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531A - 디퓨져 - Google Patents
디퓨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64531A KR20220064531A KR1020200150684A KR20200150684A KR20220064531A KR 20220064531 A KR20220064531 A KR 20220064531A KR 1020200150684 A KR1020200150684 A KR 1020200150684A KR 20200150684 A KR20200150684 A KR 20200150684A KR 20220064531 A KR20220064531 A KR 202200645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ffusion
- unit
- fluid
- diffuser
-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유체의 흐름을 생성하는 송풍팬이 설치되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와 이격 설치되어 상기 송풍부에서 전달되는 유체를 외부로 확산시키는 확산부 및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부와 상기 확산부를 연결하여 상기 송풍부에서 발생되는 유체의 흐름을 상기 확산부로 전달하며, 일단부의 중심에 결합홀이 형성되어 발향부가 끼움 결합되어 유체가 상기 발향부를 지나면서 외부로 확산되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퓨져(Diffuser)는 주거 공간 및 회사 사무실, 화장실, 음식점 등에서 불쾌한 냄새의 제거 및 사용자의 심신의 안정, 기분 전환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디퓨져가 향기를 제공하는 방식은 가스의 높은 압력을 이용하여 향기를 분사시키는 가스배출방식과, 용기에 담긴 고체 또는 젤 상태의 향료가 휘산되어 제공되는 휘산 방식, 액체 향료를 물리적으로 가압 분사하는 분사방식이 있다.
이러한, 디퓨져는 실내에 공기의 흐름 속도가 느려, 내부 공간에 확산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송풍팬을 통해 향료가 분사되면, 디퓨져의 향료가 직접 공기에 분사됨에 따라, 너무 많은 양의 향료가 공기 중으로 분사되어, 강한 냄새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공기를 향료와 간접적으로 접촉시켜, 향료가 외부에 분사될 때, 과도하게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송풍팬과 향료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향료의 과도한 분사를 방지하면서 향료가 효과적으로 사방에 확산될 수 있는 디퓨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유체의 흐름을 생성하는 송풍팬이 설치되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와 이격 설치되어 상기 송풍부에서 전달되는 유체를 외부로 확산시키는 확산부 및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부와 상기 확산부를 연결하여 상기 송풍부에서 발생되는 유체의 흐름을 상기 확산부로 전달하며, 일단부의 중심에 결합홀이 형성되어 발향부가 끼움 결합되어 유체가 상기 발향부를 지나면서 외부로 확산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이 설치되고, 외측면에 복수개의 방출홀이 형성되며 일면에 이동홀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가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송풍팬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부는, 상기 이동부의 외측면에 상기 이동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확산몸체 및 상기 확산몸체의 단부에 연결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1 확산몸체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제1 확산몸체에서 전달되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확산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확산몸체는, 내측면에 일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타방향이 개구된 유도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제2 확산몸체의 외측 방향에 흐르는 유체의 유속보다 상기 제2 확산몸체의 내측 방향에 흐르는 유체의 유속이 빠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2 확산몸체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타방향으로 돌출된 제1 유도몸체 및 상기 제1 유도몸체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유도몸체의 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유도몸체와 이격 간격이 넓어지며, 타단부가 다시 일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유도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향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갈수록 직경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타면에 배출홀이 형성된 진동몸체 및 상기 배출홀에 결합되고, 공간이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1 공간에 향료가 주입되고, 상기 제2 공간은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진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이 내재되어 있어 팬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주변에 다양한 향을 선택적으로 발산할 수 있으며,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향료가 빠른 시간 안에 확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져는 하우징 외측면에 복수개의 방출홀이 형성되어 송풍팬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과도하게 발생되는 유체를 방출홀을 통해 배출함으로써, 유체의 과도한 속도 또는 양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져는 이동부와 연결된 확산부를 통해, 송풍팬에서 발생되는 유체의 흐름이 향료와 간접적으로 접촉되어 대기에 확산시킬 수 있어, 과도한 양의 향료가 대기에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향료가 대기에 효과적으로 확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져는 제2 확산몸체 일측이 개구되고 일정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유도부재가 설치됨으로써, 확산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대기와 확산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대기의 압력 또는 유속의 차이를 형성시켜 확산부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외부로 발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져는 향료가 진동몸체에 삽입되어 진동부재가 향료를 진동시킴으로써, 외부로 나가는 유체에 효과적으로 향료를 혼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져의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확산몸체에 