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2073A - 누설없이 농축물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누설없이 농축물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073A
KR20220062073A KR1020227012031A KR20227012031A KR20220062073A KR 20220062073 A KR20220062073 A KR 20220062073A KR 1020227012031 A KR1020227012031 A KR 1020227012031A KR 20227012031 A KR20227012031 A KR 20227012031A KR 20220062073 A KR20220062073 A KR 20220062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luid
blood treatment
treatment device
disp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2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윈프리드 브렘
필리프 라페이
게르하르트 위센
Original Assignee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6/568,579 external-priority patent/US20210077697A1/en
Priority claimed from EP19196998.9A external-priority patent/EP3791902A1/en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0866970.2A external-priority patent/CN112472894A/zh
Application filed by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62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61M1/1654Dialysates therefor
    • A61M1/1656Apparatus for preparing dialysates
    • A61M1/1668Details of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62Containers with provisions for hanging, e.g. integral adaptations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61M1/1654Dialysates therefor
    • A61M1/1656Apparatus for preparing dia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61M1/1654Dialysates therefor
    • A61M1/1656Apparatus for preparing dialysates
    • A61M1/1666Apparatus for preparing dialysates by dissolving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61M1/1654Dialysates therefor
    • A61M1/1656Apparatus for preparing dialysates
    • A61M1/1668Details of containers
    • A61M1/167Flexible packaging for solid concent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6Valves closing automatically on disconnecting the line and opening on reconnec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lmon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유체 투여 유닛에 쉽고 효율적이며 보다 위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부분을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 투여 유닛은, 유체 투여 유닛에 용기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유체 투여 유닛을 유체적으로 폐쇄하고 그리고 유체 투여 유닛에 용기의 연결 시에 유체 투여 유닛을 개방하는 밸브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체 투여 유닛으로부터 용기의 분리시 잠재적으로 발생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유출이 회피될 수 있다.

Description

누설없이 농축물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농축물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 및/또는 유체 투여(dosing) 유닛에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도록 구성된 용기 및 유체 투여 유닛/혈액 처치 디바이스, 바람직하게는 신장 교체 요법을 위한 투석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유체 투여 유닛에 쉽고 효율적이며 보다 위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 투여 유닛은, 당해 유체 투여 유닛에 용기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유체 투여 유닛을 유체적으로 폐쇄하며 유체 투여 유닛에 용기의 연결 시에 유체 투여 유닛을 개방하는 밸브를 포함한다.
만성 혈액 처치, 특히 만성 투석의 경우, 오늘날 거의 배타적으로 중탄산염 기반 투석액이 사용되는데, 이는 처치 동안 산성 및 염기성 농축물, 바람직하게는, 분말 농축물을, 물로 희석시킴으로써 혈액 처치 디바이스 스스로/온라인으로 생성된다. 그러므로 염기성 농축물이 처치 동안 온라인으로 생성되는 것, 즉, 건조 농축물/분말 농축물을 물로 희석시킴으로써 액체 염기성 농축물이 처치 동안 연속적으로 생성되는 것이 확립된 관행이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건조 분말 농축물은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된 용기에 제공되어 건조 농축물을 용해시키기 위한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의해 물이 용기 안으로 제공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염기성 액상 농축물/중탄산염 용액은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의해 농축물 용기로부터 회수된다. 이러한 전통적인 농축물 용기는 예를 들어, EP1344550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전통적인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서, 농축물 용기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소독/헹굼 동안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유압 시스템/유체 시스템에 연결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의료인은 처치를 위해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소독/헹굼 후 및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체외 회로를 준비/프라이밍(priming) 하기 전에 농축물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연결해야 한다.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소독/헹굼 후 그리고 처치를 위한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체외 회로를 준비/프라이밍하기 전에, 농축물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힘이 필요하다.
혈액 처치 디바이스 및 농축물 용기를 가능한 한 사용자 친화적으로 만들기 위해, 통상적으로 혈액 처치 기기 및 그에 대응하는 농축물 용기는 용기의 연결 요소가 기기의 연결 요소에 하향하는 움직임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중력이 용기의 연결 요소가 기기의 연결 요소로/에 대해 이동하는 것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컨피겨레이션은 처치가 종료하고 농축물 용기가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서 제거된 후 (용기의 연결 요소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에 위에서 하향하는 움직임으로 이동함으로써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대응 연결 요소에 커플링 될 수 있도록 하는) 용기의 연결 요소의 개방이 하향으로 열리기 때문에 액상 농축물이 용기의 연결 요소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서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로부터 용기를 분리할 때 용기로부터 농축물을 회수하도록 구성된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회수 라인으로부터 액상 농축물이 유출되거나, 누출되거나 떨어질 수 있다. 액상 농축물은 용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위생적이지 않은 이러한 유출에 대한 추가적인 단점으로서 결정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액상 농축물은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에 수집되어 바람직하지 않는 결정화를 일으켜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의 잠재적인 클로깅을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혈액 처치 디바이스로부터 용기를 제거하는 동안 액상 농축물의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쏟아짐(spilling)/떨어짐을 방지하는, 용기, 및/또는 용기와 유체 투여 시스템/혈액 처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따라서 위생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은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로부터 떨어지는 임의의 액적을 수집하고/하거나 애당초 그러한 떨어짐/쏟아짐/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를 사용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개방 요소(들)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들)가 용기의 개방 요소(들)에 위에서 아래로의 동작으로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용기가 위로의 동작으로 움직여서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들)이 용기의 개방 요소(들)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향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 투여 유닛/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용기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용기가 부재할 때 유체 투여 유닛/혈액 처치 디바이스로부터 액적이 없도록, 유체 투여 유닛/혈액 처치 디바이스를 유체적으로 폐쇄하는 밸브가 유체 투여 유닛/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임의의 시점에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부착할 수 있어서, 혈액 처치 디바이스가 필요할 때 용기에 후속 연결을 위해 올바르게 설정될 수 있다는 점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유체가 혈액 처치 디바이스부터 용기 내로 용기의 연결 부분을 통해 선형 채널의 형태로 연결 요소를 따라 흐르기 때문에 제조하기가 더 용이하고 더 저렴한 용기를 제공한다. 