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175A - 광원상태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원상태제어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64175A KR20220064175A KR1020200150396A KR20200150396A KR20220064175A KR 20220064175 A KR20220064175 A KR 20220064175A KR 1020200150396 A KR1020200150396 A KR 1020200150396A KR 20200150396 A KR20200150396 A KR 20200150396A KR 20220064175 A KR20220064175 A KR 202200641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lluminance
- light source
- unit
- value
- outp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소자를 기반으로 하는 광원의 출력제어를 통해 광소자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추후 설정관리 및 제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관리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LED 조명에 대한 출력 값 조정이력 및 이에 따른 광소자의 수명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동일한 종류의 광소자를 활용시 설정값을 적용할 수 있도록, 기존의 LED 광소자에 시간경과에 따른 출력제어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해당 광소자의 출력제어 값의 조정 결과를 출력값으로 하는 기계학습을 수행한 결과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명 연장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LED 소자를 기반으로 하는 광원의 출력제어를 통해 광소자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추후 설정관리 및 제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관리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과거의 건물 실내 조명은 형광등, 할로겐 조명 등이 천장에 설치되어 구현됐지만, 소비전력이 크고 단색의 조명 만을 제공하여 현재는 상기 단점을 보완하고 효율이 높은 LED 조명이 개발돼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일반적인 LED조명의 수명은 약 3만 시간 정도이며, 하루에 12시간을 사용한다고 가정시 약 5년 정도 사용 가능하지만, 실제 사용 기간은 3년 이내에 그치게 되는데, 이는 컨버터 부품인 전해 콘덴서의 수명이 통상 3년 이내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며, 이러한 문제는 컨버터 교체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반면, 일반적으로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LED 조명을 구매후 시간이 흐를수록 LED의 밝기(휘도)가 떨어지면서 조명자체의 밝기가 지속적으로 떨어지며 어두워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데, 이러한 점은 LED 조명 자체를 바꾸게 되는 바, 비용 손실이 커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한국소비자원의 ‘LED 등기구’ 품질 비교 시험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 시중에 상용화되어 있는 다수의 LED 등기구에 대한 수명 성능 및 내구성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통상 광속유지율(초기광속(밝기) 대비 장시간(2,000시간) 점등 후의 광속 비율로 수치가 높을수록 우수함)과 수명가속(초기광속 대비 수명가속 조건(70°C)에서 1,000시간 점등 후의 광속 비율로 수치가 높을수록 우수함)에 대한 지표를 실험한 것으로, 사용제품의 경우 광속유지율은 평균적으로 양호한 지표를 나타내나, 수명가속의 경우, 40% 제품이 광속비율이 80%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비율은 2000시간 점등시 급격히 하락하게 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센서를 기반으로 LED 광원의 조도를 감지하여, 출력을 균일한 설정 범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출력(PWM Duty) 값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해, LED의 밝기를 원하는 범위로 유지하면서도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나아가, 광소자 자체에 대한 이상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조명의 구동 조건과 연계하는 정보를 제조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광소자의 불량 요소의 개량과 개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LED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모듈부(100); 상기 광원모듈부(100)에서 출사되는 광의 조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기준 조도 값과의 대비를 통해 설정 조도 값으로 제어하는 조도제어모듈(200); 및 상기 조도제어모듈(200)에서 조도 측정 내역 및 조도 제어 조건을 포함하는 변경조건을 분석하여 LED 광원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광원상태 관리모듈(300);을 포함하는, 광원 상태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상기 조도제어모듈(200)은, 상기 광원모듈부(100)에서 조사되는 출력광에 따른 조도를 광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조도측정부(210); 상기 조도측정부(210)에서 측정된 조도값에 따른 측정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조도값을 설정된 기준 조도값과 대비하는 