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399A -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의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의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4399A
KR20220064399A KR1020227012928A KR20227012928A KR20220064399A KR 20220064399 A KR20220064399 A KR 20220064399A KR 1020227012928 A KR1020227012928 A KR 1020227012928A KR 20227012928 A KR20227012928 A KR 20227012928A KR 20220064399 A KR20220064399 A KR 20220064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able
wing element
housing
identific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2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헬게 슈티어
안드레아스 퀸
다니엘 구스토르프
Original Assignee
슈코 인터내셔널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코 인터내셔널 카게 filed Critical 슈코 인터내셔널 카게
Publication of KR20220064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3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0Fault detection
    • E05Y2400/502Fault detection of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1Power supply
    • E05Y2400/612Batt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54Power or signal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6Wireless transmission
    • E05Y2400/664Wireless transmission by radio w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component faults o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개폐가능한 윙 요소(102)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100)를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기(1)가 제공되는바, 상기 기기(1)는 하우징(2)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2)은, 상기 장치(100)에 일체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장치(100)에 고정될 수 있는 하우징 베이스(housing base)(3), 및 상기 하우징 베이스에 대해 부착 및 분리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하우징 부분(4)을 구비하며, 상기 기기에는 식별 마커(identification marker)가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 베이스(3)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의 식별 마커인 제1 식별 마커(IK-E)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은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을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식별 마커(IK-Z)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응되는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의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기 및 방법
본 발명은 개폐가능한 윙 요소을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의 상태를 식별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기기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을 구비한 장치에 일체적으로 연결 또는 부착된 하우징 베이스 및 상기 하우징 베이스에 부착 및 분리가능한 하나의 제2 하우징 부분을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기기에는 식별 마커가 더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기에 대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유선 연결 도는 무선 데이터 연결에 의하여 장치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 방안이 공지되어 있는바, 이것은 특히 센서 기기로부터 원격으로 셋업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전송된 데이터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서 평가된다. 예를 들어, 상태 모니터링을 위하여 다리에 센서들을 부착시키고 이들을 IoT(Internet of Things) 시스템 내에 내장시켜서 "구조 상태 모니터링(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을 수행하는 방안이 공지되어 있다. 구조 상태 모니터링은 감시 대상물의 상태를 (DIN ISO 17359 에 따른) 상태 모니터링 내에서 모니터링 및 판별하기 위한, 연속적이거나 주기적이고 자동화된 방법인 것으로 이해된다. 이것은 영구적으로 설치 또는 통합된 트랜스듀서들에 의한 측정과 측정된 데이터의 분석에 의해 수행된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크랙 또는 변형과 같은 손상이 조기에 검출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이 개시될 수 있게 된다.
본질적으로 정적인 부품들의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SHM 시스템은, 센서 시스템을 구비한 모니터링 기기,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신호 적합화 유닛(signal adaptation unit), 데이터 저장 기기, 데이터 전송 기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통상적으로는 자동화되어 있는 진단 시스템을 포함한다.
모니터링 기기(이하에서는, 축약하여 "상기 기기"라고 호칭되기도 함)에서 직접적으로 초기 데이터 평가를 수행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관련된 에너지 소비로 인하여 가능하다면 회피된다.
문헌 EP 3 306 023 A1 에는 이와 같은 아이디어가 채택되어 있으며, 여기에서는 일반적 유형의 장치에서 위와 같은 유형의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안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문헌 EP 3 306 023 A1 에서 고찰되는 시스템은 상당히 이론적익 추상적인 레벨에 머무르고 있으며, 실제 사용을 위해 유리한 방식으로 적용가능한 성숙된 정도로 까지 개발된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를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기기이면서도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안전한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되는 기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치의 안전한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기기가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설치되는 유리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청구항 제1항의 청구대상물, 제18항의 장치, 및 제28항의 방법에 의하여 달성한다.
청구항 제1항에 의하여 개폐가능한 윙 요소(wing element)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를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기가 제공되는바, 상기 기기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한 장치에 일체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장치에 부착될 수 있는 하우징 베이스(housing base), 및 상기 하우징 베이스에 대해 부착 및 분리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하우징 부분(즉, 적어도 하나의 제2 하우징 부분과, 추가적으로는 제3, 제4, 등의 하우징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기기에는 다수의 콤포넌트를 포함하는 식별 마커(identification marker)가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 베이스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의 식별 마커인 제1 식별 마커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은 상기 제2 하우징 부분 또는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 자체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식별 마커(선택적으로는 복수의 추가적인 식별 마커)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베이스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을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의 식별 마커로서 설계된 제1 식별 마커를 포함한다. 이것은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상기 장치가 제작되는 때에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에 올바르게 적용될 수 있다.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의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기기에 의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 저장, 및 평가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상기 장치의 일종의 디지털 트윈이 생성될 수 있으며, 제1 식별 마커를 위해 저장될 수 있다. 