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511A - Air purification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biowall - Google Patents

Air purification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bio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511A
KR20220063511A KR1020200149460A KR20200149460A KR20220063511A KR 20220063511 A KR20220063511 A KR 20220063511A KR 1020200149460 A KR1020200149460 A KR 1020200149460A KR 20200149460 A KR20200149460 A KR 20200149460A KR 20220063511 A KR20220063511 A KR 20220063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dening
unit
level
module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4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4621B1 (en
Inventor
박신애
조영열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49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621B1/en
Priority to PCT/KR2021/016218 priority patent/WO2022103113A1/en
Publication of KR20220063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5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6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8Mechanical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98Plants or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xic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a biowall, including, a flowerpot mounting unit equipped on a wall surf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pots for planting plants in which plants are planted in a plurality of preset zones,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plurality of pots for planting plants,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plurality of pots for planting plants, a fan motor unit equipped in one area of the wall surface, and a learning horticultural control module unit equipped in one area of the wall surfac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each of a plurality of horticultural modules, wherein the learning horticultural control module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user input information on user's learning information and horticultural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 level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user's learning level and horticultural level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a control unit equipped in one area of the flowerpot mounting unit and connected to each of a plurality of horticultural modules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horticultural modules, and an interface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horticultural module among the plurality of horticultural modules and a connection port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learning level and the horticultural level, wherein the control unit may selectivel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rticultural module connected by the interface uni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duino learning tool that can be applied to real life, and to provide an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 driving method using a biowall.

Description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 및 구동 방법{AIR PURIFICATION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BIOWALL}Air purification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bio-wall {AIR PURIFICATION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BIOWALL}

본원은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 및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 driving method using a bio wall.

최근 도심의 생태적 기능 유지와 심미적인 목적으로 건물 외벽, 도보, 벽 등의 벽면 녹화가 추진되고 있다. 조경 시설물의 벽면을 녹화하는 방법 중 하나는 화분을 이용한 녹화 방법 또는 덩굴식물의 생장을 유도하는 녹화 방법 등이 있으나, 녹화 범위를 정확하게 제한할 수 없으며, 식물의 생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Recently, greening of the exterior walls of buildings, walkways, and walls has been promote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the ecological function of the city center and for aesthetic purposes. One of the methods for greening the walls of landscaping facilities is a greening method using flowerpots or a greening method inducing the growth of creepers, but the range of greening cannot be precisely limited, and steady manpower is consumed to maintain plant growth. There is a problem that

뿐만 아니라, 종래의 벽면 녹화에는 주로 단일 식생이 사용되어 외관이 단순하므로, 심미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특히, 연령층이 다양한 유동인구가 존재하는 영역 또는 다양한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하는 공간에는 시간대 별로 이용하는 주된 보행자와 어울리는 분위기, 공간 사용자의 특성, 공간 사용의 목적 등에 따른 연출을 해야만 심미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이러한 벽면 녹화기술과 관련하여 그 개발 수준이 마땅치 않은 실정이다.In addition, since a single vegetation is mainly used in the conventional wall greening and the appearance is simple, it is difficult to expect an aesthetic effect. In particular, in an area where there is a floating population of various age groups or a space commonly used by various users, an aesthetic effect can be expected only when an atmosphere suitable for the main pedestrian used by time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user, the purpose of space use, etc. However, in relation to such wall recording technology, the development level is not adequate.

한편, 최근 아두이노와 같은 코딩 프로그램을 이용한 회로기판 키트의 개발이 활발하다. 아두이노 키트는 다양한 스위치나 센서로부터 입력 값을 받아들여 코딩된 프로그램에 의해 모터와 같은 전자 장치들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을 활용하여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들이 아두이노를 기반으로 개발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development of circuit board kits using coding programs such as Arduino is active in recent years. The Arduino kit can control the output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tors by coded programs by receiving input values from various switches or sensors. By utilizing these advantages,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can be developed based on Arduino.

그러나 종래의 아두이노 교육 프로그램은 이론에 대한 설명과 이론에 따른 실험이 주로 수행됨으로써 학습자에게 흥미를 유발할 요소가 부족하여 장기간에 걸친 학습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아두이노의 활용 및 응용을 교육하기 위한 교구에 대한 기술과 관련하여 그 개발 수준이 마땅치 않은 실정이며,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교육에 참여하도록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rduino education program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learn for a long period of time because the explanation of the theory and the experiment according to the theory are mainly performed, so there is a lack of factors to induce interest in the learner. That is, the development level is not adequate in relation to the technology for the teaching aid for teaching the use and application of Arduino,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arouse interest in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education.

또한, 최근 도심의 생태적 기능 유지와 심미적인 목적으로 건물 외벽, 도보, 벽 등의 벽면 녹화가 추진되고 있다. 조경 시설물의 벽면을 녹화하는 방법 중 하나는 화분을 이용한 녹화 방법 또는 덩굴식물의 생장을 유도하는 녹화 방법 등이 있으나, 녹화 범위를 정확하게 제한할 수 없으며, 식물의 생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recently, greening of the exterior walls of buildings, walkways, and walls has been promote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the ecological function of the city center and for aesthetic purposes. One of the methods for greening the walls of landscaping facilities is a greening method using flowerpots or a greening method inducing the growth of creepers, but the range of greening cannot be precisely limited, and steady manpower is consumed to maintain plant growth. There is a problem that

뿐만 아니라, 종래의 벽면 녹화에는 주로 단일 식생이 사용되어 외관이 단순하므로, 심미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특히, 연령층이 다양한 유동인구가 존재하는 영역 또는 다양한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하는 공간에는 시간대별로 이용하는 주된 보행자와 어울리는 분위기, 공간 사용자의 특성, 공간 사용의 목적 등에 따른 연출을 해야만 심미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이러한 벽면 녹화 기술과 관련하여 그 개발 수준이 마땅치 않은 실정이다.In addition, since a single vegetation is mainly used in the conventional wall greening and the appearance is simple, it is difficult to expect an aesthetic effect. In particular, in an area where there is a floating population of various age groups or a space commonly used by various users, an aesthetic effect can be expected only when an atmosphere suitable for the main pedestrians used by time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user, the purpose of space use, etc. However, in relation to such wall recording technology, the development level is not adequate.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 1878612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78612.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생활에 접목 가능한 아두이노 학습 교구를 제공하고, 이를 활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 및 구동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n Arduino learning teaching aid that can be grafted into real life, and to provide an air purifying device and a driving method using a bio wall that can b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난이도가 다른 아두이노 모듈을 활용하도록 하는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 및 구동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 driving method using a bio-wall to utilize an Arduino module having a different difficulty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learner.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반려 식물을 보다 용이하게 재배 및 관리하고, 화분에 식재된 반려 식물에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 및 구동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applica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 biotechnology that can more easily grow and manage companion plant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 and discharge purified air discharged from companion plants planted in pots to the outsid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 driving method using a wall.

본원의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이오 월을 이용하여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고, 위치, 사용자 특성 및 목적 등에 따라 적합한 분위기를 연출하도록 화분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식재된 식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자동적으로 관수를 제공받도록 할 수 있는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 및 구동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various atmospheres can be created using a bio wall, and the arrangement of pots can be changed to create a suitable atmosphere according to location, user characteristics and purpose, etc., and planted plant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 driving method using a bio wall that can automatically receive irrigation by monitoring the condition of the

본원의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이오 월(벽면 녹화 장치)에 식재된 식물을 활용하여 설치 공간의 공지 정화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 및 구동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air purify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a bio wall that can efficiently perform well-known purification of an installation space using plants planted on a bio wall (wall recording device) is intended to provide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는, 벽면에 구비되고, 미리 설정된 복수의 구역별로 식물이 식재된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을 탑재하는 화분 장착부, 상기 구역별로 탑재된 상기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을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에 관수를 제공하는 급수부, 상기 벽면의 일 영역에 구비되는 팬 모터부 및 상기 벽면의 일 영역에 구비되어 복수의 원예 모듈 각각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학습 원예 제어 모듈부를 포함하되, 상기 학습 원예 제어 모듈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학습 정보 및 원예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입력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원예 수준을 판단하는 수준 판단부, 상기 화분 장착부의 일 영역에 구비되고, 복수의 원예 모듈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원예 모듈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학습 수준 및 상기 원예 수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예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원예 모듈과 상기 제어부의 연결 포트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연결된 원예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a bio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provided on a wall surface, and a plurality of planting pots in which plants are plant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eset zones are provided. A flowerpot mounting unit to be mounted,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plurality of planting flowerpots mounted for each zone, a watering unit for providing irrigation to the plurality of planting flowerpots, a fan motor unit provided in an area of the wall surface, and the A learning gardening control module unit provided in an area of the wall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each of a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wherein the learning gardening control module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a level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 user's learning level and a gardening level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is provided in an area of the flowerpot mounting unit and is connected to each of a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to connect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each module and an interface unit for controlling a connection port of at least one gardening module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and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learning level and the gardening level, and , the control unit may selectivel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gardening module connected by the interface unit.

또한,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는, 상기 화분 장착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영역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이미지 센서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모니터링 영상 정보로서 저장하고 관리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 정보 제공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 센서로부터 획득되어 저장된 모니터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모니터링 영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purifying device using the bio-wall further includes a monitoring unit provided in an area spaced apart from the pot mounting un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store and manage images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image sensors as monitoring imag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comprising: , when a request to provide image information is made from the user terminal, monitoring image informa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monitoring image information obtained and stored from the plurality of image sensor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또한,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는, 상기 벽면 및 상기 화분 장착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식물을 성장시키 위한 복수의 성장용 화분을 탑재하는 성장 화분 장착부 및 상기 모니터링 영상 정보를 고려하여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 및 상기 복수의 성장용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상기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의 판단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성장용 화분과 연결된 원예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원예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purifying device using the bio-wall is provided between the wall surface and the pot mounting unit, and a plurality of plants in consideration of the monitoring image information and the growing pot mounting unit for mounting a plurality of pots for growth for growing plants. Further comprising a planting pot and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plurality of growth pots, wherein the control unit, the plurality of plants in consideration o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lurality of plant pot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gardening module of the gardening module connected to the pot for growth.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원예 상식을 포함하는 원예 정보 및 아두이노 모듈 상식을 포함하는 학습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데이터 처리된 상기 사용자 입력의 정보를 상기 통신부로 송신하고, 상기 수준 판단부는, 상기 응답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원예 수준 및 상기 학습 수준을 각각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user input in response to learning information including gardening information including common sense gardening and Arduino module common sens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in which the user input is data-process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level determining unit, based on the response, may determine the gardening level and the learning level as any one of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respectively.

또한, 상기 복수의 원예 모듈은, 스위치 모듈, 수중 펌프 모터 모듈, 토양 습도 센싱 모듈, 전원 공급 모듈, 복수의 환경 센싱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아두이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환경 센싱 모듈은, 공기품질 센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대기압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horticultural modules include a switch module, a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a soil humidity sensing module, a power supply module, a plurality of environment sensing modules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an Arduino module, the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ensing module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ir quality sensor, a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n atmospheric pressure sensor.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기판 유닛을 통해 연결된 상기 아두이노 모듈과 상기 복수의 원예 모듈 각각의 연결 포트의 연결 및 차단을 상기 학습 수준 및 상기 원예 수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may control the connection and blocking of each connection port of the Arduino module and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connected through the board uni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learning level and the gardening level.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학습 수준 및 상기 원예 수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예 모듈의 연결 포트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may selectively set different connections of the connection ports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according to the learning level and the gardening level.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학습 수준이 고급이고 상기 원예 수준이 초급인 경우, 초급 원예 수준에 대응하는 식물을 이용하여 공기정화를 위한 상기 복수의 원예 모듈의 유형 및 연결되는 연결 포트의 수를 상기 학습 수준을 고려하여 결정하고, 상기 학습 수준이 초급이고 상기 원예 수준이 고급인 경우, 고급 원예 수준에 대응하는 식물을 이용하여 공기정화를 위한 상기 복수의 원예 모듈의 유형 및 연결되는 연결 포트의 수를 상기 학습 수준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when the learning level is advanced and the gardening level is beginner, the types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for air purification using a plant corresponding to the beginner gardening level and the number of connection ports to be connected It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level, and when the learning level is beginner and the gardening level is advanced, the types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for air purification using a plant corresponding to the advanced gardening level and the number of connection ports to be connected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level.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학습 수준 또는 상기 원예 수준이 초급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스위치 모듈, 상기 수중 펌프 모터 모듈, 상기 전원 공급 모듈의 연결 포트를 연결하고, 상기 학습 수준 또는 상기 원예 수준이 중급, 고급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모든 복수의 모듈의 연결 포트를 연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when the learning level or the gardening level is beginner, the interface unit connects the connection port of the switch module,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and the power supply module, and the learning level or the gardening level is In case of any one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the interface unit may connect the connection ports of all the plurality of modules.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학습 수준이 초급인 경우, 상기 스위치 모듈을 통해 상기 수중 펌프 모터 모듈이 구동되어 상기 식물 식재용 화분에 식재된 식재 식물에 급수되고, 상기 학습 수준이 중급인 경우, 상기 토양 습도 센싱 모듈에서 감지된 토양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수중 펌프 모터 모듈이 구동되어 상기 식재 식물에 급수되고, 상기 학습 수준이 고급인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중 펌프 모터 모듈이 구동되어 상기 식재 식물에 급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when the learning level is beginner,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is driven through the switch module to supply water to the planted plants planted in the pot for planting, and when the learning level is intermediate, the Based on the soil humidity detected by the soil humidity sensing module,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is driven to supply water to the planted plants, and when the learning level is advanced,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control Based on the signal,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may be driven to supply water to the planted plants.

