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891A -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891A
KR20220063891A KR1020200149805A KR20200149805A KR20220063891A KR 20220063891 A KR20220063891 A KR 20220063891A KR 1020200149805 A KR1020200149805 A KR 1020200149805A KR 20200149805 A KR20200149805 A KR 20200149805A KR 20220063891 A KR20220063891 A KR 20220063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ody
led
led module
treatment devic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광동
Original Assignee
황광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광동 filed Critical 황광동
Priority to KR1020200149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3891A/ko
Publication of KR20220063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8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1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ultravio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모듈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사용자의 피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LED 모듈과 사용자의 피부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는 일정 길이의 막대형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단부에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면을 통하여 자외선을 방출하는 LED 모듈; 상기 케이스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LED 모듈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단부에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되, 내부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Potable Skin Treatment Device using Ultaviolet LED}
본 발명은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ED 모듈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사용자의 피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LED 모듈과 사용자의 피부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Ultraviolet, UV)은 가시광선보다 짧고 X-선보다는 긴 파장을 가지는 10~400㎚ 영역의 전자기파로서,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는 않으며 화학작용이 많아 화학선이라고도 한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10~121㎚ 영역의 극자외선(Extreme Ultraviolet, EUV), 122~200㎚ 영역의 원자외선(Far Ultraviolet, FUV), 200~300㎚ 영역의 중자외선(Middle Ultraviolet, MUV), 300~400㎚ 영역의 근자외선(Near Ultraviolet, NUV) 등으로 분류된다.
한편, 자외선 중에서 100~280㎚ 영역의 단파장은 UV-C, 280~320㎚ 영역의 중파장은 UV-B, 320~400㎚ 영역의 장파장은 UV-A라고도 하며, 이 중에서 단파장 영역의 UV-C는 생명체의 DNA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자연 상태에서는 태양에서 방출된 UV-C 대부분이 대기권의 오존층에서 흡수되어 지표면에든 도달하지 않는다.
대기권을 통과하여 지표면까지 도달하는 대략 6%의 자외선인 UV-A와 UV-B는 피부 건조와 기미, 노화를 일으키는 주범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자외선의 긍정적 효능에 관한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자외선의 대표적인 긍정적 효능이 살균과 소독 작용이다. 자외선의 살균 및 소독 효과는 UV-C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앞서 언급한 대로 인체에 매우 유해하므로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외선의 살균과 소독 작용 이외에 의료적인 효능도 점차 밝혀지고 있는데, 근자외선인 UV-A는 아토피 피부염이나 여드름, 경피증, 진균증 등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으며, 중자외선인 UV-B는 비타민 D를 형성하고, 백반증과 건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최근 들어 필라멘트를 이용한 기존 인공 광원을 대체하는 LED가 각광받고 있는데, 종래 백열등이나 형광등, 고압 방전램프 등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광원은 대략 에너지의 90%는 열로 발산되고 나머지 10% 만이 빛으로 발산되어 효율이 10%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LED는 필라멘트가 없는 구조로 광 반도체에 전기에너지를 주입하면 바로 빛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100%의 효율을 가지며, 실제로는 대략 9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LED는 2~4V의 저전압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전력 소비량이 종래 광원에 비하여 5~10배 정도 절감되며, 수명 또한 6~10만 시간대로 매우 길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LED는 적색 LED나 녹색 LED, 청색 LED 등 가시광선 영역의 LED뿐만 아니라, 적외선이나 자외선 영역의 LED도 사용되는 반도체 간의 에너지 준위 차에 따라 구현이 가능하다. 이 중 자외선 영역은 과거 405㎚ 파장대의 LED가 유일하였으나, 기술의 발전으로 현재 200~405㎚ 파장대의 LED가 구현이 가능해짐에 따라 응용시장 또한 확대되고 있다.
