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389A - Gasification apparatus and system - Google Patents

Gasification apparatus and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389A
KR20220063389A KR1020200149172A KR20200149172A KR20220063389A KR 20220063389 A KR20220063389 A KR 20220063389A KR 1020200149172 A KR1020200149172 A KR 1020200149172A KR 20200149172 A KR20200149172 A KR 20200149172A KR 20220063389 A KR20220063389 A KR 20220063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air
biomass
control uni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1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6768B1 (en
Inventor
박제갑
박부개
Original Assignee
해표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표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표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9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768B1/en
Publication of KR20220063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3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7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10J3/723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gasification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G05B11/36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with provision for obtain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e.g. 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 G05B11/42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with provision for obtain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e.g. 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for obtaining a characteristic which is both proportional and time-dependent, e.g. P. I., P. I. 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13Carbonaceous raw material
    • C10J2300/0916Biom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53Gasifying agents
    • C10J2300/0956Air or oxygen enriched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25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solids treat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067Control, human or man machine interface, interactive, HMI, MMI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33Renewable energy sources, e.g. sunl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gasification apparatus, comprising: a housing provid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a biomas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therein; a combustion chamb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generating heat by burning the introduced biomass; an ai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combustion chamber and supplying air for burning the biomass into the combustion chamber; a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unit to the combustion chamber based on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the sensor.

Description

가스화 장치 및 시스템{Gasification apparatus and system}Gasification apparatus and system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화 장치 및 시스템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sifier and system.

신재생 에너지 중에서 바이오매스 연료는 화석연료의 고갈과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의 한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매스(biomass)란 태양에너지를 받은 식물과 미생물의 광합성에 의하여 생성되는 식물체, 균체와 이를 먹고 살아가는 동물체를 포함하는 생물유기체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바이오매스 자원은 곡물 등의 전분질계 자원과 임목 및 볏짚, 왕겨와 같은 농부산물을 포함하는 셀룰로스계의 자원, 사탕수수, 사탕무와 같은 당질계의 자원 및 음식폐기물 등의 유기성 폐기물을 포함한다.Among new and renewable energy, biomass fuel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energy that can resolve concerns about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Biomass is a term that refers to living organisms, including plants, cells, and animals that feed on them, generated by photosynthesis of plants and microorganisms receiving solar energy. Biomass resources include starch-based resources such as grains, cellulose-based resources including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forest trees, rice straw, and rice husks, sugar-based resources such as sugar cane and sugar beets, and organic wastes such as food waste.

바이오매스를 기존 에너지 생산시스템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를 기체 상태의 합성가스로 전환해 줘야 하는데, 대표적인 기술이 바로 바이오매스 가스화 기술이다. 가스화 기술로 전환된 합성가스는 일산화탄소, 수소, 메탄 등으로 구성돼 있어 이를 곧바로 수송용, 발전용, 난방용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촉매합성 또는 생물적인 전환을 통해 합성 천연가스나 FT 디젤, 바이오 수소와 같은 고부가가치 연료도 생산할 수 있다. 바이오매스를 기체 상태의 합성가스로 전환하기 위한 바이오매스 가스화 장치로 상향류식 바이오매스 가스화 장치와 하향류식 바이오매스 가스화 장치가 있다.In order to use biomass in the existing energy production system, it must first be converted into gaseous syngas. A representative technology is biomass gasification technology. Syngas converted to gasification technology is composed of carbon monoxide, hydrogen, and methane, and can be directly used as energy for transportation, power generation, and heating. In addition, high value-added fuels such as synthetic natural gas, FT diesel, and bio-hydrogen can be produced through catalytic synthesis or biological conversion. As a biomass gasifier for converting biomass into gaseous syngas, there are an upflow biomass gasifier and a downflow biomass gasifier.

가스화는 바이오매스를 완전 연소시 필요한 이론적 산소(공기)량보다 더 적은 양을 공급하여 부분적인 산화를 시키는 기술로서, 완전 연소시 부산물이 CO2와 H2O임에 반해, 가스화시 부산물은 H2, CO, CH4, CO, N2가 주를 이룬다. 가스화에 의해 생성된 합성가스의 조성은 공기비(equivalence ratio)에 따라 변하며 통상 공기비가 0.25와 0.35사이에서 합성가스의 발열량이 최대가 된다.Gasification is a technology for partial oxidation by supplying a smaller amount of oxygen (air) than the theoretical amount of oxygen (air) required for complete combustion of biomass. 2 , CO, CH 4 , CO, N 2 is predominant. The composition of the syngas produced by gasification varies according to the air ratio (equivalence ratio), and the calorific value of the syngas is maximum when the air ratio is usually between 0.25 and 0.3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바이오매스를 불완전 연소시켜 가연성 가스를 생산하는 가스화 장치에 있어서,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실시간 측정 및 조절할 수 있는 가스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sifier capable of measuring 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a combustion chamber in real time in a gasifier for producing combustible gas by incomplete combustion of biomas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 장치는, 내부에,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바이오매스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유입된 상기 바이오매스를 연소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과 연결되고, 상기 바이오매스를 연소하기 위한 공기를 상기 연소실 내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와, 상기 연소실 내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측정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측 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object, the gas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space therein for accommodating biomass introduced through an inlet, and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combustion chamber that burns the biomass to generate heat; an ai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combustion chamber and supplying air for burning the biomass into the combustion chamber; and a sensor measur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sensor,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from the air supply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소실 내로 유입되는 바이오매스 양에 기초하여 공기비 기준값을 설정하고, 상기 연소실 내로 공급되는 공기량에 기초하여 공기비를 산출하여 산출된 상기 공기비와 설정된 상기 공기비 기준값을 비교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sets an air ratio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amount of biomas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calculates the air ratio based on the amount of air suppli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calculated air ratio and the set You can compare the air ratio reference valu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상기 공기비가 상기 공기비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량이 증가하도록 상기 공기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when the calculated air ratio is less than the air ratio reference value, may control the air supply to increase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상기 공기비가 상기 공기비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량이 감소하도록 상기 공기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lculated air ratio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of the air ratio,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air supply to decrease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상기 공기비가 상기 공기비 기준값과 동일하면,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량이 유지되도록 상기 공기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lculated air ratio is the same as the reference value of the air ratio,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air supply unit so that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is mainta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바이오매스의 가스화 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ter unit disposed between the air supply unit and the housing and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gasifying the biomass;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의 정상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filter unit is in a normal state based on the flow rate of the gas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상기 기체의 유량 기준값을 설정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상기 기체의 유량이 상기 유량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필터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sets a reference value for the flow rate of the gas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and when the flow rate of the gas passing through the filter is less than the flow rat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filter is in an abnormal state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PID 제어기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be a PID controll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방식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be controlled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HMI)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스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실시간 측정하고, 측정된 공기량에 기초하여 산출된 공기비에 기초하여 연소실(300)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실시간으로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가스화 장치의 안정적인 발열량을 확보할 수 있다.A gasifier and a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in real time, and measure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based on the air ratio calculated based on the measured air amount in real time. Feedback can be controll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stable calorific value of the gasifier by maintaining a constant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스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필터부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을 검출하여 필터부의 정상 상태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함으로써, 필터부 자체 또는 필터부에 구비된 여과용 매질을 적절한 시기에 교체하여 가스화 장치 및 가스화 시스템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sifier and the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 the flow rate of the gas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and determine whether the filter unit is in a normal state in real time, so that the filter unit itself or for filtration provided in the filter unit By replacing the medium in a timely mann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asifier and gasifier from becoming less efficient.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가스화 장치의 일부를 간략히 도시한다.
도 4는 공기비에 따른 합성가스 조성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schematically shows a gas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chematically shows a gas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chematically shows a part of a gasifier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composition ratio of syngas according to the air ratio.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as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가스화 장치는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가스화 대상물을 가스화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이때 가스화 대상물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이하에서는 가스화 장치에 의해 가스화되는 대상물이 바이오매스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gasifier may be a device for gasifying a gasifying object in a solid or liquid state. In this case, the type of gasification object is not limited, but 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object to be gasified by the gasifier is biomass will be mainly described.

