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776A -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 - Google Patents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776A
KR20220057776A KR1020200142779A KR20200142779A KR20220057776A KR 20220057776 A KR20220057776 A KR 20220057776A KR 1020200142779 A KR1020200142779 A KR 1020200142779A KR 20200142779 A KR20200142779 A KR 20200142779A KR 20220057776 A KR20220057776 A KR 20220057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edge
joint body
joint
taper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현
한재봉
김희재
박승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림
신상현
한재봉
김희재
한국소방산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림, 신상현, 한재봉, 김희재, 한국소방산업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림
Priority to KR102020014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7776A/ko
Publication of KR20220057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7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 F16L37/0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with an elastic outer part pressing against an inner part by reason of its elast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는,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어 내부로 유체가 흐르는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와, 상기 제1 파이프의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며 제2 파이프가 슬라이딩 삽입됨으로써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가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조인트와, 상기 제2 파이프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2 파이프가 슬라이딩 조인트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2 파이프의 끝단에 의하여 슬라이딩 조인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파이프가 슬라이딩을 통하여 간단히 결합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easily combinable pipe}
본 발명은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파이프 중 어느 하나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결합 가능한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라함은 유체를 수송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파이프는 특정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유체를 이송하는 것인 만큼 길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제조 또는 이송 여건에 따라 너무 긴 길이의 파이프의 제조는 불가한 것이다.
하여, 서로 다른 파이프를 연결함으로써 특정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유체를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연결구가 개발되어 개시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 특허 제10-1422333호에서는, 커플링결합구를 갖는 두개의 커플링을 구비함으로써 서로 다른 파이프를 보다 편리하게 연결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파이프연결구는, 서로 다른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하여 나사 체결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시공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422333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서로 다른 파이프 중 어느 하나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결합 가능한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어 내부로 유체가 흐르는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와, 상기 제1 파이프의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며 제2 파이프가 슬라이딩 삽입됨으로써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가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조인트와, 상기 제2 파이프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2 파이프가 슬라이딩 조인트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2 파이프의 끝단에 의하여 슬라이딩 조인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 조인트는, 상기 제2 파이프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는 조인트 몸체와, 상기 조인트 몸체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가 결합됨에 있어서 기밀을 유지하는 씰링 부재와, 상기 씰링 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며 씰링 부재가 안착 설치되도록 하는 보호 부재와, 상기 조인트 몸체 내부에 구비되며 조인트 몸체 내부로 삽입되는 제2 파이프가 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쐐기와, 상기 씰링 부재와 쐐기 사이에 구비되며 쐐기를 항시 일측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인트 몸체는, 상기 조인트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쐐기 및 탄성 부재에 의하여 조인트 몸체 내부로 삽입되는 제2 파이프의 삽입은 가능하면서도 인출은 차단되도록 하는 제1 테이퍼부와, 상기 제2 파이프가 조인트 몸체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조인트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쐐기 및 탄성 부재와 씰링 부재 및 보호 부재의 밀림 이동을 방지하는 제2 테이퍼부와, 상기 제2 파이프가 조인트 몸체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2 파이프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는 제3 테이퍼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쐐기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조인트 몸체 내부로 삽입된 제2 파이프가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쐐기 부재와, 상기 쐐기 부재와 결합됨으로써 복수개의 쐐기 부재가 일체를 이루도록 함과 더불어 외륜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쐐기 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쐐기 부재의 외륜은 제1 테이퍼부와 대응되도록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쐐기 부재의 내륜에는 조인트 몸체 내부로 삽입된 제2 파이프를 고정하는 돌기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쐐기 링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 부재는,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며 외형을 이루는 커버 몸체와, 상기 커버 몸체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걸림단과, 상기 걸림단과 커버 몸체 사이에 복수개로 형성되며 걸림단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걸림단이 형성되는 커버 몸체의 끝단은 제3 테이퍼부와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부재와 쐐기 사이에는, 상기 탄성 부재가 쐐기를 가압함에 있어서 탄성 부재의 가압력이 쐐기에 균등하게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압 링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파이프에 슬라이딩 조인트가 구비됨에 따라 제2 