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315A - 체온 측정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체온 측정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315A
KR20220059315A KR1020200144748A KR20200144748A KR20220059315A KR 20220059315 A KR20220059315 A KR 20220059315A KR 1020200144748 A KR1020200144748 A KR 1020200144748A KR 20200144748 A KR20200144748 A KR 20200144748A KR 20220059315 A KR20220059315 A KR 20220059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temperature
user
thermometer
measur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3952B1 (ko
Inventor
허경용
김명자
이현섭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44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9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5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electronicall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23Operational features of calibration, e.g. protocols for calibrating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42Operational features adapted to measure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pollution
    • A61B2560/0247Operational features adapted to measure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pollution for compensation or correction of the measured physiological val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체온 측정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체온계는 체온계를 특정할 수 있는 고유번호;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부; 사용자 정보, 측정시간, 측정장소, 외부온도, 측정시간, 측정된 체온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체온계의 고유번호 및 체온계에서 측정되어 저장된 측정정보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전송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상기 체온 측정부에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측정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에 누적된 측정정보가 미리 정해 놓은 기준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경우 상기 데이터전송모듈을 통하여 수집된 측정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체온 측정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BODY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INCLUDING THE FUNCTION TO CONTROL THE MEASUREMENT PERIOD AND ACCESS CONTROL AND INFECTIOUS DISEASE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체온 측정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히 상기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체온 정보의 수집 주기를 조절하여 특정 개인 또는 상기 개인이 포함된 집단에 대한 이상징후를 경고하고 조기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체온은 신체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주요 활력징후 중 하나다. 대상자의 체온을 24시간 유의하면서 관찰해야 하는 경우에는 부착형 체온계를 통한 상시 모니터링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일반인의 경우 체온을 기반으로 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는 범위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특히 누적적인 체온정보를 수집하기 어렵고, 기계적으로 추출된 체온정보에 의하는 경우 체온정보의 활용범위는 좁아질 수 밖에 없다.
나아가 최근과 감염병 유행 사태와 같이 호흡기를 통한 감염성 질환의 경우 특정 개인의 누적된 체온 정보가 아니라 상기 개인이 포함된 특정 집단, 특정 지역 내 집단 별로 누적된 체온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은 보다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체온은 신체의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서, 체온 정보만으로 특정한 질환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누적된 체온정보를 기타 관련 정보와 조합하는 경우 특정한 이상 징후를 판단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체온 정보는 여러 가지의 질환과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개인 외 특정 개인을 포함하는 집단 내의 감염병의 확산 등을 예측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쉽게 측정할 수 있는 정보라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체온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 및 저장하면서, 예상되는 이상징후를 판별하고 측정 주기를 그 목적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예상되는 이상징후에 대한 정확도 향상, 날씨 또는 장소에 의한 오차의 감소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쉽게 측정할 수 있는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질병 또는 질환에 대한 예방 및 긴급대처를 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또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특정 개인으로부터 수집된 체온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개인을 포함하는 특정 집단, 특정 지역 내 집단에 대한 체온 정보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통하여 감염병을 미리 예측 또는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특정 개인 및 상기 특정 개인을 포함하는 집단에 대한 상기 체온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수집된 정보에 대한 보완성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수집되는 체온정보 자체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고, 상기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개인정보가 침해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될 필요가 있다.
선행기술 1(KR 10-2014-0116579 A)은 블루투스 기반 모바일 기기 연동형의 체온계를 이용한 스마트 체온관리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단순히 체온을 기록하는 것에 불과하며, 개인의 체온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한 개인의 건강관리를 넘어 상기 개인을 포함하는 집단에 대한 감염병에 관한 모니터링, 그리고 감염병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대응책으로 활용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진다.
선행기술2(KR 10-0682457 B1)는 사용자의 기초 체온을 측정하는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초 체온 측정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2는 휴대 단말기를 소지한 사람에 대한 체온을 소지자의 자유의지에 의하여 필요한 때 측정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으로, 배란일을 확인하는 특정하게 설정된 목적에 따라 체온 정보를 기반으로 생리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누적된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일정한 이상징후를 도출하거나 상기 이상징후에 대한 판별을 위한여 체온정보에 대한 추출주기를 조절하는 구성에 대한 인식이 없고, 특정한 개인을 넘어 상기 개인이 포함된 집단에 대한 모니터링에 대한 것이 아니다.
