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374A -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374A
KR20220065374A KR1020200151801A KR20200151801A KR20220065374A KR 20220065374 A KR20220065374 A KR 20220065374A KR 1020200151801 A KR1020200151801 A KR 1020200151801A KR 20200151801 A KR20200151801 A KR 20200151801A KR 20220065374 A KR20220065374 A KR 20220065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sthma control
user
respiratory disease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4619B1 (ko
Inventor
이화영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1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619B1/ko
Publication of KR20220065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374A/ko
Priority to KR1020230050839A priority patent/KR20230054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61B5/0871Peak expiratory flowmet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호흡기 질환자들이 직접 병원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개별적으로 측정 및 진단함으로써, 천식조절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약제의 추가 투약 정보와 진료 예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천식조절상태정보를 판단하기 위해 인자 정보를 추가로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맞춤형 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방법 및 기록매체{USER EQUIP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MANAGEMENT OF RESPIRATORY PATIENTS}
본 실시 예들은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인간의 몸속에서 호흡기는 호흡작용을 맡은 기관을 말하며, 호흡기는 들이마신 공기가 이동하며 순환하는 기관인 기관지와 폐로 구분된다. 그리고 호흡기 질환은 기관지, 폐장, 폐를 둘러 싸고 있는 흉막에서 발생한 질환을 의미한다. 이러한 호흡기 질환에는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폐기종, 만성기관지염) 등이 있으며, 완전한 치료가 어렵고 증상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또한, 호흡기 질환은 폐기능을 감소시켜 삶의 질을 떨어트리고 사망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유병률이 상당히 높다. 따라서, 이러한 호흡기 질환자들은 폐기능 검사, 질병의 경과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합병증 발생을 예방을 위한 꾸준한 관리 및 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최근 의학 기술의 발달에 따라 호흡기 질환자들을 위해 호흡량 관리 및 치료에 도움을 주는 각종 기구 및 장치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각종 기구 및 장치는 호흡기 질환을 검진 및 훈련할 수 있는 병원을 방문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병원을 방문해야만 호흡기 질환의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여 호흡기 관련 연구 개발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호흡기 질환에 대한 꾸준한 치료뿐만 아니라 급성 악화 시의 치료가 가능하도록 환자가 직접 병원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의료진과의 긴밀한 협조와 소통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장기적으로 호흡기 질환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 예들은 호흡기 질환자들이 직접 병원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지속적으로 호흡기 질환을 관리할 수 있는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방법 및 기록매체, 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실시 예는, 호흡기 질환자를 위한 관리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사용 약제 정보, 사용 횟수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투약 정보와 PEF(최대호기유량, peak expiratory flow) 기준 정보를 수신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천식조절설문 정보와 PEF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천식 조절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환자 정보 획득부,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 또는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에 기초하여 약제를 추가로 사용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 관리부와 천식 조절 상태 정보, 추가 투약 확인 정보 및 진료 예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 예는 호흡기 질환자를 위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사용 약제 정보, 사용 횟수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투약 정보와 PEF(최대호기유량, peak expiratory flow) 기준 정보를 수신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천식조절설문 정보와 PEF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천식 조절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환자 정보 획득 단계,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 또는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에 기초하여 약제를 추가로 사용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 관리 단계와 천식 조절 상태 정보, 추가 투약 확인 정보 및 진료 예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 예는 호흡기 질환자를 위한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사용 약제 정보, 사용 횟수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투약 정보와 PEF(최대호기유량, peak expiratory flow) 기준 정보를 수신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천식조절설문 정보와 PEF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천식 조절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환자 정보 획득 기능,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 또는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에 기초하여 약제를 추가로 사용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 관리 기능과 천식 조절 상태 정보, 추가 투약 확인 정보 및 진료 예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들에 의하면, 호흡기 질환자들이 직접 병원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지속적으로 호흡기 질환을 관리할 수 있는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에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에서 천식 조절 상태 정보를 입력하고 GPS 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에서 천식 조절 설문 정보를 입력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를 위한 증상 조절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에서 추가 투약 정보를 확인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개시는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천식조절설문은 천식에 의한 수면과 일상생활 영향, 호흡곤란, 천명, 속효성 기관지 확장제 사용에 대한 항목으로 구성된 천식 조절도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도구인 ACQ-6 (천식조절설문, Asthma Control Questionnaire)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ACQ-6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천식 조절도를 평가할 수 있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의 PEF(최대호기유량, peak expiratory flow)는 자가 치료를 하는 환자들의 경과 관찰을 위해 최대호기유량계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PEF는 절대값이나 증상이 없을 때의 최대치 혹은 추정 정상치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되며 천식의 진단과 모니터링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PEF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폐 기능 측정이 