 5 내지 10%를 혼합하여 사출 성형된다.
상기 광원모듈은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근적외선 발생기를 포함하고, 각각 방출하는 광의 파장 영역이 상이한 복수의 LED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LED 소자의 발광을 제어한다.
상기 LED 소자는, 400nm 내지 460nm의 파장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제1 LED 소자, 590nm 내지 660nm의 파장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제2 LED 소자 및 800nm 내지 900nm의 파장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제3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접촉부는 중심부에서 소정 영역의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세라믹 원료의 함유량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세라믹 원료의 함유량이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세라믹 원료의 함유량보다 많을 수 있다.
상기 피부 접촉부는 피부를 전기 자극하는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미세전류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미세전류 발생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전류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미세전류의 세기 및 발생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라믹 원료는, 물(H2O), 산화규소(SILCA), 산화나트륨(NA203),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칼륨(K2O) 및 산화칼슘(CAO)을 포함한다.
상기 세라믹 원료는, 중량%로 상기 물(H2O) 80%, 상기 산화규소(SILCA) 11 내지 14%, 상기 산화나트륨(NA203) 2 내지 5%, 상기 산화알루미늄(AL2O3) 0 내지 1%, 상기 산화칼륨(K2O) 0 내지 0.1% 및 상기 산화칼슘(CAO) 0 내지 0.1%를 포함한다.
상기 피부 접촉부는, KFIA-FI-1005에 의거하여 37℃에서 측정 시, 5~20㎛ 파장 범위에서 3.42×102W/m2·㎛ 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접촉부는, KFIA-FI-1005에 의거하여 37℃에서 측정 시, 5~20㎛ 파장 범위에서 방사율이 0.887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는, 사용 목적에 적합하게 광원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피부 미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염증성 피부 질환을 야기하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를 가져 사용자의 피부 트러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안면 피부에 공명현상을 일으켜 노폐물이 빠져나가게 하고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 시켜 피부 노화를 방지,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들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가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들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의 광원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의 LED 소자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내지 도 7d는 실시예들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의 항균효과에 대한 항균 시험 성적서이다,
도 8은 실시예들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의 원적외선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에 대한 시험 성적서이다.
도 9는 실시예들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의 라돈 방출율에 대한 측정시험 결과표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의 피부 접촉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하여 피부에 광을 조사하여 피부의 이미용 효과를 발생시키는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로서, 특히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 사람의 피부에 유해한 균을 제거하는 항균 효과와 피부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원적외선 방출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가 거치대(20)에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는 바디(100), 조작부(110), 피부 접촉부(200), 광원모듈(300), 배터리(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0)는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으로서, 사람이 휴대하기 적당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원뿔대 형상이나 그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손으로 파지하였을 때 바디(100)의 일부가 노출되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술하는 구성들은 바디(100)의 내부에 내장되거나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100)에는 조작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110)는 후술하는 제어부(500)를 조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110)는 버튼식일 수 있고 터치식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부 접촉부(200)는 바디(100)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접촉부(200)는 바디(100)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피부 접촉부(200)는 사람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 광을 방출하는 광원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모듈(300)에서 방출되는 광은 피부 접촉부(200)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며, 사용자는 피부 접촉부(200)를 치료나 케어가 필요한 피부 부위에 접촉시킬 수 있다. 피부 접촉부(200)는 광이 집중적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거울이나 렌즈와 같은 빛의 반사나 굴절을 유도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피부 접촉부(200)는 사람의 안면에 대응될 수 있도록 만곡된 형상일 수 있다.
