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063A - Air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ir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063A
KR20220057063A KR1020200141890A KR20200141890A KR20220057063A KR 20220057063 A KR20220057063 A KR 20220057063A KR 1020200141890 A KR1020200141890 A KR 1020200141890A KR 20200141890 A KR20200141890 A KR 20200141890A KR 20220057063 A KR20220057063 A KR 20220057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roller
air purifier
filter shee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8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득원
오민규
김대웅
권보안
노양환
차현병
박병훈
조유나
이지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1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7063A/en
Priority to PCT/KR2021/008563 priority patent/WO2022030767A1/en
Priority to US17/389,903 priority patent/US11852369B2/en
Priority to EP21189977.8A priority patent/EP3950091A1/en
Publication of KR20220057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0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88Replacing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er which sucks air, remove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discharged and sucked air, and transfers and cuts a filter sheet where the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thereby allowing the used filter sheet to be directly discharged to be always maintained in a clean state.

Description

공기정화기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Air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Air purifier and its operation control method {Air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름 성분이 포함된 공기의 정화를 위해 사용되는 공기정화기 및그의 운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used for purifying air containing oil and an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공기정화기는 공기에 포함된 각종 물질을 걸러주도록 이루어진 기기이다.In general, an air purifier is a device configured to filter various substances contained in air.

이러한 공기정화기는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주방에 사용되는 후드 장치 역시 상기 공기정화기의 한 종류로 볼 수 있다.Such an air purifier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and a hood device used in the kitchen may also be considered as one type of the air purifier.

상기 주방용 후드 장치는 음식물의 요리시 발생되는 연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kitchen hood device serves to exhaust smoke generated when food is cook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주방용 후드장치에는 필터가 설치된다. 즉, 상기 필터에 의해 후드를 통과하여 실외로 배기되는 연기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을 걸러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a filter is installed in the hood device for the kitchen. That is, various pollutants included in the smoke passed through the hood and exhausted to the outdoors by the filter can be filtered out.

상기 오염물질에는 기름 성분, 냄새 성분, 미세 먼지, 유해가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ntaminants may include oil components, odor components, fine dust, harmful gases, and the like.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 필터에 흡착되는 기름 성분의 제거에 어려움이 있어서 수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교체형 구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oil component adsorbed to the filter, so a replaceable structure that can be replaced at any time is mainly used.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교체형 필터는 해당 필터를 지지 및 설치하기 위한 필터 프레임도 함께 교체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필터 가격이 비쌀수 밖에 없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replaceable filt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lter frame for supporting and installing the filter is also replaced, the filter price is inevitably expensive.

더욱이, 필터 교체에 사용자가 어려움을 느끼기 때문에 주기적인 필터 교체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필터 오염이 심각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Moreove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filter replacement was not made periodically because the user felt difficulties in replacing the filter, so that the filter was seriously contaminated.

종래에는 상기한 필터 교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자주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권취롤에 필터를 권취한 후 수동 혹은, 자동으로 권취롤을 회전시키는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Conventionally, a structure in which the winding roll is manually or automatically rotated after winding the filter on the winding roll has been proposed so that the filter can be replaced easily and frequently.

이러한 필터 권취형 교체 구조에 관련하여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163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0359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397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816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2730호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Regarding this filter winding type replacement structur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71637,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103590, Korean Utility Model No. 20-0463975,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78162, It is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62730.

그러나, 전술된 종래 기술들의 권취롤을 이용한 필터 교체 방식은 사용된 후 회수롤에 권취된 필터가 오염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오염물질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나 오염성분이 주변을 추가로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filter replacement method using the winding roll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since the filter wound on the recovery roll after being used contains contaminants, odors or contaminants generated from the contaminants further contaminate the surroundings. there was

이와 함께, 상기 오염물질은 다량의 기름 성분이 응결된 상태로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미사용 필터에 비해 사용된 필터가 권취된 회수롤의 크기가 과도하게 커짐에 따른 동작 불량 현상이 발생되었던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a large amount of the contaminants are contained in a condensed sta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recovery roll on which the used filter is wound becomes excessively large compared to the unused filter, resulting in malfunction.

이에 따라,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1356호와 같이 사용된 필터는 종이나 부직포, 비닐 등을 합지시킨 상태로 롤러(제2롤러)에 권취되도록 함으로써 오염물질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Accordingly, recently, the filter used as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11356 is wound on a roller (second roller) in a state in which paper, non-woven fabric, vinyl, etc. are laminated to prevent the outflow of contaminants.

특히, 필터의 사용 후에는 해당 필터가 자동으로 교체되도록 동작됨과 더불어 사용된 필터는 자동으로 절단 유닛으로 절단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In particular, after use of the filter, the filter is automatically replaced, and the used filter is automatically cut by the cutting unit and discharged, so that it can always be maintained in a clean state.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은 필터의 절단시 절단 위치의 전후 부위를 파지하지 않고 절단하기 때문에 필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지 못하고 절단 블레이드가 가압되는 방향으로 휨이 발생되어 정확히 절단되지 못하였던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since the filter is cut without gripping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cutting position when cutting the filter, the filter cannot be maintained in a fully unfolded state and the cutting blade is b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tting blade is pressed. there is.

즉, 사용된 필터가 권취되는 롤러의 전방에는 이송롤러가 존재하지만, 상기 이송롤러는 단순히 필터의 방향을 안내할 뿐 상기 필터가 완전히 펼쳐지도록 파지하는 구조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절단 불량이 발생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That is, there is a conveying roller in front of the roller on which the used filter is wound, but the conveying roller merely guides the direction of the filter and there is no structure to hold the filter so that the filter is fully unfolded, so cutting defects are inevitable. there was no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은 사용된 필터가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형태이며, 이러한 보관시에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위생 불량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전력 소모가 야기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used filter is temporarily stored, and power consumption is inevitable as it is configured to prevent poor hygiene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during storage.

이와 함께, 사용된 필터를 배출한 이후에는 사용자가 직접 절단된 상태의 필터를 합지와 함께 롤러에 권취하여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Along with this, after discharging the used filter, there was an inconvenience that the user had to wind the filter in the cut state on the roller together with the paper.

특히, 상기 필터의 절단시 공급롤러에 권취된 측의 필터는 그의 파지를 위한 구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절단이 이루어진 직후 이송롤러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상기 절단된 필터는 가이드 내를 통과하여 롤러에 권취시켜야 하는데 그 공간이 극히 좁음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수행하기에는 사실상 어렵다.In particular, when the filter is cut, the filter on the side wound on the supply roller does not have a structure for holding it, so a phenomenon may occur that is separated from the transfer roller immediately after the cut is made, and the cut filter moves inside the guide It has to pass through and wound on a roller, but as the space is extremely narrow, it is practically difficult for a user to easily perform it.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은 권취롤을 포함하는 필터 장치는 주방의 후드장치에 일체화된 상태로 제공되는 고정식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 용도가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식탁에서 조리물을 조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해당 조리물에서 발생된 연기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use of the filter device including the winding roll is limited because it is a fixed structure provided in an integrated state with the hood device of the kitchen. For example, when cooking food at the table, contaminants such as smoke generated from the food could not be removed.

물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82006호는 미세연기를 거르기 위한 테이블용 공기정화기가 제공되고 있다.Of cours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82006 provides an air purifier for a table for filtering fine smoke.

하지만, 이러한 테이블용 공기정화기의 경우도 필터를 쉽게 교체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고, 필터 오염시 빠른 대처가 이루어지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this table air purifier, there is the inconvenience that the filter cannot be easily replaced,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quick response is not made when the filter is contaminated.

이와 함께, 상기 테이블용 공기정화기는 분리 또는, 분해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유지 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불편함이 있다.At the same time, the table air purifier is inconvenient in that it cannot be easily maintained as the separation or disassembly structure is complicated.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4435호는 부착가능한 공기정화기가 제공되고 있다.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84435 provides an attachable air purifier.

하지만, 이러한 부착가능한 공기정화기는 필터의 청소가 용이하지 못하였던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this attachable air purifier has the inconvenience of not being able to easily clean the filter.

이와 함께, 상기 부착가능한 공기정화기는 분리 또는, 분해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유지 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the attachable air purifier is inconvenient that maintenance is not easily performed as the separation or disassembly structure is complicated.

특히, 일반적인 공기정화기의 경우는 필터를 자주 교체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 성분이 포함된 오염물질의 제거에는 매우 불리한 구조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general air purifier, since the filter is not frequently replaced, it is a structure that is very unfavorable to the removal of contaminants including oil components generated during cooking.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1356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1135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82006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58200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4435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84435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면서도 사용된 필터는 손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various problems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various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using a filter, while always allowing the used filter to be easily discharg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that can be maintained in a clean stat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된 필터가 정확히 절단될 수 있도록 하여, 절단시 발생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urifier that allows the used filter to be accurately cut, thereby preventing defects occurring during cutting.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의 절단후 사용된 필터는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새로운 필터는 자동으로 사용 위치에 이송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that prevents user inconvenience by allowing the used filter to be discharged smoothly after the filter is cut and to automatically transfer the new filter to the use position.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이 가능하여 다양한 장소에의 사용이 가능하며,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that can be moved and used in various places, and can be moved freely.