이 디지털 트윈은 다양한 정도로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한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트윈이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의 부품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디지털 트윈은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에 관한 추가적인 파라미터들 및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빌딩의 윈도우 또는 도어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슬라이딩 윈도우를 구비한 자동차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윈도우는 윙 요소에 해당되고, 윈도우를 수용하는 자동차 부분은 상기 장치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한다. "윙 요소"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윈도우 프레임 내의 개구에 대하여 맞닿음으로서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의 맞닿음 부분에 대해 움직여지도록 설계된, 이동가능한 폐쇄 요소를 지칭한다.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는 빌딩 또는 자동차와 같은 환경 내에서의 사용처에 설치된다. 제2 식별 마커를 구비한 제2 하우징 부분은 상기 하우징 베이스에 또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 상에 부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의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 저장, 및 평가하는 컴퓨터 시스템에는 제1 식별 마커 및 제2 식별 마커가 제공되어야 하며, 이로써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이 두 개의 식별 마커들을 서로에 대해 연계시킬 수 있거나, 또는 미래에 제2 하우징 부분에 의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한 장치 각각에 도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을 구비한 장치의 디지털 트윈(개별의 제1 식별 마커를 구비할 수 있음)에 할당할 수 있다. 이것은 자동화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은 제1 식별 마커를 독출하고, 이를 자신의 제2 식별 마커와 함께 컴퓨터로 전달하여 평가받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이 장착된 때에는 상기 두 개의 식별 마커들이 피터(fitter)에 의하여 검출되고, 데이터의 수신, 저장, 및 평가를 위한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되는바, 컴퓨터에서는 상기 두 개의 식별 마커들이 서로 연계된다. 향후에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특정의 장치에 상기 기기를 확실하게 할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기기가 센서 데이터의 데이터 시퀀스(data sequence)를 구비한 제2 식별 마커(IK-Z)를 전송하기만 하면 될 것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제2 하우징 부분이 피팅(fitting)된 때에는, 제2 하우징 부분의 제2 식별 마커가 라디오 통신에 의하여 (예를 들어, 클라우드 내의) 중앙 컴퓨터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는데, 이에 의하면 이 제2 식별 마커가 어느 제1 식별 마커에 속하는지에 관한 요청을 피터로 보낼 수 있고, 상기 피터는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중앙 컴퓨터로 다시 보냄으로써, 중앙 컴퓨터는 제2 식별 마커를 제1 식별 마커에 연계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에는,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특정 장치에 상기 기기를 확실히 할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기기가 센서 데이터의 데이터 시퀀스를 가진 제2 식별 마커(IK-Z)를 전송하기만 하는 것으로 충분하게 될 것이다.
제2 식별 마커는 입력 기기에서 수작업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예를 들어 컴퓨터의 입력 마스크(input mask)에 있는 제1 식별 마커에 할당될 수 있으며, 그 다음에 그 데이터들은 향후에 모니터링을 위하여 저장 및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경우에 안전한 처리 제어가 보장되어서, (향후에 설명될) 수신기는 개별 기기로부터의 메시지/응답/요청을 신뢰성있고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계형태에 따라서, 제2 하우징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부품, 예를 들어 선택적인 배터리, 센서, 또는 데이터 전송 기기를 유지보수 또는 교체함이 가능하다. 안전한 처리 제어는 보장된 채로 유지되고, 이미 존재하는 제1 식별 마커를 위한 유지관리 작업의 종료 후에는 데이터 획득이 지속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하우징 부분을 (자체적인, 새로운 제2 식별 마커를 갖는) 교체용 제2 하우징 부분과 완전히 교체한 이후에, 새로운 제2 식별 마커가 상기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제2 하우징 부분의 교체로 인하여 변경되지 않은, 개폐가능한 윙 요소을 구비한 장치의 제1 식별 마커에 대해 새롭게 연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두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식별 마커를 구비한 하우징 베이스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에 분리불가능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그러한 명칭을 가진 것으로서, 하우징 베이스는 제1 식별 마커를 파괴하지 않고서는 분리될 수 없다 또한 하우징 베이스는 하우징, 또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의 다른 부품에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하우징 부분은 상기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는데, 이것은 그 목적을 위하여 적합한 유형의 부착 윤곽(attachment contours) 또는 장착 베이스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 베이스는 제2 하우징 부분의 완전한 "아래"에 배치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부분적으로 그 옆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 하나의 제2 하우징 부분만이 제공된다. 그러나, 식별 마커를 (구비할 수는 있지만) 구비할 필요는 없으면서도 배터리와 같은 다른 기능 요소는 구비하는 다른 하우징 요소 또는 부분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하우징 부분 자체는 다수의 하우징 섹션으로 구분될 수도 있는데, 이들은 하우징 베이스에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장착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가 연결 기기에 의하여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한 장치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 때 제1 식별 마커가 예를 들어 파괴 또는 분리되는 등 이용불가능하게 되지 않고서는, 즉 하우징 베이스에 제1 식별 마커가 더 이상 구비되지 않고서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한 장치로부터 비파괴적인 방식으로 분리될 수 없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것은, 개폐가능한 윙 요소을 구비한 장치에 상기 식별 마커를 항상 고유하게 할당함으로써 변경/조작될 수 없게 됨을 보장한다.
추가적인 유리한 설계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은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한 장치 또는 하우징 베이스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2 하우징 부분이 분리, 즉 예를 들어 제2 하우징 부분으로부터 파손된 때에는 제2 식별 마커가 사용불능으로 되는 것, 즉 제2 하우징 부분이 제2 식별 마커를 더 이상 구비하지 않게 되어서 더 이상 사용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소정 사용 기간 이후에 교체되어야 하는 센서들의 교체 또는 에너지 저장 기기의 교체를 보장하기 위하여 유지관리 작업을 하는 동안에 제2 하우징 부분이 항상 교체됨이 보장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향후에 데이터가 발신되는 때에 제2 식별 마커가 상기 기기로부터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개폐가능한 윙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전술된 기기를 구비하는 장치에 의하여 주어진 과제를 달성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장치가 윈도우 또는 도어로서 형성되며, 고정 프레임 및 윙 프레임을 포함한다. 특정의 유리한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프레임과 윙 프레임 사이에는 리베이트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기기는 리베이트 공간 안에 완전히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수용된다. 상기 기기는 그 안에서 잘 보호되는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장치의 시각적 인상(visual impression)을 저해하지 않거나 현저히 저해하지 않는다. 상기 윈도우 또는 도어는 예를 들어 빌딩의 윈도우 또는 도어일 수 있다. "윈도우"라는 용어는 플랩(flap)의 개념을 포함한다.
