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738A -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4738A
KR20220064738A KR1020200151167A KR20200151167A KR20220064738A KR 20220064738 A KR20220064738 A KR 20220064738A KR 1020200151167 A KR1020200151167 A KR 1020200151167A KR 20200151167 A KR20200151167 A KR 20200151167A KR 20220064738 A KR20220064738 A KR 20220064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robot
terminal
notification system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진
박효정
이나린
최창인
Original Assignee
강명진
박효정
이나린
최창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진, 박효정, 이나린, 최창인 filed Critical 강명진
Priority to KR1020200151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4738A/ko
Publication of KR20220064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7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4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e.g. through the touch sen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72Voice signal separat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6Transformation of speech into a non-audible representation, e.g. speech visualisation or speech processing for tactile a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Otolaryng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Neur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nipulator (AREA)
  • Toy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은 소리를 감지하여 소리에 따른 정보를 판별하는 소리 판별 로봇, 상기 소리 판별 로봇과 이격되어, 사용자에게 소리에 따른 정보를 전달하는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말기는 소리에 대한 정보를 시각 신호 또는 촉각 신호로 전환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SOUND RECOGNITION AND NO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에 대해 개시한다.
정보화 시대에 들어서면서, 정보 통신의 접근은 의사소통 및 정보획득의 수단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핵심요소로 인식되고, 이에 대한 접근이 배제되면 사회적 참여에 불이익이 커진다. 이에, 정보화 취약계층에 대해 사회적 배려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청각 장애인들이 건물 안팎에서 지진, 화재 등 천재지변과 같은 급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곧바로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여 바로 문제 상황에 대처할 수 없어 사고가 나는 사례들이 많다. 또한, 청각 장애인들이 가전기기 사용할 때 소리를 듣지 못하여 불편함을 겪는 경우가 많다.
더구나, 수명 증가로 노인층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여 노화로 인한 난청을 겪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이어폰 및 헤드폰 사용으로 인해 소음성 난청을 겪는 청년층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난청을 겪는 사람들을 위한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청각 장애인들을 위하여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사물 인터넷을 활용하는 기술이 발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1605796호는 청각 장애인용 의사소통 보조 시스템에 대해 개시한다. 상기 발명은 청각 장애인이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비장애인에게 음성 정보로 전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청각 장애인 등 사용자가 주변 환경에 발생하는 소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AI 엔진을 통해 주변 환경의 다양한 소리를 인식하는 소리 판별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가 단말기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격된 거리에 있는 현장에 대한 정보를 취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은 소리를 감지하여 소리에 따른 정보를 판별하는 소리 판별 로봇, 상기 소리 판별 로봇과 이격되어, 사용자에게 소리에 따른 정보를 전달하는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말기는 소리에 대한 정보를 시각 신호 또는 촉각 신호로 전환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소리 판별 로봇은 주변 소리를 인식하는 소리인식부, 인식한 소리에 대해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소리 판별 로봇은 상기 소리인식부를 통해 특정 소리를 AI 엔진을 통해 학습하고, 실시간으로 인식한 소리를 미리 학습한 소리들과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그 소리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화면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는, LED를 통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단말기의 부착부분에 진동 모터가 내장된 진동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소리 판별 로봇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있어 사용자가 착용한 상기 단말기를 통해 소리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소리 판별 로봇은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 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촬영부를 통해 상기 소리 판별 로봇은 상기 주변 환경을 스트리밍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에 영상을 송출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소리 판별 로봇은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 센서 및 상기 소리 판별 로봇의 움직임을 구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소리 판별 로봇이 주변 환경을 상기 촬영부를 통해 스트리밍 촬영을 할 때 센서를 통해 방향을 잡고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은 청각 장애인 등 사용자가 주변 환경에 발생하는 소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은 AI 엔진을 통해 주변 환경의 다양한 소리를 인식하는 소리 판별 로봇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은 사용자가 단말기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격된 거리에 있는 현장에 대한 정보를 취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의 소리 판별 로봇을 개락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의 단말기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판별 로봇이 작동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작동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판별 로봇이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1)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1)은 소리를 감지하여 소리에 따른 정보를 판별하는 소리 판별 로봇(10), 및 소리 판별 로봇과 이격되어, 사용자에게 소리에 따른 정보를 전달하는 단말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통해 소리 판별 로봇(10) 및 단말기(20)에 대해 설명하고 도 1에 대해 자세히 후술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1)의 소리 판별 로봇(10)을 개락적으로 나타낸다.
