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471A - 광통신 모듈의 광파워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광통신 모듈의 광파워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471A
KR20220065471A KR1020200152037A KR20200152037A KR20220065471A KR 20220065471 A KR20220065471 A KR 20220065471A KR 1020200152037 A KR1020200152037 A KR 1020200152037A KR 20200152037 A KR20200152037 A KR 20200152037A KR 20220065471 A KR20220065471 A KR 20220065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ion
optical
transmission
auxiliary managemen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to KR1020200152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5471A/ko
Priority to US17/454,713 priority patent/US20220158734A1/en
Publication of KR20220065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04B10/291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 H04B10/293Signal power control
    • H04B10/294Signal power control in a multiwavelength system, e.g. gain equalisation
    • H04B10/296Transient power control, e.g. due to channel add/drop or rapid fluctuations in the input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64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9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measurements of the data signal
    • H04B10/0795Performance monitoring; Measurement of transmission parameters
    • H04B10/07955Monitoring or measuring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01Structural aspects
    • H04B10/506Multiwavelength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60Receivers
    • H04B10/66Non-coherent receivers, e.g. using direct detection
    • H04B10/67Optical arrangements in the receiver
    • H04B10/671Optical arrangements in the receiver for controlling the input optical signal
    • H04B10/672Optical arrangements in the receiver for controlling the input optica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input optical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60Receivers
    • H04B10/66Non-coherent receivers, e.g. using direct detection
    • H04B10/67Optical arrangements in the receiver
    • H04B10/671Optical arrangements in the receiver for controlling the input optical signal
    • H04B10/675Optical arrangements in the receiver for controlling the input optica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tical bandwidth of the input signal, e.g. spectral 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1Power control, e.g. to keep the total optical power consta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등과 같은 광통신 모듈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통신 장치에 구비된 광통신 모듈이 자체적으로 광파워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광통신 모듈은, 입력된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제1 송신광을 생성하고, 제1 송신광을 출력하는 광송신어셈블리, 입력된 제1 수신광을 제1 수신페이로드데이터와 제1 수신보조관리데이터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광수신어셈블리 및 제1 수신보조관리데이터를 분석하여 광송신어셈블리에서 출력되는 송신광 및 광수신어셈블리로 입력되는 수신광 중 하나 이상의 감쇠를 제어하는 보조관리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 모듈은 관리자의 현장 출동 없이 송출되는 광신호의 레벨을 적절하게 감쇠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통신 모듈의 광파워 조절 방법{Optical power control method for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은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등과 같은 광통신 모듈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통신 장치에 구비된 광통신 모듈이 자체적으로 광파워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파장분할 다중(WDM: Wavelegth Division Multiplexing) 기반 가입자망에 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WDM 기반의 수동형 광가입자망(Passive Optical Network)(이하, 'WDM-PON'이라 한다)에서 중앙 기지국과 가입 자 간의 통신은 각 가입자에게 정해진 각각의 파장을 사용하여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취한다. WDM-PON에서는 가입자별로 전용 파장이 사용되므로 보안이 우수하고, 대용량의 통신서비스가 가능하며, 가입자별 혹은 서비스별로 다른 전송기술예를 들면, Link Rate, Frame Format 등)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WDM-PON에서 다양한 광통신 모듈(예를 들면, SFP, Small Form-factor Pluggable 등과 같은 광트랜시버)의 DWDM(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 파장들은 광모듈의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출력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장거리 전송 시 색분산 및/또는 비선형 현상으로 인접 채널에 영향을 받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관리자가 직접 광통신 장치가 설치된 현장에 방문하여 광통신 모듈의 외부에 광신호 레벨 감쇠기(Attenuator)를 설치하고, 송출되는 광신호의 레벨을 적절하게 감쇠하는 방법이 동원되었다. 