형성되는 제2 유도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확산몸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향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퓨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발향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진동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져의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확산몸체에 형성되는 제2 유도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확산몸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향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퓨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발향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진동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서 볼 때, 송풍부(100)에서 확산부(500) 쪽을 상방으로 규정하고, 확산부(500)에서 송풍부(100) 쪽을 하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디퓨져(1)는 주거 공간 및 회사 사무실, 화장실, 음식점 등에서 불쾌한 냄새의 제거 및 사용자의 심신의 안정, 기분 전환을 할 수 있고, 향료가 분사되면, 디퓨져의 향료를 분사할 때 향료에 간접적으로 유체가 접촉하면서 공기에 분사되어 너무 많은 양의 향료가 공기 중에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 공기 중에 향료를 효과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송풍부(100), 이동부(300), 확산부(500) 및 발향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부(100)는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송풍부(100)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동부(300)를 통해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300)로 전달되는 공기는 확산부(500)에서 확산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발향부(700)의 향료에서 발산되는 향료가 공기의 흐름에 따라 확산부(5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확산부(500)는 확산부(500)에 형성되는 개구부(555)를 통해 확산부(500)의 내측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확산부(500)의 내측 방향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통해, 확산부(500)의 내측의 공기 흐름과 확산부(500)의 외측 방향과 공기의 흐름의 속도와 압력의 차이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확산부(500)의 내측면에 공기의 유속이 확산부(500)의 외측면보다 공기의 유속이 빠를 수 있어, 확산부(500)의 내측면의 대기의 압력이 확산부(500)의 외측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고기압일 수 있는 확산부(500)의 외측면의 공기가 확산부(500)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확산부(500) 주변의 대기가 외측에서 확산부(500) 내측으로 인입되어 개구부(555)가 형성된 상방으로 대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져의 단면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확산몸체에 형성되는 제2 유도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송풍부(100)는 외부에서 인입되는 공기를 상방으로 흐를 수 있도록 내부에 하우징(110), 구동모터(130) 및 송풍팬(15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의 외측면에는 유체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유체홀(111)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체홀(111)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에 있는 대기와 외부에 있는 대기가 서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홀(111)은 송풍팬(150)이 가동하면 외부에 형성되는 공기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에 공기의 양이 과도하여 압력이 과도해지면 공기가 유체홀(1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하우징(110) 내부의 압력이 과도한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구동모터(130) 및 송풍팬(150)이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130)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130)는 하우징(110)의 중심부에 설치될 수 있어 송풍팬(150)이 회전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130)는 BLDC 모터일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130)의 중심에는 샤프트(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미도시)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구동모터(130)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에는 송풍팬(150)의 중심에 형성된 홀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모터(130)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을 송풍팬(150)으로 전달할 수 있어, 송풍팬(15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송풍팬(150)은 외측면에 날개가 형성되어 구동모터(130)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송풍팬(150)이 회전되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송풍팬(150)을 통해 발생되어 상방으로 이동되는 공기의 흐름은 하우징(110)의 상부에 형성된 홀과 결합되는 이동부(30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부(300)는 송풍부(100)로부터 발생되는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여 발향부(700)와 공기를 접촉시킬 수 있도록 이동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몸체(310)는 상단부에 발향부(700)가 설치되고, 이동몸체(310) 내측으로 이동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동몸체(3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몸체(310)의 상단부에는 발향부(7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몸체(310)의 내부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가 