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2973A - Divided Window - Google Patents

Divided Wind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973A
KR20220062973A KR1020200148774A KR20200148774A KR20220062973A KR 20220062973 A KR20220062973 A KR 20220062973A KR 1020200148774 A KR1020200148774 A KR 1020200148774A KR 20200148774 A KR20200148774 A KR 20200148774A KR 20220062973 A KR20220062973 A KR 20220062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outdoor
module
indoor
horizonta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7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범식
신석필
이승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200148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2973A/en
Publication of KR20220062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97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06B2003/2615Frames made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surface-divided window which comprises: a window frame including an outer window, an inner window located at an indoor side of the outer window, and a horizontal bar having a horizontal bar body installed on the outer window to divide an opening of the outer window into an upper opening and a lower opening; and a sash unit including an outdoor-sided upper sash located at the upper opening and an outdoor-sided lower sash located at the lower opening, and an indoor-sided sash installed at the inner window, wherein the inner window includes an inner window body and an inner window water barrier disposed in a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bar body such that water falling down from an indoor-sided terminal of the horizontal bar body can fall down at an outdoor side of the inner window, wherein an outer surface at an outdoor side is apart from an outer surface at an indoor side of the horizontal bar body toward the indoor side and connected to a top surface as a surface facing the top among inner surfaces of the inner window body and extended inwar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inner window body. Accordingly, water introduced into the horizontal bar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door side and the introduced water can be discharged effectively toward the outdoor side.

Description

입면 분할 창호{Divided Window}Elevation Split Window {Divided Window}

본 발명은 입면 분할 창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ion split window.

입면 분할 창호는 가로바를 이용하여 창호의 입면을 분할한 창호이다. 가로바를 이용하여 창틀의 개구의 상하를 구획하는 입면 분할 창호의 경우 우천시 가로바를 통해 실내측으로 물넘침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특히 해안가를 비롯한 고풍압 지역에서 다수 발생한다. 이러한 물넘침은 마감재에 악영향을 끼치거나 악취를 유발하는 등의 문제를 초래한다. Elevation split windows are windows that divide the elevation of a window using a horizontal bar. In the case of an elevation split window that uses a horizontal bar to divide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opening of the window fra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water overflows to the indoor side through the horizontal bar in case of rain, especially in high wind pressure areas including the coast. Such overflow of water causes problems such as adversely affecting the finishing material or causing odo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가로바의 실내측 물막이턱을 높게 형성하거나, 가로바에 개구를 배치하여 창틀을 따라 실외측으로 배수되게 하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forming a high water barrier on the indoor side of the cross bar or arranging an opening in the cross bar to drain the water to the outdoor side along the window frame are used.

그러나, 가로바의 실내측 물막이턱을 높게 형성하면 가로바 바디의 면적이 증가하여 전망을 저해한다는 문제가 있고, 개구를 배치하여 배수하는 방법은 개구가 막히거나 개구로부터 악취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f the water barrier on the indoor side of the crossbar is formed high, the area of the crossbar body increases, which impairs the view, and the method of draining by arranging the opening has a problem that the opening is clogged or an odor is generated from the opening. .

본 발명의 과제는 가로바로 유입된 물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고 유입된 물을 효과적으로 실외측으로 배출하는 입면 분할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ion split window that prevents water flowing into a horizontal bar from flowing into the indoor side and effectively discharges the inflow water to the outdoor side.

실시예 1에서 입면 분할 창호는 외창과 상기 외창의 실내 측에 위치하는 내창과 상기 외창의 개구를 상부 개구와 하부 개구로 구획하도록 상기 외창에 설치되는 가로바 바디를 구비하는 가로바를 포함하는 창틀과, 상기 상부 개구에 위치하는 실외측 상부 창짝과 상기 하부 개구에 위치하는 실외측 하부 창짝과 상기 내창에 설치되는 실내측 창짝을 포함하는 창짝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창은 내창 바디와, 상기 가로바 바디의 실내측 말단으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상기 내창의 실외측으로 낙하되도록 상기 가로바 바디의 하측에 배치되고 실외측 외면이 상기 가로바 바디의 실내측 외면으로부터 실내측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내창 바디의 내면 중 상측을 바라보는 면인 상면에 연결되고 상기 내창 바디의 상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내창 물막이턱을 포함한다. In Embodiment 1, the elevation split window includes an outer window, an inner window positioned on the indoor side of the outer window, and a transverse bar having a transverse bar body installed on the outer window to divide the opening of the outer window into an upper opening and a lower opening; , an outdoor upper spear positioned in the upper opening, an outdoor lower sash positioned in the lower opening, and a window slit including an indoor sash installed in the inner window, wherein the inner window includes an inner window body and the horizontal bar body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crossbar body so that water falling from the indoor end of the inner window falls to the outdoor side of the inner window, and the outdoor oute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indoor outer surface of the crossbar body in the indoor direction, and am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inner window body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upper side and includes an inner sole clap claw extending i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ole body.

