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155A - 후방도 볼 수 있는 안경 - Google Patents

후방도 볼 수 있는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4155A
KR20220064155A KR1020200150353A KR20200150353A KR20220064155A KR 20220064155 A KR20220064155 A KR 20220064155A KR 1020200150353 A KR1020200150353 A KR 1020200150353A KR 20200150353 A KR20200150353 A KR 20200150353A KR 20220064155 A KR20220064155 A KR 20220064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lens
mirror surface
rim
ri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9250B1 (ko
Inventor
유재원
Original Assignee
유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원 filed Critical 유재원
Priority to KR1020200150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250B1/ko
Publication of KR20220064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안경은 양쪽 렌즈의 외측에 거울면을 형성하여 안경을 착용하면 그 거울면에 후방이 반사되면서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뒤를 돌아보지 않고도 후방을 볼 수 있도록 하였고,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고개를 살짝만 돌려도 등뒤 가까운 곳의 사각지대 까지 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거울면을 형성하는 4가지 실시예를 제공하여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고개를 돌리지 않고도 등 바로 뒤와 같이 잘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고, 기존 렌즈에 형태 변화를 주지 않고도 거울면을 형성할 수도 있게 하였으며, 거울면을 착탈가능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거울면의 유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후방도 볼 수 있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후방도 볼 수 있는 안경{Glasses to see the rear}
본 발명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의 일측에 거울면이 형성된 후방도 볼 수 있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시력을 교정하거나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눈 앞에 장비하는 렌즈이다. 눈의 비정시력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안경과 외부에서 가해지는 장애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안경이 있다.
안경은 사용 목적에 따라 교정안경과 보호안경의 두 종류로 크게 구별한다. 즉, 눈의 비정시력(非正視力)을 보정하기 위한 것을 교정안경이라 하고, 눈을 외계로부터의 장애, 즉 자외선·적외선, 강한 가시광선·방사선 외에 바람·이물·약품 등을 막기 위하여 쓰는 것을 보호안경이라고 한다.
교정안경에는 근시·원시·난시·노안용이 있고, 보호안경의 일반적인 것으로는 선글라스가 있으며, 특수한 것으로는 렌즈의 주위에 장벽을 설비한 방진·수중·방풍·방설용 등이 있다.
정상적인 눈의 경우 눈의 원점이 무한대이고 근점은 약 25cm이다. 이러한 원점과 근점을 갖지 못하는 눈을 근시, 원시라고 한다.
근시는 정상적인 눈에 비해 수정체가 볼록하거나 수정체에서 망막까지의 거리가 길어 원점이 무한대보다 짧아 물체를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최소 거리가 짧아진다. 이 경우 무한대에 있는 물체에서 평행하게 입사하는 광이 망막 앞에 상을 맺기 때문에 렌즈를 이용하여 물체의 상을 그 사람의 원점에 맺게 하기 위하여 원점 거리에 해당하는 초점거리를 갖는 오목렌즈를 착용한다.
원는 정상인의 눈에 비해 안구가 짧거나 모양체근의 탄력 저하에 의해 수정체가 정상인보다 얇아서 근점이 25cm보다 길다. 따라서 원시안은 근점 25cm에 높여 있는 물체의 상이 망막 뒤에 맺기 때문에 먼거리의 물체를 보는데는 문제가 없으나 가까운 거리의 물체를 선명하게 보지 못한다. 따라서 볼록렌즈를 이용하여 물체의 상이 그 사람의 근점에 생기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교정안경은 볼록렌즈나 오목렌즈를 사용하는데 빛을 굴절시켜 촛점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시력이 교정되어 잘보이도록 하고, 보호안경은 시력을 교정 보다는 자외선이나 이물질 등으로 눈을 보호하는 것이다. 썬글라스는 이런 목적외에도 미감을 위해서 쓰기도 하지만, 보호안경에 해당된다.
이러한 안경의 렌즈는 투명이나 반투명으로 이루어져 있고, 전방을 주시하는데만 이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077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0830호
본 발명은 전방만 주시할 수 있는 안경에 간단한 구조 변경으로 후방도 주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범죄로부터 예방할 수도 있으며, 심리적으로도 안정된 보행을 할 수 있는 후방도 볼 수 있는 안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안경은 양쪽 렌즈의 외측에 거울면을 형성하여 안경을 착용하면 그 거울면에 후방이 반사되면서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뒤를 돌아보지 않고도 후방을 볼 수 있도록 하였고,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고개를 살짝만 돌려도 등뒤 가까운 곳의 사각지대까지 볼 수 있도록 하는 후방도 볼 수 있는 안경을 제공한다.
