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8557A -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태스크 관리 - Google Patents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태스크 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8557A
KR20220058557A KR1020227009349A KR20227009349A KR20220058557A KR 20220058557 A KR20220058557 A KR 20220058557A KR 1020227009349 A KR1020227009349 A KR 1020227009349A KR 20227009349 A KR20227009349 A KR 20227009349A KR 20220058557 A KR20220058557 A KR 20220058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application
task management
soft keyboar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9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스 칸담쿨라씨 샤부
Original Assignee
안스 칸담쿨라씨 샤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스 칸담쿨라씨 샤부 filed Critical 안스 칸담쿨라씨 샤부
Publication of KR20220058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2Event management; Broadcasting; Multicasting; Not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6Message passing systems or structures, e.g. que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 내용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presence-sensitive display)를 구비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와 관련된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는 예들을 제공하며, 이는 복수의 키와 태스크 관리 요소를 포함하는 소프트 키보드를 출력하도록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태스크 관리 요소의 선택의 표시를 수신하며, 상기 태스크 관리 요소의 선택 표시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소프트 키보드 내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태스크의 입력, 선택 및 보기를 허용하는 다양한 방법을 출력한다.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되는 상기 방법의 선택 표시를 기반으로 태스크를 생성 및 수정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소프트 키보드 내에서 태스크를 볼 수 있게 한다. 다른 예들 또한 설명된다.

Description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태스크 관리
본 출원은 미국 특허출원 제16/561,115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체를 참고로서 포함한다.
메시징 애플리케이션(messaging application)은 이제 개인 생활에서 사실상의 통신 방법이 되었다. 그 사용 범위가 증가하여 비즈니스 세계에서 매우 동일한 애플리케이션들이 서로 간을 연결하는데 사용되고 있을 정도로 확장되어왔다. 이러한 전환은 대부분, 모든 사람이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무료로 갖고 있고 사용자가 이를 사용함에 있어 편안하고 서로 간의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일어났다. 그러나, 이것은 비즈니스 세계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태스크들(tasks)을 관리하는 부가적인 복잡성을 불러왔다. 대부분의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에 워크플로우(workflow)가 없음으로 인해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태스크(task)를 관리하는 것이 번거롭다. 컴퓨팅 장치에서 별도의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려면, 사용자가 메시징 애플리케이션과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 간에 토글링(toggling)해야 하므로, 사용자는 많은 비즈니스에서 이러한 별도의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포기하거나 덜 의존하게 된다. 이는 모든 태스크가 대화의 일부로 되어 추적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비즈니스 태스크 관리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들 간에 토글링할 필요 없이 동일 애플리케이션에서 태스크를 관리할 수 있도록 종래의 메시징 방법을 보완하는 개선된 방법 및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이러한 방법 및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입력의 수, 범위 및/또는 특성을 줄이거나 변경하고 보다 효율적인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키 및 작업 관리 요소(task management element)를 포함한 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soft keyboard application)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 방법을 적용하여 상기 동일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임의의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채팅 애플리케이션, 통신 애플리케이션 또는 임의의 소셜 메시징 플랫폼(본 개시내용에서는 "통신 애플리케이션(Communication Application)"으로 총칭함)과 함께 사용되도록 한다.
상기 태스크 관리 요소의 선택의 표시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소프트 키보드 내 디스플레이를 위해 태스크를 생성 및 수정하기 위해 사전 구성된 매개변수를 선택하기 위한 제안 영역과 함께 사용자 입력 영역, 및/또는 태스크를 생성, 관리 또는 볼 수 있는 사용자 선택 영역을 출력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입력의 표시에 기반하여 태스크 동작을 결정하며; 상기 태스크 동작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태스크 동작 호출에 응답하여, 동일한 컴퓨팅 장치의 별도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원격 컴퓨팅 장치의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태스크를 생성 또는 수정하되 일부 인스턴스에서는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그 결과를 볼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상기 호출된 동작의 결과를 설명하는 문장을 상기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텍스트 편집 영역 내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업데이트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과 별개로 될 필요가 없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presence-sensitive display)를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복수의 키 및 태스크 관리 요소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을 출력하여 동일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통신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사용되도록 한다. 상기 태스크 관리 요소의 선택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프트 키보드 내의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태스크를 생성 및 수정하기 위해 사전 구성된 매개변수를 선택하기 위한 제안 영역과 함께 사용자 입력 영역, 및/또는 태스크를 생성, 관리 또는 보기 위한 사용자 선택 영역을 출력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입력의 표시에 기반하여 태스크 동작을 결정하고; 상기 태스크 동작을 호출하고; 상기 태스크 동작 호출에 응답하여, 동일한 컴퓨팅 장치의 별도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원격 컴퓨팅 장치의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키보드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태스크를 생성하거나 수정하거나, 또는 일부 인스턴스에서는 그 결과를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상기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볼 수 있고; 선택적으로,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상기 호출된 동작의 결과를 설명하는 문장을 상기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텍스트 편집 영역 내에서 상기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업데이트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실행시 동일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임의의 통신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사용되도록 컴퓨팅 장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복수의 키와 태스크 관리 요소를 포함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을 출력하게 하는 명령어로 인코딩된다. 상기 태스크 관리 요소의 선택 표시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소프트 키보드 내 디스플레이를 위해, 태스크를 생성 및 수정하기 위해 사전 구성된 매개변수를 선택하기 위한 제안 영역과 함께 사용자 입력 영역 및/또는 태스크를 생성, 관리 또는 볼 수 있는 사용자 선택 영역을 출력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입력의 표시에 기반하여, 태스크 동작을 결정하고; 상기 태스크 동작을 호출하며; 상기 태스크 동작 호출에 응답하여, 동일한 컴퓨팅 장치의 별도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원격 컴퓨팅 장치의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태스크를 생성 또는 수정하거나, 일부 인스턴스에서는 그 결과를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볼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상기 호출된 동작의 결과를 설명하는 문장을 상기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텍스트 편집 영역 내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업데이트한다.
