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416A - Method and system for recreating cartoon content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recreating cartoon cont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416A
KR20220057416A KR1020210114532A KR20210114532A KR20220057416A KR 20220057416 A KR20220057416 A KR 20220057416A KR 1020210114532 A KR1020210114532 A KR 1020210114532A KR 20210114532 A KR20210114532 A KR 20210114532A KR 20220057416 A KR20220057416 A KR 20220057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uts
image cuts
content
carto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5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4707B1 (en
Inventor
전달용
Original Assignee
전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달용 filed Critical 전달용
Priority to PCT/KR2021/01161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92528A1/en
Publication of KR20220057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4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7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1Training; Lea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conom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method for recreating cartoon content to recreate digital cartoon content by extracting and reconstructing a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existing analog cartoon content, and a system for recreating cartoon content therefor. The method for recreating the cartoon content includes: separating and reconstructing a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a scanned image of analog cartoon content provided from a user terminal device, and creating digital cartoon content from the plurality of image cuts reconstructed.

Description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만화콘텐츠 재생성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creating cartoon content}A method for regenerating cartoon contents and a system for regenerating cartoon contents therefor

본 발명은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아날로그 만화콘텐츠에서 다수의 이미지컷들을 추출하여 재구성함으로써 디지털 만화콘텐츠로 재생성할 수 있는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만화콘텐츠 재생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generating cartoon conte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regenerating cartoon contents that can be regenerated into digital comic contents by extracting and reconstructing a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existing analog comic contents, and a comic contents reproduction system therefor.

만화는 익살, 해학, 풍자 등을 통해 대상의 성격을 과장하거나 생략하여 인생이나 사회를 풍자, 비판하거나 독자의 흥미를 돋우는 그림으로서, 그 내용에 따라 순정, 무협, 액션, 코믹, 스포츠, SF 등의 다양한 장르로 구분된다. 만화는 영상과 텍스트라는 시각적 체계를 사용하여 복잡한 내용을 가시적으로 묘사함으로써, 단순 글자만으로 이루어진 일반 서적에 비해 독자들의 관심을 끄는데 보다 효과적이다.A cartoon is a picture that satirizes, criticizes, or arouses the reader's interest in life or society by exaggerating or omitting the character of the subject through humor, humor, satire, etc. divided into various genres of Comics are more effective in attracting readers' attention than general books made up of simple characters by visually depicting complex contents using the visual system of images and texts.

이러한 만화는 통상 종이 등의 인쇄출판물과 같은 아날로그 형태로 제작되어 다수의 독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른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피씨 등과 같은 개인용 단말기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이들 단말기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디지털 형태의 콘텐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따라서 기존의 만화 역시 디지털 형태의 만화콘텐츠로 제작되어야 필요가 있다. These cartoons are usually produced in an analog form such as printed publications such as paper and provided to a large number of readers. However, as the spread of personal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according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digital contents to be used in these terminals are being developed. It needs to be made into content.

그러나, 최초 기획단계부터 디지털 형태의 만화콘텐츠 제작이 아닌 경우, 즉 기존의 아날로그 형태의 만화의 경우에는, 이를 웹툰 등과 같은 디지털 만화콘텐츠로 제작하는 데 있어 많은 인력과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non-digital cartoon content production from the initial planning stage, that is, in the case of the existing analog format, it takes a lot of manpower, time and money to produce digital cartoon content such as webtoons.

예컨대, 기존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제작은 아날로그 형태의 만화를 스캔한 후 이를 다수의 작업자들이 수작업으로 다수의 컷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다수의 컷을 다시 수작업으로 크기 조절 또는 재배치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For example, in the existing digital comics content production, after scanning analog comics, a plurality of workers manually separate the cuts into multiple cuts, and then manually resize or rearrange the separated multiple cuts.

이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제작은 이미지 편집 등의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다수의 작업자들에 의해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만화콘텐츠의 생성에 있어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한 실정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digital cartoon content production is being performed manually by a large number of worker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such as image editing, and accordingly, a lot of money and time are required to create the cartoon content.

더욱이, 종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제작은, 이를 소비하는 구독자들의 단말장치의 화면크기나 해상도에 따라 대사 등과 같은 지문에 대한 수작업이 다시 이루어져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Moreover, in the conventional digital cartoon content production, manual work for fingerprints such as dialogues has to be performed again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or resolution of the terminal devices of subscribers who consume them.

이로 인해, 종래의 디지털 만화콘텐츠 제작방법에 따라 제작된 만화콘텐츠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며, 또한 기존에 다양한 장르로 출판된 인쇄출판물 형태, 즉 아날로그 만화에 대한 디지털 만화콘텐츠 생성활동이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For this reason, the quality of cartoon content produc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igital cartoon content production method is not uniform, and the digital cartoon content creation activity for analog cartoons, that is, in the form of printed publications previously published in various genres, is very low. .

본 발명은 기존의 아날로그 만화콘텐츠에서 다수의 이미지컷들을 추출하여 재구성함으로써 디지털 만화콘텐츠로 재생성할 수 있는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만화콘텐츠 재생성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generating cartoon content that can be regenerated into digital cartoon content by extracting and reconstructing a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existing analog cartoon content, and a cartoon content regeneration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은,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만화콘텐츠의 스캔이미지로부터 다수의 이미지컷을 추출하여 분리하는 단계; 설정된 배치순서에 따라 분리된 다수의 이미지컷을 배열하는 단계; 배열된 다수의 이미지컷 중 하나 이상의 이미지컷에 장면효과를 삽입하는 단계; 및 장면효과가 삽입된 이미지컷을 포함하는 다수의 이미지컷으로부터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for regenerating cartoon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extracting and separating a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a scanned image of analog cartoon content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device; arranging a plurality of image cuts separated according to a set arrangement order; inserting a scene effect into one or more image cuts among a plurality of arranged image cuts; and generating digital cartoon contents from a plurality of image cuts including image cuts in which scene effects are inser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콘텐츠 재생성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된 아날로그 만화콘텐츠의 스캔이미지에서 다수의 이미지컷을 분리하여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다수의 이미지컷으로부터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하나 이상의 구독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콘텐츠 재생성서버를 포함한다. The cartoon content re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and reconstructs a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a scanned image of analog cartoon content provided from a user terminal device, and generates digital cartoon content from the reconstructed plurality of image cuts, and generates and a content regeneration server that transmits the digital cartoon content to one or more subscriber terminal devices.