즉, 연결 부분이 일반적으로 하향의 움직임을 통해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연결된다는 사실로 연결 부분의 하면에서 개구가 개방되는 설계를 지시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용기의 연결 부분의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의 연결 부분을 통한 유체 흐름은 엄격하게 선형/단방향이 아니라 유체가 다중 방향으로 우회되는데 이는 더 복잡한 설계 및 더 많은 재료를 필요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구조 및 특히 이들의 연결 부분의 구조는 필터로 하여금 용기의 유체 입구 및/또는 출구의 개구에 더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농축물용 용기는 농축물을 수용하기 위한 본체,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 부착 요소에 가역적으로 부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 및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와 유체적으로 커플링하기 위해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 연결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포함하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는 제1 방향으로 돌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는 제1 방향에 대해 본질적으로 직각으로 배향되는 제2 방향으로 돌출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가 돌출하는 제1 방향은 용기의 본체의 세로 축에 대해 본질적으로 직각으로 배향된다. 혈액 디바이스의 부착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제1 방향을 따라 용기의 부착 요소에 삽입된다. 만약 용기의 부착 요소가 후크(hook)-형상이라면 용기의 후크-형상의 부착 요소에 삽입되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부착 요소는 제1 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가 돌출하는 제2 방향이 용기의 본체의 세로 축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가, 용기의 본체 반대쪽의 용기의 단부면에서 개방되고 예컨대,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스파우트(spout) 같은 대응 연결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중공 실린더의 형태를 가지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용기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용기의 평탄한 (상부) 단부면에서 개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유체를 용기 내로 안내하기 위한 입구 또는 용기로부터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출구로서 작용할 수 있는 용기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는, 용기의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용기의 평탄한 (상부) 단부면으로부터 용기의 본체를 향하는 연결 부분의 단부면까지 용기의 연결 부분을 거쳐 직선으로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용기는 입구 및 출구 역할을 하는 2개의 연결 요소를 각각 갖고 있으며, 연결 요소 각각은, 용기의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용기의 평탄한 (상부) 단부면으로부터 용기의 본체를 향하는 연결 부분의 단부면까지 용기의 연결 부분을 거쳐 직선으로 돌출한다.
출구 및/또는 입구에서 유체 투과성 액터(actor)가, 유체 투여 유닛에 용기를 연결할 때, 유체 투여 유닛의 대응하는 연결 요소, 예컨대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유체 투여 유닛에서 밸브를 개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스터드(stud)로서 형성되고, 용기의 후크를 수용하기 위해 둘레방향의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대응 부착 요소 위에 후크되도록 구성된 후크로서 각각 형성된, 2개의 부착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가역적으로 부착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용기는 용기의 중공 실린더 내로 삽입되도록 스터드로서 형성된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대응 부착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중공 실린더로 각각 형성된 2개의 부착 요소를 포함하고, 그럼으로써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가역적으로 부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용기는, 용기의 본체로부터 반대쪽의/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용기의 단부면에서 개방되고, 예컨대,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스파우트같은, 대응 연결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중공 실린더의 형태인 2개의 연결 요소를 포함하고,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스파우트는 용기의 본체의 반대쪽의 용기의 단부면으로부터 용기의 본체를 향해 돌출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중공 실린더 내로 삽입된다.
용기 내에 수용된 농축물의 저장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적어도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필름의 형태인 리드에 의해 유리하게 밀봉되며, 이는 용기의 본체로부터 반대쪽의/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용기의 단부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예를 들어, 리드는 용기의 본체의 반대쪽의 용기의 단부면에 접착되거나 용접될 수 있다. 용기가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부착 및 연결될 때, 용기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의 개구를 포함하는 단부면은, 바람직하게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향하며 용기의 상부 단부면을 형성한다.
용기를 보다 사용자 친화적으로 만들기 위해, 리드를 형성하는 가요성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단부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되도록 구성된 표면을 포함한다. 즉, 가요성 필름의 표면은 표면 처리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용기의 단부면으로부터 가요성 필름을 용이하게 박리하게 함으로써 용기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가 노출되게 하고 그리고, 예를 들어, 용기가 건조 농축물로 채워질 수 있게 하는 예를 들어 용기의 중앙 개구가 노출되게 한다.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대한 용기의 정확한 장착을 보장하기 위해, 용기는 락앤키(lock-and-key) 컨피겨레이션에 따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용기는 하나의 규정된 장착 위치에서만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대한 용기의 부착을 허용하도록 상이한 사이즈 및/또는 기하학적 컨피겨레이션으로 형성된 2개의 부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혈액 처치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사이즈 및/또는 기하학적 컨피겨레이션의 2개의 대응 부착 요소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용기 또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는 하나의 규정된 장착 위치에서만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대한 용기의 유체적 커플링을 허용하도록 하는 상이한 사이즈 및/또는 기하학적 컨피겨레이션으로 형성된 2개의 연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혈액 처치 디바이스 및 용기는 2개의 대응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및/또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부착 요소 및/또는 연결 요소의 수는 임의적이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변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용기의 연결 요소에서, 유체 투여 유닛에 용기를 연결할 때, 유체 투여 유닛, 예를 들어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유체 투여 유닛의 대응하는 연결 요소에서 밸브를 여는 유체 투과성 액터가 배열된다.
예를 들어, 유체 투과성 액터는 용기를 유체 투여 유닛에 연결할 때 밸브 시트로부터 밸브 몸체를 제거하는 스파이크(spike)를 포함한다. 유체 투과성이기 위해, 유체 투과성 액터는 바람직하게는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루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와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된 혈액 처치 디바이스 및/또는 유체 투여 유닛, 바람직하게는 유체 투여 유닛을 포함하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혈액 처치 디바이스는 본체, 농축물용 용기의 대응 부착 요소가 부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 -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는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본질적으로 직각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본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음 -, 및 혈액 처치 디바이스를 농축물용 용기에 유체적으로 커플링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포함한다.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본체는 상면, 하면 및 4개의 측면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보는 방향에 따라,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측면을 전면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는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핀(pin) 또는 스터드의 형태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는 본체의 측면에 본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파우트의 형태를 갖는다.