출력조건비교부(220); 상기 출력조건비교부(220)의 비교 결과와 연동하여, 출력(PWM Duty) 값을 조정하여 밝기(Lux)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광출력제어부(230);상기 조도제어모듈(200)의 측정이력 및 제어이력을 저장하는 조건저장부(240);를 포함하는, 광원 상태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광원상태관리모듈(300)은, 상기 광원모듈부(100)의 광 소자의 정보를 인식하여 분류하는 광원정보 인식부(310); 상기 조건저장부(240)에서 저장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광원모듈부(100)의 광소자의 상태조건을 분석하는 광원정보 분석부(320); 상기 광원정보 분석부(320)의 분석에 따라 LED 소자의 상태정보, 주변 부품소자의 상태정보에 따른 이상정보를 기준으로 광원모듈부(100)의 상태를 분류하는 상태판별부(330); 상기 상태판별부(330)의 분류 조건을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340)를 포함하는, 광원 상태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상기 광출력제어부(230)는, 상기 광 센서를 통해 조도 모니터링하여 조도가 기준 조도값 이상이라면, 출력(PWM Duty) 값을 변화시키지 않고 조도 모니터링을 계속하고, 조도가 기준 조도값 미만이라면, 출력(PWM Duty) 값을 증가시켜 상기 광원모듈부(100)를 작동시키며, 전원이 OFF되었을 때 바뀐 최종 광원모듈부(100) 값을 저장하고, 이후 전원이 ON 되었을때, 상기 최종 출력(PWM) 값으로 출력하여 동일한 밝기로 LED 조명 시스템을 작동 시키는, 광원 상태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광원상태관리모듈(300)은, 상기 광원정보 분석부(320)에서 분류된 LED 광소자에 시간경과에 따른 출력제어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해당 광소자의 출력제어 값의 조정 결과를 출력값으로 하는 기계학습을 수행하고, 해당 결과에 따른 학습결과를 상기 광출력제어부(230)의 설정 조도값의 변경에 적용하도록 하는, 조도학습모델부(350)를 더 포함하는,광원 상태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센서를 기반으로 LED 광원의 조도를 감지하여, 출력을 균일한 설정 범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출력(PWM Duty) 값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해, LED의 밝기를 원하는 범위로 유지하면서도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LED 조명에 대한 출력 값 조정이력 및 이에 따른 광소자의 수명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동일한 종류의 광소자를 활용시 설정값을 적용할 수 있도록, 기존의 LED 광소자에 시간경과에 따른 출력제어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해당 광소자의 출력제어 값의 조정 결과를 출력값으로 하는 기계학습을 수행한 결과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명 연장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광소자 자체에 대한 이상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조명의 구동 조건과 연계하는 정보를 제조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광소자의 불량 요소의 개량과 개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도 구현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상용화된 조명 제품의 광속유지율 등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상태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LED 광원의 특성 저하의 비율을 일반 형광등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상태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 조도 제어 과정으로 이용하는 것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본 발명의 광센서와 조도 제어 시스템을 구현한 예시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상태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LED 광원의 특성 저하의 비율을 일반 형광등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상태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 조도 제어 과정으로 이용하는 것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본 발명의 광센서와 조도 제어 시스템을 구현한 예시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상태 제어시스템(이하, '본 발명'이라 한다.)의 주요 구성 블록도 이며, 도 2는 도 1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다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모듈부(100)와, 상기 광원모듈부(100)에서 출사되는 광의 조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기준 조도 값과의 대비를 통해 설정 조도 값으로 제어하는 조도제어모듈(200) 및 상기 조도제어모듈(200)에서 조도 측정 내역 및 조도 제어 조건을 포함하는 변경조건을 분석하여 발광소자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광원상태 관리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모듈부(100)는, 발광소자를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컨버터, 제어기 등을 포함하는 모듈화된 조명장치를 통칭하며, 상기 발광소자는 LED, OLED, LD 등 다양한 발광소자를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발광소자로 LED 소자를 실장한 장치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조도제어모듈(200)은, 