본 발명에 따른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은, 기존 아날로그 만화콘텐츠를 웹툰 등과 같은 디지털 만화콘텐츠로 재생성하는 비용 또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regenerating cartoon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cost or time for regenerating existing analog cartoon content into digital cartoon content such as webtoon.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수작업으로 진행되었던 디지털 만화콘텐츠 생성과 대비하여, 아날로그 만화콘텐츠의 스캔이미지를 자동으로 재구성하여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생성함으로써, 다양한 장르로 출판된 아날로그 만화콘텐츠를 균일한 품질을 갖는 디지털 만화콘텐츠로 쉽게 재생성할 수 있어 콘텐츠 생성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reconstructs the scanned image of analog cartoon content to create digital cartoon content, in contrast to the existing manual digital cartoon content creation, to provide uniform quality of analog cartoon content published in various genres. It can be easily reproduced with digital cartoon contents, which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ntent cre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콘텐츠 재생성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미지컷 분리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이미지컷 분리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이미지컷을 추출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이미지컷을 분리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rtoon content re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cut separation module of FIG. 1 .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regenerating cartoon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image cut separation step of FIG. 3 .
5A to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extracting an image c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separating an image c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have been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s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legal or technical interpretation, and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lso, some terms may b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These terms may be interpreted in the meanings defined herein, and in the absence of specific definitions, they may be interpreted based on the general cont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ommon technical common sense in the art.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Als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appended hereto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in different embodiments to be described. That is,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ber are shown in the plurality of drawings, the plurality of drawings do not mean one embodiment.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elements. This ordinal number is used to distinguish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from each other, and the meaning of the term should not be limitedly interpreted due to the use of the ordinal number. As an example, for components combined with such an ordinal number, the order of use or arrangement of the elemen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number. If necessary, each ordinal number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성,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compris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a characteristic,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Als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 connection but also indirect connection through another medium. In addition, the meaning that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콘텐츠 재생성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미지컷 분리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regenerating cartoon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cut separation module of FIG. 1 .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만화콘텐츠 재생성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장치(200), 구독자 단말장치(300) 및 콘텐츠 재생성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artoon content regeneration system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user terminal device 200 , a subscriber terminal device 300 and a content regeneration server 100 that are connected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wired/wireless network 400 . can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기존의 아날로그 만화콘텐츠, 예컨대 만화책을 디지털 만화콘텐츠, 예컨대 웹툰콘텐츠로 재생성하고자 하는 사용자, 예컨대 콘텐츠 제작자가 소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컴퓨터, 노트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으며, 아날로그 만화콘텐츠의 스캔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스캐너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아날로그 만화콘텐츠에 대한 스캔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하나 이상의 정보데이터와 함께 네트워크(400)를 통해 콘텐츠 재생성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may be a device possessed by a user, for example, a content creator, who wants to regenerate existing analog cartoon content, for example, a comic book, into digital cartoon content, for example, webtoon content.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may be a device such as a computer, a note PC, a tablet PC, a smart phone, etc., and may include a scanner capable of acquiring a scanned image of analog cartoon content.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may generate a scan image for analog cartoon content, and transmit it to the content reproduction server 100 through the network 400 together with one or more information data.

사용자 단말장치(200)에서 생성되는 스캔이미지는 기존 아날로그 만화콘텐츠, 즉 출판물 형태의 만화책을 페이지 단위로 스캔되거나 또는 캡쳐(capture)된 이미지일 수 있다. 스캔이미지는 다수의 페이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페이지에는 만화의 장면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컷이 포함될 수 있다. The scanned image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may be an image obtained by scanning or capturing existing analog comic content, that is, a comic book in the form of a publication page by page. A scanned image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pages, and each page may include one or more image cuts representing scenes of a cartoon.

이미지컷은 객체, 말풍선 또는 텍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컷은 테두리를 이루는 외곽선에 의해 다른 이미지컷과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컷은 외곽선 없이 객체, 말풍선 또는 텍스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image cut may include an object, a speech bubble, or text. Such an image cut may be divided from other image cuts by an outline forming a border. Also, the image cut may be composed of an object, speech bubble, or text without an outline.

사용자 단말장치(200)에서 콘텐츠 재생성서버(100)로 스캔이미지와 함께 전송되는 정보데이터는 콘텐츠 재생성을 위한 재생성정보데이터, 콘텐츠 전송을 위한 장치정보데이터 또는 재생성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정보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scanned image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to the content regeneration server 100 may include regeneration information data for content regeneration, device information data for content transmission, or content information data for the regenerated content. can

재생성정보데이터는 스캔이미지로부터 다수의 이미지컷을 추출하는 추출순서정보, 추출된 다수의 이미지컷에 대한 배열순서정보와 컷, 컷 내의 이미지나 말풍선 또는 텍스트 등의 좌표값일 수 있다. 또한, 재생성정보데이터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컷에 삽입할 효과삽입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generation information data may be extraction order information for extracting a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the scanned image, arrangement order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extracted image cuts, and coordinate values such as images, speech bubbles, or text within the cuts. In addition, the regeneration information data may include effect insertion information to be inserted into the selected at least one image cut.

장치정보데이터는 재생성된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구매하여 구독하는 다수의 구독자들이 소지하는 단말장치, 즉 구독자 단말장치(300)에 대한 장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vice information data may include device information about a terminal device owned by a plurality of subscribers who purchase and subscribe to the regenerated digital cartoon content, that is, the subscriber terminal device 300 .

콘텐츠정보데이터는 재생성된 디지털 만화콘텐츠의 제목, 저자 또는 구매가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ent information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title, author, or purchase price of the regenerated digital cartoon content.

구독자 단말장치(300)는 콘텐츠 재생성서버(100)에서 재생성된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구매하여 구독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구독자들이 소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The subscriber terminal device 300 may be a device possessed by one or more subscribers who purchase and subscribe to the digital cartoon content regenerated by the content reproduction server 100 .

구독자 단말장치(300)는 컴퓨터, 노트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400)를 통해 콘텐츠 재생성서버(100)로부터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구매하여 수신할 수 있다. The subscriber terminal device 300 may be a device such as a computer, a note PC, a tablet PC, a smart phone, etc., and may purchase and receive digital cartoon content from the content reproduction server 100 through the network 400 .

콘텐츠 재생성서버(100)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스캔이미지 및 하나 이상의 정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캔이미지로부터 다수의 이미지컷들을 추출하고, 이를 재구성하여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ent reproduction server 100 may extract a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the scanned image based on the scanned image and one or more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 and reconstruct them to generate digital cartoon contents.

콘텐츠 재생성서버(100)에서 재생성된 디지털 만화콘텐츠는 웹툰콘텐츠일 수 있다. 콘텐츠 재생성서버(100)는 재구성된 다수의 이미지컷들로 이루어진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생성하여 구독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재생성서버(100)는 재구성된 다수의 이미지컷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컷에 다양한 장면효과를 삽입하여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구독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digital cartoon content regenerated by the content regeneration server 100 may be webtoon content. The content regeneration server 100 may generate digital cartoon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constructed image cuts and transmit it to the subscriber terminal device 300 . In addition, the content regeneration server 100 may generate digital cartoon content by inserting various scene effects into at least one image cut among a plurality of reconstructed image cuts, and transmit it to the subscriber terminal device 300 .

콘텐츠 재생성서버(100)는 이미지컷 분리모듈(110), 이미지컷 배치모듈(120), 장면효과 삽입모듈(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ent reproduction server 100 may include an image cut separation module 110 , an image cut arrangement module 120 , a scene effect insertion module 130 , and a database 140 .

이미지컷 분리모듈(110)은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추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스캔이미지로부터 다수의 이미지컷 각각을 소정 순서로 추출하여 분리할 수 있다. The image cut separation module 110 may extract and separate each of a plurality of image cuts in a predetermined order from the scan image based on the extraction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

이러한 이미지컷 분리모듈(110)은 이미지컷 추출부(111), 이미지컷 판단부(113) 및 이미지컷 분리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mage cut separation module 110 may include an image cut extraction unit 111 , an image cut determination unit 113 , and an image cut separation unit 115 .