한편, 가스화 장치는 산화재와 연료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향식(updraft)와 하향식(downdraft), 배드(bed)의 특징에 따라 유동층(fluidized bed)와 고정층(fixed-bed) 및 분류층(entrained flow)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화 장치(10)는 상기한 종류들 중 어느 하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하향식 가스화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gasifier is an updraft and downdraft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oxidizer and fuel, and a fluidized bed, a fixed-bed, and an entrained flow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d. ) can be distinguished. The gasifi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ny one of the above types, but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the top-down gasifi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다. 1 schematically shows a gas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 장치(10)는 하우징(100)과, 건조실(200)과, 열분해실(Hd)과, 연소실(300)과, 공기공급부(400)와, 환원실(500)과, 재 수거실(ash collector; 6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스화 장치(10)는 필터부(F)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gasifi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 a drying chamber 200 , a pyrolysis chamber Hd, a combustion chamber 300 , and an air supply unit 400 . And, the reduction chamber 500 and the ash collection chamber (ash collector; 600) may include. In addition, the gasifier 10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unit (F).

하우징(100)은 내부에, 건조실(200)과, 연소실(300)과, 환원실(500)과, 재 수거실(600)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상측에 투입부(110)가 구비되고, 하측에 재 배출부(ash discharger; 120)가 구비될 수 있다. 바이오매스는 투입부(110)를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가스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바이오매스가 가스화되면서 남은 재는 재 배출부(120)를 통과하여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housing 100 may have a space in which the drying chamber 200 , the combustion chamber 300 , the reduction chamber 500 , and the ash collection chamber 600 can be disposed. In addition, the housing 100 may be provided with an input unit 110 at the upper side, and an ash discharger 120 at the lower side. The biomass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input unit 110 and may be gasified while moving downward. As the biomass is gasified, the remaining ash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ash discharge unit 120 .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는 상측부터, 건조실(200), 열분해실(Hd), 연소실(300), 환원실(500) 및 재 수거실(600)이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투입부(110)로 투입되는 바이오매스는 건조실(200), 열분해실(Hd), 연소실(300), 환원실(500)을 차례로 거치면서 재로 변하게 되고, 이러한 재는 재 수거실(600)에 수거될 수 있다.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0 , a drying chamber 200 , a pyrolysis chamber Hd, a combustion chamber 300 , a reduction chamber 500 , and an ash collection chamber 600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from the upper side. In this case, the biomass input to the input unit 110 passes through the drying chamber 200 , the pyrolysis chamber Hd, the combustion chamber 300 , and the reduction chamber 500 in order to be converted into ash, and these ash are collected in the ash collection chamber 600 . ) can be collected.

건조실(200)은 바이오매스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때 건조실(200)에서의 건조 공정(Drying)은 바이오매스 가스화 공정의 전처리 공정이다. 건조실(200)에서 바이오매스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되고 일부 휘발성 물질도 증발될 수 있다. The drying chamber 200 may dry biomass. At this time, the drying process (Drying) in the drying chamber 200 is a pretreatment process of the biomass gasification process. In the drying chamber 200 , moisture contained in the biomass may be evaporated and some volatile substances may also be evaporated.

건조실(200)의 상측에는 확산부(21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확산부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넓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건조실(200) 상측 중앙에 설치됨으로써, 투입부(110)를 통해 투입되는 바이오매스를 건조실(200) 중앙에 쌓이지 않게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실(200)에는 건조 교반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건조 교반기는 교반기에 구비된 블레이드의 회전 운동을 통해 건조실(200) 내의 바이오매스를 휘젓는다.A diffusion unit 21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ying chamber 200 , and the diffusion portion has a shape that gradually increases in width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of the drying chamber 200 , so that the input unit 110 ), the inputted biomass may be diffused so as not to accumulate in the center of the drying chamber 200 . In addition, a dry stirr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the drying chamber 200 , and the dry stirrer stirs the biomass in the drying chamber 200 through rotational motion of a blade provided in the agitator.

한편, 건조실(200)은 바이오매스를 가열하기 위한 별도의 가열장치가 구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건조실(200)은 건조실(200)의 하측에 배치된 열분해실(Hd)로부터 상승하는 열기를 이용하여 건조실(200) 내의 바이오매스를 건조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ying chamber 200 may not be provided with a separate heating device for heating the biomass. The biomass in the drying chamber 200 can be dried by using it.