또한, 상기 통신부는, 기상 서버로부터 기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상 정보 및 토양 습도 센싱 모듈에서 감지된 토양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원예 모듈을 제어하되, 상기 원예 수준에 관계 없이 상기 수중 펌프 모터 모듈 및 상기 전원 공급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기상 정보 및 토양 습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원예 모듈을 제어한 경우에 대한 동작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weather information from a weather server,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based on the weather information and soil humidity sensed by the soil humidity sensing module, regardless of the gardening level Control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and the power supply module, the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operation information for the case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based on the weather information and soil humidity to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통신부는, 구역별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관수 주기에 따라 급수량이 설정된 급수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식물의 관수 주기에 따른 급수량에 대응하여 급수를 제공 받도록 상기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을 이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from the user terminal, a watering signal in which a watering amount is set according to the watering cycle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potted plants for each zone, and the plurality of plants to receive water supply in response to the watering amount according to the watering cycle of the plant A driving signal for moving the pot for planting may b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의 구동 방법은,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학습 정보 및 원예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입력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원예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 (c) 식물 식재용 화분 장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원예 모듈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원예 모듈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학습 수준 및 상기 원예 수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예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원예 모듈과 연결 포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연결 포트가 연결된 원예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되, 상기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는, 벽면에 구비되고, 미리 설정된 복수의 구역별로 식물이 식재된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을 탑재하는 화분 장착부, 상기 구역별로 탑재된 상기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을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에 관수를 제공하는 급수부, 상기 벽면의 일 영역에 구비되는 팬 모터부 및 상기 벽면의 일 영역에 구비되어 복수의 원예 모듈 각각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학습 원예 제어 모듈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method of driving an air purifying device using a bio-wall includes (a) receiving information of a user input for learning information and gardening information of a user from a user terminal, (b) the user input determining the user's learning level and gardening level based on the information of, (c)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by being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provided in the planting pot device and (d) controlling at least one gardening module and a connection port among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learning level and the gardening level, wherein the step (c) includes the connection A control signal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gardening module to which the port is connected is selectively generated, but the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the bio-wall is provided on the wall, and a plurality of planting pots in which plants are plant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eset zones are mounted. a planter mounting unit,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plurality of planting flowerpots mounted for each zone, a water supply unit for providing irrigation to the plurality of planting flowerpots, a fan motor unit provided in an area of the wall surface, and the wall surface It may include a learning gardening control module unit provided in an area of th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dditional embodiments may exis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실생활에 접목 가능한 아두이노 학습 교구를 제공하고, 이를 활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공기정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n Arduino learning teaching aid that can be grafted into real life, and providing an air purifying device that can b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반려 식물을 보다 용이하게 재배 및 관리하고, 화분에 식재된 반려 식물에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자동화 공기정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automated air purifying device that can more easily grow and manage companion plant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 and discharge purified air discharged from companion plants planted in pots to the outside. can provide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난이도가 다른 아두이노 모듈을 활용하도록 하는 공기정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 purifying device that allows the use of an Arduino module having a different difficult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위치 및 목적에 따라 적합한 분위기를 연출하도록 화분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식재된 식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자동적으로 관수 및 일조량을 제공받을 수 있는 공기정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atmospheres can be created, the arrangement of pots can be changed to create a suitable atmosphere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purpose, and watering and sunlight can be automatically provided by monitoring the state of the planted plants. An air purifying device can be provided.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herei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의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의 화분 탑재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의 화분이 탑재되는 구역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의 제1화분 및 제2화분의 이동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의 화분의 구역 내 이동 및 구역간 이동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원예 제어 모듈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원예 수준 및 학습 수준의 판단 결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와 복수의 원예 모듈의 연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의 성장 화분 장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a bio-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bio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a flowerpot of an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a bio-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rea in which a flowerpot of an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a bio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mounted.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movement of a first flowerpot and a second flowerpot of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bio-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movement of a flowerpot within a zone and movement between zones of an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a bio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7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learning gardening control modu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sult of determining a gardening level and a learning level output from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a bio wall and a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growing pot mounting unit of an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a bio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1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a method of driving an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a bio-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can easily carry out.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positioned “on”, “on”, “on”, “on”, “under”, “under”, or “under”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positioned on the 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y are in contact,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원은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염된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시켜 먼지와 인체와 유해한 가스를 정화시키고 음이온을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분위기를 향상시키는 일정한 향기를 발산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device using a bio wall, which inhales polluted external air to purify dust, human body and harmful gases, and discharges negative ions to the outside to emit a certain fragrance that improves the indoor atmosphere. It relates to an air purifying device.

바이오 월(Bio Wall)은 식물 잎에 의한 휘발성 물질 흡수와 특수 정화 배양토 흡착 등으로 공기 정화 기능까지 갖춘 식물, 공기 청정시스템이다. 또한, 바이오 월은 폼알데하이드, 톨루엔 등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정화 효과가 우수하고 냉난방에 소모되는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io Wall is a plant and air cleaning system equipped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s such as absorption of volatile substances by plant leaves and adsorption of special purification culture soil. In addition, the bio-wall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purify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such as formaldehyde and toluene, and in reducing the amount of energy consumed for heating and cooling.

식물은 광합성, 증산작용, 토양 내 미생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실내오염물질을 제어할 수 있다. 잎에 흡수된 오염물질은 식물의 대사 산물로 이용되어 일부는 제거되고 일부는 뿌리로 이동하여 토양미생물의 영양원으로 활용된다. 포름알데히드의 경우, 잎의 기공을 통하여 식물에 흡수된 후 포름산, 이산화탄소로 차례로 전환되고, 광합성 과정을 거쳐 광합성의 대사 산물로 이용되면서 그 독성이 제거된다. 식물의 증산작용에 의하여 엽맥의 수분이 감소하게 되면 부압(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이 발생하여 줄기와 뿌리의 물을 끌어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뿌리에서도 부압이 발생한다. 이 부압에 의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이 토양에 흡착되고 미생물에 의해 제거된다. 따라서 실내 공기정화를 위해서는 식물의 뿌리 부분과 공기가 원활하게 접촉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잎의 증산작용을 통하여 실내의 온·습도가 조절되며 산소, 향 등의 방출물질에 의하여 실내 환경이 쾌적해진다. 이러한 공기정화는 광량이 많아 광합성속도가 빠를수록 잘 이루어지며 오염물질을 많이 처리할수록 미생물이 많아져 효율이 좋아진다.Plants can control indoor pollutants through photosynthesis, transpiration, and interaction with microorganisms in the soil. Contaminants absorbed by the leaves are used as metabolites of plants, some are removed, and some are transferred to the roots, where they are used as nutrients for soil microorganisms. In the case of formaldehyde, after being absorbed by the plant through the stomata of the leaf, it is sequentially converted to formic acid and carbon dioxide, and through the photosynthesis process, it is used as a metabolite of photosynthesis and its toxicity is removed. When the moisture in the leaf veins decreases due to the transpiration of plants, negative pressure (pressure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is generated, which raises the water in the stem and roots. By this negative pressure, pollutants in the air are adsorbed to the soil and removed by microorganisms. Therefore, to purify indoor air, it is helpful to allow the roots of plants to contact the air smoothly. In additi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room are controlled through the transpiration action of the leaves, and the indoor environment becomes pleasant by the emission substances such as oxygen and fragrance. Such air purification is accomplished better as the speed of photosynthesis is faster due to the large amount of light, and the more pollutants are treated, the more microorganisms and the efficiency improves.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의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a bio-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정화 장치(1)와 사용자 단말(200) 및 기상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Referring to FIG. 1 , the air purifying device 1 , the user terminal 200 , and the weather server 300 may communicate through a network.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exchange is possible between each node,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Examples of such a network include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and 5G Network,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wifi network, A Bluetooth network, a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 analog broadcasting network,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 etc.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TV 등 유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 및 기상 서버(300)는 보다 뒤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for example, a smart phone (Smartphone), a smart pad (SmartPad), a tablet PC and the like and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 may include all types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and wired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desktop computers and smart TVs.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weather server 300 will be looked at later.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정화 장치(1)는 사용자 단말(200)로 공기 정화 관리 메뉴 및 화분 관리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정화 장치(1)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200)이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기 정화 관리 메뉴 및 화분 관리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공기정화 장치(1)는 사용자 단말(200)과 데이터, 콘텐츠, 각종 통신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고, 데이터 저장 및 처리의 기능을 가지는 모든 종류의 서버, 단말,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 may provide an air purification management menu and a flowerpot management menu to the user terminal 200 .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download and install an application program provided by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 and an air purification management menu and a flowerpot management menu may be provided through the installed application. In additio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 may include all kinds of servers, terminals, or devices that transmit and receive data, content, and various communication signals with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a network, and have a function of storing and processing data. there is.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에는 공기정화 장치(1)와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하, 앱 app)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앱은 각 식물별 관수 주기 및 관수 주기에 따른 급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각 식물별 필요 일조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앱을 통해 사용자가 관리하는 식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식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는 제1화분(A)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 제2화분(B)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 각 구역별 식재된 식물의 종류(구역별로 제1화분(A) 및 제2화분(B) 각각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 포함)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식물의 종류에 대응하는 급수 주기, 급수량 및 일조량을 설정하여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앱을 통해 복수의 화분을 이동시키거나 급수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200)은 식물별 일조량, 급수량 등에 의해 자동적으로 급수 및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화분의 이동 및 급수가 원하는 때에 이루어지도록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llustratively, an application or program (hereinafter, an app app) that interworks with the air purifying device 1 may b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app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watering cycle for each plant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according to the irrigation cycle. Including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store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sunlight required for each plant.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type of plant managed by the user through the app. The information on the plant type includes the type of plant planted in the first pot (A), the type of plant planted in the second pot (B), and the type of plant planted in each zone (the first pot (A) for each zone. ) and the type of plant planted in each of the second potted plants (B)).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the types of plants planted in a plurality of pots, an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set the watering cycle, watering amount, and sunlight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plant according to the user input to provide a driving signal and a watering signal can create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moving a plurality of flowerpots or providing water through the app, and may generate a driving signal and a water supply signal based on the user input. In other words, the user terminal 200 generates a driving signal and a water supply signal for automatically moving water supply and loca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sunlight and water supply for each plant, as well as a user input so that the movement and watering of flowerpots desired by the user is performed when desired. A driving signal and a water supply signal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

공기정화 장치(1)는 후술하는 아두이노 모듈을 학습하기 위한 교구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학습의 실습으로서, 반려 식물의 원예를 위한 아두이노 모듈 기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공기정화 장치(1)와 연동되어, 반려 식물에 대한 정보 또는 공기정화 장치(1)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기상 서버(300)는 기상 정보를 제공하며, 기상 정보를 이용하여 공기정화 장치(1)에 의해 관수가 제어될 수 있으며, 팬 모터가 구동되어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서 발생하는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air purifying device 1 may be provided as a teaching aid for learning an Arduino module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implemented as an Arduino module-based device for gardening of companion plants as an exercise of learning. The user terminal 200 may interwork with the air purifying device 1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on companion plants or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air purifying device 1 through a network. The weather server 300 provides meteorological information, irrigation can be controlled by the air purifying device 1 using the weather information, and the fan motor is driven to deliver purified air generated from plants planted in pots to the outside. can be discharged with More specific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3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의 화분 탑재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의 화분이 탑재되는 구역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의 제1화분 및 제2화분의 이동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의 화분의 구역 내 이동 및 구역간 이동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a bio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a flowerpot of an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a bio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rea in which a pollen of an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a bio wall is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FIG. 5 is an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a bio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vement of the first flowerpot and the second flowerpot,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vement within and between areas of the flowerpot of the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the bio-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m.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정화 장치(1)는 화분 장착부(10), 구동부(20), 급수부(30), 팬 모터부(40), 학습 원예 제어 모듈부(50), 모니터링부(60), 판단부(70) 및 성장 화분 장착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공기정화 장치(1)는 물 공급부를 포함하거나 외부에 마련된 물 공급부와 연결되는 공급 관로 및 전자 밸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air purifying device 1 includes a flowerpot mounting unit 10 , a driving unit 20 , a water supply unit 30 , a fan motor unit 40 , a learning gardening control module unit 50 , and a monitoring unit 60 . ), a determination unit 70 and a growing pot mounting unit 80 may be include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air purifying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unit or a supply pipe connected to an externally provided water supply unit, an electromagnetic valve, and the like.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화분 장착부(10)는 벽면(2)에 구비되고 미리 설정된 복수의 구역별로 식물이 식재된 복수의 화분을 탑재할 수 있다. 화분 장착부(10)는 벽면(2)에 대향하여 이중으로 배치된 제1화분(A) 및 제2화분(B)을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제1화분(A)은 벽면(2)과 제1화분(A) 사이에 배치된 제2화분(B)보다 벽면(2)으로부터 원위(far-distance)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화분(A)은 제2화분(B)보다 벽면(2)으로부터 바깥쪽에 위치함으로써 보도를 걷는 보행자들 또는 공간 내의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화분(A)과 제2화분(B)은 시간 또는 연출될 분위기에 따라 그 위치가 전환될 수 있다. Exemplarily referring to FIG. 3 , the flowerpot mounting unit 10 may mount a plurality of flowerpots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2 and in which plants are plant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eset zones. The flowerpot mounting unit 10 may mount the first flowerpot A and the second flowerpot B that are double arranged to face the wall surface 2 . In addition, the first flowerpot A may be located far-distance from the wall surface 2 than the second flowerpot B disposed between the wall surface 2 and the first flowerpot A. That is, the first flowerpot (A) may be arranged at a position visible to pedestrians walking on the sidewalk or a user in the space by being located outside the wall surface (2) than the second flowerpot (B). The positions of the first flowerpot (A) and the second flowerpot (B) may be switched according to time or atmosphere to be produced.