이미지컷 추출부(111)는 추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스캔이미지에서 다수의 이미지컷을 추출할 수 있다. 이미지컷 추출부(111)는 추출된 다수의 이미지컷을 그 추출 순서에 따라 라벨링할 수 있다. The image cut extraction unit 111 may extract a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the scanned image based on the extraction order information. The image cut extraction unit 111 may label a plurality of extracted image cuts according to the extraction order.

이미지컷 판단부(113)는 추출된 다수의 이미지컷을 분리컷과 중첩컷으로 분류할 수 있다. The image cut determination unit 113 may classify the plurality of extracted image cuts into separate cuts and overlapping cuts.

여기서, 분리컷은 각각의 이미지컷이 인접된 다른 이미지컷과 겹쳐지지 않는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중첩컷은 각각의 이미지컷이 인접된 하나 이상의 다른 이미지컷과 객체, 말풍선, 텍스트 또는 외곽선이 겹쳐지는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separated cut may mean a shape in which each image cut does not overlap with other adjacent image cuts. The overlap cut may mean a form in which each image cut is overlapped with one or more other image cuts adjacent to each other, an object, a speech bubble, text, or an outline.

이미지컷 판단부(113)는 분류결과로부터 중첩컷을 구성하는 복수의 이미지컷 간 배치관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컷 판단부(113)는 중첩컷의 각 이미지컷의 형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컷 판단부(113)는 각 이미지컷의 중첩영역 위치 또는 크기 등을 판단할 수 있다. The image cut determination unit 113 may determine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image cuts constituting the overlapping cut from the classification result. In this case, the image cut determination unit 113 may determine the shape of each image cut of the overlapping cut. Also, the image cut determination unit 113 may determine the location or size of the overlapping area of each image cut.

이미지컷 분리부(115)는 이미지컷 판단부(113)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다수의 이미지컷을 재구성할 수 있다. 이미지컷 분리부(115)는 중첩컷을 구성하는 복수의 이미지컷 중 2개 이상의 이미지컷이 서로 병합되도록 다수의 이미지컷을 재구성할 수 있다. The image cut separation unit 115 may reconstruct a plurality of image cuts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image cut determination unit 113 . The image cut separator 115 may reconstruct a plurality of image cuts so that two or more image cuts among a plurality of image cuts constituting the overlapping cut are merged with each other.

이미지컷 분리부(115)는 재구성된 다수의 이미지컷을 그 추출순서에 따라 분리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컷 분리부(115)는 이미지컷 각각의 좌표값 또는 이미지컷 내의 이미지, 말풍선, 텍스트 등의 좌표값에 따라 다수의 재구성된 이미지컷을 분리할 수 있다. The image cut separator 115 may separate a plurality of reconstructed image cuts according to the extraction order. For example, the image cut separator 115 may separate a plurality of reconstructed image cuts according to the coordinate values of each image cut or coordinate values of images, speech bubbles, texts, etc. in the image cut.

상술한 이미지컷 분리모듈(110)은 광학식 문자판독기법(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과 객체검출을 위한 R-CNN(Region Ba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의 인공지능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스캔이미지에서 다수의 이미지컷을 분리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image cut separation module 110 us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 of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and R-CNN (Region Ba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object detection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Multiple image cuts can be separated from the provided scanned image.

이에, 후술될 데이터베이스(140)에는 이미지컷 분리모듈(110)의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다수의 학습데이터, 예컨대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컷이 포함된 다수의 스캔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다. 이미지컷 분리모듈(110)은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다수의 학습데이터를 통해 이미지컷 분리의 학습을 수행하고, 그 학습결과에 따라 스캔이미지로부터 다수의 이미지컷을 추출하여 분리할 수 있다. Accordingly, a plurality of learning data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of the image cut separation module 110 , for example, a plurality of scan images including various types of image cuts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140 to be described later. The image cut separation module 110 may perform learning of image cut separation through a plurality of learn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40 , and may extract and separate a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the scanned image according to the learning result.

이미지컷 배치모듈(120)은 이미지컷 분리모듈(110)에서 분리된 다수의 이미지컷을 디지털 만화콘텐츠의 형태, 즉 웹툰콘텐츠의 형태로 배열할 수 있다. The image cut arrangement module 120 may arrange a plurality of image cuts separated by the image cut separation module 110 in the form of digital cartoon content, that is, in the form of webtoon content.

이미지컷 배치모듈(120)은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제공된 배열순서정보에 기초한 배치순서에 따라 다수의 이미지컷을 배열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컷 배치모듈(120)은 콘텐츠 재생성서버(100)에서 제공된 다수의 레이아웃 중 사용자 단말장치(200)에서 선택된 하나의 레이아웃에 기초한 배치순서에 따라 다수의 이미지컷을 배열할 수 있다. The image cut arrangement module 120 may arrange a plurality of image cuts according to an arrangement order based on arrangement order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 Also, the image cut arrangement module 120 may arrange a plurality of image cuts according to an arrangement order based on one layout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among a plurality of layouts provided by the content reproduction server 100 .

또한, 이미지컷 배치모듈(120)은 소정의 배치순서로 배열된 다수의 이미지컷의 크기 또는 배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mage cut arrangement module 120 may adjust the size or arrangement position of a plurality of image cut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order.

예컨대, 콘텐츠 재생성서버(100)에서 생성되는 디지털 만화콘텐츠는 기존의 아날로그 만화콘텐츠와 대비하여 이미지컷의 크기나 배치형태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미지컷 배치모듈(120)은 배열순서정보 또는 선택된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다수의 이미지컷을 배열하되, 각 이미지컷의 가로길이와 세로길이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다수의 이미지컷이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디지털 만화콘텐츠 형태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gital cartoon content generated by the content regeneration server 100 has a different image cut size and arrangement form compared to the existing analog cartoon content. Accordingly, the image cut arrangement module 120 arranges a plurality of image cuts based on the arrangement order information or the selected layout, but by adjusting the ratio of the horizontal length to the vertical length of each image cut, the plurality of image cuts are displa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It can be made to have the form of digital cartoon contents arranged horizontally.

여기서, 이미지컷 배치모듈(120)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이미지컷은 구독자 단말장치(300)에서 마우스 또는 손가락 등에 의한 상/하 방향의 스크롤을 통해 인접되는 컷 간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미지컷 배치모듈(120)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이미지컷은 구독자 단말장치(300)에서 마우스 또는 손가락에 의한 좌/우 방향의 터치 또는 스크롤을 통해 인접되는 컷 간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plurality of image cut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image cut arrangement module 120 can be moved between adjacent cuts through scrolling in the up/down direction by a mouse or a finger in the subscriber terminal device 300 . . In addition, a plurality of image cut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image cut arrangement module 120 can be moved between adjacent cuts through left/right touch or scrolling by a mouse or a finger in the subscriber terminal device 300 . can

즉, 본 실시예의 이미지컷 배치모듈(120)은 이미지컷 분리부(115)에 의해 분리된 다수의 이미지컷을 설정된 배치순서에 따라 배열하되, 다수의 이미지컷 각각이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의 디지털 만화콘텐츠의 형태가 되도록 배열할 수 있다.That is, the image cut arrangement module 120 of this embodiment arranges a plurality of image cuts separated by the image cut separation unit 115 according to a set arrangement order, but each of the plurality of image cuts is digital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It can be arranged in the form of cartoon contents.