피부 접촉부(200)는 사람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위생적인 관리가 필요하므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캡(C)으로 밀폐하여 보관할 수 있다. 도 3에는 캡(C)을 제거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사람의 피부에 유해한 균을 제거하는 항균 효과나 사람의 피부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 방출 효과를 가질 경우 위생관리와 더불어 피부 미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피부 접촉부(200)는 항균 효과와 원적외선 방출 효과를 위하여 ABS와 분말 형태의 세라믹 원료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광원모듈(300)은 피부 미용을 위한 광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한다. 광원모듈(300)에서 방출되는 광은 피부 접촉부(200)를 통하여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광원모듈(300)은 피부 미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파장 영역의 광을 방출하거나 또는 근적외선이나 미세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배터리(400)는 광원모듈(300)에 전력을 인가한다. 배터리(400)는 충방전이 가능한 2차전지일 수도 있고, 휴대용 배터리(400)일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거치대(20)는 일 실시예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를 단순히 거치하는 것 외에 배터리(400)를 충전하는 충전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사용자의 조작을 기초로 배터리(400)와 광원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110)를 통해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의 조작을 제어하면, 제어부(500)는 조작부(11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400)로부터 광원모듈(300)에 전력이 인가되도록 제어하여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를 가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을 기초로 광원모듈(300)에서 방출되는 광의 종류, 패턴, 발생 주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는 상태 표시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태 표시등은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가 충전중이거나 충전이 필요한 상태를 조명을 발광함으로써 알릴 수 있다. 또한, 광원모듈(300)에서 방출되는 광의 상태에 따라 다른 색상을 발광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의 동작 상태를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들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의 광원모듈(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의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모듈(300)은 피부 접촉부(200)의 표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광원모듈(300)은 광이 효과적으로 피부에 전달될 수 있도록 피부 접촉부(200)의 내부에 배치되되,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부식이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피부 접촉부(200)의 둘레에 크롬 재질의 접촉부분(20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광원모듈(300)은 근적외선 발생기(310), LED 소자(320), 미세전류 발생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적외선 발생기(310)는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장치이다. 근적외선이란 빛의 스펙트럼에서 파장이 가장 짧은 전기파를 의미하며, 파장의 길이에 따라 분류하면 일반적으로 0.75 ~ 3㎛ 파장을 가지는 빛을 의미한다. 근적외선은 피부 피하층 6㎜까지 침투하여 열 전달이 뛰어나고, ATP, 산화질소를 생성하여 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피부 깊이 존재하는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세포 재생을 촉진하며,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자극 유도를 통한 피부 회복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적외선 발생기(310)는 0.75 ~ 3㎛의 파장을 가지는 근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근적외선에 의한 미용이 필요한 부위에 피부 접촉부(200)를 접촉시키고 조작부(110)를 조작하여 근적외선 발생기(310)에 전력이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근적외선 발생기(310)에서 방출된 근적외선은 피부 접촉부(200)를 통하여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의 외부로 방출되어 피부 미용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후술하는 LED 소자(320)와 미세전류 발생기(330)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광원모듈(300)은 복수의 LED 소자(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LED 소자(320)는 각각 방출하는 광의 파장 영역이 상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복수의 LED 소자(320)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 소자(320)는 400nm 내지 460nm의 파장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제1 LED 소자(321), 590nm 내지 660nm의 파장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제2 LED 소자(322), 800nm 내지 900nm의 파장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제3 LED 소자(32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피부의 상태에 따라서 각각의 LED 소자(320)가 선택적으로 발광하거나 또는 2 이상의 LED 소자(320)가 동시에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드름, 사마귀 등의 피부 질환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상술한 피부 질환에 효과가 있는 파장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제1 LED 소자(321)가 발광하도록 조작부(110)를 조작할 수 있다. 조작부(110)의 신호에 의하여 제어부(500)는 제1 LED 소자(321)만 발광하도록 광원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염증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염증 치료에 효과가 있는 파장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제2 LED 소자(322)가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재생 관리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피부 재생에 효과가 있는 파장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제3 LED 소자(323)가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파장 영역과 치료 목적은 예시적인 것이며,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LED 소자(321)는 청색 빛을 발광할 수 있고, 제2 LED 소자(322)는 녹색 빛을 발광할 수 있으며, 제3 LED 소자(323)는 적색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LED 소자(320)의 발광 색상을 확인하고 사용 목적에 적합한 LED 소자(320)가 발광하도록 제어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미세전류 발생기(330)는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제어부(500)는 조작부(110)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기초로, 미세전류 발생기(330)를 제어할 수 있다.
