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999A - Multi stage door and smart midea system - Google Patents

Multi stage door and smart midea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999A
KR20220060999A KR1020210133380A KR20210133380A KR20220060999A KR 20220060999 A KR20220060999 A KR 20220060999A KR 1020210133380 A KR1020210133380 A KR 1020210133380A KR 20210133380 A KR20210133380 A KR 20210133380A KR 20220060999 A KR20220060999 A KR 20220060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door
driving unit
mo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3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윤주
류정한
김태호
최주영
심화석
김영경
심재묘
김재우
조창민
박기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세아메카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세아메카닉스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60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9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3Details of furniture, e.g. tables or shelves, associated with the part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assembly comprising: a plurality of door panels including a first door panel, a second door panel, and a third door panel, disposed vertically in a closed state and overlapped horizontally in an open state; a first driving unit that vertically moves the first door panel and the second door panel; a second driving unit moving the third door panel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a control unit that sequentially drives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and continuously drives the door panels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Description

다단 도어 및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MULTI STAGE DOOR AND SMART MIDEA SYSTEM}Multi-level door and smart media system {MULTI STAGE DOOR AND SMART MIDEA SYSTEM}

본 발명은 슬라이드 이동하며 다단으로 개폐 가능한 다단 도어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tage door that slides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in multiple stages, and a smart media system having the sam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등이 있다.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is also increasing in various forms. There is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the like.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A liquid crystal panel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layer and a TFT substrate and a color filter substrate opposed to each other with the liquid crystal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can display an image using light provided from a backlight unit.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의 일 예로,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시판되고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자발광 소자이기 때문에 액정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백라이트가 없고 응답 속도, 시야각 등에서 장점이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 받고 있다. As an example of an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 act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commercially available. Sinc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a self-luminous element, it has no backlight compar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has advantages in response speed and viewing angle, and thus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display.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소재의 변화에 따라 두께가 얇아지고 대화면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현하게 되었고, 가정에도 대화면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As the material of the display device changes, the thickness becomes thinner and a display device of a large screen is implemented, and the demand for a display of a large screen is increasing even at home.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크기가 커지면서 사용하지 않는 상황에서 실내 인테리어와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디자인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니즈가 있다.In addition, as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increases, there is a need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design that can harmonize with an indoor interior when not in use.

본 발명은 가정의 가구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다단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media system that can harmonize with household furniture and a multi-stage door for implementing the same.

제1 도어패널, 제2 도어패널 및 제3 도어패널을 포함하고, 닫힌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열린상태에서 수평으로 중첩 배치되는 복수개의 도어패널; 상기 제1 도어패널 및 제2 도어패널을 수직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제1 구동부; 상기 제3 도어패널을 두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순차적으로 구동하며 각 도어패널 사이가 이격되지 않도록 연속적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a plurality of door panels including a first door panel, a second door panel, and a third door panel, arranged vertically in a closed state and horizontally overlapping in an open state; a first driving unit for vertically moving the first door panel and the second door panel; a second driving unit for moving the third door panel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a control unit for sequentially driving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and continuously driving the door panels so as not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닫힌상태에서 상기 열린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2 구동부를 구동하고, 상기 제2 도어패널이 제1 거리 이동하면, 상기 제1 구동부를 구동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drive the second driving unit when switching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and drive the first driving unit when the second door panel moves a first distance.

상기 제3 도어패널이 제2 거리 이동한 이후, 상기 제2 도어패널은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도어패널이 상기 제2 도어패널과 중첩되며 상기 제2 도어패널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After the third door panel moves the second distance, the second door panel mov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first door panel overlaps the second door panel and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door panel. there i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린상태에서 상기 닫힌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1 구동부를 구동하고 상기 제1 도어패널이 제3 거리 이동하면, 상기 제2 구동부를 구동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drive the first driving unit when switching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and drive the second driving unit when the first door panel moves a third distance.

상기 제1 구동부는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가변하는 제1 액추에이터; 상기 제1 도어패널과 결합하며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길이 변화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부; 상기 제2 도어패널과 결합하며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부; 및 상기 제1 이동부와 상기 제2 이동부 사이에 위치하며 길이가 가변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actuator whose length is vari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 first moving part coupled to the first door panel and moving in a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length of the first actuator; a second moving part coupled to the second door panel and mov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 elastic part having a variable length and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second moving part.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구동부가 구동 시 최대인장길이 이하의 범위 내에서 압축 또는 인장되는 가스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lastic part may include a gas spring that is compressed or stretched within a range of less than or equal to a maximum tensile length when the first driving part is driven.

상기 제2 도어패널과 상기 제1 도어패널이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 시 상기 탄성부는 최대 인장길이를 가질 수 있다. When the second door panel and the first door panel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vertical direction, the elastic part may have a maximum tensile length.

상기 제1 구동부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부와 상기 제2 이동부는 상기 수직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guide rail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rst moving unit and the second moving unit may move vertically along the vertical guide rail.

상기 제1 구동부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상부레일, 상기 상부레일의 하단에서 배면 방향으로 경사이루며 연장된 경사레일, 및 상기 경사레일에서 연장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하부레일을 포함하는 제2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탄성부가 결합된 제1 브라켓;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브라켓에 형성된 수평슬롯에 삽입된 가이드핀; 및 상기 가이드 핀과 결합하고 상기 제2 도어패널과 체결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unit may include an upper rail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 inclined rail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rail in a rear direction, and a second guide including a lower rail extending from the inclined rail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first bracket further comprising a rail, wherein the second moving part moves along the first guide rail and the elastic part is coupled; a guide pin moved along the second guide rail and inserted into a horizontal slot formed in the first bracket; and a second bracket coupled to the guide pin and coupled to the second door panel.

상기 제2 구동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하여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하는 제2 액추에이터; 상기 제2 액추에이터에 결합하며 상기 베이스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이동부; 상기 제3 도어패널과 체결되는 도어 브라켓; 및 상기 제3 이동부의 수평이동을 직각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도어 브라켓을 수직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무빙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driving unit includes a base; a second actuator coupled to the base and having a variable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third moving part coupled to the second actuator and moving horizontally on the base; a door bracket fastened to the third door panel; and a moving plate for vertically moving the door bracket by convert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third moving part to a right angle direction.

상기 무빙 플레이트는 경사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이동부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 브라켓은 상기 경사슬롯에 삽입되는 슬롯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ving plate may include a light chain slot and coupled to the third moving part, and the door bracket may include a slot pin inserted into the light chain slot.

상기 프레임을 통해 벽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전자제품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통해 벽에 설치되는 도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어셈블리는, 제1 도어패널, 제2 도어패널 및 제3 도어패널을 포함하고, 닫힌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열린상태에서 수평으로 중첩 배치되는 복수개의 도어패널; 상기 제1 도어패널 및 제2 도어패널을 수직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제1 구동부; 상기 제3 도어패널을 두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순차적으로 구동하며 각 도어패널 사이가 이격되지 않도록 연속적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을 제공한다.a display device installed on the wall through the frame; and a door assembly installed on a wall through the frame so as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electronic product, wherein the door assembly includes a first door panel, a second door panel, and a third door panel, and is vertical in a closed state. a plurality of door panels arranged in the direction and horizontally overlapped in an open state; a first driving unit for vertically moving the first door panel and the second door panel; a second driving unit for moving the third door panel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a control unit that sequentially drives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and continuously drives the door panels so as not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기존의 부피가 큰 화면을 가릴 수 거실의 인테리어 퀄리티를 높일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ver the existing bulky screen and increase the interior quality of the living room.

또한, 도어가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져 실제 벽체와 같이 디자인 하거나 액자와 같은 선호하는 디자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외관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oor is made of a hard material, it can be designed like a real wall or an exterior design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can be realized by using a preferred design such as a picture frame.

또한, 복수개의 도어패널이 연동하여 순차제어 시스템보다 도어의 개폐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time of the door can be shortened compared to the sequential control system by interlocking a plurality of door panels, and the usability can be improved because the operation is simple.

