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082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082A
KR20220060082A KR1020200145374A KR20200145374A KR20220060082A KR 20220060082 A KR20220060082 A KR 20220060082A KR 1020200145374 A KR1020200145374 A KR 1020200145374A KR 20200145374 A KR20200145374 A KR 20200145374A KR 20220060082 A KR20220060082 A KR 20220060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otective layer
passivation layer
disposed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환
안흥근
장석원
조정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5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0082A/ko
Priority to US17/370,381 priority patent/US20220137678A1/en
Priority to CN202111281197.7A priority patent/CN114446151A/zh
Publication of KR20220060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01L51/525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4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the refractive index Nz perpendicular to the element surface being different from in-plane refractive indices Nx and Ny, e.g. biaxial or with normal optical ax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8Waveplates, i.e. plates with a retardation value of lambda/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H01L27/3225
    • H01L51/528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1Polaris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polariser or analyser ax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41Circular polar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4Integrated protective display lid, e.g. for touch-sensitive display in handhel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 상측에 배치된 편광판, 표시 패널 하측에 배치되고 관통홀이 정의된 지지부재, 관통홀에 대응하여 표시 패널 하측에 배치된 전자 모듈, 및 편광판 상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층은 두께 방향 위상차가 0nm 초과 1500nm 이하일 수 있고, 면내 위상차가 0nm 초과 200nm 이하일 수 있다. 두께 방향 위상차, 및 면내 위상차가 최적화된 일 실시예의 보호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촬영 품질이 개선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표시 장치는 외부 신호를 수신하거나, 외부에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모듈은 카메라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화질의 촬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표시 장치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카메라 모듈 등을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배치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촬영 이미지의 화질 개선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장치의 표시면 방향에서 카메라 모듈로 촬영되는 영상의 촬영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측에 배치된 편광판; 상기 표시 패널 하측에 배치되고, 관통홀이 정의된 지지 부재;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 패널 하측에 배치된 전자 모듈; 및 두께 방향 위상차가 0nm 초과 1500nm 이하이고, 상기 편광판 상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은 상기 두께 방향과 수직한 면내 위상차가 0nm 초과 200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의 두께는 10um 이상 200u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은 400nm 이상 800nm 이하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한 투과율이 8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은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상기 편광판에 인접한 제1 보호층 및 상기 제1 보호층 상에 배치된 제2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층은 유리 또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층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층의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와 및 상기 제2 보호층의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는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층은 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층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편광판과 제1 보호층 사이에 배치되고,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3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모듈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편광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액티브 영역 및 상기 액티브 영역과 이웃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 중첩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주변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정의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는 전자 모듈; 상기 전자 모듈 상측에 배치되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인접하고 상기 전자 모듈에 중첩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측에 배치되고, 선편광층 및 적어도 하나의 위상지연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 상측에 배치되고, 두께 방향 위상차가 0nm 초과 1500nm 이하이며, 상기 두께 방향과 수직한 면내 위상차가 0nm 초과 200nm 이하인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보다 화소 밀도 또는 배선 밀도가 낮은 것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상기 편광판에 인접한 제1 보호층 및 상기 제1 보호층 상에 배치된 제2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층은 유리 또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층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층의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와 및 상기 제2 보호층의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는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의 두께는 10um 이상 200u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선편광층의 투과축과 상기 보호층의 제1 광축이 이루는 사이각은 45±5°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상지연층은 λ/2 위상 지연층 및 λ/4 위상 지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λ/2 위상 지연층이 상기 λ/4 위상 지연층보다 상기 선편광층에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선편광층의 투과축과 상기 λ/2 위상 지연층의 제2 광축 사이의 사이각은 15±5°이고, 상기 선편광층의 투과축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의 제3 광축 사이의 사이각은 75±5°일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상기 선편광층 상측에 배치된 베이스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편광층의 투과축과 상기 베이스필름의 제4 광축 사이의 사이각은 45±5°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편광판 상측에 배치된 보호층의 두께 방향 위상차 및 두께 방향과 수직한 면내 위상차를 최적화하여, 카메라 모듈로 촬영된 영상의 품질이 개선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의 광축들의 관계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의 