미세전류는 생체전류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 1000μA(마이크로 암페어) 미만의 미세한 전류일 수 있다. 생체전류는 피부 속 구성성분을 활성화시키며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나이가 들어가면서 자연스럽게 소멸되어 가며 노화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미세전류가 체내에 전달되면 피부 속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합성하여 피부의 수분, 주름, 탄력과 같은 노화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더불어 피부가 오래도록 탄력있게 유지할 수 있도록 피부의 중심을 잡아주어 노화 고민을 덜어줄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110)를 통해 미세전류 발생기(330)에서 발생되는 미세전류의 세기, 발생 주기를 제어하여 사용 목적에 맞는 미세전류가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근적외선 발생기(310), LED 소자(320), 미세전류 발생기(330)는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0)는 일정시간 구동 후 자동으로 배터리(400)에서부터 광원모듈(300)로 전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시간은 10분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시간 광을 조사할 경우 피부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의 LED 소자(320)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피부 접촉부(200)에는 복수의 LED 소자(320)가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LED 소자(320)들은 동일한 파장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LED 소자(320)들끼리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LED 소자(321)-제2 LED 소자(322)-제3 LED 소자(323)가 순서대로 배치된 어셈블리가 구비되고, 어셈블리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제1 LED 소자(321)만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하여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를 사용하는 경우,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제1 LED 소자(321)가 피부 접촉부(200)를 통해 특정 파장 영역의 광을 방출하므로, 사용자는 피부의 특정 부위에 피부 접촉부(200)를 접촉시켜 집중적인 케어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의 피부 접촉부(200)는 아크릴로니트릴(AN)과 부타디엔, 스티렌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에 분말 형태의 세라믹 원료를 첨가한 것을 재료로 하여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BS 90 내지 95 중량%, 분말 형태의 세라믹 원료 5 내지 10 중량%를 재료로 혼합하여 사출 성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의 피부 접촉부(200)는 상술한 ABS와 세라믹 원료의 조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의 피부 접촉부(200)는 ABS와 세라믹 원료의 조성비로 이루어짐으로써 피부 접촉부(200)가 후술하는 항균 효과 및 원적외선 방출 효과를 가지면서도 라돈 방출량은 극히 미미하여 피부 미용에 더욱 효과적인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를 제시한다. 피부 접촉부(200)는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위생적인 관리 및 원적외선에 의한 피부 미용 효과 극대화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세라믹 원료의 조성은 물, 산화규소(SILCA), 산화나트륨(NA203),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칼륨(K2O) 및 산화칼슘(CAO)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외 항균 효과 및 원적외선 방출 효과에 영향이 없는 기타 물질을 약 2 중량% 미만 포함할 수 있다.
세라믹 원료는 보다 구체적으로, 중량%로 물 80%, 산화규소(SILCA) 11 내지 14%, 산화나트륨(NA203) 2 내지 5%, 산화알루미늄(AL2O3) 0 내지 1% 미만, 산화칼륨(K2O) 0 내지 0.1% 및 산화칼슘(CAO) 0 내지 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조성으로 만들어진 물질에 대하여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도 7A 내지 도 7D에 제시된 대장균,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항균 시험 성적서를 받았고, 동 조성물에 대하여 한국원적외선응용평가연구원에 의뢰하여 도 8에 제시된 원적외선 방사율/방사에너지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시험 성적서를 받았다.
도 7a 내지 도 7d는 실시예들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의 항균효과에 대한 항균 시험 성적서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실시예들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의 피부 접촉부(200)와 동일한 조성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대한 항균 시험 성적서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조성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염증성 피부 질환과 관련있는 것으로 알려진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이 분포하는 배지에 첨가하여 이들에 대한 항균효과를 아래와 같이 확인하였다.
시험 방법
50 ± 2 ㎜(두께 10 mm 이내)의 시험편 3개를 준비하고, 대조편은 stomacher 필름(50 ± 2 ㎜)을 사용 하고, 시험편 저면을 에탄올을 흡수시킨 가제 또는 탈지면으로 가볍게 2, 3회 닦은 후 충분히 건조하여 실험한다. 접종원은 배양한 시험균의 균체 1백금이량을 1/500 Nutrient broth가 포함된 멸균수를 사용해 균수가 2.5 ∼ 10 ×105 CFU/mL 가 되도록 조제하여 접종원으로 한다. 각 시험편을 시험면을 위로 해서 petri dish 안에 넣어 시험 균액을 피펫으로 0.2 mL 채취하고, 이것을 각 시험편에 위에 접종한다. 떨어뜨린 시험 균액 위에 필름을 덮고 시험 균액이 필름 전체에 퍼지도록 가볍게 누른 후 petri dish 뚜껑을 덮는다. 시험면은 항균 가공이 되어있는 제품의 표면으로 한다. 초기세균수는 시험편당 1.0 ∼ 4.0×105 CFU/㎖로 하고, 필름의 크기는 40 ± 2 mm 로 한다. 시험 균액을 접종한 시험편과 대조편이 들어간 petri dish를 온도 (37 ± 1) ℃에서 24시간 동안 정치 배양시킨다.