또한, 거울면을 형성하는 4가지 실시예를 제공하여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고개를 돌리지 않고도 등 바로 뒤와 같이 잘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고, 기존 렌즈에 형태 변화를 주지 않고도 거울면을 형성할 수도 있게 하였으며, 거울면을 착탈가능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거울면의 유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후방도 볼 수 있는 안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만 주시할 수 있던 안경에 거울면을 형성하여 후방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행시 전방 뿐만 아니라 동시에 후방도 볼 수 있고, 치안이 확보되지 않은 곳에서 후방에서 몰래 다가오는 사람이나 동물 등 뒤를 돌아보아야만 볼 수 있던 것을 뒤를 돌아보지 않고도 시각적으로 알 수 있으므로 범죄를 예측하고 대처할 수 능력을 높일 수 있으며, 걸으면서도 후방을 볼 수 있으므로 주변 상황을 폭넓게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어 심리적으로 안정된 걷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제4실시예의 거울기구의 상세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안경은 양쪽 렌즈의 외측에 거울면을 형성하여 안경을 착용하면 그 거울면에 후방이 반사되면서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뒤를 돌아보지 않고도 후방을 볼 수 있도록 하였고,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고개를 살짝만 돌려도 등뒤 가까운 곳의 사각지대 까지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거울면을 형성하는 4가지 실시예를 제공하여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고개를 돌리지 않고도 등 바로 뒤와 같이 잘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고, 기존 렌즈에 형태 변화를 주지 않고도 거울면을 형성할 수도 있게 하였으며, 거울면을 착탈가능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거울면의 유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가 들어갈 수 있도록 렌즈공이 구비된 한 쌍의 림(110)이 형성된다. 림(110)과 림(110)은 사람 눈과 눈 사이의 거리를 감안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안경의 림(110)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장방형 등 다양한 형태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안경의 림(110)으로는 장방형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림(110)과 림(110) 사이에는 림(110)과 림(110)을 연결하는 브릿지(120)가 형성된다. 브릿지(120)는 한 쌍의 림(110)을 일체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각각의 림(110)의 외측단에는 얼굴에 착용했을 때 귀에 걸 수 있도록 다리(130)가 형성되고, 다리(130)의 끝에는 귀에 걸려서 빠지지 않도록 하향 절곡된 팁이 형성된다.
림(110)의 렌즈공에는 렌즈(140)가 조립된다. 렌즈(140)는 볼록렌즈가 오목렌즈로 이루어져 촛점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시력을 교정해준다. 썬글라스와 같은 보호안경일 때는 평면 렌즈에 색을 입혀서 사용하면 되고, 도수가 없는 안경 일 때는 투명한 평면 렌즈를 사용하면 된다.
렌즈(140)의 외측면에는 배면에 반사재를 도포하여 거울면(MF)을 형성한다. 안경을 쓰고 전방을 주시할 때 안구 전면 부분에 해당되는 부분의 렌즈(140) 부분만 시력 교정에 대부분 이용되고 나머지 렌즈(140)의 양측 끝은 시력교정에 거의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에 거울면(MF)을 형성한 것이다. 렌즈(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측은 거울면을 형성해도 얼굴에 후방이 가려서 후방을 볼 수 없으므로 외측에만 거울면(MF)을 형성하였다.
렌즈(140)의 외측면에 형성된 거울면(MF)은 초생달 모양으로 형성한다. 렌즈(140)의 중심 방향으로 거울면(MF)이 많이 침범할수록 거울면(MF)에 의해 전방 주시를 간섭하여 시력교정이라는 안경 고유의 기능이 떨어지므로 최대한 렌즈(140)의 측면에 거울면(MF)을 형성함으로서 거울면(MF)의 면적을 넓힌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경을 착용하면, 렌즈(140)의 양측 끝에 거울면(MF)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거울면(MF)으로 후방을 볼 수 있다. 렌즈 끝에 거울면(MF)을 형성하더라도 일부는 얼굴에 가려서 등 바로 뒤는 잘 보이지 않는 사각이 생기는데, 이때는 얼굴을 좌우로 살짝만 돌려도 그 사각지대가 감소되면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다리(130), 브릿지(120) 등은 동일하지만, 림(110)을 다리(130) 외측으로 확장시켜 림(110)과 렌즈공을 키우고, 커진 렌즈공 만큼 렌즈(140)도 외측으로 확장시킨 것이다.
