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751A -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751A
KR20220060751A KR1020200146689A KR20200146689A KR20220060751A KR 20220060751 A KR20220060751 A KR 20220060751A KR 1020200146689 A KR1020200146689 A KR 1020200146689A KR 20200146689 A KR20200146689 A KR 20200146689A KR 20220060751 A KR20220060751 A KR 20220060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network
external communication
internal communication
diagnosis
in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웅
김도연
이승용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146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0751A/ko
Publication of KR20220060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6Special purpose or proprietary protocols or archite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는, 디지털 변전소의 내부 통신망과 접속되는 내부 통신망 접속부; 디지털 변전소의 원방 감시체계를 위해 제어센터와 통신하는 외부 통신망과 접속되는 외부 통신망 접속부; 내부 통신망 접속부를 통해 내부 통신망에서의 내부 통신 패킷을 수집하고, 외부 통신망 접속부를 통해 외부 통신망에서의 외부 통신 패킷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내부 통신 패킷과 외부 통신 패킷을 저장하고, 분석결과 및 진단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수집되는 내부 통신 패킷과 외부 통신 패킷을 저장부에 저장하고 내부 통신 패킷과 외부 통신 패킷의 종류를 해석하여 흐름을 분석하고, 내부 통신 패킷과 외부 통신 패킷의 세부 데이터를 해석하여 데이터의 처리 건전성을 진단하는 진단 제어부; 및 진단 제어부의 분석결과 및 진단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WATCHING AND DIAGNOSING DIGITAL SUB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방 감시체계를 갖는 디지털 변전소를 진단할 때 독립된 내외부 통신망에서의 모든 통신패킷을 감시하여 패킷의 종류뿐만 아니라 세부 데이터까지 해석하여 상황을 파악하고 건전성을 진단하는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능형 전력망은 전력수송을 담당하는 전력시스템과 제어 및 감시(모니터링)를 위한 정보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디지털 변전소 등 지능형 전력시스템의 운영은 표준화된 통신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지능형 전자 장비(IED;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s),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정보시스템에 의존하고 있다.
디지털 전력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변전소는 제어, 감시, 조작 등 운용 전반에 관한 사항을 IEC 61850의 통신규약에 의해 내부통신을 하며, 통상 무인으로 운영되어 외부에서 원격감시 형태를 적용하고 있다.
원격감시를 위한 제어센터는 통신체계를 통하여 디지털 변전소를 원격에서 운영하고 있는데 이를 SCADA망이라 하며, 외부 인터넷망과는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여기서 SCADA망의 통신규약은 DNP 3.0 기반의 통신규약으로 운영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 변전소는 정보 연계장치, SNTP(Simple Network Time Protocol), HMI(Human Machine Interface), 감시 진단장치 등으로 구성되고 있다.
정보 연계장치는 디지털 변전소와 제어센터의 통신연계를 통해 IED로부터 취득된 모든 전력설비의 감시, 계측, 보호 정보를 SCADA 통신규약에 맞춰 변환하여 전송하고, SCADA로부터의 각종 제어(지령) 요청을 IED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SNTP는 SNTP 통신규약으로 GPS 시간정보를 디지털 변전소 내 모든 장치에게 제공하여 변전소 내 모든 장치들의 시각은 동기화시키고, HMI(Human Machine Interface)는 IED로부터 디지털 변전소의 모든 전력설비에 대한 감시, 계측, 보호 정보를 취득하여 운영자에게 시각적/청각적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진단장치는 Local Network을 통해 송/수신되는 통신 패킷(메시지)을 캡쳐하여 내부에 저장 및 분석할 수 있다. 즉, 통신 메시지의 종류를 해석하여, 장치 간 통신 메시지의 주요 흐름을 해석하여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하고, 통신 장애 발생 시에는 메시지의 흐름을 기반으로 장애의 원인을 진단할 수 있다.
