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112A - 식생장치 - Google Patents

식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112A
KR20220060112A KR1020200145676A KR20200145676A KR20220060112A KR 20220060112 A KR20220060112 A KR 20220060112A KR 1020200145676 A KR1020200145676 A KR 1020200145676A KR 20200145676 A KR20200145676 A KR 20200145676A KR 20220060112 A KR20220060112 A KR 20220060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water
air
vegetation par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준
Original Assignee
(주) 에스피데이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스피데이타 filed Critical (주) 에스피데이타
Priority to KR1020200145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0112A/ko
Publication of KR20220060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8Mechanical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2Units using UV-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부에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내부를 통해 상부로 배출되도록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흡입팬; 상기 흡입구와 상기 흡입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로 강제 흡입된 외부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에 구비되고, 식물이 식재된 포트모듈이 거치되어 상기 개방된 상면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식생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물을 상기 식생부에 급수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정화식물이 식재된 식물포트에 물을 자동 공급하여 식물의 생육 관리가 편리하고, 실내 공기를 식물 생육부분으로 유도하여 공기정화식물에 의한 자연 정화가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실내 공기를 필터링 및 살균,탈취하여 공기 청정의 기능을 확보하며, 제 3 식생부의 포트홀에 물을 수용하거나 제 1 식생부와 제 2 식생부에 수경식물을 생육하여 가습기능을 확보함으로써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소형화를 통해 일반 가정이나 작은 카페, 개인 사무실과 같은 작은 공간 등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이동이 자유로워 효율적인 배치 및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자연친화적인 녹지 확보 및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생장치{Veget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식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공기정화식물을 생육시켜 실내 공간의 녹지 확보는 물론 실내 공기의 자연 정화기능과 공기 청정의 기능을 확보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식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 벽면은 인테리어 마감재로 마감이 되어 있으므로 실내가 답답하거나 삭막한 느낌을 주게 되는데 이러한 느낌을 없애기 위한 방편으로 실내에 화분을 배치하여 여러 가지 식물을 기르기도 한다.
이처럼 실내에서 화분에 식물을 기르는 경우, 화분에 지속적으로 물을 주어야 하는 등 관리의 어려움이 있고, 단순히 관상용으로서의 기능만 하게 되므로 실용성이 떨어지는 한계성이 있다.
최근에는 차가운 느낌을 연출하는 콘크리트 및 철재 구조물과 인공 구조물들이 대폭적으로 증가되면서 한정된 공간에서의 녹지 확보의 한계를 극복하여 도심 속에 녹지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고자 옥상 녹화, 벽면 녹화 및 호안 녹화와 같은 특수 녹화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옥상 녹화, 벽면 녹화, 호안 녹화와 같은 특수 녹화는 주로 큰 건물에 대형으로 설치되는 구조이여서 많은 비용이 들어가고 유지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일반 가정이나 작은 카페와 같은 작은 공간 등에는 쉽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16013호(등록일 2013.10.0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069737호(등록일 2020.01.17)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정화식물이 식재된 식물포트에 물을 자동 공급하여 식물의 생육 관리가 편리하고, 실내 공기를 식물 생육부분으로 유도하여 공기정화식물에 의한 자연 정화가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실내 공기를 필터링 및 살균하여 공기 청정의 기능을 확보하며, 소형화를 통해 일반 가정이나 작은 카페, 개인 사무실과 같은 작은 공간 등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이 자유로워 효율적인 배치 및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식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생장치는 하단부에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내부를 통해 상부로 배출되도록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흡입팬; 상기 흡입구와 상기 흡입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로 강제 흡입된 외부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에 구비되고, 식물이 식재된 포트모듈이 거치되어 상기 개방된 상면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식생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물을 상기 식생부에 급수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생부는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에 거치되어 배출되는 공기를 1차 정화시키는 제 1 식생부와, 상기 제 1 식생부의 상부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배출되는 공기를 2차 정화시키는 제 2 식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식생부의 중심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중공의 