특히, 250㎚ 파장의 UV-C LED 광원은 살균 및 소독 작용 분야에서 사용되며, 315㎚ 파장의 UV-B LED 광원은 백반증이나 건선, 아토피 피부염 등의 피부 치료 분야에, 365㎚ 또는 380㎚ 파장의 UV-A LED 광원은 아토피 피부염이나 여드름, 진균증 등의 피부 치료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자외선 LED를 이용한 피부 치료기는 앞서 언급한 자외선의 유해성에 의한 부작용 때문에 피부과 등 의료기관에서 전문가에 의하여 시술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파장이 길어 에너지가 적은 UV-A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적으므로 일반인이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출력을 줄인 소형 LED 피부 관리기 등으로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5992호에는 레드, 옐로우, 블루 LED와 적외선 LED, 자외선 LED가 모두 구비되어 있는 휴대용 피부 치료기기를 제안하고 있는데, 이때 사용되는 자외선 LED는 역시 410㎚ 파장의 UV-A로서 여드름 등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최근 들어 이러한 UV-A를 이용한 소형 또는 휴대용 피부 치료기 이외에 아토피 피부염이나 백반증, 건선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UV-B 또한 일반인이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한 피부 치료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UV-A 보다 파장이 짧은 UV-B는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크고 자외선에 의한 부작용 또한 쉽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LED의 발전으로 피부 치료기를 소형화할 수 있음에도 일반인이 직접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이는 아무리 소형 또는 휴대용 치료기기라고 하더라도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출력 이상을 유지해야만 하고, 또한 출력을 낮추었다고 해도 사용자가 피부에 너무 근접하여 UV-B를 조사하거나 장시간 동안 UV-B에 노출되는 경우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부작용 없이 최대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피부에 너무 근접하여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자외선 조사 후 일정 시간 이상이 경과하면 작동을 중지시킴으로써, 여드름이나 진균증 등에 효과가 있는 파장 320~400㎚ 영역의 자외선인 UV-A뿐만 아니라 아토피 피부염이나 백반증, 건선 등에 효과가 있는 파장 280~320㎚ 영역의 자외선인 UV-B를 이용할 수 있는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는,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는 일정 길이의 막대형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단부에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면을 통하여 자외선을 방출하는 LED 모듈; 상기 케이스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LED 모듈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되, 내부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LED 모듈은, 파장 280~360㎚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LED 모듈 작동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LED 모듈의 작동을 자동으로 중지시키는 타이머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면과 사용자 피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일정 거리 이상이면 상기 LED 모듈의 작동을 자동으로 중지시키는 센서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가 형성된 케이스 본체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에서 하방으로 일정 깊이의 삽입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가 삽입 결합되었을 때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일정 넓이의 편평면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 스탠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케이스 본체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접촉 충전 단자가 더 포함되며; 상기 커버 스탠드는, 상기 커버 스탠드 외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입력 단자와, 상기 커버 스탠드의 삽입결합부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 본체와 커버 스탠드 결합 시 상기 접촉 충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 연결되어, 상기 입력 단자에서 공급받은 전력을 상기 충전 단자로 전달해 주는 접촉 출력 단자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단부에 구비되는 스페이서에 의하여 자외선이 방출되는 LED 모듈과 사용자의 피부 사이의 간격을 치료에 최적화된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어, 여드름이나 진균증 등에 효과가 있는 320~400㎚ 영역의 자외선인 UV-A뿐만 아니라 아토피 피부염이나 백반증, 건선 등에 효과가 있는 280~320㎚ 영역의 자외선인 UV-B를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외선 조사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타이머 모듈에 의하여 자동으로 LED 모듈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함으로써, LED 모듈을 이용하여 UV-A 또는 UV-B를 조사하여 여드름이나 백반증 등을 치료하는 중 너무 장시간 동안 자외선에 노출됨으로써 나타날 수 있는 피부 노화나 주름 등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는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부에 근접하여 LED 모듈을 이용하여 UV-A 또는 UV-B를 조사하다가 치료를 중지하기 위하여 피부에서 치료기기를 띄는 경우, 센서 모듈에서 사용자의 피부와 LED 모듈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여 일정 거리 이상이면 자동으로 LED 모듈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예방함과 아울러 사용자나 타인의 시야 등에 노출되는 등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에 커버 스탠드가 결합된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특정한 실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여기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는, 배터리(140)를 내장하고 있는 케이스 본체(100)와,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LED 모듈(110)과, 상기 LED 