공간활용도가 낮은 개별적인 동작만 수행하는 여러 디바이스에서 본 발명에서 고안된 커스텀 유닛 TV 컨셉을 통해서 전체를 통합된 시스템적인 구조제어를 통해 편리하고 다양한 다기능을 탑재한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the custom unit TV concept devi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multiple devices that perform only individual operations with low space utiliz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mart media system equipped with convenient and various functions through an integrated systemic structural control.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의 도어 어셈블리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도어 어셈블리의 닫힌상태에서 열린상태로 전환 시 구동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도어 어셈블리의 닫힌상태에서 열린상태로 전환 시 구동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도어 어셈블리의 열린상태에서 닫힌상태로 전환 시 구동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도어 어셈블리의 열린상태에서 닫힌상태로 전환 시 구동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제1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제2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each configuration of a smart medi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mart medi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assembly of the smart medi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smart medi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sequence when the do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witched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7 is a view showing a driving method when the do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witched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sequence when the do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witched from an open state to a closed state.
9 is a view showing a driving method when the do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witched from an open state to a closed state.
10 to 13 are views illustrating a first driving unit.
14 to 15 are views illustrating a second driving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for example, an intelligent video display device that adds a computer support function to the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nd is faithful to the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nd has an Internet function, etc., so that a handwritten input device, a touch screen Alternatively, a more user-friendly interface such as a spatial remote control may be provided. In addition, it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a computer with the support of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function, so that functions such as e-mail, web browsing, banking, or games can also be performed. A standardized general-purpose OS may be used for these various functions.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Accordingly, in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various applications can be freely added or deleted on a general-purpose OS kernel, so that various user-friendly functions can be performed. The video display device,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may be a network TV, HBBTV, smart TV, etc., may be applied to a smart phone in some cases.

도 1은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는 방송 수신부(11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 입력부(130), 제어부(180), 디스플레이(150), 오디오 출력부(160)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smart media system 100 . The smart media system 100 includes a broadcast receiving unit 110 ,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 a network interface unit 172 , a storage unit 140 ,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73 , an input unit 130 , and a control unit 180 . ), a display 150 , an audio output unit 160 , and/or a power supply unit 190 .

방송 수신부(110)는 튜너부(111) 및 복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er 110 may include a tuner 111 and a demodulator 112 .

한편,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는 도면과 달리, 방송 수신부(11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중,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는 방송 수신부(11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mart media system 100, unlike the figure, only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and the network interface unit 172 among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10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 and the network interface unit 172 .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That is, the smart media system 100 may not include the broadcast receiver 110 .

튜너부(111)는 안테나(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11)는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The tuner unit 111 may select a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ll channels stored in advance among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not shown) or a cable (not shown). The tuner unit 111 may convert the selected broadcast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image or audio signal.

예를 들면, 튜너부(111)는 선택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부(11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8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lected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it may be converted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and if the selected broadcast signal is an analog broadcast signal, it may be converted into an analog baseband image or audio signal (CVBS/SIF). That is, the tuner unit 111 may process a digital broadcast signal or an analog broadcast signal. The analog baseband image or audio signal (CVBS/SIF) output from the tuner unit 111 may be directly input to the controller 180 .

한편, 튜너부(111)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Meanwhile, the tuner unit 111 may sequentially select broadcast signals of all broadcast channels stored through the channel storage function among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s, and convert them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image or audio signal.

한편, 튜너부(111)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tuner unit 1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tuners to receive broadcast signals of a plurality of channels. Alternatively, a single tuner that simultaneously receives broadcast signals of a plurality of channels is also possible.

복조부(112)는 튜너부(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12)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The demodulator 112 may receive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111 and perform a demodulation operation. The demodulator 112 may output a stream signal TS after performing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In this case,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in which an image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is multiplexed.

복조부(11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8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12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180 . After performing demultiplexing and image/audio signal processing,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n image through the display 150 and output an audio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160 .

센싱부(120)는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 내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외부의 변화를 감지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여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음성센서(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습도계, 온도계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20 refers to a device that detects a change in the smart media system 100 or detects an external change. For example, a proximity sensor, an illumination sensor, a touch sensor, an infrared sensor (IR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optical sensor, for example , camera), a voice sensor (eg, a microphone), a battery gauge, and an environmental sensor (eg, a hygrometer, a thermometer, etc.), may include at least one.

제어부(180)는 센싱부(120)에서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의 상태를 점검하고 문제가 발생시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자체적으로 조정하여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may check the state of the smart media system 100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ing unit 120 and, when a problem occurs, notify the user or adjust it to maintain the best state.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80)에 제공되는 영상의 컨텐츠, 화질, 사이즈 등을 센싱부에서 감지한 시청자나, 주변의 조도 등에 따라 다르게 제어하여 최적의 시청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TV가 진보해감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탑재된 기능이 많아지고 센싱부(20) 또한 그와 함께 증가하고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imal viewing environment by differently controlling the content, picture quality, size, etc. of the image provided to the display module 180 according to the viewer sensed by the sensing unit or the surrounding illuminance. As smart TVs advance, more functions are mounted on display devices, and the sensing unit 20 also increases with it.

입력부(130)는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3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3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smart media system 100 . For example, the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touch pad, a physical button, and the like. The input unit 130 may receive various user command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mart media system 100 , and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80 .

최근에는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의 베젤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자체에 외부로 노출된 물리적 형태의 버튼 형태의 입력부(130)는 최소화한 형태의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가 많아지고 있다. 대신에 배면이나 측면에 최소의 물리적 버튼이 위치하고 터치패드나 후술할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을 통해 원격 제어장치(20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Recently, as the size of the bezel of the smart media system 100 decreases, the number of smart media systems 100 in a form in which the input unit 130 in the form of a physical button exposed to the outside is minimized is increasing. Instead, a minimum physical button is located on the back or side, and a user input may be received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rough a touchpad or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73 to be described later.

저장부(14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8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8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 program for each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in the control unit 180, or may store a signal-processed image, audio, or data signal.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40 stores application programs designed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various tasks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80 , and upon request of the control unit 180 , selectively selects some of the stored application programs can provide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80 . The storage unit 14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 predetermined broadcast channel through a channel storage function such as a channel map.

도 1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80) 내에 저장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1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orage unit 14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80 ,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orage unit 14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80 .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include a volatile memory (eg, DRAM, SRAM, SDRAM, etc.), a non-volatile memory (eg, a flash memory),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rive (Solid- state drive (SSD), etc.) may be included.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인터페이스부(17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81)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50 converts an image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a control signal, or an image signal, a data signal, and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interface unit 171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80 to generate a driving signal. can The display 15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81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ixels provided in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RGB sub-pixels.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RGBW sub-pixels. The display 150 may convert an image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a control signal, etc.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80 to generate driving signals for a plurality of pixels.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150)는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50 may include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nd the like,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is possible. may be The 3D display 150 may be divided into a non-glasses type and a glasses type.

최근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평면에서 더 나아가 곡면의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LED(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와 같이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이용할 수 있다. Recently, the display module 150 is a flexible display module 150 such as LED (Light Emitting Diodes) or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o implement a curved screen further than a flat surface. is available.

종래에 주로 이용되던 LCD는 LCD가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어려워 백라이트 유닛을 통해 빛을 공급받았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과 광원에서 공급된 빛을 균일하게 전면에 위치하는 액정에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백라이트 유닛이 점점 얇아지면선 박형의 LCD를 구현할 수 있었으나, 백라이트 유닛을 휘어지는 소재로 구현이 어렵고 백라이트 유닛이 휘어지는 경우 액정에 균일한 빛의 공급이 어려워져 화면의 밝기가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In the conventional LCD, it was difficult for the LCD to emit light by itself, so light was supplied through the backlight unit. The backlight unit is a device that uniformly supplies the light source and the light supplied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liquid crystal positioned in front. As the backlight unit became thinner, a thin LCD could be realiz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backlight unit with a flexible material, and when the backlight unit is curved, it is difficult to supply uniform light to the liquid crystal,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changes.

반면 LED나 OLED의 경우 픽셀을 이루는 소자가 각각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하지 않아 휘어지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소자가 자체발광 하므로 이웃하는 소자와의 위치관계가 달라지더라도 자체 밝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LED나 OLED를 이용하여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LED or OLED, since each element constituting a pixel emits light by itself, it can be implemented to be curved without using a backlight unit. In addition, since each element emits light by itself, it does not affect its own brightness even if a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a neighboring element is changed. Therefore, a flexible display module 150 can be implemented using an LED or OLE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은 2010년 중반에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LCD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OLED는 형광성 유기활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자체발광 현상을 이용하여 만든 디스플레이로, 화질 반응 속도가 LCD에 비해 빨라 동영상을 구현할 때 잔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anels appeared in earnest in mid-2010 and are rapidly replacing LCDs in the small and medium-sized display market. OLED is a display made by using the self-luminescence phenomenon that emits light when an electric current flows through a fluorescent organic compound. The image quality response speed is faster than that of LCD, so there is almost no afterimage when implementing a video.

OLED는 자체 발광기능을 가진 적색(Red)과 녹색(Green), 청색(Blue) 등 세 가지의 형광체 유기화합물을 사용하며, 음극과 양극에서 주입된 전자(電子)와 양의 전하를 띤 입자가 유기물 내에서 결합해 스스로 빛을 발하는 현상을 이용한 발광형 디스플레이 제품이므로 색감을 떨어뜨리는 백라이트(후광장치)가 필요 없다.OLED uses three types of phosphor organic compounds with self-luminous function: red, green, and blue. Electrons and positively charged particles injected from the cathode and anode are As it is a light-emitting display product that uses the phenomenon of emitting light by combining within an organic material, there is no need for a backlight (backlight device) that reduces color.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 패널은 LED소자 하나를 하나의 픽셀로 이용하는 기술로서, 종래에 비해 LED소자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종래에 LED TV라 불리우던 장치는 LED를 LCD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이용한다는 것이지 LED자체가 화면을 구성하지 못했었다. The LED (Light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diode) panel is a technology that uses one LED element as one pixel, and the size of the LED element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module 150 can be implemented. Conventionally, a device called LED TV uses LED as a light source for a backlight unit that supplies light to LCD, but the LED itself did not constitute a screen.