파이프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호 부재 및 커버 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씰링 부재의 손상 또는 변형은 방지되게 되며, 이를 통해 결합되는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 간의 기밀은 항시 유지할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딩 조인트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 파이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쐐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버 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딩 조인트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 파이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쐐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버 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는,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어 내부로 유체가 흐르는 제1 파이프(10) 및 제2 파이프(20)와 상기 제1 파이프(10)의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며 제2 파이프(20)가 슬라이딩 삽입됨으로써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가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조인트(30)와, 상기 제2 파이프(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2 파이프(20)가 슬라이딩 조인트(30)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2 파이프(20)의 끝단에 의하여 슬라이딩 조인트(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부재(6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파이프(10) 및 제2 파이프(20)는, 길이 방향(도 1에서 좌우)으로 길게 이루어지는 원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됨으로써 내부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파이프(10)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에는 슬라이딩 조인트(30)가 구비되며, 본 발명에서는 우측단(도 1에서)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 조인트(30)는, 상기 제2 파이프(20)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는 조인트 몸체(100)와, 상기 조인트 몸체(100)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가 결합됨에 있어서 기밀을 유지하는 씰링 부재(200)와, 상기 씰링 부재(2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며 씰링 부재(200)가 안착 설치되도록 하는 보호 부재(300)와, 상기 조인트 몸체(100) 내부에 구비되며 조인트 몸체(100) 내부로 삽입되는 제2 파이프(20)가 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쐐기(400)와, 상기 씰링 부재(200)와 쐐기(400) 사이에 구비되며 쐐기(400)를 항시 일측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5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인트 몸체(100)는, 슬라이딩 조인트(3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며,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 기둥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조인트 몸체(100)는 상기 조인트 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쐐기(400) 및 탄성 부재(500)에 의하여 조인트 몸체(100) 내부로 삽입되는 제2 파이프(20)의 삽입은 가능하면서도 인출은 차단되도록 하는 제1 테이퍼부(110)와, 상기 제2 파이프(20)가 조인트 몸체(100)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조인트 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쐐기(400) 및 탄성 부재(500)와, 씰링 부재(200) 및 보호 부재(300)의 밀림 이동을 방지하는 제2 테이퍼부(120)와 상기 제2 파이프(20)가 조인트 몸체(100)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2 파이프(20)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는 제3 테이퍼부(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조인트 몸체(100)에는 제1 테이퍼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테이퍼부(110)는, 상기 조인트 몸체(100)의 우측부(도 3에서)에 형성되는 것으로, 조인트 몸체(100)의 우측부(도 3에서)로부터 좌측(도 3에서) 방향으로 점차 상향(도 3에서 상단)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번 더 설명하면, 제1 테이퍼부(110)는 상기 조인트 몸체(100)의 우측부(도 3에서)로부터 좌측(도 3에서)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테이퍼부(110)는 조인트 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쐐기(400)에 의하여 조인트 몸체(100) 내부로 삽입된 제2 파이프(20)가 외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더불어, 상기 조인트 몸체(100)에는 제2 테이퍼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테이퍼부(120)는, 상기 조인트 몸체(100)의 좌측부(도 3에서)에 형성되는 것으로, 조인트 몸체(100)의 좌측부(도 3에서)로부터 우측(도 3에서) 방향으로 점차 상향(도 3에서 상단) 경상지게 형성된다.
한번 더 설명하면, 제2 테이퍼부(120)는 상기 조인트 몸체(100)의 좌측부(도 3에서)로부터 우측(도 3에서)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테이퍼부(120)는 조인트 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쐐기(400) 및 탄성 부재(500)와 씰링 부재(200) 및 보호 부재(300)가 좌측(도 3에서)으로 밀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조인트 몸체(100)에는 제3 테이퍼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제3 테이퍼부(130)는, 상기 조인트 몸체(100)의 좌측부(도 3에서)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2 테이퍼부(120)의 좌측(도 3에서)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3 테이퍼부(130)는 조인트 몸체(100)의 좌측부(도 3에서)로부터 우측(도 3에서) 방향으로 점차 상향(도 3에서 상단)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번 더 설명하면, 제3 테이퍼부(130)는 상기 조인트 몸체(100)의 좌측부(도 3에서)로부터 우측(도 3에서)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며, 제2 테이퍼부(120)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3 테이퍼부(130)는 조인트 몸체(100) 내부로 삽입되는 제2 파이프(20)가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2 파이프(2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인트 몸체(100)는, 조인트 몸체(100)의 우측부(도 3에서)에는 제1 테이퍼부(110)가 형성되고, 제1 테이퍼부(110)의 좌측(도 3에서)에는 제2 테이퍼부(120)와 제3 테이퍼부(130)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더불어, 제1 테이퍼부(110)와 제2 테이퍼부(120)와 제3 테이퍼부(130)는 조인트 몸체(100)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조인트 몸체(100)의 우측단(도 3에서)은 제1 테이퍼부(110)에 의하여 좌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증가하며, 제1 테이퍼부(110)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2 테이퍼부(120) 및 제3 테이퍼부(130)에 의하여 직경이 점차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2 테이퍼부(120) 및 제3 테이퍼부(130)가 경사지게 구성되었으나, 제2 테이퍼부(120) 및 제3 테이퍼부(130)는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고 절곡되게 이루어져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조인트 몸체(100) 내부에는 보호 부재(300)가 구비된다.