다른 예에서 상기 가로바는 상기 가로바 바디의 상면에 담수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실외측 상부 창짝으로부터 실내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가로바 바디의 상면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로바 물막이턱을 포함한다. In another example, the transverse bar is spaced from the outdoor upper window to the indoor side so that a fresh water spa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bar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bar body to extend upward. .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외창은, 상기 실외측 하부 창짝이 설치되는 하부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은 하부 수평프레임 바디와,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 바디의 상면에 연결되어 상기 실외측 하부 창짝에 연결되고 상기 내창 물막이턱으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상기 내창 물막이턱과의 사이에서 하부 담수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가이드와, 상기 하부 담수공간의 담수가 실외측으로 유출되도록 상기 하부 담수공간과 실외를 연통시키는 배수유로를 포함한다. In another example, the outer window includes a lower horizontal frame on which the outdoor lower window sill is installed, and the lower horizontal frame is connected to a lower horizontal frame body and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body to be installed on the outdoor lower window sill. A lower guide connected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indow water barrier to form a lower fresh water space between the inner window water barrier and a drain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lower fresh water space and the outdoors so that fresh water in the lower fresh water space flows out to the outdoor side includes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상기 내창은 상기 실내측 창짝이 배치되는 내창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내창 모듈은 상면에는 상기 내창 물막이턱이 배치되고, 외측 면은 상기 내창 바디의 내측 면에 결합되는 내창 모듈 바디와 상기 내창 물막이턱으로부터 실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내창 모듈바디의 상면에 결합되고 실내측 창짝이 설치되게 마련되는 내창 모듈 레일을 포함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window includes an inner window module on which the indoor side sash is disposed, the inner window closure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ner window module, and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window module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window body. and a module body and an inner window module rail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indow clapboard to the indoor side,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inner window module body, and is provided to install an indoor window sill.

다른 예에서 상기 외창은 상기 실외측 하부 창짝이 배치되는 외창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외창 모듈은 상면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가 배치되고, 외측 면은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 바디의 내측 면에 결합되는 외창 모듈 바디와 상기 하부 담수공간의 담수가 실외측으로 유출되도록 상기 하부 담수공간과 실외를 연통시키는 외창 모듈 배수유로를 포함한다. In another example, the outer window includes an outer window module on which the lower window sash on the outdoor side is disposed, the lower guide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outer window modu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indow module body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body. and an outer window module drain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lower freshwater space with the outdoors so that the fresh water of the lower freshwater space flows out to the outdoor side.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가로바는 상기 실외측 상부 창짝이 배치되는 가로바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 모듈은 상면에는 상기 가로바 물막이턱이 배치되고 외측면은 가로바 바디에 결합되는 가로바 모듈 바디를 포함한다. In another example, the transverse bar further includes a transverse bar module on which the outdoor upper window is disposed, the transverse bar module has the transverse bar cladding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bar module, and the outer surface is a transverse bar coupled to the transverse bar body. It includes a module body.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가로바 모듈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된다. In another example, the horizontal bar module is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aluminum.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가로바는, 상기 가로바 바디의 실내측 외면을 따라 흐르는 낙수를 실외측 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가로바 바디의 하측을 바라보는 면 중 실내측 말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실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 판을 포함한다.In another example, the cross bar is inclined toward the lower side from the indoor end of the surface facing the lower side of the cross bar body to guide the falling water flowing along the indoor outer surface of the cross bar body in the outdoor direction. and an extending guide plate.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가로바는, 상기 가로바 바디의 실내측 외면에 배치되는 가이드 패턴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패턴은, 상기 가로바 바디의 실내측 외면을 실외측 방향으로 바라볼 때, 상기 가로바 바디의 실외측 외면을 따라 흐르는 낙수가 가이드되도록 하방을 향하는 노치의 형상이다. In another example, the cross bar further includes a guide pattern disposed on the indoor outer surface of the cross bar body, and the guide pattern is, when the indoor outer surface of the cross bar body is viewed in the outdoor direction, the It has a shape of a notch pointing downward so that the falling water flow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outdoor side of the horizontal bar body is guided.

본 발명에 의하면, 가로바를 통해 유입되어 가로바의 말단으로부터 낙하되는 물이 실외측으로 다시 배수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crossbar and falling from the end of the crossbar can be drained back to the outdoor sid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일 또는 가이드가 배치되는 프레임이 모듈화되어 현장에서의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in which the rail or guide is disposed is modularized, so that the construction time in the field can be shorten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창짝과 가로바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켓이 실외측으로부터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방해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sket disposed between the window sill and the horizontal bar prevents air flowing from the outdoor side to the indoor side, thereby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입면 분할 창호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외창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로바 바디의 실내측 외면을 A 방향으로 바라본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내창 모듈, 외창 모듈 및 가로바 모듈이 각각 구비된 입면 분할 창호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가로바 모듈이 구비된 가로바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외창 모듈이 구비된 외창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ion split window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outer so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ar view of the indoor-sid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body of FIG. 1 as viewed in the A direc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ion split window each equipped with an inner window module, an outer window module, and a horizontal bar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bar provided with a cross bar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uter sole provided with an outer sole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실시예 1Example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입면 분할 창호(1000)는 외창을 통해 내창으로 유입되는 물을 방해하는 입면 분할 창호(1000)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입면 분할 창호(1000)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다. 도 2는 도 1의 외창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 단면도다. 도 3은 도 1의 가로바 바디를 A 방향으로 바라본 후면도이다. The elevation split window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ion split window 1000 that blocks water flowing into the inner window through the outer window.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ion split window 1000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outer sole of FIG. 1 . 3 is a rear view of the transverse bar body of FIG. 1 viewed in the A direc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입면 분할 창호(1000)는 창틀(100) 및 창짝부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1, the elevation split window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dow frame 100 and a window jjjak.

창틀(100)은 외창(110)과, 내창(120)과, 가로바(13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창(120)은 외창(110)으로부터 실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가로바(130)는 외창(110)의 개구를 상부 개구(S1)와 하부 개구(S2)로 구획하도록 외창(110)에 설치되는 가로바 바디(13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ndow frame 100 may include an outer sole 110 , an inner window 120 , and a horizontal bar 130 . The inner window 120 may be located on the indoor side from the outer window 110 . The transverse bar 130 may include a transverse bar body 131 installed in the outer window 110 to divide the opening of the outer window 110 into an upper opening S1 and a lower opening S2 .