디스플레이 모듈은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배면에 위치하는 결합마그넷, 제1 전원 공급부 및 제1 신호모듈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복수 개의 픽셀들(R,G,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 또는 배열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 display panel, a coupling magnet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 first power supply unit, and a first signal module.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s R, G, and B. The plurality of pixels R, G, and B may be formed in each region where the plurality of data lines and the plurality of gate lines intersect. The plurality of pixels R, G, and B may be arranged or arranged in a matrix form.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적색(Red, 이하 'R') 서브 픽셀, 녹색(Green, 'G') 서브 픽셀 및 청색 (Blue, 'B')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화이트(White, 이하 'W')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pixels R, G, and B include a red (Red, 'R') sub-pixel, a green (Green, 'G') sub-pixel, and a blue (Blue, 'B') sub-pixel. may include The plurality of pixels R, G, and B may further include a white (hereinafter 'W') sub-pixel.

한편, 디스플레이(15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display 150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오디오 출력부(160)는 제어부(18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향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격하여 복수개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개수를 증가시켜 다중채널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audio output unit 160 receives the audio-processed signal from the controller 180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sound, as shown in FIG. 2 , a plurality of pieces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module, and by increasing the number, multi-channel sound may be provided.

인터페이스부(170)는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방식뿐만 아니라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방식도 포함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ssage with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smart media system 100 . The interface unit may include a wireless method using an antenna as well as a wire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cable.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is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port), a memory card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 port), an audio I/O (Input/Output) port, a video I/O (Input/Output) port, and an earphone port.

무선방식의 일 예로 전술한 방송수신부(110)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방송신호뿐만 아니라 이동통신신호 근거리 통신신호, 무선인터넷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of the wireless method, the above-described broadcast receiving unit 110 may be included, and may include not only 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a short-range communication signal, a wireless Internet signal, and the like.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may transmit or receive data to or from a connected external device.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may include an A/V input/output unit (not shown).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VD (Digital Versatile Disk), Blu-ray, game device, camera, camcorder, computer (notebook), set-top box, etc. by wire/wireless, It can also perform input/output operations with an external device.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양한 원격제어장치(3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원격제어장치(300)로부터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제어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establishes a communication network with the various remote control devices 300 ,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mart media system 100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300 , or a smart media system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300 .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Through suc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may exchange data with an adjacent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may receive device information, executed application information, an application image, and the like, from the mobile terminal in the mirroring mod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72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smart media system 100 to a wired/wireless network including an Internet network. For example, the network interface unit 172 may receive content or data provided by the Internet,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through a network. Meanwhile, the network interface unit 172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connection with a wired/wireless network.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BLE), 직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와 같은 셀룰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and / or network interface unit 172 is Wi-Fi (Wireless Fidelity), Bluetooth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 (Bluetooth Low Energy; BLE), Zigbee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 a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long-term evolution (LTE), LTE Advance (LTE-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DMA (WCDM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WiBro (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cellular communication such as (Wireless Broadband).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3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로 송신할 수 있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73 may transmit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80 or may transmit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80 to the user. For example, transmit/receive user input signals such as power on/off, channel selection, and screen setting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300, or local keys (not shown) such as power key, channel key, volume key, and setting value transmits a user input signal input to the control unit 180, transmits a user input signal input from a sensor unit (not shown) sensing a user's gesture to the control unit 180, or transmit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80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sensor unit.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and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media system 100 by using the processor included therein. Here, the processor may be a general processor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course, the processor may be a dedicated device such as an ASIC or other hardware-based processor.

제어부(180)는 튜너부(111), 복조부(112),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demultiplexes a stream input through the tuner unit 111, the demodulator 112,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72, or processes the demultiplexed signals,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d output a signal for video or audio output.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15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도 있다.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80 may be input to the display 15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Also,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80 may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60)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8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80 may be outputted to the audio output unit 160 . Also,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80 may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 Although not shown in FIG. 2 ,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demultiplexer, an image processor, and the lik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

그 외, 제어부(180)는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튜너부(11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in the smart media system 100 .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tuner unit 111 to select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pre-stored channel (Tuning).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smart media system 100 according to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73 or an internal program. Meanwhile,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display 150 to display an image. 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50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may be a 2D image or a 3D image.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2D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80 may cause a predetermined 2D object to be displayed i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50 . For example, the object may be at least one of an accessed web screen (newspaper, magazine, etc.), an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various menus, widgets, icons, still images, moving pictures, and text.

한편, 제어부(180)는 진폭 편이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modulation) 및/또는 복조(demodulation)할 수 있다. 여기서,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은, 데이터 값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을 다르게 하여 신호를 변조하거나, 반송파의 진폭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값으로 복원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80 may modulate and/or demodulate a signal using an amplitude shift keying (ASK) method. Here, the amplitude shift modulation (ASK) method may refer to a method of modulating a signal by varying the amplitude of a carrier wave according to a data value or restoring an analog signal to a digital data value according to the amplitude of the carrier wave.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하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modulate the image signal using an amplitude shift modulation (ASK) method and transmit the modulated imag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복조하여 처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demodulate and process an imag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ing an amplitude shift modulation (ASK) method.

이를 통해,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는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와 같은 고유 식별자나, TCP/IP와 같은 복잡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영상표시장치와 간편하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smart media system 100 transmits/receives signals to and from other image display device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without using a unique identifier such as a MAC address or a complex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TCP/IP. can do.

한편,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디스플레이(150) 상부에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80)에 입력될 수 있다.Meanwhile, the smart media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The photographing unit may photograph the user. The photographing unit may be implemented with one camera,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with a plurality of cameras. Meanwhile, the photographing unit may be embedded in the smart media system 100 on the display 150 or disposed separately.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180 .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와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8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5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e distance (z-axis coordinate) between the user and the smart media system 100 .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e x-axis coordinates and the y-axis coordinates in the display 150 corresponding to the user's location.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detect the user's gesture based on each or a combination of an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or a signal sensed from the sensor unit.

전원 공급부(190)는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8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5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6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supply the corresponding power throughout the smart media system 100 .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to the control unit 180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the display 150 for displaying an image, and the audio output unit 160 for outputting audio. there is.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converter (not shown) that converts AC power into DC power, and a Dc/Dc converter (not shown) that converts the level of DC power.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부품에 전원을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 전원과 직접연결하여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배터리를 포함하여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and distributes power to each component.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use a method of supplying AC power through direct connection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190 of a form that can be charged and used including a battery.

전자의 경우 유선의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하며 이동이 어렵거나 이동 범위가 제한된다. 후자의 경우 이동이 자유로우나 배터리만큼의 무게가 증가하고 부피가 커지며 충전을 위해 일정시간 전원케이블과 직접 연결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거치부(미도시)와 결합해야 한다. In the former case, it is used by connecting a wired cable, and movement is difficult or the range of movement is limited. In the latter case, it is free to move, but the weight of the battery increases and the volume increases. For charging, it must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power cab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combined with a charging cradle (not shown) that supplies power.

충전거치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접속할 수 있고, 또는 무선방식을 이용하여 근접하면 내장된 배터리가 충전될 수도 있다. The charging cradle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through a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or the built-in battery may be charged when it approaches using a wireless method.

원격제어장치(3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3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nfrared Radiation) 통신,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3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3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300 may transmit a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73 . 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 device 300 may use Bluetooth,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Infrared Radiation communication, Ultra-wideband (UWB), ZigBe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300 may receive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73 , and display or output the audio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300 .

한편, 상술한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Meanwhile, the aforementioned smart media system 100 may be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fixed or mobile digital broadcasting.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전면을 커버하는 도어 어셈블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20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방 폐쇄하며 폐쇄 시에 도어에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한 인테리어를 구현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200)에 대해서는 이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The smart media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door assembly that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50 . The door assembly 2000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50 and applies various designs to the door when it is closed to implement an interior reflecting a user's taste. The door assembly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한편,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일 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lock diagram of the smart media system 100 shown in FIG. 1 is only a block diagra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is actually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smart media system 100 . may be incorporated, added, or omitted.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eded. In addition, the function performed by each block i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 or devic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을 전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smart media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 media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본 발명의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은 벽에 손쉽게 설치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커버할 수 있는 도어 어셈블리(200)를 포함하고 있다. The smart media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assembly 200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on a wall and can cover the display module 150 when not in use.