또한, 다리(130)는 림의 양 끝에 형성하지 않고, 림(110)이 확장되기 전 그러니까 림의 중심쪽으로 약간 이동시켜 그 자리에 형성하였다. 따라서 다리(130)의 외측으로 림이 1 ~ 2cm 정도 연장되어 있고, 렌즈(140)도 림(110)이 연장된 만큼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연장된 부분의 렌즈(140) 부분에 거울면(MF)을 형성하였다. 일반적인 안경의 렌즈(140) 양측 끝에 거울면(MF)을 형성하면 그 거울면이 얼굴에 가려서 후방을 보더라도 사각지대가 많이 생기는데 이러한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해서 얼굴에서 약간 벗어나게 림(110)과 렌즈(140)를 양측으로 확장시켰고 그 확장된 부분에만 거울면(MF)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제3실시예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는 다리(130), 림(110), 브릿지(120), 렌즈(140) 등 일반적인 안경과 동일한테, 렌즈(140)의 양측 끝에 초생달 형태의 거울박판(210)을 붙인 것이다. 제1실시예 처럼 렌즈(140)의 배면에 반사재를 도포하지 않고 별도로 거울박판(210)을 초생달 형태로 제작하여 거울박판(210)의 배면에 포스트잇 처럼 쉽게 분리되는 접착제를 도포한 후 렌즈(140)의 전면이나 후면 표면에 붙인 것이다. 따라서 거울박판(210)의 외주 형태는 림(110)의 형태와 대응되게 하여 거울박판(210)이 렌즈(140)에 양측 끝에 붙이면 거울박판(210)의 외주가 림(110) 내벽과 밀착되면서 틈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울박판(210)의 표면 곡률도 렌즈(140)의 표면 곡률과 대응되게 형성하여 렌즈(140) 표면에 부착되었을 때 들뜨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울박판(210)은 잘 휘어지는 금속박판을 사용하여 렌즈(140)의 크기나 표면 곡률이 조금씩 다르더라도 렌즈(140)의 표면에 부착시켰을 때 들뜸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는 다리(130), 림(110), 브릿지(120), 렌즈(140) 등 일반적인 안경과 동일한데, 림(110)의 양측 끝에 착탈 가능한 거울기구(310)를 결합한 것이다.
거울기구(310)는 반사재가 도포되어 거울면이 형성된 거울박판(324)과, 거울박판(324)의 일측면이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홀더프레임(320)으로 형성된다. 홀더프레임(320)에는 단면이 (∩) 형태로 이루어져 림(110)에 끼워져 고정되는 홀더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부(322)는 고무나 연질합성수지와 같이 신축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림(110)에 끼웠다 뺐다 할 수 있다.
110 : 림 112 : 렌즈공
120 : 브릿지 130 : 다리
140 : 렌즈 210 : 거울박판
310 : 거울기구 320 : 홀더프레임
322 : 홀더부 324 : 거울박판
MF : 거울면

Claims (4)

  1. 렌즈가 들어갈 수 있도록 렌즈공이 형성된 한 쌍의 림(110);
    상기 한 쌍의 림(110)을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브릿지(120);
    상기 각각의 림(110)의 외측단에 형성되어 귀에 걸 수 있도록 하는 다리(130);
    상기 림(110)의 각각의 렌즈공(112)에 끼워져 고정되는 렌즈(140);
    상기 렌즈(140)의 측면 배면에 반사재를 도포하여 안경을 얼굴에 착용했을 때 후방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된 거울면(MF);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도 볼 수 있는 안경.
  2. 렌즈가 들어갈 수 있도록 렌즈공이 형성된 한 쌍의 림(110);
    상기 한 쌍의 림(110)을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브릿지(120);
    상기 각각의 림(110)의 일측에 귀에 걸 수 있도록 형성하되, 상기 림(110)의 가장 외측단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림의 외측단에서 1 ~ 2cm 안쪽에 형성되어 귀에 걸 수 있도록 하는 다리(130);
    상기 림(110)의 각각의 렌즈공(112)에 끼워져 고정되는 렌즈(140);
    상기 다리(130)를 기준으로 다리(130)가 연결된 지점 외측의 렌즈(140) 배면에 반사재를 도포하여 안경을 얼굴에 착용했을 대 후방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된 거울면(MF);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도 볼 수 있는 안경.
  3. 렌즈가 들어갈 수 있도록 렌즈공이 형성된 한 쌍의 림(110);
    상기 한 쌍의 림(110)을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브릿지(120);
    상기 각각의 림(110)의 외측단에 형성되어 귀에 걸 수 있도록 하는 다리(130);
    상기 림(110)의 각각의 렌즈공(112)에 끼워져 고정되는 렌즈(140);
    상기 렌즈(140)의 양측 표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배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렌즈(140)의 전면이나 후면 표면에 접착한 후 안경을 얼굴에 착용했을 때 후방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거울박판(21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도 볼 수 있는 안경.