지지관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식생부는 상기 중공의 지지관에 지지되어 상기 제 1 식생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식생부와 제 2 식생부는 각각 물이 입수되는 입수홀과 물이 출수되는 출수홀이 형성되고, 상면 또는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식물이 식재된 포트모듈이 거치되는 거치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식생부는 측면에 사선으로 상기 거치홀이 형성되어 식물이 식재된 포트모듈이 상기 거치홀에 거치되었을 때 상기 본체의 측 방향으로 식물이 노출되게 하고, 상기 제 1 식생부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제 2 식생부는 상면에 수직으로 상기 거치홀이 형성되어 식물이 식재된 포트모듈이 상기 거치홀에 거치되었을 때 상기 본체의 상 방향으로 식물이 노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순환되는 물을 상기 제 2 식생부의 입수홀에 급수하는 입수관과, 일단이 상기 제 2 식생부의 출수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식생부의 입수홀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식생부에서 출수되는 물을 상기 제 1 식생부에 공급하는 연결관과, 상기 제 2 식생부의 출수홀에 연결되어 출수되는 물을 상기 수조로 회수하는 출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제 1 펌프와, 상기 제 1 펌프에 의해 순환되는 물을 상기 제 1 식생부의 입수홀에 급수하는 제 1 입수관과, 상기 제 1 식생부의 출수홀에 연결되어 출수되는 물을 상기 수조로 회수하는 제 1 출수관 및 상기 수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제 2 펌프와, 상기 제 2 펌프에 의해 순환되는 물을 상기 제 2 식생부의 입수홀에 급수하는 제 2 입수관과, 상기 제 2 식생부의 출수홀에 연결되어 출수되는 물을 상기 수조로 회수하는 제 2 출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부를 통해 필터링된 공기를 살균 및 탈취하는 제 1 살균탈취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식생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1 식생부의 물을 살균하기 위한 제 1 식생 LED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 2 식생부의 상부에는 상기 제 2 식생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배출되는 공기를 3차 정화시키는 제 3 식생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식생부의 중심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중공의 지지관이 구비되고, 상기 제 3 식생부는 상기 중공의 지지관에 지지되어 상기 제 2 식생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 식생부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면에 토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토출부의 중앙에는 물을 수용하여 가습기능을 하거나 식물이 식재된 포트모듈이 수용되는 포트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 식생부를 지지하는 상기 중공의 지지관 내부에는 상기 토출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 식생부의 내부에는 상기 토출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살균 및 탈취하는 제 2 살균탈취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3 식생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2 식생부의 물을 살균하기 위한 제 2 식생 LED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이동캐스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정화식물이 식재된 식물포트에 물을 자동 공급하여 식물의 생육 관리가 편리하고, 실내 공기를 식물 생육부분으로 유도하여 공기정화식물에 의한 자연 정화가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실내 공기를 필터링 및 살균,탈취하여 공기 청정의 기능을 확보하며, 제 3 식생부의 포트홀에 물을 수용하거나 제 1 식생부와 제 2 식생부에 수경식물을 생육하여 가습기능을 확보함으로써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형화를 통해 일반 가정이나 작은 카페, 개인 사무실과 같은 작은 공간 등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이 자유로워 효율적인 배치 및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물의 생육을 통해 자연친화적인 녹지를 확보하고, LED모듈이 식생부를 조명함으로써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생장치에서 식물이 식재된 포트모듈이 거치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생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고, 급수부의 제 1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생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고, 급수부의 제 2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생장치에서 제 1 식생부의 사선형 수경포트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4의 (b)는 제 2 식생부의 수직형 수경포트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생장치의 사각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의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생장치는 본체(100)와, 흡입팬(200)과, 필터부(300)와, 제 1, 제 2 살균탈취모듈(410,420)과, 식생부(500)와, 급수부(600)와, 제 1, 제 2 식생 LED모듈(710,7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체(100)는 하단부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10)가 구비되고, 흡입구(110)로 흡입된 공기가 내부 공간을 통해 상부로 배출되도록 상면이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0)의 저면에는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이동 캐스터(120)가 구비되고, 본체(100)의 전면부에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스위치(130)가 구비된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전원스위치(13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구동하는 흡입팬(200)이 구비된다.