KR 10-2014-0116579 A KR 10-0682457 B1
본 발명의 목적은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한 감염병 가능성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정보를 기반으로 일정한 출입통제를 제공함으로서, 감염병에 대한 효과적인 확산방지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개개인의 체온을 보다 효과적으로 측정 및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체온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스마트 체온계를 활용하여 개개인의 체온정보를 활용하면서, 출입통제 및 모니터링을 통하여 측정된 체온정보를 기초로 개개인별로 관리되고, 상기 개인을 포함하는 집단별도 감염병 등의 이상징후가 관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방향 데이터 송수신 및 데이터 암호화를 통하여 각 개인 및 상기 개인을 포함하는 집단에 대한 개인정보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개인 및 집단별로 감염병의 효과적인 확산방지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체온계는 체온계를 특정할 수 있는 고유번호;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부; 사용자 정보, 측정시간, 측정장소, 외부온도, 측정시간, 측정된 체온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체온계의 고유번호 및 체온계에서 측정되어 저장된 측정정보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전송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상기 체온 측정부에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측정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에 누적된 측정정보가 미리 정해 놓은 기준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경우 상기 데이터전송모듈을 통하여 수집된 측정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체온 측정 방법은 제어부에서 저장부에 저장되어 누적된 사용자 정보, 측정시간, 측정장소, 측정시간, 측정된 체온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체온 측정 시간을 결정하는 체온측정시간결정단계; 체온측정부에서 상기 체온측정시간결정단계에 따라 결정된 시간에 상기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단계; 저장부에 상기 체온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단계; 상기 데이터코딩모듈에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누적적인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전송될 데이터를 분류 및 코팅하는 데이터코딩단계; 및 데이터전송모듈에서 상기 데이터코딩단계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체온측정시간결정단계는 제어부에서 7개의 측정구간에서 누적된 체온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 체온과 ±0.5℃ 이내인 경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체온을 측정하도록 설정하는 제1 측정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1 측정단계에서 측정되어 누적된 체온정보를 기초로 기준 체온을 보정하는 제2 측정단계; 저장부에 업데이트 된 체온정보가 상기 제1 측정단계 또는 제2 측정단계에서 설정된 기준 체온에서 ±0.5℃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된 수치 범위에 비례하여 측정주기를 단축하는 제3 측정단계; 및 제어부에서 제3 측정단계에서 측정되어 누적된 체온정보에 대하여 외부온도, 측정장소 및 측정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체온변화를 분석하고, 감염병 징후가 의심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알림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체온계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은 사용자 체온계의 제어부에서 저장부에 저장되어 누적된 사용자 정보, 측정시간, 측정장소, 측정시간, 측정된 체온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체온 측정 시간을 결정하는 사용자 체온계의 체온측정시간결정단계;
사용자 체온계의 체온측정부에서 상기 체온측정시간결정단계에 따라 결정된 시간에 상기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사용자 체온계의 체온측정단계; 사용자 체온계의 저장부에 상기 체온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체온계의 데이터저장단계; 사용자 체온계의 데이터코딩모듈에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누적적인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전송될 데이터를 분류 및 코팅하는 사용자 체온계의 데이터코딩단계; 출입통제장치가 미리 정해 놓은 범위의 위치하는 사용자 체온계를 인식하는 사용자 체온계 인식단계; 상기 출입통제장치가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 체온계의 고유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번호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사용자 체온계에서 측정되어 저장된 사용자의 누적된 체온정보를 상기 사용자 체온계의 데이터 전송모듈을 통하여 수신하는 체온정보수신단계; 상기 출입통제장치의 체온보정모듈에서 외부온도를 포함하는 날씨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누적된 체온정보를 보정하는 보정단계; 상기 선택된 사용자가 상기 출입통제장치를 출입하려는 신호가 감지하고, 상기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체온계에서 상기 선택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단계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누적된 체온정보 및 상기 출입통제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체온정보를 종합하여 미리 결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결정하는 출입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출입통제시스템은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게이트; 제어수단에 따라 개폐가 제어되는 출입개폐수단;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체온계로부터 상기 사용자 체온계의 고유번호 및 사용자 체온계에서 측정되어 저장된 사용자의 누적된 체온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전송모듈; 상기 수신된 정보를 암호화를 포함한 데이터 코딩을 진행하는 데이터코팅모듈;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체온계; 상기 사용자 체온계로부터 수집한 상기 사용자의 누적된 체온정보를 외부온도를 포함하는 날씨 정보를 기초로 보정하는 체온보정모듈; 사용자에 대한 상기 체온보정모듈의 보정 값과 상기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체온계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체온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결정하는 출입결정모듈; 상기 사용자의 누적된 체온정보, 보정된 체온정보 및 출입통제장치에서 측정된 체온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체온정보; 상기 사용자의 출입통지장치 출입정보, 그리고 상시 사용자 체온계로부터 수집된 사용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종합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코팅모듈; 및 상기 데이터전송모듈을 통하여 상기 종합정보를 수신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체온계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단계는 미리 정해 놓은 데이터 추출 주기에 따라 누적된 상기 사용자의 종합정보가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체온계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 상기 종합정보는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상기 출입결정단계에서 출입이 거부된 사용자의 사용자 체온계에 할당된 고유번호를 포함하고,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상기 체온계의 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종합정보를 모니터링 서버를 통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알림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체온계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체온계에 포함된 데이터전송모듈은 단방향 전송모듈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체온계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전송 데이터 생성 단계 이후에, 상기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데이터전송모듈에서 상기 사용자 체온계의 단방향 데이터전송모듈로부터 데이터 전송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데이터를 분류 및 저장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저장 서버별로 데이터 수집, 인코딩, 데이터 배포, 데이터 읽기, 데이터 쓰기 및 데이터 전송에 따른 코딩 가중치를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코딩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코딩 가중치를 최소화하는 저장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Ci는 인코딩에 필요한 i개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가치비용이며, Ej는 K개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M개의 데이터를 인코딩 하는 가치비용이고, Dk는 인코딩된 데이터를 포함한 전체 데이터를 배포하는 가치비용.)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체온계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은 상기 모니터링 서버 및 상기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데이터전송모듈에서 생성된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하여 생성된 공유상수(α0, α1)를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데이터전송모듈에서 인증요구 메시지(y i e )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인증요구 메시지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2에서, p: 이산로그문제를 만족시키는 소수, q:p-1을 나눌 수 있는 소수,
Figure pat00003
:제너레이터(generator), s:비공개정보, t:공개정보, z0,z1 :난수,
Figure pat00004
,
Figure pat00005
,
Figure pat00006
,
Figure pat00007
: 공유상수임)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체온계 및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한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출입통제시스템은 상기 방법이 사용 또는 적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한 감염병 가능성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정보를 기반으로 일정한 출입통제를 제공함으로서, 감염병에 대한 효과적인 확산방지가 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개개인의 체온을 보다 효과적으로 측정 및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체온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 체온계를 활용하여 개개인의 체온정보를 활용하면서, 출입통제 및 모니터링을 통하여 측정된 체온정보를 기초로 개개인별로 관리되고, 상기 개인을 포함하는 집단별도 감염병 등의 이상징후가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방향 데이터 송수신 및 데이터 암호화를 통하여 각 개인 및 상기 개인을 포함하는 집단에 대한 개인정보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개인 및 집단별로 감염병의 효과적인 확산방지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온계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온 측정 주기를 조절에 관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체온계(100)는 체온계를 특정할 수 있는 고유번호(101);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부(104); 사용자 정보, 측정시간, 측정장소, 외부온도, 측정시간, 측정된 체온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05); 체온계의 고유번호 및 체온계에서 측정되어 저장된 측정정보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전송모듈(102); 및 제어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상기 체온 측정부(104)에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측정정보를 저장부(105)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에 누적된 측정정보가 미리 정해 놓은 기준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경우 상기 데이터전송모듈(103)을 통하여 수집된 측정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유번호(101)은 각 체온계를 특정하여 체온계를 소지한 사용자를 구별 또는 특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수단을 말하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구별수단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체온측정부(104)는 비접촉 또는 접촉 방식의 체온 측정방식을 모두 포함하며, 특정한 체온 측정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저장부(105)는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포함한다.
