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688A - Movable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movabl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Movable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movabl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688A
KR20240016688A KR1020220094747A KR20220094747A KR20240016688A KR 20240016688 A KR20240016688 A KR 20240016688A KR 1020220094747 A KR1020220094747 A KR 1020220094747A KR 20220094747 A KR20220094747 A KR 20220094747A KR 20240016688 A KR20240016688 A KR 20240016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content
external device
control unit
mova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7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희
김창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4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688A/en
Publication of KR20240016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6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컨텐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컨텐트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는 하우징;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 1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온(power-on)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v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interface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A display module that outputs content; an audio output unit that outputs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content; a housing that accommodates the display module;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nects to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s the display device is powered on in a first position, while the display device is fixed in the first position. , and provides a mov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at least one content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nd outputs the at least one received content through the display module.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MOVABLE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MOVABLE DISPLAY DEVICE}MOVABLE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MOV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movable display devic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in various forms is increasing, and in response to this, in recent years, 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 (Plasma Display Panel), ELD (Electro luminescent display), and VFD (Vacuum Fluorescent) have been developed.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re being researched and used.

이 중에서, LCD 패널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과 컬러 기판을 구비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이용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 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Among these, the LCD panel has a TFT substrate and a color substrate that face each other with a liquid crystal layer in between, and can display images using light provided from a backlight unit. Additionally, OLED panels can display images by depositing an organic material layer capable of emitting light on its own on a substrate on which transparent electrodes are formed.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TV의 경우 집 안에 거치시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실외에서 사용할 수 있는 TV에 대한 실시 예가 다양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Recently,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Vs among display devic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are not many embodiments of TVs that can be used outdoors because they are generally used by being mounted inside the hous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컨텐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컨텐트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는 하우징;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 1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온(power-on)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v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interface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A display module that outputs content; an audio output unit that outputs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content; a housing that accommodates the display module;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nects to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s the display device is powered on in a first position, while the display device is fixed in the first position. , and provides a mov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at least one content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nd outputs the at least one received content through the display module.

상기 제어부는 제 1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 1 외부 디바이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중 제 1 컨텐트를 전송하되, 상기 제 1 컨텐트는 상기 제 1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전송한 컨텐트를 제외한 컨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first time has elapsed,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first content among the at least one content to a first external device, wherein the first content is content excluding the content transmitted by the first external device to the display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컨텐트는 상기 제 1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컨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tent is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of the first external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인증 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인증 코드에 대응하는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코드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authentication code to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to connect to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receives a code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nd verifies the received code.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제 2 외부 디바이스에 새로운 컨텐트가 추가된 경우, 상기 제 2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새로운 컨텐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new content is added to the second external device while the display device is fixed in the first positio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new content from the second external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제 3 외부 디바이스에 새로운 컨텐트가 추가된 경우, 상기 제 3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상기 새로운 컨텐트에 대한 권한을 요청하고, 상기 제 3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새로운 컨텐트에 대한 권한이 허용됨에 따라, 상기 제 3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새로운 컨텐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f new content is added to a third external device while the display device is fixed in the first position, the control unit requests permission for the new content from the user of the third external device, and As the right to the new content is granted by the user of the external device, the new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third external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트를 출력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시간 및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outputting the content,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conten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time, and space.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출력하는 중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수신하고, Th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microphone,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sound input from the microphone while outputting the at least one content,

상기 소리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중 대표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representative image is extracted from the at least one content based on the soun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대표 이미지 및 상기 대표 이미지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포함하는 제 1 컨텐트 그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reates a first content group including the extracted representative image and at least one content related to the representative image.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카메라 및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 및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녹음된 소리를 포함하는 제 2 컨텐트 그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camera and a microphone, and when the display device leaves the first location, the controller controls at least one content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amera at the first location. A second content group is generated including a captured image and a sound recorded through the microphone at the first loca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제 2 컨텐트 그룹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created second content group to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하우징에 거치되는 제 1 모드 및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는 제 2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 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편집 모드를 제공하되, 상기 편집 모드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에 메모 기능, 그리기 기능 및 음성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isplay module operates in a first mode mounted on the housing and a second mod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the control unit provides an editing mode when the display module operates in the second mode, wherein the editing mode is a mode that adds at least one of a memo function, a drawing function, and a voice recording function to the received at least one content.

상기 하우징은 상단 케이스 및 하단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상단 케이스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ousing includes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and the audio output unit is included in the upper case.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탈부착이 가능한 4개의 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4개 다리는 상기 하단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four detachable legs, and the four legs are attached to the lower case to keep the movable display device spaced from the floo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1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온(power-on)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movable display device includes powering on the display device at a first position; Connecting the display device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Receiving at least one content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while the display device is fixed in the first position; and outputting the received at least one content through a display module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이동 기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1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 1 외부 디바이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중 제 1 컨텐트를 전송하되, 상기 제 1 컨텐트는 상기 제 1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전송한 컨텐트를 제외한 컨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with the mobile function, when a first time period has elapsed, a first content among the at least one content is transmitted to a first external device, wherein the first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external device. It is characterized as being content excluding content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상기 제 1 컨텐트는 상기 제 1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컨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con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of the first external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인증 코드에 대응하는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코드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onnecting the display device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transmitting an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display device to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receiving, by the display device, a code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nd the step of the display device verifying the received code.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movable display device and the movable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움직이면서 특정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위치에서 복수 개의 컨텐트를 순차적으로 볼 수 있으며, 녹음된 소리에 기초하여 새로운 그룹 컨텐트로 저장하여 추후 그때의 기억을 되살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movable display device and the movable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output content received from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t a specific location while mov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ly, the user can view a plurality of contents sequentially at a specific location,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ave the recorded sound as a new group content to later recall the memories of that time.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being given only as exampl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대표 이미지를 추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편집 모드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each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other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front and side view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necting a display device to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display device receives content from an external device and outputs 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xtracting a representative image from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an editing mode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flowchart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부(11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 입력부(130), 제어부(180), 디스플레이 모듈(150), 오디오 출력부(160)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broadcast reception unit 110,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a network interface unit 172, a storage unit 140,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73, an input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80. ,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150, an audio output unit 160, and/or a power supply unit 190.

방송 수신부(110)는 튜너부(111) 및 복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ption unit 110 may include a tuner unit 111 and a demodulation unit 112.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면과 달리, 방송 수신부(11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중,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부(11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Meanwhile, unlike the drawing,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only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and the network interface unit 172 among the broadcast receiver 110,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and the network interface unit 172. It is also possible to do so. That is, the display device 100 may not include the broadcast reception unit 110.