혈액 처치 디바이스가, 이동할 수 있는 및/또는 전동 가이딩 요소를 더 포함하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는데, 왜냐하면 바람직하게는 공동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가 이동할 수 있는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전동 가이딩 요소에 장착되기 때문이다.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 바람직하게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를 용기에 유체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파우트가 가이딩 요소에 존재하는 공동에 수용됨으로써 혈액 처치 디바이스가 헹궈지도록 허용하는 제1 위치 내로 가이딩 요소가 이동되고/이동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가이딩 요소에 있는 공동은 폐쇄 회로 형성을 위해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내부 유체 회로를 단락 및/또는 폐쇄시켜 헹굼액이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서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딩 요소는 스파우트가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에 부착된 용기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제2 위치로 또한 이동되고/이동할 수 있다. 가이딩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수평 및/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가이딩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가이딩 요소, 특히 용기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에 부착된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에 대해 위치시켜 용기가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되도록 한다.
가이딩 요소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모터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딩 요소의 이동은 자동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가이딩 요소는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혈액 처치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가이딩 요소를 수동으로 이동하게 허용하는 레버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적으로,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 예를 들어, 스파우트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본체의 측면에 본질적으로 평행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본체의 바닥면을 향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본체의 상단면을 향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 요소에 부착된 용기가 가이딩 요소에 의해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 및 용기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가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는 상측으로 먼저 이동될 수 있다.
그 후,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는 예를 들어,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용기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에 삽입함으로써,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유체적으로 커플링하기 위해 가이딩 요소를 향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나중의 단계에서, 예를 들어, 용기에 수용된 농축물이 소진된 후,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용기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로부터 회수하기 위해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는 상측으로 다시 후퇴될 수 있고, 이에 용기 및 혈액 처치 디바이스는 서로 유체적으로 분리/디커플링된다.
혈액 처치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측면에 존재하는 돌출 부분을 더 포함한다. 가이딩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서랍 방식으로 돌출 부분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이딩 요소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측면에 본질적으로 직각인, 즉, 수평 방향으로 돌출 부분에 대해 슬라이딩 할 수 있게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는 돌출 부분에 장착되고 돌출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나오기 위해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측면에 본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바람직하게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바닥면을 향해 하측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측면에 본질적으로 평행한 수직 방향으로 돌출 부분 내로 후퇴될/이동될 수 있다.
가이딩 요소 및/또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의 이동은 자동으로 또는 비자동으로, 전동 및/또는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측면에 따르면, 혈액 처치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후크로 형성된 용기의 대응 부착 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둘레방향의 그루브를 포함하는 핀/스터드로 각각 형성된 2개의 부착 요소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가역적으로 부착한다. 후크는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둘레방향의 그루브에 삽입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장착 위치에서만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대한 용기의 정확한 장착을 보장하기 위해, 혈액 처치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사이즈 및/또는 기하학적 컨피겨레이션으로 형성된 2개의 부착 요소를 포함하여 하나의 규정된 장착 위치에서만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대한 용기의 부착을 허용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혈액 처치 디바이스는 하나의 규정된 장착 위치에서만 용기가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유체적으로 커플링하도록 상이한 사이즈 및/또는 기하학적 컨피겨레이션으로 형성된 2개의 연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연결 요소들로부터 유체/액체가 바람직하지 않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 요소에 용기가 부착되어 있지 않으면 연결 요소를 폐쇄하고 그리고 용기가 연결 요소에 연결되어 연결 요소를 용기와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연결 요소를 개방하는 밸브가 연결 요소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연결 요소는 유체 투여 유닛, 바람직하게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유체 투여 유닛의 유체 라인, 예를 들어 공급 라인 또는 회수 라인이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요소는 유체 투여 유닛의 회수(withdrawal) 라인이다.
본 출원 전체에 걸쳐, 유체를 용기 내로 분배하고 용기로부터 유체를 회수하기 위해 건조 농축물을 포함하는 용기에 연결될 수 있는 유체 투여 유닛을 포함하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가 참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유체 투여 유닛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체 투여 유닛은 연결 요소/유체 라인(바람직하게는 회수 라인)에 밸브를 포함하고, 밸브는 폐쇄 위치(밸브 몸체가 밸브 시트와 접촉함)와 개방 위치(밸브 몸체가 밸브 시트로부터 제거됨)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밸브 몸체를 포함한다. 개방 위치에서, 유체는, 연결 요소/유체 라인으로부터 밸브를 통해 용기로 유동할 수 있다. 밸브는 예를 들어 스프링에 의해 폐쇄 위치로 바이어스된다.
바람직하게는, 밸브는 용기의 연결 요소에 배열된 유체 투과성 액터에 의해 개방되며, 연결 요소는 용기 내부 또는 외부로의 유체의 입구 또는 출구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 유체 경로는, 유체 투여 유닛의 연결 요소/유체 라인으로부터 농축물이 떨어지는 경우 (물이 입구를 통해 용기로 분배되는 대신에) 결정화를 일으키는 농축물을 포함하기 때문에, 용기의 출구에 유체 투과성 액터를 제공하는 것이 유익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특히, 유체 라인이 액체 농축물(예컨대, 중탄산염 용액)이 흐르는 회수 라인인 경우, 유출로 인한 결정화가 문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용기 및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혈액 처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용기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와 상호 작용하는 용기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에 의해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가역적으로 부착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는 용기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농축물용 용기를,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방법에 관련되고, 방법은:
- 용기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 및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에 의해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가역적으로 부착하는 단계;
-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본체의 측면에 본질적으로 직각으로 돌출하는 방향/수평 방향으로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본체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
- 용기 및/또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혈액 처치 본체의 측면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돌출하는 방향/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용기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에 삽입시켜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유체적으로 커플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혈액 처치 디바이스 부분 상에 형성되는 오염 및/또는 결정화를 유발할 수 있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로부터의 제어되지 않는 액체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방법은 용기가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로부터 유래하는 임의의 액체 떨어짐 또는 유출을 포획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점에서 추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단계는, 예를 들어:
- 용기 및/또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혈액 처치 본체의 측면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돌출하는 방향/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용기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에 삽입된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용기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로부터 제거시켜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로부터 유체적으로 디커플링 하는 단계; 및
- 용기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 및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가 혈액 처치 본체의 측면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돌출하는 방향/수직 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는 위치에서 용기의 이동을 일시 정지하여, 용기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에 의해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로부터의 임의의 액체 떨어짐이 수용되도록 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즉, 혈액 처치 디바이스로부터 용기를 분리한 후, 용기는 즉시 제거되지 않고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 수직 방향 아래에 예컨대, 연결 요소로부터 하측으로 떨어지는 임의의 방울을 포획하기 위한 스파우트와 같이, 잠시 남아있다.