광축들의 관계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선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휴대폰, 태블릿, 자동차 내비게이션, 게임기, 또는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는 표시 장치(DD)가 휴대폰인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표시 장치(DD)는 액티브 영역(AA-DD)을 통해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DD)은 제1 방향축(DR1) 및 제2 방향축(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DD)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평면의 일 측으로부터 벤딩된 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평면의 양 측면으로부터 각각 벤딩된 두 개의 곡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하지만, 액티브 영역(AA-DD)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액티브 영역(AA-DD)은 평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액티브 영역(AA)-DD)은 평면의 4 개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벤딩된 4개의 곡면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플렉서블(flexible)한 것일 수 있다. “플렉서블”이란 휘어질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하며, 완전히 접히는 구조에서부터 수 나노미터 수준으로 휠 수 있는 구조까지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DD)는 리지드(rigid)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1 및 이하 도면들에서는 제1 방향축(DR1) 내지 제3 방향축(DR3)을 도시하였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제1 내지 제3 방향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은 서로 직교하고, 제3 방향축(DR3)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평면에 대해 수직한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액티브 영역(AA-DD) 내에는 센싱 영역(SA-DD)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 에서는 하나의 센싱 영역(SA-DD)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센싱 영역(SA-DD)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센싱 영역(SA-DD)은 액티브 영역(AA-DD)의 일부분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센싱 영역(SA-DD)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센싱 영역(SA-DD)과 중첩하는 영역에는 전자 모듈(EM)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자 모듈(EM)은 센싱 영역(SA-DD)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 입력을 수신하거나, 센싱 영역(SA-DD)을 통해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표시 패널(DP) 상측에 배치된 편광판(POL), 표시 패널(DP) 하측에 배치된 지지 부재(SP), 표시 패널(DP) 하측에 배치된 전자 모듈(EM), 및 편광판(POL)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PL)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SP)는 관통홀(HH)이 정의되고, 전자 모듈(EM)은 관통홀(HH)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층(PL)은 두께 방향 위상차가 0nm 초과 1500nm 이하일 수 있다. 보호층(PL)은 면내 위상차가 0nm 초과 200nm 이하일 수 있다. 보호층(PL)에 대해서는 이후 보다 상세히 서술한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전자 모듈(EM), 지지 부재(SP), 표시 패널(DP), 편광판(POL), 및 보호층(PL)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제1 표시 영역(NSA-EP), 및 제1 표시 영역(NSA-EP)에 인접한 제2 표시 영역(SA-EP)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SA-EP)은 전자 모듈(EM)에 중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하측에 배치된 하우징(HU)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모듈(EM), 및 표시 패널(DP) 등은 하우징(HU) 내에 수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이 하우징(HU) 내에 수납되는 경우, 표시 패널(DP)의 주변 영역(NAA)은 일부 휘어진 상태로 수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에서 전자 모듈(EM)은 광 신호를 출력하거나 수신하는 전자부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모듈(EM)은 외부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전자 모듈(EM)은 근접센서 또는 적외선 발광센서 등의 센서 모듈일 수 있다.
전자 모듈(EM)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 부재(SP)의 관통홀(HH)에 삽입된 것일 수 있다. 지지 부재(SP)는 쿠션층 및 금속 지지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관통홀(HH)은 쿠션층 및 금속 지지층을 관통하도록 정의된 것일 수 있다. 쿠션층은 표시 장치(DD)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에 대하여 전자 모듈(EM) 및 표시 패널(DP)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금속 지지층은 표시 패널(DP) 등의 표시 장치(DD)에 포함된 부재들을 지지하는 지지기판일 수 있다. 금속 지지층은 방열 또는 전자파 차폐 등의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전자 모듈(EM) 상측에는 표시 패널(DP)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영상(IM)이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AA) 및 액티브 영역(AA)에 이웃하는 주변 영역(NA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DP)의 전면(IS)은 액티브 영역(AA) 및 주변 영역(NAA)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영역일 수 있다.
주변 영역(NAA)은 액티브 영역(AA)에 인접한 것일 수 있다. 주변 영역(NAA)은 액티브 영역(AA)을 에워쌀 수 있다. 주변 영역(NAA)에는 액티브 영역(AA)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나 구동 배선, 액티브 영역(AA)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각종 신호 라인들이나 패드들, 또는 전자 소자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HH)은 표시 패널(DP)의 액티브 영역(AA)에 중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관통홀(HH)은 제1 방향축(DR1) 및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평면과 나란한 평면 상에서 표시 패널(DP)의 주변 영역(NAA)으로부터 이격되어 정의된 것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제1 표시 영역(NSA-EP) 및 제2 표시 영역(SA-EP)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SA-EP)은 전자 모듈(EM)과 중첩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NSA-EP)은 제2 표시 영역(SA-EP)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SA-EP)은 표시 장치(DD)의 센싱 영역(SA-DD)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NSA-EP)은 표시 장치에서 센싱 영역(SA-DD)을 제외한 액티브 영역(AA-DD)에 대응하는 부분일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2 표시 영역(SA-EP)의 면적은 제1 표시 영역(NSA-EP)의 면적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NSA-EP)의 투과도와 제2 표시 영역(SA-EP)의 투과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SA-EP)의 투과도는 제1 표시 영역(NSA-EP)의 투과도 보다 큰 것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 상측에 편광판(POL)이 배치될 수 있다. 편광판(POL)은 표시 패널(DP)과 보호층(P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판(POL)은 표시 장치(DD)의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에 의한 반사를 감소시키는 반사 방지 기능을 할 수 있다. 편광판(POL)은 표시 패널(DP)의 제2 표시 영역(SA-EP)에 중첩하는 제2 영역(SA-P), 및 표시 패널(DP)의 제1 표시 영역(NSA-EP)에 중첩하는 제1 영역(NSA-P)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POL)의 제2 영역(SA-P)은 지지 부재(SP)의 관통홀(HH)과 중첩하는 것일 수 있다.