튜너부(111)는 안테나(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11)는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The tuner unit 111 may select a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ll previously stored channels among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not shown) or a cable (not shown). The tuner unit 111 can convert the selected broadcast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예를 들면, 튜너부(111)는 선택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부(11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8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lected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the tuner unit 111 may convert it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and if the selected broadcast signal is an analog broadcast signal, it may be converted into an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SIF). That is, the tuner unit 111 can process digital broadcasting signals or analog broadcasting signals. The analog base 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SIF) output from the tuner unit 111 may be directly input to the control unit 180.

한편, 튜너부(111)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Meanwhile, the tuner unit 111 can sequentially select broadcast signals of all broadcast channels stored through a channel memory function among received broadcast signals and convert them into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s or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s.

한편, 튜너부(111)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tuner unit 111 may be equipped with multiple tuners in order to receive broadcast signals of multiple channels. Alternatively, a single tuner that simultaneously receives broadcast signals from multiple channels is also possible.

복조부(112)는 튜너부(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12)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The demodulator 112 may receive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unit 111 and perform a demodulation operation. The demodulator 112 may perform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and then output a stream signal (TS). At this time, the stream signal may be a multiplexed video signal, audio signal, or data signal.

복조부(11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8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 모듈(15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12 may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180. After performing demultiplexing and video/audio signal processing, the control unit 180 can output video through the display module 150 and audio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160.

센싱부(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외부의 변화를 감지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여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음성센서(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습도계, 온도계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20 refers to a device that detects changes within the display device 100 or external changes. For example, proximity sensor, illumination sensor, touch sensor, infrared sensor, ultrasonic sensor, optical sensor, e.g. , camera), a voice sensor (e.g., a microphone), a battery gauge, and an environmental sensor (e.g., a hygrometer, a thermometer, etc.).

제어부(180)는 센싱부(120)에서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상태를 점검하고 문제가 발생시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자체적으로 조정하여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80 can check the status of the display device 100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ing unit 120 and notify the user when a problem occurs or control it to maintain the best condition by adjusting it on its own.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80)에 제공되는 영상의 컨텐츠, 화질, 사이즈 등을 센싱부에서 감지한 시청자나, 주변의 조도 등에 따라 다르게 제어하여 최적의 시청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TV가 진보해감에 따라 TV에 탑재된 기능이 많아지고 센싱부(20) 또한 그와 함께 증가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content, image quality, size, etc. of the image provided to the display module 180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iewer or surrounding illumination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to provide an optimal viewing environment. As smart TVs advance, the number of functions mounted on the TV increases and the number of sensing units 20 also increases.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3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3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display device 100. For example, the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touch pad, physical buttons, etc. The input unit 130 can receive various user command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transmit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mmands to the control unit 180.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베젤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자체에 외부로 노출된 물리적 형태의 버튼 형태의 입력부(130)는 최소화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많아지고 있다. 대신에 배면이나 측면에 최소의 물리적 버튼이 위치하고 터치패드나 후술할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을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Recently, as the size of the bezel of the display device 100 has become smaller, the number of display devices 100 in which the input unit 130 in the form of a physical button exposed to the outside has been minimized has increased. Instead, a minimal physical button is located on the back or side, and user input can be received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rough a touchpad or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7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저장부(14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8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8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programs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each signal in the control unit 180, or may store 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s.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40 stores application programs designed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various tasks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80, and selects some of the stored application programs at the request of the control unit 180. can be provided.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can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80. The storage unit 14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video, voice, or data signals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The storage unit 140 can store information about a certain broadcast channel through a channel memory function such as a channel map.

도 1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80) 내에 저장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Although FIG. 1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orage unit 14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80,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orage unit 14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80.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includes volatile memory (e.g., DRAM, SRAM, SDRAM, etc.), non-volatile memory (e.g., flash memory, hard disk drive (HDD), and solid state drive (Soli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tate drive (SSD), etc.).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인터페이스부(17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81)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50 converts the video signal, data signal, OSD signal, and control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80 or the video signal, data signal, and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interface unit 171 to generate a driving signal. You can. The display module 15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81 having a plurality of pixels.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 plurality of pixels provided in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RGB subpixels.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pixels provided in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RGBW subpixels. The display module 150 may convert image signals, data signals, OSD signals, control signals, etc.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80 to generate driving signals for a plurality of pixels.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 모듈(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50 can be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module, etc., and can also be a three-dimensional display module (3D display). may be possible. The 3D display module 150 can be divided into a glasses-free type and a glasses type.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전면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 측면 등을 커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을 패키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display module that occupies most of the front area and a case that covers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module and packages the display module.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평면에서 더 나아가 곡면의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LED(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와 같이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이용할 수 있다. Recently, the display device 100 is a display module 150 that can be bent, such as LED (Light Emitting Diodes) or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o implement a curved screen beyond a flat surface. can be used.

종래에 주로 이용되던 LCD는 LCD가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어려워 백라이트 유닛을 통해 빛을 공급받았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과 광원에서 공급된 빛을 균일하게 전면에 위치하는 액정에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백라이트 유닛이 점점 얇아지면서 박형의 LCD를 구현할 수 있었으나, 백라이트 유닛을 휘어지는 소재로 구현이 어렵고 백라이트 유닛이 휘어지는 경우 액정에 균일한 빛의 공급이 어려워져 화면의 밝기가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LCDs, which were mainly used in the past, received light through a backlight unit because it was difficult for the LCD to emit light on its own. The backlight unit is a device that uniformly supplies the light source and the light supplied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liquid crystal located on the front. As the backlight unit became increasingly thinner, it was possible to implement a thin LCD, bu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backlight unit using a flexible material, and when the backlight unit is bent, it is difficult to supply light uniformly to the liquid crystal,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changes.

반면 LED나 OLED의 경우 픽셀을 이루는 소자가 각각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하지 않아 휘어지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소자가 자체발광 하므로 이웃하는 소자와의 위치관계가 달라지더라도 자체 밝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LED나 OLED를 이용하여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LED or OLED, each element that makes up the pixel emits light on its own, so it can be implemented in a curved manner without using a backlight unit. In addition, since each element emits its own light, even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neighboring elements changes, its own brightness is not affected, so the flexible display module 150 can be implemented using LED or OLE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은 2010년 중반에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LCD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OLED는 형광성 유기활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자체발광 현상을 이용하여 만든 디스플레이로, 화질 반응 속도가 LCD에 비해 빨라 동영상을 구현할 때 잔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s appeared in earnest in the mid-2010s and are quickly replacing LCD in the small and medium-sized display market. OLED is a display made using a self-luminous phenomenon that emits light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a fluorescent organic compound. The picture quality response speed is faster than that of LCD, so there is almost no afterimage when displaying a video.