상기 기기의 하우징이 윙 프레임에 장착 또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기의 하우징, 특히 하우징 베이스가 윙 프레임 또는 고정 프레임의 홈 상에 분리불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로써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에 대한 상기 하우징 베이스의 장착이 현저히 단순화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기기의 안테나 및/또는 센서와 같은 기능 요소가 상기 리베이트 공간을 윈도우 또는 도어에 인접한 공간들(예를 들어, 빌딩의 주위 공간 또는 빌딩의 내부 공간) 중 하나와 연결하는 간극 안으로 또는 상기 간극을 통하여 돌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신호(예를 들어 상기 윙에 의해 유발되는 개방 및 폐쇄 신호)가 특히 잘 감지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외부의 수신기로 특히 잘 발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상기 간극 내에 시일(seal)이 배치되거나, 상기 시일이 상기 간극 안으로 돌출될 수도 있는바, 어느 경우이든 상기 시일(예를 들어, 정지 시일(stop seal))은 부분적으로 상기 기능 요소 옆에 놓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유리한 변형예에 따르면, 빌딩의 벽 개구 내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기기는 설치된 윙 프레임과 설치된 고정 프레임의 중앙 위에 놓인 리베이트 공간의 영역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측 수평 윙 프레임 섹션과 상측 수평 고정 프레임 섹션 사이 또는 수직 고정 프레임의 상측 부분과 윙 프레임 섹션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상기 기기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면서도 외부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형태는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일 독립항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하여 제17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를 적어도 복수개 포함하는,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는바, 상기 장치들의 적어도 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가능한 윙 요소가 제공되고,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한 장치들 각각 또는 일부는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한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의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기기와 연계된다. 상기 시스템은: (i)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 특히 데이터 클라우드(C) 내의 데이터 베이스 내에 상기 기기(1)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 및 평가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E); 및 (ii) 상기 데이터의 분석을 위한 평가 프로그램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파라미터들과 비교 및/또는 저장하도록 설계되고, 또한 전송 또는 입력된 식별 마커에 기초하여 개폐가능한 윙 요소을 구비한 장치의 대응되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으로 전송 데이터를 할당하도록 설계되는, 컴퓨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의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추가적 기기는 제1항 내지 제24항에 기재된 것과 상이한 구성을 가지며, 특히 개방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의하여 제26항 또는 제28항에 따른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바, 상기 시스템에는 제18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를 적어도 복수개 제공되고, 상기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가능한 윙 요소가 제공되며, 개폐가능한 윙 요소을 구비한 장치들 중 일부 또는 그 각각은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개폐가능한 윙 요소을 구비한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 각각의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기기와 연계된다. 상기 시스템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 특히 데이터 클라우드(C) 내의 데이터 베이스 내에 상기 기기(1)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 및 평가 및/또는 저장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E); 및 상기 데이터의 분석을 위한 평가 프로그램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상기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파라미터들과 비교 및/또는 저장하도록 설계되고, 또한 적어도 제1 식별 마커 및 제2 식별 마커에 관한 전송 및/또는 입력된 데이터를 특히 개폐가능한 윙 요소을 구비한 장치의 대응되는 디지털 트윈에 할당하도록 더 설계된다.
아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되는바, 여기에는 추가적인 장점들 및 선택사항들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도시된 것과 동등한 방식은 물론, 그와 상이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 에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한 윈도우로서 설계된 기기가 개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는 두 개의 가능한 설치 위치들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2a 에는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의 사시도 및 개폐가능한 윙 요소을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b 에는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기기의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c 에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에는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기기를 구비하고 윈도우로서 설계된 기기의 프레임 영역에서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b 및 도 3c 각각에는 도 3a 의 일부분에 해당되는 모습으로서, 상세사항이 추가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에는 높은 수준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기기의 가능한 내장을 나타내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는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1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바, 본 예에서는 상기 장치(100)가 고정 프레임(101) 및 개폐가능한 윙 요소(102)을 구비한다. 상기 기기는 빌딩(I)(도 3a 참조)의 윈도우로서 설계된 것인바, 상기 빌딩의 벽 개구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101)이 삽입되어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는, 상기 기기가 빌딩의 도어 또는 플랩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101) 및/또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102)는 폭넓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변형예에 따르면, 이들은 한 가지 이상의 금속 프로파일로부터의 복합 프레임으로서 제작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이들이 플라스틱 또는 나무와 같은, 본질적으로 단일 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프레임(101)과 윙 프레임(102) 사이에 원주형태의 리베이트 공간(rebate space)(F)이 형성된다.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기기(1)는, 하우징(2)을 구비한 개폐가능한 윙 요소(102)를 포함하는 장치(100)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2)이 고정 프레임(101)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이 고정 프레임(101)과 윙 프레임(102) 사이의 원주상 리베이트 공간(F) 내에 완전히 또는 실질적으로 배치된다면 더 유리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이 특히 유리한 이유는, 상기 기기가 그 안에 용이하게 수용 및 장착될 수 있고, 또한 (적어도 상기 윙이 폐쇄된 때에) 잘 보호되기 때문이다. 이는, 상기 하우징(1)이 예를 들어 종장형이고 상대적으로 편평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리베이트 공간(F) 내에 잘 수용될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선택적으로는, 하우징(2)이 중앙 시일(center seal)(104)(도 3a 참조)에 대해 측방향에 배치된다면 더 유리할 수도 있다.