창짝부는 실외측 상부 창짝(210)과 실외측 하부 창짝(220)과 실내측 창짝(23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측 상부 창짝(210)은 가로바(130)가 구획하는 외창(110)의 상부 개구(S1)에 설치될 수 있다. 실외측 하부 창짝(220)은 가로바(130)가 구획하는 외창(110)의 하부 개구(S2)에 설치될 수 있다. 실내측 창짝(230)은 내창(12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창짝부는 단일 창인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The changjjak unit may include an outdoor upper changjjak 210 , an outdoor lower changjjak 220 , and an indoor changjjak 230 . The outdoor upper window sill 210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opening S1 of the outer window 110 partitioned by the horizontal bar 130 . The lower outdoor window pane 220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opening S2 of the outer window 110 partitioned by the horizontal bar 130 . The indoor window sill 230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window 120 . Although the window jjjja part shown in FIGS. 1 to 6 is a single window,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내창(120)은 내창 바디(123)와, 내창 물막이턱(121)을 포함할 수 있다. 내창 물막이턱(121)은 내창 바디(123)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상면은, 내면 중 상측을 바라보는 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내창 바디(123)의 상면은, 내창 바디(123)의 내측면 중 상측을 바라보는 면을 의미한다. The inner sole 120 may include an inner sole body 123 and an inner sole clap claw 121 . The inner window clap claw 121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window body 123 . Hereinafter, the upper surface means a surface facing the upper side among the inner surfaces.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ole body 123 means a surface facing the upper side am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inner sole body 123 .

내창 물막이턱(121)의 내창 바디(123)의 상면에 대한 연결은 직접적인 것이거나 다른 구성을 통한 간접적인 것일 수 있다. 내창 물막이턱(121)은 내창 바디(123)의 상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들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창 물막이턱(121)은 내창 바디(123)의 상면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내창 바디(123)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내측 방향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of the inner sole clapboard jaw 121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ole body 123 may be direct or indirect through another configuration. The inner sole clap claw 121 may extend in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ole body 123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inner sole claw 121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ole body 123 and extend in the inner direction awa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ole body 123 . .

내창 물막이턱(121)은 가로바 바디(13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창 물막이턱(121)의 실외측 외면은 상측에 배치되는 가로바 바디(131)의 실내측 외면으로부터 실내측 방향으로 수평 거리(D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수평 거리(D1)는 낙수가 가로바(130)로부터 하측을 향해 낙하되는 지점과 내창 물막이턱(121)의 사이의 수평적 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창 물막이턱(121)의 실외측 외면과 가로바 바디(131)의 실내측 외면은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도 서로 이격될 수 있다. The inner window water curtain 121 may be disposed below the horizontal bar body 131 .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window clapper 12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door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body 131 disposed on the upper side by a horizontal distance D1 in the indoor direction. The horizontal distance D1 may be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point at which the falling water falls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bar 130 and the inner window clapboard 121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outdoor-side outer surface of the inner window clapboard 121 and the indoor-sid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body 13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as well as a horizontal direction.

내창 물막이턱(121)의 실외측 외면이 상측에 배치되는 가로바 바디(131)의 실내측 외면으로부터 실내측 방향으로 이격됨으로써, 가로바 바디(131)의 실내측 말단으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내창(120)의 실외측으로 낙하되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실외측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내창(12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Since the outdoor surface of the inner window water barrier 121 is spaced apart from the indoor outer surface of the cross bar body 131 disposed on the upper side in the indoor direction, water falling from the indoor end of the cross bar body 131 is transferred to the inner window ( 120) can be dropped to the outdoor side. As a result, water flowing from the outdoor side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ner window 120 .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가로바(130)는 가로바 물막이턱(1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바 물막이턱(132)은 실외측 상부 창짝(210)으로부터 실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가로바 물막이턱(132)은 가로바 바디(131)의 상면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로바 물막이턱(132)의 가로바 바디(131)의 상면에 대한 연결은 직접적인 것이거나 다른 구성을 통한 간접적인 것일 수 있다.The transverse bar 1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ansverse bar clap claw 132 . As shown in FIG. 1 , the horizontal bar cladding 13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door upper window sill 210 toward the indoor side. The transverse water curtain jaw 132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bar body 131 and extend upward. The connectio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ross bar body 131 of the cross bar clap chin 132 may be a direct one or an indirect one through another configuration.

가로바 물막이턱(132)이 구비됨으로써, 가로바 바디(131)의 상면에는 담수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 담수공간(S3)이 형성됨으로써, 실외측으로부터 상부 개구(S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담수공간(S3)에 고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로바 물막이턱(132)은 담수공간(S3)을 형성함으로써, 상부 개구(S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가로바 바디(131)의 실내측 말단으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By being provided with the horizontal bar water block 132, a fresh water space S3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body 131 . As the fresh water space S3 is formed, water flowing in from the outdoor side through the upper opening S1 may accumulate in the fresh water space S3. As a result, the crossbar water barrier 132 forms a fresh water space S3, thereby preventing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upper opening S1 from falling from the indoor end of the crossbar body 131 .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외창(110)은 실외측 하부 창짝(220)이 설치되는 하부 수평프레임(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측 하부 창짝(220)은 가로바 바디(131)의 하면과 하부 수평프레임(111)의 상면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The outer window 1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ower horizontal frame 111 in which the lower outdoor side window sill 220 is installed. That is, as shown in FIG. 2 , the lower outdoor window pane 22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body 13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11 .