OLED는 자체 발광기능을 가진 적색(Red)과 녹색(Green), 청색(Blue) 등 세 가지의 형광체 유기화합물을 사용하며, 음극과 양극에서 주입된 전자(電子)와 양의 전하를 띤 입자가 유기물 내에서 결합해 스스로 빛을 발하는 현상을 이용한 발광형 디스플레이 제품이므로 색감을 떨어뜨리는 백라이트(후광장치)가 필요 없다.OLED uses three types of phosphor organic compounds, including red, green, and blue, which have a self-luminous function. Electrons and positively charged particles injected from the cathode and anode are used to emit light. Since it is a light-emitting display product that utilizes the phenomenon of self-emitting light by combining within organic materials, there is no need for a backlight (halo device) that reduces color.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 패널은 LED소자 하나를 하나의 픽셀로 이용하는 기술로서, 종래에 비해 LED소자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종래에 LED TV라 불리우던 장치는 LED를 LCD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이용한다는 것이지 LED자체가 화면을 구성하지 못했었다. The LED (Light Emitting Diode) panel is a technology that uses one LED element as one pixel, and the size of the LED element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making it possible to implement a flexible display module 150. Previously, devices called LED TVs used LEDs as a light source for the backlight unit that supplied light to the LCD, but the LEDs themselves did not constitute a screen.

디스플레이 모듈은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배면에 위치하는 결합마그넷, 제1 전원 공급부 및 제1 신호모듈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복수 개의 픽셀들(R, G, 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 G, B)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 G, B)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 또는 배열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 display panel, a coupling magnet locat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a first power supply, and a first signal module.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s (R, G, B). A plurality of pixels (R, G, B) may be formed in each area where a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intersect. A plurality of pixels (R, G, B) may be placed or arranged in a matrix form.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픽셀들(R, G, B)은 적색(Red, 이하 'R') 서브 픽셀, 녹색(Green, 'G') 서브 픽셀 및 청색 (Blue, 'B')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 G, B)은 화이트(White, 이하 'W')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pixels (R, G, B) include a red (R) subpixel, a green (Green, 'G') subpixel, and a blue (Blue, 'B') subpixel. It can be included. The plurality of pixels (R, G, B) may further include a whi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W') subpixel.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The side of the display module 150 that displays images may be referred to as the front or front side. When the display module 150 displays an image, the side from which the image cannot be observed may be referred to as the rear or back side.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display module 150 is composed of a touch screen and can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오디오 출력부(160)는 제어부(18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The audio output unit 160 receives the audio-processed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80 and outputs it as audio.

인터페이스부(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방식뿐만 아니라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방식도 포함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ssageway for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The interface unit may include a wire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cable as well as a wireless method using an antenna.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includes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 port), an audio input/output (I/O) port, a video input/output (I/O) port, and an earphone port.

무선방식의 일 예로 전술한 방송수신부(110)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방송신호뿐만 아니라 이동통신신호 근거리 통신신호, 무선인터넷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n example of a wireless method may include the broadcasting receiver 110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not only broadcasting signals, but also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ignals, and wireless Internet signals.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can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a connected external device.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may include an A/V input/output unit (not shown).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can be connected wired/wireless to external devices such as DVD (Digital Versatile Disk), Blu ray, game device, camera, camcorder, computer (laptop), set-top box, etc. You can also perform input/output operations with external devices.

또한,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양한 원격 제어 장치(2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establishes a communication network with various remote control devices 200 to receive control signal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or to receive control signal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can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for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Through this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can exchange data with an adjacent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may receive device information, executing application information, application images, etc. from the mobile terminal in mirroring mod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72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display device 100 to a wired/wireless network including an Internet network. For example, the network interface unit 172 may receive content or data provided by the Internet or a content provider or network operator through a network. Meanwhile, the network interface unit 172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connection to a wired/wireless network.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BLE), 직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와 같은 셀룰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and/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72 supports Wi-Fi (Wireless Fidelity),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 (BLE), Zigbee, and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module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LTE (long-term evolution), LTE-A (LTE Advance),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DMA),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 (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cellular communication such as Wireless Broadband).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로 송신할 수 있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73 may transmit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80 or transmit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80 to the user. For example, transmitting/receiving user input signals such as power on/off, channel selection, and screen settings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or local keys such as power key, channel key, volume key, and setting value (not shown). The user input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unit 18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80, the user input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unit (not shown) that senses the user's gestur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80, or the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8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80.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sensor unit.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and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using the processor included therein. Here, the processor may be a general processor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course, the processor may be a dedicated device such as an ASIC or another hardware-based processor.

제어부(180)는 튜너부(111), 복조부(112),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demultiplexes a stream input through the tuner unit 111, the demodulator 112,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72, or processes the demultiplexed signals, Signals for video or audio output can be generated and output.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도 있다.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80 may be input to the display module 15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Additionally,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80 may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60)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80 may be output as sound to the audio output unit 160. Additionally,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80 may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demultiplexer, an image processor, etc.

그 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튜너부(11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within the display device 10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tuner unit 111 to select (tuning) a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 previously stored channel.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80 can control the display device 100 by a user command or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73. Meanwhile, the control unit 180 can control the display module 150 to display an image. At this tim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50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may be a 2D image or 3D image.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2D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80 can cause a certain 2D object to be displayed i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50. For example, the object may be at least one of a connected web screen (newspaper, magazine, etc.),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various menus, widgets, icons, still images, videos, and text.