하우징(1)은 윙 프레임(102)에 또는 고정 프레임(101)에 수용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여기에서는 윙 프레임(102)이 선택되어 있다. 각각의 경우에서, 고정 프레임(101) 또는 윙 프레임(102)에 있는 리베이트 공간(F) 내는 일반적으로, 홈(103)(예를 들어, 도 3 에 도시되 두 개의 홈들)과 같은 체결용 윤곽부(fastening contour) 및/또는 웹(web)(105) 등과 같은 앵커링 요소(anchoring element)가 존재하는바, 이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서는 하우징(1)의 장착을 위한 체결구 등을 위해 사용되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특히 단순하고 확고하다.
마지막으로, 끼움 홈(fitting groove)(103) 위에 장착된 하우징(2)은 그 안에 결합되지 않거나 또는 임의의 식별가능한 정도로 결합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 들어 잠금 바아와 같은 기능 요소(108)가 끼움 홈(107) 내에 여전히 장착되거나 하우징 아래에서 장착되고 그 기능이 유지될 수 있다.
빌딩의 벽 개구 내의 설치 위치와 관련하여, 설치된 윙 프레임(102) 및 설치된 고정 프레임(101)의 중심 위에 위치한 리베이트 공간(F)의 영역, 즉 바람직하게는 상측 수평 윙 프레임 섹션과 상측 수평 고정 프레임 섹션 사이 또는 수직 고정 프레임 섹션과 수직 윙 프레임 섹션 사이 내에 상기 기기가 배치되는 것이 더 유리하다. 여기에서는 상기 기기가 거의 보이지 않게 되면서도,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는 간편한 방식으로 보호를 잘 받을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이 영역들에서는 유지관리 및 설치 작업이 특히 잘 수행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01)과 윙 프레임(102) 사이의 리베이트 공간(F)은 두 개의 간극들(S1; S2)을 구비하는바, 이들은 상기 기기에 인접한 두 개의 공간들(도어 또는 윈도우)에 대한 연결을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간극(G1, G2)의 영역에서 웹(105 또는 106)은 각각 다른 구성요소(즉, 윙 프레임(102) 또는 고정 프레임(101))와 겹쳐진다.
예를 들어 센서 기기 및/또는 안테나(참조번호 13 으로 표시됨)와 같은 기기(1)의 기능 요소가 빌딩의 외부를 향하거나 주위를 향하는 곳에 위치한 간극(G1) 안으로 돌출되면 유리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수신기(E)(아래에서 상술됨)로 데이터 및 다른 정보를 전송함이 특히 용이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위와 같은 기재를 바탕으로, 하우징(2)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2)은, 개폐가능한 윙 요소(102)를 구비한 장치에 고정된 하우징 베이스(3), 및 하우징 베이스(3)로부터 분리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하우징 부분(4)을 구비한다.
하우징 베이스(3)에는 제1 식별 마커(IK-E)가 제공된다. 또한 제2 하우징 부분(4)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식별 마커(IK-Z)가 제공된다. 이들은 각각의 경우에서 고유하게 부여되며, 바람직하게는 손상없이 하우징 베이스(4) 또는 제2 하우징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개폐가능한 윙 요소, 특히 체결 수단(5)을 구비한 장치(100)에 있어서,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기기(1)의 하우징 베이스(3)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102)를 구비한 장치에 고정되되, 제1 식별 마커를 파괴하지 않고서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102)를 구비하 장치로부터 비파괴 방식으로는 분리될 수 없도록 고정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로써 신뢰성있는 처리 제어(process control)가 보장되어서, (아래에서 설명될) 수신기는 개별 기기(1)로부터의 메시지/응답/요청을 신뢰성있고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 베이스(3)를 상기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한 장치에 확고히 연결하기 위하여, 폭넓게 다양한 연결 수단 또는 체결 수단(5)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의 체결의 유형은 개폐가능한 윙 요소(102)를 구비한 장치의 성질에 의존한다. 연결 수단으로서 언급될 만한 예로서는, 턴-오프 스크류, 원-타임 리벳, (프로파일 안에 후크 결합되는) 마이크로-커팅 블레이드, 또는 다양한 종류의 접착 연결부가 있다. 이것은 도 2b 및 도 2c 에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는 하우징 베이스(3)와 윙 프레임(102)을 통하도록 연장된 점선들이 전술된 유형의 체결 수단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윈도우, 특히 윙 프레임(102) 상의 대응되는 래칭 수단과 협력하는, 하우징 베이스(3) 상의 래칭 수단(latching means)을 제공함으로써, 윈도우 또는 본 예에서는 윙 프레임(102)에 대한 하우징(2) 또는 하우징 베이스(3)의 사전-래칭(pre-latching)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대응되는 래칭 수단들은 홈의 언터것일 수 있으며, 하우징(2) 상의 래칭 수단은 래칭 웹(latching web) 등일 수 있다.
식별 마커(IK)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을 구비한 모니터링될 장치의 제1 식별 마커와,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 자체를 위하여 제2 하우징 부분, 그리고 기기(1)의 마킹을 위한 제2 식별 마커를 포함한다. 식별 마커(IK-E)는, 마커의 저장 위치로서 예를 들어 NFC 또는 RFID 태그(7)를 구비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을 구비한 장치의 식별을 위한 QR 코드(8)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마커(IK-Z)는 RFID 태그(7) 내 또는 상기 기기의 전자장치의 다른 비휘발성 메모리 내에 저장되는 등, 실질적으로 임의의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하우징 부분(4)이 하우징 베이스(3)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제2 하우징 부분(4)은 특히 유지관리 작업 또는 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우징 베이스(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은 의무적으로 교체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식별 마커(IK-Z)를 (사용불가능하게) 파괴하지 않고서는 하우징 베이스로부터 분리될 수 없게 구성되면 유리하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 부분(4)은 기기(1)에 대한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와 같은, 가끔 교체 및/또는 유지관리되어야 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 베이스(3)와 제2 하우징 부분(4)이 함께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바, 이 수용 공간은 예를 들어 기기(1) 장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등을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수납부(6)일 수 있다.