확산부(50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이동몸체(310)의 상단부에 발향부(7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홀(311), 제1 변(313) 및 제2 변(315)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311)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홀(311)은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홀(311)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홀(311)이 형성되는 테두리에는 제1 변(3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변(313)은 이동몸체(310)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변(313)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복수개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313)과 제1 변(313)에 인접하게 연결되는 제1 변(313)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될 수 있어, 복수개의 제1 변(313)을 통해 개구되는 부분이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한 제1 변(313)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2 변(315)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변(315)은 서로 인접한 제1 변(313)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변(315)은 하방으로 연장될 때,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313)과 제2 변(315)을 통해 형성되는 결합홀(311)은 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뿔대 형상의 결합홀(311)에는 발향부(700)가 결합되어 발향부(700)의 하단부는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은 이동몸체(3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는 공기가 발향부(700)의 하단부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이동몸체(310)를 지나면서 제1 확산몸체(510)으로 이동된 공기는 다시 제2 확산몸체(530)으로 이동되어 상측을 향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공기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확산부(500)는 이동부(300)를 통해 상방으로 이동된 공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확산될 수 있도록 제1 확산몸체(510), 제2 확산몸체(530) 및 유도부재(5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확산몸체(51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확산몸체(510)는 이동몸체(310)의 외측면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가 서로 수평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확산몸체(510)의 외측 방향을 단부는 개구될 수 있어, 제1 확산몸체(510)로 이동되는 공기가 제1 확산몸체(510)의 외측 단부를 통해 제2 확산몸체(530)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확산몸체(510)의 단부에는 제1 확산몸체(510)와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 확산몸체(510)를 연결할 수 있고,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제2 확산몸체(530)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확산몸체(530)는 제1 확산몸체(510)로 이동된 공기가 제2 확산몸체(530)에서 외측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2 확산몸체(530)의 내측 방향으로 공기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제1 몸체부재(531), 제2 몸체부재(533) 및 제3 몸체부재(5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부재(531)는 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재(531)는 제1 확산몸체(510)의 외측 방향 상단부 및 하단부에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재(531)는 제1 확산몸체(510)와 수직한 방향으로 라운드 지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재(531)가 연장되는 방향은 이동몸체(310)의 외측면과 수평하는 위치에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몸체부재(531)는 제1 확산몸체(510)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고, 이동몸체(310)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몸체부재(531)는 상방에서 봤을 때, 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링형 단면의 중심에는 이동몸체(31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이동몸체(310)와 제1 몸체부재(531)는 복수 개의 제1 확산몸체(51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몸체(310)로 이동된 공기가 제1 확산몸체(510)로 이동할 수 있고, 제1 확산몸체(510)로 이동된 공기는 다시 제2 확산몸체(53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부재(531)로 이동된 공기는 제1 몸체부재(531)의 외측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몸체부재(533)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몸체부재(533)는 제1 확산몸체(510)와 제1 몸체부재(531)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는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몸체부재(533)는 제1 몸체부재(531)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부재(533)는 제1 몸체부재(53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확산몸체(530)로 이동된 공기가 외측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몸체부재(533)의 하단부에는 제2 확산몸체(530)의 내측 방향으로 만곡지게 돌출된 제3 몸체부재(535)가 연장될 수 있다.
제3 몸체부재(535)는 하방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몸체부재(535)는 제1 확산몸체(510)의 외측 방향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몸체부재(535)는 제1 몸체부재(531) 및 제2 몸체부재(533)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몸체부재(535)와 제1 확산몸체(510)가 접촉되는 부분은 제1 확산몸체(510)의 내측에 제3 몸체부재(535) 및 유도부재(55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외측면에 홀이 형성되어 제1 확산몸체(510)로 유입된 공기가 제2 확산몸체(530)로 인입될 수 있다.