특히,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 성분이 포함된 오염물질의 제거에 유리한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urifier advantageous for removing contaminants including oil components generated during cooking.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구조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that allows easy maintenance by allowing the internal structure to be easily separate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의 비사용 부분에 대한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minimizing discharge to an unused portion of a filt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가 자동으로 원활히 제거될 수 있도록 한 공기정화기의 운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air purifier so that the filter can be automatically and smoothly remov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상하 마주보게 배치된 구동측 공급롤러 및 종동측 공급롤러와, 상하 마주보게 배치된 구동측 배출롤러 및 종동측 배출롤러를 포함하는 필터이송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구동측 공급롤러와 구동측 배출롤러의 구동에 의해 필터시트가 이송될 수 있고, 구동측 배출롤러의 구동에 의해 절단된 필터시트가 배출될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filter transport module comprising a driving side supply roller and a driven side supply roller arranged to face up and down, and a driving side discharge roller and a driven side discharge roller arranged to face up and down can be Accordingly, the filter sheet can be transferred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side supply roller and the driving side discharge roller, and the cut filter sheet can be discharged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side discharging roller.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몸체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몸체하우징의 공기입구를 가로막도록 제공되는 필터시트를 가지는 필터공급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body housing and may include a filter supply module having a filter sheet provided to block the air inlet of the body housing.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몸체하우징 내에 필터시트를 절단하는 절단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된 필터시트가 자동으로 절단될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cutting module for cutting the filter sheet in the body housing. This allows the used filter sheet to be cut automatically.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몸체하우징이 구동측 공급롤러 및 구동측 배출롤러가 위치되는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in which the body housing is positioned on a driving side supply roller and a driving side discharge roller.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종동측 공급롤러 및 종동측 배출롤러가 위치되는 상부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upper cover in which the driven side supply roller and the driven side discharge roller are located.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상부덮개부가 몸체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공기정화기의 내부 구성요소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ver portion may be installed detachably from the body portion. Thereby, maintenance of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air purifier can be made easily.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공기입구가 몸체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고, 공기입구의 하측에는 필터시트가 노출되는 필터출구가 형성되며, 공기입구의 상측에는 필터시트가 몸체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필터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필터시트는 공기입구를 가로막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inlet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housing, a filter outlet through which the filter sheet is exposed is formed below the air inlet, and a filter inlet through which the filter sheet is inserted into the body housing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air inlet. can be Accordingly, the filter sheet may be installed to block the air inlet.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필터입구가 입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게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필터입구로의 필터시트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ined or rounded so that the filter inlet gradually expands toward the inlet side. Accordingly, the filter shee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ilter inlet.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필터입구의 하측 모서리가 상측 모서리에 비해 더욱 큰 경사 혹은, 라운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필터시트의 이송시 해당 필터시트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so that the lower edge of the filter inlet has a larger slope or round than the upper edg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applied to the filter sheet when the filter sheet is transported.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필터출구가 상향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필터출구의 위치를 최대한 공기입구에 인접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면서도 필터공급모듈은 공기입구에 비해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so that the filter outlet is inclined upward or rounded. Accordingly, the filter outlet can be positioned as close to the air inlet as possible, and the filter supply module can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air inlet.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필터공급모듈이 몸체하우징 내에 양 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필터시트는 권취롤러에 권취되어 제공될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nding roller in which the filter supply module is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in the body housing. Accordingly, the filter sheet may be provided while being wound on the winding roller.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필터공급모듈이 공기입구에 비해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공기입구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필터공급모듈에 구비되는 필터시트가 오염됨이 방지될 수 있다.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supply module may be located below the air inle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lter sheet provided in the filter supply module from being contaminated b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구동측 공급롤러가 제1롤러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될 수 있다.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may be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roller driving motor.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종동측 공급롤러는 필터시트를 사이에 두고 구동측 공급롤러와 맞물리게 위치되면서 구동측 공급롤러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종동측 공급롤러가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지 않더라도 구동측 공급롤러와 함께 필터시트를 강제 이송시킬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riven-side supply roller is positioned to be engaged with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with the filter shee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rotated together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Accordingly, even if the driven-side supply roller is not driven by a separate driving source, it is possible to forcibly transport the filter sheet together with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종동측 공급롤러는 탄력부재에 의해 상하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종동측 공급롤러와 구동측 공급롤러의 접촉 압력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driven-side supply roller is elastically moved up and down by a resilient memb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driven-side supply roller and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구동측 배출롤러가 제2롤러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riving-side discharge roller is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roller driving motor.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종동측 배출롤러는 필터시트를 사이에 두고 구동측 배출롤러와 마주보게 위치되면서 구동측 배출롤러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종동측 배출롤러가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지 않더라도 구동측 배출롤러와 함께 필터시트를 강제 이송시킬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riven-side discharge roller is positioned to face the driving-side discharge roller with the filter shee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s rotated together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side discharge roller. Accordingly, even if the driven discharge roller is not driven by a separate driving source, it is possible to forcibly transport the filter sheet together with the driven discharge roller.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종동측 배출롤러와 구동측 배출롤러가 서로 맞닿게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서로 간의 사이에 위치되는 필터시트를 강제로 이송시킬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riven side discharge roller and the driving side discharge roller contact each other. Thereby, it is possible to forcibly transport the filter sheets positioned between each other.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종동측 배출롤러가 탄력부재에 의해 상하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종동측 배출롤러와 구동측 배출롤러의 접촉 압력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driven discharge roller is elastically moved up and down by the elastic memb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driven side discharge roller and the driving side discharge roller.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필터이송모듈이 공기입구에 비해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공기입구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필터이송모듈이 오염됨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transfer module may be located above the air inle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lter transfer module from being contaminated b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필터이송모듈이 상부가이드플레이트 및 하부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필터시트는 휨이나 들뜸 없이 상부가이드플레이트 및 하부가이드플레이트 사이를 원활히 통과할 수 있다.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transfer module may include an upper guide plate and a lower guide plate. Thereby, the filter sheet can pass smoothly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and the lower guide plate without bending or lifting.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구동측 공급롤러 및 구동측 배출롤러가 하부가이드플레이트의 롤러관통공을 관통하여 상부로 일부 노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하부가이드의 상면을 따라 이송되는 필터시트에 각 구동측 롤러가 접촉되면서 상기 필터시트를 강제로 이송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ositioned such that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and the driving-side discharge roller penetrate the roller through-hole of the lower guide plate and partially exposed upward. As a result, each driving roll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lter sheet convey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guide, and the filter sheet can be forcibly conveyed.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종동측 공급롤러 및 종동측 배출롤러가 상부가이드플레이트의 롤러관통공을 관통하여 상부로 일부 노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부가이드의 저면을 따라 이송되는 필터시트에 각 종동측 롤러가 접촉되면서 상기 필터시트의 강제 이송을 보조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ositioned such that the driven side supply roller and the driven side discharge roller penetrate the roller through hole of the upper guide plate to partially expose the upper side. As a result, each driven roll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lter sheet conveye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guide, thereby assisting the forced conveyance of the filter sheet.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상부가이드플레이트와 하부가이드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거리가 각 롤러관통공과 롤러 간의 틈새 거리에 비해 더욱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하 두 가이드플레이트 사이를 통과하는 필터시트가 롤러관통공과 롤러 사이의 틈새로 배출되거나 걸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and the lower guide plate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gap distance between each roller through hole and the roll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lter sheet pass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uide plates from being discharged or caught in the gap between the roller through hole and the roller.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구동측 공급롤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필터시트를 파지하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필터시트는 구동측 공급롤러에 의해 강제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rregularities for holding the filter sheet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Thereby, the filter sheet can be forcibly conveyed by the driving-side feed roller.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요철이 세레이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uneven serration structure.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요철의 단면이 톱니형 구조, 기어형 구조 혹은, 라운드형 구조, 다각형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uneven cross-section in at least one of a sawtooth structure, a gear structure, a round structure, and a polygonal structure.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구동측 공급롤러가 요철이 형성된 제1롤러부 및 요철이 형성되지 않은 제2롤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전체적으로 요철을 형성함으로 야기될 수 있는 휨 변형이나 성형 불량 혹은, 사출의 어려움을 방지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roller part in which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has irregularities and a second roller part in which irregularities are not form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bending deformation, molding defects, or difficulty in injection, which may be caused by the formation of irregularities as a whole.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제1롤러부가 필터시트의 양 측 끝단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필터시트가 펼쳐진 상태로 정확히 이송될 수 있다.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oller unit may b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filter sheet,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filter sheet can be accurately transported in an unfolded state.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제1롤러부와 제2롤러부는 교대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롤러의 휨 변형이 방지되면서도 사출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roller part and the second roller part are alternately arranged. Accordingly, while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roller is prevented, injection molding can be easily performed.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제1롤러부와 제2롤러부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필터시트의 크기에 따라 다른 배치가 가능하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roller part and the second roller part are separable from each other. Thereby, a different arrangement is possibl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ilter sheet.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구동측 공급롤러에 제3롤러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필터시트의 중앙측 부위에 대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hird roller part in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Thereby, it is possible to stably hold the filter sheet on the central side.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제3롤러부의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3롤러부가 필터시트를 강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rregularities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ird roller part. Accordingly, the third roller unit may serve to forcibly transport the filter sheet.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두 배출롤러와 두 공급롤러 사이에 절단모듈이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된 필터시트의 완전한 배출이 가능하다.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tting module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wo discharge rollers and the two supply rollers. This makes it possible to completely drain the used filter sheet.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절단모듈이 두 배출롤러에 비해 두 공급롤러에 더욱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필터시트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ting module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two supply rollers than the two discharge roller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mount of use of the filter sheet.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절단모듈이 필터시트를 절단하는 커터와, 커터를 이동시키는 커터이동부가 포함될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utter for cutting the filter sheet by the cutting module, and a cutter moving part for moving the cutter.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커터가 설치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일측이 연결되는 벨트풀리와, 상기 벨트풀리를 정역 구동시키는 커터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커터이동부가 구성될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elt on which a cutter is installed, a belt pulley to which one side of the belt is connected, and a cutter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belt pulley forward and reverse, and the cutter moving part may be configured.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필터이송모듈 및 절단모듈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filter transfer module and the cutting module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구동측 배출롤러와 구동측 공급롤러를 동시에 동작시켜 필터시트를 이송시킬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port the filter sheet by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driving-side discharge roller and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필터시트가 이송되면 구동측 공급롤러가 정지된 상태에서 구동측 배출롤러를 동작시켜 필터시트를 당길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ull the filter sheet by operating the driving side discharge roller while the driving side supply roller is stopped when the filter sheet is transferred.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필터시트가 당겨진 상태에서 절단모듈을 동작하여 필터시트를 절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ut the filter sheet by operating the cutting module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sheet is pulled.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절단된 필터시트는 구동측 배출롤러를 동작하여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cut filter sheet is discharged by operating the driving side discharge roll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사용된 필터시트의 절단 작업이 해당 필터시트의 양 끝단을 고정한 상태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당긴 후 수행되기 때문에 절단 작업시 야기될 수 있는 절단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utting operation of the used filter sheet is performed after pulling in opposite directions with both ends of the filter sheet fixed, cutting defects that may be caused during the cutting operation can be prevented.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또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절단모듈의 위치가 두 배출롤러보다 두 공급롤러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배치함에 따라 필터시트의 비사용 부분에 대한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동일량의 필터시트가 제공되더라도 필터공급모듈의 사용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discharge of the unused portion of the filter sheet by disposing the cutting modul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odule is located closer to the two supply rollers than the two discharge rollers. Even if provided,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increase the period of use of the filter supply module.

또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사용된 필터시트가 자동 제어에 의해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필터시트의 배출 작업이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discharging operation of the filter sheet can be easily and easily performed because the used filter sheet can be discharged by automatic control.

또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두 공급롤러의 외주면 및 두 배출롤러의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기 때문에 필터시트가 미끄러지지 않고 원활히 이송될 수 있으며, 특히 필터시트의 절단시 절단 부위의 양 측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당기는 것이 가능하여 절단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two supply rollers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two discharge rollers, the filter sheet can be smoothly transported without slipping. Since it is possible to pull in the direction, it has the effect that cutting defects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자유롭게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장소 및 다양한 용도(예컨대, 일반적인 공기정화기로의 용도 및 조리물의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성분의 제거를 위한 후드장치의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moved and used, it can be used in various places and for various purposes (eg, as a general air purifier and use of a hood device for removing oil components generated during cooking of food). has the effect that it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몸체하우징을 이루는 상부덮개부가 몸체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필터이송모듈에 대한 유지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maintenance of the filter transfer module can be easily performed because the upper cover portion constituting the body housing is detachably configured from the body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몸체하우징을 이루는 하부덮개부가 몸체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필터공급모듈에 대한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filter supply module can be easily replaced because the lower cover part constituting the body housing is detachably configured from the body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상부덮개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내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덮개부 및 몸체부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내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일측 방향에서 본 내부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내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타측 방향에서 본 내부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필터공급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각 공급롤러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각 배출롤러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각 구성요소가 분해된 상태를 일측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각 구성요소가 분해된 상태를 타측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각 구동측 롤러들에 대한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각 종동측 롤러들에 대한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각 구동측 롤러들의 동력 전달을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측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각 구동측 롤러들의 동력 전달을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타측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각 롤러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각 롤러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각 롤러에 대한 결합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각 롤러에 대한 결합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각 롤러에 대한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각 롤러에 대한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절단모듈에 대한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덮개부 및 하부가이드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절단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절단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절단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절단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필터시트에 대한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부위 및 사용된 후 배출되는 부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필터시트를 각 공급롤러 및 각 배출롤러가 파지하도록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필터시트를 각 공급롤러 및 각 배출롤러가 파지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필터시트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30 내지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필터시트의 자동 배출 및 절단을 위한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viewed from the front side to explain the external structur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upper cover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part and the body part are removed to explain the internal stat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nternal state diagram viewed from one side to explain the internal stat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nternal state diagram viewed from the other side to explain the internal stat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shown to expla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supply modul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shown to explain a state in which each supply roller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shown to explain a state in which each discharge roller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each component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state of each component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each driving-side roller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each driven-side roller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one side to explain a structure for power transmission of rollers on each driving sid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other side to explain a structure for power transmission of rollers on each driving sid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each roller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each roller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upling structure for each roller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upling structure for each roller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upling structure for each roller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upling structure for each roller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part and the lower guide plate are removed to explain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utting modul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utting modul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utting modul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utting modul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cutting modul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unused and discarded portion of the filter sheet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rtion discharged after being used;
27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each supply roller and each discharge roller operate to grip the filter sheet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each supply roller and each discharge roller hold the filter sheet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lter sheet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30 to 35 are stat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for automatic discharging and cutting of a filter sheet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35.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이동 설치 가능하도록 소형화되면서도 별도의 고정 구조물과 결합될 필요없이 단독으로 사용 가능한 제품으로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product that can be used alone without having to be combined with a separate fixed structure while being miniaturized to be movable and installed.

특히,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성분의 흡착 및 이렇게 기름성분이 흡착된 필터시트를 손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후드장치(portable hood)로 사용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ortable hood that allows the absorption of oil components generated during cooking of food and easy discharge of the filter sheet on which the oil components are adsorbed.

이와 함께,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에 대한 실시예의 설명 중 각 방향에 대한 설명의 경우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참조하여 설명된다.In addition, the case of the description of each direction among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상부덮개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viewed from the front side to explain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open state of the top cover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또한,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내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덮개부 및 몸체부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내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상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part and the body part are removed to explain the internal stat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view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internal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ate of the air purifier.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는 몸체하우징(100)과, 팬모듈(200)과, 필터공급모듈(300), 필터이송모듈(400) 및 절단모듈(500)이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ousing 100, a fan module 200, a filter supply module 300, a filter transfer module 400, and a cutting module 500. may be included.

즉, 공기의 흡입과 배출 및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 이물질이 걸러진 필터시트(310)의 이송 및 절단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된 필터시트(310)를 바로 배출할 수 있어서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필터이송모듈(400)과 절단모듈(500)의 구조 및 배치를 최적화하여 필터시트(310)의 원활한 이송 및 정확한 절단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used filter sheet 310 can be directly discharged as it is configured so that suction and discharge of air,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uctioned air, and transport and cutting of the filter sheet 310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can be perform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lean state at all times, and in particular, by optimizing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the filter transfer module 400 and the cutting module 500, smooth transfer of the filter sheet 310 and accurate cutting are possible.

이를 각 구성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is explained for each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상기 몸체하우징(100)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body housing 100 will be described.

상기 몸체하우징(100)은 공기정화기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위이다.The body housing 100 is a portion forming the body of the air purifier.

이러한 몸체하우징(100)은 내부에 설치 공간이 제공되는 박스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housing 100 may be formed in a box-shaped structure in which an installation space is provided.

첨부된 도 1과 도 2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전면에는 공기입구(1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이라 함은 조리물이 조리되는 방향측 혹은, 정화하고자 하는 공기가 발생되는 방향측의 벽면이 될 수 있다.An air inlet 101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housing 100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4 and 5 attached thereto. In this case, the front surface may be a side wall in the direction in which food is cooked or in the direction in which air to be purified is generated.

상기 공기입구(101)는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전면 중 대부분의 부위가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전면 중 일부만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air inlet 101 may be formed to include mos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housing 100 , or may be formed to include only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housing 100 .