이때,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는 변전소를 구성하는 전력설비에 직접 부착되어 설비상태, 계측, 조작지시를 수행하거나 디지털 값으로 변환/전송하는 역할과 전력설비의 인터록을 위해 IED 간 GOOSE 통신규약을 통한 정보교환을 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5813호(2014.03.20. 공고, 디지털 변전소의 실시간 보안감사 및 이상징후 탐지를 위한 능동형 보안 센싱 장치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 진단장치는 Local Network을 통해 송/수신되는 통신 패킷(메시지)을 캡쳐하여 내부에 저장 및 분석할 수 있는데, 메시지 종류의 해석이 변전소내의 IEC 61850 통신에 국한되어 있었으며, 통신 패킷에 포함된 실제 전력설비의 감시, 계측, 보호, 제어 데이터의 값은 해석하지 못하고 있다.
즉, IEC 61850 통신 패킷만을 해석/진단하기 때문에 SCADA와의 통신 분석이 필요할 경우, 전문가 수준의 기술자가 참여해야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메시지의 종류만 해석하기 때문에 IED가 정보 연계장치나 HMI로 정확한 값을 제공하고 있는지? 정보 연계장치가 SCADA로 정확한 데이터 값을 제공하고 있는지? 감시/제어 불가 상태, 정보 오류 발생 시에 전문가 수준의 기술자가 참여하여 통신 패킷 각각을 상세하게 분석해야만 정확한 원인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태 파악과 문제해결을 위해 상당한 시간적/경제적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원방 감시체계를 갖는 디지털 변전소를 진단할 때 독립된 내외부 통신망에서의 모든 통신패킷을 감시하여 패킷의 종류뿐만 아니라 세부 데이터까지 해석하여 상황을 파악하고 건전성을 진단하는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는, 디지털 변전소의 내부 통신망과 접속되는 내부 통신망 접속부; 디지털 변전소의 원방 감시체계를 위해 제어센터와 통신하는 외부 통신망과 접속되는 외부 통신망 접속부; 내부 통신망 접속부를 통해 내부 통신망에서의 내부 통신 패킷을 수집하고, 외부 통신망 접속부를 통해 외부 통신망에서의 외부 통신 패킷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내부 통신 패킷과 외부 통신 패킷을 저장하고, 분석결과 및 진단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수집되는 내부 통신 패킷과 외부 통신 패킷을 저장부에 저장하고 내부 통신 패킷과 외부 통신 패킷의 종류를 해석하여 흐름을 분석하고, 내부 통신 패킷과 외부 통신 패킷의 세부 데이터를 해석하여 데이터의 처리 건전성을 진단하는 진단 제어부; 및 진단 제어부의 분석결과 및 진단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내부 통신망은, IEC 61850 통신 규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외부 통신망은, SCADA망의 통신규약인 DNP 3.0 기반의 통신 규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진단 제어부는, 정보 연계장치에서 외부 통신망을 통해 제어센터로 전송하는 외부 통신 패킷으로부터 세부 데이터를 해석하고, 내부 통신망을 통해 IED가 송신하는 내부 통신 패킷으로부터 세부 데이터를 해석하여 정보 연계장치의 송신값과 IED의 송신값을 비교하여 처리 건전성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출력부는, 내부 통신망을 통해 디지털 변전소의 HMI나 정보 연계장치로 분석결과 및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의 제어방법은, 진단 제어부가 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내부 통신망과 외부 통신망을 감시하는 단계; 진단 제어부가 내부 통신망과 외부 통신망을 감시하여 내부 통신 패킷이나 외부 통신 패킷이 발생한 경우 수집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진단 제어부가 수집한 외부 통신 패킷과 내부 패킷의 종류와 세부 데이터를 해석하는 단계; 진단 제어부가 패킷의 종류와 세부 데이터의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패킷의 흐름을 분석하고 데이터의 처리 건전성을 진단하는 단계; 및 진단 제어부가 흐름의 분석결과 및 진단결과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내부 