한편, 제어부(180)는 진폭 편이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modulation) 및/또는 복조(demodulation)할 수 있다. 여기서,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은, 데이터 값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을 다르게 하여 신호를 변조하거나, 반송파의 진폭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값으로 복원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80 may modulate and/or demodulate the signal using an amplitude shift keying (ASK) method. Here, the amplitude shift keying (ASK) method may refer to a method of modulating a signal by varying the amplitude of the carrier wave according to the data value, or restoring an analog signal to a digital data value according to the amplitude of the carrier wave.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하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80 may modulate an image signal using an amplitude shift keying (ASK) method and transmit it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복조하여 처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80 may demodulate and process an image signal receiv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ing an amplitude shift keying (ASK) method.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와 같은 고유 식별자나, TCP/IP와 같은 복잡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영상표시장치와 간편하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display device 100 can easil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th other video display devices placed adjacent to it, even without using a unique identifier such as a MAC address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or a complex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TCP/IP. You can.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 상부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80)에 입력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The photography unit can photograph the user. The photographing unit can be implemented with one camera,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also be implemented with a plurality of cameras. Meanwhile, the photographing unit may be embedded in the display device 100 on the display module 150 or may be placed separately.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may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180.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8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may recognize the user's location based on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80 may determine the distance (z-axis coordinate)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device 10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determine the x-axis coordinate and y-axis coordinate within the display module 150 corresponding to the user's location.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may detect the user's gesture based on each or a combination of images captur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or signals detected from the sensor unit.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8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15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6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supply corresponding power throughout the display device 100. In particular,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180, which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the display module 150 for displaying images, and the audio output unit 160 for audio output. You can.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converter (not shown) that converts AC power to DC power and a Dc/Dc converter (not shown) that converts the level of DC power.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부품에 전원을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 전원과 직접연결하여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배터리를 포함하여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and serves to distribute power to each component.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use a method of supplying AC power by directly connecting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190 that includes a battery and can be used by charging.

전자의 경우 유선의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하며 이동이 어렵거나 이동 범위가 제한된다. 후자의 경우 이동이 자유로우나 배터리만큼의 무게가 증가하고 부피가 커지며 충전을 위해 일정시간 전원케이블과 직접 연결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거치부(미도시)와 결합해야 한다. In the former case, it is used by connecting a wired cable and is difficult to move or has a limited range of movement. In the latter case, it is free to move, but the weight and volume increase as much as the battery, and for charging, it must be connected directly to the power cab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combined with a charging stand (not shown) that supplies power.

충전거치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를 통해 TV와 접속할 수 있고, 또는 무선방식을 이용하여 근접하면 내장된 배터리가 충전될 수도 있다. The charging stand can be connected to the TV through a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or the built-in battery can be charged when approached wirelessly.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 제어 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nfrared Radiation) 통신,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transmit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73. For this purpos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use Bluetooth,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Infrared Radiation communication, Ultra-wideband (UWB), ZigBee, etc. Additionally,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receive video, voice, or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73 and display them or output audio signals.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display device 100 may be a fixed or mobil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위한 블록도일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Meanwhile, the block diagram of the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1 is only a block diagra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is integrated and add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display device 100 that is actually implemented. , or may be omitted.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at is, as needed,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In addition, the functions performed by each block are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s or device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하우징(210) 내부에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수납된 형태이다. 이때, 하우징(210)은 상단 케이스(210a) 및 하단 케이스(210b)를 포함하며, 상단 케이스(210a)와 하단 케이스(210b)가 열고 닫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display device 100 has a display module 150 stored inside a housing 210. At this time, the housing 210 includes an upper case 210a and a lower case 210b, and the upper case 210a and the lower case 210b may be made in a structure that opens and closes.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상단 케이스(210a)에 오디오 출력부(160)가 포함될 수 있고, 하단 케이스(210b)에는 제어부(180)인 메인 보드, 파워보드, 전원 공급부(190), 배터리, 인터페이스부(170), 센싱부(120) 및 입력부(130, 로컬키를 포함) 등이 수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및 NFC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센싱부(120)는 조도 센서, IR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pper case 210a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the audio output unit 160, and the lower case 210b may include the main board, which is the control unit 180, the power board, and the power supply unit 190. , a battery, an interface unit 170, a sensing unit 120, and an input unit 130 (including a local key) can be accommodated. Here, the interface unit 170 may include a Wi-Fi module, a Bluetooth module, and an NFC module for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the sensing unit 120 may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and an IR sensor.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DC-DC 보드, 센서 및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낮은 전압 차등 신호) 변환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150 may include a DC-DC board, a sensor, and a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conversion board.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탈부착이 가능한 4개의 다리(220a, 220b, 220c, 220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4개의 다리(220a, 220b, 220c, 220d)는 하단 케이스(210b)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four detachable legs 220a, 220b, 220c, and 220d. Here, the four legs 220a, 220b, 220c, and 220d are attached to the lower case 210b to keep the display device 100 spaced from the floo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도 3의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다리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활용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 케이스와 하단 케이스 내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탑재되어 있는 구조로, 상단 케이스와 하단 케이스 닫을 경우, 가방과 같이 들 수 있는 구조로 변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FIG. 3 , the display device 100 represents an example of us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100 does not include legs. Referring to FIG. 3, the display device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a display module is mounted i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re closed,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changed into a structure that can be carried like a bag. .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단 케이스 또는 하단 케이스 상에 손잡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손잡이(300)는 사용자가 상단 케이스와 하단 케이스가 닫힌 하우징을 들 수 있도록 상단 케이스 또는 하단 케이스 좌우 측면에 부착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손잡이(300)는 가죽 또는 플라스틱 등 사용자가 손에 들기 쉬운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handle 300 on the top case or bottom case. Here, the handle 300 may be a structure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case or lower case so that the user can lift the housing with the upper and lower cases closed. At this time, the handle 30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easy for the user to hold, such as leather or plastic.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단 케이스 또는 하단 케이스가 닫힌 상태에서, 손잡이(300)를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가 쉽게 들고 이동이 가능하다. That is,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handle 300 when the upper or lower case is closed, so the user can easily lift and move it.

또한,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하단 케이스를 바닥에 놓고 상단 케이스를 오픈하여, 탑재된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4 및 도 5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Additionally, if necessary, the user can place the lower case on the floor and open the upper case to use the mounted display module 150. Thi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in FIGS. 4 and 5.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하단 케이스 측면에 수납 공간(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납 공간(310)에는 도 2에서 상술한 다양한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수납 공간(310)은 터치 펜(touch-pen) 또는 무선 이어폰(wireless earphone)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space 310 on the side of the lower case. Here, the storage space 310 may include various modules described above in FIG. 2 . Additionally, the storage space 310 may include a space for storing a touch pen or wireless earphon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Figure 4 is another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4개의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4개의 다리는 하단 케이스에 부착되어 바닥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격되게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four legs. At this time, the four legs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case to space the display device 100 from the floor.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에서 이격되게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not only use the display device 100 while moving it, but also use it in a fixed position away from the floor.