소리 판별 로봇(10)은 주변 소리를 인식하는 소리인식부(110), 인식한 소리에 대해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표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인식부(110)는 마이크일 수 있고, 화면표시부(120)는 LCD일 수 있다.
소리 판별 로봇(10)은 소리인식부(110)를 통해 특정 소리를 AI 엔진을 통해 학습하고, 실시간으로 인식한 소리를 미리 학습한 소리들과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그 소리에 대한 정보를 화면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소리 판별 로봇(10)은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 촬영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촬영부(130)를 통해 소리 판별 로봇(10)은 주변 환경을 스트리밍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에 영상을 송출할 수 있다. 촬영부(130)는 예를 들어 카메라일 수 있다.
소리 판별 로봇(10)은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 센서 및 상기 소리 판별 로봇의 움직임을 구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소리 판별 로봇(10)이 주변 환경을 촬영부(130)를 통해 스트리밍 촬영을 할 때 센서를 통해 방향을 잡고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140)는 예를 들어 바퀴일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1)의 단말기(20)를 나타낸다.
단말기(20)는, LED를 통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210), 단말기(20)의 부착부분에 진동 모터가 내장된 진동발생부(220)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소리 판별 로봇(10)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있어 사용자가 착용한 상기 단말기(20)를 통해 소리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단말기(20)는 예를 들어 손목 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10)에서, 소리 판별 로봇(10)은 건물 안팎 등 주변 환경에서 발생한 다양한 소리를 마이크 등 소리인식부(110)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그 다음, 소리 판별 로봇(10)은 인식한 특정한 소리를 AI 엔진을 통해 미리 학습하고 실행 코드를 받아 라떼판다 등 개발 보드로 제작된 소리인식 제어기를 통해 소리 판별 로봇(10)의 화면표시부(120)에 소리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판별 로봇(10)은 AI엔진(Teachable machine)으로 집 안의 특정 소리를 3분씩 각기 다른 상황(1m 거리에서 소리가 발생한 상황, 2m 이상 떨어져 있는 거리에서 소리가 발생한 상황 등)에서 녹음하는 방법으로 학습시키고, 학습된 소리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소리 판별 로봇(10)은 소리인식부(1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주변 소리를 수집하고, 실시간 소리와 미리 학습시킨 소리와의 일치율을 모델에서 실시간으로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출력할 수 있다. 소리 판별 로봇(10)이 자바스크립트(Java Script)를 사용하여 학습된 소리와 실시간 소리와의 일치율이 0.95 이상일 경우 소리가 인식되었다고 판단하고, 인식된 소리의 정보를 알려주는 HTML을 제작할 수 있다.