가능하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의 약제 투약 정보는 초기 설정된 약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추가 투약 정보는 사용자가 설정 조건에 만족하면,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약제를 추가로 사용하도록 제공되는 약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추가 투약 요청 정보는 사용자가 약제를 추가로 사용하도록 서버로부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요청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추가 투약 확인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서버로 송신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추가로 제공되는 약제 정보에 따라 추가 투약 후, 사용자가 요청에 따라 확인을 입력하여 생성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관리 요청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것으로 증상 조절을 위한 알고리즘을 통해 약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추가 투약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는 호흡기 질환자를 위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 및 서버(100)에 구현될 수 있다.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은,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를 포함하고,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서버(100)와 통신 가능한 어떠한 전자 기기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서버(1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또는 웹 서버(WAP Server)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바와 같이, C, C++, Java, PHP, .Net, Python, Ruby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단말(110, 120)을 포함)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서버(100)는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을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서버(100)는 전술한 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서버(100)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 또는 외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서버 또는 다른 장치 등에 의해 사용될 목적으로 정보나 자료 등의 데이터가 구조화되어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의 집합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구조화 방식, 관리 방식, 종류 등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는 정보나 자료 등을 추가, 수정, 삭제 등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인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00)는 콘텐츠,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서버(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 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Apache, Nginx, Light HTTP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는 서버(100)와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을 연결해주는 망(Network)으로서,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나,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여기서,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이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경우,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망이나 와이파이(WiFi) 망 등의 무선 액세스 망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간략하게 전술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방법 및 기록매체에 대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은 호흡기 질환자의 증상을 관리하기 위해 투약 정보 등을 제공받고 천식 조절 상태 정보를 입력하는 유저(User)의 단말을 의미한다. 또한,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은 서버(100)에 의해서 운영되는 컨텐츠 플랫폼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 받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은 후술한 천식 조절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컨텐츠 플랫폼을 사용하는 불특정 다수의 단말(120)도 천식 조절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로 기재되어 설명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과 불특정 다수의 단말(120)은 서버(100)에 접속하여 컨텐츠 플랫폼에 호흡기 질환의 관리를 위한 정보를 업로드/다운로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플랫폼은 서버(100)에 의해서 운영 또는 동작되는 호흡기 질환자의 증상을 관리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의미한다.
한편, 아래에서 설명하는 호흡기 질환 관리 방법은 일 예를 든 것으로, 컨텐츠 플랫폼 사용자의 다양한 질환에 따른 관리 방법이 각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의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 장치는, 사용자의 사용 약제 정보, 사용 횟수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투약 정보와 천식조절설문 정보 및 PEF(최대호기유량, peak expiratory flow)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천식 조절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환자 정보 획득부(210)와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 또는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에 기초하여 약제를 추가로 사용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 관리부(220) 및 천식 조절 상태 정보, 추가 투약 확인 정보 및 진료 예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230)를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자를 위한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 장치를 제공한다.
환자 정보 획득부(210)는 사용자의 사용 약제 정보, 사용 횟수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투약 정보와 천식조절설문 정보 및 PEF(최대호기유량, peak expiratory flow)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천식 조절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환자 정보 획득부(210)는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사용 약제 정보, 사용 횟수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투약 정보와 PEF(최대호기유량, peak expiratory flow) 기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약제 투약 정보는 의료진에 의해 PC기반의 웹 관리자 또는 단말에 입력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환자 정보 획득부(210)는 사용자의 직접 입력을 통해서 약제 투약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환자 정보 획득부(210)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천식조절설문 정보와 PEF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천식 조절 상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천식 조절 상태 정보는 인자 정보를 더 포함하고, 인자 정보는 인구학적 정보, 흡연 정보, 체질량 정보, 집안 환경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입력 인터페이스는 터치 스크린, 마이크, 버튼 등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듈 또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환자 정보 획득부(210)는 임의의 기간 동안에 서버로 전송된 단말이 제공하는 추가 투약 정보에 따라 약제를 추가 투약하고, 사용자는 추가 투약 사실의 확인을 입력할 수 있다. 환자 정보 획득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관리 요청 신호 또는 추가 투약 확인 정보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서버로부터 기존의 처방되었던 사용자의 약제를 관리 요청 신호가 재입력되기 전에 추가로 더 사용하도록 요청하는 추가 투약 요청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임의의 기간은 1일, 1주일 또는 한달 등으로 결정할 수 있다.
