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471A -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471A
KR20220063471A KR1020200149349A KR20200149349A KR20220063471A KR 20220063471 A KR20220063471 A KR 20220063471A KR 1020200149349 A KR1020200149349 A KR 1020200149349A KR 20200149349 A KR20200149349 A KR 20200149349A KR 20220063471 A KR20220063471 A KR 20220063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spect ratio
terminal device
video data
data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규
문소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149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3471A/ko
Publication of KR20220063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471A/ko
Priority to KR1020220096595A priority patent/KR20220113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clients with a lower screen resolution
    • H04N21/23437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clients with a lower screen resolution for performing aspect ratio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for generating different ver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04N21/44027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for performing aspect ratio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for generating different ver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7Content authoring involving timestamps for synchronizing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 장치에서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컨텐츠 시청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컨텐츠 시청 신호에 대응하여 외부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 컨텐츠 요청 신호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수신 받는 단계 - 각 동영상 데이터 세트는 상기 컨텐츠를 서로 상이한 화면 비율에 대응하여 구성됨; 상기 단말 장치의 제1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제1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 세트 중 상기 제1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제1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단말 장치{METHOD OF PROVDING CONTENTS AND TERMINAL DEVICE}
본 개시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말 장치의 가로-세로 비율이 변경됨에 따라 변경된 디스플레이의 세로 또는 가로 비율에 근접한 영상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화기와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시청할 때, 사용자는 단말기를 회전하여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비율이 16:9 또는 16:10인 디스플레이를 통해 가로 방향으로 컨텐츠를 시청하는 도중 단말기를 세로로 회전하여 컨텐츠를 시청하더라도 컨텐츠가 가로-세로의 비율을 유지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면 도 1a와 같이 디스플레이 아래 공간이 비거나, 도 1b와 같이 컨텐츠의 일부가 잘리게 된다. 마찬가지로 세로 방향으로 컨텐츠를 시청하는 도중 단말기를 가로로 회전하여 컨텐츠를 시청하더라도 컨텐츠가 가로-세로의 비율을 유지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면 컨텐츠 좌우 공간이 비거나, 영상의 일부가 잘리게 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704120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화면 비율이 변경됨에 따라 변경된 화면 비율에 해당하거나 근접한 영상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에서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컨텐츠 시청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컨텐츠 시청 신호에 대응하여 외부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 컨텐츠 요청 신호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복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수신 받되, 각 동영상 데이터 세트는 서로 상이한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의 제1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제1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 중 상기 제1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제1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제2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이벤트를 수신하되, 상기 제2 화면 비율과 상기 제1 화면 비율은 상이한 단계; 상기 제2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 중 상기 제2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제2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제2 화면 비율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후에, 상기 단말 장치의 화면이 회전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제공된 상기 컨텐츠의 종료 시점과 상기 제2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의 시작 시점을 일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와 상기 제2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는 동영상 데이터 세트에 삽입된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동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동영상 데이터 세트 각각은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동기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와 상기 제2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의 일부가 선택되었다는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일부가 선택되었다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일부를 상기 제2 화면 비율에 맞추어 상기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일부가 선택되었다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일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컨텐츠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는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외부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스토리지 - 각 동영상 데이터 세트는 상기 컨텐츠를 서로 상이한 화면 비율에 대응하여 구성됨; 및 상기 통신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스토리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컨텐츠 시청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것에 대응하여 외부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 컨텐츠 요청 신호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 장치의 제1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제1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 이벤트를 수신받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 세트 중 상기 제1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제1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선택하고, 상기 제1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 장치에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 화면 비율과 상이한 제2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제2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상기 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 중에서 선택하거나,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상기 제2 화면 비율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종료하고; 및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제공된 상기 컨텐츠의 종료 시점과 상기 제2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의 시작 시점을 일치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와 상기 제2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동영상 데이터 세트에 삽입된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동기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데이터 세트 각각은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동기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와 상기 제2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기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의 일부가 선택되었다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일부를 상기 제1 화면 비율과 상이한 제2 화면 비율에 맞추어, 상기 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 중 상기 제2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제2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일부가 선택되었다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일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컨텐츠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일부를 상기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 비율에 맞춘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수신하도록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이벤트 또는 제2이벤트는, 상기 센서가 상기 단말 장치의 화면이 회전하는 것, 사용자와 상기 단말 장치의 상대적인 위치 변경에 의해 일어나는 것, 사용자의 얼굴 방향이 상기 단말 장치와 어떤 방향을 이루는지 감지하는 것, 상기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크기나 모양이 물리적으로 변경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것 대응하여 발생한다.