도 4의 (a) 내지 (d)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다리를 부착하여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하는 활용 예를 나타낸다. 이때, 도 4의 (a)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상단 케이스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4의 (b) 내지 (d)는 상단 케이스를 연 상태를 나타낸다. Figures 4 (a) to (d) show an example of use in a fixed position by attaching the legs of the display device 100. At this time, (a) of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case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closed, and (b) to (d) of FIG. 4 show a state in which the upper case is opened.

구체적으로, 도 4의 (b)는 상단 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도 4의 (b)는 상단 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 안에 누워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활성화될 수 있다. Specifically, Figure 4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150 is stored in the lower case with the upper case open. In other words, (b) of FIG. 4 shows the display module 150 lying in the lower case with the upper case open. Even when the display module 150 is stored in the lower case, the display module 150 can be activated.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 편집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편집 모드는 컨텐트에 메모 기능, 그리기 기능 및 음성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may provide an edit mode while the display module 150 is stored in the lower case. Here, the editing mode may include the function of adding at least one of a memo function, a drawing function, and a voice recording function to the content.

즉,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거치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통하여 컨텐트를 감상/시청하고자 하는 의도로 판단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display module 150 is mounted on the lower case, the display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ntends to enjoy/view content through the display module 150.

반면,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출력된 컨텐트를 편집하고자 하는 의도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컨텐트를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module 150 is stored in the lower case, the display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ntends to edit the content output to the display module 150.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00 can provide a function to edit content when the display module 150 is stored in the lower case.

도 4의 (c)는 상단 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가로로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의 (d)는 상단 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세로로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도 4의 (c) 및 (d)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를 발판으로 하여 세워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Figure 4(c) shows the display module 150 horizontally mounted on the lower case with the upper case open, and Figure 4(d) shows the display module 150 with the upper case open. This indicates that it is mounted vertically in the lower case. At this time, Figures 4 (c) and (d) show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150 is standing using the lower case as a footrest.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모터(미도시)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에 수납하거나 거치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may automatically store or mount the display module 150 in the lower case using a motor (not shown).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단 케이스가 오픈되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 상에 가로 또는 세로로 거치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upper case is opened, the display device 100 can automatically place the display module 150 horizontally or vertically on the lower case.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단 케이스가 오픈되면, 일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 상에 수납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터치하는 신호, 센싱부 또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 상에 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하단 케이스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아래로 누름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 상에 거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5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upper case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opened, the display module 150 may be initially stored on the lower case. Thereafter, the display device 100 may mount the display module 150 on the lower case based on a signal touching the display module 150 or a signal input from a sensing unit or input unit. For example, the user can place the display module 150 on the lower case by pressing down on the display module 150 stored inside the lower case. Thi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in Figure 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front and side view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세로로 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5의 (c) 및 도 5의 (d)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가로로 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5(a) and 5(b) show the display module 150 being mounted vertically, and FIGS. 5(c) and 5(d) show the display module 150 being mounted horizontally. Indicates the status of being placed.

도 5의 (a) 및 도 5의 (c)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의 (b) 및 도 5의 (d)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5(a) and 5(c) are views showing the display device 100 from the front, and FIGS. 5(b) and 5(d) are views showing the display device 100 from the side. am.

일 실시 예에서, 상단 케이스는 오디오 출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도 5의 (a)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세로로 거치되어 있고, 뒷 단에 오디오 출력부(160)를 포함하는 상단 케이스가 있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since the upper case may include the audio output unit 160, (a) in Figure 5 shows the display module 150 being mounted vertically and the audio output unit 160 at the rear end. There may be a top case containing:

도 5의 (b)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에 세로로 거치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5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측면에서 살펴보면, 지지 부재(500)는 하단 케이스에 포함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을 세로로 거치하기 위하여 접히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모터의 제어를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Looking at (b) of FIG. 5, the display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500 to vertically support the display module 150 on the lower case. That is, when looking at the display device 100 from the side as shown in (b) of FIG. 5, the support member 500 is included in the bottom case and can be designed in a foldable structure to support the display module 150 vertically. there is. At this time, the support member 500 can be controlled by the motor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can be manually operated by the user's hand.

도 5의 (c)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가로로 거치하고, 뒷 단에 오디오 출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Looking at (c) of FIG. 5, the display device 100 may hold the display module 150 horizontally and include an audio output unit 160 at the rear end.

도 5의 (d)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에 가로로 거치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 부재(500)는 도 5의 (b)와 동일한 지지 부재(500)를 사용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가로로 거치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500)에 포함된 힌지(510)가 더 많이 접힌 상태일 수 있다. Looking at (d) of FIG. 5,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500 to horizontally mount the display module 150 on the lower case. Here, the support member 500 may use the same support member 500 as in (b) of FIG. 5, but the hinge 510 included in the support member 500 is used to horizontally support the display module 150. may be in a more folded state.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수동으로 가로로 거치되거나 세로로 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제어에 기초하여 하단 케이스에 가로로 거치되거나 세로로 거치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제어 신호(센싱부 또는 입력부를 통한 감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가로로 또는 세로로 거치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150 may be manually plac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by the user's h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150 may be mount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on the lower case based on control of the display device 100.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100 can mount the display module 150 horizontally or vertically based on a user's control signal (detection through a sensing unit or input uni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necting a display device to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610, 6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610, 662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NFC 태깅, QR 코드 링크, 핀 코드 입력 등을 이용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0 may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610 or 620. The display device 100 may use NFC tagging, QR code link, pin code input, etc.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610 or 6620.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610, 620)와 연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610, 620)에게 인증 코드를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610, 620)로부터 인증 코드에 대응하는 코드를 수신한 뒤, 수신된 코드를 검증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transmits an authentication code to at least one device 610 or 620 to connect to the at least one device 610 or 620, and sends an authentication code to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610 or 620. After receiving a code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code from , you can verify the received code.

