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1432A - 운동 관리 시스템 및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운동 관리 시스템 및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1432A
KR20220061432A KR1020200147412A KR20200147412A KR20220061432A KR 20220061432 A KR20220061432 A KR 20220061432A KR 1020200147412 A KR1020200147412 A KR 1020200147412A KR 20200147412 A KR20200147412 A KR 20200147412A KR 20220061432 A KR20220061432 A KR 20220061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database
data
health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용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너라인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너라인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너라인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00147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1432A/ko
Publication of KR20220061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 관리 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자신에 관한 기본데이터를 측정한 후 이를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입력하는 데이터입력용단말기; 입력되는 회원정보, 처방된 운동프로그램, 운동실적, 가이드내용, 종합분석정보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입력된 기본데이터를 분석하여 초기 운동 프로그램을 생성하거나 운동실적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가져와 분석하고 진단한 후 진단결과에 맞는 운동프로그램과 운동에 필요한 사항을 처방해 주는 가이드 진단기;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정보를 개인별, 그룹별 데이터를 종합하여 시간, 성별, 나이, 운동종목, 부위, 체중 등 여러 가지 요소에 따라 분석하고 결과를 제공하는 데이터가공기; 특정 디스플레이나 기존의 컴퓨터 모니터, PDA, 모바일 폰 등의 다양한 정보단말기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가공기의 정보를 조회하고 찾아보며 입력하는 데이터출력용단말기;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헬스 운동을 할 때 지난 운동 결과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반영한 사용자의 상태에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을 다음 번에 운동할 때 제시하고, 이런 과정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면서 축적된 관련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용 디스플레이나 무선단만장치 또는 PC 모니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운동 관리 시스템 및 운영방법{Exercise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운동 관리 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헬스 운동을 할 때 지난 운동 결과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반영한 사용자의 상태에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을 다음 번에 운동할 때 제시하고, 이런 과정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면서 축적된 관련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용 디스플레이나 무선단말장치 또는 PC 모니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헬스 운동은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신체조성 등을 강화시켜 주는 운동으로 운동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서 첫째는 정상적인 부하보다 약간씩 초과해서 중량을 설정하는 과부하의 원칙, 둘째는 일정기간 적응후에 중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점증성의 원칙, 셋째는 동원되는 근육이 대근육군에서 부터 소근육군의 운동을 실시하는 운동배열의 원칙, 넷째는 개인의 능력에 따라 중량을 결정하는 개별성의 원칙, 다섯째는 오랫동안 계속해서 운동을 지속해서 하는 계속성의 원칙 등의 원칙을 준수해서 운동 프로그램을 만들고 변화시키게 된다.
상기 헬스 운동은 별도의 장치 없이 덤벨이나 바벨과 같은 단순 기구를 사용하거나, 런닝 머신이나 에어로 바이크, 스텝머신 등과 같이 전기적 동력에 의해서 움직이는 자동 장치와 풀다운머신(pulldown machine), 레그 익스텐션머신(leg extensions machine), 레그 프레스 머신(leg press machine), 레그 컬 머신(leg curl machine) 등 기계적 장치로만 구성되어 움직이는 수동 장치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같은 운동을 할 때에도 이런 기구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만들게 된다.