또한, 콘텐츠 재생성서버(100)로부터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수신하는 구독자 단말장치(300)는 그 종류, 화면크기, 해상도 등에서 각각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미지컷 배치모듈(120)은 사용자 단말장치(200)에서 전송된 장치정보에 기초하여 배열순서정보 또는 선택된 레이아웃에 따른 배치순서로 배열된 다수의 이미지컷 각각의 크기 또는 배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bscriber terminal device 300 for receiving the digital cartoon content from the content regeneration server 100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type, screen size, resolution,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image cut arrangement module 120 may adjust the size or arrangement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mage cuts arranged in arrangement order according to arrangement order information or the selected layout based on the dev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 there is.

장면효과 삽입모듈(130)은 소정의 배치순서로 배열된 다수의 이미지컷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컷에 다양한 형태의 장면효과를 삽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면효과가 삽입된 디지털 만화콘텐츠는 이를 수신하여 구독하는 다수의 구독자들에게 입체적인 느낌을 줄 수 있다. The scene effect insertion module 130 may insert various types of scene effects into at least one image cut among a plurality of image cut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order. For this reason, digital cartoon contents with scene effects can give a three-dimensional feeling to a large number of subscribers who receive and subscribe to them.

장면효과 삽입모듈(130)은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전송된 효과삽입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컷에 장면효과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장면효과 삽입모듈(130)은 다수의 이미지컷 중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컷에 장면효과를 삽입할 수 있다. The scene effect insertion module 130 may insert a scene effect into at least one image cut based on the effect inser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 Also, the scene effect insertion module 130 may insert a scene effect into at least one image cut that satisfies a specific condition among a plurality of image cuts.

장면효과 삽입모듈(130)은 각각의 이미지컷 별로 객체, 말풍선 또는 텍스트에 필터링 등의 시각효과 등을 주는 장면효과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장면효과 삽입모듈(130)은 서로 인접된 복수개의 이미지컷 간에 줌 인/아웃, 페이드 인/아웃, 컷 이동 또는 컷 분할 등의 장면효과를 삽입할 수 있다. The scene effect insertion module 130 may insert a scene effect that gives a visual effect such as filtering to an object, speech bubble, or text for each image cut. Also, the scene effect insertion module 130 may insert scene effects such as zoom in/out, fade in/out, cut movement, or cut split between a plurality of image cuts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장면효과 삽입모듈(130)은 각각의 이미지컷에 포함되어 있는 말풍선의 글자수에 기초하여 이미지컷에 삽입된 장면효과의 유지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이미지컷에 있는 말풍선 내의 글자수가 10자 이상인 경우에, 장면효과 삽입모듈(130)은 상기 하나의 이미지컷에 포함되는 장면효과가 대략 10초의 유지시간을 가진 후, 다음 이미지컷이 나타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장면효과의 유지시간은 장면효과 삽입모듈(130) 내에 설정되거나,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생성하고자 하는 사용자, 시스템운영자 또는 이를 구독하는 구독자가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ene effect insertion module 130 may adjust the holding time of the scene effect inserted into the image cut based on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speech bubble included in each image cut.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characters in the speech bubble in one image cut is 10 or more, the scene effect insertion module 130 sets the next image cut after the scene effect included in the one image cut has a holding time of approximately 10 seconds. can be adjusted to appear. The duration of the scene effect may be set in the scene effect insertion module 130 or may be set by a user who wants to create digital cartoon content, a system operator, or a subscriber who subscribes to it.

콘텐츠 재생성서버(100)는 앞서 이미지컷 배치모듈(120)에 의해 배열된 다수의 이미지컷을 이용하여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구독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재생성서버(100)는 장면효과 삽입모듈(130)에 의해 장면효과가 삽입된 다수의 이미지컷을 이용하여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구독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ent reproduction server 100 may generate digital cartoon content using a plurality of image cuts arranged by the image cut arrangement module 120 previously, and transmit it to the subscriber terminal device 300 . In addition, the content regeneration server 100 may generate digital cartoon content using a plurality of image cuts into which scene effects are inserted by the scene effect insertion module 130 , and transmit it to the subscriber terminal device 300 .

콘텐츠 재생성서버(100)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만화콘텐츠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콘텐츠정보에 따라 제목, 저자 또는 구매가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콘텐츠 재생성서버(100)는 다수의 구독자 단말장치(300)로 디지털 만화콘텐츠의 콘텐츠정보를 제공하고, 그 중에서 콘텐츠를 구매한 하나 이상의 구독자 단말장치(300)에 해당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The digital cartoon content generated by the content reproduction server 100 may include title, author, or purchase price information according to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 Accordingly, the content regeneration server 100 provides content information of digital cartoon content to a plurality of subscriber terminal devices 300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igital cartoon content to one or more subscriber terminal devices 300 that have purchased the content among them. there is.

데이터베이스(140)에는 전술된 이미지컷 분리모듈(110)의 학습을 위한 다수의 학습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40)에는 다수의 이미지컷의 배열을 위한 다수의 레이아웃에 대한 데이터 또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컷에 삽입된 다양한 장면효과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learning data for learning of the above-described image cut separation module 110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140 . In addition, data on a plurality of layouts for arranging a plurality of image cuts or data on various scene effects inserted into one or more image cuts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140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만화콘텐츠 재생성시스템은, 기존 아날로그 만화콘텐츠의 스캔이미지로부터 다수의 이미지컷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재구성하고, 이로부터 디지털 만화콘텐츠, 즉 웹툰콘텐츠로 재생성하여 다수의 구독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artoon content re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separates and reconstructs a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the scan images of the existing analog cartoon content, and regenerates them into digital cartoon content, that is, webtoon content, to obtain a plurality of subscribers. can be provided to

이에, 본 발명은 디지털 만화콘텐츠 생성을 위한 비용 또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기존의 수작업으로 인한 콘텐츠의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다양한 장르로 출판된 아날로그 만화콘텐츠를 균일한 품질을 갖는 디지털 만화콘텐츠로 쉽게 재생성할 수 있어 콘텐츠 생성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r time for digital cartoon content creatio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content quality due to the existing manual work.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generate analog cartoon contents previously published in various genres into digital cartoon contents having uniform quality,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content cre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이미지컷 분리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regenerating cartoon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image cut separation step of FIG. 3 .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 및 도 4와 함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method for regenerating cartoon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long with FIGS. 3 and 4 .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아날로그 만화콘텐츠의 스캔이미지를 콘텐츠 재생성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콘텐츠 재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정보데이터를 콘텐츠 재생성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may transmit a scanned image of analog cartoon content to the content regeneration server 100 .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may transmit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data for content regeneration to the content regeneration server 100 .

아날로그 만화콘텐츠는 출판물 형태의 만화책일 수 있으며, 스캔이미지는 상기 만화책의 페이지 단위로 스캔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각 스캔이미지에는 다수의 이미지컷이 포함될 수 있다. 다수의 이미지컷 각각은 객체, 말풍선, 텍스트 등을 포함하고, 이들은 외곽선에 의해 다른 이미지컷과 구획되거나 외곽선 없이 다른 이미지컷과 구획될 수 있다. The analog cartoon content may be a comic book in the form of a publication, and the scanned image may be an image scanned in units of pages of the comic book. In addition, each scan image may include a plurality of image cuts. Each of the plurality of image cuts includes an object, a speech bubble, text, and the like, and these may be separated from other image cuts by an outline or may be separated from other image cuts without an outline.