따라서, 위의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보낼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사용자가 메시징 응용 프로그램을 떠날 필요 없이 다른 사용자와 함께 태스크를 관리할 수 있는 유연성을 허용하므로,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효과, 효율성 및 사용자 만족도를 증진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호출, 디스플레이, 수신, 디스플레이, 수신, 업데이트 및 디스플레이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상기 호출 단계는, 사용자가 제1 애플리케이션에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해 존재 감지 화면에서 텍스트 입력 필드를 선택한 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 및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존재 감지 화면상에 소프트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 키보드는 텍스트 편집 영역과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키와 상기 복수의 키에 인접한 태스크 관리 기능 키의 행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키는 텍스트 입력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삽입될 텍스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태스크 관리 기능 키는 상기 태스크 관리 기능 키의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태스크 관리 모드 내로 상기 소프트 키보드를 토글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태스크 관리 모드에서의 상기 소프트 키보드는 상기 컴퓨팅 장치 또는 원격으로 액세스되는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존재 감지 화면을 통해 검출된 상기 태스크 관리 키의 선택된 기능을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2단계는, 상기 선택된 기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프트 키보드 내에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태스크 관리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환됨이 없이 복수의 태스크 매개변수로 구성된 태스크에 대해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태스크 명령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이고, 선택 가능한 상기 태스크 매개변수 중에서 2개 이상은 태스크 소유자, 태스크 설명, 태스크 위치, 태스크 기한 및 태스크 완료 진행의 디스플레이된 그룹에서 선택된다.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된 태스크 명령을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에서 상기 존재 감지 화면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업데이트 단계는,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입력된 태스크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태스크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3단계는, 업데이트된 상기 태스크의 선택된 태스크 매개변수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복수의 키를 타이핑함으로써, 상기 태스크 관리 모드에 있을 경우,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 내의 제2 텍스트 편집 영역으로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은 상기 복수의 키 모두, 상기 태스크 관리 기능 키 모두, 또는 상기 복수의 키의 모든 텍스트 키 대신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실시예는,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의 태스크 세트 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태스크만 디스플레이할지 또는 모든 태스크 소유자의 태스크를 디스플레이할지의 여부에 대해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에서 사용자에게 프롬프팅(prompting)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에게 프롬프팅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될 선택된 태스크에 대해 태스크 소유자 및 완료 진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실시예는,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태스크 목록에 대해 개시되는 스와이프 제스처(swipe gesture)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태스크 목록 대신에 추가 태스크 목록을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 내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실시예는,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에서 상기 태스크의 태스크 매개변수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태스크를 재할당 또는 연기하는 것에 대해 선택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프롬프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는,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태스크를 업데이트한 후, 상기 소프트 키보드를 상기 텍스트 입력 모드 내로 토글링하고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텍스트 편집 영역에서의 연기 이유를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태스크의 태스크 매개변수를 입력하는 추가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호출, 디스플레이, 수신, 디스플레이, 수신 및 업데이트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호출 단계는, 사용자에게 텍스트 입력 필드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존재 감지 화면상에서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를 선택한 후에 가상 키보드를 호출한 다음 상기 사용자의 상기 가상 키보드와의 상호 작용으로부터 텍스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 내로부터, 컴퓨팅 장치에서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호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 및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존재 감지 화면상에 소프트 키보드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 키보드는 텍스트 편집 영역과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키와 상기 복수의 키에 인접한 태스크 관리 기능 키의 행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키는 텍스트 입력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삽입될 텍스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태스크 관리 기능 키는 상기 태스크 관리 기능 키의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태스크 관리 모드 내로 상기 소프트 키보드를 토글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태스크 관리 모드에서의 상기 소프트 키보드는 상기 컴퓨팅 장치 또는 원격으로 액세스되는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존재 감지 화면을 통해 검출된 상기 태스크 관리 키의 선택된 기능을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2단계는, 상기 선택된 기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프트 키보드 내에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태스크 관리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은,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환됨이 없이 복수의 태스크 매개변수로 구성된 태스크에 대해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태스크 명령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태스크 매개변수 중에서 2개 이상은 태스크 소유자, 태스크 설명, 태스크 위치, 태스크 기한 및 태스크 완료 진행의 그룹에서 선택된다. 상기 수신 제2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된 태스크 명령을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에서 상기 존재 감지 화면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업데이트 단계는,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입력된 태스크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태스크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2단계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가 여전히 표시되는 동안, 태스크 관리 기능 키의 행 대신에 제2 텍스트 입력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수신 제2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키를 통해 상기 제2 텍스트 입력 영역 내로 상기 복수의 키에 명령을 타이핑함으로써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된 태스크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이들 실시예는, 상기 선택된 기능과 상기 제2 텍스트 입력 영역에 입력되는 텍스트에 기반하여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으로부터 생성된 태스크 매개변수들 중의 하나에 대한 제안이 있는 제안 영역을 상기 소프트 키보드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소프트 키보드에 상기 제안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존재 감지 화면상에서 상기 소프트 키보드가 확대되게 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축소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호출, 디스플레이, 수신, 디스플레이, 수신 및 업데이트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호출 단계는, 사용자에게 텍스트 입력 필드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존재 감지 화면상에서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를 선택한 후에 가상 키보드를 호출한 다음 상기 사용자의 상기 가상 키보드와의 상호 작용으로부터 텍스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 내로부터, 컴퓨팅 장치에서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호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 및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존재 감지 화면상에 소프트 키보드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 키보드는 텍스트 편집 영역과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키와 상기 복수의 키에 인접한 태스크 관리 기능 키의 행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키는 텍스트 입력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삽입될 텍스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태스크 관리 기능 키는 상기 태스크 관리 기능 키의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태스크 관리 모드 내로 상기 소프트 키보드를 토글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태스크 관리 모드에서의 상기 소프트 키보드는 상기 컴퓨팅 장치 또는 원격으로 액세스되는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존재 감지 화면을 통해 검출된 상기 태스크 관리 키의 선택된 기능을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2단계는, 상기 선택된 기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프트 키보드 내에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태스크 관리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환됨이 없이 복수의 태스크 매개변수로 구성된 태스크에 대해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태스크 명령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태스크 매개변수 중에서 2개 이상은 태스크 소유자, 태스크 설명, 태스크 위치, 태스크 기한 및 태스크 완료 진행의 그룹에서 선택된다. 상기 수신 제2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된 태스크 명령을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에서 상기 존재 감지 화면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업데이트 단계는,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입력된 태스크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태스크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실시예들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태스크가 태스크 소유자에게 할당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별도의 인스턴스의 통신을 통해 파퓰레이팅(populate) 된 상기 태스크 소유자의 태스크 목록에서, 상기 태스크 소유자의 장치에 있는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별도의 인스턴스에서의 상기 태스크 소유자로부터 상기 태스크 소유자의 상기 태스크에 대한 수락 또는 완료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클릭 가능 영역을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들 실시예는, 상기 태스크 소유자에 의해 상기 태스크에 대한 수락을 표시하도록 상기 클릭 가능 영역이 눌러지고 상기 태스크가 상기 태스크 소유자에 의해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도록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들 실시예는, 상기 클릭 가능 영역이 상기 태스크를 완료하기 위해 상기 태스크 소유자에 의해 눌러지고 상기 태스크 소유자에 의해 상기 태스크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도록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들 실시예는,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이 상기 복수의 키 모두, 상기 태스크 관리 기능 키 모두, 또는 상기 복수의 키의 모든 텍스트 키 대신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복수의 키를 타이핑함에 의해, 상기 태스크 관리 모드에 있을 경우,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 내의 제2 텍스트 편집 영역으로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이미 상기 장치에 존재할 수 있거나, 온라인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거나, 다른 공지된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장치에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 상기 태스크는 상기 컴퓨팅 장치 외부의 사람에 의해 실행될 물리적 동작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 및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단일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계층(service layer) 내에 있을 수 있다.
이 요약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설명되는 단순화된 형태로 개념의 선택을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요약은 청구된 청구된 특허 대상의 주요 기능 또는 필수 기능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청구된 특허 대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데 사용하도록 의도되지도 않는다. 비제한적 실시예들의 추가 양태, 특징 및/또는 이점은 부분적으로는 추후 기술에서 설명될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상기 기술로부터 명백할 것이거나, 또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에 의해 학습될 수 있다.