통신망은, IEC 61850 통신 규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외부 통신망은, SCADA망의 통신규약인 DNP 3.0 기반의 통신 규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데이터의 처리 건전성을 진단하는 단계는, 진단 제어부가 정보 연계장치에서 외부 통신망을 통해 제어센터로 전송하는 외부 통신 패킷으로부터 세부 데이터를 해석하고, 내부 통신망을 통해 IED가 송신하는 내부 통신 패킷으로부터 세부 데이터를 해석하여 정보 연계장치의 송신값과 IED의 송신값을 비교하여 처리 건전성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흐름의 분석결과 및 진단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진단 제어부가 내부 통신망을 통해 디지털 변전소의 HMI나 정보 연계장치로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원방 감시체계를 갖는 디지털 변전소를 진단할 때 독립된 내외부 통신망에서의 모든 통신패킷을 감시하여 패킷의 종류뿐만 아니라 세부 데이터까지 해석하여 상황을 파악하고 건전성을 진단할 수 있어, 제어실패, 이벤트 미전송 등의 이상 발생 시에 추가적인 전문가의 분석 없이 사용자가 즉시 문제의 장치 및 구간을 쉽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에서 진단결과를 예시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에서 진단결과를 예시화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는, 내부 통신망 접속부(10), 외부 통신망 접속부(20), 데이터 수집부(30), 저장부(50), 진단 제어부(40) 및 출력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통신망 접속부(10)는 IEC 61850 통신 규격을 통해 디지털 변전소의 내부 통신망과 접속할 수 있다.
디지털 변전소의 내부 통신망에는 전력설비가 접속되어 감시, 계측, 보호 및 제어를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전송된다.
외부 통신망 접속부(20)는 디지털 변전소의 원방 감시체계를 위해 제어센터와 SCADA망의 통신규약인 DNP 3.0 기반의 통신 규격으로 통신하는 외부 통신망과 접속할 수 있다.
디지털 변전소의 원방 감시체계를 위해 정보 연계장치에서 내부 통신망에 접속된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s)로부터 취득된 모든 전력설비의 감시, 계측, 보호 정보를 SCADA 통신규약에 맞춰 변환하여 전송하고, SCADA로부터의 각종 제어(지령) 요청을 IED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통신망 접속부(20)는 정보 연계장치에서 제어센터로 전송하는 외부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30)는 내부 통신망 접속부(10)를 통해 내부 통신망에서의 내부 통신 패킷을 수집하고, 외부 통신망 접속부(20)를 통해 외부 통신망에서의 외부 통신 패킷을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수집부(30)는 패킷필터의 처리대상 여부를 판단하여 폐기하거나 처리할 수도 있다.
저장부(50)는 데이터 수집부(30)를 통해 수집된 내부 통신 패킷과 외부 통신 패킷을 저장하고, 분석결과 및 진단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진단 제어부(40)는 데이터 수집부(30)로부터 수집되는 내부 통신 패킷과 외부 통신 패킷을 저장부(50)에 저장하고, 내부 통신 패킷과 외부 통신 패킷의 종류를 해석하여 흐름을 분석하고, 내부 통신 패킷과 외부 통신 패킷의 세부 데이터를 해석하여 데이터의 처리 건전성을 진단할 수 있다.
즉, 진단 제어부(40)는 정보 연계장치에서 외부 통신망을 통해 제어센터로 전송하는 외부 통신 패킷으로부터 세부 데이터를 해석하고, 내부 통신망을 통해 IED가 송신하는 내부 통신 패킷으로부터 세부 데이터를 해석하여 정보 연계장치의 송신값과 IED의 송신값을 비교하여 처리 건전성을 진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디지털 변전소 설비 중 감시, 제어 또는 측정의 데이터가 발생하면 각각의 장치에서 내부 통신망을 통해 내부 통신 패킷을 정보 연계장치와 HMI로 송신하게 되며, 이를 수신한 HMI는 화면으로 표시하고, 정보 연계장치는 가공 및 변환하여 외부 통신망을 통해 디지털 변전소 외부의 제어센터로 다시 송신하게 된다.