또한 전력은 다른 방식 또는 보완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공급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에너지 수확(energy harvest) 기기에 의하여, 또는 에너지 네트워크나 외부 에너지 저장 기기에 연결된 전력 공급 케이블에 의하여 공급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예를 들어 자기 플러그와 같은 케이블/플러그에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플러그-인 연결부(10)가 제공되면 유리하다. 이로써, 통합된 라인 전환부(integrated line transition)에 의한 전압 공급을 위한 선택적 가능성이 생성된다.
선택적으로는 전자 회로부(9)가 제2 하우징 부분(4)에 또는 하우징 베이스(3)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2 하우징 부분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자 회로부(9)가 데이터 전송 기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여기에 적어도, 전송 및/또는 수신 모듈, 안테나, 센서 시스템,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 회로부(9)가 안테나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전송 기기는 적어도 데이터의 전송을 위하여 설계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데이터의 수신을 위해서도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전송은 무선으로 이루어진다. 폭넓게 다양한 테이터 전송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바, 여기에는 WLAN, WIFI, Bluetooth, RFID, LoRa, LPWAN, LoRAWAn, LPN, 저주파 통신, 라디오 통신이 포함된다. 이 열거사항들은 일부 특히 유리한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서, 다른 방법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전자 회로부(9)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한 센서 시스템을 포함한다. 전자 회로부(9)는 제어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시스템은, 개폐가능한 윙 요소(102)를 구비한 상기 장치의 또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102)를 구비한 상기 장치 상에서의 특성들, 특히 물리적 또는 화학적 특성들(예를 들어, 열의 양, 온도, 습도, 압력, 음장(sound field)의 양, 밝기, 가속도, 화학성분)을 검출하기 위하여 트랜스듀서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바, 이것은 개폐가능한 윙 요소(102)를 구비한 모니터링되어야 할 장치에서의 파라미터들을 양 또는 질적으로 감지하여 측정된 수치로서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특성의 양은 물리 또는 화학적 작용에 의하여 검출되고, 추가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그 다음에 상기 신호는 바로 또는 측정된 값들을 수집하고 나서 소정 시간 이후에 상기 데이터 전송 기기를 이용하여 수신기(E)로 보내질 수 있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는, 상기 센서 시스템은 다른 파라미터들, 특히 소음 공해, 공기 중 오염 부유물, 입자 물질, 공기 압력, 밝기 등과 같은 환경 파라미터를 판별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판별된 값들은 센서 시스템 내에서 사전 처리되고, 가능한 적은 데이터로서의 전송을 위하여 임시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기기가 제어 기기도 포함한다면, 기기(1)가 (무선 또는 다른 방식으로) 연결되는 액추에이터 등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기기가 이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부분(4)은 예를 들어 견고한 래치에 의하여 하우징 베이스(3)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대응되는 연결 수단, 특히 해제가능한 대응 래칭 수단(11, 12)이 하우징 베이스(3) 및 제2 하우징 부분(4)에 제공된다. 이와 같은 분리가능한 연결부는 다른 수단, 예를 들어 스크류 및 너트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서, 폭넓게 다양한 수치들이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가능한 윙 요소(102)의 움직임이 판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기에서의 직접적인 환경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온도, 습도, 등)을 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하우징 부분(4)에 전자 장치로의 전력 공급을 위한 전술된 배터리가 수납될 수 있는바, 이와 같은 구성은 수년 동안의 유지관리 필요없는 작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 시스템의 교체없이 상기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센서 시스템은 하우징 베이스(3)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센서 시스템을 구비한 제2 하우징 부분(4) 전체가 하우징 베이스(3)에 대해 독립적으로 교체될 수 있거나 교체되어야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하우징 부분 내의 전자 장치(특히, 하우징 베이스(3) 내의 전자 장치 및 센서 유닛)((하우징 베이스(3)로부터의) 제1 식별 코드(IK-E)와 제2 식별 코드(IK-Z))는 다시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것은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몇가지 장점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센서/센서 유닛의 교체가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한 장치의 수집된 데이터의 손실로 귀결되지 않게 되는데, 이것은 하우징 베이스 내의 식별용 부품들이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한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에 확고히 연결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라디오 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는 데이터 전송 모듈에 따라서, 그리고 가뇽한 에너지에 따라서, WLAN, WIFI, Bluetooth, NFC, 또는 LPWAN(Sigfox, NB-IoT, Mioty, LoRaWAN)에 의해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기기(1)들 각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 및 데이터 전송 모듈/라디오 모듈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각각은 먼저 센서의 값들 및 전송된 정보를 수집하고 나서, 이들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만 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는 동일 유형의 다른 기기(1)일 수 있는바, 이것은 먼저 예를 들어 폐쇄 환경에서의 다양한 기기(1)들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나서, 그 다음에 이들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만 (수신기를 구비하거나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IoT 시스템 등으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예는 도 4 에 도시되어 있다.
샌서 모듈에서의 센서 값의 긴급성에 따라서, 메시지의 발신 시기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입 시도가 검출되면 바로 발신될 수 있고, 개방 사이클 또는 실내 공기 파라미터와 같은 값들은 함께 패킷으로 묶여져서 예를 들어 하루에 한 번 또는 높은 긴급성에 의한 다음 전송시에 함께 발신될 수 있다.
개별 기기(1 1q)의 라디오 모듈 또는 데이터 전송 기기는 적어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송 기기로서 설계되지만, 이것은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조합된 전송 및 수신 기기로서 설계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 데이터 전송 기기라는 용어는 이 두가지 옵션을 모두 포함한다.