열분해실(Hd)에서는 바이오매스에서 가스상의 물질을 얻기 위한 공정 즉, 열분해 공정(Pyrolysis)이 수행될 수 있다. 건조실(200)을 통과한 바이오매스는 건조실(200)의 하측에 배치된 열분해실(Hd)로 이동한다. 이러한 바이오매스에 고온의 열을 가하면 바이오매스가 열분해되어 가스와 타르로 분리되고 잔재물로 숯이 남게 된다. 이때, 열분해 공정은 산소가 필요 없는 공정이며, 가스상의 물질은 주로 C, H, O 계열의 휘발성(Volatile) 물질일 수 있다. In the pyrolysis chamber (Hd), a process for obtaining a gaseous material from biomass, that is, a pyrolysis process (Pyrolysis) may be performed. The biomas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rying chamber 200 moves to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Hd disposed below the drying chamber 200 . When high-temperature heat is applied to such biomass, the biomass is pyrolyzed to separate into gas and tar, leaving charcoal as a residue. In this case, the thermal decomposition process is a process that does not require oxygen, and the gaseous material may be mainly a C, H, O-based volatile material.

열분해실(Hd)은 바이오매스를 가열하기 위한 별도의 가열장치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열분해실(Hd)에서 바이오매스의 열분해를 위해 필요한 열은 열분해실(Hd)의 하측의 연소실(300)로부터 상승하는 열기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The pyrolysis chamber (Hd) may not have a separate heating device for heating the biomass, and in this case, the heat required for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biomass in the pyrolysis chamber (Hd) is transferred to the combustion chamber ( 300) can be provided from the rising heat.

연소실(300)에서는 환원(Reduction)을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공정, 즉 연소 공정(Combustion)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분해실(Hd)을 통과한 바이오매스는 그 하측에 배치된 연소실(300)로 이동하게 되고, 연소실(300)에서는 열분해 공정에서 발생한 타르 가스와 차(char)를 주연료로 하여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연소에 필요한 공기는 후술할 공기공급부(400)에 의해 연소실(300)로 공급될 수 있다. 연소 공정에서 발생하는 CO2와 H2O는, 다음 공정인 환원 공정에서 제1 반응식(예컨대, CO2 + O2 --> 2CO) 또는 제2 반응식(예컨대, H2O + C --> H2 + CO)과 같이 반응하여 그 발생량이 감소할 수 있다. In the combustion chamber 300 , a process of generating heat for reduction, that is, a combustion process (Combustion) may be performed. Specifically, the biomas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yrolysis chamber Hd moves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disposed below it, and in the combustion chamber 300, tar gas and char generated in the pyrolysis process are burned as main fuels. can be made At this time, the air required for combustion may be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by an air supply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CO 2 and H 2 O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are in the following process, the reduction process, in the first reaction formula (eg, CO 2 + O 2 --> 2CO) or in the second reaction formula (eg, H 2 O + C --> H 2 + CO), and the amount of its generation may be reduced.

연소실(300)에서 바이오매스를 일부만 연소시키기 위해 연소실(300)에는 불완전연소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불완전연소 구간을 적절하게 형성시키기 위해, 연소실(300)에는 2개의 급기(air supply) 구간이 마련될 수 있다. In order to burn only a portion of the biomass in the combustion chamber 300 , an incomplete combustion section may be formed in the combustion chamber 300 . In this case, in order to properly form an incomplete combustion section, two air supply sections may be provided in the combustion chamber 300 .

연소실(300)은 연소실(300)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S)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S)에 의해, 공기공급부(400)에 의해 연소실(300)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센서(S)는 측정된 결과를 후술한 제어부(3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combustion chamber 300 may include a sensor 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 By such a sensor (S),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amount of air suppli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by the air supply unit (400). In this case, the sensor S may transmit the measured result to the controller 30 to be described later.

연소실(300)은 바이오매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점화장치는 바이오매스가 투입되기 시작하는 초기에 한번 작동하여 바이오매스를 점화시킬 수 있고, 이후에는 점화장치가 작동하지 않아도 연소실(300)에서 연소되는 바이오매스의 불꽃에 의해 연소실(300)로 유입되는 바이오매스가 지속적으로 연소할 수 있다.The combustion chamber 300 may include an ignition device (not shown) for igniting the biomass. This ignition device can ignite the biomass by operating once in the initial stage when the biomass is input, and thereafter, even if the ignition device does not operate, the flame of the biomass that is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300 causes the combustion chamber 300 to be ignited. The incoming biomass can be burned continuously.

공기공급부(400)는 가스화 장치(10)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공급부(400)는 연소실(300)에서 바이오매스를 연소하기 위해 필요한 공기를 연소실(300) 내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공기공급부(400)는 하우징(100)의 외부에 배치되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예를 들어, 연소실(300)]과 연통할 수 있다. 공기공급부(400)에 의해 연소실(300)로 공급되는 공기는, 고온으로 가열된 공기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온의 공기가 연소실(300)에 공급되어 연소실(300) 내의 바이오매스가 상온의 공급 공기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바이오매스의 연소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air supply unit 400 may supply air to the gasifier 10 . Specifically, the air supply unit 400 may supply air required to burn biomass in the combustion chamber 300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 In this case, the air supply unit 40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100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0 (eg, the combustion chamber 300 ). The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by the air supply unit 400 may be air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As a result, air at room temperature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and the biomass in the combustion chamber 300 is cooled by the supply air at room temperature, thereby preventing a decrease in the combustion efficiency of the biomass.

일 실시예로서, 공기공급부(400)는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석션 장치(air suction device)일 수 있으며, 이때 공기공급부(400)는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블로워(blower; 410)와, 공기의 이동통로인 공기 배관(42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은 그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공기 유입구(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기공급부(400)에 의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으로, 또는 연소실(300) 내로 공기가 공급되는 과정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air supply unit 400 may be an air suction device for sucking air, in this case, the air supply unit 400 is a blower (blower; 410) that sucks air to generate a flow of air. And, it may be provided with an air pipe 420 that is a passage of air. In addition,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n air inlet 130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al space. In this case, a process in which air is suppli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0 or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by the air supply unit 400 may be as follows.

우선, 블로워(410)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 작동에 의해, 하우징(100) 외부의 공기가 공기 유입구(130)를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유입된 공기는 건조실(200), 열분해실(Hd)을 지나 연소실(300) 내로 유입됨으로써, 바이오매스의 연소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First, the blower 410 may suck air. By this suction operation, air outside the housing 1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air inlet 130 . The air introduced in this way i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through the drying chamber 200 and the pyrolysis chamber Hd, so that it can be used in the combustion process of biomass.