상기 보호 부재(300)는, 제2 테이퍼부(120)가 형성된 부분에 위치된다.
이러한, 보호 부재(300)는 원형 링(ring)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2 테이퍼부(120)의 우측(도 3에서)에 위치함으로써 조인트 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씰링 부재(2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제2 파이프(2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2 파이프(20)에 의한 씰링 부재(2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보호 부재(30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보호 부재(300)의 우측에는 씰링 부재(200)가 구비된다.
상기 씰링 부재(200)는, 원형 링(ring)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가 결합됨에 있어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 간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체로 이루어짐을 예로 한다.
따라서, 씰링 부재(200)는 조인트 몸체(100) 내부로 삽입되는 제2 파이프(20)의 단면에 의하여 찢겨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을 것이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 부재(300)가 씰링 부재(200)의 양면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씰링 부재(200)는 서로 다른 보호 부재(30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가장 좋다.
더불어,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가 슬라이딩 조인트(30)에 의하여 결합될 경우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 의하여 제1 파이프(10) 및 제2 파이프(20)의 내부에는 약 50bar 이상의 고압이 작용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조인트 몸체(100) 내부에 두개의 씰링 부재(200)를 구비하는 것을 그 예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두개의 씰링 부재(200)가 구비되고, 이 두개의 씰링 부재(200)를 보호하기 위하여 3개의 보호 부재(300)가 구비된다.
이 때, 보호 부재(300)와 씰링 부재(200)가 순차적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씰링 부재(200)는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며, 두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조인트 몸체(100) 내부에는 쐐기(400)가 구비된다.
상기 쐐기(400)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조인트 몸체(100) 내부로 삽입된 제2 파이프(20)가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쐐기 부재(410)와, 상기 쐐기 부재(410)와 결합됨으로써 복수개의 쐐기 부재(410)가 일체를 이루도록 함과 더불어 외륜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쐐기 링(4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쐐기 부재(410)의 외륜은 제1 테이퍼부(110)와 대응되도록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쐐기 부재(410)의 내륜에는 조인트 몸체(100) 내부로 삽입된 제2 파이프(20)를 고정하는 돌기(411)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쐐기 링(420)이 안착되는 안착홈(412)이 더 형성된다.
상기 쐐기 부재(410)는, 조인트 몸체(100) 내부로 삽입된 제2 파이프(20)가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쐐기 부재(410)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그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더불어, 쐐기 부재(410)의 외륜은 제1 테이퍼부(110)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자세히 설명하면 우측단(도 5에서)으로부터 좌측단으로 갈수록 점차 외경이 넓어지게 형성된다.
즉,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 부재(410)의 외륜은 제1 테이퍼부(110)와 대응되도록 우측단으로부터 좌측단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도 5에서 상단)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쐐기 부재(410)의 내륜부는 수평되게 형성됨으로써 쐐기 부재(410)는 내부가 중공된 원추 일부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쐐기 부재(410)의 내륜에는 조인트 몸체(100) 내부로 삽입된 제2 파이프(20)를 고정하는 돌기(411)가 쐐기 부재(410)의 내륜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돌기(411)는, 우측(도 5에서 상단)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우측(도 5에서)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도 5에서 상단)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돌기(411)는 복수개로 형성됨으로써 조인트 몸체(100) 내부로 삽입된 제2 파이프(20)가 인출되지 않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처럼, 돌기(411)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방향에 의하여 조인트 몸체(100) 내부로 삽입되는 제2 파이프(20)의 삽입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인출은 차단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쐐기 부재(410)의 내륜에는 안착홈(41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412)은, 쐐기 부재(410)의 내륜 중앙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쐐기 링(42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안착홈(412)은 쐐기 링(4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안착홈(412)에 삽입되는 쐐기 링(420)이 구비된다.
