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260A -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 - Google Patents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260A
KR20220057260A KR1020200142340A KR20200142340A KR20220057260A KR 20220057260 A KR20220057260 A KR 20220057260A KR 1020200142340 A KR1020200142340 A KR 1020200142340A KR 20200142340 A KR20200142340 A KR 20200142340A KR 20220057260 A KR20220057260 A KR 20220057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xternal terminal
pair
multiple contacts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200142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7260A/ko
Publication of KR20220057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2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은 제 1 외부 단자 및 제 2 외부 단자를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에 있어서, 판상의 제 1 몸체; 상기 제 1 외부 단자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 1 단자; 상기 제 1 몸체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판상의 제 2 몸체: 상기 제 1 단자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 1 외부 단자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 2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 2 단자; 상기 제 1 몸체의 타단 및 상기 제 2 몸체의 타단을 연결하도록 U자형으로 형성되는 제 1 밴딩부; 및 상기 제 2 외부 단자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몸체에 형성되는 제 3 단자;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 {TERMINAL WITH MULTI-CONTACT}
본 발명은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미널에 의해 단자와 단자 사이를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할 때 단자와 터미널 사이 다접점을 갖도록 형성된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전자제어장치가 활용되면서, 전자제어장치 내부에 수용되는 회로기판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있다. 특히,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 다양한 소자를 회로기판에 실장하기 위해서, 전자제어장치 하우징 내부에 회로기판을 적층하여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복수의 회로기판들은 서로 통전 가능하여야 하므로, 이를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터미널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적층된 복수의 회로기판들을 연결하기 위해 등록특허공보 제10-1538801호에 개시된 포크핀과 같은 터미널이 개발되어 왔다.
다만, 이러한 포크핀 구조의 터미널은 형태의 변경이 어려워 회로기판 상에 배치할 수 있는 구조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두 개의 접점을 갖기 때문에 허용되는 전류에도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전자제어장치가 복잡해지면서 전자제어장치가 소비하는 전력량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다수의 포크핀을 배치하는 방식으로 허용전류의 한계를 극복해 왔다.
하지만, 다수의 포크핀을 배치할수록 배치 구조를 변경해야 하고, 이에 따라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며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38801호(포크핀의 구조)
본 발명은, 외부 단자와 결합 시 다수의 접점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터미널에 허용되는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는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터미널의 구조를 변경하여 회로기판 상에 자유롭게 터미널을 배치할 수 있는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은, 제 1 외부 단자 및 제 2 외부 단자를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에 있어서, 판상의 제 1 몸체; 상기 제 1 외부 단자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 1 단자; 상기 제 1 몸체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판상의 제 2 몸체: 상기 제 1 단자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 1 외부 단자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 2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 2 단자; 상기 제 1 몸체의 타단 및 상기 제 2 몸체의 타단을 연결하도록 U자형으로 형성되는 제 1 밴딩부; 및 상기 제 2 외부 단자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몸체에 형성되는 제 3 단자;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와 각각 상기 제 1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외부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제 1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 1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부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 1 삽입공간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외부 단자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 1 외부 단자를 고정하는 한 쌍의 제 1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제 1 외부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 2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부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 2 삽입공간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외부 단자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 1 외부 단자를 고정하는 한 쌍의 제 2 접속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몸체와 연결되는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부의 타단부 사이가 곡면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 1 굴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몸체와 연결되는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부의 타단부 사이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 2 굴곡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로부터 상기 제 2 몸체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몸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3 단자는 상기 제 1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3 지지부; 및 상기 제 3 지지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외부 단자와 접촉하는 제 3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몸체에는 상기 제 1 밴딩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 3 단자가 수용될 수 있는 제 1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밴딩부의 상기 제 1 몸체 측 일단부의 측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 1 몸체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구부러지는 제 2 밴딩부; 상기 제 2 밴딩부의 일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3 지지부; 및 상기 제 3 지지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외부 단자와 접촉하는 제 3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몸체에는 상기 제 1 밴딩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 2 밴딩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제 1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3 접속부는 상기 제 3 접속부를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외부 단자에 형성된 홀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제 2 외부 단자와 접촉하며, 상기 제 3 접속부가 상기 제 2 외부 단자에 끼움 결합 시 상기 관통홀 측으로 변형되어 상기 제 2 외부 단자에 형성된 상기 홀의 내주면과 상기 제 3 접속부 사이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3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은 외부 단자와 결합 시 다수의 접점을 갖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터미널에 허용되는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은 터미널의 구조가 용이하게 변경되어 회로기판 상 터미널 배치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은 사용되는 터미널의 개수를 줄여 터미널이 구비되는 전자제어장치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은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을 이용하여 다수의 회로기판이 적층되어 연결되도록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제 1 단자측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제 2 단자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제 1 단자측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제 2 단자측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제 1 단자측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제 2 단자측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은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가 회로기판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가 통전되는 경우, 전자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부 단자와 결합하는 터미널의 단자를 중첩하여 배치함으로써 외부 단자와 터미널 단자가 접점을 늘림으로써 허용전류가 증가된 터미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밴딩부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회로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는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MCU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제 1 단자측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제 2 단자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1)은, 제 1 몸체(30), 제 1 단자(10), 제 2 몸체(32), 제 2 단자(20), 제 1 밴딩부(34) 및 제 3 단자(40)를 구비한다.