즉, 제1 몸체부재(531), 제2 몸체부재(533) 및 제3 몸체부재(535)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몸체(31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수 있다. 또한, 'ㄷ' 형상의 하단부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확산몸체(530)의 개구된 방향을 상단 및 하단부에는 유도부재(55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몸체부재(531)의 내측 상단부에는 유도부재(550)가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도부재(550)는 제2 확산몸체(530)로 유입된 공기를 제2 확산몸체(530)의 내측 방향으로 유속이 제2 확산몸체(530)의 외측 방향보다 빠르게 형성되고, 압력이 낮게 형성될 수 있도록, 제1 유도몸체(551) 및 제2 유도몸체(5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도몸체(551)는 제1 몸체부재(531)의 내측 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도몸체(551)는 다단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도몸체(551)는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유도몸체(551)와 제2 몸체부재(533)의 간격은 하방으로 갈수록 점점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유도몸체(551)의 하단부에는 제2 몸체부재(533)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 유도몸체(55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도몸체(553)는 제1 유도몸체(551)의 하단부에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도몸체(553)는 제3 몸체부재(535)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어, 제2 유도몸체(553)와 제3 몸체부재(535)의 사이에는 개구부(55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확산몸체(530)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개구부(55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즉, 제2 유도몸체(553)와 제3 몸체부재(535) 사이에 상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개구부(55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확산몸체(530)와 유도부재(550)를 통해 형성된 중공부에 공기가 흐를 수 있고, 제2 확산몸체(530)와 유도부재(550) 사이에 흐르는 공기가 개구부(55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개구부(555)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일정 방향으로 기울어진 유도부재(550)를 타고 흐를 수 있어 유속이 제2 확산몸체(53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는 공기보다 빠르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확산몸체(53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는 공기보다 유도부재(550)의 내측에 형성된 압력을 감소시켜 공기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어 유도부재(550) 내측 방향에 공기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2 확산몸체(530)의 상부면에는 다양한 밝기를 외부로 배출되는 전등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확산몸체(530)의 상부면에 설치된 전등은 밝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발향부(700)는 확산부(700)를 통해 상방을 향하여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에 향료를 혼합시킬 수 있도록 이동몸체(3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홀(311)에 삽입되어 이동몸체(31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산부(500)를 통해 제2 확산몸체(530) 내측에서 상방으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시키면, 공기의 흐름의 상부에 설치된 발향부(700)에서 분사된 향료를 공기의 흐름에 따라 효과적으로 확산될 수 있다.
발향부(700)는 진동을 통해 향료를 효과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진동몸체(710) 및 진동부재(73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몸체(710)는 다각뿔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진동몸체(710)의 내부에 삽입된 향료는 송풍팬(150)을 통해 확산부(500)로 이동되는 공기에 향료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향료는 진동몸체(710)의 상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진동몸체(71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진동몸체(710)에는 서로 다른 향을 배출하는 향료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진동몸체(710) 내부에 삽입되는 서로 다른 향료를 동시에 배출할 수 있어, 새로운 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진동몸체(710)를 하나씩 작동시킬 때, 사용자가 원하는 향료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진동몸체(710)는 서로 인접한 진동몸체(710)가 서로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어, 다양한 향료가 삽입되는 진동몸체(710)를 최소한의 공간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진동몸체(710)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어, 진도몸체(710)가 이동몸체(310) 내부에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진동몸체(710)의 외측면에는 이동몸체(3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부재(701)가 형성될 수 있고, 이동몸체(310)의 상부면에는 이동몸체(310)의 내측으로 향하며 홈이 형성될 수 있어 진동몸체(710)와 이동몸체(310)가 끼움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재(701)는 각각의 진동몸체(710)에 형성될 수 있어, 진동몸체(710)가 이동몸체(3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어, 진동몸체(710)가 흔들리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진동몸체(710)는 복수개가 서로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진동몸체(710)는 서로 인접하게 결합된 진동몸체(710)가 결합홀(3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결합홀(3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진동몸체(710)의 외측 방향에는 제1 면(7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면(713)은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면(713)은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어 각각의 진동몸체(710)에 형성되는 제1 면(713)이 하단부에서 서로 만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방에서 상방으로 공기가 흘러 외측 방향으로 이동될 때, 발생할 수 있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면(713)은 이동몸체(310)에 형성되는 제1 변(313) 및 제2 변(315)으로 이루어진 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제1 면(713)이 제1 변(313) 및 제2 변(315)을 통해 형성되는 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면(713)에는 진동몸체(710)가 제1 변(313)과 제2 변(315)을 통해 형성되는 면에 결합이 견고해질 수 있도록 영구자석(713a)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면(713)에는 (+)전원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원은 진동부재(730)의 상단부의 일측면에 배선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전원은 진동부재(730)의 상단부의 타측면에 배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과 (-)전원은 진동몸체(710)의 외측면을 따라 배선으로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된 아두이노일 수 있는 전력공급부와 연결될 수 있어, 진동부재(730)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진동부재(73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즉, (+)전원과 (-)전원을 통해 인입되는 전력을 통해 진동부재(730)가 진동하여 진동몸체(71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향료를 상방으로 배출할 수 있다.