보호층(PL)은 편광판(POL)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판(POL) 상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PL)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PL)은 외부에 노출되는 상부면(FS)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DD)의 상부면(FS)은 실질적으로 보호층(PL)의 상부면(FS)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상부면(FS)은 표시 장치(DD)의 전면과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상부면(FS)은 영상(IM, 도 1)이 표시되는 표시면일 수 있다. 보호층(PL)의 상부면(FS)에서 투과 영역(TA)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영역일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표시 패널(DP)의 액티브 영역(AA)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 영역(TA)은 액티브 영역(AA)의 전면, 또는 적어도 일부와 중첩한다. 표시 패널(DP)의 액티브 영역(AA)에 표시되는 영상은 투과 영역(TA)을 통해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다.
보호층(PL)의 상부면(FS)에서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인접한 것일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표시 패널(DP)의 주변 영역(NAA)을 커버하여 주변 영역(NAA)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패널(DP)은 복수 개의 신호라인들(SGL, 이하 신호라인들), 복수 개의 화소들(PX, 이하 화소들), 및 구동회로(GDC)를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에는 화소들(PX)이 배치된다. 화소들(PX) 각각은 발광 소자 및 이에 연결된 화소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제2 표시 영역(SA-EP)은 제1 표시 영역(NSA-EP)보다 낮은 화소 밀도를 갖는 부분이거나, 또는 낮은 배선 밀도를 갖는 부분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표시 영역(NSA-EP)에 AA' 영역을 도시하고, 제2 표시 영역(SA-EP)에 BB' 영역을 도시하였다. AA' 영역과 BB' 영역의 면적은 동일한 것으로, BB' 영역의 화소 밀도는 AA' 영역의 화소 밀도보다 낮은 것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에서, 동일한 단위 면적을 기준으로, 제2 표시 영역(SA-EP)에는 제1 표시 영역(NSA-EP)보다 적은 수의 화소(PX)가 배치될 수 있다. 화소(PX)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은 광 신호가 투과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표시 영역(SA-EP)은 제1 표시 영역(NSA-EP)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준의 화소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SA-EP)과 제1 표시 영역(NSA-EP)의 화소 밀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에 있어서, 제2 표시 영역(SA-EP)에서의 배선 밀도는 제1 표시 영역(NSA-EP)에서의 배선 밀도 보다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표시 영역(SA-EP)에 배치된 화소를 구동하는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회로 배선이 주변 영역(NAA)으로 이동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표시 영역(SA-EP)은 제1 표시 영역(NSA-EP)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배선 밀도가 낮을 수 있다.