상기 쐐기 링(420)은, 원형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일면이 개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확장 및 축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쐐기 링(420)은 쐐기 부재(410)에 형성되는 안착홈(412)에 삽입됨으로써 복수개의 쐐기 부재(410)와 결합되어 복수개의 쐐기 부재(410)가 일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쐐기(400)에 의하여 조인트 몸체(100) 내부로 삽입되는 제2 파이프(20)의 인출은 제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조인트 몸체(100) 내부에는 탄성 부재(50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 부재(500)는, 조인트 몸체(100) 내부에서 쐐기(400) 와 보호 부재(30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쐐기(400)가 항시 우측(도 3에서)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 부재(500)는 스프링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판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
이와 같은, 탄성 부재(500)에 의하여 쐐기(400)는 제1 테이퍼부(110)를 통해 조인트 몸체(100) 내부로 삽입된 제2 파이프(20)를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500)와 쐐기(400) 사이에는, 상기 탄성 부재(500)가 쐐기(400)를 가압함에 있어서 탄성 부재(500)의 가압력이 쐐기(400)에 균등하게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압 링(7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가압 링(700)은, 원형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탄성 부재(500)와 쐐기(40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압 링(700)은 탄성 부재(500)의 가압력이 쐐기(400)에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탄성 부재(500)에 의한 가압력이 쐐기(400)에 균일하게 가해지지 않을 경우 쐐기(400)가 조인트 몸체(100) 내부에서 기울어지거나, 조인트 몸체(100)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이탈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슬라이딩 조인트(30) 내부로 삽입되는 제2 파이프(20)의 끝단에는 커버 부재(60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 부재(600)는,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며 외형을 이루는 커버 몸체(610)와, 상기 커버 몸체(6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걸림단(620)과, 상기 걸림단(620)과 커버 몸체(610) 사이에 복수개로 형성되며 걸림단(620)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리브(6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걸림단(620)이 형성되는 커버 몸체(610)의 끝단은 제3 테이퍼부(130)와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 몸체(610)는, 내부가 중공된 원형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커버 부재(600)의 외형을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커버 몸체(610)의 좌측단(도 6에서)에는 걸림단(62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620)은, 커버 몸체(610)의 좌측단(도 6에서)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걸림단(620)은 커버 몸체(610)가 제2 파이프(20)와 결합될 경우 커버 몸체(610)가 제2 파이프(20)의 끝단에 걸림으로써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걸림단(620)에 의하여 커버 몸체(610)는 제2 파이프(20)의 끝단에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걸림단(620)에는 리브(630)가 더 형성된다.
상기 리브(630)는, 걸림단(620)과 커버 몸체(610)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걸림단(620)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리브(630)는 걸림단(620)과 커버 몸체(610) 사이에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리브(630)가 형성됨으로써 제2 파이프(20)의 끝단에 커버 부재(600)가 구비된 채로 제2 파이프(20)가 슬라이딩 조인트(30) 내부로 삽입됨에 있어 걸림단(620)의 변형 또는 파손은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즉, 커버 부재(600)는 제2 파이프(20)와 함께 슬라이딩 조인트(30)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커버 부재(600)는 제2 파이프(20)가 슬라이딩 조인트(30)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씰링 부재(2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가 결합됨에 있어 기밀은 항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에 의하여 제2 파이프(20)는
제1 파이프(10)에 구비된 슬라이딩 조인트(30)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손쉽게 제1 파이프(10)와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에서는 제1 파이프에 슬라이딩 조인트가 구비됨에 따라 제2 파이프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에서는 보호 부재 및 커버 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씰링 부재의 손상 또는 변형은 방지되게 되며, 이를 통해 결합되는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 간의 기밀은 항시 유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제1 파이프 20. 제2 파이프
30. 슬라이딩 조인트 100. 조인트 몸체
110. 제1 테이퍼부 120. 제2 테이퍼부
130. 제3 테이퍼부 200. 씰링 부재
300. 보호 부재 400. 쐐기
410. 쐐기 부재 411. 돌기
412. 안착홈 420. 쐐기 링
500. 탄성 부재 600. 커버 부재
610. 커버 몸체 620. 걸림단
630. 리브 700. 가압 링

Claims (5)

  1.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어 내부로 유체가 흐르는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