나아가, 본 방법은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용기가 연결되기 전 또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로부터 용기가 분리된 후 혈액 처치 디바이스가 헹궈지는 헹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혈액 처치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포함하고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동을 더 포함하는 이동할 수 있는 및/또는 전동 가이딩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가 공동에 수용되는 헹굼 위치로 가이딩 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혈액 처치 디바이스를 유체적으로 밀봉하고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헹굼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를 용기의 연결 요소에 삽입하여, 예를 들어, 용기 안으로 물을 제공해 분말 농축물을 용해시켜 액체 농축물을 형성하는 대신에, 헹굼 위치에서,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는 가이딩 요소의 공동으로 삽입된다.
그러므로,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내부 유체 회로는 폐쇄되고 헹굼 유체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서 순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기에 존재하는 적어도 한 개의 부착 요소 및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에 의해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가역적으로 부착하는 단계 외에 모든 방법 단계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다.
이는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수동으로 연결 하기 위해 존재해야 하는 인력이 없다는 이점을 갖는다. 대신에, 용기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임의의 편리한 시간(예컨대, 정규 근무 시간 동안)에 부착될 수 있고 혈액 처치 디바이스는 필요에 따라(요청 시) 예를 들어, 치료 요법에 의해 결정된 특정 시점(예컨대, 야간 시간 동안)에 용기와 혈액 처치 디바이스 사이의 유체 결합을 확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농축물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 용기는, 농축물을 수용하기 위한 본체,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평탄한 단부면과 본체가 농축물로 채워질 수 있는 개구를 갖는 연결 부분, 본체에 유체가 공급될 수 있는 입구 및 본체로부터 유체가 회수(withdrawal)될 수 있는 출구를 포함하고, 적어도 출구에서 용기가 유체 투여 유닛에 연결될 때 용기를 유체 투여 유닛에 유체적으로 커플링하도록 유체 투여 유닛의 유체 라인에서 밸브를 개방하도록 구성된 유체 투과성 액터(actor)가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체 투과성 액터는 밸브를 개방하도록 구성된 스파이크 및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루멘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출구 및 입구 각각은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평평한 단부면으로부터 본체를 향하는 평탄한 단부면까지 연결 부분을 가로지르는 직선을 따라 돌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용기는 연결 부분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에 배열되고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2개의 대응 부착 요소에 용기를 가역적으로 부착하도록 구성된 2개의 부착 요소를 포함하고, 2개의 부착 요소는 제1 방향으로 돌출하고 출구 및 입구는 본질적으로 제1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배향되는 제2 방향으로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분은 핸들없이 형성되고 오목한 그리핑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유체 투여 유닛, 바람직하게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유체 투여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이 유체 투여 유닛은, 적어도 상기 유체 투여 유닛에 연결된 용기로부터 유체를 회수하도록 구성된 유체 투여 디바이스의 ("회수 라인"이라고도 불리는) 유체 라인에서, 상기 유체 투여 유닛에 용기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유체 라인을 유체적으로 폐쇄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유체 투여 유닛에 용기를 연결할 때 유체가 밸브를 통해 상기 용기로부터 회수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된 밸브가 배열된다.
유체 투여 유닛은 혈액 처치 디바이스, 예컨대 신장 교체 요법을 위한 투석 기기의 일부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유체 라인은 유체 투여 유닛의 회수 라인이다. 그러나, 원리적으로, 본 발명은 유체 투여 유닛의 공급 라인 또는 다른 유체 라인에도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밸브는 유체가 밸브를 통해 용기로부터 회수되도록 하기 위해 유체 투여 유닛에 용기의 연결 시에 밸브 시트로부터 제거 가능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밸브 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용기 및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유체 투여 유닛/혈액 처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용기는 유체 투여 유닛/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가역적으로 부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농축물용 용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유체 투여 유닛,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투여 유닛에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법은,
- 용기에 존재하는 부착 요소 및 유체 투여 유닛에 존재하는 부착 요소에 의해 유체 투여 유닛에 용기를 가역적으로 부착하는 단계;
- 용기 및/또는 유체 투여 유닛의 회수 라인을 서로에 대해 이동시켜 용기의 출구에서 유체 투과성 액터가 유체 투여 유닛의 회수 라인에서 밸브를 개방하여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유체적으로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용기 및/또는 유체 투여 유닛의 회수 라인은, 유체 투과성 액터가 회수 라인에 삽입되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밸브 몸체를 밸브 시트로부터 멀리 이동시켜 유체 투여 유닛에 용기를 유체적으로 커플링하도록,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추가 피처, 이점 및 기술적 효과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에 의해 명백해진다. 도면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컴포넌트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2는 용기의 연결 요소를 밀봉하기 위한 박리할 수 있는 가요성 필름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3은 사용자가 용기의 단부면으로부터 가요성 필름을 박리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는 사용자가 용기의 상부 단부면으로부터 가요성 필름을 거의 완전히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농축물 용기의 연결 부분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의 연결 부분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5의 연결 부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6의 연결 부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7의 연결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8의 연결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5의 연결 부분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연결 부분의 다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6의 연결 부분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6의 연결 부분의 상이한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6의 연결 부분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가요성 필름에 의해 밀봉된 도 6의 연결 부분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2개의 부착 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처치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7의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부착 요소에 용기가 부착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9는 용기가 부착된 도 17의 혈액 처치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20은 폐쇄된, 헹굼 위치에서 가이딩 요소가 돌출 부분에 대해 위치된 도 17의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폐쇄된, 헹굼 위치에서 가이딩 요소가 돌출 부분에 대해 위치된 도 17의 혈액 처치 기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용기가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부착 요소에 부착된 도 21의 혈액 처치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23은 돌출 부분에 대한 가이딩 요소의 헹굼 위치를 설명하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폐쇄된 헹굼 위치에서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부착 요소에 부착된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용기가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된 위치에서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연결된 용기를 도시한다.
도 26은 도 25의 배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용기가 유체적으로 커플링된 혈액 처치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28은 헹굼 위치에서 도 27의 혈액 처치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29는 폐쇄된 헹굼 위치에서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가이딩 요소 및 돌출 부분을 도시한다.
도 30은 용기가 부착된 도 29의 배열을 도시한다.
도 31은 용기가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된 위치를 도시한다.
도 32는 용기가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부착 요소에 부착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3은 용기가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와 유체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는 위치에 용기를 위치시키기 위해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본체의 측면을 향해 내측으로 가이딩 요소가 이동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4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와 용기의 연결 요소가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 위치를 도시한다.