이는 관리자가 현장에 방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남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ROADM(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er) 기반 광통신 시스템에서도 동일하게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관리자의 현장 출동 없이 광통신 모듈에서 송출되는 광신호의 레벨을 적절하게 감쇠할 수 있는 광통신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입력된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제1 송신광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송신광을 출력하는 광송신어셈블리; 입력된 제1 수신광을 제1 수신페이로드데이터와 제1 수신보조관리데이터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광수신어셈블리; 및 상기 제1 수신보조관리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광송신어셈블리에서 출력되는 송신광 및 상기 광수신어셈블리로 입력되는 수신광 중 하나 이상의 감쇠를 제어하는 보조관리콘트롤러;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신광은 상기 제1 수신페이로드데이터와 상기 제1 수신보조관리데이터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신페이로드데이터의 파장과 상기 제1 수신보조관리데이터의 파장은 서로 상이한, 광통신 모듈이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관리콘트롤러는 AMCC(Auxiliary Management and Control Channel) 콘트롤러이고, 상기 수신보조관리데이터는 AMCC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광통신 모듈은 상기 광송신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광송신어셈블리에서 입력되는 광신호의 파워 레벨을 감쇠시키는 송신감쇠기;를 더 포함하되,상기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상기 제1 송신광의 파워 레벨을 미리 설정된 송신 임계 파워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송신감쇠기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광통신 모듈은 상기 광송신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광송신어셈블리에서 입력되는 광신호의 파워 레벨을 감쇠시키는 송신감쇠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상기 제1 수신보조관리데이터에 포함된 타장치수신파워를 분석하여 상기 송신감쇠기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광통신 모듈은, 먹스와 상기 광수신어셈블리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먹스에서 입력되는 광신호의 파워 레벨을 감쇠시켜 상기 광수신어셈블리로 출력하는 수신감쇠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상기 제1 수신광의 파워 레벨을 미리 설정된 수신 임계 파워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감쇠기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상기 제1 수신광의 파워 레벨을 판단하여 수신파워레벨을 생성하고, 상기 수신파워레벨을 포함하는 송신보조관리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광송신어셈블리로 출력하고, 상기 광송신어셈블리는 상기 송신보조관리데이터와 송신페이로드데이터를 결합하여 제2 송신광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송신광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광수신어셈블리는 상기 제2 송신광의 출력에 대응하여 입력된 제2 수신광을 제2 수신페이로드데이터와 제2 수신보조관리데이터로 분리하여 출력하고, 상기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상기 제2 수신보조관리데이터에 포함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수신어셈블리에 입력되는 수신광의 감쇠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광통신 모듈은, 먹스와 상기 광수신어셈블리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먹스에서 입력되는 광신호의 파워 레벨을 감쇠시켜 상기 광수신어셈블리로 출력하는 수신감쇠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상기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감쇠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광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광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 모듈은 관리자의 현장 출동 없이 송출되는 광신호의 레벨을 적절하게 감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망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통신 모듈의 자동 광파워 조절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망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시스템(100)은 COT(Central Office Terminal)(110) 및 RT(Remote Terminal)(120)을 포함할 수 있다. COT(110)와 RT(120)는 유선(특히 광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COT(110)는 광통신 시스템(100)의 중앙 기지국 장치(Central Office)로서 PON에서 신호를 다중화하여 연결된 하나 이상의 RT(120)으로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장분할다중화(WDM)를 이용한 수동 광통신망인 경우를 가정하면, COT(110)는 OLT(Optical Line Terminal, 미도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WDM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즉, COT(110)는 복수의 파장의 광 신호를 단일의 광 케이블을 통해 RT(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COT(110)는 여러 파장의 광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복수의 광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OT(110)의 개별 광통신 모듈은 RT(120)와 송수신하는 광신호의 파워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RT(120)은 COT(110)와 광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광통신 장치로서, 다수의 회선을 필요로 하는 가입자 밀집지역에 위치한 광통신 장치일 수 있다. RT(120)은 COT(110)에서 수신된 WDM 신호를 역 다중화하여 가입자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T(120)은 구비된 MUX(도 2의 130-2)에서 분배된 WDM 신호를 PON 신호로 변환하여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COT(110)는 복수의 파장의 광 신호를 단일의 광 케이블을 통해 RT(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RT(120)은 여러 파장의 광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복수의 광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T(120)의 개별 광통신 모듈은 COT(110)와 송수신하는 광신호의 파워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시스템(100)에서 COT(110) 및/또는 RT(120)에 포함된 개별 광통신 모듈이 '자동으로 광신호의 파워를 조절하는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COT(110)는 제1 COT 광통신 모듈(140-1), 제2 COT 광통신 모듈(140-2) 내지 제n COT 광통신 모듈(140-n)을 포함할 수 있다(단, n은 자연수임). 