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852A - 물구나무서기 운동이 가능한 의자 - Google Patents

물구나무서기 운동이 가능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852A
KR20220063852A KR1020200149484A KR20200149484A KR20220063852A KR 20220063852 A KR20220063852 A KR 20220063852A KR 1020200149484 A KR1020200149484 A KR 1020200149484A KR 20200149484 A KR20200149484 A KR 20200149484A KR 20220063852 A KR20220063852 A KR 20220063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eat support
guide rail
present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희
Original Assignee
김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희 filed Critical 김종희
Priority to KR1020200149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3852A/ko
Publication of KR20220063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4Seat parts with dou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5Sp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C7/22 - A47C7/35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47C7/347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with means for connecting springs to each other or to seat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부 및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분할 구비되는 좌석받침부 그리고 상기 좌석받침부를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다리부로 이루어진 의자 프레임과; 상기 좌,우로 분할된 한 쌍의 좌석받침부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폭 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레일의 끝단부에는 이탈 방지를 위한 스토퍼가 구비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비되는 레일홈이 구비된 가변 플레이트와; 상기 가변 플레이트의 상부에 완충성을 갖는 직물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방석쿠션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좌석을 좌,우로 벌리도록 하여 그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머리를 집어넣고 등부위를 등받이에 기댄 상태로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실시할 수 있음에 따라 공간활용성이 양호하고 사용자가 언제든지 간편하게 운동을 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좌석의 간격을 소정거리만큼 벌려 놓는 경우 치질환자용 방석이나 쿠션 없이도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구나무서기 운동이 가능한 의자{Chair for handstand exercise}
본 발명은 물구나무서기 운동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의자로 사용하다가 좌석을 좌,우로 이동시켜 공간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머리를 집어 넣어 물구나무 동작을 통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물구나무서기 운동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구나무서기 운동은 신체를 거꾸로 위치시켜 척추관절을 이완시킴으로써 눌려져 있던 추간판에 대한 견인 작용에 의한 요통을 개선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치료의 목적 뿐만 아니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운동법으로도 널리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물구나무서기 운동은 별도의 운동기구 없이도 벽이나 구조물 등에 등을 기대면서 물구나무서기 동작을 할 수 있으나 노약자나 체력이 약하거나 충분히 단련되지 않은 사람들의 경우 물구나무서기를 유지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자칫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폐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종래에는 일명 꺼꾸리라 일컫는 운동기구가 제안된 바 있으며, 종래 기술에 따른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는 지면에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힌지결합된 등받이판과, 상기 등받이판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회전부와, 상기 등판에 설치되어 발목을 고정시키는 발목고정장치로 구성된다.
또한,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등판이 회전되고 발목고정장치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전동식과 사용자기 직접 하중을 이용하여 등판을 회전시키는 수동식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종래의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는 그 부피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이동이나 보관의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중에는 등받이판이 크게 회전됨에 따라 설치 장소 주변에서의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8519호(2017.09.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의자로 사용하다가 간편한 조작만으로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할 수 있는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따른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부 및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분할 구비되는 좌석받침부 그리고 상기 좌석받침부를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다리부로 이루어진 의자 프레임과; 상기 좌,우로 분할된 한 쌍의 좌석받침부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폭 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레일의 끝단부에는 이탈 방지를 위한 스토퍼가 구비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비되는 레일홈이 구비된 가변 플레이트와; 상기 가변 플레이트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둔부가 접촉되는 완충성을 갖는 직물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방석쿠션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상기 한 쌍의 가변 플레이트는 상호 근접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력을 작용받도록 탄성스프링에 의해 연결 지지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는 좌석을 좌,우로 벌리도록 하여 그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머리를 집어넣고 등부위를 등받이에 기댄 상태로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실시할 수 있음에 따라 공간활용성이 양호하고 사용자가 언제든지 간편하게 운동을 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좌석의 간격을 소정거리만큼 벌려 놓는 경우 치질환자용 방석이나 쿠션 없이도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위에서 바라본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모식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의자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등부분을 기댈 수 있도록 대략 수직하게 구비되는 등받이부(11) 