또한, 도 4는 정면 즉, 벽면(2)을 보는 방향으로 바라본 화분 장착부(10)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구역은 제1구역(111), 제2구역(112), 제3구역(113) 및 제4구역(114)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화분은 각 구역별로 탑재될 수 있으며, 구역별로 동일한 종류의 식물이 식재된 화분이 탑재될 수 있고, 구역별로 서로 상이한 종류의 식물이 식재된 화분이 탑재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역 내에서도 동일한 종류의 식물이 식재된 화분들이 탑재될 수 있고, 서로 상이한 종류의 식물이 식재된 복수의 화분이 하나의 구역에 탑재될 수도 있다. 또한, 제1화분(A) 및 제2화분(B)은 구역별로 탑재되는 복수의 화분의 탑재 위치마다 구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구역에(111) 탑재된 제1화분(A)의 내측에는(벽면(2)에 인접한 쪽) 제2화분(B)이 탑재될 수 있다.In addi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flowerpot mounting unit 10 as viewed from the front, that i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all surface 2 is viewed. Illustratively, the plurality of zon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 first zone 111 , a second zone 112 , a third zone 113 , and a fourth zone 114 . Referring to FIG. 4 , a plurality of pots may be mounted for each zone, a potted plant with the same type of plant may be mounted for each zone, and potted plants with different types of plants may be mounted for each zone. . In addition, pots in which the same type of plants are planted may be mounted in one zone, and a plurality of pots in which different types of plants are planted may be mounted in one zone. In addition, the first flowerpot (A) and the second flowerpot (B) may be provided at each mounting position of a plurality of flowerpots mounted for each zone. Referring to FIGS. 3 and 4 , a second flowerpot B may be mounted inside (the side adjacent to the wall surface 2) of the first flowerpot A mounted in the first area 111 .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20)는 구역별로 탑재된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동부(20)는 복수개의 모터 유닛 및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0)는 복수개의 모터 유닛을 통해 복수의 화면의 구역 내 이동 및 구역간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화분 장착부(10)는 복수의 제1플레이트(11)를 구비할 수 있다. 각 화분은 각각의 플레이트에 탑재될 수 있다. 하나의 플레이트에 하나의 화분이 탑재되며, 구동부(20)가 제1플레이트(11)를 이동시킴으로써, 제1플레이트(11)에 탑재된 활동을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20)의 복수의 모터유닛 중 하나의 구동이 제어됨으로써, 제1플레이트(11)와 제2플레이트(12)의 구역간 이동이 발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riving unit 20 may move a plurality of planting pots mounted for each zone. Exemplarily, the driving unit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tor units and guide rails. Also, the driving unit 20 may perform intra-region and inter-region movement of a plurality of screens through a plurality of motor units. For example, the flowerpot mounting unit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lates 11 . Each flowerpot can be mounted on a separate plate. One flowerpot is mounted on one plate, and by the driving unit 20 moving the first plate 11 , the activity mounted on the first plate 11 may be moved.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one of the plurality of motor units of the driving unit 20 , movement between zones of the first plate 11 and the second plate 12 may occur.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구동부(20)의 복수의 모터유닛 중 하나(제1모터 유닛)는 제1화분(A)의 제1플레이트(11) 및 제2화분(B)의 제1플레이트(11)와 연결되어 제1화분(A)의 제1플레이트(11) 및 제2화분(B)의 제1플레이트(11)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모터유닛은 도 3을 기준으로 제1플레이트(11)의 하측에서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11)와 연결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화분(A) 및 제2화분(B)의 제1플레이트(11)마다 제1모터유닛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플레이트(11)의 측면과 제2플레이트(12) 사이에는 제2모터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모터유닛은 제2화분(B)의 제1플레이트(11)의 벽면을 향한 측면(도 3 기준 제2화분(B)과 화분 장착부(10)의 사이, 3시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제1화분(A) 및 제2화분(B)은 제2모터유닛에 의해 구역 내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모터유닛은 제1화분(A) 및 제2화분(B)이 각각 탑재된 한 쌍의 제1플레이트(11)와 한 쌍의 제1플레이트(11)와 연결된 제1모터유닛을 함께 한 쌍의 제1플레이트(11)가 속한 구역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3 and 4 , one (a first motor unit) of a plurality of motor units of the driving unit 20 includes a first plate 11 of a first flowerpot A and a first of the second flowerpot B. It is connected to the plate 11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first plate 11 of the first flowerpot A and the first plate 11 of the second flowerpot B can be switched. For example, the first motor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pair of first plates 11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late 11 with reference to FIG. 3 . That is, the first motor unit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plates 11 of the pair of first flowerpots (A) and second flowerpots (B). In addition, a second motor uni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 and the second plate 12 . Specifically, the second motor unit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rst plate 11 of the second pot (B) facing the wall (between the second pot (B) and the pot mounting unit 10 in FIG. 3, at 3 o’clock). can be provided. The first flowerpot (A) and the second flowerpot (B) may be moved within the area by the second motor unit. Specifically, the second motor unit is a first motor unit connected to a pair of first plates 11 and a pair of first plates 11 on which the first flowerpot (A) and the second flowerpot (B) are respectively mounted. can be moved together within the region to which the pair of first plates 11 belong.

일예로, 도 5를 참조하면, 구동부(20)는 제1화분(A) 및 제2화분(B)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제1화분(A)의 제1플레이트(11) 및 제2화분(B)의 제1플레이트(11)와 연결된 제1모터유닛은 제1화분(A) 및 제2화분(B)을 제1레일(21)을 따라 동일한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화분 및 제2화분의 화분 장착부(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원근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 the driving unit 20 may switch positions of the first flowerpot A and the second flowerpot B. As shown in FIG. The first motor unit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11 of the first flowerpot (A) and the first plate 11 of the second flowerpot (B) moves the first flowerpot (A) and the second flowerpot (B) to the first By moving along the rail 21 in the same direction (eg,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position of perspective relative to the pot mounting part 10 of the first and second flowerpots may be switched.

또한, 구동부(20)는 복수의 화분의 구역 내 이동 및 구역간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술한 제2모터유닛은 각 구역마다 구비된 제2레일(22)에 연결되며, 제2레일(22)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11)를 구역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모터유닛은 한 쌍의 제1플레이트(11)마다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모터유닛의 구동력의 방향과 제2모터유닛의 구동력의 방향은 직각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플레이트(12)에는 제3모터유닛이 연결되어 구비되며, 제3모터유닛은 제3레일(23)을 따라 제2플레이트(1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2플레이트(12)에는 제1플레이트(11)를 통해 각 구역의 모든 화분이 탑재되므로, 제2플레이트(12)의 이동은 구역간 이동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모터유닛의 구동에 의하여 제1플레이트(11)가 구동하여 제1화분과 제2화분의 앞뒤 위치가 전환될 수 있고, 제2모터유닛의 구동에 의하여 한 쌍의 제1플레이트(11)가 함께 각 구역 내에서 이동하여 각 구역 내에서 제1화분과 제2화분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고, 제3모터유닛의 구동에 의하여 복수의 제1플레이트(11)가 연결된 제2플레이트(12)가 이동함으로써, 구역 간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제1모터유닛, 제2모터유닛 및 제3모터유닛은 각 플레이트마다 구비될 수도 있으나, 각 플레이트(11, 12)는 레일(21,22,23)에 연결되고, 제1모터유닛, 제2모터유닛 및 제3모터유닛이 레일(21,22,23)에 연결되어 레일이 이동함으로써 각 플레이트(11, 12)가 필요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Also, the driving unit 20 may move the plurality of flowerpots within and between zones. Illustratively, the above-described second motor un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rail 22 provided for each zone, and the pair of first plates 11 is moved along the second rail 22 within the zone. can In addition, the second motor unit may be provided for each pair of first plates 11 .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motor unit may be at right angles. In addition, a third motor unit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plates 12 , and the third motor unit can move the second plate 12 along the third rail 23 . Since all flower pots in each zone are mounted on the second plate 12 through the first plate 11 , the movement of the second plate 12 may be understood as inter-zone movement.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plate 11 is driven by the driving of the first motor unit, so tha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lowerpots can be switched, and the second motor unit is driven. By this, the pair of first plates 11 are moved together in each zone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lowerpots can be moved in each zone, and the plurality of first plates are driven by the third motor unit. By moving the second plate 12 to which 11 is connected, movement between zones can be achieved.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bove-described first motor unit, second motor unit and third motor unit may be provided for each plate, but each plate 11 , 12 is the rail 21 , 22 , 23 . ), and the first motor unit, the second motor unit, and the third motor unit are connected to the rails 21, 22, and 23 so that the rails move, so that the respective plates 11 and 12 can be moved as needed. .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20)는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제1화분(A) 및 제2화분(B)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동부(20)는 공기정화 장치(1)의 설치 목적, 설치 공간, 공간 사용자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제1화분(A) 및 제2화분(B)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연출하고자 하는 분위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제1화분(A) 및 제2화분(B)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riving unit 20 may switch positions of the first flowerpot A and the second flowerpot B at a preset time period. Exemplarily, the driving unit 20 may switch the positions of the first flowerpot (A) and the second flowerpot (B) at a preset time perio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urpose, installation space, space user, etc. of the air purifier 1 . . In addition, the positions of the first flowerpot (A) and the second flowerpot (B) may be switched at preset time periods according to the desired atmosphere.

예시적으로, 공기정화 장치(1)가 회사 사무실 내부 또는 학교의 교실 등에 구비된 경우, 학생, 선생님, 회사원(직장인)이 주된 유동인구가 될 것이다. 예시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가 6시간이라고 가정하면, 복수의 화분은 오전시간(6시 ~ 12시)에는 등교하는 학생 또는 출근하는 직장인들에게 보여진다고 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20)는 활기찬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제1화분(A) 또는 제2화분(B)이 벽면(2)으로부터 원위에 위치하도록 제1화분(A) 및 제2화분(B)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20)는 오후시간(13시 ~ 18시)에는 학생들이 하교하거나 직장인들이 퇴근하는 시간이므로 편안한 휴식의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제1화분(A) 또는 제2화분(B)이 벽면(2)으로부터 원위에 위치하도록 제1화분(A) 및 제2화분(B)을 이동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ir purifying device 1 is provided inside a company office or in a classroom of a school, students, teachers, and office workers (employees) will be the main floating population.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preset time period is 6 hours, it can be said that the plurality of flowerpots are displayed to students or office workers going to work in the morning (6 o'clock to 12 o'clock). 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20 moves the first flowerpot (A) and the second flowerpot (B) so that the first flowerpot (A) or the second flowerpot (B) is located distally from the wall surface (2) in order to create a lively atmosphere. can be moved In addition, in the afternoon (13:00 to 18:00), the driving unit 20 is the time when students leave school or office workers go home. In order to create an atmosphere of comfortable rest, the first flowerpot (A) or the second flowerpot (B) is placed on the wall. The first flowerpot (A) and the second flowerpot (B) may be moved so as to be located distally from (2).

복수의 화분에 식재되는 식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바이오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1)가 설치되는 목적, 위치 또는 연출하고자 하는 분위기에 따라 적합한 식물이 식재될 수 있다. 이때, 또한, 화분 장착부(10)의 각 구역별로 서로 상이한 식물이 식재될 수 있고, 구역 내에서도 동일하거나 상이한 식물이 식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화분(A) 및 제2화분(B)의 배치, 구역 내 화분의 배치, 구역간 화분의 배치 등 다양한 조합으로 조성하고자 하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plants to be planted in a plurality of pots may be planted with suitable plants depending on the purpose, location, or atmosphere in which the air purifying device 1 using the bio-wall is installed. In this case, also different plants may be planted in each zone of the pot mounting unit 10 , and the same or different plants may be planted in the zon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reate an atmosphere to be created by various combinations such as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flowerpot (A) and the second flowerpot (B), arrangement of flowerpots within a zone, and arrangement of flowerpots between zones.

예시적으로, 구동부(20)는 학습원예 모듈 모듈부(5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고려하여 제1화분(A) 및 제2화분(B)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구동 제어 신호를 고려하여 1화분(A) 및 제2화분(B)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 unit 20 may switch the positions of the first flowerpot (A) and the second flowerpot (B) in consid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learning horticultural module module unit 50 . Also, the driving unit 20 may switch the positions of the first flowerpot A and the second flowerpot B in consideration of the driving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원예 제어 모듈부(50)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기반하여 팬 모터부(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시간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오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1)가 구비된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환경 정보는 바이오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1)가 구비된 영역의 이동인구, 밀집인구, 이용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learning gardening control module unit 50 may generate a control tim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an motor unit 40 based on a preset time. For example, a preset time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provided with the air purifying device 1 using the bio-wall.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may include a moving population, a dense population, a usage time, etc. of the area in which the air purifying device 1 using the bio-wall is provided.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급수부(30)는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에 관수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급수부(30)는 급수 신호에 기초하여 화분에 관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급수 신호는, 통신부(51)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달리 말해, 통신부(5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 중 어느 하나의 화분에 급수를 요청하는 사용자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53)는 급수부(30)를 제어하는 급수 신호를 생성하고, 급수부(30)는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화분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water supply unit 30 may provide irrigation to a plurality of pots for planting plants. For example, the water supply unit 30 may provide water to the flowerpot based on the water supply signal. Also, the water supply signal may b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1 . In other words, the communication unit 51 may receive user request information for requesting water supply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pots for planting from the user terminal 200 . The controller 53 may generate a water supply signal to control the water supply unit 30 , and the water supply unit 30 may spray water into the flowerpot based on the control signal.