모듈(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20)와,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하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스페이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 본체(100)는 사용자가 손에 쥐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일정 길이의 막대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재질은 사용자가 휴대하기에 가벼우면서도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이 매우 용이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 등과 같은 플라스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하단부에 구비된 LED 모듈(110)은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개방된 하면을 통하여 특정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하게 되는데, 상기 LED 모듈(110)의 발광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개방된 하면을 얇은 두께의 투명 플라스틱 판으로 폐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LED 모듈(110)을 특정 파장 대역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LED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겠지만, 서로 상이한 파장 대역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둘 이상의 LED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파장 280~320㎚ 영역의 UV-B를 방출하는 LED나 파장 320~400㎚ 영역의 UV-A를 방출하는 LED 중 어느 하나만으로 상기 LED 모듈(110)을 구성하거나, UV-B를 방출하는 LED와 UV-A를 방출하는 LED를 모두 상기 LED 모듈(110)에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구동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UV-A나 UV-B 등 자외선 LED뿐만 아니라 적색이나 녹색, 청색 등을 방출하는 가시광선 LED를 상기 LED 모듈(110)에 함께 구비하여 필요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는 전문 의료인이 아닌 일반인이 자가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자외선을 피부에 잘못 조사한 경우 사용자의 피부에 부작용을 일으킬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파장이 짧은 UV-B는 UV-A에 비하여 방출되는 에너지가 크므로 그만큼 사용자의 피부에 손상을 줄 확률이 높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자외선이 방출되는 상기 LED 모듈(110)과 사용자의 피부가 너무 가까이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며, 또한 균일하고 우수한 치료 효과를 위해서는 치료 전체 과정 동안 상기 LED 모듈(110)과 사용자의 피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LED 모듈(110)이 사용자의 피부에 너무 가까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LED 모듈(110)이 위치하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하단부에 상기 스페이서(130)를 구비하였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13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하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있되,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형상에서 연속되는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스페이서(130)가 일체적인 형상을 이루도록 하였으며, 상기 스페이서(130)의 길이는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 치료 효과를 충분히 가져올 수 있으면서도 자외선 조사에 의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길이를 선택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130)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막혀 있는 구조가 아니라,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하단부에 위치한 LED 모듈(110)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이 아무런 간섭없이 사용자의 피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단과 하단을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내부가 비어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아울러, 상기 스페이서(130)는 내부에서 방출되는 자외선과 사용자의 피부 치료 부위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만약, 상기 스페이서(130)를 불투명 재질로 구성하는 경우 자외선이 조사되어야 할 사용자의 환부를 특정하기 어렵고, 자외선이 조사되고 있는 사용자의 환부를 관찰할 수 없어 혹시 모를 부작용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130)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마찬가지로 가볍고 성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제작이 가능한 ABS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LED 모듈(1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100) 내부에 컨트롤러(120)를 구비하도록 하는데, 상기 컨트롤러(120)는 기본적으로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 버튼(101)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LED 모듈(110)을 작동시키거나 중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스페이서(130)에 의하여 상기 LED 모듈(110)과 사용자의 피부 사이의 간격을 안전하게 유지시키더라도, 너무 장시간 동안 사용자의 피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 또한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LED 모듈(110)이 작동되어 자외선을 조사하기 시작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상기 LED 모듈(11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타이머 모듈(121)을 상기 컨트롤러(120)에 구비하도록 하였다. 