제1 COT 광통신 모듈(140-1) 내지 제n COT 광통신 모듈(140-n)은 제1 먹스(130-1)와 연결되어 광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RT(120)와 광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RT(120)도 제1 RT 광통신 모듈(150-1), 제2 RT 광통신 모듈(150-2) 내지 제n RT 광통신 모듈(150-n)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RT 광통신 모듈(150-1) 내지 제n RT 광통신 모듈(150-n)은 제2 먹스(130-2)와 연결되어 광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COT(110)와 광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COT 광통신 모듈(140-1)는 제1 RT 광통신 모듈(150-1)과 연결될 수 있고(즉, 제1 채널 형성), 제n COT 광통신 모듈(140-n)은 제n RT 광통신 모듈(150-n)과 연결될 수 있다(즉, 제n 채널 형성). 또한, 제1 채널 내지 제n 채널 각각을 통해 송수신되는 광신호의 파장은 모두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각 광통신 모듈(140-1 내지 140-n, 150-1 내지 150-n)은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등과 같은 광통신 모듈이거나, 광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채널 카드(Channel Card)일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COT(110)는 제1 메인콘트롤러(MCU)(210), 제1 메모리(215), 제1 먹스(MUX)(130-1) 및 n개의 COT 광통신 모듈(140-1 내지 140-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n COT 광통신 모듈(140-n)은 제1 보조관리콘트롤러(AMCC, Auxiliary Management and Control Channel)(220), 제1 광송신 어셈블리(TOSA, Transmitter Optical Sub-Assemblies)(230), 제1 송신 감쇠기(240-1, Attenuator), 제1 광수신 어셈블리(ROSA, Receiver Optical Sub-Assemblies)(250) 및 제1 수신 감쇠기(240-2, Attenu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T(120)은 제2 메인콘트롤러(MCU)(290), 제2 메모리(Memory)(295), 제2 먹스(MUX)(130-2) 및 n개의 RT 광통신 모듈(150-1 내지 150-n)을 포함할 수 있다. 제n RT 광통신 모듈(150-n)은 제2 보조관리컨트롤러(AMCC, Auxiliary Management and Control Channel)(280), 제2 광송신 어셈블리(TOSA, Transmitter Optical Sub-Assemblies)(275), 제2 송신 감쇠기(260-1, Attenuator), 제2 광수신 어셈블리(ROSA, Receiver Optical Sub-Assemblies)(270) 및 제2 수신 감쇠기(260-2, Attenu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COT(110) 및 RT(120)의 각 구성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 MCU(210)는 COT(11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1 메모리(Memory)(215)는 제1 MCU(210)와 연결되고, COT(11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와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저장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특히 제1 메모리(215)에는 COT(110)에서 송수신될 수 있는 광 신호의 파장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제1 AMCC(Auxiliary Management and Control Channel)(220)는 COT(110)와 RT(120) 간의 페이로드데이터(Payload Data) 송수신을 관리할 수 있다. 제1 AMCC(220)는 페이로드데이터 전송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COT(110)를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제1 AMCC(220)는 페이로드데이터 송수신 보조 관리에 필요한 정보(이하, 'COT 보조관리데이터'라 칭함)들을 다양한 방법들에 따라 RT(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AMCC(220)는 기저대역 강도 변조 방식(baseband intensity over-modulation)을 통해 COT 보조관리데이터와 COT 페이로드데이터를 동시에 RT(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AMCC(220)는 RF 파이럿 톤(Radio Frequency Pilot tone) 방식을 통해 COT 보조관리데이터와 COT 페이로드데이터를 중첩하여 RT(120)로 전송할 수 있다. 기저대역 강도 변조 방식은 COT 보조관리데이터를 페이로드데이터 상단에 쌓아 올리는 기술이고, RF 파일럿 톤 방식은 ASK 또는 FSK 변조된 COT 보조관리데이터를 페이로드데이터와 중첩시키는 기술이다. 또는 제1 AMCC(220)는 COT 보조관리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주파수의 신호로 생성하되, 제1 주파수는 페이로드데이터의 주파수와 완전히 상이한 주파수일 수 있다(예를 들어, COT 보조관리데이터의 주파수는 수[kHz]이고, 페이로드데이터의 주파수는 수십 내지 수백[MHz]일 수 있음). 기저대역 강도 변조 방식 및 RF 파일럿 톤 방식 등과 같은 COT 보조관리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이미 공개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특히 제1 AMCC(220)는 제1 ROSA(250)에서 수신된 수신광을 분석하여 수신광의 파워 레벨을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파워 레벨에 대한 정보를 COT 보조관리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으며, COT 보조관리데이터를 제1 TOSA(230)로 출력하여 COT 페이로드데이터와 결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AMCC(220)는 제1 ROSA(250)에서 수신된 수신광을 분석하여 제1 송신 감쇠기(240-1) 및/또는 제1 수신 감쇠기(240-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AMCC(220)는 제1 송신 감쇠기(240-1)에서 출력된 송신광을 분석하여 제1 송신 감쇠기(240-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1 TOSA(Transmitter Optical Sub-Assemblies)(230)는 입력된 COT 페이로드데이터 및/또는 COT 보조관리데이터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구성이다. 제1 TOSA(230)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 TOSA(230)는 제1 AMCC(220)로부터 입력된 COT 보조관리데이터 및 COT 페이로드데이터를 결합하여 광신호(즉, 송신광)로 생성할 수 있다.