주변 영역(NAA)에는 화소들(PX)이 미배치된다. 구동회로(GDC)는 주변 영역(NAA)에 배치된다. 구동회로(GDC)는 스캔 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구동회로는 복수 개의 스캔 신호들(이하, 스캔 신호들)을 생성하고, 스캔 신호들을 복수 개의 스캔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스캔 구동회로는 화소들(PX)의 구동회로에 또 다른 제어 신호를 더 출력할 수 있다. 스캔 구동회로는 화소들(PX)의 구동회로와 동일한 공정, 예컨대 LTPS(Low Temperature Polycrystaline Silicon) 공정 또는 LTPO(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 공정을 통해 형성된 복수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라인들(SGL)은 스캔라인들(GL), 데이터 라인들(DL), 전원 라인(PWL), 및 제어신호라인(CSL)을 포함한다. 신호라인들(SGL)은 별도의 리셋 라인들 및 발광 라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캔라인들(GL)은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되고, 데이터 라인들(DL)은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된다. 전원 라인(PWL)은 화소들(PX)에 연결된다. 제어신호라인(CSL)은 스캔 구동회로에 제어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신호라인들(SGL)은 미도시된 회로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회로기판에 실장된 집적 칩 형태의 타이밍 제어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서,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소자, 퀀텀닷 발광 소자, 마이크로 엘이디 발광 소자, 또는 나노 엘이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PL)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하나의 보호층(PL)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3 개의 보호층들(PL1, PL2, PL3)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4개 이상의 보호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보호층(PL)에서, 두께 방향 위상차(Rth)는 0nm 초과 1500nm 이하일 수 있고, 면내 위상차(Re)는 0nm 초과 200nm 이하일 수 있다. 두께 방향 위상차는 아래의 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고, 면내 위상차는 아래의 식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식 1]
두께 방향 위상차(Rth) = {(|nx-ny|/2)- nz} x d
[식 2]
면내 위상차(Re) = (|nx-ny|) x d
식 1 및 2에서, nx는 층의 면내의 일축(x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층의 면내에서 일축과 직교하는 타축(y축) 방향의 굴절률이며, nz는 두께 방향인 z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층의 두께에 해당한다. 위상차 값은 특정 파장에서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면내 위상차는 제1 방향축(DR1) 및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평면 상에서의 위상차일 수 있다. 두께 방향 위상차는 제3 방향축(DR3)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층(PL)의 두께 방향 위상차는 1000nm 이하일 수 있다. 보호층(PL)의 면내 위상차는 100nm 이하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상차를 갖는 보호층(PL)은 일축(x축) 또는 타축(y축) 중 어느 하나의 축 방향으로의 연신율과 다른 축 방향으로의 연신율의 차이가 있는 것일 수 있다. 상대적으로 연신율이 높은 방향을 보호층(PL)의 제1 광축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보호층(PL)의 제1 광축(PL-A, 도 7)은 후술하는 선편광층(PP)의 투과축(PP-TA, 도 7)과 45±5°의 각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층(PL)은 400nm 이상 800nm 이하 파장 영역에서 투과율이 85% 이상일 수 있다. 보호층(PL)의 두께(T0)는 10um 이상 200um 이하일 수 있다. 보호층의 두께가 10um 미만인 경우,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보호층의 두께가 200nm 를 초과하는 경우, 보호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폴딩 및 언폴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보호층(PL)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Cyclo Olefin Polymer),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보호층(PL)은 폴리이미드, 또는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 모듈을 이용해서, 전면 촬영을 하는 경우, 편광판 및 보호층에서의 광학적 간섭 현상에 의해 화질 저하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을 이용해서, 전면 촬영을 하는 것은 자가 촬영(셀피, selfie) 모드로 촬영하는 것과 대응될 수 있다.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와 카메라 모듈이 표시 장치의 전면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경우, 색분산 현상 또는 얼룩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외부광이 편광판 및 보호층을 통과하여 카메라 모듈에 입사되고, 편광판 및 보호층의 위상차에 의해 색분산 현상이 시인될 수 있다. 색분산 현상은 보호층의 면내 위상차에 따른 파장별 투과율 차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얼룩 현상은 광 경로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와 카메라 모듈 사이의 거리의 차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으며, 촬영 초점과 거리가 먼 영역이 얼룩처럼 시인되는 현상을 말한다. 피사체의 중앙부에 촬영 초점을 맞춘 경우, 피사체의 가장 자리로부터 카메라 모듈까지의 광 경로는 피사체의 중앙부로부터 카메라 모듈까지의 광 경로와 상이하며, 이에 따라 피사체의 가장 자리는 얼룩이 있는 것처럼 시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편광판(POL) 상측에 배치된 보호층(PL)의 면내 위상차 및 두께 위상차를 최적화하여, 편광판(POL)과 보호층(PL)의 광학적 간섭 현상을 조절할 수 있다. 