상기 비제한적 실시예들의 세부사항은 첨부 도면 및 하기 설명에 기재되어 있다. 본 개시내용의 기타 특징, 목적 및 이점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과,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이고 비한정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면은 축척에 맞게 그려지지 않았으며 도시된 정확한 레이아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라, 태스크 관리 기능을 갖는 소프트 키보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예시적 컴퓨팅 장치를 예시하는 개념적인 스크린 레이아웃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라, 태스크 관리 기능이 있는 소프트 키보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적인 화면 레이아웃으로, 사용자 입력 방법과, 사전 구성된 매개변수가 입력 프로세스 동안 사용자를 돕도록 표시되는 사용자 제안 영역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라, 태스크 관리 기능을 가진 소프트 키보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예시적 컴퓨팅 장치를 도시하는 개념적 화면 레이아웃으로, 소프트 키보드 내의 사용자 선택 및 보기 영역을 예시한다.
도 4a 내지 도 4i(총괄하여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라, 태스크 관리 기능을 가진 소프트 키보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예시하는 개념적 순차적 스크린 레이아웃으로, 태스크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한다.
도 5a 내지 도 5c(총괄하여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라, 태스크 관리 기능을 가진 소프트 키보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도시하는 개념적 순차적 화면 레이아웃으로, 태스크를 수락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총괄하여 "도 6")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라, 태스크 관리 기능을 가진 소프트 키보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도시하는 개념적 순차적 화면 레이아웃으로, 태스크를 완료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한다.
도 7a 내지 도 7g(총괄하여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라, 태스크 관리 기능을 가진 소프트 키보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도시하는 개념적 순차적 화면 레이아웃으로, 태스크를 재할당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한다.
도 8a 내지 도 8e(총괄하여 "도 8")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라, 태스크 관리 기능을 가진 소프트 키보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도시하는 개념적 순차적 화면 레이아웃으로, 태스크를 보류(parking) 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한다.
도 9a 및 도 9b(총괄하여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라, 태스크 관리 기능을 갖는 소프트 키보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대안적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라, 태스크 관리 기능을 갖는 소프트 키보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장치의 예시적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의 가상 키보드라고도 알려진 소프트 키보드(soft keyboard) 내에서 태스크(task)를 관리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목표로 한다. 이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채팅 애플리케이션, 통신 애플리케이션 또는 모든 소셜 메시징 플랫폼(이하 "통신 애플리케이션(Communication Application)"이라고 함)과 함께 사용됨이 기대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유형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과의 예시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도시되고 언급되지만,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대개는 가상 키보드를 호출하거나 사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하는 임의의 프로그램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태스크의 생성 또는 수정에 관심이 있는 경우,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는 현재 사용 중인 상기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지 않고도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 내에 내장되거나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는 반면, 다른 예에서는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동일한 컴퓨팅 장치 내의 다른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링크되거나 또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원격의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링크될 것이다.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수행될 태스크 관리 기능 중의 일부는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소프트 키보드의 일부로서, 또는 일부 대신에, 또는 전체로서 표시될 동작의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것이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다른 애플리케이션들 간에 전환하거나 상기 소프트 키보드에서 이미 입력된 텍스트를 다시 입력할 필요 없이 상기 통신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태스크를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종종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는 태스크 유형에는 제한이 없다. 태스크에는 물리적 동작, 디지털 태스크 및 아이디어와 같은 유형의 태스크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여기에는 정의된 명령 집합(set of instructions)이 포함될 수 있다. 각 태스크에는 많은 태스크 매개변수(task parameter)가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태스크 소유자, 태스크 설명, 태스크 위치, 태스크 기한 및 태스크 완료 진행의 디스플레이된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2개의 태스크 매개변수의 완전하지 않은 목록이 선택된다. 다른 태스크 매개변수에는 태스크 생성자, 태스크 양수인, 태스크 카테고리, 태스크 체크리스트(예컨대, 사용자가 정의된 명령 집합 중에서 어느 것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음) 및 태스크 우선순위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들 태스크 설명은 단일의 메모리 필드 또는 여러 필드(예컨대, 이름, 중간 이름, 성)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단순하게 유지하도록, 적절한 경우에는 단 하나 또는 하위집합의 태스크 매개변수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이 태스크 관리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컴퓨팅 장치의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인터페이스로부터 멀리 떨어져 탐색하게 하기보다는,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이 태스크를 생성 및 관리하는 능력을 제공하는 태스크 관리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어 소프트 키보드(102)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일한 영역 내에서 그러한 동작의 결과를 제시한다.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이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태스크 관리 동작 매개변수를 수신하고 결과를 리턴하는 별도의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리소스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에 기술된 방법들은 사용자가 태스크를 생성 및 관리하는 데 필요한 시간 및 사용자 입력 수를 줄일 수 있게 하며, 이는 다른 이점들 중에서 사용자 경험을 단순화하고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기술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예가 설명된다. 이들 예 및 다른 예는 본 개시내용에서 이루어진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상이한 양상들에 따라, 태스크 관리 기능들을 갖는 소프트 키보드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보이는 개념적인 레이아웃을 도시한다. 이 컴퓨팅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또는 해당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소프트 키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와 같은 임의의 모바일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터치 입력 및 비(非)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퓨팅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스처를 검출함으로써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3은 태스크 관리 기능을 갖는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또는 그의 서비스에 액세스하는)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채팅 사용자 인터페이스(chat user interface)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상기 채팅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출력 영역(100), 텍스트 편집 영역(101)을 포함하며,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출력 영역(100)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자 메시지의 콘텐츠를 형성하는 편집 영역(101) 내에 텍스트 문자를 생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입력을 제공하는 소프트 키보드(102)를 제공한다. 출력 영역(100) 내에 디스플레이된 메시지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사용자와 다른 컴퓨팅 장치의 사용자 간의 채팅 대화를 형성한다.
일부 예에서, 출력 영역(100)은 소프트 키보드(102)를 제공하는 키보드 애플리케이션과 별개이고 구별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예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소정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위해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이용하며, 이는 텍스트 및 기호 입력, 텍스트 및 기호 디스플레이, 텍스트 및 기호 입력 편집, 첨부 선택, 프로세스 호출(예컨대, 철자 검사, 글꼴 및 스타일 변경 등), 전송 및 수신 제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태스크 관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일부 예에서는 해당 태스크 관리 기능 또는 해당 태스크 관리 기능의 결과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한다.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태스크 관리 기능을 갖는 소프트 키보드(102)를 상기 컴퓨팅 장치에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거나 또는 그러한 컴퓨팅 장치에 액세스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이 기존의 소프트 키보드와 유사하게 기능하는 텍스트 입력 모드(text-entry mode)에서의 작동과,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이 다양한 태스크 관리 기능을 수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기능과 인터페이싱하는 태스크 관리 모드(task management mode)에서의 작동 간에 전환할 수 있다.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소프트 키보드(102)의 적어도 일부 대신에(예컨대, 복수의 그래픽 키(104)의 하나 이상의 키 대신에) 디스플레이를 위한 태스크 관리 질의 또는 출력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독립형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또는 모듈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장치 기능에 대해 서비스 역할을 하는 하위 구성요소 또는 확장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통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팅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운영 플랫폼이 소프트 키보드 입력 기능을 요구할 때마다 애플리케이션 또는 운영 플랫폼에 의해 호출되는 독립형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브루틴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컴퓨팅 장치는 서비스 제공자의 애플리케이션 저장소(예컨대, 인터넷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온라인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로부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팅 장치의 생산 동안 미리 로딩될 수 있다.