위험 관리부(220)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천식 조절 상태 정보에 따라 약제를 추가로 사용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위험 관리부(220)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사용자를 증상 조절이 필요한 호흡기 환자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증상 조절을 위한 알고리즘을 통해 약제 사용을 증량하도록 지시하고 교육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된 조건은 사용자가 등록된 환자군에 포함되는 경우 및 사용자의 천식 조절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관리 요청 신호의 입력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가 발생되면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미리 등록된 환자군은 천식조절상태를 매일 판단하고 약물 사용 횟수를 조정하는 증상 조절을 위한 알고리즘이 필요한 호흡기 질환자로, 의료진에 의해 선정되어 등록된 사용자일 수 있다.
위험 관리부(220)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 또는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에 기초하여 약제를 추가로 사용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위험 관리부(220)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와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와 인자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값에 기초하여 약제를 추가로 사용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위험 관리부(220)는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가 미리 설정된 점수 이하 또는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가 미리 설정된 지수 이상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약제의 사용 횟수를 1회 추가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위험 관리부(220)는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가 미리 설정된 점수 이상 또는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가 미리 설정된 지수 이하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약제의 사용 횟수를 2회 추가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위험 관리부(220)는 추가 투약 정보의 제공 후 추가 투약 여부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예로, 추가 투약 여부가 확인되면, 추가 투약 확인 정보가 저장 및 전송되어 웹 페이지에서 의료진이 확인할 수 있다.
위험 관리부(220)는 제공되는 추가 투약 정보가 사용 횟수를 2회 추가 인 경우에는 추가 투약 여부가 확인되면, 다시 천식조절설문 정보의 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위험 관리부(220)는 갱신된 천식조절설문의 갱신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의 감소량이 일정 범위 이상으로 판단되면, 위험 관리부(220)의 증상 조절을 위한 알고리즘 수행이 완료될 수 있다. 반면에, 위험 관리부(220)는 갱신된 천식조절설문의 갱신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의 감소량이 일정 범위 이하로 판단되면, 약제의 사용 횟수를 다시 2회 추가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위험 관리부(220)는 추가 투약 정보의 제공 후 추가 투약 여부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고, 추가 투약이 확인되면 천식조절설문 정보의 재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위험 관리부(220)는 재갱신된 상기 천식조절설문의 재갱신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의 감소량이 일정 범위 이상으로 판단되면, 위험 관리부(220)의 증상 조절을 위한 알고리즘 수행이 완료될 수 있다. 반면에, 위험 관리부(220)는 재갱신된 천식조절설문의 재갱신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의 감소량이 일정 범위 이하로 판단되면, 진료를 예약하도록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위험 관리부(220)의 호흡기 환자를 위한 증상 조절 알고리즘의 상세한 내용은 도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송신부(230)는 천식 조절 상태 정보, 추가 투약 확인 정보 및 진료 예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입력한 천식 조절 상태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서 확인된 추가 투약 확인 정보를 서버(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천식 조절 상태 정보를 서버(100)로 1차 전송하고,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추가 투약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투약한 후에, 추가 투약 확인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해주면 입력된 천식 조절 상태 정보와 함께 추가 투약 확인 정보를 서버(100)로 2차로 전송할 수 있다. 송신부(230)는 입력 텍스트, 단말의 위치 정보, 사용자 인증 정보 등을 서버(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에 구성되는 모듈일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240)는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화면을 제공하여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의 전면의 작업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창으로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방식의 터치스크린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40)는 사용자가 직접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되거나, 팝업 등을 통해 확인이 요청되면 확인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위성항법장치(GPS)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기후 정보, 감기 가능 지수 정보 및 폐질환 가능 지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240)는 API 연동을 통해 일자와 시간을 표기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40)는 기상청 API 연동을 통해 온도와 날씨를 아이콘 형태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표기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에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사용자의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에서 서버(100)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회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정보는 성명, ID, 성별, 연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환자 정보 획득부(210)는 의료진이 PC 기반 웹 관리자 또는 단말을 통해 계정을 생성하여 주면 사용자가 회원 생성(310)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회원 생성(310)을 완료하면, 회원 정보를 단말을 통해 직접 입력할 수 있다.