제1 송신 감쇠기(240-1)는 제1 TOSA(230)에서 입력되는 송신광의 파워 레벨을 미리 설정된 감쇠율로 감쇠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제1 송신 감쇠기(240-1)의 감쇠율은 제1 AMCC(220)의 제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1 AMCC(220)가 제1 송신 감쇠기(240-1)의 감쇠율을 결정하는 동작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1 MUX(130-1)는 제1 송신 감쇠기(240-1)에서 입력된 송신광을 다중화(MUXING 또는 Multiplexing)하여 광케이블로 전송하고, 광케이블에서 수신된 수신광을 역다중화(DeMUXING 또는 DeMultiplexing)하여 제1 수신 감쇠기(240-2)로 출력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1 수신 감쇠기(240-2)는 제1 MUX(130-1)에서 입력되는 수신광의 파워 레벨을 미리 설정된 감쇠율로 감쇠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제1 수신 감쇠기(240-2)의 감쇠율은 제1 AMCC(220)의 제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1 AMCC(220)가 제1 수신 감쇠기(240-2)의 감쇠율을 결정하는 동작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1 ROSA(Receiver Optical Sub-Assemblies)(250)은 제1` 수신 감쇠기(240-2)에서 입력된 수신광을 수신페이로드데이터 및 수신보조관리데이터로 분리하여 각각 상응하는 구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제1 ROSA(250)는 수신보조관리데이터를 제1 AMCC(220)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ROSA(250)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ROSA(250)에서 출력된 정보들은 TIA(Trans-Impedance Amplifier)를 통과하여 각각 상응하는 구성으로 분기될 수 있다.
RT(120)의 제2 MCU(290)는 RT(12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2 메모리(Memory)(295)는 제2 MCU(290)와 연결되고, RT(12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와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저장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제2 AMCC(280)는 제2 MCU(29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구성으로, COT(110)와 RT(120) 간의 페이로드데이터 송수신을 관리할 수 있다. 제2 AMCC(280)는 페이로드데이터 송수신 보조 관리에 필요한 정보(이하, RT 보조관리데이터라 칭함)들을 다양한 방법들에 따라 COT(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AMCC(280)는 제1 AMCC(220)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방식을 통해 RT 보조관리 데이터를 COT(11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제2 AMCC(280)는 제2 ROSA(270)에서 수신된 수신광을 분석하여 수신광의 파워 레벨을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파워 레벨에 대한 정보를 RT 보조관리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으며, RT 보조관리데이터를 제2 TOSA(275)로 출력하여 RT 페이로드데이터와 결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AMCC(280)는 제2 ROSA(270)에서 수신된 수신광을 분석하여 제2 송신 감쇠기(260-1) 및/또는 제2 수신 감쇠기(260-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AMCC(280)는 제2 송신 감쇠기(260-1)에서 출력된 송신광을 분석하여 제2 송신 감쇠기(260-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2 TOSA(275), 제2 송신 감쇠기(260-1) 및 제2 MUX(130-2)는 COT(110)로 전송할 RT 페이로드데이터와 RT 보조관리데이터를 각각 광신호로 생성하고 결합하여 감쇠한 후 다중화할 수 있다. 제2 MUX(130-2), 제2 수신 감쇠기(260-2) 및 제2 ROSA(270)는 COT(110)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역다중화하고, 감쇠하고, COT 페이로드데이터와 COT 보조관리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COT(110) 및 RT(120)의 각 구성들의 일반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COT(110) 및 RT(120)의 각 채널카드(140-n, 150-n)가 자동으로 광 파워 레벨을 제어하는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통신 모듈의 자동 광파워 조절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될 각 동작들은 복수의 COT 광통신 모듈(140-1 내지 140-n) 또는 RT 광통신 모듈(150-1 내지 150-n) 중 어느 하나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일 수 있다. 따라서, 각 광통신 모듈에 포함된 구성 요소 및 신호들의 명칭을 다음과 같이 통칭하여 설명한다.