도 35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를 용기의 연결 요소 내로 삽입하기 위해 용기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6은 혈액 처치 동안 혈액 처치 디바이스와 유체적으로 연결된 용기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37은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로부터 용기의 연결 요소를 유체적으로 디커플링하기 위해, 처치가 종료된 후 용기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8은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와 용기가 유체적으로 커플링되지만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는 위치에서 용기가 고정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9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로부터 떨어지는 작은 액적이 농축물 백에 의해 포획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40은 처치 완료 후, 용기가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함으로써 용기가 혈액 처치 디바이스로부터 제거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41은 처치 완료 후 용기가 혈액 처치 디바이스로부터 분리되는 방법;
도 42는 가이딩 요소에 존재하는 공동을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와 수직 방향으로 정렬함으로써 가이딩 요소가 헹굼 위치로 이동되는 방법; 및
도 43은 연결 요소가 가이딩 요소에 존재하는 헹굼 공동 내로 삽입되는 헹굼 위치에 있는 가이딩 요소를 도시한다.
도 44는 가이딩 요소가 레버(21)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는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45는 유체 투여 유닛에 연결된 용기가 없는 경우 유체 투여 유닛으로부터 유체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유체 투여 유닛에 통합된 밸브가 구비되어 있는 일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6 및 도 47은 용기가 유체 투여 유닛에 연결되고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 45의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8은 용기가 유체 투여 유닛에 연결되지 않고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 45의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9는 도 45에 도시된 유체 투여 유닛의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제공될 수 있는 유체 투과성 액터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50은 도 49의 유체 투과성 액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는 건조 및/또는 액체 농축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본체(2)를 포함한다. 게다가, 용기(1)는 용기(1)의 부착 부분(4)의 양 사이드에 배열된 후크 형태를 갖는 2개의 부착 요소(3)를 포함한다.
또한, 용기(1)는 본체(2)로부터 반대쪽의/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용기(1)의 연결 부분(4)의 상부 단부면(6)을 향해 개방된 연결 요소(5)를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용기는 또한 사용자가 용기(1)를 잡을 수 있게 하는 핸들(22)을 포함한다. 상부 단부면(6)은 연결 요소(5)는 물론 연결 부분(4)의 중앙 개구(8)를 덮는 가요성 필름(7)에 의해 밀봉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용기(1)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가요성 필름은 연결 요소(5)를 밀봉하지만 중앙 개구(8)는 완전히 덮지 않는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부착 요소(3)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대응 스터드/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중공 실린더의 형태를 취한다.
도 3은 용기(1)의 상부 단부면(6)으로부터 가요성 필름(7)을 박리하는 사용자를 도시한다. 모든 도면에서와 같이,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 컴포넌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컴포넌트이다.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용기(1)의 상부 단부면(6)으로부터 가요성 필름(7)을 거의 완전히 제거했다.
도 5는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농축물 용기의 연결 부분(4)을 도시한다.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용기의 이러한 전통적인 연결 부분은 일반적으로 하측으로 개방된 연결 요소(5)를 포함하여, 연결 요소(5)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연결 요소 내로 이 연결 부분으로부터의 액체가 떨어질 수 있게 한다. 연결 부분은 사용자가 연결 부분을 잡을 수 있게 하는 핸들(22)을 더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연결 부분(4)을 도시한다. 이 연결 부분은 중공 실린더로서 형성되고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특히 스터드, 핀 또는 실린더의 형태를 갖는 대응 연결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부착 요소(3)를 포함한다.
연결 부분(4)은 연결 부분의 상부 단부면(6)을 향해 상측으로 개방된 연결 요소(5)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연결 부분(4)은 도 5에 도시된 전통적인 연결 부분에 존재하는 핸들(22)을 대체하는 연결 부분(4)의 양 사이드에 있는 그리핑(gripping) 부분(8)을 또한 포함한다.
도 7은 연결 요소(5)는 물론 핸들(22) 또한 도시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연결 부분(4)을 측면도로 도시한다. 이에 비해,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연결 부분(4)은 연결 부분(4)의 양 사이드에 배열되고 중공 실린더로서 형성된 부착 요소(3)를 포함한다. 이 시점에서 연결 부분의 개구는 보일 수 없다.
도 9는 핸들(22)이 명확하게 보이는 도 7의 연결 부분(4)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부분(4)의 단면도에서, 그리핑 부분(9)은 물론 부착 요소(3) 그리고 연결 부분(4)의 상부 단부면(6)을 향해 개방된 연결 요소(5) 또한 명확하게 보인다.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연결 부분(4)의 연결 요소(5)는 또한 부착 요소로서 기능하는데, 이는 중공 실린더 형태의 연결 요소(5)가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대응 스파우트 위에 배열되기 때문이다.
이는 도 12의 시점에서 더 설명되는데,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부착 요소, 즉, 종래 기술에 따른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는 연결 부분(4)의 연결 요소(5) 내로 도 12에서 본질적으로 수직인 위치/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연결 요소(5)로부터의 액체가 용기(1)의 연결 부분(4)의 연결 요소(5)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허용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부착 요소(3)와 연결 요소(5)는 서로 별개이다. 도 13으로부터 부착 요소(3)와 연결 요소(5)는 서로 본질적으로 직각으로, 바람직하게는, 각각 수평으로 및 수직으로,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돌출한다는 점에서 서로에 대해 배열된다는 것 또한 쉽게 알 수 있다.
도 13의 예시에서, 부착 요소는 도 13의 상부로부터 도 13의 하부로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반면, 연결 요소(5)는 지면(紙面) 안팎의 방향으로 돌출하거나 연장하는 개구이다.
도 14는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연결 부분(4)에 존재하는 핸들(22)을 대체할 수 있는 그리핑 부분(9)의 다른 명확한 시점을 제공한다.
도 15은 부착 요소(3)의 연장 방향이 연결 요소/개구(5)의 연장 방향에 본질적으로 직각으로 배열되는 방법을 더 도시한다.
도 1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요소(5)는 연결 요소(5)를 폐쇄하기 위해 연결 부분(4)의 상부 단부면(6)에 우선적으로 용접되는 가요성 스트립(7)에 의해 우선적으로 밀봉된다.
우선적으로, 가요성 필름(7)은 용기(1)의 연결 부분(4)의 상부 단부면(6)으로부터 가요성 필름(7)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가 가요성 필름(7)을 잡을 수 있게 하는 그리핑 섹션(10)을 포함한다.