제 1 몸체(30)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제 1 몸체(30)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원형, 삼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제 1 몸체(30)는 단자와 단자간 통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터미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기전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금속성 재질로 형성된다. 이는 금속성 재질이 전기전도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제조에도 용이하기 때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몸체(30)의 일단에는 제 1 단자(10)가 형성된다. 제 1 단자(10)는 제 1 외부 단자와 결합하여 제 1 외부 단자에서 제 1 몸체(30)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제 1 단자(10)는 한 쌍의 제 1 지지부(12), 제 1 접속부(16)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1 지지부(12)는 제 1 몸체(30)의 일단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한 쌍의 제 1 지지부(12)는 제 1 외부 단자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 때 한 쌍의 제 1 지지부(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제 1 삽입공간(11)이라고 한다. 제 1 삽입공간(11)에는 제 1 외부 단자가 제 1 단자(10)와 결합 시 제 1 외부 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단자(10)에 결합하는 제 1 외부 단자의 폭 또는 길이 또는 두께 또는 형상에 따라 제 1 삽입공간(11) 크기가 달리하여 제 1 단자(10)가 제조될 수 있다.
제 1 삽입공간(11)의 형상은 제 1 외부 단자가 삽입될 수 있으면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몸체(30)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되거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할 바와 같이 제 1 외부 단자가 한 쌍의 제 1 지지부(12)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경우, 제 1 몸체(30) 측으로 갈수록 제 1 지지부(12)에 작용하는 스트레스가 커지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몸체(30)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지게, 즉 제 1 지지부(12)가 제 1 몸체(30) 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지지부(12)의 제 1 몸체(30) 측의 반대 측 일단부에는 한 쌍의 제 1 접속부(16)가 구비된다. 한 쌍의 제 1 접속부(16)는 제 1 외부 단자와 통전 가능하도록 직접 접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1 접속부(16)는 제 1 지지부(12)로부터 제 1 삽입공간(11)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외부 단자는 한 쌍의 제 1 접속부(16) 사이에 배치되어 한 쌍의 제 1 접속부(16)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제 1 단자(10)에 고정된다. 이 때, 접촉되는 접점은 한 쌍의 제 1 접속부(16)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이 때, 한 쌍의 제 1 접속부(16)에 제 1 외부 단자가 고정되기 위하여는 제 1 외부 단자의 폭이 한 쌍의 제 1 접속부(16) 간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크거나 적어도 같아야 한다.
제 1 외부 단자의 폭이 한 쌍의 제 1 접속부(16) 간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큰 경우 제 1 지지부(12)가 제 1 삽입공간(11)을 사이에 두고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제 1 외부 단자를 한 쌍의 제 1 지지부(12)에서 제 1 삽입공간(11) 방향으로 한 쌍의 제 1 접속부(16)를 통해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다만, 제 1 외부 단자의 폭이 한 쌍의 제 1 접속부(16) 간 사이의 거리보다 상당히 큰 경우, 즉 한쌍의 제 1 지지부(12)가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의 제 1 외부 단자에 제 1 단자(10)에 결합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별도의 간격을 갖은 제 1 단자(10)가 이용된다.
한편, 한 쌍의 제 1 접속부(16)의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제 1 외부 단자가 한 쌍의 제 1 접속부(16) 사이에 삽입되거나 분리되기 용이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삽입공간(11) 측으로 볼록한 단면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제 1 단자(10)는 제 1 굴곡부(1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굴곡부(14)는 한 쌍의 제 1 지지부(12)가 서로 이격되어 제 1 몸체(30)로부터 연장될 때, 한 쌍의 제 1 지지부(12)의 제 1 몸체(30) 측 단부 사이에 형성된다.