한편 헬스클럽에서 회원에게 만들어주는 운동 프로그램은 초기 회원의 기본적인 신체상황을 특정 장치나 문진을 통해 파악한 후 운동 목표를 설정하여 만들어 진다. 기본적인 신체상황이란 체중, 키, 비만도, 지방과 근육의 비율 등을 측정하여 나오는데 회원이 갖고 있는 헬스의 목적과 과거 병력, 가용 운동 시간 등을 감안하여 초기 운동 프로그램을 만드는 중요한 입력요인이 된다. 이렇게 초기의 운동 프로그램이 만들어지면 그 프로그램에 따라 일정 기간 (보통 약1달 정도) 운동을 수행하고 다시 기본 신체상황을 측정하여 새로운 운동 프로그램을 만들어 시행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헬스 클럽의 회원 운동관리는 약1달 주기로 만들어 주는 운동 프로그램과 개별 운동 동작에 대한 설명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운동 프로그램과 회원의 운동 실적에 대한 관계나 데이터 축적이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운동 시작부터 운동 목적을 이룰 때까지의 운동라이프사이클(Exercise Life Cycle)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상기와 같이 현재 헬스 클럽이나 개인이 헬스 운동을 할 때 제대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헬스 클럽에서 운동 프로그램을 제시해도 회원이 실제 그 프로그램대로 운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즉, 몸의 상태나 시간의 제한 등으로 제시된 운동을 하지 못하기도 하고, 회원이 프로그램 자체를 변경해서 하기도 한다. 이 경우 과학적으로 회원의 운동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매일매일의 운동 결과를 그날 해야 하는 운동 프로그램과 비교 분석해서 운동 목표에 맞게 다음 운동 프로그램을 조정하거나 추가적인 운동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는 이러한 회원 운동관리는 특별한 경우 종이에 개인적으로 기록하는 정도 외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헬스 클럽에서 제시한 운동 프로그램대로 운동을 하는 경우에도 그 프로그램대로 했을 때의 몸의 상태나 변화를 기록하여 매일 매일 전문가가 검토하고 운동자의 상태에 맞는 처방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대로 운동을 하니 너무 힘들어 소요 시간이 과도하게 걸린다거나, 반대의 경우가 발생하면 이는 프로그램의 조정이 필요한 상태로 프로그램 대로 운동을 해야 하는 기간이 끝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이 바로 보완을 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는 운동자의 운동실적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없어 운동자가 클럽의 코치에게 요구하기 전까지는 불가능한 상태이다. 혹 자기 나름대로 가감을 해서 운동을 하게 되나 이것이 전문가에게 다시 피드백 되지 않는다면 과학적으로 운동을 관리하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헬스 운동을 하는 사람이 출장이나 개인 사정으로 헬스 클럽에 나오지 못하거나, 헬스 클럽을 옮기게 될 경우가 발생한다. 이렇게 될 경우 지금까지 수행해온 운동 데이터가 있고, 자신이 수행하는 운동결과를 계속 축적하고 전문가가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다면 언제, 어느 곳에서라도 체계적인 운동을 계속할 수 있으나 현재는 불가능한 상태이다.
더 나아가서 개인별 운동실적 데이터가 축적되고 이것이 성별, 나이, 직업 등 개인의 유형별로 종합이 되면 국민 건강증진을 위한 정책 개발 및 방안 수립을 위한 기본 데이터로 활용이 될 수 있으며, 관련 전문가들의 진단, 처방 데이터들이 모여서 헬스 분야의 전문가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외국의 이론이 아닌 우리 나라 국민에 맞는 표준 헬스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이를 보완 발전 시키면 전국민이 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건강 생활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헬스 운동관리 시스템이 없는 현 상태에서는 헬스 클럽은 과학적인 회원관리가 불가능하여 실제적인 회원관리 보다는 시설이나 장비 위주의 고객 서비스에 치중하여 과도한 비용 부담이 되고 있으며, 국민 체육증진을 위한 공공기관이나 정부는 정책 수립 및 대안 개발을 위한 국민 기본 체력에 대한 실제적인 데이터가 없어 구체적인 대안을 만들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헬스클럽 회원 등록 여부에 관계없이 헬스 운동을 하는 사람들과 국민 체력 증진을 위한 정책 수립 및 대안 개발을 하는 사람들 모두에게 헬스 운동 결과를 축적하고 전문가가 진단 처방 하는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기존 헬스 운동 시스템이 갖고 있는 운동 프로그램에 실제 운동 결과가 빠른 시간 안에 피드백 되지 못하는 문제, 운동 결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본 데이터의 축적 부재, 이로 인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불가능한 문제 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와 정보통신망을 사용하여 헬스 운동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특히 제2목적은 헬스 운동 프로그램과 실제 운동결과의 빠른 피드백이 가능하여 일반적인 피드백 주기인 보름에서 한달을 2~3일로 단축하여 실제적인 프로그램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헬스 운동 결과와 그 결과에 대한 진단과 