시험 균액을 접종한 직후의 무가공 시험편에 대해서 피복 필름과 시험편을 멸균한 핀셋을 사용하여 분리하고, SCDLP 배지 10 mL를 첨가하여 시험균을 씻어 낸다. 이 씻어낸 액은 신속히 생균수 측정에 이용한다. 배양 후의 시험편에 대해서 같은 방법으로 시험균을 씻어내고 세척액은 신속히 생균수 측정에 이용한다. 상술한 시험 균액 접종 직후 및 배양 후의 세척액 1 mL를 피펫으로 채취하여 생리식염수 9 mL가 들어간 시험관에 첨가하여 충분하게 혼합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세척액을 단계 희석하여 한천 육즙 배지(Nutrient agar)에 0.1 mL를 3 plates 도말하고 온도 (37 ± 1) ℃에서 24시간 동안 정치 배양시킨다.
시험 결과
다음과 같이 시험 시료에 의한 세균의 감소율을 계산한다.
감소율(%) = [(A - B) / A] × 100
여기에서 A는 24시간 배양 후 대조 시료의 균수(평균값), B는 24시간 배양 후 시험 시료의 균수(평균값)를 칭한다. 세균수가 "0"일 경우에는 "<10"로 표시한다. 만약 시험시료의 세균수(B)가 대조시료의 세균수(B)보다 많을 경우에는 "-"표시를 한다.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대장균에 대한 항균시험
구분 초기농도
(CFU/mL)
24시간 후 농도
(CFU/mL)
세균
감소율(%)
항균시험:
대장균
대조시료 3.4 ×105 9.5 ×106 -
시험시료 3.4 ×105 < 10 99.9
녹농균에 대한 항균시험
구분 초기농도
(CFU/mL)
24시간 후 농도
(CFU/mL)
세균
감소율(%)
항균시험:
녹농균
대조시료 3.0 ×105 4.7 ×106 -
시험시료 3.0 ×105 < 10 99.9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시험
구분 초기농도
(CFU/mL)
24시간 후 농도
(CFU/mL)
세균
감소율(%)
항균시험:
황색포도상구균
대조시료 1.4 ×105 4.0 ×106 -
시험시료 1.4 ×105 < 10 99.9
시험 결과, 대조군의 잔존하는 대장균,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 수는 증가하여 항균력이 없으나, 상술한 조성으로 이루어진 세라믹 분말을 첨가한 조성물의 경우 잔존하는 균수가 "0"으로 99,9%의 높은 항균력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b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각각 대장균,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가지는 것을 육안으로 확연히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상술한 조성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표1 내지 표3에 제시된 항균효과를 가지지 않았다.
따라서 상술한 조성으로 이루어진 피부 접촉부(200)를 피부에 접촉하여 사용할 경우 대장균,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하여 항균효과가 있어 각종 피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는 경우에도 피부 접촉부(200)에 대장균,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 등 피부 질환을 야기하는 균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하다.
도 8은 실시예들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의 원적외선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에 대한 시험 성적서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대하여 한국원적외선응용평가연구원에 의뢰하여 도 8에 도시된 원적외선 방사율/방사에너지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시험 성적서를 얻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조성물을 KFIA-FI-1005에 의거하여 37℃에서 측정 시, 5~20㎛ 파장의 원적외선이 88.7% 방출되고, 3.42×102 (W/m2·㎛, 37℃) 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상술한 조성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은 원적외선 방출 효과를 가지지 않았다.
따라서 상술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피부 접촉부(200)를 사용할 경우, 휴대용 피부 미용기기의 피부 접촉부(200)에서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인체 내에 공진, 공명 흡수 현상을 일으켜 피부 속으로 원적외선이 침투되며 이러한 원적외선은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주며 세포 조직을 활성화하고 노화방지, 신진대사 촉진 등 원적외선의 유익한 기능을 이용하여 피부의 노화를 방지, 지연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실시예들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의 라돈 방출율에 대한 측정시험 결과표이다.
라돈(Rn)은 자연에 존재하는 라듐(Ra)의 붕괴산물인 방사성 원소로 무색, 무취, 무미의 기체이다. 표준상태(STP: 0℃, 1기압)에서의 밀도는 9.73 g/L 로 공기밀도(1.217 g/L)보다 약 8배 크다.
