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1658A -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1658A
KR20220061658A KR1020200147887A KR20200147887A KR20220061658A KR 20220061658 A KR20220061658 A KR 20220061658A KR 1020200147887 A KR1020200147887 A KR 1020200147887A KR 20200147887 A KR20200147887 A KR 20200147887A KR 20220061658 A KR20220061658 A KR 20220061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light
power generation
map
server
sola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준
이태영
심규연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7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1658A/ko
Publication of KR20220061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4Generation forecast, e.g. methods or systems for forecasting future energy gen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2Billing, invoicing, buying or selling transactions or other related activities, e.g. cost or usage eval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은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소지하면서 햇빛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어 위치정보와 발전기의 발전용량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의 기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상청 서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의 미세먼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환경공단 서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 기상청 서버, 및 상기 환경공단 서버에서 각각 제공하는 위치정보, 기상 데이터, 및 미세먼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예상 발전량을 예측하는 햇빛지도 서버;를 포함하여 기상청으로부터 동네지역 수준의 촘촘한 구역 단위로 기상예보 정보를 요청하여 반영함으로써 특별시나 광역시에 한정되지 않고 전국단위로 태양광 발전량을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IMPLEMENTING SOLARMAP SERVICE FOR ESTIMATING GENERATED PHOTOVOLTAIC POWER BASED ON MOBILE}
본 발명은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데이터, 환경공단에서 제공하는 미세먼지 정보를 기반으로 추정된 태양광 발전량 정보를 스마트폰 등 모바일 환경의 사용자에게 위치정보에 따른 예측 발전량 및 태양광 전력판매 예상수익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태양광 발전량 예측 시스템은 일사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태양광 발전 가능량을 추정하는 경우 특정 기간의 정보를 사용하여 온난화 및 기상이변에 의한 변동성이 반영되지 않아 정확한 태양광 발전 가능량을 추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태양광 발전량 예측 시스템은 전국단위 서비스가 불가능하고 특별시 또는 광역시 등 특정지역 기반으로만 국한되어 태양광 발전 가능량을 추정하여 제공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태양광 발전량 예측 시스템은 특정 건물, 위치 등 기존 발전량 및 일사량 정보가 있는 장소만 제공하고, 무엇보다 태양광 발전 성능에 민감한 대기환경요소인 미세먼지 정보가 반영되지 않아 정확한 태양광 발전 가능량을 예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종래 태양광 발전량 예측 시스템은 예측한 태양광 발전 가능량을 웹기반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현재 위치기반 발전량 및 예상수익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1420호(2020.03.24)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현재와 미래의 기후조건을 반영하고 실시간 기상예보 데이터 기반으로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을 예측하는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미세먼지 등 태양광 발전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요소가 태양광 발전량 예측에 적용하여 정확한 예측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GPS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위치한 현재 위치기반의 발전량 및 예상수익을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은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소지하면서 햇빛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어 위치정보와 발전기의 발전용량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의 기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상청 서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의 미세먼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환경공단 서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 기상청 서버, 및 상기 환경공단 서버에서 각각 제공하는 위치정보, 기상 데이터, 및 미세먼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예상 발전량을 예측하는 햇빛지도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다른 실시예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방법은 (a)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햇빛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햇빛지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수집되는 위치정보와 발전기의 발전용량 정보를 햇빛지도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햇빛지도 서버가 기상청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기상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햇빛지도 서버가 환경공단 