정보데이터는 스캔이미지로부터 다수의 이미지컷을 추출하는 추출순서정보, 추출된 다수의 이미지컷에 대한 배열순서정보 또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컷에 삽입할 효과삽입정보 등의 재생성정보데이터, 구독자 단말장치(300)에 대한 장치정보데이터, 재생성된 디지털 만화콘텐츠의 제목, 저자 또는 구매가격에 대한 콘텐츠정보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data includes extraction order information for extracting a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a scanned image, arrangement order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extracted image cuts, or regeneration information data such as effect insertion information to be inserted into at least one selected image cut, subscriber terminal device It may include device information data for 300, content information data about the title, author, or purchase price of the regenerated digital cartoon content.

스캔이미지를 수신한 콘텐츠 재생성서버(100)는 먼저 스캔이미지를 선명화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스캔이미지의 다수의 이미지컷 각각은 다른 이미지컷과 구별되도록 선명해질 수 있다. The content reproduction server 100 receiving the scanned image may first perform a step of sharpening the scanned image. Through this, each of the plurality of image cuts of each scanned image can be sharpened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image cuts.

다음으로, 이미지컷 분리모듈(110)은 선명화 된 스캔이미지로부터 다수의 이미지컷을 추출하여 분리할 수 있다(S10). Next, the image cut separation module 110 may extract and separate a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the sharpened scanned image (S10).

먼저, 이미지컷 추출부(111)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에서 전송된 추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스캔이미지에서 다수의 이미지컷을 추출하고, 이를 추출 순서에 따라 라벨링할 수 있다(S11).First, the image cut extraction unit 111 may extract a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a scan image based on the extraction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and label them according to the extraction order (S11).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컷 추출부(111)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추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스캔이미지(SI)의 우측상단에서 좌측하단까지 역Z자 형태로 다수의 이미지컷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컷 추출부(111)는 추출순서에 따라 스캔이미지(SI)의 우측상단에서부터 다수의 이미지컷 각각을 제1이미지컷(I-1), 제2이미지컷(I-2), 제3이미지컷(I-3) 및 제4이미지컷(I-4)으로 라벨링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A , the image cut extraction unit 111 includes a plurality of inverted Z-shape from the upper right to the lower left of the scanned image SI based on the extraction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 You can extract image cuts. At this time, the image cut extraction unit 111 selects each of a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scanned image SI according to the extraction order, the first image cut (I-1), the second image cut (I-2), and the second image cut (I-2). It can be labeled with 3 image cuts (I-3) and fourth image cuts (I-4).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컷 추출부(111)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추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스캔이미지(SI)의 좌측상단에서 우측하단까지 Z자 형태로 다수의 이미지컷을 추출할 수 있다. 이미지컷 추출부(111)는 추출순서에 따라 스캔이미지(SI)의 좌측상단에서부터 다수의 이미지컷 각각을 제1이미지컷(I-1), 제2이미지컷(I-2), 제3이미지컷(I-3) 및 제4이미지컷(I-4)으로 라벨링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B , the image cut extracting unit 111 has a plurality of Z-shape from the upper left to the lower right of the scanned image SI based on the extraction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 of image cuts can be extracted. The image cut extraction unit 111 extracts each of a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scanned image SI according to the extraction order, the first image cut (I-1), the second image cut (I-2), and the third image. It can be labeled with a cut (I-3) and a fourth image cut (I-4).

이와 같이, 이미지컷 추출부(111)은 추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스캔이미지(SI)로부터 소정의 순서에 따라 다수의 이미지컷을 추출할 수 있다. 이는, 스캔이미지, 즉 아날로그 만화콘텐츠의 페이지 구성방식이 국가 또는 제작회사별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In this way, the image cut extractor 111 may extract a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the scan image SI in a predetermined order based on the extraction order information. This is because the page composition method of scanned images, that is, analog cartoon contents, differs by country or production company.

예를 들어, 일본 등과 같은 국가의 아날로그 만화콘텐츠는 도 5a와 같은 배열순서로 다수의 이미지컷의 배열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일본에서 제작된 아날로그 만화콘텐츠에 대한 스캔이미지와 함께 이미지컷의 추출순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성서버(100)의 이미지컷 추출부(111)는 수신된 추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도 5a에서와 같이 해당 스캔이미지(SI)에서 다수의 이미지컷(I-1~I-4)을 순서대로 추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analog cartoon contents of countries such as Japan, a plurality of image cuts are arranged in an arrangement order as shown in FIG. 5A .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may transmit the image cut extraction sequence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scanned image for the analog cartoon content produced in Japan. The image cut extraction unit 111 of the content reproduction server 100 orders a plurality of image cuts I-1 to I-4 from the corresponding scan image SI as shown in FIG. 5A based on the received extraction sequence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as

또한, 한국 등과 같은 국가의 아날로그 만화콘텐츠는 도 5b와 같은 배열순서로 다수의 이미지컷이 배열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한국에서 제작된 아날로그 만화콘텐츠에 대한 스캔이미지와 함께 이미지컷의 추출순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성서버(100)의 이미지컷 추출부(111)는 수신된 추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도 5b에서와 같이 해당 스캔이미지(SI)에서 다수의 이미지컷(I-1~I-4)을 순서대로 추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nalog cartoon contents of countries such as Korea, a plurality of image cuts are arranged in the arrangement order as shown in FIG. 5B.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may transmit the image cut extraction sequence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scanned image for the analog cartoon content produced in Korea. The image cut extraction unit 111 of the content reproduction server 100 orders a plurality of image cuts I-1 to I-4 from the corresponding scan image SI as shown in FIG. 5B based on the received extraction sequence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as

한편, 이미지컷 추출부(111)는 다수의 이미지컷 각각의 외곽선을 따라 스캔이미지로부터 사각형, 원형, 사다리꼴 등의 다각형 형태로 다수의 이미지컷을 추출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mage cut extraction unit 111 may extract a plurality of image cuts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rectangle, a circle, a trapezoid, etc. from the scanned image along the outlin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mage cuts.

또한, 스캔이미지에 외곽선이 없는 이미지컷이 있는 경우에, 이미지컷 추출부(111)는 스캔이미지의 에지부분에서 내측으로 소정 거리의 오프셋을 적용한 후, 그 지점에서 다각형 형태로 이미지컷을 추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is an image cut without an outline in the scanned image, the image cut extraction unit 111 applies an offset of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inside from the edge portion of the scanned image, and then extracts the image cut in the form of a polygon at that point. may be

다음으로, 이미지컷 판단부(113)는 추출된 다수의 이미지컷을 분리컷과 중첩컷으로 분류할 수 있다(S13). Next, the image cut determining unit 113 may classify the plurality of extracted image cuts into separate cuts and overlapping cuts (S13).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컷 판단부(113)는 이미지컷 추출부(111)에 의해 스캔이미지(SI)로부터 추출된 다수의 이미지컷(I-1~I-5)을 분리컷을 구성하는 이미지컷과 중첩컷을 구성하는 이미지컷으로 분류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A , the image cut determination unit 113 separates a plurality of image cuts I-1 to I-5 extracted from the scanned image SI by the image cut extraction unit 111 to separate cuts. It can be classified into image cuts composing and image cuts composing overlapping cuts.