환자 정보 획득부(210)는 서버(100)으로부터 사용 약제 정보(320)를 수신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의료진이 처방한 사용 약제 정보(320)가 직접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약제 정보는 심비코트 라피헬러, 심비코트 뷰헬러, 포스터, 플루티폼 등일 수 있다. 일 예로, 환자 정보 획득부(210)는 사용자가 단말에 출력된 선택 옵션 메뉴(325)를 통해 사용 약제 정보(320)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환자 정보 획득부(210)는 의료진이 계정 생성시 입력한 사용 약제 정보(320)를 회원 생성을 완료하면 수신할 수 있다.
환자 정보 획득부(210)는 서버(100)으로부터 사용 약제 정보(320) 및 증상에 따른 사용 횟수(330)를 수신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사용 횟수(330)를 직접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횟수(330)는 증상 발생시 사용, 하루 1번 1회, 1회씩 아침/저녁, 하루 1번 2회, 2회씩 아침/저녁 등일 수 있다. 일 예로, 환자 정보 획득부(210)는 사용자가 단말에 출력된 선택 옵션 메뉴(335)를 통해 사용 횟수(330)를 선택할 수 있다.
환자 정보 획득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 시간(340)을 입력받아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 시간(340)은 사용 횟수(330)에 따라 입력창 개수에 맞게 시간 입력창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환자 정보 획득부(210)는 PEF 기준 정보(350)를 더 획득할 수 있고, 일 예로, PEF 기준 정보(350)는 증상이 없을 때의 최대치 혹은 추정 정상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PEF 기준 정보(350)는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입력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에서 천식 조절 상태 정보를 입력하고 GPS 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사용자의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에서 사용자의 천식 조절 상태 정보 및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환경 정보(400)는 하루 1회 위성항법장치(GPS)에 기초하여 기상청으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별 날씨, 기온, 습도, 바람, 강수량, 미세먼지, 오존, 황사 농도, 알레르기 정보일 수 있다. 또는 환경 정보(400)는 기상청의 보건기상지수에서 연동된 감기가능 지수 또는 폐질환 가능 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환경 정보(400)는 사용자로부터 화면 터치 등 신호가 입력되면,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의 위성항법장치(GPS)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감지하고,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기상청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은 환자 정보 획득부(210)로부터 획득한 약제 투약 정보(41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은 입력한 약제 사용법에 따른 복용 시간에 약제 복용 팝업 창(420)을 통해 약제 투약 정보(41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약제 복용 팝업 창(420)은 사용자가 복용했다고 확인을 누르면 투약 확인 정보가 저장되어, 의료진의 웹 관리자에도 연동되고 사용자의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에 복용 아이콘이 생성 될 수 있다.
위험 관리부(2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의 알고리즘 on/off 버튼(430)이 활성화되면, 사용자가 위험 관리부(220)의 동작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위험 관리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천식조절설문 정보(440)를 입력 받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천식조절설문 정보(440)는 ACQ-6 항목에 해당할 수 있다. 천식조절설문 정보의 상세한 내용은 도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위험 관리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측정된 PEF(최대호기유량, peak expiratory flow) 측정 정보(450)를 입력 받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PEF 측정 정보(450)는 사용자가 PEF 측정기를 통해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텍스트로 입력할 수 있다.
위험 관리부(220)는 사용자로부터 관리 요청 신호(460)가 입력되면 실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위험 관리부(220)는 사용자가 의료진에 의해 미리 등록된 환자군에 포함되고, 사용자로부터 관리 요청 신호(460)가 입력되면 증상 조절을 위한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위험 관리부(220)는 사용자가 의료진에 의해 미리 등록된 환자군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사용자로부터 관리 요청 신호(460)가 입력되고 사용자의 천식 조절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증상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증상 조절을 위한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에서 천식 조절 설문 정보를 입력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에서 사용자의 천식조절설문 정보(440)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천식조절설문 정보(440)는 사용자가 ACQ-6 항목 별로 점수를 선택 입력하여 획득하는 것으로, 천식조절설문 정보(440)에 포함되는 각 항목의 점수를 더해서 항목 수로 나누어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천식조절설문 정보(440)는 사용자가 초기에 입력하되, 위험 관리부(220)의 증상 조절을 위한 알고리즘 수행 과정에서 추가로 입력되어 추가 투약에 따른 경과 모니터링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를 위한 증상 조절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험 관리부(220)는 증상 조절을 위한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위험 관리부(220)는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 또는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에 기초하여 약제를 추가로 사용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610). 일 예로, 위험 관리부(220)는 사용자가 ACQ-6 항목 별로 선택한 점수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가 미리 설정된 점수 이상에 해당되거나, 사용자가 PEF 측정기를 통해 측정 후 입력한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가 미리 설정된 지수 미만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추가 투약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ACQ-6 항목 별로 선택한 점수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는 사용자가 6개의 항목 별로 선택한 점수를 더해서 항목 수인 6으로 나누어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는 사용자가 측정한 PEF 측정 정보를 환자 정보 획득부(210)에서 획득한 PEF 기준 정보로 나누어 100을 곱한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점수는 1.5 일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지수는 60%일 수 있다.