이와 함께, 상기 공기입구(101)는 전체가 개방된 개구부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슬롯이 형성된 그릴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타공판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ir inlet 101 may be formed as an opening that is entirely open, may be formed in a partially slotted grill structure, or may be formed in a perforated plat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입구(101)가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전면 중 중앙측 부위를 포함하는 일부에만 형성됨을 그 예로 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air inlet 101 is formed only on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housing 100 including the central portion.

첨부된 도 1과 도 2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배면에는 상기 공기입구(101)로 유입된 공기의 배출을 위한 공기출구(102)가 형성될 수 있다.An air outlet 102 for discharging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101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housing 100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4 and 5 attached thereto. there is.

상기 공기출구(102)는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배면 중 대부분의 부위가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배면 중 일부만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air outlet 102 may be formed to include most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housing 100 , or may be formed to include only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housing 100 .

이와 함께, 상기 공기출구(102)는 전체가 개방된 개구부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슬롯이 형성된 그릴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타공판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ir outlet 102 may be formed as an opening that is entirely open, may be formed in a partially slotted grill structure, or may be formed in a perforated plat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공기출구(102)는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양 측 벽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 air outlet 102 may be configured to be formed on both side walls of the body housing 100 .

또한, 상기 몸체하우징(100)은 상기 공기입구(101)가 형성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상측에 제공되는 상부덮개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housing 100 may include a body portion 110 in which the air inlet 101 is formed, and an upper cover portion 120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110 .

이때, 공기출구(102)는 상기 몸체부(11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공기출구(102)는 상기 몸체부(110)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상부덮개부(120)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air outlet 102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Of course, the air outlet 102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110 or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portion 120 .

상기 몸체부(110)에는 필터이송모듈(400)의 일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상부덮개부(120)에는 필터이송모듈(400)의 다른 일부가 구비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filter transfer module 400 may be provided in the body 110 , and another portion of the filter transfer module 400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cover 120 .

구체적으로는, 상기 몸체부(110)에는 구동측 공급롤러(411) 및 구동측 배출롤러(421)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상부덮개부(120)에는 종동측 공급롤러(412) 및 종동측 배출롤러(422)가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and a driving-side discharge roller 421 , and the upper cover part 120 has a driven-side supply roller 412 and a driven-side supply roller 412 . A discharge roller 422 may be provided.

특히, 상기 상부덮개부(120)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상부덮개부(120)를 분리함으로써 공기정화기의 내부 구성요소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upper cover part 120 may be installed detachably from the body part 110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 That is, by separating the upper cover part 120 from the body part 110, maintenance of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air purifier can be easily performed.

상기 상부덮개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분리 혹은, 몸체부(11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cover part 120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dy part 110 and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110 or coupled to the body part 110 .

이와 함께, 상기 상부덮개부(120)와 몸체부(110)는 락킹부재(111)를 이용하여 서로 구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부재(111)는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그 이외의 다양한 락킹 구조로 이루어질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upper cover part 120 and the body part 110 may be configured to be restrained from each other using the locking member 111 . The locking member 111 may have a hook-type structure as shown in the embodiment, or may have various other locking structures.

또한, 첨부된 도 1과 도 2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전면에는 필터출구(103) 및 필터입구(10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lter outlet 103 and a filter inlet 104 may be respective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housing 100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4 and 5 attached thereto.

상기 필터출구(103)는 필터공급모듈(300)의 필터시트(310)가 몸체하우징(100) 내로부터 몸체하우징(100) 외부로 취출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필터출구(103)는 상기 공기입구(101)의 하측에 형성된다.The filter outlet 103 is a portion where the filter sheet 310 of the filter supply module 300 is taken out from the inside of the body housing 100 to the outside of the body housing 100 . The filter outlet 103 is formed below the air inlet 101 .

상기 필터입구(104)는 상기 필터출구(103)를 통해 몸체하우징(100) 외부로 취출되어 공기입구(101)를 가로막은 필터시트(310)가 몸체하우징(100) 내로 삽입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필터입구(104)는 상기 공기입구(101)의 상측에 형성된다. 즉, 필터시트(310)는 몸체하우징(100)의 전면 하측에서 취출되어 상기 공기입구(101)를 가로막은 후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전면 상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The filter inlet 104 is a portion where the filter sheet 310 that is blown out of the body housing 100 through the filter outlet 103 and blocks the air inlet 101 is inserted into the body housing 100 . The filter inlet 104 is formed above the air inlet 101 . That is, the filter sheet 310 may be taken out from the lower front side of the body housing 100 , block the air inlet 101 , and then be introduced into the front upper side of the body housing 100 .

상기 필터입구(104)의 경우 상기 상부덮개부(120)와 몸체부(110) 간의 경계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입구(104)의 일부는 상기 상부덮개부(120)의 저면 전방측 부위를 상향 요입하여 형성되고, 상기 필터입구(104)의 다른 일부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 전방측 부위를 하향 요입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In the case of the filter inlet 104 , it may be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upper cover part 120 and the body part 110 . That is, a part of the filter inlet 104 is formed by indenting the bottom front side of the upper cover part 120 upward, and the other part of the filter inlet 104 is the upper front side of the body part 110 . It can be formed by indenting the site downward.

이로써, 상기 상부덮개부(120)와 몸체부(110)가 서로 접촉되면 상기 필터입구(104)가 형성된다.Accordingly, when the upper cover portion 120 and the body portion 1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lter inlet 104 is formed.

이와 함께, 상기 필터입구(104)는 입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게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필터입구(104)의 확장 구조에 의해 필터시트(310)의 최초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inlet 104 may be inclined or rounded to gradually expand toward the inlet side. That is, the initial insertion of the filter sheet 310 can be easily made by the expanded structure of the filter inlet 104 described above.

특히, 상기 필터입구(104)의 하측 모서리(몸체부의 상면 전방측 모서리)는 상측 모서리((몸체부의 상면 전방측 모서리)에 비해 더욱 큰 경사 혹은, 라운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필터시트(310)의 급격한 꺽임에 의해 해당 모서리에서 필터시트(310)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 필터시트(310)가 찢어지거나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lower edge (top front edge of the body part) of the filter inlet 104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slope or round than the upper edge ((top front edge of the body part). This is to prevent the filter sheet 310 from being torn or damaged by reducing the load applied to the filter sheet 310 at the corresponding edge by the abrupt bending of the sheet 310 .

그리고, 상기 필터출구(103)는 상향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필터출구(103)의 위치를 최대한 공기입구(101)에 인접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필터시트(310)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필터시트(310)의 급격한 꺽임에 의해 야기되는 부하로 필터시트(310)가 찢어지거나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filter outlet 103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or to be rounded.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filter outlet 103 can be positioned as close to the air inlet 101 as possible,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the filter sheet 310 and reducing the load caused by the sharp bending of the filter sheet 310 . This is to prevent the filter sheet 310 from being torn or damaged.

한편, 몸체하우징(100)의 배면에는 필터배출구(10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배출구(105)는 사용 완료되어 절단된 필터시트(310)를 배출하도록 제공되는 개구 부위이다.Meanwhile, a filter outlet 105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housing 100 . The filter outlet 105 is an opening provided to discharge the used and cut filter sheet 310 .

특히, 상기 필터배출구(105)는 상기 필터입구(104)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필터배출구(105)는 필터이송모듈(400)의 배치 상태에 따라 상기 필터입구(104)에 비해 높은 위치에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필터입구(104)에 비해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filter outlet 105 may be configured to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ilter inlet 104 . Of course, the filter outlet 105 may be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filter inlet 104 or lower than the filter inlet 104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filter transfer module 400 . .

상기 몸체하우징(100)은 하부덮개부(1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body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 lower cover portion 130 .

상기 하부덮개부(130)는 상기 몸체부(100)의 하측에 제공되는 부위이며, 이러한 하부덮개부(130) 내에는 상기 필터공급모듈(300)이 구비될 수 있다.The lower cover portion 130 is a portion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100 , and the filter supply module 300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cover portion 130 .

상기 하부덮개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의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lower cover part 13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110 .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덮개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분리되거나 혹은, 몸체부(11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하우징(100)에 형성되는 필터출구(103)는 상기 하부덮개부(130)와 상기 몸체부(110) 간의 경계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lower cover part 130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dy part 110 and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110 or coupled to the body part 110 . In this case, the filter outlet 103 formed in the body housing 100 may be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lower cover 130 and the body 110 .

특히, 상기 하부덮개부(130)와 몸체부(110) 내의 공간은 서로 폐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110)의 저면은 바닥부(112)로 폐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덮개부(130)는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면서도 상기 몸체부(110)의 바닥부(112) 저면에 밀착되면서 장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In particular, the space within the lower cover portion 130 and the body portion 110 may be formed to be closed to each other.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110 is configured to be closed with the bottom part 112 , and the lower cover part 130 is formed to have an open top surface while being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art 112 of the body part 110 . It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installed while being closely attached. This is as shown in FIGS. 4 and 5 attached thereto.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몸체하우징(100)의 외부는 별도의 외부케이스가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몸체하우징(100)이 공기정화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외관을 이루는 별도의 외부케이스가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a separate outer case may be further provided outside the body housing 100 . That is, although the body housing 10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air purifier, a separate external case constituting the exterio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외부케이스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몸체하우징(100)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공기입구(101)에 대응되게 입구그릴 및 공기출구에 대응되게 출구그릴이 있을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separate outer case is not shown, but the outer case is formed to surround the entire body housing 100 and has an inlet grill corresponding to the air inlet 101 and an outlet grill corresponding to the air outlet. there may be

또 다르게는, 상기 외부케이스는 몸체하우징(100) 중 몸체부(11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덮개부(120) 및/또는 하부덮개부(130)는 상기 외부케이스에 분리/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의 경우에도 외부케이스에는 입구그릴과 출구그릴이 구비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outer case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10 of the body housing 100, and the upper cover part 120 and/or the lower cover part 130 is separated/ It may be formed to be coupled. Even in this case, the outer case may be provided with an inlet grill and an outlet grill.

다음은, 상기 팬모듈(20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fan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상기 팬모듈(200)은 공기입구(101)를 통해 공기의 강제 흡입한 후 공기출구(102)를 통해 배출되도록 송풍하는 모듈이다.The fan module 200 is a module that blows ai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102 after forcibly sucking in air through the air inlet 101 .

이러한 팬모듈(200)은 상기 몸체하우징(100) 중 몸체부(110) 내에 구비될 수 있다.The fan module 200 may be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110 of the body housing 100 .

구체적으로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모듈(200)은 상기 공기입구(10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입구(101)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 the fan module 200 may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air inlet 101 , and may be configured to suck air through the air inlet 101 . .

이러한 팬모듈(200)은 팬(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210)은 공기 유동을 위한 유로 구조에 따라 축류팬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시로코팬이나 크로스플로우팬 등의 횡류팬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fan module 200 may include a fan 210 . In this case, the fan 210 may be configured as an axial fan or a cross flow fan such as a sirocco fan or a cross flow fan according to a flow path structure for air flow.

또한, 상기 몸체하우징(100)을 이루는 몸체부(110) 내에는 필터부(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lter unit 140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body unit 110 constituting the body housing 100 .

즉, 필터공급모듈(300)을 이루는 필터시트(310)는 주로 기름성분 및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해 제공되는 필터임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필터시트(310)와는 달리 냄새성분을 제거하거나 혹은,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필터가 추가로 제공됨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필터부(140)가 제공되도록 한 것이다.That is, considering that the filter sheet 310 constituting the filter supply module 300 is a filter provided to mainly remove oil components and dust with relatively large particles, unlike the filter sheet 310 , odor components are removed or Alternatively, it is more preferable that a filter for removing fine dust is additionally provided, and for this purpose, the filter unit 140 is provided.

이러한 필터부(140)는 몸체부(110) 내의 공기입구(101)와 공기출구(10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140 may be located between the air inlet 101 and the air outlet 102 in the body unit 110 .

바람직하게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140)가 공기입구(101)와 팬모듈(2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lter unit 1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air inlet 101 and the fan module 200 as shown in FIG. 4 .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필터부(140)는 팬모듈(200)과 공기출구(102)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필터시트(310)에 의해 미처 걸러지지 않은 미세먼지가 재차적으로 걸러지기 전에 팬모듈(200)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경우 팬모듈(200)의 손상이 야기될 수 있음을 고려한다면 상기 필터부(140)는 팬모듈(200) 전방에 위치됨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 filter unit 140 may be located between the fan module 200 and the air outlet 102 . However, if it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damage to the fan module 200 may be caused if the fine dust not filtered by the filter sheet 310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fan module 200 before being filtered again, the filter It may be more preferable that the unit 140 is located in front of the fan module 200 .

다음은, 상기 필터공급모듈(30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filter supply module 300 will be described.

상기 필터공급모듈(300)은 필터시트(310)를 공급하도록 제공되는 모듈이다.The filter supply module 300 is a module provided to supply the filter sheet 310 .

상기 필터시트(310)는 종이 혹은,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가 될 수 있으며, 기름성분을 걸러줄 수 있는 필터임이 바람직하다.The filter sheet 310 may be a filter made of paper or non-woven fabric, and is preferably a filter capable of filtering oil components.

이러한 필터공급모듈(300)은 공기입구(101)에 비해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This filter supply module 300 may be located at a lower side than the air inlet 101 .