상기 광원모듈부(100)에 실장되는 다수의 발광소자의 밝기(휘도)의 변화를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광원모듈부(100)에서 출사되는 광의 조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기준 조도 값과의 대비를 통해 설정 조도 값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상기 조도제어모듈(200)은, 상기 광원모듈부(100)에서 조사되는 출력광에 따른 조도를 광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조도측정부(210), 상기 조도측정부(210)에서 측정된 조도값에 따른 측정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조도값을 설정된 기준 조도값과 대비하는 출력조건비교부(220), 상기 출력조건비교부(220)의 비교 결과와 연동하여, 출력(PWM Duty) 값을 조정하여 밝기(Lux)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광출력제어부(230), 상기 조도제어모듈(200)의 측정이력 및 제어이력, 전원 OFF 시의 최종 PWM 값을 저장하는 조건저장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도측정부(210)는 광센서를 통해 상기 광원모듈부(100)에서 조사되는 출력광에 따른 조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광 센서는 LED 조명의 광 에너지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검출하는 소자이며, 광 센서를 통해 입력된 입력값을 토대로 출력값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광센서로는 CDS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상기 출력조건비교부(220)는 상기 광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값에 따른 측정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조도값을 설정된 기준 조도값과 대비하고, 대비된 결과를 바탕으로, 광출력제어부(230)를 통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일예로,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의 출력제어를 설계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표 1}
즉, 입력되는 광센서의 입력밧을 기준으로, 출력값(PWM duty)을 조정하여 밝기(Lux)를 일정하게(100Lux)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다. LED와 같은 광소자는 시간이 지나면, 조도(비춰지는 물체의 단위면적에 들어오는 빛의 양, Lux)가 줄어들게 된다. 도 4는 이러한 특성을 예시한 그래프로, LED 직관등과 기존 형광등의 조도의 저하를 계측한 것으로, 약 40,000 시간이 지난 후에는, 통상 LED의 경우 최초 조도 특성에서 약 70%의 범위로 조도가 낮아지게 된다.이러한 조도가 줄어드는 특성을 고려하여, 40,000시간이 지나더라도 위 표 1과 같은 설계로 밝기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출력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광출력제어부(230)는, 상기 광 센서를 통해 조도 모니터링하여 조도가 기준 조도값 이상이라면, 출력(PWM Duty) 값을 변화시키지 않고 조도 모니터링을 계속하고, 조도가 기준 조도값 미만이라면, 출력(PWM Duty) 값을 증가시켜 상기 광원모듈부(100)를 작동시키며, 전원이 OFF되었을 때 바뀐 최종 광원모듈부(100) 값을 저장하고, 이후 전원이 ON 되었을때, 상기 최종 출력(PWM) 값으로 출력하여 동일한 밝기로 LED 조명 시스템을 작동 시키는, 자동화한 출력보정제어(AUTO Calibration)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본 발명의 자동화 출력제어 방식의 구조는, 조도측정부(210)의 광 센서의 입력값에 따라 출력(PWM DUTY)값을 자동 교정하여 실시간 휘도 사양 조정 할 수 있다. 광원모듈부(100)의 전원이 켜지면, 기 저장된 PWM DUTY값이 출력되어 해당 PWM DUTY값에 맞는 밝기로 LED 조명을 작동시키고, 상기 광 센서를 통해 조도를 모니터링하여 조도가 기준보다 이상이라면, PWM DUTY값을 변화시키지 않고 조도 모니터링을 계속하고, 조도가 기준보다 미만이라면, PWM DUTY값을 증가시켜 LED 조명을 작동시키며, 전원이 OFF되었을 때 바뀐 최종 PWM 값을 저장하여 다음 LED 조명 시스템을 ON 했을 때 상기 최종 PWM 값으로 출력하여 동일한 밝기로 LED 조명 시스템을 작동 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본 발명의 광센서와 조도 제어 시스템을 구현한 예시회로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광원상태관리모듈(300)을 더 포함하여, 상기 조도제어모듈(200)에서 조도 측정 내역 및 조도 제어 조건을 포함하는 변경조건을 분석하여 기계학습을 통해 추후 동일한 종류의 발광소자의 조도 설정값을 설계하는 것에 적용하거나, 또는 발광소자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외부 서버로 전송하여, 외부 제조사에서 해당 제품에 대한 수명 변화 및 불량 요소, 상태 변화정보를 반영하여 추후 제품 개발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위해, 본 발명의 상기 광원상태관리모듈(300)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광원모듈부(100)의 광 소자의 정보를 인식하여 분류하는 광원정보 인식부(310), 상기 조건저장부(240)에서 저장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광원모듈부(100)의 발광소자의 상태조건을 분석하는 광원정보 분석부(320), 상기 광원정보 분석부(320)의 분석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의 상태정보, 주변 부품소자의 상태정보에 따른 이상정보를 기준으로 광원모듈부(100)의 상태를 분류하는 상태판별부(330), 상기 상태판별부(330)의 분류 조건을 외부 제조사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정보 인식부(310)는 통상 사용자단말에서 사용되는 광소자의 제품코드를 입력하거나, 이미지센서를 