상기 측정정보는 사용자의 체온정보를 포함하여 측정된 시간, 측정된 장소, 외부 온도, 날씨, 기타 체온을 보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정보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미리 정해놓은 기준에 따라 누적된 측정정보를 분석하여 체온을 기반으로 사용자 또는 사용자를 포함한 모집단 단위의 정보를 분석할 수준의 정보가 쌓인 경우 특정한 주기 또는 구간에 속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체온계(110)는 일정한 정보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측정 및 분석된 일정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체온 측정 방법은 제어부(110)에서 저장부(105)에 저장되어 누적된 사용자 정보, 측정시간, 측정장소, 측정시간, 측정된 체온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체온 측정 시간을 결정하는 체온측정시간결정단계(P1); 체온측정부(104)에서 상기 체온측정시간결정단계(P1)에 따라 결정된 시간에 상기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단계(P2); 저장부(105)에 상기 체온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단계(P3); 상기 데이터코딩모듈(103)에서 상기 저장부(105)에 저장된 누적적인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전송될 데이터를 분류 및 코팅하는 데이터코딩단계(P4); 및 데이터전송모듈(102)에서 상기 데이터코딩단계(P4)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P5)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체온측정시간결정단계는 제어부(110)에서 7개의 측정구간에서 누적된 체온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 체온과 ±0.5℃ 이내인 경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체온을 측정하도록 설정하는 제1 측정단계; 상기 제어부(110)에서 상기 제1 측정단계에서 측정되어 누적된 체온정보를 기초로 기준 체온을 보정하는 제2 측정단계; 저장부(105)에 업데이트 된 체온정보가 상기 제1 측정단계 또는 제2 측정단계에서 설정된 기준 체온에서 ±0.5℃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된 수치 범위에 비례하여 측정주기를 단축하는 제3 측정단계; 및 제어부(110)에서 제3 측정단계에서 측정되어 누적된 체온정보에 대하여 외부온도, 측정장소 및 측정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체온변화를 분석하고, 감염병 징후가 의심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알림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체온측정시간결정단계에 대한 다른 예시로서, 체온 측정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준이 되는 체온을 결정해야 하며 이를 BTBASE로 표시한다. 기준 체온은 개개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하루 1회 지정한 시간에 주어지는 알람에 의해 측정한 체온의 평균으로 정해진다.
체온 측정 시간은 현재 측정하여 전송한 체온과 기준 체온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며, 도 2와 같이 퍼지 소속도 함수의 변형으로 정의할 수 있다. 퍼지 소속도는 일반적으로 [0, 1]의 소속도를 갖지만, 도 2에서 재측정의 필요성을 나타내는 소속도 함수를 실제 측정 시간을 나타내도록 변형한 것으로 소속도 함수의 변환을 통해 얻을 수 있다.
하기의 도 2에서와 같이 체온 측정 간격을 결정하기 위해 측정된 체온의 범위를 7개 구간으로 나누고 이는 다시 3단계 알람으로 나눌 수 있다. 기준 체온과 0.5℃ 이내에서 차이가 나는 경우는 체온의 정상적인 변화 범위 내로 판단할 수 있으며 1단계 알람을 24시간 간격으로 발생시킨다. 24시간 간격의 알람이 발생하는 1단계에서 측정한 체온은 BTBASE 결정을 위한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기준 체온과 1.5℃보다 큰 차이가 나는 경우는 3단계 알람을 발생시키며 즉각적인 처치가 권고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2단계 알람을 발생시키는 나머지 구간은 정상 체온 범위에서의 24시간 간격보다 짧은 시간 간격으로 체온을 측정하도록 알려주는 구간으로 정할 수 있다.