서버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미세먼지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햇빛지도 서버가 전력거래소 서버에 접속하여 계통한계가격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f) 상기 햇빛지도 서버가 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DB에서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을 찾아 로딩하는 단계; (g) 상기 햇빛지도 서버가 로딩한 상기 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에 상기 발전기의 발전용량 정보, 기상 데이터, 및 미세먼지 데이터를 반영하여 예상 발전량을 예측하는 단계; (h) 상기 햇빛지도 서버가 상기 (g)단계에서 예측한 예상 발전량과 상기 (e)단계에서 수신한 계통한계가격을 가지고 예상 수익을 산출하는 단계; 및 (i) 상기 햇빛지도 서버가 상기 예상 발전량과 예상 수익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달하면, 관리자가 해당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발전기의 예상 발전량과 예상 수익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GPS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위치한 현재 위치기반의 발전량 및 예상수익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방법은 기상청으로부터 동네지역 수준의 촘촘한 구역 단위로 기상예보 정보를 요청하여 반영함으로써 특별시나 광역시에 한정되지 않고 전국단위로 태양광 발전량을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에서 예상수익을 산출하기 위한 계통한계 가격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에 의해 예측한 예상 수익표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 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200), 햇빛지도 서버(300), 기상청 서버(400), 환경공단 서버(500), 및 전력거래소 서버(600)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태양광 발전량을 예측하는 모바일 앱으로 햇빛지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소지하면서 자신의 위치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사용자가 위치를 입력하면 GPS 모듈을 구동하여 좌표형태의 위치정보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자신이 운영하는 발전기가 위치한 지역의 주소를 도로명 또는 지번주소로 입력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해당 주소의 위도와 경도로 이루어진 좌표형태의 위치정보를 GPS 모듈을 통해 획득한 후, 상기 햇빛지도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태양광 발전기의 발전용량을 위치정보와 함께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설치되는 햇빛지도 어플리케이션은 실행되는 경우 네비게이션과 같이 좌표정보와 주소정보가 매핑된 지도를 2D 또는 3D기반으로 구현하여 지역별로 계절, 시간에 따른 일조량을 표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한다.
상기 햇빛지도는 주변건물 간의 영향을 고려, 건물 지붕 및 옥상에 입사되는 태양에너지 잠재량을 산출하여 태양광입사 에너지를 지도상에 표출한 것이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OpenAPI를 활용하여 카카오와 구글 서버에 접속하여 카카오맵, 또는 구글맵을 활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햇빛지도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와 연계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는 예상 수익&예측 발전량DB(310) 및 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DB(320)을 포함하는데, 상기 예상 수익&예측 발전량DB(310)는 후술한 바와 같이 기상 데이터, 미세먼지 데이터, 및 계통한계가격을 이용하여 계산한 예상 수익과 예상 발전량 데이터를 저장관리 한다.
상기 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 DB(320)은 기상 데이터, 미세먼지농도 데이터로 LSTM 알고리즘 기반 인공지능 학습 예측모델인 태양광 발전량 예측 모델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때, 상기 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 DB(320)은 위치정보에 따라 일조량이 상이하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여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이한 복수의 태양광 발전량 예측 모델을 저장관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 DB(320)는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기술하였지만, 분리되어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는 상기 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 DB(320)에 저장된 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을 업로드하여 각종 변수를 반영하여 실행시킴으로써 태양광 발전량을 예측한다.
상기 기상청 서버(40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위치에 대한 기상 데이터를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태양광 발전량 예측에 반영하도록 해당 햇빛지도 서버(300)로 전달한다.
상기 기상 데이터는 과거의 종관관측 데이터, 미래의 초단기 예보 데이터 및 동네 예보 데이터에 해당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환경공단 서버(50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위치에 대한 미세먼지 데이터를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태양광 발전량 예측에 반영하도록 해당 햇빛지도 서버(300)로 전달한다.
상기 미세먼지 데이터는 과거 및 미래의 대기오염정보에 해당된다.
한편 상기 기상청 서버(400)와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 및 상기 환경공단 서버(500)와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는 인터넷 식별자(URI)와 HTTP 프로토콜을 기반을 한 REST API(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전력거래소 서버(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의 시간대별 가격인 계통한계가격(SMP, System Marginal Price) 정보를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에 제공하는데, 상기 계통한계가격은 시간대별로 발전하도록 돼 있는 발전기의 유효 변동비 가운데 가장 높은 것의 가격으로 결정된다.