하부 수평프레임(111)은 하부 수평프레임 바디(111a)와, 하부 가이드(111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가이드(111b)는 하부 수평프레임 바디(111a)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 가이드(111b)의 하부 수평프레임 바디(111a)의 상면에 대한 연결은 직접적인 것이거나 다른 구성을 통한 간접적인 것일 수 있다. 하부 가이드(111b)가 하부 수평프레임 바디(111a)의 상면에 연결됨으로써 실외측 하부 창짝(220)이 하부 수평프레임(111)에 설치될 수 있다. The lower horizontal frame 111 may include a lower horizontal frame body 111a and a lower guide 111b. The lower guide 111b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body 111a. The connection of the lower guide 111b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body 111a may be direct or indirect through other configurations. As the lower guide 111b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body 111a , the lower outdoor window pane 220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horizontal frame 111 .

하부 가이드(111b)는 내창 물막이턱(121)으로부터 실외측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가이드(111b)의 실내측 외면과 내창 물막이턱(121)의 실외측 외면은 하부 담수공간(S4)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가이드(111b)는 실외측 하부 창짝(220)이 슬라이드 되게 마련되는 레일이거나, 실외측 하부 창짝(220)이 고정되게 마련되는 고정부재일 수 있다. The lower guide 111b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indow water curtain 121 to the outside. The indoor outer surface of the lower guide 111b and the outdoor outer surface of the inner window water barrier 121 may form a lower freshwater space S4. The lower guide 111b may be a rail on which the outdoor lower spearhead 220 is slid, or a fixing member on which the outdoor lower spearhead 220 is fixed.

도 2를 참조하면, 하부 수평프레임(111)은 배수유로(11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유로(111c)는 하부 담수공간(S4)과 실외를 연통시킬 수 있다. 배수유로(111c)는 하부 수평프레임 바디(111a)의 내부를 통하여 하부 담수공간(S4)과 실외를 연통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배수유로(111c)는 하부 가이드(111b)의 하부에 형성되어 하부 담수공간(S4)과 실외를 연통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lower horizontal frame 111 may further include a drain passage 111c. The drain passage 111c may communicate the lower freshwater space S4 with the outdoors. The drain passage 111c may communicate the lower freshwater space S4 and the outdoors through the insid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body 111a. As another example, the drain passage 111c may be formed under the lower guide 111b to communicate the lower freshwater space S4 with the outdoors.

하부 가이드(111b)가 구비됨으로써 하부 담수공간(S4)이 형성될 수 있고, 가로바 바디(131)의 실내측 말단으로부터 낙하된 물이 하부 가이드(111b)의 실내측 외면과 내창 물막이턱(121)의 실외측 외면이 형성하는 하부 담수공간(S4)에 모일 수 있다. 또한, 하부 담수공간(S4)과 실외를 연통시키는 배수유로(111c)를 통해 하부 담수공간(S4)의 담수가 실외로 유출될 수 있다. By providing the lower guide 111b, a lower fresh water space S4 may be formed, and water falling from the indoor end of the horizontal bar body 131 is disposed on the indoor outer surface of the lower guide 111b and the inner window water barrier 121 ) can be gathered in the lower freshwater space (S4) formed by the outer surface of the outdoor side. In addition, the fresh water in the lower fresh water space S4 may flow out to the outdoors through the drain passage 111c that communicates the lower fresh water space S4 with the outdoors.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외측 상부 창짝(210)은 실외측 상부 창짝 하단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측 상부 창짝 하단부(211)에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드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outdoor side changjak 210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ower outdoor side upper changjjak lower end 211 . A slide member provided to move along the rail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211 of the upper window sill on the outdoor side.

가로바(130)는 가로바 레일(1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로바 레일(136)은 가로바 물막이턱(132)으로부터 실외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로바 레일(136)은 가로바 바디(131)의 상면에 결합되고 슬라이드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The transverse bar 130 may further include a transverse bar rail 136 . The transverse bar rail 136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ransverse bar cladding 132 to the outside. The transverse bar rail 136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bar body 131 and connected to the slide member.

실외측 상부 창짝(210)은 가스켓(2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212)은 실외측 상부 창짝 하단부(211)에 결합되고, 가로바 레일(136) 또는 가로바 바디(131)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The outdoor upper window sill 210 may further include a gasket 212 . The gasket 212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211 of the upper window sill 211 on the outdoor side, and may exten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cross bar rail 136 or the cross bar body 131 .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212)은 실외측 상부 창짝 하단부(211)를 이루는 양단 중, 실내측에 위치하는 단의 실내측 면에 결합될 수 있다. 가스켓(212)의 실외측 상부 창짝 하단부(211)에 대한 결합은 가스켓(212)이 실외측 상부 창짝 하단부(211)가 구비하는 소정의 흠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결합일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gasket 212 may be coupled to an indoor surface of an end positioned on the indoor side among both ends constituting the lower part of the upper window sill 211 on the outdoor side. The coupling of the gasket 212 to the lower part 211 of the upper part of the window sill 211 may be a coupling in which the gasket 212 is elastically fitted into a predetermined flaw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211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outdoor part 211 .

가스켓(212)은 실외측 상부 창짝 하단부(211)와 가로바 바디(131)의 사이를 통해 실외측으로부터 실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단열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측 상부 창짝(210)이 가로바 레일(136)을 따라 이동하기 위하여 가로바 바디(131)의 일부와의 접촉이 해제되더라도, 가스켓(212)이 실외측 상부 창짝 하단부(211)와 가로바 바디(131)의 상면의 사이의 접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단열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The gasket 212 may prevent air from flowing from the outdoor side to the indoor side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outdoor upper upper window sill lower end 211 and the horizontal bar body 131 , and as a result, may generate a thermal insulation effect. For example, even if the contact with a part of the cross bar body 131 is released in order for the outdoor upper window sill 210 to move along the cross bar rail 136 , the gasket 212 is formed at the lower end 211 of the outdoor upper window sill 211 . )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bar body 131 by maintaining a contact state can improve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가로바(130)는 가이드 판(13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판(134)은 가로바 바디(131)의 외면 중 하측을 바라보는 면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판(134)은 가로바 바디(131)의 하측을 바라보는 면 중 실내측 말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판(134)은 하측을 향하여 실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The transverse bar 130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uide plate 134 . The guide plate 134 may be connected to a surface facing the low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body 131 . The guide plate 13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indoor end of the side facing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bar body 131 . The guide plate 134 may be inclinedly extended in an outdoor direction toward a lower side.

