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8034A - Spoon for patient - Google Patents

Spoon for pati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8034A
KR20220058034A KR1020200143295A KR20200143295A KR20220058034A KR 20220058034 A KR20220058034 A KR 20220058034A KR 1020200143295 A KR1020200143295 A KR 1020200143295A KR 20200143295 A KR20200143295 A KR 20200143295A KR 20220058034 A KR20220058034 A KR 20220058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patient
storage space
piston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2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2750B1 (en
Inventor
배소현
한남경
Original Assignee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43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750B1/en
Publication of KR20220058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0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7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oon for patients, which comprises: a body part concavely formed to scoop and receive food; and a handle part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part and having a storage space for temporarily storing fluid therein. Accordingly, by providing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handle part of the spoon, fluid such as food or medicine is sucked in and temporarily stored fluid is discharged while being moved to the user's mouth so that the patient can consume the food or medicine without spilling.

Description

환자용 숟가락{SPOON FOR PATIENT}Patient Spoon{SPOON FOR PATIENT}

본 발명은 환자용 숟가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나 고령자가 사용할 수 있는 환자용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ient spo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tient spoon that can be used by a patient or an elderly person.

우리나라의 식생활은 밥이나 국, 나물류를 주식으로 함에 따라, 이러한 음식들을 쉽고 편리하게 섭취하기 위해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해왔다.As Korea's diet consists mainly of rice, soup, and vegetables, spoons and chopsticks have been used to easily and conveniently consume these foods.

숟가락은 밥과 국 문화가 발달한 우리나라 식생활 문화에 맞게, 선단부를 아래로 오목한 원형 형태로 형성해서 음식물을 쉽게 뜰 수 있게 구성되고, 후단부를 길고 납작하거나 원통 형태로 형성해서 손에 잡기 쉽게 구성된다. The spoon is configured in a circular shape with a concave downward tip so that food can be lifted easily, and the rear end is formed in a long, flat or cylindrical shape for easy grip. .

한편, 최근에는 강한 심리적 부담감이나 술 또는 약물 복용, 카페인 과다 섭취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주로 유전적인 원인이 주였던 예전과는 달리 수전증 환자들이 늘어나면서 가장 기본적인 '식'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많아졌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strong psychological burden, taking alcohol or drugs, excessive caffeine intake, etc. lost.

그리고 파킨슨 환자나 고령자, 영유아의 경우에서 숟가락을 정상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And in the case of Parkinson's patients, the elderly, and infant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use the spoon normally.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등에는 수전증이나 파킨슨 환자 등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숟가락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1 to 3, etc. disclose an improved configuration of a spoon so that it can be easily used by a patient with tremor or Parkinson's.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19-0068809호(2017년 2월 15일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68809 (published on February 15, 2017)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17-0017325호(2017년 2월 15일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17325 (published on February 15, 2017)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855572호(2018년 4월 30일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55572 (Announced on April 30, 2018)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숟가락은 환자 등이 숟가락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이 숟가락 외부로 흘리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spo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event food from spilling out of the spoon while a patient uses the spoon.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나 고령자, 유아가 음식물이나 약물을 흘리지 않고 섭취할 수 있는 환자용 숟가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patient spoon that can be consumed by patients, the elderly, or infants without spilling food or drug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해가 가능하게 마련되어 세척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환자용 숟가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tient spoon that is disassembled, easy to clean and hygienic.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숟가락은 음식물을 떠서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서 길게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유체를 임시 저장하는 저장 공간이 마련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atient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dy portion concavely formed to receive and scoop food and a storage space for temporarily storing a fluid forme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andle por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숟가락에 의하면, 숟가락의 손잡이부 내부에 저장 공간을 마련하고, 스포이드 구조를 응용하여 음식물이나 약물 등의 유체를 흡입해서 저장 공간에 임시 저장한 후, 사용자의 입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임시 저장된 유체를 배출해서 환자가 음식물이나 약물을 흘리지 않고 섭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atient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space is provided inside the handle of the spoon, and a fluid such as food or drug is sucked by applying a dropper structure and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space, after which the user's By discharging the temporarily stored fluid while it is moved to the mouth, the effect is obtained that the patient can consume without spilling food or drugs.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부에 마련된 커버를 탈착해서 탄성부재와 손잡이부 내부의 저장공간을 용이하게 세척함으로써, 숟가락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taching the cover provided on the handle portion to easily wash the elastic member and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handle portion, the effect that the spoon can be managed hygienically is obtained.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레버에 가해지는 조작에 따라 저장 공간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음식물을 흡입 및 배출해서 흘리지 않고 섭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ston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space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applied to the operation lever, thereby obtaining the effect that food can be ingested without spilling it by sucking and discharging i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부의 상단측에 소형 모터나 솔레노이드와 같은 구동모듈을 배치하고,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구동모듈에 전원을 공급해서 피스톤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음식물을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rive module such as a small motor or a solenoid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drive modu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to move the pist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uck and discharge food. The effect that can be obtained is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장공간의 입구측에 개폐 부재를 설치하고,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저장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여 흡입된 음식물의 배출을 방지할 수도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ffect is obtained that an opening/clos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inlet side of the storage space, and the storage space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iston to prevent discharge of the sucked foo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숟가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 선에 대한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숟가락의 동작 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숟가락의 동작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tient spo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ure 1;
3 and 4 are respectively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patient spo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diagrams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patient spo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숟가락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atient spo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 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숟가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oon for a pati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1 .