즉, 사용자가 상기 작동 버튼(101)을 조작하여 상기 LED 모듈(110)을 작동시켜 사용자의 피부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시작한 후, 사용자가 다시 상기 작동 버튼(101)을 조작하여 상기 LED 모듈(110)의 작동을 중지시키지 않더라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타이머 모듈(121)에 의하여 자동으로 중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가 상기 LED 모듈(110)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에 너무 장시간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작동 버튼(101)을 조작하여 상기 LED 모듈(110)을 작동시켜 사용자의 피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치료를 시작한 후, 상기 작동 버튼(101)을 다시 조작하여 상기 LED 모듈(11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사용자가 잊어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로서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상기 LED 모듈(110)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사용자 본인이나 타인 특히, 어린이나 반려동물 등이 해를 당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LED 모듈(110)이 위치하고 있는 케이스 본체(100)의 전면부와 사용자의 피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일정 거리 이상이면 자동으로 상기 LED 모듈(11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센서 모듈(122)을 상기 컨트롤러(120)에 구비하도록 하였다. 즉, 사용자가 상기 작동 버튼(101)을 조작하여 상기 LED 모듈(110)을 작동시켜 사용자의 피부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시작한 후, 사용자가 다시 상기 작동 버튼(101)을 조작하여 상기 LED 모듈(110)의 작동을 중지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LED 모듈(110)이 구비된 케이스 본체(100)를 사용자의 피부에서 일정 거리 이상으로 띄기만 하면 상기 센서 모듈(122)에 의하여 자동으로 중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사용자의 피부 사이가 일정 거리 이상이 되면 즉시 상기 LED 모듈(11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이 지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사용자의 피부 사이가 일정 거리 이내로 좁혀지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LED 모듈(11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가 치료 부위를 확인하기 위해서나, 기타 사정에 의하여 잠깐 동안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휴대용 자외선 LED 치료기를 띄는 경우에는 빠른 시간 내에 다시 치료를 시작하기 때문에 상기 LED 모듈(110)의 작동을 중지시킬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 제어는 상기 컨트롤러(120)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 모듈(122)과 타이머 모듈(121)을 조합하여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LED 모듈(110)은 단일 파장 대역의 자외선 LED로만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파장 대역의 자외선 LED들로 구성하거나 가시광선 LED와 함께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파장 대역의 자외선 LED들로 구성하거나 가시광선 LED와 함께 구성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120)에는 각 파장 대역의 자외선 LED나 가시광선 LED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모듈을 더 구비하여야 할 것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자외선 LED 치료기는 사용자가 가방 등에 넣어 다니면서 수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가방 등에 보관 시 상기 LED 모듈(110)이나 스페이서(130) 등이 다른 물체와 부딪쳐서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LED 모듈(110)과 스페이서(130)를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 스탠드(200)를 휴대용 자외선 LED 치료기 본체와 함께 구성하였다. 상기 커버 스탠드(200)에는 상면에서 하방으로 일정 깊이의 삽입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결합부에 상기 스페이서(130) 전부를 포함한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전단부 일부가 끼워질 수가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단면 형상을 곡면으로 형성한 경우, 책상 등에 휴대용 자외선 LED 치료기를 옆으로 눕혀 놓았을 때 아래로 굴러 떨어져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 스탠드(200)의 하면을 일정 넓이의 편평면으로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100)가 삽입 결합되었을 때, 책상 등에 세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자외선 LED 치료기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전력 입력 단자(210)를 직접 구비하여 내장된 배터리(140)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때, 상기 배터리(140)의 충전을 제어하고 배터리(140)를 보호할 별도의 충전 회로를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전력 입력 단자(210)를 직접 형성하는 것 이외에, 상기 커버 스탠드(200)를 휴대용 자외선 LED 치료기의 충전에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커버 스탠드(200)에 삽입되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일측에 접촉 충전 단자(150)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100)가 삽입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접촉 충전 단자(150)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 스탠드(200)의 삽입결합부 내측 위치에 접촉 출력 단자(220)를 형성하여 상기 접촉 충전 단자(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 스탠드(200)의 외측에 외부로부터 충전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 입력 단자(210)를 구비하여, 상기 커버 스탠드(200) 내부를 통하여 접촉 출력 단자(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전력 입력 단자(210)에는 상용 전력을 직접 공급하거나 특정 전압과 전류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어댑터 등과 연결되는 케이블의 단자가 결합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스탠드(200)를 구성함으로써 휴대용 자외선 LED 치료기 본체가 상기 커버 스탠드(200)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력 입력 단자(210)를 통해 공급되는 충전 전력이 상기 접촉 출력 단자(220)와 접촉 충전 단자(150)를 통하여 휴대용 자외선 LED 치료기 본체에 공급되어 내장된 배터리(140)를 충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자외선 LED 치료기는 자외선이 방출되는 LED 모듈(110)과 사용자의 피부 사이의 간격을 일정 간격으로 용이하게 유지시켜 주는 스페이서(13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LED 모듈(110)이 사용자의 피부에 너무 가깝게 위치하여 자외선이 강하게 조사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자외선 LED 치료기는 특정 시간 이후 자동으로 상기 LED 모듈(110)의 작동을 중지시켜 주는 타이머 모듈(121)을 컨트롤러(120)에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너무 장시간 동안 자외선을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의한 휴대용 자외선 LED 치료기는 LED 모듈(110)이 구비된 케이스 본체(100)와 사용자의 피부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특정 간격 이상이면 자동으로 상기 LED 모듈(110)의 작동을 중지시켜 주는 센서 모듈(122)을 컨트롤러(120)에 구비함으로써, 전력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0 - 케이스 본체 101 - 작동 버튼