  4. 렌즈가 들어갈 수 있도록 렌즈공이 형성된 한 쌍의 림(110);
    상기 한 쌍의 림(110)을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브릿지(120);
    상기 각각의 림(110)의 외측단에 형성되어 귀에 걸 수 있도록 하는 다리(130);
    상기 림(110)의 각각의 렌즈공(112)에 끼워져 고정되는 렌즈(140);
    상기 림(110)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내측에 림(110)의 단면과 대응되는 홀더부(322)가 구비된 홀더프레임(320)과 상기 홀더프레임(320)에 안경을 얼굴에 착용했을 때 후방을 볼 수 있도록 하도록 결합된 거울박판(324)으로 이루어진 거울기구(31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도 볼 수 있는 안경.
KR1020200150353A 2020-11-11 2020-11-11 후방도 볼 수 있는 안경 KR102569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353A KR102569250B1 (ko) 2020-11-11 2020-11-11 후방도 볼 수 있는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353A KR102569250B1 (ko) 2020-11-11 2020-11-11 후방도 볼 수 있는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155A true KR20220064155A (ko) 2022-05-18
KR102569250B1 KR102569250B1 (ko) 2023-08-28

Family

ID=8180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353A KR102569250B1 (ko) 2020-11-11 2020-11-11 후방도 볼 수 있는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25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4705A (ja) * 2000-03-14 2001-09-26 Koji Iizuka バックミラー付メガネ
KR200296713Y1 (ko) * 2002-07-22 2002-12-05 안명선 볼록 거울 백밀러 안경
KR200307961Y1 (ko) * 2002-12-20 2003-03-19 안명선 양측면에 렌즈가 부착된 안경
KR20140000390U (ko) * 2012-07-09 2014-01-17 배동열 안경용 패킹
KR101420774B1 (ko) 2012-11-09 2014-07-17 김혜은 분리형 다기능 안경
JP2017111215A (ja) * 2015-12-15 2017-06-22 川本光学工業株式会社 多目的のレンズ延長部を有する眼鏡
KR101990830B1 (ko) 2017-11-29 2019-09-30 주식회사 지엘아이엔씨 다기능 안경
WO2019234931A1 (ja) * 2018-06-08 2019-12-12 Suzuki Kiyomasa 眼鏡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4705A (ja) * 2000-03-14 2001-09-26 Koji Iizuka バックミラー付メガネ
KR200296713Y1 (ko) * 2002-07-22 2002-12-05 안명선 볼록 거울 백밀러 안경
KR200307961Y1 (ko) * 2002-12-20 2003-03-19 안명선 양측면에 렌즈가 부착된 안경
KR20140000390U (ko) * 2012-07-09 2014-01-17 배동열 안경용 패킹
KR101420774B1 (ko) 2012-11-09 2014-07-17 김혜은 분리형 다기능 안경
JP2017111215A (ja) * 2015-12-15 2017-06-22 川本光学工業株式会社 多目的のレンズ延長部を有する眼鏡
KR101990830B1 (ko) 2017-11-29 2019-09-30 주식회사 지엘아이엔씨 다기능 안경
WO2019234931A1 (ja) * 2018-06-08 2019-12-12 Suzuki Kiyomasa 眼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250B1 (ko) 202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496B1 (ko) 소프트 콘택트 렌즈
US3507566A (en) Contact lens and spectacle lens structure
AU773051B2 (en) A spectacle with lens and prisms
US9588355B2 (en) Pair of glasses with secondary lenses
JP2016136290A (ja) 余剰内部光学材料を有するワンピースレンズ
CA3000575C (en) Eyeglasses with one-piece shield and method for designing said shield
US3876294A (en) Lensless ophthalmic device
KR102569250B1 (ko) 후방도 볼 수 있는 안경
KR100455302B1 (ko) 시력 보정용 안경렌즈
JP2018528472A (ja) 矯正レンズ装置及び方法
CN205038416U (zh) 一种人眼视力矫正镜片
KR20210016854A (ko) 안경다리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패션 안경
CN217767079U (zh) 一种庄头有弹性结构自适应头型大小眼镜
KR102358615B1 (ko) 고도수용 안경테
US20190155051A1 (en) Lens for glasses
TW201930963A (zh) 漸進多焦點鏡片及漸進多焦點眼鏡
KR200223568Y1 (ko) 컴퓨터용 안경
KR102501022B1 (ko) 대상 안경에 탈부착되는 도수 안경
CN214846107U (zh) 便捷眼镜
KR20170095568A (ko) 약시 교정용 안경
KR200361503Y1 (ko) 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KR200164621Y1 (ko) 다관절안경
WO2020066473A1 (ja) スマートコンタクトレンズ用レンズ
US20130107198A1 (en) Eyewear for limiting wandering vision
KR20170069371A (ko) 시력 보정용 고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