전력공급부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30) 및 송풍팬(150)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고, 외부에서 휴대폰 등으로 원격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진동몸체(710)는 상단부에 내측 방향으로 배출홀(711)이 형성되어 진동부재(730)가 삽입될 수 있다.
배출홀(711)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홀(711)에는 진동부재(730)가 삽입될 수 있어, 진동몸체(710)의 상방으로 향료를 배출할 수 있다.
진동부재(73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진동부재(730)는 (+)전원과 (-)전원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진동함으로써, 진동몸체(710)의 내부에 삽입된 향료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진동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확산몸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는 대부분의 구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을 참고하면, 제1 확산몸체(810)의 내부에는 형성된 중공부가 양측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확산몸체(810)의 내부는 제1 확산몸체(810)가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몸체(310)에 결합되는 단부와 제2 확산몸체(530)와 연결되는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는 제1 확산몸체(810)의 직경이 양단부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보다 직경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몸체(310)에서 제1 확산몸체(810)의 이동되는 공기가 효과적으로 유입될 수 있고, 직경이 직경이 좁은 공간으로 이동되면서 유체의 속도가 향상되어 제2 확산몸체(530)로 공기의 유입이 효과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확산몸체(810)에서 제2 확산몸체(530)로 이동되는 공기의 양이 더욱 증가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향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대부분의 구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진동몸체(1710)는 내부에 향료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진동몸체(1710)의 향료는 스펀지 재질의 스틱일 수 있는 발향부재(17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전력을 주기 위한 배선 등의 연결 없이 제작이 간단하고, 향료를 배출이 용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퓨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대부분의 구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이동몸체(31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홀(2311)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형 단면의 결합홀(2311)에는 원기둥 형상의 발향부(27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퓨져(1)의 제작이 간단해질 수 있다.
진동몸체(2710)는 내부에 상방에 향료가 삽입되고, 향료가 일정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몸체(2711) 및 분리부재(271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711)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2711)는 내부에 제1 공간(2711a)과 제2 공간(2711b)이 분리되어 있어, 제1 공간(2711a)에는 향료가 삽입되고, 제2 공간(2711b)에는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2711)는 향료가 배출되면서 양이 감소하면 진공상태의 제2 공간(2711b)의 부피가 커지면서 제1 공간(2711a)의 부피를 압축할 수 있어 향료의 양이 감소해도 지속적으로 일정한 발향이 가능할 수 있다.