처방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헬스 운동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축적된 개인의 헬스 운동 데이터는 언제 어디서나 조회가 가능하여 헬스 센터를 변경하거나, 헬스 쎈터에 나가지 못하는 경우라도 개인적으로 지속적인 관리 하에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축적된 데이터를 종합하고 분석하여 성별, 나이, 직업, 체중 등 국민의 건강에 필요한 척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상기 정보에 따른 한국사람의 신체에 맞는 표준화된 헬스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함은 물론 그 결과를 국민체력을 증진하기 위한 관련 정책 입안의 기본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7목적은 헬스 센터는 기존의 장소와 시설관리 위주의 서비스를 탈피하여 고객인 회원의 헬스 운동라이프사이클(Exercise Life Cycle)을 관리하는 고객 만족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고, 제8목적은 인터넷, 무선통신망, 전화망 등을 통해서 누구나 회원으로 등록하여 헬스 운동 관리를 전문가로부터 받을 수 있어 헬스 대중화 및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헬스운동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헬스 운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자신에 관한 기본데이터를 측정한 후 이를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입력하는 데이터입력용단말기; 입력되는 회원정보, 처방된 운동프로그램, 운동실적, 가이드내용, 종합분석정보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입력된 기본데이터를 분석하여 초기 운동 프로그램을 생성하거나 운동실적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가져와 분석하고 진단한 후 진단결과에 맞는 운동프로그램과 운동에 필요한 사항을 처방해 주는 가이드진단기;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정보를 개인별, 그룹별 데이터를 종합하여 시간, 성별, 나이, 운동종목, 부위, 체중 등 여러 가지 요소에 따라 분석하고 결과를 제공하는 데이터가공기; 특정 디스플레이나 기존의 컴퓨터 모니터, PDA, 모바일 폰 등의 다양한 정보단말기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가공기의 정보를 조회하고 찾아보며 입력하는 데이터출력용단말기;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운동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헬스 운동 시스템이 갖고 있는 운동 프로그램에 실제 운동 결과가 빠른 시간 안에 피드백 되지 못하는 문제, 운동 결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본 데이터의 축적 부재, 이로 인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불가능한 문제 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와 정보통신망을 사용하여 헬스 운동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한 것이고, 특히 헬스 운동 프로그램과 실제 운동결과의 빠른 피드백이 가능하여 일반적인 피드백 주기인 보름에서 한달을 2~3일로 단축하여 실제적인 프로그램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헬스 운동 결과와 그 결과에 대한 진단과 처방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헬스 운동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축적된 개인의 헬스 운동 데이터는 언제 어디서나 조회가 가능하여 헬스 센터를 변경하거나, 헬스 쎈터에 나가지 못하는 경우라도 개인적으로 지속적인 관리 하에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축적된 데이터를 종합하고 분석하여 성별, 나이, 직업, 체중 등 국민의 건강에 필요한 척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기 정보에 따른 한국사람의 신체에 맞는 표준화된 헬스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함은 물론 그 결과를 국민체력을 증진하기 위한 관련 정책 입안의 기본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헬스 센터는 기존의 장소와 시설관리 위주의 서비스를 탈피하여 고객인 회원의 헬스 운동라이프사이클(Exercise Life Cycle)을 관리하는 고객만족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고 또한 인터넷, 무선통신망, 전화망 등을 통해서 누구나 회원으로 등록하여 헬스 운동 관리를 전문가로부터 받을 수 있어 헬스 대중화 및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헬스 운동 관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헬스 운동 관리 시스템의 유/무선 포탈 웹사이트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 데이터 입력 및 운동 프로그램 생성의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시작시 운동 프로그램 정보 확인의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종료 후 운동 결과 입력 및 분석/진단/처방의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결과 및 처방 조회의 흐름도.