(1) COT 광통신 모듈과 RT 광통신 모듈을 '광통신 모듈'로 통칭함
(2) 제1 보조관리콘트롤러와 제2 보조관리콘트롤러를 '보조관리콘트롤러'로 통칭함
(3) 제1 TOSA와 제2 TOSA를 'TOSA'로 통칭함
(4) 제1 ROSA와 제2 ROSA를 'TOSA'로 통칭함
(5) 제1 송신 감쇠기와 제2 송신감쇠기를 '송신 감쇠기'로 통칭함
(6) 제1 수신 감쇠기와 제2 수신감쇠기를 '수신 감쇠기'로 통칭함
(7) 광통신 모듈에서 전송된 광신호를 '송신광'으로 칭함
(8) 광통신 모듈로 수신된 광신호를 '수신광'으로 칭함
(9) 광통신 모듈에서 전송된 페이로드데이터를 '송신페이로드데이터'로 칭함
(10) 광통신 모듈로 수신된 페이로드데이터를 '수신페이로드데이터'로 칭함
(11) 광통신 모듈에서 전송된 보조관리데이터를 '송신보조관리데이터'로 칭함
(12) 광통신 모듈로 수신된 보조관리데이터를 '수신보조관리데이터'로 칭함
(13) 광통신 모듈에서 전송된 송신광을 수신한 장치를 '타장치'라 칭함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10에서, 광통신 모듈은 제1 송신광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송신보조관리데이터를 생성하여 TOSA로 출력할 수 있다. TOSA는 송신보조관리데이터 및 송신페이로드데이터를 결합하여 제1 송신광을 생성한 후 출력할 수 있다. 송신 감쇠기는 제1 송신광을 미리 설정된 감쇠율로 감쇠시킨 후 먹스로 출력할 수 있고, 먹스는 이를 광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송신광의 '제1'은 이후에 전송되는 송신광과 당해 송신광을 구분하기 위하여 붙여진 부분일 뿐이다.
단계 S420에서, 광통신 모듈은 제1 송신광의 파워 레벨과 미리 설정된 '송신 임계 파워'를 비교할 수 있다. 송신 임계 파워는 광통신 모듈의 메모리(215, 295)에 미리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관리콘트롤러는 먹스를 통해 출력되는 제1 송신광의 파워를 모니터링하여 메모리에 기저장된 송신 임계 파워와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먹스에는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당해 모니터링 장치(미도시)의 포토 다이오드는 송신광의 파워를 검출하여 상응하는 전기신호를 보조관리콘트롤러에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미도시)의 송신광 파워 모니터링 방법은 다양한 공개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것이 당해 권리범위를 한정할 수 없음은 자명하다. 이후, 보조관리콘트롤러는 모니터링 장치(미도시)에서 수신된 제1 송신광의 파워와 메모리(215. 295)에 기저장된 송신 임계 파워를 비교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광통신 모듈은 비교 결과에 따라 송신감쇠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 결과 제1 송신광의 파워가 송신 임계 파워를 초과하면,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송신 감쇠기의 감쇠율을 높여서 이후에 전송되는 송신광의 파워가 낮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제1 송신광의 파워와 송신 임계 파워가 상이한 정도를 이용하여 송신감쇠기의 감쇠율을 정밀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은 전송되는 송신광의 파워를 모니터링하여 송신 감쇠기를 제어함으로써, 자동으로 송신광의 파워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10에서, 광통신 모듈은 제1 수신광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먹스는 광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타장치로부터 제1 수신광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감쇠기는 제1 수신광을 미리 설정된 감쇠율로 감쇠시킨 후 ROSA로 출력할 수 있다. ROSA는 제1 수신광을 수신보조관리데이터 및 수신페이로드데이터로 분리할 수 있고, 수신보조관리데이터를 보조관리콘트롤러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신광의 '제1'은 이후에 수신되는 수신광과 당해 송신광을 구분하기 위하여 붙여진 부분일 뿐이다.