가이드 판(134)이 배치됨으로써, 가로바 바디(131)의 실내측 외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흐르는 낙수가 가이드 판(134)을 따라 실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결국, 수평 거리(D1)가 증가할 수 있다. By disposing the guide plate 134 , the falling water flowing downward along the indoor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body 131 may be guided in a direction toward the outdoor side along the guide plate 134 . As a result, the horizontal distance D1 may increase.

가로바(130)는 가이드 패턴(135)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패턴(135)은 가로바 바디(131)의 실내측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패턴(135)은 가로바 바디(131)의 실내측 외면의 중앙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양측으로부터, 가로바 바디의 실내측 외면의 중앙을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패턴(135)은 가로바 바디(131)의 실내측 외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bar 130 may include a guide pattern 135 . The guide pattern 135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body 131 . The guide pattern 135 may extend from both sides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indoor outer surface of the cross bar body 131 to be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center of the indoor outer surface of the cross bar body. The guide pattern 135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indoor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body 131 .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패턴(135)는 하측을 향하는 노치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패턴(135)은 가로바 바디(131)의 실내측 외면의 상하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guide pattern 135 may have a shape of a notch facing downward. In addition, a plurality of guide patterns 135 may be provid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indoor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body 131 .

가이드 패턴(135)이 구비됨으로써, 가로바 바디(131)의 실내측 외면을 따라 흐르는 낙수가 가로바 바디(131)의 실내측 외면의 소정의 부위을 향해 집수(集水)될 수 있다. By providing the guide pattern 135 , falling water flowing along the indoor outer surface of the cross bar body 131 may be collected toward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indoor outer surface of the cross bar body 131 .

실시예 2Example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외창 모듈(312), 내창 모듈(322) 및 가로바 모듈(333)이 각각 구비된 입면 분할 창호(2000)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가로바 모듈(333)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외창 모듈(312)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실시예 2에 따른 입면 분할 창호(2000)는 외창 모듈(312), 내창 모듈(322) 및 가로바 모듈(333)에 있어 실시예 1에 따른 입면 분할 창호(1000)와 차이가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입면 분할 창호(1000)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ion split window 2000 provided with an outer window module 312, an inner window module 322, and a horizontal bar module 333, respective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nsverse bar module 333 of FIG. 4 . 6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er sole module 312 of FIG. 4 . The elevation split window 2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elevation split window door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e outer window module 312 , the inner window module 322 , and the horizontal bar module 333 .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equivalent configuration as the elevation split window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내창(320)은 내창 모듈(3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창 모듈(322)은 내창(320)과 실내측 창짝(4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내창 모듈(322)에는 실내측 창짝(430)이 설치될 수 있다. The inner sole 3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ner sole module 322 . As shown in FIG. 4 , the inner window module 32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window 320 and the indoor window sill 430 . The inner window module 322 may be provided with an indoor window pair 430 .

내창 모듈(322)은 내창 모듈 바디(322a)를 포함할 수 있다. 내창 모듈 바디(322a)의 상면에는 내창 물막이턱(321)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내창 물막이턱(321)은 내창 모듈 바디(322a)를 통하여 내창 바디(323)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도록 내창 모듈 바디(322a)에 결합될 수 있다. 내창 모듈 바디(322a)의 외측면은 내창 바디(323)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insole module 322 may include an insole module body 322a. An inner window water barrier 32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window module body 322a. That is, the inner sole clap claw 321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ole module body 322a so as to be indirectly connected to the inner sole body 323 through the inner sole module body 322a.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ole module body 322a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ole body 323 .

내창 모듈(322)은 내창 모듈 레일(32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창 모듈 레일(322b)은 내창 물막이턱(321)으로부터 실내측으로 이격되어 내창 모듈 바디(322a)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내창 모듈 레일(322b)에는 실내측 창짝(430)이 설치될 수 있다. The insole module 322 may further include an insole module rail 322b. The inner window module rail 322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indow water curtain 321 toward the inside and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window module body 322a. The inner window module rail 322b may be provided with an indoor window sill 430 .

내창 모듈 바디(322a)의 외측 면은 내창 바디(323)의 내측 면에 결합될 수 있다. 내창 모듈 바디(322a)의 상면에 결합되는 내창 물막이턱(321)은 실외측 말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내창 모듈 바디(322a)의 상면과 결합될 수 있다. 내창 모듈 레일(322b)은 내창 물막이턱(321)으로부터 실내측으로 이격되어 내창 모듈 바디(322a)의 상면에 결합되어 실내측 창짝(430)을 수용할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ole module body 322a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ole body 323 . The insole clap claw 321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sole module body 322a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sole module body 322a so as to extend inwardly from the outer end. The inner window module rail 322b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indow clapboard 321 to the indoor side an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window module body 322a to accommodate the indoor window sill 430 .

내창 모듈(322)이 구비됨으로써, 입면 분할 창호(2000)의 조립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By being provided with the inner window module 322, the assembly of the elevation split window 2000 can be easily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외창(310)은 외창 모듈(3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창 모듈(312)은 외창(310)과 실외측 하부 창짝(4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외창 모듈(312)에는 실외측 하부 창짝(420)이 설치될 수 있다. The outsole 3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utsole module 312 . As shown in FIGS. 4 and 6 , the outer window module 31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window 310 and the lower outdoor window sill 420 . That is, the lower outdoor window pane 420 may be installed in the outer window module 312 .