본 발명에 적용된 운동 관리 시스템 및 운영방법은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자신에 관한 기본데이터를 특정 설비나 장치를 통해 측정한 후 이를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입력하는 데이터입력용단말기(1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는 기존 기술을 활용하여 운동기구의 종류와 사용하는 단말장비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된 기본데이터를 분석하여 초기 운동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 데이터베이스(30)는 헬스 운동을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축적하는 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31), 운동프로그램데이터베이스(32), 운동실적데이터베이스(33), 가이드데이터베이스(34), 종합분석데이터베이스(3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30)에는 목표 운동 프로그램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운동자의 기본적인 정보(예: 운동 목적, 나이, 성별, 체중, 신장, 비만도, 근육, 체지방, 병력 등)를 저장하는 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31)와, 가이드진단기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회원의 운동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운동프로그램데이터베이스(32)와, 회원이 수행한 운동결과를 시간대별로 운동 종목과 기구, 횟수와 그 운동의 특성치(예: 런닝머신은 거리, 시간, 평균속도, 칼로리 등을, 덤벨의 경우는 운동 종목과 무게, 횟수 등)를 저장하는 운동실적데이터베이스(33)와, 가이드에 필요한 운동기구 및 운동부위, 운동방법에 대한 설명, 그림, 동영상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가이드진단기에서 만들어지는 운동결과에 대한 분석 및 진단결과, 처방내용, 질의에 대한 응답, 회원의 운동에 대한 자문 내용 등을 저장하는 가이드데이터베이스(34)와, 저장된 개인 데이터를 특정 기준에 따라 시간별, 종목별, 운동부위별, 나이별, 체중별 등 다양한 기준으로 종합 분석한 결과를 저장하는 종합분석데이터베이스(3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운동실적데이터베이스(33)의 정보를 가져와 분석하고 진단한 후 진단결과에 맞는 운동프로그램과 운동에 필요한 사항을 처방해 주는 가이드진단기(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30)에 축적된 정보를 개인별, 그룹별 데이터를 종합하여 시간, 성별, 나이, 운동종목, 부위, 체중 등 여러 가지 요소에 따라 분석하고 결과를 제공하는 데이터가공기(40)가 구비된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실시한 운동결과를 특정 디스플레이나 기존의 컴퓨터 모니터, PDA, 모바일 폰 등의 다양한 정보단말기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30) 및 데이터가공기(40)의 정보를 조회하고 찾아보며 입력하는 데이터출력용단말기(50)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헬스 운동 관리 운영방법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특정 헬스 클럽이나 단체에서 사용하거나 인터넷에서 개인이 회원으로 등록한 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시스템을 사용하는 헬스 클럽 회원들의 편의성을 위해 별도의 개별 웹사이트 없이 하나의 포탈 웹사이트를 구성하여 인터넷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기존의 헬스 시스템에서 불가능하였던 운동 프로그램과 실제 운동사이의 빠른 피드백이 가능하여 헬스 운동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을 다음 운동 전에 받을 수 있어 언제 어디서나 스스로 과학적인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헬스 클럽에서는 기존 운동 설비를 교체할 필요 없이 본 시스템의 추가로 실질적인 고객 운동 관리를 할 수 있으며, 본 시스템의 사용자들에 대해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 가공하여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사용자가 로그인을 거쳐 자신에 관한 기본 데이터(예: 신장, 나이, 몸무게, 성별, 체지방, 혈압 등)를 특정 설비나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시스템의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31)에 컴퓨터 등 데이터입력용단말기(10)를 사용하여 입력하게 된다.