외부에서 보호층(PL), 및 편광판(POL)을 투과하여 카메라 모듈에 입사되는 광의 간섭 현상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서, 상부면(FS)을 사이에 두고 피사체를 카메라 모듈로 촬영하는 경우, 화질 저하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편광판(POL) 상측에는 복수의 보호층들(PL1, PL2, PL3)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제1 보호층(PL1) 및 제2 보호층(PL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DD)는 제3 보호층(PL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DD)는 4개 이상의 보호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편광판(POL) 상측에는 제1 보호층(PL1), 제2 보호층(PL2), 및 제3 보호층(PL3)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호층(PL1)은 편광판(POL)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보호층(PL2)은 제1 보호층(PL1) 상측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제3 보호층(PL3)은 제1 보호층(PL1)과 편광판(POL) 사이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즉, 보호층들(PL1, PL2, PL3)은 제3 보호층(PL3), 제1 보호층(PL1), 및 제2 보호층(PL2)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제2 보호층(PL2)은 편광판(POL)을 사이에 두고 제1 보호층(PL1)과 이격된 것일 수 있다. 제1 보호층(PL1), 제2 보호층(PL2), 및 제3 보호층(PL3)에 대해서는 전술한 보호층(PL)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3 보호층(PL3)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제3 보호층(PL3)은 제2 보호층(PL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보호층(PL3)이 제2 보호층(PL2) 상에 배치되는 경우, 제3 보호층(PL3) 상에 또 다른 보호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호층(PL1), 제2 보호층(PL2), 및 제3 보호층(PL3)은 각각 400nm 이상 800nm 이하 파장 영역에서 투과율이 85% 이상일 수 있다. 제1 보호층(PL1), 제2 보호층(PL2), 및 제3 보호층(PL3)은 각각 광학적으로 투명한 것일 수 있다. 제1 보호층(PL1)은 유리, 또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보호층(PL2)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호층(PL1)은 유리를 포함하고, 제2 보호층(PL2)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호층(PL2)은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층(PL1)이 유리를 포함하는 경우, 제2 보호층(PL2)은 비산 방지 기능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보호층(PL1), 및 제2 보호층(PL2)은 모두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층(PL1)이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보호층(PL1)은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층(PL1)에 포함된 고분자 수지와 제2 보호층(PL2)에 포함된 고분자 수지는 서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보호층(PL1)에 포함된 고분자 수지와 제2 보호층(PL2)에 포함된 고분자 수지는 서로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보호층(PL3)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3 보호층(PL3)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을 감지하는 층일 수 있다.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스타일러스 펜, 광, 열,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 등 신체의 일부가 접촉하는 입력, 및 근접하거나 인접하는 공간 터치(예를 들어, 호버링)도 외부 입력의 일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보호층(PL1)의 두께(T1), 제2 보호층(PL2)의 두께(T2), 및 제3 보호층(PL3)의 두께는 각각 10um 이상 200um 이하일 수 있다. 제1 보호층(PL1)의 두께(T1), 제2 보호층(PL2)의 두께(T2), 및 제3 보호층(PL3)의 두께(T3)는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보호층(PL1)의 두께(T1), 제2 보호층(PL2)의 두께(T2), 및 제3 보호층(PL3)의 두께(T3)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호층(PL1)의 두께(T1)와 제2 보호층(PL2)의 두께(T2)는 동일하고, 제3 보호층(PL3)의 두께는 상이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보호층(PL1)의 면내 위상차는 0nm 초과 200nm 이하일 수 있다. 제2 보호층의 면내 위상차는 0nm 초과 200nm 이하일 수 있다. 제3 보호층(PL3)의 면내 위상차는 0nm 초과 200nm 이하일 수 있다. 제1 보호층(PL1)의 두께 방향 위상차는 0nm 초과 1500nm 미만일 수 있다. 제2 보호층(PL2)의 두께 방향 위상차는 0nm 초과 1500nm 미만일 수 있다. 제3 보호층(PL3)의 두께 방향 위상차는 0nm 초과 1500nm 미만일 수 있다. 제1 보호층(PL1)의 두께 방향 위상차, 제2 보호층(PL2)의 두께 방향 위상차, 및 제3 보호층(PL3)의 두께 방향 위상의 총합은 0nm 초과 1500nm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호층(PL1)의 두께 방향 위상차가 1000nm 인 경우, 제2 보호층(PL2)의 두께 방향 위상차는 500nm 이하일 수 있고, 제3 보호층(PL3)은 생략될 수 있다. 편광판(POL) 상측에 복수의 보호층들(PL1, PL2, PL3)이 배치되는 경우, 두께 방향 위상차의 총합은 1500nm 이하일 수 있다. 