이렇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610, 620)가 연결되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610, 620)와의 파일 송수신은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를 활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최대 속도 250Mbps로 일반적인 와이파이 속도를 지원하며,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속도를 지원한다. 즉, 블루투스 대비 최대 22배 빠른 데이터 공유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When the display device 100 and at least one device 610 or 620 are connected in this way, fi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at least one connected device 610 or 620 can utilize WiFi direct. Here, Wi-Fi Direct supports typical Wi-Fi speeds with a maximum speed of 250Mbps, which is sufficient to transmit multimedia content. In other word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hare data up to 22 times faster than Bluetooth.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610, 620)와의 연결은 NFC 태깅, QR 코드 링크 및 핀 코드 입력 등을 통하여 수행하고 컨텐트 송수신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00 can connect to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610 or 620 through NFC tagging, QR code link, or pin code input,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content using Wi-Fi Dire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파워-온(power-on)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610, 620)와 연결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 1 위치에서 파워-온 됨에 따라 자동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610, 620)와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610, 6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부터 제 1 거리 이내에서 위치하며, NFC 태깅, QR 코드 링크, 핀 코드 입력 등의 인증이 수행이 가능한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610 and 620 as the display device 100 is powered on in the first position. That is, the display device 100 may automatically attempt to connect to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610 or 620 as the display device is powered on in the first position. At this tim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610 or 620 is located within a firs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100 and may correspond to 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uthentication such as NFC tagging, QR code link, or pin code input.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610, 62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may receive at least one content from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610 or 620 while the display device 100 is fixed in the first position. Thereafter, the display device 100 may output at least one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display module. Thi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in Figure 7.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연결된 디바이스(610, 620)에 대하여 컨텐트 송수신 방법에 대하여 자동 공유 또는 수동 공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may provide an automatic sharing or manual sharing function for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ent to the connected devices 610 and 620.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제 1 외부 디바이스(610)에 새로운 컨텐트가 추가된 경우, 제 1 외부 디바이스(610)로부터 새로운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new content is added to the first external device 610 while the display device 100 is fixed in the first position, the display device 100 displays new content from the first external device 610. can receive.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제 2 외부 디바이스(620)에 새로운 컨텐트가 추가된 경우, 제 2 외부 디바이스(620)의 사용자에게 새로운 컨텐트에 대한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외부 디바이스(620)의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컨텐트에 대한 권한이 허용됨에 따라, 제 2 외부 디바이스(620)로부터 새로운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new content is added to the second external device 620 while the display device 100 is fixed in the first position, the display device 100 provides the new content to the user of the second external device 620. You can request permission. Thereafter, the display device 100 may receive new content from the second external device 620 as the user of the second external device 620 grants permission for the new content.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연결된 디바이스(610, 620)에 기초하여 컨텐트 분류 및 공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may provide content classification and sharing functions based on the connected devices 610 and 620.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 1 외부 디바이스(610)에게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중 제 1 컨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컨텐트는 제 1 외부 디바이스(61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한 컨텐트를 제외한 컨텐트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610, 62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컨텐트를 다시 외부 디바이스(610, 620)에게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제 1 외부 디바이스(610)가 전송한 컨텐트를 다시 공유 받는 것은 무용한 일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외부 디바이스(610)가 전송한 컨텐트를 제외한 컨텐트만을 제 1 외부 디바이스(610)에게 공유할 수 있다. 이는 제 2 외부 디바이스(620)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first time period has elapsed, the display device 100 may transmit the first content among at least one content to the first external device 610. Here, the first content may correspond to content excluding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first external device 610 to the display device 100. That is, the display device 100 can receive at least one content from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610 or 620 and share the received content back to the external devices 610 or 620. At this time, since it is useless to re-share the content transmitted by the first external device 610, the display device 100 displays only the content excluding the content transmitted by the first external device 610 to the first external device ( 610). This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second external device 620.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 2 외부 디바이스(620)에게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중 제 2 컨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컨텐트는 제 2 외부 디바이스(620)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컨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외부 디바이스(620)의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트를 제 2 외부 디바이스(620)에게 공유하여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may transmit a second content among at least one content to the second external device 620 when the second time period has elapsed. Here, the second content is characterized as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of the second external device 620. That is, the display device 100 may share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of the second external device 620 to the second external device 620 to meet the user's needs.

또한, 도 6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610, 620)를 2개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개수가 많아져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n FIG. 6, only two external devices 610 and 620 are used as an example, but it is of course equally applicable even if the number of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increase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display device receives content from an external device and outputs 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상술한 실시 예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외부 디바이스(720) 및 제 2 외부 디바이스(720)에 연결된 상태를 전제한다. Based 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display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first external device 720 and the second external device 720.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710, 720), 시간 및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100 may output content based on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710 and 720, time, and space.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외부 디바이스(710) 및 제 2 외부 디바이스(72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외부 디바이스(710)로부터 수신한 제 1 컨텐트(710a)를 출력한 뒤, 제 2 외부 디바이스(720)로부터 수신한 제 2 컨텐트(720a)를 출력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display device 100 may receive at least one content from the first external device 710 and the second external device 720.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00 can output the received content.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0 may output the first content 710a received from the first external device 710 and then output the second content 720a received from the second external device 720. You can.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시간 간격으로 외부 디바이스(710, 72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100 may output content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s 710 and 720 at first time intervals.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컨텐트의 방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may switch the display module to landscape mode or portrait mode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received content.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외부 디바이스(710)에서 촬영한 제 1 컨텐트(710a)는 가로로 촬영된 이미지이고, 제 2 외부 디바이스(720)에서 촬영한 제 2 컨텐트(720a)는 세로로 촬영된 이미지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텐트(710a)를 출력할 때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가로로 전환하여 제 1 컨텐트(710a)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컨텐트(720a)를 출력할 때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세로로 전환하여 제 2 컨텐트(720a)를 출력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tent 710a captured by the first external device 710 is a horizontally captured image, and the second content 720a captured by the second external device 720 is a vertically captured image. You can respond to images. At this time, when outputting the first content 710a, the display device 100 may switch the display module horizontally to output the first content 710a. Additionally, when outputting the second content 720a, the display device 100 may switch the display module vertically to output the second content 720a.