흡입팬(200)은 전원 인가 시 구동하여 외부공기를 본체(100)의 흡입구(110)를 통해 본체(100)의 내부로 강제 흡입하여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본체(100)의 내부에는 흡입구(110)와 흡입팬(200) 사이에 위치하여 흡입구(110)로 강제 흡입된 외부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300)가 구비된다.
필터부(300)는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는 프리필터와, 냄새 입자를 흡착하는 탈취필터와,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헤파필터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처럼 적층된 필터는 큰 입자에서부터 작은 입자에 이르기까지 이물질을 층층이 흡착시켜 걸러내고 불쾌한 냄새 입자까지 걸러낸다.
또한, 본체(100)의 내부에는 필터부(300)를 통해 필터링된 공기를 살균 및 탈취하는 제 1 살균탈취모듈(410)이 구비된다.
제 1 살균탈취모듈(410)은 필터부(300)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살균 및 탈취하여 공기에 포함된 세균, 바이러스 등의 공기질 저해요소 제거하고 아울러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시킨다.
그리고, 살균 및 탈취된 공기가 배출되는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에는 식물이 식재된 포트모듈(501)이 거치되어 배출되는 공기를 자연 정화시키는 식생부(5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식생부(500)는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에 거치되어 배출되는 공기를 1차 정화시키는 제 1 식생부(510)와, 제 1 식생부(510)의 상부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배출되는 공기를 2차 정화시키는 제 2 식생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 1 식생부(510)의 중심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중공의 지지관(511)이 구비되고, 제 2 식생부(520)는 제 1 식생부(510)로부터 이격 거리를 갖도록 중공의 지지관(511)에 지지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식생부(510)와 제 2 식생부(520)는 각각 물이 입수되는 입수홀(512,522)과 물이 출수되는 출수홀(513,523)이 형성되고, 상면 또는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식물이 식재된 포트모듈(501)이 거치되는 거치홀(514,524)이 형성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에 거치되는 제 1 식생부(510)는 측면에 사선으로 거치홀(514)이 형성되어 식물이 식재된 포트모듈(501)이 거치홀(514)에 거치되었을 때 본체(100)의 측 방향으로 식물이 노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식생부(510)의 상부에 위치한 제 2 식생부(520)는 상면에 수직으로 거치홀(524)이 형성되어 식물이 식재된 포트모듈(501)이 거치홀(524)에 거치되었을 때 본체의 상 방향으로 식물이 노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 식생부(510)와 제 2 식생부(520)에서 거치홀(514,524)의 방향은 선택사항일 뿐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체(100)의 내부에는 식생부(500)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부(600)가 구비된다.
급수부(6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610)의 물을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식생부(520)에 급수하면 급수된 물이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식생부(510)를 거쳐 수조(610)로 회수되는 형태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식생부(510)와 제 2 식생부(520)에 수조(610)의 물을 각각 공급하는 형태로 구분될 수 있으며, 급수부(600)의 형태는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제 1 실시형태의 급수부(600)는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610)와, 수조(610)의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620)와, 펌프(620)에 의해 순환되는 물을 제 2 식생부(520)의 입수홀(522)에 급수하는 입수관(630)과, 일단이 제 2 식생부(520)의 출수홀(523)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식생부(510)의 입수홀(512)에 연결되어 제 2 식생부(520)에서 출수되는 물을 제 1 식생부(510)에 공급하는 연결관(640)과, 제 1 식생부(510)의 출수홀(513)에 연결되어 출수되는 물을 수조(610)로 회수하는 출수관(6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수조(610)의 물이 입수관(630)을 통해 제 2 식생부(520)의 입수홀(522)에 급수되고, 제 2 식생부(520)를 경유하여 출수홀(523)로 출수된 물이 연결관(640)을 통해 제 1 식생부(510)의 입수홀(512)로 유입되며, 제 1 식생부(510)를 경유하여 출수홀(513)로 출수된 물이 출수관(650)을 통해 수조(610)로 회수된다.