예시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급수부(130)는 화분 장착부(10)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모든 복수의 화분이 동일하게 급수를 제공받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상대적으로 화분 장착부(10)의 상부에 위치한 화분에 공급되는 급수량이 화분 장착부(10)의 하부에 위치한 화분에 공급되는 급수량 보다 적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단의 화분은 상단에 위치한 화분들에 의해 빛이 가려져 일조량이 부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화분에 식재된 식물별로 충분한 급수 및 일조량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생성한 구동 신호 및 급수 신호를 통신부(51)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6 , since the water supply unit 130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erpot mounting unit 10 , it may be difficult for all of the plurality of flowerpots to receive the same water supply. Relatively,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flowerpot located above the flowerpot mounting unit 10 is less than the water supply quantity supplied to the flowerpot located below the flowerpot mounting unit 10 .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 the lowermost flowerpot may have insufficient sunlight because light is blocked by the uppermost flowerpot.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200 may generate a driving signal and a water supply signal to receive sufficient watering and sunlight for each plant planted in a plurality of pots.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generated driving signal and water supply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51 .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 모터부(40)는 벽면(2)의 일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팬 모터부(40)는 프로펠러형 날개를 갖는 팬을 회전시켜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팬 모터부(40)는 학습 원예 제어 모듈부(50)의 제어부(53)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분 장착부(10)에 구비된 복수의 성장용 화분(A, B) 및 바이오 월이 구비된 내부 공간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팬 모터부(40)의 팬의 크기를 달리하여 벽면의 상측 또는 벽면의 좌측 및 우측에 에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성장용 화분(A, B) 내부에 식재된 식물은 공기정화식물로서, 포름알데히드 제거식물, 벤젠이나 톨루엔 또는 크실렌과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제거식물, 암모니아 제거식물, 일산화탄소 제거 식물 등이 식재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식재된 식물은 허브와 같은 향기 식물로서, 방향을 위해 식재된 식물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an motor unit 40 may be provided in one area of the wall surface 2 . The fan motor unit 40 may rotate a fan having a propeller-type blade to blow air. The fan motor unit 40 may be driven based on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3 of the learning horticultural control module unit 50 . The user may vary the size of the fan of the fan motor unit 40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inner space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growing pots A and B provided in the flowerpot mounting unit 10 and the bio wall,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wall Or it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all.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lants planted inside the plurality of growing pots (A, B) are air purifying plants, formaldehyde removal plant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such as benzene, toluene, or xylene A removal plant, an ammonia removal plant, a carbon monoxide removal plant, etc. may be planted. In addition, the plant planted therein may be a plant planted for aroma, as an aromatic plant such as a herb.

또한, 공기정화 장치(1)는 화분 내부에 식재된 식물의 광합성, 증산작용, 토양 내 미생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정화된 공기를 팬 모터부(40)를 이용해 외부로 산소, 향 등의 방출물질을 배출함으로써,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purifying device 1 uses the fan motor unit 40 to release oxygen, fragrance, etc., purified air through photosynthesis, transpiration, and interaction with microorganisms in the soil of plants planted in the pot. By discharging the substance, it is possible to make the indoor environment comfortable.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원예 제어 모듈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7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learning gardening control modu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원예 제어 모듈부(50)는 벽면(2)의 일 영역에 구비되어 복수의 원예 모듈(55) 각각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원예 제어 모듈부(50)는 바이오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1)가 구비된 영역에서 수집되는 복수의 정보를 고려하여, 팬 모터부(4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정보는, 환경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온도, 습도, 산소, 이산화탄소 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정보는, 바이오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1)에서부터 미리 설정된 영역 이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200)의 신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정보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온도 센서, 열감지 센서 등에서 수집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70)는 바이오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1)가 구비된 영역에서 수집되는 복수의 정보를 고려하여, 공기 정화 여부를 판단하고, 학습 원예 제어 모듈부(50)는 판단부(70)의 판단 결과를 고려하여, 팬 모터부(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learning gardening control module unit 50 may be provided in one area of the wall surface 2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55 . In addition, the learning horticultural control module unit 50 receiv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an motor unit 40 in consideration of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area provided with the air purifier 1 using the bio-wall. can create Exemplarily, the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may include temperature, humidity, oxyge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etc. obtained from an environmental sensor.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may include signal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existing within a preset area from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 using the bio-wall. Also, the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collected from an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a person, a temperature sensor, a heat sensor, and the like. The determination unit 70 determines whether to purify the air in consideration of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area provided with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 using the bio-wall, and the learning and gardening control module unit 50 determines the determination unit 70 ),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an motor unit 40 may be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determination result.

예시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학습 원예 제어 모듈부(50)는 통신부(51), 수준 판단부(52), 제어부(53), 인터페이스부(54) 및 복수의 원예 모듈(55)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학습 원예 모듈부(5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xemplarily referring to FIG. 7 , the learning gardening control module unit 5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51 , a level determination unit 52 , a control unit 53 , an interface unit 54 and a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55 . can do.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learning gardening module unit 50 is not limited thereto.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5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의 학습 정보 및 원예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원예 상식을 포함하는 원예 정보 및 아두이노 모듈 상식을 포함하는 학습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입력을 데이터 처리하여 사용자 입력의 정보로 생성할 수 있고 이를 통신부(51)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51 may receive the user's learning information and user input information for garden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a user input as a response to gardening information including common sense gardening and learning information including common sense Arduino module.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process the user input data to generate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and transmit it to the communication unit 51 .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정화 장치(1)는 사용자 단말(200)과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원예 상식에 대한 퀴즈 및 아두이노 모듈 상식에 대한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원예 상식에 대한 퀴즈 및 아두이노 모듈 상식에 대한 퀴즈의 응답을 각각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데이터화 하여 통신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상기 학습 수준은 사용자의 아두이노 모듈의 취급 수준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나이, 성별, 학년, 학습 정도 등을 고려하여 판단되는 포괄적 개념의 학습 수준으로 확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ir purifying device 1 provides an application interworking with the user terminal 200, and a quiz on common sense of gardening and a quiz on common sense of an Arduino module can be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each response of the quiz on common sense of gardening and the quiz on common sense of the Arduino module, and may transmit them to the communication unit 120 by converting them into data. In addition, the learning level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include only the handling level of the user's Arduino module, and may be extended to a learning level of a comprehensive concept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age, gender, grade, learning level, and the lik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준 판단부(52)는 사용자 입력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원예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준 판단부(52)는, 상기 응답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원예 수준 및 상기 학습 수준을 각각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level determining unit 52 may determine the user's learning level and the gardening level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level determining unit 52 may determine the gardening level and the learning level as any one of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based on the response, respectively.

수준 판단부(52)는 상기 원예 상식 퀴즈의 정답 수와 아두이노 상식 퀴즈의 정답 수에 따라 원예 수준과 학습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원예 상식 퀴즈와 아두이노 상식 퀴즈는 각각 10문항이 제시될 수 있으며, 이 중 정답 수가 10개 내지 8개는 상급, 7개 내지 5개는 중급, 4개 이하는 초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수준의 경우, 사용자의 나이 및 학년을 더 고려하여 학습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사용자 정보를 통신부(51)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및 학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evel determination unit 52 may determine the gardening level and the learning level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of the common sense quiz and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of the Arduino common sense quiz. For example, the gardening common sense quiz and the Arduino common sense quiz can each be presented with 10 questions, of which 10 to 8 correct answers are advanced, 7 to 5 are intermediate, and 4 or less can be judged as beginner. can Also, in the case of the learning level, the learning level may be determin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age and grade of the user.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user information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communication unit 51 , and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the user's age and grade.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원예 수준 및 학습 수준의 판단 결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sult of determining a gardening level and a learning level output from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예시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수준 판단부(52)에 의해 판단된 사용자 각각의 원예 수준과 학습 수준은 통신부(51)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원예 수준 및 학습 수준의 판단 결과가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본인이 원하는 수준으로 선택하고 싶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원예 수준 및 학습 수준을 각각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수준 선택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51)로 전송할 수 있다. 수준 판단부(52)는 상기 수준 선택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으로 원예 수준 및 학습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Exemplarily referring to FIG. 8 , each user's gardening level and learning level determined by the level determination unit 52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1 , as shown in FIG. 4 . ,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gardening level and the learning level may be out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As another example,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the user wants to select a desired level.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gardening level and the learning level, respectively, and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level selec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51 . The level determination unit 52 may determine the level of gardening and the level of learning as desired by the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level selection.

사용자 단말(200)은 수준 판단부(52)의 판단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아두이노 모듈 상식과 관련된 퀴즈 결과를 포함하는 문항 수 및 정답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수준 판단부(52)는 정답수를 기 설정된 학습 수준의 기준치에 맞는 수준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판단된 학습 수준을 표시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level determination unit 52 .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the number of questions and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including quiz results related to common sense of the Arduino module. In addition, the level determining unit 52 may determine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as a level that meets the reference value of the preset learning level, and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the determined learning level.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53)는 화분 장착부(10)의 일 영역에 구비되고, 복수의 원예 모듈(55) 각각과 연결되어 복수의 원예 모듈(55)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3)는 인터페이스부(54)에 의해 연결된 원예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trol unit 53 is provided in one area of the pot mounting unit 10 ,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55 , and i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55 . can creat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3 may selectivel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gardening module connected by the interface unit (54).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와 복수의 원예 모듈의 연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a bio wall and a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제어부(53)는 공기정화 장치(1)에 구비되는 복수의 원예 모듈 각각과 연결되어 복수의 원예 모듈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3)는 복수의 원예 모듈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반하여 팬 모터부(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3)는 팬 모터부(40)의 구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동 모드는 팬 모터부(40)의 회전 주기, 회전 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53)는 복수의 원예 모듈에 포함된 스위치 모듈(151), 수중 펌프 모터 모듈(152), 전원 공급 모듈(153), 토양 습도 센싱 모듈(154), 복수의 환경 센싱 모듈(155) 및 무선 통신 모듈(15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센싱된 결과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팬 모터부(40)의 구동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환경 센싱 모듈(155)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가형, 팬 모터부(40)의 구동이 필요한 경우, 제어부(53)는 팬 모터부(40)의 구동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53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provided in the air purifier 1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3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an motor unit 40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horticultural modules. Also, the controller 53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de of the fan motor unit 40 . For example, the driving mode may be different in at least one of a rotation period and a rotation intensity of the fan motor unit 40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3 includes a switch module 151 , a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152 , a power supply module 153 , a soil humidity sensing module 154 , and a plurality of environment sensing modules 155 included in a plurality of horticultural modules. )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6 , when the sensed result exceeds a preset rang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de of the fan motor unit 40 may be generated. Illustratively, whe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sensor among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ensing modules 155 is within a preset range and it is necessary to drive the fan motor unit 40 , the control unit 53 controls the fan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driving mode of the motor unit 40 may be generated.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원예 모듈은 스위치 모듈(151), 수중 펌프 모터 모듈(152), 전원 공급 모듈(153), 토양 습도 센싱 모듈(154), 복수의 환경 센싱 모듈(155) 및 무선 통신 모듈(15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환경 센싱 모듈(155)은 공기품질 센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대기압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복수의 원예 모듈은 외부에 마련된 급수부(30)와 연결되는 공급 관로 및 전자 밸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3)는 아두이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원예 모듈은 기판 유닛(브레드보드)(4)을 통해 공기정화 장치(1)와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a plurality of horticultural modules includes a switch module 151 , a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152 , a power supply module 153 , a soil humidity sensing module 154 , a plurality of environment sensing modules 155 and a wireless A communication module 156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environment sensing modules 155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ir quality sensor, a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n atmospheric pressure sensor.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plurality of horticultural modules may further include a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30 provided outside, an electromagnetic valve, and the like. Also, the controller 53 may include an Arduino module. A plurality of horticultural modules may be connected to the air purifier 1 through a substrate unit (breadboard) 4 .