이후 입력된 기본 데이터를 가이드진단기(20)에서 분석하여 초기 운동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이를 시스템의 운동프로그램데이터베이스(32)와 가이드데이터베이스(34)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출력용단말기(50)를 통하여 가이드진단기(20)에서 제시하는 초기운동 프로그램(예: 런닝 30분, 덤벨 10kg 10회 등)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운동을 실시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한 운동결과를 운동한 종목에 따라 데이터입력용단말기(10)를 통하여 시스템의 운동실적 데이터베이스(33)에 입력(예: 런닝 6km를 50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진단기(20)에서 입력된 운동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효과를 진단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초기 운동 프로그램을 보완한 후 다음 운동프로그램을 처방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운동시작 전에 필요한 시기와 장소에서 가이드데이터베이스(34)에 저장된 자신의 운동결과에 대한 처방 및 관련 정보를 데이터출력용단말기(50)를 통하여 확인하고 운동프로그램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된 새로운 운동프로그램에 따라 운동을 실시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정보화면표시에는 텍스트, 표, 그래프, 동화상 등으로 된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의 과정은 반복되면서 운동 프로그램과 실제운동 사이의 차이를 보완하여 피드백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과정에서 얻어지는 개인별, 그룹별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유용하도록 분석 가공하여 도표화하고, 접근이 허용된 회원이나 개인이 LAN, 인터넷, 전화선 등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특정 디스플레이나, 컴퓨터 모니터, PDA, 모바일 폰 등 다양한 단말장치로 조회하게 된다.
본 발명 상기 헬스 운동 관리 운영방법은 특정 헬스클럽이나 단체가 자체적으로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서버방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헬스 운동 관리 운영방법은 포탈 웹사이트를 구성하여 하나의 서버를 두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에서 서비스를 하는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방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ASP 방식을 사용할 경우 헬스클럽이나 단체 뿐만 아니라 개인도 회원으로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 데이터입력용단말기 20: 가이드진단기
30: 데이터베이스 40: 데이터가공기
50: 데이터출력용단말기

Claims (6)

  1. 헬스 운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자신에 관한 기본데이터를 측정한 후 이를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입력하는 데이터입력용 단말기;
    입력되는 회원정보, 처방된 운동프로그램, 운동실적, 가이드내용, 종합분석정보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입력된 기본데이터를 분석하여 초기 운동 프로그램을 생성하거나 운동실적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가져와 분석하고 진단한 후 진단결과에 맞는 운동프로그램과 운동에 필요한 사항을 처방해 주는 가이드진단기;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정보를 개인별, 그룹별 데이터를 종합하여 시간, 성별, 나이, 운동종목, 부위, 체중 등 여러가지 요소에 따라 분석하고 결과를 제공하는 데이터가공기;
    특정 디스플레이나 기존의 컴퓨터 모니터, PDA, 모바일 폰 등의 다양한 정보단말기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가공기의 정보를 조회하고 찾아보며 입력하는 데이터출력용단말기;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운동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목표 운동 프로그램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운동자의 기본적인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
    가이드진단기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회원의 운동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운동프로그램데이터베이스;
    회원이 수행한 운동결과를 시간대별로 운동 종목과 기구, 횟수와 그 운동의 특성치를 저장하는 운동실적데이터베이스;
    가이드에 필요한 운동기구 및 운동부위, 운동방법에 대한 설명, 그림, 동영상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가이드진단기 에서 만들어지는 운동결과에 대한 분석 및 진단결과, 처방내용, 질의에 대한 응답, 회원의 운동에 대한 자문 내용 등을 저장하는 가이드데이터베이스;
    저장된 개인 데이터를 특정 기준에 따라 시간별, 종목별, 운동부위별, 나이별, 체중별 등 다양한 기준으로 종합 분석한 결과를 저장하는 종합분석데이터베이스;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운동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항의 헬스 운동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헬스 운동 관리 운영방법에 있어서,
    초기에 사용자가 자신에 관한 기본 데이터를 측정한 후 시스템의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컴퓨터 등 데이터입력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기본 데이터를 가이드진단기에서 분석하여 초기 운동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이를 시스템의 운동프로그램데이터베이스와 가이드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는 데이터출력용단말기를 통하여 가이드진단기에서 제시하는 초기운동 프로그램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운동을 실시하는 단계;
    실시한 운동결과를 운동한 종목에 따라 데이터입력용단말기를 통하여 시스템의 운동실적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는 단계;
    가이드진단기에서 입력된 운동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효과를 진단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초기 운동 프로그램을 보완한 후 다음 운동프로그램을 처방하는 단계;
    사용자는 다음 운동시작 전에 필요한 시기와 장소에서 운동프로그램데이터베이스 및 가이드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신의 운동결과에 대한 처방을 데이터출력용단말기를 통하여 확인하며 그 내용에 따라 운동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의 과정은 반복되면서 운동 프로그램과 실제운동 사이의 차이를 보완하여 피드백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과정에서 얻어지는 개인별, 그룹별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유용하도록 분석 가공하여 도표화하고, 접근이 허용된 회원이나 개인이 LAN, 인터넷, 전화선 등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특정 디스플레이나, 컴퓨터 모니터, PDA, 모바일 폰 등 다양한 단말장치로 조회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운동 관리 운영방법.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헬스 운동 관리 운영방법은 특정 헬스클럽이나 단체가 자체적으로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서버방식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운동 관리 운영방법.