따라서, 이미지컷 판단부(113)는 추출된 다수의 이미지컷(I-1~I-5) 중에서 제2이미지컷(I-2)과 제5이미지컷(I-5)을 분리컷으로 분류하고, 제1이미지컷(I-1), 제3이미지컷(I-3) 및 제4이미지컷(I-4)을 중첩컷으로 분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mage cut determination unit 113 classifies the second image cut (I-2) and the fifth image cut (I-5) into separate cut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extracted image cuts (I-1 to I-5). and the first image cut (I-1), the third image cut (I-3), and the fourth image cut (I-4) may be classified as overlapping cuts.

이어, 이미지컷 판단부(113)는 중첩컷을 구성하는 다수의 이미지컷 각각의 배치관계를 판단할 수 있다(S15). 그리고, 이미지컷 분리부(115)는 배치관계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다수의 이미지컷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이미지컷을 각각 분리할 수 있다(S17).Next, the image cut determination unit 113 may determine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each of a plurality of image cuts constituting the overlapping cut (S15). Then, the image cut separation unit 115 may reconstruct a plurality of image cuts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and separate the reconstructed image cuts from each other (S17).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컷 판단부(113)는 중첩컷으로 분류된 제1이미지컷(I-1), 제3이미지컷(I-3) 및 제4이미지컷(I-4)의 형태, 중첩영역 위치 또는 중첩영역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A , the image cut determination unit 113 divides the first image cut (I-1), the third image cut (I-3), and the fourth image cut (I-4) into overlapping cuts. shape, location of overlapping area, or size of overlapping area can be determined.

예컨대, 제1이미지컷(I-1) 및 제4이미지컷(I-4)에 모두 중첩되어 있는 제3이미지컷(I-3)이 말풍선 형태를 가지면, 이미지컷 판단부(113)는 제3이미지컷(I-3)의 말풍선 꼬리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third image cut I-3 superimposed on both the first image cut I-1 and the fourth image cut I-4 has a speech bubble shape, the image cut determination unit 113 may 3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peech bubble tail of the image cut (I-3).

그리고, 말풍선 꼬리가 제4이미지컷(I-4)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컷 분리부(115)는 제3이미지컷(I-3)과 제4이미지컷(I-4)을 병합하여 이미지컷을 재구성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컷 분리부(115)는 재구성된 이미지컷에 따라 그 후속의 이미지컷을 재라벨링할 수 있다.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ech bubble tail is included in the fourth image cut (I-4) region, as shown in FIG. 6B , the image cut separating unit 115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third image cut (I-3) and the fourth image cut (I-4). The image cut can be reconstructed by merging the image cut (I-4). In this case, the image cut separator 115 may relabel the subsequent image cut according to the reconstructed image cut.

따라서, 이미지컷 분리부(115)는 기 추출된 제1이미지컷(I-1) 내지 제5이미지컷(I-5)으로부터 제1이미지컷(I-1), 제2이미지컷(I-2), 재구성된 제3이미지컷(I-3') 및 재라벨링된 제4이미지컷(I-4')을 분리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mage cut separation unit 115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first image cut I-1 and the second image cut I- from the previously extracted first image cut I-1 to I-5 image cut I-5. 2), the reconstructed third image cut (I-3') and the relabeled fourth image cut (I-4') can be separated.

또한, 제3이미지컷(I-3)이 외곽선에 의해 구별되거나 또는 외곽선이 없는 텍스트 형태를 가지면, 이미지컷 판단부(113)는 제3이미지컷(I-3)의 중첩영역 위치 또는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third image cut I-3 is distinguished by an outline or has a text form without an outline, the image cut determination unit 113 determines the location or size of the overlapping area of the third image cut I-3. can judge

여기서, 제3이미지컷(I-3)과 제4이미지컷(I-4)의 중첩영역 크기가 제3이미지컷(I-3)과 제1이미지컷(I-1)의 중첩영역 크기보다 큰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컷 분리부(115)는 제3이미지컷(I-3)과 제4이미지컷(I-4)을 병합하여 이미지컷을 재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컷 분리부(115)는 재구성된 이미지컷에 따라 후속 이미지컷을 재라벨링할 수 있다.Here, the size of the overlapping area of the third image cut (I-3) and the fourth image cut (I-4)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overlapping area of the third image cut (I-3) and the first image cut (I-1). can be considered large. Accordingly, as shown in FIG. 6B , the image cut separator 115 may reconstruct the image cut by merging the third image cut I-3 and the fourth image cut I-4. In addition, the image cut separator 115 may relabel the subsequent image cut according to the reconstructed image cut.

따라서, 이미지컷 분리부(115)는 제1이미지컷(I-1), 제2이미지컷(I-2), 재구성된 제3이미지컷(I-3') 및 재라벨링된 제4이미지컷(I-4')을 분리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mage cut separation unit 115 includes the first image cut (I-1), the second image cut (I-2), the reconstructed third image cut (I-3'), and the relabeled fourth image cut. (I-4') can be isolated.

또한, 제3이미지컷(I-3)과 제4이미지컷(I-4)의 중첩영역 크기가 제3이미지컷(I-3)과 제1이미지컷(I-1)의 중첩영역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이미지컷 분리부(115)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미지컷(I-1), 제3이미지컷(I-3) 및 제4이미지컷(I-4)을 병합하여 이미지컷을 재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컷 분리부(115)는 재구성된 이미지컷에 따라 후속 이미지컷을 재라벨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overlapping area of the third image cut (I-3) and the fourth image cut (I-4) is the same as the size of the overlapping area of the third image cut (I-3) and the first image cut (I-1).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y are substantially the same. Accordingly, the image cut separation unit 115 merges the first image cut (I-1), the third image cut (I-3), and the fourth image cut (I-4) as shown in FIG. Image cut can be reconstructed. In addition, the image cut separator 115 may relabel the subsequent image cut according to the reconstructed image cut.

따라서, 이미지컷 분리부(115)는 재구성된 제1이미지컷(I-1'), 제2이미지컷(I-2) 및 재라벨링된 제3이미지컷(I-3')을 분리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mage cut separation unit 115 may separate the reconstructed first image cut (I-1'), the second image cut (I-2), and the relabeled third image cut (I-3'). there i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미지컷 분리단계는 스캔이미지에서 추출된 다수의 이미지컷에서 중첩컷을 구성하는 이미지컷의 배치관계를 판단하여 이미지컷을 재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컷 분리단계는 광학식 문자판독기법과 인공지능기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은 기존의 아날로그 만화콘텐츠와 대비하여 재생성되는 디지털 만화콘텐츠 간의 내용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image cut separation step of this embodiment, image cuts can be reconstructed by determin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image cuts constituting overlapping cuts from a plurality of image cuts extracted from the scanned image. This image cut separation step can be accomplished using an optical character reading technique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 Accordingly, the method for regenerating cartoon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content of digital cartoon contents being regenerated from being changed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analog cartoon contents.

계속해서, 이미지컷 배치모듈(120)은 분리된 다수의 이미지컷을 설정된 배치순서에 따라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을 갖는 디지털 만화콘텐츠의 형태로 배열할 수 있다(S20). Subsequently, the image cut arrangement module 120 may arrange a plurality of separated image cuts in the form of digital cartoon content having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a set arrangement order (S20).