블로워(410)의 흡입에 의해, 공기뿐만 아니라 바이오매스도 연소실(300)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연소 공정에서 발생한 재, 타르 등의 이물질도 블로워(410)의 흡입에 의해 가스화 장치(10)의 하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 타르 등 이물질은 재 배출부(120)를 통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By suction of the blower 410 , not only air but also biomass may move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 Thereafter, foreign substances such as ash and tar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may also be mov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gasifier 10 by suction of the blower 410 . Accordingly, foreign substances such as ash and ta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ash discharge unit 120 .

환원실(500)에서는 바이오매스의 가스화가 완성되는 공정, 즉 환원 공정(Reduction)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소실(300)에서 연소된 바이오매스는 연소실(300)의 하측에 배치된 환원실(500)로 이동하게 되고, 환원실(500)에서는 연소 공정에서 발생된 CO2와 H2O(Vapor)가 바이오매스 숯의 베드(Bed)층을 통과하면서 가스 중의 산소가 고온의 C와 반응하여 환원됨으로써 2CO와 H2 + CO로 반응하게 된다. 이때 연소 가스는 다시 합성가스(2CO, H2)로 전환된다.In the reduction chamber 500 , a process in which gasification of biomass is completed, that is, a reduction process (Reduction) may be performed. Specifically, the biomass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300 moves to the reduction chamber 500 disposed below the combustion chamber 300, and in the reduction chamber 500, CO 2 and H 2 O ( Vapor) passes through the bed of biomass charcoal, and oxygen in the gas reacts with high-temperature C to reduce it, thereby reacting with 2CO and H 2 + CO. At this time, the combustion gas is converted back to syngas (2CO, H 2 ).

환원실(500)을 둘러싸는 하우징(100)의 내벽에는 환원실(500)에서 생성되는 합성가스를 환원실(500)에서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가스 배출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가스 배출구를 통해 환원실(500)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가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gas outlets (not shown) for discharging the synthesis gas generated in the reduction chamber 500 from the reduction chamber 50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00 surrounding the reduction chamber 500 . The synthesis gas discharged from the reduction chamber 500 through these plurality of gas outlets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

재 수거실(600)은 연소실(300) 또는 환원실(500)과 연결되어, 연소실(300)에서 발생한, 또는 환원실(500)에서의 바이오매스 재(ash)를 수거할 수 있다. 재 수거실(600)은 하측에, 재를 모으는 호퍼부(6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호퍼부(610)는 하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호퍼부(610)의 하단에는 하우징(100)의 재 배출부(120)가 연결되어, 재 수거실(600)에 안착되는 재는 호퍼부(610)에 의해 집진되고, 재 배출부(120)를 통해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ash collection chamber 600 may be connected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or the reduction chamber 500 to collect biomass ash (ash)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300 or in the reduction chamber 500 . The ash collection room 600 may include a hopper unit 610 for collecting ash at the lower side. At this time, the hopper part 61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width is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lower side. In addition, the ash discharging unit 120 of the housing 10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opper unit 610 , and the ash seated in the ash collection room 600 is collected by the hopper unit 610 , and the ash discharging unit 120 . ) through the housing 10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필터부(F)는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합성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필터부(F)는 하우징(10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부(F)는 재 수거실(600)과 공기공급부(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필터부(F)의 일 측면은 하우징(100)에 구비된 가스 배출구와 연결되고, 필터부(F)의 타 측면은 공기공급부(400)의 공기 배관(42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환원실(500)에서 생성된 합성가스가 가스 배출구를 통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된 후 연결 배관(U)을 통해 필터부(F)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연결 배관(U)은 필터부(F) 및 공기 배관(420)과 연통하며, 이에 따라 블로워(410)의 흡입에 의해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된 합성가스가 연결 배관(U), 필터부(F)를 지나 공기 배관(420)으로 흡입되어 이동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F may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ynthesis ga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 The filter unit F may be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100 . Specifically, the filter unit F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sh collection chamber 600 and the air supply unit 400 . In this case, one side of the filter unit F may be connected to the gas outlet provided in the housing 100 , and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unit F may be connected to the air pipe 420 of the air supply unit 400 . In this case, after the synthesis gas generated in the reduction chamber 5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gas outlet, it may move to the filter unit F through the connection pipe U.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ipe (U) communicates with the filter unit (F) and the air pipe 420, and accordingly, the synthesis ga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by the suction of the blower 410 is connected to the pipe (U), It may be moved by being sucked into the air pipe 420 through the filter unit F.

필터부(F)는 내부에 합성가스가 통과하기 위한 여과 통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여과 통로에는 합성가스에 포함된 재, 타르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다공성의 여과용 매질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합성가스에 포함된 재, 타르 등의 이물질은 여과용 매질을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순수한 합성가스만이 필터부(F)를 통과할 수 있다. 여과용 매질은 교체 가능하며, 여과용 매질은 예를 들어, 숯, 톱밥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F) may be provided with a filtration passage (not shown) for the syngas to pass therein. In this case, a porous filtration medium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ash and tar contained in the synthesis gas may be disposed in the filtration passage. In this case, foreign substances such as ash and tar contained in the synthesis gas are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ration medium, and only the pure synthesis gas can pass through the filter unit (F). The filtration medium is replaceable, and the filtration medium may include, for example, charcoal, sawdust or a mixture thereof.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필터부(F)와 하우징(100) 사이에는 추가 여과부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된 합성가스가 최초로 추가 여과부를 통과하면서 1차로 여과된 후, 필터부(F)로 이동하여 여과됨으로써, 이중 여과될 수 있다. 추가 여과부는 예를 들어, 싸이클론(cyclone)일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 additional filtering un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lter unit F and the housing 100 . In this case, the synthesis ga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is first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additional filtering unit, and then moved to the filter unit F and filtered, so that it can be double filtered. The further filter can be, for example, a cyclone.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 장치를 도시한다. 2 shows a gas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가스화 장치(20)는 하우징(100)과, 건조실(200)과, 연소실(300)과, 환원실(500)과, 추가 연소실(Ac), 공기공급부(400) 및 재 수거실(6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100)과, 건조실(200)과, 연소실(300)과, 공기공급부(400)와, 환원실(500) 및 재 수거실(600)의 구체적인 특징은 전술한 실시예인 가스화 장치(10)의 경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gasifier 20 includes a housing 100 , a drying chamber 200 , a combustion chamber 300 , a reduction chamber 500 , an additional combustion chamber Ac, an air supply unit 400 and ash It may include a collection room 600 . In this case, specific features of the housing 100 , the drying chamber 200 , the combustion chamber 300 , the air supply unit 400 , the reduction chamber 500 , and the ash collection chamber 600 are the gasifier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i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ase of (10), a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추가 연소실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환원실(500)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투입부(110)로 투입되는 바이오매스는 건조실(200), 열분해실(Hd), 연소실(300), 환원실(500), 그리고 추가 연소실을 차례로 거치면서 재로 변하게 되고, 이러한 재는 재 수거실(600)에 수거될 수 있다. The additional combustion chamber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0 and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duction chamber 500 . In this case, the biomass input to the input unit 110 is changed to ash while passing through the drying chamber 200, the pyrolysis chamber (Hd), the combustion chamber 300, the reduction chamber 500, and the additional combustion chamber in turn, and these ash It may be collected in the collection room 600 .