이때, 수조(610)의 물을 제 2 식생부(520)의 입수홀(522)에 급수하는 입수관(630)과, 제 2 식생부(520)에서 출수되는 물을 제 1 식생부(510)의 입수홀(512)에 급수하는 연결관(640)은 제 2 식생부(520)를 지지하는 지지관(511)의 내부를 통과하고, 제 2 식생부(520)의 외측을 감싸는 하우징(525)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제 2 실시형태의 급수부(600)는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610)와, 수조(610)의 물을 순환시키는 제 1 펌프(621)와, 제 1 펌프(621)에 의해 순환되는 물을 제 1 식생부(510)의 입수홀(512)에 급수하는 제 1 입수관(631)과, 제 1 식생부(510)의 출수홀(513)에 연결되어 출수되는 물을 수조(610)로 회수하는 제 1 출수관(651) 및 수조(610)의 물을 순환시키는 제 2 펌프(622)와, 제 2 펌프(622)에 의해 순환되는 물을 제 2 식생부(520)의 입수홀(522)에 급수하는 제 2 입수관(632)과, 제 2 식생부(520)의 출수홀(523)에 연결되어 출수되는 물을 수조(610)로 회수하는 제 2 출수관(6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수조(610)의 물이 제 1 펌프(621)의 펌핑으로 제 1 입수관(631)을 통해 제 1 식생부(510)의 입수홀(512)에 급수되고 제 1 식생부(510)를 경유하여 출수홀(513)로 출수된 물이 제 1 출수관(651)을 통해 수조(610)로 회수되며, 아울러 수조(610)의 물이 제 2 펌프(622)의 펌핑으로 제 2 입수관(632)을 통해 제 2 식생부(520)의 입수홀(522)에 급수되고 제 2 식생부(520)를 경유하여 출수홀(523)로 출수된 물이 제 2 출수관(652)을 통해 수조(610)로 회수된다. 따라서, 제 1 식생부(510)와 제 2 식생부(52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둘 모두를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이때, 수조(610)의 물을 제 2 식생부(520)에 급수하는 제 2 입수관(632)과, 제 2 식생부(520)에서 출수되는 물을 수조(610)로 회수하는 제 2 출수관(652)은 제 2 식생부(520)를 지지하는 지지관(511)의 내부를 통과하고, 제 2 식생부(520)의 외측을 감싸는 하우징(525)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구비된다.
또한, 제 2 식생부(520)의 외측을 감싸는 하우징(525)은 저면이 개방되고, 제 2 식생부(520)의 하단부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 1 식생 LED모듈(710)이 구비된다.
제 1 식생 LED모듈(710)은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식생부(51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 1 식생부(510)의 물을 살균하고 아울러 제 1 식생부(510)를 조명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한다.
이에 더하여, 제 2 식생부(520)의 상부에는 제 2 식생부(52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배출되는 공기를 3차 정화시키는 제 3 식생부(530)가 구비된다.
이때, 제 2 식생부(520)의 중심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중공의 지지관(526)이 구비되고, 제 3 식생부(530)는 제 2 식생부(520)로부터 이격 거리를 갖도록 중공의 지지관(526)에 지지된다.
제 3 식생부(530)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면에 토출부(531)가 구비되며, 토출부(531)의 중앙에 물을 수용하여 가습기능을 하거나 식물이 식재된 포트모듈(501)이 수용되는 포트홀(532)이 구비된다.
그리고, 제 3 식생부(530)를 지지하는 중공의 지지관(526) 내부에는 토출부(531)로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팬(533)이 구비되고, 제 3 식생부(530)의 내부에는 토출부(531)로 배출되는 공기를 살균 및 탈취하는 제 2 살균탈취모듈(420)이 구비된다. 즉, 제 1 식생부(510)를 통과하여 1차 정화가 이루어진 일부 공기는 토출팬(533)에 흡입되어 제 2 식생부(520)를 통과하면서 2차 정화가 이루어지고 제 3 식생부(530)의 제 2 살균탈취모듈(420)을 통해 살균 및 탈취되어 토출부(531)로 배출된다.