본 발명의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은 실내 벽체에 프레임(211)을 설치하고 프레임(211)에 디스플레이 모듈(150), 오디오 출력부(160)와 같은 미디어 제품을 설치할 수 있다. 그 외에 공기청정기, 제습기, 청소기 등이 함께 탑재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In the smart media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211 may be installed on an indoor wall, and media products such as a display module 150 and an audio output unit 160 may be installed on the frame 211 . In addition, air purifiers, dehumidifiers, vacuum cleaners, etc. can be installed together, and a home network system can be built through network connection.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축되면 각 가전 상에 상호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50)를 켜면 로봇 청소기이나 제습기의 동작을 중단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활성화 되면 사람이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이 설치된 공간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공기청정기를 동작할 수 있다. When the home network system is built, it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on each home appliance. For example, when the user turns on the display module 150,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or the dehumidifier may be stopped to reduce noise. Alternatively, when the display module 150 is activated, it is determined that a person is located in the space where the smart media system 100 is installed and the air purifier can be operated.

벽체에 설치 브라켓을 고정하여 프레임(211)을 벽에 설치할 수 있다. 설치 브라켓의 위치는 레이저 가이드 등을 통해 위치를 정할 수 있으며, 설치공간의 크기 및 실장 하고자 하는 전자제품의 크기에 따라 레이아웃은 가변 가능하다. The frame 211 may be installed on the wall by fixing the installation bracket to the wall. The location of the installation bracket can be determined through a laser guide, etc., and the layout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size of the electronic product to be mounted.

벽에 걸린 프레임(211)에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비롯한 각종 전자제품을 실장할 수 있으며 여유가 있는 공간은 책장이나 수납공간(215)으로 활용할 수 있다. 수납공간으로 활용하는 공간은 도어(216)를 달아 필요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Various electronic products including the display module 150 can be mounted on the frame 211 hung on the wall, and the free space can be used as a bookshelf or storage space 215 . The space used as a storage space can b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when necessary by attaching a door 216 .

본 발명의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위치하는 슬라이딩하며 개폐되는 도어 어셈블리(2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닫이 타입의 도어는 열린 도어가 안정감을 저해한다. 일반적인 미닫이 타입의 도어는 도어의 크기에 상응한 대면적의 공간이 측면이나 하부에 필요하다. The smart media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sliding door assembly 200 positioned in front of the display module. In case of a hinged door, an open door impairs stability. A general sliding door type requires a large area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door on the side or the bottom.

스크린과 같이 감을 수 있는 플렉서블한 부재로 도어를 구현하는 경우 플렉서블한 재질의 한계상 편평한 면을 구현하기 힘들어 정돈된 외관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When a door is implemented with a flexible member that can be wound like a screen,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 flat surfac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flexible material, making it difficult to implement an orderly appearance.

이에 본 발명의 도어 어셈블리(200)는 복수개의 도어패널(220)을 이용하여 다단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어, 개방시에 도어패널(220)이 차지하는 면적이 작은 장점이 있다. 또한, 스크린 타입과 달리 강성이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벽체나 가구와 같은 인테리어를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oor assembl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lide in multiple stages using the plurality of door panels 220 , so that the area occupied by the door panel 220 is small when opened. In addition, unlike the screen typ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interior such as a wall or furniture by using a material having a rigidity.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의 수평방향은 도면상 x축 방향을 의미하고, 수직방향을 y축 방향, 두께 방향을 z축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mart media system 100 refers to the x-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the vertical direction refers to the y-axis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refers to the z-axis direction.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의 도어 어셈블리(200)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도어 어셈블리(200)는 3장의 도어패널(220)의 배치가 변화하며 전면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크기가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assembly 200 of the smart media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assembl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angement of the three door panels 220 is changed and the size of the display module 150 exposed to the front is changed.

도 4의 (a)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부 일부만 개방했을 때의 상태(라인뷰: line view)를 도시한 도면으로 3개의 도어패널(220)이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닫힌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FIG. 4A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line view) when only the upper part of the display module is opened, and shows a closed state in which three door panels 220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라이뷰 모드인 경우 상부에 일부 노출된 화면을 이용하여 시간, 온도, 습도 및 중요 알림사항 등을 출력하여 이용할 수 있다. 라인뷰 대신 디스플레이부 전체를 다 커버도록 도어패널(22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어패널(220)의 개수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In case of live view mode, time, temperature, humidity, and important notices can be printed and used by using the partially exposed screen at the top. The door panel 220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entire display unit instead of the line view, and in this case, the number or size of the door panel 220 may vary.

도 4의 (b)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반절만 개방했을 때의 상태(하프뷰: half view)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3 도어패널(223)과 제2 도어패널(222)이 부분적으로 중첩되며 디스플레이 영역의 반을 노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영역을 노출하는 크기에 따라 제2 도어패널(222)과 제3 도어패널(223)의 중첩량이 달라질 수 있다. FIG.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half view) when only half of the display module 150 is opened. The third door panel 223 and the second door panel 222 positioned below partially overlap and expose half of the display area. In this case, the overlapping amount of the second door panel 222 and the third door panel 223 may var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exposed.

도 4의 (c)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완전 개방한 풀뷰 모드(Full view mode)를 위해 도어패널(220)을 열린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열린상태에서 3개의 도어패널(220)은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하부에서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어 배치된다. 4( c ) shows that the door panel 220 may be switched to an open state for a full view mod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150 is fully opened. In the open state, the three door panels 220 are disposed to overlap in the thickness direction under the display module 150 .

가장 전면에 가장 상부에 위치하던 제1 도어패널(221)이 위치하며 하부에 위치하던 제3 도어패널(223)은 배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도어패널(222)과 제1 도어패널(221)이 위치할 공간을 제공한다. The first door panel 221 located at the top is located on the frontmost side, and the third door panel 223 located at the bottom is moved in the rear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door panel 222 and the first door panel 221 are located. It provides space for this to be located.

도 5는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의 배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로, 제1 내지 제3 도어패널(223), 디스플레이 모듈(150) 및 도어패널(220)을 구동하는 구동부가 도시되어 있다.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rear of the smart media system 100 ,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irst to third door panels 223 , the display module 150 , and the door panel 220 is shown.

본 발명의 구동부는 제1 도어패널(221) 및 제2 도어패널(22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240)와 제3 도어패널(223)을 두께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도어패널(222) 제1 도어패널(221)이 위치할 공간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first driving unit 240 for moving the first door panel 221 and the second door panel 22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hird door panel 223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 move the second door panel (222) It may include a second driving unit 250 that provides a space for the first door panel 221 to be located.

제1 구동부(240)는 도 10을 참고하면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가변하는 제1 액추에이터(241)와 상기 제1 액추에이터(241)의 힘을 받아 제1 도어패널(221)을 구동하는 제1 이동부(240a) 및 제2 도어패널(222)을 구동하기 위한 제2 이동부(240b)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the first driving unit 240 drives the first door panel 221 by receiving the force of the first actuator 241 having a length vari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rst actuator 241 . It may include a second moving part 240b for driving the part 240a and the second door panel 222 .

제1 구동부(240)는 제1 액추에이터(241)와 직접결합하나, 제2 구동부(250)는 제1 액추에이터(241)와 직접 체결되지 않고, 제1 이동부(240a)와 제2 이동부(240b)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243)를 통해 간접적으로 힘을 전달 받을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unit 240 is directly coupled to the first actuator 241, but the second driving unit 250 is not directly coupled to the first actuator 241, and the first moving unit 240a and the second moving unit ( 240b), the force may be indirectly transmitted through the elastic part 243 positioned between them.

제2 구동부(250)는 도 14를 참고하면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가변하는 제2 액추에이터(253)를 포함하며 제2 액추에이터(253)의 수평방향의 힘을 두께 방향으로 전환하여 두께 방향으로 제3 도어패널(223)이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 the second driving unit 250 includes a second actuator 253 having a variable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converts the horizontal force of the second actuator 253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 the thir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door panel 223 may move.

도 6은 본 발명의 도어 어셈블리(200)의 닫힌상태에서 열린상태로 전환 시 구동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도어 어셈블리(200)의 닫힌상태에서 열린상태로 전환 시 구동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sequence when the door assembl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witched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and FIG. 7 is a driving method when the door assembl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witched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is a diagram showing

도 6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켜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1 구동부(240)와 제2 구동부(250)를 활성화 하여 도어패널(2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켜는 신호는 리모컨과 같은 원격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when a signal for turning on the display module 150 is input, the first driving unit 24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250 may be activated to move the door panel 220 . A signal for turning on the display module 150 may be driven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

TV를 켜는(ON) 신호를 수신하면(S110) 제어부는 도어패널(220)이 열린상태인지 닫힌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열린상태란 도 4의 (c)와 같이 도어패널(220)이 두께 방향으로 중첩된 상태이고, 닫힌상태란 도 4의 (a)와 같이 도어패널(220)이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Upon receiving a signal to turn on the TV (S110),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door panel 220 is in an open state or a closed state. The open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door panels 220 are overlapp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s shown in FIG. it means.