단계 S520에서,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제1 수신광의 수신보조관리데이터에 포함된 '타장치수신파워'를 분석하여 송신감쇠기의 감쇠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보조관리데이터에는 타장치수신파워가 포함될 수 있다. 타장치수신파워는 타장치가 제1 송신광을 수신한 후, 수신된 송신광의 파워 레벨을 판단하여 생성한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타장치는 타장치수신파워를 생성하고, 이를 보조관리데이터로 하는 제1 수신광을 생성한 후 이를 당해 광통신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관리콘트롤러는 타장치수신파워와 미리 설정된 수신 임계 파워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임계 파워는 광통신 모듈의 메모리(215, 295)에 미리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비교 결과 타장치수신파워가 수신 임계 파워를 초과하면,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송신 감쇠기를 감쇠율을 높여서 이후에 전송되는 송신광의 파워가 낮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보조관리콘트롤러는 타장치수신파워와 수신 임계 파워가 상이한 정도를 이용하여 송신감쇠기의 감쇠율을 정밀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은 제1 송신광을 수신한 타장치에서 수신된 파워 레벨을 보조관리채널(AMCC)을 통해 모니터링하여 송신 감쇠기를 제어함으로써, 자동으로 송신광의 파워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10에서, 광통신 모듈은 제1 수신광을 수신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단계 S510과 대동소이한 동작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620에서, 광통신 모듈은 제1 수신광의 파워 레벨과 미리 설정된 수신 임계 파워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관리콘트롤러는 먹스를 통해 수신되는 제1 수신광의 파워를 모니터링하여 메모리에 기저장된 수신 임계 파워와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먹스에는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당해 모니터링 장치(미도시)의 포토 다이오드는 수신광의 파워를 검출하여 상응하는 전기신호를 보조관리콘트롤러에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미도시)의 수신광 파워 모니터링 방법은 다양한 공개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것이 당해 권리범위를 한정할 수 없음은 자명하다. 이후, 보조관리콘트롤러는 모니터링 장치(미도시)에서 수신된 제1 수신광의 파워와 메모리(215. 295)에 기저장된 수신 임계 파워를 비교할 수 있다. 단계 S620의 수신 임계 파워는 단계 S520의 수신 임계 파워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양(兩) 수신 임계 파워 값의 동일 여부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수 없다.
단계 S630에서, 광통신 모듈은 비교 결과에 따라 수신감쇠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제1 수신광의 파워 레벨과 미리 설정된 수신 임계 파워를 비교한 결과, 제1 수신광의 파워 레벨이 수신 임계 파워를 초과하면, 수신 감쇠기의 감쇠율을 높여서 이후에 수신되는 수신광의 파워가 낮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제1 수신광의 파워 레벨과 수신 임계 파워가 상이한 정도를 이용하여 수신감쇠기의 감쇠율을 정밀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은 수신된 제1 수신광의 파워 레벨을 모니터링하여 수신 감쇠기를 제어함으로써, 자동으로 수신광의 파워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710에서, 광통신 모듈은 제1 수신광을 수신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단계 S510과 대동소이한 동작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720에서, 광통신 모듈은 제1 수신광의 파워 레벨을 판단하여 수신파워레벨을 포함하는 송신보조관리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광통신 모듈은 제1 수신광의 파워 레벨을 판단하는 동작은 단계 S620에서 설명한 방법과 대동소이할 수 있다. 또한, 광통신 모듈은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제1 수신광의 파워 레벨에 대한 정보인 수신파워레벨을 송신보조관리데이터(즉, AMCC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송신보조관리데이터를 TOSA로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광통신 모듈은 송신보조관리데이터와 송신페이로드데이터를 결합하여 제2 송신광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OSA는 송신보조관리데이터를 송신페이로드데이터와 결합하여 제2 송신광으로 생성할 수 있다. TOSA는 제2 송신광을 송신감쇠기로 출력할 수 있고, 송신감쇠기는 제2 송신광을 먹스로 출력할 수 있고, 먹스는 제2 송신광을 연결된 광케이블을 통해 타장치로 전송시킬 수 있다.