텍스트 입력 모드에서 동작할 때, 컴퓨팅 장치의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임의의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텍스트 입력에 사용되는 기존 전통적인 소프트 키보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래픽 키(104)에서 수신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선택된 그래픽 키(104)와 연관된 문자에 기반하여 결정된 단어 및/또는 구를 예측하거나 자동 정정할 수 있다.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키의 위치 및 입력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될 가능성이 가장 큰 하나 이상의 그래픽 키(104)를 결정할 수 있는 공간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하나 이상의 그래픽 키(104)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문자, 단어, 및/또는 구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그래픽 키(104)의 선택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가능한 후보 문자, 형태소, 단어 및/또는 구를 결정하도록 문자의 배열에 언어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텍스트 편집 영역(101)에 대한 단순한 텍스트 입력 동작과는 대조적으로 태스크 관리 기능을 호출하도록 소프트 키보드(102)를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소프트 키보드(103) 내에 배치되는 태스크 관리 기능(103)의 선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스크 관리 기능(103) 중에서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태스크 관리 기능(103)을 입력 영역(106)으로 대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임의의 주어진 태스크의 매개변수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역(106) 내의 임의의 그러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제안 영역(105)에서 입력에 사용가능한 제안된 옵션들을 보여주게 된다. 이러한 제안은 그러한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이미 사전 구성된 목록으로부터 나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제안 영역은 외부 소스 또는 인공 지능 또는 기계 학습으로부터 사용되거나 보완될 수 있다. 도 1, 도 4a~4i 및 도 7a~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프트 키보드 상의 상기 제안 영역(105)의 디스플레이는 존재 감지 스크린(presence-sensing screen) 상에서 상기 소프트 키보드가 확대되고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축소되게 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소프트 키보드(102) 내에 배치된 상기 태스크 관리 기능(103) 중 임의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들을 생성, 관리하고 볼 수 있는 선택 영역(107)으로써 기존의 키보드를 대체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선택 영역(107)은 대안적으로는 사용자의 선택의 결과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보일 수 있다. 이들 결과는 상이한 유형의 뷰(view)(목록 기반, 카드 기반, 캘린더 기반 등)으로 상기 선택 영역(107) 내에 보여질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제스처(예컨대, 스와이프 제스처(swipe gesture)나 사용자 선택)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각각의 뷰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view-based user interface elements) 간에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선택 영역(107)에 디스플레이된 결과들의 뷰(view) 중에서 임의의 보기 내의 임의의 요소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자동으로 텍스트 편집 영역(101)에서 상기 뷰와 관련된 정보의 표시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뷰 요소와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텍스트, 하이퍼링크,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선택 영역(107)으로부터 상기 텍스트 편집 영역(101)으로 정보의 단일 제스처 입력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정보의 쉽고 효율적인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임의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설명되는 상기 선택 영역(107)에서의 모든 뷰 요소는 특정의 태스크 또는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 내의 태스크 세트에 대한 이미 존재하는 정보와 관련된다.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태스크 관리 기능들(103) 중의 하나에 대한 임의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태스크 관리 모드에서 작동을 개시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이 태스크 관리 모드에서 작동하는 동안,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여전히 그래픽 키(104)를 통한 텍스트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입력 영역(106)의 레이아웃은 사용자가 특정의 태스크 관리 매개변수를 선택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사전 구성된 드롭다운(dropdown) 목록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안 영역(105)은 보일 수도 있고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태스크 관리 기능(103)의 레이아웃은 상기 소프트 키보드(102)의 상단에 있지 않을 수 있지만 상기 소프트 키보드의 하단에 도시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모든 구성요소(103, 104, 105, 106 및 107)의 레이아웃은 사용 중인 상기 컴퓨팅 장치의 유형이나 사용자가 선택한 방향 뷰(예컨대, 휴대폰, 태블릿, 세로 뷰(portrait view), 가로 뷰(landscape view) 등)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태스크 관리 기능(103)은 4개의 옵션으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지만 사용자 요구 사항에 따라 증가 및 감소될 수 있다.
도 4a~4i는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 키보드 내에서 태스크를 생성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의 일 예이다.
상기 메시징 애플리케이션(401)에서의 요청에 응답하여, 태스크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소프트 키보드(102)의 태스크 관리 요소(402)를 클릭한다. 상기 태스크 관리 요소의 선택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소프트 키보드(102) 내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소프트 키보드(102) 내에서 그리고 복수의 키들 중 적어도 일부 대신에 상기 태스크의 다른 매개변수들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영역(403, 404, 405, 406 및 407)을 출력할 것이다. 도 4a~4i는 제2 텍스트 편집 영역인 사용자 입력 영역이 가상 키보드 또는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일부로서 텍스트 편집 영역(101)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하는 것 외에도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에 의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도 4a~4i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상이한 구성들을 도시한다: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은 모든 복수의 키, 모든 태스크 관리 기능 키, 또는 복수의 키들 중 모든 텍스트 키 대신에 디스플레이된다. 본 명세서 및 그 도면에 기재된 스크린 요소들의 다양한 조합 및 하위 조합으로도 많은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태스크의 다른 매개변수들을 입력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입력 영역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의 예를 들면, 태스크가 무엇이어야 하는지(404), 태스크가 어디서 완료되어야 하는지(405), 누가 수행해야 하는지(406), 그리고 언제 수행되어야 하는지(407)를 지정하도록 될 것이다.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소프트 키보드(102) 내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복수의 키들 중 적어도 일부 대신에 사용자가 상기 태스크가 수행되어야 하는 정확한 시간 및 요일을 지정할 수 있는 선택 영역(408)을 출력하게 되는 예가 있다.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이 임의의 다른 특정 형태의 입력에 맞도록 키보드(102)를 재구성해야 하는 다른 예가 있을 수 있다.
태스크 생성 액션을 호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태스크가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며, 이는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동일한 컴퓨팅 장치의 별도의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원격 컴퓨팅 장치의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될 수 있다. 동시에, 사용자가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게 보내기 위해,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트리거된 정확한 이벤트를 상세히 설명하는 메시지가 텍스트 편집 영역(409)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통신 애플리케이션(410)으로부터 메시지를 전송하기로 선택하면, 이제 태스크가 새로 생성되었다는 메시지가 상기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게 보여진다.
태스크 이벤트가 트리거될 때마다 모든 경우에 있어 상기 텍스트 편집 영역(409)에서 메시지가 자동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그 트리거된 태스크 동작의 세부사항 및 내용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 메시지 형성은 사용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수준 구성을 기준으로 하여 억제될 수 있다.
도 5a~5c는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 키보드 내에서 태스크를 수락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의 일 예이다.
태스크가 할당되었다는 상기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는 상기 소프트 키보드(102)의 태스크 관리 요소(501)를 클릭한다. 상기 태스크 관리 요소의 선택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소프트 키보드(102) 내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복수의 키의 적어도 일부 대신에 사용자가 작업을 수락하기 위해 클릭할 수 있는 클릭 가능 영역(502)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이 임의의 다른 특정 형태의 입력에 맞도록 키보드(102)를 재구성하거나 입력 결과를 표시해야 하는 다른 예가 있을 수 있다.