학습 수준 및 원예 수준은 사용자의 수준에 적합한 아두이노 모듈의 학습과 반려 식물 원예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구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학습 수준이 초급인 경우, 난이도가 낮은 아두이노 모듈 및 원예 모듈을 이용하여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학습 수준에 따라 연결되는 원예 모듈의 종류 또는 수를 선택적으로 결정), 원예 수준이 고급인 경우, 원예 난이도가 어려운 식물을 재배하도록 하기 위해 학습 수준 및 원예 수준이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정화 장치(1)는 학습 수준에 따라 사용 가능한 원예 모듈이 선택적일 수 있도록, 원예 모듈과 제어부(53)의 연결을 통제하거나, 원예 수준에 적합한 반려 식물을 재배하도록, 반려 식물을 추천할 수 있다. The learning level and the gardening level can be divided in order to make learning of the Arduino module suitable for the user's level and the companion plant gardening learning. For example, if the learning level is beginner, learning is made using an Arduino module and a gardening module with low difficulty (selectively determining the type or number of gardening modules connected according to the learning level), and the gardening level is In the case of advanced, a learning level and a horticultural level may be distinguished in order to cultivate plants with difficult gardening difficulty. Accordingly, the air purifier 1 controls the connection between the gardening module and the controller 53 so that available gardening modules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learning level, or recommends companion plants to grow companion plants suitable for the gardening level can do.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부(54)는 학습 수준 및 원예 수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복수의 원예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원예 모듈과 제어부(53)의 연결 포트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54)는 기판 유닛(4)의 복수의 모듈 연결 단자와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연결 포트(541)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54)는 기판 유닛(4)을 통해 연결된 아두이노 모듈과 복수의 원예 모듈 각각의 연결 포트(541)의 연결 및 차단을 학습 수준 및 원예 수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터페이스부(54)는 학습 수준 및 원예 수준에 따라 복수의 원예 모듈의 연결 포트(541)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다르게 전자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연결 포트(541)의 연결을 수준(학습 수준, 원예 수준)에 따라 다르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수준에 적합한 원예 모듈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interface unit 54 may control a connection port between at least one gardening module among a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and the controller 53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learning level and a gardening level. Referring to FIG. 9 , the interface unit 54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dule connection terminals of the substrate unit 4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s 541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module connection terminals. The interface unit 54 may control the connection and blocking of the connection port 541 of each of the Arduino module and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connected through the board unit 4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learning level and a gardening level. In other words, the interface unit 54 may selectively and differently electronically set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ports 541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according to the learning level and the gardening level. That is, by making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port 541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learning level, gardening level), learning can be made through the gardening module suitable for the user's level.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수준과 원예 수준을 동시에 고려하여 원예 모듈이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인터페이스부(54)는 학습 수준이 고급이고 원예 수준이 초급인 경우, 초급 원예 수준에 대응하는 반려 식물의 원예를 위한 그에 대응하는 복수의 원예 모듈의 유형 및 연결되는 연결 포트(541)의 수를 학습 수준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학습 수준이 고급이고 원예 수준이 초급인 사용자는 아두이노 모듈에 대해서는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으나, 원예에 대해서는 초보자인 사용자 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는 초급 원예 수준의 반려 식물을 재배하더라도 고급 학습 수준에 해당하는 원예 모듈을 이용하여 반려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즉, 아두이노 모듈에 관한 고급 수준의 학습 수준보다는 초급 수준인 원예 수준에 초점하여, 초급 원예 수준에 대응하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를 위한 다양한 원예 모듈을 활용하여 반려 식물을 잘 재배하고, 더불어 공기정화에 까지 활용할 수 있도록 재미 또는 동기가 부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원예 수준 및 학습 수준 각각의 조합에 따라 반려 식물의 종류 및 공기정화 장치(1)의 사양(원예 모듈의 종류)이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gardening module may be selectively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learning level and the gardening level at the same time. Illustratively, when the learning level is advanced and the gardening level is beginner, the interface unit 54 includes types of a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corresponding thereto for gardening of companion plants corresponding to the beginner gardening level and a connection port 541 connected thereto. )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level. A user with an advanced level of learning and a beginner level of gardening has specialized knowledge about the Arduino module, but may be a beginner for gardening. Even if such a user grows companion plants at the beginner level, they can grow companion plants using the gardening module corresponding to the advanced learning level. That is, by focusing on the beginner level gardening level rather than the advanced level learning level about the Arduino module, use various gardening modules for air purification using plants corresponding to the beginner level gardening level to cultivate companion plants well, It can be fun or motivating to use even for purification. As s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ype of companion plant and the specification (the type of the gardening module) of the air purifying device 1 may be variously determined according to each combination of the user's gardening level and learning level.

초급 원예 수준에 대응하는 반려 식물은 원예 난이도가 낮은 식물, 예를 들어, 선인장과 같이 관수가 빈번하지 않고, 해충, 잡초 등의 관리가 상대적으로 불필요한 식물일 수 있다. 또한, 중급 및 고급 원예 수준에 대응하는 반려 식물은 상기 초급 원예 수준에 대응하는 식물보다 상대적으로 관수 빈도가 높고 관리가 상대적으로 더 요구되는 식물일 수 있다. 또한, 중급 및 고급 원예 수준에 대응하는 반려 식물은 향기, 피톤치드, 수분 등의 배출량이 우수한 공기정화 식물일 수 있다. The companion plant corresponding to the beginner horticultural level may be a plant having a low gardening difficulty, for example, a plant that is not frequently watered, such as a cactus, and is relatively unnecessary to manage pests, weed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anion plant corresponding to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horticultural level may be a plant that has a relatively higher frequency of irrigation and requires relatively more management than the plant corresponding to the beginner horticultural level. In addition, companion plants corresponding to intermediate and advanced horticultural levels may be air purifying plants with excellent discharge of fragrance, phytoncide, and moisture.

또한, 원예 모듈의 유형이란, 원예 수준 또는 학습 수준에 따라 결정되는 원예 모듈 종류로서, 예를 들어, 초급 학습 수준인 경우, 수동 동작에 필요한 원예 모듈, 예를 들어, 스위치 모듈(151), 전원 공급 모듈(153)이 초급 수준의 원예 모듈의 유형일 수 있다. 즉, 초급 학습 수준은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스위치를 통해 팬 모터부(40)를 제어할 수 있는 수준일 수 있다. 또한, 초급 학습 수준인 경우, 수동 관수에 필요한 원예 모듈, 예를 들어, 스위치 모듈(151), 수중 펌프 모터 모듈(152), 전원 공급 모듈(153)이 초급 수준의 원예 모듈의 유형일 수 있다. 달리 말해, 초급 학습 수준은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스위치를 통해 팬 모터부(40) 및 수중 펌프 모터 모듈(15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수준일 수 있다. 즉, 초급 학습 수준인 경우, 수동 동작에 필요한 원예 모듈, 스위치 모듈(151), 전원 공급 모듈(153), 수중 펌프 모터 모듈(152)이 연결 포트(541)에 연결되어 제어부(53)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중급 수준인 경우, 초급 수준의 원예 모듈의 유형에 토양 습도 센싱 모듈(154) 및 복수의 환경 센싱 모듈(155)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센싱의 결과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팬 모터부(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센싱에 의해 자동적으로 관수 될 수 있다. 또한, 고급 수준인 경우, 중급 수준의 원예 모듈의 유형에 무선 통신 모듈(156, 블루투스/와이파이 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명령에 의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팬 모터부(4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으며, 사용자 명령에 의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관수가 제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팬 모터부(40)의 동작 신호는 팬 모터의 회전 주기(예를 들어, 10초 동작 2초 정지를 반복하는 동작) 및 회전 세기(예를 들어, 강, 약)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원예 모듈 외에도 다양한 아두이노 기반의 모듈이 활용될 수 있으며, 학습 수준 및 모듈별 난이도에 따라 서로 다른 원예 모듈 유형에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ype of gardening module is a gardening module typ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gardening level or learning level, for example, in the case of beginner learning level, a gardening module required for manual operation, for example, the switch module 151, power supply The supply module 153 may be a type of entry-level gardening module. That is, the beginner learning level may be a level at which the user can manually control the fan motor unit 40 through the switch.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beginner learning level, gardening modules required for manual watering, for example, the switch module 151 ,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152 , and the power supply module 153 may be of the beginner level gardening module type. In other words, the beginner learning level may be a level at which the user can manual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an motor unit 40 and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152 through a switch. That is, in the case of beginner learning level, the gardening module, the switch module 151, the power supply module 153, and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152 necessary for manual operation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541 to control the control unit 53 It can be controlled by signals.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intermediate level, the soil humidity sensing module 154 and a plurality of environment sensing modules 155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type of the beginner level gardening module, and the fan motor unit 40 automatically based on the sensing result ) can be controlled, and watering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by sensing.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advanced level,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6 (Bluetooth / Wi-Fi module)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type of the intermediate level gardening module, and the fan motor unit receives a control signal by a user command from the user terminal 200 . The operation of ( 40 ) may be controlled, and irrigation may be controlled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user command. Exemplarily, the operation signal of the fan motor unit 40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a rotation period (eg, an operation that repeats a 10-second operation and a 2-second stop) of the fan motor and a rotational strength (eg, , strong, weak) may be a different signal.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gardening module, various Arduino-based modules may be utilized, and may be included in different gardening module types according to the learning level and difficulty of each module.

다른 예로, 인터페이스부(54)는 학습 수준이 초급이고 원예 수준이 고급인 경우, 고급 원예 수준에 대응하는 반려 식물의 원예를 위한 복수의 구동 모듈의 유형 및 연결되는 연결 포트(541)의 수를 학습 수준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학습 수준이 초급이고 원예 수준이 고급인 사용자는 아두이노 모듈에 대해서는 초보자이나, 원예에 대해서는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사용자 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는 고급 원예 수준의 반려 식물을 재배하더라도 초급 학습 수준에 해당하는 구동 모듈을 이용하여 반려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사용자는 반려 식물을 어떻게 재배해야 하는지 이미 인지하고 있으므로, 아두이노 모듈 학습에 초점하여, 아두이노 모듈 및 구동 모듈을 통한 원예를 통해 아두이노 모듈 학습의 재미 또는 동기가 부여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learning level is beginner and the gardening level is advanced, the interface unit 54 determines the types of a plurality of driving modules for gardening of companion plants corresponding to the advanced gardening level and the number of connected connection ports 541 . It can be decided by considering the level of learning. A user with a beginner level of learning and an advanced level of gardening may be a beginner with respect to the Arduino module, but may be a user with specialized knowledge about gardening. Even if such a user grows companion plants at the advanced horticultural level, they can grow companion plants using the driving module corresponding to the beginner learning level. That is, since these users already know how to grow companion plants, by focusing on learning the Arduino module, the fun or motivation of learning the Arduino module can be given through gardening through the Arduino module and the driving module.

도 9를 참조하면, 학습 수준 및 원예 수준 중 어느 하나가 초급인 경우, 인터페이스부(54)는 스위치 모듈(151), 수중 펌프 모터 모듈(152), 전원 공급 모듈(153)의 연결 포트(541)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수준 및 원예 수준 중 어느 하나가 중급, 고급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인터페이스부(54)는 모든 복수의 모듈의 연결 포트(541)를 연결할 수 있다. 학습 수준 및 원예 수준이 중급, 고급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인터페이스부(54)는 초급인 경우에 연결하는 구동 모듈에, 토양 습도 센싱 모듈(154), 복수의 환경 센싱 모듈(155), 무선 통신 모듈(156)을 더 연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when any one of the learning level and the gardening level is beginner, the interface unit 54 is a switch module 151 , a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152 , and a connection port 541 of the power supply module 153 . ) can be connected. In addition, when any one of the learning level and the gardening level is any one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the interface unit 54 may connect the connection ports 541 of all the plurality of modules. When the learning level and the gardening level are any one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the interface unit 54 is a driving module connected to the beginner level, a soil humidity sensing module 154, a plurality of environment sensing modules 155, wireless communication A module 156 may be further connected.

수준에 따른 구동 모듈의 구동에 대해 설명하면, 학습 수준 및 원예 수준이 초급인 경우, 스위치 모듈(151)을 통해 팬 모터부(40)가 구동되어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서 발생하는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스위치 모듈(151)을 통해 수중 펌프 모터 모듈(152)이 구동되어 반려 식물에 급수될 수 있다. 학습 수준과 원예 수준이 모두 초급인 경우, 원예 난이도가 쉬운 식물을 재배하되, 스위치 모듈(151)을 통해 수동적으로 팬 모터부(40)가 구동되고, 수중 펌프 모터 모듈(152)에서 관수되도록 간단한 구동 모듈의 조합으로 공기정화 할 수 있으며, 반려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When explain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dule according to the level, when the learning level and the gardening level are beginner, the fan motor unit 40 is driven through the switch module 151 to provide purified air generated from plants planted in pots.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152 is driven through the switch module 151 to supply water to the companion plant. When both the learning level and the gardening level are beginner, the plant with easy gardening difficulty is grown, but the fan motor unit 40 is passively driven through the switch module 151, and the water pump motor module 152 is simple to water. The combination of the drive module can purify the air and grow companion plants.

또한, 학습 수준 및 원예 수준이 중급인 경우, 복수의 환경 센싱 모듈(155)에서 감지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팬 모터부(40)가 구동되어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서 발생하는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토양 습도 센싱 모듈(154)에서 감지된 토양 습도에 기초하여 수중 펌프 모터 모듈(152)이 구동되어 반려 식물에 급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arning level and the gardening level are intermediate, the fan motor unit 40 is driven based o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ensing modules 155 to deliver purified air generated from plants planted in pots to the outside. and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152 is driven based on the soil humidity detected by the soil humidity sensing module 154 to supply water to companion plants.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토양 습도 센싱 모듈(154) 및 복수의 환경 센싱 모듈(155)로부터 센싱된 결과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53)는 팬 모터부(40)의 회전 주기 및 회전 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구동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3)는 복수의 환경 센싱 모듈(155)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황사, 알레르기 물질, 새집증후군의 원인인 유기화합물, 미세먼지 등과 연관된 오염물질이 감지되는 경우, 보다 빠르게 쾌적한 실내 환경을 만들기 위해, 팬 모터부(40)의 구동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results sensed by the soil humidity sensing module 154 and the plurality of environment sensing modules 155 exceed a preset range, the control unit 53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fan motor unit 40 . At least one of a period and a rotation intensity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different driving mode. For example, when a pollutant associated with yellow dust, an allergic substance, an organic compound causing sick house syndrome, fine dust, etc. is detected from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ensing modules 155 , the control unit 53 may more rapidly creat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driving mode of the fan motor unit 40 may be generated.