분리부재(2713)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리부재(2713)는 제1 공간(2711a) 및 제2 공간(2711b)을 분리할 수 있도록 몸체(2711)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간(2711a)에 삽입된 향료의 양이 감소하면 진공 상태일 수 있는 제2 공간(2711b)의 부피가 커지면서 분리부재(2713)가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향료의 양이 감소하면 분리부재(2713)는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어, 향료가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몸체(2711)의 상단부에는 몸체(2711)를 관통하며 진동부재(2730)가 설치될 수 있다. 진동부재(2730)는 진동몸체(2710)에 형성되는 (+)전원과 (-)전원을 통해 전력을 전달받아 향료를 진동시켜 외부로 발산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발향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는 대부분의 구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진동몸체(3710)는 이동몸체(31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홀(2311)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형 단면의 결합홀(2311)에는 원기둥 형상의 진동몸체(37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퓨져의 제작이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진동몸체(3710)의 제2 공간(3711b)에는 탄성부재(3715)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3715)는 스프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어, 분리부재(3713)를 지속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 공간(3711a)에 삽입되는 향료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몸체(3710)의 향료의 양이 감소하면 탄성부재(3715)의 탄성력에 의해 분리부재(3713)가 상방으로 압력을 가하여 향료의 양에 따른 제1 공간(3711a)을 형성할 수 있어 지속적으로 일정한 향료를 배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진동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대부분의 구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고하면, 진동몸체(4710)는 이동몸체(31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홀(2311)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형 단면의 결합홀(2311)에는 원기둥 형상의 진동몸체(47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퓨져의 제작이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진동몸체(4710)의 향료는 스펀지 재질의 스틱일 수 있는 발향부재(47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전력을 주기 위한 배선 등의 연결 없이 구성이 간단하게 향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디퓨져
100: 송풍부
110: 하우징 111: 유체홀
130: 구동모터 150: 송풍팬
300: 이동부 310: 이동몸체
311: 결합홀 313: 제1 변
315: 제2 변 500: 확산부
510, 810: 제1 확산몸체 530: 제2 확산몸체
531: 제1 몸체부재 533: 제2 몸체부재
535: 제3 몸체부재
550: 유도부재 551: 제1 유도몸체
553: 제2 유도몸체 555: 개구부
700: 발향부 710: 진동몸체
711: 배출홀 713: 제1 면
713a: 영구자석 730: 진동부재
2700: 발향부 1710: 진동몸체
1730: 진동부재
2311: 결합홀 2710: 진동몸체
2711: 몸체 2711a: 제1 공간
2711b: 제2 공간 2713: 분리부재
3700: 발향부 3710: 진동몸체
3711a: 제1 공간 3711b: 제2 공간
3713: 분리부재 3715: 분리부재
4700: 발향부 4710: 진동몸체
4730: 발향부재
110: 하우징 111: 유체홀
130: 구동모터 150: 송풍팬
300: 이동부 310: 이동몸체
311: 결합홀 313: 제1 변
315: 제2 변 500: 확산부
510, 810: 제1 확산몸체 530: 제2 확산몸체
531: 제1 몸체부재 533: 제2 몸체부재
535: 제3 몸체부재
550: 유도부재 551: 제1 유도몸체
553: 제2 유도몸체 555: 개구부
700: 발향부 710: 진동몸체
711: 배출홀 713: 제1 면
713a: 영구자석 730: 진동부재
2700: 발향부 1710: 진동몸체
1730: 진동부재
2311: 결합홀 2710: 진동몸체
2711: 몸체 2711a: 제1 공간
2711b: 제2 공간 2713: 분리부재
3700: 발향부 3710: 진동몸체
3711a: 제1 공간 3711b: 제2 공간
3713: 분리부재 3715: 분리부재
4700: 발향부 4710: 진동몸체
4730: 발향부재
Claims (6)
- 내부에 유체의 흐름을 생성하는 송풍팬이 설치되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와 이격 설치되어 상기 송풍부에서 전달되는 유체를 외부로 확산시키는 확산부; 및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부와 상기 확산부를 연결하여 상기 송풍부에서 발생되는 유체의 흐름을 상기 확산부로 전달하며, 일단부의 중심에 결합홀이 형성되어 발향부가 끼움 결합되어 유체가 상기 발향부를 지나면서 외부로 확산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디퓨져.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이 설치되고, 외측면에 복수개의 방출홀이 형성되며 일면에 이동홀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가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송풍팬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디퓨져.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상기 이동부의 외측면에 상기 이동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확산몸체; 및