부착하여, LED 소자의 품번을 인식시켜 해당 제품에 대한 품명, 품번, 제조사정보, 제품의 소비전력 등의 상세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조건저장부(240)에서는 본 발명에서, 해당 발광소자의 출력제어를 통해 균일한 휘도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시간별 제어조건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에 대한 조건 설정 이력이 저장되어 있게 되는바, 이러한 저장정보를 바탕으로, 발광소자의 상태정보와 이를 구동시키는 연동하는 부품모듈의 상태 정보(고장, 파손 등)를 상기 광원정보 분석부(320)의 분석 결과로 산출할 수 있게 되며, 이를 바탕으로 광원모듈부(100)의 상태를 분류하는 상태판별부(330)에서 해당 부품별 상태를 정상, 고장, 노후화 등의 분류 기준을 두고 분류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무선통신부(340)에서 상기 상태판별부(330)의 분류 조건을 외부 제조사 서버로 전송하게 되며, 제조사에서는 이상의 제품에 대한 사용상태에 따른 소모 비율과 구동 이력 등을 토대로 이후 제품을 보완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무선통신부(340)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서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등의 하나의 방식으로 외부의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의 장치는 사용자의 핸드폰, 태블릿 컴퓨터 등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 조작을 통해 무선통신으로 통신하여 LES 조명 시스템의 스위칭 전원 ON/OFF, 밝기 제어, LED 교체 시기 알람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광원정보 분석부(320)에서 분류된 LED 광소자에 시간경과에 따른 출력제어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해당 광소자의 출력제어 값의 조정 결과를 출력값으로 하는 기계학습을 수행하고, 해당 결과에 따른 학습결과를 상기 광출력제어부(230)의 설정 조도값의 변경에 적용하도록 하는, 조도학습모델부(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도학습모델부(350)는 머신러닝 모듈로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특정 발광소자군을 포함하는 광원모듈(100) 내 각각의 발광소자에 대한 해당 조도 출력 제어조건을 반복적으로 저장하여 머신러닝을 수행한다. 이때, 각 발광소자에 대한 설정조건의 변동 사항이 없으면, 학습을 통해 그룹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고, 변동 사항이 발생하면, 이를 학습하여 해당 내용에 따라 설정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조도학습모델부(350)는 최소 생성된 광원모듈(100)의 발광소자들의 설계 조건 정보와 업데이트 되는 조건 정보를 설정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학습하고, 추후 동일한 종류의 발광소자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이를 적용하고, 다시 업데이트 함으로써, 한층 더 효율적으로 조명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환경에 따라 프로세서와 통합하거나 분리하여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제어 시스템을 컴퓨터에 비교하면 프로세서와 조도학습모델부는 CPU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하나의 처리장치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광원모듈부
200: 조도제어모듈
210: 조도측정부
220: 출력조건비교부
230: 광출력제어부
240: 조건저장부
300: 광원상태 관리모듈
310: 광원정보 인식부
320: 광원정보 분석부
330: 상태판별부
340: 무선통신부
350: 조도학습모델부
200: 조도제어모듈
210: 조도측정부
220: 출력조건비교부
230: 광출력제어부
240: 조건저장부
300: 광원상태 관리모듈
310: 광원정보 인식부
320: 광원정보 분석부
330: 상태판별부
340: 무선통신부
350: 조도학습모델부
Claims (5)
- 다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모듈부(100);
상기 광원모듈부(100)에서 출사되는 광의 조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기준 조도 값과의 대비를 통해 설정 조도 값으로 제어하는 조도제어모듈(200); 및
상기 조도제어모듈(200)에서 조도 측정 내역 및 조도 제어 조건을 포함하는 변경조건을 분석하여 발광소자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광원상태 관리모듈(300);
을 포함하는,
광원 상태 제어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도제어모듈(200)은, 상기 발광소자로 LED 소자를 적용하며,
상기 광원모듈부(100)에서 조사되는 출력광에 따른 조도를 광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조도측정부(210);
상기 조도측정부(210)에서 측정된 조도값에 따른 측정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조도값을 설정된 기준 조도값과 대비하는 출력조건비교부(220);
상기 출력조건비교부(220)의 비교 결과와 연동하여, 출력(PWM Duty) 값을 조정하여 밝기(Lux)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광출력제어부(230);
상기 조도제어모듈(200)의 측정이력 및 제어이력, 전원 OFF 시의 최종 PWM 값을 저장하는 조건저장부(240);
를 포함하는,
광원 상태 제어시스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제어부(230)는,
상기 광 센서를 통해 조도 모니터링하여 조도가 기준 조도값 이상이라면, 출력(PWM Duty) 값을 변화시키지 않고 조도 모니터링을 계속하고,
조도가 기준 조도값 미만이라면, 출력(PWM Duty) 값을 증가시켜 상기 광원모듈부(100)를 작동시키며,
전원이 OFF되었을 때 바뀐 최종 광원모듈부(100) 값을 저장하고, 이후 전원이 ON 되었을때, 상기 최종 출력(PWM) 값으로 출력하여 동일한 밝기로 LED 조명 시스템을 작동 시키는,