도 1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처치 디바이스(11)는 바닥면(13)을 갖는 본체(12) 및 용기(1)에 부착하도록 그리고 연결하도록 구성된 부착 어셈블리(14)를 포함한다.
부착 어셈블리(14)는 2개의 부착 요소(16)가 장착된 가이딩 요소(15)를 포함하며, 이 실시형태에서 가이딩 요소는 용기(1)의 후크 또는 후크 형상의 부착 요소(3)가 삽입될 수 있는 둘레방향의 그루브를 각각 갖는 돌출하는 실린더/스터드/핀의 형태를 가진다.
부착 어셈블리(14)는 또한 돌출 부분(17)을 포함한다. 도 17에 도시된 컨피겨레이션에서, 돌출 부분(17)의 전면(18) 및 가이딩 요소(15)의 전면(19)은 부착 어셈블리(14)의 연속적인 전면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정렬된다. 이는 헹굼 위치에 해당한다.
도 1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백(1)은 가이딩 요소(15)에 장착된 스터드 형상의 부착 요소(16) 위에서 후크 형상의 부착 요소(3)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도 19는 용기(1)가 가이딩 요소(15)의 부착 요소(16)에 부착되어 있는혈액 처치 디바이스(11)를 도시한다. 용기(1)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된 위치에 있다.
도 20은 가이딩 요소(15)가 혈액 처치 디바이스를 헹구는데 사용되는 폐쇄 위치에서 돌출 부분(17)에 대해 배열된 혈액 처치 디바이스(11)의 부착 어셈블리(14)를 도시한다.
이 위치에서, 돌출 부분(17)의 전면(18) 및 가이딩 요소(15)의 전면(19)은 연속적인 전면을 형성한다. 돌출 부분(17)에 대한 가이딩 요소(15)의 헹굼 위치는 도 21에 도시된 혈액 처치 디바이스(11)의 측면도에 더 도시된다. 이 도면에서 돌출 부분(17)에 대한 가이딩 요소의 폐쇄 위치/헹굼 위치에서, 돌출 부분(17)의 앞쪽 단부면(18) 및 가이딩 요소(19)의 앞쪽 단부면(19)은 연속적인 앞쪽 단부면을 형성하는 것이 특히 명백해진다.
도 22는 용기(1)가 부착 요소(3)를 통해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부착 요소(16)에 부착되어 있는 도 21의 혈액 처치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이 위치는 내부 순환에 의해 혈액 처치 디바이스가 헹굼 되고/소독되었지만 용기(1)의 제공에 의해 이미 다음 혈액 처치를 위해 준비된 경우 채택된다. 다음 혈액 처치를 개시하기 전에, 용기(1)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11)에 유체적으로 연결될 것이다.
도 23은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폐쇄/헹굼 위치에 있는 부착 어셈블리(14)의 단면도를 제공함으로써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부착 어셈블리(14)의 구조적 컨피겨레이션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도 2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 부분(17) 및 가이딩 요소(15)의 앞쪽 단부면(18, 19)은 연속적인 전면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대적 위치결정에서, 도 23의 실시형태에서 용기(1) 내로 물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파우트의 형태를 갖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20)는 가이딩 요소(15)에 존재하는 공동(18) 내로 삽입된다. 그러므로,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내부 유체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폐쇄되고, 헹굼액은 스파우트(17)로부터 혈액 처치 디바이스(11) 외부로의 유체 누출 없이 혈액 처치 디바이스 내에서 순환될 수 있다.
도 24는 부착 요소(3, 16)를 통해 용기(1)가 부착된 혈액 처치 디바이스(11)의 연결 어셈블리(14)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연결 어셈블리(14)는 폐쇄 위치/헹굼 위치에 있다.
용기(1)를 연결 어셈블리(14)에, 그리고 따라서 혈액 처치 디바이스(11)에 유체적으로 커플링하기 위해, 가이딩 요소(15)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서 혈액 처치 디바이스(11)의 측면을 향해 내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혈액 처치 디바이스(11)의 부착 요소(16)에 부착된 용기(1)는 그것이 돌출 부분(17) 밑에 배열되고 백(1)의 연결 요소(5)가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20)와 수평으로 정렬될 때까지 혈액 처치 디바이스(11)의 측면을 향해 이동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딩 요소(15), 그리고 따라서 가이딩 요소(15)에 장착된 부착 요소(16)에 부착된 용기(1)는 용기(1)의 연결 요소(5)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20)와 연결하기 위해 상측으로 이동된다. 대안적으로 용기(1)는 가이딩 요소(15)에 의해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20)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용기(1)의 연결 요소(5) 내로 삽입됨으로써 용기(1)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11)에 유체적으로 커플링한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위치/상대 위치결정에서 용기(1)가 혈액 처치 디바이스(11)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되어 있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8은 부착 어셈블리(24)가 도 24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11)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9는 폐쇄된 헹굼 위치에서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어셈블리(14)의 다른 시점을 도시한다.
도 30은 도 29의 부착 어셈블리(14)를 도시하며, 용기(1)는 그의 부착 요소(후크 형상)(3) 및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부착 요소(스터드 형태)(16)를 통해 부착된다. 이 도면에서, 부착 어셈블리(14)는 여전히 폐쇄된 헹굼 위치에 있다.
도 31은 부착 어셈블리(14)를 도시하며, 용기(1)는 돌출 부분(17) 아래 내측으로 이동되고,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를 용기(1)의 연결 요소 내로 삽입함으로써, 또는 돌출 부분(17)을 향해 상측으로 용기(1)가 이동함으로써, 또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20)가 용기(1)의 연결 요소(5) 내로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농축물용 용기를 연결하는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부착 요소(16)는 용기(1)의 부착 요소(3) 내로 삽입된다. 도 3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부착 요소(16) 및 용기의 부착 요소(3)는 하나의 정확한 장착 위치에서만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대한 용기의 장착을 허용하기 위해 비대칭으로 구성된다.