상기 확산몸체의 단부에 연결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1 확산몸체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제1 확산몸체에서 전달되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확산몸체를 포함하는 디퓨져.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산몸체는,
내측면에 일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타방향이 개구된 유도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제2 확산몸체의 외측 방향에 흐르는 유체의 유속보다 상기 제2 확산몸체의 내측 방향에 흐르는 유체의 유속이 빠른 디퓨져.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2 확산몸체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타방향으로 돌출된 제1 유도몸체; 및
상기 제1 유도몸체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유도몸체의 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유도몸체와 이격 간격이 넓어지며, 타단부가 다시 일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유도몸체를 포함하는 디퓨져.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향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갈수록 직경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타면에 배출홀이 형성된 진동몸체; 및
상기 배출홀에 결합되고, 공간이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1 공간에 향료가 주입되고, 상기 제2 공간은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진동부재를 포함하는 디퓨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0684A KR102471436B1 (ko) | 2020-11-12 | 2020-11-12 | 디퓨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0684A KR102471436B1 (ko) | 2020-11-12 | 2020-11-12 | 디퓨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4531A true KR20220064531A (ko) | 2022-05-19 |
KR102471436B1 KR102471436B1 (ko) | 2022-11-25 |
Family
ID=81804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0684A KR102471436B1 (ko) | 2020-11-12 | 2020-11-12 | 디퓨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1436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13402A (ko) * | 2005-07-26 | 2007-01-31 | 차효영 | 향 발산장치 |
KR100932434B1 (ko) * | 2008-04-01 | 2009-12-17 | 주식회사 호산 | 약제 휘산기 |
KR101691786B1 (ko) * | 2016-07-05 | 2017-01-02 | 주식회사 림피드스카이 | 방향제 분산 장치 |
KR101860212B1 (ko) * | 2016-10-04 | 2018-05-23 | (주)지앤지 | 방향제 카트리지 및 방향제 발산장치 |
KR20200004516A (ko) * | 2018-07-04 | 2020-01-14 | 피움랩스 주식회사 | 방향물질 배출장치 |
-
2020
- 2020-11-12 KR KR1020200150684A patent/KR1024714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13402A (ko) * | 2005-07-26 | 2007-01-31 | 차효영 | 향 발산장치 |
KR100932434B1 (ko) * | 2008-04-01 | 2009-12-17 | 주식회사 호산 | 약제 휘산기 |
KR101691786B1 (ko) * | 2016-07-05 | 2017-01-02 | 주식회사 림피드스카이 | 방향제 분산 장치 |
KR101860212B1 (ko) * | 2016-10-04 | 2018-05-23 | (주)지앤지 | 방향제 카트리지 및 방향제 발산장치 |
KR20200004516A (ko) * | 2018-07-04 | 2020-01-14 | 피움랩스 주식회사 | 방향물질 배출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71436B1 (ko) | 2022-1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11707B2 (ja) | 拡散装置 | |
EP2986329B1 (en) | Portable volatile material dispenser and flame simulator | |
KR101283352B1 (ko) | 빛과 휘발성의 활성물질의 조화방출을 제공하는 장치 | |
EP2138725A2 (en) | Device for distributing volatile fluids in air | |
US20020048530A1 (en) | Scent delivery system | |
EP1522320A1 (en) | Fan-driven air freshener | |
KR20170007295A (ko) | 분무기를 가진 휘발성 물질 디스펜서 및 분무기 조립체 | |
KR20080077353A (ko) | 광 및 활성물질 방사기구 | |
KR200451527Y1 (ko) | 향발산장치 | |
US20100187324A1 (en) | Method and System for Scent Delivery | |
JP2018086634A (ja) | 液体噴霧装置 | |
KR20220064531A (ko) | 디퓨져 | |
US20220362430A1 (en) | Volatile material dispenser | |
JP2021076774A (ja) | 香りディスプレイ | |
JP3157544U (ja) | 芳香剤噴霧器 | |
KR102025643B1 (ko) | 향기발산 기능을 갖춘 음향장치 | |
WO2017175307A1 (ja) | オイル容器および芳香拡散器 | |
KR20210117776A (ko) | 초미세 향 발생기 | |
KR101189618B1 (ko) | 빛과 휘발성의 활성물질의 조화방출을 제공하는 장치 | |
JP2021020195A (ja) | 液体噴霧装置 | |
TWM574659U (zh) | 旋轉香薰燈結構改良 | |
CN220061946U (zh) | 香氛模块和香氛机 | |
KR20190108822A (ko) | 방향제 용기 | |
KR102234971B1 (ko) | 조명기능이 내장된 디퓨져 장치 | |
US11035535B1 (en) | LED flameless candle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