개폐가능한 윙 요소을 구비한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은, 개폐가능한 윙 요소(100)를 구비한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를 하나 이상, 특히 복수 개 구비한다. 또한, 이와 같은 장치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가 없는 다른 구성요소, 예를 들어 고정 글레이징(fixed glazing)에 배치될 수도 있는바, 이것도 상기 시스템에 속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기기(1)들 중 하나가 개폐가능한 윙 요소(100)을 구비한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들 각각에 할당된다.
이들은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수신기(E)에서는, 기기(1)들의 데이터가 수신되고 평가 및/또는 저장되는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 특히 데이터 클라우드(C)에 저장된다.
특히 서버와 같은 소정 컴퓨터 또는 컴퓨터(R)의 평가 프로그램에서는, 상기 데이터가 미리 저장된 파라미터들, 특히 개폐가능한 윙 요소을 구비한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 각각을 위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생성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과 비교될 수 있으며, 상기 전송된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트윈에 할당된다.
상기 평가는 다양한 종류의 모니터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송된 데이터는 설정점(setpoint)으로부터의 이탈의 경우에 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미리 저장된 설정점들과 비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유지관리가 수행되어야 하는지 여부, 또는 특수 상황 또는 긴급 상황(예를 들어, 유리 파손 또는 액추에이터의 무응답,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 에는, 수신 기기(E)가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100)로부터 거리를 두고, 예를 들어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한 상기 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빌딩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인근에 중앙집중식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신 기기(E)는, 예를 들어 인터넷 링크와 같은 유무선 데이터 링크를 거쳐서 컴퓨터 인프라(computer infrastructure)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컴퓨터 인프라를 거치거나 직접적으로 데이터베이스(서버(R), 클라우드)에 연결되어, 데이터가 평가 및/또는 저장되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서버 등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 에서는, 연결 경로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기기(1)들로부터 시작하는바, 이들은 무선 연결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기(E)들과 컴퓨터들 간의 연결은 유선(여기에는 광 통신 연결이 포함됨)이거나 무선일 수 있다.
위와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컴퓨터 인프라는 그 자체로서 매우 임의의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는바, 즉 상기 수신 기기에서 직접적으로 설계된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한 컴퓨터로서 설계되거나, 인터넷을 거쳐 사용가능한 인프라, 예를 들어 저장 공간, 연산력,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의 형태로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인프라의 서버는 상기 수신 기기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신 기기(E)는 적어도 기기(1)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을 위하여 설계되고, 선택적으로는 데이터를 기기(1)로 전송하도록 설계되기도 하는바, 상기 수신 및 전송은 무선으로 설계된 데이터 링크(V1)를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것은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컴퓨터 인프라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 300.
바람직하게는 데이터가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N 또는 LPN)에서 발신 및 수신된다. 온라인 백과사전 위키피디아(WIKIPEDIA)에 따르면, 여기에는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받는 센서들과 같은 저-에너지 기기들을 네트워크 서버에 연결하기 위한 일 클래스(class)의 네트워크 프로토콜(그리고 기기들)이 포함된다. 상기 프로토콜은 낮은 작동 비용으로 말단 기기들의 원거리(long range) 통신 및 저전력 소비를 달성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것은 유리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데이터 전송은 다른 표준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전송 유닛 및 수신 유닛의 기술과 가용한 에너지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전송은 WLAN, WIFI, Bluetooth, NFC를 거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PWAN 의 경우, 데이터 전송은 Sigfox, NB-IoT, Mioty, 또는 LoRaWAN 프로토콜들 중의 하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체적으로, 위와 같은 구성은 고유의 식별 번호를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파트 목록들(digital parts lists), 상태들, 및 다른 컨텐츠를 가진, 특히 클라우드 내의 디지털 트윈을 쉽고 확실하게 연결시킴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힘, 가속도 등과 같은 기계적 정보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한 상기 장치의 상태에 관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하여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센서의 환경에 관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공기 온도 및 습도와 같은 센서 데이터 및/또는 작동 사이클을 평가하는 것도 고찰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서 평가, 보완, 또는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초기에 기기(1) 내에 국부적으로 수집될 수 있고, 상기 센서가 수년 동안 하나의 배터리로 작동함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가끔씩만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특히 개폐가능한 윙 요소(102)를 구비하는) 상기 장치(100)의 제작 동안에, 바람직하게는 장치(100)의 부품들의 목록이 서버 내의 구성요소의 식별 번호(IK)에 연계되어 디지털 트윈이 생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특히 개폐가능한 윙 요소(102)를 구비한) 장치(100)가 설치되는 때에,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한 장치의 위치 및 올바른 작동의 확인은 서버 내의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한 장치의 식별 번호와 연계된다.
바람직하게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을 구비한 장치의 작동 동안에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을 구비한 장치의 작동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고,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한 장치의 식별 번호와 연계된다.
서버에서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을 구비한 장치의 데이터가 추가적으로 분석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서버와 연결되는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다음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의 구현 및 사용될 수 있다.
* 데이터가 관찰될 수 있다.
* 가능한 마모 및 오류 상태가 검출될 수 있다.
* 교착(occlusion) 상태가 모니터링될 수 있다.
* 환기 추천이 발신될 수 있다.
* 경고가 촉발될 수 있다.
* 기물파손이 검출될 수 있다.
* 침입이 검출될 수 있다.
* 액추에이터에서의 작동이 촉발될 수 있다.
* 유지관리가 추천 또는 계획될 수 있다.
* 여유 부품이 주문될 수 있다.
* 특정 구성요소에 해당되는 모든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서비스 파트너(service partner)로 발신될 수 있다.