클릭 가능 요소(502)를 클릭하는 것에 응답하여, 태스크의 상태는, 동일 컴퓨팅 장치에서의 별도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원격 컴퓨팅 장치에서의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있을 수 있는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진행 중"(503) 또는 기타 유사한 단어로 변경된다. 동시에, 사용자가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게 보내기 위해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트리거된 정확한 이벤트를 상세히 설명하는 메시지가 상기 텍스트 편집 영역(101)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통신 애플리케이션(504)으로부터 메시지를 보내기로 선택하면, 태스크가 수락되었고 진행 중이라는 메시지가 이제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게 보여진다. 이것은 한 사용자가 상기 소프트 키보드를 사용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태스크를 할당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는 상기 태스크의 수락 또는 완료를 표시할 수 있는 예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중의 소프트 키보드 인스턴스가 실행되고 단일의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단일의 공유 데이터 저장소가 있는 다중의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태스크 이벤트가 트리거될 때마다 모든 경우에 있어 상기 텍스트 편집 영역(101)에서 메시지가 자동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트리거된 태스크 동작의 세부사항 및 내용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 메시지 형성은 사용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수준 구성에 따라 억제될 수 있다.
도 6a~6c는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 키보드 내에서 태스크를 완료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의 일 예이다.
태스크가 수락되었다는 상기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는 상기 소프트 키보드(102)의 태스크 관리 요소(601)를 클릭한다. 상기 태스크 관리 요소의 선택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소프트 키보드(102) 내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복수의 키들 중 적어도 일부 대신에 사용자가 상기 태스크를 완료하기 위해 클릭할 수 있는 클릭 가능 영역(602)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이 임의의 다른 특정 형태의 입력에 맞도록 키보드(102)를 재구성하거나 입력 결과를 표시해야 하는 다른 예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클릭 가능 요소(602)를 클릭하는 것에 응답하여, 태스크 상태는, 동일 컴퓨팅 장치에서의 별도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원격 컴퓨팅 장치에서의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 내에 있을 수 있는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완료됨"(603) 또는 기타 유사한 단어로 변경된다. 동시에, 사용자가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게 보내기 위해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트리거된 정확한 이벤트를 상세히 설명하는 메시지가 상기 텍스트 편집 영역(101)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통신 애플리케이션(604)으로부터 메시지를 전송하기로 선택하면, 이제 태스크가 완료되었다는 메시지가 상기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게 보여지게 된다.
태스크 이벤트가 트리거될 때마다 모든 경우에 있어 상기 텍스트 편집 영역(101)에서 메시지가 자동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그 트리거된 태스크 동작의 세부사항 및 내용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메시지의 자동 형성은 사용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레벨 구성을 기준으로 하여 억제될 수 있다.
도 7a~7g 및 도 8a~8e는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 키보드 내의 태스크인 미래 날짜를 재할당(reassign)하거나 보류(park)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의 일 예이다.
태스크가 수락되었다는 상기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는 상기 소프트 키보드(102)의 태스크 관리 요소(701)를 클릭한다. 상기 태스크 관리 요소의 선택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소프트 키보드(102) 내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복수의 키들 중 적어도 일부 대신, 사용자가 완료되지 않은 모든 태스크를 보기 위해 클릭할 수 있는 클릭 가능 영역(702)을 출력할 것이다.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입력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임의의 다른 특정 방법에 맞는 방식으로 상기 키보드(102)를 재구성해야 하는 다른 예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클릭 가능 요소(702)를 클릭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소프트 키보드(102) 내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적어도 복수의 키들 대신, 예컨대 사용자가 다음(next)의 뷰가 사용자 태스크로만 제한되어야 하는지 또는 현재 처리되지 않은 모든 태스크가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뷰(view)를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클릭 가능 요소(703)를 선택하면,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소프트 키보드(102) 내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적어도 복수의 키들 대신에 사용자의 모든 태스크 목록(704)을 출력하게 된다. 이 목록에서 태스크들 중 임의의 것을 클릭하면, 해당 과제에서 가능한 작업 목록인, 이전 뷰 대신 새로운 뷰가 표시된다. 표시된 예에서, 사용자는 뷰에서 2가지 옵션을 갖는다: 태스크 재할당(705) 또는 태스크를 미래 날짜로 지정(801).
태스크 요소(705)를 클릭함으로써,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소프트 키보드(102) 내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소프트 키보드(102) 내에서 그리고 복수의 키들 중 적어도 일부 대신에 상기 태스크가 재할당될 필요가 있는 사람의 이름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영역(706)을 출력하게 된다. 재할당을 위한 매개변수들은 단일의 입력이 아닌 다중의 입력이 필요할 수 있는 다른 예가 있을 수 있다. 일단 대체 사용자에 대한 재할당이 선택되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입력 영역 옆에 표시되는 "저장" 또는 이와 유사 버튼을 클릭하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동시에, 사용자가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게 보내기 위해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트리거된 정확한 이벤트를 상세히 설명하는 메시지가 상기 텍스트 편집 영역(707)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통신 애플리케이션(708)으로부터 메시지를 전송하기로 선택하면, 이제 태스크가 재할당되었다는 메시지가 상기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게 보여진다.
태스크 요소(801)를 클릭함으로써,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소프트 키보드(102) 내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예를 들어 상기 태스크가 보류되거나 연기된 이유를 상기 소프트 키보드(102) 내에서 그리고 복수의 키들 중 적어도 일부 대신에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영역(802)을 출력하게 된다. 일단 상기 과제를 보류하는 이유가 특정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영역 옆에도 표시되는 "다음" 또는 이와 유사한 버튼을 클릭하여 다음 뷰로 이동하며, 이는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소프트 키보드(102) 내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적어도 복수의 키들 대신에 사용자가 상기 태스크를 연기할 날짜와 시간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캘린더 뷰(803)를 출력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시간 및 날짜가 선택되면, 사용자는 캘린더 뷰 영역(803) 내에서도 볼 수 있는 "저장" 또는 이와 유사한 버튼을 클릭하여 다음 뷰로 이동한다. 태스크를 보류 또는 연기하기 위한 매개변수에 단일 입력이 아닌 다중 입력이 필요할 수 있는 다른 예가 있을 수 있다. 동시에, 사용자가 상기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게 보내기 위해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트리거된 정확한 이벤트를 상세히 설명하는 메시지가 상기 텍스트 편집 영역(804)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통신 애플리케이션(805)으로부터 메시지를 전송하기로 선택하면, 이제 태스크가 보류 또는 연기되었다는 메시지가 상기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게 보여진다.