또한, 제 3 식생부(530)의 하단부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 2 식생 LED모듈(720)이 구비된다. 제 2 식생 LED모듈(720)은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식생부(52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 2 식생부(520)의 물을 살균하고 아울러 제 2 식생부(520)를 조명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한다.
또한, 포트홀(532)에는 가습기능을 하도록 물이 수용될 수도 있고, 녹지 확보 및 공기의 자연정화가 이루어지도록 식물이 식재된 포트모듈(501)이 수용될 수도 있다.
한편, 제 1, 제 2, 제 3 식생부에 거치되는 포트모듈(501)은 수경식물, 토경식물, 식용식물, 공기정화식물 등이 식재될 수 있으며, 제 1, 제 2, 제 3 식생부(510,520,530)는 식재된 식물에 따라 수경포트 또는 토경포트로 선택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생장치는 원형형태의 식생장치를 일실시형태의 예로 설명하였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으며,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정화식물이 식재된 식물포트에 물을 자동 공급하여 식물의 생육 관리가 편리하고, 실내 공기를 식물 생육부분으로 유도하여 공기정화식물에 의한 자연 정화가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실내 공기를 필터링 및 살균탈취하여 공기 청정의 기능을 확보하며, 제 3 식생부의 포트홀에 물을 수용하거나 제 1 식생부와 제 2 식생부로 물을 자동 공급하여 수경식물을 생육시킴으로써 가습기능을 확보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또한, 소형화를 통해 일반 가정이나 작은 카페, 개인 사무실과 같은 작은 공간 등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이 자유로워 효율적인 배치 및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식물의 생육을 통해 자연친화적인 녹지를 확보하고, LED모듈이 식생부를 조명함으로써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흡입구
120: 이동캐스터 130: 전원스위치
200: 흡입팬 300: 필터부
410: 제 1 살균탈취모듈 420: 제 2 살균탈취모듈
500: 식생부 501: 포트모듈
510: 제 1 식생부 511: 지지관
520: 제 2 식생부 512,522: 입수홀
513,523: 출수홀 514,524: 거치홀
525: 하우징 526: 지지관
530: 제 3 식생부 531: 토출부
532: 포트홀 533: 토출팬
600: 급수부 610: 수조
620: 펌프 621: 제 1 펌프
622: 제 2 펌프 630: 입수관
631: 제 1 입수관 632: 제 2 입수관
640: 연결관 650: 출수관
651: 제 1 출수관 652: 제 2 출수관
710: 제 1 식생 LED모듈 720: 제 2 식생 LED모듈

Claims (16)

  1. 하단부에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내부를 통해 상부로 배출되도록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흡입팬;
    상기 흡입구와 상기 흡입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로 강제 흡입된 외부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에 구비되고, 식물이 식재된 포트모듈이 거치되어 상기 개방된 상면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식생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물을 상기 식생부에 급수하는 급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부는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에 거치되어 배출되는 공기를 1차 정화시키는 제 1 식생부와,
    상기 제 1 식생부의 상부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배출되는 공기를 2차 정화시키는 제 2 식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생부의 중심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중공의 지지관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식생부는 상기 중공의 지지관에 지지되어 상기 제 1 식생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생부와 제 2 식생부는 각각 물이 입수되는 입수홀과 물이 출수되는 출수홀이 형성되고, 상면 또는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식물이 식재된 포트모듈이 거치되는 거치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생부는 측면에 사선으로 상기 거치홀이 형성되어 식물이 식재된 포트모듈이 상기 거치홀에 거치되었을 때 상기 본체의 측 방향으로 식물이 노출되게 하고, 상기 제 1 식생부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제 2 식생부는 상면에 수직으로 상기 거치홀이 형성되어 식물이 식재된 포트모듈이 상기 거치홀에 거치되었을 때 상기 본체의 상 방향으로 식물이 노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순환되는 물을 상기 제 2 식생부의 입수홀에 급수하는 입수관과, 일단이 상기 제 2 식생부의 출수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식생부의 입수홀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식생부에서 출수되는 물을 상기 제 1 식생부에 공급하는 연결관과, 상기 제 1 식생부의 출수홀에 연결되어 출수되는 물을 상기 수조로 회수하는 출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제 1 펌프와, 상기 제 1 펌프에 의해 순환되는 물을 상기 제 1 식생부의 입수홀에 급수하는 제 1 입수관과, 상기 제 1 식생부의 출수홀에 연결되어 출수되는 물을 상기 수조로 회수하는 제 1 출수관 및 상기 수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제 2 펌프와, 상기 제 2 펌프에 의해 순환되는 물을 상기 제 2 식생부의 입수홀에 급수하는 제 2 입수관과, 상기 