이하에서는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Hereinafter, terms indicating a direction such as 'left', 'right', 'front', 'rear', 'up' and 'downward' are defined as indicating each direction based on the state shown in each figure. do.

본 실시 예에서는 수전증 환자나 파킨슨 환자가 음식물을 섭취하는 숟가락 구성을 설명한다. In this embodiment, a configuration of a spoon for a patient with tremor or a Parkinson's patient to consume food will be described.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환자뿐만 아니라, 고령자나 영유아와 같이 숟가락 이용이 어려운 분들이 이용할 수 있다.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t can be used not only by patients, but also by those who have difficulty using a spoon, such as the elderly or infants.

그리고 본 발명은 음식물뿐만 아니라, 물약이나 가루약과 물을 혼합한 약물 등 다양한 유체를 흡입 및 배출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to inhale and discharge various fluids, such as a potion or a drug mixed with powder, as well as food.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숟가락(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을 떠서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바디부(20) 및 바디부(20)의 일측에서 길게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유체를 임시 저장하는 저장 공간(31)이 마련되는 손잡이부(30)를 포함한다. Patient spoon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body portion 20, which is concavely formed so as to receive food by scooping, and the body portion 20 elongated from one side. It is formed to extend and includes a handle portion 30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31 for temporarily storing a fluid therein.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음식물에 바디부를 담금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음식물을 저장 공간에 임시 저장하고, 숟가락을 입으로 이동시킨 후 저장 손잡이부를 다시 상방으로 회전시켜 저장 공간에 임시 저장된 음식물을 배출시켜 흘리지 않고 섭취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downward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is immersed in the food to temporarily store the food in the storage space, moves the spoon to the mouth, and then rotates the storage handle upward again to temporarily store the food in the storage space. It can be consumed without spilling food by excreting it.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숟가락(10)은 음식물이 저장 공간(31)으로 이동하도록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patient spoon 1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unit 40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to move the food to the storage space (31).

바디부(20)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원형이나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디부(20)의 중앙부에는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오목하게 수용 공간(2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20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or oval cross-section when viewed from the top, and a receiving space 21 concave downward so that food can be accommod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0 may be formed. .

손잡이부(30)는 바디부(20)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손잡이부(30)의 내부에는 유체가 임시 저장되는 저장 공간(31)이 마련될 수 있다. The handle portion 30 is formed to extend upwardly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20 , and a storage space 31 in which a fluid is temporarily stored may be provided in the handle portion 30 .

저장 공간(31)의 일단, 도 2에서 보았을 때 하단은 바디부(20)의 수용 공간(21)과 연통되고, 저장 공간(31)의 상단측에는 흡입부(40)가 마련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torage space 31, the lower end as seen in FIG. 2 communicates with the receiving space 21 of the body part 20, and the suction part 40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space 31.