    상기 제1 파이프의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며, 제2 파이프가 슬라이딩 삽입됨으로써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가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조인트;
    상기 제2 파이프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2 파이프가 슬라이딩 조인트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2 파이프의 끝단에 의하여 슬라이딩 조인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조인트는,
    상기 제2 파이프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는 조인트 몸체;
    상기 조인트 몸체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가 결합됨에 있어서 기밀을 유지하는 씰링 부재;
    상기 씰링 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며, 씰링 부재가 안착 설치되도록 하는 보호 부재;
    상기 조인트 몸체 내부에 구비되며, 조인트 몸체 내부로 삽입되는 제2 파이프가 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쐐기;
    상기 씰링 부재와 쐐기 사이에 구비되며, 쐐기를 항시 일측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몸체는,
    상기 조인트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쐐기 및 탄성 부재에 의하여 조인트 몸체 내부로 삽입되는 제2 파이프의 삽입은 가능하면서도 인출은 차단되도록 하는 제1 테이퍼부;
    상기 제2 파이프가 조인트 몸체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조인트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쐐기 및 탄성 부재와, 씰링 부재 및 보호 부재의 밀림 이동을 방지하는 제2 테이퍼부;
    상기 제2 파이프가 조인트 몸체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2 파이프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는 제3 테이퍼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조인트 몸체 내부로 삽입된 제2 파이프가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쐐기 부재;
    상기 쐐기 부재와 결합됨으로써 복수개의 쐐기 부재가 일체를 이루도록 함과 더불어 외륜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쐐기 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쐐기 부재의 외륜은 제1 테이퍼부와 대응되도록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쐐기 부재의 내륜에는 조인트 몸체 내부로 삽입된 제2 파이프를 고정하는 돌기;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쐐기 링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며, 외형을 이루는 커버 몸체;
    상기 커버 몸체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걸림단;
    상기 걸림단과 커버 몸체 사이에 복수개로 형성되며, 걸림단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걸림단이 형성되는 커버 몸체의 끝단은 제3 테이퍼부와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
KR1020200142779A 2020-10-30 2020-10-30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 KR202200577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779A KR20220057776A (ko) 2020-10-30 2020-10-30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779A KR20220057776A (ko) 2020-10-30 2020-10-30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776A true KR20220057776A (ko) 2022-05-09

Family

ID=81583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779A KR20220057776A (ko) 2020-10-30 2020-10-30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777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333B1 (ko) 2012-04-03 2014-07-22 (주) 대영벤드 파이프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333B1 (ko) 2012-04-03 2014-07-22 (주) 대영벤드 파이프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7309B1 (en) Method and forming element for producing a press connection between a fitting and a pipe and being inserted into the reception of the fitting
EP2282101B1 (en) Male push lock pipe connection system
KR100904419B1 (ko) 패킹을 이용한 관 이음장치
ES2226720T3 (es) Ensamblajes de acoplamiento para suministrar una conexion de fluido.
EP1688197A2 (en) Resin tube joint with reinforcing ring
HUT52223A (en) Joint piece for corrugated metal tub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joint piece
KR101916892B1 (ko) 패스트 그루브 조인트
JP6526144B2 (ja) グルーブ式管継手アダプター
US5472244A (en) Plastic coupling for plastic tubing
KR102047934B1 (ko) 배관 연결구조
US20090121478A1 (en) Male-Female member assembly
US20220373113A1 (en) Coupling assembly for pipe connection
US6837525B2 (en) Tube connecting structure
EP1366318B1 (en) Coupling for connection of a tube or hose by pushing-in
KR20060122777A (ko) 결합되는 2개의 유체 라인의 동축방향 단부 부분에 대한연결 시스템
KR20140049653A (ko) 배관 연결장치
US6302148B1 (en) Coupling device
KR20220057776A (ko) 결합이 용이한 파이프
JP5111212B2 (ja) 通水管の接続具
KR101788002B1 (ko) 파이프용 커플링
KR102212168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US6543817B1 (en) Process for forming radially upset tube flange and tube connector assembly formed thereby
ES2263411T3 (es) Elemento de conexion con una pieza de plastico.
KR100569710B1 (ko) 원터치 방식의 관부재 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