도어가 열린상태라면 별도의 도어패널(220)을 구동할 필요 없이 TV를 켜면 된다. 도어가 열린상태가 아니라면 먼저 제2 구동부(250)를 활성화하여 제3 도어패널(223)을 후진동작을 시작한다(S130, #1). 제3 도어패널(220)의 이동거리가 제1 거리 이동하면(S140, #2) 제1 구동부(240)를 활성화하여 제1 도어패널(221) 및 제2 도어패널(222)의 하강동작을 시작한다(S150).If the door is in an open state, the TV may be turned on without the need to drive a separate door panel 220 . If the door is not in an open state, first, the second driving unit 250 is activated to start the reverse operation of the third door panel 223 (S130, #1). When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third door panel 220 moves by the first distance (S140, #2), the first driving unit 240 is activated to perform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first door panel 221 and the second door panel 222 . Start (S150).

도 4의 (b)와 같은 하프뷰의 화면만 이용하는 도 7의 #3과 같은 상태에서 멈춘다. 라인뷰에서 하프뷰로 전환하는 제3 도어패널(223)은 제1 거리에서 이동을 멈추고 대기하고 있으며 제1 구동부(240)만 더 하측으로 제1 도어패널(221)과 제2 도어패널(222)을 이동하여 하프뷰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화면 크기가 확보되면 제1 구동부(240)도 동작을 멈출 수 있다. It stops in the same state as #3 of FIG. 7 using only the half-view screen as shown in FIG. 4(b). The third door panel 223, which is switched from the line view to the half view, stops moving at the first distance and waits, and only the first driving unit 240 is further lowered to the first door panel 221 and the second door panel 222. When the screen size of the display module 150 corresponding to the half view is secured by moving , the first driving unit 240 may also stop the operation.

풀뷰모드로 전환을 위해서는 제2 구동부(250)는 멈추지 않고 제3 도어패널(223)을 계속 후방으로 이동하고, 제2 도어패널(222)은 제1 도어패널(221)과 나란히 하부로 내려오다 제3 도어패널(223)이 후방으로 이동이 완료되어 제2 거리만큼 이동하고, 제2 도어패널(222)이 소정 거리 하부로 이동한 경우 도 7의 #4와 같이 제2 도어패널(222)은 제1 도어패널(221)보다 뒤쪽으로 이동한다. 제3 도어패널(223)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2 도어패널(222)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며, 제2 도어패널(222)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1 도어패널(221)은 도 7의 #5와 같이 제2 도어패널(222)의 전면에 중첩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In order to switch to the full view mode, the second driving unit 250 does not stop and continues to move the third door panel 223 backward, and the second door panel 222 descends side by side with the first door panel 221 . When the third door panel 223 has been moved to the rear and moved by the second distance, and the second door panel 222 is moved to a lower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shown in #4 of FIG. 7 , the second door panel 222 is moves backward than the first door panel 221 . The third door panel 223 moves rearward to secure a space for the second door panel 222 to move, and the second door panel 222 moves rearward so that the first door panel 221 is shown in FIG. 7 . As shown in #5, it can be moved to overlap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panel 222 .

#5와 같이 완전히 개방된상태가 되면 지정구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S160) 제어부는 제1 구동부(240)와 제2 구동부(250) 및 도어패널(2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의 동작을 중지하여 도어 어셈블리(200)의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 When the fully opened state is reached as in #5, it is determined that the designated section has been reached (S160), and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driving unit 240, the second driving unit 250, and the door panel 220. may be stopped to end the driving of the door assembly 200 .

도 7의 표를 참고하면 제3 도어가 이동한 제1 거리는 22.5mm이고, 제2 거리는 45mm이다. 22.5mm는 하나의 도어패널(220)의 두께에 상응하며 도어패널(220)이 닿지않으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갭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table of FIG. 7 , the first distance traveled by the third door is 22.5 mm, and the second distance is 45 mm. 22.5 mm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one door panel 220 and may include a gap so that the door panel 220 can move without touching it.

수직이동시 제1 구동부(240)의 이동거리는 도어패널(220)의 높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275.5mm의 높이를 가지는 도어패널(220)을 이용하는 경우 551mm를 이동할 수 있다. 도 7의 #1는 제1 구동부(240)가 가장 인장된 상태이므로 551mm 인장된 상태이고 제3 도어패널(223)이 후방으로 이동한 후(#2)에 길이가 수축되며 열린상태가 되면 최소길이로 압축된다. The moving distance of the first driving unit 240 during vertical movem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door panel 220 . When the door panel 220 having a height of 275.5 mm is used, 551 mm can be moved. #1 in FIG. 7 shows that the first driving unit 240 is in the most tensioned state, so it is in a tensioned state by 551 mm, and after the third door panel 223 moves rearward (#2), the length is contracted and when the open state is reached, the minimum compressed to length.

제1 도어패널(221)과 제2 도어패널(222)은 제1 구동부(240)의 동작에 따라 같이 상하로 이동하며 제2 도어패널(222)이 바닥에 닿으면 제2 도어패널(222)은 더 이상 하부로 이동할 수 없는 경우 제1 이동부(240a)와 제2 이동부(240b)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243)의 길이가 압축되며 #5와 같이 제1 도어패널(221)과 제2 도어패널(222)이 중첩될 수 있다. The first door panel 221 and the second door panel 222 move up and down togeth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240, and when the second door panel 222 touches the floor, the second door panel 222 When can no longer move downward, the length of the elastic part 243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moving part 240a and the second moving part 240b is compressed, and the first door panel 221 and The second door panels 222 may overlap each other.

탄성부(243)는 제1 도어패널(221)과 제2 도어패널(222)이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때 최대길이를 가지고 그 이상 늘어나지 않으며, 제1 도어패널(221)과 제2 도어패널(222)이 중첩 배치되는 상태에서 최대 압축되어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When the first door panel 221 and the second door panel 222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lastic part 243 has a maximum length and does not extend beyond that, and the first door panel 221 and the second door panel 222 have a maximum length. 222 is maximally compressed in a state in which it is overlapped and the length may be shortened.

도 8은 본 발명의 도어 어셈블리(200)의 구동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도어 어셈블리(200)의 열린상태에서 닫힌상태로 전환 시 구동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동작과 전체적으로 반대로 동작하나, 부분적으로 제2 구동부(250)의 동작 시작 시기 등이 차이가 있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sequence of the door assembl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method when the door assembl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witched from an open state to a closed state. Although the operation is entirely opposite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iming of start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250 in part.

TV를 끄는 신호를 감지하면 디스플레이를 끄고(S210, S220), 구동부 동작을 시작한다. 제1 도어패널(221), 제2 도어패널(222) 및 제3 도어패널(223)이 중첩배치된 상태이므로 제1 도어패널(221)이 상부로 이동해야한다. 따라서, 제1 구동부(240)가 활성화 되어 제1 도어패널(221)이 상부로 이동을 시작한다(S230)When a signal to turn off the TV is detected, the display is turned off (S210, S220), and the driving unit starts to operate. Since the first door panel 221 , the second door panel 222 , and the third door panel 223 are overlapped, the first door panel 221 needs to move upward. Accordingly, the first driving unit 240 is activated and the first door panel 221 starts to move upward (S230).

제1 도어가 제3 거리 이동하면(S240) 도 9의 #2와 같이 제2 도어도 제1 도어와 같은 평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도어의 전면에 이동 공간이 확보되는 바 제3 도어가 전면으로 이동하도록 제2 구동부(250)가 동작하며 제3 도어패널(223)이 전진한다(S250).When the first door moves a third distance (S240), as shown in #2 of FIG. 9 , the second door may also move i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door. When a moving space is secured in the front of the third door, the second driving unit 250 operates so that the third door moves to the front, and the third door panel 223 moves forward (S250).

#3과 같이 하프뷰에서 멈추기 위해서는 제1 구동부(240)는 하프뷰에 상응하는 길이만큼 이동하고, 제2 구동부(250)는 제1 이동거리만큼 이동하고 이동을 종료할 수 있다. In order to stop at the half view as in #3, the first driving unit 240 may move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alf view, and the second driving unit 250 may move by the first moving distance and end the movement.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라인뷰 상태 즉, 도어 어셈블리(200)가 닫힌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제1 구동부(240)는 계속 제1 도어패널(221)과 제2 도어패널(222)을 상부로 이동시키고 #4와 같이 제1 구동부(240)의 길이가 최대길이에 도달하면 제1 구동부(240)의 구동을 멈추고 제2 구동부(250)가 다시 구동을 시작하여 #5와 같이 제3 도어패널(223)을 제2 도어패널(222)과 나란히 배치시킨다. In order to switch the display module 150 to the line view state, that is, to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assembly 200 , the first driving unit 240 continues to move the first door panel 221 and the second door panel 222 upward. When the length of the first driving unit 240 reaches the maximum length as shown in #4, the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unit 240 is stopped and the second driving unit 250 starts driving again, and as shown in #5, the third door panel ( 223 is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second door panel 222 .