외창 모듈(312)은 외창 모듈 바디(312a)를 포함할 수 있다. 외창 모듈 바디(312a)의 상면에는 하부 가이드(311b)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부 가이드(311b)는 외창 모듈 바디(312a)를 통하여 외창(310)의 상면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도록 외창 모듈 바디(312a)에 결합될 수 있다. 외창 모듈 바디(312a)의 외측 면은 하부 수평프레임 바디(311a)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outsole module 312 may include an outsole module body 312a. A lower guide 311b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module body 312a. That is, the lower guide 311b may be coupled to the outsole module body 312a so as to be indirect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310 through the outsole module body 312a.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ole module body 312a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body 311a.

외창 모듈 바디(312a)의 상면에 하부 가이드(311b)가 배치됨으로써, 하부 담수공간(S4)은 외창 모듈 바디(312a)의 상면에서, 하부 가이드(311b)와 내창 물막이턱(32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바(330)의 실내측 말단으로부터 낙하된 물이 하부 담수공간(S4)에 모일 수 있다.By disposing the lower guide 311b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sole module body 312a, the lower fresh water space S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sole module body 312a, between the lower guide 311b and the inner sole water barrier 321. can be formed. As shown in FIG. 4 , water falling from the indoor end of the horizontal bar 330 may be collected in the lower freshwater space S4 .

외창 모듈(312)은 외창 모듈 배수유로(312b)를 포함할 수 있다. 외창 모듈 배수유로(312b)는 하부 담수공간(S4)과 실외를 연통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창 모듈 배수유로(312b)는 하부 가이드(311b)의 하측에 마련된 개구를 통하여 하부 담수공간(S4)과 실외를 연통시킬 수 있다. The outsole module 312 may include an outsole module drain passage 312b. The outer window module drain passage 312b may communicate the lower freshwater space S4 and the outdoors. For example, the outer window module drain passage 312b may communicate the lower freshwater space S4 and the outdoors through an opening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lower guide 311b.

다른 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창 모듈 배수유로(312b)는 외창 모듈 바디(312a)의 내측을 통하여 배수유로(311c)에 연결되어, 외창 모듈 바디(312a)의 내측과 하부 수평프레임(311)의 내측을 통하여 하부 담수공간(S4)과 실외를 연통시킬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6 , the outsole module drain passage 312b is connected to the drain passage 311c through the inner side of the outsole module body 312a, so that the inner and lower sides of the outsole module body 312a are horizontal.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the lower freshwater space (S4) and the outdoors through the inside of the frame (311).

외창 모듈(312)이 구비됨으로써, 입면 분할 창호(2000)의 조립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By being provided with the outer window module 312, the assembly of the facade split window 2000 can be easily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가로바(330)는 가로바 모듈(333)을 더 포함할 수 잇다. 가로바 모듈(333)의 상면에는 실외측 상부 창짝(410)이 배치될 수 있다. The transverse bar 3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nsverse bar module 333 .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module 333, an outdoor upper window sill 410 may be disposed.

가로바 모듈(333)은 가로바 모듈 바디(333a)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바 모듈 바디(333a)의 상면에는 가로바 물막이턱(332)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바 물막이턱(332)은 가로바 모듈 바디(333a)의 상면에 결합되어 가로바 바디(331)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bar module 333 may include a horizontal bar module body 333a. A transverse bar water curtain 332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bar module body 333a. As shown in FIG. 5 , the transverse bar water curtain 332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bar module body 333a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bar body 331 .

가로바 물막이턱(332)이 가로바 모듈 바디(333a)의 상면에 배치됨으로써, 가로바 물막이턱(332)과 가로바 모듈 바디(333a)의 상면은 담수공간(S3)을 형성할 수 있다. 결국, 상부 개구(S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가로바 바디(331)의 실내측 말단으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Since the horizontal bar water block 332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module body 333a,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water block 332 and the horizontal bar module body 333a may form a fresh water space S3. As a result, it may prevent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upper opening S1 from falling from the indoor end of the horizontal bar body 331 .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가로바 모듈(333)은 가로바 모듈 레일(333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로바 모듈 레일(333b)은 가로바 물막이턱(332)으로부터 실외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로바 모듈 레일(333b)은 가로바 모듈 바디(333a)의 상면에 결합되고 슬라이드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The transverse bar module 333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nsverse bar module rail 333b. The horizontal bar module rail (333b)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orizontal bar water curtain (332) to the outside. The transverse bar module rail 333b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bar module body 333a and connected to the slide member.

가로바 바디(331)의 상면에는 가로바 모듈(333)이 배치될 수 있다. 가로바 모듈 바디(333a)의 상면에는 가로바 모듈 레일(333b)이 배치될 수 있다. 실외측 상부 창짝(410)은 가로바 모듈 레일(333b)에 설치될 수 있다. A transverse bar module 333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bar body 331 . A transverse bar module rail 333b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bar module body 333a. The outdoor upper window sill 410 may be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ar module rail 333b.

실외측 상부 창짝(410)은 가스켓(4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412)은 실외측 상부 창짝 하단부(411)에 결합되고, 가로바 모듈 레일(333b) 또는 가로바 모듈 바디(333a)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The outdoor upper window sill 410 may further include a gasket 412 . The gasket 412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411 of the upper window sill on the outdoor side, and may exten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bar module rail 333b or the transverse bar module body 333a.