참고로, 전력 가격은 용량가격(CP, Capacity Payment)과 상기 계통한계가격(SMP, System Marginal Price)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량가격은 전력설비에 이미 투입된 고정비를 보전하고, 상기 계통한계가격은 변동비를 보전한다.
상기 전력거래소 서버(600)와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는 SSL(Secure Sockets Layer)도 지원하고 WS-Security라는 자체 표준의 보안 기능도 가지고 있어 보안 수준이 엄격한 SOAP API(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상청 서버(400)와 환경공단 서버(500)로부터 각각 제공받은 기상 데이터와 미세먼지 데이터와 상기 전력거래소 서버(600)로부터 제공받은 계통한계가격을 활용하여 예상 수익과 예상 발전량을 계산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 제공하고, 언급한 바와 같이 예상 수익&예측 발전량DB(310)에 저장한다.
특히,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는 아래의 [수학식 1]을 통해 예상 수익과 예상 발전량을 계산한다.
Figure pat00001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가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계산한 예상 수익과 예상 발전량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에 의한 구현 방법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자신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200)에 설치된 햇빛지도 앱을 터치 조작함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햇빛지도 앱을 실행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햇빛지도 앱을 실행함에 따라 GPS 모듈을 구동시켜 자동으로 앱이 실행된 위치의 정보를 파악하거나, 사용자가 별도로 입력하는 도로명 또는 지번주소의 위치를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상기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곳에 설치된 자신이 관리운영하는 또는 특정지역의 태양광 발전기의 용량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RestFul 통신으로 햇빛지도 서버(300)에 접속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
이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GPS 위치정보와 발전기 용량정보를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에 전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는 상기 GPS 위치정보와 발전기 용량정보를 위치정보&용량정보DB(330)에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6).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는 수신한 상기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기상청 서버(400)에 접속하여 해당 위치의 기상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는 수신한 상기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환경공단 서버 서버(500)에 접속하여 해당 위치의 미세먼지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8).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는 상기 전력거래소 서버(600)에 접속하여 해당 위치의 계통한계가격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9).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는 상기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DB(320)에 저장된 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을 찾아 로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
이후,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는 로딩한 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에 상기 발전기 용량정보, 기상 데이터, 및 미세먼지 데이터를 반영하여 예상 발전량을 예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1).
이때,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는 "예상 발전량(kWh)=발전용량(CP)*일조시간(h)*종합설계계수(0.65 ~ 0.8)"를 이용하여 상기 예상 발전량을 예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는 상기 `S11`단계에서 예측한 예상 발전량과 상기 계통한계가격을 가지고 예상 수익을 산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2).
이때,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는 "예상 수익(원)=예상 발전량(kWh)*계통한계가격(육지/제주)"을 이용하여 예상 수익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햇빛지도 서버(300)는 상기 `S11`단계와 `S12`단계에서 산출한 예상 발전량과 예상 수익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3).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조건으로 입력한 발전기 용량정보, 기상 데이터, 및 미세먼지 데이터에 따른 태양광 발전량과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4).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200 : 모바일 단말기
300 : 햇빛지도 서버
310 : 예상 수익&예측 발전량DB
320 : 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DB
330 : 위치정보&용량정보DB
400 : 기상청 서버
500 : 환경공단 서버
600 : 전력거래소 서버

Claims (9)

  1.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소지하면서 햇빛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어 위치정보와 발전기의 발전용량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의 기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상청 서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의 미세먼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환경공단 서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 기상청 서버, 및 상기 환경공단 서버에서 각각 제공하는 위치정보, 기상 데이터, 및 미세먼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예상 발전량을 예측하는 햇빛지도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의 시간대별 가격인 계통한계가격(SMP, System Marginal Price) 정보를 상기 햇빛지도 서버에 제공하는 전력거래소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햇빛지도 서버는
    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 DB에 저장된 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을 업로드하여 상기 위치정보, 기상 데이터, 및 미세먼지 데이터를 반영하고, 발전용량과 일조시간, 그리고 종합설계계수의 곱으로 상기 예상 발전량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햇빛지도 서버는
    상기 예상 발전량과 상기 계통한계가격의 곱으로 예상수익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 DB는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이한 복수의 태양광 발전량 예측 모델이 저장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
  6. (a)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햇빛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햇빛지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수집되는 위치정보와 발전기의 발전용량 정보를 햇빛지도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햇빛지도 서버가 기상청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기상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햇빛지도 서버가 환경공단 서버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미세먼지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f) 상기 햇빛지도 서버가 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DB에서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을 찾아 로딩하는 단계; 및
    (g) 상기 햇빛지도 서버가 로딩한 상기 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에 상기 발전기의 발전용량 정보, 기상 데이터, 및 미세먼지 데이터를 반영하여 예상 발전량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방법.