광원 상태 제어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원상태관리모듈(300)은,
상기 광원모듈부(100)의 광 소자의 정보를 인식하여 분류하는 광원정보 인식부(310);
상기 조건저장부(240)에서 저장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광원모듈부(100)의 광소자의 상태조건을 분석하는 광원정보 분석부(320);
상기 광원정보 분석부(320)의 분석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의 상태정보, 주변 부품소자의 상태정보에 따른 이상정보를 기준으로 광원모듈부(100)의 상태를 분류하는 상태판별부(330);
상기 상태판별부(330)의 분류 조건을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340)를 포함하는,
광원 상태 제어시스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광원상태관리모듈(300)은,
상기 광원정보 분석부(320)에서 분류된 LED 광소자에 시간경과에 따른 출력제어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해당 광소자의 출력제어 값의 조정 결과를 출력값으로 하는 기계학습을 수행하고,
해당 결과에 따른 학습결과를 상기 광출력제어부(230)의 설정 조도값의 변경에 적용하도록 하는, 조도학습모델부(350)를 더 포함하는,
광원 상태 제어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0396A KR20220064175A (ko) | 2020-11-11 | 2020-11-11 | 광원상태제어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0396A KR20220064175A (ko) | 2020-11-11 | 2020-11-11 | 광원상태제어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4175A true KR20220064175A (ko) | 2022-05-18 |
Family
ID=81800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0396A KR20220064175A (ko) | 2020-11-11 | 2020-11-11 | 광원상태제어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64175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5337A (ko) | 2009-07-10 | 2011-01-18 | 케이디지전자 주식회사 | 전해캐패시터 수명 연장이 가능한 엘이디 램프 구동회로 |
KR101258904B1 (ko) | 2012-11-29 | 2013-04-29 | 주식회사 천일 |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엘이디 조명기구 |
-
2020
- 2020-11-11 KR KR1020200150396A patent/KR2022006417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5337A (ko) | 2009-07-10 | 2011-01-18 | 케이디지전자 주식회사 | 전해캐패시터 수명 연장이 가능한 엘이디 램프 구동회로 |
KR101258904B1 (ko) | 2012-11-29 | 2013-04-29 | 주식회사 천일 |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엘이디 조명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231269A1 (en) | Light and Light Sensor | |
US10548199B2 (en) |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a lighting system | |
EP1711038B1 (en) | Intelligent light degradation sensing LED Traffic signal | |
US20200060005A1 (en) | Monitoring lighting | |
US9992843B2 (en) | Location independent lighting sensor system | |
US10404096B2 (en) | Emergency lighting system | |
JP5842127B2 (ja) | 照明装置、照明制御装置、照明器具及び照明制御システム | |
US9648697B1 (en) | Brightness monitoring for LED failures and daylighting target adjusting | |
JP6979452B2 (ja) | カメラベースの周囲光推定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 |
US20150084637A1 (en) | Assembly and method for evaluating the state of an electronic unit used for illumination purposes | |
US20240237179A9 (en) | Testing method and controller for controlling testing method | |
KR101280079B1 (ko) | 발광다이오드 가로등, 발광다이오드 가로등 제어 시스템 및 발광다이오드 가로등 제어 방법 | |
US9157813B2 (en) | Device for outputting temperature information | |
JP2012119541A (ja) | Led照明装置用電源システム及び給電方法 | |
KR20220064175A (ko) | 광원상태제어시스템 | |
KR101410551B1 (ko) | 엘이디 조명기구 고장진단 장치 | |
CN117310548A (zh) | 一种灯具使用寿命在线检测设备 | |
US20180160506A1 (en) | Driving module and light source system having the driving module | |
FI116356B (fi) | Järjestelmä kunnonvalvontaa varten | |
KR102452507B1 (ko) | 광센서를 이용한 led 조명 밝기 유지 및 수명 연장하는 전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
WO2016151664A1 (ja) | Led点灯装置およびled点灯方法 | |
CN108811227A (zh) | 一种基于物联网技术在线检测led路灯故障的方法 | |
EP4233492A1 (en) | Drivers for emergency lighting means | |
JPH07103816A (ja) | 照明用光源の寿命検知装置 | |
JP2020140995A (ja) | 発光装置、発光装置の検査装置及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