2단계 알람 발생 구간에서 시간 결정 함수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다. [BTBASE+0.5, BTBASE+1.0] 구간에서 x offset 은 구간의 시작 위치로 0.5, y range 는 y 값의 최댓값과 최솟값 차이로 22, y min 은 y의 최솟값으로 2를 사용할 수 있다. a는 기울기 결정을 위한 상수로 큰 값을 가지면 체온 증가에 따른 측정 시간 간격이 빠른 속도로 감소한다. [BTBASE+1.0, BTBASE+1.5] 구간 역시 [BTBASE+0.5, BTBASE+1.0]과 같은 결정 함수가 사용되었으며, 구간에 따른 상수에서만 차이가 있다. [BTBASE-1.5, BTBASE-0.5] 구간에서는 x의 절대값을 사용하면 [BTBASE+0.5, BTBASE+1.5] 구간과 같은 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한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출입통제장치(1000)는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게이트(1010); 제어수단에 따라 개폐가 제어되는 출입개폐수단(1020); 제어부(1009)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009)는, 사용자 체온계(100))로부터 상기 사용자 체온계의 고유번호(101) 및 사용자 체온계에서 측정되어 저장된 사용자의 누적된 체온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전송모듈(1002); 상기 수신된 정보를 암호화를 포함한 데이터 코딩을 진행하는 데이터코팅모듈(1003);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체온계(1004); 상기 사용자 체온계로부터 수집한 상기 사용자의 누적된 체온정보를 외부온도를 포함하는 날씨 정보를 기초로 보정하는 체온보정모듈(1005); 사용자에 대한 상기 체온보정모듈(1005)의 보정 값과 상기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체온계(1004)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체온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결정하는 출입결정모듈(1006); 상기 사용자의 누적된 체온정보, 보정된 체온정보 및 출입통제장치에서 측정된 체온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체온정보; 상기 사용자의 출입통지장치 출입정보, 그리고 상시 사용자 체온계로부터 수집된 사용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종합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코팅모듈(1003); 및 상기 데이터전송모듈(1002)을 통하여 상기 종합정보를 수신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한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출입통제장치(1000)에 의하는 경우 상기 출입통제장치(1000)를 입출입하는 사람에 대한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출입여부를 결정하는 것 외에, 누적 및 보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체온 정보에 대한 오차를 줄일 수 있다는 점과 개개인의 체온 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상기 개인을 포함하는 집단에 대한 체온 정보의 변화추이를 감별함으로서, 궁극적으로 감염병 발생 징후를 포착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상기 출입통제장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방향 통신이 적용된 체온계의 데이터전송모듈(102) 및 체온계의 데이터코팅모듈(103)을 통하여 개인정보가 보호될 수 있어, 개인정보에 대한 침해문제를 해소하면서 체온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지역의 집단에 대한 감염병 추이를 분석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체온계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은 제어부(110)에서 저장부(105)에 저장되어 누적된 사용자 정보, 측정시간, 측정장소, 측정시간, 측정된 체온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체온 측정 시간을 결정하는 체온측정시간결정단계(P1); 체온측정부(104)에서 상기 체온측정시간결정단계(P1)에 따라 결정된 시간에 상기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단계(P2); 저장부(105)에 상기 체온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단계(P3); 상기 데이터코딩모듈(103)에서 상기 저장부(105)에 저장된 누적적인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전송될 데이터를 분류 및 코팅하는 데이터코딩단계(P4); 출입통제장치(1000)가 미리 정해 놓은 범위의 위치하는 사용자 체온계(100)를 인식하는 사용자 체온계 인식단계(S1); 상기 출입통제장치(1000)가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 체온계의 고유번호(101)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번호(101)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사용자 체온계(100)에서 측정되어 저장된 사용자의 누적된 체온정보를 상기 체온계의 데이터 전송모듈(102)을 통하여 수신하는 체온정보수신단계(S2); 상기 출입통제장치의 체온보정모듈(1005)에서 외부온도를 포함하는 날씨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누적된 체온정보를 보정하는 보정단계(S3); 상기 선택된 사용자가 상기 출입통제장치(1000)를 출입하려는 신호가 감지하고, 상기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체온계(1004)에서 상기 선택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단계(S4); 및 상기 보정단계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누적된 체온정보 및 상기 출입통제장치(1000)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체온정보를 종합하여 미리 결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결정하는 출입결정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체온계 인식단계(S1)는 상기 출입통제장치(1000)에서 주변에 있는 사용자 체온계(100)에 포함된 체온계의 데이터전송모듈(102)을 통하여 일정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 체온계(100)와 접속되어 그 존재를 인식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사용자 체온계 인식단계(S1)에서 인식 범위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정하는 범위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체온계(100)와 접속을 통하여 상기 출입통제장치(1000)가 상기 체온계의 존재를 인식하는 방법 역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체온계 인식단계(S1)는 상기 출입통제장치(1000)에서 상기 출입통제장치의 일정 범위에 위치하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사용자 체온계(100)를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체온계(100)는 개인별로 소지되면서, 소지한 사람의 체온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체온정보수신단계(S2)는 사용자 체온계(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체온계(100)를 소진한 사람의 체온을 분석하여 상기 사람이 감염병 징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인 출입통제장치의 경우 출입직전에 체온을 측정하여 출입여부가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운동 등으로 일시적으로 체온이 높아진 경우 출입이 통제되거나, 지속적으로 체온이 높은 감염병 환자가 출입직전에 체온 측정부위의 온도를 낮추는 행위를 통하여 출입통제장치를 무력화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면,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상기 체온정보수신단계(S2)에 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체온계(100)를 소지한 사람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된 체온정보가 존재하므로, 누적된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보정단계(S3)는 사용자 체온계(100)로부터 수신된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외부온도, 날씨, 시간 및 다른 사용자의 체온분석 값을 통하여 사용자 체온계에 측정되어 기록된 체온정보를 보정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정단계(S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체온계의 누적된 체온정보는 체온측정을 진행한 위치 및 시간이 저장된 것일 수 있고, 상기 누적된 체온정보의 보정은 상기 위치의 날씨 및 시간에 따른 외기의 온도를 종합하여 보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실제 