다른 예에서, 도 4a 내지 도 8e에 설명된 태스크 관리 예들은 사용자가 전체 태스크 관리 프로세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도록 돕기 위해 사용자 정의 요구 사항(custom requirements)에 따라 선택들을 구성할 수 있도록 수정되거나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도 4a~8e에 제공된 예들은 상기 키보드의 태스크 관리 기능이 임의의 사용자의 태스크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가능한 예들의 전체 목록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통신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태스크를 관리해야 하는 다른 예가 있을 수 있으며 이들 도면은 태스크 관리 기능이 있는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를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에 대한 모든 가능한 방법들의 완전한 목록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도 9a~9b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라, 컴퓨팅 장치(901)가 태스크 관리 기능을 갖는 소프트 키보드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방법의 일 예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이는 컴퓨팅 장치(901)의 일 특정 예만을 예시하며, 컴퓨팅 장치(910)의 많은 다른 예가 다른 인스턴스에 사용될 수 있고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901)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하위집합을 포함하거나 또는 도 9a~9b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901)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컴퓨터화 시계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휴대용 컴퓨팅 장치와 같은 모바일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컴퓨팅 장치(901)의 추가적인 예는, 데스크탑 컴퓨터, 텔레비전 또는 디스플레이용 그래픽 키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비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팅 장치(901)는, 프로세서(902), 통신 유닛(903), 입력 구성요소(904), 출력 구성요소(905),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알려진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presence-sensitive display: PSD)(906), 저장 구성요소(909),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 애플리케이션 모듈(915), 및 통신 채널(918)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901)의 저장 구성요소(909)는 UI 모듈(910),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 및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모듈(915)을 포함한다.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은 태스크 관리 모듈(912), 공간 모델 모듈(913) 및 언어 모델 모듈(914)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모듈(915)은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916) 및 통신 애플리케이션(917)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채널(918)은 구성요소 간 통신 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임의의 다른 방법을 위해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모듈(910 및 911)은 컴퓨팅 장치(901)에서 상주하거나 및/또는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의 조합을 사용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901)의 PSD(906)는 컴퓨팅 장치(901)에 대한 입력(908) 및/또는 출력 장치(907)로서 기능할 수 있다. PSD(906)는 존재 감지 입력 스크린(presence-sensitive input screen)으로서 동작하는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컴퓨팅 장치(901)의 사용자에게 가시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901)의 하나 이상의 통신 유닛(903)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상에서 네트워크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901)의 하나 이상의 입력 구성요소(904)는 임의 유형의 소스(source) 또는 형식(form)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901)의 하나 이상의 출력 구성요소(905)는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는 PSD(906)가 디스플레이용 정보를 출력하는 스크린 또는 표면 근처의 위치를 포함하여 인간 또는 기계에 출력을 생성하는 모든 유형의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입력 구성요소 및 출력 구성요소는 컴퓨팅 장치(901)의 패키징 또는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고 이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된 컴퓨팅 장치(901)의 외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902)는 컴퓨팅 장치(901)와 관련된 기능을 구현하고 및/또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도 9a~9b에 설명되는 모듈들은 컴퓨팅 장치(901)의 다양한 동작, 작동 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902)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태스크 관리 모듈(912)이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 내에 수용되어 도 9b에 함께 있고 별도 및 별개의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단독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것은 또한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 내에 있는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과의 다른 조합일 수 있거나 다른 방식으로 소정의 관계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했듯이 이들 애플리케이션은 별도로 또는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901) 내의 하나 이상의 저장 구성요소(909)는 컴퓨팅 장치(901)의 동작 동안 처리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저장 구성요소(909)는 임시 메모리이며, 이는 저장 구성요소(909)의 주요 목적은 장기간 저장이 아님을 의미한다. 컴퓨팅 장치(901)의 저장 구성요소(909)는 정보를 휘발성 메모리로 단기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콘텐츠를 유지하지 않을 수 있다. 저장 구성요소(909)는 비휘발성 메모리 공간으로서 정보의 장기간 저장을 위해 추가로 구성될 수 있고 전원 온/오프 사이클 후에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저장 구성요소(909)는 컴퓨팅 장치(901)의 다른 모듈과 관련된 프로그램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UI 모듈(910)은 컴퓨팅 장치(901)의 PSD(906) 및 기타 구성요소들과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관리한다. 즉, UI 모듈(910)은 PSD(906)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결정을 내리고 PSD(906)에서 출력을 생성하도록 컴퓨팅 장치(901)의 다양한 구성요소들 간에 중개자로서 작용할 수 있다. UI 모듈(910)은 사용자가 PSD(906)에 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고 상호작용함에 따라, 컴퓨팅 장치(901)에 의해 수신된 입력을 관리하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플랫폼, 또는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컴퓨팅 장치(901)의 기타 모듈로부터 추가의 명령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UI 모듈(910)은 추가의 해석을 위해 하나 이상의 터치 이벤트의 표시를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에 보낼 수 있다.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은 UI 모듈(910)로부터 수신된 터치 이벤트에 기반하여, 검출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소프트 키보드의 하나 이상의 키의 초기 선택을 나타내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모듈(915)은 태스크 관리 기능을 갖는 소프트 키보드에 의존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901)에서 실행되고 컴퓨팅 장치(901)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모든 다양한 개별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를 제시한다.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은, 컴퓨팅 장치(901)에 태스크 관리 기능을 갖는 소프트 키보드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901)에서 실행되거나 컴퓨팅 장치(901)에 액세스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은,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이 기존의 그래픽 키보드와 유사하게 기능하는 텍스트 입력 모드에서의 작동과,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이 다양한 태스크 관리 기능을 수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기능과 인터페이스하는 태스크 관리 모드에서의 작동 간에 전환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은 독립형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또는 컴퓨팅 장치(901)에서 실행되는 모듈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은 다른 애플리케이션 또는 디바이스 기능에 대해 서비스로 작용하는 하위 구성요소 또는 확장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은 애플리케이션 또는 운영 플랫폼이 그래픽 키보드 입력 기능을 요구할 때마다 컴퓨팅 장치(901)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운영 플랫폼에 의해 호출되는 독립형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브루틴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컴퓨팅 장치(901)는 서비스 제공자의 애플리케이션 저장소로부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은 컴퓨팅 장치(901)의 생산 동안 미리 로드될 수 있다.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은 태스크 관리 모듈(912), 공간 모듈(913) 및 언어 모듈(914)과 같은 다양한 하위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 모듈(913)은 하나 이상의 터치 이벤트의 입력을 수신한 다음, 하나 이상의 터치 이벤트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는 문자 또는 문자 배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공간 모듈(913)은 터치 이벤트를 키보드의 하나 이상의 키의 선택으로서 추론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키의 선택에 기반하여 문자 또는 문자 배열을 출력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901)의 어휘목록(lexicon)은 한 사전 내의 단어들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언어 모듈(914)은 문자열의 문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문자, 단어, 및/또는 구를 식별하도록 상기 어휘목록에서 문자열의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후보 단어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언어 모듈(914)은 상기 어휘목록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후보 단어를 텍스트 입력 영역(101)의 제안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의 태스크 관리 모듈(912)은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 설명된 태스크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라 태스크 관리 기능을 갖는 소프트 키보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장치의 예시적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의 동작은 도 9의 컴퓨팅 장치(901)와 같은 컴퓨팅 장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지 예시만의 목적으로, 도 10은 도 9의 컴퓨팅 장치(901)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1001 - 동작시, 컴퓨팅 장치(901)의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은 복수의 키(104) 및 태스크 관리 요소(103)를 포함하는 그래픽 키보드(102)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는 동일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임의의 통신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사용되도록 된다. 다른 예에서, 상기 소프트 키보드(102)는 때때로 기존 키보드에 대한 대안으로서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시될 수 있다.