및 이 등받이부(11)의 하부에서 수평 배치되게 연결 구비되는 것으로 좌,우로 분할 구비되어 그 가운데에 사용자의 머리를 집어 넣을 수 있는 공간을 크기를 갖는 한 쌍의 좌석받침부(12) 그리고 상기 좌석받침부(12)를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길이재의 다리부(13)로 구성된 의자 프레임(10)과, 상기 의자 프레임(1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좌석받침부(12)에 각각 결합고정되어 폭 방향으로의 변위를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레일(21)이 구비된 고정 플레이트(20)와, 이 고정 플레이트(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21)에 대응하는 레일홈(31)을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폭 방향 변위를 갖도록 구비되는 가변 플레이트(30) 그리고 상기 가변 플레이트(30)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둔부가 접촉되는 완충성을 갖는 방석쿠션(15)으로 구성된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위하여 머리를 공간부(12a) 사이에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부(12a)의 간격을 넓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는 한 쌍의 좌석받침부(12)에 각각 설치된 고정 플레이트(20)와 가변 플레이트(30)가 도시되어 있으며, 가변 플레이트(30)는 고정 플레이트(20)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등받이부(11)와 좌석받침부(12) 그리고 다리부(13)로 이루어진 의자 프레임(10)과, 상기 한 쌍의 좌석받침부(12)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상면에 폭 방향으로 가이드레일(21)및 스토퍼(22)가 구비된 고정 플레이트(20)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20)의 상부에 구비되어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슬라이드 끼움되어 이동되는 레일홈(31)을 형성한 가변 플레이트(30) 그리고 상기 가변 플레이트(30)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둔부가 접촉되는 방석쿠션(15)으로 구성된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위에서 바라본 모식도로서, 도 5는 공간부(12a)를 사이에 두고 좌,우 한 쌍의 방석쿠션(15)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가변 플레이트(30)를 좌,우로 이격시켜 공간부(12a)의 크기를 확장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h)가 들어가고 양 어깨(s)는 방석쿠션(15)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면에는 좌,우로 벌어진 가변 플레이트(30)가 자동으로 위치 복귀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하는 도중에 한 쌍의 가변 플레이트(30)가 쉽게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가변 플레이트(30)를 상호 근접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력을 작용하는 탄성스프링(40)이 설치된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가 도시되어 있다.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는 크게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의자 골격을 제공하는 의자 프레임(10)과, 폭 방향으로 좌,우 변위를 가질 수 있도록 안내 지지하는 고정 플레이트(20) 그리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20)에 대해 슬라이드 끼움되어 폭 방향으로 변위를 갖는 가변 플레이트(30) 끝으로 상기 가변 플레이트(30)의 상부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받치는 방석쿠션(15)으로 구성된다.
의자 프레임(10)은 의자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앉았을 때 등부분을 기댈 수 있도록 대략 수직하게 제공되는 등받이부(11)와, 이 등받이부(11)의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좌,우로 분할되어 그 사이에 공간부(12a)가 형성된 한 쌍의 좌석받침부(12)와, 상기 좌석받침부(12)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복수의 기둥 부재로 된 다리부(13)로 구성된다.
이러한 의자 프레임(10)은 공간부(12a)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좌석받침부(12)가 배치되는 구성이라면 공지의 다양한 형태의 의자나 소재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고정 플레이트(20)는 상기 한 쌍의 좌석받침부(12)의 상부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폭 방향의 변위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21)이 돌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21)의 일측 끝단부에는 스토퍼(22)가 돌출 구비되며, 이때의 스토퍼(22)는 후술할 가변 플레이트(30)가 고정 플레이트(20)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가변 플레이트(30)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2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21)이 슬라이드 끼움되는 레일홈(31)을 형성한 판재형의 부재이다.
즉, 한 쌍의 가변 플레이트(30)는 상기 각각 대응되는 고정 플레이트(20)의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좌,우 폭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성이며, 이러한 동작에 의해 상기 공간부(12a)의 공간크기를 폭 방향으로 넓히거나 좁힐 수 있게 된다.
방석쿠션(15)은 사용자가 앉았을 때 둔부를 받치기 위한 것으로 완충성이 우수한 직물재나 합성수지재로 제공되며 상기 가변 플레이트(30)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가변 플레이트(30)와 함께 좌,우 폭 방향으로 변위를 갖는다.
한편, 상기 가변 플레이트(3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가 임의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공지의 여러 기술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일례로, 상기 가변 플레이트(30)의 상부 일측에는 나사부재가 체결되어 있고, 이 나사부재는 상기 가변 플레이트(30)를 폭 방향 임의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조임력을 가하여 그 끝단부가 상기 가변 플레이트(30)의 하면에 위치한 고정 플레이트(20)의 상면을 가압하여 마찰력에 의해 고정 상태를 유지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평상시에는 도 1과 같은 상태로 의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치질환자의 경우 환부와의 접촉요소가 없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좌,우로 벌어진 방석쿠션(15)의 간격을 더욱 좁게 위치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석쿠션(15)과 일체로 연동하는 한 쌍의 가변 플레이트(30)를 좌,우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면 상기 가변 플레이트(30)는 고정 플레이트(20)의 가이드레일(21)을 따라 도 2에서와 같이 이동을 이루어 공간부(12a)의 공간이 확장된 상태를 이룬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머리를 공간부(12a) 사이에 집어 넣고 양어깨를 방석쿠션(15)에 지지하면서 등부분이 등받이부(11)에 기대도록 몸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물구나무서기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언제든지 장소에 구애없이 의자를 이용하여 물구나무서기 운동이 가능하며, 또한 치질환자의 경우에는 방석쿠션(15)을 좌,우로 벌린 상태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환부 통증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의자 프레임
11: 등받이부
12 : 좌석받침부
12a : 공간부
13 : 다리부
15 : 방석쿠션
20 : 고정 플레이트
21 : 가이드레일
22 : 스토퍼
30 : 가변 플레이트
31 : 레일홈
40 : 탄성스프링