동시에, 소리인식 제어기로부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단말기(20)는 소리에 대한 정보를 시각 신호 또는 촉각 신호로 전환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말기(20)의 발광부(210)와 진동발생부(220)가 작동되어 사용자가 소리 발생 여부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소리 판별 로봇(10)은 소리가 인식되었다고 판단하여 HTML에 소리 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시리얼 통신으로 HTML에서 소리인식 제어기(라떼판다)로 각 소리별 정수값(0,1,2)을 전송하고, 소리인식 제어기(라떼판다)가 수신된 정수값(0,1,2)을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단말기(20)의 손목밴드 제어기(Cortex m4)에 전송하여 값에 따른 LED 발광부(210)를 깜빡이고, 진동모터(2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발광부(210)의 LED에는 소리의 급함 정도에 따라서 색이 구분될 수 있다. 집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 중 사용자의 목숨이 위협될 만큼 급한 상황(ex. 화재 경보음이 발생한 경우)은 빨간색, 목숨이 위협될 정도는 아니지만 급하게 확인해야할 경우(ex. 초인종 소리가 발생한 경우)는 노란색, 급하진 않지만 확인해야할 경우(ex. 전자레인지 알림음이 발생한 경우)는 초록색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값은 0,1,2 총 3개가 있고, 0이 빨간색으로 정한 소리를 표시하는 값, 1은 노란색으로 정한 소리를 표시하는 값, 2는 초록색으로 정한 소리를 표시하는 값으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소리 판별 로봇(10)은 주변 환경을 따라 움직이며 카메라 등 촬영부(130)로 집 안 내부를 촬영한 영상을 핸드폰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에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판별 로봇(10)은 적외선 센서 3개를 모터 제어기(Cortex m4)와 연결하여 적외선 센서값을 1초마다 받아들이고, 센서값이 3000중 후반의 값이면 검정색 선, 200~300값이면 흰색 선으로 구분하여 로봇이 검은색 선만을 따라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소리 판별 로봇(10)이 라인 트레이서 동작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카메라로 집 안을 촬영하는 것을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스트리밍 할 수 있도록 TCP/IP 통신을 사용하여 모터 제어기(Cortex m4)와 카메라가 연결되어 있는 소리인식 제어기(라떼판다)에 신호를 보내 모터 구동부와 촬영부(130)를 작동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판별 로봇(10)이 작동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소리 판별 로봇(10)은 집 안에서 발생하는 특정 소리(ex. 초인종 소리, 재난 경보음 소리 등)를 AI엔진에 미리 학습할 수 있다. 소리 판별 로봇(10)이 AI엔진에 학습시킨 집 안의 다양한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S11).
소리 판별 로봇(10)은 소리인식부(1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소리를 수집하고 실시간으로 인식되는 소리와 미리 학습시킨 특정 소리 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
소리 판별 로봇(10)이 소리가 일치하다고 판단되면 소리 판별 로봇(10)의 화면표시부(120)에 특정 소리의 발생 여부를 표시할 수 있고 단말기(20)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3).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가 작동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소리 판별 로봇(10)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있을 때, 소리 판별 로봇(10)이 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 소리 판별 로봇(10)이 AI 엔진에 학습된 소리와 일치하면 소리인식 제어기인 라떼판다에서 손목밴드 제어기(Cortex M4)인 단말기(20)로 블루투스 통신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21).
단말기(20)는 위 신호가 수신되면, 발광부(210) 및 진동발생부(220)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소리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S22). 이 때, 소리의 급함 정도에 따라 LED들이 켜질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판별 로봇(10)이 주변 환경을 순찰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소리 판별 로봇(10)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있을 때, 소리 판별 로봇(10)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집 안 내부 상황 등과 같은 주변 환경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집 안에서 초인종 소리가 났을 경우와 같은 긴급하거나 위험 상황을 대비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사용자가 이격된 거리에 있는 소리 판별 로봇(10)을 작동시키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의 실시간 버튼을 누를 수 있다(S31).