구체적으로는, 몸체하우징(100)을 이루는 하부덮개부(130) 내에 제공되면서 필터출구(103)를 통해 필터시트(310)가 취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lter sheet 310 may be taken out through the filter outlet 103 while being provided in the lower cover portion 130 constituting the body housing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공급모듈(300)은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덮개부(130) 내의 전방측에 위치됨으로써 필터시트(310)의 인출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여 필터시트(310)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More preferably, the filter supply module 300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in the lower cover 130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S. 4 to 6, so that the extraction distance of the filter sheet 310 can be minimized. so as to reduce the usage of the filter sheet 310 .

상기 필터공급모듈(300)은 상기 몸체하우징(100)을 이루는 하부덮개부(130) 내에 양 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롤러(3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권취롤러(320)는 상기 필터시트(310)가 권취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filter supply module 300 may include a winding roller 320 having both ends rotatably installed in the lower cover portion 130 constituting the body housing 100 . The winding roller 320 may be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sheet 310 is wound.

다음은, 상기 필터이송모듈(40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filter transfer module 400 will be described.

상기 필터이송모듈(400)은 필터시트(310)가 공기입구(101)를 가로막도록 강제 이송하는 모듈이다.The filter transfer module 400 is a module for forcibly transferring the filter sheet 310 to block the air inlet 101 .

이러한 필터이송모듈(400)은 공기입구(101)에 비해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시트(310)를 당기면서 해당 필터시트(310)가 공기입구(101)를 가로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transfer module 400 may be located above the air inlet 101 . That is, the filter sheet 310 may be configured to block the air inlet 101 while pulling the filter sheet 310 .

첨부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각 공급롤러 및 각 배출롤러가 설치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7 and 8 are respective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each supply roller and each discharge roller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또한, 첨부된 도 9 내지 도 12에서는 각 롤러의 설치를 위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In addition, in the accompanying Figures 9 to 12 each shows the state for the installation of each roller.

이들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이송모듈(400)은 상하 마주보게 배치된 구동측 공급롤러(411) 및 종동측 공급롤러(4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필터시트(310)는 상기 구동측 공급롤러(411) 및 종동측 공급롤러(412)의 동작에 의해 공기입구(101)를 가로막는 위치에 놓일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filter transfer module 4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and a driven-side supply roller 412 arranged to face up and down. That is, the filter sheet 310 can be placed in a position to block the air inlet 101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and the driven-side supply roller 412 .

이러한 구동측 공급롤러(411)는 몸체부(110) 내의 필터입구(104) 후방측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측 공급롤러(411)의 양 끝단은 상기 몸체부(110) 내의 양 측부에 위치되는 지지가이드(411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rear side of the filter inlet 104 in the body 110 , and both ends of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are both ends of the body part 110 . It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guide 411b located on the side.

특히, 상기 구동측 공급롤러(411)는 제1동력전달부재(411a,413a,413b)를 통해 제1롤러 구동모터(413)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may be configured to rotate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roller driving motor 413 through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s 411a, 413a, and 413b.

여기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재(411a,413a,413b)는 종동기어(411a)와 구동기어(413a) 혹은, 연결기어(413b) 중 적어도 어느 한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s 411a, 413a, and 413b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riven gear 411a, a driving gear 413a, or a connecting gear 413b.

즉, 상기 구동측 공급롤러(411)의 어느 한 측 끝단에는 종동기어(411a)가 설치되고, 상기 제1롤러 구동모터(413)의 모터축에는 구동기어(413a)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413a)와 종동기어(411a)는 서로 맞물려 동작되도록 구성되거나 혹은, 추가적인 연결기어(413b)를 통해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That is, a driven gear 411a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 and a driving gear 413a is installed on the motor shaft of the first roller driving motor 413 , and the driving gear (413a) and the driven gear (411a)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meshing with each other, or may be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through an additional connecting gear (413b).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구동측 공급롤러(411)와 상기 제1롤러 구동모터(413)는 벨트(예컨대, 타이밍벨트)를 이용하여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and the first roller driving motor 41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transmit power using a belt (eg, a timing belt).

이때, 상기 제1롤러 구동모터(413)는 설정된 회전수만큼 회전될 수 있는 DC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roller driving motor 413 may be configured as a DC motor capable of rotating by a set number of rotations.

상기 종동측 공급롤러(412)는 상기 구동측 공급롤러(411)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롤러이다.The driven-side supply roller 412 is a roller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

이러한 종동측 공급롤러(412)는 상부덮개부(120)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양 단은 상기 상부덮개부(120) 내의 양 측부에 위치된 지지가이드(412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driven-side supply roller 412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cover part 120 , and both ends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guides 412b located on both sides in the upper cover part 120 .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종동측 공급롤러(412)는 상기 구동측 공급롤러(411)의 직상방에 위치되면서 필터시트(3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측 공급롤러(411)와 상하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riven-side supply roller 412 is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and is disposed to face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with the filter sheet 310 interposed therebetween. can

특히, 상기 종동측 공급롤러(412)는 탄력부재(412a)에 의해 상하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종동측 공급롤러(412)가 구동측 공급롤러(411)에 일정 이상의 접촉 압력을 가지면서 밀착되기 때문에 종동측 공급롤러(412)가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지 않더라도 구동측 공급롤러(411)의 구동력에 의해 이 구동측 공급롤러(411)와 함께 필터시트(310)를 강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driven-side supply roller 412 may be installed to be elastically moved up and down by the elastic member 412a. That is, even if the driven-side supply roller 412 is not driven by a separate driving source because the driven-side supply roller 4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while having a certain or more contact pressure,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 it is possible to forcibly transport the filter sheet 310 together with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by the driving force.

만일, 상기 구동측 공급롤러(411)와 종동측 공급롤러(412) 사이에 필터시트(310)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두 공급롤러(411,412)는 서로 맞닿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If the filter sheet 310 does not exist between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and the driven-side supply roller 412 , the two supply rollers 411 and 412 may be maintain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필터이송모듈(400)은 필터시트(310)의 배출을 위해 상하 마주보게 배치된 구동측 배출롤러(421) 및 종동측 배출롤러(4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transfer module 4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riving side discharge roller 421 and a driven side discharge roller 422 disposed to face up and down for discharging the filter sheet 310 .

상기한 구동측 배출롤러(421) 및 종동측 배출롤러(422)는 상기 구동측 공급롤러(411) 및 종동측 공급롤러(412)의 필터 취출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driving-side discharge roller 421 and the driven-side discharge roller 422 may be located on the filter take-out side of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and the driven-side supply roller 412 .

즉, 필터시트(310)는 상기 구동측 배출롤러(421) 및 종동측 배출롤러(422)의 동작에 의해 공기입구(101)를 가로막는 위치에 놓일 수 있고, 절단시에는 평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절단된 이후에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filter sheet 310 can be placed at a position that blocks the air inlet 101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side discharge roller 421 and the driven side discharge roller 422, and can be maintained in a flat state when cut. And after being cut,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러한 구동측 배출롤러(421)는 제2동력전달부재(421a,423a,423b)를 통해 제2롤러 구동모터(423)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riving-side discharge roller 421 may be configured to rotate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roller driving motor 423 through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mbers 421a, 423a, and 423b.

이때, 상기 구동측 배출롤러(421)의 양 끝단은 상기 몸체부(110) 내의 양 측부에 위치되는 지지가이드(113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driving-side discharge roller 421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guides 113b positioned on both sides in the body 110 .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421a,423a,423b)는 종동기어(421a)와 구동기어(423a) 혹은, 연결기어(423b) 중 적어도 어느 한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mbers 421a, 423a, and 423b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riven gear 421a, a driving gear 423a, or a connection gear 423b.

즉, 상기 구동측 배출롤러(421)의 어느 한 측 끝단에는 종동기어(421a)가 설치되고, 상기 제2롤러 구동모터(423)의 모터축에는 구동기어(423a)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423a)와 종동기어(421a)는 서로 맞물려 동작되도록 구성되거나 혹은, 추가적인 연결기어(423b)를 통해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That is, a driven gear 421a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driving side discharge roller 421 , and a driving gear 423a is installed on the motor shaft of the second roller driving motor 423 , and the driving gear The 423a and the driven gear 421a may be configured to engage with each other, or may be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through an additional connecting gear 423b.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구동측 배출롤러(421)와 상기 제2롤러 구동모터(423)는 벨트(예컨대, 타이밍벨트)를 이용하여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 driving-side discharge roller 421 and the second roller driving motor 42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transmit power using a belt (eg, a timing belt).

이와 함께, 상기 종동측 배출롤러(422)는 상기 구동측 배출롤러(421)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롤러이다.In addition, the driven-side discharge roller 422 is a roller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side discharge roller 421 .

이러한 종동측 배출롤러(422)는 상부덮개부(120)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양 단은 상기 몸체부(110) 내의 양 측부에 위치된 지지가이드(422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driven-side discharge roller 422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cover part 120 , and both ends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guides 422b located on both sides in the body part 110 .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종동측 배출롤러(422)는 상기 구동측 배출롤러(421)의 직상방에 위치되면서 필터시트(3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측 배출롤러(421)와 상하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riven-side discharge roller 422 is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driving-side discharge roller 421 to face the driving-side discharge roller 421 with the filter sheet 310 interposed therebetween. can

특히, 상기 종동측 배출롤러(421)는 탄력부재(421a)에 의해 상하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종동측 배출롤러(422)가 구동측 배출롤러(421)에 일정 이상의 접촉 압력을 가지면서 밀착되기 때문에 종동측 배출롤러(422)가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지 않더라도 구동측 배출롤러(421)의 구동력에 의해 이 구동측 배출롤러(421)와 함께 필터시트(310)를 강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driven-side discharge roller 421 may be installed to be elastically moved up and down by the elastic member 421a. That is, since the driven side discharge roller 4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ving side discharge roller 421 while having a certain or more contact pressure, the driven side discharge roller 421 even if the driven side discharge roller 422 is not driven by a separate driving source ), it is possible to forcibly transport the filter sheet 310 together with the driving side discharge roller 421 by the driving force.

만일, 상기 구동측 배출롤러(421)와 종동측 배출롤러(422) 사이에 필터시트(310)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두 배출롤러(421,422)는 서로 맞닿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If the filter sheet 310 does not exist between the driving side discharge roller 421 and the driven side discharge roller 422 , the two discharge rollers 421 and 422 may be maintain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필터이송모듈(400)은 필터시트(310)의 이송을 안내하는 상부가이드플레이트(431) 및 하부가이드플레이트(432)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가이드플레이트(431) 및 하부가이드플레이트(432) 사이로 필터시트(310)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필터시트(310)가 이송되는 도중 들뜸이나 휨 등의 변형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filter transfer module 400 may include an upper guide plate 431 and a lower guide plate 432 for guiding the transfer of the filter sheet 310 . That is, by allowing the filter sheet 310 to be transported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431 and the lower guide plate 432, deformation such as lifting or bending while the filter sheet 310 is transported can be prevented. it was made to

상기 각 가이드플레이트(431,432)에는 각 롤러(411,412,421,422)가 노출될 수 있도록 롤러관통공(431a,432a)이 각각 형성된다.Roller through-holes 431a and 432a are formed in each of the guide plates 431 and 432 so that the rollers 411 , 412 , 421 , 422 can be exposed, respectively.

이로써, 상기 구동측 공급롤러(411) 및 구동측 배출롤러(421)는 하부가이드플레이트(432)의 롤러관통공(432a)을 관통하여 상부로 일부 노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종동측 공급롤러(412) 및 종동측 배출롤러(422)는 상부가이드플레이트(431)의 롤러관통공(431a)을 관통하여 상부로 일부 노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and the driving-side discharge roller 421 pass through the roller through-hole 432a of the lower guide plate 432 and are partially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driven-side supply roller 412 ) and the driven-side discharge roller 422 may be positioned to penetrate the roller through-hole 431a of the upper guide plate 431 and be partially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특히,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가이드플레이트(431)와 하부가이드플레이트(432) 사이의 이격 거리(h1)는 상기 각 롤러관통공(431a,432a)과 해당 롤러관통공(431a,432a)을 관통하는 롤러(각 공급롤러 혹은, 각 배출롤러)(411,412,421,422) 간의 틈새 거리(h2)에 비해 더욱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 7, the separation distance h1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431 and the lower guide plate 432 is the respective roller through-holes 431a and 432a and the corresponding roller through-hole 431a. , 432a) is preferably formed larger than the gap distance (h2) between the rollers (each supply roller or each discharge roller) (411, 412, 421, 422) passing through.

즉, 상기 두 가이드플레이트(431,432) 사이가 롤러관통공(431a,432a)과 롤러(411,412,421,422) 사이의 틈새 거리(h2)와 같거나 작다면 상기 틈새로 필터시트(310)가 걸려 뒤틀리거나 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두 가이드플레이트(431,432) 사이는 상기 틈새 거리(h2)에 비해서는 더욱 큰 이격 거리(h1)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That is, if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guide plates 431 and 432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gap distance h2 between the roller through-holes 431a and 432a and the rollers 411, 412, 421,422, the filter sheet 310 is caught and twisted or bent, etc. It is preferable to have a larger separation distance h1 between the two guide plates 431 and 432 than the gap distance h2.