또한, 다른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시간 및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710, 72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를 출력할 때, 제 1 위치를 기준으로 출력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may output content based on at least one of time and space. For example, when displaying content received from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710 or 720, the display device 100 may output the content based on the first position.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고정된 현재 위치가 한강공원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710, 72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 중 장소 키워드가 한강공원으로 되어 있는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current location at which the display device 100 is fixed is Hangang Park, the display device 100 displays a location keyword among content received from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710, 720. The image of Hangang Park can be printed first.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710, 72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를 출력할 때, 제 1 시간을 기준으로 출력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may output content received from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710 or 720 based on the first time.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현재 시간이 오후 7시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컨텐트 중 오후 6시에서 오후 8시에 사이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current time is 7 PM, the display device 100 may preferentially output images captured between 6 PM and 8 PM among the received content.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대표 이미지를 추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xtracting a representative image from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마이크 및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출력하는 중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수신하고, 소리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중 대표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and a camera.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00 receives sound input from a microphone while outputting at least one content, and displays the at least one content based on the sound. A representative image can be extracted.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컨텐트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주위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주변 사용자들의 음성을 수신하고,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컨텐트를 출력할 때, “저거 좀 봐”, “저 사진 봐” 등의 제 1 컨텐트를 지목하는 발화를 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고, 제 1 컨텐트를 대표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텐트를 제 1 위치에서의 대표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fixed at a first position and sequentially output content received from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t this time, a user of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may be around the display device 100. In this case, the display device 100 can receive and analyze the voices of nearby users.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device 100 outputs the first content, users may utter utterances that point to the first content, such as “Look at that,” or “Look at that picture.”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100 may detect the user's voice and extract the first content as a representative image. The display device 100 may extract the first content as a representative image at the first location.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추출된 대표 이미지 및 대표 이미지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포함하는 제 1 컨텐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may generate a first content group including an extracted representative image and at least one content related to the representative image.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텐트와 제 1 컨텐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포함하는 제 1 컨텐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텐트를 대표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고, 제 1 컨텐트와 동일한 장소에서 촬영된 컨텐트 또는 제 1 컨텐트와 동일한 시간에서 촬영된 컨텐트를 제 1 컨텐트와 함께 제 1 컨텐트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display device 100 may create a first content group including first content and at least one content related to the first content. Referring to the above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0 may extract the first content as a representative image, and display content photographed at the same location as the first content or content photographed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content as the first content. It can be created as a first content group together with the content.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제 1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 및 제 1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마이크를 통하여 녹음된 소리를 포함하는 제 2 컨텐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display device 100 moves out of the first location, at least one content received from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n image captured through a camera of the display device 100 at the first location, and a first A second content group including sound recorded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display device 100 at the location may be created.

이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제 1 컨텐트 그룹 또는 제 2 컨텐트 그룹 등을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제 1 컨텐트 그룹 또는 제 2 컨텐트 그룹을 앨범화 하여 USB로 저장할 수 있도록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display device 100 may transmit the generated first content group or second content group to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dditionally, the display device 100 can convert the created first content group or second content group into an album so that it can be stored on a USB.

이를 통하여, 사용자들은 여행이 끝나고 난 후 추억 여행 기능과 같이 일주일 전 어디를 여행했을 때의 컨텐트 목록들, 한달 전 어디를 여행했을 때의 컨텐트 목록들, 일년 전 어디를 여행 했을 때의 컨텐트 목록을 제공받을 수 있다. Through this, users can view content lists from where they traveled a week ago, content lists from where they traveled a month ago, and content lists from where they traveled a year ago, such as a memory travel function after the trip is over. It can be provid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편집 모드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an editing mode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단 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거치(도 9의 (a)의 왼쪽 도면)되거나 하단 케이스에 수납(도 9의 (a)의 오른쪽 도면)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거치되는 실시 예를 제 1 모드로 지칭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되는 실시 예를 제 2 모드로 지칭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되더라도 화면이 꺼지지 않고 디스플레이 모듈(150)로서 동작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n FIG. 4,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upper case opened, and the display module 150 is mounted on the lower case (left view in (a) of FIG. 9). Or it can be stored in the bottom case (right drawing in (a) of FIG. 9). At this time,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module 150 is mounted on the lower case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mode, and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module 150 is stored in the lower case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mode. That is, even if the display module 150 is stored in the lower case, the screen does not turn off and it can operate as the display module 15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제 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편집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편집 모드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에 메모 기능, 그리기 기능 및 음성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는 기능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play module 150 operates in the second mode, the display device 100 may provide an editing mode. Here, the editing mode may be a function of adding at least one of a memo function, a drawing function, and a voice recording function to at least one received content.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 전환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직접 잡고 하단 케이스 방향으로 누르는 물리적인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로컬 키 또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에 포함된 입력 키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display device 100 may receive a signal that switches the display module 150 from the first mode to the second mode. Here, the signal may include a physical signal in which the user directly holds the display module 150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presses it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case. In addition, the signal allows the user to input a control signal to switch the display module 150 from the first mode to the second mode through a local key of the display device 100 or an input key included in a remote control device (not shown). You can.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2 모드로 전환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 9의 (b)와 같이 컨텐트의 편집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편집 모드는 컨텐트에 메모 기능, 그리기 기능 및 음성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는 모드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s the display device 100 switches to the second mode, the display device 100 may provide a content editing mode as shown in (b) of FIG. 9. The editing mode may be a mode for adding at least one of a memo function, a drawing function, and a voice recording function to the content.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컨텐트에 다양한 기능을 통해 컨텐트를 편집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터치 펜(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컨텐트를 수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display device 100 can edit content through various functions based on the user's input. At this time, the user can modify the content using a touch pen (not shown), etc.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세워져 있는 경우보다 하단 케이스 안에 누워있는 경우가 사용자가 컨텐트를 편집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 안에 누워있는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출력 중인 컨텐트를 편집하고자 하는 의도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텐트의 편집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From the user's perspective, it is easier for the user to edit content when the display module 150 is lying down in the lower case than when it is standing up in the lower case. 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play module 150 is lying in the lower case, the display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ntends to edit the content being output by the display module 150. .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00 can perform a content editing mod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Figure 10 is a flowchart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S101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온(power-on)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위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에 포함된 GPS 모듈 등을 이용하여 파악한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in step S1010, the display device may be powered on in a first position. Here, the first location may correspond to a location stored in the display device or a location determined using a GPS module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단계(S102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NFC 태깅, QR 코드 링크 및 핀 코드 입력 등의 방식을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할 수 있다. In step S1020, the display device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methods such as NFC tagging, QR code link, and pin code input.

단계(S103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 1 위치에 고정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 1 시간(예를 들어, 1시간) 이상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단계(S1040)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 1 시간 이후 위치가 변동된 경우, 단계(S1060)을 수행할 수 있다. In step S1030,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display device is fixed to the first position. If the display device is fixed in the first position for more than a first time (eg, 1 hour), step S1040 may be performed. Additionally, if the location of the display device changes after the first time, step S1060 may be performed.

단계(S104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이미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컨텐트를 송수신하는 것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할 수 있다. In step S1040, while the display device is fixed in the first position, the display device may receive at least one content from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t this time, since the display device is already connected to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Wi-Fi Direct can be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content.

단계(S105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수신한 컨텐트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기준, 시간 기준 또는 공간 기준으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In step S1050, the display device may output at least one content received through a display module of the display device. Here, the display device may output the received content based on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time, or space.

