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739A - 온라인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739A
KR20220057739A KR1020200142700A KR20200142700A KR20220057739A KR 20220057739 A KR20220057739 A KR 20220057739A KR 1020200142700 A KR1020200142700 A KR 1020200142700A KR 20200142700 A KR20200142700 A KR 20200142700A KR 20220057739 A KR20220057739 A KR 20220057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core
game
match
sco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웅재
Original Assignee
최웅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웅재 filed Critical 최웅재
Priority to KR1020200142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7739A/ko
Publication of KR20220057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6Means for conducting or scheduling competition, league, tournaments or rank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97Reserv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으로,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부, 사용자가 요청한 스코어 또는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가 요청하는 예약 시간 및 제어권한을 관리하는 예약 관리부, 사용자가 예약한 경기의 코트와 예약정보를 매칭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기 위한 코트 관리부, 사용자가 요청한 스코어를 필터링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는 스코어링부, 사용자 및 경기 참여자를 포함한 팀을 관리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풀을 관리하는 팀 관리부, 경기에 참여한 개인 기록 및 팀 기록을 관리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기록 관리부, 스코어링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경기 중 접전 중인 경기에 대한 하이라이트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경기 중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Online multi scoring system}
본 발명은 온라인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온라인으로 경기의 스코어보드의 스코링할 수 있는 온라인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 경기에 있어서 팀, 득점 상황, 경기 시간, 타임 시간, 서브권 등 스포츠 경기를 함에 있어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통상 '점수판'이라 일컫는 스코어보드는 경기의 진행 상황을 표시하여 경기 진행 상황을 객관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보조 수단으로 스포츠 경기를 함에 있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스포츠 경기에 특화된 축구장, 야구장, 농구장, 배구장과 같은 경기장에는 전자식 스코어보드가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식 스코어보드는 중앙 제어실 또는 경기장 관리자 등의 경기에 참석하지 않는 제3자가 스코어보드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다.
이에 경기의 특성, 경기의 룰을 잘 모르는 제3자가 스코링을 하거나, 사용자가 해당 경기의 특성, 경기의 상황 등에 따라서 스코어보드를 제어하지 못하여 스코어보드가 단순히 점수판으로의 역할만을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스코어보드의 제어관점과 활용관점에서 드러다는 문제점의 해결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4243호(2013.01.14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5861호(2016.02.15 등록)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온라인으로 경기의 스코어보드의 스코링 하고, 스코어보드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온라인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은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부;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스코어 또는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용자가 요청하는 예약 시간 및 제어권한을 관리하는 예약 관리부; 상기 사용자가 예약한 경기의 코트와 예약정보를 매칭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기 위한 코트 관리부;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스코어를 필터링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는 스코어링부; 사용자 및 경기 참여자를 포함한 팀을 관리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풀을 관리하는 팀 관리부; 경기에 참여한 개인 기록 및 팀 기록을 관리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기록 관리부; 상기 스코어링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경기 중 접전 중인 경기에 대한 하이라이트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경기 중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경기 중계부는 접전 중인 경기에 대해서 디스플레이부에 하이라이트 영상을 제공하도록 접전 중인 경기를 선택한다. 이 때, 상기 접전 중인 경기는 1) 샘플링시 마다 점수 변동 폭에 따른 가중치 A 부여하고, 팀당 증가된 점수의 폭을 모두 합친 값 A1 및 각 팀당 점수폭의 차에서 높은 측에서 낮은측 값을 뺀 A2 인 경우, 가중치 A는 “(A1*0.5) + A2” 식으로 계산되고, 2) 현재 점수가 높을수록 가중치 B 부여하되, 현재 경기 목록 개수를 B1, 현재 점수를 B2로 입력받아, 가중치 B는 “B2 / B1” 식으로 계산되고, 3) 점수차가 적을 수록 가중치 C 부여하되, 현재 경기 목록 개수 C1, 현재 점수차 C2로 입력받아, 가중치 C는 “C1 / C2” 식으로 계산되어, 정렬된 코트 중 가중치 A+B+C가 가장 높은 경기에 하이라이트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온라인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경기 참여자 중 한 명이 직접 스코어보드를 제어함으로써, 경기 결과를 실시간으로 스코어링 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온라인으로 스코어보드를 제어함으로써, 장소에 제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셋째, 스코어보드를 점수판, 동영상, 하이라이트 재생 등 다양하게 활용하여, 스코어보드의 기능을 다양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온라인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온라인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으로, 사용자 관리부, 디스플레이부, 예약 관리부, 코트 관리부, 스코어링부, 팀 관리부, 기록 관리부, 경기 중계부를 포함한다.
사용자 관리부는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관리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가 요청한 스코어 또는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한다.
예약 관리부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예약 시간 및 제어권한을 관리한다.
코트 관리부는 사용자가 예약한 경기의 코트와 예약정보를 매칭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한다.
스코어링부는 사용자가 요청한 스코어를 필터링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한다.
팀 관리부는 사용자 및 경기 참여자를 포함한 팀을 관리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풀을 관리한다.
기록 관리부는 경기에 참여한 개인 기록 및 팀 기록을 관리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한다.
경기 중계부는 경기 중 접전 중인 경기에 대한 하이라이트 영상을 제공한다. 특히, 접전 중인 경기에 대해서 디스플레이부에 하이라이트 영상을 제공하도록 접전 중인 경기를 선택한다.