물론, 상기 틈새 거리(h2)가 극히 좁게 형성된다면 필터시트(310)의 끼임이나 걸림이 줄어들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틈새 거리(h2)를 과도하게 좁게 형성한다면 롤러(411,412,421,422)의 유동을 해소하기가 어려울 수 있고, 상기 틈새 거리(h2)가 좁다고 하더라도 필터시트(310)의 끝단 모서리 일부가 걸려 휘는 현상이 야기될 우려가 여전히 존재한다.Of course, if the gap distance h2 is formed to be extremely narrow, pinching or jamming of the filter sheet 310 may be reduced. However, if the gap distance h2 is formed too narrow in this way, it may be difficult to resolve the flow of the rollers 411, 412, 421, 422, and even if the gap distance h2 is narrow, a part of the end edge of the filter sheet 310 is caught and bent. There are still concerns that the phenomenon may be caused.

이를 고려한다면 두 가이드플레이트(431,432) 사이의 이격 거리(h1)를 롤러관통공(431a,432a)과 롤러(411,412,421,422) 간의 틈새 거리(h2)에 비해 비해서는 더욱 크게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Considering this, it may be most preferable to form the spacing distance h1 between the two guide plates 431 and 432 to be larger than the gap distance h2 between the roller through-holes 431a and 432a and the rollers 411, 412, 421, 422. .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가 조리물의 조리시 사용될 경우 이 조리물로부터 발생되는 기름성분이 필터시트(310)에 걸러짐을 고려할 때 해당 필터시트(310)의 표면에는 다량의 기름성분이 응결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cooking food, considering that the oil component generated from the food is filtered by the filter sheet 310 , the surface of the filter sheet 310 has a large amount of oil components. It exists in a condensed state.

이를 고려한다면, 사용된 필터시트(310)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롤러(411,412,421,422)가 필터시트(310)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름성분에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상기 필터시트(310)가 원활히 이송되지 못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Considering this,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used filter sheet 310, the rollers 411, 412, 421, 422 slip on the oil component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sheet 310, so that the filter sheet 310 is not transported smoothly. Problems that can't be created may aris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필터이송모듈(400)을 이루는 적어도 어느 한 공급롤러(411,412)의 외주면에 필터시트(310)를 파지하는 요철(405)이 형성됨을 제시한다.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unevenness 405 for holding the filter sheet 31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supply rollers 411 and 412 constituting the filter transfer module 400 .

즉, 상기 공급롤러(411,412)의 외주면에 요철(405)을 형성함으로써 이 요철(405)이 상기 필터시트(310)의 표면을 파고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해당 필터시트(310)가 미끄러지지 않고 원활히 이송될 수 있으며, 필터시트(310)의 절단시 해당 절단 부위가 평평할 수 있게 양 측을 당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the unevenness 405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supply rollers 411 and 412 so that the unevenness 405 can penetrate the surface of the filter sheet 310 . Accordingly, the filter sheet 310 can be smoothly transported without slipping, and when the filter sheet 310 is cut, it is possible to pull both sides so that the cut portion is flat.

상기 요철(405)은 세레이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세레이션 구조의 요철이 제공됨으로써 해당 롤러(411,412)를 지나는 필터시트(310)가 상기 요철(405)에 맞물린 상태로 강제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unevenness 405 may have a serration structure. That is, by providing the unevenness of the serration structure, the filter sheet 310 pass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rollers 411 and 412 can be forcibly transferred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unevenness 405 .

이때, 상기 요철(405)은 단면이 톱니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단면이 기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단면이 여타의 다양한 다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concave-convex 405 may have a cross-section of a sawtooth structure, a cross-section of a gear-type structure, or a cross-section of other various polygonal structures.

상기 요철(405)은 상기 공급롤러(411,412)의 전 둘레 부위를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공급롤러(411,412)는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해당 요철(405)로 인한 탈형의 어려움이나 성형 불량 등의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The unevenness 405 may be formed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supply rollers 411 and 412 .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supply rollers 411 and 412 can be formed through injection molding, problems such as difficulty in demolding or molding defects due to the corresponding unevenness 405 may be caused.

이를 고려한다면 상기 요철(405)은 상기 공급롤러(411,412) 중 일부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즉, 공급롤러(411,412)의 일부에만 요철(405)이 형성되더라도 이 요철(405)로 인한 필터시트(310)의 강제적인 이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술된 문제점을 고려한다면 공급롤러(411,412)의 일부에만 요철(405)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Considering this, it may be more preferable that the unevenness 405 is partially formed only in some of the supply rollers 411 and 412 . That is, even if the unevenness 405 is formed on only a portion of the supply rollers 411 and 412, the filter sheet 310 can be forcibly transported due to the unevenness 405. Therefore, consider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some of the supply rollers 411 and 412 It is more preferable to form the concavo-convex 405 only on the ridg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롤러(411,412)가 요철(405)이 형성된 제1롤러부(401) 및 요철(405)이 형성되지 않은 제2롤러부(40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예로 한다.To this e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S. 15 and 16, the first roller portion 401 and the unevenness 405 are not formed in the supply rollers 411 and 412 in which the uneven 405 is formed.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second roller portion 402 is taken as an example.

특히, 상기 제1롤러부(401)는 필터시트(310)의 양 측 끝단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즉, 양 측 끝단 부위를 이루는 두 제1롤러부(401)와 그 내측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롤러부(402)의 배치를 통해 필터시트(310)의 양 끝단이 정확히 이송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필터시트(310)의 이송 도중 울렁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first roller parts 401 may be respectively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filter sheet 310 . That is, both ends of the filter sheet 310 can be accurately transported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two first roller parts 401 constituting both ends and at least one second roller part 402 positioned inside them. It is designed to prevent swaying during the transfer of the filter sheet 310 while doing so.

또한, 상기 제1롤러부(401)와 제2롤러부(402)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롤러부(401)와 제2롤러부(402)를 조립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필터시트(310)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배치가 가능하며, 필터시트(310)의 크기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roller part 401 and the second roller part 402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ble. That is, by configuring the first roller part 401 and the second roller part 402 as an assembly type, different arrangement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ilter sheet 310 ,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filter sheet 310 . become available for public use.

이때, 상기 제1롤러부(401)와 제2롤러부(402)는 서로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서로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첨부된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다.In this case, the first roller part 401 and the second roller part 402 may be configured to be screwed to each other, or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fitting manner. This is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S. 17 and 18 .

물론, 제1롤러부(401)와 제2롤러부(402)는 첨부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방향의 중앙이 관통된 관체로 형성되어, 회전 지지를 위한 회전축(404)의 외주면에 교대로 배치되면서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Of course, the first roller part 401 and the second roller part 402 are formed of a tubular body having the center in the axial direction penetrated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S. 19 and 20, and the rotation shaft 404 for rotation support. It may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while being alternately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이와 함께, 상기 공급롤러(411,412)는 제3롤러부(403)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롤러부(403)는 필터시트(310)의 중앙측 부위를 파지하도록 제공되면서 상기 제2롤러부(402)에 비해서는 더욱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ly rollers 411 and 412 may include a third roller unit 403 . In this case, the third roller part 403 may be configur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second roller part 402 while being provided to grip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lter sheet 310 .

이러한 제3롤러부(403)의 외주면에는 요철(40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필터시트(310)의 중앙측 부위에 대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다.Concave-convex 405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ird roller part 403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tably hold the filter sheet 310 on the central side.

이때, 상기 제3롤러부(403)와 제1롤러부(401)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요철을 갖거나 혹은, 서로 다른 직경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third roller unit 403 and the first roller unit 401 may be formed identically, may have different irregularities, or may have different diameter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롤러부(403)와 제1롤러부(401)가 동일하게 형성됨을 그 예로 하며, 상기 제3롤러부(403)는 복수로 제공됨과 더불어 제1롤러부(401)와 제3롤러부(403) 사이에 상기 제2롤러부(402)가 위치됨을 그 예로 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third roller part 403 and the first roller part 401 are formed in the same way, and the third roller part 403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first roller part (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second roller part 402 is positioned between the 401 and the third roller part 403 .

상기 요철(405)을 가지는 공급롤러(411,412)의 구조는 구동측 공급롤러(411)에만 적용될 수도 있고, 종동측 공급롤러(412)에만 적용될 수도 있으며, 두 공급롤러(411,412) 모두에 적용될 수도 있다.The structure of the supply rollers 411 and 412 having the unevenness 405 may be applied only to the driving side supply roller 411, may be applied only to the driven side supply roller 412, and may be applied to both supply rollers 411 and 412. .

물론, 상기 요철(405)은 강제적으로 동작되는 구동측 공급롤러(411)에 형성하는 것이 종동측 공급롤러(412)에만 형성하는 것에 비해 필터시트(310)의 강제적인 이송에 더욱 유리할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한다면 적어도 구동측 공급롤러(411)에는 요철(405)이 형성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Of course, forming the unevenness 405 on the forcibly operated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may be more advantageous for forcibly transporting the filter sheet 310 compared to forming only on the driven-side supply roller 412, In consideration of this,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oncave-convex 405 be formed at least on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

특히, 구동측 공급롤러(411)와 종동측 공급롤러(412) 모두에 요철(405)이 형성될 경우 상기 요철(405)은 상기 두 공급롤러(411,412)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면서 서로 맞물리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when the concavo-convex 405 is formed on both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and the driven-side supply roller 412 , the concavo-convex 405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of the two supply rollers 411 and 412 and engages with each other. It is preferred to place

한편, 상기 요철 구조는 적어도 어느 한 배출롤러(421,422)에도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롤러(421,422)에도 상기 공급롤러(411,412)와 동일한 구조의 요철(405)을 형성함으로써 필터시트(310)의 이송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concave-convex structure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discharge rollers 421 and 422 . That is, by forming the unevenness 405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supply rollers 411 and 412 on the discharge rollers 421 and 422 , the filter sheet 310 can be transported more stably.

물론, 배출롤러(421,422)에 요철(405)이 형성될 경우 필터시트(310)의 배출을 위한 이송 역시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f course, when the concavo-convex 405 is formed on the discharge rollers 421 and 422 , the transfer for discharging the filter sheet 310 may also be performed stably.

더욱이, 상기 배출롤러(421,422) 역시 둘 이상 복수의 롤러부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Moreover, the discharge rollers 421 and 422 may also be formed by being divided into two or more roller parts.

다음은, 절단모듈(50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utting module 500 will be described.

상기 절단모듈(500)은 필터시트(310)를 절단하도록 제공되는 모듈이다.The cutting module 500 is a module provided to cut the filter sheet 310 .

첨부된 도 21은 절단모듈에 대한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2는 절단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3은 절단모듈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4는 절단모듈의 평면도이며, 도 25는 절단모듈의 정면도이다.Attached Fig. 2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utting module, Fig.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utting module, Fig. 2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cutting module, and Fig. 24 is a plan view of the cutting module and FIG. 25 is a front view of the cutting module.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이송모듈(400)을 이루는 두 배출롤러(421,422)는 두 공급롤러(411,412)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절단모듈(500)은 상기 두 배출롤러(421,422)와 두 공급롤러(411,412)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two discharge rollers 421 and 422 constituting the filter transfer module 400 ar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wo supply rollers 411 and 412, and the cutting module 500 includes the two discharge rollers 421 and 422 and It may b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two supply rollers 411 and 412 .

즉, 종이나 섬유 등과 같이 쉽게 휠 수 있는 유연한 재질을 절단하고자 할 경우 절단 부위의 양 단을 파지하면서 평평하게 유지한 상태로 수행하여야만 안정적인 절단이 가능함을 고려할 때 필터시트(310)의 두 배출롤러(421,422)에 의해 파지되는 부위와 두 공급롤러(411,412)에 의해 파지되는 부위 사이에서 해당 필터시트(310)가 절단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when you want to cut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nd easily, such as paper or fiber, the two discharge rollers of the filter sheet 310 must be performed while holding both ends of the cut part and keeping it flat to ensure stable cutting. The filter sheet 310 can be cut between the portion gripped by 421 and 422 and the portion gripped by the two supply rollers 411 and 412 .

특히, 첨부된 도 4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모듈(500)은 상기 두 배출롤러(421,422)에 비해 상기 두 공급롤러(411,412)에 더욱 인접하게 위치됨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s 4 and 21, the cutting module 500 is preferably positioned more adjacent to the two supply rollers 411 and 412 than the two discharge rollers 421 and 422.

즉, 필터시트(310) 중 공기입구(101)를 지나 절단 위치 사이에 이르기까지의 부위는 사실상 사용되지 않은 상태로 버려지는 부위(310a)(첨부된 도 26 참조)이기 때문에 상기 절단 위치를 최대한 두 공급롤러(411,412)에 인접하게 위치시킴으로써 필터시트(310)의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since the portion of the filter sheet 310 passing through the air inlet 101 and reaching the cut position is the portion 310a (refer to attached FIG. By positioning the two supply rollers 411 and 412 adjacent to each other, the amount of unused filter sheet 310 that is discarded can be minimized.

상기 절단모듈(500)은 필터시트(310)를 절단하는 커터(510)와, 상기 커터(510)를 이동시키는 커터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utting module 500 may include a cutter 510 for cutting the filter sheet 310 and a cutter moving part for moving the cutter 510 .