편광판(POL) 상측에 4개 이상의 보호층들이 배치되는 경우, 보호층들의 두께 방향 위상차의 총합은 1500n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보호층(PL1)의 두께 방향 위상차와 제2 보호층(PL2)의 두께 방향 위상차는 서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제1 보호층(PL1)의 두께 방향 위상차와 제3 보호층(PL3)의 두께 방향 위상차는 서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보호층(PL1)의 두께 방향 위상차와 제2 보호층(PL2)의 두께 방향 위상차는 서로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제1 보호층(PL1)의 두께 방향 위상차, 제2 보호층(PL2)의 두께 방향 위상차, 및 제3 보호층(PL3)의 두께 방향 위상차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편광판(POL)과 보호층(PL) 사이에는 점착층(AL)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편광판(POL)과 제3 보호층(PL3) 사이, 제3 보호층(PL3)과 제1 보호층(PL1) 사이, 및 제1 보호층(PL1)과 제2 보호층(PL2) 사이, 에는 점착층들(AL1, AL2, AL3)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점착층들(AL1, AL2, AL3)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점착층들(AL, AL1, AL2, AL3)은 각각 광학적으로 투명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층들(AL, AL1, AL2, AL3)은 각각 감압성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또는 광학용 투명 점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POL)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편광판(POL)은 선편광층(PP) 및 적어도 하나의 위상지연층(RL1, RL2)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선편광층(PP)은 제공된 광을 일 방향으로 선 편광시키는 광학층일 수 있다. 선편광층(PP)은 연신된 고분자 필름에 이색성 염료를 흡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편광층(PP)은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를 흡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고분자 필름이 연신된 방향은 선편광층(PP)의 흡수축이 될 수 있으며, 연신된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은 선편광층(PP)의 투과축이 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편광판(POL)은 선편광층(PP) 하부에 배치된 제1 위상지연층(RL1) 및 제2 위상지연층(R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위상지연층(RL2)은 제1 위상지연층(RL1) 하부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위상지연층(RL1)은 제2 위상지연층(RL2)보다 선편광층(PP)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위상지연층(RL1) 및 제2 위상지연층(RL2)은 각각 제공된 광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광학층일 수 있다. 제1 위상지연층(RL1)은 λ/2 위상지연층이고, 제2 위상지연층(RL2)은 λ/4 위상지연층일 수 있다.
제1 위상지연층(RL1)은 제공된 광의 위상을 λ/2만큼 지연시키는 광학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편광층(PP)을 투과하여 제1 위상지연층(RL1)으로 제공된 광의 파장이 550nm인 경우, 제1 위상지연층(RL1)을 통과한 광은 275nm의 위상지연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위상지연층(RL1)은 입사되는 광의 편광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선편광층(PP)으로부터 제1 위상지연층(RL1)으로 입사된 광의 편광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선편광층(PP)으로부터 제1 위상지연층(RL1)으로 입사된 광은 선편광된 것일 수 있다.
제2 위상지연층(RL2)은 광학적 이방성을 가지며, 제2 위상지연층(RL2)으로 입사되는 광의 편광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선편광층(PP)을 투과하여 제2 위상지연층(RL2)으로 제공된 광은 선편광 상태에서 원편광 상태로 바뀔 수 있다. 또한, 원편광 상태로 제2 위상지연층(RL2)으로 제공된 광은 선편광 상태로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편광층(PP)을 투과하여 제2 위상지연층(RL2)으로 제공된 광의 파장이 550nm인 경우, 제2 위상지연층(RL2)을 통과한 광은 137.5nm의 위상 지연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선편광층(PP)의 투과축(PP-TA)과 제1 위상지연층(RL1)의 제2 광축(RX-1) 사이의 사이각(θRL1)은 15±5°이고, 선편광층(PP)의 투과축(PP-TA)과 제2 위상지연층(RL2)의 제3 광축(RX-2) 사이의 사이각(θRL2)은 75±5°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편광판(POL)에서 제1 위상지연층(RL1) 및 제2 위상지연층(RL2)은 각각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 제1 위상지연층(RL1) 및 제2 위상지연층(RL2)은 반응성 액정 단량체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 제1 위상지연층(RL1) 및 제2 위상지연층(RL2)은 반응성 액정 단량체를 코팅하여 정렬한 후 중합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POL, 도 6)은 선편광층(PP) 상측에 배치된 베이스필름(BP)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베이스필름(BP)은 일 방향으로의 연신율이 타 방향으로의 연신율 보다 높은 것일 수 있다.
편광판(POL)에서 선편광층(PP)의 투과축(PP-TA)과 베이스필름(BP)의 제4 광축(BP-A) 사이의 사이각(θBP, 도 8)은 45±5°일 수 있다. 베이스필름(BP)의 제4 광축(BP-A)은 연신율이 높은 방향에 해당한다.
베이스필름(BP)은 연신된 아크릴필름, 연신된 시클로올레핀 필름, 또는 연신된 폴레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기능층들의 광축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선편광층(PP)의 투과축(PP-TA)의 방향을 0°, 및 180° 방향으로 할 때, 선편광층(PP) 상부에 배치된 보호층(PL)의 제1 광축(PL-A)이 선편광층의 투과축(PP-TA)과 이루는 사이각(θPL)이 45±5°일 수 있다. 또한, 제1 위상지연층(RL1)의 제2 광축(RX-1)이 선편광층(PP)의 투과축(PP-TA)과 이루는 사이각(θRL1)은 15±5°이고, 제2 위상지연층(RL2)의 제3 광축(RX-2)이 선편광층(PP)의 투과축(PP-TA)과 이루는 사이각(θRL2)은 75±5°일 수 있다. 선편광층(PP)의 투과축(PP-TA)과 베이스필름(BP)의 제4 광축(BP-A) 사이의 사이각(θBP)은 45±5°일 수 있다.