110 - LED 모듈
120 - 컨트롤러
121 - 타이머 모듈 122 - 센서 모듈
130 - 스페이서
140 - 배터리
150 - 접촉 충전 단자
200 - 커버 스탠드
210 - 전력 입력 단자
220 - 접촉 출력 단자

Claims (6)

  1.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는 일정 길이의 막대형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단부에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면을 통하여 자외선을 방출하는 LED 모듈;
    상기 케이스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LED 모듈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되, 내부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은,
    파장 280~360㎚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LED 모듈 작동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LED 모듈의 작동을 자동으로 중지시키는 타이머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면과 사용자 피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일정 거리 이상이면 상기 LED 모듈의 작동을 자동으로 중지시키는 센서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가 형성된 케이스 본체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에서 하방으로 일정 깊이의 삽입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가 삽입 결합되었을 때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일정 넓이의 편평면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 스탠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케이스 본체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접촉 충전 단자가 더 포함되며;
    상기 커버 스탠드는,
    상기 커버 스탠드 외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입력 단자와,
    상기 커버 스탠드의 삽입결합부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 본체와 커버 스탠드 결합 시 상기 접촉 충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 연결되어, 상기 입력 단자에서 공급받은 전력을 상기 충전 단자로 전달해 주는 접촉 출력 단자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
KR1020200149805A 2020-11-11 2020-11-11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 KR202200638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805A KR20220063891A (ko) 2020-11-11 2020-11-11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805A KR20220063891A (ko) 2020-11-11 2020-11-11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891A true KR20220063891A (ko) 2022-05-18

Family

ID=81800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805A KR20220063891A (ko) 2020-11-11 2020-11-11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38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305B1 (ko) * 2023-08-30 2023-11-24 주식회사 지에스앤에스 Led 광치료기를 이용한 모바일 기반 애완동물 광치료 플랫폼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305B1 (ko) * 2023-08-30 2023-11-24 주식회사 지에스앤에스 Led 광치료기를 이용한 모바일 기반 애완동물 광치료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3333B2 (en) Skin treatment device, lamp and use
US10406379B2 (en) Portable rechargeable LED red light cavity healing devices
DE60336086D1 (en) Photodynamisches therapiegerät
GB2382991A8 (en) Photo-dynamic therapy device using organic semiconductor light emitters and reduced photo-pharmaceutical bleaching
RU2012110193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лучения актиничным излучением с разными длинами волн
KR20170027719A (ko) 비-열적 손발톱, 발, 및 손 진균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5137679A1 (ko) 큐어링 및 살균 장치
US113580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thermal nail, foot, and hand fungus treatment
KR200472454Y1 (ko) 휴대가 용이한 led를 이용한 피부개선용 치료기
KR20220063891A (ko) 휴대용 자외선 led 피부 치료기
KR100768952B1 (ko) 이온 도입형 레이저 탈모치료기
KR20120018050A (ko) 광치료기
KR100893761B1 (ko) 캡슐형 광 치료장치
KR20180107074A (ko) 피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컴팩트 uvb 광치료장치
EP2386329A1 (en) Apparatus for the skin treatment with visible light
CN215652773U (zh) 鞋底消毒杀菌设备
EP3148468B1 (en) Apparatus for stimulation and/or treatment of anatomical tissues
CA3132903C (en) Therapeutic irradiation device
KR20220040756A (ko) 비타민 d 합성 유도를 위한 led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1083061B1 (ko) 휴대용 피부 광선 치료기
KR102402665B1 (ko) 백반증 케어를 위한 led 광조사장치
US20230264040A1 (en) Light therapy device
CN214548262U (zh) 具防疫效果的抽屉
EP1504792A1 (en) Tanning system
KR102594234B1 (ko) 구인두 광조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