제2 구동부(250)도 지정구간에 도달하면 제2 구동부(250)의 동작을 중지하고 위치감지하는 센서의 동작도 중지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driving unit 250 also reaches the designated section,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250 may be stopped and the operation of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may also be stopped.

이하에서는 전술한 순서대로 도어패널(220)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각 구동부의 세부구성 및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each driving un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so that the door panel 220 can move in the above-described order.

도 10 내지 도 13은 제1 구동부(24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액추에이터(241)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 이동부(240b)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13은 제2 이동부(240b)의 분해사시도이다. 10 to 13 are views illustrating the first driving unit 240 .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ctuator 241 is separated, and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12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cond moving unit 240b, and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moving unit 240b.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제1 구동부(240)는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가변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변화가 제2 구동부(25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241)는 다단으로 길이가 변화하는 다단 액추에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241)의 하단은 하부 프레임(211)에 고정되고 상부는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위치가 가변할 수 있다. 10 and 11 , the first driving unit 240 may include an actuator whose length is vari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Since the length change is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that of the second driving unit 250 , as shown in FIG. 10 , the first actuator 241 may use a multi-stage actuator whose length varies in multiple stages. The lower end of the first actuator 241 is fixed to the lower frame 211,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actuator 241 may have a vertically variable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actuator.

제1 이동부(240a)는 제1 도어패널(221)의 이동을 담당하고 제2 이동부(240b)는 제2 도어패널(222)의 이동을 담당하며, 제1 이동부(240a)는 제1 액추에이터(241)에 직접 연결되고 제2 이동부(240b)는 제1 이동부(240a)와 탄성부(243)를 통해 연결되어 간접적으로 제1 액추에이터(241) 힘을 전달 받는다. The first moving unit 240a is responsible for moving the first door panel 221 , the second moving unit 240b is responsible for moving the second door panel 222 , and the first moving unit 240a is The first actuator 241 is directly connected and the second moving part 240b is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part 240a and the elastic part 243 through the elastic part 243 to indirectly receive the force of the first actuator 241 .

따라서, 제1 도어패널(221)은 제1 액추에이터(241)의 길이변화에 상응하여 이동하고 제2 도어패널(222)은 제1 액추에이터(241)의 길이변화에 상응하여 이동하다 제1 도어패널(221)과 중첩되는 시점에서는 탄성부(243)의 길이변화를 통해 제1 액추에이터(241)의 길이변화 속도와 다른 속도로 움직인다. Accordingly, the first door panel 221 mov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length of the first actuator 241 and the second door panel 222 mov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length of the first actuator 241. First door panel At the time of overlapping with 221 , the first actuator 241 moves at a different speed from the length change speed of the first actuator 241 through the length change of the elastic part 243 .

제1 이동부(240a)는 제1 액추에이터(241)와 제1 도어패널(221)을 연결하는 제1 도어 브라켓(242)을 포함한다. 제1 도어브라켓은 제1 도어패널(221)의 무게를 지지하며 제1 액추에이터(241)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다만, 제1 액추에이터(241)는 하부만 고정되고 상부는 고정되지 않아 흔들릴 수 있다. The first moving part 240a includes a first door bracket 242 connecting the first actuator 241 and the first door panel 221 . The first door bracket supports the weight of the first door panel 221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actuator 241 . However, the first actuator 241 may vibrate because only the lower part is fixed and the upper part is not fixed.

안정적인 제1 도어패널(221)의 구동을 위해 제1 도어브라켓은 고정된 구조인 프레임(211)에 위치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프레임(211)에 고정된 제1 가이드 레일(244)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안정적인 구동을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For stable driving of the first door panel 221 , the first door bracket may be configured to move along a guide rail positioned on the frame 211 having a fixed structure. The first guide rail 244 fixed to the frame 2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gthwise extens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1 for stable driving.

제1 가이드 레일(244)에 결합된 제1 도어브라켓은 수평방향으로는 움직임이 제한되고 수직방향으로 제1 가이드 레일(244)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 제1 도어패널(221)이 안정적으로 수직이동할 수 있다. The first door bracket coupled to the first guide rail 244 has limited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can move along the first guide rail 244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door panel 221 can stably move vertically. can

제2 이동부(240b)에 제1 액추에이터(241) 힘을 전달하기 위해 제1 도어브라켓에서 하부로 연장된 탄성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243)는 최대길이 이상 늘어나지 않고 힘이 가해지면 압축되는 부재로 대표적인 예로 가스 스프링을 이용할 수 있다. In order to transmit the force of the first actuator 241 to the second moving part 240b, an elastic part 24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door bracket may be included. The elastic part 243 is a member that is compressed when a force is applied without extending more than the maximum length, and a gas spring may be us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가스 스프링(243)은 제1 도어패널(221)과 제2 도어패널(222)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선 최대로 인장된 상태로 제2 도어패널(222)의 하중을 지지하며 제1 액추에이터(241)의 길이변화에 상응하여 이동하도록 힘을 전달할 수 있다. The gas spring 243 supports the load of the second door panel 222 in a maximum tension state when the first door panel 221 and the second door panel 222 are vertically arranged, and acts as a first actuator.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force to move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length of (241).

제2 도어패널(222)이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는 제2 도어패널(222)이 더 이상 이동할 수 없으므로 가스 스프링(243)은 압축되고 제2 도어패널(222)의 전면에 제1 도어패널(221)이 위치할 수 있다. Since the second door panel 222 cannot move any more when the second door panel 222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the gas spring 243 is compressed and the first door panel 221 is plac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panel 222. ) can be located.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제2 도어패널(222)의 이동을 담당하는 제2 이동부(240b)는 제1 가이드 레일(244)과 결합한 제1 브라켓(246)과 제2 도어패널(222)과 결합한 제2 브라켓(24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어패널(222)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다 하부에서 제1 도어패널(221)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배면방향으로 이동해야하므로 제2 이동부(240b)가 두 개의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12 and 13 , the second moving part 240b responsible for moving the second door panel 222 includes the first bracket 246 and the second door panel 222 coupled to the first guide rail 244 . ) and may include a second bracket 248 combined. Since the second door panel 222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n has to move in the rear direction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first door panel 221 can be located at the bottom, the second moving unit 240b uses the two brackets. may include

제1 브라켓(246)은 제1 가이드 레일(244)에 결합하여 수직으로만 이동하고 제2 브라켓(248)은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의 하부에서 배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가이드 레일(24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The first bracket 246 is coupled to the first guide rail 244 to move only vertically, and the second bracket 248 is coupled to the second guide rail 245 to move in the rear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smart media system 100 . ) can be followed.

제2 가이드 레일(245)은 도 12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상부레일, 상부레일의 하단에서 배면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며 연장된 경사레일, 및 경사레일에서 연장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하부레일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2 and 13 , the second guide rail 245 includes an upper rail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 inclined rail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rail in the rear direction, and extending from the inclined rail in a vertical direction. Including a lower rail extending to.

즉 하부에 소정거리 이하로 제2 이동부(240b)가 위치하면 제1 브라켓(246) 및 제2 도어패널(222)은 경사레일을 따라 배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econd moving part 240b is positioned at the lower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less, the first bracket 246 and the second door panel 222 can move in the rear direction along the inclined rail.

제1 가이드 레일(244)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긴 바 형상의 레일과 그 위에 이동하는 레일블록을 포함하는 리니어 가이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 레일(245)은 꺾어지는 구간을 포함하므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연장된 홈형상의 레일을 구현할 수 있다. Since the first guide rail 244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linear guide including a long bar-shaped rail and a rail block moving thereon can be used, and the second guide rail 245 includes a section where it is bent. As shown in Fig. 13,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long-extended groove-shaped rail.