여기서, 이미지컷 배치모듈(120)은 사용자 단말장치(200)에서 전송된 배열순서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배치순서에 따라 다수의 이미지컷을 배열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컷 배치모듈(120)은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의해 선택된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설정된 배치순서에 따라 다수의 이미지컷을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배열할 수 있다. Here, the image cut arrangement module 120 may arrange a plurality of image cuts according to a set arrangement order based on arrangement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 Also, the image cut arrangement module 120 may arrange a plurality of image cuts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an arrangement order set based on a layout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

한편, 콘텐츠 재생성서버(100)에 의해 생성되는 디지털 만화콘텐츠는 기존의 아날로그 만화콘텐츠와 대비하여 이미지컷의 크기나 배치형태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수신하여 구독하는 다수의 구독자 단말장치(300) 각각도 그 종류, 화면크기, 해상도 등에서 차이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cartoon content generated by the content regeneration server 100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analog cartoon content in the size or arrangement of the image cut.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scriber terminal devices 300 receiving and subscribing to digital cartoon content has differences in its type, screen size, resolution, and the like.

따라서, 이미지컷 배치모듈(120)은 설정된 배치순서에 따라 다수의 이미지컷을 배열한 후, 이들 각각의 크기나 배치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mage cut arrangement module 120 may additionally perform the step of arranging a plurality of image cuts according to the set arrangement order, and then adjusting the size or arrangement position of each of them.

다음으로, 장면효과 삽입모듈(130)은 다수의 이미지컷 중 하나 이상의 특정 이미지컷에 다양한 장면효과를 삽입할 수 있다(S30).Next, the scene effect insertion module 130 may insert various scene effects into one or more specific image cuts among a plurality of image cuts (S30).

장면효과 삽입모듈(130)은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전송된 효과삽입정보에 기초하여 다수의 이미지컷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컷에 장면효과를 삽입할 수 있다. The scene effect insertion module 130 may insert a scene effect into one or more image cut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image cuts based on the effect inser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

또한, 장면효과 삽입모듈(130)은 다수의 이미지컷 중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컷에 장면효과를 삽입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이미지컷 중 서로 인접되어 배치된 2개의 이미지컷 각각이 인물객체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 장면효과 삽입모듈(130)은 후단 이미지컷의 인물객체가 전단 이미지컷의 인물객체로부터 줌 인 또는 줌 아웃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장면효과를 삽입할 수 있다. Also, the scene effect insertion module 130 may insert a scene effect into one or more image cuts satisfying a specific condition among a plurality of image cuts. For example, when two image cut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a plurality of image cuts each represent a person object, the scene effect insertion module 130 zooms in the person object of the rear end image cut from the person object of the front end image cut. Alternatively, a scene effect that zooms out and displays can be inserted.

또한, 다수의 이미지컷 중 서로 인접되어 배치된 2개의 이미지컷 각각이 인물객체와 텍스트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 장면효과 삽입모듈(130)은 후단 이미지컷의 텍스트가 전단 이미지컷의 인물객체로부터 줌 인 또는 줌 아웃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장면효과를 삽입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wo image cut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a plurality of image cuts each represent a person object and text, the scene effect insertion module 130 zooms the text of the rear end image cut from the person object of the front end image cut. You can insert a scene effect to be displayed in or zoomed out.

장면효과 삽입모듈(130)은 다양한 장면효과가 삽입될 이미지컷의 말풍선 글자수에 따라 해당 장면효과의 유지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장면효과 삽입모듈(130)은 하나의 이미지컷에 있는 말풍선의 글자수가 10자 이상이면, 상기 이미지컷에 삽입된 장면효과가 대략 10초의 유지시간을 가진 후 다음 이미지컷으로 전환되도록 장면효과의 유지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The scene effect insertion module 130 may adjust the holding time of the corresponding scene effect according to the number of speech bubble characters of the image cut into which various scene effects are to be inserted. For example, the scene effect insertion module 130 sets the scene effect so that, if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speech bubble in one image cut is 10 or more, the scene effect inserted into the image cut has a holding time of about 10 seconds and then switches to the next image cut. holding time can be adjusted.

이어, 콘텐츠 재생성서버(100)는 장면효과가 삽입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컷을 포함하는 다수의 이미지컷을 이용하여 기존의 아날로그 만화콘텐츠를 디지털 만화콘텐츠로 재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재생성서버(100)는 생성된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다수의 구독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S40). Next, the content regeneration server 100 may regenerate the existing analog cartoon content into digital cartoon content by using a plurality of image cuts including one or more image cuts in which scene effects are inserted. Then, the content regeneration server 100 may transmit the generated digital cartoon content to the plurality of subscriber terminal devices 300 (S40).

여기서, 콘텐츠 재생성서버(100)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콘텐츠정보를 포함하여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성서버(100)는 다수의 구독자 단말장치(300)로 디지털 만화콘텐츠의 콘텐츠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구독자 단말장치(300) 중 콘텐츠정보에 따라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구매한 하나 이상의 구독자 단말장치(300)로 해당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Here, the content regeneration server 100 may generate digital cartoon content including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 The content regeneration server 100 may provide content information of digital cartoon content to a plurality of subscriber terminal devices 300 . In addition, the corresponding digital cartoon content may be transmitted to one or more subscriber terminal devices 300 that have purchased digital cartoon content accor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subscriber terminal devices 300 .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재생성서버(100)가 장면효과가 포함된 다수의 이미지컷으로부터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디지털 만화콘텐츠는 삽입된 장면효과에 의해 다수의 구독자들에게 좀 더 입체적인 느낌을 줄 수 있어 구독자의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ontent regeneration server 100 generates digital cartoon content from a plurality of image cuts including scene effects. These digital cartoon contents can give a more three-dimensional feeling to a large number of subscribers by the inserted scene effect, thereby increasing the subscriber's sense of immersion.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콘텐츠 재생성서버(100)는 장면효과가 삽입되지 않은 다수의 이미지컷, 즉 이미지컷 배치모듈(120)에 의해 설정된 배치순서로 배열된 다수의 이미지컷을 이용하여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콘텐츠 재생성서버(100)는 생성된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다수의 구독자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ntent reproduction server 100 may generate digital cartoon contents using a plurality of image cuts without scene effects inserted, that is, a plurality of image cuts arranged in the arrangement order set by the image cut arrangement module 120 . there is. And, the content regeneration server 100 may transmit the generated digital cartoon content to a plurality of subscriber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은 기존 아날로그 만화콘텐츠의 스캔이미지로부터 다수의 이미지컷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재구성하고, 이로부터 디지털 만화콘텐츠, 즉 웹툰콘텐츠로 재생성하여 다수의 구독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artoon content regeneration method of this embodiment automatically separates and reconstructs a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the scan images of the existing analog cartoon content, and regenerates them into digital cartoon content, that is, webtoon content, to a plurality of subscribers. can provide

이에, 본 발명은 디지털 만화콘텐츠 생성을 위한 비용 또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기존의 수작업으로 인한 콘텐츠의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다양한 장르로 출판된 아날로그 만화콘텐츠를 균일한 품질을 갖는 디지털 만화콘텐츠로 쉽게 재생성할 수 있어 콘텐츠 생성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r time for digital cartoon content creatio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content quality due to the existing manual work.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generate analog cartoon contents previously published in various genres into digital cartoon contents having uniform quality,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content creation.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possi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by, etc., which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전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terms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100: 콘텐츠 재생성서버 110: 이미지컷 분리모듈
111: 이미지컷 추출부 113: 이미지컷 판단부
115: 이미지컷 분리부 120: 이미지컷 배치모듈
130: 장면효과 삽입모듈 140: 데이터베이스
200: 사용자 단말장치 300: 구독자 단말장치
100: content regeneration server 110: image cut separation module
111: image cut extraction unit 113: image cut determination unit
115: image cut separation unit 120: image cut arrangement module
130: scene effect insertion module 140: database
200: user terminal device 300: subscriber terminal device