이때 진단 제어부(40)는 데이터 수집부(30)를 통해 내부 통신망에서 송수신되는 내부 통신 패킷으로부터 패킷의 종류를 해석하여 정보 연계장치와 IED 간 이벤트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의 흐름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진단 제어부(40)는 내부 통신 패킷과 외부 통신 패킷의 세부 데이터를 해석하여 IED 송신값과 정보 연계장치의 송신값을 비교하여, IED 혹은 정보 연계장치의 데이터 처리 건전성을 진단할 수 있어 근무자가 데이터 값의 이상상태를 쉽게 판단하여 조치를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결과 표시화면으로 각 장치의 상태값을 표시하여 변전소 내부 및 제어센터의 외부 데이터에 문제가 발생하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출력부(60)는 진단 제어부(40)의 분석결과 및 진단결과를 내부 통신망을 통해 디지털 변전소의 HMI나 정보 연계장치로 분석결과 및 처리결과를 출력할 수 있어 처리상태를 화면에 표시하여 직관적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이상 상태 발생 시 경고를 발생 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에 따르면, 원방 감시체계를 갖는 디지털 변전소를 진단할 때 독립된 내외부 통신망에서의 모든 통신패킷을 감시하여 패킷의 종류뿐만 아니라 세부 데이터까지 해석하여 상황을 파악하고 건전성을 진단할 수 있어, 제어실패, 이벤트 미전송 등의 이상 발생 시에 추가적인 전문가의 분석 없이 사용자가 즉시 문제의 장치 및 구간을 쉽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의 제어방법에서는 먼저, 진단 제어부(40)가 데이터 수집부(30)를 통해 내부 통신망과 외부 통신망을 감시한다(S10).
진단 제어부(40)는 데이터 수집부(30)를 통해 IEC 61850 통신 규격의 디지털 변전소의 내부 통신망과, 디지털 변전소의 원방 감시체계를 위해 제어센터와 SCADA망의 통신규약인 DNP 3.0 기반의 통신 규격으로 통신하는 외부 통신망에서 전력설비의 감시, 계측, 보호 및 제어를 위한 각종 통신 패킷을 발생을 감시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변전소의 내부 통신망에는 전력설비가 접속되어 감시, 계측, 보호 및 제어를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전송되고, 외부 통신망에는 디지털 변전소의 원방 감시체계를 위해 정보 연계장치에서 내부 통신망에 접속된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s)로부터 취득된 모든 전력설비의 감시, 계측, 보호 정보가 SCADA 통신규약으로 전송되고, SCADA로부터의 각종 제어(지령) 요청이 IED로 전송된다.
S10 단계에서 내부 통신망과 외부 통신망을 감시하면서 진단 제어부(40)는 통신 패킷의 발생했는지 판단한다(S20).
S20 단계에서 통신 패킷이 발생한 경우, 진단 제어부(40)는 데이터 수집부(30)를 통해 내부 통신망에서 내부 통신 패킷을 수집하고, 외부 통신망에서 외부 통신 패킷을 수집하여 저장부에 저장한다(S30).
여기서, 데이터 수집부(30)는 패킷필터의 처리대상 여부를 판단하여 폐기하거나 처리할 수도 있다.
S30 단계에서 통신 패킷을 수집하여 저장한 후, 진단 제어부(40)는 패킷의 종류를 해석하고, 정보 연계장치에서 외부 통신망을 통해 제어센터로 전송하는 외부 통신 패킷으로부터 세부 데이터를 해석하고, 내부 통신망을 통해 IED가 송신하는 내부 통신 패킷으로부터 세부 데이터를 해석한다(S40).