제2 가이드 레일(245)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핀(249)이 제2 브라켓(248)에 결합하고, 본 실시예에서 제2 브라켓(248)과 제2 가이드 레일(245) 사이에 제1 브라켓(246)이 위치하므로 가이드 핀(249)은 제1 브라켓(246)을 관통하여 제2 가이드 레일(245)에 결합할 수 있다. 제1 브라켓(246)은 가이드 핀(249)이 두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두께방향으로 연장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A guide pin 249 moving along the second guide rail 245 is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248 , an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bracket is between the second bracket 248 and the second guide rail 245 . Since the 246 is positioned, the guide pin 249 may pass through the first bracket 246 to be coupled to the second guide rail 245 . The first bracket 246 may include a hole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the guide pin 249 can mo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제1 브라켓(246)과 제2 브라켓(248)은 수직방향으로는 함께 움직이나 제2 브라켓(248)이 두께방향으로 이동시 제1 브라켓(246)은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브라켓(246)과 제2 브라켓(248)은 두께방향으로 연장된 제3 가이드 레일(247)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제3 가이드 레일(247)도 직선운동만 가이드 하므로 제1 가이드 레일(244)과 같이 리니어 가이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The first bracket 246 and the second bracket 248 move toge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when the second bracket 248 mov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first bracket 246 does not move. Therefore, the first bracket 246 and the second bracket 248 may be coupled through the third guide rail 247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Since the third guide rail 247 also guides only linear motion,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linear guide like the first guide rail 244 .

이와 같은 제2 이동부(240b)의 2방향 이동 가능한 구도에 따라 도 7의 #3에서 #4와 같이 제2 도어패널(222)이 배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도 9의 #1에서 #2와 같이 전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cond moving part 240b can move in two directions, the second door panel 222 can move in the rear direction as shown in #3 to #4 in FIG. 7 , and in #1 to #2 in FIG. You can move forward together.

제1 구동부(24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제1 패널의 위치를 감지하거나 제1 액추에이터(241)의 길이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에서 감지한 위치 또는 길이를 기초로 제1 구동부(240) 및 제2 구동부(250)의 구동 타이밍을 판단할 수 있다. In order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unit 240, a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panel or sensing the length of the first actuator 241 may be further included, and based on the position or length detected by the sensor, the first Driving timings of the driving unit 24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250 may be determined.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도어 어셈블리(200)의 제2 구동부(250)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4는 제2 구동부(250)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도어 어셈블리(200)의 제2 구동부(250)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도어 어셈블리(200)의 액추에이터와 도어 브라켓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14 to 16 are views illustrating the second driving unit 250 of the door assembl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driving unit 250 . 1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250 of the door assembl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actuator and the door bracket of the door assembl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구동부(250)는 베이스(251), 베이스(251)에 결합하여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하는 제2 액추에이터(253), 제2 액추에이터(253)에 결합하며 상기 베이스(251)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무빙 플레이트(255), 상기 제3 도어패널(223)과 체결되는 제2 도어 브라켓(259) 및 무빙 플레이트(255)의 수평이동을 직각방향으로 전환하여 제2 도어 브라켓(259)을 수직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무빙 플레이트(25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driving unit 250 is coupled to the base 251 and the second actuator 253, the second actuator 253 having a variable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being coupled to the base 251, and is coupled to the base 25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255 moving toward It may include a moving plate 257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베이스(251)는 프레임(211)에 고정되는 구조이고 무빙 플레이트(255)는 수평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251)에 결합할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253)는 베이스(251)에 고정되고 길이가 변화하는 단부가 무빙 플레이트(255)와 결합하며 제2 액추에이터(253)의 길이 변화에 따라 무빙 플레이트(255)가 베이스(251)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base 251 has a structure fixed to the frame 211 , and the moving plate 255 may be coupled to the base 251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second actuator 253 is fixed to the base 251 and the end of which the length changes is coupled with the moving plate 255, an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length of the second actuator 253, the moving plate 255 is attached to the base 251. can be moved horizontally.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두께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해 무빙플레이트가 필요하다. 액추에이터를 바로 수직방향으로 배치하는 경우 공간제약이 있고, 수평 방향으로 공간의 여유가 더 있어, 수평방향 이동거리를 두께방향 이동거리로 전환시 비율을 작게 구성 하여 제3 도어패널(223)의 이동을 더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A moving plate is needed to convert the force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thickness direction. When the actuator is directl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 is a space limitation and there is more sp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when the horizontal movement distance is converted to the thickness direction movement distance, the ratio is small to configure the movement of the third door panel 223 can be adjusted more precisely.

무빙 플레이트(257)는 무빙 플레이트(255)에 결합하며 경사슬롯(2571)을 포함하고, 제2 도어 브라켓(259)은 제3 도어패널(223)에 결합하고 무빙 플레이트(257)의 경사슬롯(2571)에 슬롯핀(2591)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The moving plate 257 is coupled to the moving plate 255 and includes a light shackle 2571 , and the second door bracket 259 is coupled to the third door panel 223 and includes a light shackle of the moving plate 257 ( 2571) through a slot pin 2591 can be coupled.

제2 도어패널(222)이 두께방향으로 이동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2 도어 브라켓(259)의 수평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제2 도어 브라켓(259)의 슬롯핀(2591)은 무빙 플레이트(255)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경사슬롯(2571)을 따라 이동하고 제2 도어 브라켓(259)은 두께 방향으로 이동한다.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econd door bracket 259 may be restricted so that the second door panel 222 mov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does not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lot pin 2591 of the second door bracket 259 moves along the light chain slot 2571 when the moving plate 255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door bracket 259 mov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도 1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a)는 제3 도어패널(223)이 가장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닫힌상태에서 제1 도어패널(221) 제2 도어패널(222) 및 제3 도어패널(223)이 수직방향으로 동일 평면을 이루며 배치된 상태에서 위치이다. 도 7의 #1의 위치에 대응된다. Referring to FIG. 15 ,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 shows that the first door panel 221, the second door panel 222, and the third door panel 223 are vertically coplanar in a closed state with the third door panel 223 protruding most forward. It is the position in the state in which it forms and is placed. It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1 in FIG. 7 .

(b)는 제2 도어패널(222)과 제3 도어패널(223)이 중첩된 상태로 하프뷰 상태에서 제3 도어패널(223)의 위치로서, 도 7의 #3의 상태에 대응된다. (b) is a position of the third door panel 223 in the half-view state in which the second door panel 222 and the third door panel 223 overlap each other, and corresponds to the state #3 of FIG. 7 .

(c)에 도시된 상태는 제3 도어패널(223)이 가장 배면 방향에 위치하여 제1 도어패널(221)과 제2 도어패널(222) 및 제3 도어패널(223)이 중첩된 때(열린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의 #5의 상태에 대응된다. The state shown in (c) is when the first door panel 221, the second door panel 222, and the third door panel 223 overlap ( open state), and corresponds to the state #5 in FIG. 7 .

제3 도어패널(223)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거리센서(254)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리센서가 제3 도어패널(223)과 베이스(251)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제2 액추에이터(25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A distance sensor 254 may be included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third door panel 223 . The distance sensor may detect a distance between the third door panel 223 and the base 251 to control driving of the second actuator 253 .

제2 액추에이터(253)는 길이가 가변하고, x1에서 x2로 길이가 길어지면 무빙 플레이트(255)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2 도어 브라켓(259)은 무빙플레이트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제3 도어패널(223)이 배면 방향으로 이동하게된다. 즉, 제3 도어패널(223)의 베이스(251)와의 거리도 y1에서 y2로 변화한다. The length of the second actuator 253 is variable, and when the length is increased from x1 to x2, the moving plate 255 moves to the right in the drawing, and the second door bracket 259 moves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moving plate. The third door panel 223 moves in the rear direction. That is, the distance of the third door panel 223 to the base 251 also changes from y1 to y2.

제2 액추에이터(253)의 길이가 x2에서 x3로 더 길어지면 무빙 플레이트(255)는 우측으로 더 이동하고 제3 도어패널(223)은 더 배면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2 도어패널(222)이 제3 도어패널(223)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When the length of the second actuator 253 becomes longer from x2 to x3, the moving plate 255 moves further to the right and the third door panel 223 moves further to the rear side, so that the second door panel 222 moves to the second side. 3 A space that can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door panel 223 is provided.

y2-y1은 전술한 제1 거리이고 y3-y1은 전술한 제2 거리에 상응하고, 제2 액추에이터(253)의 길이변화와 제3 도어패널(223)의 이동거리의 비는 경사슬롯(2571)의 기울기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y2-y1 is the aforementioned first distance, y3-y1 corresponds to the aforementioned second distance, and the ratio of the length change of the second actuator 253 to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third door panel 223 is the light chain chain 2571 ) can be adjusted through the slope of the

무빙 플레이트(255)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고 두께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베이스(251)와 무빙 플레이트(255) 사이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4 가이드 레일(2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guide rail 252 positioned between the base 251 and the moving plate 255 a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guide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255 and limit the movem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기존의 부피가 큰 화면을 가릴 수 거실의 인테리어 퀄리티를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ver the existing bulky screen and increase the interior quality of the living room.

또한, 도어가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져 실제 벽체와 같이 디자인 하거나 액자와 같은 선호하는 디자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외관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oor is made of a hard material, it can be designed like a real wall or an exterior design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can be realized by using a preferred design such as a picture frame.