  5.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헬스 운동 관리 운영방법은 포탈 웹사이트를 구성하여 하나의 서버를 두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에서 서비스를 하는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방식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운동 관리 운영방법.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ASP 방식을 사용할 경우 헬스클럽이나 단체 뿐만 아니라 개인도 회원으로 등록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운동 관리 운영방법.
KR1020200147412A 2020-11-06 2020-11-06 운동 관리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2200614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412A KR20220061432A (ko) 2020-11-06 2020-11-06 운동 관리 시스템 및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412A KR20220061432A (ko) 2020-11-06 2020-11-06 운동 관리 시스템 및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432A true KR20220061432A (ko) 2022-05-13

Family

ID=81583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412A KR20220061432A (ko) 2020-11-06 2020-11-06 운동 관리 시스템 및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14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441B1 (ko) 2022-08-03 2023-03-31 임태호 운동 서비스 시스템 및 운동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441B1 (ko) 2022-08-03 2023-03-31 임태호 운동 서비스 시스템 및 운동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3124B2 (en) Biometric assessment in fitness improvement
Slade et al. Consensus on exercise reporting template (CERT): explanation and elaboration statement
Chan et al. Exercise telemonitoring and telerehabilitation compared with traditional cardiac and pulmonary rehabilit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onnevie et al. Advanced telehealth technology improves home-based exercise therapy for people with stabl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systematic review
US7955219B2 (en) Exercise community system
US20110179068A1 (en) Computer implemented process for creating an overall health wellness database for a plurality of patients
US20080262918A1 (en) Exercise recommendation engine and internet business model
KR100476674B1 (ko) 헬스 운동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0773107B1 (ko) 온라인을 통한 사용자 목표 단계별 휘트니스 관리시스템
Vieira et al. Kinect system in home-based cardiovascular rehabilitation
KR20170077361A (ko)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
Foy et al. Occupational therapy treatment time during inpatient spinal cord injury rehabilitation
Obrusnikova et al.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interventions on muscular strength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N112349376A (zh) 利用大数据的健身会员定制型管理系统
KR20110112523A (ko) 개인맞춤 운동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모니터링 운동처방 시스템
US201400801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customizable sports workouts
US20020146670A1 (en) Personal trainer scientific management system
KR20220061432A (ko) 운동 관리 시스템 및 운영방법
Rauff et al. Using sport science data in collegiate athletics: Coaches’ perspectives
Svensson et al. The effect of different exercise intensitie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eople classified as obese
JP2005122628A (ja) 運動能力向上システム
CN116486998A (zh) 基于健身器材彩屏的用户健康数据监测和管理方法及系统
Heales et al. An evidence-based evaluation of mobile health apps for the management of individuals with lateral elbow tendinopathy using a systematic review framework
Boeker et al. Soccer Athlete Data Visualization and Analysis with an Interactive Dashboard
Kariuki et al. The feasibility and acceptability of a web-based physical activity for the heart (PATH) intervention designed to reduce the risk of heart disease among inactive African Americans: Protocol for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