구체적으로, 환원실(500)을 통과하는 바이오매스의 숯은 추가 연소실(300)로 이동하게 되고, 추가 연소실(300)로 유입된 숯에 공기가 공급되면, CO2, H2O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다시 환원 구간의 숯의 베드 층을 통과시키면 가스 중의 산소가 고온의 C와 반응하여 환원되어 2CO와 H2 + CO로 반응하게 된다. Specifically, the charcoal of biomass passing through the reduction chamber 500 moves to the additional combustion chamber 300, and when air is supplied to the charcoal introduced into the additional combustion chamber 300, CO 2 , H 2 O is generated. do. When this is passed through the bed layer of charcoal in the reduction section again, oxygen in the gas reacts with high temperature C to be reduced and reacts with 2CO and H 2 + CO.

이처럼 환원실(5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연소실(300)과 추가 연소실(300)이 배치되어, 환원실(500)에서 환원 반응을 촉진할 수 있어 합성가스 발생율을 높일 수 있다. 즉, 환원실(500)을 사이에 두고 2개의 연소실이 배치되고, 바이오매스의 건조와 저온 탄화 및 가스의 분해는 환원실(500)의 상부에서 일어나게 되어, 타르(tar) 및 더스트 발생이 적고 열분해 효율이 높아 우수한 가스화 효율을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mbustion chamber 300 and the additional combustion chamber 300 are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reduction chamber 500 , respectively, to promote the reduction reaction in the reduction chamber 500 , thereby increasing the synthesis gas generation rate. That is, two combustion chambers are disposed with the reduction chamber 50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drying of biomass, low-temperature carbonization, and decomposition of gas occur in the upper part of the reduction chamber 500, so that the generation of tar and dust is small. The thermal decomposition efficiency is high, so that it can have excellent gasification efficienc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다. 도 4는 공기비에 따른 합성가스 조성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schematically shows a ga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composition ratio of syngas according to the air ratio, and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as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가스화 장치(10, 20)는 제어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공기공급부(400)에 의해 연소실(300)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는 예를 들어, 가스화 장치(10, 20)의 제어용 컴퓨터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이나,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컴퓨터 칩이나, 컴퓨터 칩에 내장되거나 제어용 컴퓨터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30)는 PID 제어기일 수 있다.3 to 5 , the gasifiers 10 and 2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30 . The control unit 30 may control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by the air supply unit 400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 is, for example, a circuit board mounted on a computer for controlling the gasifiers 10 and 20, a computer chip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software embedded in a computer chip or embedded in a computer for control, etc.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For example, the controller 30 may be a PID controller.

제어부(30)는 센서(S)에서 측정된 연소실(300) 내의 공기량에 기초하여, 연소실(300)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30)는 연소실(300) 내로 공급된 공기량을 기초로 공기비(equivalence ratio; ER)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산출된 공기비(ER)에 기초하여, 연소실(300)에 공급될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비(ER)는 연소실(300)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연소실(300)로 유입된 바이오매스가 완전 연소되기 위해 필요한 공기량으로 나눈 값을 의미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 may adjust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based on the amount of air in the combustion chamber 300 measured by the sensor S. As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30 may calculate an equivalence ratio (ER) based on the amount of air suppli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 In addition, the controller 30 may adjust the amount of air to be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based on the calculated air ratio ER. Here, the air ratio ER may mean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by the amount of air required to completely burn the biomas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실(300) 내의 공기비(ER)에 따라, 바이오매스를 가스화하여 생성된 가스인, 합성가스의 조성이 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비(ER)가 변함에 따라, 합성가스에 포함된 H2, CO, CO2, H20, CH4, N2의 양(즉, 합성가스의 조성비)가 변할 수 있다. 일 예로, 합성가스에 포함된 CO의 양은 공기비(ER)가 0.25 내지 0.35인 범위에서 최대가 된다. 그리고, N2의 경우 공기비(ER)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하여 함께 증가하고, H2의 경우 공기비(ER)가 증가함에 따라 반비례하여 감소한다. 다른 예로, CH4의 경우, 공기비(ER)가 0.2가 될 때까지 감소하고, 공기비(ER)가 0.2 이상인 범위에선 증가하게 된다.As exemplarily shown in FIG. 4 , the composition of syngas, which is a gas generated by gasifying biomass, may change according to the air ratio ER in the combustion chamber 300 . Specifically, as the air ratio (ER) is changed, the amounts of H 2 , CO, CO 2 , H 2 0, CH 4 , N 2 contained in the synthesis gas (ie,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synthesis gas) may change. For example, the amount of CO contained in the syngas is maximum in the range of the air ratio (ER) 0.25 to 0.35. And, in the case of N 2 , it increases in proportion as the air ratio ER increases, and in the case of H 2 , it decreases in inverse proportion as the air ratio ER increases. 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CH 4 , the air ratio (ER) decreases until it becomes 0.2, and increases in the range where the air ratio (ER) is 0.2 or more.

제어부(30)가 연소실(300) 내의 공기비(ER)를 조절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A method for the controller 30 to adjust the air ratio ER in the combustion chamber 300 may be as follows.