도 33은 용기의 부착 요소(3)를 통해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부착 요소(16)에 연결된 용기(1)를 도시한다. 이때 가이딩 요소(15)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부분(17) 아래로 용기(1)를 끌어당기기 위해 혈액 처치 디바이스(11)의 측면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내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34로부터,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20) 및 연결 요소(5)가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 위치에 있어, 연결 요소(20)가 수직 축을 따른 이동에 의해 용기(1)의 연결 요소(5) 내로 삽입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딩 요소(15), 그리고 따라서 용기(1)가 돌출 부분(17)을 향해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20)가 용기(1)의 연결 요소(5) 내로 삽입될 수 있고/삽입된다. 대안적으로,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20)는 용기(1)의 연결 요소(5) 내로 삽입되기 위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요소(20) 및 연결 요소(5)를 통해 용기(1)가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될 때, 용기(1)의 본체(2) 내에 수용된 분말 농축물로부터 액체 농축물을 생성하는 혈액 처치 기기에 의해 처치가 수행될 수 있다.
처치가 완료된 후,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딩 요소(15) 그리고 따라서 이에 부착된 용기(1)는 하측으로 이동된다. 용기(1)의 하측 이동은,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의 연결 요소(5)로부터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20)가 제거될 때까지 계속된다.
가이딩 요소(15), 그리고 따라서 이에 부착된 용기(1)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11)의 측면으로부터 서랍과 유사한 수평 방향으로 이어서 외측으로 이동된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의 움직임은 용기(1)가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20)와 수직으로 정렬된 위치에서 일시 정지될 수 있고, 이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20)로부터 떨어지는 임의의 작은 방울이 용기(1), 바람직하게는, 용기(1)의 연결 요소(5)에 의해 포획되도록 한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용기(1)는 돌출 부분(17)에 대한 가이딩 요소(15)의 이동에 의해, 용기(1)가 돌출 부분(17)의 프론트 에지보다 혈액 처치 디바이스(11)의 측면으로부터 더 바깥으로/멀리 위치될 때까지 이동된다. 이는 사용자가 용기(1)를 더 용이하게 잡을 수 있게 한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11)로부터 용기(1)를 잡아 당김으로써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부착 요소(16)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용기(1)가 제거된 후, 이때 혈액 처치 기기는,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20)가 가이딩 요소(15)의 공동(18)과 수직 방향으로 정렬될 때까지, 가이딩 요소(15)를 상측으로 및/또는 내측으로 혈액 처치 디바이스(11)의 측면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위치에서, 혈액 처치 디바이스는 폐쇄/헹굼 위치로 들어갈 수 있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딩 요소(15)가 더 상측으로 이동되거나 혈액 처치 디바이스(11)의 연결 요소(20)가 더 하측으로 이동하여 연결 요소(20)를 가이딩 요소(15)의 공동(18) 내로 삽입시켜 폐쇄 헹굼 위치로 들어간다.
혈액 처치 기기는 이제 헹궈질 수 있고 헹굼 동안 새 농축물 백이 새 처치를 개시하기 위해 부착 요소(16)를 사용하여 가이딩 요소(15)에 부착될 수 있다.
돌출 부분(17)에 대한 가이딩 요소(15)의 모든 이동은 또한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부착 어셈블리(14)는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1) 또는 사용자가 돌출 부분(17)에 대해 가이딩 요소를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유사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5는, 용기(1)가 유체 투여 유닛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유체 투여 유닛/유체 투여 유닛의 연결 요소(20)로부터 유체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유체 투여 유닛에 통합된 밸브(23)가 구비되어 있는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의 유체 투여 유닛은 위에서 논의된 부착 조립체(14)에 대응한다. 유체 투여 유닛이라는 용어는, 용기에 연결하고 제어된 방식으로 유체를 용기에 분배하고 용기로부터 유체를 회수하는 역할을 하는 임의의 유닛을 일컫는다.
밸브는 밸브 몸체(24) 및 밸브 시트(25)를 포함한다. 밸브(23)는, 이 실시형태에서 스프링(26)에 의해, 바이어싱 요소에 의해 폐쇄 위치에서 바이어싱된다.
도 45에 도시된 상태에서, 용기(1)는 유체 투여 유닛에 부착되어 유체적으로 커플링되고, 따라서 밸브(23)가 개방된다.
도 46 및 도 47은 용기가 유체 투여 유닛에 연결되고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 45의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크(28)를 포함하는 유체 투과성 액터(27)가 밸브(23)를 개방 위치에 유지하고, 따라서 유체는 유체 투과성 액터(27)의 내부 루멘(29)을 통해, 개방 밸브(23)를 통해 그리고 유체 투여 유닛의 연결 요소(20)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의 연결 요소(20)는 유체 투여 유닛의 유체 라인에 대응한다. 이 상태에서 유체의 유동 경로는 도 47에서 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밸브 몸체(24)는 스파이크(28)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8은 용기가 유체 투여 유닛에 연결되지 않고 밸브(23)가 닫힌 상태에서 도 45의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26)은 확장되어 밸브 몸체(24)를 밸브 시트(25)에 대해 압박한다.
도 49는 도 45에 도시된 유체 투여 유닛의 밸브(23)를 개방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기(1)에 제공될 수 있는 유체 투과성 액터(27)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유체 투과성 액터(27)는 스파이크(28)를 포함하고 이 실시형태에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4개의 루멘(lumina)(29)을 포함한다. 유체 투과성 액터(27)는 유체 투과성 액터(27)의 외주를 규정하는 외측 부시(bush)/중공 실린더(31)를 포함한다. 스파이크(28)는 외측 부시/중공 실린더(31)와 동심으로 배열되고 리브(33)를 통해 외측 부시/중공 실린더(31)에 연결되는 플랫폼(32)에 장착될 수 있다. 유체 투과성 액터(27)는 용기의 연결 요소(5)에 배열된다. 연결 요소(5)는 용기의 입구 또는 출구일 수 있다.
도 50은 도 49의 유체 투과성 액터(27)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Claims (10)

  1. 농축물용 용기로서,
    농축물을 수용하기 위한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평탄한 단부면과 상기 본체가 농축물로 채워질 수 있는 개구를 갖는 연결 부분,
    상기 본체에 유체가 공급될 수 있는 입구 및 상기 본체로부터 유체가 회수(withdrawal)될 수 있는 출구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출구에서, 상기 용기가 상기 유체 투여 유닛에 연결될 때 상기 용기를 상기 유체 투여 유닛에 유체적으로 커플링하도록 유체 투여 유닛의 유체 라인에서 밸브를 개방하도록 구성된 유체 투과성 액터(actor)가 배열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투과성 액터는 상기 밸브를 개방하도록 구성된 스파이크(spike) 및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루멘(lumen)을 포함하는,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및 상기 입구 각각은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상기 평탄한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향하는 평탄한 단부면까지 상기 연결 부분을 가로지르는 직선을 따라 돌출하는, 용기.