이 때, 제 1 굴곡부(14)는 한 쌍의 제 1 지지부(12)의 제 1 몸체(30) 측 단부 사이에는 제 1 삽입공간(11)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 1 외부 단자가 한 쌍의 제 1 지지부(12) 사이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제 1 지지부(12)가 벌어지더라도 한 쌍의 제 1 지지부(12)의 제 1 몸체(30) 측 단부에 스트레스가 걸리는 것을 줄여줄 수 있다. 따라서, 제 1 단자(10)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한편, 제 1 몸체(30)에는 제 2 외부 단자와 결합하는 제 3 단자(40)가 구비된다. 제 3 단자(40) 제 1 단자(10)가 형성된 제 1 몸체(30)의 일단과 다른 단부에 형성된다. 제 3 단자(40)가 형성되는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회로기판의 적층 구조를 용이하게 설계하기 위하여 제 3 단자(40)는 제 1 단자(10)가 형성된 일단부의 반대측 타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제 3 단자(40)는 제 1 단자(10)가 형성된 일단부의 반대측 타단부의 중앙에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제 3 단자(40)는, 제 3 지지부(42), 제 3 접속부(44) 및 관통홀(41)을 구비할 수 있다.
제 3 지지부(42)는 제 1 몸체(30)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 3 지지부(42)가 연장되는 길이에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이 연결하고자 하는 대상의 배치에 따라 길이는 다르게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제 3 지지부(42)의 제 1 몸체(30) 측과 반대 측 일단에는 제 3 접속부(44)가 구비된다. 제 3 접속부(44)는 제 2 외부 단자와 결합하여 제 1 외부 단자와 제 2 외부 단자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에 의해 통전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은 제 2 외부 단자에 형성된 홀에 제 3 접속부(44)가 끼움결합되어 연결된다. 다만, 제 3 접속부(44)와 제 2 외부 단자간의 결합방식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제 3 접속부(44)가 제 2 외부 단자에 형성된 홀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 3 접속부(44)에는 관통홀(4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3 접속부(44)가 제 2 외부 단자에 형성된 홀에 끼움 결합 시 관통홀(41)의 테두리부가 관통홀(41)의 중심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제 2 외부 단자에 형성된 홀의 내주면을 제 3 접속부(44)의 외주면이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제 3 접속부(44)의 외주면과 제 2 외부 단자에 형성된 홀의 내주면 사이에 강한 마찰력이 발생하고 제 3 접속부(44)가 제 2 외부 단자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접속부(44)의 외주면이 제 2 외부 단자에 형성된 홀의 내주면을 보다 강하게 가압하기 위하여, 제 3 접속부(44)의 제 3 지지부(42)의 연장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폭이 제 3 지지부(42)의 폭보다 넓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몸체(30)의 제 1 단자(10)가 형성된 일단부과 다른 단부에는 제 1 밴딩부(34)가 형성된다.
제 1 밴딩부(34)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몸체(30)와 같은 판을 U자형으로 구부려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1)은 프레스를 통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플레이트(50)에서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1)을 제조한 후 제 1 밴딩부(34)를 구부려 제조된다.
이 때, 한 번에 다 수개의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1)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1)간 일정한 간격의 케리어(52)가 형성되어야 한다.
제 1 밴딩부(34)의 제 1 몸체(30)가 형성된 일단의 반대편 타단에는 판상의 제 2 몸체(32)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몸체(30)와 제 2 몸체(32)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다.
이 때, 제 2 몸체(32) 및 제 1 밴딩부(34)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 제조가 용이하도록 제 1 밴딩부(34)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 3 단자(40)가 수용될 수 있는 제 1 공간(31)이 형성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1)의 제 3 단자(40)는 제 1 단자(10)가 형성된 일단부의 반대측 타단부의 중앙에 형성되므로, 제 1 공간(31)도 제 1 밴딩부(34) 및 제 2 몸체(32)의 중앙에 형성된다.
한편 제 2 몸체(32)는 제 1 몸체(30)와 형상과 재질 등 대부분이 공통되므로 공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2 몸체(32)에 형성되는 제 2 단자(20) 및 제 2 단자(20)가 구비하는 한 쌍의 제 2 지지부(22), 한 쌍의 제 2 접속부(26) 및 제 2 삽입공간(21)은 각각 제 1 몸체(30)에 형성되는 제 1 단자(10) 및 제 1 단자(10)가 구비하는 한 쌍의 제 1 지지부(12), 한 쌍의 제 1 접속부(16) 및 제 1 삽입공간(11)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밴딩부(34)에 의하여 제 1 단자(10) 및 제 2 단자(20)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제 1 외부 단자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터미널로 제 1 외부 단자와 총 4개의 접촉 점을 가질 수 있게 되어, 터미널의 허용전류가 늘어나게 된다.