1: 기기
2: 하우징
3: 하우징 베이스
4: 제2 하우징 부분
5: 체결 수단
6: 수용 공간
7: RFID 태그
8: QR 코드
9: 전자 회로부
10: 플러그-인 연결부
11, 12: 래칭 수단
13: 안테나
100: 장치
101: 고정 프레임
102: 윙 프레임
103: 홈
104: 중앙 시일
105, 106: 웹(Web)
107: 끼움 홈
108: 기능 요소
I: 빌딩
F: 리베이트 공간
IK: 식별 마커
E: 수신기
R: 컴퓨터
C: 클라우드
G1, G2: 간극

Claims (28)

  1. 개폐가능한 윙 요소(wing element)(102)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100)를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기(1)로서,
    상기 기기(1)는 하우징(2)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2)은, 상기 장치(100)에 일체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장치(100)에 고정될 수 있는 하우징 베이스(housing base)(3), 및 상기 하우징 베이스에 대해 부착 및 분리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하우징 부분(4)을 구비하며,
    상기 기기에는 식별 마커(identification marker)가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 베이스(3)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의 식별 마커인 제1 식별 마커(IK-E)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은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을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식별 마커(IK-Z)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베이스(3)는, 제1 식별 마커(IK-E)를 파괴하지 않고서는 개폐가능한 윙 요소(102)를 구비한 장치(100)로부터 비파괴 방식(destruction-free manner)으로 분리될 수 없도록, 개폐가능한 윙 요소(10)를 구비한 연결 기기에 의하여, 개폐가능한 윙 요소(100)를 구비한 장치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부분(4)은 상기 하우징 베이스(3) 또는 상기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한 장치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부분(4)은 상기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한 장치 또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3)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이 분리된 때에는 제2 식별 마커(IK-Z)의 이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래칭 연결부(latching connection) 및/또는 턴-오프 스크류(turn-off screw) 및/또는 원-타임 리벳(one-time rivet) 및/또는 마이크로-커팅 블레이드(micro-cutting blade) 및/또는 접착 연결부(adhesive connec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연결 기기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6.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마커(IK-E)는 상기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한 장치의 식별을 위하여 NFC 및/또는 RFID 태그(7) 및/또는 QR 코드(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7.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 마커(IK-Z)는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의 식별을 위하여 NFC 및/또는 RFID 태그(7) 및/또는 QR 코드(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8.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은 라디오(radio) 통신에 의하여 제2 식별 마커(IK-B)를 전송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9.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베이스(3)와 제2 하우징 부분(4)은 함께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예를 들어 배터리 등의 수용을 위한 배터리 수납부(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10.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너지 수확(energy harvest)을 위한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11.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를 들어 자기 플러그(magnetic plug)와 같은 케이블/플러그에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 예를 들어 플러그-인 연결부(plug-in connection)(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12.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 베이스(3) 또는 제2 하우징 부분(4)에 배치된 전자 회로부(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13.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회로부(9)는 데이터 전송 기기(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14.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기기는 무선 데이터 전송, 특히 WLAN, WIFI, Bluetooth, RFID, LoRa, LPWAN, LoRAWAn, LPN, 저주파수 통신, 및/또는 라디오 통신에 의한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15.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회로부(9)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한 센서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16.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부분(4)은 대응되는 연결 수단, 특히 분리가능한 대응 래칭 수단(11, 12)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 베이스(3)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1).
  17. 적어도 하나의 개폐가능한 윙 요소(100)와,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포함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윈도우 또는 도어로서 형성되고, 고정 프레임(101) 및 윙 프레임(1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101)과 윙 프레임(102) 사이에는 리베이트 공간(F)이 형성되고, 상기 기기(1)는 상기 리베이트 공간(F) 안에 완전히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하우징(2)은 상기 윙 프레임에 장착 또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1)의 하우징(2)은 상기 고정 프레임(101) 또는 윙 프레임(102)의 홈(103)에 분리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1)의 하우징(2)은 끼움 홈(107) 내의 기능 요소(108)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18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안테나 및/또는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는, 상기 리베이트 공간(F)을 상기 윈도우 또는 도어에 인접한 공간들 중 하나에 연결하는 간극(G1, G2) 안으로 또는 상기 간극(G1, G2)을 통하여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18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빌딩의 벽 개구(wall opening) 내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기기는 설치된 윙 프레임(102)과 설치된 고정 프레임(101)의 중앙 위에 놓인 리베이트 공간(F)의 영역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측 수평 윙 프레임 섹션과 상측 수평 고정 프레임 섹션 사이 또는 수직 고정 프레임의 상측 부분과 윙 프레임 섹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18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101) 및/또는 윙 프레임(102)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 프로파일(metal profile)로부터의 복합재로 제작될 수 있거나, 플라스틱 또는 목재와 같은 실질적인 단일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17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를 적어도 복수개 포함하는,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장치들의 적어도 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가능한 윙 요소가 제공되고,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한 장치들 각각 또는 일부는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개폐가능한 윙 요소(100)를 구비한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의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기기(1)와 연계되며,
    상기 시스템은:
    (i)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 특히 데이터 클라우드(C) 내의 데이터 베이스 내에 상기 기기(1)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 및 평가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E); 및
    (ii) 상기 데이터의 분석을 위한 평가 프로그램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파라미터들과 비교 및/또는 저장하도록 설계되고, 또한 전송 또는 입력된 식별 마커에 기초하여 개폐가능한 윙 요소을 구비한 장치의 대응되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으로 전송 데이터를 할당하도록 설계되는, 컴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의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 기기(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적 기기(1)는 제1항 내지 제24항에 기재된 것과 상이한 구성을 가지며, 특히 개방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따른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에는 제17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를 적어도 복수개 제공되고,
    상기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가능한 윙 요소가 제공되며,
    개폐가능한 윙 요소을 구비한 장치들 중 일부 또는 그 각각은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개폐가능한 윙 요소(100)을 구비한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 각각의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기기(1)와 연계되며,
    상기 시스템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 특히 데이터 클라우드(C) 내의 데이터 베이스 내에 상기 기기(1)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 및 평가 및/또는 저장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E); 및 상기 데이터의 분석을 위한 평가 프로그램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상기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파라미터들과 비교 및/또는 저장하도록 설계되고, 또한 적어도 제1 식별 마커 및 제2 식별 마커에 관한 전송 및/또는 입력된 데이터를 특히 개폐가능한 윙 요소을 구비한 장치의 대응되는 디지털 트윈에 할당하도록 더 설계되는, 방법.