일 예로, 위험 관리부(220)는 ACQ-6 항목으로 산출된 점수를 이용하여 설정된 값, PEF 측정 정보로 산출된 지수를 이용하여 설정된 값 및 상기 인자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값의 합에 기초하여 약제를 추가로 사용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610). 일 예로, 위험 관리부(220) 는 ACQ-6 항목으로 산출된 점수를 이용하여 설정된 값, PEF 측정 정보로 산출된 지수를 이용하여 설정된 값 및 상기 인자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값의 합을 미리 설정된 값(A)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약제의 사용 횟수를 변경하여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 관리부(220)는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가 1.5 이상에 해당되면 설정 값을 1로 설정하고, 1.5 미만에 해당되면 설정 값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위험 관리부(220)는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가 60% 미만이면 설정 값을 1로 설정하고, 60%이상이면 설정 값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위험 관리부(220)는 인자 정보를 이용하여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 관리부(220)는 인구학적 정보, 흡연 정보, 체질량 정보, 집안 환경 정보 및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인자 정보 각각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ai 는 가중 평균이고, xi 는 각각의 인자 정보의 index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인구학적 정보는 나이, 성별, 직업군, 거주지일 수 있고, 흡연 정보는 현재, 과거 흡연 여부 및 흡연량일 수 있다. 또한, 집안 환경 정보는 요리(주당 횟수, 환풍기 사용력), 헤어스프레이 사용 여부일 수 있고, 환경 정보는 미세 먼지, 온도, 습도, 자외선 농도와 같은 기상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위험 관리부(220)는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된 값을 기준으로 약제를 추가로 사용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ZACQ-6(X1)는 ACQ-6 항목으로 산출된 점수를 이용한 설정 값이고, ZPEF(X2)는 PEF 측정 정보로 산출된 지수를 이용한 설정 값에 해당한다.
위험 관리부(220)는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가 미리 설정된 점수 미만 또는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가 미리 설정된 지수 이상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약제의 사용 횟수를 1회 추가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660). 일 예로, 위험 관리부(220)는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를 이용한 설정 값과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를 이용한 설정 값과 인자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값의 합이 미리 설정된 값(A) 이상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약제의 사용 횟수를 1회 추가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위험 관리부(220)는 약제의 사용 횟수를 1회 추가하도록 화면에 표시하거나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위험 관리부(220)는 약제의 사용 횟수 1회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한 후에 추가 투약 여부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S670). 또한, 위험 관리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추가 투약 여부 확인을 입력 받을 수 있다(S680). 일 예로, 위험 관리부(220)는 사용자가 추가 투약 여부 확인을 입력하면, 일정 시간 후에 추가 투약 여부를 확인하는 푸시 메시지를 자동 발송할 수 있다. 또는 위험 관리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추가 투약 여부 확인이 입력되면, 이를 저장하고,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에, 위험 관리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추가 투약 여부 확인이 입력되지 않으면 약제의 사용 횟수를 1회 추가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다시 제공할 수 있다.
위험 관리부(220)는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가 미리 설정된 점수 이상 또는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가 미리 설정된 지수 미만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약제의 사용 횟수를 2회 추가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620). 일 예로,위험 관리부(220)는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를 이용한 설정 값과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를 이용한 설정 값과 인자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값의 합이 미리 설정된 값(A) 미만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약제의 사용 횟수를 2회 추가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위험 관리부(220)는 약제의 사용 횟수 2회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한 후에 추가 투약 여부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S630). 일 예로, 위험 관리부(220)는 사용자가 추가 투약 여부 확인을 입력하면, 천식조절설문 정보 입력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반면에, 위험 관리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추가 투약 여부 확인이 입력되지 않으면 약제의 사용 횟수를 2회 추가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다시 제공할 수 있다.