S40 단계에서 패킷의 종류를 해석하고 세부 데이터를 해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진단 제어부(40)는 패킷의 흐름을 분석하고, 정보 연계장치의 송신값과 IED의 송신값을 비교하여 데이터의 처리 건전성을 진단한다(S50).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디지털 변전소 설비 중 감시, 제어 또는 측정의 데이터가 발생하면 각각의 장치에서 내부 통신망을 통해 내부 통신 패킷을 정보 연계장치와 HMI로 송신하게 되며, 이를 수신한 HMI는 화면으로 표시하고, 정보 연계장치는 가공 및 변환하여 외부 통신망을 통해 디지털 변전소 외부의 제어센터로 다시 송신하게 된다.
이때 진단 제어부(40)는 데이터 수집부(30)를 통해 내부 통신망에서 송수신되는 내부 통신 패킷으로부터 패킷의 종류를 해석하여 정보 연계장치와 IED 간 이벤트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의 흐름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진단 제어부(40)는 내부 통신 패킷과 외부 통신 패킷의 세부 데이터를 해석하여 IED 송신값과 정보 연계장치의 송신값을 비교하여, IED 혹은 정보 연계장치의 데이터 처리 건전성을 진단할 수 있어 근무자가 데이터 값의 이상상태를 쉽게 판단하여 조치를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S50 단계에서 패킷의 흐름을 분석하고 데이터의 처리 건전성을 진단한 후 진단 제어부(40)는 흐름의 분석결과와 데이터의 처리 건전성의 진단결과를 저장부(50)에 저장하고 출력부(60)를 통해 출력한다(S60).
즉, 진단 제어부(40)는 내부 통신망을 통해 디지털 변전소의 HMI나 정보 연계장치로 처리결과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결과 표시화면으로 각 장치의 상태값을 표시하여 변전소 내부 및 제어센터의 외부 데이터에 문제가 발생하는지 직관적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이상 상태 발생 시 경고를 발생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원방 감시체계를 갖는 디지털 변전소를 진단할 때 독립된 내외부 통신망에서의 모든 통신패킷을 감시하여 패킷의 종류뿐만 아니라 세부 데이터까지 해석하여 상황을 파악하고 건전성을 진단할 수 있어, 제어실패, 이벤트 미전송 등의 이상 발생 시에 추가적인 전문가의 분석 없이 사용자가 즉시 문제의 장치 및 구간을 쉽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내부 통신망 접속부 20 : 외부 통신망 접속부
30 : 데이터 수집부 40 : 진단 제어부
50 : 저장부 60 : 출력부

Claims (10)

  1. 디지털 변전소의 내부 통신망과 접속되는 내부 통신망 접속부;
    상기 디지털 변전소의 원방 감시체계를 위해 제어센터와 통신하는 외부 통신망과 접속되는 외부 통신망 접속부;
    상기 내부 통신망 접속부를 통해 상기 내부 통신망에서의 내부 통신 패킷을 수집하고, 상기 외부 통신망 접속부를 통해 상기 외부 통신망에서의 외부 통신 패킷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상기 내부 통신 패킷과 상기 외부 통신 패킷을 저장하고 분석결과 및 진단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수집되는 상기 내부 통신 패킷과 상기 외부 통신 패킷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내부 통신 패킷과 상기 외부 통신 패킷의 종류를 해석하여 흐름을 분석하고, 상기 내부 통신 패킷과 상기 외부 통신 패킷의 세부 데이터를 해석하여 데이터의 처리 건전성을 진단하는 진단 제어부; 및
    상기 진단 제어부의 분석결과 및 진단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통신망은, IEC 61850 통신 규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통신망은, SCADA망의 통신규약인 DNP 3.0 기반의 통신 규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제어부는, 정보 연계장치에서 상기 외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센터로 전송하는 상기 외부 통신 패킷으로부터 세부 데이터를 해석하고, 상기 내부 통신망을 통해 IED가 송신하는 상기 내부 통신 패킷으로부터 세부 데이터를 해석하여 상기 정보 연계장치의 송신값과 상기 IED의 송신값을 비교하여 처리 건전성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내부 통신망을 통해 상기 디지털 변전소의 HMI나 정보 연계장치로 분석결과 및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
  6. 진단 제어부가 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내부 통신망과 외부 통신망을 감시하는 단계;
    상기 진단 제어부가 상기 내부 통신망과 상기 외부 통신망을 감시하여 내부 통신 패킷이나 외부 통신 패킷이 발생한 경우 수집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진단 제어부가 수집한 상기 외부 통신 패킷과 상기 내부 패킷의 종류와 세부 데이터를 해석하는 단계;