가로 디스플레이에서 세로 영상을, 세로 디스플레이에서 가로 영상을 재생하는 것과 같이 단말 장치의 화면 비율과 실제 영상의 비율에 많은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에 영상을 제외한 공백이 생기거나 영상의 일부가 잘리는 등 단말 장치에서 온전한 영상을 보여주는 것이 어려웠으나, 디스플레이의 화면 비율에 적합한 영상을 자동으로 선택해 보여주거나, 화면 비율에 맞게 여러 영상을 동시에 보여주어 디스플레이 화면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a 및 1b는 기존 단말 장치의 컨텐츠 제공방법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비율에 따른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의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200)는 프로세서(202), 스토리지(204), 센서(206), 디스플레이(208) 및 통신 모듈(210)을 포함한다. 단말 장치(200)는 휴대용 단말기, 휴대용 전화기, 태블릿 PC, TV 가운데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202)는 단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디스플레이(208)가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프로세서(202)는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208)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종료하고 디스플레이(208)에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벤트는 디스플레이(208)의 회전을 감지하는 이벤트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이벤트이거나 사용자 입력 없이 프로세서(202)가 기 설정된 조건을 감지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벤트로는 기 설정된 영역에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는 이벤트, 센서(206)에 의해 사용자 움직임이나 음성이 감지되는 이벤트, 디스플레이(208)에 사용자 터치가 입력되는 이벤트, 특정 모드 (예를 들어, 취침 모드) 동작 시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이벤트,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이벤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스토리지(204)는 단말 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모듈 등을 저장한다. 프로세서(202)는 스토리지(204)에 액세스하여 스토리지(204)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세서(202)는 스토리지(204)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스토리지(204)에 저장된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스토리지(204)는 외부 서버로부터 통신 모듈(210)을 통해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할 수 있다.
센서(206)는 단말 장치(200) 또는 사용자의 이벤트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센서(206)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음성 감지 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 광 감지 센서, 마그네틱 센서, 근접 센서, 각도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206)는 사용자가 시정하는 디스플레이(208)의 화면 비율이 변경되어야 하는 것을 감지하여 프로세서(202)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면 비율의 변경은 사용자와 단말 장치(200)의 상대적인 위치 변경에 의해 일어나는 변경일 수 있다. 센서(206)는 디스플레이(208)의 방향이 가로에서 세로로 또는 세로에서 가로로 변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프로세서(202)에 전달할 수 있다. 센서(206)는 사용자의 얼굴 방향이 디스플레이(208)와 어떤 방향을 이루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208)의 방향 변화없이 사용자의 얼굴 방향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208)의 화면 비율이 변경되어야 한다고 인식할 수 있다. 또, 센서(206)는 사용자의 음성이나 움직임으로부터 디스플레이(208)의 화면 비율을 변경할 것을 요청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208)는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208)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D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208)는 터치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터치부를 통해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8)는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08)는 물리적으로 화면 비율이 변형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08)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패널, 확장가능한(extendable) 디스플레이 패널,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역 크기나 모양이 물리적으로 변경되는 경우, 화면 비율이 변경되고, 센서(206)는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206)는 프로세서(202)와 작동적으로 결합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센서(206)는 변형가능한 디스플레이(208)의 표시가능(displayable) 영역의 크기를 나타내거나 식별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거나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206)는, 변형가능한 디스플레이(208)의 전체 영역(entire area) 내에서 표시가능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거나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가능 영역은, 외부에 노출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가능 영역은, 상기 전체 영역 중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출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가능한 디스플레이(208)의 전체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라인들을 세트(set)들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세트들 각각을 하나의 단위로 지정하여 표시가능 영역의 변화를 감지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두루마리 형태로 말리거나 펼쳐질 수 있다. 두루마리 형태로 말리거나 펼쳐지는 경우 디스플레이의 화면 비율이 변경된다. 센서(206)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말린 영역과 펼쳐진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감지를 하고 감지된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06)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외곽(edge)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가 권취시 곡률에 따라 저항값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저항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말리거나 펼쳐지는 경우 변화하는 저항을 통해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화면 비율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두개의 하우징에 형성된 디스플레이가 펼쳐지는 경우 화면 비율이 변경될 수 있다. 센서(206)를 이용해 하우징 사이의 각도 변화를 감지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가 펼쳐지는 경우 화면 비율이 변경됨을 감지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0)은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 모듈(210)은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5G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또한, 통신 모듈(210)은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비율에 따른 영상을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스는 단말 장치(200)가 컨텐츠 제공 서버(350)로부터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단말 장치(200)의 화면 비율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제공한다. 