위험 관리부(220)는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다시 입력하도록 사용자에게 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S640). 위험 관리부(220)는 사용자로부터 다시 입력된 천식조절설문 갱신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의 감소량이 일정 범위 미만에 해당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650). 일 예로, 사용자가 다시 입력한 점수가 0.5 이상 감소한 상태에 해당되면, 위험 관리부(220)의 증상 조절을 위한 알고리즘의 수행이 종료될 수 있다.
반면에, 위험 관리부(220)는 사용자로부터 다시 입력된 점수의 감소량이 0.5 미만 상태에 해당되면 진료 예약 요청을 할 수 있다(S690). 일 예로, 진료 예약 요청은 진료 예약 전화 걸기 버튼이 활성화 되거나 진료 예약이 가능한 화면으로 전환 될 수 있다. 또한, 진료 예약이 완료되면, 위험 관리부(220)의 증상 조절을 위한 알고리즘의 수행이 종료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에서 추가 투약 정보를 확인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은 위험 관리부(220)로부터 제공되는 추가 투약 정보(470)를 확인하고 추가 투약 여부 확인(710)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예로, 위험 관리부(220)는 사용자가 제공되는 추가 투약 정보에 따라 추가 투약을 했는지를 팝업(730)을 통해 확인을 재요청 할 수 있다. 또는 위험 관리부(220)는 사용자가 추가 투약 여부 확인을 입력함에 따라 천식조절설문 정보 입력 화면으로 전환을 안내하는 팝업(720)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이 수행할 수 있는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은 환자 정보 획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810). 일 예로,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은 사용자의 사용 약제 정보, 사용 횟수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투약 정보와 천식조절설문 정보 및 PEF(최대호기유량, peak expiratory flow)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천식 조절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은 인구학적 정보, 흡연 정보, 체질량 정보, 집안 환경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자 정보를 천식 조절 상태 정보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은 위험 관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820). 일 예로,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 또는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에 기초하여 약제를 추가로 사용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은 미리 등록된 환자군에 사용자가 포함되는 경우 및 천식 조절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관리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가 발생되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은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가 미리 설정된 점수 미만 또는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가 미리 설정된 지수 이상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약제의 사용 횟수를 1회 추가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하고, 환자의 추가 투약 여부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반면에,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은 산출된 점수가 미리 설정된 점수 이상 또는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가 미리 설정된 지수 미만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약제의 사용 횟수를 2회 추가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추가 투약 여부 확인을 요청하되, 추가 투약이 확인되면 천식조절설문 정보의 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은 갱신된 천식조절설문의 갱신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의 감소량이 일정 범위 미만으로 판단되면, 약제의 사용 횟수를 2회 추가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추가 투약 여부 확인을 요청하되, 추가 투약이 확인되면 천식조절설문 정보의 재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은 재갱신된 천식조절설문의 재갱신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의 감소량이 일정 범위 미만로 판단되면, 진료를 예약하도록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은 정보 송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830).