감염병 징후를 분석하는데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단계(S4)는 출입통제장치(1000)에 포함된 별도의 체온계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체온계를 소진한 사람의 체온을 측정함으로서, 상기 사용자 체온계(100)의 오류 또는 오차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사용자 체온계(10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선택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단계(S4)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체온계(100) 자체에 대한 이상징후를 판별하여 그 측정값에 대한 신뢰성을 평가하고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 체온계(100)의 교체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출입결정단계(S5)는 분석된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체온계(100)를 소지한 사람에 대한 출입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출입여부의 결정단계는 보정된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감염병 징후가 나타나는 경우 출입을 통제할 수 있으며, 출입이 통제된 경우 상기 사용자 체온계(100)를 소지한 사람에게 감염병 징후를 안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체온계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체온계 또는 상기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데이터코팅모듈에서 상기 사용자의 누적된 체온정보, 보정된 체온정보 및 출입통제장치에서 측정된 체온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체온정보; 상기 사용자의 출입통지장치 출입정보, 그리고 상시 사용자 체온계로부터 수집된 사용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종합정보를 전송 데이터로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 단계(C1); 상기 체온계 또는 상기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데이터전송모듈을 통하여 상기 종합정보를 모니터링 서버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단계(C2)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생성 단계(C1)는 사용자 체온계(100)에서 측정되어 생성된 종합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파일로 생성하는 단계를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는 전송을 위하여 일부 누적정보가 삭제 또는 압축하여 데이터의 용량을 줄이면서 개인정보의 침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일정한 보안처리가 된 것을 말한다. 상기 데이터 생성 단계(C1)는 사용자에서 체온계(100)에서 측정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체온계(100)에서 변환하거나, 상기 출입통제장치(1000)가 상기 사용자 체온계(100)로부터 수신한 정보, 보정정보 및 상기 출입통제장치 체온계(1004)에서 측정된 정보를 변환하여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단계(C2)는 모니터링 서버를 통하여 개인을 포함하는 특정 집단, 특정 지역 내 감염 확산을 예측할 수 있는 로데이터를 모니터링 서버로 전달하여 효과적인 감염병 예측 및 예방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데이터 전송단계(C2)는 상기 사용자 체온계(100)에 포함된 단방향 데이터 전송모듈을 통하여 상기 모니터링 서버(2000)로 직접 전송되거나, 상기 출입통제장치(1000)와 연동되어 상기 출입통제장치의 데이터전송모듈(1002)을 통하여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통제장치(1000)가 상기 사용자 체온계(100)를 통하여 수집하거나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체온계(1004) 등을 통하여 수집된 정보를 출입통제장치의 데이터전송모듈(1002)을 통하여 상기 모니터링 서버(2000)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고유번호로 분류되는 사람들 개개인을 특정한 집단으로 묶어 체온 변화의 추이를 분석할 수 있으며, 특정 지역 또는 특정 집단 내에서 체온 변화에 대한 이상징후를 분석함으로서 감염병 확산에 대한 예측 모델을 수립하여 모니터링 하고, 감염병 확산에 대한 예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체온계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단계(C1)는 미리 정해 놓은 데이터 추출 주기에 따라 누적된 상기 사용자의 종합정보가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추출 주기는 사용자의 누적된 체온 정보를 기반으로 이상 징후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이상 징후를 검출하는 일는 기간으로 임의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측정된 체온 정보가 비정상적으로 등락하는 경우 이를 제외하고, 감염병에 따른 체온 변화 추이를 기초로 감염 환자의 체온 변화 모델을 기초로 유의미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체온계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데이터 생성 단계(C1)에서 상기 종합정보는 상기 모니터링 서버(2000)로부터 상기 출입결정단계(S5)에서 출입이 거부된 사용자의 사용자 체온계(100)에 할당된 고유번호(101)를 포함하고,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상기 체온계의 고유번호(101)에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상기 체온계의 고유번호(101)에 매칭되는 종합정보를 모니터링 서버를 통하여 관리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알림단계(C2.1)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알림단계(C2.1)에 의하는 경우 감염으로 의심되는 사람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를 통하여 감염질환에 대한 집단 감염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대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온계 및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한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출입통제 방법은 상기 출입결정단계(S5)에서 출입거부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분사장치를 통하여 상기 출입통제장치 주변에 항세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분사하는 것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항세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강황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레몬껍질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은행 잎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버들취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및 고추냉이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상호작용에 의한 상승효과에 따라 소량으로 우수한 항세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낼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고 교체 주기가 길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를 통하여 상기 조성물의 보관이 용이하고 스프레이 분사 등을 통하여 추가적인 감염을 예방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출입통제장치(1000)에서 추가적인 감염병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에 의하는 경우 출입통제장치(1000)를 사용자는 자에 대한 거부감이 없고, 조성물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알레르기 반응 등의 문제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출입결정단계(S5)에서 출입거부가 발생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미리 정해 놓은 일정한 주기에 따라 상기 조성물이 상기 출입통제장치(1000) 주변에 분사되어 추가적인 감염병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체온계 및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한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출입통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체온계에 포함된 데이터전송모듈(102)은 단방향 전송모듈인 것일 수 있다.