1002 -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은 상기 태스크 관리 요소(103)의 선택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1003 - 상기 태스크 관리 요소(103)의 선택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소프트 키보드 내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태스크를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영역(106)을 출력한다. 일부 예에서,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은 사용자가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를 관리하고 보기 위한 추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한 선택 영역(107)으로 기존의 키보드를 대체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그것은 또한 키보드 내의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 내, 동일 컴퓨팅 장치(901) 또는 원격 태스크 관리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다른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 내에 사전 구성된 목록으로부터의 한 제안 영역(105)을 포함할 수 있다.
1004 -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은 상기 컴퓨팅 장치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입력의 표시에 기반하여 태스크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입력 영역(106)에 세부사항을 입력하고 상기 제안 영역(105)에서 사전 구성된 태스크 관리 매개변수를 선택함으로써 태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는 선택 영역(107)에서 옵션을 선택하고, 상기 입력 영역(106)에 세부 사항을 입력하며 상기 제안 영역(105)에서 사전 구성된 태스크 관리 매개변수를 선택함으로써 태스크를 편집할 수 있다. 상기 태스크 동작은 입력 영역(106)으로부터의 데이터 입력 및/또는 선택의 임의 형태의 조합으로 상기 제안 영역(105)에서 사전 구성된 매개변수를 선택하거나 선택 영역(107)에서 옵션을 선택하여 결정된다. 더 빠르고 효율적인 데이터 입력을 허용하도록 상기 소프트 키보드(102)를 나타내는 영역으로부터 더 많은 형태의 데이터 입력/선택이 있을 수 있다.
1005 - 그러면,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은 상기 키보드 내의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동일 컴퓨팅 장치(901)에서 실행되는 다른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원격 태스크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태스크 동작을 호출하게 된다.
1006 - 상기 태스크 동작을 호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에 의해, 태스크가 생성되거나 또는 동일 컴퓨팅 장치(901) 또는 원격 태스크 관리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키보드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태스크가 생성된다. 다른 예에서, 태스크는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 내에서 볼 수 있다.
1007 - 상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911)은 선택적으로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의 텍스트 편집 영역 내에서 상기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상기 호출된 동작의 결과를 설명하는 문장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참조가 있었다. 그러한 구(phrase)의 사용은 하나 이상의 예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설명된 기능, 구조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예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이들 예는 하나 이상의 특정 세부사항 없이 관련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방법, 리소스, 재료 등과 관련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는 잘 알려진 구조, 리소스 또는 동작이 자세히 표시되거나 설명되지 않았다.
샘플 예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이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상기 예들은 전술한 정확한 구성 및 리소스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특허청구된 예들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및 시스템의 배열, 작동 및 세부사항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방법 및 동작은 태스크 중심 환경(task-focused environment)에서 터치 스크린 장치를 사용하여 효율성과 더 나은 상호 작용을 촉진하는 데 유용하다.

Claims (21)

  1. 사용자가 제1 애플리케이션에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해 존재 감지 화면(presence-sensing screen)에서 텍스트 입력 필드를 선택한 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하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 및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한, 단계;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존재 감지 화면 상에 소프트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소프트 키보드는 텍스트 편집 영역과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키와 상기 복수의 키에 인접한 태스크 관리 기능 키의 행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키는 텍스트 입력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삽입될 텍스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태스크 관리 기능 키는 상기 태스크 관리 기능 키의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태스크 관리 모드 내로 상기 소프트 키보드를 토글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태스크 관리 모드에서의 상기 소프트 키보드는 상기 컴퓨팅 장치 또는 원격으로 액세스되는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상기 존재 감지 화면을 통해 검출된 상기 태스크 관리 키의 선택된 기능을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기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프트 키보드 내에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태스크 관리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환됨이 없이 복수의 태스크 매개변수로 구성된 태스크에 대해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태스크 명령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이고, 선택 가능한 상기 태스크 매개변수 중에서 2개 이상은 태스크 소유자, 태스크 설명, 태스크 위치, 태스크 기한 및 태스크 완료 진행의 디스플레이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입력된 태스크 명령을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에서 상기 존재 감지 화면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입력된 태스크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태스크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업데이트된 상기 태스크의 선택된 태스크 매개변수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를 타이핑함에 의하여, 상기 태스크 관리 모드에 있을 경우,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 내의 제2 텍스트 편집 영역으로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과 통신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은 상기 복수의 키 모두, 상기 태스크 관리 기능 키 모두, 또는 상기 복수의 키의 텍스트 키 모두 대신에 디스플레이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온라인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의 태스크 세트 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태스크만 디스플레이할지 또는 모든 태스크 소유자의 태스크를 디스플레이할지의 여부에 대해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에서 사용자에게 프롬프팅(prompt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프롬프팅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될 선택된 태스크에 대해 태스크 소유자 및 완료 진행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태스크 목록에 대해 개시되는 스와이프 제스처(swipe gesture)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태스크 목록 대신에 추가 태스크 목록을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 내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에서 상기 태스크의 태스크 매개변수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태스크를 재할당 또는 연기하는 것에 대해 선택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프롬프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태스크를 업데이트한 후, 상기 소프트 키보드를 상기 텍스트 입력 모드 내로 토글링하고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텍스트 편집 영역에서의 연기 이유를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태스크의 태스크 매개변수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외부의 사람에 의해 실행될 물리적 동작인, 방법.
  11. 사용자에게 텍스트 입력 필드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존재 감지 화면 상에서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를 선택한 후에 가상 키보드를 호출한 다음 상기 사용자의 상기 가상 키보드와의 상호 작용으로부터 텍스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 내로부터, 컴퓨팅 장치에서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호출하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 및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한, 단계;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존재 감지 화면 상에 소프트 키보드를 표시하되, 상기 소프트 키보드는 텍스트 편집 영역과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키와 상기 복수의 키에 인접한 태스크 관리 기능 키의 행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키는 텍스트 입력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삽입될 텍스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태스크 관리 기능 키는 상기 태스크 관리 기능 키의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태스크 관리 모드 내로 상기 소프트 키보드를 토글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태스크 관리 모드에서의 상기 소프트 키보드는 상기 컴퓨팅 장치 또는 원격으로 액세스되는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상기 존재 감지 화면을 통해 검출된 상기 태스크 관리 키의 선택된 기능을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기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프트 키보드 내에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태스크 관리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은,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환됨이 없이 복수의 태스크 매개변수로 구성된 태스크에 대해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태스크 명령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태스크 매개변수 중에서 2개 이상은 태스크 소유자, 태스크 설명, 태스크 위치, 태스크 기한 및 태스크 완료 진행의 그룹에서 선택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입력된 태스크 명령을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에서 상기 존재 감지 화면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입력된 태스크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태스크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가 여전히 표시되는 동안, 태스크 관리 기능 키의 행 대신에 제2 텍스트 입력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된 태스크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키를 통해 상기 제2 텍스트 입력 영역 내로 상기 복수의 키에 명령을 타이핑함으로써 입력되는 것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기능과 상기 제2 텍스트 입력 영역에 입력되는 텍스트에 기반하여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으로부터 생성된 태스크 매개변수들 중의 하나에 대한 제안이 있는 제안 영역을 상기 소프트 키보드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키보드에 상기 제안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존재 감지 화면 상에서 상기 소프트 키보드가 확대되게 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축소되게 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온라인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되는, 방법.