일 예로,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은 천식 조절 상태 정보, 추가 투약 확인 정보 및 진료 예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이 도8 에서와 같은 절차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개시의 본질적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현 방식에 따라 각 단계의 수행 절차가 바뀌거나 둘 이상의 단계가 통합되거나 하나의 단계가 둘 이상의 단계로 분리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전술한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사용 약제 정보, 사용 횟수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투약 정보와 천식조절설문 정보 및 PEF(최대호기유량, peak expiratory flow)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천식 조절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환자 정보 획득 기능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 또는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에 기초하여 약제를 추가로 사용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 관리 기능 및 천식 조절 상태 정보, 추가 투약 확인 정보 및 진료 예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 기능을 실행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은,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에 포함되거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되거나 호환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의 운영체제와 호환 가능하고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의 운영체제는, 데스크 탑 등의 일반 PC에 설치되는 윈도우(Window), 매킨토시(Macintosh), 리눅스(Linux) 등의 운영체제이거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iOS, 안드로이드(Android), 윈도우 모바일 등의 모바일 전용 운영체제 등일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은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110)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은, 환자 정보 획득 기능, 위험 관리 기능과 송신 기능 등을 실행한다. 이뿐만 아니라, 도1 내지 도8 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에 대응되는 모든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Web Server)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으며, 프로그램을 기록한 다른 컴퓨터 또는 그 저장매체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만약,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웹 서버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된 이후,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개시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개시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사용자의 사용 약제 정보, 사용 횟수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투약 정보와 천식조절설문 정보 및 PEF(최대호기유량, peak expiratory flow)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천식 조절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환자 정보 획득부;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 또는 상기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에 기초하여 약제를 추가로 사용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 관리부; 및
    상기 천식 조절 상태 정보, 추가 투약 확인 정보 및 진료 예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식 조절 상태 정보는,
    인자 정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자 정보는,
    인구학적 정보, 흡연 정보, 체질량 정보, 집안 환경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점수를 이용하여 설정된 값, 상기 지수를 이용하여 설정된 값 및 상기 인자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값의 합에 기초하여 약제를 추가로 사용하도록 상기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정보 획득부는,
    임의의 기간 동안에 상기 서버로 전송된 상기 추가 투약 확인 정보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약제를 추가로 사용하도록 요청하는 추가 투약 요청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관리부는,
    미리 등록된 환자군에 상기 사용자가 포함되는 경우 및 상기 천식 조절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관리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가 발생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관리부는,
    상기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가 미리 설정된 점수 미만 또는 상기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가 미리 설정된 지수 이상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약제의 사용 횟수를 1회 추가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하고, 환자의 추가 투약 여부 확인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관리부는,
    상기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가 미리 설정된 점수 이상 또는 상기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가 미리 설정된 지수 미만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약제의 사용 횟수를 2회 추가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추가 투약 여부 확인을 요청하되, 추가 투약이 확인되면 상기 천식조절설문 정보의 갱신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관리부는,
    갱신된 상기 천식조절설문의 갱신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의 감소량이 일정 범위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약제의 사용 횟수를 2회 추가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추가 투약 여부 확인을 요청하되, 추가 투약이 확인되면 상기 천식조절설문 정보의 재갱신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관리부는,
    재갱신된 상기 천식조절설문의 재갱신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의 감소량이 일정 범위 미만으로 판단되면, 진료를 예약하도록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10. 제 1항에 있어서,
    위성항법장치(GPS)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기후 정보, 감기 가능 지수 정보 및 폐질환 가능 지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11. 사용자의 사용 약제 정보, 사용 횟수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투약 정보와 천식조절설문 정보 및 PEF(최대호기유량, peak expiratory flow)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천식 조절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환자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 또는 상기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에 기초하여 약제를 추가로 사용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 관리 단계; 및
    상기 천식 조절 상태 정보, 추가 투약 확인 정보 및 진료 예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관리 단계는,
    상기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가 미리 설정된 점수 이상 또는 상기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가 미리 설정된 지수 미만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약제의 사용 횟수를 2회 추가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추가 투약 여부 확인을 요청하되, 추가 투약이 확인되면 상기 천식조절설문 정보의 갱신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관리 단계는,
    갱신된 상기 천식조절설문의 갱신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의 감소량이 일정 범위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약제의 사용 횟수를 2회 추가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추가 투약 여부 확인을 요청하되, 추가 투약이 확인되면 상기 천식조절설문 정보의 재갱신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관리 단계는,
    재갱신된 상기 천식조절설문의 재갱신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의 감소량이 일정 범위 미만로 판단되면, 진료를 예약하도록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