사용자 체온계(100)에 포함된 데이터전송모듈(102)을 단방향 전송모듈로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체온계로부터 수집된 정보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전송될 뿐이고, 상기 사용자 체온계(100)에 접속하여 정보 변경 등이 어렵게 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체온계(100)를 사용하는 사람에 대한 개인정보가 보호될 수 있으며, 체온 정보를 통한 특정 지역 또는 집단에 대한 감염병 징후 또는 위험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 및 대응이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감염병에 대한 역학조사를 실시하는데 상기 사용자 체온계(100)로부터 수집된 정보는 실증데이터로서 그 신뢰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한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출입통제 방법은 상기 전송 데이터 생성 단계 이후에, 상기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데이터전송모듈(1002)에서 상기 사용자 체온계의 단방향 데이터전송모듈로(102)부터 데이터 전송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데이터를 분류 및 저장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저장 서버별로 데이터 수집, 인코딩, 데이터 배포, 데이터 읽기, 데이터 쓰기 및 데이터 전송에 따른 코딩 가중치를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코딩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코딩 가중치를 최소화하는 저장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8
(상기 수학식 1에서, Ci는 인코딩에 필요한 i개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가치비용이며, Ej는 K개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M개의 데이터를 인코딩 하는 가치비용이고, Dk는 인코딩된 데이터를 포함한 전체 데이터를 배포하는 가치비용.)
상기 사용자 체온계(100)를 소지한 사람은 그 위치 정보가 변경되기 때문에 분산 서버를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수집된 데이터에 대하여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암호화 및 데이터 수집 목적에 따른 데이터 전처리를 위한 코팅이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코딩 가중치를 최소화하는 저장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를 적용하는 경우 데이터 관리의 효율 및 경제적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빅데이터로 관리되는 집단의 체온정보의 경우 상기 코딩 가중치를 최소화하는 저장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가 적용되지 않으면, 데이터의 효과적인 관리 및 분석이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비용은 인코딩에 필요한 데이터 중 해당 데이터 서버에 없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비용이다.
나아가, 코딩 가중치는 데이터 인코딩 가치비용뿐아니라, 전송에 필요한 가치 비용을 고려할 수 있으며, 가치 비용을 계싼하는 경우, Ci, Ej, Dk는 QoS 전략 등으로 인해 가중치가 적용된 값일 수 있으며, 불필요한 경우 0이 될 수 있다. 특히, 인코딩 비용이 불필요한 경우 인코딩 가차비용을 0으로 함으로써 인코딩이 불필요한 복제 기술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 전송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인코딩을 수행한 데이터 서버가 위치한 제 n 평면의 인접 노드 뿐만 아니라, 제 n+1 평면의 인접 노드로 데이터 조각들을 배포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데이터 전송모듈(1002)은 코딩 가중치에 기초하여, 코딩 가중치를 최소화하는 저장 서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데이터 코딩모듈(1003)은 복수개의 저장 서버 중 코딩 가중치가 가장 최소로 산출된 저장 서버를 이용하여 인코딩을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분류하고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체온계(100)에 포함된 상기 체온계의 데이터코딩모듈(103)은 복호화된 상태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데이터코딩모듈(103)은 복호화된 상태 데이터를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로 구성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체온계(100)에 포함된 상기 체온계의 데이터전송모듈(102) 생성 데이터를 복수개의 출입통제장치(1000) 또는 모니터링 서버(2000)에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체온계 및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한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출입통제 방법은 상기 모니터링 서버(2000) 및 상기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데이터전송모듈(1002)에서 생성된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하여 생성된 공유상수(α0, α1)를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데이터전송모듈(1002)에서 인증요구 메시지(y i e )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인증요구 메시지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9
(상기 수학식 2에서, p: 이산로그문제를 만족시키는 소수, q:p-1을 나눌 수 있는 소수,
Figure pat00010
:제너레이터(generator), s:비공개정보, t:공개정보, z0,z1 :난수,
Figure pat00011
,
Figure pat00012
,
Figure pat00013
,
Figure pat00014
: 공유상수임)
바람직하게, 상기 공유상수 및 인증요구메시지를 하기의 [수학식 3]에 대입하여 상기 인증요구 메시지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15
이와 같이, 수학식 3의 좌항 및 우항이 일치하면 모니터링 서비스에서 인증정보를 상기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데이터전송모듈(1002)로 전송하고 상기 상기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데이터전송모듈(1002)에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2000)로 생성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높은 보완성과 함께 낮은 부하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의 오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인증요구 메시지 전송 단계 및 인증요구 메시지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는 단계를 통하여 전송 오류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효과적인 보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민감정보로 분류되는 개인정보 관리에 보안성을 높이고 수집된 데이터의 활용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조예]
분쇄된 강황을 주정에 혼합하고 이를 2시간 동안 98 내지 100℃를 유지하고, 이를 냉각시킨 뒤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여 강황 추출물(AE)을 제조하였다. 기타 레몬„C질 추출물(AE), 은행잎 추출물(CE), 버들취 추출물(DE) 및 고추냉이 추출물(EE)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AE 내지 EE를 혼합하여 하기의 표 1과 같은 조성(단위: 중량부)으로 혼합 추출물 MX1 내지 MX5를 제조하였다.