이하의 프로세스의 각 단계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단계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도 2의 단말 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35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단말 장치(200)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 종래 방송국이나 통신회사에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용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를 시청 요청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의 시청 요청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350)로 사용자가 시청하기 원하는 컨텐츠 정보를 송신한다(S302). 컨텐츠 정보에는 단말 장치(200)의 화면 비율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시청 요청은 단말 장치(200)에 저장된 영상 플레이어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영상 플레이어가 실행되어,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프로세스가 프로세서(20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350)는 컨텐츠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정보와 관련된 화면 비율이 다른 복수의 영상 데이터 세트를 단말 장치(200)에 송신한다(S306). 복수의 영상 데이터 세트를 단말 장치(200)에 송신하기 전에, 컨텐츠 제공 서버(350)는 화면 비율이 다른 복수의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준비할 수 있다(S304). 예를 들어, 동일한 동영상 컨텐츠 각각이 다른 화면 비율을 갖도록 준비할 수 있다. 복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는 단말 장치(200)의 가로 화면 비율과 세로 화면 비율에 적합한 화면 비율로 제공하도록 준비될 수 있다. 또, 복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는 사용자가 지정한 화면 비율로 제공하도록 준비될 수 있다. 또 복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는 컨텐츠 전체에서 일부만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일부가 단말 장치(200)의 가로 화면 비율 또는 세로 화면 비율에 맞도록 조정된 데이터 세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면 비율이 다른 복수의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는 단말 장치(200)가 컨텐츠 정보를 송신하기 이전에 준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서버(350)은 다양한 화면 비율을 갖는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미리 다양한 단말 장치(200)의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다양한 비율의 동영상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영상 데이터 세트는 VOD처럼 사전에 준비될 수 있고, 정해진 규격에 따라 실시간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동영상 데이터 세트는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분할된 세그먼트(예를 들어, TS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는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세그먼트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 제공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 포맷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복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단말 장치(200)의 화면 비율이 검출된다(S308). 일 실시예에서, 화면 비율의 검출은 사용자와 단말 장치(200)의 상대적인 위치 변경에 의해 사용자가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를 주시하는 방향이 변경됨을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가 회전되거나, 사용자가 앉거나 선 상태에서 옆으로 누운 경우, 단말 장치(200)의 화면 비율이 변경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면 비율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 시청 도중 원하는 인물이나 장면을 선택하여 단말 장치(200)의 화면에 원하는 인물이나 장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S312). 화면 비율의 검출은 센서(206)가 수행하여 프로세서(202)로 이벤트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화면 비율 검출 결과에 대응하여, 복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 중 검출된 화면 비율에 해당하는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선택하여 화면 비율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제공한다(S310). 복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가 단말 장치(20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단말 장치(200)는 컨텐츠 제공 서버(350)와 통신하지 않고, 단말 장치(200)에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 세트 중 적합한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선택하고 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화면 비율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화면 비율에 적합한 동영상 세트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 비율을 유지하는 경우 전체 화면을 이용하지 못하거나(도 1a 참조) 영상의 일부가 잘리는(도 1b 참조) 현상이 있을 수 있다. 또는, 단순히 원하는 인물이나 장면을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선택하여 확대하는 경우 하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로부터 단순 확대하기 때문에 화질이 열화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와 같이 화면 비율이나 선택한 인물 또는 장면들이 각각 화면 비율에 맞게 미리 복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화면 비율에 맞는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전체 화면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컨텐츠를 시청하는 도중 컨텐츠의 일부분을 선택할 수 있다(S312).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 세트 중 화면 비율에 적합한 동영상 데이터 세트가 없는 경우, 단말 장치(200)는 선택된 컨텐츠의 일부분에 관한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350)에 송신할 수 있다(S314). 일 실시예에서,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 세트 중 화면 비율에 적합한 동영상 데이터 세트가 있어도, 사용자의 선호도에 관한 통계를 위해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350)에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350)는 선택된 컨텐츠의 일부분을 디스플레이의 화면 비율에 맞추어 새로운 동영상 데이터 세트 준비할 수 있다(S316). 예를 들어, 아이돌의 공연 영상을 시청하던 도중 사용자는 특정 인물(들)을 선택할 수 있고, 컨텐츠 제공 서버(350)는 도 5와 같이 선택된 인물 중심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화면 비율에 적합하게 준비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350)는 준비한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단말 장치(200)에 송신한다(S318). 