라돈은 다른 물질과 화학적 반응을 하지 않는 불활성기체이나 방사선을 내는 성질이 있다. 세계 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센터(IARC)에서는 라돈을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하고 있으며, 2009년 세계보건기구에서 다수의 국가를 대상으로 한 라돈의 인체영향에 관한 연구결과에서는 라돈이 전 세계 폐암 발병원인의 3~14%를 차지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의 경우 라돈 발생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의 피부 접촉부와 동일한 조성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경우에도 라돈 방출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시험을 실시 하였다.
라돈의 방출 정도가 낮은 제품에 대한 라돈 방출률(pCi/m2.h, Bq/m2.h)은 측정이 쉽지 않아 전문기관에 맡겨 수행할 수 밖에 없으며, 본 발명에서는 등록특허 10-0717953 (라돈방출률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기술에 대한 실시권이 있는 (주)알엔테크에 의뢰하여 수행하였다. 측정결과표는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술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라돈 방출율은 0.554pCi/m2·hr(0.021Bq/m2·hr)로 극히 미미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피부 접촉부(200)는 원적외선을 방출 하면서도 인체에 유해한 라돈 방출량이 일반적인 물질과 동등하거나 그 이하이므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광원모듈(300)에서 방출되는 광은 피부 접촉부(200)를 통해 조사되므로, 사용자는 피부 접촉부(200)를 미용 부위에 접촉한다. 이 때, 피부 접촉부(200)의 항균 효과와 원적외선 방출 효과에 의하여 미용 효과가 더욱 극대화될 수 있으며, 관리와 보관이 용이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라돈 방출이 없는 수준으로 극히 미미하므로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관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의 피부 접촉부(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피부 접촉부(200)는 중심부에서 소정 영역인 제1 부분(210)과 제1 부분(21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제2 부분(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제2 부분(220)보다 오염의 위험이 높고 피부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10)의 효과적인 관리와 피부 미용 효과의 극대화를 위하여 제1 부분(210)은 세라믹 원료의 함유량이 제2 부분(220)의 세라믹 원료의 함유량보다 더 많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분(210)의 세라믹 원료의 함유량은 8 내지 10 중량%, 제2 부분(220)의 세라믹 원료의 함유량은 5 내지 8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피부 접촉부(200)의 영역에 따라 세라믹 원료의 함유량을 달리 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
100: 바디
110: 조작부
200: 피부 접촉부
210: 제1 부분
220: 제2 부분
300: 광원모듈
310: 근적외선 발생기
320: LED 소자
321: 제1 LED 소자
322: 제2 LED 소자
323: 제3 LED 소자
330: 미세전류 발생기
400: 배터리
500: 제어부

Claims (12)

  1. 사용자의 피부에 광을 조사하여 이미용 효과를 발생시키는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배치되고, 피부 미용을 위한 광을 방출하는 광원모듈을 포함하는 피부 접촉부;
    상기 광원모듈에 전력을 인가하는 배터리; 및
    상기 조작부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가 상기 광원모듈에 전력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광원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 접촉부는, 중량%로 ABS 90 내지 95%, 분말 형태의 세라믹 원료 5 내지 10%를 혼합하여 사출 성형되는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은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근적외선 발생기를 포함하는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은 각각 방출하는 광의 파장 영역이 상이한 복수의 LED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LED 소자의 발광을 제어하는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LED 소자는,
    400nm 내지 460nm의 파장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제1 LED 소자;
    590nm 내지 660nm의 파장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제2 LED 소자; 및
    800nm 내지 900nm의 파장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제3 LED 소자를 포함하는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부는 중심부에서 소정 영역의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세라믹 원료의 함유량이 상이한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세라믹 원료의 함유량이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세라믹 원료의 함유량보다 많은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부는 피부를 전기 자극하는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미세전류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미세전류 발생기를 제어하는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전류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미세전류의 세기 및 발생 주기를 제어하는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원료는,
    물(H2O), 산화규소(SILCA), 산화나트륨(NA203),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칼륨(K2O) 및 산화칼슘(CAO)을 포함하는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원료는,
    중량%로 상기 물(H2O) 80%, 상기 산화규소(SILCA) 11 내지 14%, 상기 산화나트륨(NA203) 2 내지 5%, 상기 산화알루미늄(AL2O3) 0 내지 1%, 상기 산화칼륨(K2O) 0 내지 0.1% 및 상기 산화칼슘(CAO) 0 내지 0.1%를 포함하는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부는,