MX1 MX2 MX3 MX4 MX5
AE 100 100 100 100 100
BE 50 20 40 60 80
CE 50 20 40 60 80
DE 10 20 30 40
EE 10 20 30 40
[실험예 1]
세포독성평가로서, 인간신장 세포주인 HEK293 세포는 10% FBS(Fetal Bovine Serum), 100unit/mL의 페니실린(penicilin) 및 100ng/mL의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e)을 포함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WELGENE, Korea) 배지에서 37℃ 및 5% CO2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상기 인간 신장세포주인 HEK293 세포에 항균 조성물 AM1 내지 AM10을 농도별(80, 100, 200 및 300㎍/㎖)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MTT(3-(4,5-디메틸디아졸-2-일)-2,5-데펜테르라졸리움 프로미드) 분석 진행하였다. 그 결과 AE 내지 EE, MX1 내지 MX5는 300 ㎍/㎖ 범위에서는 세포독성의 문제가 없어 안정성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병원균 살균력 평가로서, AE 내지 EE, MX1 내지 MX5를 300 ㎍/㎖ 농도로 조절하여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에 처리하였다. 각각 배지에 37℃의 혐기성 배양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를 이용하여 24간 후 O.D 6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병원균에 대한 항균력(A/B)을 평가하였다. 객관적인 비교를 위하여 각 조성물의 처리 생존한 병원균의 합산하였고, AE의 결과를 지수 1으로 고정하고 다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지수를 그 숫자가 높을수록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AE BE CE DE EE MX1 MX2 MX3 MX4 MX5
A/B 1 1.3 1.2 0.5 0.8 2 1.8 4.2 4.7 2.4
[실험예 3]
피부자극 실험으로서, 피부자극에 예민한 10인의 여성을 선발하여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고 피부 발진 발생여부를 기초로 피부 자극성(D/T)을 평가하였다.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그 결과를 종합하여 3점 척도로 환산한 뒤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지수는 숫자가 높을수록 효과가 좋은 것이다.
AE BE CE DE EE MX1 MX2 MX3 MX4 MX5
D/T 0.7 0.8 1.2 1.7 0.2 1.2 1.3 2.2 2.3 1.6
따라서 출입통제장치(1000)에 적용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의 경우 MX1 내지 MX5에 의하는 경우 우수한 세정력과 함께 출입하는 사용자에게 트러블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특히 M3 및 M4에 의하는 경우 상호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상기 출입문통제장치(1000)에 적용되는 상기 조성물의 보관함을 소형화 할 수 있거나 그 교체주기를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소량 적용으로 우수한 향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낼 수 있어 체온정보에 대한 모니터링과 함께 감염병의 확산을 방지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체온계 및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한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출입통제시스템은 상기 방법이 사용 또는 적용된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사용자 체온계
101: 사용자 체온계의 고유번호
102: 체온계의 데이터전송모듈
103: 체온계의 데이터코팅모듈
104: 체온계의 체온측정부
105: 체온계의 저장부
106: 체온계의 디스플레이부
107: 체온계의 스피커부
110: 체온계의 제어부
1000: 출입통제장치
1001: 출입통제장치의 고유번호
1002: 출입통제장치의 데이터전송모듈
1003: 출입통제장치의 데이터암호화모듈
1004: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체온계
1005: 출입통지장치의 체온보정모듈
1006: 출입통제장치의 출입결정모듈
1009: 출입통제장치의 제어부
1010: 출입통제장치의 게이트
1020: 출입통제장치의 출입개폐수단
2000: 모니터링 서버
3000: 관리자 단말기

Claims (8)

  1. 체온계를 특정할 수 있는 고유번호;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부;
    사용자 정보, 측정시간, 측정장소, 외부온도, 측정시간, 측정된 체온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체온계의 고유번호 및 체온계에서 측정되어 저장된 측정정보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전송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상기 체온 측정부에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측정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에 누적된 측정정보가 미리 정해 놓은 기준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경우 상기 데이터전송모듈을 통하여 수집된 측정정보를 전송하는 것인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체온계.
  2. 제어부에서 저장부에 저장되어 누적된 사용자 정보, 측정시간, 측정장소, 측정시간, 측정된 체온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체온 측정 시간을 결정하는 체온측정시간결정단계;
    체온측정부에서 상기 체온측정시간결정단계에 따라 결정된 시간에 상기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단계;
    저장부에 상기 체온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단계;
    데이터코딩모듈에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누적적인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전송될 데이터를 분류 및 코팅하는 데이터코딩단계; 및
    데이터전송모듈에서 상기 데이터코딩단계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하는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체온 측정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측정시간결정단계는,
    제어부에서 7개의 측정구간에서 누적된 체온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 체온과 ±0.5℃ 이내인 경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체온을 측정하도록 설정하는 제1 측정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1 측정단계에서 측정되어 누적된 체온정보를 기초로 기준 체온을 보정하는 제2 측정단계;
    저장부에 업데이트 된 체온정보가 상기 제1 측정단계 또는 제2 측정단계에서 설정된 기준 체온에서 ±0.5℃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된 수치 범위에 비례하여 측정주기를 단축하는 제3 측정단계; 및
    제어부에서 제3 측정단계에서 측정되어 누적된 체온정보에 대하여 외부온도, 측정장소 및 측정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체온변화를 분석하고, 감염병 징후가 의심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알림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체온 측정 방법.