단계(S106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제 1 위치에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 및 제 1 위치에서 마이크를 통하여 녹음된 소리를 포함하는 컨텐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생성된 컨텐트 그룹을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텐트 그룹 이외에 개별 컨텐트에 대하여도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1060, the display device creates a content group including at least one content received from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n image captured through a camera at a first location, and a sound recorded through a microphone at the first location. can do. Afterwards, the display device may transmit the created content group to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dditionally, the display device can transmit individual content in addition to the content group to an external device.

또한, 도 6 내지 도 9에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도 10과 같이 단계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of cours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FIGS. 6 to 9 can be performed in steps as shown in FIG. 10.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ny respect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0: 방송수신부
111: 튜너부
112: 복조부
120: 센싱부
130: 입력부
140: 저장부
150: 디스플레이 모듈
160: 오디오 출력부
170: 인터페이스부
171: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
17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73: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190: 전원 공급부
200: 원격 제어 장치
100: display device
110: Broadcast reception unit
111: Tuner unit
112: Demodulation unit
120: Sensing unit
130: input unit
140: storage unit
150: display module
160: Audio output unit
170: Interface unit
171: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2: Network interface unit
173: User input interface unit
190: power supply unit
200: remote control device

Claims (18)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컨텐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컨텐트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는 하우징;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 1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온(power-on)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In a movable display device,
An interface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A display module that outputs content;
an audio output unit that outputs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content;
a housing that accommodates the display module; and
Includes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As the display device is powered on in the first position, connect to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While the display device is fixed in the first position, receive at least one content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 mov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utputting the received at least one content through the display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 1 외부 디바이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중 제 1 컨텐트를 전송하되, 상기 제 1 컨텐트는 상기 제 1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전송한 컨텐트를 제외한 컨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first time has elapsed, a first content among the at least one content is transmitted to a first external device, wherein the first content is content excluding the content transmitted by the first external device to the display device. A movable display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컨텐트는 상기 제 1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컨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A mov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tent is content selected by a user of the first externa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인증 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인증 코드에 대응하는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코드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Transmitting an authentication code to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to connect to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Receive a code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 mov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verifies the received c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제 2 외부 디바이스에 새로운 컨텐트가 추가된 경우, 상기 제 2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새로운 컨텐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mov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new content is added to a second external device while the display device is fixed in the first position, the new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second externa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제 3 외부 디바이스에 새로운 컨텐트가 추가된 경우, 상기 제 3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상기 새로운 컨텐트에 대한 권한을 요청하고,
상기 제 3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새로운 컨텐트에 대한 권한이 허용됨에 따라, 상기 제 3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새로운 컨텐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f new content is added to a third external device while the display device is fixed in the first position, request permission for the new content from the user of the third external device,
A mov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receiving the new content from the third external device as permission for the new content is granted from the user of the third externa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트를 출력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시간 및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mov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outputting the content, the content is outpu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time, and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출력하는 중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수신하고,
상기 소리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중 대표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Includes more microphones,
The control unit
Receiving sound input from the microphone while outputting the at least one content,
A mov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xtracting a representative image from the at least one content based on the soun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대표 이미지 및 상기 대표 이미지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포함하는 제 1 컨텐트 그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8,
The control unit
A mov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first content group including the extracted representative image and at least one content related to the representative image.
제 1 항에 있어서,
카메라 및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 및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녹음된 소리를 포함하는 제 2 컨텐트 그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Includes more cameras and microphones,
The control unit
When the display device leaves the first location, at least one content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n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at the first location, and an image recorded through the microphone at the first location A mov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 second content group comprising soun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제 2 컨텐트 그룹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0,
The control unit
A mov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erated second content group is transmitted to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하우징에 거치되는 제 1 모드 및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는 제 2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 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편집 모드를 제공하되, 상기 편집 모드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에 메모 기능, 그리기 기능 및 음성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module operates in a first mode in which it is mounted in the housing and a second mode in which it is stored in the housing,
The control unit
When the display module operates in the second mode, an editing mode is provided, wherein the editing mode is a mode for adding at least one of a memo function, a drawing function, and a voice recording function to the received at least one content. A movable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단 케이스 및 하단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상단 케이스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A mov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udio output unit is included in the upper case.
제 13 항에 있어서,
탈부착이 가능한 4개의 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4개 다리는 상기 하단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3,
Includes four more detachable legs,
The movable display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 legs are attached to the bottom case to space the movable display device from the floor.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1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온(power-on)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In a method of controlling a movable display device,
Powering on the display device in a first position;
Connecting the display device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Receiving at least one content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while the display device is fixed in the first position;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mov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the received at least one content through a display module of the display device.
제 15 항에 있어서,
제 1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 1 외부 디바이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중 제 1 컨텐트를 전송하되, 상기 제 1 컨텐트는 상기 제 1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전송한 컨텐트를 제외한 컨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When the first time has elapsed, a first content among the at least one content is transmitted to a first external device, wherein the first content is content excluding the content transmitted by the first external device to the display device. A method of controlling a movable display devic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텐트는 상기 제 1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컨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6,
The first content is movable, characterized in that content selected by a user of the first external device. Display devic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인증 코드에 대응하는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코드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step of connecting the display device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includes:
transmitting, by the display device, an authentication code to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receiving, by the display device, a code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movabl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display device verifying the received code.
KR1020220094747A 2022-07-29 2022-07-29 Movable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movable display device KR202400166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747A KR20240016688A (en) 2022-07-29 2022-07-29 Movable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mova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747A KR20240016688A (en) 2022-07-29 2022-07-29 Movable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movabl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688A true KR20240016688A (en) 2024-02-06

Family

ID=89858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747A KR20240016688A (en) 2022-07-29 2022-07-29 Movable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movabl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68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16688A (en) Movable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movable display device
US1175646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659988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US11682329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662316B1 (en) Remote controller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EP4325868A2 (en) Movable tv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30292381A1 (en) Remote controller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KR20230118337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240018903A (en) Display device
KR20240009218A (en) Display device
AU202320014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40025308A (en) A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tronic device
KR20240020501A (en) Movable tv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movable tv
KR20230113008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230121477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240024855A (en) TV with built-in battery that can be inserted into a case and its control method
US20230179948A1 (en) Bend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40009217A (en) Display device
KR20240013775A (en) portable display device
KR20240023829A (en) Movable tv and method for movable tv
KR20230039030A (en) Display device
KR20240044444A (en) display device
KR20230146902A (en) Display device
KR20240011347A (en) Display device
KR20240028124A (en) Movable tv and method for movable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