우선, 제어부(30)는 연소실(300) 내에서의 공기비의 기준값(이하, 공기비 기중값)을 설정할 수 있다(S10). 이때, 공기비 기준값은 연소실(300)로 유입되는 바이오매스의 양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비 기준값은 연소실(300)에 유입되는 바이오매스를 가스화하여 생성된 합성가스의 발열량의 기준값(이하, 발열량 기준값)을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발열량 기준값은 예를 들어, 1,100kcal일 수 있으며, 이때 공기비 기준값은 합성가스의 발열량이 1,100kcal ±5%의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First, the control unit 30 may set a reference value of the air ratio in the combustion chamber 300 (hereinafter, the air ratio air value) (S10). In this case, the air ratio reference value may be set based on the amount of biomas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 Specifically, the air ratio reference value may be set based on a reference valu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lorific value reference value) of the calorific value of the syngas generated by gasifying the biomass flowing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 The calorific value reference value may be, for example, 1,100 kcal, and in this case, the air ratio reference value may be set such that the calorific value of the syngas is within the range of 1,100 kcal ± 5%.

다음, 제어부(30)는 센서(S)에서 측정된 연소실(300)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전달받을 수 있다(S20). 그리고, 제어부(30)는 전달받은 공기량 측정값에 기초하여 연소실(300) 내의 공기비(ER)를 산출할 수 있다(S30). Next, the control unit 30 may receive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measured by the sensor S (S20). Then, the control unit 30 may calculate the air ratio (ER) in the combustion chamber 300 based on the received measurement value of the amount of air (S30).

다음, 제어부(30)는 상기한 미리 설정된 공기비 기준값과, 산출된 공기비(ER)를 비교할 수 있다(S30, S40). 그리고, 제어부(30)는 상기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연소실(300)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Next, the control unit 30 may compare the preset air ratio reference value with the calculated air ratio ER (S30 and S4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 may adjust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일 실시예로서, 산출된 공기비(ER)가 미리 설정된 값과 동일 또는 근접한 값인 경우, 제어부(30)는 공기공급부(400)에 의해 연소실(300)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1). As an embodiment, when the calculated air ratio ER is the same as or close to a preset value, the control unit 30 may control to maintain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by the air supply unit 400 ( S41).

제어부(30)는 산출된 공기비(ER)가 미리 설정된 값과 동일 또는 근접한 값이 아닌 경우, 산출된 공기비(ER)가 공기비 기준값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S50). 일 실시예로서, 산출된 공기비(ER)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30)는 공기공급부(400)에 의해 연소실(300)로 공급되는 공기량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1).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블로워(410)에 구비된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로워(410)의 흡입 작용을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연소실(300)로 공급되는 공기량이 감소하게 된다.When the calculated air ratio ER is not the same as or close to a preset value, the controller 30 may determine whether the calculated air ratio ER exceeds a reference value of the air ratio ( S50 ). As an embodiment, when the calculated air ratio ER is greater than a preset value, the control unit 30 may control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by the air supply unit 400 to be reduced (S51).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0 may redu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motor (not shown) provided in the blower 410 . Accordingly, the suction action of the blower 410 is reduced, and as a result,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is reduced.

다른 실시예로서, 산출된 공기비(ER)가 미리 설정된 공기비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30)는 공기공급부(400)에 의해 연소실(300)로 더 많은 공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2).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블로워(410)에 구비된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로워(410)의 흡입 작용을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연소실(300)로 공급되는 공기량이 증가하게 된다.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calculated air ratio ER is smaller than a preset air ratio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30 may control the air supply unit 400 to supply more air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 S52 ). .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0 may increase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motor (not shown) provided in the blower 410 . Accordingly, the suction action of the blower 410 is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is increased.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경우 제어부(30)는 블로워(410)를 컨트롤하는 인버터(미도시; inverter)를 작동을 조절함으로써, 블로워(41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above-described case, the control unit 30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41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inverter (not shown; inverter) that controls the blower 410 .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을 통해, 제어부(30)는 공기공급부(400)를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연소실(300)에 구비된 센서(S)로부터 측정된 공기량을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이를 기초로 공기공급부(400)를 제어하고, 이후 제어부(30)는 센서(S)로부터 다시 측정된 연소실(300)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피드백(feedback)받을 수 있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control unit 30 may control the air supply unit 400 in real tim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0 receives the amount of air measured from the sensor S provided in the combustion chamber 300 in real time and controls the air supply unit 400 based on it, and then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sensor (S)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measured again from the feedback (feedback) may be received.

제어부(30)는 피드백 받은 공기량 측정값에 기초하여, 공기비(ER)를 재산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0)는 재산출된 공기비(ER)를 미리 설전된 공기비 기준값과 다시 비교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공기공급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30)는 연소실(300) 내의 공기량 및 이에 따른 공기비(ER)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산출하여, 연소실(300)의 공기비(ER)를 일정한 범위 내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때 일정하게 유지되는 공기비(ER)는 0.25 내지 0.35 범위 내의 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스화에 의해 일정한 조성의 합성가스가 생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가스화 장치(10, 20)는 발열량이 균일한 합성가스를 생산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0 may recalculate the air ratio ER based on the feedback air amount measurement value. Thereafter, the controller 30 may compare the recalculated air ratio ER with a preset air ratio reference value again, and control the air supply unit 400 based on the result.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30 can measure and calculate the amount of air in the combustion chamber 300 and the air ratio ER according thereto in real time to maintain the air ratio ER of the combustion chamber 300 within a certain range, and at this time, keep it constant. The resulting air ratio (ER) may be a value within the range of 0.25 to 0.35. Accordingly, a syngas having a certain composition may be generated by gasification, whereby the gasifiers 10 and 20 may produce syngas having a uniform calorific value.

제어부(30)는 가스화 장치(10)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30)는 연소실(300) 내의 공기량 변화, 이에 따른 공기비(ER) 변화 등의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처럼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가스화 장치(10)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가스화 시스템(1) 또는 가스화 장치(10, 20)의 오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오작동 발생시 과거 정보로부터 오작동 원인을 보다 신속히 찾을 수 있어 가스화 시스템(1) 또는 가스화 장치(10, 20)의 오작동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0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gasifier 10 . As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30 may convert and store information such as a change in the amount of air in the combustion chamber 300 and a change in the air ratio (ER) according to the data.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is way, the manager who manages the gasifier 10 can check whether the gasification system 1 or the gasifiers 10 and 20 malfunctions, and when a malfunction occurs, the cause of the malfunction can be found more quickly from past information. Malfunctions of the gasification system 1 or the gasifiers 10 and 20 can be easily solved.