  4.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연결 부분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에 배열되고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2개의 대응 부착 요소에 상기 용기를 가역적으로 부착하도록 구성된 2개의 부착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부착 요소는 제1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출구 및 상기 입구는 본질적으로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배향되는 제2 방향으로 돌출하는, 용기.
  5.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은 핸들없이 형성되고 오목한 그리핑(gripping) 부분을 포함하는, 용기.
  6. 유체 투여 유닛, 바람직하게는 혈액 처치 디바이스의 유체 투여 유닛으로서,
    적어도 상기 유체 투여 유닛에 연결된 용기로부터 유체를 회수하도록 구성된 상기 유체 투여 디바이스의 유체 라인에서, 상기 유체 투여 유닛에 용기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유체 라인을 유체적으로 폐쇄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유체 투여 유닛에 용기를 연결할 때 유체가 밸브를 통해 상기 용기로부터 회수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된 밸브가 배열되는, 유체 투여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유체가 상기 밸브를 통해 상기 용기로부터 회수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유체 투여 유닛에 용기의 연결 시에 밸브 시트로부터 제거 가능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밸브 몸체를 포함하는, 유체 투여 유닛.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용기 및 제6항 또는 제7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유체 투여 유닛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는 상기 유체 투여 유닛에 가역적으로 부착되는, 시스템.
  9. 농축물용 용기, 바람직하게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용기를 유체 투여 유닛, 바람직하게는 제6항 또는 제7항에 따른 유체 투여 유닛에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 상기 용기에 존재하는 부착 요소 및 상기 유체 투여 유닛에 존재하는 부착 요소에 의해 상기 유체 투여 유닛에 상기 용기를 가역적으로 부착하는 단계;
    - 상기 용기 및/또는 상기 유체 투여 유닛의 상기 유체 라인을 서로에 대해 이동시켜 상기 용기의 상기 출구에서 상기 유체 투과성 액터가 상기 유체 투여 유닛의 상기 유체 라인에서 상기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용기를 상기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유체적으로 커플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및/또는 상기 유체 투여 유닛의 상기 유체 라인은, 상기 유체 투과성 액터가 상기 유체 라인에 삽입되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밸브 몸체를 밸브 시트로부터 멀리 이동시켜 상기 유체 투여 유닛에 상기 용기를 유체적으로 커플링하도록,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방법.
KR1020227012031A 2019-09-12 2020-09-10 누설없이 농축물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20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866970.2 2019-09-12
US16/568,579 US20210077697A1 (en) 2019-09-12 2019-09-12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oncentrate container with a blood treatment device without leakages
EP19196998.9A EP3791902A1 (en) 2019-09-12 2019-09-12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oncentrate container with a blood treatment device without leakages
CN201910866970.2A CN112472894A (zh) 2019-09-12 2019-09-12 无泄漏地将浓缩物容器与血液处理装置连接的系统和方法
US16/568,579 2019-09-12
EP19196998.9 2019-09-12
PCT/EP2020/075375 WO2021048298A1 (en) 2019-09-12 2020-09-10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oncentrate container with a blood treatment device without leakag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073A true KR20220062073A (ko) 2022-05-13

Family

ID=74866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2031A KR20220062073A (ko) 2019-09-12 2020-09-10 누설없이 농축물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028074A1 (ko)
KR (1) KR20220062073A (ko)
CN (1) CN114390931A (ko)
BR (1) BR112022004498A2 (ko)
TW (1) TW202128234A (ko)
WO (1) WO2021048298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06806B1 (no) * 1992-06-26 1999-12-27 Fresenius Ag Pose for opptak av konsentrat
US5806831A (en) * 1993-10-13 1998-09-15 Paradis; Joseph R. Control of fluid flow with internal cannula
DE60234791D1 (de) 2002-03-11 2010-01-28 Fresenius Medical Care De Gmbh Behälter mit Verbindungsstück und Dialyseflüssigkeitaufbereitungsvorrichtung dafür
DE102012005189A1 (de) * 2012-03-16 2013-09-19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Medizinische Vorrichting mit einer Buchsen-Einheit zum Anschluss einer Vorrichtung zur Bereitstellung von medizinischen Flüssigkei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04498A2 (pt) 2022-05-31
EP4028074A1 (en) 2022-07-20
WO2021048298A1 (en) 2021-03-18
TW202128234A (zh) 2021-08-01
CN114390931A (zh) 202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3383B2 (ja) 洗浄可能な淹出ヘッドを有する飲料調製マシン
WO2005118485A1 (en) Multi-use dialysis machine priming and solution delivery device
KR20110042304A (ko) 투석기에 사용되는 일회용 용기용 커넥터
KR20220062073A (ko) 누설없이 농축물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203138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oncentrate container with a blood treatment device without leakages
EP38784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oncentrate container with a blood treatment device without leakages
KR20220062047A (ko) 농축물 용기를 개방하고 농축물 용기를 혈액 처치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100776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oncentrate container with a blood treatment device without leakages
EP37919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oncentrate container with a blood treatment device without leakages
US202203393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ning a concentrate container and connecting the concentrate container to a blood treatment device
CN112472895B (zh) 打开浓缩物容器并将其连接至血液处理装置的系统和方法
US5611506A (en) Dialysis assist device
US115596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ning a concentrate container and connecting the concentrate container to a blood treatment device
US202203550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oncentrate container with a blood treatment device
CN112472894A (zh) 无泄漏地将浓缩物容器与血液处理装置连接的系统和方法
US202303209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ning a concentrate container and connecting the concentrate container to a blood treatment device
US202100776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oncentrate container with a blood treatment device
EP37919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ning a concentrate container and connecting the concentrate container to a blood treatment device
EP37919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oncentrate container with a blood treatment device
CN114364413A (zh) 用于将浓缩物容器与血液处理装置连接的系统和方法
CN112472893A (zh) 用于将浓缩物容器与血液处理装置连接的系统和方法
CN209966885U (zh) 一种医用换袋机构
EA042745B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открывания контейнера для концентрата и соединения контейнера для концентрата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обработки крови
CN115243737A (zh) 用于血液治疗装置的清洁装置和清洁系统
JPH0426938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