흡입부(40)는 천연 고무나 실리콘 고무, 비닐 등 인체에 무해하고,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되는 탄성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ction unit 40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41 manufactured using a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such as natural rubber, silicone rubber, or vinyl,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탄성부재(41)는 손잡이부(3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41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andle portion 30 .

이를 위해, 손잡이부(30)의 저장 공간(31) 상단에는 탄성부재(41)가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돌부(3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upling protrusion 33 may protrude from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space 31 of the handle 30 so that the elastic member 41 can be coupled thereto.

그래서 탄성부재(41)는 결합돌부(3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세척 작업 등 필요에 따라 탈착될 수 있다. So, the elastic member 4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33, and can be detached as needed, such as a cleaning operation.

그리고 손잡이부(30)의 상단부에는 탄성부재(41)를 가압해서 탄성 변형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하나 이상의 커버(32)가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one or more covers 32 may be rotatably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handle portion 30 to be elastically deformed by pressing the elastic member 41 .

예를 들어, 커버(32)는 손잡이부(30)의 전후측 또는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ver 32 may be provided as a pair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r both sides of the handle unit 30 .

한 쌍의 커버(32)는 각각 손잡이부(30)의 상단에 결합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커버(32)는 탄성부재(41)를 가압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서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air of covers 32 may rotate about an ax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andle unit 30 , respectively. The pair of covers 32 are preferably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press or release the elastic member 41 .

그래서 사용자가 한 쌍의 커버(32)에 힘을 가해서 한 쌍의 커버(32)를 가압하면, 한 쌍의 커버(32)는 각각 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해서 탄성부재(41)를 부피가 감소하도록 탄성 변형시킨다. So, when the user applies force to the pair of covers 32 and presses the pair of covers 32, the pair of covers 32 rotate about an axis to reduce the volume of the elastic member 41, respectively. elastically deform.

이에 따라, 탄성부재(41) 내부의 공기가 저장 공간(31)을 통해 바디부(20) 측으로 배출된다. Accordingly, the air inside the elastic member 41 is discharged toward the body 20 through the storage space 31 .

반면, 사용자가 한 쌍의 커버(32)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41)가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수용 공간(21)에 수용된 음식물을 저장 공간(31)으로 흡입하는 흡입력이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removes the force applied to the pair of covers 32 , the elastic member 41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and the suction force for sucking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1 into the storage space 31 is reduced. Occurs.

이어서, 사용자가 한 쌍의 커버(32)를 다시 한 번 가압하면, 저장 공간(31)으로 흡입된 음식물이 수용 공간(21)으로 배출됨에 따라, 사용자는 수용 공간(21)에 수용된 유체를 흘리지 않고 섭취할 수 있다. Then, when the user presses the pair of covers 32 once again, the food sucked into the storage space 31 is discharg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21 , so the user does not spill the fluid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1 . can be consumed without

또는, 커버(32)는 손잡이부(30)의 상단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ver 32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andle unit 30 .

그래서 숟가락(10)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음식물을 섭취하는 동안에는 커버(32)를 탈착하고, 탄성부재(41)를 가압 및 해제하여 음식물을 흡입하고, 다시 가압해서 흡입된 음식물을 배출시켜 섭취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using the spoon 10 can remove the cover 32 while ingesting food, pressurize and release the elastic member 41 to inhale the food, and then pressurize again to discharge the inhaled food and consume it. there is.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커버(32)와 탄성부재(41)는 손잡이부(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는 커버(32)와 탄성부재(41)를 손잡이부(30)로부터 분해해서 쉽게 세척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as the cover 32 and the elastic member 41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portion 30 , the user disassembles the cover 32 and the elastic member 41 from the handle portion 30 . so it can be cleaned easily.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숟가락의 손잡이부 내부에 저장 공간을 마련하고, 스포이드 구조를 응용하여 음식물이나 약물 등의 유체를 흡입해서 저장 공간에 임시 저장한 후, 사용자의 입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저장된 유체를 배출해서 환자가 음식물이나 약물을 흘리지 않고 섭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age space inside the handle of the spoon, sucks a fluid such as food or drug by applying a dropper structure, temporarily stores it in the storage space, and then moves the stored fluid to the user's mouth. This allows the patient to consume without spilling food or drugs.