제어부(30)는 필터부(F)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30)는 공기공급부(400)에 의해 연소실(300)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필터부(F)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에 기초하여, 필터부(F)의 정상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0 may monitor the state of the filter unit F.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30 is based on the flow rate of the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by the air supply unit 400 or the flow rate of the gas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F), the top of the filter unit (F) status can be determined.

구체적으로, 필터부(F) 내부의 여과용 매질에 과도한 양의 타르가 흡착되어 쌓이는 경우, 합성가스가 여과용 매질을 통과하기 어려워져, 필터부(F)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 또는 필터부(F)를 통과하기 전 공기의 유량이 감소할 수 있다. 이때, 필터부(F)를 통과하는 기체는 합성가스와 공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an excessive amount of tar is adsorbed and accumulated on the filtration medium inside the filter unit (F),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synthesis gas to pass through the filtration medium, and the flow rate of gas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F) or the filter unit The flow rate of air before passing through (F) may decrease. In this case, the gas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F may be at least one of syngas and air.

제어부(3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유량 감소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계속되는 경우, 필터부(F)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필터부(F)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F)에는 필터부(F)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량 센서에 의해 측정된 유량값은 제어부(3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는 측정된 유량값을 설정된 유량 기준값과 비교하여, 필터부(F)의 정상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30)는 측정된 유량값이 유량 기준값 미만인 경우, 필터부(F)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30)는 측정된 유량값이 유량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필터부(F)가 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 may determine that the filter unit F is in an abnormal state when the flow rate reduction state as described above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0 may set a reference value of the flow rate of the gas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F). In addition, the filter unit (F) may be provided with a flow rate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gas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F). In this case, the flow rate value measured by the flow sensor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0 may compare the measured flow rate with a set flow rate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filter unit F is in a normal state. As an embodiment, when the measured flow rate value is less than the flow rat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30 may determine that the filter unit F is in an abnormal state. When 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lter unit F is in a normal state.

제어부(30)는 상기와 같이, 필터부(F)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되면, 알림부(미도시)를 통해 필터부(F)의 비정상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스화 시스템(1)의 관리자는 알림부를 통해 필터부(F)의 문제를 확인하고, 필터부(F) 내의 여과용 매질을 교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스화 시스템(1)의 필터부(F)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터부(F)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신속히 교체함으로써, 이물질의 흡착에 의해 공기의 유량 또는 합성가스의 유량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바이오매스 가스화 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체 가스화 시스템(1)의 효율성을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lter unit F is in an abnormal state, the control unit 30 may display the abnormal state of the filter unit F through a notification unit (not shown). In this case, the manager of the gasification system 1 may check the problem of the filter unit F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and replace the filtration medium in the filter unit F. Thereby,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filter unit F of the gasification system 1 in real time, and accordingly, if a problem occurs in the filter unit F, it is replaced quickly, thereby reducing the flow rate of air or synthesis gas by adsorption of foreign substanc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w rate from decreasing.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iomass gasification rate from being reduced, thereby preventing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gasification system 1 from being reduced.

가스화 장치(10, 20)의 관리자는 예컨대, 터치스크린 방식과 같은 사람-장치간 인터페이스(HMI; Human Machine Interface) 방식을 통해 제어부(30)를 조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관리자는 가스화 장치(10, 20)의 작업 상태 및 오작동 여부 등을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HMI방식의 제어를 통해 새로운 관리자를 교육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도 존재한다. The manager of the gasifiers 10 and 20 may operate the control unit 30 through, for example, a human-machine interface (HMI) method such as a touch screen method. Thereby, the manager can intuitively and easily grasp the working state and malfunction of the gasifiers 10 and 20 .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ime required to train a new manager can be reduced through HMI method control.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스화 장치(10, 20)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1)은, 연소실(300)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실시간 측정하고, 측정된 공기량에 기초하여 산출된 공기비(ER)에 기초하여 연소실(300)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실시간으로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연소실(300)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가스화 장치의 균일하고, 안정적인 발열량을 확보할 수 있다.The gasifiers 10 and 20 and the system 1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easure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in real time, and calculated based on the measured air amount. Based on the air ratio ER,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may be feedback-controlled in real tim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uniform and stable calorific value of the gasifier by maintaining a constant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300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스화 장치(10, 20)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1)은 필터부(F)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을 검출하여 필터부(F)의 정상 상태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함으로써, 필터부(F) 자체 또는 필터부(F)에 구비된 여과용 매질을 적절한 시기에 교체하여 가스화 장치(10, 20) 및 가스화 시스템(1)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asifiers 10 and 20 and the system 1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 the flow rate of the gas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F to determine whether the filter unit F is in a normal state. By judging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fficiency of the gasifiers 10 and 20 and the gasification system 1 from falling by replacing the filter unit F itself or the filtration medium provided in the filter unit F at an appropriate time. there is.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가스화 장치
20: 가스화 장치
30: 제어부
100: 하우징
200: 건조실
Hd: 열 분해실
300: 연소실
400: 공기공급부
500: 환원실
Ac: 추가 연소실
600: 재 수거실
F: 필터부
S: 센서
10: gasifier
20: gasifier
30: control unit
100: housing
200: drying room
Hd: pyrolysis chamber
300: combustion chamber
400: air supply
500: reduction room
Ac: additional combustion chamber
600: Ash collection room
F: filter part
S: sensor

Claims (10)