한편, 제 1 밴딩부(34)가 제 1 몸체(30)에 형성되는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밴딩부(34)가 제 1 단자(10)와 제 1 몸체(3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1 단자(10)에서 제 3 단자(40)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전류의 이동경로를 최소화하여 터미널에 의한 전력손실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 1 밴딩부(34)의 방향과 제 1 단자(10)의 방향을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제 1 외부 단자가 제 1 단자(10) 및 제 2 단자(20)에 끼움 결합 시 제 1 밴딩부(34)에 스트레스가 고루 분포하게 되어 제 1 밴딩부(34)가 파손될 위험이 적을 뿐만 아니라, 제 1 외부 단자를 제 1 단자(10) 및 제 2 단자(20)와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더라도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1)이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1)은, 돌출부(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6)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몸체(30)에 형성된다. 돌출부(36)는 제 1 몸체(30)에서 제 2 몸체(32) 측으로 돌출되어 제 1 몸체(30)의 돌출부(36) 단부가 제 2 몸체(32)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6)는 제 1 몸체(30)에서 제 2 몸체(32) 측으로 돌출되도록 프레스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제 1 몸체(30)의 일부분이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6)는 제 2 몸체(32)와 접촉된 상태에서 스폿 용접을 통해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를 통하여, 제 1 외부 단자를 제 1 단자(10) 및 제 2 단자(20)와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더라도 제 1 밴딩부(34)가 펼쳐져서 제 1 단자(10)와 제 2 단자(2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제 1 단자측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제 2 단자측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1')은, 제 1 몸체(30), 제 1 단자(10), 제 2 몸체(32), 제 2 단자(20), 제 1 밴딩부(34) 및 제 3 단자(40)를 구비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1')에 대한 설명 중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1)과 다른 점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공통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1')의 제 3 단자(40')는 제 1 단자(10)가 형성된 일단부의 반대측 타단부의 일측부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공간(31')도 제 1 밴딩부(34') 및 제 2 몸체(32')의 일측부에 형성된다.
제 1 실시예와 달리 제 3 단자(40')가 제 1 단자(10)가 형성된 일단부의 반대측 타단부의 일측부에 형성됨으로써, 제 1 공간(31')이 제 1 밴딩부(34') 및 제 2 몸체(32')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보다 제조공정이 용이하다. 이는 제 1 밴딩부(34')를 굽히는 과정에서 제 3 단자(40')가 파손될 위험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제 1 밴딩부(34')의 폭을 더 넓게 형성시킬 수 있어서 제 1 밴딩부(34')의 내구성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1) 보다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제 1 단자측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제 2 단자측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의 저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1")은, 제 1 몸체(30"), 제 1 단자(10), 제 2 몸체(32"), 제 2 단자(20), 제 1 밴딩부(34"), 제 3 단자(40") 및 제 2 밴딩부(46)를 구비한다.