상기 커터(510)는 통상의 칼날이 될 수 있고, 상기 커터이동부는 상기 커터(510)가 상기 필터시트(310)의 어느 한 측편 끝단으로부터 다른 한 측편 끝단에 이르기까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utter 510 may be a normal blade, and the cutter moving part is configured to move the cutter 510 from one end of the filter sheet 310 to the other end of the filter sheet 310 .

이러한 커터이동부는 벨트(521)와, 벨트풀리(522,523) 및 커터구동모터(5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For example, the cutter moving part includes a belt 521 , belt pulleys 522 and 523 , and a cutter driving motor 524 .

여기서, 상기 벨트풀리(522,523)는 두 개로 제공되면서 그 각각이 구동측 공급롤러(411)의 양 끝단에 비해 더욱 위치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벨트(521)는 상기 두 벨트풀리(522,523)에 양 단이 경유하도록 설치된다.Here, the belt pulleys 522 and 523 are provided in two, and each of them is disposed to be positioned further than both ends of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and the belt 521 is attached to the two belt pulleys 522 and 523. Both ends are installed to pass through.

이때, 상기 벨트(521)는 평면에서 봤을 때 두 벨트풀리(522,523)에의 접촉 부위로부터 전방측에 위치되는 전방측 부위(521a) 및 후방측에 위치되는 후방측 부위(521b)를 제공(첨부된 도 24 참조)할 수 있으며, 상기 커터(510)는 상기 벨트(521)의 전방측 부위(521a) 중 어느 한 측 끝단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belt 521 provides a front side portion 521a located on the front side and a rear side portion 521b located on the rear side from the contact portion to the two belt pulleys 522 and 523 in a plan view (attached) 24), and the cutter 510 is installed to be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front side portion 521a of the belt 521.

즉, 상기 벨트풀리(522,523)의 회전에 의한 벨트(521)의 이동으로 상기 커터(510)가 구동측 공급롤러(411)의 어느 한 측 끝단으로부터 다른 한 측 끝단에 이르기까지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by the movement of the belt 521 by the rotation of the belt pulleys 522 and 523, the cutter 510 can be moved from one end of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to the other end. will be.

상기 벨트(521) 중 후방측 부위(521b)의 어느 한 측 끝단(칼날과는 반대측 편의 끝단)에는 감지블럭(525)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블럭(526)은 상기 벨트(521)의 회전 동작에 의해 좌우 이동되면서 양 측에 위치된 스위치(527)를 조작하도록 구성되며, 이로써 커터(510)가 과도하게 이동됨을 방지하게 된다.A detection block 525 may be provided at one end (an end opposite to the blade) of the rear portion 521b of the belt 521 . At this time, the detection block 526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switches 527 located on both sides while moving left and right by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belt 521 , thereby preventing the cutter 510 from excessively moving.

물론, 상기 커터(510)의 이동 거리를 확인하기 위한 구조는 전술된 감지블럭(526) 및 스위치(527)를 이용한 구성 외에도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벨트풀리(522,523)에 엔코더를 설치할 수도 있고, 별도의 광센서를 설치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Of course, the structure for checking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cutter 5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other than the configuration using the above-described detection block 526 and switch 527 .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an encoder may be installed on the belt pulleys 522 and 523, a separate optical sensor may be installed, and various sensors may be used.

이와 함께, 상기 커터구동모터(524)는 상기 두 벨트풀리(522,523) 중 어느 한 벨트풀리(522,523)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커터구동모터(524)는 정력 구동 가능한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tter driving motor 524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ny one of the two belt pulleys 522 and 523 so as to transmit power to one of the belt pulleys 522 and 523 . In this case, the cutter driving motor 524 may be configured as an energetically driven motor.

다음은, 제어부(도시는 생략됨)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control unit (not shown) will be describ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이동모듈(400) 및 절단모듈(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이다.The control unit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lter moving module 400 and the cutting module 500 .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필터이동모듈(400)을 이루는 제1롤러 구동모터(413) 및 제2롤러 구동모터(42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절단모듈(500)을 이루는 커터구동모터(52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first roller driving motor 413 and the second roller driving motor 423 constituting the filter moving module 400, and the cutter driving motor constituting the cutting module 500 ( 524) can be controlled.

특히,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측 배출롤러(421)와 구동측 공급롤러(411)를 동시에 동작시켜 필터시트(310)를 이송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operate the driving-side discharge roller 421 and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to control the transfer of the filter sheet 310 .

또한, 상기 제어부는 구동측 공급롤러(411)가 정지된 상태에서 구동측 배출롤러(421)를 동작시켜 필터시트(300)가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driving-side discharge roller 421 in a state in which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is stopped to control the filter sheet 300 to be spread flat.

또한, 상기 제어부는 구동측 배출롤러(421)만 동작하여 절단된 필터시트(310)를 배출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control of discharging the cut filter sheet 310 by operating only the driving side discharge roller 421 .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에 필터시트(310)를 설치하는 과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filter sheet 310 in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사용을 위해 필터시트(310)를 설치한다.First, the filter sheet 310 is installed for us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필터시트(310)는 필터공급모듈(300)을 이루는 권취롤러(320)에 권취된 상태로 제공되며, 상기 권취롤러(320)는 몸체하우징(100)을 이루는 하부덮개부(130)를 개방한 상태에서 해당 하부덮개부(13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제공된다.The filter sheet 310 is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wound on the winding roller 320 constituting the filter supply module 300 , and the winding roller 320 opens the lower cover portion 130 forming the body housing 100 . It is provided by being rotatably installed in the lower cover part 130 in one state.

그리고, 이렇게 설치된 권취롤러(320)의 필터시트(310)는 몸체하우징(100)에 형성된 필터출구(103)를 통해 몸체하우징(100) 내로부터 인출되어 공기입구(101)를 가로막은 후 필터입구(104)를 통해 몸체하우징(100) 내로 삽입된다.Then, the filter sheet 310 of the winding roller 320 installed in this way is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body housing 100 through the filter outlet 103 formed in the body housing 100, blocks the air inlet 101, and then blocks the filter inlet It is inserted into the body housing 100 through (104).

이와 함께, 상기 필터입구(104)로 삽입된 필터시트(310)는 두 공급롤러(411,412)를 지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필터시트(310)의 끝단은 두 배출롤러(421,422)를 지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두 공급롤러(411,412)와 두 배출롤러(421,422)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몸체하우징(100)의 배면에 형성된 필터배출구(10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At the same time, the filter sheet 310 inserted into the filter inlet 104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two supply rollers 411 and 412 . At this time, the end of the filter sheet 310 may be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two discharge rollers 421 and 422, and may be install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two supply rollers 411 and 412 and the two discharge rollers 421 and 422, and the body housing ( 100) may be install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lter outlet 105 formed on the rear surface.

상기 필터시트(310)의 최초 설치시에는 종동측 공급롤러(412) 및 종동측 배출롤러(422)가 설치된 상부덮개부(120)를 몸체부(110)로부터 분리(혹은, 이격)한 상태로 수행함이 용이할 수 있다.When the filter sheet 310 is initially installed, the upper cover part 120 on which the driven side supply roller 412 and the driven side discharge roller 422 are installed is separated (or spaced apart) from the body part 110 in a state It may be easy to perform.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를 이용한 공기정화 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Next, an air purification process us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이러한 공기 정화를 위한 운전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부(도시는 생략됨)의 제어에 의해 각 상황에 맞게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운전은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The operation for purifying the air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each situation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ler (not shown)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Of course, the opera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우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공기정화 기능의 수행 요구가 발생(예컨대, 동작 버튼의 선택 등)되면 제어부는 팬모듈(200)을 동작시켜 공기가 송풍되도록 한다.First, when a request to perform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occurs (eg, selection of an operation button, etc.)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by a user's manipulatio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fan module 200 to blow air.

즉, 상기 팬모듈(200)의 동작에 의해 실내 공기는 공기입구(101)를 통해 몸체하우징(100) 내로 유입된 후 공기출구(102)를 통해 다시금 실내로 배출된다.That is, by the operation of the fan module 200 , in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body housing 100 through the air inlet 101 , and then is discharged back into the room through the air outlet 102 .

이때, 상기 실내 공기는 상기 공기입구(101)를 통과하는 도중 상기 공기입구(101)를 가로막고 있던 필터시트(310)를 통과하게 되고, 이의 과정에서 각종 기름성분 및 입자를 가지는 물질이 상기 필터시트(310)에 걸러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indoor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sheet 310 blocking the air inlet 101 while passing through the air inlet 101, and in this process, substances having various oil components and particles are formed in the filter sheet. (310) is filtered.

계속해서, 상기 필터시트(310)를 통과한 공기는 공기입구(101)와 팬모듈(200) 사이의 필터부(140)를 지나면서 냄새성분 및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걸러진 후 상기 팬모듈(200)을 통과하여 공기출구(10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Subsequentl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sheet 310 passes through the filter unit 140 between the air inlet 101 and the fan module 200,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odor components and fine dust are filtered out, and then the fan module ( 200) and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air outlet 102.

따라서, 상기한 과정의 반복에 의해 실내 공기는 점차적으로 정화된다.Accordingly, the indoor air is gradually purified 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만일, 사용자에 의한 동작 정지나, 미리 설정된 시간의 경과 혹은, 실내가 미리 설정된 청정도 이상을 이룰 경우 공기정화기의 동작은 정지될 수 있다.If the operation is stopped by the user, the preset time elapses, or the indoor reaches a preset cleanliness level or higher,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may be stopp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사용 완료된 필터시트(310)를 절단 및 배출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 30의 순서도와 도 31 내지 도 35의 동작도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process of cutting and discharging the used filter sheet 310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30 and the operation diagrams of FIGS. 31 to 35. do.

우선, 공기입구(101)에 위치된 필터시트(310)의 교체 여부에 대한 확인을 수행(S110)하며, 이러한 확인 과정을 통해 필터시트(310)를 교체할 수 있다.First, it is checked whether the filter sheet 310 located at the air inlet 101 is to be replaced (S110), and the filter sheet 310 can be replaced through this checking process.

이때, 상기 필터시트(310)의 교체 여부는 해당 필터시트(310)를 지나는 공기의 유동 부하를 확인하여 판단될 수도 있고, 필터시트(310)의 오염도를 센싱하여 판단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자의에 의해 판단될 수도 있고, 팬모듈(200)의 적산 운전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할 경우 수행되도록 판단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ther to replace the filter sheet 310 may be determined by checking the flow load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sheet 310 or may be determined by sensing the contamination level of the filter sheet 310 , at the user's discretion It may be determined by , or it may be determined to be performed when the integrated operation time of the fan module 200 exceeds a preset time, and the like.

만일, 상기 어느 한 조건 혹은, 여타의 조건에 해당되어 필터시트(310)의 교체 주기에 도달 혹은, 필터시트(310)의 교체가 요구되면 제어부에 의해 필터시트(310)의 교체를 위한 동작 제어가 수행된다.If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filter sheet 310 is reached or the replacement of the filter sheet 310 is requested due to any of the above conditions or other condition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for replacing the filter sheet 310 is performed

즉, 제어부는 제1롤러 구동모터(413) 및 제2롤러 구동모터(423)가 동시에 구동하도록 제어(S120)하며, 이로써 첨부된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측 공급롤러(411)와 구동측 배출롤러(421)는 동시에 회전된다.That i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roller driving motor 413 and the second roller driving motor 423 to be driven at the same time (S120), thereby driving the supply roller 411 and the driving side as shown in FIG. 31 . The side discharge rollers 421 are rotated at the same time.

그리고, 상기 제어에 의해 구동측 공급롤러(411)와 종동측 공급롤러(412)가 회전되면 상기 두 공급롤러(411,412) 사이에 물려 있던 필터시트(310)는 상기 두 공급롤러(411,412)의 회전에 의한 이송력을 제공받아 강제 이송된다.And, when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411 and the driven-side supply roller 412 are rotated by the control, the filter sheet 310 interposed between the two supply rollers 411 and 412 is rotated by the two supply rollers 411 and 412. It is forcibly transferred by receiving the transfer force by the

이때, 해당 필터시트(3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두 공급롤러(411,412)의 요철(405)이 형성된 부위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필터시트(310)는 미끄러짐없이 상기 두 공급롤러(411,412)로부터 두 배출롤러(421,422)가 위치된 부위를 향해 점차 이송된다.At this time, sinc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lter sheet 310 is engaged with the portion where th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405 of the two supply rollers 411 and 412 are formed, the filter sheet 310 does not slip from the two supply rollers 411 and 412 and the two discharge rollers (421,422) is gradually transferred towards the location.

특히, 상기 필터시트(310)는 상부가이드플레이트(431) 및 하부가이드플레이트(432) 사이를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두 배출롤러(421,422)가 위치된 부위로 원활히 이송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filter sheet 310 moves along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431 and the lower guide plate 432 , it can be smoothly transferred to the area where the two discharge rollers 421 and 422 are located.

즉, 두 가이드플레이트(431,432) 사이의 이격 거리(h1)는 각 롤러(411,412,421,422) 및 이 롤러(411,412,421,422)가 위치되는 롤러관통공(431a,432a) 간의 틈새 거리(h2)에 비해 더욱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이송되는 필터시트(310)의 끝단이 상기 롤러관통공(431a,432a)과 롤러(411,412,421,422) 간의 틈새로 빠져나가거나 혹은, 울렁임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distance h1 between the two guide plates 431 and 43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gap distance h2 between the rollers 411, 412, 421, 422 and the roller through-holes 431a and 432a in which the rollers 411, 412, 421, 422 are located. Therefore, the end of the filter sheet 310 to be transported can be prevented from slipping out of the gap between the roller through-holes 431a and 432a and the rollers 411,412,421,422 or from swaying.