이 때, 상기 접전 중인 경기는 1) 샘플링시 마다 점수 변동 폭에 따른 가중치 A 부여하고, 팀당 증가된 점수의 폭을 모두 합친 값 A1 및 각 팀당 점수폭의 차에서 높은 측에서 낮은측 값을 뺀 A2 인 경우, 가중치 A는 “(A1*0.5) + A2” 식으로 계산되고, 2) 현재 점수가 높을수록 가중치 B 부여하되, 현재 경기 목록 개수를 B1, 현재 점수를 B2로 입력받아, 가중치 B는 “B2 / B1” 식으로 계산되고, 3) 점수차가 적을 수록 가중치 C 부여하되, 현재 경기 목록 개수 C1, 현재 점수차 C2로 입력받아, 가중치 C는 “C1 / C2” 식으로 계산되어, 정렬된 코트 중 가중치 A+B+C가 가장 높은 경기에 하이라이트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온라인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을 통하여, 경기 참여자 중 한 명이 직접 스코어보드를 제어함으로써, 경기 결과를 실시간으로 스코어링 하고, 사용자가 온라인으로 스코어보드를 제어함으로써, 장소에 제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코어보드를 점수판, 동영상, 하이라이트 재생 등 다양하게 활용하여, 스코어보드의 기능을 다양하게 확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부;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스코어 또는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용자가 요청하는 예약 시간 및 제어권한을 관리하는 예약 관리부;
    상기 사용자가 예약한 경기의 코트와 예약정보를 매칭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기 위한 코트 관리부;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스코어를 필터링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는 스코어링부;
    사용자 및 경기 참여자를 포함한 팀을 관리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풀을 관리하는 팀 관리부;
    경기에 참여한 개인 기록 및 팀 기록을 관리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기록 관리부;
    상기 스코어링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경기 중 접전 중인 경기에 대한 하이라이트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경기 중계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 중계부는
    접전 중인 경기에 대해서 디스플레이부에 하이라이트 영상을 제공하도록 접전 중인 경기를 선택하고,
    상기 접전 중인 경기는
    1) 샘플링시 마다 점수 변동 폭에 따른 가중치 A 부여하고, 팀당 증가된 점수의 폭을 모두 합친 값 A1 및 각 팀당 점수폭의 차에서 높은 측에서 낮은측 값을 뺀 A2 인 경우, 가중치 A는 “(A1*0.5) + A2” 식으로 계산되고,
    2) 현재 점수가 높을수록 가중치 B 부여하되, 현재 경기 목록 개수를 B1, 현재 점수를 B2로 입력받아, 가중치 B는 “B2 / B1” 식으로 계산되고,
    3) 점수차가 적을 수록 가중치 C 부여하되, 현재 경기 목록 개수 C1, 현재 점수차 C2로 입력받아, 가중치 C는 “C1 / C2” 식으로 계산되어,
    정렬된 코트 중 가중치 A+B+C가 가장 높은 경기에 하이라이트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
KR1020200142700A 2020-10-30 2020-10-30 온라인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 KR20220057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700A KR20220057739A (ko) 2020-10-30 2020-10-30 온라인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700A KR20220057739A (ko) 2020-10-30 2020-10-30 온라인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739A true KR20220057739A (ko) 2022-05-09

Family

ID=81582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700A KR20220057739A (ko) 2020-10-30 2020-10-30 온라인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773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243B1 (ko) 2012-04-20 2013-01-21 김성재 스코어보드의 게임운영정보 제어시스템
KR101595861B1 (ko) 2014-03-19 2016-02-26 주식회사 코런 다양한 스포츠 경기의 스코어를 출력하는 전광판형 전자식 멀티 스코어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243B1 (ko) 2012-04-20 2013-01-21 김성재 스코어보드의 게임운영정보 제어시스템
KR101595861B1 (ko) 2014-03-19 2016-02-26 주식회사 코런 다양한 스포츠 경기의 스코어를 출력하는 전광판형 전자식 멀티 스코어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127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ultiple user support for shared user equipment in a fantasy sports contest application
US20080268929A1 (en) Game representing real sporting event with play call feature
KR100435582B1 (ko) 스포츠경기의 심판 판정과 코칭스테프의 경기운영에 관한 인터넷을 이용한 공정성 평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104329B2 (en) Sports entertainment apparatus
Scelles et al. Economic model of a professional football club in France
Silk et al. Bread, butter and gravy: An institutional approach to televised sport production
US9421457B2 (en) Sports entertainment display surface
US9744424B1 (en) Scheduling system
KR20220057739A (ko) 온라인 다중 스코어링 시스템
Manev et al. Role of knowledge management in sport organizations
Galily et al. Cultural imperialism and sport: The Americanization of Israeli basketball
Hernandez All quiet on the digital front: The NCAA's wide discretion in regulating social media
US20090085297A1 (en) Tempt Destiny interactive sports game method
Blanco et al. College basketball governance in the Philippines: actors, stakeholders, issues, and challenges
Borel-Hänni Information through a lens: Media and journalists’ social responsibility towards French football referees
US20200254324A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of conducting a contest
JP6943080B2 (ja) 映像管理システム、映像管理方法、及び映像管理プログラム
KR20040063408A (ko) 축구경기 분석시스템
Story Deflating Amateurism: How College Basketball's Bubble Consideration Undermines the NCAA's Principle of Amateurism
Schroeder From JFK to Trump: The evolution of US Presidential debates
Li et al. Understanding the challenges of team-based live streaming for first-person shooter games
Drolet After liberalism? The paleoconservative roots of the New American nationalism
JP7100277B2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Oxford Analytica E-sports will grow into a multi-billion-dollar sector
Robinson et al. The future of management in voluntary sport organis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