단말 장치(200)는 화면 비율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208)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320).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장치(200)의 화면 비율이 변경됨에 따라, 단말 장치의 화면 비율을 검출하는 단계(S308)이 반복 수행되고, 이어서 화면 비율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S310 도는 S32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화면 비율 변경 전과 변경 후에 제공되는 동영상은 시간상 동기되어 끊김없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경우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314), 새로운 동영상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S316), 및 새로운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송신하는 단계(S318)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동영상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동영상의 배치는 도 6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의 각 단계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단계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도 2의 단말 장치(200)는 도 4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단말 장치(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텐츠 시청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S402).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컨텐츠 시청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시청을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동작에 의해 단말 장치는 컨텐츠 시청 요청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컨텐츠 제공 서버(350)에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S404).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요청 메시지는 컨텐츠 정보, 단말 장치의 화면 비율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 사용자 인증 정보, 사용자의 화면 비율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수 있다. 사용자의 화면 비율 선호도는 단말 장치의 화면 비율이 변화하였을 때,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 정보(예를 들어, 인물, 장면), 사용자가 선호하는 화면 비율, 사용자가 시청한 컨텐츠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화면 비율 선호도는 단말 장치의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컨텐츠 제공 서버(350)로부터 복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수신한다(S406). 각 동영상 데이터 세트는 다른 화면 비율은 갖되 동일한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동영상 데이터 세트는 동일한 컨텐츠를 다른 화면 비율로 구성된 동영상 데이터 세트이거나, 하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다양한 화면 비율로 구성된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동영상 데이터 세트는 복수의 인물이 등장하는 컨텐츠를 단말 장치의 가로 비율에 맞추어 준비한 동영상 데이터 세트 및 복수의 인물 중 한 명 이상이 등장하는 컨텐츠를 단말 장치의 세로 비율에 맞추어 준비한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각 동영상 데이터 세트에 대응하는 컨텐츠들은 화면 비율이 상이하나 모두 동일한 하나의 컨텐츠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동영상 데이터 세트는 사용자 선호도를 반영하여 준비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단말 장치(200)의 제1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이벤트를 수신한다(S408). 일 실시예에서,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이벤트는 사용자가 단말 장치의 화면을 어떤 방향으로 보는지에 기초하여 발생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 장치의 화면을 가로로 볼지 세로로 볼지에 따라,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이벤트가 결정될 수 있다. 제1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이벤트는 단말 장치의 화면 비율의 변경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가 회전되거나, 사용자가 앉거나 선 상태에서 옆으로 누운 경우, 단말 장치의 화면 비율이 변경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면 비율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 시청 도중 원하는 인물이나 장면을 선택하여 단말 장치의 화면에 원하는 인물이나 장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화면 비율의 검출은 단말 장치의 센서가 감지하여 프로세서로 이벤트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제1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복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 중 제1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제1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선택하여 컨텐츠를 제1 화면 비율로 제공할 수 있다(S410). 복수의 데이터 세트가 기 저장되어 있으므로, 컨텐츠 제공 서버와 부가적인 통신 없이 단말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고 디스플레이 화면 비율에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단말 장치의 제2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이벤트를 수신한다(S412). 일 실시예에서,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이벤트는 사용자가 단말 장치의 화면을 어떤 방향으로 보는지에 기초하여 발생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 장치의 화면을 가로로 볼지 세로로 볼지에 따라,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이벤트가 결정될 수 있다. 제2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이벤트는 단말 장치의 화면 비율의 변경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가 회전되거나, 사용자가 앉거나 선 상태에서 옆으로 누운 경우, 단말 장치의 화면 비율이 변경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이벤트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시청하는 도중 컨텐츠의 일부분을 선택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 시청 도중 원하는 인물이나 장면을 선택하여 단말 장치의 화면에 원하는 인물이나 장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돌의 공연 영상을 시청하던 도중 사용자는 특정 인물(들)을 선택할 수 있다. 화면 비율의 검출은 단말 장치의 센서가 감지하여 프로세서로 이벤트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제2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복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 중 제2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제2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선택하여 제2 화면 비율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S414). 복수의 데이터 세트가 기 저장되어 있으므로, 컨텐츠 제공 서버와 부가적인 통신 없이 단말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비율에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기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 세트에 원하는 화면 비율의 컨텐츠에 해당하는 동영상 데이터 세트가 없는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에 원하는 화면 비율의 컨텐츠에 해당하는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요청할 수 있다.