단계 S740에서, 광통신 모듈은 제2 송신광의 전송에 대응하여 제2 수신광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장치의 먹스는 제2 송신광을 수신하면 타장치의 ROSA로 출력할 수 있다. 타장치의 ROSA는 제2 송신광을 송신페이로드데이터와 송신보조관리데이터로 분리하여 각각 상응하는 구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타장치의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송신보조관리데이터가 입력되면, 이를 분석하여 당해 광통신 모듈이 타장치가 전송한 수신광을 수신한 파워 레벨(즉, 수신파워레벨)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타장치의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수신파워레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지 판단할 수 있다. 타장치의 보조관리콘트롤러는 판단 결과 수신파워레벨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초과하는 정도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타장치의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생성한 제어신호를 보조관리데이터로 생성하여 타장치의 TOSA로 출력할 수 있다. 타장치의 TOSA는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보조관리데이터와 페이로드데이터를 결합하여 제2 수신광을 생성한 후 먹스로 출력할 수 있다. 먹스는 제2 수신광을 광케이블을 통해 당해 광통신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광통신 모듈은 제2 송신광에 대응된 제2 수신광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750에서, 광통신 모듈은 제2 수신광의 제2 수신보조관리데이터에 포함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수신감쇠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신광을 수신한 수신감쇠기는 미리 설정된 감쇠율에 따라 제2 수신광의 파워 레벨을 감쇠시킨 후 ROSA로 출력할 수 있다. ROSA는 제2 수신광을 제2 페이로드데이터와 제2 수신보조관리데이터로 분리한 후 제2 수신보조관리데이터를 보조관리콘트롤러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제2 수신보고관리데이터에 포함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수신감쇠기의 감쇠율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은 수신된 제2 수신광의 제2 수신보조관리데이터(즉, AMCC 데이터)에 포함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감쇠기를 제어함으로써, 자동으로 수신광의 파워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신호는 타장치에서 생성한 제어신호이므로, 당해 광통신 모듈은 수신감쇠기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연산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광통신 시스템
110 : COT
120 : RT

Claims (9)

  1. 입력된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제1 송신광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송신광을 출력하는 광송신어셈블리;
    입력된 제1 수신광을 제1 수신페이로드데이터와 제1 수신보조관리데이터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광수신어셈블리; 및
    상기 제1 수신보조관리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광송신어셈블리에서 출력되는 송신광 및 상기 광수신어셈블리로 입력되는 수신광 중 하나 이상의 감쇠를 제어하는 보조관리콘트롤러;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신광은 상기 제1 수신페이로드데이터와 상기 제1 수신보조관리데이터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신페이로드데이터의 파장과 상기 제1 수신보조관리데이터의 파장은 서로 상이한, 광통신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신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광송신어셈블리에서 입력되는 광신호의 파워 레벨을 감쇠시키는 송신감쇠기;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상기 제1 송신광의 파워 레벨을 미리 설정된 송신 임계 파워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송신감쇠기를 제어하는, 광통신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신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광송신어셈블리에서 입력되는 광신호의 파워 레벨을 감쇠시키는 송신감쇠기;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상기 제1 수신보조관리데이터에 포함된 타장치수신파워를 분석하여 상기 송신감쇠기를 제어하는, 광통신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먹스와 상기 광수신어셈블리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먹스에서 입력되는 광신호의 파워 레벨을 감쇠시켜 상기 광수신어셈블리로 출력하는 수신감쇠기;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상기 제1 수신광의 파워 레벨을 미리 설정된 수신 임계 파워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감쇠기를 제어하는, 광통신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상기 제1 수신광의 파워 레벨을 판단하여 수신파워레벨을 생성하고, 상기 수신파워레벨을 포함하는 송신보조관리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광송신어셈블리로 출력하고,
    상기 광송신어셈블리는 상기 송신보조관리데이터와 송신페이로드데이터를 결합하여 제2 송신광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송신광을 출력하는, 광통신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수신어셈블리는 상기 제2 송신광의 출력에 대응하여 입력된 제2 수신광을 제2 수신페이로드데이터와 제2 수신보조관리데이터로 분리하여 출력하고,
    상기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상기 제2 수신보조관리데이터에 포함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수신어셈블리에 입력되는 수신광의 감쇠를 제어하는, 광통신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먹스와 상기 광수신어셈블리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먹스에서 입력되는 광신호의 파워 레벨을 감쇠시켜 상기 광수신어셈블리로 출력하는 수신감쇠기;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관리콘트롤러는 상기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감쇠기를 제어하는, 광통신 모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관리콘트롤러는 AMCC(Auxiliary Management and Control Channel) 콘트롤러이고, 상기 수신보조관리데이터는 AMCC를 통해 수신되는, 광통신 모듈.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광통신 장치.