다만, 이하에서도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1")에 대한 설명 중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1)과 다른 점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공통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밴딩부(46)는 제 1 밴딩부(34")가 형성된 제 1 몸체(30")의 일단부의 측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때, 제 2 밴딩부(46)의 제 1 몸체(30") 측의 반대 측 일단에는 제 3 지지부(42")가 형성된다. 제 3 지지부(42")는 제 2 밴딩부(46)로부터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회로기판의 적층 구조를 용이하게 설계하기 위하여 제 3 지지부(42")는 제 1 단자(10)가 연장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밴딩부(46)는 제 1 몸체(30")와 제 3 단자(40")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밴딩부(46)가 펼쳐진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고, 도 1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단자(40)와 제 1 몸체(30")가 이루는 각(θ1)이 90도가 될 수도 있으며, 도 11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단자(40)와 제 1 몸체(30)가 이루는 각(θ2)이 90도 미만일 수도 있고, 도 11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단자(40)와 제 1 몸체(30) 및 제 2 몸체(32)가 나란히 배치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1")이 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구조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1")의 제 1 공간(31")은 제 2 밴딩부(46)가 형성됨에 따라서 제 1 밴딩부(34") 및 제 2 밴딩부(46)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 2 밴딩부(46)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 1 밴딩부(34") 및 제 2 몸체(32")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 31 제 1 공간
10 제 1 단자 32 제 2 몸체
11 제 1 삽입공간 34 제 1 밴딩부
12 제 1 지지부 36 돌출부
14 제 1 굴곡부 40 제 3 단자
16 제 1 접속부 41 관통홀
20 제 2 단자 42 제 3 지지부
21 제 2 삽입공간 44 제 3 접속부
22 제 2 지지부 46 제 2 밴딩부
24 제 2 굴곡부 50 플레이트
26 제 2 접속부 52 케리어
30 제 1 몸체

Claims (9)

  1. 제 1 외부 단자 및 제 2 외부 단자를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에 있어서,
    판상의 제 1 몸체;
    상기 제 1 외부 단자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 1 단자;
    상기 제 1 몸체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판상의 제 2 몸체:
    상기 제 1 단자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 1 외부 단자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 2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 2 단자;
    상기 제 1 몸체의 타단 및 상기 제 2 몸체의 타단을 연결하도록 U자형으로 형성되는 제 1 밴딩부; 및
    상기 제 2 외부 단자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몸체에 형성되는 제 3 단자; 를 포함하는,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밴딩부는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와 각각 상기 제 1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외부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제 1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 1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부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 1 삽입공간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외부 단자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 1 외부 단자를 고정하는 한 쌍의 제 1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제 1 외부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 2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부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 2 삽입공간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외부 단자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 1 외부 단자를 고정하는 한 쌍의 제 2 접속부; 를 포함하는,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몸체와 연결되는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부의 타단부 사이가 곡면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 1 굴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몸체와 연결되는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부의 타단부 사이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 2 굴곡부; 를 포함하는,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로부터 상기 제 2 몸체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몸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 를 포함하는,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
  6. 제 3 항에 있어서,
    제 3 단자는
    상기 제 1 몸체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3 지지부; 및
    상기 제 3 지지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외부 단자와 접촉하는 제 3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몸체에는
    상기 제 1 밴딩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 3 단자가 수용될 수 있는 제 1 공간이 형성되는,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밴딩부의 상기 제 1 몸체 측 일단부의 측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 1 몸체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구부러지는 제 2 밴딩부;
    상기 제 2 밴딩부의 일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3 지지부; 및
    상기 제 3 지지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외부 단자와 접촉하는 제 3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몸체에는
    상기 제 1 밴딩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 2 밴딩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제 1 공간이 형성되는,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접속부는
    상기 제 3 접속부를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외부 단자에 형성된 홀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제 2 외부 단자와 접촉하며, 상기 제 3 접속부가 상기 제 2 외부 단자에 끼움 결합 시 상기 관통홀 측으로 변형되어 상기 제 2 외부 단자에 형성된 상기 홀의 내주면과 상기 제 3 접속부 사이 마찰력을 제공하는,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
KR1020200142340A 2020-10-29 2020-10-29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 KR202200572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340A KR20220057260A (ko) 2020-10-29 2020-10-29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340A KR20220057260A (ko) 2020-10-29 2020-10-29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260A true KR20220057260A (ko) 2022-05-09

Family

ID=8158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340A KR20220057260A (ko) 2020-10-29 2020-10-29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72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801B1 (ko) 2008-03-14 2015-07-22 타이코에이엠피(유) 포크핀의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801B1 (ko) 2008-03-14 2015-07-22 타이코에이엠피(유) 포크핀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81863B2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US9331410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172434B2 (en)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capable of resisting repetition of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EP2442405A1 (en)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 and connector using same
US8647129B2 (en) Housingless connector
US711500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silient contacts
KR101802171B1 (ko) 커넥터
EP3540862B1 (en) Connector
KR20200110170A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1011607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tacts thereof
US11183781B2 (en) Connector
CN110416787B (zh) 接触件、连接器以及连接装置
KR20220057260A (ko) 다접점을 갖는 터미널
US6083045A (en) Electrical connector
CN217086934U (zh) 端子、连接器和连接器组件
JP3076977B2 (ja) 電気接続部材
JP3689849B2 (ja) コネクタ
US6921298B2 (en) Press-contact type connector for cellular phones and connecting structure therefor
CN108336523B (zh) 电连接器组件
JP3156557U (ja) 導電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CN221201570U (en) Connector with a plurality of connectors
CN216794032U (zh) 端子本体、端子、端子组件和连接器
CN221150348U (zh) 连接器端子和连接器
CN215896800U (zh) 电连接器
CN212626144U (zh) 压接端子、压接端子带和电连接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