제2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제공되는 컨텐츠와 제1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는 제공되는 컨텐츠는 시간적으로 동기가 되어 사용자는 시각적/청각적으로 끊김없이 동일한 컨텐츠에서 기인한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화면 비율로 제공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종료하고 제1 화면 비율로 제공된 컨텐츠의 종료 시점과 제2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컨텐츠의 시작 시점을 일치시켜 제공할 수 있다. 제1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컨텐츠와 상기 제2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컨텐츠는 동영상 데이터 세트에 삽입된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동기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영상 데이터 세트 각각은 오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와 동기 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오디오 데이터는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되어 전달되거나, 오디오 데이터만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컨텐츠와 상기 제2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컨텐츠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기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컨텐츠와 상기 제2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컨텐츠는 세계협정시(Universal Time Coordinated, UTC)에 기초하여 동기될 수 있다. 각 컨텐츠의 시작과 재생시간은 별도로 전달되거나 컨텐츠 내부에 저장된 메타데이터 일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타임 프로토콜(NTP)를 사용하여 동기되거나, 컨텐츠 재생 시점부터 상대 시간 개념으로 동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가 회전하는 경우, 하나의 화면에 복수개의 영상을 보여줄 수 있다. 복수개의 영상은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200)가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경우,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확장되거나 축소될 때, 변화하는 화면 비율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 (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단말 장치의 화면 비율이 변경됨에 따라 변경된 화면 비율에 해당하거나 근접한 영상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전체 화면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200: 단말 장치 202: 프로세서
204: 스토리지 206: 센서
208: 디스플레이 208: 통신 모듈

Claims (16)

  1. 단말 장치에서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컨텐츠 시청 신호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컨텐츠 시청 신호에 대응하여 외부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 컨텐츠 요청 신호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수신 받는 단계 - 각 동영상 데이터 세트는 상기 컨텐츠를 서로 상이한 화면 비율에 대응하여 구성됨;
    상기 단말 장치의 제1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제1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 세트 중 상기 제1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제1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 화면 비율과 상이한 제2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제2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상기 기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 중에서 선택하거나,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상기 제2 화면 비율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제공된 상기 컨텐츠의 종료 시점과 상기 제2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의 시작 시점을 일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와 상기 제2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 세트에 삽입된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동기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데이터 세트 각각은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동기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와 상기 제2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기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의 일부가 선택되었다는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일부가 선택되었다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일부를 상기 제1 화면 비율과 상이한 제2 화면 비율에 맞추어, 상기 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 중 상기 제2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제2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가 선택되었다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일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컨텐츠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일부를 상기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 비율에 맞춘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벤트 또는 제2 이벤트는,
    상기 단말 장치의 화면이 회전하는 것,
    사용자와 상기 단말 장치의 상대적인 위치 변경에 의해 일어나는 것,
    사용자의 얼굴 방향이 상기 단말 장치와 어떤 방향을 이루는지 감지하는 것,
    상기 단말 장치의 화면 크기나 모양이 물리적으로 변경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9. 단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외부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스토리지 - 각 동영상 데이터 세트는 상기 컨텐츠를 서로 상이한 화면 비율에 대응하여 구성됨; 및
    상기 통신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스토리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로,