또한, 학습 수준 및 원예 수준이 고급인 경우, 통신부(51) 또는 무선 통신 모듈(156)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팬 모터부(40)를 구동할 수 있으며, 수중 펌프 모터 모듈(152)이 구동되어 반려 식물에 급수될 수 있다. 학습 수준 및 원예 수준이 초급에서 고급으로 갈수록 원예 난이도가 높은 반려 식물을 재배하고, 원예에 사용 가능한 구동 모듈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팬 모터부(40)의 구동 및 관수를 위한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arning level and the horticultural level are advanced, the communication unit 51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6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drives the fan motor unit 40 based on the control signal. In addition,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152 may be driven to supply water to the companion plant. As the learning level and gardening level go from beginner to advanced, companion plants with high gardening difficulty are grown, drive modules available for gardening are increased, and various functions for driving and irrigating the fan motor unit 40 are added. can

또한, 학습 수준 또는 원예 수준 중 어느 하나가 초급인 경우, 인터페이스부(54)는 스위치 모듈(151), 수중 펌프 모터 모듈(152), 전원 공급 모듈(153)의 연결 포트(541)를 연결하고, 스위치 모듈(151)을 통해 수중 펌프 모터 모듈(152)이 구동되어 반려 식물에 급수될 수 있다. 또한, 학습 수준 또는 원예 수준 중 어느 하나가 초급인 경우, 인터페이스부(54)는 스위치 모듈(151), 수중 펌프 모터 모듈(152), 전원 공급 모듈(153)의 연결 포트(541)를 연결하고, 스위치 모듈(151)을 통해 수중 펌프 모터 모듈(152) 및 팬 모터부(40)가 구동되어 수중 펌프 모터 모듈(152)은 반려 식물에 급수될 수 있으며, 팬 모터부(40)의 구동을 통해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서 발생하는 정화된 공비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any one of the learning level or the gardening level is beginner, the interface unit 54 connects the switch module 151,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152, and the connection port 541 of the power supply module 153, and ,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152 may be driven through the switch module 151 to supply water to the companion plant. In addition, if any one of the learning level or the gardening level is beginner, the interface unit 54 connects the switch module 151,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152, and the connection port 541 of the power supply module 153, and ,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152 and the fan motor unit 40 are driven through the switch module 151 so that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152 can be supplied with water to companion plants, and the fan motor unit 40 is driven Through this, purified azeotropes generated from plants planted in pot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원예 수준이 중급, 고급 중 어느 하나인 경우, 학습 수준이 초급이더라도 인터페이스부(54)는 모든 복수의 모듈의 연결 포트(541)를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환경 센싱 모듈(155)에서 감지된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팬 모터부(40)가 구동되거나 토양 습도 센싱 모듈(154)에서 감지된 토양 습도에 기초하여 수중 펌프 모터 모듈(152)이 구동되어 반려 식물에 급수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1) 또는 무선 통신 모듈(156)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팬 모터부(40)가 구동되어 화분의 내부에 있는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수중 펌프 모터 모듈(152)이 구동되어 반려 식물에 급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학습 수준이 상대적으로 초급이더라도 섬세하고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중급 또는 고급 수준의 식물을 보다 용이하고 정교하게 재배할 수 있다. 식물을 보다 용이하고 정교하게 재배함으로써,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서 배출되는 향기, 피톤치드, 수분 등을 팬 모터부(40)의 구동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공기정화 함으로써, 보다 쾌적한 환경을 만들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gardening level is any one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the interface unit 54 may connect the connection ports 541 of all the plurality of modules even if the learning level is beginner. In this case, the fan motor unit 40 is driven based o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ensing modules 155 or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152 based on the soil humidity detected by the soil humidity sensing module 154 . This is driven so that the companion plant can be watered.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51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6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fan motor unit 40 is drive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o remove the purified air inside the pot to the outside. Alternatively,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152 may be driven to supply water to the companion plant. Therefore, even if the user's learning level is relatively beginner,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and precisely cultivate intermediate or advanced level plants that require delicate and continuous attention. By cultivating plants more easily and precisely, fragrance, phytoncide, moisture, etc. emitted from plants planted in pot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fan motor unit 40 to purify the air, thereby creating a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구동 모듈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학습 수준이 고급인 경우, 인터페이스부(54)는 음성 인식 모듈과 제어부(53)의 연결 포트를 연결하고, 제어부(53)는 음성 인식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한다. 한편, 통신부(5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가습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53)는 음성 인식 모듈의 인식 결과 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복수의 동작 모듈 및 팬 모터부(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제어부(53)는 복수의 환경 센싱 모듈(155) 또는 토양 습도 센싱 모듈(154)로부터 획득된 환경 정보에 우선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팬 모터부(40)의 회전 속도를 최저로 낮춰 달라는 요청을 하였으나, 공기 품질 센서의 센싱 결과가 미리 설정된 공기품질보다 현저히 낮을 경우, 제어부(53)는 음성 인식 모듈(미도시)을 통해 수신된 팬 모터부(40)의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화분의 내부에 있는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lurality of driving modules may include a voice recognition module (not shown) for recognizing the user's vo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user's learning level is advanced, the interface unit 54 connects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and the connection port of the control unit 53 , and the control unit 53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to selectivel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51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humidifier from the user terminal 200 . The control unit 53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modules and the fan motor unit 40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or the user input, but the control unit 53 generates a plurality of environment sensing modules ( 155) or the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in preference to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oil humidity sensing module 154 . For example, when the user requests to lower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motor unit 40 to the lowest level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but the sensing result of the air quality sensor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reset air quality, the control unit 53 By generating an operation control signal of the fan motor unit 40 received through a voice recognition module (not shown), a control signal capable of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inside the flowerpot to the outside to purify the air is generated. can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학습 수준이 고급인 경우, 통신부(5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기반으로 한 팬 모터부(40)의 동작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건강 정보는 사용자의 감성 정보, 생체 정보 등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건강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정보는 사용자의 피로도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평균적으로 사용자의 걸음수가 800걸음이나, 현재 획득된 사용자의 걸음수가 1600걸음인 것으로 파악된 경우, 평소에 비해 피로도가 쌓여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피로 회복을 위해,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되는 식물의 향기가 퍼지도록 복수의 식물 중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되는 식물이 식재된 화분의 상부에 구비된 팬 모터부(40)의 동작을 요청할 수 있다. 일예로, 복수의 화분 각각에는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되는 향기가 나는 식물, 두통, 신경안정에 도움이 되는 향기가 나는 식물 등등 서로 상이한 향이 나는 복수의 식물이 화분 내부에 식재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화분의 내부에 식재된 식물 중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기반하여 식물의 향을 보다 멀리 퍼지게 하기 위해 해당 화분의 상부에 구비되는 팬 모터부(40)의 동작을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팬 모터부(40)를 구동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user's learning level is advanced, the communication unit 51 receives the operation request information of the fan motor unit 40 based on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 can For example, the health information may be user's health information deliver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0 , such as emotional information and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For example, the health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user's fatigue leve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step count is 800 steps on average, but the currently acquired user step count is 1600 steps, the user terminal 200 may confirm that fatigue is accumulated compared to usual.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a fan motor unit 40 provided at the top of a pot planted with a plant that helps to recover from fatigue among a plurality of plants so that the fragrance of a plant that helps to recover from fatigue spreads for the user to recover from fatigue. ) can be requested. For example,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lowerpots, a plurality of plants having different scents, such as a plant having a fragrance that helps to recover from fatigue, a plant with a fragrance that helps with headache, and nervous stability, may be planted inside the flowerpot. The user terminal 200 may request the operation of the fan motor unit 40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flowerpot in order to spread the fragrance of the plant further based on the health condition of the user among the plants planted in the plurality of flowerpots. there is. The control unit 140 may drive the fan motor unit 40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51)는 기상 서버(300)로부터 기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기상 정보는 날씨 정보, 구름량 정보, 미세먼지 정보 및 일조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3)는 기상 정보 및 토양 습도 센싱 모듈(154)에서 감지된 토양 습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구동 모듈을 제어하되, 원예 수준에 관계 없이 수중 펌프 모터 모듈(152) 및 전원 공급 모듈(153)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3)는 기상 정보 및 복수의 환경 센싱 모듈에서 감지된 공기오염 농도 수준에 기초하여 팬 모터부(40) 및 복수의 구동 모듈을 제어하되, 원예 수준에 관계 없이 팬 모터부(40) 및 전원 공급 모듈(153)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51 may receive the weather information from the weather server 300 . For example, the weather information may include weather information, cloud amount information, fine dust information, and sunlight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53 controls the plurality of driving modules based on the weather information and the soil humidity sensed by the soil humidity sensing module 154, but regardless of the level of gardening,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152 and the power supply module 153 can be controll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3 controls the fan motor unit 40 and the plurality of driving modules based on the weather information and the air pollution concentration levels sensed by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ensing modules, and the fan motor unit 40 regardless of the level of gardening. ) and the power supply module 153 can be controlled.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내부 환경 정보를 알 수 없고, 원예 수준이 초급 수준이 경우, 관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토양 내 수분이 감소하게 되어 반려 식물이 시들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며, 내부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사용자가 반려 식물에 무관심하더라도 날씨에 따라 비가 내리는 경우에는 반려 식물의 건강이 유지될 수 있으나, 반려 식물을 실내에서 재배하거나, 비가 오지 않고 일조량이 많은 날씨가 유지될 경우에는 반려 식물이 시들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기상 정보와 토양 습도의 상관관계에 의해 반려 식물이 시들기 이전에 반려 식물에 급수되도록 복수의 구동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기상 정보와 복수의 환경 센싱 모듈(155)로부터 획득한 환경 정보의 상관관계에 의해 내부 환경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복수의 구동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3)는 날씨 정보, 구름량 정보 및 일조량 정보를 통해 현재 토양 습도의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고, 위험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면, 원예 수준에 관계 없이 수중 펌프 모터 모듈(152) 및 전원 공급 모듈(153)을 제어하여 반려 식물에 급수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1)는 기상정보 및 토양 습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구동 모듈 및 팬 모터부(40)를 제어한 경우에 대한 동작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동작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반려 식물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user cannot know the in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gardening level is beginner level, irrigation may not be performed properly. If this state continues, the moisture in the soil decreases, which increases the likelihood that the companion plant will wither, making it impossible to maintain a pleasant internal environment. Even if the user is indifferent to the companion plant, if it rains depending on the weather, the health of the companion plant can be maintained, but if the companion plant is grown indoors or if there is a lot of sunlight without rai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mpanion plant will wither. It still exists. Accordingly,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plurality of driving modules to supply water to the companion plant before the companion plant withers due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eather information and the soil humidity. 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plurality of driving modules for purifying air in the internal environment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eather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ensing modules 155 .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53 may calculate the current risk of soil humidity through weather information, cloud amount information and sunlight information, and if the risk level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152 , regardless of the gardening level. And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module 153, it is possible to supply water to the companion plant.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51 may transmit operation information for the case of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driving modules and the fan motor unit 40 to the user terminal 200 based on weather information and soil humidity. The user terminal 200 may output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provide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state of the companion plant.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미도시)는 공기정화 장치(1)를 포함하는 화분에 식재된 식물 및 토양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 및 화분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3)는 센서부(미도시)에서 감지된 토양의 무게 및 광량을 통해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식물의 유형에는 침엽 식물, 활엽 식물, 꽃, 나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53)는 무게 및 광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구동 모듈을 제어하되, 원예 수준에 관계 없이 수중 펌프 모터 모듈(152) 및 전원 공급 모듈(153)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토양의 무게 및 광량을 통해서도 상기 토양 습도의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예시와 같이, 사용자가 반려 식물에 무관심한 경우,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유형에 따른 토양 습도의 위험도에 기초하여 원예 수준에 관계 없이 수중 펌프 모터 모듈(152) 및 전원 공급 모듈(153)을 제어하여 반려 식물에 급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학습 수준이 고급인 경우, 통신부(51)는 토양의 무게 및 광량에 기초하여 복수의 구동 모듈을 제어한 경우에 대한 동작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동작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반려 식물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nsor unit (not shown) includes a weight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of a plant and soil planted in a pot including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 and a light for detecting the amount of light flow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pot. It may include a sensor. The control unit 53 may determine the type of plant planted in the pot through the weight and light amount of the soi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not shown). Illustratively, the types of plants may include coniferous plants, broad-leaved plants, flowers, and trees. The control unit 53 may control the plurality of driving module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weight and the amount of light, but may control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152 and the power supply module 153 regardless of the level of gardenin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risk of the soil humidity through the weight and the amount of light of the soil. Therefore, as in the above example, if the user is indifferent to the companion plant,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152 and the power supply module 153, regardless of the gardening level, based on the risk of soil humidity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 planted in the pot ) can be controlled to water companion plants. In addition, when the user's learning level is advanced, the communication unit 51 may transmit operation information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driving modules to the user terminal 200 based on the weight and light quantity of the soil. The user terminal 200 may output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provide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state of the companion plant.