  15. 단말의 호흡기 질환자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 약제 정보, 사용 횟수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약제 투약 정보와 천식조절설문 정보 및 PEF(최대호기유량, peak expiratory flow)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천식 조절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환자 정보 획득 기능;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천식조절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점수 또는 상기 PEF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에 기초하여 약제를 추가로 사용하도록 추가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 관리 기능; 및
    상기 천식 조절 상태 정보, 추가 투약 확인 정보 및 진료 예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00151801A 2020-11-13 2020-11-13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방법 및 기록매체 KR102524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801A KR102524619B1 (ko) 2020-11-13 2020-11-13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방법 및 기록매체
KR1020230050839A KR20230054655A (ko) 2020-11-13 2023-04-18 맞춤형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단말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801A KR102524619B1 (ko) 2020-11-13 2020-11-13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방법 및 기록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0839A Division KR20230054655A (ko) 2020-11-13 2023-04-18 맞춤형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단말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374A true KR20220065374A (ko) 2022-05-20
KR102524619B1 KR102524619B1 (ko) 2023-04-20

Family

ID=818018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801A KR102524619B1 (ko) 2020-11-13 2020-11-13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방법 및 기록매체
KR1020230050839A KR20230054655A (ko) 2020-11-13 2023-04-18 맞춤형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단말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0839A KR20230054655A (ko) 2020-11-13 2023-04-18 맞춤형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단말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2461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473A (ko) * 2007-06-12 2009-01-12 주식회사 알엑스커뮤니케이션즈 문진을 이용한 질환추정 및 치료효과 관리시스템 및 그방법
KR20110126646A (ko) * 2009-02-06 2011-11-23 비안카메드 리미티드 만성 질환 모니터링용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2464A (ko) * 2010-12-24 2012-07-04 주식회사 케이티 환자 및 의료진을 위한 모바일 기반 천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29662A (ko) * 2012-05-21 2013-11-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만성 심질환의 임상의사결정지원 방법
US20150269348A1 (en) * 2014-03-24 2015-09-24 AsthmaM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ealth management
KR20190115330A (ko) * 2018-04-02 2019-10-11 주식회사 씨씨앤아이리서치 만성 호흡기 질환의 급성 악화 예측용 애플리케이션
KR20200100260A (ko) * 2019-02-16 2020-08-26 주식회사 슈가브릭스 개인 환경 맞춤형 천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단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200113339A (ko) * 2019-03-25 2020-10-07 (주)아이쿱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473A (ko) * 2007-06-12 2009-01-12 주식회사 알엑스커뮤니케이션즈 문진을 이용한 질환추정 및 치료효과 관리시스템 및 그방법
KR20110126646A (ko) * 2009-02-06 2011-11-23 비안카메드 리미티드 만성 질환 모니터링용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2464A (ko) * 2010-12-24 2012-07-04 주식회사 케이티 환자 및 의료진을 위한 모바일 기반 천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29662A (ko) * 2012-05-21 2013-11-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만성 심질환의 임상의사결정지원 방법
US20150269348A1 (en) * 2014-03-24 2015-09-24 AsthmaM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ealth management
KR20190115330A (ko) * 2018-04-02 2019-10-11 주식회사 씨씨앤아이리서치 만성 호흡기 질환의 급성 악화 예측용 애플리케이션
KR20200100260A (ko) * 2019-02-16 2020-08-26 주식회사 슈가브릭스 개인 환경 맞춤형 천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단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200113339A (ko) * 2019-03-25 2020-10-07 (주)아이쿱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4619B1 (ko) 2023-04-20
KR20230054655A (ko)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8365B1 (en) Patient engagement with clinical trial participants through actionable insights and customized health information
KR102293340B1 (ko) 생리학적 데이터의 제시
US20020022973A1 (en)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patient interface appliance
US201501994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oftware kit for diagnostics
AbdulGhaffar et al. Internet of things based multiple disease monitoring and health improvement system
US20220020487A1 (en) Processing of Portable Device Data
JP2021508112A (ja) 患者呼吸器疾患データとのインタラクションのための動的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JP2009512929A (ja) 再帰的教育:客観的データまたは主観的データにリンクした教材の自動配信方法
WO2023202373A1 (zh) 疾病管理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电子设备
US201502693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ealth management
US20110087503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patients incentives for healthy behaviors
JP2019087196A (ja) 診療科推奨プログラム、診療科推奨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hoong Policy considerations to ensure telemedicine equity: perspective examines policy considerations to ensure telemedicine equity.
CA31731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health-related messages regarding ventilated patients
JP7284580B2 (ja) 環境中のアレルゲン濃度を示す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3241180A (zh) 健康管理方法和装置
KR102524619B1 (ko)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방법 및 기록매체
KR20210135403A (ko) 인터넷 기반의 건강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1919236B1 (ko) 스마트 요양간호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Wun et al. A curvilinear nomogram of peak expiratory flow rate for the young
Aiken et al. Self-managed medication abortion: variation in knowledge, interest and motivations among abortion clients across three Texas cities
KR102560437B1 (ko) 인공지능 기반의 디지털 헬스케어 장치 및 그를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
JP7264953B2 (ja) 生理学的データの提示
WO2021159804A1 (zh) 信息推荐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240058401A (ko)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능동형 대화 에이전트를 이용한 환자의 내원 일정을 능동적으로 예약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주치의 주도적 내원 권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