  7. 제 6항에있어서,
    상기 (d)단계와 상기 (f)단계 사이에,
    (e) 상기 햇빛지도 서버가 전력거래소 서버에 접속하여 계통한계가격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 이후에,
    (h) 상기 햇빛지도 서버가 상기 (g)단계에서 예측한 예상 발전량과 상기 (e)단계에서 수신한 계통한계가격을 가지고 예상 수익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h)단계 이후에,
    (i) 상기 햇빛지도 서버가 상기 예상 발전량과 예상 수익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달하면, 관리자가 해당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발전기의 예상 발전량과 예상 수익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방법.
KR1020200147887A 2020-11-06 2020-11-06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1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887A KR20220061658A (ko) 2020-11-06 2020-11-06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887A KR20220061658A (ko) 2020-11-06 2020-11-06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658A true KR20220061658A (ko) 2022-05-13

Family

ID=81583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887A KR20220061658A (ko) 2020-11-06 2020-11-06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16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420A (ko) 2018-09-14 2020-03-24 오씨아이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량 예측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420A (ko) 2018-09-14 2020-03-24 오씨아이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량 예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587B1 (ko)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및 중개시스템
CN103502973B (zh) 用于选择相似消费者的方法和系统
US200901774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olar mapping, determining a usable area for solar energy production and/or providing solar information
CN110869926A (zh) 基于语义状态的传感器跟踪和更新
US10673372B2 (en) Cognitively predicting dust deposition on solar photovoltaic modules
JP5461748B1 (ja) 発電量予測装置、発電量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Gobakis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 Web based GIS platform for zero energy settlements monitoring
KR102396290B1 (ko) 초 저고도 바람 예측 정보 제공 방법
Wang et al. Traffic noise monitoring and simulation research in Xiamen City based on the Environmental Internet of Things
Leibrand et al. Using earth observations to help developing countries improve access to reliable, sustainable, and modern energy
Wate et al. Implementation of CityGML energy application domain extension (ADE) for integration of urban solar potential indicators using object-oriented modelling approach
CN115358060A (zh) 一种支持新能源发电功率高精度预测的高效算法框架
Li et al. Design of dynamic vehicle routing system based on online map service
Jaedicke et al. GIS-aided avalanche warning in Norway
Massano et al. A GIS Open-Data Co-Simulation Platform for Photovoltaic Integration in Residential Urban Areas
Arumugham et al. Modelling global solar irradiance for any location on earth through regression analysis using high-resolution data
Kapoor et al. Cloud computing for energy requirement and solar potential assessment
Gamatié et al. A model-based approach to addressing energy demand in sustainable urban systems
Lee et al. Urban-focused weather and climate services in Hong Kong
KR20220061658A (ko) 모바일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햇빛지도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방법
Daki et al. HBase-based storage system for electrical consumption forecasting in a Moroccan engineering school
Gomariz-Castillo et al. An open-source web mapping tool to estimate wind energy in the Iberian Peninsula
Izkara et al. GIS-3D Platform to Help Decision Making for Energy Rehabilitation in Urban Environments
KR102460279B1 (ko) 태양광 분산 에너지 자원의 정보 제공 시스템
Dahlia The national mesonet program: Filling in the ga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