KR1020200152037A 2020-11-13 2020-11-13 광통신 모듈의 광파워 조절 방법 KR2022006547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037A KR20220065471A (ko) 2020-11-13 2020-11-13 광통신 모듈의 광파워 조절 방법
US17/454,713 US20220158734A1 (en) 2020-11-13 2021-11-12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controlling optical power an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037A KR20220065471A (ko) 2020-11-13 2020-11-13 광통신 모듈의 광파워 조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471A true KR20220065471A (ko) 2022-05-20

Family

ID=81588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037A KR20220065471A (ko) 2020-11-13 2020-11-13 광통신 모듈의 광파워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158734A1 (ko)
KR (1) KR202200654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840B1 (ko) * 2023-04-26 2023-11-29 주식회사 썬웨이브텍 리버스 먹스폰더를 포함하는 통신망 시스템
WO2024101478A1 (ko) * 2022-11-08 2024-05-16 주식회사 우리넷 다중 광통신 시스템의 광모듈 파워 최적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1752B1 (en) * 2022-03-28 2023-04-04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power violation protection mechanism in a radio unit of a disaggregated base station
WO2024064300A1 (en) * 2022-09-23 2024-03-28 Ip Infus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upling optical network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478A1 (ko) * 2022-11-08 2024-05-16 주식회사 우리넷 다중 광통신 시스템의 광모듈 파워 최적화 방법
KR102605840B1 (ko) * 2023-04-26 2023-11-29 주식회사 썬웨이브텍 리버스 먹스폰더를 포함하는 통신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58734A1 (en)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65471A (ko) 광통신 모듈의 광파워 조절 방법
US7515829B2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optical transmission system
KR100711201B1 (ko) 광대역 비간섭성 광원의 위치 조정을 이용한 장거리 전송파장분할 다중방식 수동형 광 가입자망
US8238753B2 (en) Optical line terminal
JP5070034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光集線装置及び光ネットワーク装置
US7936991B2 (en) Optical line terminating apparatus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KR100330409B1 (ko) 파장분할다중 방식 다중화/역다중화 장치와 이를 이용한 파장분할다중 방식 수동형 광 가입자망
US11316589B2 (en) Optical transceiver and method of automatically setting wavelength thereof
EP2700181B1 (en) Passive optical network optical network terminal apparatus and configuration method
EP2458762B1 (en) Underwater branching unit of optical add/drop multiplexer, corresponding optical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US20090116847A1 (en) Optical transceiver with in-band management channel
EP3783815B1 (en) Amcc device and transmission wavelength adjustment and control method
US20240022346A1 (en) Optical transceiver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wavelength thereof
EP1762029B1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 (wdm) optical demultiplexer
JP3798642B2 (ja) Wdmネットワークの管理装置
KR20210147918A (ko) 광 트랜시버 및 이의 파장 자동 설정 방법
EP3812888B1 (en) Method for updating firmware of optical transceiver
US20090304388A1 (en) Optical Branching Apparatus and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KR101325858B1 (ko) 적응적 광파워 조절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위한 광통신 시스템
GB2345399A (en) Wideband optical service channel for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networks
KR20150146102A (ko) 파장 가변 필터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KR100328128B1 (ko) 파장분할다중 광전송시스템에서 광전력 증폭기의 동적이득제어장치
KR20210077632A (ko) 광 트랜시버 및 이의 파장 자동 설정 방법
EP4002728A1 (e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wavelength thereof
KR101836225B1 (ko) 장거리 wdm-pon에서 레일리 역산란으로 인한 페널티 최소화 방법 및 파장분할다중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