Claims (12)

아날로그 만화콘텐츠를 디지털 만화콘텐츠로 재생성하는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으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아날로그 만화콘텐츠의 스캔이미지로부터 다수의 이미지컷을 추출하여 분리하는 단계; 및
설정된 배치순서에 기초하여 분리된 다수의 이미지컷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
As a cartoon content regeneration method that regenerates analog cartoon content into digital cartoon content,
extracting and separating a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the scanned image of the analog cartoon content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device; and
A method for regenerating cartoon contents, comprising arranging a plurality of image cuts separated on the basis of a set arrangement or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이미지로부터 다수의 이미지컷을 추출하여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이미지에서 상기 다수의 이미지컷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다수의 이미지컷을 분리컷과 중첩컷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중첩컷을 구성하는 다수의 이미지컷 간의 배치관계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다수의 이미지컷 중 하나 이상의 이미지컷을 재구성하는 단계; 및
재구성된 이미지컷을 포함하는 다수의 이미지컷 각각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extracting and separating a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the scanned image,
extracting the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the scanned image;
classifying the extracted plurality of image cuts into separate cuts and overlapping cuts;
determin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image cuts constituting the overlapping cut;
reconstructing one or more image cuts among the plurality of image cuts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and
A method for regenerating cartoon contents comprising the step of separating each of a plurality of image cuts including the reconstructed image cu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이미지컷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추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캔이미지에서 상기 다수의 이미지컷을 추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p of extracting the plurality of image cuts,
and extracting the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the scanned image based on the extraction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컷을 재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중첩컷을 구성하는 다수의 이미지컷 중 2개 이상의 이미지컷을 병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Reconstructing the one or more image cuts comprises:
and merging two or more image cuts among a plurality of image cuts constituting the overlapping cu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다수의 이미지컷을 배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배열순서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배치순서에 따라 상기 분리된 다수의 이미지컷을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배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arranging the separated plurality of image cuts,
and arranging the plurality of separated image cuts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an arrangement order set based on arrangement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다수의 이미지컷을 배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선택된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설정된 배치순서에 따라 상기 분리된 다수의 이미지컷을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배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arranging the separated plurality of image cuts,
and arranging the plurality of separated image cuts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an arrangement order set based on a layout select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된 다수의 이미지컷 각각의 크기 또는 배치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method for regenerating cartoon content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adjusting the size or arrangement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mage cuts.
제1항에 있어서,
배열된 다수의 이미지컷 중 하나 이상의 이미지컷에 장면효과를 삽입하는 단계; 및
장면효과가 삽입된 이미지컷을 포함하는 다수의 이미지컷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serting a scene effect into one or more image cuts among a plurality of arranged image cuts; and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the digital cartoon content from a plurality of image cuts including image cuts in which scene effects are inser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컷에 장면효과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효과삽입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열된 다수의 이미지컷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컷에 장면효과를 삽입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of inserting a scene effect into the one or more image cuts,
and inserting a scene effect into at least one image cut from among the plurality of image cuts arranged on the basis of the effect inser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컷에 장면효과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배열된 다수의 이미지컷 중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컷에 장면효과를 삽입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of inserting a scene effect into the one or more image cuts,
and inserting a scene effect into at least one image cut that satisfies a specific condition among the plurality of image cuts arranged abov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컷에 장면효과를 삽입하는 단계는,
장면효과가 삽입된 이미지컷의 말풍선 내 글자수에 기초하여 상기 장면효과의 유지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of inserting a scene effect into the one or more image cuts,
The method for regenerating cartoon content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adjusting the duration of the scene effect based on the number of characters in the speech bubble of the image cut into which the scene effect is inserted.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만화콘텐츠 재생성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만화콘텐츠 재생성시스템으로,
상기 만화콘텐츠 재생성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된 아날로그 만화콘텐츠의 스캔이미지에서 다수의 이미지컷을 분리하여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다수의 이미지컷으로부터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디지털 만화콘텐츠를 하나 이상의 구독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콘텐츠 재생성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콘텐츠 재생성시스템.

A cartoon content regeneration system for performing the cartoon content re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The cartoon content reproduction system,
Separating and reconstructing a plurality of image cuts from the scanned image of analog cartoon content provided from a user terminal device, generating digital cartoon content from the plurality of reconstructed image cuts,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digital cartoon content to one or more subscriber terminal devices Cartoon content re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ent regeneration server.

KR1020210114532A 2020-10-29 2021-08-30 Method and system for recreating cartoon content KR1026247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1615 WO2022092528A1 (en) 2020-10-29 2021-08-30 Method for reproducing cartoon content and system for reproducing cartoon content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882 2020-10-29
KR20200141882 2020-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416A true KR20220057416A (en) 2022-05-09
KR102624707B1 KR102624707B1 (en) 2024-01-15

Family

ID=81581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532A KR102624707B1 (en) 2020-10-29 2021-08-30 Method and system for recreating cartoon cont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70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3393A (en) * 2010-05-07 2011-11-15 주식회사 제노웰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digital cartoon contents
KR20140031438A (en) * 2012-08-29 2014-03-13 엔파이소프트 유한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reconstructing mobile contents
JP2014212476A (en) * 2013-04-19 2014-11-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Comic image frame detec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KR20160088761A (en) * 2015-01-16 2016-07-26 네이버 주식회사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catoon data, and apparatus for viewing catoon dat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3393A (en) * 2010-05-07 2011-11-15 주식회사 제노웰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digital cartoon contents
KR20140031438A (en) * 2012-08-29 2014-03-13 엔파이소프트 유한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reconstructing mobile contents
JP2014212476A (en) * 2013-04-19 2014-11-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Comic image frame detec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KR20160088761A (en) * 2015-01-16 2016-07-26 네이버 주식회사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catoon data, and apparatus for viewing catoon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707B1 (en) 202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9921B2 (en) Visual language interpretation system and user interface
JP568667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1820489B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9219830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age and spread arrangement in photo-based projects
US892355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creating a photo-based project based on photo analysis and image metadata
JP4588642B2 (en) Album creating apparatus, album creating method, and program
CN101295313A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20130022330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apturing and organizing annotated content on a mobile device
JP2006293985A (en) Progra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lbum
JP2006295890A (en) Album creating apparatus, album creating method and program
JP2013033453A (en) Image processor,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CN111930994A (en) Video editing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1290688A (en) Multimedia note taking method,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2008505574A (en) Annotated image generation method and camera
CN103348338A (en) File format, server, view device for digital comic, digital comic generation device
US20130100161A1 (en) Digital comic editor,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KR10254601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deo
CN103678260A (en) Portable electronic business card holder and processing method
Yamada et al. Comic image decomposition for reading comics on cellular phones
CN111723653B (en) Method and device for reading drawing book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N114372172A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video cover imag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110604B1 (en) Method and server for reconstructing imag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20057416A (en) Method and system for recreating cartoon content
CN103425685A (en) Method and device for having access to paper media
CN112862558B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product detail page and data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