그리고 본 발명은 손잡이부에 마련된 커버를 탈착해서 탄성부재와 손잡이부 내부의 저장공간을 용이하게 세척함으로써, 숟가락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age the spoon hygienically by easily cleaning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elastic member and the handle by detaching the cover provided on the handle.

[제2 실시 예][Second embodiment]

다음,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숟가락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patient spo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숟가락의 동작 상태도이다. 3 and 4 are each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a spoon for a pati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숟가락(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환자용 숟가락(10)의 구성과 유사하고, 다만 흡입부(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장 공간(31) 내부에서 승강 동작하는 피스톤(4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atient spoon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atient spoon 1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3 and 4, except that the suction unit 40 is It may include a piston 42 that moves up and down in the storage space 31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즉, 피스톤(42)은 저장 공간(31)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손잡이부(30)의 상단측에 마련된 조작레버(43)와 둘 이상의 링크(44)로 연결될 수 있다. That is, the piston 42 is dispos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in a straight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storage space 31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43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handle 30 and two or more links 44 . there is.

조작레버(43)는 손잡이부(30)의 일측에 축 결합되고, 링크(44)를 통해 피스톤(42)과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 operation lever 43 is shaft-coupled to one side of the handle part 30, and in a state connected to the piston 42 through the link 44,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it can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ut the shaft.

손잡이부(30)의 상단에는 손잡이부(30) 내부 공간, 즉 피스톤(42)의 상부 공간과 손잡이부(30) 외부, 대기와의 압력 평형을 유지해서 피스톤(42)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통공(34)이 형성될 수 있다.At the upper end of the handle portion 30, the inner space of the handle portion 30, that is, the upper space of the piston 42 and the outside of the handle portion 30, maintains pressure equilibrium with the atmosphere so that the piston 42 can operate smoothly. Thus, a through hole 34 may be formed.

그래서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레버(43)를 하방으로 회전하도록 조작하면, 피스톤(42)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수용 공간(21)에 수용된 음식물을 저장공간(31) 측으로 흡입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3 ,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lever 43 to rotate downward, the piston 42 moves upward to suck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1 toward the storage space 31 . .

반면,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레버(43)를 상방으로 회전하도록 조작하면, 피스톤(42)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저장 공간(31)에 임시 저장된 음식물을 수용 공간(21) 측으로 배출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lever 43 to rotate upward, the piston 42 moves downward to move the food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space 31 toward the accommodation space 21 . discharge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조작레버에 가해지는 조작에 따라 저장공간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음식물을 흡입 및 배출해서 흘리지 않고 섭취할 수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ston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space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applied to the operation lever, so that food can be sucked and discharged without spilling.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작레버(43)를 회전 동작시켜 피스톤(4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음식물을 흡입 및 배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on lever 43 is rotated by the user's manipulation to move the piston 42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uck and discharge foo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제3 실시 예][Third embodiment]

다음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숟가락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patient spo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숟가락의 동작 상태도이다. 5 and 6 are operation state diagrams of the patient spo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숟가락(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 예에서 설명한 환자용 숟가락(10)의 구성과 유사하고, 수용 공간(21)과 연결되는 저장 공간(31)의 하단을 개폐하는 개폐부재(35)가 마련될 수 있다. The patient spoon 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atient spoon 10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S. 5 and 6 , and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21 . An opening/closing member 3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space 31 may be provided.

그리고 흡입부(40)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 스위치(45) 및 스위치가 조작되면 배터리(도면 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피스톤(4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듈(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ction unit 40 receives power from a battery (not shown) when the switch 45 that receives a user's operation command and the switch is operated, and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move the piston 42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module 46 .

개폐부재(35)는 하나 이상의 링크(44)를 통해 피스톤(42)과 연결될 수 있다. The opening/closing member 35 may be connected to the piston 42 through one or more links 44 .