예를 들어, 가스켓(412)은 실외측 상부 창짝 하단부(411)를 이루는 양단 중, 실내측에 위치하는 일단의 실외측 면에 결합될 수 있다. 가스켓(412)의 실외측 상부 창짝 하단부(411)에 대한 결합은 가스켓(412)이 실외측 상부 창짝 하단부(411)가 구비하는 소정의 흠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결합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gasket 412 may be coupled to an outdoor surface of one end positioned on the indoor side among both ends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outdoor upper window sill 411 . The coupling of the gasket 412 to the lower part 411 of the upper window jap on the outdoor side may be a coupling in which the gasket 412 is elastically fitted into a predetermined flaw provided in the lower end part 411 of the upper window jip on the outdoor side.

가스켓(412)은 실외측 상부 창짝 하단부(411)와 가로바 모듈(333)의 사이를 통해 실외측으로부터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방해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단열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e gasket 412 may block the air flowing from the outdoor side to the indoor side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outdoor upper upper window sill lower end 411 and the horizontal bar module 333 , and as a result, may generate a thermal insulation effect.

예를 들어, 실외측 상부 창짝(410)이 가로바 모듈 레일(333b)을 따라 슬라이드하기 위하여 실외측 상부 창짝(410)이 가로바 모듈(333)의 실외측 내측면으로부터 실내측 방향으로 이격되더라도, 가스켓(412)이 실외측 상부 창짝 하단부(411)와 가로바 모듈 바디(333a)의 상면의 접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단열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in order for the outdoor upper window sill 410 to slide along the transverse bar module rail 333b, even if the outdoor upper sash 41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door inner surface of the transverse bar module 333 in the indoor direction , the gasket 412 maintains a contact state between the lower portion 411 of the upper window sill 4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module body 333a, thereby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가로바 모듈(333)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가로바 모듈(333)이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가로바 모듈(333)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The transverse bar module 333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aluminum. Since the transverse bar module 333 is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aluminum, the weight of the transverse bar module 333 can be reduc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300: 창틀
110, 310: 외창
111, 311: 하부 수평프레임
111a, 311a: 하부 수평프레임 바디
111b, 311b: 하부 가이드
111c, 311c: 배수유로
120, 320: 내창
121, 321: 내창 물막이턱
123, 323: 내창 바디
130, 330: 가로바
131, 331: 가로바 바디
132, 332: 가로바 물막이턱
134, 334: 가이드 판
135, 335: 가이드 패턴
136: 가로바 레일
210, 410: 실외측 상부 창짝
211, 411: 실외측 상부 창짝 하단부
212, 412: 가스켓
220, 420: 실외측 하부 창짝
230, 430: 실내측 창짝
312: 외창 모듈
312a: 외창 모듈 바디
312b: 외창 모듈 배수유로
322: 내창 모듈
322a: 내창 모듈 바디
322b: 내창 모듈 레일
333: 가로바 모듈
333a: 가로바 모듈 바디
333b: 가로바 모듈 레일
S1: 상부 개구
S2: 하부 개구
S3: 담수공간
S4: 하부 담수공간
100, 300: window frame
110, 310: outsole
111, 311: lower horizontal frame
111a, 311a: lower horizontal frame body
111b, 311b: lower guide
111c, 311c: drain passage
120, 320: inner sole
121, 321: inner sole clapboard
123, 323: inner sole body
130, 330: horizontal bar
131, 331: horizontal bar body
132, 332: Garrobar clapboard
134, 334: guide plate
135, 335: guide pattern
136: transverse bar rail
210, 410: the upper window of the outdoor side
211, 411: the lower part of the upper window of the outdoor side
212, 412: gasket
220, 420: the lower window of the outdoor side
230, 430: window sills on the indoor side
312: outsole module
312a: outsole module body
312b: Outer window module drain passage
322: inner sole module
322a: Insole module body
322b: Insole module rail
333: transverse bar module
333a: transverse bar module body
333b: transverse bar module rail
S1: upper opening
S2: lower opening
S3: fresh water space
S4: lower freshwater space

Claims (9)