  4. 사용자 체온계의 제어부에서 저장부에 저장되어 누적된 사용자 정보, 측정시간, 측정장소, 측정시간, 측정된 체온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체온 측정 시간을 결정하는 사용자 체온계의 체온측정시간결정단계;
    사용자 체온계의 체온측정부에서 상기 체온측정시간결정단계에 따라 결정된 시간에 상기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사용자 체온계의 체온측정단계;
    사용자 체온계의 저장부에 상기 체온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체온계의 데이터저장단계;
    사용자 체온계의 데이터코딩모듈에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누적적인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전송될 데이터를 분류 및 코팅하는 사용자 체온계의 데이터코딩단계;
    출입통제장치가 미리 정해 놓은 범위의 위치하는 사용자 체온계를 인식하는 사용자 체온계 인식단계;
    상기 출입통제장치가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 체온계의 고유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번호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사용자 체온계에서 측정되어 저장된 사용자의 누적된 체온정보를 상기 사용자 체온계의 데이터 전송모듈을 통하여 수신하는 체온정보수신단계;
    상기 출입통제장치의 체온보정모듈에서 외부온도를 포함하는 날씨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누적된 체온정보를 보정하는 보정단계;
    상기 선택된 사용자가 상기 출입통제장치를 출입하려는 신호가 감지하고, 상기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체온계에서 상기 선택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단계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누적된 체온정보 및 상기 출입통제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체온정보를 종합하여 미리 결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결정하는 출입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체온계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계 또는 상기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데이터코팅모듈에서 상기 사용자의 누적된 체온정보, 보정된 체온정보 및 출입통제장치에서 측정된 체온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체온정보; 상기 사용자의 출입통지장치 출입정보, 그리고 상시 사용자 체온계로부터 수집된 사용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종합정보를 전송 데이터로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단계;
    상기 체온계 또는 상기 출입통제장치에 포함된 데이터전송모듈을 통하여 상기 종합정보를 모니터링 서버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체온계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 상기 종합정보는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상기 출입결정단계에서 출입이 거부된 사용자의 사용자 체온계에 할당된 고유번호를 포함하고,
    미리 정해 놓은 기준에 따라 상기 체온계의 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종합정보를 모니터링 서버를 통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알림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체온계 및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한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출입통제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체온계에 포함된 데이터전송모듈은 단방향 전송모듈인 것인
    체온계 및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한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출입통제 방법.
  8. 제 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는 체온계 및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한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출입통제시스템.
KR1020200144748A 2020-11-02 2020-11-02 체온 측정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 KR102423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748A KR102423952B1 (ko) 2020-11-02 2020-11-02 체온 측정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748A KR102423952B1 (ko) 2020-11-02 2020-11-02 체온 측정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315A true KR20220059315A (ko) 2022-05-10
KR102423952B1 KR102423952B1 (ko) 2022-07-21

Family

ID=81592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748A KR102423952B1 (ko) 2020-11-02 2020-11-02 체온 측정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9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457B1 (ko) 2006-02-16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초 체온 측정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40116579A (ko) 2013-03-25 2014-10-06 (주)이퓨 블루투스 기반 모바일 기기 연동형의 체온계를 이용한 스마트 체온 관리 방법
KR101729327B1 (ko) * 2015-11-10 2017-04-21 홍미선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체온 추적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32379B1 (ko) * 2018-03-21 2019-03-20 이찬기 영유아 및 어린이 집단시설용 질병 위험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135633B1 (ko) * 2020-04-20 2020-08-26 김승호 출입자의 id와 체온정보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457B1 (ko) 2006-02-16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초 체온 측정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40116579A (ko) 2013-03-25 2014-10-06 (주)이퓨 블루투스 기반 모바일 기기 연동형의 체온계를 이용한 스마트 체온 관리 방법
KR101729327B1 (ko) * 2015-11-10 2017-04-21 홍미선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체온 추적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32379B1 (ko) * 2018-03-21 2019-03-20 이찬기 영유아 및 어린이 집단시설용 질병 위험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135633B1 (ko) * 2020-04-20 2020-08-26 김승호 출입자의 id와 체온정보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952B1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37202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ggregating Medical Information
US200501848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transmitting devices
CN111220276A (zh) 一种人体发热症状监控方法及系统
US8736453B2 (en) Preemptive notification of patient fall risk condition
CN105054934A (zh) 平安与否监视装置
JP2013238970A (ja) 健康管理システム
US20040183667A1 (en) Method of distinguishing the presence of a single versus multiple persons
CN105286789A (zh) 医疗用生命体征数据采集及在线监测系统
Miah et al. Impact of Sensor Technology Enhancing Corona Disease
Omoogun et al. Critical patient eHealth monitoring system using wearable sensors
CN109036557A (zh) 一种基于云服务的智能健康管理平台
Downing et al. The epidemiology of assault across the West Midlands
US201201441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torage and evaluation of data, especially vital data
CN110781808A (zh) 跌倒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Zhao et al. Detecting abnormal patterns of daily activiti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KR102423952B1 (ko) 체온 측정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
KR102487768B1 (ko) 체온계,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한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출입통제 장치 및 시스템
EP3220326A1 (en) System for managing objects for care with dual parameter
KR20230152963A (ko)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체온 측정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감염병 모니터링 방법
CN211180903U (zh) 一种基于动态数据分析的人脸识别门禁系统
Beckmann et al. The role of incident reporting in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in the intensive care setting
JP7380576B2 (ja)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プログラム、および見守り方法
JP7127301B2 (ja) 異常センサ検出方法、異常センサ検出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Verona et al. What is this measuring? Comment on Gatner et al.(2022).
Roy et al. Smart internet of things (IoT) based healthcare framework environment for Chikungunya disease diagn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