그래서 개폐부재(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42)의 하강 상태에서는 저장 공간(31)을 개방한다. Therefore, the opening/closing member 35 opens the storage space 31 in the lowered state of the piston 42 as shown in FIG. 5 .

그리고 개폐부재(3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42)이 상승 동작하면 저장 공간(31)에 흡입된 음식물이 수용 공간(21) 측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폐쇄 동작한다. And, as shown in FIG. 6 , when the piston 42 moves upwar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35 operates to close so that the food sucked into the storage space 31 is not discharg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21 .

이어서 개폐부재(35)는 피스톤(42)이 다시 하강하면 저장 공간(31)의 입구를 개방 동작해서 저장 공간(31)에 흡입된 음식물을 수용 공간(21) 측으로 배출한다. Then, when the piston 42 descends again, the opening/closing member 35 opens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31 to discharge the food sucked into the storage space 31 toward the accommodation space 21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손잡이부의 상단측에 소형 모터나 솔레노이드와 같은 구동모듈을 배치하고,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구동모듈에 전원을 공급해서 피스톤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음식물을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driving module such as a small motor or a solenoid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driving modu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to move the pist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uck and discharge food. there is.

그리고 본 발명은 저장공간의 입구측에 개폐 부재를 설치하고,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저장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여 흡입된 음식물의 배출을 방지할 수도 있다.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ening/clos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inlet side of the storage space, and the storage space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iston to prevent discharge of the sucked food.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상기의 실시 예들에서는 수전증 환자나 파킨슨 환자가 음식물을 섭취하는 숟가락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환자뿐만 아니라, 고령자나 유아와 같이 숟가락 이용이 어려운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변경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configuration of a spoon for a handicap patient or a Parkinson's patient to consume food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so that it can be used not only by patients but also by users who have difficulty using a spoon, such as the elderly or infants.

그리고 본 발명은 음식물뿐만 아니라, 물약이나 가루약과 물을 혼합한 약물 등 다양한 유체를 흡입 및 배출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to suck and discharge various fluids, such as a potion or a mixture of a powdered drug and water, as well as food.

본 발명은 수전증 환자나 파킨슨 환자, 고령자, 유아와 같이 숟가락 이용이 어려운 사용자가 음식물이나 약물을 흘리지 않고 섭취할 수 있는 환자용 숟가락 기술에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atient spoon technology that allows a user who has difficulty using a spoon, such as a handicap patient, a Parkinson's patient, the elderly, or an infant, to consume without spilling food or drugs.

10: 환자용 숟가락
20: 바디부 21: 수용 공간
30: 손잡이부 31: 저장 공간
32: 커버 33: 결합돌부
34: 통공 35: 개폐부재
40: 흡입부 41: 탄성부재
42: 피스톤 43: 조작레버
44: 링크 45: 스위치
46: 구동모듈
10: Patient spoon
20: body portion 21: accommodation space
30: handle 31: storage space
32: cover 33: coupling protrusion
34: through hole 35: opening and closing member
40: suction unit 41: elastic member
42: piston 43: operation lever
44: link 45: switch
46: drive module

Claims (7)

음식물을 떠서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서 길게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유체를 임시 저장하는 저장 공간이 마련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숟가락.
a body portion concavely formed to scoop and receive food; and
Patient spoon,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includes a handle portion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for temporarily storing the fluid there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을 상기 저장 공간으로 이동시키도록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숟가락.
According to claim 1,
Patient spo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ction unit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to move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dy portion to the storage sp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저장공간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음식물을 흡입 및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숟가락.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ction unit includes an elastic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space,
The elastic member is a patient spoon, characterized in that it sucks and discharges food while elastically deformed by a user's manipul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 가능하도록, 축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커버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장공간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숟가락.
4. The method of claim 3,
At least one cover rotating about an axis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andle to pressurize the elastic member,
Patient spo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to which the elastic member is coupled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sp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저장 공간 내부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 동작해서 상기 피스톤을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숟가락.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ction unit includes a piston and
Patient spoon, characterized in that it rotates by the user's operation and comprises an operation lever for linearly reciprocating the pist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저장 공간 내부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피스톤을 직선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숟가락.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ction unit is a piston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to reciprocate linearly,
a switch that receives a user's operation command; and
Patient spo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ing module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move the piston linearly reciprocating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ignal input through the switch.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공간에는 상기 수용 공간과 연결되는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피스톤과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의 직선 이동에 따라 개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숟가락.
7. The method of claim 5 or 6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entrance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i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piston and a link, the patient spo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piston.
KR1020200143295A 2020-10-30 2020-10-30 Spoon for patient KR1025027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295A KR102502750B1 (en) 2020-10-30 2020-10-30 Spoon for pat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295A KR102502750B1 (en) 2020-10-30 2020-10-30 Spoon for pati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034A true KR20220058034A (en) 2022-05-09
KR102502750B1 KR102502750B1 (en) 2023-02-23