외창과, 상기 외창의 실내 측에 위치하는 내창과, 상기 외창의 개구를 상부 개구와 하부 개구로 구획하도록 상기 외창에 설치되는 가로바 바디를 구비하는 가로바를 포함하는 창틀; 및
상기 상부 개구에 위치하는 실외측 상부 창짝과, 상기 하부 개구에 위치하는 실외측 하부 창짝과, 상기 내창에 설치되는 실내측 창짝을 포함하는 창짝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창은,
내창 바디; 및
상기 가로바 바디의 실내측 말단으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상기 내창의 실외측으로 낙하되도록, 상기 가로바 바디의 하측에 배치되고, 실외측 외면이 상기 가로바 바디의 실내측 외면으로부터 실내측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내창 바디의 내면 중 상측을 바라보는 면인 상면에 연결되고, 상기 내창 바디의 상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내창 물막이턱을 포함하는, 입면 분할 창호.
a window frame including an outer window, an inner window positioned on the indoor side of the outer window, and a transverse bar having a transverse bar body installed on the outer window to divide an opening of the outer window into an upper opening and a lower opening; and
a changjjak part including an outdoor upper changjak positioned in the upper opening, an outdoor lower changjak positioned in the lower opening, and an indoor changjak installed in the inner window,
The inner window is
Insole body; and
It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cross bar body so that water falling from the indoor end of the cross bar body falls to the outdoor side of the inner window, and the outdoor oute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indoor outer surface of the cross bar body in the indoor direction , Elevation split window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ole body, which is a surface facing the upper side, and including an inner window clapboard extending i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window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는,
상기 가로바 바디의 상면에 담수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실외측 상부 창짝으로부터 실내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가로바 바디의 상면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로바 물막이턱을 포함하는, 입면 분할 창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bar is
Elevation split windows are spaced apart from the outdoor upper window so as to form a fresh water spa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oss bar body, and include a cross bar cladding that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ross bar body and extends upw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창은,
상기 실외측 하부 창짝이 설치되는 하부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은,
하부 수평프레임 바디;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 바디의 상면에 연결되어 상기 실외측 하부 창짝에 연결되고, 상기 내창 물막이턱으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상기 내창 물막이턱과의 사이에서 하부 담수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가이드; 및
상기 하부 담수공간의 담수가 실외측으로 유출되도록, 상기 하부 담수공간과 실외를 연통시키는 배수유로를 포함하는, 입면 분할 창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window is
Including a lower horizontal frame on which the outdoor lower window sill is installed,
The lower horizontal frame,
lower horizontal frame body;
a lower guid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body, connected to the outdoor lower window,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indow water barrier to form a lower freshwater space between the inner window water barrier and the inner window water barrier; and
and a drainage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lower freshwater space and the outdoors so that the freshwater of the lower freshwater space flows out to the outdoor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창은,
상기 실내측 창짝이 배치되는 내창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내창 모듈은,
상면에는 상기 내창 물막이턱이 배치되고, 외측 면은 상기 내창 바디의 내측 면에 결합되는 내창 모듈 바디; 및
상기 내창 물막이턱으로부터 실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내창 모듈바디의상면에 결합되고, 실내측 창짝이 설치되게 마련되는 내창 모듈 레일을 포함하는, 입면 분할 창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window is
Including an inner window module in which the indoor window is disposed,
The inner window module,
an inner window module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on which the inner window water curtain is disposed, and an outer surface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window body; and
Including an inner window module rail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indow clapboard to the indoor side,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window module body, and is provided to install an indoor window sil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창은,
상기 실외측 하부 창짝이 배치되는 외창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외창 모듈은,
상면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가 배치되고, 외측 면은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 바디의 내측 면에 결합되는 외창 모듈 바디; 및
상기 하부 담수공간의 담수가 실외측으로 유출되도록, 상기 하부 담수공간과 실외를 연통시키는 외창 모듈 배수유로를 포함하는, 입면 분할 창호.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outer window is
It includes an outer window module on which the lower window pane on the outdoor side is disposed,
The outer window module,
The lower guide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indow module bod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body; and
and an outer window module drainage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lower freshwater space and the outdoors so that the freshwater of the lower freshwater space flows out to the outdoor sid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는,
상기 실외측 상부 창짝이 배치되는 가로바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 모듈은,
상면에는 상기 가로바 물막이턱이 배치되고, 외측면은 가로바 바디에 결합되는 가로바 모듈 바디를 포함하는, 입면 분할 창호.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horizontal bar is
It further comprises a horizontal bar module on which the outdoor upper window is disposed,
The horizontal bar module,
On the upper surface, the horizontal bar cladding is arranged, and the outer surface includes a horizontal bar module body coupled to the horizontal bar body, an elevation split window.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 모듈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입면 분할 창호.
7. The method of claim 6,
The horizontal bar module is composed of a material containing aluminum, an elevation split window.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는,
상기 가로바 바디의 실내측 외면을 따라 흐르는 낙수를 실외측 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가로바 바디의 하측을 바라보는 면 중 실내측 말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실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 판을 포함하는, 입면 분할 창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bar is
Elevation comprising a guide plate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indoor end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facing the lower side of the cross bar body to guide the falling water flowing along the indoor outer surface of the cross bar body in the outdoor direction. split window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는,
상기 가로바 바디의 실내측 외면에 배치되는 가이드 패턴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패턴은,
상기 가로바 바디의 실내측 외면을 실외측 방향으로 바라볼 때, 상기 가로바 바디의 실외측 외면을 따라 흐르는 낙수가 가이드되도록 하방을 향하는 노치의 형상인, 입면 분할 창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bar is
Further comprising a guide pattern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terior side of the horizontal bar body,
The guide pattern is
When the indoor outer surface of the cross bar body is viewed in the outdoor direction, the shape of a notch facing downward so that the falling water flowing along the outdoor outer surface of the cross bar body is guided.
KR1020200148774A 2020-11-09 2020-11-09 Divided Window KR2022006297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774A KR20220062973A (en) 2020-11-09 2020-11-09 Divided Wind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774A KR20220062973A (en) 2020-11-09 2020-11-09 Divided Wind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973A true KR20220062973A (en) 2022-05-17

Family

ID=81799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774A KR20220062973A (en) 2020-11-09 2020-11-09 Divided Wind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297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5925B1 (en) Window drain
KR102060165B1 (en) Glass handrail and window having the same
KR101896771B1 (en) Windows having draining water structure
JP2007113194A (en) Opening device
KR101467319B1 (en) Sliding windows preventing rainwater
KR20220062973A (en) Divided Window
KR20210104328A (en) Drainage structure of window frame with watertightness improved by stepped frame
JP2018105016A (en) Eaves drainage structure
JP2023166656A (en) ventilation structure
KR102464446B1 (en) Windowsill unit
JP4686376B2 (en) Joinery
JPS609622B2 (en) building wall structure
JP3138860B2 (en) Horizontal gullari
JP2006291476A (en) Sash frame
JPH064293U (en) Bottom frame watertight device for sliding window
PL174589B1 (en) Sealing arrangement for glass panel holding window frame
KR102035219B1 (en) Divided window with easy drainage
KR102558132B1 (en) Detachable rail on the window frame to prevent overflow
JPH0116876Y2 (en)
JP3730896B2 (en) building
KR102579839B1 (en) bottom structure of windows for preventing inflow of water
KR101929920B1 (en) High-tightness window with crash protection
JPS6345489Y2 (en)
JP7425671B2 (en) fittings
JP2004270441A (en) Flat sill-equipped sash for external op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