한편, 도 7 및 8에서 나타낸 선편광층(PP)의 투과축(PP-TA), 보호층(PL)의 제1 광축(PL-A), 제1 위상지연층(RL1)의 제2 광축(RX-1), 제2 위상지연층(RL2)의 제3 광축(RX-2), 및 베이스필름(BP)의 제4 광축(BP-A)은 상대적인 광축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각각의 광축들의 방향이 도 7, 및 8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선편광층(PP)의 투과축(PP-TA)은 표시 장치(DD, 도 2)의 상부면(FS)에서 보았을 때 제1 방향축(DR1)과 나란한 것이거나, 또는 제2 방향축(DR2)과 나란한 것일 수 있다. 즉, 선편광층(PP)의 투과축(PP-TA)은 0°, 또는 90° 방향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편광층(PP)의 투과축(PP-TA)은 45° 방향일 수 있다. 선편광층(PP)의 투과축(PP-TA)이 45° 방향인 경우에 있어서도 선편광층(PP)의 투과축(PP-TA)과 보호층(PL), 제1 위상지연층(RL1), 및 제2 위상지연층(RL2)의 광축들이 이루는 사이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아래 표 1은 비교예 및 실시예 각각의 면내 위상차, 및 두께 위상차를 나타낸 것이다. 표 2는 비교예의 보호층 및 실시예의 보호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촬영 화질을 평가한 것이다. 표시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색분산 현상, 및 얼룩 현상의 시인 여부를 평가하였다. 피사체와 카메라 모듈은 표시 장치의 전면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상태에서 촬영한 것이다. 피사체는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광원 모니터와 LCD 광원 모니터이다. 표 2에서, "NG"는 색분산 현상, 또는 얼룩 현상이 시인된 것이고, "OK"는 색분산 현상, 또는 얼룩 현상이 시인되지 않은 것이다.
구 분 면내 위상차(Re, nm) 두께 위상차(Rth, nm)
비교예 1 50 5446
비교예 2 5200 6000
비교예 3 131 3729
비교예 4 415 1176
비교예 5 2 1742
실시예 1 2 8
실시예 2 10 65
실시예 3 22 977
구 분 색분산 현상 얼룩 현상
비교예 1 OK NG
비교예 2 NG NG
비교예 3 OK NG
비교예 4 NG OK
비교예 5 OK NG
실시예 1 OK OK
실시예 2 OK OK
실시예 3 OK OK
표 2를 참조하면, 비교예 2 및 4에서는 색분산 현상이 시인된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 및 4는 각각 면내 위상차가 200nm 보다 큰 것으로, 면내 위상차에 따른 파장별 투과율 차이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면내 위상차에 따른 파장별 투과율 차이로 인해, 비교예 2 및 4의 표시 장치에서는 색분산 현상이 시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예 1 내지 3, 및 5에서는 얼룩 현상이 시인된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내지 3, 및 5에서는 두께 위상차가 1000nm를 초과하는 것으로, 두께 위상차로 인한 광 경로 차이가 발생한다. 광 경로 차이로 인해, 비교예 1 내지 3, 및 5에서는 얼룩 현상이 시인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예 1 내지 5와 달리, 실시예 1 내지 3의 보호층들은 색분산 현상, 및 얼룩 현상이 시인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3의 보호층들은 각각 면내 위상차가 0nm 초과 200nm 이하이고, 두께 위상차가 0nm 초과 1000nm 이하이다. 따라서, 실시예의 보호층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는, 면내 위상차 및 두께 위상차로 인한 광의 간섭 현상이 방지되어, 촬영된 영상의 품질이 개선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표시패널, 표시 패널 하측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 및 표시 패널 상측에 배치된 편광층, 편광층 상측에 배치된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의 두께 방향 위상차는 0nm 초과 1500nm 이하일 수 있고, 두께 방향과 수직한 면내 위상차는 0nm 초과 200n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보호층은 면내 위상차 및 두께 위상차가 최적화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보호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는, 카메라 모듈로 촬영된 영상의 품질이 개선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P: 표시 패널 POL: 편광판
SP: 지지 부재 HH: 관통홀
EM: 전자 모듈 PL: 보호층

Claims (21)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측에 배치된 편광판;
    상기 표시 패널 하측에 배치되고, 관통홀이 정의된 지지 부재;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 패널 하측에 배치된 전자 모듈; 및
    두께 방향 위상차가 0nm 초과 1500nm 이하이고, 상기 편광판 상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은 상기 두께 방향과 수직한 면내 위상차가 0nm 초과 200nm 이하인 표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의 두께는 10um 이상 200um 이하인 표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은 400nm 이상 800nm 이하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한 투과율이 85% 이상인 표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은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편광판에 인접한 제1 보호층 및 상기 제1 보호층 상에 배치된 제2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층은 유리 또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층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층의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와 및 상기 제2 보호층의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는 상이한 표시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층은 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층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과 상기 제1 보호층 사이에 배치되고,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3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모듈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표시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액티브 영역 및 상기 액티브 영역과 이웃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 중첩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주변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정의된 것인 표시 장치.