    상기 프로세서는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컨텐츠 시청 신호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것에 대응하여 외부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 컨텐츠 요청 신호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 장치의 제1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제1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 이벤트를 수신받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 세트 중 상기 제1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제1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선택하고, 상기 제1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 장치에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 화면 비율과 상이한 제2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제2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상기 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 중에서 선택하거나,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상기 제2 화면 비율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종료하고; 및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제공된 상기 컨텐츠의 종료 시점과 상기 제2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의 시작 시점을 일치시키도록 구성된, 단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와 상기 제2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동영상 데이터 세트에 삽입된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동기시키도록 구성된, 단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데이터 세트 각각은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동기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와 상기 제2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기시키도록 구성된, 단말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 화면 비율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의 일부가 선택되었다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일부를 상기 제1 화면 비율과 상이한 제2 화면 비율에 맞추어, 상기 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데이터 세트 중 상기 제2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제2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일부가 선택되었다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일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컨텐츠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일부를 상기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 비율에 맞춘 동영상 데이터 세트를 수신하도록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치.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이벤트 또는 제2이벤트는, 상기 센서가
    상기 디스플레이가 회전하는 것,
    사용자와 상기 단말 장치의 상대적인 위치 변경에 의해 일어나는 것,
    사용자의 얼굴 방향이 상기 단말 장치와 어떤 방향을 이루는지 감지하는 것,
    상기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크기나 모양이 물리적으로 변경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것 대응하여 발생하는, 단말 장치.
KR1020200149349A 2020-11-10 2020-11-10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단말 장치 KR2022006347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349A KR20220063471A (ko) 2020-11-10 2020-11-10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단말 장치
KR1020220096595A KR20220113332A (ko) 2020-11-10 2022-08-03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349A KR20220063471A (ko) 2020-11-10 2020-11-10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단말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595A Division KR20220113332A (ko) 2020-11-10 2022-08-03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471A true KR20220063471A (ko) 2022-05-17

Family

ID=817995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349A KR20220063471A (ko) 2020-11-10 2020-11-10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단말 장치
KR1020220096595A KR20220113332A (ko) 2020-11-10 2022-08-03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단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595A KR20220113332A (ko) 2020-11-10 2022-08-03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6347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120B1 (ko) 2004-12-27 2007-04-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120B1 (ko) 2004-12-27 2007-04-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332A (ko) 2022-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37165B (zh) 一种显示方法及装置
EP4207777A1 (en) Application interface display method under multi-window mirroring scenario, and electronic device
US10057317B2 (en) Sink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628744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010510B (zh) 一种拍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17201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irecting content based on gestures
EP3148161B1 (en) Message transmission method, message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001922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8761590B2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multiplayer gam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678705B2 (en) Displaying information on wearable devices
US201500675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content using electronic devices
KR20120116613A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방법
CN111866433B (zh) 视频源切换方法、播放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2245362B1 (ko)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 간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30107274A (ko)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982079B2 (ja) 画像伝送の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60050449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005438B (zh) 视频播放方法及装置
CN114286165A (zh) 一种显示设备、移动终端及投屏数据传输方法
KR2018005747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201600608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N111510757A (zh) 一种共享媒体数据流的方法、装置以及系统
CN114286152A (zh) 显示设备、通信终端及投屏画面动态显示方法
EP3035670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content output of display apparatus
KR20170009087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146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816

Effective date: 2022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