    KFIA-FI-1005에 의거하여 37℃에서 측정 시, 5~20㎛ 파장 범위에서 3.42×102W/m2·㎛ 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방출하는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부는,
    KFIA-FI-1005에 의거하여 37℃에서 측정 시, 5~20㎛ 파장 범위에서 방사율이 0.887인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
KR1020200152079A 2020-11-13 2020-11-13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 KR102515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079A KR102515957B1 (ko) 2020-11-13 2020-11-13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079A KR102515957B1 (ko) 2020-11-13 2020-11-13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492A true KR20220065492A (ko) 2022-05-20
KR102515957B1 KR102515957B1 (ko) 2023-03-30

Family

ID=81798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079A KR102515957B1 (ko) 2020-11-13 2020-11-13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9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515B1 (ko) * 2022-06-20 2022-09-02 (주)제이엔엠파트너스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피부 미용 기기 및 피부 미용 시스템
WO2023249253A1 (ko) * 2022-06-20 2023-12-28 (주)제이엔엠파트너스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피부 미용 기기 및 피부 미용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5520A (ja) * 1999-11-19 2001-05-29 Sharion Kk 遠赤外線マスク
KR101504885B1 (ko) * 2014-11-05 2015-03-23 조성찬 옥과 근적외선 엘이디를 구비한 피부 미용기기
KR101863698B1 (ko) 2017-11-14 2018-06-01 주식회사 메드믹스 이온도입 기능을 갖는 led 마스크 시스템
KR20190065709A (ko) * 2017-12-04 2019-06-12 김기조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는 건강벨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5520A (ja) * 1999-11-19 2001-05-29 Sharion Kk 遠赤外線マスク
KR101504885B1 (ko) * 2014-11-05 2015-03-23 조성찬 옥과 근적외선 엘이디를 구비한 피부 미용기기
KR101863698B1 (ko) 2017-11-14 2018-06-01 주식회사 메드믹스 이온도입 기능을 갖는 led 마스크 시스템
KR20190065709A (ko) * 2017-12-04 2019-06-12 김기조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는 건강벨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515B1 (ko) * 2022-06-20 2022-09-02 (주)제이엔엠파트너스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피부 미용 기기 및 피부 미용 시스템
WO2023249253A1 (ko) * 2022-06-20 2023-12-28 (주)제이엔엠파트너스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피부 미용 기기 및 피부 미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957B1 (ko)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76147A1 (en) Wearable Micro-LED Healing Bandage
AU2010317572B2 (en) Device for personal use in phototherapy
KR102515957B1 (ko) 피부에 유효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피부 미용 기기
US7084389B2 (en) Hand held led device
US20130304163A1 (en) Optical treatment device for scalp and hair
AU2008318415A1 (en) Phototherapy treatment and device for infections, diseases, and disorders
US20140194955A1 (en) Device and Method of Treating Fungal Nail Infections
KR101932579B1 (ko) 피부관리기
CN212141169U (zh) 一种基于交流电致发光器件的光疗护肤仪
KR200432206Y1 (ko) 휴대용 피부 미용기
El-Deen et al. Polarized light versus light-emitting diode on healing of chronic diabetic foot ulcer
KR102303090B1 (ko) 항균 효과 및 원적외선 방출 효과를 가지는 이미용기기
KR20200030170A (ko) 색광을 이용한 피부 진단 및 치료장치
US20150297915A1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treatment of peripheral neuropathy
US20180193622A1 (en) System, retainer and method of preventing and treating nosocomial infections including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JP2001293070A (ja) 脱臭殺菌装置
WO2020227740A1 (en) Potable liquid container
KR20210066961A (ko) Led 및 탄소세라믹이 형성된 돔형 온열기구
WO2021243593A1 (zh) 一种光疗系统及其使用方法
EP2749317B1 (en) Wearable apparatus for nail treatments
KR102419068B1 (ko) 엘이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다용도 마사지 장치
CN205108762U (zh) 手部治疗仪
Mohammed et al. The Effect of Nd: YAG, Semiconductor, He-Ne laser and Beta, Gamma irradiation on Leishmania tropica Promastigotes This work evaluated the effect of Nd: YAG, Semiconductor, He-Ne laser and
Al-Waeli Effects of some physical agents on Staphylococcus epidermidis and Leishmania tropica: An In vitro study
Azeemi et al. Effects of different colours in the visible region on Leishmania trop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