  13. 전자 모듈;
    상기 전자 모듈 상측에 배치되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인접하고 상기 전자 모듈에 중첩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측에 배치되고, 선편광층 및 적어도 하나의 위상지연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 상측에 배치되고, 두께 방향 위상차가 0nm 초과 1500nm 이하이며, 상기 두께 방향과 수직한 면내 위상차가 0nm 초과 200nm 이하인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보다 화소 밀도 또는 배선 밀도가 낮은 표시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편광판에 인접한 제1 보호층 및 상기 제1 보호층 상에 배치된 제2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층은 유리 또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층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층의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와 및 상기 제2 보호층의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는 상이한 표시 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의 두께는 10um 이상 200um 이하인 표시 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편광층의 투과축과 상기 보호층의 제1 광축이 이루는 사이각은 45±5°인 표시 장치.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상지연층은 λ/2 위상 지연층 및 λ/4 위상 지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λ/2 위상 지연층이 상기 λ/4 위상 지연층보다 상기 선편광층에 이웃하여 배치된 표시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선편광층의 투과축과 상기 λ/2 위상 지연층의 제2 광축 사이의 사이각은 15±5°이고,
    상기 선편광층의 투과축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의 제3 광축 사이의 사이각은 75±5°인 표시 장치.
  21.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선편광층 상측에 배치된 베이스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편광층의 투과축과 상기 베이스필름의 제4 광축 사이의 사이각은 45±5°인 표시 장치.
KR1020200145374A 2020-11-03 2020-11-03 표시 장치 KR20220060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374A KR20220060082A (ko) 2020-11-03 2020-11-03 표시 장치
US17/370,381 US20220137678A1 (en) 2020-11-03 2021-07-08 Display device
CN202111281197.7A CN114446151A (zh) 2020-11-03 2021-11-01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374A KR20220060082A (ko) 2020-11-03 2020-11-03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082A true KR20220060082A (ko) 2022-05-11

Family

ID=81362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374A KR20220060082A (ko) 2020-11-03 2020-11-03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37678A1 (ko)
KR (1) KR20220060082A (ko)
CN (1) CN114446151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113B1 (ko) * 2018-01-08 2022-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입사된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66771B1 (ko) * 2018-11-02 2022-1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CN210573094U (zh) * 2019-09-26 2020-05-19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组件、液晶显示面板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37678A1 (en) 2022-05-05
CN114446151A (zh)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3539B2 (ja) 表示装置
WO2020124306A1 (zh) 液晶显示指纹模组、屏下指纹识别系统及电子设备
US9239490B2 (en) Displays with reflective polarizers
JP5335901B2 (ja) 表示装置
US9128327B2 (en) Stress insensitive liquid crystal display
US10338432B2 (en) Display device
JP7379022B2 (ja) フォルダブル表示装置
WO2020223882A1 (zh) 指纹识别装置和电子设备
US20150248033A1 (en) Displays With Elevated Backlight Efficiency
CN113015934B (zh) 偏光片、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21213022A1 (zh) 显示模组、显示组件及电子设备
US11309370B1 (en) Electronic device displays with curved surfaces
US2007023663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084394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10754183B2 (en) Display device
KR20220060082A (ko) 표시 장치
US11681086B2 (en) Display device
KR101955991B1 (ko) 액정표시장치
US11550176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hase retardation module having a conductive layer formed directly on a substrate of a polarizing film
US11391874B1 (en) Display having a compensation film with light absorbing dye
KR20210123461A (ko) 표시 장치
US20240045210A1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Having a Selective Light Redirecting Layer
JP2006208534A (ja) 液晶表示装置
JP2003255346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220069304A (ko)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