그리고, 상기 과정에 의해 필터시트(310)가 구동측 배출롤러(421)와 종동측 배출롤러(422) 사이에 위치되면 상기 두 배출롤러(421,422)에 의한 회전력을 추가로 제공받으면서 상기 두 배출롤러(421,422)를 지나게 된다.And, when the filter sheet 310 is positioned between the driving-side discharge roller 421 and the driven-side discharge roller 422 by the above process, the two discharge rollers while receiving additional rotational force by the two discharge rollers 421 and 422 (421,422) will pass.

이후, 상기 필터시트(310)의 끝단이 상기 두 배출롤러(421,422)를 지난 후 일정 거리만큼 추가로 지나게 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1롤러 구동모터(413) 및 제2롤러 구동모터(423)의 구동이 중단(S130)된다.After that, when the end of the filter sheet 310 passe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fter passing the two discharge rollers 421 and 422, the first roller driving motor 413 and the second roller driving motor 423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is stopped (S130).

이때, 상기 일정 거리라 함은 필터시트(310) 중 공기입구(101)를 가로막고 있던 부위(필터 기능을 수행한 부위)(310b)(첨부된 도 26 및 도 31 참조)가 절단모듈(500)을 지날 수 있을 정도의 거리이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distance means that the part (the part that performed the filter function) 310b (refer to the attached FIGS. 26 and 31) that was blocking the air inlet 101 among the filter sheets 310 is the cutting module 500. is long enough to pass through.

특히, 상기한 일정 거리만큼 필터시트(310)가 이송되면 필터공급모듈(300)의 권취롤러(320)에 권취되어 있던 필터시트(310)의 미사용 부분이 몸체하우징(100)의 공기입구(101)를 가로막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filter sheet 310 is transported by the predetermined distance, the unused portion of the filter sheet 310 wound on the winding roller 320 of the filter supply module 300 is transferred to the air inlet 101 of the body housing 100 . ) is placed in a position to block the

이때, 상기 필터시트(310)의 이송 부위 중 꺽임이 이루어지는 부위에서는 해당 꺽임 부위로 인해 필터시트(310)에 부하가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꺽임 부위는 꺽임이 최대한 완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고려할 때 해당 꺽임 부위의 부하로 인해 필터시트(310)가 손상됨은 방지된다.In this case, a load may be provided to the filter sheet 310 due to the bent portion at a bent portion of the transfer portion of the filter sheet 310 .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bent portion is inclined or rounded so that the bending can be made as gently as possible, damage to the filter sheet 310 is prevented due to the load of the bent portion.

계속해서, 상기한 필터시트(310)의 일차적인 이송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롤러 구동모터(423)만 추가로 구동되도록 제어(S140)한다.Subsequently, when the primary transfer process of the filter sheet 310 is completed, the controller controls (S140) so that only the second roller driving motor 423 is additionally driven.

즉, 두 공급롤러(411,412)에 맞물린 필터시트(310)의 일측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두 배출롤러(421,422)에 맞물린 필터시트(310)의 타측을 당기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는 첨부된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다.That is, one side of the filter sheet 310 engaged with the two supply rollers 411 and 412 is controlled to pull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sheet 310 engaged with the two discharge rollers 421 and 422 while maintaining a fixed state. This is as shown in the attached Figure 32.

이로써, 상기 필터시트(310)는 평평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filter sheet 310 can achieve a flat state.

그리고, 상기한 당김 조작이 완료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2롤러 구동모터의 구동을 중단(S150) 한 후 절단모듈(500)을 제어하여 필터시트(310)를 절단(S160)한다.When the pull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stops the driving of the second roller driving motor (S150) and then controls the cutting module 500 to cut the filter sheet 310 (S160).

즉, 상기 제어부는 절단모듈(500)을 이루는 커터구동모터(524)를 동작시켜 벨트(521)를 동작시키게 되고, 이러한 벨트(521)의 동작에 의해 해당 벨트(521)의 전방측 부위(521a) 중 어느 한 측편에 고정된 커터(510)는 상기 벨트(521)의 동작 방향을 향해 이동되면서 그 사이에 위치된 필터시트(310)를 절단하게 된다.That is,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cutter driving motor 524 constituting the cutting module 500 to operate the belt 521 , and the front side portion 521a of the belt 521 by the operation of the belt 521 . ), the cutter 510 fixed to one side cuts the filter sheet 310 positioned therebetween while moving in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belt 521 .

이때, 상기 벨트(521)가 동작될 때에는 상기 벨트(521) 중 후방측 부위(521b)의 어느 한 측 끝단(칼날과는 반대측 편의 끝단)에 구비된 감지블럭(525)은 상기 커터(510)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는 첨부된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다.At this time, when the belt 521 is operated, the detection block 525 provided at one end (the opposite end of the blade) of the rear portion 521b of the belt 521 is the cutter 510 .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is is as shown in the attached Figure 34.

이렇게, 상기 감지블럭(525)이 해당 이동 방향의 끝단측 부위에 구비된 스위치(526)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커터구동모터(524)가 정지되면서 커터(510)의 이동을 중단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sensing block 525 operates the switch 526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corresponding movement direction, the cutter driving motor 524 is stopped to stop the movement of the cutter 510 .

상기 과정이 종료된 이후에는 커터구동모터(524)가 역회전되도록 제어되면서 상기 커터(51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과정이 종료된 이후라도 커터(510)는 해당 위치에 놓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차후 필터시트(310)의 절단 제어시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필터시트(310)를 절단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After the process is completed, the cutter driving motor 524 may be controlled to rotate in reverse, and the cutter 510 may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Of course, even after the process is finished, the cutter 510 may be controlled to cut the filter sheet 310 while maintaining the state placed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controlling the cutting of the filter sheet 310 later.

그리고, 상기 커터(510)에 의해 필터시트(310)가 절단된 이후에는 제어부에 의한 제2롤러 구동모터(423)의 동작 제어(S170)에 의한 구동측 배출롤러(421)가 동작되며, 이로써 두 배출롤러(421,422)에 맞물려 있던 필터시트(310)는 몸체하우징(100)의 필터배출구(10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는 첨부된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다.And, after the filter sheet 310 is cut by the cutter 510, the driving side discharge roller 421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control (S170) of the second roller driving motor 423 by the controller, thereby The filter sheet 310 engaged with the two discharge rollers 421 and 42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lter outlet 105 of the body housing 100 . This is as shown in the attached Figure 35.

이후, 사용자는 필터배출구(105)로 배출되는 필터시트(310)를 버림으로써 필터 배출이 완료된다.Thereafter, the user discards the filter sheet 310 discharged to the filter outlet 105 to complete the filter discharge.

전술된 필터시트(310)의 배출을 위한 동작은 제어부에 의한 자동 제어로 수행될 수 있지만, 사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로 수행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operation for discharging the filter sheet 310 may be performed by automatic control by the controller, but may also be performed by manual control by a user.

예컨대, 몸체하우징(100)에 별도의 조작 버튼을 제공하여 필터시트(310)의 이송을 위해 제1롤러 구동모터(413) 및 제2롤러 구동모터(423)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조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 separate operation button is provided in the body housing 100 so that the operation of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first roller driving motor 413 and the second roller driving motor 423 for transferring the filter sheet 310 is performed. can

물론, 제2롤러 구동모터(423)만 동작되면서 필터시트(310)를 당기는 조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고, 절단모듈(500)이 동작되면서 필터시트(310)를 절단하는 조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제2롤러 구동모터(423)만 동작되면서 절단된 필터시트(310)를 배출하는 조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operation of pulling the filter sheet 310 may be performed while only the second roller driving motor 423 is operated, or the operation of cutting the filter sheet 310 may be performed while the cutting module 500 is operated. Also, the operation of discharging the cut filter sheet 310 while only the second roller driving motor 423 is operated may be performed.

결국,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필터시트(310)가 사용된 만큼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lways maintained in a clean state because the filter sheet 310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as much as it is used.

또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절단모듈(500) 위치를 최대한 두 공급롤러(411,412)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배치함에 따라 필터시트(310)의 비사용 부위(310a)에 대한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동일량의 필터시트(310)가 제공되더라도 필터공급모듈(300)의 사용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isposing the cutting module 500 to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two supply rollers 411 and 412 as much as possible, discharge to the unused portion 310a of the filter sheet 310 can be minimized and , this makes it possible to increase the period of use of the filter supply module 300 even if the same amount of the filter sheet 310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사용된 필터시트(310)의 절단 작업이 해당 필터시트(310)의 양 끝단을 고정한 상태로 평평하게 당긴 후 수행되기 때문에 절단 작업시 야기될 수 있는 절단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utting operation of the used filter sheet 310 is performed after pulling flat both ends of the filter sheet 310 in a fixed state, a cutting defect that may be caused during the cutting operation is prevented. can be

또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분리 배출 가능한 필터시트(310)는 기름성분 및 비교적 큰 먼지 등을 걸러주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냄새성분이나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상대적으로 고가의 필터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lter sheet 310 that can be separated and discharged is configured to filter out oil components and relatively large dust, a relatively expensive filter that filters out odor components or fine dust can be protected as much a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사용된 필터시트(310)가 자동 제어에 의해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필터시트(310)의 배출 작업이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d filter sheet 310 can be discharged by automatic control, the discharging operation of the filter sheet 310 can be made easily and easily.

또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자유롭게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장소 및 다양한 용도(예컨대, 일반적인 공기정화기로의 용도 및 조리물의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성분의 제거를 위한 후드장치의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moved and used, it can be used in various places and for various purposes (eg, as a general air purifier and use of a hood device for removing oil components generated during cooking of food). It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몸체하우징(100)을 이루는 상부덮개부(120)가 몸체부(1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필터이송모듈(400)에 대한 유지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per cover portion 120 constituting the body housing 100 is detachably configured from the body portion 110 , maintenance of the filter transfer module 400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몸체하우징(100)을 이루는 하부덮개부(130)가 몸체부(1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필터공급모듈(300)에 대한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er cover portion 130 constituting the body housing 100 is detachably configured from the body portion 110 , the filter supply module 300 can be easily replaced.

한편,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즉,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가 상하 뒤집힌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at is, although not show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in an upside down state.

예컨대, 필터이송모듈(400)은 몸체부(110)의 저면과 하부덮개부(130) 간의 대향 부위에 제공되고, 필터공급모듈(400)는 상부덮개부(120) 내에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filter transfer module 400 is provided at an opposing portion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lower cover portion 130 , and the filter supply module 400 is provided in the upper cover portion 120 . will be.

이의 경우, 몸체하우징(100)에 형성되는 필터출구(103)는 몸체부(110)와 상부덮개부(120) 간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필터입구(104)는 몸체부(110)와 하부덮개부(130) 간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lter outlet 103 formed in the body housing 100 may be formed between the body part 110 and the upper cover part 120, and the filter inlet 104 is formed between the body part 110 and the lower part. It may be formed between the cover parts 130 .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필터시트(310)는 몸체하우징(100) 내부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filter sheet 310 may be configured to move inside the body housing 100 .

즉, 몸체하우징(100)에 필터출구(103) 및 필터입구(104)를 형성하지 않고, 몸체하우징(100)의 전방측 벽의 내면을 따라 필터시트(310)가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That is, the filter sheet 310 may be transport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all of the body housing 100 without forming the filter outlet 103 and the filter inlet 104 in the body housing 100 . .

이렇듯,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사용 용도나 사용 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As such,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or the place of use.