제 2 식생부의 출수홀에 연결되어 출수되는 물을 상기 수조로 회수하는 제 2 출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부를 통해 필터링된 공기를 살균 및 탈취하는 제 1 살균탈취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식생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1 식생부의 물을 살균하기 위한 제 1 식생 LED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식생부의 상부에는 상기 제 2 식생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배출되는 공기를 3차 정화시키는 제 3 식생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식생부의 중심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중공의 지지관이 구비되고, 상기 제 3 식생부는 상기 중공의 지지관에 지지되어 상기 제 2 식생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식생부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면에 토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토출부의 중앙에는 물을 수용하여 가습기능을 하거나 식물이 식재된 포트모듈이 수용되는 포트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식생부를 지지하는 상기 중공의 지지관 내부에는 상기 토출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식생부의 내부에는 상기 토출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살균 및 탈취하는 제 2 살균탈취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식생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2 식생부의 물을 살균하기 위한 제 2 식생 LED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이동캐스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장치.
KR1020200145676A 2020-11-04 2020-11-04 식생장치 KR20220060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676A KR20220060112A (ko) 2020-11-04 2020-11-04 식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676A KR20220060112A (ko) 2020-11-04 2020-11-04 식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112A true KR20220060112A (ko) 2022-05-11

Family

ID=81606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676A KR20220060112A (ko) 2020-11-04 2020-11-04 식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011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013B1 (ko) 2011-07-22 2013-10-10 강현철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KR102069737B1 (ko) 2019-06-04 2020-01-28 에스그린랩 주식회사 다기능 식생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013B1 (ko) 2011-07-22 2013-10-10 강현철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KR102069737B1 (ko) 2019-06-04 2020-01-28 에스그린랩 주식회사 다기능 식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678B1 (ko)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
KR100785930B1 (ko) 실내공기 정화를 위한 자동 온실시스템
KR101441040B1 (ko) 실내공기정화를 위한 벽면녹화장치
KR100858993B1 (ko)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KR100377569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내정원
KR101656751B1 (ko)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 및 상기 식물재배 화분을 이용한 실내정원 장치
KR102262219B1 (ko) 실내용 식물 재배장치
KR20160105760A (ko)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KR102340390B1 (ko) 휘발성유기화합물제거 기능을 가진 친환경 공기청정시스템
KR102189835B1 (ko) 관상뿐만 아니라 공기정화 등의 복합기능을 가지는 쇼케이스형 농업용 수경재배장치
KR20130007866A (ko) 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JP4155805B2 (ja) 空気浄化機能を有する植木スタンド及びその植木鉢
KR20190064175A (ko) 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KR20090062719A (ko) 조경 겸 공기정화장치
KR100250160B1 (ko) 관상어수조를 이용한 수경재배 및 정화장치
KR100377570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내정원
KR101658191B1 (ko) 수경 재배기용 가습 청정기
KR102467912B1 (ko) 공기정화장치
KR20220060112A (ko) 식생장치
KR102067030B1 (ko) 식생블록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140022176A (ko) 공기정화용 탁자
KR20190014200A (ko) 벽면 정원 겸용 수족관
KR102167921B1 (ko) 수직재배식 실내 공기정화장치
KR100209822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가습기
KR102641890B1 (ko) 실내 미세먼지 정화를 위한 액티브 토양필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내 미세먼지 정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