또한, 센서부(미도시)가 수집한 무게 센서의 센싱 데이터 및 광센서의 센싱 데이터는 통신부(51)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기정화 장치(1)를 포함하는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유형 및 크기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파악한 식물의 유형 및 크기에 기초하여 관수량 및 주기를 연산하여 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학습 수준이 고급인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생성한 제어 신호를 공기정화 장치(1)로 전송하여 공기정화 장치(1)는 제어 신호에 따라 반려 식물에 급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data of the weight sensor and the sensing data of the optical sensor collected by the sensor unit (not shown)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1 . The user terminal 200 may determine the type and size of a plant planted in a pot including the air purifying device 1 based on the received sensing data.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calculate an irrigation amount and cycle based on the identified plant type and siz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accordingly. In addition, when the user's learning level is advanced,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 , and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 may supply water to the companion plan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부(60)는 화분 장착부(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영역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이미지 센서(미도시)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모니터링 영상 정보로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복수개의 이미지 센서(미도시)는 촬영 장치(카메라), CCTV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60)는 시계열적으로 수집되는 모니터링 영상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판단부(7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3)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영상 정보 제공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복수개의 이미지 센서(미도시)로부터 획득되어 저장된 모니터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모니터링 영상 정보를 통신부(51)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monitoring unit 60 is provided in an area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lowerpot mounting unit 10 to store and manage images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image sensors (not shown) as monitoring image information. can The plurality of image sensors (not shown) may include a photographing device (camera), a CCTV device, and the like. The monitoring unit 60 may store monitoring image information collected in time series in a database and provide it to the determination unit 70 . In addition, when a request to provide image information is made from the user terminal 200 , the control unit 53 transmits at least a portion of monitoring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image sensors (not shown) and stored stored monitoring image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1 . I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단부(70)는 모니터링 영상 정보를 고려하여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A, B) 복수의 성장용 화분(C 내지 F)에 식재된 식물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3)는 판단부(7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팬 모터부(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판단부(70)는 식물의 크기, 잎의 크기, 잎의 색 등을 미리 설정하고, 촬영된 반려 식물의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반려 식물의 이미지와 다르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53)에 해당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잎의 색이 초록색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촬영된 반려 식물의 이미지가 시들어 버린 갈색의 잎의 색이 획득되는 경우, 해당 식물이 시들어, 정화된 공기를 배출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제어부(53)는 팬 모터부(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etermination unit 70 determines the state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plurality of planting pots (A, B) and the plurality of growing pots (C to F) in consideration of the monitoring image information. can The control unit 53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an motor unit 40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70 . The determination unit 70 sets the size of the plant, the size of the leaf, the color of the leaf, etc. in advanc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companion plant is different from the image of the companion plant set in advance, it sends the result to the control unit 53 can provide For example, if the preset leaf color is set to green, but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companion plant acquires a withered brown leaf color, it is determined that the plant has withered and cannot discharge purified air. , the control unit 53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an motor unit 40 .

일예로, 판단부(70)는 식물의 성장 속도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식물의 성장 이미지 정보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의 식물 성장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식물의 성장 폭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70)는 토양 습도 센싱 모듈(154) 등에서 측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토양의 무기질 및 수분의 정보와 관련된 식물의 영양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termination unit 70 may determine the growth width of the plant by comparing, for example, the growth image information of the plant and the plant growth image information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in order to determine the growth rate information of the plant.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70 may determine information on the nutritional status of plants related to information on minerals and moisture in the soil based 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oil humidity sensing module 154 , and the lik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단부(70)는 모니터링부(60)에서 획득된 식물의 성장 이미지 정보를 인공지능 기반의 학습 모델에 적용하여 식물의 이상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일예로, 인공지능 기반의 학습 모델은 합성곱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 개발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신경망 체계를 적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etermination unit 70 may diagnose the abnormal state of the plant by applying the growth image information of the plant obtained by the monitoring unit 60 to the AI-based learning model. As an example, the AI-based learning model may be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neural network systems that have been developed or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may be applied.

일예로, 판단부(70)는 소정의 시간 간격(예를 들어, 1시간) 단위로 획득되는 시계열 데이터를 인공지능 기반의 학습 모델에 적용하여 학습시킨 뒤 식물의 성장 이미지 정보를 판독하고 이를 통해 식물의 이상상태를 진단 혹은 예측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70)는 소정의 시간 간격 단위로 획득되는 시계열 데이터인 식물의 성장 이미지 정보와 빛 파장대역 정보 및 식물의 성장 정보를 연계하여 식물 데이터 셋을 생성하고, 이를 인공지능 기반의 학습 모델에 적용하여 식물의 이상상태를 진단 혹은 예측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etermination unit 70 applies time series data acquired in units of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eg, 1 hour) to an AI-based learning model to learn it, then reads plant growth image information,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iagnose or predict the abnormal state of a plant.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70 generates a plant data set by linking plant growth image information, light wavelength band information, and plant growth information, which are time series data acquired in units of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uses this for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earning It can be applied to the model to diagnose or predict the abnormal state of the plant.

판단부(70)는 인공지능 기반의 학습 모델의 출력 결과인 식물의 이상상태 여부를 제어부(53) 및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식물의 이상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 복수의 원예 모듈(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70)는 통신부(51)를 통해 식물의 이상상태 진단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빠르게 식물의 성장을 관리하도록 도울 수 있다. 일예로, 판단부(70)는 사용자 단말(200)로 균류에 의한 병 정보, 원핵 생물에 의한 병, 기생식물과 녹조에 의한 병, 바이러스와 바이로이드에 의한 병, 선충에 의한 병, 원생동물에 의한 병, 비전염성 병(비생물적 원인에 의한 식물병) 및 환경에 의한 병(온도, 수분, 빛, 산소, 양분, 토양의 산도 등을 포함함)을 포함하는 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상상태 정보를 분류하여 식물의 이상상태 진단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unit 70 may provide the output resul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earning model, whether the plant is in an abnormal state, to the control unit 53 and the user terminal 200 . When receiving the abnormal state information of the plant, the controller 16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horticultural modules 55 .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70 can help the user to more quickly manage the growth of the plant by providing the result of diagnosing the abnormal state of the plant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1 . For example, the determination unit 70 is the user terminal 200 for disease information caused by fungi, diseases caused by prokaryotes, diseases caused by parasitic plants and green algae, diseases caused by viruses and viroids, diseases caused by nematodes, and protozoa. Abnormal condition with at least one of diseases including diseases caused by diseases, non-communicable diseases (plant diseases caused by abiotic causes), and diseases caused by the environment (including temperature, moisture, light, oxygen, nutrients, soil acidity, etc.) By classifying th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agnosis result of an abnormal state of a plant.

또한, 판단부(70)는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1)의 일 영역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정보를 고려하여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A, B) 복수의 성장용 화분(C 내지 F)에 식재된 식물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정보는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A, B) 복수의 성장용 화분(C내지 F) 에 식재된 식물 및 토양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 및 화분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70 considers th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provided in an area of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 using the bio-wall for the growth of a plurality of pots (A, B) for planting a plurality of plant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plant planted in the pots (C to F). Th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is a weight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of plants and soil planted in a plurality of planting pots (A, B) and a plurality of growing pots (C to F) and the pots flowing from the top of the pots It may include an optical sensor that detects the amount of light.

또한, 판단부(70)는 실외의 자연광의 파장 성분 및 세기 정보를 고려하여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A, B) 복수의 성장용 화분(C 내지 F)에 식재된 식물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예로, 식물의 성장 상태 정보는 식물의 성장 속도 정보, 식물의 색상 정보, 식물의 영양 상태 정보 및 식물의 크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3)는 판단부(70)의 판단 결과를 고려하여,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70 considers the wavelength component and intensity information of outdoor natural light to determine the state of plants planted in a plurality of planting pots (A, B) and a plurality of growing pots (C to F). can As an example, the information about the growth state of a plan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growth rate of a plant, information about a color of a plant, information about a nutritional state of a plant, information about a size of a plant,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53 considers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70,

또한, 제어부(53)는 판단부(70)에서 판단한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A, B) 복수의 성장용 화분(C 내지 F)에 식재된 식물의 상태를 고려하여 복수의 성장용 화분(C내지 F)과 연결된 원예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원예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53)는 판단부(70)의 판단 결과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A, B) 중 일부가 이상상태로 진단된 경우, 해당 식물 식재용 화분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복수의 성장용 화분(C 내지 F)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복수의 성장용 화분(C 내지 F)과 연결된 원예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원예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3 considers the state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plurality of planting pots (A, B) and the plurality of growing pots (C to F) determined by the determining unit 70, a plurality of growing pots ( C to F) an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gardening modules connected to the gardening modu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determination unit 70, when some of the plurality of plant planting pots (A, B) are diagnosed as abnormal, the control unit 53 has to remove the corresponding plant planting pots, so a plurality of growing pots ( C to F) may selectivel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gardening modul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growing pots (C to F) for promoting the growth of the gardening module.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의 성장 화분 장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growing pot mounting unit of an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a bio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장 화분 장착부(80)는 벽면(2) 및 화분 장착부(10) 사이에 구비되고, 식물을 성장시키기 위한 복수의 성장용 화분(C 내지 F)을 탑재할 수 있다. 성장 화분 장착부(80)는 벽면(2)에 대항하여 배치된 복수의 성장용 화분(C 내지 F)을 탑재할 수 있다. 성장 화분 장착부(80)는 벽면(2) 및 화분 장착부(10) 사이에 구비되어, 화분 장착부(10)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화분을 변경하기 위해 배치할 수 있는 복수의 화분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growth pot mounting unit 80 is provided between the wall surface 2 and the pot mounting unit 10, and a plurality of pots for growth (C to F) for growing plants may be mounted. . The growing pot mounting unit 80 may mount a plurality of pots for growth (C to F) disposed against the wall surface 2 . The growing pot mounting unit 80 is provided between the wall surface 2 and the pot mounting unit 1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pots that can be arranged to change any one potted plant provided in the pot mounting unit 10. .

복수의 성장용 화분(C 내지 F)에는 발아 상태의 식물이 식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성장용 화분(C 내지 F)에는 종자(씨앗) 속에 들어있는 식물이 성장을 시작하는 시점인 발아(germination) 상태의 식물이 식재될 수 있다. 복수의 성장용 화분(C 내지 F)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식물의 씨앗이 포함될 수 있다. 성장 화분 장착부(80) 각각에도 복수의 원예 모듈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53)는 사용자 입력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원예 수준의 판단 결과를 고려하여, 복수의 정상용 화분(C 내지 F)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Plants in a germinated state may be planted in a plurality of pots for growth (C to F).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pots for growth (C to F) may be planted with a plant in a germination state, which is the point at which the plant in the seed (seed) starts to grow. The plurality of growing pots (C to F) may contain seeds of different types of plants. A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growing pot mounting unit 80, and the control unit 53 considers the result of determining the user's learning level and the gardening level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and a plurality of normal potted plants (C to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F).

일예로, 학습 원예 제어 모듈부(50)는 제1성장 화분(C)과 제1사용자 단말을 연계하여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학습 수준 및 원예 수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제1성장화분(C)과 연계된 복수의 원예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원예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1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earning gardening control module unit 50 connects the first growing pot (C) and the first user termi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learning level and a horticultural level provid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 C) may selectively generate a firs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associated with the gardening module.

또한, 학습 원예 제어 모듈부(50)는 제2 성장 화분(D)과 제2사용자 단말을 연계하여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학습 수준 및 원예 수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제2성장 화분(D)과 연계된 복수의 원예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원예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2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의 학습 결과는 제1결과(예를 들어, 원예 수준 및 학습 수준이 초급인 경우)이고, 제2사용자 단말의 학습 결과는 제2결과(예를 들어, 원예 수준은 초급이고, 학습 수준인 고급인 경우) 각각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60)는 복수의 성장용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성장 상태와 관련된 모니터링 영상 정보를 성장 화분과 연계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arning gardening control module 50 connects the second growing pot (D)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learning level and the gardening level provid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second growing pot (D) ) and may selectively generate a secon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gardening module among a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associated with it. The learning result of the first user terminal is the first result (eg, when the gardening level and the learning level are beginner), and the learning result of the second user terminal is the second result (eg, the gardening level is beginner, In the case of advanced learning level), different control signals may be generated corresponding to each. The monitoring unit 60 may provide monitoring ima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growth state of plants planted in a plurality of pots for growth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ssociated with the growing pots.

복수개의 성장 화분(C 내지 F)과 연계된 학습 원예 제어 모듈부(50)의 구동을 달리함으로써, 복수개의 성장 화분(C 내지 F)에 포함된 복수의 식물이 서로 다른 성장 속도를 나타낼 것이며,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보다 빠른 식물의 성장을 위해 아두이노 학습 능력 또는 원예 수준 능력을 높이기 위한 학습을 수행하여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교육에 참여하도록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By varying the driving of the learning gardening control module 50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growing pots (C to F), a plurality of plants included in a plurality of growing pots (C to F) will exhibit different growth rat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timulate the interest of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education by performing learning to increase Arduino learning ability or horticultural level ability for faster plant growth.

성장 화분 장착부(80)를 더 구비함으로써, 화분 장착부(10)에 구비된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에 이상상태 발생(예를 들어, 갈변 현상 등)하였을 경우, 빠르게 대체 가능하다. By further providing the growing pot mounting unit 80 , when an abnormal condition occurs (eg, browning phenomenon, etc.) in a plurality of pots for planting provided in the pot mounting unit 10 , it can be quickly replaced.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flow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briefly reviewed based on the details described above.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11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a method of driving an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a bio-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1에 도시된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의 구동 방법은 앞서 설명된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1)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1)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driving method of the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the bio-wall shown in FIG. 11 may be performed by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 using the bio-wall described above. Therefore, even if omitted below, the description of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 using the bio-wall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driving method of the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the bio-wall.