    상기 진단 제어부가 패킷의 종류와 세부 데이터의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패킷의 흐름을 분석하고 데이터의 처리 건전성을 진단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 제어부가 흐름의 분석결과 및 진단결과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의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통신망은, IEC 61850 통신 규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의 제어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통신망은, SCADA망의 통신규약인 DNP 3.0 기반의 통신 규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의 제어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처리 건전성을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진단 제어부가 정보 연계장치에서 상기 외부 통신망을 통해 제어센터로 전송하는 상기 외부 통신 패킷으로부터 세부 데이터를 해석하고, 상기 내부 통신망을 통해 IED가 송신하는 상기 내부 통신 패킷으로부터 세부 데이터를 해석하여 상기 정보 연계장치의 송신값과 상기 IED의 송신값을 비교하여 처리 건전성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의 분석결과 및 진단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진단 제어부가 상기 내부 통신망을 통해 상기 디지털 변전소의 HMI나 정보 연계장치로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00146689A 2020-11-05 2020-11-05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60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689A KR20220060751A (ko) 2020-11-05 2020-11-05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689A KR20220060751A (ko) 2020-11-05 2020-11-05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751A true KR20220060751A (ko) 2022-05-12

Family

ID=81590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689A KR20220060751A (ko) 2020-11-05 2020-11-05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07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185B1 (ko) * 2022-08-12 2022-11-17 도우디지텍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디지털변전소의 인터록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185B1 (ko) * 2022-08-12 2022-11-17 도우디지텍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디지털변전소의 인터록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3413B1 (en) System for preserving and displaying process control data associated with an abnormal situation
CN106655522A (zh) 一种适用于电网二次设备运维管理的主站系统
CN110941918B (zh) 智能化变电站故障分析系统
CN112187861B (zh) 一种用于变电站巡检的方法及系统
CN110723166A (zh) 一种道岔监测方法及系统
CN114548437A (zh) 一种基于工业物联网的旋转设备智能运维系统及运维方法
CN110543658A (zh) 基于大数据的电厂设备诊断方法
CN115208059A (zh) 一种变电站动力与环境监控告警处理系统及方法
CN109101398A (zh) Aoi线体监控方法及系统
KR20220060751A (ko) 디지털 변전소의 감시진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6738163A (zh) 基于规则引擎的能源消耗监控管理系统和方法
CN111244806A (zh) 一种电力设备安全调试监控系统和处理方法
CN112363467A (zh) 一种基于工业物联网的mes监控管理系统
CN116506278A (zh) 一种基于zabbix的异常监控平台
EP2701341A1 (en) Communication configuration analysis in process control systems
KR101005314B1 (ko) 발전설비의 전원공급장치 건전성 온-라인 감시 방법
CN211066718U (zh) 超声诊断仪故障诊断装置及设备维护管理系统
KR100675661B1 (ko) 엘리베이터의 원격 고장 검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4265009A (ja) 診断システム
CN112764998A (zh) 一种异构仿真系统及其实时监测方法
Semenkov et al. OPERATOR System: Control, Monitoring, and Diagnostics of Software and Hardware in Instrumentation and Control System
KR101122186B1 (ko) 반도체 설비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093497B (zh) 基于虚拟专用网络的放疗远程会诊监控装置、系统及方法
CN217956781U (zh) 一种双视实时在线监测智能预警系统
CN211826294U (zh) 一种idc机房电力智能安全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