Claims (2)

  1.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부(11) 및 공간부(12a)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분할 구비되는 좌석받침부(12) 그리고 상기 좌석받침부(12)를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다리부(13)로 이루어진 의자 프레임(10)과;
    상기 좌,우로 분할된 한 쌍의 좌석받침부(12)의 상면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폭 방향으로 가이드레일(21)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레일(21)의 끝단부에는 이탈 방지를 위한 스토퍼(22)가 구비된 고정 플레이트(20)와;
    상기 각각의 고정 플레이트(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21)을 따라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비되는 레일홈(31)이 구비된 가변 플레이트(30)와;
    상기 가변 플레이트(30)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둔부가 접촉되는 완충성을 갖는 직물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방석쿠션(15);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변 플레이트(30)는 상호 근접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력을 작용받도록 탄성스프링(40)에 의해 연결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 운동이 가능한 의자.
KR1020200149484A 2020-11-10 2020-11-10 물구나무서기 운동이 가능한 의자 KR20220063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484A KR20220063852A (ko) 2020-11-10 2020-11-10 물구나무서기 운동이 가능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484A KR20220063852A (ko) 2020-11-10 2020-11-10 물구나무서기 운동이 가능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852A true KR20220063852A (ko) 2022-05-18

Family

ID=81804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484A KR20220063852A (ko) 2020-11-10 2020-11-10 물구나무서기 운동이 가능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38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24564B1 (en) Ergonomic seating assembly
KR101110212B1 (ko) 억제, 재위치, 견인 및 운동 장치와 그 방법
US9585478B1 (en) Adjustable seating
US20190208911A1 (en) Rocking chair massager
DE19848074A1 (de) Stuhl
US4275472A (en) Recliner
KR20160096253A (ko)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WO2007029970A1 (en) Chair having bifurcate seat and fan device therefor
KR101091283B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20200046600A (ko) 무브 체어
KR20150047490A (ko) 척추 질환의 예방을 위한 좌석 장치
KR20130141827A (ko) 의자에 탈착되는 보조 등받이
KR20160112475A (ko) 골반 운동 및 앉은 허리자세 교정용 의자
US2904039A (en) Back-supporting and stretching apparatus
KR20220063852A (ko) 물구나무서기 운동이 가능한 의자
KR102004312B1 (ko) 이중 관절식 등받이 구조를 갖는 스트레칭용 의자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KR101502128B1 (ko) 요가 의자
JP2006068025A (ja) 椅子用の腰痛軽減補助装置
CN210870567U (zh) 一种坐姿矫正椅
KR102358047B1 (ko) 척추 스트레칭용 의자
CN211750564U (zh) 一种多功能自理辅助器械
CN113332093A (zh) 一种用于调理颈背的按摩椅
KR200407079Y1 (ko) 매트리스가 구비된 안마용 의자
KR20090002049U (ko) 전동 승강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