KR1020227012928A 2019-09-18 2020-09-02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의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기 및 방법 KR202200643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25087.0 2019-09-18
DE102019125087.0A DE102019125087A1 (de) 2019-09-18 2019-09-18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Identifikation und Zustandsüberwachung einer zu überwachenden Einrichtung mit einem öffenbaren und verschließbaren Flügelelement
PCT/EP2020/074454 WO2021052757A1 (de) 2019-09-18 2020-09-02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identifikation und zustandsüberwachung einer zu überwachenden einrichtung mit einem öffenbaren und verschliessbaren flügele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399A true KR20220064399A (ko) 2022-05-18

Family

ID=72340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2928A KR20220064399A (ko) 2019-09-18 2020-09-02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의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341241A1 (ko)
EP (1) EP4031736B1 (ko)
JP (1) JP2022549599A (ko)
KR (1) KR20220064399A (ko)
CN (1) CN114423922B (ko)
DE (1) DE102019125087A1 (ko)
ES (1) ES2972591T3 (ko)
PL (1) PL4031736T3 (ko)
WO (1) WO20210527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23555A1 (de) 2021-09-10 2023-03-16 Ifm Electronic Gmbh Verriegelungseinrichtung zur Überwachung der Schutzstellung einer Schutzeinrichtung
CN115660509B (zh) * 2022-12-26 2023-06-27 沈阳创新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数字孪生技术的工厂建造管控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54797A (en) * 1999-09-29 2001-04-04 Ford Global Tech Inc A hinge allowing pivoting about one axis until release of a catch allows pivoting about second axis.
US6420972B1 (en) * 2000-10-18 2002-07-16 Wms Gaming, Inc. Door monitor for a gaming machine
US20020180600A1 (en) * 2001-05-29 2002-12-05 Kirkland Ronnie L. Garage door remote monitoring system
DE20304638U1 (de) * 2003-03-22 2003-08-07 Wendland, Rainer, 56477 Nister-Möhrendorf Baubeschläge von Türen und/oder Fenstern
DE102004018066A1 (de) * 2004-04-08 2005-10-27 SCHÜCO International KG Drehkippfenster
DE102010012557A1 (de) * 2010-03-23 2011-09-29 Link Gmbh Sensoreinheit sowie Fenster und Gebäudeüberwachungssystem mit derartigen Sensoreinheiten
US9142108B2 (en) * 2011-09-01 2015-09-22 Ecolink Intelligent Technology, Inc.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DE202014000574U1 (de) * 2014-01-24 2014-02-20 Josef Holzer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Warn- oder Hinweissignalen
AU2015222821B2 (en) * 2014-02-27 2020-09-03 Hunter Dougla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decorating interface
DE102015107416B4 (de) * 2015-05-12 2018-08-30 Fraba B.V. Wartungssystem zur Überwachung einer Tor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r Torvorrichtung
EP3306023B8 (de) * 2016-10-10 2022-06-08 PortaNet AG System zum messen, überwachen und steuern von beweglichen und schliessbaren bauteilen
FR3069006A1 (fr) * 2017-07-13 2019-01-18 Invoxia Procede et dispositif de supervision de porte, et systeme de supervision incluant un tel dispositif.
US10304299B1 (en) * 2018-01-23 2019-05-28 E-S Information Systems Inc. Container breach detector
CA3116944A1 (en) * 2018-12-21 2020-06-25 Inventio Ag Access control system with sliding door with object monitor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4031736T3 (pl) 2024-03-25
CN114423922B (zh) 2024-01-05
WO2021052757A1 (de) 2021-03-25
DE102019125087A1 (de) 2021-03-18
JP2022549599A (ja) 2022-11-28
US20220341241A1 (en) 2022-10-27
CN114423922A (zh) 2022-04-29
EP4031736A1 (de) 2022-07-27
ES2972591T3 (es) 2024-06-13
EP4031736B1 (de) 202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3608B2 (en) Door monitoring system
US9836903B2 (en) Door lock sensor and alarm
KR20220064399A (ko) 개폐가능한 윙 요소를 구비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장치의 식별 및 상태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기 및 방법
US8305232B2 (en) Utility network interface device configured to detect and repor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KR101648012B1 (ko) 빌딩내 부하기기 센싱용 임베디드형 스마트 iot장치
KR101965321B1 (ko) 센서융합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실험실 통합관리 시스템
US118995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imed functions in a wireless electronic device
US20240011519A1 (en) Method for Operating a Monitoring System
KR101559343B1 (ko) 철도차량 부품이력 및 상태진단 관리 분석 시스템
US20050116835A1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an actuator
CN118176408A (zh) 用于监测机器的状态的方法、系统、计算机程序
DE102019125081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Identifikation und Zustandsüberwachung einer zu überwachenden Einrichtung
CN115864660B (zh) 配电控制系统
WO2006124029A3 (en) Remotely monitored and controlled building automation system
IT201900008562A1 (it) Cubiera edile e relativo sistema di gestione
CA3240727A1 (en) Error data reporting for entrance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