이에, 소리 판별 로봇(10)이 예를 들어 거실에 부착한 라인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동시에 소리 판별 로봇(10)이 동작할 때 소리 판별 로봇(10)의 상부에 있는 촬영부(130)로 예를 들어 집 안 내부를 촬영하는 것을 애플리케이션으로 실시간 스트리밍할 수 있다(S32).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1)은 소리 판별 로봇(10)의 AI 엔진을 사용하여 학습시킨 소리와 실시간으로 인식한 소리의 일치율이 95% 이상일 때 어떤 소리가 났는지 소리의 정보를 화면표시부(120)에 표시해 주고, 동시에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단말기(20)로 신호를 보내 소리의 급함 정도에 따른 발광부(210)와 진동발생부(220)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소리의 위험도에 따라 즉각적인 반응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1)을 통해, 청각장애인이 듣지 못해 생길 수 있는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다. 청각장애인의 비율은 높아지는 추세이지만, 그들을 보조할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1)이 활성화된다면 보조할 인력 부족 상황을 해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청각 장애인뿐만 아니라 청력이 감퇴한 노인층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10)은 청각 장애인에게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고, 적응 기간이 없고, 사용 기간이 길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10)은 청력 손상으로 청력을 완전히 잃은 청각 장애인에게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보편성이 있고, 각각의 센서를 따로 보유할 필요 없는 간편함이 있는 차별성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10)의 소리 판별 로봇은 건물 안 외부,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인식하고 AI 엔진을 통하여 판단하여 청각 장애인에게 사용자가 판단하는 데에 필요한 소리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알려주므로 청각 장애인의 대처 능력 향상 및 원활한 정보 전달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10)은 사용자가 단말기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격된 거리에 있는 현장에 대한 정보를 취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효과는 청각 장애인들이 불편함을 덜 겪게 되어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
10: 소리 판별 로봇
110: 소리인식부(마이크)
120: 화면표시부(LCD)
130: 촬영부(카메라)
140: 이동부(바퀴)
20: 단말기(손목 밴드)
210: 발광부(LED)
220: 진동발생부(진동모터)
U: 사용자

Claims (5)

  1. 소리를 감지하여 소리에 따른 정보를 판별하는 소리 판별 로봇; 및
    상기 소리 판별 로봇과 이격되어, 사용자에게 소리에 따른 정보를 전달하는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소리에 대한 정보를 시각 신호 또는 촉각 신호로 전환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판별 로봇은
    주변 소리를 인식하는 소리인식부;
    인식한 소리에 대해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 판별 로봇은 상기 소리인식부를 통해 특정 소리를 AI 엔진을 통해 학습하고, 실시간으로 인식한 소리를 미리 학습한 소리들과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그 소리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화면표시부에 표시하는,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LED를 통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단말기의 부착부분에 진동 모터가 내장된 진동발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소리 판별 로봇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있어 사용자가 착용한 상기 단말기를 통해 소리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판별 로봇은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 촬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를 통해 상기 소리 판별 로봇은 상기 주변 환경을 스트리밍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에 영상을 송출할 수 있는,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판별 로봇은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 센서 및 상기 소리 판별 로봇의 움직임을 구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 판별 로봇이 주변 환경을 상기 촬영부를 통해 스트리밍 촬영을 할 때 센서를 통해 방향을 잡고 이동할 수 있는,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


KR1020200151167A 2020-11-12 2020-11-12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 KR202200647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167A KR20220064738A (ko) 2020-11-12 2020-11-12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167A KR20220064738A (ko) 2020-11-12 2020-11-12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738A true KR20220064738A (ko) 2022-05-19

Family

ID=8180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167A KR20220064738A (ko) 2020-11-12 2020-11-12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47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2699B2 (en) Ear associated machine-human interface
US8606316B2 (en) Portable blind aid device
ES2971050T3 (es) Método y dispositivo de notificación
KR101610026B1 (ko) 하이브리드형 방범용 가로등시스템
JP6481210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531460A6 (ja) 通知装置及び通知方法
US7839290B2 (en) Sonic building rescue beacon
US20090296948A1 (en) MPD custom ear communication device
CN113194383A (zh) 一种声音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1814171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비상전화 시스템
KR102106754B1 (ko) 비상 사고 방송 안내를 위한 지능형 멀티 인터콤 방송시스템
KR20220064738A (ko) 소리 인식 및 알림 시스템
KR20170037753A (ko) 청각장애인용 알림 장치
JP2008113396A (ja) ドアホンシステム及び玄関子機
KR101412793B1 (ko) 보안기능이 구비된 인형
EP2983148B1 (en) Voice-sensitive emergency alert system
KR101678396B1 (ko) 청각장애인용 호출 시스템
JP6352994B2 (ja) ユーザの照明嗜好に基づいて照明システムを操作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113419B1 (ko) 영상통화 자동전환을 이용한 재난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JP6586617B2 (ja) 音声認識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879641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5107895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セキュリティ方法
WO2017190803A1 (en) Ambient sound monitoring and visualizing system for hearing impaired persons
KR20230021490A (ko) 시각을 이용한 청각 보조 시스템 및 청각 보조 방법
KR102297513B1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입체 음향 스피커 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