단계 S110에서, 공기정화 장치(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의 학습 정보 및 원예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n step S110 ,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 may receive the user's learning information and user input information for garden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

단계 S120에서, 공기정화 장치(1)는 사용자 입력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원예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S120,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 may determine the user's learning level and gardening level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단계 S130에서, 공기정화 장치(1)는 식물 식재용 화분 장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원예 모듈(55) 각각과 연결되어 복수의 원예 모듈(55)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공기정화 장치(1)는 연결 포트가 연결된 원예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In step S130, the air purifying device 1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55 provided in the pot device for planting plants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55. In addition, the air purifier 1 may selectivel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rticultural module to which the connection port is connected.

단계 S140에서, 공기정화 장치(1)는 학습 수준 및 원예 수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복수의 원예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원예 모듈과 연결 포트를 제어할 수 있다. In step S140 , the air purifying device 1 may control at least one gardening module and a connection port among a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learning level and a gardening level.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 내지 S140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110 to S14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steps may be changed.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의 구동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of driving an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a bio-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전술한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의 구동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driving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the bio-wall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or application executed by a computer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 공기정화 장치
10: 화분 장착부
20: 구동부
30: 급수부
40: 팬 모터부
50: 학습 원예 제어 모듈부
60: 모니터링부
70: 판단부
80: 성장 화분 장착부
200: 사용자 단말
300: 기상 서버
1: Air purifier
10: pot mounting part
20: drive unit
30: water supply
40: fan motor unit
50: learning gardening control module unit
60: monitoring unit
70: judgment unit
80: growing pot mounting part
200: user terminal
300: weather server

Claims (14)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에 있어서,
벽면에 구비되고, 미리 설정된 복수의 구역별로 식물이 식재된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을 탑재하는 화분 장착부;
상기 구역별로 탑재된 상기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을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에 관수를 제공하는 급수부;
상기 벽면의 일 영역에 구비되는 팬 모터부; 및
상기 벽면의 일 영역에 구비되어 복수의 원예 모듈 각각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학습 원예 제어 모듈부,
를 포함하되,
상기 학습 원예 제어 모듈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학습 정보 및 원예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입력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원예 수준을 판단하는 수준 판단부;
상기 화분 장착부의 일 영역에 구비되고, 복수의 원예 모듈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원예 모듈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학습 수준 및 상기 원예 수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예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원예 모듈과 상기 제어부의 연결 포트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연결된 원예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것인, 공기정화 장치.
In the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a bio wall,
a flowerpot mounting unit provided on a wall surface and for mounting a plurality of plant-planting pots in which plants are plant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eset zones;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plurality of plant pots mounted for each zone;
a water supply unit for providing irrigation to the plurality of plant pots;
a fan motor unit provided in an area of the wall surface; and
A learning gardening control module unit provided in an area of the wall surfac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each of a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including,
The learning gardening control module unit,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user input information for learning information and gardening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a level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user's learning level and a horticultural level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a control unit provided in an area of the flowerpot mounting unit and connected to each of a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and
An interface unit for controlling a connection port of at least one gardening module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and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learning level and the gardening level,
The control unit will selectivel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gardening module connected by the interface unit, the air purific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장착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영역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이미지 센서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모니터링 영상 정보로서 저장하고 관리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 정보 제공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 센서로부터 획득되어 저장된 모니터링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모니터링 영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인, 공기정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provided in an area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lowerpot mount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monitoring unit that stores and manages images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image sensors as monitoring imag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is
When a request to provide image information is made from the user terminal, the monitoring image informa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monitoring image information acquired and stored from the plurality of image sensors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및 상기 화분 장착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식물을 성장시키 위한 복수의 성장용 화분을 탑재하는 성장 화분 장착부; 및
상기 모니터링 영상 정보를 고려하여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 및 상기 복수의 성장용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상기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의 판단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성장용 화분과 연결된 원예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원예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것인, 공기정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growth pot mount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wall surface and the pot mounting unit and mounting a plurality of pots for growing plants; and
A determination unit for judging the state of a plurality of plant pots and plants planted in the plurality of pots for growth in consideration of the monitoring image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is
In consideration o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lurality of planting pot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to selectivel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gardening module among the plurality of growing pots and connected gardening modules, air purific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원예 상식을 포함하는 원예 정보 및 아두이노 모듈 상식을 포함하는 학습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데이터 처리된 상기 사용자 입력의 정보를 상기 통신부로 송신하고,
상기 수준 판단부는,
상기 응답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원예 수준 및 상기 학습 수준을 각각 판단하는 것인, 공기정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is
Receives the user input as a response to learning information including gardening information and Arduino module common sense, including gardening common sense, and transmits the user input information in which the user input is data-processed to the communication unit,
The level determination unit,
Based on the response, the air purifying device that determines the gardening level and the learning level as any one of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according to a preset standard, respectivel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예 모듈은,
스위치 모듈, 수중 펌프 모터 모듈, 토양 습도 센싱 모듈, 전원 공급 모듈, 복수의 환경 센싱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아두이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환경 센싱 모듈은,
공기품질 센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대기압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공기정화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a switch module, a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a soil humidity sensing module, a power supply module, a plurality of environmental sensing modules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control unit includes an Arduino module,
The plurality of environment sensing modules,
An air quality sensor, a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t least one of an atmospheric pressure sensor, the air purifying device compri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기판 유닛을 통해 연결된 상기 아두이노 모듈과 상기 복수의 원예 모듈 각각의 연결 포트의 연결 및 차단을 상기 학습 수준 및 상기 원예 수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제어하는 것인, 공기정화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nterface unit,
The connection and blocking of the connection port of each of the Arduino module and the plurality of horticultural modules connected through the substrate unit will be controll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learning level and the horticultural level, the air purifying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학습 수준 및 상기 원예 수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예 모듈의 연결 포트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다르게 설정하는 것인, 공기정화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interface unit,
According to the learning level and the gardening level,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ports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is selectively set differently, the air purify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학습 수준이 고급이고 상기 원예 수준이 초급인 경우, 초급 원예 수준에 대응하는 식물을 이용하여 공기정화를 위한 상기 복수의 원예 모듈의 유형 및 연결되는 연결 포트의 수를 상기 학습 수준을 고려하여 결정하고,
상기 학습 수준이 초급이고 상기 원예 수준이 고급인 경우, 고급 원예 수준에 대응하는 식물을 이용하여 공기정화를 위한 상기 복수의 원예 모듈의 유형 및 연결되는 연결 포트의 수를 상기 학습 수준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인, 공기정화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terface unit,
When the learning level is advanced and the gardening level is beginner, the types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for air purification and the number of connected ports are determined by using a plant corresponding to the beginner gardening level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level do,
When the learning level is beginner and the gardening level is advanced, the types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for air purification and the number of connected connection ports for air purification using a plant corresponding to the advanced gardening level a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level What it does is an air purifi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학습 수준 또는 상기 원예 수준이 초급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스위치 모듈, 상기 수중 펌프 모터 모듈, 상기 전원 공급 모듈의 연결 포트를 연결하고,
상기 학습 수준 또는 상기 원예 수준이 중급, 고급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모든 복수의 모듈의 연결 포트를 연결하는 것인, 공기정화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interface unit,
When the learning level or the gardening level is beginner, the interface unit connects the switch module,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and the connection port of the power supply module,
When the learning level or the gardening level is any one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the interface unit will connect the connection ports of all the plurality of modules, the air purification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학습 수준이 초급인 경우, 상기 스위치 모듈을 통해 상기 수중 펌프 모터 모듈이 구동되어 상기 식물 식재용 화분에 식재된 식재 식물에 급수되고,
상기 학습 수준이 중급인 경우, 상기 토양 습도 센싱 모듈에서 감지된 토양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수중 펌프 모터 모듈이 구동되어 상기 식재 식물에 급수되고,
상기 학습 수준이 고급인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중 펌프 모터 모듈이 구동되어 상기 식재 식물에 급수되는 것인, 공기정화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interface unit,
When the learning level is beginner,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is driven through the switch module and water is supplied to the planting plants planted in the planting pots,
When the learning level is intermediate,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is driven based on the soil humidity sensed by the soil humidity sensing module to supply water to the planted plants,
When the learning level is advanced,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is drive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o supply water to the planted plants, the air purification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기상 서버로부터 기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상 정보 및 토양 습도 센싱 모듈에서 감지된 토양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원예 모듈을 제어하되, 상기 원예 수준에 관계 없이 상기 수중 펌프 모터 모듈 및 상기 전원 공급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기상 정보 및 토양 습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원예 모듈을 제어한 경우에 대한 동작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공기정화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weather information from the weather serv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based on the weather information and the soil humidity sensed by the soil humidity sensing module, and controls the submersible pump motor module and the power supply module regardless of the gardening level,
The communication unit, on the basis of the weather information and soil humidity to transmit the operation information for the case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to the user terminal, the air purify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구역별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관수 주기에 따라 급수량이 설정된 급수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식물의 관수 주기에 따른 급수량에 대응하여 급수를 제공 받도록 상기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을 이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공기정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 a watering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in which the watering amount is set according to the watering cycle of plants planted in pots for each area,
The air purifying apparatus that receives, from the user terminal, a driving signal for moving the plurality of plant pots to receive water supply in response to the watering amount according to the watering cycle of the plant.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학습 정보 및 원예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입력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원예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
(c) 식물 식재용 화분 장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원예 모듈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원예 모듈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학습 수준 및 상기 원예 수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예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원예 모듈과 연결 포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연결 포트가 연결된 원예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되,
상기 바이오 월을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는,
벽면에 구비되고, 미리 설정된 복수의 구역별로 식물이 식재된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을 탑재하는 화분 장착부;
상기 구역별로 탑재된 상기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을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복수의 식물 식재용 화분에 관수를 제공하는 급수부;
상기 벽면의 일 영역에 구비되는 팬 모터부; 및
상기 벽면의 일 영역에 구비되어 복수의 원예 모듈 각각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학습 원예 제어 모듈부,
를 포함하는 것인, 공기정화 장치의 구동 방법.
In the driving method of an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a bio-wall,
(a) receiving information of a user input for learning information and gardening information of a user from a user terminal;
(b) determining a user's learning level and gardening level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c)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by being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provided in the planting pot device; and
(d) controlling at least one gardening module and a connection port of the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learning level and the gardening level,
The step (c) selectively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rticultural module to which the connection port is connected,
The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the bio-wall,
a flowerpot mounting unit provided on a wall surface and for mounting a plurality of plant-planting pots in which plants are plant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eset zones;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plurality of plant pots mounted for each zone;
a water supply unit for providing irrigation to the plurality of plant pots;
a fan motor unit provided in an area of the wall surface; and
A learning gardening control module unit provided in an area of the wall surfac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each of a plurality of gardening modules;
A method of driving an air purifying device comprising a.
제13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laim 13 on a computer.
KR1020200149460A 2020-11-10 2020-11-10 Air purification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biowall KR1025146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460A KR102514621B1 (en) 2020-11-10 2020-11-10 Air purification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biowall
PCT/KR2021/016218 WO2022103113A1 (en) 2020-11-10 2021-11-09 Plant cultivato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460A KR102514621B1 (en) 2020-11-10 2020-11-10 Air purification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biow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511A true KR20220063511A (en) 2022-05-17
KR102514621B1 KR102514621B1 (en) 2023-03-24

Family

ID=81803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460A KR102514621B1 (en) 2020-11-10 2020-11-10 Air purification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bio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62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873A (en) *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Air Quality Management Equipment by Vegetation
KR20200006889A (en) * 2018-07-11 2020-01-2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Companion plant irr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companion plant irrigation device
KR20200064784A (en) * 2018-11-29 2020-06-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acade greener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873A (en) *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Air Quality Management Equipment by Vegetation
KR20200006889A (en) * 2018-07-11 2020-01-2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Companion plant irr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companion plant irrigation device
KR20200064784A (en) * 2018-11-29 2020-06-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acade greener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621B1 (en)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ng et al. The basic roles of indoor plants in human health and comfort
RU2708795C2 (en) Plant cultivation system in room in conditions imitating natural lighting
US11457578B2 (en) Grow system
Torpy et al. Profiling indoor plants for the amelioration of high CO2 concentrations
Al-Kodmany The vertical farm: Exploring applications for peri-urban areas
Gubb et al. Interaction between plant species and substrate type in the removal of CO 2 indoors
JP3180721U (en) Hydroponics liquid supply equipment
Ezzahoui et al. The Aquaponic Ecosystem Using IoT and IA Solutions
KR102514621B1 (en) Air purification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biowall
CN115471164A (en) Plant seed cultivation system and method
KR102163470B1 (en) Humidifier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062322B1 (en) Air purifier using terrarium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N108876681A (en) A kind of intelligence control plant growth teaching platform
US20240023500A1 (en) A system for indoor cultivation of plants with simulated natural lighting conditions
CN108763854A (en) A kind of intelligent biological subtracts carbon air purification and ornamental system
Breton Underground vegetal scenography: Benefits and installation conditions
Choi The Selection of Plants for indoor garden and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effects
Rajkhowa Establishing and improving control stratregies that sustain plant health in a botanical biofilter
KR102480639B1 (en) Pot apparatus for planting with a watering reminder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RASIDI APPLICATION OF INTERNET OF THINGS (IOT) ON CONTROLLED VERTICAL AGRICULTURE
CN210511970U (en) Intelligent bionic circulating air purification system
KR102480638B1 (en) Plant grow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ohitha et al. Automation in vertical gardening using LABVIEW
REBBOUH et al. Design of automatic irrigation system for greenhouse based on solar energy
Bendanillo A REVIEW OF THE INTEGRATION OF HYDROPONIC AGRICULTURAL GARDENING IN URBAN AREAS AND CONSTRUCTION TECHNOLOGY TOWARDS SUSTAIN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