100. 몸체하우징 101. 공기입구
102. 공기출구 103. 필터출구
104. 필터입구 105. 필터배출구
110. 몸체부 111. 락킹부재
112. 바닥부 120. 상부덮개부
130. 하부덮개부 140. 필터부
200. 팬모듈 210. 팬
300. 필터공급모듈 310. 필터시트
320. 권취롤러 400. 필터이송모듈
401. 제1롤러부 402. 제2롤러부
403. 제3롤러부 404. 회전축
405. 요철 411. 구동측 공급롤러
412. 종동측 공급롤러 412a, 422a. 탄력부재
413. 제1롤러 구동모터 421. 구동측 배출롤러
422. 종동측 배출롤러 423. 제2롤러 구동모터
431. 상부가이드플레이트 432. 하부가이드플레이트
431a,432a. 롤러관통공 500. 절단모듈
510. 커터 521. 벨트
522,523. 벨트풀리 524, 커터구동모터
411b,421b,421b,422b. 지지가이드
411a,413a,413b,421a,423a,423b. 동력전달부재
100. Body housing 101. Air inlet
102. Air outlet 103. Filter outlet
104. Filter inlet 105. Filter outlet
110. Body 111. Locking member
112. Bottom part 120. Top cover part
130. Lower cover 140. Filter
200. fan module 210. fan
300. Filter supply module 310. Filter sheet
320. Winding roller 400. Filter transfer module
401. First roller part 402. Second roller part
403. Third roller part 404. Rotation shaft
405. Concave and convex 411. Drive side feed roller
412. Driven side feed rollers 412a, 422a. elastic member
413. First roller drive motor 421. Drive side discharge roller
422. Driven side discharge roller 423. Second roller drive motor
431. Upper guide plate 432. Lower guide plate
431a, 432a. Roller through hole 500. Cutting module
510. Cutter 521. Belt
522,523. Belt pulley 524, cutter drive motor
411b, 421b, 421b, 422b. support guide
411a, 413a, 413b, 421a, 423a, 423b. power transmission member

Claims (33)

공기입구 및 필터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몸체하우징;
몸체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공기입구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구동되는 팬모듈;
상기 몸체하우징 내에 구비되면서 필터시트를 공급하는 필터공급모듈;
상기 필터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되는 필터시트가 상기 공기입구를 경유하여 상기 필터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이송하는 필터이송모듈;
상기 필터이송모듈로 이송되는 필터시트를 절단하는 절단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이송모듈은
필터시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필터시트를 파지하거나 이송하는 구동측 공급롤러 및 종동측 공급롤러와,
상기 두 공급롤러의 필터 배출측에 이격되게 위치되며, 필터시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필터시트를 파지하거나 이송하는 구동측 배출롤러 및 종동측 배출롤러와,
상기 구동측 공급롤러를 구동하는 제1롤러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측 배출롤러를 구동하는 제2롤러 구동모터를 가지고,
상기 절단모듈은 상기 두 공급롤러와 상기 두 배출롤러 사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a body housing each having an air inlet and a filter outlet;
a fan module provided in the body housing and driven to suck air through an air inlet;
a filter supply module provided in the body housing and supplying a filter sheet;
a filter transport module for transporting the filter sheet supplied from the filter supply module to be discharged to the filter outlet via the air inlet;
Includes; a cutting module for cutting the filter sheet transferred to the filter transfer module;
The filter transfer module is
A driving-side supply roller and a driven-side supply roller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filter sheet interposed therebetween to grip or transport the filter sheet;
a driving-side discharge roller and a driven-side discharge roller which ar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ilter discharge side of the two supply rollers and face each other with a filter sheet interposed therebetween to grip or transport the filter sheet;
a first roller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and a second roller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driving side discharge roller,
The cutting module is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between the two supply rollers and the two discharge roll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하우징은
상기 구동측 공급롤러 및 구동측 배출롤러가 위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종동측 공급롤러 및 종동측 배출롤러가 위치되는 상부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housing is
a body in which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and the driving-side discharge roller are positioned;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pper cover in which the driven-side supply roller and the driven-side discharge roller are locat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cover part is detachably installed from the body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입구는 상기 몸체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하우징의 전면 중 상기 공기입구의 하측에는 필터시트가 취출되는 필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하우징의 전면 중 상기 공기입구의 상측에는 필터시트가 몸체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필터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하우징 내의 필터입구 후방에는 두 공급롤러와 두 배출롤러가 순차적으로 전후 이격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inlet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housing,
A filter outlet from which a filter sheet is taken out is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air inlet among the front surfaces of the body housing,
A filter inlet into which a filter sheet is inserted into the body housing is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air inlet among the front surfaces of the body housing,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supply rollers and the two discharge rollers are sequentially arranged to be spaced apart back and forth behind the filter inlet in the body hous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입구는 입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게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lter inlet is inclined or rounded to gradually expand toward the inlet si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입구의 하측 모서리는 상측 모서리에 비해 더욱 큰 경사 혹은, 라운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5. The method of claim 4,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dge of the filter inlet is formed to have a larger slope or round than the upper edg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출구는 상향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lter outlet is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or roun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공급모듈은 상기 몸체하우징 내에 양 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롤러가 포함되며,
상기 필터시트는 상기 권취롤러에 권취되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supply module includes a winding rolle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in the body housing,
The filter sheet is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by being wound on the winding 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공급모듈은 상기 공기입구에 비해 하측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supply module is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below the air in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측 공급롤러는 필터시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측 공급롤러와 맞물리게 위치되면서 상기 구동측 공급롤러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en-side supply roller is positioned to engage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with a filter shee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s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측 공급롤러는 탄력부재에 의해 상하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driven-side supply roller is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move elastically up and down by a resilient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측 배출롤러는 필터시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측 배출롤러와 마주보게 위치되면서 상기 구동측 배출롤러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driven-side discharge roller is positioned to face the driving-side discharge roller with a filter shee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s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by rotation of the driving-side discharge roll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측 배출롤러는 탄력부재에 의해 상하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driven-side discharge roller is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move elastically up and down by a resilient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 구동모터와 제2롤러 구동모터는 개별적으로 동작될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oller driving motor and the second roller driving motor are configured to be operated individual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이송모듈은 공기입구에 비해 상측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transfer module is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above the air in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이송모듈은 서로 마주보게 위치된 상부가이드플레이트 및 하부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필터시트는 상기 상부가이드플레이트와 하부가이드플레이트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transfer module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guide plate and a lower guide plat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The filter sheet is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to pass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and the lower guide plat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측 공급롤러 및 구동측 배출롤러는 하부가이드플레이트의 롤러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가이드플레이트와 상부가이드플레이트 사이로 노출되고,
상기 종동측 공급롤러 및 종동측 배출롤러는 상부가이드플레이트의 롤러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가이드플레이트와 하부가이드플레이트 사이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drive-side supply roller and the drive-side discharge roller penetrate the roller through-hole of the lower guide plate and are exposed between the lower guide plate and the upper guide plate,
The driven-side supply roller and the driven-side discharge roller penetrate the roller through-hole of the upper guide plate and are exposed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and the lower guide plat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플레이트와 하부가이드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각 롤러관통공과 해당 롤러관통공을 관통하는 롤러 간의 틈새 거리에 비해 더욱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and the lower guide plate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gap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roller through-holes and the rollers pass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roller through-ho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공급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한 공급롤러의 외주면에는 필터시트를 파지하는 요철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nevenness for holding the filter sheet is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supply rollers among the supply rollers.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세레이션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irregularities ar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serration structur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단면이 톱니형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concave-convex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is made of a sawtooth structur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단면이 기어형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concavo-convex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is made of a gear-type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공급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한 공급롤러는 요철이 형성된 제1롤러부 및 요철이 형성되지 않은 제2롤러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supply roller of each of the supply rollers is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roller portion is formed with irregularities and the second roller portion is not formed.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부는 필터시트의 양 측 끝단에 각각 위치되도록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roller portion is provided to b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filter sheet, respectively.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부와 제2롤러부는 교대로 배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roller parts are configured to be alternately arranged.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부와 제2롤러부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roller part and the second roller part are configured to be separable.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롤러에는 필터시트의 중앙측 부위를 파지하는 제3롤러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ly roller includes a third roller for hold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lter sheet.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롤러부의 외주면에는 요철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28. The method of claim 27,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unevenness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ird roller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모듈은 상기 두 배출롤러보다 상기 두 공급롤러에 더욱 인접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utting module is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closer to the two supply rollers than the two discharge roll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모듈은
필터시트를 절단하는 커터와,
상기 커터가 상기 두 공급롤러와 두 배출롤러 사이를 지나는 필터시트의 어느 한 측편 끝단으로부터 다른 한 측편 끝단에 이르기까지 이동시키는 커터이동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utting module is
A cutter for cutting the filter sheet;
and a cutter moving part for moving the cutter from one end of the filter sheet passing between the two supply rollers and the two discharge rollers to the other end of the filter sheet.
제 30 항에 있어서,
커터이동부는
상기 커터가 설치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일측이 연결되는 벨트풀리와,
상기 벨트풀리를 정역 구동시키는 커터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31. The method of claim 30,
cutter moving part
a belt on which the cutter is installed;
a belt pulley to which one side of the belt is connected;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utter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belt pulley forward and rever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이송모듈 및 상기 절단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측 배출롤러와 구동측 공급롤러를 동시에 동작시켜 필터시트를 이송시키고,
상기 필터시트가 이송되면 구동측 공급롤러가 정지된 상태에서 구동측 배출롤러를 동작시켜 필터시트를 당기며,
상기 필터시트가 당겨진 상태에서 절단모듈을 동작하여 필터시트를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필터시트는 구동측 배출롤러를 동작하여 배출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of claim 1,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lter transfer module and the cutting module is further included,
the control unit
The drive-side discharge roller and the drive-side supply roller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to transfer the filter sheet,
When the filter sheet is transported, the driving side supply roller is stopped and the driving side discharge roller is operated to pull the filter sheet,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sheet is pulled, the cutting module is operated to cut the filter sheet,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 filter sheet is controlled to be discharged by operating a discharge roller on the driving side.
공기입구 및 필터배출구를 가지는 몸체하우징과, 상기 공기입구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구동되는 팬모듈과, 상기 공기입구를 지나는 필터시트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구동측 공급롤러 및 종동측 공급롤러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구동측 배출롤러 및 종동측 배출롤러와, 상기 두 공급롤러와 두 배출롤러 사이에서 필터시트를 절단하는 절단모듈을 포함하는 공기정화기의 운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동측 배출롤러와 구동측 공급롤러가 동시에 동작되면서 필터시트를 이송시키는 필터 이송단계;
상기 필터 이송단계 후 상기 구동측 공급롤러가 정지된 상태에서 구동측 배출롤러를 동작시켜 필터시트를 당기는 필터 당김단계;
상기 필터 당김단계 후 절단모듈이 동작되면서 상기 구동측 공급롤러와 구동측 배출롤러 사이에서 당겨진 필터시트를 절단하는 필터 절단단계;
상기 필터 절단단계 후 구동측 배출롤러를 동작하여 상기 절단된 필터시트를 의 배출하는 필터 배출단계;가 포함되는 공기정화기의 운전 제어방법.
A body housing having an air inlet and a filter outlet, a fan module driven to suck air into the air inlet, a filter sheet passing the air inlet, a driving-side supply roller and a driven-side supply roller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 operation control method of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driving side discharge roller and a driven side discharge roller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 cutting module for cutting a filter sheet between the two supply rollers and the two discharge rollers,
a filter transfer step of transferring the filter sheet while the driving-side discharge roller and the driving-side supply roller are simultaneously operated;
a filter pulling step of pulling the filter sheet by operating the driving side discharge roller while the driving side supply roller is stopped after the filter transferring step;
a filter cutting step of cutting the filter sheet pulled between the driving side supply roller and the driving side discharge roller while the cutting module is operated after the filter pulling step;
and a filter discharging step of discharging the cut filter sheet by operating a driving side discharge roller after the filter cutting step.
KR1020200141890A 2020-08-06 2020-10-29 Air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20057063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890A KR20220057063A (en) 2020-10-29 2020-10-29 Air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CT/KR2021/008563 WO2022030767A1 (en) 2020-08-06 2021-07-06 Ai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US17/389,903 US11852369B2 (en) 2020-08-06 2021-07-30 Air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same
EP21189977.8A EP3950091A1 (en) 2020-08-06 2021-08-05 Air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890A KR20220057063A (en) 2020-10-29 2020-10-29 Air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063A true KR20220057063A (en) 2022-05-09

Family

ID=81582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890A KR20220057063A (en) 2020-08-06 2020-10-29 Air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7063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006B1 (en) 2002-08-07 2006-05-23 가부시키가이샤 오덴 Tabletop type air cleaner
KR101411356B1 (en) 2012-05-10 2014-07-02 심기섭 Ventilation unit with auto-changeable filter and ventilation system having the ventilation unit
KR200484435Y1 (en) 2017-05-08 2017-09-06 이길순 Removable small-sized air purifier which can emit much anions, diffuse emitted anions rapidly and be easily washa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006B1 (en) 2002-08-07 2006-05-23 가부시키가이샤 오덴 Tabletop type air cleaner
KR101411356B1 (en) 2012-05-10 2014-07-02 심기섭 Ventilation unit with auto-changeable filter and ventilation system having the ventilation unit
KR200484435Y1 (en) 2017-05-08 2017-09-06 이길순 Removable small-sized air purifier which can emit much anions, diffuse emitted anions rapidly and be easily wash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5485B2 (en) Air cleaner with rollable filter
JP4435667B2 (en) Air conditioner with indoor unit with automatic air filter cleaning function
KR20040056154A (en) Air purifier
KR20190023212A (en) Air purifier
KR100627207B1 (en) A wet air cleaner
KR20110035636A (en) Filter apparatus of aircleaner
KR101742738B1 (en) filter device of Air cleaner
JP5069870B2 (en) Air conditioner
KR20220057063A (en) Air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4983531B2 (en) Air cleaner
KR20220018280A (en) Roller apparatus and air cleaner using the same
JP5283448B2 (en) Air conditioner
KR101633789B1 (en) Air conditioner
US11852369B2 (en) Air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same
JP2009079833A (en) Air conditioning device
JP4936031B2 (en) Shoe sole cleaner
JP4428031B2 (en) Air conditioner
CN116294025A (en) Indoor air purification equipment based on wisdom building
JP5284762B2 (en) Filter cleaning device and air conditioning device
EP2058601A1 (en) Air conditioner
KR20170084730A (en) Exhaust device
KR101795938B1 (en) Air cleaning apparatus
JP2016038167A (en) Filter cleaning device for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JP6230505B2 (en) Filter cleaning device for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KR100464510B1 (en) Ai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