Family

ID=8158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295A KR102502750B1 (en) 2020-10-30 2020-10-30 Spoon for pati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750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325A (en) 2015-08-06 2017-02-15 박준호 Spoon for Parkinson's disease
KR20170032967A (en) * 2015-09-16 2017-03-24 강성일 Spuit type tea spoon
KR101855572B1 (en) 2016-04-26 2018-05-04 박지수 Spoon for a patient
KR20190068809A (en) 2017-12-11 2019-06-19 김예슬 Spoons for patients with tremor
KR102089208B1 (en) * 2019-03-22 2020-03-13 현대제철 주식회사 Apparatus for passing fluid of gas holder
CN210185234U (en) * 2019-07-03 2020-03-27 张阿利 Postoperative patient is with feeding spoon
CN210446559U (en) * 2019-08-16 2020-05-05 广西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Quantitative feeder
CN210873117U (en) * 2018-11-14 2020-06-30 淄博职业学院 High-efficiency medical food aid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325A (en) 2015-08-06 2017-02-15 박준호 Spoon for Parkinson's disease
KR20170032967A (en) * 2015-09-16 2017-03-24 강성일 Spuit type tea spoon
KR101855572B1 (en) 2016-04-26 2018-05-04 박지수 Spoon for a patient
KR20190068809A (en) 2017-12-11 2019-06-19 김예슬 Spoons for patients with tremor
CN210873117U (en) * 2018-11-14 2020-06-30 淄博职业学院 High-efficiency medical food aid
KR102089208B1 (en) * 2019-03-22 2020-03-13 현대제철 주식회사 Apparatus for passing fluid of gas holder
CN210185234U (en) * 2019-07-03 2020-03-27 张阿利 Postoperative patient is with feeding spoon
CN210446559U (en) * 2019-08-16 2020-05-05 广西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Quantitative fee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750B1 (en)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7749B1 (en) Manual breastpump with stimulation feature
US7789865B2 (en) Breast cup with an internal vacuum chamber for a hands-free breast pump
US7758540B2 (en) Breast pump
AU2002316283B2 (en) System for a portable hands-free breast pump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AU2010243626B2 (en) Nasal aspirator
EP1885321B1 (en) Inflatable container for feeding babies
WO1996034638A1 (en) Foot-powered breastmilk pump with removable piston pump
CN101267795A (en) Automatic feeding/phlegm extraction device
NO317311B1 (en) Manual breast pump
KR20220058034A (en) Spoon for patient
US5133485A (en) Liquid food pot
KR101932346B1 (en) Spout cup with a straw
JP3993928B2 (en) Suction pressure pulsating breast pump
KR20000020641U (en) flexble nursing bottle for babies
JP2001258911A (en) Vacuum device, water supply device and cleaning device for oral cavity
CN1528259A (en) Multifuncational medicine administering and feeding device
US20220225806A1 (en) Spill resistant feeding device
JP2001037766A (en) Suck out device
US20080318181A1 (en) Buccodental Hygiene Apparatus and Disposable Unit
US20210338534A1 (en) Food storage system
GB2594469A (en) Spill resistant feeding device
CN2693229Y (en) Multifunctional medicine and food feeding device
GB2588166A (en) Spill resistant feeding device
JP3095863U (en) Nasal suction suction removal device
EP3689321A1 (en) Teat for use with a container for containing liq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