또한, 복수개의 도어패널(220)이 연동하여 순차 제어 시스템보다 도어의 개폐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oor panels 220 work together to shorten the opening/closing time of the door compared to the sequential control system, and the ease of operation may improve usability.

공간활용도가 낮은 개별적인 동작만 수행하는 여러 디바이스에서 본 발명에서 고안된 커스텀 유닛 TV 컨셉을 통해서 전체를 통합된 시스템적인 구조제어를 통해 편리하고 다양한 다기능을 탑재한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100)을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the custom unit TV concept devi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multiple devices that perform only individual operations with low space utilization, a smart media system 100 equipped with convenient and various functions can be provided through an integrated systemic structural control. .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0: 방송수신부
120: 센싱부
130: 입력부
140: 저장부
150: 디스플레이 모듈
160: 오디오 출력부
170: 인터페이스부
17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17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73: 사용장비력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300: 원격 제어장치.
200: 도어 어셈블리
211: 프레임
220: 도어패널
221: 제1 도어패널
222: 제2 도어패널
223: 제3 도어패널
240: 제1 구동부
241: 제1 액추에이터
242: 제1 도어 브라켓
243: 가스 스프링
244: 제1 가이드 레일
245: 제2 가이드 레일
246: 제1 브라켓
247: 제3 가이드 레일
248: 제2 브라켓
249: 가이드 핀
250: 제2 구동부
251: 베이스
252: 제4 가이드 레일
253: 제2 액추에이터
255: 제3 이동부
257: 무빙 플레이트
2571: 경사슬롯
259: 제2 도어 브라켓
2591: 슬롯핀
100: display device
110: broadcast receiving unit
120: sensing unit
130: input unit
140: storage
150: display module
160: audio output unit
170: interface unit
171: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2: network interface unit
173: use equipment force interface unit
180: control unit
190: power supply
300: remote control.
200: door assembly
211: frame
220: door panel
221: first door panel
222: second door panel
223: third door panel
240: first driving unit
241: first actuator
242: first door bracket
243: gas spring
244: first guide rail
245: second guide rail
246: first bracket
247: third guide rail
248: second bracket
249: guide pin
250: second driving unit
251: base
252: fourth guide rail
253: second actuator
255: third moving unit
257: moving plate
2571: light chainlot
259: second door bracket
2591: slot pin

Claims (12)

제1 도어패널, 제2 도어패널 및 제3 도어패널을 포함하고, 닫힌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열린상태에서 수평으로 중첩 배치되는 복수개의 도어패널;
상기 제1 도어패널 및 제2 도어패널을 수직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제1 구동부;
상기 제3 도어패널을 두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순차적으로 구동하며 각 도어패널 사이가 이격되지 않도록 연속적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 어셈블리.
a plurality of door panels including a first door panel, a second door panel, and a third door panel, arranged vertically in a closed state and horizontally overlapped in an open state;
a first driving unit for vertically moving the first door panel and the second door panel;
a second driving unit for moving the third door panel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sequentially drive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and to continuously drive the door panels so as not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닫힌상태에서 상기 열린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2 구동부를 구동하고,
상기 제2 도어패널이 제1 거리 이동하면, 상기 제1 구동부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ontrol unit is switched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driving the second driving unit;
The door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driving unit is driven when the second door panel moves a first distan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도어패널이 제2 거리 이동한 이후, 상기 제2 도어패널은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도어패널이 상기 제2 도어패널과 중첩되며 상기 제2 도어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After the third door panel moves the second distance, the second door panel mov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first door panel overlaps the second door panel and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door panel. Door assembly featu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린상태에서 상기 닫힌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1 구동부를 구동하고 상기 제1 도어패널이 제3 거리 이동하면, 상기 제2 구동부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ontrol unit is switched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The door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driving unit is driven when the first driving unit is driven and the first door panel moves a third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가변하는 제1 액추에이터;
상기 제1 도어패널과 결합하며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길이 변화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부;
상기 제2 도어패널과 결합하며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부; 및
상기 제1 이동부와 상기 제2 이동부 사이에 위치하며 길이가 가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riving unit
a first actuator whose length is vari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irst moving part coupled to the first door panel and moving in a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length of the first actuator;
a second moving part coupled to the second door panel and mov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d an elastic part having a variable length and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second moving par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구동부가 구동 시 최대인장길이 이하의 범위 내에서 압축 또는 인장되는 가스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어셈블리.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elastic part includes a gas spring compressed or stretched within a range less than or equal to a maximum tensile length when the first driving part is drive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패널과 상기 제1 도어패널이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 시 상기 탄성부는 최대 인장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어셈블리.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second door panel and the first door panel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vertical direction, the elastic portion has a maximum tensile length.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부와 상기 제2 이동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어셈블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driv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first guide rail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oor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second moving part vertically move along the first guide rai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상부레일, 상기 상부레일의 하단에서 배면 방향으로 경사이루며 연장된 경사레일, 및 상기 경사레일에서 연장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하부레일을 포함하는 제2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탄성부가 결합된 제1 브라켓;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브라켓에 형성된 수평슬롯에 삽입된 가이드 핀; 및
상기 가이드 핀과 결합하고 상기 제2 도어패널과 체결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도어 어셈블리.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driving unit,
A second guide rail comprising an upper rail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 inclined rail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rail to be inclined in the rear direction, and a lower rail extending from the inclined rail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moving part
a first bracket moving along the first guide rail and coupled to the elastic part;
a guide pin moved along the second guide rail and inserted into a horizontal slot formed in the first bracket; and
and a second bracket coupled to the guide pin and coupled to the second door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하여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하는 제2 액추에이터;
상기 제2 액추에이터에 결합하며 상기 베이스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이동부;
상기 제3 도어패널과 체결되는 도어 브라켓; 및
상기 제3 이동부의 수평이동을 직각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도어 브라켓을 수직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무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driving unit
Base;
a second actuator coupled to the base and having a variable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third moving part coupled to the second actuator and moving horizontally on the base;
a door bracket fastened to the third door panel; and
and a moving plate for vertically moving the door bracket by convert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third moving part in a right angle dir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플레이트는 경사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이동부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 브라켓은 상기 경사슬롯에 삽입되는 슬롯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어셈블리.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oving plate includes a light chainlot and is coupled to the third moving part,
and the door bracket includes a slot pin inserted into the light shackle.
벽에 설치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통해 벽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통해 벽에 설치되는 도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어셈블리는,
제1 도어패널, 제2 도어패널 및 제3 도어패널을 포함하고, 닫힌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열린상태에서 수평으로 중첩 배치되는 복수개의 도어패널;
상기 제1 도어패널 및 제2 도어패널을 수직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제1 구동부;
상기 제3 도어패널을 두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순차적으로 구동하며 각 도어패널 사이가 이격되지 않도록 연속적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
frame for mounting on the wall;
a display module installed on the wall through the frame; and
and a door assembly installed on the wall through the frame so as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display module,
the door assembly,
a plurality of door panels including a first door panel, a second door panel, and a third door panel, arranged vertically in a closed state and horizontally overlapped in an open state;
a first driving unit for vertically moving the first door panel and the second door panel;
a second driving unit for moving the third door panel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and a controller for sequentially driving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and continuously driving the door panels not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KR1020210133380A 2020-11-05 2021-10-07 Multi stage door and smart midea system KR2022006099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46861 2020-11-05
KR1020200146861 2020-1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999A true KR20220060999A (en) 2022-05-12

Family

ID=81457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380A KR20220060999A (en) 2020-11-05 2021-10-07 Multi stage door and smart midea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60999A (en)
WO (1) WO2022097937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903B1 (en) * 2007-12-10 2009-08-13 (주) 디토스 The display unit protective device
KR101115519B1 (en) * 2009-03-24 2012-02-27 안중식 Sliding door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and the opening and shutting method
KR101195057B1 (en) * 2011-03-28 2012-10-29 코르텍 주식회사 Triple door assemble
JP5873121B2 (en) * 2014-03-04 2016-03-01 ファナック株式会社 Machine tool sliding door
KR101830828B1 (en) * 2016-05-26 2018-03-30 주식회사 스타리프트 Door apparatus for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7937A1 (en)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60999A (en) Multi stage door and smart midea system
JP2023107720A (en) display device
US1175646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30075624A (en) Stand and display device
AU202320014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40018903A (en) Display device
US11682329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662317B1 (en) Display device
KR102659988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KR20230113008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230113071A (en) Display device
KR20230039030A (en) Display device
US20240064461A1 (en) Movable tv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40009218A (en) Display device
KR20230118337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US20230179948A1 (en) Bend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78454B1 (en) Display device
KR20240044444A (en) display device
KR20240011347A (en) Display device
KR20240016688A (en) Movable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movable display device
KR20240038278A (en) Display device
KR20240013775A (en) portable display device
KR20230121477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240009217A (en) Display device
KR20230146902A (en)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