내부에,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바이오매스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유입된 상기 바이오매스를 연소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연소실;
상기 연소실과 연결되고, 상기 바이오매스를 연소하기 위한 공기를 상기 연소실 내로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연소실 내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공급부로부터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스화 장치.
a housing having a space therein for accommodating the biomas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 combustion chamb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generating heat by burning the introduced biomass;
an ai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combustion chamber and supplying air for burning the biomass into the combustion chamber;
a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and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senso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unit to the combustion chamber; including, a gasifi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소실 내로 유입되는 바이오매스 양에 기초하여 공기비 기준값을 설정하고,
상기 연소실 내로 공급되는 공기량에 기초하여 공기비를 산출하여 산출된 상기 공기비와 설정된 상기 공기비 기준값을 비교하는, 가스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setting an air ratio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amount of biomas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A gasifier for calculating an air ratio based on the amount of air suppli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and comparing the calculated air ratio with the set air ratio reference valu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상기 공기비가 상기 공기비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량이 증가하도록 상기 공기공급부를 제어하는, 가스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calculated air ratio is smaller than the air ratio reference value, the gasifier to control the air supply unit to increase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상기 공기비가 상기 공기비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량이 감소하도록 상기 공기공급부를 제어하는, 가스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calculated air ratio is greater than the air ratio reference value, the gasifier to control the air supply unit to reduce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상기 공기비가 상기 공기비 기준값과 동일하면,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량이 유지되도록 상기 공기공급부를 제어하는, 가스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calculated air ratio is the same as the air ratio reference value, the gasifier controls the air supply unit to maintain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바이오매스의 가스화 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가스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asific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isposed between the air supply unit and the housing, the filter unit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in the gasification process of the biomass.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의 정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가스화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flow rate of the gas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the gasifier to determine whether the normal state of the filter unit.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상기 기체의 유량 기준값을 설정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상기 기체의 유량이 상기 유량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필터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하는, 가스화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unit is
Setting a reference value for the flow rate of the gas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When the flow rate of the gas passing through the filter is less than the flow rat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filter is in an abnormal sta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PID 제어기인, 가스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s a PID controll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방식을 통해 제어되는, 가스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controlled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HMI) method, the gasifier.
KR1020200149172A 2020-11-10 2020-11-10 Gasification apparatus and system KR1024767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172A KR102476768B1 (en) 2020-11-10 2020-11-10 Gasification apparatus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172A KR102476768B1 (en) 2020-11-10 2020-11-10 Gasification apparatus and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389A true KR20220063389A (en) 2022-05-17
KR102476768B1 KR102476768B1 (en) 2022-12-13

Family

ID=81799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172A KR102476768B1 (en) 2020-11-10 2020-11-10 Gasification apparatus and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768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2513A (en) * 1998-07-30 2000-02-15 Babcock Hitachi Kk Refuse gasifying device and method
WO2000015737A1 (en) * 1998-09-17 2000-03-23 Texaco Developme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gasification control
KR100256320B1 (en) * 1996-05-22 2000-06-01 와다 아끼히로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an oxygen sensor
JP2002031326A (en) * 2000-05-12 2002-01-31 Takuryu Kinzoku:Kk Flue gas treating device for combustion furnace
JP2012001650A (en) * 2010-06-18 2012-01-05 Kawasaki Heavy Ind Ltd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gasification furnace
US20140008206A1 (en) * 2012-07-03 2014-01-09 Aemerge, LLC Chain drag carbonizer, system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KR101381622B1 (en) * 2006-07-04 2014-04-04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Combustion method and combustion apparatus
KR101898255B1 (en) * 2017-11-13 2018-10-04 주식회사 한기실업 A thermal decomposition unit with a fixed solids retention and combustion gas induction chiller
JP2019020066A (en) * 2017-07-19 2019-02-0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Ventilation controlling apparatus, ventilation controlling method, ventilation property model for gasification fusion furnace plant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320B1 (en) * 1996-05-22 2000-06-01 와다 아끼히로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an oxygen sensor
JP2000042513A (en) * 1998-07-30 2000-02-15 Babcock Hitachi Kk Refuse gasifying device and method
WO2000015737A1 (en) * 1998-09-17 2000-03-23 Texaco Developme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gasification control
JP2002031326A (en) * 2000-05-12 2002-01-31 Takuryu Kinzoku:Kk Flue gas treating device for combustion furnace
KR101381622B1 (en) * 2006-07-04 2014-04-04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Combustion method and combustion apparatus
JP2012001650A (en) * 2010-06-18 2012-01-05 Kawasaki Heavy Ind Ltd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gasification furnace
US20140008206A1 (en) * 2012-07-03 2014-01-09 Aemerge, LLC Chain drag carbonizer, system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JP2019020066A (en) * 2017-07-19 2019-02-0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Ventilation controlling apparatus, ventilation controlling method, ventilation property model for gasification fusion furnace plant
KR101898255B1 (en) * 2017-11-13 2018-10-04 주식회사 한기실업 A thermal decomposition unit with a fixed solids retention and combustion gas induction chi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768B1 (en) 202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i et al. Assessment of biomass energy potential for SRC willow woodchips in a pilot scale bubbling fluidized bed gasifier
González-Vázquez et al. Comparison of the gasification performance of multiple biomass types in a bubbling fluidized bed
Kim et al. Air-blown gasification of woody biomass in a bubbling fluidized bed gasifier
Makwana et al. Improving the properties of producer gas using high temperature gasification of rice husk in a pilot scale fluidized bed gasifier (FBG)
EP2104725A2 (en) Biomass gas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ombustible gas
JP4504337B2 (en) Gasifier and gasifier system
US20130142723A1 (en) Biomass gasification systems having controllable fluid injectors
Simanjuntak et al. Experimental study and characterization of a two-compartment cylindrical internally circulating fluidized bed gasifier
CN2677376Y (en) Down-draft gasification furnace
CN1900241B (en) Process for making combustable gas by external high temperature CO2 and biomass reducing reaction
CN105861069B (en) Solid fuel double fluidized bed thermal partial gasification staged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Thamizhvel et al. Comparative study of gasification and pyrolysis derived from coconut shell on the performance and emission of CI engine
CN201530806U (en) Dual-cavity biomass gasification furnace
CN109971512A (en) A kind of Novel combined bed biomass gasification system and its method
Pradhan et al. Biomass gasification by the use of rice husk gasifier
KR102476768B1 (en) Gasification apparatus and system
Murad et al. Heat generators with TLUD gasifier for generating energy from biomass with a negative balance of CO2
CN1102632C (en) biomass midheat value gasifying system
CN201427951Y (en) Environment-friendly clean fuel gas production and poly-generation device
Sharma et al. Small-scale toroidal fluidized bed gasification system: development and experimental aspects
Rahardjo Effect of gasifiyng agent (air+ steam) injection towards syngas quality from rice husk gasification
Baruah et al. A comprehensive study on utilization of producer gas as IC engine fuel
CN2913363Y (en) Solid and liquid composite bed biomass gasification furnace
CN102093914A (en) Environment-friendly backfire clean coking and gas making and electricity generating polygeneration device
CN101230282A (en) Method for preparing combustible gas by using biomass and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