  15. 사용자에게 텍스트 입력 필드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존재 감지 화면 상에서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를 선택한 후에 가상 키보드를 호출한 다음 상기 사용자의 상기 가상 키보드와의 상호 작용으로부터 텍스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 내로부터, 컴퓨팅 장치에서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호출하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 및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한, 단계;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존재 감지 화면 상에 소프트 키보드를 표시하되, 상기 소프트 키보드는 텍스트 편집 영역과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키와 상기 복수의 키에 인접한 태스크 관리 기능 키의 행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키는 텍스트 입력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삽입될 텍스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태스크 관리 기능 키는 상기 태스크 관리 기능 키의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태스크 관리 모드 내로 상기 소프트 키보드를 토글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태스크 관리 모드에서의 상기 소프트 키보드는 상기 컴퓨팅 장치 또는 원격으로 액세스되는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상기 존재 감지 화면을 통해 검출된 상기 태스크 관리 키의 선택된 기능을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기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프트 키보드 내에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태스크 관리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환됨이 없이 복수의 태스크 매개변수로 구성된 태스크에 대해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태스크 명령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태스크 매개변수 중에서 2개 이상은 태스크 소유자, 태스크 설명, 태스크 위치, 태스크 기한 및 태스크 완료 진행의 그룹에서 선택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입력된 태스크 명령을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에서 상기 존재 감지 화면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입력된 태스크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태스크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태스크가 태스크 소유자에게 할당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별도의 인스턴스의 통신을 통해 파퓰레이팅(populate) 된 상기 태스크 소유자의 태스크 목록에서, 상기 태스크 소유자의 장치에 있는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별도의 인스턴스에서의 상기 태스크 소유자로부터 상기 태스크 소유자의 상기 태스크에 대한 수락 또는 완료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클릭 가능 영역을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소유자에 의해 상기 태스크에 대한 수락을 표시하도록 상기 클릭 가능 영역이 눌러지고 상기 태스크가 상기 태스크 소유자에 의해 수락되었음을 표시하도록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 가능 영역이 상기 태스크를 완료하기 위해 상기 태스크 소유자에 의해 눌러지고 상기 태스크 소유자에 의해 상기 태스크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도록 상기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은 상기 복수의 키 모두, 상기 태스크 관리 기능 키 모두, 또는 상기 복수의 키의 텍스트 키 모두 대신에 디스플레이되는,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를 타이핑함에 의하여, 상기 태스크 관리 모드에 있을 경우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 내의 제2 텍스트 편집 영역으로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태스크 관리 영역과 통신하는,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은 온라인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되는, 방법.
  21. 제1항, 제1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 및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단일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계층(service layer)에 있는, 방법.
KR1020227009349A 2019-09-05 2020-09-05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태스크 관리 KR202200585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61,115 US10860178B1 (en) 2019-09-05 2019-09-05 Task management through soft keyboard applications
US16/561,115 2019-09-05
PCT/IB2020/058289 WO2021044384A1 (en) 2019-09-05 2020-09-05 Task management through soft keyboard applic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557A true KR20220058557A (ko) 2022-05-09

Family

ID=73653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9349A KR20220058557A (ko) 2019-09-05 2020-09-05 소프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태스크 관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860178B1 (ko)
EP (1) EP4025987A4 (ko)
JP (1) JP7258234B2 (ko)
KR (1) KR20220058557A (ko)
CN (1) CN113748406B (ko)
AU (1) AU2020343932B2 (ko)
CA (1) CA3112903C (ko)
WO (1) WO20210443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99435S1 (en) * 2018-03-16 2020-10-20 Magic Leap, Inc. Display panel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9180B2 (en) * 2000-09-14 2007-07-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rketplace social proxies
US8095879B2 (en) * 2002-12-10 2012-01-10 Neonode Inc. User interface for mobile handheld computer unit
US20050227216A1 (en) * 2004-04-12 2005-10-13 Gupta Puneet K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ccess to electronic learning and social interaction within a single application
WO2011107656A1 (en) * 2010-03-04 2011-09-0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applications and related communications
WO2012047997A1 (en) * 2010-10-05 2012-04-12 Citrix Systems, Inc. Display management for native user experiences
US20120216146A1 (en) * 2011-02-17 2012-08-23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grated application and task manager display
US20130290234A1 (en) * 2012-02-02 2013-10-31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Intelligent Consumer Service Terminal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KR102090516B1 (ko) * 2013-01-24 2020-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A2842031A1 (en) 2013-02-04 2014-08-04 602531 British Columbia Lt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n action related to user selection
CN105138259B (zh) * 2015-07-24 2018-07-2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操作执行方法及装置
US10496275B2 (en) * 2015-10-12 2019-12-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window keyboard
US10976923B2 (en) * 2016-02-11 2021-04-13 Hyperkey, Inc. Enhanced virtual keyboard
US10222957B2 (en) * 2016-04-20 2019-03-05 Google Llc Keyboard with a suggested search query region
CN105955808B (zh) * 2016-04-21 2018-12-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即时通信应用的任务管理方法及装置
CN107368995A (zh) * 2016-05-13 2017-11-2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任务处理方法及装置
US20170357521A1 (en) 2016-06-13 2017-12-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irtual keyboard with intent-based, dynamically generated task icons
CN110020313A (zh) * 2017-12-13 2019-07-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任务管理界面的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48406B (zh) 2022-03-04
EP4025987A1 (en) 2022-07-13
CN113748406A (zh) 2021-12-03
JP7258234B2 (ja) 2023-04-14
AU2020343932B2 (en) 2021-07-29
WO2021044384A9 (en) 2021-04-29
EP4025987A4 (en) 2023-10-11
CA3112903C (en) 2021-07-13
US10860178B1 (en) 2020-12-08
CA3112903A1 (en) 2021-03-11
WO2021044384A1 (en) 2021-03-11
JP2023501044A (ja) 2023-01-18
AU2020343932A1 (en)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5818B2 (ja) コンピュータ・デバイスを含むウィンドウ及びその制御システム
JP5249755B2 (ja) セマンティックリッチオブジェクトによる動的なユーザエクスペリエンス
Trewin et al. Abstract user interface representations: How well do they support universal access?
CN1550980A (zh) 对象层次结构内对象创建的系统和方法
KR20220050187A (ko) 그래픽 객체들을 맞춤화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CN105653134A (zh) 应用切换方法及其系统
US10928992B2 (en) HTML editing operations
CN106462409A (zh) 定制的准备就绪部件化的应用定义
Trewin et al. Abstract representations as a basis for usable user interfaces
US201502539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n Interactive Image Object
CN113748406B (zh) 通过软键盘应用进行任务管理
CN113536755A (zh) 用于生成海报的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产品
US10628179B2 (en) Universal graphical user interface objects
EP30962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n interactive image object
WO2021177998A1 (en) Task management through soft keyboard applications
CN114008590B (zh) 使用执行块提供辅助用户界面
Vairamuthu et al. Design of near optimal user interface with minimal UI elements using evidence based recommendations and multi criteria decision making: TOPSIS method
CN116893806A (zh) 流程编辑器、流程编辑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Mezhoudi A model-based approach for mixed-initiative context-aware adaptation of graphical user interface.
Rischpater et al. Designing Your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